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4378A - 모판 자동 출하 시스템 장치 - Google Patents

모판 자동 출하 시스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4378A
KR20220094378A KR1020200185529A KR20200185529A KR20220094378A KR 20220094378 A KR20220094378 A KR 20220094378A KR 1020200185529 A KR1020200185529 A KR 1020200185529A KR 20200185529 A KR20200185529 A KR 20200185529A KR 20220094378 A KR20220094378 A KR 20220094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rmination
plate
unit
mother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5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만
Original Assignee
이주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만 filed Critical 이주만
Priority to KR1020200185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4378A/ko
Publication of KR20220094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43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2Germinating apparatus; Determining germination capacity of see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9Handling or transporting of soil blocks 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a rectangular shape, involving sidewalls or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0/00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stacking and de-stacking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1/00Use of pick-up or transfer devices or of manipulators for stacking or de-stack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판의 파종, 1차 및, 2차 발아, 출하과정이 작업자의 개입을 최소화하면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모판 자동 출하 시스템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모판에 볍씨를 파종하는 볍씨 파종 라인부와, 볍씨파종된 모판을 단*열 단위로 정렬하여 1차 발아실로 운반하기 위한 제1 운반 라인부, 상기 제1 발아실에서 제2 발아실로 운반하기 위한 제2 운반 라인부, 상기 제2 발아실에서 발아된 모판들을 이송하는 이송 플레이트, 이송 플레이트의 일단에 위치한 푸시바, 푸시바에 의해 푸시된 모판이 소정 개수로 정렬되면 육묘장의 바닥면으로 공급하는 공급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모판 공급 라인부, 육묘장에서 옮겨진 모판들에 농약을 살포하기 위한 농약 살포 라인, 및 농약 살포된 모판들을 출하하는 출하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모판 자동 출하 시스템 장치{Automatic seedbed delivery system device}
본 발명은 모판의 자동 출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판의 파종, 1차 및, 2차 발아, 출하과정이 작업자의 개입을 최소화하면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모판 자동 출하 시스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판은 육묘를 위한 배지를 말하는 것으로, 모의 이앙작업시 반드시 필요한 모종을 기르는 배지이다. 모내기 작업은 수작업이 많은 작업의 일종인데, 논에 모를 심는 봄철에는 모종을 논에 심는 파종의 작업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즉, 일정한 크기로 모종을 자라게 하고, 어느 정도 육성되어 자생능력을 기른 상태의 모종만을 논에 이앙하는 방식으로 농사는 시작된다.
다시 말해, 논에 모를 이앙하기 위해서는 육묘장이라는 모종을 일정한 기간동안 키우는 곳에서 정해진 방식에 따라 키워진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러한 모판에 볍씨를 파종하고, 파종된 볍씨의 1차 발아 및 2차 발아를 위한 모판의 이송, 발아 완료된 볍씨를 온실과 같은 육묘장에서 소정 시간동안 성장시킨 후 실제 논으로 이앙시키는 과정이 실질적으로 수작업으로 이루어졌다. 예를 들면 볍씨가 파종된 모판을 1차, 2차 발아를 위해 발아장으로 옮기는 과정, 발아된 모판을 비닐하우스 등의 온실로 옮기는 과정 등을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을 통해 작업하였다.
