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4016B1 - 육묘베드 자동운반 시스템 - Google Patents
육묘베드 자동운반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64016B1 KR101264016B1 KR1020110010705A KR20110010705A KR101264016B1 KR 101264016 B1 KR101264016 B1 KR 101264016B1 KR 1020110010705 A KR1020110010705 A KR 1020110010705A KR 20110010705 A KR20110010705 A KR 20110010705A KR 101264016 B1 KR101264016 B1 KR 1012640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ry
- germination
- carrying
- seedling
- seedling b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9—Handling or transporting of soil blocks or seedling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8—Handling or transferring po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23—Greenhouse bench structur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1/00—Use of pick-up or transfer devices or of manipulators for stacking or de-stack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정 육묘공장의 육묘베드를 운반하는 자동운반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이송된 육묘베드를 내부로 전달하여 순차적으로 다단 적재하고, 동시에 이송시키는 반입부와, 상기 반입부에서 이송 받은 상기 육묘베드를 발아시키는 복수 개의 발아실들이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육묘베드의 재배작물의 발아 소요 기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발아실들 중 설정된 개수의 발아실에서 발아되도록 하는 발아부와, 상기 발아부에서 배출된 상기 육묘베드를 동시에 전달받아 순차적으로 반출시키는 반출부를 포함하는 육묘베드 자동운반 시스템을
따라서 인력에 의해 운반하던 육묘베드를 자동 공정으로 운반이 이루어져 인건비가 감소되고, 한 번에 하나씩 이루어지던 공정을 다단 적재하여 동시에 이송하므로 작업속도가 빨라지고, 균일한 육묘생산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외부로부터 이송된 육묘베드를 내부로 전달하여 순차적으로 다단 적재하고, 동시에 이송시키는 반입부와, 상기 반입부에서 이송 받은 상기 육묘베드를 발아시키는 복수 개의 발아실들이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육묘베드의 재배작물의 발아 소요 기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발아실들 중 설정된 개수의 발아실에서 발아되도록 하는 발아부와, 상기 발아부에서 배출된 상기 육묘베드를 동시에 전달받아 순차적으로 반출시키는 반출부를 포함하는 육묘베드 자동운반 시스템을
따라서 인력에 의해 운반하던 육묘베드를 자동 공정으로 운반이 이루어져 인건비가 감소되고, 한 번에 하나씩 이루어지던 공정을 다단 적재하여 동시에 이송하므로 작업속도가 빨라지고, 균일한 육묘생산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육묘베드 자동운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정 육묘공장 내에서 육묘상자를 적재한 육묘베드를 자동 운반하는 육묘베드 자동운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정 육묘공장 내에서 각종 재배작물의 육묘를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한 시설로서 비닐온실 또는 유리온실 등으로 구성되며 크기는 방대하다.
이와 같은 육묘공장은 내부가 대부분 육묘상자를 올려놓을 수 있는 베드가 정열 되어 있는 육묘실과, 파종실과, 발아실 등 여러 공정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육묘공장에서 특히, 육묘베드를 발아실 까지 적재, 반입 하며 발아된 육묘베드를 반출, 출하 등 운반 정렬하는 것을 모두 인력이 처리하고 있기 때문에 많은 인력이 필요하며 따라서 인건비가 증대되고, 작업이 신속히 이루어지지 못하여 균일한 육묘의 생산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은, 공정 육묘공장 내에서 육묘상자를 적재한 육묘베드를 자동 운반하는 육묘베드 자동운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정 육묘공장의 육묘베드를 운반하는 자동운반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이송된 육묘베드를 내부로 전달하여 순차적으로 다단 적재하고, 동시에 이송시키는 반입부와, 상기 반입부에서 이송 받은 상기 육묘베드를 발아시키는 복수 개의 발아실들이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육묘베드의 재배작물의 발아 소요 기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발아실들 중 설정된 개수의 발아실에서 발아되도록 하는 발아부 및 상기 발아부에서 배출된 상기 육묘베드를 동시에 전달받아 순차적으로 반출시키는 반출부를 포함하는 육묘베드 자동운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입부는, 외부에서 전달받은 육묘베드를 다단으로 적재하기 위해 설치한 반입적재틀과, 상기 반입적재틀에 연결 설치되며, 중앙에는 외부에서 전달받은 상기 육묘베드를 상기 반입적재틀 내부로 이송시키는 반입이송부와, 상기 반입적재틀에 설치되며, 상단에는 상기 반입이송부에 의해 전달된 상기 육묘베드를 상기 반입이송부 상에서 상하로 승강시키는 반입승강부와, 상기 반입적재틀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반입이송부 상에서 승 하강된 상기 육묘베드를 감지하는 반입제어부 및 상기 반입적재틀 상에 적재된 다단의 상기 육묘베드를 동시에 배출시키는 반입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입적재틀은, 내부 일 측 및 대향하는 타 측에 각각 결합되는 반입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반입고정플레이트의 측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반입승강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입고정플레이트는, 양측에 수직으로 각각 결합되는 반입가이드 샤프트와, 가운데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반입스크류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반입승강플레이트는, 양 측이 상기 반입가이드 샤프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반입고정블록과, 가운데에 상기 반입스크류 샤프트에 나사 체결되도록 결합되는 반입블록너트와, 상기 반입승강플레이트 후면의 양측에서 상기 반입부의 내부를 향하여 각각 결합되며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열되는 반입연결바들 및 상기 반입연결바들의 양측을 가로질러 결합되며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열되는 반입이송바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입이송부는, 반입구동부와, 상기 반입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반입이송체인 및 상기 반입이송체인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전달받은 상기 육묘베드를 걸림 시켜 함께 이송되는 반입걸림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입승강부는, 반입동력제공부와, 상기 반입동력제공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반입회전축과, 상기 반입회전축의 양 측에 