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1590Y1 - 육묘용기(container to grow seedling) - Google Patents

육묘용기(container to grow seedl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1590Y1
KR200221590Y1 KR2019980006022U KR19980006022U KR200221590Y1 KR 200221590 Y1 KR200221590 Y1 KR 200221590Y1 KR 2019980006022 U KR2019980006022 U KR 2019980006022U KR 19980006022 U KR19980006022 U KR 19980006022U KR 200221590 Y1 KR200221590 Y1 KR 2002215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container
seedling container
seedlings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60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4809U (ko
Inventor
왕희지
Original Assignee
왕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희지 filed Critical 왕희지
Priority to KR20199800060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1590Y1/ko
Publication of KR199800248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8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15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1590Y1/ko

Link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육묘용기에 관한 것으로, 주벽의 하측 부분이 점차 좁아지고, 공간부를 가지는 단위분 복수개가 칸막이 걸림벽에 의해 구분되도록 일체로 연결 형성되며, 용기의 바닥부에는 자체적으로 자립시켜 세워둠과 아울러 재치되는 작업장 또는 용기 지지수단의 바닥과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복수개의 받침돌부가 폭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육묘용기를 질서 정연하게 배열할 수 있고,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균일하고 원활한 공기 순환으로 인한 과습방지, 흙의 유실 방지 및 뿌리의 지면 침투 방지로 인한 단근 방지, 정식시 육묘용기의 매우 손쉬운 분리 및 묘목의 손상 방지, 등의 여러 가지 이점을 갖는다. 뿐만아니라 특히, 복수개의 받침돌부가 형성되어 있어 각 육묘용기를 용기 지지수단에 담지 않고 작업장에 세워둘 경우, 육묘용기가 다른 도구의 도움이 없어도 쓸어지지 않고 안정하게 세워져 있게 되므로 내부의 흙과 묘목이 쏟아져 허실되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이 해소될 뿐아니라, 육묘용기를 작업장이나 노지에 자체적으로 자립시켜 세워둘 수 있으므로 사용 취급이 편리하고 안정하게 취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육묘용기(CONTAINER TO GROW SEEDLING)
본 고안은 육묘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육묘용기를 질서 정연하게 배열함과 아울러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원활한 공기 순화, 흙의 유실 방지 및 뿌리의 지면 침입 방지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을 뿐아니라 자체적으로 세워둘 수 있어 육묘의 관리 능률을 향상하고, 묘목을 보다 충실하게 재배할 수 있으며, 육묘 후 정식시에 묘목을 육묘용기로 부터 아주 쉽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뿌리가 깊은 직근성 임산용 묘목의 육묘에 적합한 육묘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합성수지 육묘용기는 육묘상자에 다수개를 종횡으로 배열하여 담는 경우, 육묘용기가 안정하게 세워지지 않으므로 바르게 배열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흙을 용기에 채울 때에 적합한 높이를 알 수 있도록 지시하는 부분이 없어 일정하게 채우지 못하고 대개 용기의 상단부 까지 채우게 됨으로써 육묘시 물을 줄때에 물이 용기에 고여있지 못하고 바로 밖으로 흘러내리게 되어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시간이 매우 짧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하단 개구부에 걸림부분이 없어 흙의 유실량이 많으며, 인접한 육묘용기가 서로 밀착됨에 따라 공기 통로가 형성되지 않아 중간 부분 육묘의 발육이 