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459Y1 - 볍씨파종용 흙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볍씨파종용 흙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459Y1
KR200165459Y1 KR2019990015199U KR19990015199U KR200165459Y1 KR 200165459 Y1 KR200165459 Y1 KR 200165459Y1 KR 2019990015199 U KR2019990015199 U KR 2019990015199U KR 19990015199 U KR19990015199 U KR 19990015199U KR 200165459 Y1 KR200165459 Y1 KR 2001654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roller
chain
fram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51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진섭
Original Assignee
구진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진섭 filed Critical 구진섭
Priority to KR20199900151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4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4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4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4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holes for sowing or 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9/00Combined machines
    • A01B49/04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 A01B49/06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for sowing or fert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2Seeders with feed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9Handling or transporting of soil blocks or seedl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w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볍씨파종용 흙공급장치는 육묘상자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흙을 균일하고도 용이하게 깔 수 있게 함으로써 인력을 감소하고 생산성을 향상할 목적으로, 다수의 지지롤러가 프레임 상에 각각 이격 설치되고,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복수의 스프로킷이 상기 프레임 상에 복수의 체인으로 이격 설치되고, 하나의 육모상자를 벨트와 이송하는 돌기구가 상기 벨트 상에 육모상자의 길이의 간격으로 설치되고, 육모상자를 다수개 경사지도록 적층하는 육모상자공급기가 상기 체인의 입구측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흙을 내장한 흙공급호퍼가 상기 체인의 출구측 프레임 상에 설치되며, 상기 흙공급호퍼의 출구측에 흙이송구, 흙분리구, 회전솔, 다짐롤러를 차례로 설치하고, 상기 슬롯에 스프로킷을 지지하는 축을 설치한 뒤, 이 축의 양단부에 체인장력조정기를 설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볍씨파종용 흙공급장치{DEVICE PAVING BOX WITH SOIL FOR SOWING SEED RICE}
본 고안은 육모상자에 흙을 공급하는 볍씨파종용 흙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육묘상자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흙을 균일하고도 용이하게 깔 수 있도록 하는 볍씨파종용 흙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벼농사를 하기 위해서는 논에 벼를 심기 전에 볍씨를 육모상자에 넣어서 일차적으로 벼를 자라게 하고, 육모상자 내에서 자란 벼를 논에 심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종래에는 육모상자에 볍씨를 산파하는 볍씨파종기가 본 출원인에 의하여 개발된 바 있으며, 이는 프레임 상에서 육모상자를 이송시키고, 볍씨를 내장함과 더불어 아래로 볍씨를 배출하는 호퍼의 아래로 육모상자를 통과시켜, 호퍼 내의 볍씨를 육모상자에 산파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볍씨파종기는 볍씨를 파종하기 위한 것이며, 육모상자에 볍씨를 파종하기 전에 수동으로 육모상자의 내부면에 흙을 깔게 되며, 육모상자에 볍씨를 파종한 후에도 육모상자의 내부에 있는 볍씨를 흙으로 덮게 된다.
그래서 종래에는 육모상자에 기름진 흙을 수동으로 덮게 됨으로써 인력이 많이 소요되며, 작업량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육모상자 내부에 깔리거나 볍씨를 덮게되는 흙의 양이 균일하게 못하여 생산성을 저하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더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육묘상자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흙을 균일하고도 용이하게 깔 수 있게 함으로써 인력을 감소하고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볍씨파종용 흙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지지롤러가 프레임 상에 각각 이격 설치되고,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복수의 스프로킷이 상기 프레임 상에 복수의 체인으로 이격 설치되고, 하나의 육모상자를 벨트와 이송하는 돌기구가 상기 벨트 상에 육모상자의 길이의 간격으로 설치되고, 육모상자를 다수개 경사지도록 적층하는 육모상자공급기가 상기 체인의 입구측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흙을 내장함과 더불어 상기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어 