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1009A - 폴리염화비닐 폼 결합 매트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염화비닐 폼 결합 매트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1009A
KR20170121009A KR1020160049675A KR20160049675A KR20170121009A KR 20170121009 A KR20170121009 A KR 20170121009A KR 1020160049675 A KR1020160049675 A KR 1020160049675A KR 20160049675 A KR20160049675 A KR 20160049675A KR 20170121009 A KR20170121009 A KR 20170121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foamed
polyvinyl chloride
chloride foam
pressure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9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3768B1 (ko
Inventor
신동현
Original Assignee
(주) 새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새한테크 filed Critical (주) 새한테크
Priority to KR1020160049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768B1/ko
Publication of KR20170121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1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36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36Heat treatment
    • B32B38/004Heat treatment by physically contacting the layers, e.g. by the use of heated platen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3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at least two layers being foamed and next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21Vinyl resin
    • B32B2266/0235Vinyl halide,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5Polyolef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2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1/00Floor coverings
    • B32B2471/04Ma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염화비닐로 발포하여 소정의 면적으로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을 준비하는 제 1단계; 폴리에틸렌을 발포하여 소정의 면적으로 발포 폴리에틸렌 폼을 준비하는 제 2단계; 상기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 하면에 고압 히터로 고온 열풍을 가해, 하면에 소정의 깊이만큼 표면기포(cell)를 파괴시키는 제 3단계;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 상면에 고압 히터로 고온 열풍을 가해, 상면에 소정의 깊이만큼 표면기포(cell)를 파괴시키는 제 4단계; 상기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 하면과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 상면이 각 반고체수지(resin)가 될 때까지 상기 고압 히터로 고온 열풍을 소정의 시간만큼 조사하는 제 5단계; 상기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 하면과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 상면이 각 반고체수지가 되었을 때 압착롤러를 경유하며 상호 접합되어 한 장의 합성수지 폼이 형성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 폼 결합 매트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폴리염화비닐 폼 결합 매트 및 제조방법{mat combined with pvc sheet and it's production method}
본 발명은 폴리염화비닐 폼 결합 매트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압 히터로 고온 열풍을 가해 발포 폴리염화비닐(PVC) 폼과 발포 폴리에틸렌(PE) 폼을 레진형태로 변형시켜 하나의 합성수지 폼으로 형성하여 매트를 형성 할 수 있는 폴리염화비닐 폼 결합 매트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발포 합성수지 폼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층간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매트, 바닥재, 건축자재로 사용되고 있다.
발포 폴리염화비닐(PVC) 폼(foam)은 촉감이 좋고 인쇄 품질이 좋아, 오래전부터 놀이매트용으로 많이 사용되던 소재이다. 하지만, 소재가 무겁고 특유의 냄새가 심하며 주름이 쉽게 가는등 놀이매트로 다양하게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반면 발포 폴리에틸렌(PE) 폼(foam)은 가공이 쉽고, 가벼우며, 무취에 가격도 저렴한 장점이 있지만, 표면소재로 사용시 내구성이 약하고 PVC소재대비 촉감 및 인쇄품질이 좋지않은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과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은 이형성질을 가짐으로서 상호 결합을 위해서 본드를 사용할 수 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상호 대응되는 면의 균일한 결합력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며, 접착공정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본드의 특성상 유해한 냄세 및 오염 등에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물 등의 용액과 접촉될 경우 본드 접착 부분에 균열이 생기는 등 내구성에도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포 폴리에틸렌 폼과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을 레진상태로 변형시키는 공정을 포함하여 표면은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의 장점인 촉감, 인쇄, 쿠션 성능을 가지면서, 하부에는 발포 폴리에틸렌 폼의 장점인 비용절감, 두께를 조절하여 생산가능, 경량화, .