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3553B1 - 온실을 이용한 자동화 육묘시설 - Google Patents

온실을 이용한 자동화 육묘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553B1
KR101643553B1 KR1020160042171A KR20160042171A KR101643553B1 KR 101643553 B1 KR101643553 B1 KR 101643553B1 KR 1020160042171 A KR1020160042171 A KR 1020160042171A KR 20160042171 A KR20160042171 A KR 20160042171A KR 101643553 B1 KR101643553 B1 KR 101643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greenhouse
tray
bar
right ra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원
류재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우스
Priority to KR1020160042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5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06Labels or label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lan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9Handling or transporting of soil blocks or seedlings
    • A01G9/10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실을 이용한 자동화 육묘시설에 관련되며, 이때 온실을 이용한 자동화 육묘시설은 온실 내에 육묘트레이를 순환형으로 구성하면서 각 육묘트레이별 색인번호를 부여하여 육묘품종별 일조량, 수분, 영양소 공급 및 해충방제를 개별관리하므로 단일의 육묘시설에서 다품종 육묘 재배가 가능하고, 특히 자동화 시설 내에 관리공간을 확보하여 생육검사, 제초작업, 곁순 및 잎 따기를 포함하는 수작업이 병행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한 쌍의 좌,우측레일(10)(10'), 관리공간(20), 육묘트레이(30), 셔틀(40), 생육관리부(50), 제어부(6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온실을 이용한 자동화 육묘시설 {Automated seedling culture facilities using a greenhouse}
본 발명은 온실을 이용한 자동화 육묘시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실 내에 육묘트레이를 순환형으로 구성하면서 각 육묘트레이별 색인번호를 부여하여 육묘품종별 일조량, 수분, 영양소 공급 및 해충방제를 개별관리하므로 단일의 육묘시설에서 다품종 육묘 재배가 가능하고, 특히 자동화 시설 중앙에 관리공간을 확보하여 생육검사, 제초작업, 곁순 및 잎 따기를 포함하는 수작업이 병행가능한 온실을 이용한 자동화 육묘시설에 관한 것이다.
통상 작물재배나 나무를 번식시키는 데 이용되는 뿌리가 있는 육묘는 기후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품질 및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주로 비닐하우스와 같은 온실 내부 토양에 심어 온도, 습도를 조절하면서 비료와 물을 주고, 일조량을 관리하고 있지만, 온도유지를 위해 설치되는 다중 비닐층 및 덮개층을 포함하는 보온부자재층들이 복층구조로 설치됨에 따라 이들 구조물에 의해 햇볕이 가려져 일조량이 줄어들면서 온실 내부 영역별 일조량 편차가 발생되어 균일한 품질의 육묘 생산에 어려움이 따랐다.
이에 종래에 등록특허공보 제10-1021136호에서, 가이드를 따라 선회시키기 위한 선회수단이 설치된 본체와, 구동수단 모터의 회전축에 체인과 결합되는 (두개의) 스프라켓으로 구성되고, 체인과 일측이 연결되어 체인의 회전에 따라 선회되어 모판을 밀어주는 이송프레임과, 모판이 선회도중 담수되어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로 구성되어, 모판이 선회도중에 급수부에 담수되어 물이 공급되면서 짧은 시간에 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기술이 선등록된바 있다.
또한, 특허등록번호 제10-1512272호에서, 다수개의 모판을 로터리 순환방식으로 회전시켜가면서 모판에 파종된 모종을 일정기간 동안 생육시키는 장치로서, 안정감 있는 원활한 선회와 함께 주어진 시간동안 재배액 공급이 이루어져 좁은 공간에서도 효율적인 성장 재배와 출하가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선등록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모판이 체인의 궤도운동에 의해 로타리방식으로 선회되는 구조적 특성상 양측 스프라켓에 의해 체인이 360°방향 전환되는 구간에서 모판 간의 충돌 및 간섭을 피하기 위해 전방 모판과 후방 모판이 이격 배치되고, 이격 거리에 해당하는 만큼 모판 설치면적이 축소되어 온실 전체 면적 대비 작물 재배면적이 20~30% 축소되어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따랐다.
