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6363B1 - 열융착 매개 필름, 이를 사용한 진동, 소음 및 열 차단용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융착 매개 필름, 이를 사용한 진동, 소음 및 열 차단용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6363B1
KR100696363B1 KR1020050013383A KR20050013383A KR100696363B1 KR 100696363 B1 KR100696363 B1 KR 100696363B1 KR 1020050013383 A KR1020050013383 A KR 1020050013383A KR 20050013383 A KR20050013383 A KR 20050013383A KR 100696363 B1 KR100696363 B1 KR 100696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film
layer
polyethylene
foam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3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2483A (ko
Inventor
안호열
Original Assignee
안호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호열 filed Critical 안호열
Priority to KR1020050013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6363B1/ko
Publication of KR20060092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2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6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6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13/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built-in electric generators
    • F21L13/06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built-in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e, e.g. spring
    • F21L13/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built-in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e, e.g. spring by reciprocating pusher actuated by h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4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40Hand grips
    • F21V21/406Hand grip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진동, 소음 및 열 차단용 적층체는 발포 폴리에틸렌 층; 발포 폴리스티렌 층; 및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층과 상기 발포 폴리스티렌 층 사이에 위치하는 열융착 매개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열융착 매개 필름의 제1 면은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층에 대한 열융착 친화력을 갖고 있고, 상기 열융착 매개 필름의 제2 면은 상기 발포 폴리스티렌 층에 대한 열융착 친화력을 갖고 있으며; 상기 열융착 매개 필름의 제1 면은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층에 열융착되어 있고, 상기 열융착 매개 필름의 제2 면은 상기 발포 폴리스티렌 층에 열융착되어 있다.
열융착 매개 필름, 진동, 소음 및 열 차단용 적층체

Description

열융착 매개 필름, 이를 사용한 진동, 소음 및 열 차단용 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 {thermal binding film, laminate for insulating vibration, noise and heat emloying the thermal binding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도 1은, 발포 폴리에틸렌 층과 발포 폴리스티렌 층의 사이에 위치하는 열융착 매개 필름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적층체의 일 구현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폴리에틸렌 필름; 및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의 일면에 코팅되어 있는 EVA(ethylene vinyl acetate) 수지 층을 포함하는 열융착 매개 필름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적층체의 다른 구현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폴리에틸렌 필름;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의 일면에 코팅되어 있는 제1 EVA(ethylene vinyl acetate) 수지 층; 및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의 다른 면에 코팅되어 있는 제2 EVA(ethylene vinyl acetate) 수지 층을 포함하는 열융착 매개 필름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적층체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열융착 매개 필름으로서 EVA 수지 필름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적층체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열융착 매개 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열융착 매개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된 진동, 소음 및 열 차단용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진동, 소음 및 열 차단용 적층체는 진동, 소음 또는 열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재료들이 적층되어 이루어진 다층구조의 재료이다. 