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362B1 - 용기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용기 공급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50362B1 KR102150362B1 KR1020200043763A KR20200043763A KR102150362B1 KR 102150362 B1 KR102150362 B1 KR 102150362B1 KR 1020200043763 A KR1020200043763 A KR 1020200043763A KR 20200043763 A KR20200043763 A KR 20200043763A KR 102150362 B1 KR102150362 B1 KR 1021503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unit
- backward
- moving
- stack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44—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from supply magazi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oller-ways or endless convey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6—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 B65G59/061—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articles being separated substantially along the axis of the stack
- B65G59/062—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articles being separated substantially along the axis of the stack by means of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escapement-like mechanis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8—Desta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로 적층된 용기를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정확하게 낱개씩 분리하여 작업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공급장치는, 다수개로 적층된 용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분리하여 공급하는 장치로서, 전,후진 작동에 의해 용기와 접촉 또는 이탈되는 분리부, 상기 분리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낙하부와 교번되게 전,후진 작동하면서 상기 용기의 상부에 적층된 다른 용기와 접촉 또는 이탈되는 분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공급장치는, 다수개로 적층된 용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분리하여 공급하는 장치로서, 전,후진 작동에 의해 용기와 접촉 또는 이탈되는 분리부, 상기 분리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낙하부와 교번되게 전,후진 작동하면서 상기 용기의 상부에 적층된 다른 용기와 접촉 또는 이탈되는 분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용기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로 적층된 용기를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낱개씩 분리하여 작업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용기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마트 등에서 귤, 계란과 같은 각종 식품들을 용기에 낱개씩 포장하여 판매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식품의 포장은 경제성 및 성형의 용이성 측면에서 높은 위생성을 지니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합성수지제 용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식품제조공장이나 식품가공공장에서는 이러한 식품의 포장을 위한 용기를 높은 자동화 공정을 통해서 정확하게 공급하는 일은 공정 효율성 측면에서 중요하다.
또한, 최근 들어서는 식품의 제조 및 유통의 전과정에서 식품의 위생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해요소를 분석하고 이러한 위해 요소를 제거하거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단계에 중요 관리점을 설정하여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식품의 안전을 관리하는 식품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s: HACCP)의 도입에 따라 자동화공정에 의한 위생적이고 안전한 식품의 제조 측면에서도 자동화 공정을 통 한 용기의 정확한 연속적 자동 공급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종래,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006436호(2004.06.01. 등록)는 수납 용기의 하중 분산을 위한 S자 굴곡 형상의 수납부와, 수납부 하단 전면에 용기를 이송 커베이어에 하나씩 떨어뜨려 주기 위한 안착부와 토출부가 형성된 원통상 캠을 가지는 공급부와, 캠축, 캠축고정베어링 및 하우징, 원형기어 및 랙 기어와, 결합 브래킷이 설치된구동부 및 동력전달부와, 실린더에 의해 동력전달부에 동력을 전달시키는 동력부로 구성되는 1회용 용기의 자동 공급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1434호(2012.10.08. 등록)는 동전 및 지폐 투입구, 조작패널부, 히터 내장형의 가열판이 설치된 조리실, 제어부를 가지는 본체, 식품 저장부 및, 용기 저장부를 가지는 식품 자동 조리기를 개 시(開示: disclosure)하고 있으며, 여기서 상기한 용기 저장부는 용기 적층 수납부와, 제1,2 구동부와, 이에 의 해 작동하는 제1,2 개폐로드가 설치되어, 상기한 제1 개폐로드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작동하여 최하측의 용기 바 로 위의 용기를 지지하고, 상기한 제2 개폐로드는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코인 투입시 하방 으로 회전하여 최하측 용기를 낙하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02854호(2012.09.19. 공개)는 상면에 포장용기 이동홈이 형성된 지지판과, 포장용기 공급공이 형성되고 포장용기를 적층 수납하는 수납봉이 설치된 투입판과, 양측 내면에 공급공으로부터 공급되는 포장용기 사이로 진입되어 포장용기를 밀어 하나씩 낙하시키는 경사면을 갖는 공급틀과, 공급틀을 왕복운동시키는 구동수단과, 낙하되는 포장용기의 양단을 가이드하여 이동홈으로 투입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판과, 지지판의 저면에 무한궤도 운동하게 설치되는 체인과, 상기 체인에 일정간격 결합되고 상기 절개홈을 통해 상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체인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동홈에 투입된 포장용기를 밀어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대를 가지는 이송수단으로 구성되는 김 가공용 포장 용기 자동 공급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들은 다수개로 적층된 용기를 낱개씩 분리하여 공급하는 기능은 포함하고 있지 않은 바,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용기를 분리하여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수개로 적층된 용기를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낱개씩 분리하여 