결합되며, 상기 반입고정플레이트들의 반입연결기어와 맞물려 상기 반입스크류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반입회전기어 및 상기 반입동력제공부와 연결되어 상기 반입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반입구동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입제어부는, 상기 반입적재틀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반입이송부 상에서 승강되는 상기 육묘베드를 정지 또는 승강 가능상태를 판별하기 위한 반입적재센서 및 상기 반입적재틀의 타 측에 결합되어 상기 육묘베드의 배출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반입배출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입배출부는, 상기 반입적재틀의 상부 하단에 결합되는 반입지지플레이트와, 상기 반입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는 반입배출이송실린더 및 상기 반입배출이송실린더의 일 측에서 상기 육묘베드를 동시에 배출 가능하게 밀어주는 반입푸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아부는, 상기 반입부에서 이송된 육묘베드를 적재하기위해 설치되는 발아적재틀 및 상기 발아적재틀 내부 일 측 및 타 측에 설치되는 발아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아고정플레이트는, 양 측이 내부를 향하여 각각 결합되는 발아연결바들 및 상기 발아연결바들의 양 측을 가로질러결합되는 발아이송바들를 포함하고, 상기 발아연결바들과 상기 발아이송바들이 높이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출부는, 상기 발아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육묘베드를 적재하기 위해 설치된 반출적재틀과, 상기 반출적재틀의 일 측에 설치되며 이송되는 상기 육묘베드를 동시에 걸림 시켜 상기 반출적재틀의 내부로 이동시키는 반출이송모듈과, 상기 반출적재틀에 설치되며, 상단에는 상기 육묘베드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반출승강부와, 상기 반출적재틀의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반출승강부 상에서 하강된 상기 육묘베드를 감지하는 반출제어부 및 상기 반출적재틀에 연결 설치되며, 중앙에는 하강된 상기 육묘베드를 상기 반출적재틀 외부로 순차적으로 배출시키는 반출배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출이송모듈은, 상기 다단의 육묘베드들을 동시에 걸림 시키는 반출회전부 및 상기 걸림된 육묘베드를 상기 반출부 내부로 이송시키는 반출이송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육묘베드 자동운반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인력에 의해 운반하던 육묘베드를 자동 공정으로 운반이 이루어지므로 인건비가 감소되는 경제적인 효과를 가진다.
둘째, 한 번에 하나씩 이루어지던 공정을 다단 적재하여 동시에 이송하므로 작업속도가 빨라지고 생산성이 증대된다.
셋째, 복수개의 발아실부는 직렬로 배치되고, 발아 시간에 따라 자동공정에 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므로, 균일한 육묘생산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육묘베드 자동운반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반입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반입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반입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반입부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반입부에 육묘베드를 제외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승강플레이트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발아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반출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반출부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반출부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반출부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0에 도시된 반출부에 육묘베드를 제외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반입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반입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반입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반입부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반입부에 육묘베드를 제외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승강플레이트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발아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반출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반출부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반출부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반출부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0에 도시된 반출부에 육묘베드를 제외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자동운반 시스템은 반입부(100)와 발아부(200) 및 반출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반입부(100)는, 반입적재틀(110)과 반입이송부(120)와 반입승강부(130)와 반입제어부(140) 및 반입배출부(150)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반입부(100)는, 외부(도면 미도시)에서 이송된 상기 육묘베드(10)를 순차적으로 다단 적재하고, 상기 다단 적재된 육묘베드(10)들을 동시에 발아부(200)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반입적재틀(110)은, 반입고정플레이트(111)및 반입승강플레이트(11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반입적재틀(110)은, 복수의 가로 및 세로 부재들이 결합되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육묘베드(10)를 내부로 적재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반입고정플레이트(111)는, 상기 반입적재틀(110)의 내부 일 측 및 대향하는 타 측에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반입고정플레이트(111)는 반입가이드 샤프트(112)와 반입스크류 샤프트(113)를 포함한다.
상기 반입가이드 샤프트(112)는, 상기 반입고정플레이트(111)의 양 측에서 수직으로 각각 고정된다. 또한 상기 반입스크류 샤프트(113)는 상기 반입고정플레이트(111)의 가운데에서 수직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반입스크류 샤프트(113)는, 상기 반입고정플레이트(111)의 상단 및 하단에 설치된 반입베어링(114)에 의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반입스크류 샤프트(113)는, 외주면은 나사산으로 형성되고, 상단에 반입연결기어(113a)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반입연결기어(113a)는, 후술할 반입회전기어(134)와 맞물려 회전된다. 이러한 상기 반입스크류 샤프트(113)는, 상기 반입연결기어(113a)와 동일하게 회전된다.