부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밀식에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단 개구부가 지면에 접촉되도록 되어 있어 작물의 뿌리가 지면으로 침입하여 박히게 되고, 이에 따라 육묘후 분리시킬 때에 작업이 매우 어렵게 될 뿐아니라 묘목의 뿌리가 절단되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육묘용기의 깊이가 얕을 뿐아니라 육묘후 정식시에 육묘용기를 분리하기가 어려웁기 때문에 뿌리가 깊게 침투하는 직근성 임산용 묘목의 육묘에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육묘용기는 육묘의 관리 능률이 저하되고, 묘목이 충실하게 자라지 못하며, 정식 작업의 능률이 저하될 뿐아니라 묘목이 단근되는 등의 폐단이 있는 것으로, 제품의 가치와 신뢰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분리형 육묘용기는 용기 자체를 작업장의 바닥에 세워 두는 경우 안정되게 서 있지 못하고 옆으로 쓰러지게 되어 내부의 흙 및 묘목이 쏟아지게 됨으로써 흙이 허실되고 묘목이 손상되는 등의 결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함 및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육묘용기를 질서 정연하게 배열함과 아울러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원활한 공기 순환, 흙의 유실 방지 및 뿌리의 지면 침입 방지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게 될 뿐아니라, 용기 자체를 안정하게 세워둘 수 있게 됨으로써 육묘의 관리 능률을 향상하고, 묘목을 보다 충실하게 재배할 수 있게 되는 육묘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육묘용기는 합성수지 박판으로 형성되고, 양쪽 주벽의 하단부 사이에 바닥부가 연결부에 의해 접어지고 펼쳐질 수 있도록 일체로 연결되며, 흙을 내부에 채우고 작물의 씨앗을 심기위한 공간부를 가지는 단위분 복수개가 칸막이 걸림벽에 의해 구분되어 일체로 연결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에는 자체적으로 자립시켜 세워둠과 아울러 재치되는 작업장 또는 용기 지지수단의 바닥면과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받침돌부가 폭방향으로 하측으로 돌출되게 복수개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의 각 단위분 사이에 상기 받침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돌부의 양측으로 삼각형상의 보강돌부가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구성된다.
제1도 내지 제6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육묘용기를 보인 도면으로서,
제1도는 육묘용기를 펼쳐 보인 평면도.
제2도는 육묘용기를 펼쳐 보인 정면도.
제3도는 육묘용기를 접어 보인 정면도.
제4도는 육묘용기를 접어 보인 측면도.
제5도는 육묘용기를 접어 절단한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제6도는 접어진 육묘용기의 부분절결 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육묘용기의 부분 절결 사시도.
제8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육묘용기를 펼쳐 보인 평면도.
제9도 및 제10도는 육묘용기를 용기 지지수단에 결합하여 보인 평면도 및 육묘작용을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육묘용기 100′ : 단위분
101, 102 : 양쪽 주벽 103 : 바닥부
106 : 연결부 107, 108, 109 : 통기공
110 : 받침돌부 111 : 보강돌부
120 : 칸막이 걸림벽
이하,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육묘용기를 펼쳐 보인 평면도, 도 2는 육묘용기를 펼쳐 보인 정면도, 도 3은 육묘용기를 접어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육묘용기를 접어 보인 측면도이며, 도 5는 육묘용기를 접어 절단한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도 6은 접어진 육묘용기의 부분절결 사시도를 보인 것이다.
도면에서 100은 본 고안에 의한 육묘용기를 보인 것으로, 이 육묘용기는 합성수지 박판을 예를 들어 진공성형법으로 성형하여 형성된다.
이 육묘용기(100)는 양쪽 주벽(101), (102)의 하단부 사이에 바닥부(103)가 연결부(106)에 의해 접어지고 펼쳐질 수 있도록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흙을 내부에 채우고 작물의 씨앗을 심기위한 공간부(S)를 가지는 단위분(單位盆)(100′) 복수개(도면에는 4개)가 일체로 연결 형성되어 있다. 각 단위분(100′)은 하측 부분이 점차 좁아지는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 단위분(100′)은 칸막이 걸림벽(120)에 의해 서로 구분되어 있다.