또한, 이송프레임이 단일의 체인에 의해 이송력이 발생되므로, 통상 50 ~ 100m 길이로 이루어진 육묘재배 온실시설에 적용시 800kg이상의 고하중이 작용하여 체인이 터지거나, 체인처짐현상으로 작동불량이 발생되고, 특히 체인을 포함하는 구동수단이 온실 중앙에 위치됨에 따라 생육검사, 제초작업, 곁순 및 잎 따기를 포함하는 수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설비 내부로 진입이 불가능한 단점이 따랐다.
한편, 종래기술은 생초를 설정된 환경에서 속성재배하기 위한 구성이므로, 일조량, 수분, 영양소 공급 및 해충방제 등의 관리가 일괄적으로 이루어지므로, 통상 단일의 온실내에서 오이, 수박, 가지, 고추 등의 다품종 육묘를 복합 재배하는 육묘재배용으로 적용이 불가능한 폐단이 따랐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온실 내에 육묘트레이를 순환형으로 구성하면서 각 육묘트레이별 색인번호를 부여하여 육묘품종별 일조량, 수분, 영양소 공급 및 해충방제를 개별관리하므로 단일의 육묘시설에서 다품종 육묘 재배가 가능하고, 특히 자동화 시설 내에 관리공간을 확보하여 생육검사, 제초작업, 곁순 및 잎 따기를 포함하는 수작업이 병행가능한 온실을 이용한 육묘시설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온실(1) 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작업자가 진입가능한 관리공간(20)이 형성되는 한 쌍의 좌,우측레일(10)(10');
상기 좌,우측레일(10)(10')에 탑재되어 상호 역방향으로 간헐 이송되고, 상부에 육묘포트(P)가 안착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육묘트레이(30);
상기 좌,우측레일(10)(10') 양단부에 위치된 육묘트레이(30)를 운반하여 레일위치를 변경하도록 구비되는 셔틀(40);
상기 좌,우측레일(10)(10')에 안착된 어느 하나의 육묘트레이(30) 상부에 대향하게 설치되어, 살수, 비료살포, 농약살포, 해충방제 중 적어도 하나이상의 관리를 위한 관리수단(52)이 구비되는 생육관리부(50);
상기 육묘트레이(30)의 간헐 직선이송 및 레일위치 변경 작동을 제어하고, 육묘트레이(30)에 대해 생육관리부(50)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좌,우측레일(10)(10')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왕복이송되면서 상하 또는 선회작동되는 구동바(70)와, 구동바(70)의 상하 또는 선회작동에 의해 각각의 육묘트레이(30)와 음양각구조로 맞물리는 키(72)와 키홈부(74) 구성에 의해 육묘트레이(30)가 간헐이송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측레일(10)(10')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왕복이송되는 구동바(70)와, 각각의 육묘트레이(30)에 구비되는 키봉(76)과, 키봉(76)과 대응하는 구동바(70)상에 구비되어 일방향 선회작동이 허용되는 백클러치바(78)가 구비되어, 구동바(70)의 전방향 이송시에만 백클러치바(78)가 키봉(76)을 가압하여 이송력이 발생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셔틀(40)은 상하이송에 의해 육묘트레이(30)를 승하강하고, 레일(42)을 타고 온실(1) 폭방향으로 왕복이송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셔틀(40)은 육묘트레이(30) 저면 중앙에 구비되는 키봉(76)에 체결되고, 키봉(76)을 중심으로 육묘트레이(30)를 90°등간격으로 선회작동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육묘트레이(30)는 각각 색인번호가 할당되고, 제어부(60)에서 색인번호를 기준으로 육묘트레이(30)에 안착된 육묘품종을 인식하여, 육묘품종별로 개별관리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생육관리부(50)는 마감판(54)에 의해 온실(1) 내부공간과 격리된 관리실(56) 구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온실 내부에서 육묘트레이의 이송이 한 쌍의 좌,우측레일에 의한 길이방향 이동과, 셔틀에 의한 폭방향 이동으로 구분되어, 단위면적당 육묘 재배면적이 확장됨과 더불어 좌, 우측레일사이에 관리공간이 확보되어 생육검사, 제초작업, 곁순 및 잎 따기를 포함하는 수작업이 