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8180A - 다층 쿳션 매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층 쿳션 매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8180A
KR20170138180A KR1020160070252A KR20160070252A KR20170138180A KR 20170138180 A KR20170138180 A KR 20170138180A KR 1020160070252 A KR1020160070252 A KR 1020160070252A KR 20160070252 A KR20160070252 A KR 20160070252A KR 20170138180 A KR20170138180 A KR 20170138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sheet
mat
cushion mat
transfer
sheet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0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5259B1 (ko
Inventor
김성호
김지희
양재호
Original Assignee
진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진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0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259B1/ko
Publication of KR20170138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8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a sequence of laminating steps, e.g. by adding new layers at consecutive laminat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4Cutting, tearing or severing, e.g. bursting; Cutt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36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6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B32B38/145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2038/0052Other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32B2038/0084Foam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쿳션 매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중량감소로 인해 가벼워져서 노약자 및 주부들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고, 실내 바닥에 설치할 경우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층간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접을 수 있어서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야외 사용시 섬유층으로 인해 쉽게 훼손되거나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PU폼시트재(Poly Urethane Foam)와 PVC발포시트재(Polyvinyl Chloride)를 단일체의 합지부재로 만들기 위해 합지하는 합지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합진된 합지부재를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중에 전사부를 통하여 전사하는 전사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합지부재의 일면에 그림이 전사된 면을 보호하기 위해 보호필름을 열융착하는 열융착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일면에 보호필름이 융착된 합지부재의 일면에 엠보를 형성하는 엠보형성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일면에 엠보가 형성된 합지부재를 한 쌍의 합포용로울러와 한 쌍의 합포용로울러 하부 중앙에 설치된 점화부를 갖는 합포부를 통하여 서로 가열하면서 합포하는 합포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합포된 합포부재를 재단기를 통하여 재단하는 재단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재단된 합포부재의 테두리를 고주파융착기를 통하여 융착하는 고주파 융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다층 쿳션 매트 및 그 제조방법{MULTI-LAYER CUSHION MA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층 쿳션 매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세는 폴리우레탄(PU:polyurethane)폼층 및 섬유층을 포함하고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접힘부가 형성되게 제조함으로써, 가벼워 노약자 및 주부들도 손쉽게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층간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접을 수 있어서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섬유층으로 인해 내구성이 향상된 다층 쿳션 매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트는 가정의 거실이나 공원과 같은 야외 바닥에 깔아 앉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매트의 재질로는, 폴리에틸렌 폼(PE : 무가교, 가교), 폴리염화비닐 폼(PVC) 또는 이들을 적절히 합지하여 매트를 생산하고 있다.
상기 매트의 재질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PE)은 반투명한 열가소성 재료로 표면층은 흔히 투명한 얇은 필름 막으로 가공되는데, 두꺼운 폼 단면은 반투명의 발포 스펀지 같은 모양이다.
하지만, 착색제를 쓰면 다양한 색의 제품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용이 저렴하고, 실온에서 뛰어난 인성, 저온에서도 충분한 강도, 유연성, 부식저항 및 뛰어난 절연성, 무취, 무미, 낮은 물-증기 투과성 등 여러 가지로 공업적인 면에서 중요한 성질을 갖는다.
한편, 폴리염화비닐(PVC : polyvinyl chloride)은 두 번째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합성 플라스틱으로, 폴리염화비닐의 용도는 주로 높은 화학적 저항과 첨가제를 혼합하여 다양한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갖는 화합물을 만드는 독특한 능력에 기인한다.
이러한 폴리염화비닐은 가공이 어렵고 충격강도가 낮아 고무수지를 첨가함으로써, 가공 중 융체의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폴리염화비닐에 첨가되는 고무재료는 재료의 충격저항을 증가시켜 충격에너지를 흡수 분산하므로 유아들이 다치는 현상을 완화시키는 특징을 갖는다.