흙을 교반하는 교반구를 보유한 흙공급호퍼가 상기 체인의 출구측 프레임 상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구동롤러와 종동롤러 사이에 이송벨트를 연결하여 흙을 이송하는 흙이송기가 상기 흙공급호퍼의 하측 출구측에 설치되고, 상기 흙공급호퍼 내의 흙에 의하여 상기 흙이송기의 이송벨트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벨트지지롤러가 상기 이송벨트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상기 흙이송기의 이송벨트 상의 흙을 긁어내리는 흙분리구가 이송벨트의 출구측 외부면에 근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되어 육모상자 내의 흙을 균일하게 흩트리는 회전솔이 상기 흙이송기의 출구측에 설치되며, 육모상자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다수의 안내구가 상기 프레임의 양측 상부면에 이격 설치되고, 상기 체인의 입구측 스프로킷이 설치되는 프레임의 단부에 슬롯을 형성하고, 상기 슬롯에 스프로킷을 지지하는 축을 설치한 뒤, 이 축의 양단부에 체인장력조정기를 설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볍씨파종용 흙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볍씨파종용 흙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볍씨파종용 흙공급장치의 동력전달경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체인장력조정기의 부분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흙공급호퍼의 출구측을 나타내는 부분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흙이송기를 나타내는 부분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흙공급호퍼의 개폐판 및 작동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볍씨파종용 흙공급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2 : 지지롤러
3 : 체인 4,5 : 스프로킷
6 : 육모상자공급기 7 : 흙공급호퍼
8 : 모터 9 : 육모상자
10 : 돌기구 11 : 흙이송기
12 : 회전솔 13 : 안내구
16 : 흙분리구 20 : 체인장력조정기
21 : 육모상자보호롤러 24 : 다짐롤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볍씨파종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볍씨파종기는 프레임(1) 상에 다수의 지지롤러(2)를 이격 설치하고, 프레임(1)의 일측부에 체인(3)에 의하여 연결된 복수의 스프로킷(4,5)을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1)의 상측에 육모상자공급기(6), 흙공급호퍼(7) 및 모터(8)를 차례로 설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복수의 스프로킷(4,5)은 상기 모터(8)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것으로서, 하나의 육모상자(9)(도 7에 도시됨)를 이송하는 돌기구(10)가 설치된 상기 체인(3)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돌기구(10)는 상기 육모상자(9)를 프레임(1) 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용이하게 연속적으로 이송하도록 육모상자(9)의 길이의 간격으로상기 체인(3) 상에 다수개 설치된다.
상기 체인(3)의 입구측에는 육모상자(9)를 다수개 경사지도록 적층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육모상자공급기(6)가 설치되며, 상기 체인(3)의 출구측에는 흙(7a)을 내장한 흙공급호퍼(7)가 설치되고, 상기 흙공급호퍼(7)의 하측 출구측에는 상기 모터(8)의 동력으로 회전되어 흙을 이송하는 흙이송기(11)가 설치된다.
상기 흙이송기(11)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흙공급호퍼(7)의 하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종동롤러(111)와 구동롤러(211) 사이에 이송벨트(311)를 설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종동롤러(111)는 롤러축(111a), 상기 롤러축(111a)의 단부에 핀(111b)으로 고정되는 제1캡(111c), 상기 롤러축(111a)의 다른 단부에 이격되어 핀으로 고정되는 제2캡(111d), 상기 제1캡과 제2캡 사이에 억지끼움으로 고정되고 둘레면에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오목부가 형성되는 드럼(111e), 그리고 상기 제2캡에서 이격되어 상기 롤러축 상에 핀으로 고정되는 이송벨트구동풀리(111f)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롤러(211)는 상기 종동롤러(111)의 구조와 동일하게 제1캡(211c), 제2캡(211d), 드럼(211e) 및 이송벨트구동풀리(211f)가 롤러축(211a) 상에 핀(211b)으로 설치되고, 제1캡(211c)에서 이격되어 상기 롤러축(211a) 상에 핀(211b)으로 고정되어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풀리(211g)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벨트(311)는 상기 구동롤러(211)와 종동롤러(111)의 제1캡, 제2캡 및 이송벨트구동풀리를 감싸서 설치되고, 내측면에 상기 이송벨트구동풀리(111f,211f)의 둘레면에 삽입되는 둘레삽입부(311a)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한편 상기 흙공급호퍼(7)의 내부에는 흙이 뭉치지 않도록 교반하는 교반구(7b)가 설치되며, 이 교반구(7b)는 모터(8)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된다.
상기 흙이송기(11)의 출구측에는 모터(8)의 동력으로 회전되어 육모상자(9)내의 흙을 균일하게 흩트리는 회전솔(12)이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1)상에는 상기 육모상자(9)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다수의 안내구(13)가 프레임(1)의 양측 상부면에 이격 설치된다.