병행가능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제어부에서 각 육묘트레이별 색인번호를 부여하여 육묘품종별 일조량, 수분, 영양소 공급 및 해충방제를 개별적으로 자동 관리하므로 단일의 육묘시설에서 다품종 육묘 재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실을 이용한 자동화 육묘시설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실을 이용한 자동화 육묘시설을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실을 이용한 자동화 육묘시설에 구비되는 육묘트레이 이송수단의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실을 이용한 자동화 육묘시설에 구비되는 육묘트레이 이송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실을 이용한 자동화 육묘시설에 구비되는 생육관리부를 도시한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온실을 이용한 자동화 육묘시설에 관련되며, 이때 온실을 이용한 자동화 육묘시설은 온실 내에 육묘트레이를 순환형으로 구성하면서 각 육묘트레이별 색인번호를 부여하여 육묘품종별 일조량, 수분, 영양소 공급 및 해충방제를 개별관리하므로 단일의 육묘시설에서 다품종 육묘 재배가 가능하고, 특히 자동화 시설 내에 관리공간을 확보하여 생육검사, 제초작업, 곁순 및 잎 따기를 포함하는 수작업이 병행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한 쌍의 좌,우측레일(10)(10'), 관리공간(20), 육묘트레이(30), 셔틀(40), 생육관리부(50), 제어부(6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좌,우측레일(10)(10')은 온실(1) 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작업자가 이동 및 작업가능한 관리공간(20)이 형성된다. 도 1 내지 2와 같이 좌,우측레일(10)(10')은 온실(1) 내부 양측 가장자리부에 수평으로 배치되되, 받침대에 의해 지면과 이격된 상태로 바타입 또는 음각홈이 형성된 레일타입으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좌,우측레일(10)(10')은 온실(1) 내부에서 후술하는 육묘트레이(30)가 길이방향으로 직선이송되도록 안내하는 구성으로서, 온실(1) 내부 좌측에 설치되는 좌측레일(10)과 우측에 설치되는 우측레인(10')은 육묘트레이(30)를 서로 역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비되고, 양단부에서 육묘트레이(30)를 레일변경하여 순환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레일(10)(10')은 서로 이격 배치되어, 좌,우측레일(10)(10')사이에 관리공간(20)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바, 작업자가 관리공간(20)을 통하여 좌,우측레일(10)(10')사이로 진입하여 육묘 생육검사, 제초작업, 곁순 및 잎 따기를 포함하는 수작업을 병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작업은 후술하는 생육관리부(50)에 의해 특정영역에서 살수, 비료살포, 농약살포, 해충방제 등을 포함하는 생육관리가 이루어지므로 자동화 육묘시설을 운전하는 중에도 수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좌,우측레일(10)(10')을 타고 육묘트레이(30)가 온실의 양측으로 이송되어 후술하는 셔틀(40)에 의해 레일이 변경되는 구조이므로, 육묘 출하시 작업자가 온실 어느 일측 출입구에 대기한 상태로 육묘트레이(30)를 순환시켜 원하는 육묘포트(P)를 간편하게 출하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육묘트레이(30)는 상기 좌,우측레일(10)(10')에 탑재되어 상호 역방향으로 간헐 이송되고, 상부에 육묘포트(P)가 안착되도록 구비된다.육묘트레이(30)는 육묘포트(P)가 안착되도록 판형태로 형성되고 저면에 로울러가 설치되어 좌,우측레일(10)(10')를 타고 직선이송된다. 그리고 육묘트레이(30)는 후술하는 구동바(70)에 의해 간헐 이송되는바, 구동바(70)의 직선이송력이 각각의 육묘트레이(30)로 분산 전달되어 일괄적으로 간헐 이송됨으로 육묘트레이(30)간의 간격이 협소하게 유지되더라도 이송 중 충돌이 방지되므로 온실내 육묘재배면적이 확장된다.