완충성능을 추구할 수 있는 폴리염화비닐 폼 결합 매트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염화비닐 폼 레진 결합 매트의 제조방법은 폴리염화비닐로 발포하여 소정의 면적으로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을 준비하는 제 1단계; 폴리에틸렌을 발포하여 소정의 면적으로 발포 폴리에틸렌 폼을 준비하는 제 2단계; 상기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 하면에 고압 히터로 고온 열풍을 가해, 하면에 소정의 깊이만큼 표면기포(cell)를 파괴시키는 제 3단계;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 상면에 고압 히터로 고온 열풍을 가해, 상면에 소정의 깊이만큼 표면기포(cell)를 파괴시키는 제 4단계; 상기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 하면과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 상면이 각 반고체수지(resin)가 될 때까지 상기 고압 히터로 고온 열풍을 소정의 시간만큼 조사하는 제 5단계; 상기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 하면과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 상면이 각 반고체수지가 되었을 때 압착롤러를 경유하며 상호 접합되어 한 장의 합성수지 폼이 형성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단계에서, 상기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을 제 1 롤러에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을 제 2 롤러에 권취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단계이후, 권취된 상기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을 제 1 가이드 롤러로 경유시켜 상기 압착롤러로 보내는 단계; 및 권취된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을 제 2 가이드 롤러로 경유시켜 상기 압착롤러로 보내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압 히터는 상기 압착롤러에서 소정의 거리를 두고 배치되며 상기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과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을 동시에 고온으로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단계에서, 발포된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 하면과 다층의 발포 합성수지를 상호 열융착하여 합지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층의 발포 합성수지는 발포 폴리에틸렌, 발포 폴리우레탄, 에틸렌비니아세테이트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단계는, 폴리염화비닐로 발포하여 소정의 면적으로 형성되어 바닥층으로 사용할 바닥용 폴리염화비닐 폼을 하나 더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단계 이후, 상기 바닥용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 상면에 고압 히터로 고온 열풍을 가해, 상면에 소정의 깊이만큼 표면기포(cell)를 파괴시키는 단계;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 하면에 고압 히터로 고온 열풍을 가해, 상면에 소정의 깊이만큼 표면기포(cell)를 파괴시키는 단계; 상기 바닥용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 상면과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 하면이 각 반고체수지(resin)가 될 때까지 상기 고압 히터로 고온 열풍을 계속 조사하는 단계; 상기 바닥용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 상면과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 하면이 각 반고체수지가 되었을 때 압착롤러를 경유하며 상호 접합되어 한 장의 합성수지 폼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현황표시단말은,오염물질 배출 현황, 정책 위반 현황, 관리항목 현황, 동기화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6단계 이후,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 하면에 이동방지 필름층을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방지 필름층은 폴리에틸렌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방지 필름층은 엠보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은 엠보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 상면에는 필름층, 인쇄층, 코팅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압 히터가 가하는 열은 195°c 내지 255°c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염화비닐 폼 결합 매트는 발포 폴리에틸렌 폼으로 형성되는 쿠션층; 및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으로서 상기 쿠션층의 상면과 결합되는 표면층;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층과 상기 표면층은, 각 상호 접하는 면을 고압 히터로 고온 열풍을 가해 표면기포가 파괴되고, 반고체수지(resin)가 된 상태에서 압착롤러로 열융착하여 한 장의 합성수지 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 하면에는 다층의 발포 합성수지가 합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층의 발포 합성수지는 발포 폴리에틸렌, 발포 폴리우레탄, 에틸렌비니아세테이트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층의 발포 합성수지는 상층과 하층은 중간층보다 발포배율이 낮고 밀도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압 히터로 가하는 고온 열풍의 온도는 195°c 내지 255°c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발포 폴리에틸렌 폼과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을 레진상태로 변형시키는 공정을 포함하여 표면은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의 장점인 촉감, 인쇄, 쿠션 성능을 가지면서, 하부에는 발포 폴리에틸렌 폼의 장점인 비용절감, 두께를 조절하여 생산가능, 경량화, .