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697B1 - 육묘상자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육묘상자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697B1
KR101843697B1 KR1020170183782A KR20170183782A KR101843697B1 KR 101843697 B1 KR101843697 B1 KR 101843697B1 KR 1020170183782 A KR1020170183782 A KR 1020170183782A KR 20170183782 A KR20170183782 A KR 20170183782A KR 101843697 B1 KR101843697 B1 KR 101843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box
loading
seedling box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병
Original Assignee
박종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병 filed Critical 박종병
Priority to KR1020170183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6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0Devices for adjusting the seed-box ; Regulation of machines for depositing quantities at interv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085Broadcast see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30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 B65G57/301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by means of reciprocatory or oscillatory lifting and holding or gripping devices
    • B65G57/3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by means of reciprocatory or oscillatory lifting and holding or gripping devices added articles being lifted to substantially stationary grippers or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볍씨가 파종된 육묘상자를 이송·적재하기 위한 이송컨베이어를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적재된 육묘상자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하며, 이송컨베이어의 적재부 상부에 수평프레임을 설치하여 적층되는 육묘상자가 항상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한쪽으로 치우침 없이 안전한 인출이 가능하도록 한 육묘상자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육묘상자를 적재하는 육묘상자 적재장치에 있어서, 고정된 높이로 공급되는 파종기에서 파종된 육묘상자(1)를 이송시키기 위해 구동모터(21)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축(24)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일측이 높게 형성되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이송컨베이어(2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20)의 일측에 구비되며 이송되어 온 육묘상자(1)를 적재하기 위한 적재부와; 상기 이송컨베이어(20)의 적재부(30) 하단에 설치되어 적재부(30)로 이송되어 온 육묘상자(1)를 차례로 리프팅시켜 적층하기 위한 리프팅수단(40)과; 상기 적재부(30) 상부에 설치되어 리프팅수단(40)을 통해 적층되는 육묘상자(1)를 수평으로 지지하기 위한 수평프레임(50);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육묘상자 적재장치{Loading apparatus of seeding box}
본 발명은 육묘상자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볍씨가 파종된 육묘상자를 이송·적재하기 위한 이송컨베이어를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적재된 육묘상자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하며, 이송컨베이어의 적재부 상부에 수평프레임을 설치하여 적층되는 육묘상자가 항상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한쪽으로 치우침 없이 안전한 인출이 가능하도록 한 육묘상자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묘는 어린 작물의 어린 식물인 모나 모종을 비교적 고밀도로 집약 육성시키는 것을 말하며, 이러한 작물의 어린 식물은 기상 상태나 잡초 또는 각종 병충해와 같은 환경의 영향을 받기 쉬우므로 모나 모종을 논이나 밭에 직접 파종하는 대신 육묘상자에 종자를 뿌려 싹을 틔운 후 이를 논에 옮겨 심는 방식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초기의 종자가 집약적인 관리·보호를 받을 수 있어 재배관리에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즉 육묘기술은 생육 기간을 연장하고 묘를 관리할 때에 직파하는 데 비하여 관리가 편리하며, 수량 및 품질 증진에 많은 효과가 있어 대부분의 채소는 육묘상자에 육묘 후 재배지에 내어다 제대로 심는 정식(定植) 재배법이 일반화되어 있다. 