작업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용기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다수개로 적층된 용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분리하여 공급하는 장치로서, 전,후진 작동에 의해 용기와 접촉 또는 이탈되는 낙하부, 상기 낙하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낙하부와 교번되게 전,후진 작동하면서 상기 용기의 상부에 적층된 다른 용기와 접촉 또는 이탈되는 분리부, 상측과 하측에 용기가 투입 또는 배출되는 투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와 배출구의 사이에 다수개로 적층된 용기를 분리부 및 낙하부로 낙하시키는 통로가 형성된 낙하 가이드부, 상기 낙하 가이드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통로 상의 용기를 정지 또는 낙하시키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낙하가이드부의 일측에 복수층을 이루도록 배열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각각 안착되며 서로 평행하는 제1,2이동부, 상기 제1 이동부와 제2 이동부에 각각 결합되되, 서로 대각선 상에 위치되어 상기 용기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 1,2 접촉부, 상기 제1,2접촉부가 상기 용기의 측면에 동시에 접촉 또는 이격되도록 상기 제1,2이동부를 각각 반대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제1,2이동구동부를 포함하고,
각 층별에 위치한 제1,2이동구동부는 각 층별 제1,2접촉부가 서로 교번되게 용기와 접촉 또는 이격되도록 제1,2구동이동부를 제어한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낙하가이드부의 일측에 복수층을 이루도록 배열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각각 안착되며 서로 평행하는 제1,2이동부, 상기 제1 이동부와 제2 이동부에 각각 결합되되, 서로 대각선 상에 위치되어 상기 용기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 1,2 접촉부, 상기 제1,2접촉부가 상기 용기의 측면에 동시에 접촉 또는 이격되도록 상기 제1,2이동부를 각각 반대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제1,2이동구동부를 포함하고,
각 층별에 위치한 제1,2이동구동부는 각 층별 제1,2접촉부가 서로 교번되게 용기와 접촉 또는 이격되도록 제1,2구동이동부를 제어한다.
삭제
그리고, 상기 낙하부는 최하층에 위치된 용기부터 접촉 또는 이탈되고,
상기 분리부는 최하층에 위치된 용기의 바로 위에 적층되어 있는 용기와 접촉 또는 이탈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조절부는 복수개가 상기 낙하 가이드부의 수직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낙하부는 제1 전,후진 구동부, 상기 제1 전,후진 구동부에 의해 최하층에 위치된 용기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되며 일면에 최하층에 위치된 용기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판이 형성된 제1이송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리부는 제2 전,후진 구동부, 상기 제1 전,후진 구동부에 의해 최하층에 위치된 용기의 바로 위에 적층되어 있는 용기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지지하는 복수개의 분리판이 형성된 제2이송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낙하부에 의해 낙하된 용기를 수집하여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공급장치는, 다수개로 적층된 용기를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낱개씩 분리하여 작업자에게 공급할 수 있어, 용기에 수납물을 수납하기 위한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공급장치에 적용된 조절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B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공급장치에 적용된 낙하부와 분리부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공급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공급장치에 적용된 낙하부와 분리부의 작동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공급장치에 적용된 이송부의 일부 구성을 발췌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공급장치에 적용된 조절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B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공급장치에 적용된 낙하부와 분리부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공급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공급장치에 적용된 낙하부와 분리부의 작동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공급장치에 적용된 이송부의 일부 구성을 발췌한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공급장치에 적용된 조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B부분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공급장치에 적용된 낙하부와 분리부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공급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공급장치에 적용된 낙하부와 분리부의 작동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공급장치에 적용된 이송부의 일부 구성을 발췌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공급장치(1)는 다수개로 적층된 용기(80)를 자동으로 낱개씩 분리하여 작업자에게 공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자가 각각의 용기(80)마다 귤, 계란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이나 기타 다양한 종류의 부품 등의 수용물을 용이하게 수용하도록 할 수 있는 제품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공급장치(1)는 테이블(70), 낙하 가이드부(10), 조절부(20), 낙하부(30), 분리부(40), 이송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공급장치(1)가 이송하고자 하는 용기(8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면 가장자리에 플랜지(P1)가 형성된 본체(81), 본체(81)의 일단에 연결되어 본체(81)의 개구부를 개폐하며 가장자리에 본체(81)의 플랜지(P1)와 대응되는 플랜지(P2)가 형성된 덮개(8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공급장치(1)는 덮개(82)가 본체(81)에 대해 펼쳐진 상태로 이송한다.
테이블(70)의 상측에는 일정한 면적을 갖는 상판(71)이 형성된다.
상판(71)에는 후술되는 낙하 가이드부(10)가 설치되는 설치홀(71a)이 형성된다.
낙하 가이드부(10)는 다수개의 수직봉(11)을 대략 'ㄷ'자 형태로 배열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수직봉(11)의 상측에는 적층된 용기(80)들이 투입되는 투입구(10a)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용기(80)가 배출되는 배출구(10b)가 형성되며, 투입구(10a)와 배출구(10b)의 사이에는 용기(80)가 낙하되는 통로(10c)가 형성된다.
이때, 수직봉(11)은 하측이 설치홀(71a)의 내벽면에 고정되고, 중앙부분과 상측은 브라켓(60)에 고정된다.
