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5796A - 묘판 장치 - Google Patents

묘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5796A
KR20170085796A KR1020160005380A KR20160005380A KR20170085796A KR 20170085796 A KR20170085796 A KR 20170085796A KR 1020160005380 A KR1020160005380 A KR 1020160005380A KR 20160005380 A KR20160005380 A KR 20160005380A KR 20170085796 A KR20170085796 A KR 20170085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conveyor
trestle
se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5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병대
Original Assignee
서병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병대 filed Critical 서병대
Priority to KR1020160005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5796A/ko
Publication of KR20170085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57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01G9/1006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01G9/1013
    • A01G9/1026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여러 단계에 걸쳐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양묘를 위해 묘판 준비 과정을 자동화하여 묘판이 컨베이어를 통해 차례로 진행됨에 따라, 묘판 위에 흙을 깔고 그 위에 씨를 뿌린 다음 다시 흙을 덮어서 못자리에 나란하게 배치하고, 그 위에 부직포와 비닐을 씌운 다음 비닐 양쪽 테두리 부분을 흙으로 덮어서 복토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자동화할 수 있어 인력을 줄이면서도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 묘판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묘판 위에 까는 흙과 씨앗(종자) 등이 중력을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아래로 떨어지면서 묘판 위에 깔리도록 구성하므로, 소비 동력을 최소화하면서도 여러 사람이 오랫동안 준비하던 묘판 작업을 자동화하면서 연료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한 묘판 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한 번에 두 개의 묘판을 양묘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한 번에 두 줄씩 못자리에 양묘 준비를 할 수 있어 양묘 작업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한 묘판 장치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묘판 장치{NURSERY BED MACHINE}
본 발명은 묘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랙터와 같이 동력 발생장치가 있는 농기구로 끌면서 자동으로 묘판에 흙을 깔고 씨앗을 뿌린 다음 부직포와 비닐을 씌워서 그 양쪽 테두리 부분을 흙으로 덮어서 묘판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묘판은 못자리와 같이 종자(씨)를 뿌려서 본토에 이식 또는 이양할 묘를 기르는 자리를 말한다. 이처럼 종자를 묘판에 뿌려서 어느 정도 자랄 때까지 양묘(모 기르기) 한 다음 본토에 이양하는 이유로는, (1)양묘 관리가 쉽고, (2)피 또는 잡초 등 발생이 억제되어 순수한 양묘 생산량을 늘릴 수 있고, (3)짧은 시간에 넓은 지역에 모내기할 수 있으며, (4)시간과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는 이러한 묘판 관련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묘판용 보조 틀에 관한 것으로, 묘판의 상면으로 쌓여 묘판으로 성토되는 흙의 높이를 높일 수 있도록 함으로서 다양한 작물의 파종할 수 있게 한 묘판용 보조 틀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2는 물못자리와 하우스 겸용 묘판에 관한 것으로, 물못자리와 하우스용을 구분하지 않고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영양분이 오래 계속되어 모 뿌리가 강해지도록 하여 하나의 제품으로 물못자리와 하우스용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물못자리와 하우스 겸용 묘판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3은 묘판 트레이를 선회함에 있어, 이송체인은 합성수지소재로 제작하되, 동력전달기어와의 안정된 치합, 베이스로부터 구름 볼에 의한 마찰력을 최소화하고, 묘판 트레이의 저부는 가이드레일로부터 구름 가능하게 하여 이동함으로써, 소음과 마찰을 줄일 수 있어 정숙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안정된 묘판 트레이의 선회에서 재배액 공급은 기존과 같이 위치가 묘판의 위치가 다운되고, 상승시키는 구성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장치의 설계가 간단하고, 고장발생률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이처럼 이루어진 묘판에 씨앗을 파종하는 과정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못자리에 필요한 개수만큼의 묘판을 준비한다.