이렇듯 볍씨 파종 후 모판을 출하하기까지의 작업 공정이 작업자가 손으로 들거나 등에 지고 운반하는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작업 속도 및 효율이 저하될 수밖에 없었다. 또한 근래에는 이농현상으로 농가에는 고령자나 노약자가 대부분 농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실정임을 감안하면 이러한 작업들은 상당히 부담이되고 고되며 힘든 작업임은 물론이거니와 안전사고도 적잖게 발생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로 인해 일손이 부족한 농촌의 모내기 작업 등이 장시간 소요되고 적절한 모내기 시기를 놓쳐버리는 문제점 등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모판에 볍씨를 파종하고, 파종된 볍씨를 발아시키고, 발아된 볍씨가 모판에서 어느 정도 성장한 후 논으로 출하시키는 위한 작업 과정을 자동화하여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모판 자동 출하 시스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판에 볍씨를 파종하는 볍씨 파종 라인부; 볍씨파종된 모판을 단*열 단위로 정렬하여 1차 발아실로 운반하기 위한 제1 운반 라인부; 상기 제1 발아실에서 제2 발아실로 운반하기 위한 제2 운반 라인부; 상기 제2 발아실에서 발아된 모판들을 이송하는 이송 플레이트, 이송 플레이트의 일단에 위치한 푸시바, 푸시바에 의해 푸시된 모판이 소정 개수로 정렬되면 육묘장의 바닥면으로 공급하는 공급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모판 공급 라인부; 육묘장에서 옮겨진 모판들에 농약을 살포하기 위한 농약 살포 라인; 및 농약 살포된 모판들을 출하하는 출하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판 자동 출하 시스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운반 라인부는, 모판을 적재하는 스태커부(stacker unit); 및 적재된 모판들을 이송시키는 제1 이송라인 및 적재된 모판들이 소정 열이 되게 정렬시키고 제1 발아수레 측으로 공급하는 제2 이송라인을 포함하는 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발아수레는, 적재된 상태의 모판들을 적재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된 적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적재부마다 적재된 모판들이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운반 라인부는, 제1 발아실에서 옮겨진 적재된 모판들을 이송하는 제1 이송라인; 상기 적재된 모판들을 적재 해제는 언스태커부(unstacker unit); 및 적재해제된 모판들을 이송하여 정렬하고 제2 발아수레 측으로 공급하는 제2 이송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발아수레는, 발아 상태인 모판들이 겹쳐지지 않은 상태로 각각 적재되도록 독립된 적재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공급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푸시바에 의해 옮겨진 모판이 소정 정해진 개수가 될 때까지 이송되도록 하면서, 제일 먼저 이송된 모판의 이송을 제한하는 멈춤바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공급 플레이트는, 상기 공급 플레이트를 수평 상태 또는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가 되도록 하단 일측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실린더; 및 상기 공급 플레이트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모판들이 육묘장의 바닥면으로 공급될 때 제일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한 모판이 공급 플레이트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 바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바는 상기 공급 플레이트가 기울어질 때 자동 인출되고, 상기 공급 플레이트가 수평상태가 되면 자동 인입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송 플레이트는, 제2 발아수레가 위치하는 제1 위치부; 상기 제2 발아수레에 적재된 모판(A)들을 순서대로 꺼낸 다음, 상기 제1 위치부의 반대편에 있는 제2 위치부로 공급하는 스태커 크래커를 포함하고, 상기 스태커 크래커는, 모판(A)을 꺼내기 위한 포크, 포크에 의해 꺼내진 모판(A)을 상기 제2 위치부로 공급하는 테이블을 구비하는 선반을 포함하고, 상기 선반은 소정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제2 발아수레의 하단에서 상단까지 상하 운동하며, 상기 제2 발아수레가 상기 제1 위치부에 위치하면 상기 제2 발아수레는 상기 스태커 크래커에 구비된 상기 포크의 0점 지점까지 올려지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모판 자동 출하 시스템 장치에 따르면, 모판에 볍씨 파종과정, 1차 및 2차 발아과정, 비닐 하우스에서의 육묘과정, 출하과정들이, 일부 작업자가 일부 개입하긴 하지만 종래보다 육체적인 노동력을 최소화할 수 있어, 모판 출하 작업을 개선할 수 있다.
