KR100531562B1 - 재배방법 및 육묘용 용기 - Google Patents

재배방법 및 육묘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1562B1
KR100531562B1 KR10-1999-0049625A KR19990049625A KR100531562B1 KR 100531562 B1 KR100531562 B1 KR 100531562B1 KR 19990049625 A KR19990049625 A KR 19990049625A KR 100531562 B1 KR100531562 B1 KR 100531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eedlings
seedling
soil
roo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9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5367A (ko
Inventor
야마모토고헤이
Original Assignee
후쿠오카 마루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22573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69857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05779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403664B2/ja
Application filed by 후쿠오카 마루모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쿠오카 마루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35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5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1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156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65D85/5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for living plants; for growing bul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규 이식 작업시 노동력을 절약할 수 있고, 정규 이식 후의 활착이 양호하며, 이후의 생육 상태도 우수한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경사 상태 또는 수평 상태로 유지되는 통모양의 육묘용 용기에 모종 줄기의 신장 방향과 뿌리가 담긴 흙덩이의 축방향이 각도를 이루는 모종을 육성하여, 이 모종 줄기의 신장 방향을 거의 수직 상태로 하여 재배지에 정규 이식함으로써 육묘 기간 동안과 동일한 자세로 모종을 정규 이식할 수 있으므로, 정규 이식 후에 모종이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활착이 양호하게 되며 줄기는 그대로 곧게 성장하여, 이후의 생육 상태도 우수하게 된다.

Description

재배방법 및 육묘용 용기 {Method for cultivation and pots for growing seedling}
본 발명은 육묘용 용기에서 육성한 과실나무나 야채의 모종을 재배지에 정규 이식하여 재배하는 재배방법 및 당해 방법에 사용되는 육묘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딸기, 토마토, 가지 등의 야채류나 각종 과일을 재배하는 경우,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육묘용 용기(90)에 충전된 배양토(91)에서 모종(92)의 육성이 이루어지며(도 17a), 적당한 크기로 모종(92)이 성장하면 육묘용 용기(90)로부터 배양토(91)와 함께 모종(92)을 취하여(도 17b) 재배지(93)로 옮겨 정규 이식하는 방법이 취해지고 있었다.
모종(92)을 육묘용 용기(90)에서 육성시키면, 용기내에서 성장한 뿌리(94)가 배양토(91)를 감싸 안은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 육묘용 용기(90)로부터 꺼내어도 배양토(91)를 감싸 안은 뿌리(94) 부분이 육묘용 용기(90)의 형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 부분을 뿌리가 담긴 흙덩이(95)라고 한다.
정규 이식 전의 육묘 기간 중에는 일반적으로 육묘용 용기(90)를 직립 상태로 유지하여 모종(92)이 육성되지만, 육묘용 용기(90)로부터 배양토(91)와 함께 꺼내어진 모종(92)은 도 1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뿌리가 담긴 흙덩이(95)를 직립 상태로 하거나, 도 17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뿌리가 담긴 흙덩이(95)를 경사 상태로 하여 재배지(93)에 정규 이식된다.
또한, 모종(92)이 육묘용 용기(90)에 들어 있는 채로, 육묘 기간의 상태로 재배지에 정규 이식하는 방법이 취해지기도 하지만, 이 경우에도 육묘용 용기(90)는 직립 상태(도 18a) 또는 경사 상태(도 18b)로 하여 재배지에 정규 이식된다.
한편, 이러한 종류의 육묘용 용기로서는 종래부터 여러 가지의 육묘용 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의 대표적인 것으로서는 도 19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분형 용기(97), 도 19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원통형 용기(98), 도 19c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자형 용기(99)가 있다. 이러한 용기(97, 98, 99)를 평면적으로 여러 개 나열하여 배양토(91)를 넣어 과실나무나 야채의 어린 모종을 육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용기는 농장 등에서 육묘할 때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육묘 중에 운송되거나 점포 앞에 진열되기도 한다. 따라서, 개개의 작은 육묘용 용기를 큰 용기에 여러 개 수용하여 동시에 육묘시키거나 수송 또는 진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5-244829호에는 종횡의 모눈형 적재용 감합공(嵌合孔)을 갖는 적재용 틀을 적재용 용기에 적재하여, 감합공에 육묘 포트를 끼워 맞추어 육묘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큰 수용 용기에 여러 개의 육묘용 용기를 수용함으로써 육묘, 수송 및 진열의 효율화를 꾀할 수 있다.