(2) 준비한 묘판에 그 높이보다 낮게 묘를 기르기 위한 곳에서 가져온 흙을 1차로 덮는다.
(3) 1차로 덮은 흙 위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씨앗을 뿌린다.
(4) 씨앗 위에 다시 미리 정한 두께로 흙을 2차로 덮는다.
(5) 2차로 흙을 덮은 묘판을 못자리 등으로 옮긴다.
(6) 옮긴 묘판을 못자리에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한 다음, 그 위에 수분 유지와 온도 유지 등을 목적으로 부직포와 비닐을 차례로 덮고 그 양쪽 테두리를 흙으로 덮어서 복토한다.
이처럼 묘판에 양육 준비를 하는 과정은 복잡할 뿐만 아니라 각 과정이 대부분 인력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이처럼 묘판을 이용한 양묘 준비를 하는 데 자동화할 수 있는 장비가 없으므로, 모든 공정이 수작업으로 진행된다.
(2) 이에, 넓은 못자리에 양묘 준비를 할 경우, 많은 작업자가 필요하나, 이를 충당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작업자를 충당하더라도 이에 따른 비용이 많이 늘어난다.
(3) 양묘 준비를 하는 각 단계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하나의 묘판을 준비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려 작업 효율이 떨어진다.
(4) 수작업으로 여러 사람이 흙을 덮거나 씨앗을 뿌리는 작업을 분담하여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준비된 묘판의 균질성이 떨어질 수 있다.
한국등록실용 제0473070호 (등록일 : 2014.06.02) 한국공개실용 제20-2014-0003558호 (공개일 : 2014.06.12) 한국등록특허 제1512272호 (등록일 : 2015.04.08)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고려하여 발명한 것으로, 종래와 같이 여러 단계에 걸쳐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양묘를 위해 묘판 준비 과정을 자동화하여 묘판이 컨베이어를 통해 차례로 진행됨에 따라, 묘판 위에 흙을 깔고 그 위에 씨를 뿌린 다음 다시 흙을 덮어서 못자리에 나란하게 배치하고, 그 위에 부직포와 비닐을 씌운 다음 비닐 양쪽 테두리 부분을 흙으로 덮어서 복토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자동화할 수 있어 인력을 줄이면서도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 묘판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묘판 위에 까는 흙과 씨앗(종자) 등이 중력을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아래로 떨어지면서 묘판 위에 깔리도록 구성하므로, 소비 동력을 최소화하면서도 여러 사람이 오랫동안 준비하던 묘판 작업을 자동화하면서 연료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한 묘판 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한 번에 두 개의 묘판을 양묘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한 번에 두 줄씩 못자리에 양묘 준비를 할 수 있어 양묘 작업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한 묘판 장치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묘판 장치는, 동력발생 장치를 갖춘 농기구(T)에 연결되어 이송되는 이송 프레임(100); 상기 이송 프레임(100)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컨베이어(200); 상기 컨베이어(200) 입구 측에 설치되며, 여러 층으로 쌓인 묘판(10)을 중력을 이용하여 차례로 컨베이어(200)에 투하하여 이송하게 하는 묘판 공급수단(300); 상기 묘판 공급수단(300) 다음에 컨베이어(200) 위에 위치하도록 이송 프레임(100)에 설치되며, 이송된 묘판(10) 위에 이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흙을 투하하여 묘판(10)이 지나감에 따라 중력을 이용하여 미리 정한 두께로 흙을 깔아주는 제1 흙 공급수단(400'); 상기 제1 흙 공급수단(400') 다음에 위치하도록 이송 프레임(100)에 설치되며, 1차로 흙을 공급받은 묘판(10)이 지나감에 따라 중력을 이용하여 이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씨앗을 떨어뜨리는 씨앗 공급수단(500); 상기 씨앗 공급수단(500) 다음에 위치하도록 이송 프레임(100)에 설치되며, 상기 묘판(10)이 지나감에 따라 중력을 이용하여 씨앗 위에 다시 미리 정한 두께로 흙을 깔아주도록 투하하는 제2 흙 공급수단(400"); 상기 제2 흙 공급수단(400")을 통과한 묘판(10) 위에 부직포(610)를 씌워주도록 컨베이어(200) 단부에 위치하도록 프레임(100)에 장착된 부직포 롤러(600); 및 상기 프레임(100) 끝에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장착되어 부직포(610)가 씌워지면서 지면으로 떨어지는 묘판(10) 위에 비닐(710)을 씌워주면서 그 양쪽 테두리 부분을 흙으로 덮어주는 비닐 