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956B1 - 쿠션 매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쿠션 매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3956B1
KR102143956B1 KR1020200059909A KR20200059909A KR102143956B1 KR 102143956 B1 KR102143956 B1 KR 102143956B1 KR 1020200059909 A KR1020200059909 A KR 1020200059909A KR 20200059909 A KR20200059909 A KR 20200059909A KR 102143956 B1 KR102143956 B1 KR 102143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sheet
cushion mat
manufacturing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호
Original Assignee
진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진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9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9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5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4Cutting, tearing or severing, e.g. bursting; Cutt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2037/12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curable adhesive

Landscapes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쿠션 매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부시트와 하부시트를 테크노멜트 폴리우레탄계 접착제(제품명; TECHNOMELT PUR 4663TW)를 매개로 부착시켜 쿠션 매트를 제조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조된 쿠션 매트를 장시간 사용함에 따른 상부시트와 하부시트가 서로 벌어지거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쿠션 매트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cushion mat}
본 발명은 쿠션 매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세는 상부시트와 하부시트를 테크노멜트 폴리우레탄계 접착제(제품명; TECHNOMELT PUR 4663TW)를 매개로 부착시켜 쿠션 매트를 제조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조된 쿠션 매트를 장시간 사용함에 따른 상부시트와 하부시트가 서로 벌어지거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쿠션 매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트는 바닥에 까는 것을 총칭하는 것으로, 주로 거실용 매트나 어린이방의 놀이용 매트와 같이 실내에서 사용하는 것과, 작업용 등으로 야외에서 사용되는 등 다양한 종류의 매트가 있다.
이러한 매트는 사람이 밟거나 앉으면서 사용하게 되므로, 어느 정도의 쿠션이 필요하게 되고, 바닥에 잘 밀착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동시에, 야외에서 사용하는 매트의 경우에는 바닥의 이물질이나 습기가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성능과 단열성을 갖추어야 한다.
이를 위해, 최근 들어 발포 합성수지 폼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한 발포 폴리염화비닐(PVC) 폼(foam)은 촉감이 좋고 인쇄 품질이 좋아, 오래전부터 놀이 매트용으로 많이 사용되던 소재이다.
하지만, 소재가 무겁고 특유의 냄새가 심하며 주름이 쉽게 가는 등 놀이 매트로 다양하게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반면 발포 폴리에틸렌(PE) 폼(foam)은 가공이 쉽고, 가벼우며, 무취에 가격도 저렴한 장점이 있지만, 표면소재로 사용시 내구성이 약하고 PVC소재 대비 촉감 및 인쇄품질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과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은 이형성질을 가짐으로서 상호 결합을 위해서 본드를 사용할 수 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상호 대응되는 면의 균일한 결합력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며, 접착공정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본드의 특성상 유해한 냄새 및 오염 등에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물 등의 용액과 접촉될 경우 본드 접착 부분에 균열이 생기는 등 내구성에도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특허출원번호 10-2016-0049675호에 폴리염화비닐 폼 레진 결합 매트의 제조방법이 게시된 바 있다.
살펴보면 종래의 일반적인 폴리염화비닐 폼 레진 결합 매트의 제조방법은, 폴리염화비닐로 발포하여 소정의 면적으로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을 준비하는 제1단계와, 폴리에틸렌을 발포하여 소정의 면적으로 발포 폴리에틸렌 폼을 준비하는 제2단계와, 상기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 하면에 고압 히터로 고온 열풍을 가해, 하면에 소정의 깊이만큼 표면기포(cell)를 파괴시키는 제3단계와,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 상면에 고압 히터로 고온 열풍을 가해, 상면에 소정의 깊이만큼 표면기포(cell)를 파괴시키는 제4단계와, 상기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 하면과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 상면이 각 반고체수지(resin)가 될 때까지 상기 고압 히터로 고온 열풍을 소정의 시간만큼 조사하는 제5단계와, 상기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 하면과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 상면이 각 반고체 수지가 되었을 때 압착 로울러를 경유하며 상호 접합되어 한 장의 합성수지 폼이 형성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일반적인 쿠션 매트의 제조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과 발포 폴리에틸렌 폼이 각각 반고체 수지로 만들어질 때 압착 로울러를 경유하는 것에 의해 상호 접합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으나, 상기한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은 접착력을 갖고 있지 않아 발포 폴리에틸렌 폼과 접합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설령, 상기한 바와 같이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과 발포 폴리에틸렌 폼이 각각 반고체 수지로 만들어질 때 압착롤러를 경유하는 것에 의해 상호 접합시키더라도 이는 사용에 따른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접합된 부분의 접착력이 떨어져 쉽게 벌어질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특허출원번호 10-2018-0057823호에 쿠션 매트의 제조방법이 게시된 바 있다.
