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1647A - 점착 시트 - Google Patents

점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1647A
KR20170141647A KR1020177022529A KR20177022529A KR20170141647A KR 20170141647 A KR20170141647 A KR 20170141647A KR 1020177022529 A KR1020177022529 A KR 1020177022529A KR 20177022529 A KR20177022529 A KR 20177022529A KR 20170141647 A KR20170141647 A KR 20170141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dhesive sheet
substrate
polyurethan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2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4568B1 (ko
Inventor
야스시 츠치야
밍 레이
마사시 니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데라오카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데라오카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데라오카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70141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5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028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2201/128
    • C09J2201/606
    • C09J2201/62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75/00Presence of polyurethane
    • C09J2475/006Presence of polyurethane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기재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점착제층을 가지며, 연신에 의해 박리 가능한 점착 시트로서, 그 기재가, JIS K 7196에 준거하는 연화점이 60℃ 이하인 폴리우레탄 수지를 베이스폴리머로 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에 의한 박리시에 잔류물(점착제)이 남지않고, 또한 시트의 파괴도 없는 점착 시트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점착 시트{ADHESIVE SHEET}
본 발명은, 접착면 내에 있어서 광범위한 연신에 의해 잔류물 또는 파괴 없이 박리 가능한 편면 또는 양측 감압성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스마트 폰, 휴대전화 등의 휴대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전지 팩과 케이스의 고정에 점착 시트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전지 팩을 꺼낼 때는, 점착 시트를 잡아당겨, 그 연신에 의해 박리시킨다. 이러한 용도에 있어서의 점착 시트는, 박리시에 잔류물(점착제)이 남지않으며, 시트의 파괴가 없는 등의 성능이 요구된다.
연신에 의해 박리 가능한 점착 시트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필름을 신장한 경우에 접착제층의 접착성이 소실하는 특정의 접착 필름편(片)이 개시되고, 특허문헌 2에는, 특정의 블록 코폴리머로 구성되는 접착제를 감압 접착제 시트편에 사용하는 것이 개시되고, 특허문헌 3에는,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와 산 변성 및/또는 산무수물 변성된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접착 시트 스트립이 개시되고, 특허문헌 4에는, 특정의 이재층(裏材層)과 감압성 접착제층을 가지는 접착 테이프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연신에 의해 박리 가능한 점착 시트는, 박리시에 잔류물이 남지않고, 게다가 시트의 파괴가 없는 등의 성능에 있어서 더욱더 개선의 여지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보 제 3827247호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특개2004-162065호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특개2003-041217호 특허문헌 4: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특표2012-52891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연신에 의한 박리시에 잔류물(점착제)이 남지않고, 또한 시트의 파괴도 없는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기재의 베이스폴리머로서 특정의 우레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매우 유효한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기재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점착제층을 가지고, 연신에 의해 박리 가능한 점착 시트로서, 그 기재가, JIS K 7196에 준거하는 연화점이 60℃ 이하인 폴리우레탄 수지를 베이스폴리머로 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기재의 베이스폴리머로서 특정의 우레탄 수지를 사용하므로, 적당한 유연성, 신축성, 인장 강도가 발현되고, 그 결과 연신에 의한 박리시에도 기재가 파괴되지 않고, 리워크성이 뛰어난 점착 시트가 된다.
<기재>
본 발명에 사용하는 기재는, 연화점이 60℃ 이하인 폴리우레탄 수지를 베이스폴리머로 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JIS K 7196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 및 시트의 열기계 분석에 의한 연화 온도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한 연화점이 60℃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30℃∼60℃이다. 이와 같이 연화점이 비교적 낮은 폴리우레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기재에 적당한 유연성, 신축성, 인장 강도가 발현되고, 그 결과 연신에 의한 박리시에도 기재가 파괴되지 않고, 리워크성이 뛰어난 점착 시트가 된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Pull 시험, 리워크성 시험을 실시했다. 이들 시험은, 접착한 상태의 점착 시트를 박리할 때에 문제없이 간단하게 박리 가능하게 하는 성능을 평가하는 시험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시험에 있어서 기재가 파괴되지 않고, 점착제의 잔류물도 없다는 성능(리워크성)을 가지는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스마트 폰이나 휴대전화 등의 정보 휴대단말의 전지 팩 등의 부품을 꺼낼 때는, 점착 시트의 일단을 잡아당겨, 그 연신에 의해 박리시킬 필요가 있다. 그때, 점착 시트를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고, 또한 박리 개소(箇所)에 점착제 등의 잔류물이 남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기재의 유연성이나 신축성이 높으면 점착 시트의 한쪽 끝을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접착면 내의 점착제층도 광범위에 걸쳐 연속적으로 균일하게 잡아 늘여져 점착력이 적당히 저하하고, 그 결과로서 잔류물(점착제)도 남지않고, 간단하게 박리가 가능해진다. 다만, 기재의 인장 강도가 낮으면 기재가 파괴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정의 물성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수지를 사용하므로, 그들 각 문제는 발생하기 어려워지는 것이다.
