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4144B1 - 알콜캔 캡 자동 분리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알콜캔 캡 자동 분리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4144B1
KR102624144B1 KR1020230126518A KR20230126518A KR102624144B1 KR 102624144 B1 KR102624144 B1 KR 102624144B1 KR 1020230126518 A KR1020230126518 A KR 1020230126518A KR 20230126518 A KR20230126518 A KR 20230126518A KR 102624144 B1 KR102624144 B1 KR 102624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alcohol
caps
supply hole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6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장영
Original Assignee
대성제관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제관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제관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26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41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4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4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0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 B65G47/08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spacing or grouping the articles during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1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 B65G15/1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posi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4Gearing between driving motor and 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2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articles
    • B65G33/06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articles conveyed and guided by parallel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65G33/34Applications of 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65G47/8807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with one stop
    • B65G47/883Fixed st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6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 B65G59/061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articles being separated substantially along the axis of the stack
    • B65G59/062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articles being separated substantially along the axis of the stack by means of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escapement-like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3/00Clos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by applying caps
    • B67B3/02Clos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by applying caps by applying flanged caps, e.g. crown caps, and securing by deformation of flanges
    • B67B3/06Feeding caps to capping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8Desta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적층 공급되는 알콜캔 캡의 뭉치로부터 낱개의 알콜캔 캡을 분리하여 캡 컨베이어수단에 자동적으로 그리고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구성된 알콜캔 캡 자동 분리공급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알콜캔 캡 자동 분리공급장치{APPARATUS FOR AUTOMATIC ALCOLCAN CAP SEPARATION AND SUPPLY}
본 발명은 알콜캔 캡 자동 분리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층 공급되는 알콜캔 캡의 뭉치로부터 낱개의 알콜캔 캡을 분리하여 캡 컨베이어수단에 자동적으로 그리고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구성된 알콜캔 캡 자동 분리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콜캔은 금속판재를 말아 몸통체를 형성하고, 이 몸통체 상단과 하단을 밀폐하기 위한 각각 중앙에 입구가 형성된 상판 및 하판을 댄 후, 상,하판과 몸통체 간의 시밍 작업에 의해 밀봉성을 갖는 캔용기를 제조하게 된다.
그리고, 알콜캔의 상판에 형성된 입구를 통해 내용물을 주입한 다음, 개구된 입구를 원판 형태의 캡을 닫아 알콜캔의 몸통체와 함께 일체로 밀봉시킨다.
하지만, 종래에는 알콜캔의 입구를 캡으로 밀봉시키기 위해, 적층된 캡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한개씩 분리한 후, 컨베이어벨트(conveyer belt) 등에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알콜캔의 입구를 밀봉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했기 때문에 캡을 분리하여 공급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작업 공정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적층 공급되는 알콜캔 캡의 뭉치로부터 낱개의 알콜캔 캡을 분리하여 캡 컨베이어수단에 자동적으로 그리고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알콜캔 캡 자동 분리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알콜캔 캡 자동 분리공급장치는 다수의 알콜캔 캡이 투입되어 적층되고, 적층된 알콜캔 캡을 하측으로 이동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캡 적층투입부와, 상기 캡 적층투입부에 적층된 알콜캔 캡 중 최하단의 알콜캔 캡을 낱개로 분리하여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캡 낱개분리부와, 상기 캡 낱개분리부에서 낱개로 분리되어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알콜캔 캡을 