그만큼 작업시간 단축과 함께 힘든 노동으로 인한 작업자들의 육체적 피로도를 최소화할 수 있고, 장시간 작업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판 자동 출하 시스템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발아수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발아수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판 공급 라인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를 공급 플레이트의 구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판 공급 라인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모판 공급 라인부를 이용한 모판 공급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판 자동 출하 시스템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보듯이 모판 자동 출하 시스템 장치(10)는 볍씨 파종 라인부(100)를 포함한다. 볍씨 파종 라인부(100)는, 모판(A)의 내부에 볍씨를 자동으로 파종하는 부분이다. 경우에 따라서 볍씨 및 상토 등을 자동으로 파종하기도 한다. 도면에는 자세하게 도시하고 있지 않았지만, 다수의 롤러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볍씨 및 상토 등을 투입하는 하나 이상의 호퍼가 설치되어 상기 롤러의 구동을 통하여 상기 모판(A)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되 상기 모판(A)이 상기 호퍼의 하부지점으로 통과하는 시점에 볍씨, 상토 등을 낙하 투입하여 자동으로 볍씨 및 상토 등을 모판에 파종하는 장치이다.
볍씨파종된 모판(A)을 1차 발아실로 운반하기 위한 제1 운반 라인부(200)가 포함된다. 제1 운반 라인부(200)는 소정 사이즈를 가지는 모판(A)을 단*열 단위로 하여 정렬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는 5단 적재하며, 궁극적으로 적재된 5단을 4열(5단*4열)로 정렬되게 한다. 이를 위해 스태커부(stacker unit)(210) 및 이송부(220)를 포함한다. 스태커부(210)는 모판(A)을 5단으로 적재하는 역할을 하며 주로 지게차나 로봇팔을 이용할 수 있거나, 작업자가 직접 적재할 수 있다. 이송부(220)는 적재된 5단 모판(A)을 이송시켜 4열 구조로 정렬시킨다. 도 1과 같이 이송부(220)는 5단 적재된 모판(A)을 이송시키는 제1 이송라인(230)과, 5단 적재된 모판(A)이 4열이 되게 정렬시키는 제2 이송라인(240)을 포함한다. 제2 이송라인(240)의 끝 부분(240')이 정렬 위치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정렬 위치(240')에 5단*4열로 모판(A)이 정렬되면 제1 운반 이송라인(200)의 구동은 일시 중지될 수 있다.
상기 정렬된 5단*4열 모판(A)을 제1 발아실로 운반하는 제1 발아수레(30)가 구비된다. 상기 정렬 위치(240')에서 제1 발아수레(30)로 모판을 옮기는 작업은 지게차나 로봇이 하게 된다. 도 2는 제1 발아수레(30)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보듯이 복수의 모판을 적재할 수 있도록 소정 공간을 가지는 적재부(31)가 마련된다. 각 적재부(31)에 5단으로 적재된 모판이 적재되는 구조이다. 즉 도면부호 '31'이 하나의 적재부를 말하고, 이러한 적재부(31)에 5단 적재된 모판들이 위치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제1 발아수레(30)의 구조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더 많은 모판(A)이 적재된 상태로 적재될 수 있도록 크기를 변경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제1 발아수레(30)에 적재된 모판(A)은 적재될 때 상하방향의 모판들이 밀착된 상태로 적재될 수 있다. 모판(A) 내의 볍씨가 파종만 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제1 발아수레(30)에 모판(A)들이 적재된 상태에서 제1 발아실로 옮겨간 후, 1차 발아가 될 때까지 소정 시간동안 제1 발아실에 있게 된다.
제1 발아 과정이 완료되면 제2 발아 과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제2 발아과정은 실제 비닐 하우스 등에서 육묘를 할 수 있는 상태까지 위해 볍씨를 충분히 발아시키는 과정이다. 대략 70 ~ 100mm까지 발아된다. 따라서 모판(A)들이 상하방향으로 밀착되어 적재되면 안된다.
이를 위해 도 1에서 보듯이 제2 운반 라인부(300)가 구비된다.