이러한 적층체는, 예를 들면, 건축물의 바닥 또는 벽에 설치되어 진동과 소음의 차단 기능 및 단열 기능을 수행하는 건축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건물에 있어서, 상층과 하층의 경계는 콘크리트 슬래브로 이루어져 있다. 상층에서 발생한 진동 및 소음은, 상층 바닥의 마감재층, 보일러배관층, 기포콘크리트층 및 콘크리트 슬래브를 통하여, 하층에 전달된다. 이렇게 전달된 진동 및 소음은, 하층에 거주하는 사람에게 많은 스트레스를 가하게 된다. 쾌적한 주거환경의 유지 및 사생활 보호에 대한 요구가 점점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상하층간의 진동 및 소음을 차단할 수 있는 재료에 대한 수요 역시 날로 증가하고 있다. 그리하여, 진동, 소음 및 열 차단용 적층체의 개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진동, 소음 및 열 차단용 적층체의 재료로서는, 발포 폴리스티렌, 발포 폴리에틸렌, 발포 폴리우레탄, 발포 고무 등과 같은 발포 수지가 널리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3-31528호는, 다수개의 통공이 관통되어 있는 발포체와, 상기 다수개의 통공이 관통되어 있는 발포체의 하부에 통공이 없는 발포체를 열융착 및 접착제로 적층시키고, 상기 통공이 없는 발포체의 하부에 다수개의 통공이 관통되어 있는 발포체를 열융착 및 접착제로 적층시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소음단열 흡수적층체를 개시하고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68407호는, 스티로폼을 압축후 70~90%까지 복원시켜 얻어진 탄성강화스티로폼; 상기 탄성강화스티로폼의 적어도 일 표면에 접착되는 플라스틱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된 건축물의 층간 방음단열유니트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적층체는, 시공의 용이성을 위하여, 각 재료층들을 접합시키므로써 일체화되어 있다. 이러한 일체화를 통하여, 얇은 두께로 인하여 부서지기 쉬운 성질을 갖는 층은, 다른 두꺼운 층에 의하여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종래에는, 적층체의 서로 다른 재료층들을 접합시키기 위하여, 주로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특히, 발포 폴리에틸렌 층과 발포 폴리스티렌 층의 접합은, 상기 두 재료 간의 열융착 친화력의 취약성으로 인하여, 각 층의 변형을 일으키기 않은 채 서로 열융착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접착제에 의해서만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접착제의 사용은 제조비용상승 문제 뿐만아니라 심각한 환경 문제를 야기시킨다. 즉, 접착제로부터 발생되는, 벤젠, 톨루엔, 클로로포름, 아세톤, 스틸렌, 포름알데히드 등과 같은 휘발성유기화합물은 비염, 아토피성피부염, 두드러기, 천식, 두통, 기관지염 등과 같은 질병을 유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의 폐해는 새집증후군으로서 널리 알려져 있다.
따라서, 진동, 소음 및 열 차단용 적층체의 제조에 있어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각 재료층들을 접합시킬 수 있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틸렌 층과 폴리스티렌 층을 열융착에 의하여 접합시킬 수 있는 열융착 매개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상기 열융착 매개 필름을 사용한 진동, 소음 및 열 차단용 적층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상기 적층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진동, 소음 및 열 차단용 적층체는 발포 폴리에틸렌 층; 발포 폴리스티렌 층; 및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층과 상기 발포 폴리스티렌 층 사이에 위치하는 열융착 매개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열융착 매개 필름의 제1 면은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층에 대한 열융착 친화력을 갖고 있고, 상기 열융착 매개 필름의 제2 면은 상기 발포 폴리스티렌 층에 대한 열융착 친화력을 갖고 있으며; 상기 열융착 매개 필름의 제1 면은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층에 열융착되어 있고, 상기 열융착 매개 필름의 제2 면은 상기 발포 폴리스티렌 층에 열융착되어 있다.
진동, 소음 및 열 차단용 적층체에서 널리 사용되는 발포 폴리에틸렌과 발포 폴리스티렌은 서로 열융착되기가 매우 어렵다. 본 발명의 적층체에 있어서는, 열융착 매개 필름을 사용하므로써,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발포 폴리에틸렌 층과 발포 폴리스티렌 층을 일체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적층체는, 접착제로부터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의한 폐해를 원척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제품이다.
