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4142B1 - 공정육묘용 무빙베드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정육묘용 무빙베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4142B1
KR102394142B1 KR1020190164366A KR20190164366A KR102394142B1 KR 102394142 B1 KR102394142 B1 KR 102394142B1 KR 1020190164366 A KR1020190164366 A KR 1020190164366A KR 20190164366 A KR20190164366 A KR 20190164366A KR 102394142 B1 KR102394142 B1 KR 102394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ransfer
seedling
seedlings
seedling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3766A (ko
Inventor
오창준
Original Assignee
(주)헬퍼로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헬퍼로보텍 filed Critical (주)헬퍼로보텍
Priority to KR1020190164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142B1/ko
Publication of KR20210073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9Handling or transporting of soil blocks 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oi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정육묘장용 무빙베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복수의 묘판의 이동을 자동화함으로써 공정육묘의 생력화가 가능하며, 개별 묘들에 대한 생육환경의 편차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정육묘장용 무빙베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정육묘장의 종방향으로 설치된 제1 이송레일과 상기 공정육묘장의 횡방향으로 설치된 제2 이송레일을 구비하여 육묘베드가 이동가능한 무한궤도를 형성하는 이송라인; 상면에 복수의 묘판을 적재가능하며, 하부에 설치된 복수의 롤러가 상기 이송라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어 상기 이송라인을 따라 상기 공정육묘장의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육묘베드; 상기 이송라인 하측에 위치하며, 상부에 설치된 구동부가 동력부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육묘베드의 하면을 이송방향으로 밀어주는 이송유닛; 및 상기 이송라인 상측에 위치하며, 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육묘베드에 적재된 상기 묘판에 분사하는 살수유닛;을 포함하는 공정육묘용 무빙베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정육묘용 무빙베드 시스템{Moving bed system for nursery plants}
본 발명은 공정육묘장용 무빙베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복수의 묘판의 이동을 자동화함으로써 공정육묘의 생력화가 가능하며, 개별 묘들에 대한 생육환경의 편차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정육묘장용 무빙베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씨감자 등의 영양체로 번식하는 일부 식물을 제외한 대부분 작물은 종자로 번식한다.
그러나, 종자를 직파하는 경우, 종자 비용과 제초 비용, 기타 인건비 등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자를 싹틔운 뒤 우량묘만 골라 심는 기술인 육묘기술이 발달하게 되었다.
육묘란 종자의 파종에서부터 정식하기까지 일정기간동안 정식하기에 가장 적합한 양질의 묘를 키워내는 작업과정으로, 모종을 키워 본밭에 옮겨 심는 육묘 이식재배가 보편화됨에 따라 예전부터 모종을 기르는 일은 ‘절반농사’라고 할 정도로 모종 기르기 즉, 육묘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다.
한편, 필요한 모종을 충실히 빠르게 키우는 방안을 연구한 결과 탄생한 것이 공정육묘(工程育苗)으로, 공정육묘란 육묘의 생력화, 효율화, 안정화 및 연중 계획생산을 목적으로 상토제조 및 충전, 파종, 관수, 시비, 환경관리 등 제반 육묘작업을 일관 체계화, 장치화한 묘생산 시설에서 질이 균일하고 규격화된 묘를 연중 계획적으로 생산하는 것을 일컫는다.
공정육묘장에서는 매 작기마다 2 ~ 3만장 내외의 묘판을 사용하여 어린묘를 키우며, 이때, 한 장의 묘판은 수많은 셀(Cell)로 구성되며, 각 셀마다 한 주씩의 어린묘가 성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파종라인과 발아실을 거쳐 하우스로 이동되어 고정식 베드위에 가지런히 한장씩 진열되며, 하우스에서의 1차 생육기간이 끝나면 접목작업을 위해 접목실로 이동되어 접목 후, 활착실을 경유하여 하우스로 재이동되고, 고정식 베드위에 진열되어 2차 생육기간을 거쳐 육묘를 생산하게 된다.