제2 운반 라인부(300)는 제1 발아실에서 옮겨진 제1 발아수레(30)에서 5단 적재된 모판(A)을 꺼내 1단으로 적재해제하고 이를 다시 소정 열(실시 예는 4열) 구조인 1단*4열로 정렬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 운반 라인부(300)는 제1 발아수레(30)에서 꺼내진 5단 4열 모판(A)이 적재된 상태로 이송되는 제1 이송라인(310)과, 적재된 5단 모판을 1단 모판(A)으로 적재해제하는 언스태커부(unstacker unit)(320), 언스태커부(320)에 의해 적재해제된 1단 모판(A)들을 이송하여 4열이 되게 정렬시키는 제2 이송라인(330)을 포함한다. 제2 이송라인(330)의 끝 부분(330')이 정렬 위치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정렬 위치(330')에 1단*4열 모판(A)이 정렬되면 제2 운반 라인부(300)의 구동은 일시 중지될 수 있다.
상기 정렬된 1단*4열 모판(A)을 제2 발아실로 운반하는 제2 발아수레(40)가 구비된다. 상기 정렬 위치(330')에서 제2 발아수레(40)로 모판(A)을 옮기는 작업은 지게차나 로봇이 하게 된다. 도 3은 제2 발아수레(40)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보듯이 제2 발아수레(40)는 1개의 모판(A)들이 독립적으로 적재될 수 있는 구조로 제조된다. 제2 발아실에서는 대략 70 ~ 100mm까지 발아되기 때문에, 모판(A)들이 적재된 상태이면 발아되지 않거나 방해가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2 발아수레(40) 역시 그 크기는 다양하게 변경되어 제조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제2 발아실에서 소정 시간동안 충분히 발아가 된 다음에는 육묘를 위해 비닐하우스 등의 육묘장으로 옮기는 작업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볍씨가 발아된 모판(A)을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에 의존했다. 육묘장(1000)까지 운반차량이 진입할 수 없는 경우 운반차량에 의해 옮겨온 모판(A)을 내린 다음 그 모판을 들고 육묘장(1000)까지 옮겨야 했고 육묘장(1000)에서는 허리를 굽혀 모판(A)을 바닥에 내려 정렬시키게 된다. 이 경우 옮겨야 할 모판(A)은 실제 수 백개~ 수 천개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작업시간은 물론 작업강도가 크기 때문에 매우 힘든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농가 현실상 노약자나 고령자가 많다는 점에서 이러한 작업들은 매우 고된 작업들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육묘장(1000)에 설치되는 모판 공급 라인부(400)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판 공급 라인부(400)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모판 공급 라인부(400a)와 제2 모판 공급 라인부(400b)를 포함한다. 모판 공급 라인부(400)는 육묘장(1000)의 크기에 따라 하나만 설치하거나 더 설치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는 2개의 모판 공급 라인부(400a, 400b)가 설치된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들 구성은 서로 동일하기 때문에 하나의 모판 공급 라인부(400a 또는 400b)에 대해서만 살펴본다.
제1 또는 제2 모판 공급 라인부(400a 또는 400b)는 운반차량이나 또는 제2 발아수레(40)에서 꺼낸 모판(A(들을 이송하는 이송 플레이트(410), 이송 플레이트(410)의 일단에 위치한 푸시바(420), 푸시바(420)에 의해 푸시된 모판(A)이 소정 개수로 정렬되면 육묘장(1000)의 바닥면으로 공급하는 공급 플레이트(430)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 플레이트(410), 푸시바(420), 공급 플레이트(430)는 저면에 휠(미도시)이 장착되어 작업자가 미는 힘에 의해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모판 공급 라인부(400a 또는 400b)를 육묘장(1000)의 비어있는 위치로 이동하면서 바닥면에 모판(A)들이 놓여지도록 작업할 수 있다.
그리고 이송 플레이트(410), 푸시바(420), 공급 플레이트(430) 상호간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구성이며, 이들 3개의 구성이 모여 1세트가 될 수 있다.
상기 이송 플레이트(410)는 제1 컨베이어 벨트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컨베이어 벨트의 일단에 모판(A)이 올려지면 일련의 구동력에 의해 모판(A)을 이송시키며, 푸시바(420)가 설치된 위치에 오면 제1 컨베이어 벨트가 일시 구동 중단되도록 설계된다. 이는 미도시한 센서 등을 활용하면 되고, 제1 컨베이어 벨트의 구동부가 센서의 센싱 값에 따라 제1 컨베이어 벨트를 구동시키거나 중지시킨다.
