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0262B1 - 독립 구동이 가능한 자동 파종장치 - Google Patents

독립 구동이 가능한 자동 파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0262B1
KR102540262B1 KR1020220129899A KR20220129899A KR102540262B1 KR 102540262 B1 KR102540262 B1 KR 102540262B1 KR 1020220129899 A KR1020220129899 A KR 1020220129899A KR 20220129899 A KR20220129899 A KR 20220129899A KR 102540262 B1 KR102540262 B1 KR 102540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pulley
belt
stirr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9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일
박정애
Original Assignee
정경일
박정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경일, 박정애 filed Critical 정경일
Priority to KR1020220129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2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0Devices for adjusting the seed-box ; Regulation of machines for depositing quantities at interv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1Devices for filling-up p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Box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립 구동이 가능한 자동 파종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프레임의 이송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육묘상자에 씨앗을 파종하기 전과 후에 각각 흙을 공급하는 상토기 및 복토기를 포함하는 흙 공급기를 갖는 자동 파종장치로서, 흙 공급기에 구비된 하나의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모터풀리; 모터풀리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연동되는 한편 흙 공급기 내의 흙을 교반시키는 교반축에 구비되어 교반축을 회전시키는 제1 교반풀리; 제1 교반풀리와 함께 교반축 상에 구비되는 제2 교반풀리; 제2 교반풀리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연동되는 한편 흙을 이송시키는 이송벨트의 벨트축에 구비되어 이송벨트를 회전시키는 제2 벨트풀리; 제2 벨트풀리와 함께 벨트축 상에 구비되는 제1 벨트풀리; 제1 벨트풀리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연동되는 한편 이송벨트 상의 흙을 분쇄하는 본쇄롤러의 분쇄축에 구비되어 분쇄롤러를 회전시키는 분쇄풀리;를 포함하여, 하나의 모터로서 교반축과, 이송벨트, 분쇄축을 동기화하여 구동시키는 자동 파종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독립 구동이 가능한 자동 파종장치{Automatic sow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 파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벼가 독립적으로 생육할 수 있도록 육묘상자에 상토를 균일하게 채운 후 상토에 물을 주고 상토 위에 볍씨를 파종하고 복토하는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독립 구동이 가능한 자동 파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벼나 밭작물을 경작하기 위해 육묘상자를 이용하여 씨앗(볍씨)의 초기 육묘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육묘상자에 씨앗을 뿌리기 전에 육묘상자에 상토를 공급한 후, 상토 위에 씨앗을 뿌린 다음, 씨앗 위에 복토를 하여 씨앗을 덮는 작업을 하게 된다.
이러한 파종장치는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38876호에서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38876호에는 첨부도면 도 1에서와 같이, 육묘상자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11)가 구비되는 베이스프레임(10)과, 베이스프레임(10)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육묘상자에 상토를 공급하는 상토기(30)와, 육묘상자의 상토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기(50)와, 물이 공급된 육묘상자의 상토 위에 종자를 파종하는 파종기(20)와, 육묘상자의 종자 위에 복토를 공급하는 복토기(40)와, 파종기(20)에 구비되어 육묘상자의 이송속도에 맞춰 파종기의 파종량 공급속도, 상토기의 상토량 공급속도, 복토기의 복토량 공급속도 및 물 공급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파종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파종장치는 상토기(30)와 파종기(20) 및 복토기(40)에는 상토와 종자 및 복토가 각각 공급되어 저장되고, 베이스프레임(10)에서 회전 구동되는 