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4374A - 육묘상자의 적층장치 - Google Patents

육묘상자의 적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4374A
KR20190084374A KR1020180002040A KR20180002040A KR20190084374A KR 20190084374 A KR20190084374 A KR 20190084374A KR 1020180002040 A KR1020180002040 A KR 1020180002040A KR 20180002040 A KR20180002040 A KR 20180002040A KR 20190084374 A KR20190084374 A KR 20190084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seedling
conveyor
stacked
seedl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선
Original Assignee
이홍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홍선 filed Critical 이홍선
Priority to KR1020180002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4374A/ko
Publication of KR20190084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3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0Devices for adjusting the seed-box ; Regulation of machines for depositing quantities at interv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9Handling or transporting of soil blocks or seed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30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묘상자가 컨베이어에 의하여 일정속도로 주행되어 적층될 위치에서 육묘상자가 승강판의 승강구동에 의하여 밀어 올려져, 사방의 적층유지기둥에 탄력있게 유지된 유지편들에 얹혀지도록 하는 일련의 승강판의 반복적인 승강구동에 의하여 육묘상자가 상기 적층유지기둥의 유지편들에 겹쳐져 쌓아 올려지도록 함에 있어서의 승강판이 구동원으로부터 승강구동이 안내로울에 의하여 구름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승강판이 구동원으로부터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은 육묘상자가 컨베이어에 진입되면서 승강판에 걸림이 없이 자연스럽게 승강판에 얹혀져 육묘상자와 승강판이 서로 트러블이 없이 컨베이어에서 안정적인 주행(흐름)을 유지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승강판에 의하여 일정갯수의 육묘상자가 얹혀지도록 하는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의 힌지구동이 육묘상자가 진입되는 방향의 위쪽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의 힌지구동에 육묘상자의 흙 등이 유입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육묘상자의 얹힘과 해제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육묘상자의 적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육묘상자가 컨베이어에 의하여 일정속도로 주행되어 적층될 위치에서 육묘상자가 승강판의 승강구동에 의하여 밀어 올려져, 사방의 적층유지기둥에 탄력있게 유지된 유지편들에 얹혀지도록 하는 일련의 승강판의 반복적인 승강구동에 의하여 육묘상자가 상기 적층유지기둥의 유지편들에 겹쳐져 쌓아 올려지도록 함에 있어서, 승강판(50)이 구동원으로부터 승강운동이 기기본체의 고정브라켓(58)에 형성한 안내로울(59)에 의하여 구름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되고, 상기 승강판(50)에 의하여 일정갯수의 육묘상자(10)이 얹혀지도록 하는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들의 힌지구동이 육묘상자(10)이 진입되는 방향의 위쪽에 형성되도록 되어 잇고, 본 발명의 상기 기기본체의 고정브라켓(58)에 형성한 안내로울(59)에는, 승강판(50)의 사방에 형성된 숫가이드(55)가 구름 접촉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승강판(50)은 상기 육묘상자(10)이 진입되는 쪽에 하향 절곡된 경사면(57)이 형성되어, 이 경사면(57)을 따라서 육묘상자(10)이 안내되어 승강판(50)에 진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들은 적층유지기둥(30)의 고정로드(32)로부터 힌지축(34)를 중심으로 탄력있게 움직일 수 있는 늘어진 힌지로드(35)의 끝단에 고정되고, 컨베이어(1)에 주행하는 육묘상자(10)이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의 얹힘턱(38)에 얹혀질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승강판(50)이 승강구동되도록 하는 스탭모터(51)와, 컨베이어(1)를 구동하는 구동모터(3)가, 서로 구동연계센서(56-2)의 신호에 의하여 스탭모터(51)이 오프되면, 구동모터(3) 역시 바로 오프되어, 육묘상자(10)을 쌓는 작동과 육묘상자(10)의 공급 작동이 연계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육묘상자(10)이 적층될 위치(20)의 적층유지기둥(30)의 위에 구동원이 형성되고, 이 구동원의 승강구동부재(70)에 의하여 승강되는 승강틀(74)가 적층유지기둥(30)에 안내되면서, 승강틀(74)에 힌지축(72)으로 움직일 수 있는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을 형성하여, 컨베이어(1)에 의하여 진입되는 육묘상자(10)이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에 얹혀질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에 얹혀진 육묘상자(10)는, 다음으로 진입되는 육묘상자(10)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위쪽으로 이동하였다가, 뒤에 유입된 육묘상자(10)에 얹히도록 한 후, 하강된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에 최하단의 육묘상자(10)이 얹히도록 하여, 상기 구동원에 의해 육묘상자(10)들이 적층유지기둥(30)의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하여서, 컨베이어(1)에 의하여 적층될 위치에 다음의 육묘상자(10)이 유입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적층될 위치에 설정된 갯수의 새로운 육묘상자(10)이 유입되면,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에 적층된 육묘상자(10)이 구동원의 하강 이동에 의하여 새로운 육묘상자(10) 위에 얹혀지도록 하면서, 컨베이어(1) 위의 적층된 전체의 육묘상자(10)들이 컨베이어(1)의 적층될 위치에서 주행되어 추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육묘상자의 적층장치{Seedling culture box stacking device}
본 발명은 컨베이어에 의하여 주행되는 육묘상자를 일정 갯수로 적층한 후, 컨베이어로부터 추출할 수 있는 육묘상자의 적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육묘상자가 컨베이어에 의하여 일정속도로 주행되어 적층될 위치에서 육묘상자가 승강판의 승강구동에 의하여 밀어 올려져, 사방의 적층유지기둥에 탄력있게 유지된 유지편들에 얹혀지도록 하는 일련의 승강판의 반복적인 승강구동에 의하여 육묘상자가 상기 적층유지기둥의 유지편들에 겹쳐져 쌓아 올려지도록 함에 있어서의 승강판이 구동원으로부터 승강구동이 안내로울에 의하여 구름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승강판이 구동원으로부터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은 육묘상자가 컨베이어에 진입되면서 승강판에 걸림이 없이 자연스럽게 승강판에 얹혀져 육묘상자와 승강판이 서로 트러블이 없이 컨베이어에서 안정적인 주행(흐름)을 유지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승강판에 의하여 일정갯수의 육묘상자가 얹혀지도록 하는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의 힌지구동이 육묘상자가 진입되는 방향의 위쪽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의 힌지구동에 육묘상자의 흙 등이 유입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육묘상자의 얹힘과 해제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육묘상자의 적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묘상자는 볍씨 등과 같은 농작물을 경작하기 위해 종자의 파종과 추비를 정확히 행할 수 있고, 또한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위의 육묘상자에 종자의 생육을 위하여 종자들은 약품 처리한 후, 육묘상자에 흙을 일정 높이로 넣고, 흙에 종자를 심어서 발아가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육묘상자의 종자에는 일정량의 물을 공급함에 따라서 발아하여 종자의 뿌리가 성장되면, 이앙기 등을 이용하여 이앙하게 된다.