그러나, 육묘용 용기(90)에서 생육시킨 모종(92)을 재배지(93)에 정규 이식하는 재배방법의 경우, 도 17c 및 도 1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립 상태로 한 뿌리가 담긴 흙덩이(95) 또는 육묘용 용기(90)를 흙 속에 매립시키기 위해서는 비교적 구멍을 깊게 팔 필요가 있으므로, 구멍 파는 작업 및 판 구멍에 뿌리가 담긴 흙덩이(95) 또는 용기(90)를 넣어 다시 매립하는 작업에 막대한 노동력과 시간이 소비된다. 뿌리가 담긴 흙덩이(95)의 용량이 클수록 모종(92)의 생육이 잘 되는 성질이 있으므로, 딸기 등의 직근성을 갖는 모종을 키우는 경우, 뿌리가 담긴 흙덩이(95)를 길게 하도록 하는 재배 관리가 실시되고 있지만, 뿌리가 담긴 흙덩이(95)가 길어질수록 정규 이식시에 구멍을 깊게 파지 않으면 않되기 때문에, 이에 필요로 하는 노동력과 시간이 증대된다.
한편, 도 17d 및 도 1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뿌리가 담긴 흙덩이(95)를 경사 상태로 재배지(93)에 심으면, 뿌리가 담긴 흙덩이(95)의 전제 길이보다 얕은 구멍에 정규 이식할 수 있으므로, 구멍파는 작업 등의 노동력을 절약할 수 있다. 그러나, 정규 이식후의 모종(92)은 식물 호르몬인 옥신의 활동에 의해, 경사진 상태로부터 곧게 위를 향해 성장해 가는 성질이 있어, 이때 모종(92)은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이러한 스트레스는 모종(92)의 생육 불량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즉, 뿌리가 담긴 흙덩이(95)를 경사 상태로 하여 재배지(93)에 심는 경우, 활착이 나빠지게 되거나 이후의 생육 상태가 불량하게 될 우려가 높다.
또한, 종래의 육묘용 용기에서는 큰 수용 용기에 여러 개의 육묘용 용기를 평면적으로 배치하는 경우, 화분형, 원통형, 상자형 중의 어느 하나의 육묘용 용기일지라도 육묘용 용기를 직립시켜 적재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모종의 뿌리가 담긴 흙덩이의 길이는 필연적으로 육묘용 용기의 길이가 되므로, 뿌리가 담긴 흙덩이를 길게 하는 재배 관리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육묘용 용기의 길이를 길게 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육묘용 용기는 직립시켜 수용 용기에 적재되므로, 육묘용 용기의 길이를 길게 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육묘용 용기의 높이를 높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종래의 육묘용 용기를 사용하여 육성한 모종을 재배지에 정규 이식하는 경우,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 17c 및 도 18a와 같이 뿌리가 담긴 흙덩이를 직립 상태로 재배지에 심는 경우에는 정규 이식에 막대한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으며, 도 17d 및 도 18b와 같이 뿌리가 담긴 흙덩이를 경사 상태로 하여 재배지에 심는 경우에는 모종의 생육 상태가 불량해질 우려가 높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육묘용 용기를 장착하는 구멍 뚫린 패널을 지지틀에 장착하여 높게 설치한 재배 장치를 사용하는 딸기의 재배방법에 있어서, 재배 부지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 육묘용 용기를 경사 배치하는 재배가 행해지고 있지만, 이 경우는 평탄한 여러 장의 패널을 계단모양으로 지지틀에 장착하거나 계단모양으로 성형한 구멍 뚫린 패널을 지지틀에 장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패널 장착구조 또는 패널 성형은 재배 장치의 고비용화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정규 이식 작업의 노동력을 절약할 수 있고, 정규 이식후의 활착이 양호하며, 이후에도 우수한 생육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재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육묘용 용기의 높이를 늘리지 않고도 뿌리가 담긴 흙덩이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으며, 경사 정규 이식에서의 모종의 생육 불량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경사 재배의 경우의 장치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는 육묘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재배방법은 육묘용 용기에서 육성한 모종을 사용하는 재배방법으로, 모종 줄기의 신장 방향과 뿌리가 담긴 흙덩이의 축방향이 각도를 이루도록 모종을 육성하고 모종 줄기의 신장 방향을 거의 수직 상태로 하여 모종을 재배지에 정규 이식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방법을 취함으로써, 육묘 기간 동안과 동일한 자세로 모종을 정규 이식할 수 있기 때문에, 정규 이식 후에도 모종이 스트레스를 받지 않아 활착이 양호하게 되며, 줄기는 그대로 곧게 위로 성장하여 이후의 생육 상태도 우수하게 된다.
이러한 모종은 줄기의 신장 방향과 뿌리가 담긴 흙덩이의 축방향이 각도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직립 상태에서 육묘한 모종에 비해 얕은 구멍에 심을 수 있다. 따라서, 재배지에 구멍을 깊게 팔 필요가 없어져서 정규 이식 작업의 노동력을 절약할 수 있으며 토양이 얕은 재배지에도 적용가능하다.