이송롤러(11)에 의해 육묘상자가 이동되고, 이동되는 육묘상자는 상토기(30)와 파종기(20) 및 복토기(40)를 차례로 지나면서 상토, 파종 및 복토가 차례로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파종장치에 구성되는 상토기(30) 및 복토기(40)는 베이스프레임(10) 상에서 회전되는 이송롤러(1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흙을 이송시키는 벨트가 구동되는 반면, 벨트 상에서 이송되어 육묘상자로 토출되기 전에 벨트 상의 흙을 재차 미세하게 분쇄하는 분쇄롤러는 각 기기에 구비된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구동되기 때문에, 벨트와 분쇄롤러 간의 회전수 즉 회전 속도가 서로 상이하고, 이로 인해 벨트 상에서 이송되는 흙의 분쇄효율이 저조하여 육묘상자로 덩어리진 흙이 그대로 공급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베이스프레임(10)의 일측부에는 이송되는 육묘상자를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가 구비되는데, 이 리미트스위치에는 얇은 박판으로 이루어져 복원되는 탄력을 갖도록 구비된 스위칭바가 육묘상자의 측면에 직접 접촉되어 육묘상자를 검출하게 되는 바, 이때 이송되는 육묘상자가 리미트스위치 측으로 치우친 경우에는 리미스트위치의 스위칭바가 과도하게 눌리게 되고, 이의 반복적인 작동으로 인해 스위칭바에 변형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리미트스위치가 육묘상자를 제대로 검출하지 못하게 되는 오작동이 발생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3887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벼의 독립적인 생육을 이룰 수 있는 자동 파종장치의 상토기, 파종기 및 복토기, 그리고 베이스프레임 상에서 육묘상자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이 제각각 하나의 구동원으로 독립되게 구동될 수 있도록 한 독립 구동이 가능한 자동 파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독립 구동이 가능한 자동 파종장치는, 베이스프레임의 이송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육묘상자에 씨앗을 파종하기 전과 후에 각각 흙을 공급하는 상토기 및 복토기를 포함하는 흙 공급기를 갖는 자동 파종장치로서, 흙 공급기에 구비된 하나의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모터풀리; 모터풀리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연동되는 한편 흙 공급기 내의 흙을 교반시키는 교반축에 구비되어 교반축을 회전시키는 제1 교반풀리; 제1 교반풀리와 함께 교반축 상에 구비되는 제2 교반풀리; 제2 교반풀리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연동되는 한편 흙을 이송시키는 이송벨트의 벨트축에 구비되어 이송벨트를 회전시키는 제2 벨트풀리; 제2 벨트풀리와 함께 벨트축 상에 구비되는 제1 벨트풀리; 제1 벨트풀리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연동되는 한편 이송벨트 상의 흙을 분쇄하는 본쇄롤러의 분쇄축에 구비되어 분쇄롤러를 회전시키는 분쇄풀리;를 포함하여, 하나의 모터로서 교반축과, 이송벨트, 분쇄축을 동기화하여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1 벨트풀리는 흙 공급기에서 공회전되는 아이들풀리와 체인으로 연결되고, 분쇄풀리는 제1 벨트풀리와 아이들풀리를 연결하는 체인에 외접되게 구비되어, 분쇄롤러가 이송벨트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이송벨트 상의 흙을 잘게 분쇄하여 배출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자동 파종장치에는 베이스프레임에서 이송되는 육묘상자를 검출하는 감지부가 구성되되, 감지부는, 자동 파종장치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마운팅브라켓; 마운팅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축; 회전축의 일측에서 돌출되게 설치되어 베이스프레임에서 이송되는 육묘상자에 접촉되는 스위칭레버; 회전축의 타측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한편 그 원주면에는 평탄한 평탄부와 편심되게 돌출된 편심부가 형성돼 있는 회전캠; 마운팅브라켓에 고정되게 구비되고 회전캠의 평탄부와 편심부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스위칭 온/오프되는 스위칭바를 갖는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리미트스위치의 스위칭바에는 회전캠과의 접촉시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한 접촉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게다가, 회전캠과 마운팅브라켓 사이에는 회전된 회전캠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독립 구동이 가능한 자동 파종장치에 따르면, 벼의 독립적인 생육을 이룰 수 있는 자동 파종장치의 상토기, 파종기 및 복토기, 그리고 베이스프레임 상에서 육묘상자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이 제각각 하나의 구동원으로 독립적으로 구동되게 구성됨으로써, 흙을 이송시키는 벨트와 벨트 상의 흙을 잘게 분쇄하는 분쇄롤러의 회전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한편 