상기 반입승강플레이트(115)는, 반입승강블록(116)들과 반입블록너트(117)와 반입연결바(118)들 및 반입이송바(119)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반입승강플레이트(115)는, 상기 반입고정플레이트(111)의 측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반입승강블록(116)들은, 반입승강플레이트(115)의 상단 양 측 및 하단 양 측에 각각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반입승강블록(116)들은 상기 반입가이드 샤프트(112)들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반입블록너트(117)는, 상기 반입스크류 샤프트(113)에 나사 체결되도록 상기 반입승강플레이트(115)의 가운데 상단에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반입블록너트(117)는, 상기 반입스크류 샤프트(113)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반입승강플레이트(115)를 승 하강 시키는 수단이 된다.
상기 반입연결바(118)들은, 제1반입연결바(118a)와 제2반입연결바(118b)와 제3반입연결바(118c) 및 제4반입연결바(118d)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반입연결바(118)들은, 상기 반입승강플레이트(115) 후면의 양 측에서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열되며, 상기 반입부(100)의 내부를 향하도록 각각 결합된다.
상기 반입이송바(119)들은, 제1반입이송바(119a)와 제2반입이송바(119b)와 제3반입이송바(119c) 및 제4반입이송바(119d)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반입이송바(119)들은, 상기 반입연결바(118)들을 가로질러 상기 반입연결바들(118) 상에 각각 결합되며, 후술할 상기 육묘베드(10)가 적재되도록 상방 지지하며, 이송시에는 가이드 수단이 된다.
상기 반입이송부(120)는, 반입구동부(121)와 반입이송체인(122) 및 반입걸림브라켓(12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반입이송부(120)는, 상기 반입적재틀(110)에 중앙에 연결 설치되며 외부에서 전달된 상기 육묘베드(10)를 상기 반입이송바(119)들 상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반입구동부(121)는, 상기 반입이송부(120)의 일 측에 결합되며, 상기 반입이송체인(122)을 연결한다. 한편 상기 반입구동부(121)는, 상기 반입이송체인(122)을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는 정속 구동모터(121)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정속 구동모터(121)는, 동력에 의해 상기 반입이송체인(122)을 회전시킨다.
상기 반입걸림브라켓(123)은, 상기 반입이송체인(122)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반입이송체인(122)을 따라 회전하며, 외부에서 전달된 상기 육묘베드(10)를 걸림 시켜 상기 반입적재틀(110) 내부로 이송시킨다.
상기 반입승강부(130)는, 반입동력제공부(131)와 반입회전축(132)과 반입구동체인(133) 및 반입회전기어(134)를 포함한다. 상기 반입동력제공부(131)는 상기 반입적재틀(110) 상단에 일 측에 고정되며, 상기 반입구동체인(133)과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반입동력제공부(131)는, 동력에 의해 상기 반입회전축(132)을 회전시키며, 상기 반입회전축(132)의 양 측에 연결된 반입회전기어(134)는, 상기 반입회전축(132)과 동일하게 회전된다. 이때 상기 반입회전기어(134)는, 상기 반입연결기어(113a)와 맞물려 상기 반입스크류 샤프트(113)를 회전시킨다.
한편, 상기 반입회전축(132)의 양 측에는, 반입베어링(114)이 고정 된다. 여기서 상기 반입베어링(114)은 상기 반입적재틀(110)의 상단 내측 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반입회전축(132)을 상대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수단이 된다.
상기 반입제어부(140)는, 반입적재센서(141)와 반입배출센서(142)를 포함한다. 상기 반입적재센서(141)는, 제1반입적재센서(141a)와 제2반입적재센서(141b)와 제3반입적재센서(141c) 및 제4반입적재센서(141d)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반입적재센서(141)는, 상기 반입적재틀(110)의 전단 일 측에 설치되며,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반입적재센서(141)는, 상기 반입이송바(119)들 상에 상기 육묘베드(10)가 적재 되었는지 감지하여 승강 및 정지 가능상태를 판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반입배출센서(142)는 상기 반입적재틀(110)의 후단 일 측에 설치되어, 다단 적재된 상기 육묘베드(10)들의 적재 완료 상태를 전달받아 배출 가능상태를 판별한다.
상기 반입배출부(150)는, 반입지지플레이트(151)과 반입배출이송실린더(152) 및 반입푸셔(153)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반입배출부(150)는 상기 승강플레이트(115)에 적재된 다단의 육묘베드(10)들을 동시에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반입지지플레이트(151)는, 일 측면이 상기 반입적재틀(110)의 상부 하단에 결합되며, 후 측면에 상기 반입배출 이송실린더(152)를 결합한다.
상기 반입배출이송실린더(152)는, 일 측에 상기 반입푸셔(153)가 결합된다.
상기 반입푸셔(153)는 상기 다단의 육묘베드(10)를 동시에 밀 수 있도록 수직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반입부(100)는, 종래에 트레이 운반대차 등에 육묘베드를 인력에 의해 적재하여 상기 발아실(200)로 이동시키는 것을 대신하여, 자동으로 이동하는 시스템을 구성하므로, 인력이 감소되고 인건비가 감소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가진다.