공정육묘를 통해 육묘 노동시간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일정 수준 성장한 묘를 이용하므로 파종과 수확기를 앞당기거나 늘리는 등 생산시기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생산량을 예측할 수 있어 비용 운영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농가의 판매여력도 상승된다.
이와 더불어, 자가육묘에 비해서 병충해 발생이 적기 때문에 보다 균일한 품질의 농산물 생산도 가능하며, 생산성의 증대, 토지 이용도의 증가와 같은 이점도 있다.
그러나, 공정육묘는 자연적 환경이 아닌 육묘장 내에서 설정된 온도, 습도, 광량, 통기, 관수 조건 즉, 인공적인 환경값에 기반하여 성장하므로 육묘장의 면적을 고려할 때, 각각의 묘에 균일한 환경값이 적용되기는 어려운 측면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관리 인력이 묘판의 위치를 옮겨주는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개별 묘들에 대한 생육 환경의 편차를 줄여 균일한 환경값을 제공할 수 있으나, 묘판을 낱장 단위로 취급해야 하다보니 다수의 작업인력이 요구되어 육묘의 생산단가가 높아질 수 밖에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 제10-1996-0000007호는 공장 육묘 공장내에서 육묘 베드의 원활한 이동을 위한 이동라인과 이동에 필요한 장치를 포함하는 공정 육묘공장의 재배작물 이동 시스템에 관한 기술을 공지한 바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0-1443433호는 면적 대비 대량 수확이 가능하며 식물의 성장 과정에 따라 서로 다른 재배구간을 형성하여 최적의 성장환경을 제공하는 육묘공정 자동화 설비 시스템에 관한 기술을 공지한 바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육묘장 내 공간적 제한으로 인해 묘판의 이송시 이송방향의 전환이 요구될 경우, 한국공개특허 제10-1996-0000007호의 선회부 또는 한국등록특허 제10-1443433호의 이송방향 전환유닛와 같은 구성요소를 구비하여 묘판을 회전시킴으로써 묘판의 이송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으나, 묘판의 선회를 위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6-0000007호(1996.01.2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43433호(2014.09.16)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묘판의 이동을 자동화함으로써 공정육묘의 생력화가 가능하게 하는 공정육묘용 무빙베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묘판을 이동시켜 공정육묘장 내 온도, 습도, 광량, 통기, 관수 등을 포함하는 환경값이 개별 묘들에게 균일하게 적용되게 유도함으로써 생육환경의 편차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정육묘용 무빙베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공정육묘장의 종방향으로 설치된 제1 이송레일과 상기 공정육묘장의 횡방향으로 설치된 제2 이송레일을 구비하여 육묘베드가 이동가능한 무한궤도를 형성하는 이송라인; 상면에 복수의 묘판을 적재가능하며, 하부에 설치된 복수의 롤러가 상기 이송라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어 상기 이송라인을 따라 상기 공정육묘장의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육묘베드; 상기 이송라인 하측에 위치하며, 상부에 설치된 구동부가 동력부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육묘베드의 하면을 이송방향으로 밀어주는 이송유닛; 및 상기 이송라인 상측에 위치하며, 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육묘베드에 적재된 상기 묘판에 분사하는 살수유닛;을 포함하는 공정육묘용 무빙베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육묘베드는, 상기 육묘베드의 외곽을 형성하는 외곽프레임과, 상기 외곽프레임의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육묘베드의 하면을 형성하는 하부판재와, 상기 하부판재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곽프레임을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1 하부지지대와, 상기 하부판재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하부지지대와 직교를 이루어 상기 외곽프레임을 길이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2 하부지지대와, 상기 제1 하부지지대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이송레일 상부에 안착되는 제1 롤러와, 상기 제2 하부지지대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이송레일 상부에 안착되는 제2 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육묘베드는, 상기 외곽프레임 폭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이웃하는 육묘베드와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탄성재질의 충격흡수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이송유닛의 최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이송유닛을 지지하며, 판상의 하부지지판과 판상의 상부지지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유닛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체가 구비된 받침부재와, 일단이 상기 상부지지판 상면에 형성된 힌지결합부의 요홈부에서 힌지축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에 일측에 설치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가 구비된 동력부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구동스프로킷과, 구동부 일측에 결합되어 체인을 매게로 상기 구동스프로킷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종동스프로킷을 가지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수직부재 타단에 관통결합되어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육묘베드의 