본 발명의 적층체 제조 방법은, 발포 폴리에틸렌 층에 대한 열융착 친화력을 갖는 제1면과 발포 폴리스티렌 층에 대한 열융착 친화력을 갖는 제2면을 갖는 열융착 매개 필름의 제2면에 발포 폴리스티렌 층을 열융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열융착 매개 필름의 제1면에 발포 폴리에틸렌 층을 열융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열융착 매개 필름의 제1구현예는, 폴리에틸렌 필름; 및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의 일면에 코팅되어 있는 EVA(ethylene vinyl acetate) 수지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열융착 매개 필름의 제2구현예는, 폴리에틸렌 필름;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의 일면에 코팅되어 있는 제1 EVA(ethylene vinyl acetate) 수지 층; 및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의 다른 면에 코팅되어 있는 제2 EVA(ethylene vinyl acetate) 수지 층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진동, 소음 및 열 차단용 적층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진동, 소음 및 열 차단용 적층체는 발포 폴리에틸렌 층; 발포 폴리스티렌 층; 및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층과 상기 발포 폴리스티렌 층 사이에 위치하는 열융착 매개 필름을 포함하는데,
상기 열융착 매개 필름의 제1 면은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층에 대한 열융착 친화력을 갖고 있고, 상기 열융착 매개 필름의 제2 면은 상기 발포 폴리스티렌 층에 대한 열융착 친화력을 갖고 있으며,
상기 열융착 매개 필름의 제1 면은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층에 열융착되어 있고, 상기 열융착 매개 필름의 제2 면은 상기 발포 폴리스티렌 층에 열융착되어 있다.
상기 열융착 매개 필름이라 함은, 그 일면이 열융착에 의하여 발포 폴리에틸렌과 용이하게 접합될 수 있고, 그 다른 면이 열융착에 의하여 발포 폴리스티렌과 용이하게 접합될 수 있는 열가소성수지 필름을 말한다.
예를 들면, 상기 열융착 매개 필름은, 폴리에틸렌 필름; 및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의 일면에 코팅되어 있는 EVA(ethylene vinyl acetate) 수지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은 발포 폴리에틸렌 층과 매우 용이하게 열융착된다. 상기 EVA 수지 층은 발포 폴리스티렌 층과 매우 용이하게 열융착된다.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약 20㎛ 미만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은 인장강도가 취약하여 2차가공에서 요구하는 물성치를 갖지 못 할 수 있고, 약 20㎛ 이상 약 30㎛미만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은 권취과정에서 두께의 불규칙 정도에 따라 고르게 펴지지 못하여 접힘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약 30㎛ 이상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은 비용면에서 경제성이 없을 수 있다. 또한,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의 경우, 권취시에 필름면끼리 달라붙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통상적으로, 슬립이 잘되도록 원료배합시 첨가제를 혼합하는데, 이러한 첨가제로 인하여 발포 폴리에틸렌과의 열융착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의 경우에는, 인장강도가 저밀도 폴리에틸렌 보다 강하기 때문에, 약 1㎛ ~ 약 30㎛ 또는 그 이상 까지의 어떠한 두께로도 생산이 가능하지만, 연화점 및 용융점이 발포 폴리에틸렌 보다 다소 높기 때문에 열융착 친화력이 다소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은,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는 약 10 내지 약 20 ㎛일 수 있다. 상기 EVA 수지 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는 약 10 내지 약 20 ㎛일 수 있다.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폴리에틸렌 필름의 예로서는, “하이덴필름(중앙화학)”등이 있다.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EVA 수지의 예로서는, “EVA-VL740(현대석유화학)”, “Hirodine7575(일본 Hirodine사)”, “Hirodine7373(일본 Hirodine사) ”, “EVA1125(한화석유화학)”, “EVA1159(한화석유화학)” 등이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열융착 매개 필름은, 폴리에틸렌 필름;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의 일면에 코팅되어 있는 제1 EVA(ethylene vinyl acetate) 수지 층; 및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의 다른 면에 코팅되어 있는 제2 EVA(ethylene vinyl acetate) 수지 층을 포함할 수 있다. EVA 수지는 발포 폴리에틸렌과도 양호하게 열융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EVA 수지 층은 발포 폴리에틸렌 층과 열융착되며, 상기 제2 EVA 수지 층은 발포 폴리스티렌 층과 열융착된다.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는 약 10 내지 약 20 ㎛일 수 있다. 상기 제1 EVA 수지 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는 약 10 내지 약 20 ㎛일 수 있다. 상기 제2 EVA 수지 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는 약 10 내지 약 20 ㎛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열융착 매개 필름은 EVA 수지 필름일 수 있다. 이 경우에, EVA 수지 필름의 일면은 발포 폴리에틸렌과 열융착되며, EVA 수지 필름의 다른 면은 발포 폴리스티렌과 열융착된다. EVA 수지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는 약 15 내지 약 30 ㎛일 수 있다.