이 모종은 경사 상태 또는 수평 상태로 유지하는 통모양의 육묘 용기에서 육성함으로써, 모종 줄기는 용기 본체의 개구부에서 바로 위를 향하여 성장하고 뿌리는 경사 상태 또는 수평 상태로 유지되는 배양토 수용부 전체에 넓게 성장하므로, 줄기의 신장 방향과 뿌리가 담긴 흙덩이의 축방향이 각도를 이루는 모종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줄기의 신장 방향과 뿌리가 담긴 흙덩이의 축방향이 각도를 이루는 모종은 종래의 육묘용 용기를 사용하여 육성할 수 있지만, 용기 본체의 개구부가 용기 본체의 측벽에 대하여 경사 방향에 있거나 평행한 방향에 있는 육묘용 용기를 사용하여 육성할 수 있다. 이러한 육묘용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육묘용 용기를 경사 상태 또는 수평 상태로 유지하는 것만으로 줄기의 신장 방향과 뿌리가 담긴 흙덩이의 축방향이 각도를 이루는 모종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고, 식물의 종류나 정규 이식 조건 등에 적합하게 상응하는 모종을 육성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줄기의 신장 방향과 뿌리가 담긴 흙덩이의 축방향이 각도를 이루는 모종을 얻는 방법으로서는 육묘용 용기에서 육성중인 모종에 경사 방향에서 빛을 조사하여 빛의 방향으로 줄기를 굴곡시키는 방법 또는 일정한 방향의 기체류(氣體流)를 접촉시킴으로써 줄기를 기체류 아래쪽으로 굴곡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육묘용 용기는 통모양의 몸체의 상단이 개방되어 있고 하단부에 흙받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육묘용 용기로서, 통모양의 몸체의 형상을, 위테두리를 수평인 상태로 하였을 때에 상단 중심점과 하단 중심점을 연결하는 선이 경사지는 형상으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육묘용 용기는 통모양의 몸체의 상단을 수평인 상태로 하였을 때에 상단의 중심점과 하단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선이 수직으로 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육묘용 용기는 상단의 중심점과 하단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선이 경사진 상태로 있고, 육묘용 용기를 수용 용기에 평면적으로 여러 개 수용하였을 때, 각 육묘용 용기는 경사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동일한 높이의 수용 용기에 수용할 수 있는 통모양의 육묘용 몸체의 길이를 길게 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육묘중의 모종의 뿌리가 담긴 흙덩이의 길이는 육묘용 용기의 통모양의 몸체의 길이에 따라 결정되므로, 본 발명의 육묘용 용기를 사용하면 동일한 높이의 수용 용기를 사용하여 종래보다도 통모양의 몸체의 길이가 긴 육묘용 용기에서 뿌리가 담긴 흙덩이가 긴 모종을 육성할 수 있다.
또한, 수용 용기에 경사진 상태로 수용되어도, 이 상태에서 육묘중의 모종은 윗쪽을 향하여 곧게 성장하기 때문에, 경사지게 정규 이식한 후에 모종이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육묘용 용기를 사용하여 높게 설치하여 재배하는 경우, 육묘용 용기의 위테두리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멍을 뚫은 패널을 사용함으로써 경사진 패널에 본 발명의 육묘용 용기를 장착하는 것만으로 경사 재배 장치로 할 수 있고 장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통모양의 몸체의 상단의 중심점과 하단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선의 경사 각도는 육묘 식물의 종류나 정규 이식시의 경사 이식의 각도 또는 높게 설치한 재배 장치의 경사 각도에 따라서 적당한 각도를 선정하면 된다. 예를 들면, 딸기 육묘의 경우는 정규 이식시의 경사 이식의 각도는 1 내지 45도 정도이고, 높게 설치한 재배 장치의 경사 각도는 10 내지 45도 정도이므로, 이들의 각도에 맞추어 적당한 각도를 선정하면 된다.
통모양의 몸체의 형상은 육묘용 용기 자체의 취급 및 제작의 용이성 면에서 단면 형상이 원형인 것이 가장 적합하지만, 또 다른 형상, 예를 들면, 타원형, 사각형, 반원형 등도 가능하다. 또한, 길이 방향에 동일한 테이퍼 또는 다른 테이퍼를 형성하는 끝이 좁아지는 모양의 몸체일 수 있으며, 또는 테이퍼가 없어도 된다. 통모양의 하단은 성장한 뿌리가 쉽게 나가도록 구멍 뚫린 흙받이부를 형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재배방법에서의 육묘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2 및 도 3은 육성한 모종의 정규 이식 과정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끝이 좁아지는 통모양을 이루는 육묘용 용기(10)를 유지 기구(11)에 형성된 개구(12)에 삽입시킴으로써 유지 기구(11) 전체를 경사지게 함으로써 육묘용 용기(10)를 경사 상태로 유지시키고 있다. 그리고, 육묘용 용기(10)내에 충전된 배양토(13)에서 모종(14)을 육성하면, 뿌리가 담긴 흙덩이(17)가 형성된다.