브라켓(60)은 수평바(61), 수평바(61)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가지바(62)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지바(62)는 수평바(61)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봉(11)의 중앙부분을 고정하는 브라켓(60)은 후술되는 베이스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낙하 가이드부(10)는 한 번에 여러 개의 적층된 용기(80)들을 낙하시킬 수 있도록 복수개로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설치홀(71a)은 낙하 가이드부(10)와 동일한 개수로 적용된다.
도면에서는 낙하 가이드부(10)와 설치홀(71a)이 3개로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다.
조절부(20)는 통로(10c) 상에 위치된 용기(80)들을 정지 또는 낙하시켜 후술되는 낙하부(30)와 분리부(40)에 많은 양의 용기(80)가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낙하부(30)와 분리부(40)의 상호 작동에 의해 최하층에 위치된 용기(80)부터 순차적으로 낙하시켜 이송부(50)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조절부(20)는 베이스(20a), 지지판(21), 제1,2이동부(22,23), 제1,2접촉부(24,25), 제1,2이동구동부(26,27)를 포함한다.
베이스(20a)는 대략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판(71)의 상면에 고정되어 전면이 낙하 가이드부(10)와 마주한다.
베이스(20a)에는 제1,2접촉부(24,25)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홀(201a)이 형성된다.
이때, 후술되는 제1,2접촉부(24,25)는 베이스(20a) 상에 4개의 층을 이루도록 배열되되, 각 층마다 3쌍씩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통과홀(201a)은 각 층마다 6개씩 형성된다.
지지판(21)은 복수개로 적용되어 베이스의 후면에 복수층을 이루도록 결합된다.
이때, 지지판(21)은 제1,2이동부(22,23)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20a)에 4개의 층을 이루도록 고정된다.
제1,2이동부(22,23)는 각각의 지지판(21)에 안착된다. 제1,2이동부(22,23)는 대략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2이동부(22,23)는 지지판(21)에 안착되었을 때 관통홀보다 낮은 곳에 위치된다.
제1,2이동부(22,23)는 후술되는 제1,2이동구동부(26,27)에 의해 지지판(21)을 따라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제1접촉부(24)는 제1본체부(241) 및 제1가압부(242)를 포함하며, 제1이동부(22)와 함께 이동되면서 용기(80)의 일측면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된다.
제1본체부(241)는 제1이동부(22)의 상면에 고정되며 일부분이 베이스(20a)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베이스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제1본체부(241)의 돌출된 끝단에는 하 방향을 향해 절곡되는 제1절곡부(2411)가 형성된다.
제1가압부(242)는 제1절곡부(2411)에 결합되며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압부(242)의 일면에는 수직봉(11)의 사이 공간을 향해 돌출되는 제1돌출부(2421)가 형성된다.
제1돌출부(2421)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돌출부(2421)에는 용기(80)의 본체(81) 및 덮개(82) 일측면에 동시에 접촉되는 제1미끄럼방지패드(243)가 형성된다.
제1미끄럼방지패드(243)는 용기(80)의 본체(81) 및 덮개(82)에 접촉 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제2접촉부(25)는 제2본체부(251) 및 제2가압부(252)를 포함하며, 제2이동부(23)와 함께 이동되면서 용기(80)의 타측면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된다.
제2본체부(251)는 제2이동부(23)의 상면에 고정되며 일부분이 베이스(20a)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베이스(20a)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이때, 제2본체부(251)는 제1본체부(241)와 대각선상에 위치되어 제1본체부(241)보다 베이스(20a)에서 멀리 이격된다. 따라서, 제2본체부(251)는 제1본체부(241)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제2본체부(251)의 돌출된 끝단에는 하 방향을 향해 절곡되는 제2절곡부(2511)가 형성된다.
제2가압부(252)는 제2절곡부(2511)에 결합되며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압부(242)의 일면에는 수직봉(11)의 사이 공간을 향해 돌출되는 제2돌출부(2521)가 형성된다.
제2돌출부(2521)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돌출부(2521)에는 제1미끄럼방지패드(243)와 대향되어 어느 하나의 용기(80)의 본체(81) 및 덮개(82) 타측면에 동시에 접촉되는 제2미끄럼방지패드(253)가 형성된다.
제2미끄럼방지패드(253)는 용기(80)의 본체(81) 및 덮개(82)에 접촉 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제1이동구동부(26)는 베이스의 일측 내벽면에 고정된다.
제1이동구동부(26)는 제1이동부(22)를 반복적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실린더로 형성된다.
즉, 제1이동구동부(26)의 피스톤이 전진되면 제1이동부(22)가 전진되고, 피스톤이 후진되면 제1이동부(22)가 후진된다.
제2이동구동부(27)는 베이스(20a)의 타측 내벽면에 고정된다.
제2이동구동부(27)는 제2이동부(23)를 반복적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실린더로 형성된다.