상기 흙공급호퍼(7)의 출구측에는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구의 개폐량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출구를 개폐하는 개폐판(14)과, 이 개폐판(14)을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작동부재(15)가 설치되며, 상기 흙이송기(11) 출구측 외부면에는 흙을 긁어내리는 흙분리구(16)가 근접하여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재(15)는 흙공급호퍼(7)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한쪽 단부에 수나사를 형성하고 중앙부 전체에 치형을 형성하는 작동봉(15a), 상기 흙공급호퍼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어 상기 작동봉(15a)의 다른쪽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손잡이(51b), 그리고 상기 흙공급호퍼(7)의 타측면에 돌출된 상기 작동봉의 수나사에 체결되어 필요에 따라 작동봉(15a)을 고정하는 조임구(15c)로 구성된다.
다른 한편 본 고안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체인(3)의 입구측 스프로킷(4)의 축(4a)이 프레임(1)에 형성된 슬롯(1a)에 설치되며, 상기 축(4a)을 프레임(1)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여 체인(3)의 장력을 조정하는 체인장력조정기(20)가 상기 프레임의 슬롯(1a) 및 스프로킷의 축(4a) 사이에 설치된다.
즉 상기 체인장력조정기(20)는 상기 스프로킷(4)이 설치된 축(4a)의 단부에 설치되는 베어링(20a), 중앙부에 구멍을 형성한 지지판(20b), 일측 단부가 상기 지지판(20b)의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베어링(20a)의 외부에 고정되고 둘레면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길이조정나사(20c), 그리고 상기 길이조정나사(20c)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20b)의 외측부에 배치되는 길이조정너트(20d)로 구성된다.
더욱이 본 고안은 체인(3)에 설치된 돌기구(10)에 의하여 이송하는 육모상자(9)의 바로 상측에 위치한 육모상자(9)의 바닥부가 체인(3)과 접하지 않도록 상기 체인(3)의 입구측에 설치된 스프로킷(4)에 근접하여 상기 프레임(1)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육모상자보호롤러(21)를 포함한다.
또다른 한편 본 고안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솔(12)의 양측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솔지지판(22) 상에 롤러지지판(23), 다짐롤러(24) 및 이격철사(25)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솔지지판(22)에는 장공(22a), 설치구(22b) 및 다짐롤러설치구(22c)를 일체로 형성하여 장공(22a)에 회전솔(12)의 양단부를 삽입하고, 상기 회전솔지지판의 설치구(22b)에는 회전솔(12)의 양단부를 지지하면서 이동하는 위치조절구(26)가 너트(27)에 의하여 설치된다.
또한 상기 롤러지지판(23)은 상기 회전솔지지판(22)의 다짐롤러설치구(22c)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다짐롤러(24)는 상기 롤러지지판(23)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솔(17)의 출구에서 나오는 육모상자(9)에 깔린 흙을 다지게 되며, 상기 이격철사(25)는 상기 회전솔지지판(22)에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다짐롤러(24)를 프레임(1)의 상측으로 이격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회전솔(12)은 한쪽 단부에 고정 설치된 풀리(28)에 벨트(30)를 연결하여 체인(5)과 연동되며, 상기 흙이송기(11)를 회전하는 롤러축(211a) 상의 풀리(211g)는 벨트(29)와 연결되어 교반구(7b)를 회전하게 된다.
특히 상기 흙이송기(11) 내부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111.211)상에 이송벨트(311)가 상기 흙공급호퍼(7) 내의 흙(7a)에 의하여 상기 이송벨트(311)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벨트지지롤러(40)가 상기 이송벨트의 중앙부 즉 상기 롤러(111,211) 사이에 설치되며,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롤러(111)의 축단부에는 상기 위치조절구(26) 및 너트(27)와 동일한 수단을 설치하여 롤러(111,211) 사이의 거리 즉 이송벨트(311)의 장력을 조정하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볍씨파종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터(12)가 출구측 스프로킷(5) 및 회전솔(12)을 회전하게 되고, 상기 스프로킷(5)이 체인(3)을 통하여 입구측 스프로킷(4) 및 흙이송기(11)를 회전하게 되고, 상기 흙이송기(11)가 흙공급호퍼 내의 교반구(7b)를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볍씨파종기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육모상자(9)를 육모상자공급기(6)에 경사지게 적층하고, 흙공급호퍼(7) 내에 흙을 넣고, 도 6의 쇄선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임구(15c)를 푼 뒤에 손잡이(15b)를 회전하여 작동봉(15c)을 회전하여 개폐판(14)을 이동시켜서 필요한 흙의 배출량을 조정하고, 다시 조임구(15c)를 실선과 같이 조이고, 체인장력조정기(20)를 이용하여 늘어진 체인(3)의 장력을 조정한 뒤, 모터(8)에 전기를 인가하면 작동하는 것이다.