육묘용 용기(10)를 경사 상태로 유지하면 모종(14)의 앞의 끝부분은 중력과 반대 방향으로 성장해 가는 성질이 있으므로, 줄기(15)의 신장 방향(15a)과 뿌리가 담긴 흙덩이(17)의 축방향(17a)이 일정 각도를 이루는 모종(14)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모종(14)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육묘용 용기(10)로부터 배양토(13)와 함께 꺼낸 후(도 2a), 줄기(15)의 신장 방향(15a)을 거의 수직 상태로 하여 뿌리가 담긴 흙덩이(17) 전체를 흙 속에 매립함으로써(도 2b) 재배지(19)에 정규 이식된다.
줄기(15)의 신장 방향(15a)과 뿌리가 담긴 흙덩이(17)의 축방향(17a)이 일정각도를 이루는 모종(14)은 종래의 직립 상태의 모종에 비해 흙 속의 얕은 부분에 정규 이식할 수 있으므로, 재배지(19)에 구멍을 깊게 팔 필요가 없게 되어 정규 이식 작업의 노동력을 절약할 수 있다.
정규 이식한 후, 모종(14) 및 뿌리가 담긴 흙덩이(17)는 육묘 기간 동안과 동일한 자세로 유지되므로 스트레스를 받지 않아 정규 이식 후의 활착이 대단히 양호하다. 또한, 줄기(15)의 윗쪽 부분은 그대로 수직 상방을 향해 성장하므로 이후의 생육 상태도 우수하다.
또한, 줄기(15)의 신장 방향(15a)과 뿌리가 담긴 흙덩이(17)의 축방향(17a)이 이루는 각도는 육묘 기간 동안에 육묘용 용기(10)의 유지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90도 내지 180도로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도 3a, 도 3b 및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규 이식하는 재배지(21, 22, 23)의 토양의 깊이에 대응하는 각도의 모종(24, 25, 26)을 얻을 수 있다. 즉, 육묘 기간 동안의 육묘용 용기(10)의 유지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재배지의 토양의 깊이나 식물의 종류 등의 여러가지 조건에 적합하게 대응할 수 있게 육묘를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재배방법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끝이 좁아지는 원통형의 배양토 수용부(61)와, 배양토 수용부(61)의 측벽에 형성된 개구부(62)를 구비한 육묘용 용기(60)를 사용하여 육묘를 수행하고 있다.
육묘용 용기(60)의 배양토 수용부(61)는 서로 탈착가능한 본체(61a)와 캡(61b)으로 구성되며, 본체(61a)와 캡(61b)에는 각각 배수 구멍(61c)이 형성되어 있다. 배양토 수용부(61)에 충전된 배양토(63)에서 모종(64)을 육성한다. 육묘용 용기(60)를 수평 상태로 유지하여 모종(64)을 육성함으로써 모종(64)은 줄기(65)의 신장 방향(69)과 뿌리가 담긴 흙덩이(66)의 축방향(66a)이 L자형을 이루도록 성장하여 간다.
모종(64)이 소정의 크기로 성장하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육모용 용기(6O)의 본체(61a)에서 캡(61b)을 떼어낸 후, 뿌리가 담긴 흙덩이(66)를 본체(61a)에서 뽑아내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배지(67)에 정규 이식시킨다. 이 경우, 본체(61a)는 끝이 좁아지는 원통형이기 때문에, 뿌리가 담긴 흙덩이(66)를 뽑아내는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모종(64)은 줄기(65)의 신장 방향과 뿌리가 담긴 흙덩이(66)의 축방향(66a)이 L자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재배지(67)에 구멍을 비교적 얕게 파는 것만으로 뿌리가 담긴 흙덩이(66) 전체를 흙 속에 매립하여 줄기(65)의 윗쪽 부분을 거의 수직 상태로 유지하여 정규 이식할 수 있다. 정규 이식 후, 모종(64)은 육묘 기간 동안과 동일한 자세가 유지되므로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활착이 양호하다. 또한, 줄기(65)의 윗쪽 부분은 그대로 수직으로 성장하므로 이후의 생육 상태도 우수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육묘 용기(60)를 수평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줄기(65)의 신장 방향(69)과 뿌리가 담긴 흙덩이(66)의 축방향(66a)이 이루는 각도를 90도 내지 180도의 범위로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재배지(67)의 토양의 깊이나 식물의 종류 등의 정규 이식 조건에 정확하게 대응하는 육묘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에,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재배방법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70)를 수평 상태로 했을 경우, 배양토 수용부(73)가 경사지도록 형성된 끝이 좁아지는 통모양의 육묘용 용기(74)를 사용하여 육묘를 수행하고 있다. 육묘용 용기(74)를 수평인 유지기구(71)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72)에 끼워넣으면, 육묘용 용기(74)는 경사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배양토 수용부(73)에 충전된 배양토(13)에서 모종(75)을 육성하면 뿌리가 담긴 흙덩이(76)가 형성된다.