씨앗을 이송시키는 벨트와 벨트 상의 씨앗을 하나씩 육묘상자로 토출시키는 공급롤러 간의 회전수를 일치시켜 육묘상자로 공급되는 흙을 잘게 분쇄하여 정량 공급할 수 있고, 씨앗의 공급 역시도 일정 간격으로 정확히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리미트스위치가 육묘상자와 간접적으로 접촉되어 육묘상자를 검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육묘상자와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인한 스위칭바의 부하를 경감시키고 내구성을 향상시켜 지속적인 작동에도 스위칭바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리미트스위치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 파종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파종장치에 구성되는 상토기 및 복토기의 동력전달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토기 및 복토기의 동력전달구조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토기 및 복토기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토기 및 복토기의 배출부 측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파종장치에 구성되는 리미트스위치를 도시한 외형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리미트스위치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리미트스위치의 내부를 평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리미트스위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파종장치에 구성된 복토기와, 감지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자동 파종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묘상자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11)가 구비되는 베이스프레임(10)과, 베이스프레임(10)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육묘상자에 상토를 공급하는 상토기(30)와, 육묘상자의 상토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기(50)와, 물이 공급된 육묘상자의 상토 위에 종자를 파종하는 파종기(20)와, 육묘상자의 종자 위에 복토를 공급하는 복토기(100)와, 파종기(20)에 구비되어 육묘상자의 이송속도에 맞춰 파종기(20)의 파종량 공급속도, 상토기(30)의 상토량 공급속도, 복토기(100)의 복토량 공급속도 및 물 공급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자동 파종장치는 이미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38876호에서 자세히 개시된 바 있으므로, 상토기(30), 물 공급기(50), 파종기(20), 복토기(100), 컨트롤부 등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이나 작동관계의 설명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38876호에 기술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독립 구동이 가능한 자동 파종장치의 특징이 가장 잘 표현된 흙 공급기를 일실시예로 설명하되, 흙 공급기 중에서도 상토기와 대동소이하게 구성된 복토기를 일례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복토기(100)는 내측 중앙부에는 흙이 담아져 저장되는 저장 공간이 상하로 연통되게 형성되고, 복토기(100)의 하부에는 저장 공간에서 떨어진 흙을 받아 이송시키는 이송벨트(143)가 복토기(100)의 전후 방향으로 구비되어 일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복토기(100)는 하나의 모터로서 교반축(130)과, 이송벨트(143), 분쇄축(150)이 동기화되어 구동됨으로써 복토기(100)의 작동은 복토기(100)에 자체 구성된 하나의 모터로만 제어되어 독립 구동되게 구성된다.
이로써, 복토기(100)의 교반축(130)과, 이송벨트(143), 분쇄축(150)이 하나의 모터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이들의 회전수를 간편하게 조절하여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복토기(100)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토기(100)에 구비된 하나의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모터풀리(121)와, 모터풀리(121)와 체인(170)으로 연결되어 연동되는 한편 흙 공급기 내의 흙을 교반시키는 교반축(130)에 구비되어 교반축(130)을 회전시키는 제1 교반풀리(131)와, 제1 교반풀리(131)와 함께 교반축(130) 상에 구비되는 제2 교반풀리(132)와, 제2 교반풀리(132)와 체인(170)으로 연결되어 연동되는 한편 흙을 이송시키는 이송벨트(143)의 벨트축(140)에 구비되어 이송벨트(143)를 회전시키는 제2 벨트풀리(142)와, 제2 벨트풀리(142)와 함께 벨트축(140) 상에 구비되는 제1 벨트풀리(141)와, 제1 벨트풀리(141)와 체인(170)으로 연결되어 연동되는 한편 이송벨트(143) 상의 흙을 분쇄하는 분쇄롤러(152)의 분쇄축(150)에 구비되어 분쇄롤러(152)를 회전시키는 분쇄풀리(151)가 포함된다.