상하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하면서 자전시켜 하방향 순차적으로 이송시킨 후 차례로 낙하시키는 캡 자전이송부와, 상기 캡 자전이송부에서 차례로 낙하되는 알콜캔 캡이 안착되고 알콜캔 캡이 일정 간격 유지되게 하면서 스텝 이송시켜 캡 컨베이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알콜캔 캡 자동 분리공급장치는 알콜캔의 상판에 형성된 입구를 밀봉하는 작업을 위해 알콜캔의 입구에 알콜캔 캡을 공급할 때, 적층 공급되는 알콜캔 캡의 뭉치로부터 낱개의 알콜캔 캡을 자동으로 분리하여 캡 컨베이어수단에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구성되기 때문에, 작업 공정성 및 생산성이 월등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알콜캔 캡 자동 분리공급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알콜캔 캡 자동 분리공급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알콜캔 캡 자동 분리공급장치에서 캡 낱개분리부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알콜캔 캡 자동 분리공급장치에서 캡 낱개분리부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알콜캔 캡 자동 분리공급장치에서 캡 낱개분리부의 결합 사시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알콜캔 캡 자동 분리공급장치에서 캡 낱개분리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알콜캔 캡 자동 분리공급장치에서 캡 자전이송부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알콜캔 캡 자동 분리공급장치에서 캡 자전이송부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알콜캔 캡 자동 분리공급장치에서 캡 자전이송부의 제1 동력전단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알콜캔 캡 자동 분리공급장치에서 승강수단 및 제3 동력전단수단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알콜캔 캡 자동 분리공급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알콜캔 캡 자동 분리공급장치의 평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알콜캔의 상판에 형성된 입구를 밀봉하기 위해 알콜캔의 입구에 알콜캔 캡을 공급할 때, 적층 공급되는 알콜캔 캡의 뭉치로부터 낱개의 알콜캔 캡을 분리하여 캡 컨베이어수단에 자동적으로 그리고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알콜캔 캡 자동 분리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캡 적층투입부(100), 캡 낱개분리부(200), 캡 자전이송부(300) 및 캡 컨베이어수단(40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캡 적층투입부(100)는 다수의 알콜캔 캡(C)이 투입되어 적층되고, 적층된 알콜캔 캡을 하측으로 이동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좀 구체적으로, 상기 캡 적층투입부(100)는 중앙에 알콜캔 캡(C)이 공급되는 제1 공급공(111)이 형성되는 제1 베이스판(110)과, 상기 제1 베이스판(110)의 상면에 제1 공급공(111)의 외측 외주를 따라 설치되어 내부로 투입되어 적층되는 알콜캔 캡(C)의 외측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봉(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캡 적층투입부(110)는 상기 다수의 지지봉(120) 내측으로 다수의 알콜캔 캡(C)이 투입되어 적층되고, 적층된 알콜캔 캡(C)이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제1 베이스판(110)의 제1 공급공(111)을 통해 하측으로 공급되게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캡 낱개분리부(200)는 상기 캡 적층투입부(100)에 적층된 알콜캔 캡 중 최하단의 알콜캔 캡(C)을 낱개로 분리하여 상기 제1 공급공(111)을 통해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역활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좀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 낱개분리부(200)는 고정블럭(210), 이동블럭(220), 지지블럭(230) 및 왕복실린더(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블럭(210)은 상기 제1 베이스판(110) 상면에 제1 공급공(111)의 외측 외주를 따라 균등 간격으로 다수개 이격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블럭(210)은 상기 제1 베이스판(110) 상면에 제1 공급공(111)의 외측 외주를 따라 12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블럭(210)은 상기 제1 공급공(111)의 외측에 고정되고, 중앙 하단부에 상기 제1 공급공(111)의 중심측으로 레일홈(211)이 형성되며, 전면 상단부에는 제1 공급공(111)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캡 적층투입부(100)에 적층된 알콜캔 캡(C)을 하측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편(212)이 형성되고, 상면에서 상기 레일홈(211) 측으로 스토퍼핀(213)이 돌출되게 결합되게 구성된다.
상기 이동블럭(220)은 상기 고정블럭(210)의 후측에 마련되어 제1 공급공(111)의 중심측 및 그 반대측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몸체(221)와, 상기 이동몸체(221)의 전면 하단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레일홈(211)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22)과, 상기 가이드레일(222)의 전단부 상면에 단차지게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레일(222)이 제1 공급공(111)의 중심측으로 이동되어 이동몸체(221)가 고정블럭(210)에 밀착되면 제1 공급공(111)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가이드편(212)에 가이드되어 하측으로 이동되는 알콜캔 캡(C)의 단부가 안착 지지되고, 상기 가이드레일(222)이 제1 공급공(111)의 중심의 반대측으로 이동되어 이동몸체(221)가 고정블럭(210)에서 이격되면 제1 공급공(111)의 외측으로 이동되면서 알콜캔 캡(C)의 단부의 지지를 해제하여 알콜캔 캡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안착지지편(223)과, 상기 안착지지편(223)의 상면에 설치되어 알콜캔 캡(C)의 단부 저면이 부착되는 자석판(224)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블럭(230)은 상기 가이드레일(222)의 상면에서 제1 공급공(111)의 중심측 및 그 반대측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 중앙에 상기 스토퍼핀(213)의 하단부가 끼워지고 그 전단 및 후단에 스토퍼핀(213)이 걸림되는 걸림장공(231a)이 형성된 지지바(231)와, 상기 지지바(231) 단부에 형성되고 제1 공급공(111)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231)의 왕복 이동에 의해 상기 안착지지편(223)에 지지되는 알콜캔 캡(C)의 상부에 위치한 적층된 알콜캔 캡(C)의 하단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지지편(232)으로 구성된다.