상기 육묘용기(100)의 양쪽 주벽(101), (102)은 요철면(105)으로 형성되고, 각 단위분(100′)의 상단부에는 걸림돌조(10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돌조(104)는 도 3과 같이 외측에서 두줄과 한줄이 교대로 배열되게 형성되어 있으나, 모두 한줄, 또는 두줄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 육묘용기(100)의 각 단위분(100′)의 상단 개구부(112)는 대략 장방형, 타원형, 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단위분(100′)의 단위 바닥부(113)에는 복수개의 통공(107),(108)이 형성되고, 각 단위분(100′)의 양쪽 주벽 (101), (102) 하단부와 단위 바닥부(113)의 양측변부 사이에도 통공(109)이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받침돌부(110)가 단위 바닥부(113)보다 하측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어 육묘용기(100) 자체가 받침돌부(110)에 의해 자체적으로 안정하게 세워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받침돌부(110)는 육묘용기(100)의 바닥부(103)에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받침돌부(110)의 양쪽에는 삼각형상의 보강돌부(111)가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일 실시예에 의한 육묘용기는 각 단위분(100′)의 사이에 받침돌부(110)가 2개씩 구비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칸막이 걸림벽(120)은 엇갈려 물리는 걸림돌부(121), (122)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칸막이 걸림벽(120)의 상측부에는 상기 걸림돌부(121), (122)와 반대 방향으로 엇갈려 물리는 걸림돌부(123), (124)가 형성되어 있으며, 걸림돌부(121), (122)의 중간부에는 육묘용기(100)를 접었을 때에 걸려 고정되도록 반구형 걸림돌기(12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육묘용기의 부분 절결 사시도를 보인것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육묘용기를 펼쳐 보인 평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다른 실시예의 육묘용기(100)는 각 단위분(100′) 사이의 바닥부(103)에 각각 한 개의 받침돌부(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외 다른 구성은 상기 일 실시예와 동일 유사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 육묘용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 및 도 10는 다수개의 육묘용기(100)가 용기 지지수단(200)에 담겨 지지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여기서 용기 지지수단(200)에는 육묘 트레이, 즉 장방형 육묘상자가 이용되고 있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함께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육묘용기(100)를 접어 용기 지지수단(200)에 담아 지지시킨 후, 각 단위분(100′)의 공간부(S)에 흙을 채우고 파종하여 기르게 되는 바, 이때 본 고안에 의한 육묘용기(100)는 주벽의 상단부에 걸림돌조(10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강일 될 뿐아니라, 단위분(100′)의 공간부(S)에 흙을 채울 때 걸림돌조(104)의 선까지만 채우게 되면 걸림돌조(104)의 상측부에 여유 공간이 형성되고, 물을 주게되면 이 여유 공간에 물이 고여 있으면서 지속적으로 공급된다.
또, 각 단위분(100′)이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좁아지는 통형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접한 육묘용기(100) 사이에 통기로가 형성되며, 이를 통하여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되어 보다 적합한 육묘환경이 유지된다.
또한, 주변부 뿐만아니라 중앙부까지 전체적으로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되므로 밀식 및 과습으로 인한 중앙부분의 생육 불량을 방지하고 전체적으로 고르게 성장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각 단위분(100′)의 하다눕 사이, 즉 칸막이 걸림벽(120)의 하단부에 받침돌부(110)가 바닥부(103) 보다 돌출되게 형성되어 각 단위분(100′)에 채워진 흙과 지면 사이에 격리 공간이 형성되므로 묘목의 뿌리가 지면으로 뻗치지 않고 단위분(100′)의 내부에서 보다 충실하게 성장하게 되며, 육묘용기(100)를 용기 지지수단(200)으로 부터 분리해 낼 때에 매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육묘후 정식시에 육묘용기(100)를 좌우로 벌린후 묘목을 아주 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이때문에 뿌리가 깊게 침투하는 직근성 임산용 묘목의 육묘에 매우 적합하다.