발포 폴리에틸렌의 열융착시에, 고온의 열을 장시간 동안 가하면, 발포 폴리에틸렌의 과도한 용융이 발생하여, 발포도의 변화 및 기하학적 형태의 변화가 초래된다. 또한, 발포 폴리스티렌의 열융착시에도 마찬가지의 현상이 발생한다. 더우기, 발포 폴리에틸렌과 발포 폴리스티렌은 열융착에 의하여 서로 접합되기가 매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게다가, 진동, 소음 및 열 차단용 적층체의 제조에 사 용되는 발포 폴리에틸렌과 발포 폴리스티렌의 두께는 매우 두껍다. 통상적인 예를 들면, 진동, 소음 및 열 차단용 적층체에 사용되는 발포 폴리에틸렌의 두께는 약 1.5 ~ 약 5 cm 정도이고, 발포 폴리스티렌의 두께는 약 1 ~ 약 5 mm 정도이다. 이러한 두께를 갖는 발포 폴리에틸렌과 발포 폴리스티렌을 열융착에 의하여 직접 접합시키는 것은 매우 어렵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적층체에 있어서는, 열융착 매개 필름을 사용하므로써, 발포 폴리에틸렌 및 발포 폴리스티렌의 변형을 극소화시키면서, 열융착에 의하여 발포 폴리에틸렌과 발포 폴리스티렌을 용이하게 일체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층은, 진동, 소음 및 열 차단용 적층체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폴리에틸렌 발포체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 발포체는 발포 후 다시 압축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적층체 시공 두께와 차단 효과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통상적인 예를 들면,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층의 두께는 약 1.5 내지 약 5 cm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발포 폴리스티렌 층은, 진동, 소음 및 열 차단용 적층체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폴리스티렌 발포체일 수 있다. 상기 폴리스티렌 발포체는 발포 후 다시 압축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발포 폴리스티렌 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적층체 시공 두께와 차단 효과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통상적인 예를 들면, 상기 발포 폴리스티렌 층의 두께는 약 1 내지 약 5 mm 일 수 있다.
도 1에 본 발명의 적층체의 일 구현예를 도시하였다. 도 1의 적층체에서, 발포 폴리에틸렌 층(10)과 발포 폴리스티렌 층(20)의 사이에 열융착 매개 필름(30)이 위치하고 있으며, 발포 폴리에틸렌 층(10)은 열융착 매개 필름(30)의 제1면(윗면)에 열융착되어 있고, 발포 폴리스티렌 층(30)은 열융착 매개 필름(30)의 제2면(아랫면)에 열융착되어 있다.
도 2에 본 발명의 적층체의 다른 구현예를 도시하였다. 도 2의 적층체는, 폴리에틸렌 필름; 및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의 일면에 코팅되어 있는 EVA(ethylene vinyl acetate) 수지 층을 포함하는 열융착 매개 필름을 사용하고 있다. 도 2에서, 열융착 매개 필름(30)은 폴리에틸렌 필름(301)과 EVA 수지 층(302)로 이루어져 있다. 열융착 매개 필름(30)의 제1면은 폴리에틸렌 필름(301)인데, 발포 폴리에틸렌 층(10)에 열융착되어 있다. 열융착 매개 필름(30)의 제2면은 EVA 수지 층(302)인데, 발포 폴리스티렌 층(20)에 열융착되어 있다.