하면을 이송방향으로 밀어주는 한쌍의 이송휠을 가지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살수유닛은, 상기 살수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에 의해 상기 이송라인 상측에 설치되며, 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유입되어 유동하는 복수의 배관과, 상기 배관의 각 외주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상기 물을 분산시켜 하는 복수의 노즐이 구비된 살수부와, 상기 지지몸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육묘베드에 적재된 상기 묘판에 상기 물이 균일하게 분사되도록 상기 살수부에 불규칙적인 진동을 가하는 진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살수유닛은, 상기 지지몸체 전측에 설치된 수평지지대와, 상기 수평지지대에 소정에 간격으로 이격설치되며, 서로 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수직지지부재와, 상기 수직지지부재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살수유닛을 통과하는 묘의 뿌리측까지 관수가 되도록 상기 묘의 이파리 및 줄기를 가압하는 복수의 밀림봉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육묘베드는, 일측에 적재된 상기 묘판에 파종된 작물의 품종, 파종일자, 발주자 및 출하예정일을 포함하는 고유정보를 가지는 RFID칩이 탑재된 RFID태그가 추가로 부착설치되며, 상기 이송라인은, 일측에 상기 육묘베드에 설치된 상기 RFID태그의 정보를 전송받아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RIFD인식부가 추가로 설치되며, 상기 살수유닛은,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상기 살수유닛을 통과하는 상기 육묘베드의 고유정보를 전송받아 해당 육묘베드가 상기 살수유닛을 통과한 시각 및 살수량을 상기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모니터링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묘판의 이동을 자동화함으로써 공정육묘의 생력화가 가능하도록 하며, 복수의 묘판을 이동시켜 공정육묘장 내 온도, 습도, 광량, 통기, 관수 등을 포함하는 환경값이 개별 묘들에게 균일하게 적용되게 유도함으로써 생육환경의 편차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공정육묘용 무빙베드 시스템이 설치된 공정육묘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공정육묘용 무빙베드 시스템이 설치된 공정육묘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육묘베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육묘베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송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살수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살수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공정육묘용 무빙베드 시스템이 설치된 공정육묘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공정육묘용 무빙베드 시스템이 설치된 공정육묘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정육묘용 무빙베드 시스템은 공정육묘에 있어서 묘판의 물류과정을 자동화시키기 위하여 공정육묘장(10)에 설치되는 것으로, 크게 이송라인(110), 육묘베드(120), 이송유닛(130) 및 살수유닛(14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이송라인(110)은 상기 육묘베드(12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가능한 무한궤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공정육묘장(10)의 종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제1 이송레일(112)과 상기 공정육묘장(10)의 횡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제2 이송레일(114)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공정육묘장(10)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배치된 두 개의 상기 제1 이송레일(112)이 한 쌍을 이루며, 두 쌍의 상기 제1 이송레일(112)이 상기 공정육묘장(10) 폭방향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육묘베드(120)가 종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궤도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공정육묘장(10)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배치된 두 개의 상기 제2 이송레일(114)이 한 쌍을 이루며, 두 쌍의 상기 제2 이송레일(114)이 두 쌍의 상기 제1 이송레일(112) 길이방향 양측 즉, 상기 공정육묘장(10) 길이방향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육묘베드(120)가 횡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궤도를 형성한다.
다시 말해, 상기 이송라인(110)은 복수의 상기 제1 이송레일(112)과 복수의 상기 제2 이송레일(114)에 의해 정사각형 혹은 직사각형의 무한궤도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1 이송레일(112)과 상기 제2 이송레일(114)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육묘베드(120)는 상측에 복수의 묘판을 적재하여 상기 이송라인(110)을 따라 상기 공정육묘장(10) 내에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이동하며, 복수의 묘판을 한번에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육묘베드(120) 하부에 설치된 복수의 롤러가 상기 제1 이송레일(112) 또는 상기 제2 이송레일(11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며, 상기 이송라인(110)을 따라 상기 공정육묘장(10)의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한다.