상기 공급 플레이트(430)는 상부를 제2 컨베이어 벨트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는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즉 이송 플레이트, 410)로부터 푸시바(420)에 의해 옮겨진 모판(A)이 소정 정해진 개수(실시 예는 14개)가 될 때까지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정해진 개수가 될 때까지 모판(A)은 계속 이송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2 컨베이어 벨트(430)는 계속 구동되어야 하고, 모판(A)의 계속 이송을 제한하도록 제2 컨베이어 벨트(430)의 끝 단부에는 멈춤바(440)가 설치된다. 멈춤바(440)에 의해 모판(A)은 이동이 멈추지만 제2 컨베이어 벨트(430)는 상기 정해진 개수가 정렬될 때까지 계속 구동된다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430) 구조를 대신하여,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410)로부터 푸시바(420)에 의해 옮겨진 모판을 정해진 개수가 될 때까지 일 방향으로 푸시하는 제2 푸시바(미도시)가 공급 플레이트(430)의 일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푸시바는 제1 컨베이어 벨트(410)에서 옮겨온 모판(A)을 멈춤바(440) 방향으로 미는 작업을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제2 푸시바가 설치될 경우 상기 공급 플레이트(430)는 컨베이어 벨트와 같은 타입으로 구성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공급 플레이트(430) 위에 모판(A)들이 욕묘장(1000)의 바닥면에 자연스럽게 안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작업자가 모판(A)들을 들고 바닥에 놓는 기존의 작업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공급 플레이트(430)는 선택적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져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급 플레이트의 구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공급 플레이트가 수평인 상태, 도 5b는 공급 플레이트가 기울어진 상태이다. 도면에서 보듯이 상기 공급 플레이트(430)는 하단 일측에 실린더(460)가 더 구비된다. 도 5a의 상태에서 실린더(460)의 구동에 따라 공급 플레이트(430)가 도 5b와 같이 일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한다. 공급 플레이트(430)의 경사각도는 그 위에 놓여진 모판(A)들이 육묘장(1000)의 바닥면으로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미끄러질 수 있는 각도면 된다. 실시 예에서 경사각도는 22°일 수 있다.
그리고 도면과 같이 공급 플레이트(430)의 경사 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지지대 롤러(461)나 기울기 안내 파이프(462)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 플레이트(430)가 기울어졌을 때, 제일 좌/우측의 모판이 공급 플레이트(43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바(450a, 450b)가 더 설치된다. 가이드 바(450a, 450b)는 평상시(즉 도 5a 상태)에는 공급 플레이트(430)의 좌우단에 내재된 상태이다가 소정 경사각도로 기울어지기 시작하면(즉 도 5b 상태가 되면), 그 기울어지는 상태에 따라 인출되는 구조이거나, 또는 별도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인입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는 공급 플레이트(430) 자체가 기울어지는 구조를 설명하고 있지만, 공급 플레이트를 모판이 놓여지는 본체와 본체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 하단에 실린더, 지지대 롤러, 안내 파이프를 구성하여 본체만 기울어지도록 하고, 연장부는 항상 기울어진 상태로 할 수 있다.이렇게 하면 본체만 경사지게 하더라도 그 본체 위에 있는 모판들은 육묘장(1000)의 바닥면으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육묘장(1000)에 위치하는 모판(A)들은 일정 시간동안 실제 논에 공급될 수 있을 정도로 육묘가 진행되고 육묘가 완료되는 시점에 출하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출하 시점에 상기 모판(A) 상에는 농약이 살포된 후 출하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도 1에서 다시 보듯이 본 발명의 모판 자동 출하 시스템 장치(10)는 육묘장(1000)에서 지게차 등에 의해 옮겨진 모판(A)들에 농약을 살포하기 위한 농약 살포 라인(500)을 더 포함한다. 농약 살포라인(500)은 다수의 롤러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농약 살포기(510)를 포함한다. 이에 상기 롤러가 구동되어 상기 모판(A)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모판(A)이 상기 농약 살포기(510)의 하부지점을 통과하는 시점에 농약을 살포하게 된다.