묘를 육묘할 때에 온도·습도·상토·육묘상자의 모양 등의 환경 변화에 따라 묘의 품질과 정식 후의 생장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육묘기술에서 육묘는 일정한 규격을 갖는 육묘상자에 파종기를 통해 흙과 볍씨를 파종하여 발아·육묘하게 되며, 이러한 육묘상자의 이송은 각개 육묘 상자 그대로 작업자가 옮기거나, 육묘상자가 종자에 비하여 부피가 크고 내부의 식물이 싹을 틔운 상태여서 별도의 이송장치를 통해 이송하여 적재한 다음 적층된 육묘상자를 이송하게 된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육묘상자 적재장치에 의하면, 파종기로부터 육묘상자 내에 흙 및 씨앗을 공급받은 육묘상자를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이송롤러를 통해 적재부로 이송하여 적재되도록 하고, 이어 계속적으로 이송되어 온 육묘상자를 승강하여 차례로 적층한 다음 적층된 육묘상자를 들어 인출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육묘상자 적재장치에 의하면, 흙과 볍씨가 파종된 육묘상자를 공급하기 위한 파종기의 높이가 일정하여 항상 고정된 높이로 육묘상자를 공급하게 되고, 육묘상자를 이송하여 적재하기 위한 적재장치 역시 일정한 높이의 파종기의 높이에 맞춰 수평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이송롤러를 통해 이송되어 적층된 육묘상자를 인출하고자 할 때 작업자가 허리를 숙여 인출하게 되고 이러한 동작이 반복됨에 따라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되며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 육묘상자의 적층을 위한 승강프레임의 승강이 승강실린더에 의해서만 승강됨에 따라 정확한 승강이 이뤄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39193호(2011. 05. 30.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흙과 볍씨가 파종된 육묘상자를 이송·적재하기 위한 이송컨베이어에서 적재부를 높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육묘상자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육묘상자 적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육묘상자의 적층을 위한 승강프레임의 승강을 모터 구동에 따른 캠의 회전과 실린더를 이용하여 동시에 승강되도록 함으로써 육묘상자 적층을 위한 승강프레임의 정확한 승강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한 육묘상자 적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육묘상자가 적층되는 수평프레임 하단에 수평유지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불규칙한 지면에도 불구하고 적층되는 육묘상자가 항상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한쪽으로 치우침 없이 안전한 인출이 가능하도록 한 육묘상자 적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육묘상자의 리프팅을 가이드하기 위한 승강가이드를 수평프레임에서 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육묘상자와 접촉하는 부분을 회전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육묘상자를 리프팅시켜 적층 시 리프팅되는 육묘상자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상승된 육묘상자의 최고점과 승강가이드의 높이차를 최소화하여 육묘상자가 높이차로 인해 흔들리거나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육묘상자 적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적층된 육묘상자를 인출하기 위한 적재부 상단 일측에 이송롤러를 설치함으로써 적층된 육묘상자를 부드럽게 이송하여 인출할 수 있도록 한 육묘상자 적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육묘상자를 적재하는 육묘상자 적재장치에 있어서,
고정된 높이로 공급되는 파종기에서 파종된 육묘상자를 이송시키기 위해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축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일측이 높게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일측에 구비되며 파종기로부터 이송되어 온 육묘상자를 적재하기 위한 적재부와;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적재부 하단에 설치되어 적재부로 이송되어 온 육묘상자를 차례로 리프팅시켜 적층하기 위한 리프팅수단과;
상기 적재부 상부에 설치되어 리프팅수단을 통해 적층되는 육묘상자를 수평으로 지지하기 위한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이송컨베이어는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구동기어에 연결 설치되는 체인과 같은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회전축과 그 회전축에 설치되는 이송롤러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단부의 적재부 상·하부에는 이송되는 육묘상자의 이송과 승강을 제어하는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에서 적재부 상부에 설치되는 상승 리미트스위치는 이송되는 육묘상자의 이송과 리프팅수단에서의 승강프레임의 상승을 제어하고, 적재부 하부에 설치되는 중지 리미트스위치는 리프팅수단에서의 승강프레임의 승강을 멈추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 상기 적재부에는 이송롤러를 통해 이송되어 리프팅수단에 의해 적층되는 육묘상자를 가이드하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적층가이드가 리프팅되는 육묘상자의 각 모서리부에 기립되게 설치된다.