그리고, 이앙기에는 연속적으로 육묘상자가 공급되도록 해야 하는데, 하나씩 작업되는 공정상 작업자가 손으로 공급측에서 부터 하나씩 공급하여 작업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으로 작업하게 되면, 작업자 한 명이 늘 그 육묘상자의 공급위치에 있어야 하므로 일손이 부족한 농촌 현실에 적합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또한, 육묘상자의 공급은 대체로 이송컨베이어를 이용하고 있는데, 일정위치로 이송하는 알려진 농업용 적재함 이송 컨베이어는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하여 구동풀리가 구동되도록 하고 이 구동풀리와 벨트로 연결되는 종동풀리가 연동되도록 하여, 컨베이어의 위에 적재물이 적재되어 주행토록 함으로써, 적재 및 출하 위치로부터 일정 위치로 이송하는 컨베이어들이 알려져 있다.
또한, 컨베이어의 구동수단의 경우에도 이송 적재물에 따라서 체인 또는 벨트 등을 채택하고 있으며, 대체로 적재물의 하중이 크거나 주행에 부하가 많이 걸리는 경우 체인들을 사용하고 있으며, 반대로 적재물의 하중이 비교적 많이 나가지 않거나 주행의 부하가 적은 경우에 벨트를 채택하고 있다.
또한, 체인의 경우는 주행속도 및 타이밍 등의 정밀도를 요하는 경우에 많이 채택되고 있으나, 비교적 설비비가 비싸다는 결점이 있으며, 또한 벨트의 경우에는 체인의 비하여 변형이 쉽고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는 있으나,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여 설비비가 저렴하다는 이점 등으로 채택되고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에 육묘상자가 주행되어 일정량이 적층되도록 하는 적층장치가 있는데,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10-195562에서, 2개의 프레임(1)3,13)에 등간격으로 복수개의 축(1)5)이 장착되고 또한 상기 축(1)5)들에 고무롤러(1)6)들이 형성되어, 구동원과 연결된 구동수단에 의하여 고무롤러(1)6)들이 회전운동으로 고무롤러(1)6)들에 주행되어 육묘상자(1)9)가 적층될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육묘상자(1)9)가 적층될 위치에는, 모터(35)와 연결 구동되는 스프로켓(37)과 체인(45)으로 연결되어 스프로켓(43)의 구동으로 축(2)7)이 구동하고, 이 축(2)7)에 아암(30)이 고정되고, 또한 아암(30)에 회전가능하게 롤러(31)들이 형성되어, 이 롤러(31)의 편심구동에 의하여 고무롤러(1)6)에 주행되어 있는 육묘상자(1)9)의 저면을 밀어 올려서 육묘상자(1)9)가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밑에서 올려진 육묘상자(1)9)는, 플레이트(2)5)에 형성되어 있는 토션스프일(59)에 의하여 탄력있게 형성된 경사부(57b)를 가지는 유지편(57)들의 위에 적층되게 된다.
이 유지편(57)들에 적층되는 육묘상자(1)9)는, 플레이트(32)의 위쪽에 형성된 리미트스위치(33)에 제어되어 적층되는 육묘상자(1)9)의 적층 갯수를 설정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유지편(57)들에 일정 갯수로 적층된 육묘상자(1)9)를 추출하여 이앙기 등에 옮겨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지편(57)들에 적층된 육묘상자(1)9)들을 일일이 추출하여 이앙기 등에 이동하는 것에 많은 수고를 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위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적층된 육묘상자(1)9)들을 상기 기기장치로부터 옆으로 실린더를 이용하여 밀어내는 구조들이 있으나, 별도의 밀어내는 구동부재와 실린더를 별도로 설치하는 등의 설비비가 고가로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 2007-296627에서는, 상기 육묘상자를 밀어 올리는 구조로써, 실린더를 이용하고 있으나, 이 역시 별도의 밀어내는 구동부재와 실린더를 별도로 설치하는 등의 설비비가 고가로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출원인 앞서 제안한 대한민국 제10-2017-0120203호에서, 스탭모터(51)의 감속기(52)의 구동링크(57)에 승강링크(53)들의 한쪽이 연결되고, 또한 승강링크(53)의 다른 한쪽에는 승강판(50)의 저면과 연결되어 감속기(52)의 구동링크(57)에 승강링크(53)의 회전에 의하여 승강판(50)의 위,아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또한, 승강판(50)의 저면의 사방에 형성한 숫가이드(55)들이 프레임(5)가 고정된 고정브라켓(7)의 암가이드(8)들에 안내되어, 승강판(50)위의 육묘상자(1)0)을 흔들림이 없이 적층유지기둥(30)에 탄력이 제어 유지되는 유지편(31)들에 얹혀질 수 있다.
따라서, 암가이드(8)에 숫가이드(55)가 승강 안내되면서 육묘상자(1)0)의 흙 등이 암가이드(8)에 유입되어 숫가이드(55)의 승강에 방해를 주고 또한 종국에는 스탭모터(51)에 과열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육묘상자(1)0)가 얹혀지고 또한 유지하는 유지편(31)이 적층유지기둥(30)의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어서, 역시 육묘상자(1)0)의 흙 등이 유지편(31)의 유지축(32) 등에 간섭을 주어서 역시 유지편(31)의 원활한 작동을 방해하여 컨베이어(1))를 멈추게 하는 등의 문제를 야기한다.
