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792Y1 - 육묘상자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육묘상자 공급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5792Y1 KR200495792Y1 KR2020200000463U KR20200000463U KR200495792Y1 KR 200495792 Y1 KR200495792 Y1 KR 200495792Y1 KR 2020200000463 U KR2020200000463 U KR 2020200000463U KR 20200000463 U KR20200000463 U KR 20200000463U KR 200495792 Y1 KR200495792 Y1 KR 20049579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edling box
- supply
- seedling
- support frame
- entr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0—Devices for adjusting the seed-box ; Regulation of machines for depositing quantities at interva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63—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65G21/209—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for augmenting or creating a pression force between the load and the load-carrying surfa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Box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1—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 B65G2812/016—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for conveying material by co-operating units in tandem
- B65G2812/018—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for conveying material by co-operating units in tandem between conveyor sec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wing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육묘상자를 파종기로 공급하기 위한 육묘상자 공급장치에서 지지프레임의 단부에 설치되는 보조공급수단을 통해 육묘상자를 밀어서 파종기로 공급하여 육묘상자의 공급이 원활하도록 하고, 파종기로 공급되는 육묘상자 선단의 진입부를 눌러 육묘상자의 진입을 가이드함으로써 육묘상자가 상부로 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육묘상자가 파종기에 어려움 없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육묘상자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육묘상자를 파종기로 공급하기 위한 육묘상자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20)에는 이송수단(60)을 통해 파종기로 이송되는 육묘상자(1)의 공급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보조공급수단(80)이 더 설치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보조공급수단(80)은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일 측 단부에서 구동모터(61)의 축(61')에 축설되는 구동기어(81)와, 상기 구동기어(81)의 상부에서 구동기어(81)와 치합되는 종동기어(82)와, 상기 종동기어(82)가 설치되는 종동기어(82)의 축(82')에 축설되어 종동기어(82)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한 쌍의 공급롤러(83)와, 상기 공급롤러(83)의 일 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개재되는 스프링을 통해 이송되는 육묘상자(1)를 탄력지지하는 탄력지지부(84)로 이루어진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육묘상자를 파종기로 공급하기 위한 육묘상자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20)에는 이송수단(60)을 통해 파종기로 이송되는 육묘상자(1)의 공급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보조공급수단(80)이 더 설치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보조공급수단(80)은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일 측 단부에서 구동모터(61)의 축(61')에 축설되는 구동기어(81)와, 상기 구동기어(81)의 상부에서 구동기어(81)와 치합되는 종동기어(82)와, 상기 종동기어(82)가 설치되는 종동기어(82)의 축(82')에 축설되어 종동기어(82)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한 쌍의 공급롤러(83)와, 상기 공급롤러(83)의 일 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개재되는 스프링을 통해 이송되는 육묘상자(1)를 탄력지지하는 탄력지지부(84)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육묘상자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육묘상자를 파종기로 공급하기 위한 육묘상자 공급장치에서 지지프레임의 단부에 설치되는 보조공급수단을 통해 육묘상자를 밀어서 파종기로 공급하여 육묘상자의 공급이 원활하도록 하고, 파종기로 공급되는 육묘상자 선단의 진입부를 눌러 육묘상자의 진입을 가이드함으로써 육묘상자가 상부로 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육묘상자가 파종기에 어려움 없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육묘상자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묘기술에서 육묘는 일정한 규격을 갖는 육묘상자에 담겨져 파종기를 통해 흙과 볍씨를 파종하여 발아·육묘하게 되는데, 파종기에는 육묘상자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의 육묘상자 공급은 각각의 육묘상자를 작업자가 그대로 옮기거나 육묘상자를 공급장치를 통해 공급하게 된다.
