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7923A - 육묘상자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육묘상자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7923A
KR20160137923A KR1020160151318A KR20160151318A KR20160137923A KR 20160137923 A KR20160137923 A KR 20160137923A KR 1020160151318 A KR1020160151318 A KR 1020160151318A KR 20160151318 A KR20160151318 A KR 20160151318A KR 20160137923 A KR20160137923 A KR 20160137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raking
loading
roller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1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현
Original Assignee
정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지현 filed Critical 정지현
Priority to KR1020160151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7923A/ko
Publication of KR20160137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7923A/ko
Priority to CN201710109464.XA priority patent/CN107777340A/zh
Priority to JP2017056277A priority patent/JP6682468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30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묘상자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파종기에서 흙과 씨앗이 파종된 육묘상자를 적재하는 육묘상자 적재장치에 있어서, 파종기에서 파종된 육묘상자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가 일정간격마다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베이스프레임; 이송롤러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파종기로부터 이송되어 온 육묘상자가 그 내부에 적재되어 구비되는 적재부; 적재부에 구비되어 베이스프레임 측에서 이송되어 오는 육묘상자의 이송속도를 저감시키는 제동롤러를 갖는 제동부; 및 적재부에 구비되어 적재부로 이송되어 온 육묘상자를 차례로 리프팅시켜 적재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육묘상자 적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육묘상자 적재장치{Loading apparatus of seeding box}
본 발명은 육묘상자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종기에서 흙과 씨앗이 파종되어 배출된 육묘상자를 차례로 정렬되게 자동 적재하는 육묘상자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작(水稻作, 벼농사)에 사용되는 수도용 볍씨 등과 같은 논작물과, 양파나 파 등과 같은 밭작물을 경작하기 위해 조성한 이랑에 종자의 파종과 추비를 간편하고 정확히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파종기를 사용한다.
이러한 파종기는 육묘상자를 투입하여 그 육묘상자 내에 흙과 씨앗을 공급하고, 씨앗이 파종된 육묘상자는 파종기로부터 배출되어 발아장소로 이송된다.
한편, 종래에는 한국 등록특허 제10-1039193호(이하 '선행기술문헌1'이라 한다)에 육묘상자 이송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이와 같이 제안된 선행기술문헌1에서는, 파종기로부터 하나씩 인출되어 적재틀에 공급된 육묘상자들은 이동제어부에 의해 적재틀에서 일정수량으로 나열되어 정렬된 후, 전달이송부에 의해 이송베드로 위치되고, 배출이송부가 이송베드를 당겨 이송틀 상에서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발아실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파종기로부터 하나씩 인출되는 육묘상자들은 적재틀 상에서 평면적으로 나열되어 정렬된 상태로 구비되었다가 이송된다.
하지만, 선행기술문헌1에 개시된 육묘상자 이송장치는, 파종기에서 인출된 육묘상자가 적재틀에 나열되게 구비되는데, 이와 같이 나열된 육묘상자를 적재틀에서 운반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므로 인해 전반적인 작업 공정이 더디게 진행되는 단점이 있다. 즉, 파종기에서 흙과 씨앗이 파종된 육묘상자는 신속하게 이송되어 적재틀로 공급되고, 적재틀에서는 이송되어 온 육묘상자를 적재틀에 나열하여 정렬된 상태로 배출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적재틀에서 육묘상자를 배출하는데 일정한 시간이 걸리므로 인해 적재틀로 공급되는 파종된 육묘상자의 공급속도를 그에 맞게 늦춰줘야 하므로 전반적인 작업 공정이 느려지게 된다.
그리고, 선행기술문헌1에서는, 적재틀에 나열되는 육묘상자로 인해 적재틀의 면적을 넓게 마련함에도 불구하고 넓은 면적의 적재틀에 비해 적재틀에 나열되는 육묘상자를 수용하는데에는 한계가 있어 적재틀에 많은 육묘상자를 구비할 수 없으므로 작업능률 및 생산능률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2722호(이하 '선행기술문헌2'라 한다)에 육묘상자 적층 및 적출기가 제안된 바 있다.
이와 같이 제안된 선행기술문헌2에서는, 볍씨가 파종된 육묘상자를 차례로 적층한 후, 적층된 육묘상자를 들어 적출하도록 하여, 볍씨의 파종에서 적출까지 하나의 공정라인으로 이루어진 육묘상자 적층 및 적출기가 구성된다.