그리고 농약 살포라인(500)의 마지막 지점(500')은 모판(A)들이 예를 들어 1단* 5열로 정렬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모판 자동 출하 시스템 장치(10)는 출하라인(6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출하라인(600)은 상기 농약 살포라인(500)에서 1단*5열로 정렬된 모판(A)들을 공급받고 정해진 개수가 되면 출하지점(600')으로 이송시킨다. 출하지점(600')에 모판(A)들이 이송되면 지게차에 의해 트럭 등으로 옮겨지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판 공급 라인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와 비교하면 이송 플레이트의 구조만 상이하고, 공급 플레이트의 구조는 동일할 수 있다.
도 6을 보면, 모판 공급 라인부(700a, 700b)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데, 다만 모판 공급 라인부는 작업장에 따라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모판 공급 라인부(700a, 700b)에는 이송 플레이트(710)가 구비된다.
이송 플레이트(700a)는 복수 개의 모판(A)이 적재된 제2 발아수레(40)가 위치하는 제1 위치부(730), 제2 발아수레(40)에 적재된 모판들을 꺼내는 스태커 크래커(740), 제1 위치부(730)의 반대편에 설치되며 스태커 크래커(740)에 의해 꺼내진 모판(A)들이 한개 씩 놓여지는 제2 위치부(750)를 포함한다. 제2 위치부(750)에 놓여진 모판(A)은 컨베이어 벨트 및 푸쉬 등에 의해 공급 플레이트(430)로 옮겨지게 되고, 공급 플레이트(430)에 의해 모판들은 육묘장(1000)의 바닥면으로 공급된다.
스태커 크래커(740)는 제2 발아수레(40)에 있는 모판(A)들을 순서대로 꺼낸다음 반대편의 제1 위치부(750)로 옮길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포크를 이용하여 제2 발아수레(40)에 있는 모판(A)를 들어 꺼낸 다음, 스태커 크래커(740) 내부에 있는 일련의 이송 테이블에 올려놓고, 다시 이송 테이블에 있는 모판(A)을 제2 위치부(750)로 밀어 옮길 수 있다. 물론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1 위치부(730)에서 제2 위치부(750)로 모판(A)를 옮길 수 있을 것이다.
스태커 크래커(740)는 제2 발아수레(40)에 있는 모판(A)들을 꺼낼 수 있도록 포크 및 테이블이 설치된 선반(742)은 상하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송 플레이트(710)를 이용한 모판 공급 과정은 도 7을 참고하여 살펴본다.
도 7a와 같이 작업자가 제2 발아실에서 제2 발아수레(40)를 운반한 다음, 제1 위치부(730)에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도 7b와 같이 제1 위치부(730)있는 제2 발아수레(40)를 스태커 크래커(740)의 포크 0점까지 들어올린다. 포크 0점 위치는 스태커 크래커(740) 포크가 제2 발아수레(40)의 제일 하단에 위치한 모판을 들어 꺼낼 수 있는 위치가 된다.