한편, 상기 이송라인(120) 하측에는 상기 이송유닛(130)이 설치되어 상기 이송라인(110)에 안착된 상기 육묘베드(120)가 상기 공정육묘장(10)의 종방향 혹은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이송유닛(130) 상부에 설치된 구동부(138)가 동력부(134)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육묘베드(120)의 하면을 이송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상기 육묘베드(120)는 상기 이송라인(110)을 따라 상기 공정육묘장(10)의 종방향 혹은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송유닛(130)에 의해 상기 육묘베드(120) 이동함으로써, 이동시 발생하는 미세기류가 식물체의 증산 작용을 촉진시켜 식물의 성장에 기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이송라인(110) 일측에는 상기 살수유닛(140)이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살수유닛(140)이 상기 이송라인(110) 상측에 위치하여, 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육묘베드(120)에 적재된 상기 묘판에 분사한다.
즉, 상기 이송라인(110)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육묘베드(120)가 상기 살수유닛(140) 하측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묘판에 파종된 작물에 대하여 균일한 관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육묘베드(120) 일측에는 적재된 상기 묘판에 파종된 작물의 품종, 파종일자, 발주자 및 출하예정일을 포함하는 고유정보를 가지는 RFID칩(미도시)이 탑재된 RFID태그(미도시)가 추가로 부착설치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이송라인(110) 일측에는 상기 육묘베드(120)에 설치된 상기 RFID태그(미도시)의 정보를 전송받아 메인서버(미도시)로 전송하는 RIFD리더(미도시)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살수유닛(140)은 모니터링부(미도시)를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메인서버(미도시)로부터 상기 살수유닛(140)을 통과하는 상기 육묘베드(120)의 고유정보를 전송받아 해당 육묘베드가 상기 살수유닛(140)을 통과한 시각 및 살수량을 상기 메인서버(미도시)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모니터링부(미도시)는, 관리자가 하루에 한번 육묘상태를 양호, 보통, 미달 등으로 기록한 검사소견(Opinion) 및 이에 따른 조치사항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부(미도시)는 상기 입력부(미도시)에 의해 입력된 상기 검사소견 및 상기 조치사항을 상기 메인서버(미도시)로 전송한다.
다시 말해, 상기 메인서버가 육묘의 고유정보와 더불어 상기 살수유닛(140)을 통과한 시각, 살수량, 상기 검사소견 및 상기 조치사항을 포함하는 육묘상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함으로써, 주문자별 육묘상황을 일자별로 상세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서버가 관리자로부터 양호 판정을 받은 우량묘에 대한 환경값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공정육묘의 자동화를 위한 시스템 설정값으로써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정육묘용 무빙베드 시스템 전단부에는 공정육묘장 내 일부를 클린룸으로 만들기 위하여 공간을 구획하는 커튼부(150)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육묘베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육묘베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육묘베드(120)는 외곽프레임(122), 하부판재(124), 제1 하부지지대(126), 제2 하부지지대(127), 제1 롤러(128) 및 제2 롤러(129)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외곽프레임(122)는 상기 육묘베드(120)의 외곽을 형성하는 것으로, 사각형 혹은 직사각형의 금속 프레임으로 형성된다.
상기 외곽프레임(122)에는 상면에서 하면까지 관통형성된 복수의 무빙홀(123)이 구비되며, 상기 무빙홀(123)은 발아실, 1차 생육실, 활착실 등에서 비치된 입출로봇의 wheel-hand과 결합되어 입출을 위한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외곽프레임(122)의 하부에는 상기 육묘베드(120)의 하면을 형성하는 상기 하부판재(124)가 부착설치된다.