도 3에 본 발명의 적층체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하였다. 도 3의 적층체는, 폴리에틸렌 필름;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의 일면에 코팅되어 있는 제1 EVA(ethylene vinyl acetate) 수지 층; 및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의 다른 면에 코팅되어 있는 제2 EVA(ethylene vinyl acetate) 수지 층을 포함하는 열융착 매개 필름을 사용하고 있다. 도 3에서, 열융착 매개 필름(30)은 폴리에틸렌 필름(301), 제1 EVA 수지 층(302) 및 제2 EVA 수지 층(303)으로 이루어져 있다. 열융착 매개 필름(30)의 제1면은 제2 EVA 수지 층(303)인데, 발포 폴리에틸렌 층(10)에 열융착되어 있다. 열융착 매개 필름(30)의 제2면은 제1 EVA 수지 층(302)인데, 발포 폴리스티렌 층(20)에 열융착되어 있다.
도 4에 본 발명의 적층체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하였다. 도 4의 적층체는 열융착 매개 필름으로서 EVA 수지 필름(304)을 사용하고 있다. 발포 폴리에틸렌 층(10)은 EVA 수지 필름(304)의 제1면(윗면)에 열융착되어 있고, 발포 폴리스티렌 층(30)은 EVA 수지 필름(304)의 제2면(아랫면)에 열융착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적층체에서는, 열융착 매개 필름을 사용하므로써,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발포 폴리에틸렌 층과 발포 폴리스티렌 층이 일체화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접착제로부터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의한 폐해가 원척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열융착 매개 필름은 통상적으로 접착제 보다 저렴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적층체의 제조비용은 저감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진동, 소음 및 열 차단용 적층체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적층체 제조 방법은, 발포 폴리에틸렌 층에 대한 열융착 친화력을 갖는 제1면과 발포 폴리스티렌 층에 대한 열융착 친화력을 갖는 제2면을 갖는 열융착 매개 필름의 제2면에 발포 폴리스티렌 층을 열융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열융착 매개 필름의 제1면에 발포 폴리에틸렌 층을 열융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적층체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열융착 매개 필름, 발포 폴리에틸렌 층 및 발포 폴리스티렌 층의 자세한 사항은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적층체 제조 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열융착 단계는 가열 및 압착 공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가열은, 예를 들면, 히터가 내장된 롤러 또는 버너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버너를 사용할 경우, 가열시간을 적절히 선택하여, 각 재료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으면서 적절한 융착강도가 실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재료가 버너를 통과하는 속도를 약 80 ~ 약 110 m/min 정도로 할 수 있다. 압착은, 예를 들면, 두개의 롤러 사이에 재료를 통과시키므로써 수행될 수 있다.
열융착 단계의 온도, 압력 및 시간은, 각 재료의 연화점과 얻고자 하는 융착 강도 등을 고려하여, 발포 폴리에틸렌 층과 발포 폴리스티렌 층의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포 폴리에틸렌 층과 폴리에틸렌 필름의 열융착 온도는 약 100 내지 약 150 ℃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발포 폴리에틸렌 층과 EVA 수지 층의 열융착 온도는 약 80 내지 약 130 ℃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발포 폴리스티렌 층과 EVA 수지 층의 열융착 온도는 약 80 내지 약 130 ℃ 일 수 있다. 열융착 단계의 온도가 높을 수록 열융착 단계의 시간은 짧아질 수 있다.