이를 위한 종래의 육묘상자 공급장치에 의하면, 공급장치의 투입부 내에 적재된 육묘상자 중 최하단부의 육묘상자를 투입부의 양측에 구비된 타격링크가 타격하여 최하단부의 육묘상자를 파종기 측으로 자동 공급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육묘상자 공급장치는 투입부에 적재되는 육묘상자 간의 적층된 간격이 일정치 않고 규격이 서로 일정치 않아 육묘상자의 분리를 위한 타격링크가 최하단부 육묘상자를 타격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 위에 적층된 육묘상자에 걸림되는 경우가 발생되므로 투입부에 적재된 육묘상자가 분리되지 않는 오작동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적재되는 육묘상자가 무게 또는 육묘상자에 묻어 있는 흙 등의 이물질에 의해 서로 견고하게 끼어 있거나, 분리홈을 찾기 어려워 적재된 상태의 육묘상자가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한꺼번에 낙하하게 되고 이 경우 파종기로 이송하는 데 어려움이 발생하였으며, 적재된 상태의 육묘상자에서 최하단의 육묘상자부터 하나씩 분리할 때 바로 위에 적층된 육묘상자를 잡아줄 수 있는 마땅한 수단이 없어서 육묘상자가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한꺼번에 낙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 육묘상자 공급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육묘상자 공급장치가 특허 제10-1865478호로 제안된 바 있으나, 이와 같은 육묘상자 공급장치 역시 제조사마다 다른 규격과 형태로 형성되고, 오래되면 파손되거나 찌그러져 상태가 좋지 않은 육묘상자로 인해 이송수단을 통한 육묘상자의 공급에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또 공급되는 육묘상자를 파종기에 공급할 때 공급되는 육묘상자의 진입부, 즉 진입되는 육묘상자 선단의 진입부가 상부로 들리는 등의 형태 변형으로 인해 파종기에 걸리게 되어 육묘상자를 파종기에 공급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이에 육묘상자 공급장치에서 이송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육묘상자의 이송 및 파종기에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필요로 한다.
이에 본 고안의 상기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육묘상자 공급장치에서 지지프레임의 단부에 육묘상자를 밀어서 공급할 수 있는 보조공급수단을 추가로 설치하여 육묘상자를 파종기에 공급할 때, 제조사마다 규격이 다르고 상태가 좋지 않은 육묘상자를 지체됨 없이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육묘상자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육묘상자 공급장치를 통해 육묘상자를 파종기로 공급할 때, 공급되는 육묘상자 선단의 진입부를 눌러줌으로써 육묘상자 선단의 진입부가 상부로 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육묘상자가 파종기에 어려움 없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육묘상자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 일 측에 설치되어 육묘상자를 적층된 상태로 적재하기 위한 육묘상자 투입부와, 육묘상자 투입부에 적층된 상태로 적재된 육묘상자를 최하단의 육묘상자부터 차례로 하나씩 분리하여 낙하되도록 하기 위한 육묘상자 분리수단과, 육묘상자 분리수단을 통해 하나씩 차례로 분리되는 육묘상자를 파종기에 공급하기 위한 이송수단과, 지지프레임의 일 측에 설치되어 육묘상자 분리수단과 이송수단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 이루어져 육묘상자를 파종기로 공급하기 위한 육묘상자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측 상단에 설치되어 이송수단을 통해 파종기로 이송되는 육묘상자의 공급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보조공급수단과, 육묘상자를 파종기로 공급할 때 공급되는 육묘상자 선단의 진입부를 눌러 육묘상자의 파종기 진입을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 수단이 추가로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보조공급수단은 육묘상자를 파종기에 공급하기 위한 이송수단에서의 구동모터의 축에 구동롤러와 함께 축설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의 상부에서 구동기어에 치합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가 설치되는 종동기어축에 축설되어 종동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이송되는 육묘상자를 밀어 공급하는 한 쌍의 공급롤러와; 상기 공급롤러의 일 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개재되는 스프링을 통해 이송되는 육묘상자를 탄력지지하는 탄력지지부;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보조공급수단의 공급롤러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육묘상자와 마찰력을 높여 육묘상자의 이송이 원활하도록 합성수지재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가이드 수단은 봉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서 출몰되면서 파종기로 공급되는 육묘상자 선단의 진입부 양측을 눌러 진입을 가이드할 수 있는 한 쌍의 진입 가이드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고안에서는 진입 가이드를 육묘상자의 진입에 따라 봉 형태의 케이스에서 