폴리우레탄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10℃이다. 이와 같이 Tg가 비교적 높은 폴리우레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유연성이나 신축성이 높은 기재이어도 강도는 그다지 저하하지 않고, 그 결과 연신에 의한 박리시에도 기재가 파괴되지 않고, 리워크성이 뛰어난 점착 시트가 된다.
폴리우레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바람직하게는 100,000∼3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0∼200,000이다. 이와 같이 Mw가 비교적 높은 폴리우레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유연성이나 신축성이 높은 기재이어도 강도는 그다지 저하하지 않고, 그 결과 연신에 의한 박리시에도 기재가 파괴되지 않고, 리워크성이 뛰어난 점착 시트가 된다.
폴리우레탄 수지는, 통상, 폴리올과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의 중합체이며, 폴리올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지는 소프트 세그먼트와,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나 저분자 글리콜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지는 하드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수지이다.
폴리우레탄 수지에 사용하는 폴리올은, 수산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이다. 폴리올의 수산기수는, 바람직하게는 2∼3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이다. 폴리올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 폴리카프로락톤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피마자유계 폴리올을 사용할 수 있다. 2종 이상의 폴리올을 병용해도 된다.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은, 예를 들면, 폴리올 성분과 산성분과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얻어진다. 폴리올 성분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3-메틸-1,5-펜탄디올,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 2,4-디에틸-1,5-펜탄디올, 1,2-헥산디올, 1,6-헥산디올, 1,8-옥탄디올, 1,9-노난디올, 2-메틸-1,8-옥탄디올, 1,8-데칸디올, 옥타데칸디올,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헥산트리올,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을 들 수 있다. 산성분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숙신산, 메틸숙신산, 아디핀산, 피멜산, 아젤라산, 세박산, 1,12-도데칸 이산, 1,14-테트라데칸 이산, 다이머산, 2-메틸-1,4-시클로헥산디카복실산, 2-에틸-1,4-시클로헥산디카복실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1,4-나프탈렌디카복실산, 4,4'-비페닐디카복실산, 및 이들의 산무수물을 들 수 있다.
폴리에테르폴리올은, 예를 들면, 물, 저분자 폴리올(예를 들면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비스페놀류(예를 들면 비스페놀 A) 또는 디하이드록시벤젠(예를 들면 카테콜, 레졸신, 하이드로퀴논)을 개시제로하여,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부틸렌옥사이드 등의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 중합시켜 얻어진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을 들 수 있다.
폴리카프로락톤폴리올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ε-카프로락톤, σ-발레로락톤 등의 환상 에스테르모노머의 개환 중합체를 들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구체적인 예로서는, 상기 각 폴리올 성분과 포스겐을 중축합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상기 각 폴리올 성분과, 탄산 디메틸, 탄산 디에틸, 탄산 디프로필, 탄산 디이소프로필, 탄산 디부틸, 에틸부틸 탄산, 에틸렌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탄산 디페닐, 탄산 디벤질 등의 탄산 디에스테르류를 에스테르 교환 축합시켜 얻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상기 각 폴리올 성분을 2종 이상 병용하여 얻어지는 공중합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상기 각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과 카복실기 함유 화합물을 에스테르화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상기 각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과 하이드록실기 함유 화합물을 에테르화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상기 각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과 에스테르 화합물을 에스테르 교환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상기 각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과 하이드록실기 함유 화합물을 에스테르 교환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상기 각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과 디카복실산 화합물을 중축합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상기 각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과 알킬렌옥사이드를 공중합시켜 얻어지는 공중합 폴리에테르계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을 들 수 있다.