주목할 점은, 본 발명의 적층체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발포 폴리에틸렌과 발포 폴리스티렌에 대한 열융착 친화력을 갖는 열융착 매개 필름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열융착 공정의 온도, 압력 및 시간의 수치를 낮출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적층체 제조 방법은, 발포 폴리에틸렌 층과 발포 폴리스티렌 층의 변형을 최소화시키면서, 발포 폴리에틸렌 층과 발포 폴리스티렌 층을 열융착에 의하여 매우 용이하게 일체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체 제조 방법의 다른 구현예에서는, 발포 폴리에틸렌 층에 대 한 열융착 친화력을 갖는 제1면과 발포 폴리스티렌 층에 대한 열융착 친화력을 갖는 제2면을 갖는 열융착 매개 필름의 제2면에 발포 폴리스티렌 층을 열융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열융착 매개 필름의 제1면에 발포 폴리에틸렌 층을 열융착시키는 단계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발포 폴리에틸렌 층, 열융착 매개 필름 및 발포 폴리스티렌 층을 같이 공급하면서, 가열 및 압착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열융착 매개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열융착 매개 필름의 제1구현예는, 폴리에틸렌 필름; 및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의 일면에 코팅되어 있는 EVA(ethylene vinyl acetate) 수지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열융착 매개 필름의 제2구현예는, 폴리에틸렌 필름;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의 일면에 코팅되어 있는 제1 EVA(ethylene vinyl acetate) 수지 층; 및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의 다른 면에 코팅되어 있는 제2 EVA(ethylene vinyl acetate) 수지 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열융착 매개 필름의 구현예들의 자세한 사항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러한 열융착 매개 필름은, 예를 들면, 공압출라이네이팅법과 같은 통상적인 필름제조기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필름의 표면에 EVA 수지의 용융액을 코팅하므로써, 제1구현예의 열융착 매개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구현예의 열융착 매개 필름의 제1면에 EVA 수지의 용융액을 코팅하므로써, 제2구현예의 열융착 매개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은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열융착 매개 필름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더 이상 자세히 언급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 폴리에틸렌 필름/EVA 수지
공압출라미네이팅법을 사용하여, 폴리에틸렌 필름(하이덴필름, 중앙화학, 15㎛)의 일면에 EVA 수지(EVA-VL740, 현대석유화학)의 용융액(270℃)을 코팅한 후 냉각하여, 열융착 매개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열융착 매개 필름의 EVA 수지 층의 두께는 15 ㎛ 이었다.
발포 폴리스티렌(PS, ㈜익산, 3mm)과 상기 열융착 매개 필름을 히터내장롤러(110 ℃)와 압착롤러의 사이로 통과시켜, 발포 폴리스티렌을 상기 열융착 매개 필름의 EVA 수지층에 열융착시켰다. 이때, 상기 열융착 매개 필름이 히터내장롤러와 접촉하도록 하였다.
그 다음, 발포 폴리에틸렌(하나론, ㈜한성수지, 15mm)과, 열융착 매개 필름이 부착되어 있는 발포 폴리스티렌을, 두개의 롤러의 사이로 통과시켜, 발포 폴리에틸렌을 열융착 매개 필름의 폴리에틸렌 필름 위에 열융착시켰다. 이때, 가열은, 두개의 롤러 사이에 투입되기 직전에, 발포 폴리에틸렌과 발포 폴리스티렌의 표면 쪽으로 버너를 가하므로써 수행되었다. 버너를 통과하는 상기 재료의 이송속도는 90 m/min 이었다. 이렇게 얻은 적층체는, 취급과 시공에 충분한 정도의 융착강도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2 --- EVA 수지/폴리에틸렌 필름/EVA 수지
공압출라미네이팅법을 사용하여, 폴리에틸렌 필름(하이덴필름, 중앙화학, 15㎛)의 양면에 EVA 수지(EVA-VL740, 현대석유화학)의 용융액(270℃)을 코팅한 후 냉각하여, 열융착 매개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열융착 매개 필름의 제1 및 제2 EVA 수지 층의 두께는 각각 15 ㎛ 이었다.
발포 폴리스티렌(PS, ㈜익산, 3mm)과 상기 열융착 매개 필름을 두개의 롤러의 사이로 통과시켜, 발포 폴리스티렌을 상기 열융착 매개 필름의 제1 EVA 수지층에 열융착시켰다. 이때, 가열은, 두개의 롤러 사이에 투입되기 직전에, 발포 폴리스티렌과 열융착 매개 필름의 표면 쪽으로 버너를 가하므로써 수행되었다. 버너를 통과하는 상기 재료의 이송속도는 90 m/min 이었다.