복토기(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이송 프레임(100)은, 한 번에 두 개의 묘판(10)을 이송시킬 수 있는 넓이로 제작되며, 상기 컨베이어(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낙하용 구멍(110)을 형성하여 묘판(10)에 들어가지 않은 흙이나 씨앗이 바로 지면으로 떨어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묘판 공급수단(300)은, 두 개의 묘판(10)이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하여 그 폭 방향이 컨베이어(200)를 따라 진행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1 흙 공급수단(400')과 제2 흙 공급수단(400")은, 각각, 내부에 미리 정한 용적의 흙을 담을 수 있는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컨베이어(200)와 마주 보는 하부에는 띠 형태로 흙을 분출할 수 있게 분출 구멍(410)이 형성되고, 이 분출 구멍(410)에는 각각 분출되는 흙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 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용기 형상의 내부에는 흙을 골고루 섞어줄 수 있게 적어도 2개의 회전 스크루(420)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씨앗 공급수단(500)은, 내부에 미리 정한 용적의 씨앗을 담을 수 있는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컨베이어(200)와 마주 보는 하부에는 띠 형태로 씨앗을 분출할 수 있게 분출 구멍(510)이 형성되고, 이 분출 구멍(510)에는 각각 분출되는 흙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 밸브(511)가 설치되며, 상기 용기 형상의 내부에는 흙을 골고루 섞어줄 수 있게 적어도 2개의 회전 스크루(520)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묘판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파종을 위해 묘판에 씨앗을 뿌려서 양묘 준비하는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으므로 인건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화로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2) 구조가 간단하여 쉽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3) 묘판과 흙 그리고 종자 등을 중력을 이용하여 낙하하는 힘을 이용하므로 묘판 준비에 필요한 동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4) 여러 사람이 일을 분담하여 묘판 양묘 준비를 하던 작업을 이처럼 자동화하고, 트랙터와 같은 농기구에 연결하여 양묘 준비를 할 수 있으므로 짧은 시간에 넓은 못자리에도 양묘 준비를 할 수 있다.
(5) 농기구를 운전할 수 있으면 농기구에 본 발명에 따른 묘판 장치를 연결하여 작동시키기만 하면 묘판 준비가 끝나므로 누구든지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묘판 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묘판 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해 측면에서 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컨베이어를 따라 묘판이 이송됨에 따라 이루어지는 작업을 간략하게 보여주기 위한 작업 진행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묘판 장치로 작업한 후의 묘판 상태를 보여주는 못자리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묘판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이송 프레임(100)·컨베이어(200)·묘판 공급수단(300)·제1 흙 공급수단(400')·씨앗 공급수단(500)·제2 흙 공급수단(400")·부직포 롤러(600) 그리고 비닐 복토기(700)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컨베이어(200)를 통해 묘판(10)이 이송되어 감에 따라 상기 제1 흙 공급수단(400')과 제2 흙 공급수단(400")에서 각각 투하되는 흙과 상기 씨앗 공급수단(500)에서 투하되는 씨앗이 중력의 힘으로 이루어지게 구성하고, 상기 부직포 롤러(600)와 비닐 복토기(700)에서 각각 풀리는 부직포(610)와 비닐(710)이 차례로 풀리면서 양묘 준비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농구기(T)는 엔진과 같은 동력 발생장치를 갖춘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나,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트랙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송 프레임(10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후술할 컨베이어(200)를 지지할 수 있는 길이로 제작한다.