피마자유계 폴리올은, 예를 들면, 피마자유 지방산과 상기 각 폴리올 성분(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을 반응시켜 얻어진다.
폴리우레탄 수지에 사용하는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다관능 지방족계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다관능 지환족계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다관능 방향족계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화합물의 트리메틸올프로판어덕트체, 물과 반응한 뷰렛체, 이소시아누레이트환을 가지는 3량체도 사용할 수 있다. 2종 이상의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병용해도 된다.
다관능 방향족계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4,4'-톨루이딘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에테르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들 수 있다.
폴리우레탄 수지는, 이상 설명한 폴리올과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경화시켜 얻어진다. 특히, 저결정성의 선상(線狀)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수지가 바람직하고, 헥산디올 코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계 폴리우레탄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 수지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스미카바이엘우레탄사제의 데스모콜(등록상표), 니혼폴리우레탄고교사제의 닙포란(등록상표) 등이 있다. 저결정성은, 구체적으로는 JIS K 6253 「고무 경도 규격」에 준하여, 막 두께 6mm의 수지 시험편을 제작하여 100℃×30분간으로 시험편을 융해시켜 23±2℃, 상대습도 50±5%의 환경하에 방치하고 나서, 수지의 경도가 쇼어(Shore) A 90이 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판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쇼어 A 90이 될 때까지의 시간이 72시간 이상의 수지를 저결정성의 수지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베이스폴리머의 물성 향상의 관점에서, 가교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금속 킬레이트계, 금속 알콕시드계, 에폭시계, 이소시아네이트계, 아지리딘계,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카르보디이미드계, 옥사조린계, 멜라민계의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가 바람직하다.
기재를 구성하기 위한 수지 조성물에는 다른 성분을 첨가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촉매, 다른 수지 성분, 발포제, 점착 부여제, 무기 충전제, 유기 충전제, 금속가루, 안료, 박(箔) 형상물, 연화제, 가소제, 노화 방지제, 방열제, 도전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표면 윤활제, 레벨링제, 부식 방지제, 내열 안정제, 중합 금지제, 활제, 용제를 첨가할 수 있다.
기재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0∼200μm, 보다 바람직하게는 50∼150μm이다.
<점착제층>
점착제층은,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이며, 기재의 편면 또는 양면에 설치된다. 점착제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점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에멀젼계 점착제, 용제계 점착제, 올리고머계 점착제, 고형 점착제, 핫멜트형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은, 특히 감압성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의 종류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천연 고무계 점착제 또는 합성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폴리아미드계 점착제, 에폭시계 점착제, 비닐알킬에테르계 점착제, 불소계 점착제를 들 수 있다. 2종 이상의 점착제를 병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점착제는, 일반적으로, 베이스폴리머인 아크릴계 공중합체[(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을 가교제로 경화시켜 얻어지는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여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점착제에는, 예를 들면, 점착 부여제, 가소제, 충전제, 착색제를 첨가할 수 있다.
점착제층은, 예를 들면, 점착제를 기재 위에 도포하고, 가열 또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가교 반응시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점착제를 이형지 또는 그 밖의 필름 위에 도포하고, 가열 또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가교 반응시켜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이 점착제층을 기재의 편면 또는 양면에 첩합할 수도 있다. 점착제의 도포에는, 예를 들면, 롤코터, 다이코터, 립코터 등의 도포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도포 후에 가열하는 경우는, 가열에 의한 가교 반응과 함께 점착제 조성물 중의 용제도 제거할 수 있다.