상기 하부판재(124)는 얇은 금속판에 일정한 간격으로 절삭자국을 내어 절삭자국과 직각방향으로 잡아당겨 늘여서 그물 모양으로 만든 익스팬디드메탈(expanded metal)로 형성되며, 이는 식물체에 대한 통기성과 배수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상기 이송유닛(130)과의 접촉시 마찰력을 높여 원활한 이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하부판재(124) 하측에는 상기 제1 하부지지대(126)와 상기 제2 하부지지대(127)가 井(우물 정)자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하부판재(124)를 지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하부지지대(126)가 상기 외곽프레임(122)을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며, 상기 제2 하부지지대(127)는 상기 제1 하부지지대(126)와 직교를 이루어 상기 외곽프레임(122)을 길이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 하부지지대(126) 및 상기 제2 하부지지대(127)는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함입된 공간이 형성된 'Π'자 형상을 가지며, 함입된 공간 상에 상기 제1 롤러(128) 및 상기 제2 롤러(129)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롤러(128)가 상기 제1 하부지지대(126)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이송레일(112) 상부에 안착되는 반면, 상기 제2 롤러(129)는 상기 제2 하부지지대(127)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이송레일(114) 상부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육묘베드(120)는 상기 제1 롤러(128)에 의해 상기 공정육묘장(10)의 종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제2 롤러(129)에 의해 상기 공정육묘장(10) 횡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육묘베드(120)는, 상기 외곽프레임(121) 측면에 탄성재질의 충격흡수부재(121)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부재(121)는 중공(121-1)이 형성된 관상의 부속품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곽프레임(121) 폭방향 양측에 설치되어 이웃하는 육묘베드와의 충돌 발생시 충격을 흡수한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부재(121)에 형성된 상기 중공(121-1)은 지게차(Fork lift) 등에 의해 상기 육묘베드(120)를 승강시킬 경우, 지체차용 포크(fork)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송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유닛(130)은 받침부재(131), 수직부재(132), 동력부(134), 동력전달부(136) 및 구동부(138)를 구비한다.
먼저, 상기 받침부재(131)은 상기 이송유닛의 최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이송유닛을 지지하는 것으로, 판상의 하부지지판(131-1)과 판상의 상부지지판(131-2)이 각각 상기 받침부재(131)의 하면과 상면을 이루며, 상기 하부지지판(131-1)과 상기 상부지지판(131-2) 사이에 복수의 탄성체(131-3)가 설치되어 상기 이송유닛(13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한다.
또한, 상기 상부지지판(131-2) 상면에는 상기 수직부재(132)가 결합되는 힌지결합부(131-4)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힌지결합부(131-4) 중앙부에 요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직부재(132)의 일단이 힌지축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수직부재(132)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이때, 상기 받침부재(131)와 상기 수직부재(132) 사이에 엑츄에이터(133)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엑츄에이터(133)에 의해 상기 수직부재(132)의 타단이 승하강하며,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엑츄에이터(133)가 상기 동력부(134)의 작동시에는 상기 수직부재(132)의 타단을 승강시킴으로써 상기 구동부(138)가 상기 육묘베드(120) 하면에 접촉되게 하는 반면, 상기 동력부(134)의 정지시에는 상기 수직부재(132)의 타단을 하강시켜 상기 구동부(138)와 상기 육묘베드(120)를 비접촉 상태로 만들어주며, 이는 관리자에 의해 육묘의 관찰, 시스템 점검 등이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동력부(134)는 상기 수직부재(132)에 일측에 설치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동력부(134)로부터 발생된 회전동력은 상기 동력전달부(136)를 통해 상기 구동부(138)로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부(136)는 상기 동력부(134)에 구비된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구동스프로킷(136-1)과, 상기 구동부(138) 일측에 결합되어 체인(136-2)을 매게로 상기 구동스프로킷(136-1)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종동스프로킷(136-3)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138)는 상기 수직부재(132) 타단에 관통결합되어 상기 동력전달부(136)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샤프트(138-1)와, 상기 샤프트(138-1)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138-1)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육묘베드(120)의 하면을 이송방향으로 밀어주는 한쌍의 이송휠(138-2)를 구비한다.