하지만, 선행기술문헌2에 개시된 육묘상자 적층 및 적출기는, 파종체에서 볍씨가 파종된 육묘상자가 이동되어 스토퍼에 닿게 됨과 동시에 센서를 눌러줌으로써 동력모터의 작동이 중지되고, 승강체가 승강되어 육묘상자를 승강시켜 상자거치구에 거치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육묘상자의 적층은 동력모터의 작동을 중지시켜 육묘상자의 이송을 중지한 상태에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육묘상자가 연속적으로 이송되지 못하므로 인해 적층시 그만큼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전반적인 작업 공정이 더디게 이루어져 육묘상자를 신속하게 적층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동력모터의 구동에 의해 이동되어 오는 육묘상자가 스토퍼에 닿아 정지될 때, 관성에 의해 육묘상자에 파종된 볍씨가 육묘상자의 선단부 측으로 쏠리게 되고, 이로 인해 육묘상자의 파종상태가 고르지 못해 파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육묘상자 이송장치 및 적재기에 대한 기술은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03919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파종기에서 흙과 씨앗이 파종된 상태로 이송되어 오는 육묘상자를 적재부에서 차례로 정렬되게 자동으로 적재하여 구비할 수 있도록 한 육묘상자 적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파종된 육묘상자를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한편 적재부 측으로 이송되어 오는 육묘상자의 이송속도를 점차 줄여 파종된 흙과 씨앗의 쏠림을 방지한 상태로 육묘상자를 신속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한 육묘상자 적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육묘상자 적재장치는, 파종기에서 흙과 씨앗이 파종된 육묘상자를 적재하는 육묘상자 적재장치에 있어서, 파종기에서 파종된 육묘상자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가 일정간격마다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베이스프레임; 이송롤러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파종기로부터 이송되어 온 육묘상자가 그 내부에 적재되어 구비되는 적재부; 적재부에 구비되어 베이스프레임 측에서 이송되어 오는 육묘상자의 이송속도를 저감시키는 제동롤러를 갖는 제동부; 및 적재부에 구비되어 적재부로 이송되어 온 육묘상자를 차례로 리프팅시켜 적재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동롤러는 일정간격마다 구비되는 한편 이송롤러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비될 수 있고, 다수의 제동롤러는 이송롤러와 근접한 제동부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동롤러에는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한편 이송롤러의 종동기어와도 연결되는 종동기어가 구비되고, 제동롤러의 종동기어는 이송롤러의 종동기어보다 큰 직경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동롤러의 종동기어는 이송롤러와 근접한 제동부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 크게 구비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와 같은 다수의 제동롤러 중 이송롤러와 원거리로 이격된 제동롤러는 아이들 롤러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적재부는 베이스프레임에 각각 설치되어 구비되고 관통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수직프레임; 수직프레임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판; 및 지지판과 수직프레임에 그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회전된 지지판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1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는, 적재부 하부에 구비되는 실린더 본체; 실린더 본체에서 출입가능하게 구비되는 피스톤 로드; 및 피스톤 로드에 고정되게 구비되어 적재부 내에서 상하로 이동되면서 육묘상자를 적재시키는 승강판;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승강판은 적재부 상에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고, 이송롤러와 근접한 승강판의 일단부는 하향 경사진 경사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승강판에는 제동부에 구비된 제동롤러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요홈부가 형성되고, 요홈부를 통해 제동롤러가 승강판 위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적재장치는, 승강판에 구비되어 승강판과 같이 상하 이동되는 승강바; 승강바에 구비되어 승강바와 같이 이동되는 스위치판; 및 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되어 상승되는 스위치판에 의해 스위칭되어 승강판의 승강작동을 제어하는 제 2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스위치판에는 승강바가 관통 결합되고, 스위치판의 결합부에는 스위치판을 승강바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가 체결되어, 승강바에서 스위치판의 위치를 조절하여 승강판의 승강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적재부에는 그 내부로 공급되는 육묘상자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구비되고, 감지수단은, 적재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육묘상자가 접촉되는 스톱퍼판; 및 회전되는 스톱퍼판에 의해 스위칭되어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제 1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적재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스톱퍼판이 고정되게 구비되는 연동회전축; 연동회전축에 고정되게 구비되어 연동회전축과 같이 회전되면서 제 1 리미트스위치를 스위칭시키는 회전브라켓; 및 회전브라켓과 베이스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회전브라켓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2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재부에는 적재되는 육묘상자를 가이드하는 전방 가이드브라켓과, 후방 가이드브라켓이 각각 구비되고, 전방 가이드브라켓은 육묘상자의 전면부와 면접하는 수평부와, 육묘상자의 측면부와 면접하는 수직부를 포함하며, 후방 가이드브라켓은 리프팅되는 육묘상자의 후면부가 면접하는 평판부와, 평판부의 하부에 이송롤러 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적재부에서 리프팅되는 육묘상자의 후면부가 면접되는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전방 가이드브라켓과 후방 가이드브라켓에는 각각 베이스프레임에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되고, 장착부에는 전방 가이드브라켓 및 후방 가이드브라켓의 장착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육묘상자 적재장치에 따르면, 파종기에서 흙과 씨앗이 파종되어 이송되어 오는 육묘상자를 적재부에서 순차적으로 자동 적재하여 정렬되게 구비함으로써 파종된 육묘상자의 이송 및 운반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전반적인 작업 공정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파종된 육묘상자를 적재부에 적층되게 적재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적재부의 면적이나 부피를 크게 형성하지 않고서도 적재부에 많은 육묘상자를 구비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 및 생산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흙과 씨앗이 파종된 육묘상자를 적재부 측으로 연속적으로 이송시켜 적층함으로써 육묘상자를 신속하게 적재할 수 있고, 적재부 측으로 이송되어 오는 육묘상자의 이송속도가 제동부에 의해 서서히 줄어 육묘상자에 파종된 흙과 씨앗의 쏠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육묘상지 적재장치와 육묘상자의 분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육묘상자 적재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육묘상자 적재장치에 구성되는 적재부의 확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육묘상자 적재장치의 승강판의 확대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육묘상자 적재장치의 적재부에 육묘상자가 공급되는 상태의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부 내로 공급되는 육묘상자가 스톱퍼판에 접촉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 6a는 일방향 사시도이고, 도 6b는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육묘상자 적재장치의 적재부에 공급된 육묘상자가 상승되는 상태의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육묘상자 적재장치의 적재부에 공급된 육묘상자가 적재되는 상태의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육묘상자 적재장치에 구성되는 제동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육묘상자 적재장치에 구성되는 제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육묘상자 적재장치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육묘상자(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 중앙부가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흙과 씨앗이 파종되고, 그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테두리부(11)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육묘상자(10)의 하면에는 하향 돌출된 결합돌부(12)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고, 결합돌부(12)에 대응한 육묘상자(10)의 테두리부(11) 상면에는 결합돌부(12)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결합홈부(13)가 형성된다.
따라서, 육묘상자(10)의 적층시는 상부 육묘상자(10)의 결합돌부(12)가 하부 육묘상자(10)의 결합홈부(13)에 삽입된 상태로 적층됨으로써 정렬된 적층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육묘상자 적재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종기에서 흙과 씨앗이 파종된 육묘상자(10)를 하나씩 차례로 적재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육묘상자 적재장치(100)는, 육묘상자(10)를 이송시키는 다수의 이송롤러(112)가 일정간격마다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베이스프레임(110)과, 베이스프레임(110) 상에 구비되고 그 내부에는 파종기로부터 공급되는 육묘상자(10)가 차례로 적층되어 적재되는 적재부(150)를 포함한다.