상기 발아부(200)는, 발아적재틀(210)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발아부(200)는, 상기 반입부(100)에서 이송된 다단의 육묘베드(10)들을 동시에 적재하며, 장시간 발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발아적재틀(210)은, 발아고정플레이트(211)를 포함한다. 상기 발아고정플레이트(211)는 상기 발아적재틀(210)의 내부 일 측 및 대향하는 타 측에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발아고정플레이트(211)는 발아연결바(212)들과 발아이송바(213)들을 포함한다.
상기 발아연결바(212)들은, 제1발아연결바(212a)와 제2발아연결바(212b)와 제3발아연결바(212c) 및 제4발아연결바(212d)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발아연결바(212)들은, 상기 발아고정플레이트(211)의 양 측에서 내부를 향하여 각각 결합되며, 높이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발아이송바(213)들은, 제1발아이송바(213a)와 제2발아이송바(213b)와 제3발아이송바(213c) 및 제4발아이송바(213d)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발아이송바(213)들은 상기 발아연결바(212)들을 가로질러 상기 발아연결바(212)들 상에 각각 결합 된다. 이러한 상기 제1,2,3,4발아이송바(213)들은, 상기 반입부(100)의 제1,2,3,4반입이송바들(119)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반입부(100)에서 공급받은 다단의 육묘베드(10)들이 동시에 적재되도록 상방 지지하며, 이송시에는 가이드 수단이 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발아실부(200)는, 직렬로 배치되고 발아일수가 다른 작물에도 적용 가능하며, 발아 시간에 따라 자동공정에 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므로, 균일한 육묘생산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상기 반출부(300)는, 반출적재틀(310)과 반출이송모듈(320)과 반출승강부(330)와 반출제어부(340) 및 반출배송부(350)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반출부(300)는 상기 발아부(200)에서 이송된 다단의 육묘베드(10)를 순차적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반출적재틀(310)은, 반출고정플레이트(311)와 반출승강플레이트(31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반출적재틀(310)은, 복수의 가로 및 세로 부재들이 결합되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육묘베드(10)를 내부로 적재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반출고정플레이트(311)는, 상기 반출적재틀(310)의 내부 일 측 및 대향하는 타 측에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반출고정플레이트(311)는 반출가이드 샤프트(312)와 반출스크류 샤프트(313)를 포함한다.
상기 반출가이드 샤프트(312)는, 상기 반출고정플레이트(311)의 양 측에서 수직으로 각각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반출스크류 샤프트(313)는, 상기 반출고정플레이트(311)의 상단 및 하단에 설치된 반출베어링(314)에 의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반출스크류 샤프트(313)는, 외주면은 나사산으로 형성되고, 상단에 반출연결기어(313a)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반출연결기어(313a)는, 후술할 반출회전기어(334)와 맞물려 회전된다. 이러한 상기 반출연결기어(313a)는 하단의 상기 반출스크류 샤프트(313)와 동일하게 회전 된다.
상기 반출승강플레이트(315)는, 반출승강블록(316)들과 반출블록너트(317)들과 반출연결바(318)들 및 반출이송바(319)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반출승강플레이트(315)는 상기 반출고정플레이트(311)의 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반출승강블록(316)은, 상기 반출가이드 샤프트(312)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반출승강블록(316)은, 상기 반출승강플레이트(315)의 상단 양 측 및 하단 양 측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반출블록너트(317)는, 상기 반출스크류 샤프트(313)에 나사 체결되도록 상기 반출승강플레이트(315)의 가운데 상단에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반출블록너트(317)는, 상기 반출승강플레이트(315)를 상기 반출스크류 샤프트(313)의 회전에 따라 승 하강 시키는 수단이 된다.
상기 반출연결바(318)는, 제1반출연결바(318a)와 제2반출연결바(318b)와 제3반출연결바(318c) 및 제4반출연결바(318d)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반출연결바(318)들은, 상기 반출승강플레이트(315) 후면의 양 측에서부터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열되며, 상기 반출부(300)의 내부를 향하도록 각각 결합된다.
상기 반출이송바(319)는, 제1반출이송바(319a)와 제2반출이송바(319b)와 제3반출이송바(319c) 및 제4반출이송바(319d)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반출이송바(319)들은, 상기 반출연결바(318)들을 가로질러 각각 결합되며, 공급받은 다단의 육묘베드(10)들이 적재되도록 상방 지지하며, 이송시에는 가이드 수단이 된다.
상기 반출이송모듈(320)은 반출이송플레이트(321)와 반출이송실린더(322) 및 반출회전부(323)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반출이송모듈(320)은, 상기 발아부(200)에서 이송된 다단의 육묘베드(10)들을 동시에 걸림 시켜 상기 반출부(300) 내부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반출이송플레이트(321)는, 상기 반출부(300)의 후단 일 측에서"ㄷ" 형상으로 상기 반출적재틀(310)에 결합 되며, 가운데는 상기 반출이송실린더(322)가 고정된다.