<점착 시트>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이상 설명한 기재와, 이 기재의 편면 또는 양면에 설치된 점착제층을 가진다. 점착제층을 기재의 편면에만 설치한 편면 점착 테이프이어도 되지만, 양면에 설치한 양면 점착 테이프가 특히 바람직하다. 점착 시트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30∼400μm, 보다 바람직하게는 50∼300μm이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연신에 의한 박리시에 시트의 파괴가 없는 것이 특징점의 하나이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Pull 시험에 있어서 기재의 파괴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Pull 시험]
폭 10mm, 길이 45mm 사이즈의 점착 시트의 일방의 면에 스텐레스판, 타방의 면에 폴리카보네이트판을 첩착하고, 24시간 후에 JIS Z 0237에 준거하는 90도 박리시험을 실시한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인장 강도나 신장이 뛰어난 것도 특징점의 하나이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인장 시험에 있어서, 인장 강도가 20N/mm2 이상이며, 신장이 5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장 시험]
폭 10mm, 길이 100mm 사이즈의 점착 시트를, 척(chuck) 간격 30mm로 설정한 인장 시험기에 고정하고, 300mm/분의 속도로 인장하여, 파단시의 인장 강도(N/mm2)와 신장(%)을 측정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 「부」는 「질량부」를 의미한다.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조제>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기 및 질소 가스 도입관을 구비한 반응 장치에,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70부, n-부틸아크릴레이트 4.9부, 아크릴산 10부,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0.1부 아세트산비닐 2부, 아세트산에틸 100부, 연쇄 이동제로서 n-도데칸티올 0.1부 및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 라우릴퍼옥사이드 0.1부를 넣었다. 반응 장치 내에 질소 가스를 봉입하고, 교반하면서 질소 가스 기류하에 68℃에서 3시간, 이어서 78℃에서 3시간 중합 반응시켰다.
그 후, 실온까지 냉각해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했다. 이에 의해, 고형분 농도 30%, 이론 Tg-62.3℃, 중량 평균 분자량 110만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얻었다. 이어서, 이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부에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니혼폴리우레탄고교사제, 콜로네이트(등록상표) L) 0.07부 및 적량의 유기용제를 첨가하고, 교반기로 균일하게 될 때까지 교반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조제>
저결정성의 선상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수지 용액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니혼폴리우레탄사제, 상품명 콜로네이트 L)를 첨가하고, 교반기로 균일 분산이 될 때까지 교반하여,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폴리우레탄 수지의 종류 및 양(부), 가교제의 양(부)은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
상기의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양면에 실리콘 이형제를 형성한 박리지의 편면에 도포하고, 50℃ 2분간+100℃ 2분간으로 건조하고 용매를 제거하여 수지 기재(두께 70μm)를 얻었다.
양면 실리콘 이형 처리한 박리지에, 상기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건조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했다. 그리고 이 점착제층을 기재에 첩합했다. 또한, 반대면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제층을 첩합했다. 그 후, 40℃에서 3일간 숙성하고, 점착제층의 경화 반응을 완결시켜, 두께 약 100μm의 양면 점착 시트(각 점착제층의 두께 약 15μm)를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은 각 점착 시트에 대하여, 물성이나 성능 평가는 이하의 방법에 따라 실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폴리우레탄 수지의 연화점]
JIS K 7196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 및 시트의 열기계 분석에 의한 연화 온도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폴리우레탄 수지의 연화점을 측정했다.
[폴리우레탄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Tg)]
동적 점탄성 측정을 위해 점탄성 시험기를 사용하여, 두께 0.2mm의 선상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수지를 시험기의 측정부의 평행반 사이에 끼워넣고, 주파수 1Hz로 -100℃에서 200℃까지의 저장 탄성률(G')과 손실 탄성률(G'')을 측정했다. 또한 Tanδ로부터 유리 전이 온도(Tg)를 구했다.
[폴리우레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Mw)]
GPC법에 의해,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분자량을 이하의 측정 장치 및 조건에서 중량 평균 분자량(Mw)을 측정했다.
·장치: LC-2000 시리즈(니혼분코가부시키가이샤제)
·컬럼: Shodex KF-806M×2개, Shodex KF-802×1개
·용리액: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
·유속: 1.0mL/분
·컬럼 온도: 40℃
·주입량: 100μL
·검출기: 굴절률계(RI)
·측정 샘플: 선상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수지를 THF에 용해시켜, 선상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수지 농도가 0.5중량%의 용액을 제작하고, 필터에 의한 여과로 티끌을 제거한 것.