완충성능을 추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드를 사용하지 않고 결합하여 안전하고 저렴하며, 제품이 가볍고, 다양한 두께로 생산가능하며, 퍼즐매트로 제조시 이음새가 감소되며, 100% PVC로만 된 제품보다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염화비닐 폼 레진 결합 매트의 제조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염화비닐 폼 레진 결합 매트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염화비닐 폼 레진 결합 매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리염화비닐 폼 레진 결합 매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폴리염화비닐 폼 레진 결합 매트를 제조함에 있어 실험예에 따른 물성변화와 임계적 수치를 나타낸 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염화비닐 폼 레진 결합 매트를 단위제품으로 하여 복수개가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염화비닐 폼 레진 결합 매트의 제조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염화비닐 폼 레진 결합 매트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염화비닐 폼 레진 결합 매트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리염화비닐 폼 레진 결합 매트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폴리염화비닐 폼 레진 결합 매트를 제조함에 있어 물성변화와 임계적 수치를 나타낸 표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염화비닐 폼 레진 결합 매트를 단위제품으로 하여 복수개가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염화비닐 폼 레진 결합 매트의 제조방법은 폴리염화비닐로 발포하여 소정의 면적으로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20)을 준비하는 제 1단계(s100); 폴리에틸렌을 발포하여 소정의 면적으로 발포 폴리에틸렌 폼(10)을 준비하는 제 2단계(s200); 상기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20) 하면에 고압 히터(80)로 고온 열풍(81)을 가해, 하면에 소정의 깊이만큼 표면기포(cell)를 파괴시키는 제 3단계(s300);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10) 상면에 고압 히터(80)로 고온 열풍(81)을 가해, 상면에 소정의 깊이만큼 표면기포(cell)를 파괴시키는 제 4단계(s400); 상기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20) 하면과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10) 상면이 각 반고체수지(resin)(20a, 10a)가 될 때까지 상기 고압 히터(80)로 고온 열풍(81)을 소정의 시간만큼 조사하는 제 5단계(s500); 상기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20) 하면과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10) 상면이 각 반고체수지(20a, 10a)가 되었을 때 압착롤러(90)를 경유하며 상호 접합되어 한 장의 합성수지 폼이 형성되는 제 6단계(s6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은 가열시 녹지만 접착력은 갖고 있지 않아 붙지 않는다.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의 이론적인 용융점(melting point)은 225°c 정도이나 실제로는 이 온도에 도달하기전 100°c부터 분해 되기 시작함으로 일반적인 열 가소성 플라스틱과 달리 용융물 상태까지 제 형태를 유지하기 어렵다. 이런 특성 때문에 폴리염화비닐 폼은 폴리에틸렌 폼과 달리 열융착이 어려워, 같은 폴리염화비닐 소재 끼리도 고주파를 이용한 융착방법을 주로 이용해서 접착해 왔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단계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195°c이상 내지 255°c이하의 고온 열풍을 유지하여 폴리에틸렌 폼과 열융착으로 압착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 1단계(s100)에서, 상기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20)을 제 1 롤러(70)에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단계(s200)에서,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10)을 제 2 롤러(65)에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단계(s200)이후, 권취된 상기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20)을 제 1 가이드 롤러(75)로 경유시켜 상기 압착롤러(90)로 보내는 단계; 및 권취된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10)을 제 2 가이드 롤러(65)로 경유시켜 상기 압착롤러(90)로 보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압 히터(80)는 상기 압착롤러(90)에서 소정의 거리를 두고 배치되며 상기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20)과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10)을 동시에 고온으로 조사할 수 있다. 상기 고압 히터(80)는 도 2와 같이 상기 압착롤러(90)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각 폼의 동일한 면적을 동시에 조사할 수도 있고, 상기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20)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틀어서 상기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20)에 조사되는 온도를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10)에 조사되는 온도보다 더 크게 하여 이형성질을 갖는 각 폼에대하여 다른 온도의 열을 가함으로써 둘 다 레진상태가 동일시간에 형성되어 압착롤러(90)를 통해 결합되어 배출 될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구성의 측면은, 상기 각 제 1 롤러 및 제 2 롤러가 각 폼을 공장 내에 효율적으로 배치 할수도 있도록 하며,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75)와 제 2 가이드 롤러(65)를 통해 평평하게 펴지게 하며,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75)와 제 2 가이드 롤러(65)는 각 위치 및 경유 속도를 조정할 수 있어, 상기 고압 히터(80)가 상기 각 폼에 단위면적당 조사하는 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10) 상면과 상기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20) 하면에 각 핫멜트 또는 친환경 본드를 추가로 도포하여 상술한 제 3단계(s300)를 포함한 이후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각 표면에 물성변화를 최소화 하기 위한 전처리 작업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단계(s200)에서, 발포된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10) 하면과 다층의 발포 합성수지를 