상기 왕복실린더(240)는 상기 이동블럭(220)의 후면에 결합되고 피스톤봉(241)이 상기 레일홈(211)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231)의 후면에 결합되되, 상기 피스톤봉(241)의 신축에 의해 상기 이동블럭(220)의 안착지지편(223) 및 지지블럭(230)의 지지바(231)를 교차되게 왕복 이동시키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캡 낱개분리부(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적층투입부(100)에 적층된 알콜캔 캡(C)이 상기 고정블럭(210)의 가이드편(212)에 가이드되면서 하측으로 이동되어 이동블럭(220)의 안착지지편(223)에 설치된 자석판(224)에 부착되면서 안착 지지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왕복실린더(240)의 피스톤봉(241)을 신장시키면, 피스톤봉(241)에 결합된 지지블럭(230)의 지지바(231)가 제1 공급공(111)의 중심측으로 이동되고 지지블럭(230)의 지지편(232)이 제1 공급공(232) 측으로 돌출되면서 안착지지편(223)에 지지되는 알콜캔 캡(C)의 상부에 위치한 적층된 알콜캔 캡(C)의 하단을 지지한다. 이때, 고정블럭(210)의 스토퍼핀(213)이 지지바(230)에 형성된 걸림장공(231a)의 후단에 걸림되고 지지블럭(230)의 제1 공급공(111) 중심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속적으로 왕복실린더(240)의 피스톤봉(241)을 신장시키면, 왕복실린더(240)와 결합된 이동블럭(220)이 제1 공급공(111)의 반대측으로 이동되면서 알콜캔 캡(C)이 안착되는 안착지지편(223) 또한 제1 공급공(111)의 반대측으로 이동되고 이때 안착지지편(223)에서 알콜캔 캡(C)의 단부의 지지가 해제되면서 알콜캔 캡(C)이 하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왕복실린더(240)의 피스톤봉(241)을 축소시키면, 피스톤봉(241)에 결합된 지지블럭(230)의 지지바(231)가 제1 공급공(111)의 반대측으로 이동되면서 적층된 알콜캔 캡(C)의 하단에 대한 지지를 해제하고, 동시에 이동블럭(220)이 제1 공급공(111)의 중심측으로 이동되며 안착지지편(223)이 제1 공급공(111)으로 돌출되면서 적층된 알콜캔 캡(C)의 하단이 안착지지편(223)에 안착 지지된다. 따라서, 왕복실린더(240)의 피스톤봉(241)을 반복되는 신축에 의해 이동블럭(220)과 지지블럭(230)이 제1 공급공(111)의 중심측 및 그 반대측으로 교차 왕복 이동되면서 캡 적층투입부(100)에 적층 공급된 알콜캔 캡(C)의 뭉치로부터 낱개의 알콜캔 캡(C)을 분리하여 후술하는 캡 자전이송부(300)으로 공급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캡 자전이송부(300)는 상기 캡 낱개분리부(200)에서 낱개로 분리되어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알콜캔 캡(C)을 상하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하면서 자전시켜 하방향 순차적으로 이송시킨 후 차례로 낙하시키는 역활을 수행한다.