살펴보면, 종래의 일반적인 쿠션 매트의 제조방법은, 폴리우레탄을 매개로 발포 폴리염화비닐 시트와 상부용 발포 폴리에틸렌 시트를 접합시켜 상부시트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시트 제조단계에 의해 제조된 상부시트와 합지에 의해 하부를 형성하도록 하부용 발포 폴리에틸렌 시트 일면에 미끌림 방지를 위한 발포 저밀도 폴리에틸렌 시트를 접합시켜 하부시트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시트 제조단계에 의해 제조된 하부시트와 상기 상부시트 제조단계에 의해 제조된 상부시트를 합지하는 단계와, 상기 합지단계에 의해 상부시트와 하부시트가 합지된 합지시트를 커팅기를 통하여 소정 크기로 커팅하는 단계와, 상기 커팅단계에 의해 소정 크기로 절단된 합지시트를 형상가공용 날을 갖는 형상가공부를 통하여 조립가능하게 형상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시트 제조단계는, 각각의 권취드럼에 권취된 상부용 발포 폴리에틸렌 시트와 폴리우레탄시트를 인출하는 상부시트용 인출단계와, 상기 상부시트용 인출단계에 의해 각각 인출되는 폴리우레탄 시트 일면에는 열풍을 직접적으로 그리고 상부용 발포 폴리에틸렌 시트 일면에는 상기 폴리우레탄 시트측으로 직접 분사되어 반사된 열풍을 분사시켜 가열하는 단계와, 상기 가열단계에 의해 각 일면이 가열된 폴리우레탄 시트와 상부용 발포 폴리에틸렌 시트를 한 쌍의 제1가압로울러를 통과시켜 상부용 제1시트로 제조하기 위한 가압단계와, 상기 가압단계에 의해 제조된 상부용 제1시트를 권취드럼에 권취된 발포 폴리염화비닐 시트와 함께 인출시키면서 발포 폴리염화비닐 시트 일면에는 열풍을 직접적으로 그리고 상부용 제1시트 일면에는 발포 폴리염화비닐 시트측으로 직접 분사되어 반사된 열풍을 분사시켜 한 쌍의 제2가압로울러를 통하여 가압 접합하는 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시트 제조단계는, 각각의 권취드럼에 권취된 하부용 발포 폴리에틸렌(PE) 시트와 발포 저밀도 폴리에틸렌(Low-density polyethylene, LDPE) 시트를 인출하는 하부시트용 인출단계와, 상기 하부시트용 인출단계에 의해 각각 인출되는 하부용 발포 폴리에틸렌(PE) 시트와 발포 저밀도 폴리에틸렌(Low-density polyethylene, LDPE) 시트 각 일면이 한 쌍의 히팅로울러를 통과하는 것에 의해 가열 압착하는 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합지단계는, 상부시트 제조단계에 의해 제조된 상부시트의 상부용 발포 폴리에틸렌 시트 타면과 하부시트 제조단계에 의해 제조된 하부시트의 하부용 발포 폴리에틸렌 시트 타면에 열풍공급부를 통하여 열풍을 분사시킨 후 한 쌍의 합지용 가압로울러를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일반적인 상기한 쿠션 매트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매트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시트의 상부용 발포 폴리에틸렌 시트 타면과 하부용 발포 폴리에틸렌 시트 타면이 열풍에 의해 가열된 후 한 쌍의 합지용 가압로울러를 통과하는 것에 의해 합지되어 제조되는 바,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합지면, 즉, 상기 상부시트의 상부용 발포 폴리에틸렌 시트 타면과 하부용 발포 폴리에틸렌 시트 타면이 경화되어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상기한 쿠션 매트의 제조방법은, 상부시트 제조단계와 합지단계에서 열풍을 이용하게 되므로, 쿠션 매트의 제조 장치의 설비가 복잡해져 사후 관리가 어렵다라는 단점이 있다.