즉, 제2이동구동부(27)의 피스톤이 전진되면 제2이동부(23)가 전진되고, 피스톤이 후진되면 제2이동부(23)가 후진된다.
이때, 제1이동구동부(26) 및 제2이동구동부(27)는 제1미끄럼방지패드(243)와 제2미끄럼방지패드(253)가 용기(80)의 일측과 타측에 동시에 접촉 또는 이격되도록 제1,2이동부(22,23)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킨다.
즉, 제1이동구동부(26)가 제1이동부(22)를 전진시키면 제2이동구동부(27)는 제1이동부(22)를 후진시켜 제1미끄럼방지패드(243)와 제2미끄럼방지패드(253)가 용기(8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동시에 접촉되어 용기(80)가 낙하되지 않도록 하며, 제1이동구동부(26)가 제1이동부(22)를 후진시키면 제2이동구동부(27)는 제2이동부(23)를 전진시켜 제1미끄럼방지패드(243)와 제2미끄럼방지패드(253)가 용기(80)에서 동시에 이격되어 용기(80)가 낙하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2이동구동부(26,27)들은 기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제1,이동부를 반복적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킨다.
나아가, 각 층별에 위치한 제1,2이동구동부(26,27)는 각 층별에 위치한 제1,2접촉부(24,25)가 서로 교번되게 용기(80)와 접촉 또는 이격되도록 제1,2이동부(22,23)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공급장치(1)는 예를 들어, 1층에 위치된 제1,2이동구동부(26,27)가 먼저 제1,2이동부(22,23)를 각각 전,후진 시키고, 이후, 3층에 위치된 제1,2이동구동부(26,27)가 제1,2이동부(22,23)를 각각 전,후진 시키며, 이후에 4층에 위치된 제1,2이동구동부(26,27)가 제1,2이동부(22,23)를 각각 전,후진 시키고, 이후, 2층에 위치된 제1,2이동구동부(26,27)가 제1,2이동부(22,23)를 각각 전,후진 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3층에 위치된 제1,2미끄럼방지패드(243,253)가 용기(80)들과 이격되면, 해당 용기(80)들은 낙하되어 2층에 위치된 제1,2미끄럼방지패드(243,253)에 의해 정지되어 있는 용기(80)의 상측에 적층되고, 4층에 위치된 제1,2미끄럼방지패드(243,253)가 용기(80)들과 이격되면, 해당 용기(80)들은 낙하되어 3층에 위치된 제1,2미끄럼방지패드(243,253)에 의해 정지되어 있는 용기(80)의 상측에 적층되며, 2층에 위치된 제1,2미끄럼방지패드(243,253)가 용기(80)들과 이격되면, 해당용기(80)들은 낙하되어 1층에 위치된 제1,2미끄럼방지패드(243,253)에 의해 정지되어 있는 용기(80)의 상측에 적층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제1,2이동구동부(26,27)들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반복적으로 일정량의 용기(80)를 낙하 또는 정지시킬 수 있어 낙하부(30)와 분리부(40)에 용기(80)를 일정량씩 공급할 수 있다.
이때, 각 층별 제1,2이동구동부(26,27)가 작동되는 순서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작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밝힌다.
낙하부(30)와 분리부(40)는 이와 같이 조절부(20)에 의해 일정 시간 간격으로 복수개로 공급되는 용기(80)를 낱개씩 분리하여 이송부(50)에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먼저, 낙하부(30)는 제1전,후진 구동부(31), 제1이송체(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전,후진 구동부(31)는 상판(71)의 저면에 배치되는 케이스(C)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케이스(C)는 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C)의 전측에는 설치홀(71a)들의 하부에 배치되는 연결홀(C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때, 수직봉(11)의 하측은 연결홀(C1)을 통과하여 케이스(C)의 내부공간에 위치된다.
제1전,후진 구동부(31)는 제1이송체(32)를 반복적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실린더로 형성되며, 케이스(C)의 후측 내벽면에 결합된다.
제1이송체(32)는 제1전,후진 구동부(31)의 피스톤에 결합되어 최하층에 위치된 용기(8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전진되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이송체(32)의 전측에는 최하층에 위치된 하나의 용기(80)의 일측 또는 타측을 지지하는 지지판(21)이 형성된다.
이때, 낙하 가이드부(10)는 3개로 적용되어 3 곳에서 용기(80)가 동시에 낙하됨으로 지지판(21)은 3개의 용기(80) 양측면을 동시에 지지할 수 있는 크기나 개수로 적용되어야 한다.
즉, 지지판(21)은 2개 한쌍으로 총 3쌍이 적용되거나 또는, 이보다 작은 개수로 적용되면서도 크기 변화를 통해 3곳에서 낙하되는 용기(80)들을 동시에 지지하도록 구현되어야 한다. 그리고, 도면에는 지지판의 크기 변화를 통해 3개의 용기(80)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된 예를 도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제1이송체(32)에는 4개의 지지판이 3개의 용기(80)의 양측에 형성된 플랜지(P1,P2)를 동시에 지지할 수 있는 간격으로 형성된다.