좀 구체적으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 자전이송부(300)는 상기 제1 베이스판(110)에서 하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중앙에 상기 제1 공급공(111)에 대응되는 제2 공급공(311)이 형성되는 제2 베이스판(310)과, 상기 제1 베이스판(110)과 제2 베이스판(120) 사이에 제1 공급공(111) 및 제2 공급공(311)의 외측 외주를 따라 균등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같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공급공(111)을 통해 공급되는 알콜캔 캡(C)의 단부가 끼워지고 알콜캔 캡(C)이 자전하면서 하측으로 가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그 상단에서 하단까지 나선 가이드홈(321)이 형성된 자전이송봉(320)과, 상기 자전이송봉(320)의 상면에 상기 나선가이드홈(321)의 상단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1 공급공(111)을 통해 공급되는 알콜캔 캡(C)의 단부가 나선 가이드홈(321)으로 유도 투입될 수 있게 하는 경사유도홈(330)과, 상기 자전이송봉(320)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동력을 제공하는 제1 동력전달수단(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자전이송봉(320)은 제1 공급공(111) 및 제2 공급공(311)의 외측 외주를 따라 120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자전이송봉(320)은 상단이 상기 제1 베이스판(110) 상에 제1 공급공(111)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1 베어링(B)에 축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이 상기 제2 베이스판(310) 상에 제2 공급공(311)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2 베어링(B)에 축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동력전달수단(340)은 후술하는 캡 컨베이어수단(4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모터(341)와, 상기 제1 모터(340)의 모터축에 결합되는 제1 구동풀리(342)와, 상기 자전이송봉(320)의 하부축에 결합되는 제1 피동풀리(343)와, 상기 제1 피동풀리(343) 사이에 설치되는 제1 가이드풀리(344)와, 상기 제1 구동풀리(342), 제1 피동풀리(343) 및 제1 가이드풀리(344)를 연결하여 무한궤도 운동하면서 제1 모터(3411)의 회전력을 제1 피동풀리(343)에 전달하여 상기 자전이송봉(320)을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게 동작시키는 제1 벨트(345)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다수의 자전이송봉(320) 중 일측 자전이송봉의 하부축에 고정결합되는 구동기어(351)와, 상기 구동기어(351)와 맞물려 회전되는 측정기어(352)와, 상기 측정기어(352)의 일측에 설치되어 측정기어(352)의 회전을 측정하여 상기 자전이송봉(320)의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속도센서(353)로 구성되는 센서부(350)가 더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350)의 속도센서(353)는 제어부(360)와 연결되어 자전이송봉(320)의 회전속도를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360)는 속도센서(353)로 부터 전송받은 자전이송봉(320)의 회전속도에 따른 상기 왕복실린더(240)의 피스톤봉(241)의 신축 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캡 낱개분리부(200)에서 공급되어 캡 자전이송부(300)를 통해 이송되는 알콜캔 캡(C)을 상하 간격을 조절하여 캡 자전이송부(300)에서 후술하는 캡 컨베이어수단(400)으로 공급되는 알콜캔 캡(C)의 공급 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캡 컨베이어수단(400)은 상기 캡 자전이송부(320)에서 차례로 낙하되는 알콜캔 캡(C)이 안착되고 알콜캔 캡(C)이 일정 간격 유지되게 하면서 스텝 이송시키는 역활을 수행한다.
좀 구체적으로, 상기 캡 컨베이어수단(400)은, 상기 캡 자전이송부(320)의 하측에서 타측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프레임(410)과, 상기 프레임(410)의 일단부 및 타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420)과, 상기 프레임(410)의 타측에 구동축(43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나란하게 설치된 한쌍의 구동컨베이어풀리(430)와, 상기 프레임(410)의 일측에 회전축(44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피동컨베이어풀리(440)와, 상기 구동컨베이어풀리(430)과 피동컨베이어풀리(440)를 연결하여 구동컨베이어풀리(430)가 회전하면 트랙 형상으로 순환하면서 상기 캡 자전이송부(300)에서 차례로 낙하되는 알콜캔 캡(C)을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한쌍의 컨베이어벨트(450)와, 상기 구동축(431)과 연결되어 구동축(431)을 회전시키는 제2 동력전달수단(460)을 포함하여 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동력전달수단(460)은 상기 프레임(410)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 모터(461)와, 상기 제2 모터(461)의 모터축에 결합되는 제2 구동풀리(462)와, 상기 구동축(431)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2 피동풀리(463)와, 상기 제2 구동풀리(462)와 제2 피동풀리(463)를 연결하여 구동축(431)을 회전시켜 컨베이어벨트(450)를 회전시키는 제2 