출몰되도록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직접 육묘상자 선단의 진입부 양 측을 눌러서 육묘상자의 진입을 가이드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육묘상자 공급장치의 이송수단 단부에 이송되는 육묘상자를 밀어서 공급할 수 있는 보조공급수단을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육묘상자를 파종기에 공급할 때 제조사마다 규격이 다르고, 상태가 좋지 않은 육묘상자를 지체됨 없이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육묘상자 공급장치를 통해 육묘상자를 파종기로 공급할 때 공급되는 육묘상자 선단의 진입부를 눌러줌으로써, 육묘상자 선단의 진입부가 상부로 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육묘상자가 파종기에 어려움 없이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육묘상자 공급장치에서 일부를 확대한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육묘상자 공급장치에서 보조공급수단의 작동을 보인 작동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육묘상자 공급장치에서 가이드 수단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육묘상자 공급장치에서 가이드 수단의 작동을 보인 작동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육묘상자 공급장치에서 보조공급수단의 작동을 보인 작동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육묘상자 공급장치에서 가이드 수단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육묘상자 공급장치에서 가이드 수단의 작동을 보인 작동상태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지지프레임(20)과, 지지프레임(20)에 설치되어 육묘상자(1)를 적층된 상태로 적재하기 위한 육묘상자 투입부(30)와, 육묘상자 투입부(30)에 적층된 상태로 적재된 육묘상자(1)를 최하단의 육묘상자(1)부터 차례로 하나씩 분리하여 낙하되도록 하기 위한 육묘상자 분리수단(40)과, 육묘상자 분리수단(40)을 통해 하나씩 차례로 분리되는 육묘상자(1)를 파종기에 공급하기 위한 이송수단(60)과, 지지프레임(20)의 일 측에 설치되어 육묘상자 분리수단(40)과 이송수단(6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70);로 이루어져 육묘상자를 파종기로 공급하기 위한 육묘상자 공급장치(10)를 구비한다.
이때 육묘상자(1)를 파종기로 공급하기 위한 이송수단(60)은 지지프레임(20)에 설치되는 구동모터(61)와, 구동모터(61)와 연결 설치되는 구동롤러(62), 구동롤러(62)에 연결 설치되어 구동롤러(62)의 회전력을 통해 회전되면서 육묘상자(1)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벨트(64)로 이루어진다.
이어 상기 육묘상자 공급장치(10)의 지지프레임(20) 상부에는 이송수단(60)의 이송벨트(64)를 통해 파종기로 이송되는 육묘상자(1)를 강제로 밀어서 공급함으로써, 육묘상자(1)의 공급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보조공급수단(80)과, 육묘상자(1)를 파종기로 공급할 때 공급되는 육묘상자(1) 선단의 진입부를 눌러주어 육묘상자(1)의 파종기 진입을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 수단(90)을 추가로 설치한다.
이때 파종기로 이송되는 육묘상자(1)의 공급을 더욱 원활하게 하기 위한 상기 보조공급수단(80)은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일 측 단부에서 구동롤러(62)가 축설되는 구동모터(61)의 축(61')에 구동기어(81)를 축설하고, 상기 구동기어(81)의 상부에는 종동기어(82)를 구동기어(81)와 치합되도록 설치한다.
이어 상기 종동기어(82)가 설치되는 종동기어(82)의 축(82')에는 한 쌍의 공급롤러(83)를 축설하여 종동기어(82)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도록 한다.
또 상기 공급롤러(83)의 일 측에는 내부에 개재되는 스프링을 통해 이송되는 육묘상자(1)를 탄력지지하는 탄력지지부(84)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 가이드 수단(90)은 봉 형태로 형성되어 이송벨트(64)가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0) 상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케이스(91)와, 파종기로 공급되는 육묘상자(1) 선단의 진입부 양측을 눌러 진입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케이스(91)에서 출몰되는 한 쌍의 진입 가이드(92)로 이루어진다.
이때 진입 가이드(92)를 본 고안에서는 육묘상자(1)의 진입에 따라 봉 형태의 케이스(91)에서 출몰되는 방식으로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케이스(91) 없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육묘상자(1)의 진입을 가이드할 수 있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고안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육묘상자 공급장치에 의하면,
육묘상자 공급장치(10)에서 이송수단(60)의 이송벨트(64)를 통해 육묘상자(1)가 파종기로 이송되어 공급될 때, 제조사마다 규격이 다르고 상태가 좋지 않은 육묘상자(1)를 지체됨 없이 보다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송수단(60)의 구동모터(61) 구동에 따라 이송벨트(64)가 구동하게 되면, 지지프레임(20) 상부에 설치되는 보조공급수단(80) 역시 구동모터(61)의 구동에 따라 함께 작동된다.