이러한 모터풀리(121)는 복토기(100)의 일측 외측면에 구비되는 바, 복토기(100)의 일측에는 모터(미도시)가 내장되어 설치되는 모터함(110)이 구비되고, 모터함(110)의 외측으로는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되는 모터축(120)이 돌출되게 구비되며, 모터축(120)의 일단부에는 모터풀리(121)가 고정되게 구비된다.
이로써, 모터 작동시 모터함(110) 외측으로 돌출돼 있는 모터축(120)과 모터풀리(121)가 함께 회전 구동된다.
그리고, 제1,2 교반풀리(131)(132)는 복토기(100)의 저장 공간 측에 구비되는 바, 제1,2 교반풀리(131)(132)는 복토기(100)의 저장 공간을 가로지른 상태로 회전되게 설치된 하나의 교반축(130)에 고정되게 구비된다.
교반축(130)에 고정된 제1,2 교반풀리(131)(132)는 복토기(100)의 외측에 위치되고, 복토기(100)에 근접하게 위치된 제1 교반풀리(131)는 모터풀리(121)와 체인(170)으로 연결되며, 복토기(100)와 이격되게 위치된 제2 교반풀리(132)는 후술될 제2 벨트풀리(142)와 체인(170)으로 연결되어 구비된다.
또, 복토기(100)의 저장 공간 내에 위치되는 교반축(130)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저장 공간 내의 흙을 교반하면서 큰 덩어리의 흙을 잘게 분쇄하는 복수의 교반날개(133)가 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복수의 교반날개(133)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어 흙의 교반 및 분쇄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로써, 모터풀리(121)의 회전시는 교반축(130) 상의 제1,2 교반풀리(131)(132)와 교반날개(133)가 동시에 모터풀리(121)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된다.
한편, 제1,2 벨트풀리(141)(142)는 복토기(100)의 하측에 구비되는 바, 제1,2 벨트풀리(141)(142)는 복토기(100)의 하측을 가로지른 상태로 회전되면서 이송벨트(143)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벨트축(140)에 고정되게 구비된다.
벨트축(140)에 고정된 제1,2 벨트풀리(141)(142) 역시도 복토기(100)의 외측에 위치되고, 복토기(100)와 이격되게 위치된 제2 벨트풀리(142)는 교반축(130)의 제2 교반풀리(132)와 체인(170)으로 연결되며, 복토기(100)에 근접하게 위치된 제1 벨트풀리(141)는 후술될 아이들풀리(161)와 체인(170)으로 연결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아이들풀리(161)는 제1 벨트풀리(141)와 이격된 복토기(100)의 상측에 구비되는 바, 아이들풀리(161)는 복토기(100)의 상측에 회전되게 구비된 아이들축(160)에 고정되게 구비된다.
한편, 분쇄풀리(151)는 제1 벨트풀리(141)와 아이들풀리(161) 사이의 복토기(100)에 구비되는 바, 이러한 분쇄풀리(151)는 복토기(100)를 가로지른 상태로 회전되는 분쇄축(150)에 고정되게 구비된다.
분쇄축(150)에 고정된 분쇄풀리(151)는 복토기(100)의 외측에 위치되어 제1 벨트풀리(141)와 아이들풀리(161)를 연결하는 체인(170)에 외접되게 구비된다.