대한민국 제10-2017-0120203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53283 일본국 특개 2010-195562 일본국 특개 2007-296627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육묘상자가 컨베이어에 의하여 일정속도로 주행되어 적층될 위치에서, 육묘상자가 승강판과의 서로 트러블 없이 안정적으로 승강판에 얹혀질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육묘상자가 컨베이어에 의하여 일정속도로 주행되어 적층될 위치에서 승강판이 구동원에 의하여 승강되도록 함에 있어서의 승강판을 저면의 사방에서 받치는 숫가이드가 외부로 노출된 안내로울들에 의하여 구름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숫가이드가 외부의 간섭없이 안정적으로 승강 구동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승강판에 의하여 일정갯수의 육묘상자가 얹혀지도록 하는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의 힌지 구동이 육묘상자가 진입되는 방향의 위쪽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육묘상자를 얹기위해 벌림작동과 또한 육묘상자를 얹혀지도록 하는 좁힘작동 등의 힌지구동이 적층유지기둥의 위쪽에 이루어짐에 따라서,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의 힌지 구동에서 육묘상자의 흙 등이 유입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육묘상자의 얹힘과 해제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힌지 구동에 의하여 움직이는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에서 적층되는 육묘상자가 얹혀지도록 함은 물론, 육묘상자의 적층에 따라서 순차 위쪽으로 움직였다가 적층된 육묘상자가 적층위치에서 빠져나가면 하강하는 적층제어박스의 제어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예로서, 육묘상자가 적층될 위치의 적층유지기둥의 위에 구동원이 형성되고, 이 구동원의 승강구동부재에 의하여 승강되는 승강틀이 적층유지기둥에 안내되면서, 승강틀에 힌지축으로 움직일 수 있는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을 형성하여, 컨베이어에 의하여 진입되는 육묘상자가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에 얹혀질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에 얹혀진 육묘상자는 다음으로 진입되는 육묘상자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위쪽으로 이동하였다가, 뒤에 유입된 육묘상자에 얹히도록 한 후,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은 더 하강하여 맨 아래의 육묘상자가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에 얹히도록 하여, 상기 구동원에 육묘상자들이 적층유지기둥의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하여서, 컨베이어에 의하여 적층될 위치에 다음의 육묘상자가 유입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적층될 위치에 설정된 갯수의 새로운 육묘상자가 유입되면,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에 적층된 육묘상자가 구동원의 하강 이동에 의하여 새로운 육묘상자 위에 얹혀지도록 하면서, 컨베이어 위의 적층된 전체의 육묘상자들이 컨베이어의 적층될 위치에서 주행되어 추출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육묘상자가 컨베이어에 의하여 일정속도로 주행되어 적층될 위치에서 육묘상자가 승강판의 승강구동에 의하여 밀어 올려져, 사방의 적층유지기둥에 탄력있게 유지된 유지편들에 얹혀지도록 하는 일련의 승강판의 반복적인 승강구동에 의하여 육묘상자가 상기 적층유지기둥의 유지편들에 겹쳐져 쌓아 올려지도록 함에 있어서, 승강판이 구동원으로부터 승강운동이 기기본체의 고정브라켓에 형성한 안내로울에 의하여 구름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되고, 상기 승강판에 의하여 일정갯수의 육묘상자가 얹혀지도록 하는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들의 힌지구동이 육묘상자가 진입되는 방향의 위쪽에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기기본체의 고정브라켓에 형성한 안내로울에는, 승강판의 사방에 형성된 숫가이드가 구름 접촉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승강판은 상기 육묘상자가 진입되는 쪽에 하향 절곡된 경사면이 형성되어, 이 경사면을 따라서 육묘상자가 안내되어 승강판에 진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들은 적층유지기둥의 고정로드로부터 힌지축을 중심으로 탄력있게 움직일 수 있는 늘어진 힌지로드의 끝단에 고정되고, 컨베이어에 주행하는 육묘상자가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의 얹힘턱에 얹혀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승강판이 승강구동되도록 하는 스탭모터와, 컨베이어를 구동하는 구동모터가, 서로 구동연계센서의 신호에 의하여 스탭모터가 오프되면, 구동모터 역시 바로 오프되어, 육묘상자를 쌓는 작동과 육묘상자의 공급 작동이 연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육묘상자가 적층될 위치의 적층유지기둥의 위에 구동원이 형성되고, 이 구동원의 승강구동부재에 의하여 승강되는 승강틀이 적층유지기둥에 안내되면서, 승강틀에 힌지축으로 움직일 수 있는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을 형성하여, 컨베이어에 의하여 진입되는 육묘상자가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에 얹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에 얹혀진 육묘상자는, 다음으로 진입되는 육묘상자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위쪽으로 이동하였다가, 뒤에 유입된 육묘상자에 얹히도록 한 후, 하강된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에 최하단의 육묘상자가 얹히도록 하여, 상기 구동원에 의해 육묘상자들이 적층유지기둥의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하여서, 컨베이어에 의하여 적층될 위치에 다음의 육묘상자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적층될 위치에 설정된 갯수의 새로운 육묘상자가 유입되면,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에 적층된 육묘상자가 구동원의 하강 이동에 의하여 새로운 육묘상자 위에 얹혀지도록 하면서, 컨베이어 위의 적층된 전체의 육묘상자들이 컨베이어의 적층될 위치에서 주행되어 추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육묘상자가 컨베이어에 의하여 일정속도로 주행되어 적층될 위치에서 육묘상자가 승강판의 승강구동에 의하여 밀어 올려져, 사방의 적층유지기둥에 탄력있게 유지된 유지편들에 얹혀지도록 하는 일련의 승강판의 반복적인 승강구동에 의하여 육묘상자가 상기 적층유지기둥의 유지편들에 겹쳐져 쌓아 올려지도록 함에 있어서의 승강판이 구동원으로부터 승강구동이 안내로울에 의하여 구름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승강판이 구동원으로부터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은 육묘상자가 컨베이어에 진입되면서 승강판에 걸림이 없이 자연스럽게 승강판에 얹혀져 육묘상자와 승강판이 서로 트러블이 없이 컨베이어에서 안정적인 주행(흐름)을 유지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승강판에 의하여 일정갯수의 육묘상자가 얹혀지도록 하는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의 힌지구동이 육묘상자가 진입되는 방향의 위쪽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의 힌지구동에 육묘상자의 흙 등이 유입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육묘상자의 얹힘과 해제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육묘상자의 적층장치의 요부 확대 분리사시도,
도 2a,b 는 본 발명의 육묘상자의 적층장치의 작동예의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육묘상자의 적층장치의 평면도,
도 4a,b 는 본 발명의 육묘상자의 적층장치의 스탭모터의 작동예의 종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육묘상자의 적층장치의 스탭모터 부분의 사시도,
도 6a,b 는 본 발명의 육묘상자의 적층장치의의 작동예의 횡단면도,
도 7a,b,c 는 본 발명의 육묘상자의 적층장치의의 작동예의 종단면도,
도 8a,b 는 본 발명의 간략회로도와 콘트롤박스의 정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 도 2a,b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육묘상자의 적층장치의 컨베이어(1)은 대략 단면이 ㄷ자의 프레임들의 사이에 이송로울(2)들이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이들의 이송로울(2)들은 구동모터(3)로부터 풀리 및 스프로켓(도시생략) 등의 구동력이 전달되어 이송로울(2)들에 감겨진 벨트(4)가 도면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무한괘도로 구동되어, 후술하는 육묘상자(10)이 상기 벨트(4)에 얹혀 주행하게 된다.