특허출원번호 10-2018-0057823호, 출원일; 2018년05월21일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상부시트와 하부시트를 테크노멜트 폴리우레탄계 접착제(제품명; TECHNOMELT PUR 4663TW)를 매개로 부착시켜 쿠션 매트를 제조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조된 쿠션 매트를 장시간 사용함에 따른 상부시트와 하부시트가 서로 벌어지거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쿠션 매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쿠션 매트의 제조방법은, 쿠션 매트의 상부를 형성하기 위해 쿠션 매트 제조장치의 상부시트 공급부로부터 상부시트를 공급하는 단계와, 쿠션 매트의 하부를 형성하기 위해 쿠션 매트 제조장치의 하부시트 공급부로부터 하부시트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시트 공급단계에 의해 공급되는 하부시트측으로 접착제를 공급하도록 접착제 저장부에 저장된 접착제를 히팅기를 이용하여 용융시키기 위한 융용단계와, 상기 용융단계에 의해 용융된 접착제를 쿠션 매트 제조장치의 접착제 펼짐부재측으로 노즐부를 통하여 접착제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접착제 공급단계에 의해 접착제 펼짐부재측으로 접착제가 공급되는 것에 의해 쿠션 매트 제조장치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코팅로울러 중 제1코팅로울러 표면에 도포되는 단계와, 상기 도포단계에 의해 제1코팅로울러 표면에 도포된 접착제가 상기 하부시트 공급단계에 의해 공급되는 하부시트가 상기 한 쌍의 코팅로울러를 통과하는 것에 의해 상기 하부시트의 일면에 접착제가 코팅되는 코팅단계와, 상기 코팅단계에 의해 일면에 접착제가 코팅된 하부시트와 상기 상부시트 공급단계에 의해 공급된 상부시트가 한 쌍의 합지용 로울러를 통과하여 합지되는 합지단계와, 상기 합지단계에 의해 상부시트와 하부시트가 합지된 합지시트를 커팅기를 통하여 소정 크기로 커팅하는 단계와, 상기 커팅단계에 의해 소정 크기로 절단된 합지시트를 형상가공용 날을 갖는 형상가공부를 통하여 조립가능하게 형상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쿠션 매트의 제조방법에 의해 쿠션 매트를 제조할 때, 실내 습도는 접착제의 경화를 위해 60~70%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쿠션 매트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부시트와 하부시트를 인체에 무해한 테크노멜트 폴리우레탄계 접착제(제품명; TECHNOMELT PUR 4663TW)를 매개로 접착시키므로 인해 상기 상부시트와 하부시트가 서로 벌어지거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오랫동안 쿠션 매트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쿠션 매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쿠션 매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쿠션 매트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쿠션 매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쿠션 매트 제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쿠션 매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쿠션 매트 제조장치의 접착제 저장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쿠션 매트의 제조방법의 일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쿠션 매트의 제조방법은, 쿠션 매트의 상부를 형성하기 위해 쿠션 매트 제조장치(10)의 상부시트 공급부로부터 상부시트(20)를 공급하는 단계(S110)와, 쿠션 매트의 하부를 형성하기 위해 쿠션 매트 제조장치(10)의 하부시트 공급부로부터 하부시트(30)를 공급하는 단계(S120)와, 상기 하부시트 공급단계(S120)에 의해 공급되는 하부시트(30)측으로 접착제를 공급하도록 접착제 저장부(11)에 저장된 접착제를 히팅기를 이용하여 용융시키기 위한 융용단계(S130)와, 상기 용융단계(S130)에 의해 용융된 접착제를 쿠션 매트 제조장치(10)의 접착제 펼짐부재(12)측으로 