그러나 기존의 폴리에틸렌으로만 제작된 매트는 값이 싼 장점이 있으나, 표면에 인쇄필름이 직, 간접적으로 열 융착되므로 장기간 사용 시 열화되어 필름이 벗겨지게 되는 문제와, 소재가 가볍기 때문에 매트가 바닥에 안정하게 밀착되지 못하고 잘 밀리며, 약한 바람에도 매트가 잘 날아가기 때문에 사용하는데 불편함과, 매트에 있어서 쿠션과 촉감은 제품의 질을 판단하는 기준인 만큼 중요한 요소인데, 복원력이 약하여 쿠션과 촉감이 좋지 않기 때문에 유아가 넘어질 경우 충격을 흡수하는데 한계가 있어 부상의 위험이 있다라고 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풀리염화비닐은 폴리에틸렌이 갖는 문제점을 어느 정도 해소하지만, 소재가 워낙 무거워 주부들이 매트를 운반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고, 소재가 비싸 생산원가의 상승요인으로 작용되며, 환경호르몬을 방출하는 프탈레이트라는 가소재를 이용하여 폴리염화비닐을 생산하기 때문에 유아의 인체에 유해하다라고 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으로 인해 근래에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폴리염화비닐의 상면에 폴리에틸렌을 합지하여 매트를 제조하고 있으나, 이 또한 폴리염화비닐(PVC)이 프탈레이트라는 가소재를 이용하여 생산되기 때문에 유아의 인체에 유해하고, 매트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된 상부매트의 상면에 전사된 그림 또는 무늬가 필름의 박리현상으로 벗겨지고 전사된 인쇄층은 백화현상으로 인쇄층이 고형화되어 인체에 묻어나는 현상이 발생되어 이를 방지할 목적으로 인쇄층의 표면에 별도의 피막을 형성하거나, 수용코팅공정을 실시하여야만 되므로 생산원가의 상승되는 단점이 있으며, 폴리염화비닐 폼의 두께를 18mm 이상으로 생산하기 어렵고 실제 생산되더라도 제품이 상당히 무거워 운반의 어려움이 있다라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특허출원번호 10-2015-0006769호에 유아용 매트의 제조방법이 출원된 바 있다.
살펴보면 종래의 일반적인 유아용 매트의 제조방법은, 실리콘 로울러와 냉각로울러 사이에 폴리우레탄원단 및 전사필름을 상호 이격된 상태로 각각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폴리우레탄원단 및 전사필름의 사이로 용융된 써멀 폴리우레탄(TPU)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폴리우레탄원단 및 전사필름의 사이로 공급된 써멀 폴리우레탄이 냉각로울러에 의해 냉각되어 써멀 폴리우레탄 스킨층이 형성되는 단계에서 전사필름의 그림 또는 무늬를 써멀폴리우레탄 스킨층에 전사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일반적인 유아용 매트의 제조방법에 의해 유아용 매트가 제조될 경우, 접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지 않아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유아용 매트의 제조방법에 의해 유아용 매트가 제조되어 야외에서 사용할 경우 나무 뿌리나 돌 등에 의해 제품이 쉽게 훼손되거나 찢어져 내구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특허출원번호 10-2015-0006769호, 출원일; 2015년01월14일 발명의 명칭; 유아용 매트의 제조방법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폴리우레탄(PU:polyurethane)폼층 및 섬유층을 포함하고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접힘부를 형성하여 제조함으로써, 중량감소로 인해 가벼워져서 노약자 및 주부들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고, 실내 바닥에 설치할 경우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층간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접을 수 있어서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야외 사용시 섬유층으로 인해 쉽게 훼손되거나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다층 쿳션 매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층 쿳션 매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발포기를 통하여 발포 제조된 PU폼시트재(Poly Urethane Foam)와 PVC발포시트재(Polyvinyl Chloride)의 각 일면을 서로 접착시키도록 접착제공급부를 갖는 합지부를 통하여 단일체의 합지부재로 만들기 위해 합지하는 합지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합지된 합지부재를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중에 일면에 전사필름에 도안화된 그림을 전사시키기 위해 전사필름공급부를 갖는 전사부를 통하여 전사하는 전사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합지부재의 일면에 그림이 전사된 면을 보호하기 위해 보호필름공급부를 갖는 융착부를 통하여 보호필름을 열융착하는 열융착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일면에 보호필름이 융착된 합지부재의 일면에 엠보형성부를 통하여 엠보를 형성하는 엠보형성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일면에 엠보가 형성된 합지부재를 한 쌍의 합포용로울러와 한 쌍의 합포용로울러 하부 중앙에 설치된 점화부를 갖는 합포부를 통하여 합지부재를 서로 가열하면서 합포하는 합포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합포된 합포부재를 재단기를 통하여 소망의 크기로 재단하는 재단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재단된 합포부재의 테두리를 고주파융착기를 통하여 융착하는 고주파 융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은 다층 쿳션 매트에 있어서, 서로 일면이 열융착되어 부착되는 것에 의해 충격을 흡수 및 충격흡수에 따른 신속한 복원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2PU폼시트층과, 상기 제1,2PU폼층의 각 타면에 접착제를 매개로 일면이 각각 부착되어 소음 차단 및 충격을 각각 흡수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2PVC발포시트층과, 상기 제1,2PVC발포시트층의 각 타면에 전사필름을 전사시키는 것에 의해 도안이 각각 전사되어 구비되는 제1,2전사인쇄층과, 상기 제1,2전사인쇄층의 각 표면에 열융착되어 전사된 도안을 각각 보호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2표면보호필름층을 