또 상기 리프팅수단은 이송컨베이어 일측의 적재부 하단에 설치되어 적재부에 이송되어진 육묘상자를 리프팅하여 적층시키는 승강프레임과, 상기 승강프레임 내측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부 상·하부의 상승 및 중지 리미트스위치 작동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축설되는 구동기어 및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의 양단에 축설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는 한 쌍의 캠과, 상기 캠의 외측과 승강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캠의 회전에 따라 승강프레임을 리프팅되도록 하는 한 쌍의 로드와, 상기 승강프레임의 저면에 기립되게 설치되어 캠의 회전에 따른 로드의 리프팅과 동시에 인출되면서 승강프레임을 리프팅되도록 하는 승강실린더;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수평 프레임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이송컨베이어 일측의 적재부 상단에 설치되며, 일측 하단에 항상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수평조절장치가 설치되어 승강수단으로 통해 상승된 육묘상자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상승된 육묘상자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사용되는 수평조절구는 수평프레임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도 가능하다.
또 상기 수평프레임에는 리프팅수단을 통해 상승되는 육묘상자가 흔들리거나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승강가이드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승강가이드는 수평프레임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설치되는 축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축에 결합되는 복원스프링을 통해 복원 가능하게 설치되며, 리프팅수단을 통해 육묘상자가 리프팅될 때 승강되는 육묘상자의 최고점과 승강가이드의 높이차를 최소화하여 리프팅되는 육묘상자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리프팅을 부드럽게 가이드할 수 있도록 육묘상자와 접촉되는 부분이 회전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 적재부 상부에는 적층되는 육묘상자가 어긋나거나 이탈됨 없이 반듯하게 적층될 수 있도록 적층가이드가 기립되게 설치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흙과 볍씨가 파종된 육묘상자를 이송·적재하기 위한 이송컨베이어에서 적재부를 높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육묘상자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육묘상자의 적층을 위한 승강프레임의 승강을 모터 구동에 따른 캠의 회전과 실린더를 이용하여 동시에 승강되도록 함으로써 육묘상자 적층을 위한 승강프레임의 정확한 승강이 이뤄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육묘상자가 적층되는 수평프레임 하단에 수평유지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불규칙한 지면에도 불구하고 적층되는 육묘상자가 항상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한쪽으로 치우침 없이 안전하게 인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육묘상자의 리프팅을 가이드하기 위한 승강가이드를 수평프레임에서 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육묘상자와 접촉하는 부분을 회전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육묘상자를 리프팅시켜 적층 시 리프팅되는 육묘상자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상승된 육묘상자의 최고점과 승강가이드의 높이차를 최소화하여 육묘상자가 높이차로 인해 흔들리거나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적층된 육묘상자를 인출하기 위한 적재부 상단 일측에 이송롤러를 설치함으로써 적층된 육묘상자를 부드럽게 이송하여 인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육묘상자 적재장치를 보인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육묘상자 적재장치를 보인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육묘상자 적재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육묘상자 적재장치에서의 승강프레임의 승강을 위한 리프팅수단을 보인 일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육묘상자 적재장치의 수평프레임을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육묘상자 적재장치에서 승강가이드를 보인 사시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육묘상자 적재장치에서 승강가이드의 일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육묘상자 적재장치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흙과 볍씨를 파종할 수 있는 직사각형 형상의 육묘상자(1)를 구비한다.
이어 고정된 높이에서 항상 일정한 높이로 공급되는 파종기에서 파종된 육묘상자(1)를 이송시키기 위해 구동모터(21)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축(24)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이송컨베이어(20)를 설치한다.
이때 이송컨베이어(20) 일측, 즉 항상 고정된 높이로 육묘상자(1)를 공급하는 파종기가 설치되는 반대쪽의 적재부(30) 측을 높게 상향 경사지게 형성함에 따라 적재된 육묘상자(1)의 인출이 용이하여 장시간 작업에도 작업자의 피로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이송컨베이어(20)는 구동모터(21)의 구동에 따라 구동기어(22)에 연결 설치되는 체인(23)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회전축(24)과, 그 회전축(24)에 설치되어 회전축(24)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육묘상자(1)를 이송하는 이송롤러(25)로 이루어진다.
이어 상기 이송컨베이어(20)의 일측에는 파종기로부터 이송되어 온 육묘상자(1)를 적재하기 위한 적재부(30)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이송컨베이어(20) 단부의 적재부(30) 상·하부에 육묘상자(1)와의 접촉됨을 감지하여 육묘상자(1)의 이송과 승강을 제어할 수 있는 상승 및 중지 리미트스위치(32a)(32b)를 설치한다.