베이스프레임(110)은, 복수의 수평한 프레임이 나란하게 구비되고, 양 프레임 사이에는 다수의 회전축(111)이 일정간격마다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회전축(111)의 양측부에는 육묘상자(10)의 하면과 접하여 작용하는 마찰력으로 육묘상자(10)를 이송시키는 동일한 직경의 이송롤러(112)가 구비되고,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면에는 이송되는 육묘상자(10)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113)이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프레임(110)의 일단부에는 구동모터(120)가 구비되고, 구동모터(120)의 일단부에는 구동모터(120)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기어(121)(스프로킷휠)가 구비되며, 이 구동기어(121)는 후술될 적재부(150)의 제동부(200)에 구비되는 다수의 종동기어(212)(222)(223)를 통해 적재부(150)에 근접한 베이스프레임(110) 일단부의 회전축(111)에 구비되는 종동기어(130)와 체인(140)으로 연결되어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베이스프레임(110)에 구비되는 나머지 회전축(111)들은 각 회전축(111)에 구비되는 이송롤러(112)가 각각의 벨트(114)로 연결되어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 구동된다.
그리고, 구동모터(120)가 구비된 베이스프레임(110)의 일단부 상면에는 파종된 육묘상자(10)가 차례로 공급되어 적재되는 적재부(150)가 구비되고, 베이스프레임(110)에서 연장되는 적재부(150)의 하부에는 적재부(150)로 이송되어 오는 육묘상자(10)의 이송속도를 서서히 저감시키는 제동부(200)가 구성된다.
제동부(200)는 이송롤러(112)에 근접한 일단부에서 반대편 타단부까지에 걸쳐 다수의 회전축이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회전축(210)(220)(230)이 구비된 것을 일례로 예시하였다.
특히, 이러한 제동부(200)의 회전축 중 제 1,2 회전축(210)(220)은 구동모터(120)와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3 회전축(230)은 구동모터(120)의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아이들(idle) 상태로 구비된다.
즉, 베이스프레임(110)의 이송롤러(112)와 근거리 즉 제일 가깝게 구비된 제 1 회전축(210)의 일단부에는 하나의 종동기어(212)가 고정되게 구비되고, 제 2 회전축(220)의 양단부에는 3개의 종동기어(222)(223)가 각각 고정되게 구비된다. 이때, 제 2 회전축(220)의 양단부에는 각각 제 1 회전축(210)의 종동기어(212) 및 이송롤러(112)의 종동기어(130)와 각각 체인(140)으로 연결되는 제 1 종동기어(222)가 각각 고정되게 구비되고, 이에 더하여 제 2 회전축(220)의 일단부에는 구동모터(120)의 구동기어(121)와 체인(140)으로 연결되는 또 다른 제 2 종동기어(223)가 더 고정되게 구비된다.
따라서, 구동모터(120)에 의한 구동력이 제 2 회전축(220)의 제 1,2 종동기어(222)(223)를 통해 제 1 회전축(210)과 베이스프레임(110)의 각 회전축(111)으로 전달되고, 제 3 회전축(230)은 아이들 상태로 구비된다.
게다가,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제동부(200)의 각 회전축(210)(220)(230) 양측부에는 각각의 제동롤러(211)(221)(231)가 구비되고, 제동롤러(211)(221)(231)는 이송롤러(112)와는 달리 그 외주면에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제동부(200)는 도 9에서와 같이 구동모터(120)의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수단의 기어비는 1:1로 동일하게 구비되고 이송롤러(112)와 제동롤러(211)(221)(231)들 간의 직경 비율을 달리하여 제동할 수 있으며, 도 10에서와 같이 제동롤러(211a)(221a)(231a)들 간의 직경은 동일하게 구비되고 구동모터(120)의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수단의 기어비를 달리하여 제동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양자의 실시예를 병행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장 좋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동부(200)를 하기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제동부(200)에 구비되는 제동롤러(211)(221)(23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롤러(112)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구동모터(120)에 의해 제동부(200)의 제동롤러(211)(221)와 베이스프레임(110)의 이송롤러(112)가 회전되는 상태에서, 제동롤러(211)(221)(231)보다 큰 직경을 갖는 이송롤러(112) 측에서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제동롤러(211)(221)(231) 측에서 육묘상자(10)의 이송속도가 더 느려지게 된다.
이때, 제동부(200)의 제 1,2 회전축(210)(220)에 구비되는 종동기어(212)(222)(223)와 베이스프레임(110)의 회전축(111)에 구비되는 종동기어(130) 간의 기어비는 도 9에서와 같이 1:1로 구비되고, 제동롤러(211)(221)(231)와 이송롤러(112) 간의 직경만 다르게 구비된다.
이로써, 제동롤러(211)(221)와 동일한 구동력으로 회전되는 이송롤러(112)는 이보다 작은 직경의 제동롤러(211)(221)보다 더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이송롤러(112)에 의한 육묘상자(10)는 빠르게 이송되고, 이송롤러(112)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동롤러(211)(221)는 이송롤러(112)보다 느린 속도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제동롤러(211)(221)(231) 측에서는 육묘상자(10)의 이송속도가 저감되므로 제동효과를 볼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제동부(200)의 제 3 회전축(230)에 구비되는 제동롤러(231)는 이송되어 오는 육묘상자(10)와 접촉시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서만 피동적으로 회전됨으로써 육묘상자(10)의 이송속도가 크게 반감되어 육묘상자(10)의 제동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구동모터(120)에 의해 구동되는 제동부(200)의 각 회전축(210)(220)(230)에 구비된 제동롤러(211)(221)(231)들을 서로 다른 직경으로 구비하면, 제동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즉, 베이스프레임(110)과 근접한 제 1 회전축(210)의 제동롤러(211)는 크고, 제 2 회전축(220)의 제동롤러(221)는 작게 구비할 수 있으며(211>221), 마지막으로 아이들 상태로 구비되는 제 3 회전축(230)의 제동롤러(231)는 제 1,2 회전축(210)(220)의 제동롤러(211)(221)보다 큰 직경으로 구비하는 것이 제동효과를 높이는데에 있어서는 더 효과적이다(231>221).
또한, 제동부(200)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롤러(112)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동부(200)의 제동롤러(211a)(221a)(231a)들을 서로 동일한 직경으로 구비하고, 종동기어(130)(212a)(222a)(223a)의 기어비만을 달리하여도 상기와 같은 제동효과를 누릴 수 있다.