그 다음, 발포 폴리에틸렌(하나론, ㈜한성수지, 15mm)과, 열융착 매개 필름이 부착되어 있는 발포 폴리스티렌을, 두개의 롤러의 사이로 통과시켜, 발포 폴리에틸렌을 열융착 매개 필름의 제2 EVA 수지층 위에 열융착시켰다. 이때, 가열은, 두개의 롤러 사이에 투입되기 직전에, 발포 폴리에틸렌과 발포 폴리스티렌의 표면 쪽으로 버너를 가하므로써 수행되었다. 버너를 통과하는 상기 재료의 이송속도는 90 m/min 이었다. 이렇게 얻은 적층체는, 취급과 시공에 충분한 정도의 융착강도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적층체에 있어서, 열융착 매개 필름을 사용하므로써, 발포 폴리에틸렌 및 발포 폴리스티렌의 변형을 극소화시키면서, 열융착에 의하여 발포 폴리에틸렌과 발포 폴리스티렌을 용이하게 일체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체에서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발포 폴리에틸렌 층과 발포 폴리스티렌 층이 일체화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접착제로부터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의한 폐해가 원척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열융착 매개 필름은 통상적으로 접착제 보다 저렴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적층체의 제조비용은 저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체는, 진동, 소음 또는 열 차단기능이 우수한 발포 폴리에틸렌과 발포 폴리스티렌을 복합적으로 가지고 있으므로, 매우 우수한 진동, 소음 및 열 차단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체는, 발포 폴리에틸렌 층과 발포 폴리스티렌 층이 열융착 매개 필름을 매개체로 하여 견고하게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매우 우수한 취급용이성 및 시공용이성을 발휘할 수 있다.

Claims (8)

  1. 발포 폴리에틸렌 층, 발포 폴리스티렌 층, 및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층과 상기 발포 폴리스티렌 층 사이에 위치하는 열융착 매개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열융착 매개 필름의 제1 면은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층에 대한 열융착 친화력을 갖고 있고, 상기 열융착 매개 필름의 제2 면은 상기 발포 폴리스티렌 층 에 대한 열융착 친화력을 갖고 있으며;
    상기 열융착 매개 필름의 제1 면은 상기 발포 폴리에틸렌 층에 열융착되어 있고, 상기 열융착 매개 필름의 제2 면은 상기 발포 폴리스티렌 층에 열융착되어 있는, 진동, 소음 및 열 차단용 적층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융착 매개 필름이, 폴리에틸렌 필름; 및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의 일면에 코팅되어 있는 EVA(ethylene vinyl acetate) 수지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소음 및 열 차단용 적층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융착 매개 필름이, 폴리에틸렌 필름;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의 일면에 코팅되어 있는 제1 EVA 수지 층; 및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의 다른 면에 코팅되어 있는 제2 EVA 수지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소음 및 열 차단용 적층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융착 매개 필름이 EVA 수지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소음 및 열 차단용 적층체.
