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4184Y1 - 볍씨 파종기 - Google Patents

볍씨 파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4184Y1
KR200194184Y1 KR2020000007725U KR20000007725U KR200194184Y1 KR 200194184 Y1 KR200194184 Y1 KR 200194184Y1 KR 2020000007725 U KR2020000007725 U KR 2020000007725U KR 20000007725 U KR20000007725 U KR 20000007725U KR 200194184 Y1 KR200194184 Y1 KR 2001941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seed
soil
belt
supply means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77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진섭
Original Assignee
구진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진섭 filed Critical 구진섭
Priority to KR20200000077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41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41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41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20Parts of seeders for conducting and depositing se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9/00Arrangements for driving working parts of fertilisers or seeders
    • A01C19/02Arrangements for driving working parts of fertilisers or seeders by a mo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01C2001/048Mach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11/00Planting
    • Y10S111/905Seed treating seed plan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11/00Planting
    • Y10S111/906Specialized commodity
    • Y10S111/911Ri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볍씨 파종기는 모터의 동력으로 육모상자를 이송하는 다수의 상자이송롤러가 프레임 상에 각각 이격 설치되어 각각 작은벨트로 연결되어 연동하고, 아래로 통과하는 육모상자에 볍씨를 공급하는 볍씨공급수단이 상기 프레임의 중앙부 일측에 설치되고, 아래로 통과하는 육모상자에 흙을 공급하는 흙공급수단이 상기 프레임의 중앙부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상자이송롤러 중에 볍씨공급수단과 흙공급수단에 동력을 전달하는 상자이송롤러의 롤러축 양단부가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베어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나머지 상자이송롤러의 롤러축 양단부가 프레임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가변할 수 있는 가변베어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베어링에 설치된 상자이송롤러와 상기 볍씨공급수단 및 흙공급수단에 설치된 풀리를 연결하는 큰벨트가 텐셔너에 의하여 장력이 조절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므로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하고, 육모상자를 동력으로 이동시켜 볍씨를 산파한 뒤에 흙을 다시 깔게 되므로 볍씨 파종작업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으며, 동일한 구조 및 부품을 많이 사용할 수 있으므로 대량 생산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볍씨 파종기 {DEVICE SOWING SEED RICE}
본 고안은 육모상자에 볍씨와 흙을 파종하는 볍씨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도 간단한 구조로 육모상자를 연속적으로 이송하여 볍씨와 흙을 용이하게 산파할 수 있도록 하는 볍씨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볍씨파종기는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되어 실용신안공보 제91-442호로 공고된 것으로서, 프레임상에 육모상자를 이송하는 이송롤러와 볍씨를 내장하는 호퍼를 설치하되, 상기 호퍼의 출구 속에 배출롤러를 설치하고, 이 출구 외측에 철판을 구부려 보호판과 볍씨함입부를 형성시킨 안내롤러를 가림판으로 씌워서 설치하고, 출구 구멍의 간격을 조정하는 조정판에 랙기어부를 형성하여 조정기어에 맞물리게 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롤러와 안내롤러의 단부에 풀리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풀리들이 연동할 수 있도록 벨트를 설치하여 상기 안내롤러의 일측부에 손잡이를 설치하게 된다.