즉 상기 모터(8)의 작동에 의하여 체인(3) 및 돌기구(10)가 이동함과 동시에 회전솔(12)이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체인(3) 및 돌기구(10)의 이동에 의하여 육모상자공급기(6)내의 최하측 육모상자(9)가 흙공급호퍼(7)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육모상자(9)가 흙공급호퍼(7)의 출구측에 설치된 흙이송기(11)의 아래를 지나며, 흙이송기(11)의 이송벨트(311) 상측부에서 공급되는 흙이 상기 육모상자(9)에 깔리면서 회전솔(12)에 의하여 균일하게 흩트려지며, 다짐롤러(24)에 의하여 육모상자에 깔린 흙이 다져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격철사(25)를 이용하여 다짐롤러(24)를 프레임으로부터 이격한 뒤, 1차적으로 흙이 깔린 육모상자에 별도의 파종기(미도시)를 이용하여 볍씨를 산파하고, 이 볍씨를 산파한 육모상자를 다시 육모상자공급기(6)에 넣고, 모터(8)에 전기를 인가한다.
그러면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되어 흙공급호퍼 내의 흙이 상기 육모상자에 깔리게 됨과 동시에 2차로 볍씨를 덮은 흙이 다짐롤러(24)에 의하여 눌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본 고안의 볍씨파종용 흙공급장치는 육모상자를 용이하게 공급하고, 육모상자에 흙을 용이하게 깔고, 산파된 볍씨 위에 덮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볍씨파종용 흙공급장치는 육묘상자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흙을 깔며, 볍씨를 산파한 육모상자에 흙을 용이하게 다시 깔게 됨으로써 적은 인력으로 육모상자에 볍씨 파종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동력으로 육모상자의 이송 및 흙의 깔기 등을 실현하기 때문에 볍씨 파종의 생산성을 향상하게 되는 등의 이점이 더 있다.

Claims (6)

  1. 다수의 지지롤러가 프레임 상에 각각 이격 설치되고,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복수의 스프로킷이 상기 프레임 상에 복수의 체인으로 이격 설치되고, 하나의 육모상자를 벨트와 이송하는 돌기구가 상기 벨트 상에 육모상자의 길이의 간격으로 설치되고, 육모상자를 다수개 경사지도록 적층하는 육모상자공급기가 상기 체인의 입구측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흙을 내장함과 더불어 상기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어 흙을 교반하는 교반구를 보유한 흙공급호퍼가 상기 체인의 출구측 프레임 상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구동롤러와 종동롤러 사이에 이송벨트를 연결하여 흙을 이송하는 흙이송기가 상기 흙공급호퍼의 하측 출구측에 설치되고, 상기 흙공급호퍼 내의 흙에 의하여 상기 흙이송기의 이송벨트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벨트지지롤러가 상기 이송벨트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상기 흙이송기의 이송벨트 상의 흙을 긁어내리는 흙분리구가 이송벨트의 출구측 외부면에 근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되어 육모상자 내의 흙을 균일하게 흩트리는 회전솔이 상기 흙이송기의 출구측에 설치되며, 육모상자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다수의 안내구가 상기 프레임의 양측 상부면에 이격 설치되고, 상기 체인의 입구측 스프로킷이 설치되는 프레임의 단부에 슬롯을 형성하고, 상기 슬롯에 스프로킷을 지지하는 축을 설치한 뒤, 이 축의 양단부에 체인장력조정기를 설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볍씨파종용 흙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장력조정기는 상기 스프로킷이 설치된 축의 단부에 설치되는 베어링과, 중앙부에 구멍을 형성한 지지판과, 일측 단부가 상기 지지판의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베어링의 외부에 고정되고 둘레면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길이조정나사와, 상기 길이조정나사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의 외측부에 배치되는 길이조정너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볍씨파종용 흙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체인에 설치된 돌기구에 의하여 이송하는 육모상자의 바로 상측에 위치한 육모상자의 바닥부가 체인과 이격되도록 상기 체인의 입구측에 설치된 스프로킷에 근접하여 상기 프레임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육모상자보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볍씨파종용 흙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솔의 양측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솔지지판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지지판과, 상기 롤러지지판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솔의 출구에서 나오는 육모상자에 깔린 흙을 다지는 다짐롤러와, 상기 회전솔지지판에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다짐롤러를 프레임으로부터 이격하는 이격철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볍씨파종용 흙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흙이송기는 상기 흙공급호퍼의 하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종동롤러와 구동롤러 사이에 이송벨트를 설치하되,