이로써, 줄기(77)의 신장 방향(78)과 뿌리가 담긴 흙덩이(76)의 축방향(79)이 일정 각도를 이루는 모종(75)을 얻을 수 있고, 이후에 도 2와 동일한 과정을 거침으로써 식물 모종(75)을 재배지에 정규 이식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와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한 이유로, 정규 이식 후의 모종(75)의 활착이 양호하고, 이후의 생육 상태도 우수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형상의 육묘용 용기(74)의 경우, 유지기구(71)에서 유지되는 용기 상단 부분의 면적이 커지므로 유지 상태가 안정하다고 하는 이점이 있으며, 또한 상단의 개구 면적이 넓기 때문에, 급수나 비료를 주기 쉽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재배방법의 제4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7의 육묘용 용기(74)와 동일한 형상의 육묘용 용기(80)를 고정 기구(81)에 의해 고정 와이어(82)에 걸어서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도 제3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육묘용 용기로부터 뿌리가 담긴 흙덩이를 꺼내어 정규 이식하고 있지만, 모종을 육묘용 용기로부터 꺼내지 않고 육묘용 용기 그대로 정규 이식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후,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육묘에 대한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낸 실시 형태에서는, 육묘 기간 동안 유지 기구(41)에 유지되는 육묘용 용기(40)에서 생육하는 모종(42)에 대하여, 광원(43)으로부터 일정 방향의 빛(44)을 조사한다. 이로써 모종(42)의 줄기(42a)는 く자형으로 굴곡하여 성장한다. 빛(44)의 조사 각도를 전환함으로써 굴곡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재배지의 토양의 깊이나 식물의 종류 등의 각종 정규 이식 조건에 따른 육묘가 가능하다. 이 경우, 육묘용 용기(40)를 직립으로 유지하는 상태에서 줄기(42a)가 굴곡된 모종(42)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육묘 기간 중 관수, 살수, 시비 등의 각종 작업을 종래와 같이 지장없이 수행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낸 실시 형태에서는, 육묘 기간 동안 유지 기구(51)에 유지되는 육묘용 용기(50)에서 생육하는 모종(52)에 대하여, 송풍기(53)로부터 일정 방향의 공기류(54)를 접촉시킨다. 이로써, 모종(52)의 줄기(52a)는 く자형으로 굴곡하여 양호하게 성장한다. 송풍기(53)로부터 유동하는 공기류(54)의 풍량, 풍속 등을 변화시킴으로써 줄기(52a)의 굴곡 각도를 변환시킬 수 있으므로, 재배지의 토양의 깊이나 식물의 종류 등의 각종 정규 이식 조건에 따라 육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송풍기(53) 대신에 온풍관 등으로부터의 공기류를 이용함으로써 줄기(52a)가 굴곡된 모종(52)을 얻을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어떠한 실시 형태에서도, 도 1에 나타낸 모종(14)과 같이 식물 모종의 줄기와 뿌리가 담긴 흙덩이의 축방향이 일정 각도를 이루는 모종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순서로 정규 이식함으로써,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3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한 이유로, 정규 이식 후의 모종(42, 52)의 활착이 양호하게 되며, 이후의 생육 상태도 우수하게 된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실시 형태의 경우에도, 육묘용 용기(4O, 50)로부터 뿌리가 담긴 흙덩이를 꺼내어 정규 이식하는 방법, 또는 육묘용 용기(4O, 50) 그대로 모종(42, 52)을 정규 이식하는 방법 중의 어느 하나의 방법을 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육묘용 용기의 일부 절단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육묘용 용기를 수용 용기에 수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단 정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육묘용 용기(110)는 딸기 육묘용으로, 단면 형상이 원통형이며, 끝이 좁아지는 모양의 2단 테이퍼를 갖는 합성 수지제의 통모양의 몸체(111)를, 위테두리의 플랜지(111a)가 수평 상태일 때, 상단의 중심점(Pa)과 하단의 중심점(Pb)을 연결하는 중심선(C)이 수직선에 대하여 약 22.5도 경사지는 형상으로 한 것이다. 통모양의 몸체(111)의 하단에는 흙받이부(111b)가 형성되어 있다.
통모양의 몸체(111)의 크기는 상단에서 하단까지의 중심선(C)의 길이가 약 20cm, 상부의 내부 직경이 약 4cm, 내부 용적이 약 180cm3이다. 딸기 재배의 경우, 육묘용 용기(110)를 이러한 끝이 좁아지는 테이퍼를 갖는 통모양의 몸체(111)로 형성함으로써 뿌리의 성장이 양호하게 되며, 또한 뿌리의 엉킴이 적은 육묘용 용기가 된다.