다시 말해, 상기 상기 모터에 의해 발생된 회전동력은 상기 구동스프로킷(136-1)과 상기 체인(136-2)을 매게로 연결된 상기 종동스프로킷(136-3)에 전달되며, 상기 종동스프로킷(136-3)이 축결합된 상기 샤프트(138-1)는 상기 종동스프로킷(136-3)과 함께 회전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샤프트(138-1) 양단에 설치된 상기 이송휠(138-2)이 회전하여 상기 육묘베드(120)의 하면을 이송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상기 육묘베드(120)를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살수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살수유닛(140)은 지지몸체(142), 살수부(144) 및 진동부(146)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지지몸체(142)는 상기 살수유닛(140)을 지지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상기 살수부(144)가 상기 이송라인(110) 상측에 위치하도록 지지한다.
상기 살수부(144)는 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유입되어 유동하는 복수의 배관(144-1, 144-3, 144-5)과, 상기 배관(144-1, 144-3, 144-5)의 각 외주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상기 물을 분산시켜 하는 복수의 노즐(144-2, 144-4, 144-6)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배관(144-1, 144-3, 144-5)은 대형, 중형, 소형으로 구분되는 묘의 크키에 따라 살수량을 상이하게 적용하기 위해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살수유닛(140)을 통과하는 묘가 소형 묘일 경우에는 제2 배관(144-3)만 살수를 수행하며, 중형 묘의 경우에는 제1 배관(144-3) 및 제3 배관(144-5)가 살수를 수행하며, 대형 묘의 경우에는 제1 배관(144-3), 제2 배관(144-3) 및 제3 배관(144-5)가 동시에 살수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배관(144-1, 144-3, 144-5)별 살수 여부는 상기 RFID 리더(미도시)에 의해 인식된 상기 RFID 태그(미도시)의 고유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모니터링부(미도시)가 제어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지지몸체(142) 일측에는 상기 살수부(144)에 불규칙적인 진동을 가하는 상기 진동부(146)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진동부(146)가 상기 살수부(144)에 좌우방향으로 불규칙적인 진동을 가함으로써 상기 육묘베드(120)에 적재된 상기 묘판에 상기 물이 균일하게 분사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살수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잎새가 무성한 가지과 작물의 경우, 살수시, 뿌리까지 충분한 관수가 어려우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살수유닛(14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밀림봉(148-3)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지지몸체(142) 좌우방향 양측에 각각 긴 막대형상의 수평지지대(148-1)가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수평지지대(148-1)상에는 각각 서로 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수직지지부재(148-2)가 소정에 간격을 두고 이격설치된다.
상기 지지몸체(142) 좌측에 설치된 상기 수직지지부재(148-2) 단부와 상기 지지몸체(142) 우측에 설치된 상기 수직지지부재(148-2) 단부는 상기 밀림봉(148-3)은 상기 배관(144-1, 144-3, 144-5)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상기 밀림봉(148-3)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밀림봉(148-3)은 상기 살수유닛을 통과하는 묘의 이파리 및 줄기를 가압하하여 묘의 뿌리측까지 골고루 살수가 되도록 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공정육묘장
110 : 이송라인
112 : 제1 이송레일 114 : 제2 이송레일
120 : 육묘베드
121 : 충격흡수부재 121-1 : 중공
122 : 외곽프레임 123 : 무빙홀
124 : 하부판재 126 : 제1 하부지지대
127 : 제2 하부지지대 128 : 제1 롤러
129 : 제2 롤러
130 : 이송유닛
131 : 받침부재 131-1 : 하부지지판
131-2 : 상부지지판 131-3 : 탄성체
131-4 : 힌지결합부 132 : 수직부재
133 : 엑츄에이터 134 : 동력부
136 : 동력전달부 136-1 : 구동스프로킷
136-2 : 체인 136-3 : 종동스프로킷
138 : 구동부 138-1 : 샤프트
138-2 : 이송휠
140 : 살수유닛
142 : 지지몸체 144 : 살수부
144-1, 144-3, 144-5 : 배관 144-2, 144-4, 144-6 : 노즐
146 : 진동부 148-1 : 수평지지대
148-2 : 수직지지부재 148-3 : 밀림봉
150 : 커튼부

Claims (7)

  1. 공정육묘장의 종방향으로 설치된 제1 이송레일과 상기 공정육묘장의 횡방향으로 설치된 제2 이송레일을 구비하여 육묘베드가 이동가능한 무한궤도를 형성하는 이송라인;
    상면에 복수의 묘판을 적재가능하며, 하부에 설치된 복수의 롤러가 상기 이송라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어 상기 이송라인을 따라 상기 공정육묘장의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육묘베드;
    상기 이송라인 하측에 위치하며, 상부에 설치된 구동부가 동력부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육묘베드의 하면을 이송방향으로 밀어주는 이송유닛; 및