포함한 판 형상의 다층 쿳션 매트로 구성되되, 상기 다층 쿳션 매트의 판상에는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매트를 접힘시켜 보관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형성된 횡방향접힘부 및 종방향접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쿳션 매트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폴리우레탄(PU:polyurethane)폼층 및 섬유층을 포함하고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접힘부를 형성하여 제조함으로써, 중량감소로 인해 가벼워져서 노약자 및 주부들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고, 실내 바닥에 설치할 경우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층간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접을 수 있어서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야외 사용시 섬유층으로 인해 쉽게 훼손되거나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쿳션 매트 및 그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쿳션 매트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쿳션 매트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의 엠보형성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쿳션 매트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의 합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쿳션 매트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의 재단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쿳션 매트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의 고주파융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또 다른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쿳션 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쿳션 매트 및 그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쿳션 매트의 제조방법은 PVC발포시트재에 폴리우레탄폼시트재를 덧대어 매트를 제조함과 아울러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접힘부를 형성하여 제조함으로써, 폴리우레탄폼시트재로 인해 쿳션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가벼워 노약자 및 주부들도 손쉽게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며, 접을 수 있어서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쿳션 매트의 제조방법은, 발포기를 통하여 발포 제조된 PU폼시트재(Poly Urethane Foam)와 PVC발포시트재(Polyvinyl Chloride)의 각 일면을 서로 접착시키도록 접착제공급부를 갖는 합지부를 통하여 단일체의 합지부재로 만들기 위해 합지하는 합지단계(S110)와, 상기 단계(S110)에 의해 합지된 합지부재를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중에 일면에 전사필름에 도안화된 그림을 전사시키기 위해 전사필름공급부를 갖는 전사부를 통하여 전사하는 전사단계(S120)와, 상기 단계(S120)에 의해 합지부재의 일면에 그림이 전사된 면을 보호하기 위해 보호필름공급부를 갖는 융착부를 통하여 보호필름을 열융착하는 열융착단계(S130)와, 상기 단계(S130)에 의해 일면에 보호필름이 융착된 합지부재의 일면에 엠보형성부를 통하여 엠보를 형성하는 엠보형성단계(S140)와, 상기 단계(S140)에 의해 일면에 엠보가 형성된 합지부재를 한 쌍의 합포용로울러와 한 쌍의 합포용로울러 하부 중앙에 설치된 점화부를 갖는 합포부를 통하여 합지부재를 서로 가열하면서 합포되는 합포단계(S150)와, 상기 단계(S150)에 의해 합포된 합포부재를 재단기를 통하여 소망의 크기로 재단하는 재단단계(S160)와, 상기 단계(S160)에 의해 재단된 합포부재의 테두리를 고주파융착기를 통하여 융착하는 고주파 융착단계(S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합지단계(S110) 전에 매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발포기를 통하여 발포 제조된 PU폼시트재(Poly Urethane Foam)과 열융착부를 통하여 폴리에스테르로 제조된 섬유부재를 융착시키는 섬유부재열융착단계(S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합지단계(S110) 후 전사필름에 도안화된 그림을 전사시키기 전에 합지부재를 매트 제조장치(10)의 인출부(11)에 권취시켜 인출하는 중에 가열부(12)를 통하여 전사가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열하는 가열단계(S115)를 더 포함되며, 상기 고주파 융착단계(S170)에서 테두리 융착시 합포부재를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접힘시킬 수 있도록 접힘부가 형성되게 고주파융착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쿳션 매트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쿳션 매트의 제조방법의 합지단계(S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VC발포시트재에 가볍고 쿳션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PU폼시트재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시켜 단일체의 합지부재를 만들기 위해 합지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한 합지단계는 발포기를 통하여 발포 제조된 것에 의해 가벼우면서도 충격흡수가 우수한 PU폼시트재(Poly Urethane Foam)와 PVC발포시트재(Polyvinyl Chloride)를 합지부(미도시함)의 권취롤에 각각 권취시킨 후, 상기 합지부가 구동하는 것에 의해 인출되는 PVC발포시트재의 일면에 접착제공급부로부터 접착제가 공급되고 합지용로울러(미도시함)를 통과하는 것에 의해 합지부재로 만들기 위해 상기 PU폼시트재(Poly Urethane Foam)와 PVC발포시트재(Polyvinyl Chloride)를 합지하는 단계이다.