[Pull 시험]
폭 10mm, 길이 45mm 사이즈의 점착 시트의 일방의 면에 스텐레스판, 타방의 면에 폴리카보네이트판을 첩착하고, 24시간 후에 JIS Z 0237에 준거하는 90도 박리시험을 실시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 기재는 파괴되지 않고, 점착제의 잔류물도 없었다.
「×」: 기재가 파괴됐다.
[세폭 가공성]
양면 점착 시트를 폭 5mm, 길이 125mm 사이즈로 10개로 세단한 상태를 유지한 채로(즉 세단한 각각의 점착 시트가 세단시의 인접한 상태를 유지한 채로), 65℃, 80%RH의 분위기하에 1일 방치했다. 그리고 1개 마다 180도 방향으로 이형지마다 박리하여, 인접한 부분과의 유착을 목시(目視)로 확인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세폭 가공성을 평가했다.
「○」: 인접한 부분과의 유착이 거의 없고, 인접 부분을 벗기는 일 없이 박리할 수 있었다.
「×」: 인접한 부분에 현저한 유착이 있고, 인접 부분이 동시에 벗겨져 버렸다.
[리워크성]
양면 점착 시트를 스텐레스판에 첩착하고, 30분 후에 90도 박리시험을 실시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 기재는 파괴되지 않고, 점착제의 잔류물도 없었다.
「×」: 기재가 파괴됐다.
[내하중성]
양면 점착 시트를 25×25mm 사이즈로 재단하고, 일방의 이형지를 박리했다. 시험용 후크(hook)판에 양면 점착 시트를 첩합하고, 이어서 다른 일방의 이형지를 박리하여, 폴리카보네이트판에 첩합했다. 그리고 후크에 700gf의 하중을 걸어, 85℃에서 60분간 유지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내하중성을 평가했다.
「○」: 60분간 후크가 낙하하지 않았다.
「×」: 60분 이내에 후크가 낙하했다.
[내충격성]
양면 점착 시트를 폭 0.8mm이고 50×45mm의 틀 모양으로 재단하고, 일방의 이형지를 박리하여 2mm 두께의 유리판에 첩합하고, 다른 일방의 박리지를 박리하여 3mm 두께의 폴리카보네이트판에 첩합했다. 그리고 오토클레이브를 사용하여, 23℃, 0.5MPa로 1시간 가압 처리를 실시했다. 또한 SUS판을 사용하여 전체의 무게를 250g이 되도록 조정하고, -20℃의 환경하에 1시간 이상 두었다. 그리고, 1.5m의 높이에서 시험판이 수직 방향이 되도록 통 안을 통과하면서 콘크리트 마루로 떨어뜨려, 유리판이 벗겨지는 낙하 회수를 측정했다.
[방수성]
양면 점착 시트를 폭 0.8mm이고 40×50mm의 틀 모양으로 재단하고, 일방의 이형지를 박리하여 2mm 두께의 유리판에 첩합하고, 다른 일방의 이형지를 박리하여 2mm 두께의 유리판을 첩합했다. 그리고 이 샘플에 대해, 2kg의 롤러를 1 왕복했다. 그 후, 방수 규격 IEC 「국제 전기표준회의」 60529:2001〔동등 규격: JIS C 0920:2003 「전기 기계 기구의 외곽에 의한 보호 특급(IP 코드)」〕의 IPX7의 시험 방법에 근거하여 수몰시켜, IPX7 규격의 방수성을 만족하는가 여부를 평가했다(표 1 중에 「IPX7」라고 기재되는 것은 규격을 만족하는 것이다).
[인장 강도·신장]
양면 점착 시트를 폭 10mm, 길이 100mm로 잘라, 척 간격을 30mm로 설정한 인장 시험기에 고정하고, 300mm/분의 속도로 인장하여, 파단시의 인장 강도(N/mm2)와 신장(%)을 측정했다.
Figure pct00001
표 1 중의 약호는 이하의 화합물을 나타낸다.