    상기 이송라인 상측에 위치하며, 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육묘베드에 적재된 상기 묘판에 분사하는 살수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육묘베드는, 상기 육묘베드의 외곽을 형성하는 외곽프레임과, 상기 외곽프레임의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육묘베드의 하면을 형성하는 하부판재와,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함입된 공간이 형성된 'Π'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부판재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곽프레임을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1 하부지지대와,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함입된 공간이 형성된 'Π'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부판재 하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1 하부지지대와 직교를 이루어 상기 외곽프레임을 길이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2 하부지지대와, 상기 제1 하부지지대 하부에 형성된 함입된 공간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이송레일 상부에 안착되는 제1 롤러와, 상기 제2 하부지지대 하부에 형성된 함입된 공간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이송레일 상부에 안착되는 제2 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육묘베드는, 상기 외곽프레임 폭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이웃하는 육묘베드와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형성된 탄성재질의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중공이 형성된 관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공은 지게차에 의한 상기 육묘베드의 승강시 지게차용 포크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육묘용 무빙베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이송유닛의 최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이송유닛을 지지하며, 판상의 하부지지판과 판상의 상부지지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유닛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체가 구비된 받침부재와,
    일단이 상기 상부지지판 상면에 형성된 힌지결합부의 요홈부에서 힌지축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에 일측에 설치되며,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가 구비된 동력부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구동스프로킷과, 구동부 일측에 결합되어 체인을 매게로 상기 구동스프로킷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종동스프로킷을 가지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수직부재 타단에 관통결합되어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육묘베드의 하면을 이송방향으로 밀어주는 한쌍의 이송휠을 가지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육묘용 무빙베드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유닛은,
    상기 살수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에 의해 상기 이송라인 상측에 설치되며, 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유입되어 유동하는 복수의 배관과, 상기 배관의 각 외주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상기 물을 분산시켜 하는 복수의 노즐이 구비된 살수부와,
    상기 지지몸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육묘베드에 적재된 상기 묘판에 상기 물이 균일하게 분사되도록 상기 살수부에 불규칙적인 진동을 가하는 진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육묘용 무빙베드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유닛은,
    상기 지지몸체 전측에 설치된 수평지지대와,
    상기 수평지지대에 소정에 간격으로 이격설치되며, 서로 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수직지지부재와,
    상기 수직지지부재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살수유닛을 통과하는 묘의 뿌리측까지 관수가 되도록 상기 묘의 이파리 및 줄기를 가압하는 복수의 밀림봉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육묘용 무빙베드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육묘베드는, 일측에 적재된 상기 묘판에 파종된 작물의 품종, 파종일자, 발주자 및 출하예정일을 포함하는 고유정보를 가지는 RFID칩이 탑재된 RFID태그가 추가로 부착설치되며,
    상기 이송라인은, 일측에 상기 육묘베드에 설치된 상기 RFID태그의 정보를 전송받아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RIFD인식부가 추가로 설치되며,
    상기 살수유닛은,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상기 살수유닛을 통과하는 상기 육묘베드의 고유정보를 전송받아 해당 육묘베드가 상기 살수유닛을 통과한 시각 및 살수량을 상기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모니터링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육묘용 무빙베드 시스템.