상기 컨베이어(1)의 중앙쪽에 육묘상자(10)이 겹쳐서 얹힐 수 있는 적층될 위치(20)에 대략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기초부가 양쪽 프레임(5)들에 고정된 적층유지기둥(30)들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적층유지기둥(30)들의 위쪽은 프레임(5)의 길이방향으로 고정로드(32)들이 가로질러 고정되어 있다. 이 고정로드(32)에는 후술하는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의 힌지로드(35)가 힌지축(34)를 중심으로 고정로드(32)들의 바깥으로 탄력있게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적층될 위치(20)의 적층유지기둥(30)의 안쪽에는 적층제어박스(40)이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적층제어박스(40)은 컨베이어(1)에 의하여 주행하는 육묘상자(10)들을 상기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과 함께 그의 내부에 일정 갯수 적층하였다가 컨베이어로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유지기둥(30)들을 서로 연결하는 고정로드(32)의 끝단에 총 4개의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들이 형성되어, 컨베이어(1)에 주행되어 적층될 위치(20)에서 육묘상자(10)이 후술하는 승강판(50)에 의하여 들어 올려져, 상기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들에 얹혀지도록 한다.
상기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들은 적층유지기둥(30)의 고정로드(32)로부터 힌지축(34)를 중심으로 탄력스프링(33)에 의하여 탄력있게 움직일 수 있는 늘어진 힌지로드(35)의 끝단에 고정되고, 컨베이어(1)에 주행하는 육묘상자(10)이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의 얹힘턱(38)에 얹혀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들은, 상기 힌지로드(35)의 끝단에 고정되어 있으면서 탄력스프링(33)에 의하여 컨베이어(1)의 프레임(5)들의 안쪽으로 부세하는 힘이 있다.
그리고,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들은 대략 ㄷ자형상으로써, 위쪽에 위경사면(36)이 형성되고, 이 위경사면(36)의 아래에 코너턱(37)과 평면한 면의 얹힘턱(38)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얹힘턱(38)의 아래에 아래경사면(3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위경사면(36)은 후술하는 적층제어박스(40)의 적층해제봉(44)이 상기 코너턱(37)에 유지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아래경사면(39)는 적층될 위치(20)에 진입된 육묘상자(10)이 상기 얹힘턱(38)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상기 적층유지기둥(30)들의 내에 설치되는 적층제어박스(40)는, 대략 ㄷ자형상의 박스형상으로써, 그의 기초부가 컨베이어(1)의 프레임(5)에 고정된 사방의 세워진 일정길이의 가이드봉(45)들에 안내되어 승강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상기 프레임(5)의 가이드봉(45)들에 적층제어박스(40)의 기초부에 형성한 암가이드봉(46)들이 결합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육묘상자(10)들이 겹쳐서 쌓여짐에 따라서, 적층제어박스(40)의 암가이드봉(46)가 가이드봉(45)에 안내되어 상승할 수 있으며, 또한 적층제어박스(40)의 양쪽에 튀어나오게 형성된 적층해제봉(44)이 상기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의 코너턱(37)과 위경사면(36)을 오르내리면서 적층제어박스(40)내에 복수의 육묘상자(10)이 적층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적층제어박스(40)은 대략 ㄷ자형상의 서로 대향하는 대향면(41)들에는, 육묘상자(10)의 적층 갯수를 설정할 수 있는 수직방향의 설정구멍(42)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이 설정구멍(42)들에 제어봉(43)을 선택적으로 가로질러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육묘상자(10)을 겹치게 많이 쌓고자 하는 경우에는 위쪽의 설정구멍(42)에 제어봉(43)을 끼워넣고, 반대로 적은 수의 육묘상자(10)을 겹치게 쌓고자 하는 경우에는 아래쪽의 설정구멍(42)에 제어봉(43)을 끼워넣어 적층할 육묘상자(10)의 개수를 한정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적층유지기둥(30)의 힌지로드(35)로 연결된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들에 육묘상자(10)들이 겹쳐지게 쌓기 위한 구동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컨베이어(1)에는 육묘상자(10)이 적층될 위치(20)에,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승강판(5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승강판(50)은 주행되어 온 육묘상자(10)이 정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육묘상자(10)을 들어올려 적층유지기둥(30)의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들에 얹혀지도록 한 후, 하강하여 다음의 육묘상자(10)을 들어 올릴 수 있는 반복적인 행정을 행한다.
도 4a,b 및 도 5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탭모터(51)의 감속기(52)의 양쪽에 구동원판(56)에 편차를 두고 승강링크(53)들의 한쪽이 연결되고, 또한 승강링크(53)의 다른 한쪽에는 승강판(50)의 저면과 연결되어 감속기(52)의 구동원판(56)에 회전에 의하여 승강링크(53)로 연결된 승강판(50)의 상기 편차 간격만큼 위,아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승강판(50)의 저면의 사방에 형성한 숫가이드(55)들이 형성되어 있는데, 기기본체의 고정브라켓(58)의 사방에 안내로울(59)가 형성되어, 이 안내로울(59)들에 상기 숫가이드(55)들이 안내되어 구름접촉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숫가이드가 외부의 간섭없이 안정적으로 승강 구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탭모터(51)의 감속기(52)의 구동원판(56)에 제어턱(56-1)이 형성되고, 상기 제어턱(56-1)과 대응되는 고정브라켓(58)에 구동연계센서(56-2)가 형성되어, 구동원판(56)의 회동이 원활하지 못하면, 예를 들어 승강판(50)과 육묘상자(10)과 트러블이 발생하여 정상적인 회동운동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구동연계센서(56-2)가 감지하여 스탭모터(51)과 또한 컨베이어(1)의 구동모터(3)의 작동을 멈추게 한다.