상기 반출이송실린더(322)는, 상기 반출이송플레이트(321)의 가운데에 결합 되며 일 측에는 상기 반출회전부(323)가 결합 된다. 이러한 상기 반출이송실린더(322)는, 상기 반출회전부(323)를 상기 반출부(300)의 전단 및 후단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반출회전부(323)는 걸림 수단(323a)들을 포함한다.
상기 걸림 수단(323a)들은, 상기 다단의 육묘베드(10)들의 전단 하부에 고정된 걸림핀(11c)에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반출회전부(323)의 전면에서 높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걸림 수단(323a)들은, 회전에 의해 상기 걸림핀(11c)을 걸림 시키는 수단이 된다.
상기 반출승강부(330)는 반출동력제공부(331)와 반출회전축(332)과 반출구동체인(333) 및 반출회전기어(334)를 포함한다.
상기 반출동력제공부(331)는 상기 반출적재틀(310) 상단에 일 측에 고정되며, 상기 반출구동체인(333)과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반출동력제공부(331)는, 동력에 의해 상기 반출회전축(332)을 회전시킨다. 이러한 상기 반출회전축(332)은, 양 측에 연결된 상기 반출회전기어(334)와 동일하게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반출회전기어(334)는, 상기 반출연결기어(313a)와 맞물려 상기 반출스크류 샤프트(313)를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반출회전축(332)의 양측에는 반출베어링(314)이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반출베어링(314)은 상기 반출적재틀(310)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반출회전축(332)을 상대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킨다.
상기 반출제어부(340)는, 반출적재센서(341)와 반출배출센서(342)를 포함한다. 상기 반출적재센서(341)는, 제1반출적재센서(341a)와 제2반출적재센서(341b)와 제3반출적재센서(341c) 및 제4반출적재센서(341d)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반출적재센서(341)는, 상기 반출적재틀(310)의 전단 일 측에 설치되며,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반출적재센서(341)는, 상기 반출이송바(319)들 상에서 상기 육묘베드(10)가 적재 되었는지 감지하여 승 하강 및 정지 가능상태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반출배출센서(342)는 상기 반출적재틀(310)의 후단 일 측에 설치되어, 다단 적재된 상기 육묘베드(10)들의 적재 완료 상태를 전달받아 배출 가능상태를 제어한다.
반출배송부(350)는, 반출구동부(351)와 반출이송체인(352)과 반출걸림브라켓(353)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반출배송부(350)는, 상기 반출적재틀(310)에 중앙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반출승강플레이트(315) 상에 하강된 상기 육묘베드(10)들을 외부(도면 미도시)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반출구동부(351)는, 상기 반출배송부(350)의 일 측에 결합되며, 상기 반출이송체인(352)과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반출구동부(351)는, 동력에 의해 상기 반출이송체인(352)을 회전시킨다.
상기 반출걸림브라켓(353)은, 상기 반출이송체인(352)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반출이송체인(352)을 따라 회전하며, 상기 반출승강플레이트(315)에서 하강된 상기 육묘베드(10)를 걸림 시키며 상기 반출적재틀(310) 외부(도면 미도시)로 이송시킨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육묘베드 자동운반 시스템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외부(도면 미도시)에서 상기 육묘베드(10)가 공급되기 전에는, 상기 반입승강플레이트(115)는 상기 반입고정플레이트(111)의 측면에서 하강된 상태이고, 상기 반출부(300)의 반출승강플레이트(315)는 상기 반출고정플레이트(311)의 측면에서 승강된 상태이다.
먼저, 외부에서 첫 번째 이송된 상기 육묘베드(10)는, 상기 반입이송부(120) 전단까지 이송된다. 이후 상기 반입이송부(120)는 상기 반입이송체인(122)에 결합된 반입걸림브라켓(123)에 의해 상기 육묘베드(10)를 걸림 시켜 상기 반입부(100) 내부로 이송시킨다. 이때 상기 육묘베드(10)는, 상기 반입승강플레이트(115)의 제4반입이송바(119d) 상에 이송되어 위치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제1반입적재센서(141a)는 상기 육묘베드(10)가 완전히 이송되었는지를 감지한 후 상기 반입승강부(130)를 동작시킨다. 이때 상기 반입승강부(130)는 동력에 의해 상기 반입회전축(132)을 회전시키고, 상기 반입회전축(132)에 연결된 상기 반입회전기어(134)와 상기 반입연결기어(113a)가 맞물려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반입연결기어(113a)에 결합된 상기 반입스크류 샤프트(113)는 회전되어 상기 반입승강플레이트(115)를 승강시킨다.
이후 두 번째 이송된 상기 육묘베드(10)는, 상기 반입이송부(120) 전단까지 이송된다. 이후 상기 반입이송부(120)는 상기 반입이송체인(122)에 결합된 상기 반입걸림브라켓(123)에 의해 상기 육묘베드(10)를 걸림 시켜 상기 반입부(100) 내부로 이송시킨다. 여기서 상기 육묘베드(10)는 상기 반입승강플레이트(115)의 제3반입이송바(119c) 상에 이송되어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반입적재센서(141a)는 상기 제2반입적재센서(142a)를 통해 상기 제1반입이송바(119a)가 상기 제2반입적재센서(141b) 상에 위치하였는지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1반입적재센서(141a)는 상기 육묘베드(10)가 상기 제2반입이송바(119b)에 완전히 이송되었는지를 감지한 후 상기 반입승강부(130)를 동작시킨다. 여기서 상기 반입승강부(130)는 상기 반입회전축(132)을 회전시키고 상기 반입회전축(132)에 연결된 반입회전기어(134)와 상기 반입연결기어(113a)가 맞물려 회전된다. 이때 상기 반입연결기어(113a)를 결합한 상기 반입스크류 샤프트(113)는 동일하게 회전되어 상기 반입승강플레이트(115)를 승강시킨다.