여기서, 상기 육묘트레이(30) 이송수단은 도 3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a)에서, 상기 좌,우측레일(10)(10')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왕복이송되면서 상하 또는 선회작동되는 구동바(70)와, 구동바(12)의 상하 또는 선회작동에 의해 각각의 육묘트레이(30)와 음양각구조로 맞물리는 키(72)와 키홈부(74) 구성에 의해 육묘트레이(30)가 간헐이송되도록 구비된다. 도 3 (a)에서는 육묘트레이(30) 저면에 키(72)가 돌출되고, 키(72)와 대응하는 구동바(70) 상에 복수개의 'ㄷ'자 형 키홈(74)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구동바(70)의 선회작동에 의해 키홈(74)이 수평으로 유지되면 키(72)에 맞물리고, 이어서 구동바(70)가 전방향으로 이송되면 각각의 육묘트레이(30)에 독립적인 이송력이 작용하여 서로 충돌되거나 이송력에 의한 밀림현상이 방지된 상태로 일괄 이송되고, 이후 구동바(70)가 역방향 선회하여 키(72)에서 키홈(74)이 해제된 상태에서 구동바(70)가 후방향으로 복귀되는 작동을 반복하여 육묘트레이(30)가 이송된다.
도 3 (b)에서, 상기 좌,우측레일(10)(10')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왕복이송되는 구동바(70)와, 각각의 육묘트레이(30)에 구비되는 키봉(76)과, 키봉(76)과 대응하는 구동바(70)상에 구비되어 일방향 선회작동이 허용되는 백클러치바(78)가 구비되어, 구동바(70)의 전방향 이송시에만 백클러치바(78)가 키봉(76)을 가압하여 이송력이 발생되도록 구비된다. 백클러치바(78)는 구동바(70)상에 힌지로 연결되어 전방향(예컨대, 육묘트레이(30)가 이송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는 선회작동이 허용되되, 후방향으로는 단부가 구동바(70)에 걸려 선회작동이 제한되며, 이때 백클러치바(78)는 탄성체에 의해 항상 후방향 복귀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된다.(백클러치바는 일방향으로 회전을 허용하는 래칫(ratchet)장치로 대체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에 상기 구동바(70)가 전방향으로 이송시에는 백클러치바(78)가 고정된 상태로 키봉(76)을 가압하여 육묘트레이(30)를 이송하고, 이후 구동바(70)가 후방향으로 이송시에는 백클러치바(78)가 선회작동되어 접히면서 키봉(76)을 통과하므로 구동바(70)의 전후이송작동만으로 육묘트레이(30)가 간헐이송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셔틀(40)은 좌,우측레일(10)(10') 양단부에 위치된 육묘트레이(30)를 운반하여 레일위치를 변경하도록 구비된다. 셔틀(40)은 상하이송에 의해 육묘트레이(30)를 승하강하고, 레일(42)을 타고 온실(1) 폭방향으로 왕복이송되도록 구비된다. 셔틀(40)은 지면 또는 천장에 설치되어 좌,우측레일(10)(10') 양단부를 연결하는 레일을 타고 온실 폭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승하강되도록 설치되는바, 도 1에서는 지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이때 셔틀(40)은 우측레일(10') 끝단부에 육묘트레이(30)가 대기되면 셔틀(40)이 육묘트레이(30)를 상방향으로 들고 레일을 타고 이동하여 좌측레일(10) 끝단부에 안착되는 작동을 반복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셔틀(40)에 의해 좌,우측레일(10)(10')에 안착된 육묘트레이(30)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시간대별 태양의 위치에 따라 일조량이 많은 영역으로 육묘트레이를 위치이동하여 육묘품종별 일조량 조절이 용이하고, 또 셔틀(40)에 의해 육묘트레이(30)의 좌,우측레일(10)(10')이 변경되는 구조이므로, 좌,우측레일(10)(10')사이 관리공간으로 진입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즉 상기 셔틀(40)은 미사용시 어느 일측 레일과 일직선상에 대기되어 좌,우측레일(10)(10')사이로의 진입통로를 확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셔틀(40)은 도 4 (a)처럼 등각회전되어, 육묘트레이(30)를 90°등간격으로 선회작동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셔틀(40)은 도 4 (b)와 같이 육묘트레이(30) 저면을 지지하는 회전판(44)이 구비되어 등각회전되거나, 도 4(c)처럼 육묘트레이(30) 저면 중앙에 각봉(46)을 돌출형성하고, 셔틀(40) 상에 각봉(46)이 삽입되도록 각홈홀더(48)를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에 상기 셔틀(40)이 육묘트레이(30)를 이송하는 중에 90°등간격으로 선회시켜 육묘위치가 4방향으로 변경되어 일조량이 균일하게 유지됨은 물론 동절기 온실 가장자리부 낮은 온도로 인한 생육편차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생육관리부(50)는 좌,우측레일(10)(10')에 안착된 어느 하나의 육묘트레이(30) 상부에 대향하게 설치되어, 살수, 비료살포, 농약살포, 해충방제 중 적어도 하나이상의 관리를 위한 관리수단(52)이 구비된다. 