즉, 제동부(200)의 제 1,2 회전축(210)(220)에 구비되는 종동기어(212a)(222a)(223a)가 베이스프레임(110)의 회전축(111)에 구비되는 종동기어(130)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구비된다.
특히, 제 1 회전축(210)의 종동기어(212a)를 베이스프레임(110)의 종동기어(130)보다 더 크게 구비하고(212a>130), 제 2 회전축(220)의 제 1 종동기어(222a)를 제 1 회전축(210)의 종동기어(212a)보다 더 크게 구비하면(222a>212a), 기어비에 의해서 베이스프레임(110)의 이송롤러(112)보다 제동부(200)의 제동롤러(211a)(221a)가 더 느리게 회전되고, 제동부(200)에서도 제 1 회전축(210)의 제동롤러(211a)보다 제 2 회전축(220)의 제동롤러(221a)가 더 느리게 회전됨으로써 육묘상자(10)의 제동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회전축(220)에 구비되는 제 2 종동기어(223a)를 제 1 종동기어(222a)보다 더 큰 직경으로 도시하였지만, 제 1,2 종동기어(222a)(223a)는 같은 축인 제 2 회전축(220)에 구비되므로 동일한 직경으로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게다가, 본 실시예에서도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마지막으로 구비되는 제 3 회전축(230)은 아이들 상태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동부(200)의 실시예들을 도 1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혼용하면, 제동부(200)의 제동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즉, 제동롤러(211)(221)(231)와 이송롤러(112) 간의 직경을 달리하면서도 체인(140)으로 연결되는 종동기어(130)(212a)(222a)(223a) 간의 기어비를 달리하여 제동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적재부(150)는 제동부(200)의 제동롤러(211)(221)(231)와 이격되게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면에 구성되는 바, 베이스프레임(110)에 각각 수직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수직프레임(151)과, 수직프레임(15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리프팅되는 육묘상자(10)에 의해 회전되었다가 원상태로 펼쳐지면서 육묘상자(10)를 받쳐 지지하는 지지판(152)을 포함한다.
수직프레임(151)은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면 양측부에 서로 마주하도록 구비되고, 양 수직프레임(151) 간의 서로 마주하는 면의 하부에는 지지판(152)이 관통된 상태로 설치되는 개구부(151a)가 형성되며, 이 개구부(151a)에 후술될 지지판(152)의 힌지돌부(152c)가 힌지핀(151b)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지지판(152)은 수직프레임(151)의 개구부(151a)를 관통한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지지판(152)은 그 일면에 원통형으로 돌출된 중공의 힌지돌부(152c)가 형성되고, 힌지돌부(152c)는 수직프레임(151)의 개구부(151a)에 위치된 상태에서 수직프레임(151)과 힌지돌부(152c)를 관통하는 힌지핀(151b)에 의해 수직프레임(151)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지지판(152)의 상면은 수직프레임(151)의 개구부(151a) 하면에 접한 상태로 직교하도록 설치되어, 지지판(152)의 선단부(152a)는 적재부(150) 내부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후단부(152b)는 적재부(150)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또한, 적재부(150)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지판(152)의 후단부(152b)와 수직프레임(151)의 외측면 사이에는 제 1 탄성부재(153)의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구비됨으로써 회전된 지지판(152)에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제 1 탄성부재(153)는 압축 코일스프링으로서, 리프팅되는 육묘상자(10)에 의한 지지판(152)의 회전시 인장되었다가 지지판(152)을 회전시키는 외력(육묘상자(10)의 상승작동)이 제거됨과 동시에 압축되면서 지지판(152)을 원상태로 복원시키게 된다.
또한, 적재부(150)에는 그 내부에서 리프팅되는 육묘상자(10)를 가이드하는 전방 가이드브라켓(154)과, 후방 가이드브라켓(155)이 각각 베이스프레임(110) 상면에 구비된다.
전방 가이드브라켓(154)은 리프팅되는 육묘상자(10)의 전면부(육묘상자(10)가 이송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한 전면부)와 면접되어 가이드하는 판상의 수평부(154a)와, 육묘상자(10)의 측면부와 면접되어 가이드하는 판상의 수직부(154b)를 포함한다. 이러한 전방 가이드브라켓(154)의 바닥면에는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면에 결합 고정되는 판상의 장착부(154c)가 형성되고, 장착부(154c)에는 베이스프레임(110) 상에서 전방 가이드브라켓(154)의 장착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는 장공(154d)이 형성되며, 장공(154d)에는 볼트(미도시)가 결합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후방 가이드브라켓(155)은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면에 장착되어 구비되되, 리프팅되는 육묘상자(10)의 후면부와 면접되어 가이드하는 판상의 평판부(155a)와, 평판부(155a)의 하단부에서 베이스프레임(110)의 이송롤러(112) 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적재부(150)에서 리프팅되는 육묘상자(10)의 후면부가 면접되는 경사부(155b)를 포함한다. 따라서, 후방 가이드브라켓(155)의 경사부(155b)에 의해 리프팅되는 육묘상자(10)는 전방 가이드브라켓(154)의 수평부(154a)와 후방 가이드브라켓(155)의 평판부(155a) 사이에 정위치로 구비되어 수평한 상태로 리프팅된다.
이러한 후방 가이드브라켓(155)은 그 일측에 베이스프레임(110)에서 수직하게 돌출된 고정브라켓(156)에 결합 고정되는 판상의 장착부(155c)가 형성되고, 장착부(155c)에는 고정브라켓(156) 상에서 후방 가이드브라켓(155)의 장착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는 장공(155d)이 형성되며, 장공(155d)에는 볼트(미도시)가 결합되어 고정된다.
한편, 적재부(150)의 하부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부(150)에 공급된 육묘상자(10)를 리프팅시키는 액츄에이터가 구비된다.
액츄에이터는, 적재부(150) 하부의 베이스프레임(110)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실린더 본체(172)와, 실린더 본체(172)의 상단부에서 출입가능하게 구비되는 피스톤 로드(173)와, 피스톤 로드(173)의 상단부에 고정되게 구비되어 적재부(150) 내에서 상하로 이동되면서 육묘상자(10)를 수직프레임(151)의 지지판(152) 위에 적재시키는 승강판(170)을 포함한다.
