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4883B1 - 기능성 쿠션매트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쿠션매트 - Google Patents

기능성 쿠션매트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쿠션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4883B1
KR102394883B1 KR1020210001900A KR20210001900A KR102394883B1 KR 102394883 B1 KR102394883 B1 KR 102394883B1 KR 1020210001900 A KR1020210001900 A KR 1020210001900A KR 20210001900 A KR20210001900 A KR 20210001900A KR 102394883 B1 KR102394883 B1 KR 102394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foam sheet
sheet
forming step
functional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용
Original Assignee
신승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승용 filed Critical 신승용
Priority to KR1020210001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8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6After-treatment of articles, e.g. for altering the shape
    • B29C44/5681Covering the foamed object with, e.g. a l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2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6After-treatment of articles, e.g. for altering the shape
    • B29C44/569Shaping and joining components with different densities or hard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 B29C65/743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using the same tool for both joining and severing, said tool being monobloc or formed by several parts mounted together and forming a monobl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11/00Finished upholstery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68G11/04Finished upholstery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mainly composed of resilient materials, e.g. of foam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5/00Resilient upholstery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05Covering or enveloping cores of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3/00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 B29C2793/0027Cutting 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arp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쿠션매트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쿠션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쿠션력과 복원력이 우수하고 바닥 밀착력이 탁월하여 외부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바닥면에 미끌리지 않으면서 사람이 오래 딛고 서있어도 무릎관절에 가해지는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매트의 좌우측변 마감과 상하변의 효율적인 마감처리에 의해 매트 상하좌우변에 사람의 피부가 스치더라도 인체에 해를 입히지 않으며 매트 상면에 투하된 이물질을 매트의 외부로 쉽게 제거할 수 있는 기능성 쿠션매트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쿠션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쿠션매트 제조방법(1)은, 폴리에틸렌 수지를 발포하여 소정 폭, 소정 두께 및 소정 길이의 폴리에틸렌폼시트(PE폼시트)(100)를 성형하는 매트심재 형성단계(S1)와; PVC수지를 발포하여 소정 폭, 소정 두께 및 소정 길이의 PVC폼시트(200)를 형성하는 PVC폼시트 형성단계(S2)와; 상기 PVC폼시트(200)의 상면에 상기 PVC폼시트(200)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디자인필름(211)이 열융착 되고, 또한 상기 디자인필름(211)의 상면에 상기 디자인필름(211)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보호필름(212)이 열융착 되어 일체로써의 상부시트(210)를 형성하는 상부시트 형성단계(S3)와; 상기 PVC폼시트(200) 하면에 상기 PVC폼시트(200)의 크기와 동일 크기의 실리콘 또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된 논슬립필름(221)이 열융착 되어 일체로써의 하부시트(220)를 형성하는 하부시트 형성단계(S4)와; 상기 PE폼시트(100)의 상,하면에 상부시트(210)와 하부시트(220)를 각각 열융착 접합하여 매트원단(300)을 형성한 후, 상기 매트원단(300)을 절단칼(500')로 일정 길이로 절단함으로써 소정 길이의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단위매트(400)를 형성하는 단위매트 형성단계(S5)와; 상기 단위매트 형성단계(S5)에서 절단 형성된 상기 단위매트(400)의 상,하변을 마감처리하여 본 발명의 기능성 쿠션매트(2)의 형성을 완성하는 단위매트 상,하변 마감처리단계(S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쿠션매트(2)는 상기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쿠션력과 복원력이 우수하고 바닥 밀착력이 탁월하여 외부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바닥면에 미끌리지 않으면서, 사람이 오래 딛고 서있어도 무릎관절에 가해지는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매트의 좌우측변 마감과 상하변의 효율적인 마감처리에 의해 매트 상하좌우변에 사람의 피부가 스치더라도 인체에 해를 입히지 않으며, 생산속도가 증대되어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고, 매트 상면에 투하된 이물질을 매트의 외부로 쉽게 제거할 수 있는 기능성 쿠션매트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쿠션매트가 제공되게 된다.

Description

기능성 쿠션매트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쿠션매트{The functionality cushion mat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functionality cushion mat manufactured with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기능성 쿠션매트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쿠션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쿠션력과 복원력이 우수하고 바닥 밀착력이 탁월하여 외부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바닥면에 미끌리지 않으면서 사람이 오래 딛고 서있어도 무릎관절에 가해지는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매트의 좌우측변 마감과 상하변의 효율적인 마감처리에 의해 매트 상하좌우변에 사람의 피부가 스치더라도 인체에 해를 입히지 않으며 매트 상면에 투하된 이물질을 매트의 외부로 쉽게 제거할 수 있는 기능성 쿠션매트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쿠션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의 거실 등의 실내의 바닥은 물론 야외에서도 매트 하부의 바닥으로부터 전해지는 냉기 및 습기를 차단하고 높은 위치에서의 점프시에 쿠션을 확보하여 무릎관절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쿠션매트가 사용되고 있다.