[UE1]: 저결정성의 선상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엘라스토머(스미카바이엘우레탄사제, 데스모콜(등록상표) 406)
[UE2]: 저결정성의 선상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엘라스토머(니혼폴리우레탄고교사제, 닙포란(등록상표) 2304)
[UE3]: 저결정성의 선상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엘라스토머(산요카세고교사제, 산프렌(등록상표) IB-1700D)
[UE4]: 저결정성의 선상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엘라스토머(산요카세고교사제, 산프렌(등록상표) LQ-390)
「CR」: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니혼폴리우레탄사제, 상품명 콜로네이트L)
<평가>
표 1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의 점착 시트는 각 특성이 뛰어났다. 한편, 비교예 1 및 2의 점착 시트는, Pull 시험에서는 기재가 파괴되고, 리워크성 및/또는 인장 강도가 뒤떨어졌다.
산업상의 사용 가능성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뛰어난 리워크성을 가지므로, 부품 교환 작업이 용 이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예를 들면 스마트 폰, 휴대전화, 전자 수첩, PHS, 타블렛 PC, 디지털 카메라, 음악 플레이어, 휴대형 TV, 노트북 컴퓨터, 게임기 등의 휴대 정보 단말 기기를 구성하는 부재의 접착 또는 고정 용도에 있어서 유용하다. 그 중에서도, 스마트 폰이나 휴대전화 등 기기의 전지 팩과 케이스 고정에 사용하는 점착 시트로서 매우 유용하다.

Claims (9)

  1. 기재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점착제층을 가지고, 연신에 의해 박리 가능한 점착 시트로서, 그 기재가, JIS K 7196에 준거하는 연화점이 60℃ 이하인 폴리우레탄 수지를 베이스폴리머로 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수지가, 저결정성의 선상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수지인 점착 시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기재의 양면에 점착제층을 가지는 점착 시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이하의 Pull 시험에 있어서 기재의 파괴가 없는 점착 시트.
    [Pull 시험]
    폭 10mm, 길이 45mm 사이즈의 점착 시트의 일방의 면에 스텐레스판, 타방의 면에 폴리카보네이트판을 첩착하고, 24시간 후에 JIS Z 0237에 준거하는 90도 박리시험을 실시한다.
  5. 청구항 1에 있어서,
    기재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30℃ 이상인 점착 시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300,000인 점착 시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점착제층이 감압성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
  8. 청구항 1에 있어서,
    기재의 두께가 20∼200μm이고, 점착 시트의 두께가 30∼400μm인 점착 시트.
  9. 청구항 1에 있어서,
    이하의 인장 시험에 있어서, 인장 강도가 20N/mm2 이상이며, 신장이 500% 이상인 점착 시트.
    [인장 시험]
    폭 10mm, 길이 100mm 사이즈의 점착 시트를, 척 간격 30mm로 설정한 인장 시험기에 고정하고, 300mm/분의 속도로 인장하여, 파단시의 인장 강도(N/mm2)와 신장(%)을 측정한다.
KR1020177022529A 2015-04-21 2015-04-21 점착 시트 KR1019945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62059 WO2016170593A1 (ja) 2015-04-21 2015-04-21 粘着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647A true KR20170141647A (ko) 2017-12-26
KR101994568B1 KR101994568B1 (ko) 2019-06-28

Family

ID=57142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2529A KR101994568B1 (ko) 2015-04-21 2015-04-21 점착 시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14942B2 (ko)
KR (1) KR101994568B1 (ko)
CN (1) CN108307640B (ko)
WO (1) WO201617059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2868A (ko) * 2020-08-19 2022-02-28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폴리우레탄 캐리어를 갖는 접착 테이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1217A (ja) 2001-05-12 2003-02-13 Tesa Ag 接着シートストリップ
JP2004162065A (ja) 2002-11-08 2004-06-10 Tesa Ag 実質的に接着面における広範な延伸により残渣を残さず、かつ非破壊的に再度引き剥し可能である接着剤、及び少なくとも1層のpsaシート片へのその使用