제1이송체(32)의 좌측에 위치된 제1사이드 지지판(321a)은 좌측에 위치된 낙하 가이드부(10)에서 낙하되는 용기(80)의 본체(81) 및 덮개(82)의 좌측에 형성된 플랜지(P1,P2)만 지지하고, 우측에 위치된 제1사이드 지지판(322a)은 우측에 위치된 낙하 가이드부(10)에서 낙하되는 용기(80)의 본체(81) 및 덮개(82)의 우측에 형성된 플랜지(P1,P2)만 지지한다.
그리고, 좌측과 우측의 사이에 위치된 2개의 제1,2사이 지지판(323a,324a)은 제1,2사이드 지지판(321a,322a) 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사이 지지판(323a)은 좌측이 좌측에 위치된 낙하 가이드부(10)에서 낙하되는 용기(80)의 본체(81) 및 덮개(82)의 우측에 형성된 플랜지(P1,P2)만 지지하고, 우측은 중앙에 위치된 낙하 가이드부(10)에서 낙하되는 용기(80)의 본체(81) 및 덮개(82)의 좌측에 형성된 플랜지(P1,P2)만 지지한다.
또한, 제2사이 지지판(324a)은 우측이 우측에 위치된 낙하 가이드부(10)에서 낙하되는 용기(80)의 본체(81) 및 덮개(82)의 좌측에 형성된 플랜지(P1,P2)만 지지하고, 좌측은 중앙에 위치된 낙하 가이드부(10)에서 낙하되는 용기(80)의 본체(81) 및 덮개(82)의 우측에 형성된 플랜지(P1,P2)만 지지한다.
한편, 분리부(40)는 제2전,후진 구동부(41), 제2이송체(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전,후진 구동부(41)는 제2이송체(42)를 반복적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실린더로 형성된다.
제2전,후진 구동부(41)는 제2이송체(42)를 반복적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실린더로 형성되며, 케이스(C)의 후측 내벽면에 결합된다.
이때, 제2전,후진 구동부(41)는 제1전,후진구동부의 상측에 위치된다.
제2이송체(42)는 제2전,후진 구동부(41)의 피스톤에 결합되어 최하층에 위치된 용기(80)의 바로 위에 적층되어 있는 용기(8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전진되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이송체(42)의 전측에는 최하층에 위치된 용기(80)의 바로 위에 적층되어 있는 용기(80)의 일측 또는 타측을 지지하는 분리판(42a)이 형성된다.
이때, 낙하 가이드부(10)는 3개로 적용되어 3 곳에서 용기(80)가 동시에 낙하됨으로, 분리판(42a)은 3개의 용기(80)를 동시에 지지할 수 있는 크기나 개수로 적용되어야 한다.
즉, 분리판(42a)은 2개 한쌍으로 총 3쌍이 적용되거나 또는, 이보다 작은 개수로 적용되면서도 크기 변화를 통해 3곳에서 낙하되는 용기(80)들을 동시에 지지하도록 구현되어야 한다. 그리고, 도면에는 분리판(42a)이 지지판과 동일하게 크기 변화를 통해 3개의 용기(80)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된 예를 도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제2이송체(42)에는 4개의 분리판이 3개의 용기(80)의 양측에 형성된 플랜지(P1,P2)를 동시에 지지할 수 있는 간격으로 형성된다.
제2이송체(42)의 좌측에 위치된 제1사이드 분리판(421a)은 좌측에 위치된 낙하 가이드부(10)에서 낙하되는 용기(80)의 본체(81) 및 덮개(82)의 좌측에 형성된 플랜지(P1,P2)만 지지하고, 우측에 위치된 제2사이드 분리판(422a)은 우측에 위치된 낙하 가이드부(10)에서 낙하되는 용기(80)의 본체(81) 및 덮개(82)의 우측에 형성된 플랜지(P1,P2)만 지지한다.
그리고, 좌측과 우측의 사이에 위치된 2개의 제1,2사이 분리판(423a,424a)은 제1,2사이드 분리판(421a,422a) 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사이 분리판(423a)은 좌측이 좌측에 위치된 낙하 가이드부(10)에서 낙하되는 용기(80)의 본체(81) 및 덮개(82)의 우측에 형성된 플랜지(P1,P2)만 지지하고, 우측은 중앙에 위치된 낙하 가이드부(10)에서 낙하되는 용기(80)의 본체(81) 및 덮개(82)의 좌측에 형성된 플랜지(P1,P2)만 지지한다.
또한, 제2사이 분리판(424a)은 우측이 우측에 위치된 낙하 가이드부(10)에서 낙하되는 용기(80)의 본체(81) 및 덮개(82)의 좌측에 형성된 플랜지(P1,P2)만 지지하고, 좌측은 중앙에 위치된 낙하 가이드부(10)에서 낙하되는 용기(80)의 본체(81) 및 덮개(82)의 우측을 지지한다.