특히, 상기 이송 프레임(100)은,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2개의 묘판(10)이 동시에 이송될 수 있는 폭으로 제작함으로써, 묘판 양묘 준비를 2배로 늘려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 프레임(100)은, [도 1]과 같이, 컨베이어(200) 사이를 통해 흙이나 씨앗 등이 이송 프레임(100) 위에서 지면 쪽으로 자유 낙하할 수 있게 낙하용 구멍(11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낙하용 구멍(110)은 묘판(10)이 이송하는 경로를 따라 그 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묘판(10) 위에서 떨어지는 흙이나 씨앗 등이 묘판(10)에 담기지 않으면 그 흙이나 씨앗이 이송 프레임(100)에 쌓이지 않고 바로 지면으로 떨어지게 하기 위함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이송 프레임(100)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한쪽에 고리 형태와 같이 농기구(T)에 장착할 수 있게 장착구(120)를 더 형성한다. 여기서, 장착구(120)는 트랙터에 장착하는 써레와 트래일러 등을 연결하는 데 이용하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된다.
컨베이어(20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묘판(10)이 어느 한쪽(바람직하게는 이송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이송 프레임(100) 위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200)는 묘판(10)을 이송할 수 있는 것이라면 공지된 어떠한 컨베이어라도 사용할 수 있으나, 그 폭이 묘판(10)의 길이보다 작은 것을 여러 개 사용하여 구성함으로써, 컨베이어(200) 사이에 틈새를 둘 수 있고 이 틈새를 통해 상술한 낙하용 구멍(110)이 지면에 노출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컨베이어(20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적어도 묘판 공급수단(300)·제1 흙 공급수단(400')·씨앗 공급수단(500) 그리고 제2 흙 공급수단(400")이 설치된 길이만큼 형성함으로써, 묘판(10)이 컨베이어(200)를 통해 이들 각 수단을 통과하면서 흙을 덮거나 그 위에 씨앗 등을 뿌릴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묘판 공급수단(30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여러 개의 묘판(10)을 쌓아놓고 하나씩 컨베이어(200) 위에 올려놓아 이송될 수 있게 안내한다. 이러한 묘판 공급수단(300)은 컨베이어(200)의 입구 측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묘판 공급수단(300)은 묘판(10)을 상하로 쌓을 수 있는 사각 용기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쌓인 묘판(10)은 중력을 받아 차례로 아래로 내려가게 하고, 컨베이어(200)와 맞닿은 묘판(10)이 이송됨에 따라 그 위에 있던 묘판(10)이 중력을 받아 다시 내려오면서 컨베이어(200)와 닿을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묘판 공급수단(300)은,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용기 형상의 내부 양쪽에 회전하는 스토퍼를 갖추고, 이 스토퍼가 한 번 회전할 때마다 여러 개가 쌓인 묘판(10) 중에서 하나씩 컨베이어(200) 위에 놓일 수 있도록 안내하는 통상의 기술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처럼 이루어진 묘판 공급수단(300)은 상술한 컨베이어(200) 위에서 묘판(10)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이송 프레임(100)에 장착하는 데, 바람직하게는 [도 1]과 같이 한 쌍을 장착하여 한 번에 두 개의 묘판(10)을 동시에 이송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흙 공급수단(400')과 제2흙 공급수단(40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흙을 공급하는 시기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여기서는 그 구성을 먼저 설명하고 흙을 공급하는 과정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우선, 그 구성에서, 상기 제1흙 공급수단(400')과 제2흙 공급수단(40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내부에 소정 용량의 흙을 담을 수 있는 용기 형태로 제작된다.