JP3827247B2 (ja) 1994-09-08 2006-09-27 テサ・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接着フイルム片
JP2010189579A (ja) * 2009-02-19 2010-09-02 Kuramoto Sangyo:Kk フィルム基材および接着シート
JP2012212117A (ja) * 2011-03-18 2012-11-01 Ricoh Co Ltd 現像ローラ
JP2012528919A (ja) 2009-06-04 2012-11-15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引き伸ばし剥離可能な感圧接着剤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554B2 (ja) * 1986-01-29 1995-02-01 東洋化学株式会社 皮膚装着用極薄感圧粘着テープ
DE4002727A1 (de) * 1990-01-31 1991-08-01 Bayer Ag Mischungen aus waessrigen polymerdispersionen
JP4519409B2 (ja) * 2003-02-24 2010-08-04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5150436B2 (ja) * 2008-09-26 2013-02-20 株式会社寺岡製作所 耐熱性粘着テープ
JP5527885B2 (ja) * 2010-02-02 2014-06-25 日東電工株式会社 医療用粘着テープ
JP2011252095A (ja) * 2010-06-02 2011-12-15 Nitto Denko Corp 両面粘着テープ
CN102477264B (zh) * 2010-11-26 2016-09-07 3M创新有限公司 双面粘合胶带
TWI468485B (zh) * 2012-05-21 2015-01-11 Dainippon Ink & Chemicals 黏膠帶
WO2014156816A1 (ja) * 2013-03-29 2014-10-02 Dic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
WO2016075753A1 (ja) * 2014-11-11 2016-05-19 株式会社寺岡製作所 発泡樹脂基材を有する粘着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7247B2 (ja) 1994-09-08 2006-09-27 テサ・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接着フイルム片
JP2003041217A (ja) 2001-05-12 2003-02-13 Tesa Ag 接着シートストリップ
JP2004162065A (ja) 2002-11-08 2004-06-10 Tesa Ag 実質的に接着面における広範な延伸により残渣を残さず、かつ非破壊的に再度引き剥し可能である接着剤、及び少なくとも1層のpsaシート片へのその使用
JP2010189579A (ja) * 2009-02-19 2010-09-02 Kuramoto Sangyo:Kk フィルム基材および接着シート
JP2012528919A (ja) 2009-06-04 2012-11-15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引き伸ばし剥離可能な感圧接着剤
JP2012212117A (ja) * 2011-03-18 2012-11-01 Ricoh Co Ltd 現像ロー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2868A (ko) * 2020-08-19 2022-02-28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폴리우레탄 캐리어를 갖는 접착 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6170593A1 (ja) 2017-11-24
KR101994568B1 (ko) 2019-06-28
WO2016170593A1 (ja) 2016-10-27
CN108307640B (zh) 2021-10-26
JP6414942B2 (ja) 2018-10-31
CN108307640A (zh) 2018-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5078B1 (ko) 점착 시트
CN108307635B (zh) 工件加工用胶粘带
CN107109148B (zh) 具有发泡树脂基材的粘着带及其制造方法
JP6014926B2 (ja) 粘着剤および粘着テープ
CN108285748A (zh) 粘合片
JP5737763B2 (ja) 粘着シート
JP6070633B2 (ja) 再剥離型ウレタン粘着剤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て得られる再剥離可能な粘着フィルム及び光学部品の表面保護用フィルム
CN102101986B (zh) 压敏粘合片
JP5399625B2 (ja) 複合フィルム
WO2006035828A1 (ja) ウレタン樹脂の製造方法および粘着剤
KR102218939B1 (ko)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WO2009139243A1 (ja) 塗膜保護用粘着シート
KR20150039714A (ko) 점착제
KR20170108014A (ko) 반도체 가공용 점착 시트
KR20140016836A (ko) 표면 보호 필름, 광학 부재 및 전자 부재
KR101813846B1 (ko) 우레탄 점착제, 그 제조방법, 점착 시트, 및 디스플레이
TW201323569A (zh) 黏著劑組合物及黏著帶
JP2016108363A (ja) 表面保護用粘着シート
KR20140016835A (ko) 표면 보호 필름, 광학 부재 및 전자 부재
TW201922992A (zh) 黏著帶
JP2013075999A (ja) 両面粘着シート
JP6010721B1 (ja) 粘着テープ
KR20190053135A (ko) 반도체 가공용 점착 시트
JP2016138237A (ja) 粘着剤用ポリオール組成物、粘着剤用キットおよび積層体
TW201319195A (zh) 黏著劑組合物之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