상기와 같은 동작은 상기 제4반입이송바(119d) 상에 상기 육묘베드(10)가 적재 될 때까지 반복적이며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동작이 완료되어 상기 반입이송바(119)들 상에 상기 육묘베드(10)들이 모두 적재되면, 상기 반입적재틀(110)의 후단 일 측에 설치된 상기 반입배출센서(142)가 상기 반입배출부(150)의 배출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반입배출부(150)를 작동 시킨다.
이후 상기 반입배출부(150)는 상기 반입배출 이송실린더(152)를 이용하여 상기 반입배출 이송실린더(152)의 일 측에 결합된 상기 반입 푸셔(153)를 밀어 줌으로서, 상기 다단의 육묘베드(10)는 상기 발아부(200)로 동시에 공급된다.
이후 상기 발아부(200)는, 상기 반입부(100)로부터 이송 받은 상기 다단의 육묘베드(10)들을 적재하며 발아시킨다. 이때 상기 발아부(200)는, 동일한 형상의 복수개의 발아실(200)들이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이런한 상기 발아부(200)는 재배작물의 발아 속도 기간에 따라 개수는 한 개 내지 복수개로 설정될 수 있다.
이후 발아된 상기 육묘베드(10)들은 상기 반입부(100)의 작동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반출부(300)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발아부(200)에서 배출된 상기 다단의 육묘베드(10)는 상기 반출부(300)의 전단까지 이송된다. 이후 상기 반출이송모듈(320)의 반출이송실린더(322)는 상기 반출회전부(323)를 상기 육묘베드(10)들의 전면까지 이동하게 된다.
이후 상기 반출회전부(323)는 걸림수단(323a)들을 회전시켜 상기 육묘베드(10)들의 전방 하단에 고정된 상기 걸림핀(11c)을 걸림 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반출이송실린더(322)는 상기 다단의 육묘베드(10)들을 상기 반출부(300) 내부에 결합된 상기 반출이송바(319)들 상으로 동시에 잡아당겨 이송시키게 된다.
이후 상기 반출적재센서(341)는 상기 다단의 육묘베드(10)들이 상기 반출부(300)내에 모두 적재된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반출승강부(330)의 반출회전축(332)을 회전시켜 상기 반출승강플레이트(315)를 하강 시킨다. 이때 하강된 상기 반출승강플레이트(315)의 제1반출이송바(319a)가 상기 반출배송부(350) 상의 반출이송체인(352)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반출이송체인(352)에 결합된 상기 반출걸림브라켓(353)에 걸림 되어 첫 번째 상기 육묘베드(10)를 외부(도면 미도시)배출되게 된다.
이후 상기 제1반출적재센서(341a)는 상기 첫 번째 육묘베드(10)가 완전히 배출되었는지를 감지한 후 다시 상기 반출승강부(330)를 동작시킨다. 여기서 상기 반출승강부(330)는 상기 반출회전축(332)을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반출회전축(332)에 연결된 반출회전기어(334)는 상기 반출연결기어(313a)가 맞물려 회전되고, 상기 반출연결기어(313a)에 결합된 상기 반출스크류 샤프트(313)는 회전되어 상기 반출승강플레이트(315)를 하강시킨다.
이후 하강된 상기 반출승강플레이트(315)는 제3반입이송바(319c)가 상기 반출배송부(350)상의 반출이송체인(352)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반출이송체인(352)에 결합된 상기 반출걸림브라켓(353)에 걸림 되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은 상기 제1반출이송바(319a) 상의 상기 육묘베드(10)가 배출 될 때까지 반복적이며 순차적으로 수행 된다.