즉 이송수단(60)의 이송벨트(64) 구동을 위해 구동모터(61)가 구동되면, 구동모터(61)의 축(61')에 구동롤러(62)와 함께 축설되는 구동기어(81)가 회전함과 동시에 구동기어(81)에 치합된 종동기어(82)가 연동되어 회전된다.
이에 따라 종동기어(82)에 함께 축설된 한 쌍의 공급 롤러(83)가 회전되면서 이송벨트(64)를 통해 파종기로 공급되는 육묘상자(1)를 강제로 밀어서 파종기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공급롤러(83)의 일 측에 설치되어 내부에 스프링이 개재되는 탄력지지부(84)를 통해 이송되는 육묘상자(1)를 탄력지지하게 된다.
즉 한 쌍의 공급롤러(83)의 일 측에 설치되는 탄력지지부(84)가 내부에 개재되는 스프링을 통해 공급롤러(83)가 육묘상자(1) 상부에 긴밀히 접촉할 수 있도록 상부에서 눌러주게 되어 다양한 형태의 육묘상자(1)에 대응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탄력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제조사마다 규격이 다르고 상태가 좋지 않은 육묘상자(1)를 강제로 밀어 공급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육묘상자(1)를 지체됨 없이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공급되는 육묘상자(1)를 파종기에 공급할 때, 공급되는 육묘상자(1) 선단의 진입부를 눌러 육묘상자(1)의 파종기 진입을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 수단(90)을 지지프레임(20) 상부에 더 설치함에 따라 파종기로 진입되는 육묘상자(1) 선단의 진입부가 상부로 들리는 등의 형태 변형으로 인해 파종기에 걸리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즉 육묘상자(1)를 파종기로 공급할 때, 상기 지지프레임(20) 상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케이스(91)에서 설치되는 한 쌍의 진입 가이드(92)가 파종기로 공급되는 육묘상자(1) 선단의 진입부 양측을 눌러 진입을 가이드함에 따라 오래 되거나 형태가 변형된 육묘상자(1) 선단의 진입부가 상부로 들리게 됨에 따라 파종기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파종기에 육묘상자(1)의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또는/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오로지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육묘상자 10 : 육묘상자 공급장치
20 : 지지프레임 30 : 육묘상자 투입부
40 : 육묘상자 분리수단 60 : 이송수단
61 : 구동모터 61 ' : 구동모터축
62 : 구동롤러 64 : 이송벨트
70 : 제어부 80 : 보조공급수단
81 : 구동기어 82 : 종동기어
82' : 종동기어축 83 : 공급롤러
84 : 탄력지지부 90 : 가이드 수단
91 : 케이스 92 : 진입 가이드
20 : 지지프레임 30 : 육묘상자 투입부
40 : 육묘상자 분리수단 60 : 이송수단
61 : 구동모터 61 ' : 구동모터축
62 : 구동롤러 64 : 이송벨트
70 : 제어부 80 : 보조공급수단
81 : 구동기어 82 : 종동기어
82' : 종동기어축 83 : 공급롤러
84 : 탄력지지부 90 : 가이드 수단
91 : 케이스 92 : 진입 가이드
Claims (4)
- 지지프레임(20)과, 지지프레임(20) 일 측에 설치되어 육묘상자(1)를 적층된 상태로 적재하기 위한 육묘상자 투입부(30)와, 육묘상자 투입부(30)에 적층된 상태로 적재된 육묘상자(1)를 최하단의 육묘상자(1)부터 차례로 하나씩 분리하여 낙하되도록 하기 위한 육묘상자 분리수단(40)과, 육묘상자 분리수단(40)을 통해 하나씩 차례로 분리되는 육묘상자(1)를 파종기에 공급하기 위한 이송수단(60)과, 지지프레임(20)의 일 측에 설치되어 육묘상자 분리수단(40)과 이송수단(6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70);로 이루어져 육묘상자를 파종기로 공급하기 위한 육묘상자 공급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20)에는 이송수단(60)을 통해 파종기로 이송되는 육묘상자(1)를 강제로 밀어서 공급하여 육묘상자(1)의 공급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보조공급수단(80)과,
육묘상자(1)를 파종기로 공급할 때, 공급되는 육묘상자(1) 선단의 진입부를 눌러 육묘상자(1)의 파종기 진입을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 수단(90)이 더 설치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 수단(90)은 봉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20) 상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케이스(91)와, 상기 케이스(91)에서 설치되어 파종기로 공급되는 육묘상자(1) 선단의 진입부 양측을 눌러 진입을 가이드할 수 있는 한 쌍의 진입 