그래서 종래의 볍씨 파종기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수동으로 회전하면 이송롤러에 의하여 육모상자가 프레임 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게 되고, 안내롤러의 함입부에 내장된 볍씨가 이송하는 육모상자의 내부에 용이하게 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수동으로 작동하므로 사용이 불편하며, 볍씨만을 육모상자에 떨어뜨리게 되므로 흙으로 볍씨를 별도로 덮어야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육모상자를 동력으로 공급하여 볍씨를 산파함과 더불어 흙으로 볍씨를 용이하게 덮을 수 있는 볍씨 파종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모터의 동력으로 육모상자를 이송하는 다수의 상자이송롤러가 프레임 상에 각각 이격 설치되어 각각 작은벨트로 연결되어 연동하고, 볍씨를 내장하여 통과하는 육모상자에 볍씨를 공급하는 볍씨공급수단이 상기 프레임의 중앙부 일측에 설치되고, 흙을 내장하여 통과하는 육모상자에 흙을 공급하는 흙공급수단이 상기 프레임의 중앙부 타측에 설치되고, 육모상자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구가 상기 볍씨공급수단과 흙공급수단의 입구측의 프레임상에 설치됨과 더불어 프레임의 후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상자이송롤러 중에 상기 볍씨공급수단과 흙공급수단에 동력들 전달하는 상자이송롤러의 롤러축 양단부가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베어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베어링에 지지되는 상자이송롤러를 제외한 상자이송롤러의 롤러축이 프레임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가변할 수 있는 가변베어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베어링에 설치된 상자이송롤러와 상기 볍씨공급수단 및 흙공급수단에 설치된 풀리를 연결하는 벨트가 텐셔너에 의하여 장력 조절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볍씨 파종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볍씨 파종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볍씨 파종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도 2의 동력전달경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
도 4는 도 2의 볍씨 파종기를 설명하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볍씨 파종기의 또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도 5의 볍씨 파종기를 설명하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프레임 7: 상자이송롤러
12: 볍씨공급롤러 19: 흙이송벨트
20: 흙이탈방지구 24: 고정베어링
25: 가변베어링 34: 볍씨이송벨트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볍씨 파종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볍씨 파종기는 전기를 받아서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1)의 동력으로 육모상자(2)를 이송하고, 상기 육모상자(2)에 볍씨(3)을 산파한 뒤, 육모상자(2)에 산화된 볍씨(3)위에 흙(4)를 덮어서 깔게 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육모상자(2)는 다리(5)에 의해 나란하게 고정 배치되는 두개의 프레임(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상자이송롤러(7)에서 상기 프레임(6)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자이송롤러(7)은 상기 프레임(6)에 이격 설치되어 다수의 작은 벨트(8)와 각각 연결되며,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상자이송롤러(7)의 롤러축(7a)양단에 풀리(7b)가 설치되고, 이 풀리(7b)에 작은벨트(8)가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볍씨 파종기에는 볍씨(3)를 내장하여 아래로 통과하는 육모상자에 볍씨를 공급하는 볍씨공급수단이 상기 프레임의 중앙부 일측에 설치되고, 흙을 내장하여 상기 볍씨공급수단을 통과한 육모상자에 흙(4)을 공급하는 흙공급수단이 상기 프레임의 중앙부 타측에 설치된다.
상기 볍씨공급수단은 볍씨(3)을 내장하는 호퍼(9), 상기 호퍼(9)의 하측 출구를 개폐 조정하여 유출되는 볍씨의 양을 조정하는 조정판(10), 상기 조정판(10)을 수동으로 이동하는 조정로드(11), 상기 호퍼(9)의 출구 외측에 설치되고 둘레면에 볍씨내장부(12a)를 형성하여 회전에 의하여 볍씨내장부(12a)에 내장된 볍씨를 아래로 떨어뜨리는 볍씨공급롤러(12), 그리고 상기 볍씨공급롤러(12)의 축(12b)과 연결되어 큰벨트(13)의 동력전달로 상기 볍씨공급롤러(12)를 회전하는 풀리(14)로 이루어진다.