또한, 상기 승강판(50)은 상기 육묘상자(10)이 진입되는 쪽에 하향 절곡된 경사면(57)이 형성되어, 이 경사면(57)을 따라서 육묘상자(10)이 안내되어 승강판(50)에 진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경사면(57)에 의하여 육묘상자(10)이 컨베이어(1)에 의하여 일정속도로 주행되어 적층될 위치에서, 육묘상자(10)이 승강판(50)과의 서로 트러블 없이 안정적으로 승강판(50)에 얹혀질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될 위치(20)에 육묘상자(10)이 진입하게 되면, 컨베이어(1)에 형성된 탄력편(6)의 탄력적으로 일정속도로 진입되는 육묘상자(10)의 속도를 줄여서 승강판(50)에 얹혀지도록 한다.
그리고,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승강판(50)에는 경사면(57)에 대향하는 쪽에 단턱(54)이 형성되어, 육묘상자(10)이 더 이상의 주행을 저지하여 승강판(50)이 얹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b와 같이 상기 상태에서 감속기(52)의 구동원판(56)들의 구동과 승강링크(53)의 구동에 의하여 승강판(50)이 상승하여, 육묘상자(10)을 들어올려 육묘상자(10)이 적층유지기둥(30)의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들의 아래경사면(39)를 따라서 얹힘턱(38)에 얹혀지게 된다.
도 4a와 같이, 육묘상자(10)이 적층유지기둥(30)의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이 얹혀지면 이어진 감속기(52)의 구동원판(56)의 구동으로 승강링크(53)이 하강하여 다음의 육묘상자(10)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대기한다.
그리고, 도 2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판(50)의 반복적인 구동으로 육묘상자(10)들이 설정된 개수로 쌓기가 이루어지면, 적층제어박스(40)의 적층해제봉(44)이 적층유지기둥(30)의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의 코너턱(37)에서 위경사면(36)을 밀고 올라감에 따라서 육묘상자(10)들의 맨아래를 받치고 있던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이 적층유지기둥(30)의 바깥쪽으로 밀려서 결국 전체의 육묘상자(10)들이 컨베이어(1)의 벨트(4)들의 위에 얹히게 된다.
이로써,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겹쳐 쌓여진 상태의 육묘상자(10)들은, 컨베이어(1)의 벨트(4)들에 얹혀서 주행하면서 컨베이어(1)의 중앙쪽에 설치된 제어편(61)을 밀고 나감에 따라서, 이 제어편(61)은 링크장치(60)로 연결된 상기 적층제어박스(40)을 원래의 위치로 원상 복귀하도록 한다.
상기 링크장치(60)는, 컨베이어(1)에 회동가능하게 형성한 제어편(61)의 축(62)에 형성한 제어링크(63)와, 상기 육묘상자(10)이 적층될 위치에서 링크축(64)을 중심으로 스프링(67)에 의해 탄력있게 형성한 구동링크(65)가 서로 연결로드(66)로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겹쳐 쌓아 올려진 육묘상자(10)이 적층될 위치(20)에서 컨베이어(1)에 의하여 추출되면서, 적층제어박스(40)의 유지턱(47)이 상기 구동링크(65)의 링크축(64)의 반대쪽에 올려져서 컨베이어(1)에 떨어져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상태에서 겹쳐 쌓아 올려진 육묘상자(10)들이 상기 제어편(61)의 타격으로 이 제어편(61)과 연결로드(66)로 연결된 구동링크(65)가 링크축(64)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적층제어박스(40)은 원래의 프레임(5)위에 원상 복귀한다. 그리고 이 적층제어박스(40)은 다음의 적층될 육묘상자(10)을 받아 들릴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작동 예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전원을 온하면, 도 1, 도 2a,b 및 도 3에서 컨베이어는 구동모터(3)의 구동에 의하여 벨트(4)가 우측에서 좌측으로 구동하며, 파종이 완료된 육묘상자(10)들은 자동 또는 수동에 의하여 컨베이어(1)의 벨트(4)위에 공급되게 된다.
도 1에서 상기 벨트(4)위의 육묘상자(10)은 서서히 적층될 위치(20)에 도달되면, 컨베이어(1)에 탄력있게 세워진 탄력편(6)에 의하여 주행속도가 줄여지면서 이때 육묘상자(10)이 진입되는 방향과 수평으로 유지된 승강판(50)은 상기 육묘상자(10)이 진입되는 쪽에 하향 절곡된 경사면(57)이 형성되어, 이 경사면(57)을 따라서 육묘상자(10)이 안내되어 얹혀지면서 승강판(50)의 단턱(54)에 의하여 저지되어 승강판의 정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비록, 육묘상자(10)이 노후되어 다소 찌그러져 정상적인 크기가 아니더라도 승강판(50)의 하향 절곡된 경사면(57)이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육묘상자(10)을 움직이도록 함에 따라서, 육묘상자(10)이 승강판(50)과 서로 부딪쳐 튕겨나가 등의 문제없이 원활한 안내를 유지하게 된다.(도 5 및 도 6a참조)
상기 상태에서 스탭모터(51)이 작동하여 감속기(52)의 구동원판(56)을 통하여 승강링크(53)들이 위쪽으로 구동하여, 승강판(50)이 최상단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이때, 승강판(50)의 위의 육묘상자(10)가, 사방의 적층유지기둥(30)의 고정로드(32)에 늘어져 탄력있게 유지된 힌지로드(35)의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의 아래 경사면(39)을 밀고 올라감에 따라서, 힌지로드(35)들이 탄력스프링(33)들의 부세력을 이겨서, 결국 힌지로드(35)를 적층유지기둥(30)들의 바깥쪽으로 밀어낸다.(도 4a,b참조)
이어서, 도 5 및 도 6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속 회전되는 스탭모터(51)의 감속기(52)의 구동에 의하여 구동원판(56)과 연결된 승강링크(53)이 하향이동에 따라서 승강판(50)이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면서, 승강판(50)위의 육묘상자(10)도 하향이동하면서, 육묘상자(10)이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의 얹힘턱(38)에 장착되면서, 이때 힌지로드(35)는 탄력스프링(33)의 복원력에 의하여 육묘상자(10)이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의 얹힘턱(38)에 유지될 수 있다.