한편, 상기한 합지단계(S110)에서 접착제를 PVC발포시트재의 일면에 공급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PU폼시트재 또는 PVC발포시트재와 PU폼시트재 각 일면에 접착제를 공급하여 서로 합지시킬 수도 있다.
상기한 가열단계(S11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 제조장치(10)의 인출부된 설치된 합지부재가 인출되는 중에 인출부(11)의 일측에 설치된 다수의 히팅로울러를 갖는 가열부(12)로 가열시켜 공급하는 것에 의해 합지부재의 PVC발포시트재 타면에 전사단계에서 전사필름에 도안화된 그림이 전사가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열하는 단계이다.
상기한 전사단계(S1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단계(S115)에 의해 합지부재가 가열되어 이송되면, 합지부재의 PVC발포시트재 타면에 전사필름공급부를 갖는 전사부(13)를 통하여 전사필름에 그려진 그림을 전사시키기 위한 단계이다.
즉, 상기한 전사단계(S120)는 가열단계(S115)에 의해 가열되어 이송되는 합지부재의 PVC발포시트재 타면에 전사부(13)의 전사필름공급부로부터 전사필름이 공급되면서 가열부의 일측에 설치된 전사용히팅로울러를 통과하는 것에 의해 합지부재의 PVC발포시트재 타면에 전사필름에 그려진 그림을 전사시키기 위한 단계이다.
이때, 전사완료된 전사베이스필름은 회수부를 통하여 회수된다.
상기한 열융착단계(S1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사단계(S120)에 의해 합지부재의 PVC발포시트재 타면에 전사된 그림을 보호하도록 가열부 일측에 설치된 융착부(14)의 보호필름공급로부터 공급된 투명의 보호필름이 융착용히팅로울러를 통과하는 것에 의해 PVC발포시트재 타면에 보호필름이 융착되는 단계이다.
상기한 엠보 형성단계(S14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융착단계(S130)에 의해 보호필름이 융착되어 이송중인 합지부재의 PVC발포시트재를 융착부 일측에 설치된 엠보형성부(15)의 엠보용히팅로울러를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PVC발포시트재 타면에 엠보를 형성하기 위한 단계이다.
상기한 합포단계(S15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엠보 형성단계(S140)에 의해 PVC발포시트재 타면에 엠보가 형성된 합지부재를 합포부(16)를 이용하여 서로 합포시켜 합포부재로 만들기 위한 단계이다.
즉, 상기한 합포단계(S150)는 서로 이격 설치된 합포용권취로울러(161)와, 상기 합포용권취로울러(161)의 하부 중앙부분에 공압실린더(162)에 의해 상하 높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점화가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불꽃이 발생가능하게 구비되는 점화부(163)와, 상기 점화부(163)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 합포용권취로울러 사이에 서로 대하여 이격 설치되어 합포부재를 가압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합포용히팅로울러(163)로 구성된 합포부(16)의 합포용권취로울러에 엠보 형성단계(S140)에 의해 PVC발포시트재 타면에 엠보가 형성된 합지부재를 각각 설치한 후, 합포용히팅로울러를 통하여 하부에 상부로 통과하는 중에 PU폼시트재 각 타면이 점화부의 불꽃에 의해 가열되고 그로 인해 합포용히팅로울러를 통하여 PU폼시트재가 열융착되어 합포가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상기한 재단단계(S16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합포단계(S150)에 의해 양면에 그림이 전사되고 엠보가 형성되며, 보호필름이 열융착된 합포부재를 재단기(17)를 이용하여 소망의 크기로 재단하는 단계이다.