상기 흙공급수단은 흙(4)을 내장하는 호퍼(15), 하단에 브리쉬부(16a)가 형성되고 상기 호퍼(15)의 하측 출구의 개폐량을 조정하여 유출되는 흙의 양을 조정하는 브리쉬조정판(16), 상기 브러쉬조정판(16)을 수동으로 이동하는 조정로드(17), 상기 호퍼(15)의 출구 외측에 설치되고 두개의 벨트지지롤러(18)에 설치되어 상기 호퍼(15)의 출구로부터 나오는 흙을 배출하는 흙이송벨트(19), 상기 흙이송벨트(19)의 상측면 양측 가장자리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호퍼(15)의 하측부에 설치되어 흙이송벨트(19)상의 흙이 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흙이탈방지구(20), 상기 흙이송벨트(19)의 출구측에서 이격되어 상기 호퍼의 일측 하부에 상하로 조정되도록 설치되고 하단부에 브러쉬부(21a)가 설치되어 깔린 흙을 편편하게 하는 브러쉬판(21), 상기 흙이송벨트(19)를 지시하는 한쪽의 벨트지지롤러(18)의 축(18a)에 연결되어 큰벨트(13)의 동력전달로 상기 벨트지지롤러(18)를 회전하는 풀리(22), 그리고 다른쪽의 벨트지지롤러(18)의 축(18b)의 양단을 지지하여 상기 흙이송벨트(19)의 장력을 조정하는 텐셔너(23)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상기 상자이송롤러(7)중에 상기 볍씨공급수단의 풀리(14)와 흙공급수단의 풀리(22)에 큰벨트(13)로 동력을 전달하는 두 개의 상자이송롤러(7)의 롤러축(7a) 양단부가 프레임(6)에 고정되는 고정베어링(2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베어링(24)에 지지되는 상자이송롤러(7)를 제외한 상자이송롤러의 롤러축(7a)이 프레임(6)상에서 길이방향으로 가변할 수 있는 가변베어링(2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큰벨트(13)는 상기 고정베어링(24)에 설치되는 상자이송롤러(7)에 롤러축(7a)에 설치되는 풀리(7c), 볍씨공급수단의 풀리(14)와 흙공급수단의 풀리(22)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다른 텐셔너(26)에 의하여 장력이 조절되는 것이다.
또한 육모상자(2)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구(27)가 상기 볍씨공급수단과 흙공급수단의 입구측의 프레임(6)상에 설치됨과 더불어 프레임(6)의 후단부에 설치된다.
물론 상기 모터(1)는 상기 고정베어링(24)에 설치된 상자이송롤러의 롤러축을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은 상기 모터(1)가 프레임(6)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텐셔너(26)가 큰벨트(13)의 아래부분을 작용하며, 도 2는 상기 모터(1)가 프레임(6)의 하부와 다리(5)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텐셔너(26)가 큰벨트(13)의 위쪽 부분을 작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볍씨 파종기는 모터(1)에 전기를 인가하면 모터의 회전력이 상자이송롤러(7)을 구동하면서 작동한다.
즉 상기 모터(1)의 회전력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자이송롤러(7)을 구동하고, 상자이송롤러(7)의 회전력은 풀리(7c,14,22)를 회전하여 흙이송벨트(19)와 볍씨공급롤러(19)를 구동한다.
그러면 육모상자(2)가 상자이송롤러(7)에 의하여 프레임(6)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볍씨공급수단의 볍씨공급롤러(19)의 아래를 통과하면서 볍씨(3)가 산파되고, 흙공급수단의 흙이송벨트(19)의 아래를 통과하면서 산파된 볍씨(3)에 흙(4)를 덮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볍씨(3)과 흙(4)을 내장한 육모상자(2)는 브리쉬판(21)을 통과하면서 흙이 편편하게 처리되어 프레임(6)의 출구측으로 이동되며, 이에 사용자는 파종된 육모상자(2)를 운반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렇게 본 고안의 파종기는 육모상자에 볍씨와 흙을 용이하게 공급하게 된다.