그리고, 이 용기 하부에는 내부에 담긴 흙을 아래 방향, 즉 컨베이어(200) 위를 지나는 묘판(10) 위에 떨어뜨릴 수 있도록 띠 형상으로 분출 구멍(410)이 형성된다. 이때, 이 분출 구멍(410)은 컨베이어(200)의 이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묘판(10)이 컨베이어(200)를 통해 이송됨에 따라 묘판(10)에 골고루 흙이 깔리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분출 구멍(410)에는 조절 밸브를 더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절 밸브는 분출 구멍(410)에서 분출되는 흙의 양을 조절하게 하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묘판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분출 구멍(410)을 막아서 흙이 컨베이어(200) 위로 떨어지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용기에는 내부에 적어도 2개의 회전 스크루(420)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흙이 그 중량 때문에 용기 내에서 눌려서 중력이 작용하더라도 잘 내려오지 않을 수 있는 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회전 스크루(420)를 회전시켜 흙을 부숴줌으로써 중력을 받아 쉽게 용기 밑으로 투하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 스크루(420)는 두 개가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용기의 용량에 따라 2~4개 또는 그 이상 구성할 수도 있고, 그 배치에서도 도면과 같이 좌우로 배치할 수도 있고 상하 또는 상하좌우로 배치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한편, 이처럼 이루어진 제1흙 공급수단(40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한 쌍을 상술한 묘판 공급수단(300) 다음에 위치하여 컨베이어(200) 위에서 흙을 투하할 수 있게 이송 프레임(100)에 설치되며, [도 2]와 같이 묘판 공급장치(300)에서 공급된 묘판(10a) 안에 미리 정한 두께로 흙을 깔아준다.
또한, 상기 제2흙 공급수단(40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한 쌍을 후술할 씨앗 공급수단(500) 다음에 위치하여 컨베이어(200) 위에서 흙을 투하할 수 있게 이송 프레임(100)에 설치되며, [도 2] 및 [도 3]과 같이 씨앗 공급수단(500)을 통해 뿌려진 씨앗 위에 미리 정한 두께로 흙을 덮어준다(도면에서 "10c"는 씨앗이 뿌려진 묘판을 나타낸다).
씨앗 공급수단(50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에는 씨앗을 분출할 수 있게 분출 구멍(510)이 형성된다. 그리고, 분출 구멍(510)에는 떨어지는 씨앗의 양을 조절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분출 구멍(510)을 막을 수 있도록 조절 밸브(511)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용기 내부에는 적어도 2개의 회전 스크루(520)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분출 구멍(510)과 조절 밸브(511) 그리고 회전 스크루(520)의 구성은 상술한 제1흙 공급수단(400')과 제2흙 공급수단(400")에서 설명한 분출 구멍(410)과 조절 밸브 그리고 회전 스크루(420)의 구성과 같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씨앗 공급수단(50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한 쌍이 상술한 제1흙 공급수단(400')과 제2흙 공급수단(400") 사이에 위치하여 컨베이어(200) 위로 씨앗을 떨어뜨릴 수 있도록 이송 프레임(100)에 장착된다. 그리고,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술한 제1흙 공급수단(400')에서 1차로 흙이 깔려서 컨베이어(200)를 통해 이송된 묘판(10a) 위에 씨앗을 뿌려준다(도면에서 씨앗이 뿌려진 묘판은 "10b"로 도시됨).
부직포 롤러(60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컨베이어(200) 끝에 위치하도록 이송 프레임(100)에 장착된다. 부직포(61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씨앗이 뿌려진 위에 다시 흙을 깔아준 묘판(10c)이 컨베이어(200)에서 내려가면서 지면으로 떨어질 때 그 위에 씌워지게 한다. 이러한 부직포(610)는 지면과 후술할 비닐(710) 사이에서 수분을 머금게 하여 씨앗에 필요한 수분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상기 부직포 롤러(600)는 통상 롤 형태로 감긴 부직포 롤의 양단을 지지하게 하고, 부직포(610)의 한쪽 끝을 지면 등에 고정한 상태에서 이송 프레임(100)을 움직이게 하면 자동으로 풀리도록 구성한다.