상기한 고주파 융착단계(S170)는 상기 재단단계(S160)에 의해 소망의 크기로 재단된 합포부재를 매트로 제조가능하도록 고주파융착기(18)를 통하여 테두리부를 마감처리하면서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접힘부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한 고주파 융착단계(S170)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단단계(S160)에 의해 소망의 크기로 재단된 합포부재를 고주파융착기(18)의 고정대 상면에 올려 놓고 고주파융착기가 작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저면에 마감용고주파융착날과 상기 마감용고주파융착날 내부에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접힘용고주파융착날을 갖는 이동부가 하강하는 것에 의해 고정대 상면에 올려진 합포된 합포부재의 테두리는 마감용고주파융착날에 의해 융착되어 마감되고 아울러 접힘용고주파융착날에 의해 횡방향으로 하나의 횡방향접힘부와 3개의 종방향접힘부가 형성되도록 접힘부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한 종방형접힘부는 매트를 횡방향접힘부를 통하여 횡방향으로 접힘시킨 후 종방향으로 접힘시키게 되므로 종방향접힘부의 폭은 횡방향접힘부보다 더 넓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또 다른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쿳션 매트(200)는, 첨부된 도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일면이 열융착되어 부착되는 것에 의해 충격을 흡수 및 충격흡수에 따른 신속한 복원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2PU폼시트층(210,210')과, 상기 제1,2PU폼층(210,210')의 각 타면에 접착제를 매개로 일면이 각각 부착되어 소음 차단 및 충격을 각각 흡수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2PVC발포시트층(230,230')과, 상기 제1,2PVC발포시트층의 각 타면에 전사필름을 전사시키는 것에 의해 도안이 각각 전사되어 구비되는 제1,2전사인쇄층(250,250')과, 상기 제1,2전사인쇄층의 각 표면에 열융착되어 전사된 도안을 각각 보호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2표면보호필름층(270,270')을 포함한 판 형상의 다층 쿳션 매트로 구성되되, 상기 다층 쿳션 매트의 판상에는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매트를 접힘시켜 보관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형성된 횡방향접힘부(290) 및 종방향접힘부(20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PU폼시트층(210)과 제1PVC발포시트층(230) 그리고 제2PU폼층(210')과 제2PVC발포시트층(230') 사이에는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폴리에스테르로 제조된 제1,2섬유부재시트층(215,215')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다층 쿳션 매트(200)의 양 표면에는 바닥면에 설치시 미끌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엠보싱부(295)가 더 형성되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쿳션 매트를 제조하고자 할 경우,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발포된 PVC발포시트재와 PU폼시트재를 합지부의 접착제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접착제를 매개로 각 일면이 서로 접착되는 것에 의해 합지부재를 만든다.
상기와 같이 합지부재가 만들어지면 연속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권취시킨 후 매트 제조장치(10)의 인출부(11)의 설치한다.
상기 합지부재를 인출부(11)에 설치한 후, 매트 제조장치(10)를 구동시키게 되면 인출부로부터 합지부재가 인출되면 상기 인출부(11)의 일측에 설치된 가열부(12)를 통과하면서 가열되면서 상기 가열부(12) 일측에 설치된 전사부측으로 이송된다.
상기와 같이 전사부(13)측으로 합지부재가 가열되어 이송되는 것고 동시에 가열부(12)의 일측에 설치된 전사부(13)의 전사필름공급부로부터 전사필름이 공급되면서 전사용히팅로울러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합지부재와 전사필름이 전사용히팅로울러를 통과하는 것에 의해 PVC발포시트재 타면에는 그림이 전사되면서 전사부 일측에 설치된 융착부(14)측으로 이송된다.