또한, 복토기(100)의 내측에는 이송벨트(143) 상에서 이송되는 흙을 미세하게 분쇄하여 육묘상자로 공급되게 하는 분쇄롤러(152)가 고정되게 구비되고, 분쇄롤러(152)의 표면에는 이송벨트(143) 상의 흙을 잘게 분쇄할 수 있는 다수의 분쇄돌기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분쇄돌기는 그 단부가 첨예하게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 5에서와 같이 흙과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하여 분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단부가 완만하게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로써, 분쇄롤러(152)는 도 3을 기준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이송벨트(143)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이송벨트(143) 상에서 이송되어 오는 흙을 미세하게 분쇄하여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각각의 풀리들은 각각의 체인으로 연결되어 구비되지만, 이러한 체인(170)은 동력을 전달하는 기능 이외에는 별다른 특징이 없으므로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기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복토기(100)는 모터에 의해 모터풀리(121)가 회전되면, 이에 체인(170)으로 연결된 제1 교반풀리(131)가 연동 회전되고, 제1 교반풀리(131)와 동일한 교반축(130)에 구비된 제2 교반풀리(132)가 같은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되며, 제2 교반풀리(132)와 체인(170)으로 연결된 제2 벨트풀리(142)가 회전되고, 제2 벨트풀리(142)와 동일한 벨트축(140)에 구비된 제1 벨트풀리(141)가 같은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되며, 제1 벨트풀리(141)와 아이들풀리(161)를 연결하는 체인(170)에 외접한 분쇄풀리(151)가 연동 회전된다.
이로써, 복토기(100) 내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흙을 교반축(130)에 구비된 교반날개(133)가 제1,2 교반풀리(131)(132)와 함께 회전되면서 분쇄 및 교반시키게 되고, 이와 동시에 이송벨트(143)가 회전되면서 복토기(100)의 저장 공간에서 떨어진 흙을 받아 출구 측으로 이송시키며, 이송벨트(143) 상에서 이송되어 오는 흙을 분쇄롤러(152)가 마지막으로 한번 더 잘게 분쇄하여 육묘상자로 공급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복토기(100)에 구성된 교반축(130)과, 이송벨트(143), 분쇄축(150)은 복토기(100)에 구성된 하나의 모터로서 모두 동기화되어 구동됨으로써 복토기(100)의 작동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각 축에 구비된 각 풀리의 기어비를 통해 이의 회전수를 정밀하게 조절하여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자동 파종장치에 구비되는 복토기(100)는 컨트롤부에 의해 제어되지만, 이의 작동은 베이스프레임(10)의 이송롤러(11)나 상토기(30), 파종기(20)와는 별개의 독립된 자체 구동원으로 독립 구동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복토기(100)를 비롯하여 베이스프레임(10)에는 베이스프레임(10)에서 이송되는 육묘상자를 검출하는 감지부(200)가 구성된다.
이러한 감지부(200)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0)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마운팅브라켓(212)과, 마운팅브라켓(21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축(220)과, 회전축(220)의 일측에서 돌출되게 설치되어 베이스프레임(10)에서 이송되는 육묘상자에 접촉되는 스위칭레버(230)와, 회전축(220)의 타측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한편 그 원주면에는 평탄한 평탄부(241)와 편심되게 돌출된 편심부(242)가 형성돼 있는 회전캠(240)과, 마운팅브라켓(212)에 고정되게 구비되고 회전캠(240)의 평탄부(241)와 편심부(242)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스위칭 온/오프되는 스위칭바(251)를 갖는 리미트스위치(250)를 포함한다.