비닐 복토기(70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술한 부직포 롤러(600)와 같이 비닐(710)이 자연스럽게 풀릴 수 있도록 롤러를 갖추고, 또한 이 롤러의 양쪽에는 삽이 갖춰진다. 이때의 삽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씨앗이 뿌려진 다음 2차로 흙이 덮인 묘판(10c)이 컨베이어(200)에서 떨어지면서 그 위에 부직포(610)가 씌워진 모판(10e) 위에 덮인 비닐(710)의 양쪽 테두리를 흙으로 덮어서 복토하기 위한 것이다.
이처럼 비닐의 양쪽 테두리를 흙으로 덮어서 복토하는 기술은 통상의 기술로 이루어진 것을 이용한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여러 개가 쌓인 상태에서 각각의 묘판(10)이 컨베이어(200)를 통해 이송됨에 따라, 그 위에서 떨어지는 흙이 1차로 묘판(10) 위에 깔리게 하고, 1차로 흙이 깔린 묘판(10a) 위에 씨앗을 떨어뜨려서 골고루 뿌려지게 하며, 씨앗이 뿌려진 묘판(10b) 위에 다시 2차로 흙을 뿌리며, 2차로 흙이 뿌려져서 씨앗을 덮은 묘판(10c)이 지면에 떨어지게 하면서 부직포(610)를 덮고, 부직포(610)가 덮인 묘판(10d) 위에 다시 비닐(710)을 씌우고, 비닐(710)이 씌워진 묘판(10e)이 나란하게 배열된 상태에서 비닐의 양쪽 테두리를 흙으로 덮어서 복토하게 한 것이다.
100 : 이송 프레임
110 : 낙하용 구멍
200 : 컨베이어
300 : 묘판 공급수단
400' : 제1흙 공급수단
400" : 제2흙 공급수단
410, 510 : 분출 구멍
420, 520 : 회전 스크루
500 : 씨앗 공급수단
600 : 부직포 롤러

Claims (5)

  1. 동력발생 장치를 갖춘 농기구(T)에 연결되어 이송되는 이송 프레임(100);
    상기 이송 프레임(100)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컨베이어(200);
    상기 컨베이어(200) 입구 측에 설치되며, 여러 층으로 쌓인 묘판(10)을 중력을 이용하여 차례로 컨베이어(200)에 투하하여 이송하게 하는 묘판 공급수단(300);
    상기 묘판 공급수단(300) 다음에 컨베이어(200) 위에 위치하도록 이송 프레임(100)에 설치되며, 이송된 묘판(10) 위에 이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흙을 투하하여 묘판(10)이 지나감에 따라 중력을 이용하여 미리 정한 두께로 흙을 깔아주는 제1 흙 공급수단(400');
    상기 제1 흙 공급수단(400') 다음에 위치하도록 이송 프레임(100)에 설치되며, 1차로 흙을 공급받은 묘판(10)이 지나감에 따라 중력을 이용하여 이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씨앗을 떨어뜨리는 씨앗 공급수단(500);
    상기 씨앗 공급수단(500) 다음에 위치하도록 이송 프레임(100)에 설치되며, 상기 묘판(10)이 지나감에 따라 중력을 이용하여 씨앗 위에 다시 미리 정한 두께로 흙을 깔아주도록 투하하는 제2 흙 공급수단(400");
    상기 제2 흙 공급수단(400")을 통과한 묘판(10) 위에 부직포(610)를 씌워주도록 컨베이어(200) 단부에 위치하도록 프레임(100)에 장착된 부직포 롤러(600); 및
    상기 프레임(100) 끝에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장착되어 부직포(610)가 씌워지면서 지면으로 떨어지는 묘판(10) 위에 비닐(710)을 씌워주면서 그 양쪽 테두리 부분을 흙으로 덮어주는 비닐 복토기(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프레임(100)은,
    한 번에 두 개의 묘판(10)을 이송시킬 수 있는 넓이로 제작되며,
    상기 컨베이어(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낙하용 구멍(110)을 형성하여 묘판(10)에 들어가지 않은 흙이나 씨앗이 바로 지면으로 떨어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판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묘판 공급수단(300)은,
    두 개의 묘판(10)이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하여 그 폭 방향이 컨베이어(200)를 따라 진행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판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제1 흙 공급수단(400')과 제2 흙 공급수단(400")은, 각각,
    내부에 미리 정한 용적의 흙을 담을 수 있는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컨베이어(200)와 마주 보는 하부에는 띠 형태로 흙을 분출할 수 있게 분출 구멍(410)이 형성되고,