따라서 상기 육묘베드(10)를 인력에 의해 일일이 출하 하던 작업을, 상기 반출부(300)가 자동운반 하므로, 인력이 감소되어 인건비가 감소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반입부 110: 반입적재틀
120: 반입이송부 130: 반입승강부
140: 반입제어부 150: 반입배출부
200: 발아부 210: 발아적재틀
300: 반출부 310: 반출적재틀
320: 반출이송모듈 330: 반출승강부
340: 반출제어부 350: 반출배송부
10: 육묘베드
120: 반입이송부 130: 반입승강부
140: 반입제어부 150: 반입배출부
200: 발아부 210: 발아적재틀
300: 반출부 310: 반출적재틀
320: 반출이송모듈 330: 반출승강부
340: 반출제어부 350: 반출배송부
10: 육묘베드
Claims (12)
- 삭제
- 삭제
- 공정 육묘공장의 육묘베드를 운반하는 자동운반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이송된 육묘베드를 내부로 전달하여 순차적으로 다단 적재하고, 동시에 이송시키는 반입부와;
상기 반입부에서 이송 받은 상기 육묘베드를 발아시키는 복수 개의 발아실들이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육묘베드의 재배작물의 발아 소요 기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발아실들 중 설정된 개수의 발아실에서 발아되도록 하는 발아부; 및
상기 발아부에서 배출된 상기 육묘베드를 동시에 전달받아 순차적으로 반출시키는 반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입부는,
외부에서 전달받은 육묘베드를 다단으로 적재하기 위해 설치한 반입적재틀과;
상기 반입적재틀에 연결 설치되며, 중앙에는 외부에서 전달받은 상기 육묘베드를 상기 반입적재틀 내부로 이송시키는 반입이송부와;
상기 반입적재틀에 설치되며, 상단에는 상기 반입이송부에 의해 전달된 상기 육묘베드를 상기 반입이송부 상에서 상하로 승강시키는 반입승강부와;
상기 반입적재틀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반입이송부 상에서 승 하강된 상기 육묘베드를 감지하는 반입제어부; 및
상기 반입적재틀 상에 적재된 다단의 상기 육묘베드를 동시에 배출시키는 반입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입적재틀은,
내부 일 측 및 대향하는 타 측에 각각 결합되는 반입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반입고정플레이트에 측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반입승강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육묘베드 자동운반 시스템.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반입고정플레이트는,
양측에 수직으로 각각 결합되는 반입가이드 샤프트와;
상기 반입가이드 샤프트 양측 사이에서 상기 반입고정플레이트 상에 결합되는 반입스크류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반입승강플레이트는,
양 측이 상기 반입가이드 샤프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반입고정블록과;
가운데에 상기 반입스크류 샤프트에 나사 체결되도록 결합되는 반입블록너트와;
상기 반입승강플레이트 후면의 양측에서 상기 반입부의 내부를 향하여 각각 결합되며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열되는 반입연결바들; 및
상기 반입연결바들의 양측을 가로질러 결합되며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열되는 반입이송바들을 포함하는 육묘베드 자동운반 시스템.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반입이송부는,
반입구동부와;
상기 반입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반입이송체인; 및
상기 반입이송체인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전달받은 상기 육묘베드를 걸림 시켜 함께 이송되는 반입걸림브라켓을 포함하는 육묘베드 자동운반 시스템. -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반입승강부는,
반입동력제공부와;
상기 반입동력제공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반입회전축과;
상기 반입회전축의 양 측에 결합되며, 상기 반입고정플레이트들의 반입연결기어와 맞물려 상기 반입스크류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반입회전기어; 및
상기 반입동력제공부와 연결되어 상기 반입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반입구동체인을 포함하는 육묘베드 자동운반 시스템.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반입제어부는,
상기 반입적재틀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반입이송부 상에서 승강되는 상기 육묘베드를 정지 또는 승강 가능상태를 판별하기 위한 반입적재센서; 및
상기 반입적재틀의 타 측에 결합되어 상기 육묘베드의 배출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반입배출센서를 포함하는 육묘베드 자동운반 시스템.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반입배출부는,
상기 반입적재틀의 상부 하단에 결합되는 반입지지플레이트와;
상기 반입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반입배출이송실린더; 및
상기 반입배출이송실린더의 일 측에서 상기 육묘베드를 동시에 배출 가능하게 밀어주는 반입푸셔를 포함하는 육묘베드 자동운반 시스템. - 삭제
- 공정 육묘공장의 육묘베드를 운반하는 자동운반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이송된 육묘베드를 내부로 전달하여 순차적으로 다단 적재하고, 동시에 이송시키는 반입부와;
상기 반입부에서 이송 받은 상기 육묘베드를 발아시키는 복수 개의 발아실들이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육묘베드의 재배작물의 발아 소요 기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발아실들 중 설정된 개수의 발아실에서 발아되도록 하는 발아부; 및
상기 발아부에서 배출된 상기 육묘베드를 동시에 전달받아 순차적으로 반출시키는 반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아부는,
상기 반입부에서 이송된 육묘베드를 적재하기위해 설치되는 발아적재틀; 및
상기 발아적재틀 내부 일 측 및 타 측에 설치되는 발아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발아고정플레이트는,
양 측이 내부를 향하여 각각 결합되는 발아연결바들 및
상기 발아연결바들의 양 측을 가로질러결합되는 발아이송바들를 포함하고,
상기 발아연결바들과 상기 발아이송바들이 높이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자동운반 시스템. - 삭제