쿠션매트의 제작에 사용되는 재질로는 탄성력이 탁월한 재질로 알려진 PE재질의 쿠션매트와 충격 흠수력이 탁월한 PVC재질의 쿠션매트를 들 수 있다.
상기 PE재질의 쿠션매트는, 저발포된 경질의 독립기포 구조로 되어 있어 외부충격에 대한 반발력 즉 탄성력은 좋으나 신축성이 떨어져 일정한 힘 이상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기포구조가 파괴되어 복원력이 약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PVC재질의 쿠션매트는, 쿠션기능과 복원기능이 탁월하고 무게감이 있어 바닥에 밀리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PE재질에 비해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싸기 때문에 매트의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단점이 있고, 가소제로 사용되는 프탈레이트로부터 인체에 해로운 환경호르몬이 유출될 수 있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종래의 쿠션매트는, 주로 일정한 두께로 발포하여 형성한 쿠션부재의 표면 및 이면에 커버지를 합지하고 가장자리 부분에 마감부재를 감싸고 재봉으로 해리처리 마감 형성한 쿠션매트 구조로 되어 있었다.
따라서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제조공정상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쿠션매트의 생산 속도가 느려 생산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즉, 종래의 쿠션매트는 제조공정상에서 4변을 천으로 덧대어 재봉으로 해리처리를 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마감테두리가 상부시트와 하부시트에 덧대어진 상태에서 봉제되기 때문에 상부시트와 하부시트를 감싸는 형태가 되어 사람의 피부가 상부시트에 닿은 상태에서 쏠리는 경우 마감테두리에 의해 피부가 벗겨질 염려가 있고, 상부시트에 이물질이 떨어져 밖으로 쓸어내는 경우 해리처리된 마감테두리부에 걸려 이물질을 매트 밖으로 쓸어내기가 쉽지 않으며, 장시간 사용하다 보면 마감테투리부가 뜯어져 가장자리 부분이 풀려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쿠션력과 복원력이 우수하고 바닥 밀착력이 탁월하여 외부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바닥면에 미끌리지 않으면서 사람이 오래 딛고 서있어도 무릎관절에 가해지는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매트의 좌우측변 마감과 상하변의 효율적인 마감처리에 의해 매트 상하좌우변에 사람의 피부가 스치더라도 인체에 해를 입히지 않으며 생산속도가 증대되어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고 매트 상면에 투하된 이물질을 매트의 외부로 쉽게 제거할 수 있는 기능성 쿠션매트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쿠션매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쿠션매트 제조방법(1)은, 폴리에틸렌 수지를 발포하여 소정 폭, 소정 두께 및 소정 길이의 폴리에틸렌폼시트(PE폼시트)(100)를 성형하는 매트심재 형성단계(S1)와; PVC수지를 발포하여 소정 폭, 소정 두께 및 소정 길이의 PVC폼시트(200)를 형성하는 PVC폼시트 형성단계(S2)와; 상기 PVC폼시트(200)의 상면에 상기 PVC폼시트(200)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디자인필름(211)이 열융착 되고, 또한 상기 디자인필름(211)의 상면에 상기 디자인필름(211)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보호필름(212)이 열융착 되어 일체로써의 상부시트(210)를 형성하는 상부시트 형성단계(S3)와; 상기 PVC폼시트(200) 하면에 상기 PVC폼시트(200)의 크기와 동일 크기의 실리콘 또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된 논슬립필름(221)이 열융착 되어 일체로써의 하부시트(220)를 형성하는 하부시트 형성단계(S4)와; 상기 PE폼시트(100)의 상,하면에 상부시트(210)와 하부시트(220)를 각각 열융착 접합하여 매트원단(300)을 형성한 후, 상기 매트원단(300)을 절단칼(500')로 일정 길이로 절단함으로써 소정 길이의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단위매트(400)를 형성하는 단위매트 형성단계(S5)와; 상기 단위매트 형성단계(S5)에서 절단 형성된 상기 단위매트(400)의 상,하변을 마감처리하여 본 발명의 기능성 쿠션매트(2)의 형성을 완성하는 단위매트 상,하변 마감처리단계(S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쿠션매트(2)는 상기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쿠션력과 복원력이 우수하고 바닥 밀착력이 탁월하여 외부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바닥면에 미끌리지 않으면서, 사람이 오래 딛고 서있어도 무릎관절에 가해지는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매트의 좌우측변 마감과 상하변의 효율적인 마감처리에 의해 매트 상하좌우변에 사람의 피부가 스치더라도 인체에 해를 입히지 않으며 생산속도가 증대되어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고 매트 상면에 투하된 이물질을 매트의 외부로 쉽게 제거할 수 있는 기능성 쿠션매트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쿠션매트가 제공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기능성 쿠션매트 제조방법 흐름도이다.