특히, 승강판(170)은 적재부(150) 상에 경사지게 구비된다. 즉, 승강판(170)은 그 선단부(도면에서 스톱퍼판(160)과 근접한 부분)가 후단부(도면에서 이송롤러(112)와 근접한 부분) 측보다 낮게 기울어져 설치되고, 그 기울기 각도는 5∼10도로 경사지게 구비된다.
이는, 후술될 스톱퍼판(160)의 탄력에 의해 적재부(150)로 유입되는 육묘상자(10)가 접촉되었다가 적재부(150)의 후방(이송롤러(112) 측)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후방으로 이동된 육묘상자(10)를 수평한 상태의 승강판(170)이 들어올린다고 가정할 때, 육묘상자(10)의 선단부가 전방 가이드브라켓(154)으로부터 이격되어 육묘상자(10)에 아무런 부하가 작용하지 않으므로 육묘상자(10)의 선단부가 아무런 제약없이 빠르게 리프팅되는 반면에 육묘상자(10)의 후단부는 후방 가이드브라켓(155)의 경사부(155b)에 면접되어 부하가 작용되므로 인해 그만큼 더 늦게 리프팅된다. 따라서, 결국에는 육묘상자(10)가 수평으로 리프팅되지 못하고 선단부가 더 빨리 들려 경사진 상태로 리프팅되어, 파종된 흙과 씨앗이 한쪽으로 쏠리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승강판(170)의 선단부를 5∼10도의 각도로 후단부보다 낮게 기울려 구비함으로써 육묘상자(10)의 리프팅시 육묘상자(10)에 작용하는 부하(즉 리프팅 속도)를 감안하여 육묘상자(10)의 선단부가 후단부보다 더 빨리 들려지는 것을 승강판(170)의 경사도에 의한 시간차를 주어 육묘상자(10)가 수평하게 리프팅되어 적재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는 후방 가이드브라켓(155)의 경사부(155b)에 면접된 상태로 리프팅되는 육묘상자(10)가 경사부(155b)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 이동되다가 육묘상자(10)의 전,후면부가 각각 전방 가이드브라켓(154)의 수평부(154a)와 후방 가이드브라켓(155)의 평판부(155a)에 공히 면접되어 동일한 부하가 작용되므로 육묘상자(10)를 수평하게 리프팅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승강판(170)의 경사진 각도가 5도 미만인 경우에는 리프팅되는 육묘상자(10)의 후면부가 후방 가이드브라켓(155)의 경사부(155b)를 벗어나기 전에 육묘상자(10)의 전면부가 후면부보다 더 빨리 들릴 수 있고, 10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육묘상자(10)가 후방 가이드브라켓(155)의 경사부(155b)를 벗어나 평판부(155a)에 면접된 후에도 육묘상자(10)의 전면부가 후면부보다 더 낮은 하부에 위치될 수 있으므로, 승강판(170)의 경사각도는 5∼10도 사이로 조절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승강판(170)의 후단부가 선단부보다 더 높게 경사지므로 인해 적재부(150)로 유입되는 육묘상자(10)가 승강판(170)의 후단부에 걸림되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승강판의 후단부는 하향 경사진 경사부로 형성한다. 따라서, 적재부(150)로 유입되는 육묘상자(10)와 승강판(170) 간의 충돌을 방지하여 육묘상자(10)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승강판(170)은 제동부(200)의 각 회전축(210)(220)(230) 상부에 위치되어 구비되고, 승강판(170)의 외주연부에는 적재부(150)에 구비되는 승강판(170)과 제동롤러(211)(221)(231) 간에 간섭을 피하기 위한 요홈부(171)가 형성되며, 이 요홈부(171)에 의해서 제동롤러(211)(221)(231)는 승강판(170)의 상부로 적어도 1㎝ 이상 높게 돌출되어 구비되어야만 제동롤러(211)(221)(231)의 속도제어가 방해받지 않게 된다.
따라서, 승강판(170)은 제동부(200)의 회전축(210)(220)(230)과 육묘상자(10) 사이에 구비되는 한편 요홈부(171)에 의해 제동롤러(211)(221)(231) 등과 같은 주변 부품과의 간섭없이 원활한 승강작동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액츄에이터는 실린더 본체(172)에서 인출되는 피스톤 로드(173)의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바, 승강판(170)의 하부에 고정되게 구비되어 승강판(170)과 같이 상하 이동되는 승강바(174)와, 승강바(174)에 구비되어 승강바(174)와 같이 이동되는 스위치판(175)과, 베이스프레임(110)에 구비되어 상승되는 스위치판(175)에 의해 스위칭되어 승강판(170)의 승강작동을 제어하는 제 2 리미트스위치(190)를 포함한다.
즉, 스위치판(175)이 제 2 리미트스위치(190)에 접촉되면, 승강판(170)의 상승은 정지되고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스위치판(175)은 그 일측에 중공의 결합부싱(175a)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결합부싱(175a)에 승강바(174)가 관통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부싱(175a)에 고정볼트(176)를 체결하여 스위치판(175)을 승강바(174)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체결되는 고정볼트(176)는 그 단부가 결합부싱(175a)를 관통하여 승강바(174)의 외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력에 의해 승강바(174)에 스위치판(175)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승강바(174)에 구비되는 스위치판(175)은 결합부싱(175a)에 결합된 고정볼트(176)를 풀고 조임에 따라 그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조절되는 스위치판(175)의 위치에 따라 승강판(170)의 승강폭을 얼마든지 미세 조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적재부(150)의 내측 선단부에는 도 5 및 도 6a,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부(150) 내로 공급되는 육묘상자(10)를 감지하여 액츄에이터의 작동여부를 결정하는 감지수단이 구비된다.
이 감지수단은, 적재부(15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적재부(150) 내로 공급되는 육묘상자(10)와 접촉되어 회전되는 스톱퍼판(160)과, 회전되는 스톱퍼판(160)에 의해 스위칭되어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제 1 리미트스위치(180)를 포함한다.