특히, 본 고안에 의한 육묘용기(100)는 복수개의 받침돌부(110)가 바닥부(103)에 폭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각 육묘용기(100)를 용기 지지수단(200)에 담지않고 작업장에 세워둘 경우, 육묘용기(100)가 다른 도구의 도움이 없어도 쓸어지지 않고 안정하게 세워져 있게 되므로 내부의 흙과 묘목이 쏟아져 허실되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이 해소될 뿐아니라, 육묘용기(100)를 작업장이나 노지에 자체적으로 자립시켜 세워둘 수 있으므로 사용 취급이 편리하고 안정하게 취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육묘용기를 질서 정연하게 배열할 수 있고,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균일하고 원활한 공기 순환으로 인한 과습방지, 흙의 유실 방지 및 뿌리의 지면 침투 방지로 인한 단근 방지, 정식시 육묘용기의 매우 손쉬운 분리 및 묘목의 손상 방지, 등의 여러 가지 이점을 갖게 될 뿐아니라, 육묘용기를 자체적으로 안정하게 세워둘 수 있으므로 육묘의 관리 능률을 향상하고, 묘목을 보다 충실하게 재배할 수 있으며 정식 능률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제품의 가치와 경쟁력을 대폭 향상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되고 청구된 원리의 진정한 정신 및 범위 안에서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는 여러가지 실시형태는 본 고안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1)

  1. 합성수지 박판으로 형성되고, 양쪽 주벽(101), (102)의 하단부 사이에 바닥부(103)가 연결부(106)에 의해 접어지고 펼쳐질 수 있도록 일체로 연결되며, 흙을 내부에 채우고 작물의 씨앗을 심기위한 공간부(S)를 가지는 단위분(100′) 복수개가 칸막이 걸림벽(120)에 의해 구분되어 일체로 연결 형성된 육묘용기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03)에는 자체적으로 자립시켜 세워둠과 아울러 재치되는 작업장 또는 용기 지지수단(200)의 바닥면과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받침돌부(110)가 폭방향 하측으로 돌출되게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받침돌부(110)의 양측으로 삼각형상의 보강돌부(111)가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용기.
KR2019980006022U 1998-04-16 1998-04-16 육묘용기(container to grow seedling) KR2002215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022U KR200221590Y1 (ko) 1998-04-16 1998-04-16 육묘용기(container to grow seedl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022U KR200221590Y1 (ko) 1998-04-16 1998-04-16 육묘용기(container to grow seedl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809U KR19980024809U (ko) 1998-07-25
KR200221590Y1 true KR200221590Y1 (ko) 2001-05-02

Family

ID=69512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6022U KR200221590Y1 (ko) 1998-04-16 1998-04-16 육묘용기(container to grow seedl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15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546B1 (ko) * 2006-05-08 2007-10-04 (주)수프로 육묘용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546B1 (ko) * 2006-05-08 2007-10-04 (주)수프로 육묘용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809U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069303A (en) Seedling unit
US20140366444A1 (en) Propagation container for plants and propagation plate having several such propagation containers
KR102039379B1 (ko) 식재가 용이한 저수조 멀티 화분
KR100245336B1 (ko) 관수 육묘방법 및 관수 육묘상자
KR200221590Y1 (ko) 육묘용기(container to grow seedling)
US4216621A (en) Planting system including articles of manufacture
CZ284994B6 (cs) Předpěstovací plato, zejména pro lesní rostliny
JP2020195338A (ja) カセット式苗木育成コンテナ
KR102513891B1 (ko) 주머니화분의 배송 및 재배용 운반상자
EP1459620A2 (en) Improved plant tray
KR100211101B1 (ko) 육묘용기
JP4188513B2 (ja) 育苗ポット用容器
KR20100042615A (ko) 육묘용 용기
KR20100004168U (ko) 공기통공을 구비한 육묘용 연결포트
JP5300457B2 (ja) 植栽基盤及びそれを使用した植栽方法
KR20090011460U (ko) 육묘용 용기
CA1067290A (en) Planting system including articles of manufacture
KR20210054881A (ko) 조립식 화분체
KR102580157B1 (ko) 포트 밀집 화분
KR200359219Y1 (ko) 활엽수용 양묘 포트
US20240114847A1 (en) Plant container assembly
JPH0584026A (ja) 栽培容器
KR200227662Y1 (ko) 육묘용 포트
JPH08140483A (ja) 植物の育成用ポット
JP6638910B2 (ja) 仕切り及びケース並びに植木植栽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