이때, 제1사이드 분리판(421a)과 제2사이드 분리판(422a)은 제1사이드 지지판(321a)과 제1사이드 지지판(322a)의 상부에 각각 위치되고, 제1사이 분리판(423a)과 제2사이 분리판(424a)은 제1사이 지지판(323a)과 제2사이 지지판(324a)의 상부에 위치된다.
다음으로, 이상 설명한 낙하부(30)와 분리부(40)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제1이송체(32)만 제1전,후진 구동부(31)에 의해 전진되어, 3개의 낙하 가이드부(10)에 다수개로 적층된 용기(80)를 각각 투입하면 최하층에 위치된 용기(80)들의 본체(81) 및 덮개(82)의 좌,우측 플랜지(P1,P2)가 제1,2사이드 지지판(321a,322a)과 제1,2사이 지지판(323a,324a)에 각각 지지된다.
이후, 제2이송체(42)가 제2전후진 구동부(41)에 의해 전진되어 제1,2사이드 분리판(421a,422a)과 제1,2사이 분리판(423a,424a)이 최하층의 용기(80) 바로 위에 적층된 용기(80)의 본체(81) 및 덮개(82)의 좌,우측 플랜지(P1,P2)를 각각 지지한다.
이후에, 제1이송체(32)가 제1전,후진 구동부(31)에 의해 후진되어 제1,2사이드 지지판(321a,322a)과 제1,2사이 지지판(323a,324a)이 용기(80)에서 이탈되어, 용기(80)는 하부에 위치된 이송부(50)에 자연 낙하된다.
이후, 제1이송체(32)가 제1전,후진 구동부(31)에 의해 다시 전진되어 제1,2사이드 분리판(421a,422a)과 제1,2사이 분리판(423a,424a)이 제1,2사이드 지지판(321a,322a)과 제1,2사이 지지판(323a,324a)의 아래의 위치되며, 이후에 제2이송체(42)가 제2전,후진 구동부(41)에 의해 다시 후진되어 제1,2사이드 지지판(321a,322a)과 제1,2사이 지지판(323a,324a)이 용기(80)에서 이탈된다.
따라서, 해당 용기(80)는 자연 낙하되어 용기(80)의 본체(81) 및 덮개(82)의 좌,우측 플랜지(P1,P2)는 제1,2사이드 분리판(421a,422a)과 제1,2사이 분리판(423a,424a)에 각각 안착된다.
이러한, 낙하부(30)와 분리부(40)는 전술한 작동을 반복하게 됨으로, 결국 다수개로 적층된 용기(80)들은 일정시간 간격으로 낱개씩 분리되어 이송부(50)에 공급된다.
이송부(50)는 슬라이드부(51), 수집부(52), 센서(54), 컨베이어밸트(53)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부(51)는 낙하부(30)에 의해 낙하된 용기(80)를 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킬 수 있도록 낙하 가이드부(10)의 하부에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슬라이드부(51)는 낙하하는 용기(80)와 대응되게 3개로 적용되고, 낙하 가이드부(10)의 배출구(10b)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수집부(52)는 상면과 전,후면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컨베이어밸트(53)에 의해 이송된다.
컨베이어밸트(53)는 일부분은 슬라이드부(51)의 하측에 위치되고 나머지 부분은 외측으로 돌출된다.
컨베이어밸트(53)는 수집부(52)를 슬라이드부(51)의 하측 또는 외측으로 반복 이송된다.
센서(54)는 수집부(52)와 동일하게 3개로 적용되며, 각각 수집부(52)와 수평선상에 위치된다.
센서(54)는 수집부(52)에 용기(80)가 위치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컨트롤러(미도시)에 전송하고, 컨트롤러는 센서(54)의 감지신호에 의해 컨베이어밸트(53)를 작동시켜 수집부(52)를 슬라이드부(51)의 외측으로 이송시켰다가, 약 2초 내지 5초 후에 수집부(52)를 다시 슬라이드부(51)의 하측으로 이송시킨다.