한편, 스톱퍼판(160)은 적재부(150)의 베이스프레임(110) 상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그 일측에 스톱퍼판(160)이 고정되어 구비되는 연동회전축(161)과, 베이스프레임(110)을 관통하는 연동회전축(161)의 일단부에 고정되게 구비되어 연동회전축(161)과 같이 회전되면서 제 1 리미트스위치(180)를 스위칭시키는 회전브라켓(162)과, 회전브라켓(162)과 베이스프레임(110) 사이에 구비되어 회전브라켓(162)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2 탄성부재(163)를 포함한다.
제 2 탄성부재(163)는 압축 코일스프링으로서, 그 일단부는 회전브라켓(162)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타단부는 베이스프레임(110)에 구비된 고정핀(164)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은 제 2 탄성부재(163)는 육묘상자(10)가 스톱퍼판(160)에 접촉될 시, 스톱퍼판(160)과 같이 회전되는 회전브라켓(162)에 의해 인장되면서 스톱퍼판(160)에 접촉되는 육묘상자(10)의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고, 이의 압축력에 의해 회전브라켓(162) 및 스톱퍼판(160)을 원상태로 복원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작동으로 인해 회전브라켓(162)이 제 1 리미트스위치(180)를 누르면, 이에 연동하여 적재부(150) 하부에 구비된 액츄에이터가 작동되어 실린더 본체(172)에서 피스톤 로드(173)가 인출되어 승강판(170)을 상승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육묘상자 적재장치의 적재과정을 설명한다.
파종기에서 흙과 씨앗이 파종된 육묘상자(10)가 파종기로부터 배출되어 베이스프레임(110)의 이송롤러(112)에 의해 적재부(150)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적재부(150)로 이송되어 오는 육묘상자(10)는 적재부(150) 하부에 구성된 제동부(200)에 의해 그 이송속도가 저감되면서 적재부(150) 내부로 유입된다.
즉, 도 9에서와 같이, 구동모터(120)의 동력이 체인(140)과 각 종동기어(130)(212)(222)(223)를 통해 동일하게 전달되는 상태에서 베이스프레임(110)의 이송롤러(112)보다 제동부(200)의 제동롤러(211)(221)(231) 직경이 상대적으로 더 작으므로 이송롤러(112)의 회전속도는 빠르고 제동롤러(211)(221)(231)의 회전속도는 상대적으로 느리게 된다.
여기에, 제동롤러(211)(221)(231)에서도 이송롤러(112)에 근접한 제 1 회전축(210)의 제동롤러(211)는 직경이 크고, 원거리의 제 2 회전축(220)의 제동롤러(221)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으며, 아이들 상태의 제 3 회전축(230)의 제동롤러(231)는 다시 직경이 커지게 구비됨으로써 제 1 회전축(210)의 제동롤러(211)는 빠르게 회전되고, 제 2 회전축(220)의 제동롤러(221)는 상대적으로 느리게 회전되며, 제 3 회전축(230)의 제동롤러(231)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도 10에서와 같이, 제동부(200)의 제 1 회전축(210)의 종동기어(212a)를 베이스프레임(110)의 종동기어(130)보다 더 크게 구비하고, 제 2 회전축(220)의 제 1 종동기어(222a)를 제 1 회전축(210)의 종동기어(212a)보다 더 크게 구비하여 기어비를 조절함으로써, 베이스프레임(110)의 이송롤러(112)보다 제동부(200)의 제동롤러(211a)(221a)가 더 느리게 회전되고, 제동부(200)에서도 제 1 회전축(210)의 제동롤러(211a)보다 제 2 회전축(220)의 제동롤러(221a)가 더 느리게 회전된다.
따라서, 육묘상자(10)는 베이스프레임(110)의 이송롤러(112)에 의해 빠르게 이송되어 오다가 이송롤러(112)보다 느린 속도로 회전되는 제동부(200)의 제 1 회전축(210)의 제동롤러(211)와 접하면서 이송속도가 저감되고, 다시 제 2 회전축(220)의 제동롤러(221)와 접하면서 이송속도가 또 다시 저감되며, 정지되어 있는 제 3 회전축(230)의 제동롤러(231)와 접하면서 이송속도가 다시 크게 반감되어, 육묘상자(10)의 제동효과가 극대화된다.
이와 같이 여러 단계에 걸쳐 육묘상자(10)의 이송속도가 서서히 저감됨으로써 육묘상자(10)가 적재부(150)의 스톱퍼판(160)과 접촉되어도 육묘상자(10) 내에 파종된 흙과 씨앗이 일방향으로 쏠림이 사전에 방지되어 고른 파종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적재부(150)로 이송되어 온 육묘상자(10)는 스톱퍼판(160)에 접촉되고, 이에 스톱퍼판(160)은 베이스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연동회전축(161)과 같이 회전되며, 연동회전축(161)에 고정되게 설치된 회전브라켓(162) 역시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베이스프레임(110)에 구비된 제 1 리미트스위치(180)를 스위칭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스톱퍼판(160)에 일정 속도로 이송되어와 접촉되는 육묘상자(10)의 충격을 회전브라켓(162)과 베이스프레임(110) 사이에 구비된 제 2 탄성부재(163)가 인장되면서 충격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육묘상자(10) 내에 파종된 흙과 씨앗의 쏠림 현상을 재차 방지하게 된다.