이후 스태커 크래커(740)의 선반(742)는 하 방향에서 상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2 발아수레(40)에 있는 모판들을 꺼내 제2 위치부(750)로 옮기는 작업을 하게 된다. 즉, 도 7c와 같이 선반(742)이 스태커 크래커(740)의 제일 아래에 위치한 상태에서 포크를 동작시켜 제2 발아수레(40)의 제일 하단에 있는 첫 번째 모판을 꺼내고 이를 제2 위치부(750)로 옮긴다. 그 다음 선반(742)를 한 칸 위로 상승시킨 다음 두 번째 모판을 꺼내고 선반(742)를 포크 0점 위치까지 하강한 후 모판을 제2 위치부(750)로 옮기는 작업을 반복한다. 이렇게 하여 도 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발아수레(40)의 마지막 모판(즉 제일 위에 있는 모판)을 제2 위치부(750)로 옮길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위치부(750)로 한개씩 옮겨진 모판들은 컨베이어 벨트 및 푸쉬 등에 의해 공급 플레이트(430)로 이송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급 플레이트(430)에 정해진 개수가 되면 공급 플레이트(430)을 경사지게 하여 육묘장(1000)의 바닥면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모판 자동 출하 시스템 장치(10)에 따르면, 모판(A)에 볍씨 파종과정, 1차 및 2차 발아과정, 비닐 하우스에서의 육묘과정, 출하과정들이, 일부 작업자가 일부 개입하긴 하지만 종래보다 육체적인 노동력을 최소화할 수 있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만큼 더 편리하면서 수월하게 육묘 완료된 모판을 출하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모판 자동 출하 시스템 장치
100: 볍씨 파종 라인부
200: 제1 운반 라인부
210: 스태커부(stacker unit)
220: 이송부
230: 제1 이송라인(제1 운반 라인부용)
240: 제2 이송라인(제1 운반 라인부용)
300: 제2 운반 라인부
310: 제1 이송라인(제2 운반 라인부용)
320: 언스태커부(unstacker unit)
330: 제2 이송라인(제2 운반 라인부용)
30: 제1 발아수레
40: 제2 발아수레
400: 모판 공급 라인부
410: 이송 플레이트
420: 푸시바
430: 공급 플레이트
440: 멈춤바
450a, 450b:가이드 바
460: 실린더
500: 농약 살포 라인
510: 농약살포기
600: 출하 라인
1000: 육묘장
A: 모판

Claims (8)

  1. 모판에 볍씨를 파종하는 볍씨 파종 라인부(100);
    볍씨파종된 모판(A)을 단*열 단위로 정렬하여 1차 발아실로 운반하기 위한 제1 운반 라인부(200);
    상기 제1 발아실에서 제2 발아실로 운반하기 위한 제2 운반 라인부(300);
    상기 제2 발아실에서 발아된 모판(A)들을 이송하는 이송 플레이트(410), 이송 플레이트(410)의 일단에 위치한 푸시바(420), 푸시바(420)에 의해 푸시된 모판(A)이 소정 개수로 정렬되면 육묘장(1000)의 바닥면으로 공급하는 공급 플레이트(430)를 포함하는 모판 공급 라인부(400);
    육묘장(1000)에서 옮겨진 모판(A)들에 농약을 살포하기 위한 농약 살포 라인(500); 및
    농약 살포된 모판(A)들을 출하하는 출하라인(6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 자동 출하 시스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운반 라인부(200)는,
    모판(A)을 적재하는 스태커부(stacker unit)(210); 및
    적재된 모판(A)들을 이송시키는 제1 이송라인(230) 및 적재된 모판(A)들이 소정 열이 되게 정렬시키고 제1 발아수레(30) 측으로 공급하는 제2 이송라인(240)을 포함하는 이송부(220)를 포함하는 모판 자동 출하 시스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아수레(30)는,
    적재된 상태의 모판(A)들을 적재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된 적재부(31)가 형성되며, 상기 적재부(31)마다 적재된 모판(A)들이 위치되는 모판 자동 출하 시스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운반 라인부(300)는,
    제1 발아실에서 옮겨진 적재된 모판(A)들을 이송하는 제1 이송라인(310);
    상기 적재된 모판(A)들을 적재 해제는 언스태커부(unstacker unit)(320); 및
    적재해제된 모판(A)들을 이송하여 정렬하고 제2 발아수레(40) 측으로 공급하는 제2 이송라인(330)을 포함하는 모판 자동 출하 시스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제2 발아수레(40)는,
    발아 상태인 모판(A)들이 겹쳐지지 않은 상태로 각각 적재되도록 독립된 적재부가 형성되는 모판 자동 출하 시스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플레이트(400)는,