즉 상기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32a)(32b)에서 적재부(30) 상부에는 이송컨베이어(20)에서의 육묘상자(1)의 이송과 리프팅수단(40)에서의 승강프레임(41)의 상승을 제어할 수 있는 상승 리미트스위치(32a)를 설치하고, 적재부(30) 하부에는 리프팅수단(40)에서의 승강프레임(41)의 승강을 멈추도록 하는 중지 리미트스위치(32b)를 설치한다.
이어 상기 이송컨베이어(20)의 적재부 하단에는 적재부(30)로 이송되어 온 육묘상자(1)를 차례로 리프팅시켜 적층하기 위한 리프팅수단(40)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리프팅수단(40)은 이송컨베이어(20) 일측의 적재부(30) 하단에 설치되어 적재부(30)에 이송되어진 육묘상자(1)를 리프팅하여 적층시키는 승강프레임(41)과, 상기 승강프레임(41) 내측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부(30) 상·하부의 상승 및 중지 리미트스위치(32a)(32b) 작동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모터(42)와, 상기 구동모터(42)에 축설되는 구동기어(43) 및 종동기어(44)와, 상기 종동기어(44)의 양단에 축설되어 구동모터(42)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는 한 쌍의 캠(46a)(46b)과, 상기 캠(46a)(46b)의 외측과 승강프레임(41) 사이에 설치되어 캠(46a)(46b)의 회전에 따라 승강프레임(41)을 리프팅되도록 하는 한 쌍의 로드(47a)(47b)와, 상기 승강프레임(41)의 저면에 기립되게 설치되어 캠(46a)(46b)의 회전에 따른 로드(47a)(47b)의 리프팅과 동시에 인출되면서 승강프레임(41)을 리프팅되도록 하는 승강실린더(48);로 이루어진다.
이어 상기 적재부(30) 상부에는 리프팅수단(40)을 통해 적층되는 육묘상자(1)를 수평으로 지지하기 위한 수평프레임(50)을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수평프레임(50)의 일측 하단에 수평프레임(50)의 수평을 항상 유지하기 위한 수평조절구(51)가 설치되어 리프팅수단(40)으로 통해 상승된 육묘상자(1)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상승된 육묘상자(1)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 상기 수평프레임(50)에는 리프팅수단(40)을 통해 상승되는 육묘상자(1)가 흔들리거나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승강가이드(52)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승강가이드(52)는 수평프레임(50)에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 설치되는 축(53)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되, 축(53)에 결합되는 복원스프링(54)을 통해 복원될 수 있도록 설치한다.
또 리프팅수단(40)을 통해 육묘상자(1)가 리프팅될 때 승강되는 육묘상자(1)의 최고점과 승강가이드(52)의 높이차를 최소화하여 리프팅되는 육묘상자(1)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리프팅을 부드럽게 가이드할 수 있도록 육묘상자(1)와 접촉되는 부분을 회전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한다.
한편 상기 적재부(30)에는 적층가이드(33)를 설치하여 리프팅수단(40)에 의해 적층되는 육묘상자(1)를 가이드하며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적재부(30) 상단 일측에 이송롤러(56)를 설치하여 적층된 육묘상자(1)를 부드럽게 인출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육묘상자 적재장치는,
흙과 볍씨가 파종된 육묘상자를 적재장치(10)의 이송컨베이어(20)에 설치되는 이송롤러(25) 상부에 올려놓게 되면, 구동모터(21)의 구동에 따른 구동기어(22) 및 체인(23)이 회전되면서 회전축(24)이 회전됨과 동시에 육묘상자(1)가 올려진 상태의 이송롤러(25)가 회전되면서 육묘상자(1)를 일측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이송컨베이어(20) 일측의 적재부(30)로 이송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된 높이의 파종기에서 공급되는 육묘상자(1)를 적재부(30)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컨베이어(20)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육묘상자(1)의 인출이 용이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작동으로 육묘상자(1)가 적재부(30)로 이송되면, 이송되어 온 육묘상자(1)는 적재부(30) 상부에 설치되어 리프팅수단(40)의 승강프레임(41)의 상승을 위한 상승 리미트스위치(32a)에 접촉되면서 이송컨베이어(20)를 통한 육묘상자(1)의 이송이 멈춤과 동시에 적재부(30) 하단의 리프팅수단(40)이 작동되어 적재부(30)의 육묘상자(1)가 리프팅되게 된다.