육묘용 용기(110)를 수용 용기에 수용한 상태에서 육묘할 때,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 용기(120)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 구멍(121)에 육묘용 용기(110)를 삽입하여 육묘한다. 삽입 구멍(121)은 육묘용 용기(110)와 경사가 동일하므로, 육묘용 용기(110)를 삽입 구멍(121)에 삽입하였을 때, 위테두리의 플랜지(111a)는 수평 상태로 되고 통모양의 몸체(111)는 경사진 상태로 된다. 따라서, 동일한 높이의 수용 용기(120)에 수용될 수 있는 육묘용 용기(110)의 통모양의 몸체의 길이를 종래의 통형의 용기보다도 길게 할 수 있으며, 뿌리가 담긴 흙덩이가 긴 모종을 육성할 수 있다.
수용 용기(120)에 수납한 육묘용 용기(110)로 육묘하는 동안의 모종(130)은 통모양의 몸체(111) 부분, 즉 배양토 부분이 경사진 상태에서도 줄기는 윗쪽을 향하여 곧게 성장하기 때문에, 이후의 경사지게 정규 이식한 후에 모종(130)이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다.
또한, 도 12의 상태에서 육묘한 모종(130)을 정규 이식할 때, 수용 용기(120)를 세로로 한 상태에서 수용 용기(120)마다 모종(130)을 정규 이식 장소로 반송하거나, 정규 이식 장소 부근에 일시적으로 임시로 위치시킬 수 있지만, 이때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육묘용 용기(110)가 아래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수용 용기(120)를 세운 자세로 반송 또는 임시로 놓아두면 육묘용 용기(110)가 수용 용기(120)로부터 낙하하지 않으므로 안전하게 작업을 진행시킬 수 있다.
정규 이식을 수행할 때, 모종(130)은 육묘용 용기(110)로부터 꺼내지 않고,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육묘용 용기(110) 그대로 정규 이식한다. 정규 이식 후, 성장한 뿌리는 통모양의 몸체(111)의 하단의 흙받이부(111b)의 구멍으로 흙 속에서 성장해 나와 모종(130)은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생육한다.
도 15는 육묘용 용기(110)의 별도의 사용 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구멍뚫린 패널(141)을 지지틀(142)에 장착시킨 높게 설치한 재배 장치(140)에 육묘용 용기(110)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다. 구멍 뚫린 패널(141)은 경사지게 장착되어 있고 구멍(도시하지 않음)은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육묘용 용기(110)에서는 통모양의 몸체(111)를 직립시켰을 때, 플랜지(111a)가 경사진 상태가 되므로, 경사지게 장착시킨 구멍 뚫린 패널(141)의 타원형의 구멍에 통모양의 몸체(111)를 삽입하면, 통모양의 몸체(111)가 직립된 상태에서 구멍 뚫린 패널(141)에 장착된다. 따라서, 이러한 육묘용 용기(110)를 사용하면, 구멍뚫린 패널(141)은 계단모양으로 형성할 필요 없이 경사 재배에서의 재배 장치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육묘용 용기(110)로서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끝이 좁아지는 모양의 2단 테이퍼를 갖는 통모양의 몸체(111)로 하였지만, 단면 형상은 원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타원형, 사각형 등 각종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테이퍼는 동일한 테이퍼라도 3단 테이퍼로 할 수 있고, 테이퍼가 없어도 된다. 또한, 흙받이부(111b)의 형상도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육묘용 용기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a의 육묘용 용기(150)는 통모양의 몸체(151)에 고정기구(152)를 형성시킨 것으로, 배양토를 충전시켰을 때의 통모양의 몸체(151)의 상부와 하부의 중량의 균형을 고려한 위치에 고정기구(152)를 형성시킴으로써 패널을 사용하지 않고 지지봉(160)에 육묘용 용기(15O)를 간단히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6b의 육묘용 용기(170)는 통모양의 몸체(171)의 상부에 고분자 흡수체로 이루어진 급수 기구(172)를 장착시킨 것으로, 이 급수 기구(172)에 적절하게 물을 보급함으로써 육묘용 용기(170)에 급수를 수행할 수 있어 관수 장치를 간략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재배방법에 의해 다음의 효과가 나타난다.
(1) 모종 줄기의 신장 방향과 뿌리가 담긴 흙덩이의 축방향이 각도를 이루는 모종을 육성하여 이 줄기의 신장 방향을 거의 수직 상태로 하여 재배지에 정규 이식함으로써 육묘 기간 동안과 동일한 자세로 모종을 정규 이식할 수 있으므로, 정규 이식 후, 모종이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활착이 양호하며, 줄기는 그대로 곧게 위로 성장하여, 이후의 생육 상태도 우수하게 된다. 또한, 모종 줄기의 신장 방향과 뿌리가 담긴 흙덩이의 축방향이 각도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얕은 구멍에 이식할 수 있으며, 정규 이식 작업의 노동력을 절약할 수 있고, 토양이 얕은 재배지에도 적용가능하다.