가이드(92)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공급수단(80)은,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일 측 단부에서 구동모터(61)의 축(61')에 구동롤러(62)와 함께 축설되는 구동기어(81)와, 상기 구동기어(81)의 상부에서 구동기어(81)와 치합되는 종동기어(82)와, 상기 종동기어(82)가 설치되는 종동기어(82)의 축(82')에 축설되어 종동기어(82)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한 쌍의 공급롤러(83)와, 상기 공급롤러(83)의 일 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개재되는 스프링을 통해 이송되는 육묘상자(1)를 탄력지지하는 탄력지지부(8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상자 공급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00000463U KR200495792Y1 (ko) | 2020-02-10 | 2020-02-10 | 육묘상자 공급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00000463U KR200495792Y1 (ko) | 2020-02-10 | 2020-02-10 | 육묘상자 공급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1861U KR20210001861U (ko) | 2021-08-19 |
KR200495792Y1 true KR200495792Y1 (ko) | 2022-08-19 |
Family
ID=77492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00000463U KR200495792Y1 (ko) | 2020-02-10 | 2020-02-10 | 육묘상자 공급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5792Y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94270Y1 (ko) * | 2000-04-11 | 2000-09-01 | 구진섭 | 종자 파종기에 있어서 육묘상자의 이송장치 |
KR200203334Y1 (ko) * | 2000-05-19 | 2000-11-15 | 구진섭 | 육모상자 동력이송용 볍씨파종기의 상자누름장치 |
KR200298987Y1 (ko) * | 2002-09-27 | 2002-12-31 | 구진섭 | 볍씨파종기용 흙공급장치의 상자누름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5478B1 (ko) | 2016-08-23 | 2018-06-08 | 정지현 | 육묘상자 투입장치 |
-
2020
- 2020-02-10 KR KR2020200000463U patent/KR200495792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94270Y1 (ko) * | 2000-04-11 | 2000-09-01 | 구진섭 | 종자 파종기에 있어서 육묘상자의 이송장치 |
KR200203334Y1 (ko) * | 2000-05-19 | 2000-11-15 | 구진섭 | 육모상자 동력이송용 볍씨파종기의 상자누름장치 |
KR200298987Y1 (ko) * | 2002-09-27 | 2002-12-31 | 구진섭 | 볍씨파종기용 흙공급장치의 상자누름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1861U (ko) | 2021-08-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47573B1 (ko) | 육묘상자 공급장치 | |
KR20170012493A (ko) |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 | |
KR200472722Y1 (ko) | 육묘상자 적층 및 적출기 | |
KR101982027B1 (ko) | 파종기용 흙 공급장치 | |
KR101865478B1 (ko) | 육묘상자 투입장치 | |
KR101936280B1 (ko) | 육묘상자 인출장치 | |
KR102242222B1 (ko) | 푸셔를 구비한 육묘상자 공급장치 | |
KR200422866Y1 (ko) | 파종기용 육묘상자의 공급장치 | |
KR200495792Y1 (ko) | 육묘상자 공급장치 | |
KR20160137923A (ko) | 육묘상자 적재장치 | |
KR20120072480A (ko) | 파종용 씨앗공급장치 | |
KR200469522Y1 (ko) | 육묘상자 공급기 | |
KR101042773B1 (ko) | 파종용 씨앗공급기 | |
KR101843697B1 (ko) | 육묘상자 적재장치 | |
JP6666833B2 (ja) | 播種機 | |
KR102393135B1 (ko) | 육묘상자 자동 투입장치 | |
KR200194270Y1 (ko) | 종자 파종기에 있어서 육묘상자의 이송장치 | |
JP6016272B2 (ja) | 空箱収納容器を備えた移植機 | |
JP4825027B2 (ja) | 鎮圧機構及び播種装置 | |
KR101698297B1 (ko) | 육묘상자 적재장치 | |
JP2006129812A (ja) | 播種機 | |
JP5795044B2 (ja) | 搬送破砕装置 | |
JP2007029028A (ja) | 苗移植機 | |
KR101566676B1 (ko) | 씨앗이탈방지구를 갖는 파종용 씨앗공급장치 | |
JP2012039921A (ja) | 球根類の植付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