생육관리부(50)는 좌측레일(10) 또는 우측레일(10') 또는 좌, 우측레일(10)(10')에 안착된 복수의 육묘트레이(30) 중 어느 하나의 육묘트레이(30)에 대응하는 상부 위치에 설치되고, 이때 생육수단(52)은 도 5와 같이 살수, 비료살포, 농약살포, 공압분사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노즐 및 공압분사를 통하여 작물에서 떨어진 해충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흡입수거하는 흡입노즐을 추가로 더 구비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생육관리부(50)는 마감판(54)에 의해 온실(1) 내부공간과 격리된 관리실(56) 구획이 형성된다. 이에 관리수단(52)에서 분사되는 물, 비료, 농약의 외부 누출로 인한 손실이 방지되고, 특히 마감판(54)에 의해 관리수단(52)에서 분사되는 물, 비료, 농약의 온실(1) 내부로 확산이 방지된다.
이에 관리수단(52)이 작동되는 중에도 작업자가 온실(1) 내부에서 수작업이 병행가능하고, 육묘포트(P)별로 독립적으로 습도유지, 비료살표, 농약살포 등의 관리작업을 수행하므로 생육특성이 상이한 다양한 품종을 단일의 온실(1)에서 자동 재배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60)는 육묘트레이(30)의 간헐 직선이송 및 레일위치 변경 작동을 제어하고, 육묘트레이(30)에 대해 생육관리부(50)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비된다. 제어부(60)는 센서를 통하여 온실 내부 또는 육묘포트(P)별 습도를 측정하여 생육관리부(50)에서 수분을 공급하고, 설정된 주기 및 생육시기별로 필수영양소가 포함된 비료를 살포하며, 병충해를 예방하거나 피해가 발생시 농약을 살포 또는 물리적인 해충방제작업(예컨데, 압축공기를 이용한 방제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육묘트레이(30)는 각각 색인번호가 할당되고, 제어부(60)에서 색인번호를 기준으로 육묘트레이(30)에 안착된 육묘품종을 인식하여, 육묘품종별로 개별관리하도록 구비된다. 일예로서 육묘트레이(30)를 좌,우측레일(10)(10')에 각각 40개씩 총 80개가 구비되면, 각 육묘트레이(30)별로 1~80번까지 색인번호를 할당하고, 각 육묘트레이(30)에 안착되는 육묘 품종별로 군을 형성하는바, 구체적으로 1~20번까지는 오이품종, 21~40번까지 가지품종, 41~60번까지 고추품종, 61~80번까지 토마토 품종으로 인식하여 제어부(60)에서 관리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제어부(60)에서 육묘트레이(30)별 할당된 색인번호를 통하여 육묘품종을 인식하고, 제어부(60)에서 품종별 설정된 관리조건을 수행하므로 단일의 온실(1)에서 다품종 육묘 생육관리가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일조량 조절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육묘 중 광포화점이 높은 토마토 모종은 온실내 시간대별 일조량이 많은 영역으로 위치변경하여, 온실(1) 구조물(복층구조의 보온비닐, 보온덮개)에 의한 빛가림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일조량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10': 좌,우측레일 20: 관리공간
30: 육묘트레이 40: 셔틀
50: 생육관리부 60: 제어부
70: 구동바

Claims (7)

  1. 온실(1) 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작업자가 진입가능한 관리공간(20)이 형성되는 한 쌍의 좌,우측레일(10)(10');
    상기 좌,우측레일(10)(10')에 탑재되어 상호 역방향으로 간헐 이송되고, 상부에 육묘포트(P)가 안착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육묘트레이(30);
    상기 좌,우측레일(10)(10') 양단부에 위치된 육묘트레이(30)를 운반하여 레일위치를 변경하도록 구비되는 셔틀(40);
    상기 좌,우측레일(10)(10')에 안착된 어느 하나의 육묘트레이(30) 상부에 대향하게 설치되어, 살수, 비료살포, 농약살포, 해충방제 중 적어도 하나이상의 관리를 위한 관리수단(52)이 구비되는 생육관리부(50);