이로써, 승강판(50)과 이 승강판(50)에 얹혀졌던 육묘상자(10)은 서로 분리되게 된다.
다시 승강판(50)이 컨베이어(1)에 수평을 유지하면, 이어서 공급되는 육묘상자(10)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승강판(50)에 얹혀지고 스탭모터(51)의 구동에 의하여 승강판(50)이 상승하면서, 승강판(50)의 위의 육묘상자(10)가, 상기 적층유지기둥(30)의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들에 얹혀있는 육묘상자(10)들을 밀어 올리게 된다.
상기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들의 육묘상자(10)들이 밀어 올려지면, 상기 탄력스프링(33)의 복원력에 의하여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들은 다시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어서 계속되는 스탭모터(51)의 감속기(52)의 구동에 의하여 승강링크(53)이 하향이동에 따라서 승강판(50)이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면서, 다수개의 육묘상자(10)들의 최하단을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들이 받치게 된다.(도 4a,b참조)
위와 같은 승강판(50)이 육묘상자(10)을 들어 올리는 반복적인 행정에 의하여 원하는 육묘상자(10)을 겹치게 쌓을 수 있다.
상기 육묘상자(10)을 겹쳐지게 쌓은 개수는, 적층제어박스(40)의 대향면(41)들에 수직방향의 설정구멍(42)들에 제어봉(43)을 선택적으로 가로질러 유지할 수 있으며, 육묘상자(10)들을 겹치게 많이 쌓고자 하는 경우에는 위쪽의 설정구멍(42)에 제어봉(43)을 끼워넣고, 반대로 적은 수의 육묘상자(10)을 겹치게 쌓고자 하는 경우에는 아래쪽의 설정구멍(42)에 제어봉(43)을 끼워넣어서 적층제어박스(40)내에 적층되는 육묘상자(10)의 개수를 한정 및 설정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판(50)의 반복적인 구동으로 육묘상자(10)들이 적층제어박스(40)내에 설정된 개수로 쌓기가 이루어지면, 적층제어박스(40)의 적층해제봉(44)이 적층유지기둥(30)의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의 코너턱(37)에서 위경사면(36)쪽으로 밀고 올라감에 따라서, 육묘상자(10)들의 맨아래를 받치고 있던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이 적층유지기둥(30)의 바깥쪽으로 탄력있게 밀려서 결국 육묘상자(10)들이 컨베이어(1)의 벨트(4)들의 위에 얹히게 된다.
그리고, 도 2와 같이 상기 적층제어박스(40)은 그의 유지턱(47)들이 링크장치(60)의 구동링크(65)의 위에 얹혀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로써,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겹쳐 쌓여진 상태의 육묘상자(10)들은, 컨베이어(1)의 벨트(4)들에 얹혀서 주행하면서 컨베이어(1)의 중앙쪽에 설치된 링크장치(60)의 제어편(61)을 밀고 나감에 따라서, 이 제어편(61)과 연결로드(66)로 연결된 상기 구동링크(65)가 링크축(64)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적층제어박스(40)은 원래의 프레임(5)위에 원상 복귀한다. 그리고 이 적층제어박스(40)은 다음의 적층될 육묘상자(10)을 받아 들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컨베이어(1)에는 컨베이어의 벨트(4)를 구동하는 구동모터(3)과 승강판(50)을 구동하는 스탭모터(5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모터(3)은 컨베이어(1)의 육묘상자(10)을 적층될 위치(20)로 주행하게 되고, 또한 스탭모터(51)은 적층될 위치(20)에 도착한 육묘상자(10)을 적층시키게 된다.
도 4a,b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탭모터(51)의 감속기(52)의 구동원판(56)에 제어턱(56-1)이 형성되고, 상기 제어턱(56-1)과 대응되는 고정브라켓(58)에 구동연계센서(56-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원판(56)의 회동이 원활하지 못하면, 예를 들어 승강판(50)과 육묘상자(10)과 트러블이 발생하여 정상적인 회동운동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구동연계센서(56-2)가 감지하여 스탭모터(51)과 또한 컨베이어(1)의 구동모터(3)의 작동을 멈추게 한다.
즉, 상기 승강판(50)이 승강구동되도록 하는 스탭모터(51)와, 컨베이어(1)를 구동하는 구동모터(3)가, 서로 구동연계센서(56-2)의 신호에 의하여 스탭모터(51)이 오프되면, 구동모터(3) 역시 바로 오프되어, 육묘상자(10)을 쌓는 작동과 육묘상자(10)의 공급 작동이 연계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적층될 위치(20)에서 승강판(50)과 육묘상자(10)의 문제로 인하여 스탭모터(51)이 멈춰지면, 바로 이 신호가 구동모터(3)의 구동을 멈추게 하여 컨베이어(1)의 육묘상자(10)이 적층될 위치(20)로의 더 이상의 진입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육묘상자의 적층장치에는, 육묘상자공급기가 연결되어 육묘상자(10)가 순차적으로 공급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온,오프스위치(80,81), 마그네트코일(WC1) 및 마그네트스위치(82)와, 상기 육묘상자공급기의 온,오프스위치(85,84), 마그네트코일(WC2) 및 마그네트스위치(83)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육묘상자의 적층장치에서 육묘상자(10)의 주행에 문제(트러블 등)가 생기면 상기 온,오프스위치(80,81), 마그네트코일(WC1) 및 마그네트스위치(82)가 오프되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육묘상자공급기의 온,오프스위치(85,84), 마그네트코일(WC2) 및 마그네트스위치(83)가 오프되어, 더 이상의 육묘상지(10)가 본 발명의 육묘상자의 적층장치로의 공급을 차단하여 안전사고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도 8b는 본 발명의 콘트롤박스(100)로써, 전원, 상승, 하강, 배출, 적재 등이 제대로 이루지는 것을 알 수 있도록 각각의 램프들이 형성되고, 또한 시작, 회복, 및 정지 스위치들이 형성되어, 본 발명의 육묘상자 적층장치의 작동 등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본 콘트롤박스(100)에는 상기 육묘상자공급기의 콘트롤박스와 연결되는 플러그(90)가 연결되어, 상기 본 발명의 육묘상자 적층장치의 오프에 따라서, 육묘상자공급기의 마그네트스위치(83)가 오프되어, 오프스위치(84)가 제어되게 된다.