상호 열융착하여 합지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층의 발포 합성수지는 발포 폴리에틸렌, 발포 폴리우레탄, 에틸렌비니아세테이트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층의 발포 합성수지는 발포를 통해 형성된 무수히 많은 공간들이 완충작용 효과를 나타내어 완충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소음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다층의 발포 합성수지는 15 내지 40 밀리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발포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발포배율이 10 내지 20배이며 5 내지 12 밀리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는 하부쿠션층(11), 상기 하부쿠션층(11)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발포배율이 20 내지 40배이며 8 내지 18 밀리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는 중간쿠션층(12) 및 상기 중간쿠션층(12)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2 내지 10 밀리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는 상부쿠션층(1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종래의 단층 구조에 비해 진동을 단계적으로 차단시켜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상층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대해 상기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20)과 결합하여 탁월한 완충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복층의 구조를 통해 차음효과도 향상된다.
상기 제 1단계(s100)는, 폴리염화비닐로 발포하여 소정의 면적으로 형성되어 바닥층으로 사용할 바닥용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30)을 하나 더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단계(s100) 이후, 상기 바닥용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30) 상면에 고압 히터(80)로 고온 열풍(81)을 가해, 상면에 소정의 깊이만큼 표면기포(cell)를 파괴시키는 단계;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10) 하면에 고압 히터(80)로 고온 열풍(81)을 가해, 상면에 소정의 깊이만큼 표면기포(cell)를 파괴시키는 단계; 상기 바닥용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30) 상면과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10) 하면이 각 반고체수지(resin)가 될 때까지 상기 고압 히터(80)로 고온 열풍(81)을 계속 조사하는 단계; 상기 바닥용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30) 상면과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10) 하면이 각 반고체수지가 되었을 때 압착롤러(90)를 경유하며 상호 접합되어 한 장의 합성수지 폼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용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30)이 하부를 지지하며 상부에 있는 상기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20)과 함께 상부와 하부를 모두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20)으로 구성 할 수 있다.
상기 제 6단계 이후,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10) 하면에 이동방지 필름층(40)을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방지 필름층(40)은 폴리에틸렌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방지 필름층(40)은 엠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20) 상면에는 필름층, 인쇄층, 코팅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가 완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따르면, 발포 폴리에틸렌 폼(10)이 다층의 폼(11, 12, 13, 14)으로 구성되고 그 상부에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20)이 구성되며, 그 상부에 필름층 또는 인쇄층(21)이 구성되며, 그 상부에 코팅층(22)이 구성되고, 상기 이동방지 필름층(40)은 상기 폴리에틸렌폼(10)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압 히터(80)가 가하는 열은 195°c 내지 255°c 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폼의 각 대응되는 면이 약 1mm정도의 두께로 반고체수지(20a, 10a) 상태가 되는것이 바람직하며, 1초 이상 내지 6초 이하로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1초 이하의 조사는 반고체수지 상태로 변형이 어려우며 6초 이상의 조사는 1mm이상이 변형되거나 타버리는 등 제조에 어려움이 있다.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압히터로 2초동안 조사한 경우 실험을 통해 195°c 미만에서는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20)이 이형물질과의 결합을 할 수 있는 상태인 반고체수지 비율이 급격히 떨어져 결합력에 문제가 생기며, 255°c 가 초과된 상태에서는 오히려 연소가 되거나 경화, 또는 흘러내리는 등으로 인해 반고체수지 비율이 급격히 떨어져 마찬가지로 결합력에 문제가 생기게 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결합된 합성수지의 결합부위를 시편으로 하여 각 폼의 두께의 산술적 합인 2mm두께 중 중심으로부터 각 폼이 반고체수지로 되어 균질하게 결합된 부분과 반고체수지로 변형되지 않거나 파손된 부분의 비율을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여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염화비닐 폼 결합 매트는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20)으로서 상기 쿠션층의 상면과 결합되는 표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쿠션층과 상기 표면층은, 각 상호 접하는 면을 고압 히터(80)로 고온 열풍(81)을 가해 표면기포가 파괴되고, 반고체수지(resin)(20a, 10a)가 된 상태에서 압착롤러(90)로 열융착하여 한 장의 합성수지 폼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10) 하면에는 다층의 발포 합성수지가 합지될 수 있다.