  5. 발포 폴리에틸렌 층에 대한 열융착 친화력을 갖는 제1면과 발포 폴리스티렌 층에 대한 열융착 친화력을 갖는 제2면을 갖는 열융착 매개 필름의 제2면에 발포 폴리스티렌 층을 열융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열융착 매개 필름의 제1면에 발포 폴 리에틸렌 층을 열융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동, 소음 및 열 차단용 적층체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발포 폴리에틸렌 층에 대한 열융착 친화력을 갖는 제1면과 발포 폴리스티렌 층에 대한 열융착 친화력을 갖는 제2면을 갖는 열융착 매개 필름의 제2면에 발포 폴리스티렌 층을 열융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열융착 매개 필름의 제1면에 발포 폴리에틸렌 층을 열융착시키는 단계를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소음 및 열 차단용 적층체 제조 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050013383A 2005-02-18 2005-02-18 열융착 매개 필름, 이를 사용한 진동, 소음 및 열 차단용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696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383A KR100696363B1 (ko) 2005-02-18 2005-02-18 열융착 매개 필름, 이를 사용한 진동, 소음 및 열 차단용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383A KR100696363B1 (ko) 2005-02-18 2005-02-18 열융착 매개 필름, 이를 사용한 진동, 소음 및 열 차단용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5394A Division KR20060109387A (ko) 2006-09-05 2006-09-05 열융착 매개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2483A KR20060092483A (ko) 2006-08-23
KR100696363B1 true KR100696363B1 (ko) 2007-03-21

Family

ID=37593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3383A KR100696363B1 (ko) 2005-02-18 2005-02-18 열융착 매개 필름, 이를 사용한 진동, 소음 및 열 차단용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63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696B1 (ko) 2011-09-05 2012-08-09 부옥물산주식회사 차음재패널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705B1 (ko) * 2014-04-30 2014-07-11 주식회사 서린 건축물용 바닥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4124A (ko) 2000-06-21 2001-12-29 임기태 이브이에이폐재 가공물과 섬유뿜칠재를 이용한 단열,층간소음방지 기능의 공동주택 바닥구조
KR20030009237A (ko) 2002-11-06 2003-01-29 조훈희 폐합성 수지와 탄성 발포체를 이용한 공동 주택 바닥 시공법
KR200329333Y1 (ko) 2003-07-23 2003-10-08 세원화성 주식회사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층간저감재
KR200411167Y1 (ko) 2005-11-05 2006-03-10 서희교 건축물의 층간소음 방지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4124A (ko) 2000-06-21 2001-12-29 임기태 이브이에이폐재 가공물과 섬유뿜칠재를 이용한 단열,층간소음방지 기능의 공동주택 바닥구조
KR20030009237A (ko) 2002-11-06 2003-01-29 조훈희 폐합성 수지와 탄성 발포체를 이용한 공동 주택 바닥 시공법
KR200329333Y1 (ko) 2003-07-23 2003-10-08 세원화성 주식회사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층간저감재
KR200411167Y1 (ko) 2005-11-05 2006-03-10 서희교 건축물의 층간소음 방지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696B1 (ko) 2011-09-05 2012-08-09 부옥물산주식회사 차음재패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2483A (ko) 2006-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14333A1 (en) Prepregs, cores, composites and articles including repellent materials
KR101923768B1 (ko) 폴리염화비닐 폼 결합 매트 및 제조방법
WO2007008442A3 (en) Three layer composite panel from recycled polyurethanes
KR101521474B1 (ko) 단열성이 개선된 단열재
KR20170092761A (ko) 실내 내장재용 보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 보드를 이용한 실내 내장재
KR100593562B1 (ko) 층간소음 방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696363B1 (ko) 열융착 매개 필름, 이를 사용한 진동, 소음 및 열 차단용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
EP3230536A1 (en) Vertically lapped fibrous flooring
CA2617021C (en) Composite insulated building panel
KR101558953B1 (ko) 단열성이 개선된 반사형 단열재
KR101987040B1 (ko)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건축용 단열재
TW201144071A (en) Insulation material providing structural integrity and building elements and composites made thereof
EP3094483B1 (en) Support layer of an insulation panel for construction
KR200423574Y1 (ko) 건축용 반사 단열재
KR20060109387A (ko) 열융착 매개 필름
JP3777838B2 (ja) 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71696B1 (ko) 차음재패널 및 그 제조방법
TWM635777U (zh) 隔音墊多層次結構
KR20220101047A (ko) 난연 및 내화성이 향상된 복합 단열재
CN203317831U (zh) 一种pvc发泡塑料复合板
JP4172373B2 (ja) 床暖房用温水マットの敷設方法
US3211597A (en) Method of roof construction
JPH11117453A (ja) 建築用板
JPH1177887A (ja) 複合シートとその製造法
JP2014121809A (ja) 内装材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