먼저, 마운팅브라켓(212)은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대략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마운팅브라켓(212) 하부의 수평부은 베이스플레이트(210)에 결합 고정되며, 수평부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수직부는 커버플레이트(211)의 내측면에 결합 고정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베이스플레이트(210)는 감지부(200)를 베이스프레임(10)에 간편히 장,탈착시킬 수 있도록 된 평판으로 형성되고, 커버플레이트(211)는 베이스플레이트(210) 상에서 대략 "∩"자 형태로 구비되어 감지부(200)를 감싸 감지부(200)의 내부가 외부 오염원으로부터 오염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러한 마운팅브라켓(212)의 수직부에는 회전축(220)이 관통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마운팅브라켓(212)을 관통한 회전축(220)에는 베어링(221)이 개재되어 구비된다. 이로써, 회전축(220)은 마운팅브라켓(212)을 관통한 상태에서 베어링(221)에 의해 자유롭게 정.역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마운팅브라켓(212)의 외측에 위치된 회전축(220)의 일단부에는 스위칭레버(230)가 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스위칭레버(230)는 도 5에서와 같이 커버플레이트(21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어 육묘상자에 직접 접촉되게 구비된다. 이때, 스위칭레버(230)는 육묘상자와 직접 접촉되므로 강도와 내구성을 갖도록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마운팅브라켓(212)의 내측에 위치된 회전축(220)의 타단부에는 회전캠(240)이 회전축(220)에 결합 고정되어 회전축(220)과 함께 일체로 회전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회전캠(240)의 원주면에는 후술될 리미트스위치(250)의 스위칭바(251)가 접촉된 상태로 구비되는데, 회전캠(240)의 원주면에는 평탄한 평탄부(241)와 편심되게 돌출된 편심부(242)가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캠(240)이 회전될 시에는 원주면에 형성된 평탄부(241)와 편심부(242)에 의해 리미트스위치(250)의 스위칭바(251)가 눌리거나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접점 온/오프되게 작동된다. 즉, 리미트스위치(250)의 스위칭바(251)가 회전캠(240)의 평탄부(241)에 접한 상태에서는 접점 오프되고, 회전캠(240)의 편심부(242)에 접한 상태에서는 접점 온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회전캠(240)의 하측에는 회전캠(240)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핀(243)이 구비되고, 고정핀(243)과 마운팅브라켓(212) 사이에는 회전된 회전캠(24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 탄성부재(244)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제1 탄성부재(244)는 회전된 회전캠(24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수단이면 모두 만족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인장 코일스프링을 그 일례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이로써, 인장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된 제1 탄성부재(244)는 그 양측 단부가 각각 회전캠(240)의 고정핀(243)과 마운팅브라켓(212)에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캠(240)의 회전시 인장되게 구비된다.
한편, 회전캠(240)과 근접한 마운팅브라켓(212)에는 리미트스위치(250)가 결합 고정되어 구비된다.
리미트스위치(250)에는 그 일단부가 탄성적으로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는 외측으로 돌출된 외팔보 형태의 스위칭바(251)가 구비되고, 스위칭바(251)는 회전캠(240)의 원주면에 접하여 회전캠(240)의 회전에 의해 스위칭 온/오프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스위칭바(251)와 리미트스위치(250) 사이에는 스위칭된 스위칭바(251)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제2 탄성부재(253)가 구비되고, 제2 탄성부재(253)는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되어, 스위칭바(251)의 스위칭시엔 스위칭바(251)와 리미트스위치(250) 사이에서 압축되게 구비된다.
또한, 회전캠(240)에 접하는 스위칭바(251)의 돌출된 단부에는 회전캠(240)과의 접촉시 저항에 의한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한 접촉롤러(252)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접촉롤러(252)는 회전캠(240)의 원주면에 접한 상태로 구비되고, 회전되는 회전캠(240)의 원주면을 따라 구름되면서 원주면의 편심부(242) 또는 평탄부(241)에 의해 리미트스위치(250)를 접점 온/오프시키게 된다.
이로써, 리미트스위치(250)의 스위칭바(251)는 육묘상자와 직접 접촉되지 않고 스위칭레버(230)와 회전캠(240)에 의해 간접 접촉될 뿐 아니라 스위칭 시에도 접촉롤러(252)에 의해 부하가 최소화된 상태로 스위칭 작동되므로 스위칭바(25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리미트스위치(25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스위칭레버(230)가 육묘상자와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리미트스위치(250)의 스위칭바(251)에 회전캠(240)의 평탄부(241)가 접한 상태로 구비되고, 스위칭레버(230)가 육묘상자와 접하여 회전된 상태에서는 리미트스위치(250)의 스위칭바(251)에 회전캠(240)의 편심부(242)가 접한 상태로 구비된다.