    상기 이송 플레이트(410)로부터 푸시바(420)에 의해 옮겨진 모판(A)이 소정 정해진 개수가 될 때까지 이송되도록 하면서, 제일 먼저 이송된 모판(A)의 이송을 제한하는 멈춤바(440)가 설치되는 모판 자동 출하 시스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플레이트(400)는,
    상기 공급 플레이트(400)를 수평 상태 또는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가 되도록 하단 일측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실린더(460); 및
    상기 공급 플레이트(400)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모판(A)들이 육묘장(1000)의 바닥면으로 공급될 때 제일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한 모판(A)이 공급 플레이트(40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바(450a, 450b)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바(450a, 450b)는 상기 공급 플레이트(400)가 기울어질 때 자동 인출되고, 상기 공급 플레이트(400)가 수평상태가 되면 자동 인입되는 모판 자동 출하 시스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플레이트(710)는,
    제2 발아수레(40)가 위치하는 제1 위치부(730);
    상기 제2 발아수레에 적재된 모판(A)들을 순서대로 꺼낸 다음, 상기 제1 위치부(730)의 반대편에 있는 제2 위치부(750)로 공급하는 스태커 크래커(740)를 포함하고,
    상기 스태커 크래커(740)는, 모판(A)을 꺼내기 위한 포크, 포크에 의해 꺼내진 모판(A)을 상기 제2 위치부(750)로 공급하는 테이블을 구비하는 선반을 포함하고,
    상기 선반은 소정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제2 발아수레(40)의 하단에서 상단까지 상하 운동하며,
    상기 제2 발아수레(40)가 상기 제1 위치부(730)에 위치하면 상기 제2 발아수레(40)는 상기 스태커 크래커(740)에 구비된 상기 포크의 0점 지점까지 올려지는 모판 자동 출하 시스템 장치.
KR1020200185529A 2020-12-29 2020-12-29 모판 자동 출하 시스템 장치 KR202200943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529A KR20220094378A (ko) 2020-12-29 2020-12-29 모판 자동 출하 시스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529A KR20220094378A (ko) 2020-12-29 2020-12-29 모판 자동 출하 시스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4378A true KR20220094378A (ko) 2022-07-06

Family

ID=82400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5529A KR20220094378A (ko) 2020-12-29 2020-12-29 모판 자동 출하 시스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43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0146B1 (ko) 2023-05-12 2023-10-16 한태웅 육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0146B1 (ko) 2023-05-12 2023-10-16 한태웅 육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3433B1 (ko) 육묘공정 자동화 설비 시스템
KR101643553B1 (ko) 온실을 이용한 자동화 육묘시설
KR100621894B1 (ko) 적층상자 재배방식의 식물재배시스템
KR20220094378A (ko) 모판 자동 출하 시스템 장치
KR101843697B1 (ko) 육묘상자 적재장치
KR20190084374A (ko) 육묘상자의 적층장치
KR101264016B1 (ko) 육묘베드 자동운반 시스템
JP2019062825A (ja) 植物搬送システム
KR20190031927A (ko) 육묘상자의 적층장치
JP4441063B2 (ja) 苗移植機
JPH0137368Y2 (ko)
JP3521655B2 (ja) 育苗施設
JPH0534245B2 (ko)
JP3521657B2 (ja) 育苗施設
CN218042752U (zh) 茎叶类蔬菜智能化生产车间
JP6424471B2 (ja) 育苗箱段積み装置
JP4600213B2 (ja) 苗移植機
KR101251757B1 (ko) 육묘상자 운반용 이송베드
KR20170085796A (ko) 묘판 장치
JP2644463B2 (ja) 育苗箱処理施設
JPH0655046B2 (ja) 自動播種プラント
JPS63262335A (ja) 育苗箱多段積込み装置
JPH0648942B2 (ja) 自動播種プラント
KR20210147238A (ko) 농작물재배용 자동농업기계를 이용한 자동농업기계시스템
KR20230143697A (ko) 화분 이송용 수평유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