    이 분출 구멍(410)에는 각각 분출되는 흙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 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용기 형상의 내부에는 흙을 골고루 섞어줄 수 있게 적어도 2개의 회전 스크루(420)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판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씨앗 공급수단(500)은,
    내부에 미리 정한 용적의 씨앗을 담을 수 있는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컨베이어(200)와 마주 보는 하부에는 띠 형태로 씨앗을 분출할 수 있게 분출 구멍(510)이 형성되고,
    이 분출 구멍(510)에는 각각 분출되는 흙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 밸브(511)가 설치되며,
    상기 용기 형상의 내부에는 흙을 골고루 섞어줄 수 있게 적어도 2개의 회전 스크루(520)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판 장치.
KR1020160005380A 2016-01-15 2016-01-15 묘판 장치 KR201700857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380A KR20170085796A (ko) 2016-01-15 2016-01-15 묘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380A KR20170085796A (ko) 2016-01-15 2016-01-15 묘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5796A true KR20170085796A (ko) 2017-07-25

Family

ID=59426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5380A KR20170085796A (ko) 2016-01-15 2016-01-15 묘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579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0296A (ko) 2021-02-26 2023-10-30 코미 핫코 코포레이션 변환 장치, 예측 모델 제작 장치, 변환 정보 제작 방법, 예측 모델 제작 방법, 및 프로그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0296A (ko) 2021-02-26 2023-10-30 코미 핫코 코포레이션 변환 장치, 예측 모델 제작 장치, 변환 정보 제작 방법, 예측 모델 제작 방법, 및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84786B (zh) 自动化蔬菜种植与加工方法
EP3586581A1 (de) Saatmatte zum einbringen in eine vorrichtung zur aufzucht von pflanzen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rselben
KR100621894B1 (ko) 적층상자 재배방식의 식물재배시스템
JP6019897B2 (ja) 育苗方法
KR20170085796A (ko) 묘판 장치
JP2014027902A5 (ko)
KR101711058B1 (ko) 새싹보리 재배장치 및 이의 재배방법
JPH02104216A (ja) 芝の移植方法及び同用巻ロール製品
KR20220094378A (ko) 모판 자동 출하 시스템 장치
JPH0137368Y2 (ko)
KR102034435B1 (ko) 생초 연속 재배장치
JPH02231025A (ja) 家畜用の給餌装置
JP4600213B2 (ja) 苗移植機
JP7226231B2 (ja) 育苗培土
AU2012100784A4 (en) A continuous growing apparatus
KR102039939B1 (ko) 종자 패키징 자동 포장장치
JPS6235322Y2 (ko)
JPS601532Y2 (ja) 手動条播種機
JPH041761Y2 (ko)
JP6361713B2 (ja) 育苗方法
JPH0799852A (ja) 株間隔調整式搬送栽培方法および装置および栽培パネル
JP2694855B2 (ja) 潅水装置
JPH06225643A (ja) 育苗装置
KR101454162B1 (ko) 식물 재배시스템
JP2907720B2 (ja) 多用途播種プラ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182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417

Effective date: 2018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