한편, 스위칭된 제 1 리미트스위치(180)에 의해 적재부(150) 하부에 구비된 액츄에이터가 작동되어 실린더 본체(172)에서 피스톤 로드(173)가 인출되어 승강판(170)을 적재부(150)의 상부로 상승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승되는 승강판(170)은 그 상면에 적재부(150)로 공급된 육묘상자(10)가 올려진 상태이고, 상승되는 육묘상자(10)가 수직프레임(151)의 개구부(151a)를 관통한 지지판(152)의 선단부(152a)와 접촉되면서 지지판(152)를 회전시키게 되고, 회전된 지지판(152)은 육묘상자(10)가 지지판(152)으로부터 벗어나 더 상승되는 시점에서 인장되었던 제 1 탄성부재(153)의 압축력에 의해 역회전되어 수직프레임(151)의 개구부(151a)에 원상태로 수직하게 구비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승강판(170)에 의해 리프팅되는 육묘상자(10)는 스톱퍼판(160)과의 접촉으로 인한 완충작용으로 인해 전방 가이드브라켓(154)과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었다가 경사진 승강판(170)에 의해 상승되면서 육묘상자(10)의 후면부가 후방 가이드브라켓(155)의 경사부(155b)에 면접됨에 따라 전진 이동되다가 육묘상자(10)의 후면부가 후방 가이드브라켓(155)의 평판부(155a)에 면접하는 시점에서 육묘상자(10)의 전면부가 전방 가이드브라켓(154)의 수평부에 면접하게 됨으로써 육묘상자(10)는 수평한 상태로 리프팅된다.
그리고, 상승되는 승강판(170)에 의해 승강판(170) 하부에 구비된 승강바(174)와 스위치판(175)이 같이 상승되면서 제 2 리미트스위치(190)를 스위칭하게 된다.
그러면, 스위칭된 제 2 리미트스위치(190)에 의해 피스톤 로드(173)의 상승은 정지되고 다시 하강하게 되고, 피스톤 로드(173)의 하강에 의해 승강판(170)과 육묘상자(10) 역시도 하강하게 되는데, 승강판(170)은 지지판(152)을 지나 회전축(111) 위로 하강되지만, 육묘상자(10)는 그 테두리부(11)가 지지판(152)에 걸림되어 적재된다.
따라서, 지지판(152)에 걸림된 육묘상자(10)와 승강판(170)은 이격된 상태가 되고, 승강판(170)과 육묘상자(10) 사이로 또 다른 육묘상자(10)가 공급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작동되는 승강판(170)에 의해 리프팅되면서 수직프레임(151)의 지지판(152)에 재차 걸림되어 구비된다.
이때, 승강판(170)에 의한 육묘상자(10)의 리프팅 시는 지지판(152)에 걸림되어 있던 육묘상자(10)의 하부에 새로이 리프팅되는 육묘상자(10)를 위치시킨 상태로 육묘상자(10) 전부를 지지판(152) 위로 들었다 놓음으로써 육묘상자(10)를 지지판(152) 상에 계속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적재되는 육묘상자(10)가 일정 수량 이상 적재되면, 적재부(150)에 적재된 육묘상자(10)를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켜 공급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 : 육묘상자 11 : 테두리부
12 : 결합돌부 13 : 결합홈부
100 : 적재장치 110 : 베이스프레임
111 : 회전축 112 : 이송롤러
113 : 가이드레일 114 : 벨트
120 : 구동모터 121 : 구동기어
130 : 종동기어 140 : 체인
150 : 적재부 151 : 수직프레임
151a : 개구부 151b : 힌지핀
152 : 지지판 152a : 선단부
152b : 후단부 152c : 힌지돌부
153 : 제 1 탄성부재 154 : 전방 가이드브라켓
154a : 수평부 154b : 수직부
154c : 장착부 154d : 장공
155 : 후방 가이드브라켓 155a : 평판부
155b : 경사부 155c : 장착부
155d : 장공 156 : 고정브라켓
160 : 스톱퍼판 161 : 연동회전축
162 : 회전브라켓 163 : 제 2 탄성부재
164 : 고정핀 170 : 승강판
170a : 경사부 171 : 요홈부
172 : 실린더 본체 173 : 피스톤 로드
174 : 승강바 175 : 스위치판
175a : 결합보스 176 : 고정볼트
180,190 : 리미트스위치 200 : 제동부
210,220,230 : 회전축
211,211a,221,221a,231,231a : 제동롤러
212,212a,222,222a,223,223a : 종동기어

Claims (17)

  1. 파종기에서 흙과 씨앗이 파종된 육묘상자를 적재하는 육묘상자 적재장치에 있어서,
    파종기에서 파종된 육묘상자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가 일정간격마다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베이스프레임;
    이송롤러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파종기로부터 이송되어 온 육묘상자가 그 내부에 적재되어 구비되는 적재부;
    적재부에 구비되어 베이스프레임 측에서 이송되어 오는 육묘상자의 이송속도를 저감시키는 제동롤러를 갖는 제동부; 및
    적재부에 구비되어 적재부로 이송되어 온 육묘상자를 차례로 리프팅시켜 적재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육묘상자 적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동롤러는 일정간격마다 구비되는 한편 이송롤러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비되는 육묘상자 적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다수의 제동롤러는 이송롤러와 근접한 제동부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구비되는 육묘상자 적재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제동롤러에는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한편 이송롤러의 종동기어와도 연결되는 종동기어가 구비되고, 제동롤러의 종동기어는 이송롤러의 종동기어보다 큰 직경으로 구비되는 육묘상자 적재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제동롤러의 종동기어는 이송롤러와 근접한 제동부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 크게 구비되는 육묘상자 적재장치.