- 공정 육묘공장의 육묘베드를 운반하는 자동운반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이송된 육묘베드를 내부로 전달하여 순차적으로 다단 적재하고, 동시에 이송시키는 반입부와;
상기 반입부에서 이송 받은 상기 육묘베드를 발아시키는 복수 개의 발아실들이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육묘베드의 재배작물의 발아 소요 기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발아실들 중 설정된 개수의 발아실에서 발아되도록 하는 발아부; 및
상기 발아부에서 배출된 상기 육묘베드를 동시에 전달받아 순차적으로 반출시키는 반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출부는,
상기 발아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육묘베드를 적재하기 위해 설치된 반출적재틀과;
상기 반출적재틀의 일 측에 설치되며 이송되는 상기 육묘베드를 동시에 걸림 시켜 상기 반출적재틀의 내부로 이동시키는 반출이송모듈과;
상기 반출적재틀에 설치되며, 상단에는 상기 육묘베드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반출승강부와;
상기 반출적재틀의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반출승강부 상에서 하강된 상기 육묘베드를 감지하는 반출제어부 및
상기 반출적재틀에 연결 설치되며, 중앙에는 하강된 상기 육묘베드를 상기 반출적재틀 외부로 순차적으로 배출시키는 반출배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출이송모듈은,
상기 다단의 육묘베드들을 동시에 걸림 시키는 반출회전부; 및
상기 걸림된 육묘베드를 상기 반출부 내부로 이송시키는 반출이송실린더를 포함하는 육묘베드 자동운반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0705A KR101264016B1 (ko) | 2011-02-07 | 2011-02-07 | 육묘베드 자동운반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0705A KR101264016B1 (ko) | 2011-02-07 | 2011-02-07 | 육묘베드 자동운반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90334A KR20120090334A (ko) | 2012-08-17 |
KR101264016B1 true KR101264016B1 (ko) | 2013-05-13 |
Family
ID=46883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10705A KR101264016B1 (ko) | 2011-02-07 | 2011-02-07 | 육묘베드 자동운반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6401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025943B (zh) * | 2014-06-13 | 2016-04-20 | 同济大学 | 一种轨道拼接式自动移动苗床系统 |
CN104663417B (zh) * | 2015-03-13 | 2017-03-15 | 海南大学 | 一种可移动砂床装置 |
CN106945971A (zh) * | 2017-03-09 | 2017-07-14 | 西北农林科技大学 | 一种无土栽培定植板自动搬运装置 |
IT201700092004A1 (it) * | 2017-08-08 | 2019-02-08 | Thomas Ambrosi | Sistema di gestione automatico e modulare di colture idroponiche |
CN109906822B (zh) * | 2018-12-17 | 2021-05-11 | 广州云腾茶叶有限公司 | 一种组合式智能可循环植物种植装置 |
CN118047212B (zh) * | 2024-04-16 | 2024-06-25 | 烟台市森林资源监测保护服务中心(烟台沿海防护林省级自然保护区管理服务中心、烟台市林业科学研究所) | 林业育苗床辅助上料装置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48389A (ja) * | 1997-03-17 | 1998-09-22 | Iseki & Co Ltd | 育苗施設 |
JP2003246451A (ja) * | 2002-02-26 | 2003-09-02 | Kubota Corp | 育苗箱積重ね装置 |
JP3521657B2 (ja) | 1996-10-31 | 2004-04-19 | 井関農機株式会社 | 育苗施設 |
-
2011
- 2011-02-07 KR KR1020110010705A patent/KR10126401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21657B2 (ja) | 1996-10-31 | 2004-04-19 | 井関農機株式会社 | 育苗施設 |
JPH10248389A (ja) * | 1997-03-17 | 1998-09-22 | Iseki & Co Ltd | 育苗施設 |
JP2003246451A (ja) * | 2002-02-26 | 2003-09-02 | Kubota Corp | 育苗箱積重ね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90334A (ko) | 2012-08-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64016B1 (ko) | 육묘베드 자동운반 시스템 | |
KR101443433B1 (ko) | 육묘공정 자동화 설비 시스템 | |
CN105731084A (zh) | 一种穴盘自动回收堆叠装置及其方法 | |
KR20220094378A (ko) | 모판 자동 출하 시스템 장치 | |
KR101251757B1 (ko) | 육묘상자 운반용 이송베드 | |
KR102145426B1 (ko) | 파종기용 모판 자동적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101338614B1 (ko) | 육묘베드의 이송 및 배출장치 | |
KR20180118900A (ko) | 다단식 묘삼 재배함 자동 운송 시스템 | |
JPH07236362A (ja) | 接ぎ木苗移植ポット用トレイの搬送装置 | |
JPS6194906A (ja) | 育苗箱の自動棚入れ装置 | |
JP6424471B2 (ja) | 育苗箱段積み装置 | |
CN110217539A (zh) | 一种双孢蘑菇发酵料浅筐播种装备 | |
JP3521655B2 (ja) | 育苗施設 | |
KR101186231B1 (ko) | 배양 트레이가 적재된 파렛트용 공급 및 배출 장치 | |
JPH0629922Y2 (ja) | 育苗箱移載装置 | |
JP2596836Y2 (ja) | 育苗箱積込み装置 | |
JPS6374819A (ja) | 育苗箱積込み装置 | |
JPH041793Y2 (ko) | ||
KR100788234B1 (ko) | 집적재배 시스템의 작물순환설비 | |
JPS6371026A (ja) | 育苗箱積重ね装置 | |
JPH0533469Y2 (ko) | ||
JPS6371025A (ja) | 育苗箱積重ね装置 | |
JPH0764421B2 (ja) | 育苗施設における育苗箱組搬送装置 | |
CN116477332A (zh) | 穴盘自动搬运装置 | |
JPH056269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