상기 다층의 발포 합성수지는 발포 폴리에틸렌, 발포 폴리우레탄, 에틸렌비니아세테이트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층의 발포 합성수지는 상층과 하층은 중간층보다 발포배율이 낮고 밀도가 높을 수 있다. 상층과 하층에 발포배율 8~20배의 발포 합성수지가 적층되고, 중간에는 발포배율 20~40배인 클로스셀의 합성수지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쿠션효과와 상층, 하층의 경도 효과를 모두 노릴 수 있다.
상기 고압 히터(80)로 가하는 고온 열풍(81)의 온도는 195°c 내지 255°c 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의 측면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매트로 제조하여 복수로 결합하는 형태로 제조하는 경우, 상호 결합부위의 이음새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발포 폴리에틸렌 폼(10)이 상호 이음새를 매꾸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20)만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결합력이 증가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발포 폴리에틸렌 폼
20 :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

Claims (20)

  1. 폴리염화비닐로 발포하여 소정의 면적으로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을 준비하는 제 1단계;
    폴리에틸렌을 발포하여 소정의 면적으로 발포 폴리에틸렌 폼을 준비하는 제 2단계;
    상기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 하면에 고압 히터로 고온 열풍을 가해, 하면에 소정의 깊이만큼 표면기포(cell)를 파괴시키는 제 3단계;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 상면에 고압 히터로 고온 열풍을 가해, 상면에 소정의 깊이만큼 표면기포(cell)를 파괴시키는 제 4단계;
    상기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 하면과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 상면이 각 반고체수지(resin)가 될 때까지 상기 고압 히터로 고온 열풍을 소정의 시간만큼 조사하는 제 5단계;
    상기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 하면과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 상면이 각 반고체수지가 되었을 때 압착롤러를 경유하며 상호 접합되어 한 장의 합성수지 폼이 형성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 폼 레진 결합 매트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 상기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을 제 1 롤러에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 폼 레진 결합 매트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을 제 2 롤러에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 폼 레진 결합 매트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이후, 권취된 상기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을 제 1 가이드 롤러로 경유시켜 상기 압착롤러로 보내는 단계; 및
    권취된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을 제 2 가이드 롤러로 경유시켜 상기 압착롤러로 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 폼 레진 결합 매트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히터는 상기 압착롤러에서 소정의 거리를 두고 배치되며 상기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과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을 동시에 고온으로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 폼 레진 결합 매트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발포된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 하면과 다층의 발포 합성수지를 상호 열융착하여 합지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 폼 레진 결합 매트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의 발포 합성수지는 발포 폴리에틸렌, 발포 폴리우레탄, 에틸렌비니아세테이트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 폼 레진 결합 매트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폴리염화비닐로 발포하여 소정의 면적으로 형성되어 바닥층으로 사용할 바닥용 폴리염화비닐 폼을 하나 더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 폼 레진 결합 매트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 이후,