즉 이송컨베이어(20)를 통해 이송되는 육묘상자(1)가 적재부(30) 상부의 상승 리미트스위치(32a)와 접촉되면, 적재부(30) 하단에 설치되는 리프팅수단(40)의 구동모터(42)가 구동되면서 구동모터(42)에 축설되는 구동기어(43) 및 종동기어(44)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작동에 따라 상기 종동기어(44)가 회전하게 되면, 그 종동기어(44) 양단에 축설되는 한 쌍의 캠(46a)(46b)이 구동모터(42)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게 되고, 이에 따라 한 쌍의 캠(46a)(46b)에 설치되는 로드(47a)(47b)가 상·하방향으로 운동하면서 로드(47a)(47b) 단부에 설치되는 승강프레임(41)을 리프팅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승강프레임(41) 저면에 기립되게 설치된 승강실린더(48)에서 로드가 인출되어 승강프레임(41)을 리프팅하게 되면서 적재부(30)에 적재된 육묘상자(1)를 적층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작동으로 적재부(30)에 적재된 육묘상자(1)를 적층한 후, 리프팅수단(40)의 작동은 구동모터(42)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는 한 쌍의 캠(46a)(46b)에서 일측의 캠(46b)이 적재부(30) 하부에 설치되어 리프팅수단(40)의 승강프레임(41)의 승강을 중지하는 중지 리미트스위치(32b)와 접촉되면서 구동모터(42)의 구동을 멈추어 캠(46b)의 회전을 중지시키게 되고 이와 동시에 승강실린더(48) 역시 승강을 멈추게 된다.
따라서 육묘상자(1)의 적층을 위한 승강프레임(41)이 한 쌍의 캠(46a)(46b)과 승강실린더(48)의 승강에 따라 규칙적이면서도 정확한 승강을 할 수 있게 되어 육묘상자(1)의 흔들림과 불규칙한 승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리프팅수단(40)을 통해 육묘상자(1)를 리프팅하여 적층할 때 리프팅되는 육묘상자(1)는 수평프레임(50)에 설치되는 승강가이드(52)를 통해 리프팅을 가이드하게 됨에 따라 육묘상자(1)가 흔들리거나 튈 우려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리프팅수단(40)을 통해 리프팅되는 육묘상자(1)는 수평프레임(50)에 복수 개 설치되는 승강가이드(52)와 접촉되면서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승강가이드(52)는 육묘상자(1)와 접촉되는 부분이 회전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육묘상자(1)와 접촉됨과 동시에 축(53)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육묘상자(1)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리프팅 되는 육묘상자(1)가 흔들리거나 튈 우려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승강가이드(52)가 회전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리프팅되는 육묘상자(1)를 가이드하게 됨에 따라 리프팅수단(40)을 통해 리프팅되는 육묘상자(1)의 최고점과 승강가이드(52)의 높이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육묘상자(1)가 높이차로 인해 튀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작동으로 육묘상자(1)의 리프팅이 완료되면 회전된 상태의 승강가이드(52)는 축(53)에 결합되는 복원스프링(54)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게 된다.