상기 일면에 그림이 전사된 합지부재가 융착부(14)로 이송되는 것에 의해 동시에 보호필름공급로부터 투명의 보호필름이 공급되면서 융착용히팅로울러를 통과하게 되고 그로 인해 합지부재의 전사면에 보호필름이 융착되면서, 상기 융착부(14)의 일측에 설치된 엠보형성부(15)측으로 이송된다.
상기 엠보형성부(15)측으로 상기 전사면에 보호필름이 융착된 합지부재가 이송되어 엠보용히팅로울러를 통과하는 것에 의해 PVC발포시트재 타면 즉, 보호필름이 융착된 면에 엠보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보호필름이 융착된 면에 엠보가 형성되면 합지부재를 합포부(16)의 합포용권취로울러(161)에 각각 권취시킨 후, 점화부(163)에 점화시키며, 상기 합포용권취로울러(161)로부터 합지부재의 각 일단을 한 쌍의 합포용히팅로울러(163)를 통하여 하부에 상부측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합지부재가 한 쌍의 합포용히팅로울러(163)의 하부에 상부측으로 이송되기 전에 PU폼시트재 각각의 저면이 용융되면서 한 쌍의 합포용히팅로울러(163)를 통과하는 것에 의해 합포부재로 만들어진다.
상기와 같이 합포부재로 만들어지면, 재단기(17)를 이용하여 재단한다.
이와 같이 합포부재가 재단기(17)에 의해 재단되면, 고주파융착기(18)의 고정대 상면에 올려 놓고, 상기 고주파융착기(18)의 작동에 대응되게 이동부가 하강하게 되고 그로 인해, 마감용고주파융착날에 의해 테두리가 융착 마감처리되고, 아울러 접힘용고주파융착날에 의해 하나의 횡방향접힘부와 3개의 종방향접힘부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다층 쿳션 매트의 제조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다층 쿳션 매트를 사용하는 중에 접어서 보관하고자 할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횡방향접힘부를 기준으로 횡방향으로 접는다.
상기와 같이 횡방향접힘부를 기준으로 다층 쿳션 매트가 접힘되면 다층 쿳션 매트의 중앙부에 형성된 종방향접힘부를 기준으로 일방으로 접는다.
이후, 중앙부에 형성된 종방향접힘부의 양측에 형성된 중앙부에 형성된 종방향접힘부를 기준으로 접힘된 다층 쿳션 매트를 타방향으로 접는 것에 의해 다층 쿳션 매트의 접힘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다층 쿳션 매트가 접힘되므로 운반을 손쉽게 할 수 있고, 접힘되므로 인해 보관 또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매트 제조장치 11 ; 인출부
12 ; 가열부 13 ; 전사부
14 ; 융착부 15 ; 엠보형성부
16 ; 합포부 17 ; 재단기
18 ; 고주파융착기 200 ; 다층 쿳션 매트
210 ; 제1PU폼시트층 210' ; 제2PU폼시트층
215 ; 제1섬유부재시트층 215' ; 제2섬유부재시트층
230 ; 제1PVC발포시트층 230' ; 제2PVC발포시트층
250 ; 제1전사인쇄층 250' ; 제2전사인쇄층
270 ; 제1표면보호필름층 270' ; 제2표면보호필름층
290 ; 횡방향접힘부 290' ; 종방향접힘부
295 ; 엠보싱부

Claims (6)

  1. 다층 쿳션 매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발포기를 통하여 발포 제조된 PU폼시트재(Poly Urethane Foam)와 PVC발포시트재(Polyvinyl Chloride)의 각 일면을 서로 접착시키도록 접착제공급부를 갖는 합지부를 통하여 단일체의 합지부재로 만들기 위해 합지하는 합지단계(S110)와;
    상기 단계(S110)에 의해 합지된 합지부재를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중에 일면에 전사필름에 도안화된 그림을 전사시키기 위해 전사필름공급부를 갖는 전사부를 통하여 전사하는 전사단계(S120)와;
    상기 단계(S120)에 의해 합지부재의 일면에 그림이 전사된 면을 보호하기 위해 보호필름공급부를 갖는 융착부를 통하여 보호필름을 열융착하는 열융착단계(S130)와;
    상기 단계(S130)에 의해 일면에 보호필름이 융착된 합지부재의 일면에 엠보형성부를 통하여 엠보를 형성하는 엠보형성단계(S140)와;
    상기 단계(S140)에 의해 일면에 엠보가 형성된 합지부재를 한 쌍의 합포용로울러와 한 쌍의 합포용로울러 하부 중앙에 설치된 점화부를 갖는 합포부를 통하여 합지부재를 서로 가열하면서 합포하는 합포단계(S150)와;
    상기 단계(S150)에 의해 합포된 합포부재를 재단기를 통하여 소망의 크기로 재단하는 재단단계(S160)와;
    상기 단계(S160)에 의해 재단된 합포부재의 테두리를 고주파융착기를 통하여 융착하는 고주파 융착단계(S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쿳션 매트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지단계(S110) 전에 매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발포기를 통하여 발포 제조된 PU폼시트재(Poly Urethane Foam)과 열융착부를 통하여 폴리에스테르로 제조된 섬유부재를 융착시키는 섬유부재 열융착단계(S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층 쿳션 매트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합지단계(S110) 후 전사필름에 도안화된 그림을 전사시키기 전에 합지부재를 매트 제조장치(10)의 인출부(11)에 권취시켜 인출하는 중에 가열부(12)를 통하여 전사가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열하는 가열단계(S115)를 더 포함되며, 상기 고주파 융착단계(S170)에서 테두리 융착시 합포부재를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접힘시킬 수 있도록 접힘부가 형성되게 고주파융착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쿳션 매트의 제조방법.