(2) 수평 상태 또는 경사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통모양의 배양토 수용부와 배양토 수용부의 측면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를 구비한 육묘용 용기를 사용함으로써, 모종 줄기는 개구부에서 곧게 위를 향해 성장하고, 뿌리는 배양토 수용부 전체에 넓게 성장하므로, 줄기의 신장 방향과 뿌리가 담긴 흙덩이의 축방향이 일정한 각도를 이루는 모종을 비교적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3) 경사 상태 또는 수평 상태로 유지되는 통모양의 육묘용 용기에서 모종을 육성함으로써, 모종 줄기는 개구부에서 곧게 위를 향하여 성장하고, 뿌리는 경사 상태 또는 수평 상태로 유지되는 배양토 수용부 전체에 넓게 성장하므로, 줄기의 신장 방향과 뿌리가 담긴 흙덩이의 축방향이 일정한 각도를 이루는 모종을 비교적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육묘용 용기를 사용하여, 줄기의 신장 방향과 뿌리가 담긴 흙덩이의 축방향이 각도를 이루는 모종을 얻을 수 있으며, 육묘용 용기의 유지 각도를 전환하는 것만으로 각도를 바꿀 수 있으므로, 식물의 종류나 정규 이식 조건 등에 적합하게 상응하는 모종을 육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육묘용 용기에 의해서 다음의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1) 육묘용 용기는 상단의 중심점과 하단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선이 경사지게 되어 있고, 육묘용 용기를 수용 용기에 평면적으로 여러 개 수용하였을 때에 각각의 육묘용 용기는 경사진 상태로 되기 때문에, 동일한 높이의 수용 용기에 수용할 수 있는 육묘 용기의 통모양의 몸체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고, 뿌리가 담긴 흙덩이가 긴 모종을 육성할 수 있다.
(2) 수용 용기에 경사진 상태로 육묘용 용기가 수용되어 있어도, 이 상태에서 육묘하는 동안의 모종은 윗쪽을 향해 곧게 성장하기 때문에, 경사지게 정규 이식한 후에 모종이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다.
(3) 육묘용 용기의 위테두리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구멍이 뚫린 패널을 사용함으로써, 경사진 패널에 육묘용 용기를 장착하는 것만으로 경사 재배 장치로 할 수 있으며, 높게 설치한 재배 장치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재배방법에서의 육묘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로 나타내어진 육묘 과정을 거쳐 육성한 모종의 정규 이식 순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로 나타내어진 육묘 과정을 거쳐 육성한 모종의 정규 이식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 형태의 재배방법에서의 육묘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로 나타내어진 육묘 과정을 거쳐 육성한 모종의 꺼낸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4로 나타내어진 육묘 과정을 거쳐 육성한 모종의 정규 이식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제3 실시 형태의 재배방법에서의 육묘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제4 실시 형태의 재배방법에서의 육묘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육묘 과정에 대한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육묘 과정에 대한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육묘용 용기의 일부 절단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육묘용 용기를 수용 용기에 수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단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수용 용기를 세운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육묘용 용기에 의한 정규 이식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는 도 11의 육묘용 용기의 별도의 사용 양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육묘용 용기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7은 종래의 재배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8은 종래의 재배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9는 종래의 육묘용 용기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40, 50, 60, 74, 80, 110, 150, 170: 육묘용 용기
11, 41, 51, 71: 유지기구
12, 72: 개구
13, 63: 배양토
14, 24, 25, 26, 42, 52, 64, 75, 130: 모종
15, 42a, 52a, 65, 77: 줄기
15a, 69, 78: 줄기의 신장 방향
17, 66, 76: 뿌리가 담긴 흙덩이
17a, 66a, 79: 뿌리가 담긴 흙덩이의 축방향
19, 21, 22, 23, 67: 재배지
43: 광원
44: 빛
53: 송풍기
54: 공기류
61, 73: 배양토 수용부
61a: 본체
61b: 캡
61c: 배수구멍
62: 개구부
70, 111a: 플랜지부
81, 152: 고정기구
82: 고정 와이어
111, 151, 171: 통모양의 몸체
111b: 흙받이부
120: 수용 용기
121: 삽입구멍
140: 높게 설치한 재배 장치
141: 구멍뚫린 패널
142: 지지틀
160: 지지봉
172: 급수 기구
Pa: 상단의 중심점
Pb: 하단의 중심점
C: 중심선

Claims (8)

  1. 육묘용 용기에서 육성한 모종을 사용하는 재배방법으로서, 경사 상태 또는 수평 상태로 유지되는 육묘용 용기에서 모종 줄기의 신장 방향과 뿌리가 담긴 흙덩이의 축방향이 각도를 이루는 모종을 육성하여, 모종 줄기의 신장 방향을 거의 수직 상태로 하여 모종을 재배지에 정규 이식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방법.