노즐부(11a)를 통하여 접착제를 공급하는 단계(S140)와, 상기 접착제 공급단계(S140)에 의해 접착제 펼짐부재(12)측으로 접착제가 공급되는 것에 의해 쿠션 매트 제조장치(10)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코팅로울러(13,14) 중 제1코팅로울러(13) 표면에 도포되는 단계(S150)와, 상기 도포단계(S150)에 의해 제1코팅로울러(13) 표면에 도포된 접착제가 상기 하부시트 공급단계(S120)에 의해 공급되는 하부시트(30)가 상기 한 쌍의 코팅로울러(13,14)를 통과하는 것에 의해 상기 하부시트(30)의 일면에 접착제가 코팅되는 코팅단계(S160)와, 상기 코팅단계(S160)에 의해 일면에 접착제가 코팅된 하부시트(30)와 상기 상부시트 공급단계(S110)에 의해 공급된 상부시트(20)가 한 쌍의 합지용 로울러(15)를 통과하여 합지되는 합지단계(S170)와, 상기 합지단계(S170)에 의해 상부시트(20)와 하부시트(30)가 합지된 합지시트를 커팅기를 통하여 소정 크기로 커팅하는 단계(S180)와, 상기 커팅단계(S180)에 의해 소정 크기로 절단된 합지시트를 형상가공용 날을 갖는 형상가공부를 통하여 조립가능하게 형상 가공하는 단계(S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접착제는 헨켈코리아(유)에서 판매하는 테크노멜트 폴리우레탄계 접착제(제품명; TECHNOMELT PUR 4663TW)이다.
또한, 상기 쿠션 매트의 제조방법에 의해 쿠션 매트의 제조에 따른 실내 습도는 접착제의 경화를 위해 60~70%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한 실내 습도가 60% 이하일 경우, 접착제가 경화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고, 70% 이상일 경우 접착제의 경화가 너무 빨리 일어나므로, 쿠션 매트의 제조방법에 의해 쿠션 매트의 제조에 따른 실내 습도는 상기한 바와 같이 60~70%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융용단계(S130)에서 접착제 저장부(110)에 저장된 접착제가 히팅기를 통하여 90~130℃로 온도로 용융된다.
한편, 상기 접착제의 용융온도가 90℃ 이하로 융융될 경우, 접착제 펼짐부재측으로 접착제가 이송되는 속도가 느릴 뿐만 아니라 상기 도포단계에서 제1코팅로울러 표면에 접착제가 균일하게 코팅되지 않게 되고, 130℃ 이상의 온도로 융융될 경우, 상기 코팅단계에 의해 하부시트측으로 접착제를 코팅시 균일한 두께로 코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접착제의 용융온도는 상기한 바와 같이 90~130℃로 온도로 용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도포단계(S150)에서, 한 쌍의 코팅로울러(13,14)의 표면 온도는 100~110℃로 구성된다.
이는, 상기한 코팅로울러의 표면 온도가 100℃ 이하일 경우, 접착제의 적정한 용융상태를 유지하지 못한 상태로 하부시트측으로 접착제를 코팅하게 되어 쿠션 매트 제조에 따른 불량이 발생될 수 있고, 110℃ 이상일 경우, 접착제를 너무 용융시켜 하부시트측으로 접착제를 코팅하게 되어 균일한 두께 코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상기한 한 쌍의 코팅로울러의 표면 온도는 100~110℃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코팅단계(S160)에서 하부시트(30) 표면에 코팅되는 접착제의 코팅 두께는 0.1mm~0.2mm의 두께로 코팅된다.
한편, 상기한 하부시트 표면에 코팅되는 접착제의 코팅 두께가 0.1mm 이하로 코팅될 경우, 접착력이 떨어지게 되고, 0.2mm 이상의 두께로 코팅될 경우 접착제가 경화됨에 따른 접착제의 경화 두께로 인해 쿠션 매트가 충격흡수력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접착제의 코팅 두께는 상기한 바와 같이 0.1mm~0.2mm의 두께로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쿠션 매트의 제조방법을 통하여 쿠션 매트를 제조하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실내 습도를 65%로 유지한 상태에서 쿠션 매트 제조장치의 상부시트 공급부로부터 폴리우레탄을 매개로 발포 폴리염화비닐 시트와 상부용 발포 폴리에틸렌 시트를 접합시켜 제조된 상부시트(20)와 하부용 발포 폴리에틸렌 시트 일면에 미끌림 방지를 위한 발포 저밀도 폴리에틸렌 시트를 접합시켜 만들어진 하부시트(30)가 상부시트 공급부와 하부시트 공급부로부터 각각 공급된다.