    상기 육묘트레이(30)의 간헐 직선이송 및 레일위치 변경 작동을 제어하고, 육묘트레이(30)에 대해 생육관리부(50)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을 이용한 자동화 육묘시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레일(10)(10')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왕복이송되면서 상하 또는 선회작동되는 구동바(70)와, 구동바(70)의 상하 또는 선회작동에 의해 각각의 육묘트레이(30)와 음양각구조로 맞물리는 키(72)와 키홈부(74) 구성에 의해 육묘트레이(30)가 간헐이송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을 이용한 자동화 육묘시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레일(10)(10')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왕복이송되는 구동바(70)와, 각각의 육묘트레이(30)에 구비되는 키봉(76)과, 키봉(76)과 대응하는 구동바(70)상에 구비되어 일방향 선회작동이 허용되는 백클러치바(78)가 구비되어, 구동바(70)의 전방향 이송시에만 백클러치바(78)가 키봉(76)을 가압하여 이송력이 발생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을 이용한 자동화 육묘시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40)은 상하이송에 의해 육묘트레이(30)를 승하강하고, 레일(42)을 타고 온실(1) 폭방향으로 왕복이송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을 이용한 자동화 육묘시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40)은 육묘트레이(30) 저면 중앙에 구비되는 키봉(76)에 체결되고, 키봉(76)을 중심으로 육묘트레이(30)를 90°등간격으로 선회작동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을 이용한 자동화 육묘시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육묘트레이(30)는 각각 색인번호가 할당되고, 제어부(60)에서 색인번호를 기준으로 육묘트레이(30)에 안착된 육묘품종을 인식하여, 육묘품종별로 개별관리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을 이용한 자동화 육묘시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육관리부(50)는 마감판(54)에 의해 온실(1) 내부공간과 격리된 관리실(56) 구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을 이용한 자동화 육묘시설.
KR1020160042171A 2016-04-06 2016-04-06 온실을 이용한 자동화 육묘시설 KR101643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171A KR101643553B1 (ko) 2016-04-06 2016-04-06 온실을 이용한 자동화 육묘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171A KR101643553B1 (ko) 2016-04-06 2016-04-06 온실을 이용한 자동화 육묘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3553B1 true KR101643553B1 (ko) 2016-07-28

Family

ID=56681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171A KR101643553B1 (ko) 2016-04-06 2016-04-06 온실을 이용한 자동화 육묘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55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9969A (zh) * 2019-06-25 2019-08-23 合肥流荇蓝色农业有限公司 一种移动苗床上苗配套装置及其使用方法
KR20200015299A (ko) 2018-08-03 2020-02-12 이윤희 스마트 자립형 모종 배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종 배양 방법
KR20210073766A (ko) * 2019-12-11 2021-06-21 (주)헬퍼로보텍 공정육묘용 무빙베드 시스템
KR20210140871A (ko) 2020-05-14 2021-11-23 한보일렉트(주) 롤러 이동 방식의 양묘 장치
WO2022027964A1 (zh) * 2020-08-06 2022-02-10 南京汉尔斯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农业栽培装置及栽培方法
CN114617059A (zh) * 2022-04-14 2022-06-14 北京金晟达生物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螺旋塔的培育控制系统和控制方法
KR20220156160A (ko) 2021-05-18 2022-11-25 한보일렉트(주) 파이프 조립 구조의 묘목 트레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6037U (ja) * 1991-06-07 1992-12-17 徳寿工業株式会社 きのこ類栽培ハウス