  4.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의 다층 쿳션 매트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매트에 있어서,
    서로 일면이 열융착되어 부착되는 것에 의해 충격을 흡수 및 충격흡수에 따른 신속한 복원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2PU폼시트층(210,210')과;
    상기 제1,2PU폼층(210,210')의 각 타면에 접착제를 매개로 일면이 각각 부착되어 소음 차단 및 충격을 각각 흡수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2PVC발포시트층(230,230')과;
    상기 제1,2PVC발포시트층(230,230')의 각 타면에 전사필름을 전사시키는 것에 의해 도안이 각각 전사되어 구비되는 제1,2전사인쇄층(250,250')과;
    상기 제1,2전사인쇄층(250,250')의 각 표면에 열융착되어 전사된 도안을 각각 보호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2표면보호필름층(270,270')을 포함한 판 형상의 다층 쿳션 매트로 구성되되,
    상기 다층 쿳션 매트의 판상에는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매트를 접힘시켜 보관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형성된 횡방향접힘부(290) 및 종방향접힘부(20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쿳션 매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PU폼시트층(210)과 제1PVC발포시트층(230) 그리고 제2PU폼층(210')과 제2PVC발포시트층(230') 사이에는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폴리에스테르로 제조된 제1,2섬유부재시트층(215,215')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쿳션 매트.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쿳션 매트(200)의 양 표면에는 바닥면에 설치시 미끌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엠보싱부(295)가 더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쿳션 매트.
KR1020160070252A 2016-06-07 2016-06-07 다층 쿳션 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885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252A KR101885259B1 (ko) 2016-06-07 2016-06-07 다층 쿳션 매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252A KR101885259B1 (ko) 2016-06-07 2016-06-07 다층 쿳션 매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180A true KR20170138180A (ko) 2017-12-15
KR101885259B1 KR101885259B1 (ko) 2018-08-03

Family

ID=60954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0252A KR101885259B1 (ko) 2016-06-07 2016-06-07 다층 쿳션 매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25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3031A (ko) * 2019-06-14 2020-12-23 주식회사 크린버텍 Uv 인쇄술을 이용한 쿠션 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02916A (ko) * 2019-07-01 2021-01-11 주식회사 동해코리아 발포폴리우레탄 용융접합 피브이시 매트
KR20210034785A (ko) * 2019-09-23 2021-03-31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친환경 pvc 쿠션 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394883B1 (ko) * 2021-01-07 2022-05-06 신승용 기능성 쿠션매트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쿠션매트
CN115214159A (zh) * 2021-04-19 2022-10-21 嘉善安迅织造有限公司 复层缓冲结构的制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8913B1 (ko) 2022-05-11 2022-10-26 주식회사 쁘띠메종 맞춤형 바닥매트 재단 방법 및 맞춤형 바닥매트 재단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628U (ja) * 1991-07-26 1993-04-16 光洋産業株式会社 発泡樹脂板