아울러, 접착제 저장부(11)에 저장된 접착제가 히팅기에 의해 115℃의 온도 용융되어 접착제 펼짐부재(12)측으로 노즐부(11a)를 통하여 공급된다.
상기 노즐부(11a)를 통하여 접착제 펼짐부재(12)측으로 용융된 접착제가 공급되므로 인해 110℃의 표면 온도를 갖는 회전하는 한 쌍의 코팅로울러 중 제1코팅로울러(13) 표면에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다.
이때, 상기 하부시트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하부시트(30)가 상기 한 쌍의 코팅로울러(13,14)를 통과하는 것에 의해 상기 하부시트(30) 상면에 상기 접착제가 0.2mm 두께로 코팅되면서 한 쌍의 합지용 로울러(15)측으로 이송되고, 동시에 상기 상부시트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상부시트(20)도 상기 한 쌍의 합지용 로울러(15)측으로 이송된다.
상기 합지용 로울러(15)측으로 상부시트(20)와 하부시트(30)가 통과하는 것에 의해 상기 상부시트(20)와 하부시트(30)가 합지된다.
상기와 같이 합지된 합지시트를 커팅기를 통하여 소정 크기로 커팅한 후, 형상가공용날을 갖는 형상가공부를 통하여 블럭처럼 조립가능하게 형상 가공하는 것에 의해 쿠션 매트의 제조가 완료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쿠션 매트 제조장치
20 ; 상부시트
30 ; 하부시트

Claims (5)

  1. 쿠션 매트의 제조방법은,
    쿠션 매트의 상부를 형성하기 위해 쿠션 매트 제조장치(10)의 상부시트 공급부로부터 상부시트(20)를 공급하는 단계(S110)와;
    쿠션 매트의 하부를 형성하기 위해 쿠션 매트 제조장치(10)의 하부시트 공급부로부터 하부시트(30)를 공급하는 단계(S120)와;
    상기 하부시트 공급단계(S120)에 의해 공급되는 하부시트(30)측으로 접착제를 공급하도록 접착제 저장부(11)에 저장된 접착제를 히팅기를 이용하여 용융시키기 위한 융용단계(S130)와;
    상기 용융단계(S130)에 의해 용융된 접착제를 쿠션 매트 제조장치(10)의 접착제 펼짐부재(12)측으로 노즐부(11a)를 통하여 접착제를 공급하는 단계(S140)와;
    상기 접착제 공급단계(S140)에 의해 접착제 펼짐부재(12)측으로 접착제가 공급되는 것에 의해 쿠션 매트 제조장치(10)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코팅로울러(13,14) 중 제1코팅로울러(13) 표면에 도포되는 단계(S150)와;
    상기 도포단계(S150)에 의해 제1코팅로울러(13) 표면에 도포된 접착제가 상기 하부시트 공급단계(S120)에 의해 공급되는 하부시트(30)가 상기 한 쌍의 코팅로울러(13,14)를 통과하는 것에 의해 상기 하부시트(30)의 일면에 접착제가 코팅되는 코팅단계(S160)와;
    상기 코팅단계(S160)에 의해 일면에 접착제가 코팅된 하부시트(30)와 상기 상부시트 공급단계(S110)에 의해 공급된 상부시트(20)가 한 쌍의 합지용 로울러(15)를 통과하여 합지되는 합지단계(S170)와;
    상기 합지단계(S170)에 의해 상부시트(20)와 하부시트(30)가 합지된 합지시트를 커팅기를 통하여 소정 크기로 커팅하는 단계(S180)와;
    상기 커팅단계(S180)에 의해 소정 크기로 절단된 합지시트를 형상가공용 날을 갖는 형상가공부를 통하여 조립가능하게 형상 가공하는 단계(S190)를 포함하되,
    상기 도포단계(S150)에서, 한 쌍의 코팅로울러(13,14)의 표면 온도는 100~1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매트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매트의 제조방법에 의해 쿠션 매트를 제조할 때, 실내 습도는 접착제의 경화를 위해 60~70%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매트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용단계(S130)에서 접착제 저장부(110)에 저장된 접착제가 히팅기를 통하여 90~130℃로 온도로 용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매트의 제조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단계(S160)에서 하부시트(30) 표면에 코팅되는 접착제의 코팅 두께는 0.1mm~0.2mm의 두께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매트의 제조방법.