KR1020190164366A 2019-12-11 2019-12-11 공정육묘용 무빙베드 시스템 KR102394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366A KR102394142B1 (ko) 2019-12-11 2019-12-11 공정육묘용 무빙베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366A KR102394142B1 (ko) 2019-12-11 2019-12-11 공정육묘용 무빙베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766A KR20210073766A (ko) 2021-06-21
KR102394142B1 true KR102394142B1 (ko) 2022-05-04

Family

ID=76599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366A KR102394142B1 (ko) 2019-12-11 2019-12-11 공정육묘용 무빙베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1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1793B1 (ko) * 2021-11-10 2024-02-28 (주)헬퍼로보텍 무빙베드가 구비된 야냉육묘장에 설치되는 지능형 고정식 두상관수장치
CN114190198B (zh) * 2021-12-07 2023-03-03 山西农业大学 一种基于蔬菜苗期培育用的蔬菜育苗设备
CN115039599B (zh) * 2022-06-20 2024-04-19 重庆芯达智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智慧农业的可拆分式育苗装置及其操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553B1 (ko) * 2016-04-06 2016-07-28 주식회사 가우스 온실을 이용한 자동화 육묘시설
KR101954248B1 (ko) * 2018-08-30 2019-03-05 주식회사 에이아이플러스 IoT를 이용한 식물 재배기용 트레이, 스마트 식물 재배기 및 스마트 식물 재배 시스템
KR102028409B1 (ko) * 2017-05-29 2019-10-04 주식회사 대길 하우스 시설용 농약 살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9939B1 (ko) * 1997-08-08 2000-06-15 박중춘 온실용 견인식 두상 살수방법 및 살수장치
KR101443433B1 (ko) * 2012-02-14 2014-09-23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육묘공정 자동화 설비 시스템
KR102132839B1 (ko) * 2018-04-30 2020-07-13 (유)광원농기계 육묘상자 적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553B1 (ko) * 2016-04-06 2016-07-28 주식회사 가우스 온실을 이용한 자동화 육묘시설
KR102028409B1 (ko) * 2017-05-29 2019-10-04 주식회사 대길 하우스 시설용 농약 살포장치
KR101954248B1 (ko) * 2018-08-30 2019-03-05 주식회사 에이아이플러스 IoT를 이용한 식물 재배기용 트레이, 스마트 식물 재배기 및 스마트 식물 재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766A (ko) 2021-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4142B1 (ko) 공정육묘용 무빙베드 시스템
Kumar et al. Vegetable transplanters for use in developing countries—A review
Asgedom et al. Opportunities and constraints of tomato production in Eritrea
CN107535214A (zh) 一种紫薇属植物园亭艺术造型栽培方法
Singh et al. Performance of soilless cucumbers in relation to differential fertigation under naturally ventilated greenhouse conditions
Singh et al. High tech nursery management in horticultural crops: a way for enhancing income
Dutta et al. Aeroponics: an artificial plant cultivation technique
Hochmuth Greenhouse cucumber production-Florida greenhouse vegetable production handbook, vol. 3
McCraw et al. Use of plastic mulch and row covers in vegetable production
US20150282431A1 (en) Plant recovery and planting of miscanthus
CN104641869A (zh) 一种番茄增产的栽培方法
Deb et al. Effect of different mulches on vegetative growth of strawberry (cv. Tioga) under red and lateritic zone of west Bengal
JPH0937646A (ja) トマトの栽培方法
Saha et al. Synchronized paddy cultivation using mechanical rice transplanting technology in Bangladesh
Singh et al. Advanced technology of horticulture
NL1044281B1 (nl) Werkwijze voor het vermeerderen van dahlia's en soortgelijke planten
Spann et al. Container-Grown Nursery Trees
Delaquis et al. Cassava rapid stem multiplication tunnel: Operations manual
KR100440801B1 (ko) 작물 재배용기 이송장치
An et al. Effects of reuse of organic substrate on growth and yield of strawberry in soilless culture
Spehia et al. Growth, yield and economics of greenhouse grown coloured capsicum as influenced by trellis system and plant spacing
Nelson Propagating plantation trees from cuttings in containers
Martin et al. Cashew farm upgrading: agronomic options for increasing cashew production by smallholder farmers in Tanzania
Anggoro et al. APPLICATION OF CONSERVATION METHODS ON CHILLIES FARMING IN KLUNGKUNG REGENCY
Tognoni et al. Some aspects of the vegetable industry in Ita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