벨트(464)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지프레임(420)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410)의 설치 높이 조절할 수 있게 프레임 승강수단(470)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승강수단(470)은 지지프레임(420)의 하측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바닥설치하우징(471)과, 상기 바닥설치하우징(471)의 바닥에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420)의 전측 및 후측에서 프레임(200)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하단부에는 제3 피동풀리(472a)가 각각 설치되는 스크류봉(472)과, 상기 스크류봉(472)의 제3 피동풀리(472a)를 서로 연결하여 무한궤도 운동하는 제3 벨트(473)와, 일단부 및 타단부 지지프레임(420)을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봉(472)을 따라 승하강하는 한쌍의 승강대(474)와, 상기 바닥설치하우징(471)의 전단부 상측에 설치되는 제3 모터(475a)와, 상기 제3 모터(475a)의 모터축에 결합되는 구동스프라켓(475b)과, 구동스프라켓과 이격 설치되는 피동스프라켓(475c)과,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피동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체인(475d)과, 상기 피동스프라켓의 전측으로 상기 바닥설치하우징의 내부로 설치되는 회전샤프트(475e))와, 상기 피동스프라켓과 회전샤프트에 결합되어 피동스프라켓의 회전력을 회전샤프트에 전달하는 베벨기어(475f)와, 상기 회전샤프트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3 벨트에 연결되어 제3 벨트를 회전시키는 제3 구동풀리(47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프레임 승강수단(470)을 통해 밀봉되는 알콜캔 캡(C)의 크기에 대응되게 프레임(410)의 설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캡 컨베이어수단(400)으로 이송되는 알콜캔 캡(C)을 알콜캔의 입구측으로 용이하게 이동 배출시켜 밀봉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프레임(410)의 상면 타단에는 상기 컨베이어벨트(450)에 안착되어 이동되는 알콜캔 캡(C)의 측단부가 수용 지지되어 이동이 제한되는 호형상의 스토퍼홈(481)이 형성된 스토퍼판(48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캡 자전이송부(300)에서 낙하되어 컨베이어벨트(450)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알콜캔 캡(C)이 상기 스토퍼판(480)에 수용 지지되어 컨베이어벨트(450)의 외측으로 알콜캔 캡(C)이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더 나아가, 상기 스토퍼판(480)의 일측 하부에는 컨베이어벨트(450)를 따라 이동되어 스토퍼판(480)에 수용 지지되는 알콜캔 캡(C)을 센싱하는 위치센서(49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컨베이어벨트(450)를 따라 이송되는 알콜캔 캡(C)이 스토퍼판(480)에 수용 지지되면서 위치센서(C)가 알콜캔 캡(C)을 센싱하면 컨베이어벨트(450)의 회전이 멈춤되고, 상기 스토퍼판(480)에서 알콜캔 캡(C)이 밀봉을 위해 배출되면 컨베이어벨트(450)를 다시 회전시켜 다음 알콜캔 캡(C)이 스토퍼판(480)에 지지 수용되도록 하여, 캡 컨베이어수단(400)을 따라 이동되는 알콜캔 캡(C)이 일정 간격으로 스텝 이송되면서 공급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벨트(400)의 스텝 회전에 상기 왕복실린더(240)의 피스톤봉(241)의 신축 및 자전이송봉(320)의 회전을 연동되게 작동시킴으로써 알콜캔 캡(C)이 일정간격 순차적으로 분리 공급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알콜캔 캡 자동 분리공급장치는 캡 적층투입부(100)에 다수의 알콜캔 캡(C)이 투입하면 알콜캔 캡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적층된 알콜캔 캡(C)이 하측으로 이동가능한 상태로 지지된다. 그리고, 캡 낱개분리부(200)에서 왕복실린더(240)의 피스톤봉(241)을 반복되는 신축에 의해 이동블럭(220)과 지지블럭(230)이 제1 공급공(111)의 중심측 및 그 반대측으로 교차 왕복 이동되면서 캡 적층투입부(100)에 적층 공급된 알콜캔 캡(C)의 뭉치로부터 낱개의 알콜캔 캡(C)을 분리하여 캡 자전이송부(300)으로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캡 낱개분리부(200)에서 낱개로 분리되어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알콜캔 캡(C)은 캡 자전이송부(300)의 자전이송봉(320) 내부로 투입되어 나선 가이드홈(321)을 따라 자전하면서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가이드 이동되고, 캡 컨베이어수단(400)의 낙하된다. 그리고, 상기 캡 컨베이어수단(400)에 안착된 알콜캔 캡(C)은 컨베이어벨트(450)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송되면서 공급되고, 미도시된 장착수단을 통해 알콜캔 캡(C)을 알콜캔의 입구로 이동시켜 알콜캔의 입구를 밀봉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알콜캔 캡 자동 분리공급장치는 알콜캔의 상판에 형성된 입구를 밀봉하는 작업을 위해 알콜캔의 입구에 알콜캔 캡을 공급할 때, 적층 공급되는 알콜캔 캡의 뭉치로부터 낱개의 알콜캔 캡을 자동으로 분리하여 캡 컨베이어수단에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구성되기 때문에, 작업 공정성 및 생산성이 월등히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캡 적층투입부 110: 제1 베이스판
120: 지지봉 200: 캡 낱개분리부