KR200392999Y1 (ko) * 2005-05-27 2005-08-17 이용길 다용도 안전매트
JP2008307377A (ja) * 2007-05-15 2008-12-25 Yamamoto Sangyo Kk タイルカーペット、オプションマット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20150006769A (ko) 2013-07-09 2015-01-19 우가테크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증발기용 파이프 및 그 파이프의 제조 방법
KR101497426B1 (ko) * 2014-11-17 2015-03-02 서원대 참숯 캠핑 매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628U (ja) * 1991-07-26 1993-04-16 光洋産業株式会社 発泡樹脂板
KR200392999Y1 (ko) * 2005-05-27 2005-08-17 이용길 다용도 안전매트
JP2008307377A (ja) * 2007-05-15 2008-12-25 Yamamoto Sangyo Kk タイルカーペット、オプションマット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20150006769A (ko) 2013-07-09 2015-01-19 우가테크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증발기용 파이프 및 그 파이프의 제조 방법
KR101497426B1 (ko) * 2014-11-17 2015-03-02 서원대 참숯 캠핑 매트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발명의 명칭; 유아용 매트의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3031A (ko) * 2019-06-14 2020-12-23 주식회사 크린버텍 Uv 인쇄술을 이용한 쿠션 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02916A (ko) * 2019-07-01 2021-01-11 주식회사 동해코리아 발포폴리우레탄 용융접합 피브이시 매트
KR20210034785A (ko) * 2019-09-23 2021-03-31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친환경 pvc 쿠션 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394883B1 (ko) * 2021-01-07 2022-05-06 신승용 기능성 쿠션매트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쿠션매트
CN115214159A (zh) * 2021-04-19 2022-10-21 嘉善安迅织造有限公司 复层缓冲结构的制造方法
CN115214159B (zh) * 2021-04-19 2024-03-01 嘉善安迅织造有限公司 复层缓冲结构的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5259B1 (ko) 2018-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5259B1 (ko) 다층 쿳션 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923768B1 (ko) 폴리염화비닐 폼 결합 매트 및 제조방법
JP5368646B1 (ja) シート融着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WO2012070462A1 (ja) シート融着体の製造方法及びシート融着体
JP5368653B1 (ja) シート融着体の製造方法
WO2012099722A1 (en) Joining polymeric materials
KR101563106B1 (ko) 유아용 매트의 제조방법
KR101883230B1 (ko) 차량 하부 보호 커버용 플라스틱 시트의 고속 합지장치
JP2001062917A (ja) ポリウレタンフイルムとポリエチレンフイルムの複合フイルムを被融着板材に熱融着する融着方法及びその熱融着機
KR101697013B1 (ko) 친환경 폴리우레탄 발열 쿠션 매트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친환경 폴리우레탄 발열 쿠션 매트
KR102174441B1 (ko) 페브릭을 중간심재로 활용한 육아용 매트제조방법
KR20130037149A (ko) 천연가죽 라미네이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천연가죽 시트
JP5566726B2 (ja) 多層フィルム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多層フィルム構造体
KR101160941B1 (ko) 인쇄시트가 부착된 eva 매트 제조방법
CN103029402A (zh) 皮革层叠方法和通过皮革层叠方法制成的皮革座椅
JPH1112912A (ja) 2層フェルトの製造方法
KR100606594B1 (ko) 돗자리(깔판)
KR102666371B1 (ko) 층간소음 차폐형 어린이용 매트의 제조방법
KR102143956B1 (ko) 쿠션 매트의 제조방법
JP3812596B2 (ja) シート状脱酸素剤及びその製造方法
US9051669B2 (en) Multilayer pads and methods of manufacture employing thermal bonding
KR100548951B1 (ko) 미끄럼방지깔판 및 그 제조방법
JPWO2005028320A1 (ja) 紙容器内シールテープ、並びに、紙容器内縦シールテープ及び縦シールテープ付き紙容器
KR20110127402A (ko) 쿠션매트 및 그 제조방법
JPS6158724A (ja) 熱熔着性広幅フイルムの製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