한편 본고안에서는 다른예로써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볍씨공급수단을 상술한 흙공급수단과 동일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즉 다른예의 볍씨공급수단은 볍씨(3)을 내장하는 호퍼(30), 하단에 브리쉬부(31a)가 형성되고 상기 호퍼(30)의 하측 출구의 개폐량을 조정하여 유출되는 볍씨(3)의 양을 조정하는 브리쉬조정판(31), 상기 브리쉬조정판(31)을 수동으로 이동하는 조정로드(32), 상기 호퍼(15)의 출구 외측에 설치되고 두 개의 벨트지지롤러(33)에 설치되어 상기 호퍼(30)의 출구로부터 나오는 볍씨(3)을 배출하는 볍씨이송벨트(34), 상기 볍씨이송벨트(34)의 상측면 양측 가장자리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호퍼(30)의 하측부에 설치되어 볍씨이송벨트(34)상의 볍씨가 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볍씨이탈방지구(미도시), 상기 볍씨이송벨트(34)를 지지하는 한쪽의 벨트지지롤러(33)의 축(33)에 연결되어 큰벨트(13)의 동력전달로 상기 벨트지지롤러(33)를 회전하는 풀리(35), 그리고 다른쪽의 벨트지지롤러(33)의 쪽(33b)의 양단을 지지하여 상기 볍씨이송벨트(34)의 장력을 조정하는 텐셔너(36)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볍씨 파종기의 다른 예를 상술한 바와 같이 작용하므로 이하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볍씨 파종기는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므로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하고, 육모상자를 동력으로 이동시켜 볍씨를 산파한 뒤에 흙을 다시 깔게 되므로 볍씨파종작업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동일한 구조 및 부품을 많이 사용할 수 있으므로 대량 생산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는 다른 이점이 있다.

Claims (4)

  1. 모터의 동력으로 육모상자를 이송하는 다수의 상자이송롤러가 프레임상에 각각 이격 설치되어 각각 작은벨트로 연결되어 연동하고, 통과하는 육모상자에 내장된 볍씨를 공급하는 볍씨공급수단이 상기 프레임의 중앙부 일측에 설치되고, 통과하는 육모상자에 내장된 흙을 공급하는 흙공급수단이 상기 프레임의 중앙부 타측에 설치되고, 육모상자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구가 상기 볍씨공급수단과 흙공급수단의 입구측의 프레임상에 설치됨과 더불어 프레임의 후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상자이송롤러 중에 상기 볍씨공급수단과 흙공급수단에 동력을 전달하는 상자이송롤러의 롤러축 양단부가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베어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베어링에 지지되는 상자이송롤러를 제외한 상자이송롤러의 롤러축이 프레임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가변할 수 있는 가변베어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베어링에 설치된 상자이송롤러와 상기 볍씨공급수단 및 흙공급수단에 설치된 풀리를 연결하는 큰벨트가 텐셔너에 의하여 장력이 조절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볍씨 파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볍씨공급수단은 볍씨를 내장하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측 출구의 개폐량을 조정하여 볍씨의 배출양을 조정하는 조정판, 상기 조정판을 수동으로 이동하는 조정로드, 상기 호퍼의 출구 외측에 설치되고 둘레면에 볍씨내장부를 형성하여 회전에 의하여 볍씨내장부에 내장된 볍씨를 아래로 떨어뜨리는 볍씨공급롤러, 그리고 상기 볍씨공급롤러의 축과 연결되어 상기 큰벨트의 동력전달로 상기 볍씨공급롤러를 회전하는 풀리로 이루어지는 볍씨 파종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볍씨공급수단은 볍씨를 내장하는 호퍼, 하단에 브리쉬부가 형성되고 상기 호퍼의 하측 출구의 개폐량을 조정하여 볍씨의 배출양을 조정하는 브러쉬조정판, 상기 브러쉬조정판을 수동으로 이동하는 조정로드, 상기 호퍼의 출구 외측에 설치되고 두 개의 벨트지지롤러에 설치되어 상기 호퍼의 출구로부터 나오는 볍씨를 배출하는 볍씨이송벨트, 상기 