다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도 7a,b,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베이어(1)의 적층될 위치(20)의 적층유지기둥(30)의 위에 구동원이 형성되어, 구동원인 스탭모터(51)의 승강구동부재(70)은 편차에 의하여 승강 구동되고, 이 승강 구동은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들을 승강운동과 적층될 위치(20)에 진입되는 육묘상자(10)들을 일정 개수 적층하였다가 컨베이어(1)에 주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동원은 스탭모터(51)로써, 도시생략의 감속기 등이 연결되어 양쪽의 승강구동부재(70)이 형성되어 동심원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승강구동부재(70)에 편차를 두고 터언버클(71)이 연결되고, 이 터언버클(71)의 다른쪽은 승강틀(74)가 연결되고, 승강틀(74)의 양쪽은 로울(76)들이 형성되어, 적층유지기둥(30)의 레일(76)에 안내되어 승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틀(74)들은 대향되는 승강틀(74)의 스프링(78)에 의하여 탄력있게 유지되어 있고, 또한 상기 승강틀(74)의 아래에는 양쪽에서 아래로 늘어진 힌지로드(35)가 연결된 유지로드(75)가 형성되어 이 유지로드(75)의 양쪽에 로울(76)들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틀(74)와 함께 상기 레일(76)들에 승강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로드(35)는 승강틀(74)에 힌지축(72)를 중심으로 상기 레일의 바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로드(35)와 일체로 연결된 유지로드(75)의 끝단에는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에는 평편한 얹힘턱(38)이 형성되고, 상기 얹힘턱(38)의 끝단으로부터 바깥쪽으로 경사진 경사턱(77)이 형성되어 있다.
스탭모터(51)의 구동으로 승강구동부재(70)이 회동에 의하여 승강되는 승강틀(74)가 적층유지기둥(30)에 안내되면서, 승강틀(74)에 힌지축(72)로 움직일 수 있는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을 형성하여, 컨베이어(1)에 의하여 진입되는 육묘상자(10)이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에 얹혀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에 얹혀진 육묘상자(10)는, 다음으로 진입되는 육묘상자(10)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위쪽으로 이동하였다가, 뒤에 유입된 육묘상자(10)에 얹히도록 한 후, 하강된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에 최하단의 육묘상자(10)이 얹히도록 하여, 상기 구동원인 스탭모터(51)에 의해 육묘상자(10)들이 적층유지기둥(30)의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하여서, 컨베이어(1)에 의하여 적층될 위치에 다음의 육묘상자(10)이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층될 위치에 설정된 갯수의 새로운 육묘상자(10)이 유입되면,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에 적층된 육묘상자(10)이 구동원의 하강 이동에 의하여 새로운 육묘상자(10) 위에 얹혀지도록 하면서, 컨베이어(1) 위의 적층된 전체의 육묘상자(10)들이 컨베이어(1)의 적층될 위치에서 주행되어 추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1 : 컨베이어 2 : 이송로울
3 : 구동모터 4 : 벨트
5 : 프레임 6 : 탄력편
7 : 고정브라켓 8 : 암가이드
10 : 육묘상자 20 : 적츨될 위치
30 : 적층유지기둥 31 :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
32 : 고정로드 33 : 탄력스프링
34 : 힌지축 35 : 힌지로드
36 : 위경사면 37 : 코너턱
38 : 얹힘턱 39 : 아래경사면
40 : 적층제어박스 41 : 대향면
42 : 설정구멍 43 : 제어봉
44 : 적층해제봉 45 : 가이드봉
46 : 암가이드봉 47 : 유지턱
50 : 승강판 51 : 스탭모터
52 : 감속기 53 : 승강링크
54 : 단턱 55 : 숫가이드
56 : 구동원판 56-1 : 제어턱
56-2 : 센서 57 : 경사면
58 : 고정브라켓 59 : 안내로울
60 : 링크장치 61 : 제어편
62 : 축 63 : 제어링크
64 : 링크축 65 : 구동링크
66 : 연결로드 67 : 스프링
70 : 승강구동부재 71 : 터언버클
72 : 힌지축 73 : 레일
74 : 승강틀 75 : 유지로드
76 : 레일 77 : 경사턱
78 : 스프링 80,85 : 온스위치
81,84 : 오프스위치 82,83 : 마그네트스위치
90 : 플러그 100 : 콘트롤박스

Claims (7)

  1. 육묘상자가 컨베이어에 의하여 일정속도로 주행되어 적층될 위치에서 육묘상자가 승강판의 승강구동에 의하여 밀어 올려져, 사방의 적층유지기둥에 탄력있게 유지된 유지편들에 얹혀지도록 하는 일련의 승강판의 반복적인 승강구동에 의하여 육묘상자가 상기 적층유지기둥의 유지편들에 겹쳐져 쌓아 올려지도록 함에 있어서,
    승강판(50)이 구동원으로부터 승강운동이 기기본체의 고정브라켓(58)에 형성한 안내로울(59)에 의하여 구름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되고, 상기 승강판(50)에 의하여 일정갯수의 육묘상자(10)이 얹혀지도록 하는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들의 힌지구동이 육묘상자(10)이 진입되는 방향의 위쪽에 형성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상자의 적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기본체의 고정브라켓(58)에 형성한 안내로울(59)에는, 승강판(50)의 사방에 형성된 숫가이드(55)가 구름 접촉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승강판(50)은 상기 육묘상자(10)이 진입되는 쪽에 하향 절곡된 경사면(57)이 형성되어, 이 경사면(57)을 따라서 육묘상자(10)이 안내되어 승강판(50)에 진입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상자의 적층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들은 적층유지기둥(30)의 고정로드(32)로부터 힌지축(34)를 중심으로 탄력있게 움직일 수 있는 늘어진 힌지로드(35)의 끝단에 고정되고, 컨베이어(1)에 주행하는 육묘상자(10)이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의 얹힘턱(38)에 얹혀질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상자의 적층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50)이 승강구동되도록 하는 스탭모터(51)와, 컨베이어(1)를 구동하는 구동모터(3)가, 서로 구동연계센서(56-2)의 신호에 의하여 스탭모터(51)이 오프되면, 구동모터(3) 역시 바로 오프되어, 육묘상자(10)을 쌓는 작동과 육묘상자(10)의 공급 작동이 연계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상자의 적층장치.