    상기 바닥용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 상면에 고압 히터로 고온 열풍을 가해, 상면에 소정의 깊이만큼 표면기포(cell)를 파괴시키는 단계;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 하면에 고압 히터로 고온 열풍을 가해, 상면에 소정의 깊이만큼 표면기포(cell)를 파괴시키는 단계;
    상기 바닥용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 상면과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 하면이 각 반고체수지(resin)가 될 때까지 상기 고압 히터로 고온 열풍을 계속 조사하는 단계;
    상기 바닥용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 상면과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 하면이 각 반고체수지가 되었을 때 압착롤러를 경유하며 상호 접합되어 한 장의 합성수지 폼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 폼 레진 결합 매트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6단계 이후,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 하면에 이동방지 필름층을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 폼 레진 결합 매트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방지 필름층은 폴리에틸렌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 폼 레진 결합 매트의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방지 필름층은 엠보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 폼 레진 결합 매트의 제조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 상면에는 필름층, 인쇄층, 코팅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 폼 레진 결합 매트의 제조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히터가 가하는 열은 195°c 내지 255°c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 폼 레진 결합 매트의 제조방법.
  15. 발포 폴리에틸렌 폼으로 형성되는 쿠션층; 및
    발포 폴리염화비닐 폼으로서 상기 쿠션층의 상면과 결합되는 표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 폼 결합 매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층과 상기 표면층은, 각 상호 접하는 면을 고압 히터로 고온 열풍을 가해 표면기포가 파괴되고, 반고체수지(resin)가 된 상태에서 압착롤러로 열융착하여 한 장의 합성수지 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 폼 결합 매트.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폼 하면에는 다층의 발포 합성수지가 합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 폼 결합 매트.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의 발포 합성수지는 발포 폴리에틸렌, 발포 폴리우레탄, 에틸렌비니아세테이트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 폼 결합 매트.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의 발포 합성수지는 상층과 하층은 중간층보다 발포배율이 낮고 밀도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 폼 결합 매트.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히터로 가하는 고온 열풍의 온도는 195°c 내지 255°c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 폼 결합 매트.
KR1020160049675A 2016-04-22 2016-04-22 폴리염화비닐 폼 결합 매트 및 제조방법 KR101923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675A KR101923768B1 (ko) 2016-04-22 2016-04-22 폴리염화비닐 폼 결합 매트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675A KR101923768B1 (ko) 2016-04-22 2016-04-22 폴리염화비닐 폼 결합 매트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009A true KR20170121009A (ko) 2017-11-01
KR101923768B1 KR101923768B1 (ko) 2018-11-29

Family

ID=60382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675A KR101923768B1 (ko) 2016-04-22 2016-04-22 폴리염화비닐 폼 결합 매트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768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2550A (ko) * 2018-01-02 2019-07-10 주식회사 동해코리아 발포폴리우레탄 용융접착 피브이시매트의 제조방법