한편 도 7은 리프팅되는 육묘상자(1)를 가이드하기 위한 승강가이드(52)의 다른 실시례를 보인 것으로, 수평프레임(50)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고정브라켓(56)에 육묘상자(1)와 접촉하는 단부가 곡면으로 형성되는 접촉부(55)를 스프링(57)에 의해 출몰되도록 함으로써 리프팅되는 육묘상자(1)를 부드럽게 가이드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적재장치(10)가 설치되는 지면에 따라 적재부(30) 상단에 설치되는 수평프레임(50)의 수평이 맞지 않을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위해 수평프레임(50)의 일측 하단에 수평조절구(51)를 설치함에 따라 설치 장소의 지면 경사에 상관없이 항상 적층되는 육묘상자(1)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적층되는 육묘상자(1)의 수평을 항상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작동으로 리프팅된 육묘상자(1)는 계속적인 반복 작업으로 적재부(30)에 적층된 상태가 되고, 일정 높이로 적층되면 사용자가 적층된 육묘상자(1)를 인출하게 된다. 이때 적재부(30) 상부에 적층가이드(33)를 기립되게 설치함에 따라 적층되는 육묘상자(1)가 어긋나거나 이탈됨 없이 반듯하게 적층되게 된다.
한편 적재부(30) 상단 일측에는 적층된 육묘상자(1)를 인출하기 위한 이송롤러(56)를 설치하게 되면 적층된 육묘상자(1)를 부드럽게 인출하여 이송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또는/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오로지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육묘상자 10 : 적재장치
20 : 이송컨베이어 21 : 구동모터
22 : 구동기어 23 : 체인
24 : 회전축 25 : 이송롤러
30 : 적재부 32a : 상승 리미트스위치
32b : 중지 리미트스위치 33 : 적층가이드
40 : 리프팅수단 41 : 승강프레임
42 : 구동모터 43 : 구동기어
44 : 종동기어 46a, 46b : 캠
47a, 47b : 로드 48 : 승강실린더
50 : 수평프레임 51 : 수평조절구
52 : 승강가이드 53 : 축
54 : 복원스프링 56 : 고정브라켓
55 : 접촉부 57 : 스프링

Claims (7)

  1. 육묘상자를 적재하는 육묘상자 적재장치에 있어서,
    고정된 높이로 공급되는 파종기에서 파종된 육묘상자(1)를 이송시키기 위해 구동모터(21)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축(24)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일측이 높게 형성되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이송컨베이어(2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20)의 일측에 구비되며 이송되어 온 육묘상자(1)를 적재하기 위한 적재부(3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20)의 적재부(30) 하단에 설치되어 적재부(30)로 이송되어 온 육묘상자(1)를 차례로 리프팅시켜 적층하기 위한 리프팅수단(40)과;
    상기 적재부(30) 상부에 설치되어 리프팅수단(40)을 통해 적층되는 육묘상자(1)를 수평으로 지지하기 위한 수평프레임(50)과;
    상기 수평프레임(50)에 설치되어 리프팅수단(40)을 통해 리프팅되는 육묘상자(1)가 흔들리거나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승강가이드(52);로 이루어지되,
    상기 승강가이드(52)는 수평프레임(50)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설치되는 축(53)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축(53)에 결합되는 복원스프링(54)을 통해 복원 가능하게 설치되며, 육묘상자(1)가 리프팅될 때 리프팅되는 육묘상자(1)의 최고점과 승강가이드(52)의 높이차를 최소화하여 리프팅되는 육묘상자(1)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리프팅을 부드럽게 가이드할 수 있도록 육묘상자(1)와 접촉되는 부분이 회전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상자 적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20) 단부의 적재부(30) 상·하부에는 이송되는 육묘상자(1)의 이송을 제어하고 육묘상자(1)의 적층을 위한 승강프레임(41)의 상승을 위한 상승 리미트스위치(32a) 및 육묘상자(1)의 적층을 위한 승강프레임(41)의 승강을 중지하는 중지 리미트스위치(32b)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상자 적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수단(40)은 이송컨베이어(20) 일측의 적재부(30) 하단에 설치되어 적재부(30)에 이송되어진 육묘상자(1)를 리프팅하여 적층시키는 승강프레임(41)과, 상기 승강프레임(41) 내측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부(30) 상·하부의 리미트스위치(32a)(32b) 작동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모터(42)와, 상기 구동모터(42)에 축설되는 구동기어(43) 및 종동기어(44)와, 상기 종동기어(44)의 양단에 축설되어 구동모터(42)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는 한 쌍의 캠(46a)(46b)과, 상기 캠(46a)(46b)의 외측과 승강프레임(41) 사이에 설치되어 캠(46a)(46b)의 회전에 따라 승강프레임(41)을 리프팅되도록 하는 한 쌍의 로드(47a)(47b)와, 상기 승강프레임(41)의 저면에 기립되게 설치되어 캠(46a)(46b)의 회전에 따른 로드(47a)(47b)의 리프팅과 동시에 인출되면서 승강프레임(41)을 리프팅되도록 하는 승강실린더(4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상자 적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50)의 일측 하단에는 상승된 육묘상자(1)가 지면에 관계없이 항상 수평을 유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수평조절구(5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상자 적재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가이드(52)는 수평프레임(50)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고정브라켓(56)에 육묘상자(1)와 접촉하는 단부가 곡면으로 형성되는 접촉부(55)가 스프링(57)에 의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상자 적재장치.