이로써, 스위칭레버(230)가 육묘상자와 비접촉 상태에서는 회전캠(240)의 평탄부(241)에 리미트스위치(250)의 스위칭바(251)가 접하게 되므로 리미트스위치(250)는 접점 오프된 상태이고, 스위칭레버(230)가 육묘상자와 접촉되어 회전되면 회전축(220)과 회전캠(240)이 동시에 회전되면서 리미트스위치(250)의 스위칭바(251)에 회전캠(240)의 편심부(242)가 접하게 되므로 리미트스위치(250)는 접점 온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감지부(200)는 자동 파종장치의 베이스프레임(10) 하측에 구비하여 스위칭레버(230)가 육묘상자의 하면과 접촉되도록 구비된 것을 일례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자동 파종장치의 다양한 곳에 장착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 : 베이스프레임 11 : 이송롤러
20 : 파종기 30 : 상토기
40 : 복토기 50 : 물 공급기
100 : 복토기 110 : 모터함
120 : 모터축 121 : 모터풀리
130 : 교반축 131,132 : 교반풀리
133 : 교반날개 140 : 벨트축
141,142 : 벨트풀리 143 : 이송벨트
150 : 분쇄축 151 : 분쇄풀리
152 ; 분쇄롤러 160 : 아이들축
161 : 아이들풀리 170 : 체인
200 : 감지부 210 : 베이스플레이트
211 : 커버플레이트 212 : 마운팅브라켓
220 : 회전축 221 : 베어링
230 : 스위칭레버 240 : 회전캠
241 : 평탄부 242 : 편심부
243 : 고정핀 244 : 제1 탄성부재
250 : 리미트스위치 251 : 스위칭바
252 : 접촉롤러 253 : 제2 탄성부재

Claims (5)

  1. 베이스프레임의 이송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육묘상자에 씨앗을 파종하기 전과 후에 각각 흙을 공급하는 상토기 및 복토기를 포함하는 흙 공급기를 갖는 자동 파종장치로서,
    흙 공급기에 구비된 하나의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모터풀리; 모터풀리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연동되는 한편 흙 공급기 내의 흙을 교반시키는 교반축에 구비되어 교반축을 회전시키는 제1 교반풀리; 제1 교반풀리와 함께 교반축 상에 구비되는 제2 교반풀리; 제2 교반풀리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연동되는 한편 흙을 이송시키는 이송벨트의 벨트축에 구비되어 이송벨트를 회전시키는 제2 벨트풀리; 제2 벨트풀리와 함께 벨트축 상에 구비되는 제1 벨트풀리; 제1 벨트풀리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연동되는 한편 이송벨트 상의 흙을 분쇄하는 본쇄롤러의 분쇄축에 구비되어 분쇄롤러를 회전시키는 분쇄풀리;를 포함하여, 하나의 모터로서 교반축과, 이송벨트, 분쇄축을 동기화하여 구동시키도록 구비되고,
    분쇄롤러의 표면에는 이송벨트 상의 흙을 잘게 분쇄하도록 그 단부가 완만하게 만곡된 형상을 갖는 다수의 분쇄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자동 파종장치에는 베이스프레임에서 이송되는 육묘상자를 검출하는 감지부가 구성되되, 감지부는 베이스프레임에 장.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어 감지부를 감싸 보호하는 커버플레이트; 커버플레이트 내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마운팅브라켓; 마운팅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축; 커버플레이트를 관통한 회전축의 일측에서 돌출되게 설치되어 베이스프레임에서 이송되는 육묘상자에 접촉되는 스위칭레버; 커버플레이트 내의 회전축 타측에 고정되게 구비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한편 그 원주면에는 평탄한 평탄부와 편심되게 돌출된 편심부가 형성돼 있는 회전캠; 마운팅브라켓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한편 그 일측에는 회전캠의 원주면에 접한 상태에서 회전캠의 평탄부와 편심부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면서 스위칭 온/오프되는 스위칭바를 갖는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고,
    리미트스위치의 스위칭바에는 회전캠과의 접촉시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한 접촉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스위칭바와 리미트스위치 사이에는 스위칭바의 접촉롤러를 항상 회전캠의 원주면에 접촉시키는 한편 스위칭된 스위칭바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2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자동 파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벨트풀리는 흙 공급기에서 공회전되는 아이들풀리와 체인으로 연결되고, 분쇄풀리는 제1 벨트풀리와 아이들풀리를 연결하는 체인에 외접되게 구비되어,
    분쇄롤러가 이송벨트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이송벨트 상의 흙을 잘게 분쇄하여 배출시키는 자동 파종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회전캠과 마운팅브라켓 사이에는 회전된 회전캠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자동 파종장치.