210: 고정블럭 220: 이동블럭
230: 지지블럭 240: 왕복실린더
300: 캡 자전이송부 310: 제2 베이스판
320: 자전이송봉 330: 경사유도홈
340: 제1 동력전달수단 400: 캡 컨베이어수단
410: 프레임 420: 지지프레임
420: 구동컨베이어풀리 440: 피동컨베이어풀리
450: 컨베이어벨트 460: 제2 동력전달수단
470: 프레임 승강수단

Claims (5)

  1. 다수의 알콜캔 캡이 투입되어 적층되고, 적층된 알콜캔 캡을 하측으로 이동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캡 적층투입부와,
    상기 캡 적층투입부에 적층된 알콜캔 캡 중 최하단의 알콜캔 캡을 낱개로 분리하여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캡 낱개분리부와,
    상기 캡 낱개분리부에서 낱개로 분리되어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알콜캔 캡을 상하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하면서 자전시켜 하방향 순차적으로 이송시킨 후 차례로 낙하시키는 캡 자전이송부와,
    상기 캡 자전이송부에서 차례로 낙하되는 알콜캔 캡이 안착되고 알콜캔 캡이 일정 간격 유지되게 하면서 스텝 이송시켜 캡 컨베이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캡 적층투입부는 중앙에 알콜캔 캡이 공급되는 제1 공급공이 형성되는 제1 베이스판과, 상기 제1 베이스판의 상면에 제1 공급공의 외측 외주를 따라 설치되어 내부로 투입되어 적층되는 알콜캔 캡의 외측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봉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캡 낱개분리부는 상기 제1 베이스판 상면에 제1 공급공의 외측 외주를 따라 균등 간격으로 다수개 이격 배치되되, 상기 제1 공급공의 외측에 고정되고, 중앙 하단부에 상기 제1 공급공의 중심측으로 레일홈이 형성되며, 전면 상단부에는 제1 공급공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캡 적층투입부에 적층된 알콜캔 캡을 하측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편이 형성되고, 상면에서 상기 레일홈 측으로 스토퍼핀이 돌출되게 결합되는 고정블럭과,
    상기 고정블럭의 후측에 마련되어 제1 공급공의 중심측 및 그 반대측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몸체와, 상기 이동몸체의 전면 하단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레일홈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전단부 상면에 단차지게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레일이 제1 공급공의 중심측으로 이동되어 이동몸체가 고정블럭에 밀착되면 제1 공급공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가이드편에 가이드되어 하측으로 이동되는 알콜캔 캡의 단부가 안착 지지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이 제1 공급공의 중심의 반대측으로 이동되어 이동몸체가 고정블럭에 이격되면 제1 공급공의 외측으로 이동되면서 알콜캔 캡의 단부의 지지를 해제하여 알콜캔 캡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안착지지편과, 상기 안착지지편의 상면에 설치되어 알콜캔 캡의 단부 저면이 부착되는 자석판으로 구성되는 이동블럭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면에서 제1 공급공의 중심측 및 그 반대측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 중앙에 상기 스토퍼핀의 하단부가 끼워지고 그 전단 및 후단에 스토퍼핀이 걸림되는 걸림장공이 형성된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 단부에 형성되고 제1 공급공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의 왕복 이동에 의해 상기 안착지지편에 지지되는 알콜캔 캡의 상부에 위치한 적층된 알콜캔 캡의 하단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지지편으로 구성되는 지지블럭과,
    상기 이동블럭의 후면에 결합되고 피스톤봉이 상기 레일홈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의 후면에 결합되되, 상기 피스톤봉의 신축에 의해 상기 이동블럭의 안착지지편 및 지지블럭의 지지바를 교차되게 왕복 이동시키게 구성되는 왕복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콜캔 캡 자동 분리공급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자전이송부는
    상기 제1 베이스판에서 하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중앙에 상기 제1 공급공에 대응되는 제2 공급공이 형성되는 제2 베이스판과,
    상기 제1 베이스판과 제2 베이스판 사이에 제1 공급공 및 제2 공급공의 외측 외주를 따라 균등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같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공급공을 통해 공급되는 알콜캔 캡의 단부가 끼워지고 알콜캔 캡이 자전하면서 하측으로 가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그 상단에서 하단까지 나선 가이드홈이 형성된 자전이송봉과,
    상기 자전이송봉의 상면에 상기 나선가이드홈의 상단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1 공급공을 통해 공급되는 알콜캔 캡의 단부가 나선 가이드홈으로 유도 투입될 수 있게 하는 경사유도홈과,