    상기 종동롤러가 롤러축, 상기 롤러축의 단부에 핀으로 고정되는 제1캡, 상기 롤러축의 다른 단부에 이격되어 핀으로 고정되는 제2캡, 상기 제1캡과 제2캡 사이에 억지끼움으로 고정되고 둘레면에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오목부가 형성되는 드럼, 그리고 상기 제2캡에서 이격되어 상기 롤러축 상에 핀으로 고정되는 이송벨트 구동풀리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풀리가 상기 종동풀리에 있어서 제1캡에서 이격되어 상기 롤러축 상에 핀으로 고정되어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풀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송벨트가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의 제1캡, 제2캡 및 이송벨트구동풀리를 감싸서 설치되고 내측면에 상기 이송벨트구동풀리의 둘레면에 삽입되는 둘레삽입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볍씨파종용 흙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흙공급호퍼의 출구측에는 출구의 개폐량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출구를 개폐하는 개폐판과, 흙공급호퍼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판을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작동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작동부재는 한쪽 단부에 수나사를 형성하고 중앙부 전체에 치형을 형성하는 작동봉, 상기 흙공급호퍼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어 상기 작동봉의 다른쪽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손잡이, 그리고 상기 흙공급호퍼의 타측면에 돌출된 상기 작동봉의 수나사에 체결되어 필요에 따라 작동봉을 고정하는 조임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볍씨파종용 흙공급장치.
KR2019990015199U 1999-07-23 1999-07-23 볍씨파종용 흙공급장치 KR2001654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199U KR200165459Y1 (ko) 1999-07-23 1999-07-23 볍씨파종용 흙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199U KR200165459Y1 (ko) 1999-07-23 1999-07-23 볍씨파종용 흙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5459Y1 true KR200165459Y1 (ko) 2000-02-15

Family

ID=19582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5199U KR200165459Y1 (ko) 1999-07-23 1999-07-23 볍씨파종용 흙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4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33150A (zh) * 2023-08-16 2023-10-03 台玻悦达汽车玻璃有限公司 汽车玻璃生产用玻璃清洗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33150A (zh) * 2023-08-16 2023-10-03 台玻悦达汽车玻璃有限公司 汽车玻璃生产用玻璃清洗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65457Y1 (ko) 볍씨 파종기
KR101982027B1 (ko) 파종기용 흙 공급장치
KR200422866Y1 (ko) 파종기용 육묘상자의 공급장치
KR200165459Y1 (ko) 볍씨파종용 흙공급장치
KR200422867Y1 (ko) 파종기용 육묘상자 공급장치의 출구조정구
JPH11187708A (ja) ベルト式点播播種機
KR200203334Y1 (ko) 육모상자 동력이송용 볍씨파종기의 상자누름장치
KR102251436B1 (ko) 볍씨 파종기의 상토흙 회수기
KR200194270Y1 (ko) 종자 파종기에 있어서 육묘상자의 이송장치
KR102115703B1 (ko) 조절이 용이한 파종기용 작동구
KR200298987Y1 (ko) 볍씨파종기용 흙공급장치의 상자누름장치.
KR200194184Y1 (ko) 볍씨 파종기
WO2020080567A1 (ko) 종자줄 제조장치
KR200194183Y1 (ko) 볍씨파종기용 흙투입장치
KR200279925Y1 (ko) 볍씨 파종기
KR200199084Y1 (ko) 볍씨파종기용 상자공급기의 상자누름장치
JP6718572B2 (ja) 播種機
KR200391685Y1 (ko) 파종기용 동력전달장치
KR200244136Y1 (ko) 볍씨용 파종기
JP5416791B2 (ja) 土供給装置
JP3433307B2 (ja) 土詰播種装置
JPH0132828Y2 (ko)
KR20020026395A (ko) 마늘파종기
KR101542327B1 (ko) 마늘 파종장치
KR102540262B1 (ko) 독립 구동이 가능한 자동 파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