  6.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다수의 제동롤러 중 이송롤러와 원거리로 이격된 제동롤러는 아이들 롤러로 구비되는 육묘상자 적재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재부는 베이스프레임에 각각 설치되어 구비되고 관통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수직프레임;
    수직프레임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판; 및
    지지판과 수직프레임에 그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회전된 지지판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1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육묘상자 적재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액츄에이터는, 적재부 하부에 구비되는 실린더 본체;
    실린더 본체에서 출입가능하게 구비되는 피스톤 로드; 및
    피스톤 로드에 고정되게 구비되어 적재부 내에서 상하로 이동되면서 육묘상자를 적재시키는 승강판;을 포함하는 육묘상자 적재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승강판은 적재부 상에 경사지게 구비되는 육묘상자 적재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이송롤러와 근접한 승강판의 일단부는 하향 경사진 경사부로 형성되는 육묘상자 적재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승강판에는 제동부에 구비된 제동롤러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요홈부가 형성되고, 요홈부를 통해 제동롤러가 승강판 위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육묘상자 적재장치.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승강판에 구비되어 승강판과 같이 상하 이동되는 승강바;
    승강바에 구비되어 승강바와 같이 이동되는 스위치판; 및
    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되어 상승되는 스위치판에 의해 스위칭되어 승강판의 승강작동을 제어하는 제 2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는 육묘상자 적재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스위치판에는 승강바가 관통 결합되고, 스위치판의 결합부에는 스위치판을 승강바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가 체결되어, 승강바에서 스위치판의 위치를 조절하여 승강판의 승강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육묘상자 적재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재부에는 그 내부로 공급되는 육묘상자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구비되고,
    감지수단은, 적재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육묘상자가 접촉되는 스톱퍼판; 및
    회전되는 스톱퍼판에 의해 스위칭되어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제 1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는 육묘상자 적재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적재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스톱퍼판이 고정되게 구비되는 연동회전축;
    연동회전축에 고정되게 구비되어 연동회전축과 같이 회전되면서 제 1 리미트스위치를 스위칭시키는 회전브라켓; 및
    회전브라켓과 베이스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회전브라켓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육묘상자 적재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재부에는 적재되는 육묘상자를 가이드하는 전방 가이드브라켓과, 후방 가이드브라켓이 각각 구비되고,
    전방 가이드브라켓은 육묘상자의 전면부와 면접하는 수평부와, 육묘상자의 측면부와 면접하는 수직부를 포함하며,
    후방 가이드브라켓은 리프팅되는 육묘상자의 후면부가 면접하는 평판부와, 평판부의 하부에 이송롤러 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적재부에서 리프팅되는 육묘상자의 후면부가 면접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육묘상자 적재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전방 가이드브라켓과 후방 가이드브라켓에는 각각 베이스프레임에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되고, 장착부에는 전방 가이드브라켓 및 후방 가이드브라켓의 장착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장공이 형성되는 육묘상자 적재장치.
KR1020160151318A 2016-08-26 2016-11-14 육묘상자 적재장치 KR2016013792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318A KR20160137923A (ko) 2016-11-14 2016-11-14 육묘상자 적재장치
CN201710109464.XA CN107777340A (zh) 2016-08-26 2017-02-27 育苗盘堆叠与推送装置
JP2017056277A JP6682468B2 (ja) 2016-08-26 2017-03-22 育苗箱積載及び引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318A KR20160137923A (ko) 2016-11-14 2016-11-14 육묘상자 적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923A true KR20160137923A (ko) 2016-12-02

Family

ID=57571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1318A KR20160137923A (ko) 2016-08-26 2016-11-14 육묘상자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792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22616A (zh) * 2019-08-23 2019-11-08 马鞍山市安工大智能装备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水稻炼秧自动摆盘收盘机
KR20200014485A (ko) * 2018-08-01 2020-02-1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파종기용 모판 자동적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1264239A (zh) * 2020-03-19 2020-06-12 贵州省园艺研究所(贵州省园艺工程技术研究中心) 一种用于芹菜育苗盘的开穴装置
KR102351338B1 (ko) * 2021-08-10 2022-01-14 구진섭 육묘상자 이송 컨베이어 상에 구비되는 탈부착이 용이한 육묘상자 적치용 가이드장치
KR102451327B1 (ko) * 2021-05-06 2022-10-07 이광재 형강 자동 이송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193B1 (ko) 2009-12-09 2011-06-03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육묘 상자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193B1 (ko) 2009-12-09 2011-06-03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육묘 상자 이송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485A (ko) * 2018-08-01 2020-02-1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파종기용 모판 자동적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0422616A (zh) * 2019-08-23 2019-11-08 马鞍山市安工大智能装备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水稻炼秧自动摆盘收盘机
CN110422616B (zh) * 2019-08-23 2021-01-12 马鞍山市安工大智能装备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水稻炼秧自动摆盘收盘机
CN111264239A (zh) * 2020-03-19 2020-06-12 贵州省园艺研究所(贵州省园艺工程技术研究中心) 一种用于芹菜育苗盘的开穴装置
CN111264239B (zh) * 2020-03-19 2023-06-20 贵州省园艺研究所(贵州省园艺工程技术研究中心) 一种用于芹菜育苗盘的开穴装置
KR102451327B1 (ko) * 2021-05-06 2022-10-07 이광재 형강 자동 이송 장치
KR102351338B1 (ko) * 2021-08-10 2022-01-14 구진섭 육묘상자 이송 컨베이어 상에 구비되는 탈부착이 용이한 육묘상자 적치용 가이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835B1 (ko)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
KR20160137923A (ko) 육묘상자 적재장치
KR101928244B1 (ko) 적층 공급된 육묘상자의 정렬 및 상승장치
KR101740876B1 (ko) 육묘상자 적층장치
KR102351359B1 (ko) 육묘상자 이송장치
KR102242222B1 (ko) 푸셔를 구비한 육묘상자 공급장치
KR101936280B1 (ko) 육묘상자 인출장치
KR200472722Y1 (ko) 육묘상자 적층 및 적출기
KR101796901B1 (ko) 육묘상자 적층이송장치
KR101868578B1 (ko) 육묘 파종기용 배출모판 적층장치
KR101865478B1 (ko) 육묘상자 투입장치
KR200422866Y1 (ko) 파종기용 육묘상자의 공급장치
JP2018029575A (ja) 育苗箱積載及び引出装置
KR101698297B1 (ko) 육묘상자 적재장치
JP2020171222A (ja) 育苗容器積み上げ取出方法および育苗容器積み上げ取出装置
KR101831111B1 (ko) 육묘상자공급장치
KR101809415B1 (ko) 육묘상자 적층장치용 승강구
KR102132839B1 (ko) 육묘상자 적재장치
JP2008228662A (ja) 育苗箱搬送装置
KR101902148B1 (ko) 육묘상자 스토퍼를 갖는 육묘상자 적층이송장치
KR102107904B1 (ko) 고속 부직포 자동 공급장치
KR102393135B1 (ko) 육묘상자 자동 투입장치
KR102000345B1 (ko) 육묘상자의 적층장치
JP3847156B2 (ja) 育苗箱積み重ね装置
KR101277890B1 (ko) 육묘파종기의 육묘상자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