    상기 자전이송봉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동력을 제공하는 제1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콜캔 캡 자동 분리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이송봉은 상단이 상기 제1 베이스판 상에 제1 공급공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1 베어링에 축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이 상기 제2 베이스판 상에 제2 공급공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2 베어링에 축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캡 컨베이어수단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모터와, 상기 제1 모터의 모터축에 결합되는 제1 구동풀리와, 상기 자전이송봉의 하부축에 결합되는 제1 피동풀리와, 상기 제1 피동풀리 사이에 설치되는 제1 가이드풀리와, 상기 제1 구동풀리, 제1 피동풀리 및 제1 가이드풀리를 연결하여 무한궤도 운동하면서 제1 모터의 회전력을 제1 피동풀리에 전달하여 상기 자전이송봉을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게 동작시키는 제1 벨트로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자전이송봉 중 일측 자전이송봉의 하부축에 고정결합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측정기어와, 상기 측정기어의 일측에 설치되어 측정기어의 회전을 측정하여 상기 자전이송봉의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속도센서로 구성되는 센서부가 더 구성되고, 상기 센서부의 속도센서는 제어부와 연결되어 자전이송봉의 회전속도를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속도센서로 부터 전송받은 자전이송봉의 회전속도에 따른 상기 왕복실린더의 피스톤봉의 신축 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캡 낱개분리부에서 공급되어 캡 자전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알콜캔 캡을 상하 간격을 조절하여 캡 자전이송부에서 캡 컨베이어수단으로 공급되는 알콜캔 캡의 공급 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콜캔 캡 자동 분리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컨베이어수단은, 상기 캡 자전이송부의 하측에서 타측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단부 및 타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나란하게 설치된 한쌍의 구동컨베이어풀리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피동컨베이어풀리와, 상기 구동컨베이어풀리과 피동컨베이어풀리를 연결하여 구동컨베이어풀리가 회전하면 트랙 형상으로 순환하면서 상기 상기 캡 자전이송부에서 차례로 낙하되는 알콜캔 캡을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한쌍의 컨베이어벨트와, 상기 구동축과 연결되어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제2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2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 모터와, 상기 제2 모터의 모터축에 결합되는 제2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축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2 피동풀리와, 상기 제2 구동풀리와 제2 피동풀리를 연결하여 구동축을 회전시켜 컨베이어벨트를 회전시키는 제2 벨트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의 설치 높이 조절할 수 있게 프레임 승강수단이 더 설치되되, 상기 프레임 승강수단은 지지프레임의 하측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바닥설치하우징과, 상기 바닥설치하우징의 바닥에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측 및 후측에서 프레임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하단부에는 제3 피동풀리가 각각 설치되는 스크류봉과, 상기 스크류봉의 제3 피동풀리를 서로 연결하여 무한궤도 운동하는 제3 벨트와, 일단부 및 타단부 지지프레임을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봉을 따라 승하강하는 한쌍의 승강대와, 상기 바닥설치하우징의 전단부 상측에 설치되는 제3 모터와, 상기 제3 모터의 모터축에 결합되는 구동스프라켓과, 구동스프라켓과 이격 설치되는 피동스프라켓과,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피동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체인과, 상기 피동스프라켓의 전측으로 상기 바닥설치하우징의 내부로 설치되는 회전샤프트와, 상기 피동스프라켓과 회전샤프트에 결합되어 피동스프라켓의 회전력을 회전샤프트에 전달하는 베벨기어와, 상기 회전샤프트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3 벨트에 연결되어 제3 벨트를 회전시키는 제3 구동풀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의 상면 타단에는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안착되어 이동되는 알콜캔 캡의 측단부가 수용 지지되어 이동이 제한되는 호형상의 스토퍼홈이 형성된 스토퍼판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판의 일측 하부에는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이동되어 스토퍼판에 수용 지지되는 알콜캔 캡을 센싱하는 위치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스토퍼판에 알콜캔 캡이 수용 지지되면 컨베이어벨트의 회전을 멈춤하고, 상기 스토퍼판에서 알콜캔 캡이 배출되면 컨베이어벨트의 회전시켜 다음 스토퍼판이 스토퍼판에 지지 수용되도록 하여, 캡 컨베이어수단을 따라 이동되는 알콜캔 캡이 일정 간격으로 스텝 이송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콜캔 캡 자동 분리공급장치.