KR1020200059909A 2020-05-19 2020-05-19 쿠션 매트의 제조방법 KR102143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909A KR102143956B1 (ko) 2020-05-19 2020-05-19 쿠션 매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909A KR102143956B1 (ko) 2020-05-19 2020-05-19 쿠션 매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3956B1 true KR102143956B1 (ko) 2020-08-12

Family

ID=72039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909A KR102143956B1 (ko) 2020-05-19 2020-05-19 쿠션 매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95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1009A (ko) * 2016-04-22 2017-11-01 (주) 새한테크 폴리염화비닐 폼 결합 매트 및 제조방법
KR101855924B1 (ko) * 2017-11-24 2018-05-09 주식회사 에스앤비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를 이용한 자동차 시트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857982B1 (ko) * 2018-03-26 2018-05-15 (주)동주산업 습기경화성 접착제를 이용한 동종 또는 이종재질의 면상소재 접합장치 및 이에 의한 면상소재 접합방법
KR20180057823A (ko) 2016-11-23 2018-05-31 박범렬 쓰레받기 없는 쓰레기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1009A (ko) * 2016-04-22 2017-11-01 (주) 새한테크 폴리염화비닐 폼 결합 매트 및 제조방법
KR20180057823A (ko) 2016-11-23 2018-05-31 박범렬 쓰레받기 없는 쓰레기통
KR101855924B1 (ko) * 2017-11-24 2018-05-09 주식회사 에스앤비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를 이용한 자동차 시트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857982B1 (ko) * 2018-03-26 2018-05-15 (주)동주산업 습기경화성 접착제를 이용한 동종 또는 이종재질의 면상소재 접합장치 및 이에 의한 면상소재 접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67826A (en) Method for making laminated foam articles
JP5947483B2 (ja) 複合製品成形方法及び製品
FI78488B (fi) Foerfarande foer formgivning av mjukt, genomslaeppande material.
US4812186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cellular core laminated elements
KR101923768B1 (ko) 폴리염화비닐 폼 결합 매트 및 제조방법
US9132283B2 (en) Perforated nonslip non-adhesive surface covering
KR101529459B1 (ko) 가열 압착을 이용한 스펀지와 가죽 원단의 저온 라미네이팅 접합 방법
KR101885259B1 (ko) 다층 쿳션 매트 및 그 제조방법
JP2016010912A (ja) 表皮材とその製造方法
KR101544817B1 (ko) 트림용 우드 포일 및 그의 제조방법
ES2536176T3 (es) Guarnecido de techo y procedimiento de obtención de un guarnecido de techo para vehículos
KR101207002B1 (ko) 폴리에틸렌 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143956B1 (ko) 쿠션 매트의 제조방법
KR101643186B1 (ko) 트림용 복합재 포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90130742A (ko) 냉장고용 도어외판의 내부면에 부착되는 부직포 적층시트 및 그 제조 방법
JP3777838B2 (ja) 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276446A (ja) 成形複合体の製造方法
JP5650711B2 (ja) タ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84590B1 (ko) 카펫 제조방법
KR20200048085A (ko) 페브릭을 중간심재로 활용한 육아용 매트제조방법
KR102600159B1 (ko) 차량용 헤드 레스트 및 그 제조방법
JP7438838B2 (ja) 自動車内装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342217A (ja) 板状プレス成形品の製造方法
KR102394883B1 (ko) 기능성 쿠션매트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쿠션매트
KR20190091157A (ko) 휴대용 방석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