KR102002935B1 (ko) * 2018-06-04 2019-07-23 (주)동해코리아 발포폴리우레탄 용융접착 피브이시매트의 제조방법
KR102018099B1 (ko) * 2018-05-21 2019-09-04 김성호 쿠션 매트의 제조방법
KR20190138296A (ko) * 2019-07-01 2019-12-12 주식회사 동해코리아 발포폴리우레탄 용융접착 피브이시매트의 제조방법
KR102143956B1 (ko) * 2020-05-19 2020-08-12 진양산업 주식회사 쿠션 매트의 제조방법
KR20210002916A (ko) 2019-07-01 2021-01-11 주식회사 동해코리아 발포폴리우레탄 용융접합 피브이시 매트
KR20210003020A (ko) 2019-07-01 2021-01-11 주식회사 동해코리아 발포폴리우레탄 접합 완충층을 갖는 피브이시매트 제조방법
KR20210017231A (ko) * 2019-08-07 2021-02-17 (주)대승아이앤피 층간소음방지 롤매트 제조방법
KR20210018640A (ko) * 2019-08-07 2021-02-18 주식회사 뉴테크산업 저방사 단열재 제조장치
KR20210137736A (ko) * 2020-05-11 2021-11-18 (주)대산케미텍 완충매트
KR102496549B1 (ko) * 2021-09-09 2023-02-07 최정길 놀이방 매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915B1 (ko) 2001-03-28 2004-02-05 캐리어 주식회사 에어컨디셔너의 셔터 개폐장치
KR200366181Y1 (ko) * 2004-07-30 2004-11-10 장화성 매트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2550A (ko) * 2018-01-02 2019-07-10 주식회사 동해코리아 발포폴리우레탄 용융접착 피브이시매트의 제조방법
KR102018099B1 (ko) * 2018-05-21 2019-09-04 김성호 쿠션 매트의 제조방법
KR102002935B1 (ko) * 2018-06-04 2019-07-23 (주)동해코리아 발포폴리우레탄 용융접착 피브이시매트의 제조방법
KR20190138296A (ko) * 2019-07-01 2019-12-12 주식회사 동해코리아 발포폴리우레탄 용융접착 피브이시매트의 제조방법
KR20210002916A (ko) 2019-07-01 2021-01-11 주식회사 동해코리아 발포폴리우레탄 용융접합 피브이시 매트
KR20210003020A (ko) 2019-07-01 2021-01-11 주식회사 동해코리아 발포폴리우레탄 접합 완충층을 갖는 피브이시매트 제조방법
KR20210017231A (ko) * 2019-08-07 2021-02-17 (주)대승아이앤피 층간소음방지 롤매트 제조방법
KR20210018640A (ko) * 2019-08-07 2021-02-18 주식회사 뉴테크산업 저방사 단열재 제조장치
KR20210137736A (ko) * 2020-05-11 2021-11-18 (주)대산케미텍 완충매트
KR102143956B1 (ko) * 2020-05-19 2020-08-12 진양산업 주식회사 쿠션 매트의 제조방법
KR102496549B1 (ko) * 2021-09-09 2023-02-07 최정길 놀이방 매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3768B1 (ko) 2018-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3768B1 (ko) 폴리염화비닐 폼 결합 매트 및 제조방법
KR101869004B1 (ko) 폴리염화비닐 매트 및 제조방법
EP1819509B1 (en) Multi-layer thermal insulation system
US9132283B2 (en) Perforated nonslip non-adhesive surface covering
KR101885259B1 (ko) 다층 쿳션 매트 및 그 제조방법
CN101389450A (zh) 用于打孔热熔材料的方法
JPWO2010110312A1 (ja) 車両外装材用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車両外装材
JP4863294B2 (ja) 自動車用ダクト
JP5284514B2 (ja) 自動車用ダクトの製造方法
KR102217239B1 (ko) 미끄럼 방지 매트 제조방법
KR101655615B1 (ko) 자동차용 저중량 흡음형 대쉬 패드
WO2012143190A1 (en) Multi-layer laminate structure with reversible bonding
JP2882740B2 (ja) 成形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5594098B2 (ja) 面状採暖具
KR101446261B1 (ko) 흡음성이 우수한 자동차용 바닥재
JP2004122545A (ja) 熱成形性芯材及びこれを用いた自動車用内装材
JP3654821B2 (ja) 熱成形性芯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666371B1 (ko) 층간소음 차폐형 어린이용 매트의 제조방법
KR102018099B1 (ko) 쿠션 매트의 제조방법
JP2021014118A (ja) 平板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8111407A (ja) 車両用フロアカーペ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2512926A (ja) 熱可塑的に変形可能な繊維強化平面状半製品の製造方法
KR100696363B1 (ko) 열융착 매개 필름, 이를 사용한 진동, 소음 및 열 차단용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543446B1 (ko) 다층 쿠션보드 제조방법
KR102143956B1 (ko) 쿠션 매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