KR1020220129899A 2022-10-11 2022-10-11 독립 구동이 가능한 자동 파종장치 KR102540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9899A KR102540262B1 (ko) 2022-10-11 2022-10-11 독립 구동이 가능한 자동 파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9899A KR102540262B1 (ko) 2022-10-11 2022-10-11 독립 구동이 가능한 자동 파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0262B1 true KR102540262B1 (ko) 2023-06-08

Family

ID=86765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9899A KR102540262B1 (ko) 2022-10-11 2022-10-11 독립 구동이 가능한 자동 파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26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6328U (ko) * 1989-03-28 1990-10-18
JP2011167138A (ja) * 2010-02-19 2011-09-01 Kubota Corp 播種プラント
KR20170143473A (ko) * 2017-11-02 2017-12-29 정지현 파종기용 흙 및 종자 공급장치
JP2019208407A (ja) * 2018-06-01 2019-12-12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KR102438876B1 (ko) 2022-01-24 2022-09-01 정경일 자동 파종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6328U (ko) * 1989-03-28 1990-10-18
JP2011167138A (ja) * 2010-02-19 2011-09-01 Kubota Corp 播種プラント
KR20170143473A (ko) * 2017-11-02 2017-12-29 정지현 파종기용 흙 및 종자 공급장치
JP2019208407A (ja) * 2018-06-01 2019-12-12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KR102438876B1 (ko) 2022-01-24 2022-09-01 정경일 자동 파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2170B1 (ko) 파종기용 복토장치
JP5667582B2 (ja) 播種機
KR101796901B1 (ko) 육묘상자 적층이송장치
KR101982027B1 (ko) 파종기용 흙 공급장치
KR102438876B1 (ko) 자동 파종장치
KR101191465B1 (ko) 파종용 씨앗공급장치
KR102540262B1 (ko) 독립 구동이 가능한 자동 파종장치
CN108934328A (zh) 一种小区域育种孔带式排种器
KR101817909B1 (ko) 육묘상자 적층이송장치
KR101902148B1 (ko) 육묘상자 스토퍼를 갖는 육묘상자 적층이송장치
JP6666833B2 (ja) 播種機
CN109349065A (zh) 育苗盘营养基铺设播种系统
KR102540264B1 (ko) 리미트 스위치가 적용된 자동 파종장치
JP5416791B2 (ja) 土供給装置
JPS6225059Y2 (ko)
JP6718572B2 (ja) 播種機
KR200391685Y1 (ko) 파종기용 동력전달장치
KR102427150B1 (ko) 파종용 종자 공급장치
KR200186271Y1 (ko) 마늘 파종기
KR102546612B1 (ko) 파종용 흙 공급장치
JPH088565Y2 (ja) 育苗用播種機
JPS6137208Y2 (ko)
KR200244136Y1 (ko) 볍씨용 파종기
JP2541487Y2 (ja) 播種プラント装置
KR200238001Y1 (ko) 볍씨파종기용 흙이송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