JP2001299093A (ja) * 2000-04-27 2001-10-30 Mitsugi Saito 育苗箱簡単並べ機
KR101021136B1 (ko) * 2010-05-25 2011-03-14 임상철 생초 연속 재배장치
KR20140102161A (ko) * 2014-07-18 2014-08-21 송영우 모판 재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6037U (ja) * 1991-06-07 1992-12-17 徳寿工業株式会社 きのこ類栽培ハウス
JP2001299093A (ja) * 2000-04-27 2001-10-30 Mitsugi Saito 育苗箱簡単並べ機
KR101021136B1 (ko) * 2010-05-25 2011-03-14 임상철 생초 연속 재배장치
KR20140102161A (ko) * 2014-07-18 2014-08-21 송영우 모판 재배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5299A (ko) 2018-08-03 2020-02-12 이윤희 스마트 자립형 모종 배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종 배양 방법
CN110149969A (zh) * 2019-06-25 2019-08-23 合肥流荇蓝色农业有限公司 一种移动苗床上苗配套装置及其使用方法
KR20210073766A (ko) * 2019-12-11 2021-06-21 (주)헬퍼로보텍 공정육묘용 무빙베드 시스템
KR102394142B1 (ko) * 2019-12-11 2022-05-04 (주)헬퍼로보텍 공정육묘용 무빙베드 시스템
KR20210140871A (ko) 2020-05-14 2021-11-23 한보일렉트(주) 롤러 이동 방식의 양묘 장치
WO2022027964A1 (zh) * 2020-08-06 2022-02-10 南京汉尔斯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农业栽培装置及栽培方法
KR20220156160A (ko) 2021-05-18 2022-11-25 한보일렉트(주) 파이프 조립 구조의 묘목 트레이 장치
KR20230044175A (ko) 2021-05-18 2023-04-03 한보일렉트(주) 파이프 조립 구조의 묘목 트레이 장치
CN114617059A (zh) * 2022-04-14 2022-06-14 北京金晟达生物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螺旋塔的培育控制系统和控制方法
CN114617059B (zh) * 2022-04-14 2024-02-27 北京金晟达生物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螺旋塔的培育控制系统和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3553B1 (ko) 온실을 이용한 자동화 육묘시설
RU2762415C2 (ru)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модульная система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вертикальными фермами
KR101246782B1 (ko) 재배공간 확장형 식물재배장치
KR101240249B1 (ko) 식물재배시스템
KR101022025B1 (ko) 식물 재배 장치
US2019013306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ydroponic plant growth
US11596109B2 (en) High density plant growth systems and methods
KR20200092430A (ko)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장치
KR102088593B1 (ko) 순환식 버섯재배 시스템
JP2004329130A (ja) 植物栽培システム
KR20200055271A (ko) 버섯 재배 시설 및 시스템
KR20090088668A (ko) 트롤리컨베이어를 이용한 새싹재배장치
KR102077224B1 (ko) 생산량 증대를 위한 체인 컨베이어식 무인자동 작물재배장치
KR102283841B1 (ko) 식물 자동 재배시스템
KR102104631B1 (ko) 버섯 재배 장치
KR20120073480A (ko) 작물 재배 시스템
KR20160015888A (ko) 농업용 회전 재배장치
JPH0530861A (ja) 植物の栽培方法と栽培装置
US11877548B2 (en) Closed loop vertical disengageable aeroponic growing system
KR101866506B1 (ko) 자동화 식물재배 시스템
KR20200029229A (ko) 무인 수경 야채 재배용 거터 자동 이송 시스템
KR102125499B1 (ko) 식물 재배 장치
CN113317082A (zh) 无人化植物工厂
KR102134629B1 (ko) 과수목의 위치 이동 및 재배 장치
JPH11318214A (ja) 回転式集中管理栽培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