따라서, 작업자는 슬라이드부(51)의 외측으로 이송된 수집부(52)에서 용기(80)를 꺼내 음식물이나 부품 등 각종 수납물을 수납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공급장치(1)는 다수개로 적층된 용기(80)를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정확하게 낱개씩 분리하여 작업자에게 공급할 수 있어, 용기(80)에 수납물을 수납하기 위한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켜줄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용기 공급장치 10 : 낙하 가이드부
10a : 투입구 10b : 배출구
10c : 통로 11 : 수직봉
20 : 조절부 21 : 지지판
22 : 제1이동부 23 : 제2이동부
24 : 제1접촉부 241 : 제1본체부
2411 : 제1절곡부 242 : 제1가압부
2421 : 제1돌출부 243 : 제1미끄럼방지패드
25 : 제2접촉부 251 : 제2본체부
2511 : 제2절곡부 252 : 제2가압부
2521 : 제2돌출부 253 : 제2미끄럼방지패드
26 : 제1이동구동부 27 : 제2이동구동부
30 : 낙하부 31 : 제1전,후진 구동부
32 : 제1이송체 32a : 지지판
321a : 제1사이드 지지판 322a : 제2사이드 지지판
323a : 제1사이 지지판 324a : 제2사이 지지판
40 : 분리부 41 : 제2전,후진 구동부
42 : 제2이송체 42a : 분리판
421a : 제1사이드 분리판 422a : 제2사이드 분리판
423a : 제1사이 분리판 424a : 제2사이 분리판
50 : 이송부 51 : 슬라이드부
52 : 수집부 53 : 컨베이어밸트
54 : 센서 60 : 브라켓
61 : 수평바 62 : 가지바
70 : 테이블 71 : 상판
71a : 설치홀 80 : 용기
81 : 본체 82 : 덮개
10a : 투입구 10b : 배출구
10c : 통로 11 : 수직봉
20 : 조절부 21 : 지지판
22 : 제1이동부 23 : 제2이동부
24 : 제1접촉부 241 : 제1본체부
2411 : 제1절곡부 242 : 제1가압부
2421 : 제1돌출부 243 : 제1미끄럼방지패드
25 : 제2접촉부 251 : 제2본체부
2511 : 제2절곡부 252 : 제2가압부
2521 : 제2돌출부 253 : 제2미끄럼방지패드
26 : 제1이동구동부 27 : 제2이동구동부
30 : 낙하부 31 : 제1전,후진 구동부
32 : 제1이송체 32a : 지지판
321a : 제1사이드 지지판 322a : 제2사이드 지지판
323a : 제1사이 지지판 324a : 제2사이 지지판
40 : 분리부 41 : 제2전,후진 구동부
42 : 제2이송체 42a : 분리판
421a : 제1사이드 분리판 422a : 제2사이드 분리판
423a : 제1사이 분리판 424a : 제2사이 분리판
50 : 이송부 51 : 슬라이드부
52 : 수집부 53 : 컨베이어밸트
54 : 센서 60 : 브라켓
61 : 수평바 62 : 가지바
70 : 테이블 71 : 상판
71a : 설치홀 80 : 용기
81 : 본체 82 : 덮개
Claims (8)
- 다수개로 적층된 용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분리하여 공급하는 장치로서,
전,후진 작동에 의해 용기와 접촉 또는 이탈되는 낙하부,
상기 낙하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낙하부와 교번되게 전,후진 작동하면서 상기 용기의 상부에 적층된 다른 용기와 접촉 또는 이탈되는 분리부,
상측과 하측에 용기가 투입 또는 배출되는 투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와 배출구의 사이에 다수개로 적층된 용기를 분리부 및 낙하부로 낙하시키는 통로가 형성된 낙하 가이드부,
상기 낙하 가이드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통로 상의 용기를 정지 또는 낙하시키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낙하가이드부의 일측에 복수층을 이루도록 배열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각각 안착되며 서로 평행하는 제1,2이동부,
상기 제1 이동부와 제2 이동부에 각각 결합되되, 서로 대각선 상에 위치되어 상기 용기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 1,2 접촉부,
상기 제1,2접촉부가 상기 용기의 측면에 동시에 접촉 또는 이격되도록 상기 제1,2이동부를 각각 반대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제1,2이동구동부를 포함하고,
각 층별에 위치한 제1,2이동구동부는 각 층별 제1,2접촉부가 서로 교번되게 용기와 접촉 또는 이격되도록 제1,2구동이동부를 제어하는 용기 공급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부는 최하층에 위치된 용기부터 접촉 또는 이탈되고,
상기 분리부는 최하층에 위치된 용기의 바로 위에 적층되어 있는 용기와 접촉 또는 이탈되는 용기 공급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복수개가 상기 낙하 가이드부의 수직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용기 공급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부는,
제1 전,후진 구동부,
상기 제1 전,후진 구동부에 의해 최하층에 위치된 용기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되며 일면에 최하층에 위치된 용기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판이 형성된 제1이송체를 포함하는 용기 공급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제2 전,후진 구동부,
상기 제1 전,후진 구동부에 의해 최하층에 위치된 용기의 바로 위에 적층되어 있는 용기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지지하는 복수개의 분리판이 형성된 제2이송체를 포함하는 용기 공급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부에 의해 낙하된 용기를 수집하여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용기 공급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3763A KR102150362B1 (ko) | 2020-04-10 | 2020-04-10 | 용기 공급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3763A KR102150362B1 (ko) | 2020-04-10 | 2020-04-10 | 용기 공급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50362B1 true KR102150362B1 (ko) | 2020-09-01 |
Family