  2. 삭제
  3. 통모양의 몸체의 상단이 개방되어 있고 하단부에 흙받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육묘용 용기로서, 통모양의 몸체의 형상을, 단면 형상이 원형이며 끝이 좁아지는 모양으로 2단 테이퍼를 갖는 형상으로 하고, 또한, 통모양의 몸체의 위테두리를 수평인 상태로 위치시켰을 때 통모양의 몸체의 상단 중심점과 하단 중심점을 연결하는 선이 경사지는 형상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육모용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통모양의 몸체의 상단부에, 유지 기구에 적재하였을 때 상기 유지 기구에 수평 상태로 적재시키는 플랜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용 용기.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통모양의 몸체의 외측벽에 지지봉 등을 연결할 수 있는 고정 기구가 구비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용 용기.
  7. 삭제
  8. 한쪽 끝이 개방되어 있고 다른쪽 끝으로 갈수록 끝이 좁아지는 통모양의 용기 본체와 당해 용기 본체에 대하여 탈착이 자유로우며 상기 한쪽 끝을 덮는 상태로 용기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통모양의 캡으로 이루어진 배양토 수용부와, 당해 배양토 수용부의 측벽으로서 용기 본체와 캡의 접합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며 배양토 수용부 외부로 신장되어 나오기 위한 개구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용 용기로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배양토 수용부의 측벽과는 반대쪽의 측벽에 물이 배출되는 구멍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용 용기.
KR10-1999-0049625A 1998-11-12 1999-11-10 재배방법 및 육묘용 용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5315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322573 1998-11-12
JP32257398A JP3698572B2 (ja) 1998-11-12 1998-11-12 育苗用容器
JP10577999A JP3403664B2 (ja) 1999-04-13 1999-04-13 栽培方法
JP99-105779 1999-04-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5367A KR20000035367A (ko) 2000-06-26
KR100531562B1 true KR100531562B1 (ko) 2005-11-29

Family

ID=26446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9625A Expired - Fee Related KR100531562B1 (ko) 1998-11-12 1999-11-10 재배방법 및 육묘용 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531562B1 (ko)
CN (1) CN1158009C (ko)
TW (1) TW4587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50629B (zh) * 2016-03-31 2019-02-01 广东利泰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橄榄的栽培管理方法
US20200068808A1 (en) * 2016-12-14 2020-03-05 Mankaew MUANCHART Ligh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cultivation
CN112997817B (zh) * 2021-03-12 2022-09-27 云南省热带作物科学研究所 一种百香果的种植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5367A (ko) 2000-06-26
CN1158009C (zh) 2004-07-21
TW458763B (en) 2001-10-11
CN1253716A (zh) 2000-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99093B2 (ja) 蔓性植物の栽培棚の支持構造
JPH01225421A (ja) 苗木の植付方法
US4399634A (en) Simplified root augmentation system for hydroponics
NZ196085A (en) Seedling pot:depending converging strips
US20210092909A1 (en) Plant care tubes and method for using plant care tubes
CA2017945C (en) Seedling container
KR100531562B1 (ko) 재배방법 및 육묘용 용기
KR100475938B1 (ko) 재배 장치
JP4507444B2 (ja) 植物水耕栽培装置
KR19980087193A (ko) 지표면보다 높게 설치된 식물재배장치
JP3071168B2 (ja) 高設栽培装置
JP3698572B2 (ja) 育苗用容器
KR102137565B1 (ko) 작물 재배 또는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
KR20220091130A (ko) 다단형 양액 공급식 작물 재배 시스템
JP2017209106A (ja) 自然薯栽培器及び自然薯栽培システム
JP2001224244A (ja) 育苗方法及び育苗施設
KR102045705B1 (ko) 생육활성화가 가능한 이식용 식물재배관리기
JP2833499B2 (ja) プランター
KR200178246Y1 (ko) 육묘용 용기
KR100336631B1 (ko) 고설 재배용 용기
Whitcomb Seedling development: the critical first days
JP3021937U (ja) 育苗用筒
KR200329591Y1 (ko) 육묘용 포트 받침
KR20230139105A (ko) 감초번식줄기 억제용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재배방법
JP4384534B2 (ja) 育苗具並びに育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1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06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11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9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1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06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1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409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50715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6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50915

Appeal identifier: 2005101004580

Request date: 20050715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50715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715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503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4120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20624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5091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818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1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