  5. 육묘상자(10)이 적층될 위치(20)의 적층유지기둥(30)의 위에 구동원이 형성되고, 이 구동원의 승강구동부재(70)에 의하여 승강되는 승강틀(74)가 적층유지기둥(30)에 안내되면서, 승강틀(74)에 힌지축(72)으로 움직일 수 있는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을 형성하여, 컨베이어(1)에 의하여 진입되는 육묘상자(10)이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에 얹혀질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상자의 적층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에 얹혀진 육묘상자(10)는, 다음으로 진입되는 육묘상자(10)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위쪽으로 이동하였다가, 뒤에 유입된 육묘상자(10)에 얹히도록 한 후, 하강된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에 최하단의 육묘상자(10)이 얹히도록 하여, 상기 구동원에 의해 육묘상자(10)들이 적층유지기둥(30)의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하여서, 컨베이어(1)에 의하여 적층될 위치에 다음의 육묘상자(10)이 유입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상자의 적층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적층될 위치에 설정된 갯수의 새로운 육묘상자(10)이 유입되면, 육묘상자얹힘해제유지편(31)에 적층된 육묘상자(10)이 구동원의 하강 이동에 의하여 새로운 육묘상자(10) 위에 얹혀지도록 하면서, 컨베이어(1) 위의 적층된 전체의 육묘상자(10)들이 컨베이어(1)의 적층될 위치에서 주행되어 추출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상자의 적층장치.
KR1020180002040A 2018-01-08 2018-01-08 육묘상자의 적층장치 KR201900843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040A KR20190084374A (ko) 2018-01-08 2018-01-08 육묘상자의 적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040A KR20190084374A (ko) 2018-01-08 2018-01-08 육묘상자의 적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374A true KR20190084374A (ko) 2019-07-17

Family

ID=67512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040A KR20190084374A (ko) 2018-01-08 2018-01-08 육묘상자의 적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437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963B1 (ko) * 2019-08-16 2019-11-08 구진섭 수직적층형 육묘상자 적층장치의 승강판
CN110683302A (zh) * 2019-11-03 2020-01-14 黑龙江八一农垦大学 智能轨道式水稻秧苗运输系统
CN111619854A (zh) * 2020-05-29 2020-09-04 广州市赛康尼机械设备有限公司 堆料装箱结构
US20220104638A1 (en) * 2020-10-07 2022-04-07 Christopher B. Peng Modular flower bed system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6627A (ja) 2006-04-27 2007-11-15 National Optronics Inc トレイハンドラ及びトレイ取扱い方法
JP2010195562A (ja) 2009-02-26 2010-09-09 Ishii Seisakusho:Kk 育苗箱積重ね装置
KR200453283Y1 (ko) 2009-04-09 2011-04-20 이홍선 농업용 적재함 이송 컨베이어
KR20170120203A (ko) 2010-04-09 2017-10-30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마린 드릴링 베셀을 위한 전력 공급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6627A (ja) 2006-04-27 2007-11-15 National Optronics Inc トレイハンドラ及びトレイ取扱い方法
JP2010195562A (ja) 2009-02-26 2010-09-09 Ishii Seisakusho:Kk 育苗箱積重ね装置
KR200453283Y1 (ko) 2009-04-09 2011-04-20 이홍선 농업용 적재함 이송 컨베이어
KR20170120203A (ko) 2010-04-09 2017-10-30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마린 드릴링 베셀을 위한 전력 공급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963B1 (ko) * 2019-08-16 2019-11-08 구진섭 수직적층형 육묘상자 적층장치의 승강판
CN110683302A (zh) * 2019-11-03 2020-01-14 黑龙江八一农垦大学 智能轨道式水稻秧苗运输系统
CN111619854A (zh) * 2020-05-29 2020-09-04 广州市赛康尼机械设备有限公司 堆料装箱结构
US20220104638A1 (en) * 2020-10-07 2022-04-07 Christopher B. Peng Modular flower bed systems
US11751703B2 (en) * 2020-10-07 2023-09-12 Christopher B. Peng Modular flower bed system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4374A (ko) 육묘상자의 적층장치
KR101738835B1 (ko)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
KR101928244B1 (ko) 적층 공급된 육묘상자의 정렬 및 상승장치
KR101443433B1 (ko) 육묘공정 자동화 설비 시스템
AU2009347037B2 (en) Conveying system, tower structure with conveying system, and method for conveying containers with a conveying system
JPS61173722A (ja) 育苗施設
KR200472722Y1 (ko) 육묘상자 적층 및 적출기
CN107624314A (zh) 一种育苗移栽机用苗盘自动输送装置
KR102000345B1 (ko) 육묘상자의 적층장치
KR101843697B1 (ko) 육묘상자 적재장치
KR102132839B1 (ko) 육묘상자 적재장치
KR20190102314A (ko) 육묘상자의 적층장치
KR102372428B1 (ko) 육묘상자의 적층장치
KR20220094378A (ko) 모판 자동 출하 시스템 장치
KR101698297B1 (ko) 육묘상자 적재장치
KR101537404B1 (ko) 운반물의 이송 피치 조절이 가능한 간헐 이송 컨베이어 시스템
JPH08322392A (ja) 仮植装置の穴開け機構
JP3646176B2 (ja) 育苗箱の自動配置装置
KR102088208B1 (ko) 육묘상자 랩핑장치
JP2527171B2 (ja) 苗箱積重ね装置
JPH08308389A (ja) 仮植装置
JP2511545B2 (ja) 播種プラント
JP2004236666A (ja) 移植機
JP2860196B2 (ja) 移植機の苗整列装置
JPS63127921A (ja) 育苗箱積重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