KR1020170183782A 2017-12-29 2017-12-29 육묘상자 적재장치 KR101843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782A KR101843697B1 (ko) 2017-12-29 2017-12-29 육묘상자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782A KR101843697B1 (ko) 2017-12-29 2017-12-29 육묘상자 적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3697B1 true KR101843697B1 (ko) 2018-03-29

Family

ID=61907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782A KR101843697B1 (ko) 2017-12-29 2017-12-29 육묘상자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6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485A (ko) * 2018-08-01 2020-02-1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파종기용 모판 자동적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137928B1 (ko) * 2020-03-25 2020-07-24 구진섭 육묘상자 공급 및 회수장치
KR102175459B1 (ko) * 2020-05-14 2020-11-06 구진섭 육묘상자 다목적 이송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9415B1 (ko) * 2017-05-30 2017-12-14 구기현 육묘상자 적층장치용 승강구
JP7090918B2 (ja) * 2019-12-24 2022-06-27 株式会社大一商会 遊技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9415B1 (ko) * 2017-05-30 2017-12-14 구기현 육묘상자 적층장치용 승강구
JP7090918B2 (ja) * 2019-12-24 2022-06-27 株式会社大一商会 遊技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485A (ko) * 2018-08-01 2020-02-1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파종기용 모판 자동적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145426B1 (ko) 2018-08-01 2020-08-1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파종기용 모판 자동적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137928B1 (ko) * 2020-03-25 2020-07-24 구진섭 육묘상자 공급 및 회수장치
KR102175459B1 (ko) * 2020-05-14 2020-11-06 구진섭 육묘상자 다목적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835B1 (ko)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
KR101843697B1 (ko) 육묘상자 적재장치
KR102041505B1 (ko) 작물 이식 장치
KR102347573B1 (ko) 육묘상자 공급장치
KR200472722Y1 (ko) 육묘상자 적층 및 적출기
CN115676402A (zh) 一种农作物栽培营养土均匀铺种设备
KR20190084374A (ko) 육묘상자의 적층장치
JP6019897B2 (ja) 育苗方法
KR101809415B1 (ko) 육묘상자 적층장치용 승강구
JP2014027902A5 (ko)
KR102000345B1 (ko) 육묘상자의 적층장치
KR20220094378A (ko) 모판 자동 출하 시스템 장치
JPH07147857A (ja) 株間隔調整式移植装置およびその操作方法および栽培パネル
KR20190125661A (ko) 육묘상자 적재장치
KR20190053069A (ko)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
KR101698297B1 (ko) 육묘상자 적재장치
KR101985634B1 (ko) 모판 이송장치
KR102243934B1 (ko) 곤충 사육 및 식물 재배를 위한 디바이스
KR20190098433A (ko) 식물의 상하 이중재배가 가능한 승강식 고설 재배장치
KR102439042B1 (ko) 무 수확기용 피복 제거장치
JP3173948B2 (ja) 多用途播種プラント
KR20010102583A (ko) 묘이식장치
KR102080277B1 (ko) 채소류 육묘공정용 그물망컵 자동 디스펜서
KR102088208B1 (ko) 육묘상자 랩핑장치
JP2939600B2 (ja) 豆若野菜の刈取収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