볍씨이송벨트의 상측면 양측 가장자리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호퍼의 하측부에 설치되어 볍씨 이송벨트상의 볍씨가 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볍씨이탈방지구, 상기 볍씨이송벨트를 지지하는 한쪽의 벨트지지롤러의 축에 연결되어 큰벨트의 동력전달로 상기 벨트지지롤러를 회전하는 풀리, 그리고 다른쪽 벨트지지롤러의 축의 양단을 지지하여 상기 볍씨이송벨트의 장력을 조정하는 텐셔너로 이루어지는 볍씨파종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흙공급수단을 흙을 내장하는 호퍼, 하단에 브러쉬부가 형성되고 상기 호퍼의 하측 출구의 개폐량을 조정하여 흙의 배출양을 조정하는 조정판, 상기 브러쉬조정판을 수동으로 이동하는 조정로드, 상기 호퍼의 출구 외측에 설치되고 두개의 벨트지지롤러에 설치되어 상기 호퍼의 출구로부터 나오는 흙을 배출하는 흙이송벨트, 상기 흙이송벨트의 상측면 양측 가장자리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호퍼의 하측부에 설치되어 흙이송벨트 상의 흙이 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흙이탈방지구, 상기 흙이송벨트의 출구측에 이격되어 상기 호퍼의 일측 하부에 상하로 조정되도록 설치되고 하단부에 브러쉬부가 형성되어 깔린 흙을 편편하게 하는 브러쉬판, 상기 흙이송벨트를 지지하는 한쪽의 벨트지지롤러의 연결되어 큰벨트의 동력전달로 상기 벨트지지롤러를 회전하는 풀리, 그리고 다른쪽의 벨트지지롤러의 축의 양단을 지지하여 상기 흙이송벨트의 장력을 조정하는 텐션너로 이루어지는 볍씨파종기.
KR2020000007725U 2000-03-18 2000-03-18 볍씨 파종기 KR2001941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725U KR200194184Y1 (ko) 2000-03-18 2000-03-18 볍씨 파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725U KR200194184Y1 (ko) 2000-03-18 2000-03-18 볍씨 파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4184Y1 true KR200194184Y1 (ko) 2000-09-01

Family

ID=19647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7725U KR200194184Y1 (ko) 2000-03-18 2000-03-18 볍씨 파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418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3473A (ko) 2017-11-02 2017-12-29 정지현 파종기용 흙 및 종자 공급장치
CN110089239A (zh) * 2019-05-13 2019-08-06 蒋宝华 一种绿色环保水稻水穴播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3473A (ko) 2017-11-02 2017-12-29 정지현 파종기용 흙 및 종자 공급장치
CN110089239A (zh) * 2019-05-13 2019-08-06 蒋宝华 一种绿色环保水稻水穴播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7582B2 (ja) 播種機
KR101982027B1 (ko) 파종기용 흙 공급장치
KR200194184Y1 (ko) 볍씨 파종기
KR200165457Y1 (ko) 볍씨 파종기
KR200279925Y1 (ko) 볍씨 파종기
JP6718572B2 (ja) 播種機
KR200287482Y1 (ko) 볍씨파종기
KR102251436B1 (ko) 볍씨 파종기의 상토흙 회수기
KR200287483Y1 (ko) 볍씨파종기
JPH0244678Y2 (ko)
CN216134821U (zh) 一种玉米播种机间隔调整装置
JPH0142971Y2 (ko)
JP3616310B2 (ja) 種芋植付機、及びこれに設置される種箱
KR101542327B1 (ko) 마늘 파종장치
KR200391685Y1 (ko) 파종기용 동력전달장치
KR200165459Y1 (ko) 볍씨파종용 흙공급장치
JP4290826B2 (ja) 育苗箱用播種装置の回転伝達機構
JPH0132828Y2 (ko)
KR200199084Y1 (ko) 볍씨파종기용 상자공급기의 상자누름장치
KR960010584Y1 (ko) 마늘파종장치
KR200244136Y1 (ko) 볍씨용 파종기
KR200203334Y1 (ko) 육모상자 동력이송용 볍씨파종기의 상자누름장치
JPH055445B2 (ko)
CN217241363U (zh) 一种藜麦专用播种机
KR200387560Y1 (ko) 볍씨 파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