KR1020230126518A 2023-09-21 2023-09-21 알콜캔 캡 자동 분리공급장치 KR102624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6518A KR102624144B1 (ko) 2023-09-21 2023-09-21 알콜캔 캡 자동 분리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6518A KR102624144B1 (ko) 2023-09-21 2023-09-21 알콜캔 캡 자동 분리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4144B1 true KR102624144B1 (ko) 2024-01-12

Family

ID=89541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6518A KR102624144B1 (ko) 2023-09-21 2023-09-21 알콜캔 캡 자동 분리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414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2007A (ja) * 2000-01-04 2001-07-17 Furukawa Mfg Co Ltd 包装体に応じて調整可能なシール装置
KR101663646B1 (ko) * 2016-04-21 2016-10-07 (주)도형아이엠 오르막 경사 트윈 컨베이어 장치
KR102150362B1 (ko) * 2020-04-10 2020-09-01 함영식 용기 공급장치
KR20210058682A (ko) * 2019-11-13 2021-05-24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용기 공급 장치 및 용기 공급 방법
KR102265122B1 (ko) * 2019-12-18 2021-06-15 (주)씨엠에스코리아 자세 제어 및 연속적 순환공급이 가능한 부품 공급장치
KR20220136821A (ko) * 2021-04-01 2022-10-11 주식회사 그린테크놀로지 적층된 형태의 용기 세트를 분리할 수 있는 용기분리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2007A (ja) * 2000-01-04 2001-07-17 Furukawa Mfg Co Ltd 包装体に応じて調整可能なシール装置
KR101663646B1 (ko) * 2016-04-21 2016-10-07 (주)도형아이엠 오르막 경사 트윈 컨베이어 장치
KR20210058682A (ko) * 2019-11-13 2021-05-24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용기 공급 장치 및 용기 공급 방법
KR102265122B1 (ko) * 2019-12-18 2021-06-15 (주)씨엠에스코리아 자세 제어 및 연속적 순환공급이 가능한 부품 공급장치
KR102150362B1 (ko) * 2020-04-10 2020-09-01 함영식 용기 공급장치
KR20220136821A (ko) * 2021-04-01 2022-10-11 주식회사 그린테크놀로지 적층된 형태의 용기 세트를 분리할 수 있는 용기분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73337B (zh) 一种抓取式托盘自动分配装置
CN108453504B (zh) 变速箱全自动智能组装线
CN112249677B (zh) 一种同步上料流水线
CN108927646B (zh) 线圈体上料装置和电感元件自动组装设备
KR102624144B1 (ko) 알콜캔 캡 자동 분리공급장치
EP099915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stacking of products on a pallet
CN213292908U (zh) 封箱机的输送夹座智能预调节机构
CN110155729B (zh) 自动叠包设备
CN210366003U (zh) 一种装车机器人的停包分包总成
KR102199633B1 (ko) 반전유닛을 포함하는 박스스택용 피딩장치 및 피딩방법
CN111056317A (zh) 集装箱糖包码垛机
CN217534671U (zh) 蛋挞皮自动堆叠设备
CN115783789A (zh) 一种配合物流输送的货箱自动码垛机器人及其工作方法
CN108406309B (zh) 带有销钉自动装配机构的变速箱全自动智能组装线
CN108637672B (zh) 变速箱全自动智能组装工艺
KR20180057430A (ko) 회전 적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 적재 장치
CN219428485U (zh) 一种芝士脆生产包装机
CN217805548U (zh) 一种物料堆叠装置
CN217376270U (zh) 一种板材烘干下料设备
CN216736123U (zh) 一种排盘系统
CN215243215U (zh) 自动拆垛装置
KR20000051022A (ko) 인쇄기용 용지 배출장치
CN219970987U (zh) 料盘自动上料装置
CN219968648U (zh) 一种注塑机的下料装置及下料系统
CN116062428B (zh) 翻转提升机构与电池壳生产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