ID=72450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43763A KR102150362B1 (ko) | 2020-04-10 | 2020-04-10 | 용기 공급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50362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061555A (zh) * | 2020-09-03 | 2020-12-11 | 福州联泓交通器材有限公司 | 一种汽车座椅存储设备及工作方法 |
WO2023128277A1 (ko) * | 2021-12-30 | 2023-07-06 | 씨제이제일제당 (주) | 즉석밥 용기 분리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
KR102624144B1 (ko) * | 2023-09-21 | 2024-01-12 | 대성제관공업주식회사 | 알콜캔 캡 자동 분리공급장치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27696A (ja) * | 1992-10-21 | 1994-05-10 | Sangyo Kiki Kenkyusho:Kk | トレーカップの自動供給装置 |
KR200421434Y1 (ko) | 2006-05-03 | 2006-07-14 | 덕평전자(주) | 식품 자동 조리기의 식품 및 용기 공급장치 |
JP3831823B2 (ja) * | 1996-03-18 | 2006-10-11 | 四国化工機株式会社 | カップ状容器の供給装置 |
KR20120102854A (ko) | 2011-03-09 | 2012-09-19 | 이은호 | 김 가공용 포장용기 자동공급장치 |
KR101865478B1 (ko) * | 2016-08-23 | 2018-06-08 | 정지현 | 육묘상자 투입장치 |
KR20190010485A (ko) * | 2017-07-21 | 2019-01-30 |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 부품 공급 장치 및 부품 공급 방법, 부품 부착 시스템 |
-
2020
- 2020-04-10 KR KR1020200043763A patent/KR10215036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27696A (ja) * | 1992-10-21 | 1994-05-10 | Sangyo Kiki Kenkyusho:Kk | トレーカップの自動供給装置 |
JP3831823B2 (ja) * | 1996-03-18 | 2006-10-11 | 四国化工機株式会社 | カップ状容器の供給装置 |
KR200421434Y1 (ko) | 2006-05-03 | 2006-07-14 | 덕평전자(주) | 식품 자동 조리기의 식품 및 용기 공급장치 |
KR20120102854A (ko) | 2011-03-09 | 2012-09-19 | 이은호 | 김 가공용 포장용기 자동공급장치 |
KR101865478B1 (ko) * | 2016-08-23 | 2018-06-08 | 정지현 | 육묘상자 투입장치 |
KR20190010485A (ko) * | 2017-07-21 | 2019-01-30 |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 부품 공급 장치 및 부품 공급 방법, 부품 부착 시스템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061555A (zh) * | 2020-09-03 | 2020-12-11 | 福州联泓交通器材有限公司 | 一种汽车座椅存储设备及工作方法 |
WO2023128277A1 (ko) * | 2021-12-30 | 2023-07-06 | 씨제이제일제당 (주) | 즉석밥 용기 분리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
KR20230102631A (ko) * | 2021-12-30 | 2023-07-07 |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 즉석밥 용기 분리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
KR102653806B1 (ko) * | 2021-12-30 | 2024-04-01 |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 즉석밥 용기 분리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즉석밥 제조시스템 |
KR102624144B1 (ko) * | 2023-09-21 | 2024-01-12 | 대성제관공업주식회사 | 알콜캔 캡 자동 분리공급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50362B1 (ko) | 용기 공급장치 | |
US11649112B2 (en) | Method for storing and retrieving objects, and storage system for carrying out the method | |
JP2005537200A (ja) | パッケージ済の薬剤及び他の小さなエレメントを分類し分配するための自動装置 | |
US20220369861A1 (en) | Vertical cooking system | |
JP2009280289A (ja) | 皿供給装置 | |
KR101610696B1 (ko) | 용기 자동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기 자동 공급 방법 | |
KR102605525B1 (ko) | 봉지포장상품의 패키지 포장시스템 | |
US20040253083A1 (en) | System for singling and transferring objects, and transfer device used in the system | |
KR20130061585A (ko) | 멸치를 멸치발에 담는 장치 | |
JP2557781B2 (ja) | 物品の集荷方法及び装置 | |
US20130228416A1 (en) | Apparatus for transporting packagings that are not freely stackable, in particular stickpacks, to a transport container | |
CN111493602A (zh) | 一种快餐配餐装置 | |
KR102477350B1 (ko) | 식료품 묶음 포장 장치 | |
KR100757178B1 (ko) | 필로우 정렬 장치 | |
CN113443315B (zh) | 一种自动拣货平台及其拣货流转方法 | |
US20120216490A1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handling stackable articles | |
KR19990035889A (ko) | 포장품, 예를 들면 달걀트레이 또는 달걀박스의 스택을 컨테이너에 싣고 내리는 장치 | |
CN109159973B (zh) | 高速整理生产线 | |
CN116194395A (zh) | 用于对以离散行的多个物品进行给送的给送组和方法 | |
JP4152021B2 (ja) | 卵の自動選別包装装置 | |
JP4271069B2 (ja) | 循環型飲食物搬送装置における下げ搬送装置 | |
KR101780056B1 (ko) | 스틱형 소시지의 정량 투입장치 | |
US6349815B1 (en) | In-line stacker machine for stacking cookies | |
US3633733A (en) | Article-handling apparatus | |
NL2025436B1 (nl) | Inrichting voor het overzetten van flessen en werkwijze voor het overzetten van fless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