도2의 (a)(b)는, PE폼시트의 독립기포조직 단일구조와 PVC폼시트의 독립기포조직과 연속기포조직의 혼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3은, 상부시트 형성과정 설명도이다.
도4는, 하부시트 형성과정 설명도이다.
도5는, 상부시트와 하부시트를 열융착하여 매트원단을 형성한 후 소정길이로 절단하여 단위매트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6 및 도7은, 단위매트의 상,하변을 각각 열칼로 절개하여 용융시킨후 상,하변을 프레스로 압착하여 본 발명의 기능성 쿠션매트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인 기능성 쿠션매트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쿠션매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었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 동일한 명칭으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인 기능성 쿠션매트 제조방법 흐름도이고, 도2의 (a)(b)는, PE폼시트의 독립기포조직 단일구조와 PVC폼시트의 독립기포조직과 연속기포조직의 혼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3은, 상부시트 형성과정 설명도이고, 도4는, 하부시트 형성과정 설명도이고, 도5는, 상부시트와 하부시트를 열융착하여 매트원단을 형성한 후 소정길이로 절단하여 단위매트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6 및 도7은, 단위매트의 상,하변을 각각 열칼로 절개하여 용융시킨후 상,하변을 프레스로 압착하여 본 발명의 기능성 쿠션매트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첨부한 도1 내지 도7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기능성 쿠션매트 제조방법(1)은, 폴리에틸렌 수지를 발포하여 소정 폭, 소정 두께 및 소정 길이의 폴리에틸렌폼시트(PE폼시트)(100)를 성형하는 매트심재 형성단계(S1)와; PVC수지를 발포하여 소정 폭, 소정 두께 및 소정 길이의 PVC폼시트(200)를 형성하는 PVC폼시트 형성단계(S2)와; 상기 PVC폼시트(200)의 상면에 상기 PVC폼시트(200)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디자인필름(211)이 열융착 되고, 또한 상기 디자인필름(211)의 상면에 상기 디자인필름(211)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보호필름(212)이 열융착 되어 일체로써의 상부시트(210)를 형성하는 상부시트 형성단계(S3)와; 상기 PVC폼시트(200) 하면에 상기 PVC폼시트(200)의 크기와 동일 크기의 실리콘 또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된 논슬립필름(221)이 열융착 되어 일체로써의 하부시트(220)를 형성하는 하부시트 형성단계(S4)와; 상기 PE폼시트(100)의 상,하면에 상부시트(210)와 하부시트(220)를 각각 열융착 접합하여 매트원단(300)을 형성한 후, 상기 매트원단(300)을 절단칼(500')로 일정 길이로 절단함으로써 소정 길이의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단위매트(400)를 형성하는 단위매트 형성단계(S5)와; 상기 단위매트 형성단계(S5)에서 절단 형성된 상기 단위매트(400)의 상,하변을 마감처리하여 본 발명의 기능성 쿠션매트(2)의 형성을 완성하는 단위매트 상,하변 마감처리단계(S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쿠션매트(2)는 상기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각 단계별로 좀더 자세히 설명한다.
1. 매트심재 형성단계(S1)
일반적으로 쿠션매트의 제작공정은, 원료를 배합 발포하여 원단시트를 생성하고 원단시트를 코팅(라미네이팅)한 후 원단시트를 합지하여 형성된 가공품을 절단하고 검수 및 포장하여 보관하는 공정을 거쳐 생산되게 된다.
우선 첫번째 과정으로 매트심재 형성단계(S1)는, 폴리에틸렌 수지를 발포하여 소정 폭, 소정 두께 및 소정 길이의 매트심재인 폴리에틸렌폼시트(PE폼시트)(100)를 성형하는 단계이다.
상기 매트심재 형성단계(S1)에서의 상기 매트심재는, PE폼시트(100)에 국한되지 않고, 수지(樹指)를 발포하여 소정 폭, 소정 두께 및 소정 길이로 성형되는 PU폼시트, PS폼시트, PP폼시트, EVA폼시트 및 PET폼시트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매트심재로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매트심재로써 폴리에틸렌폼시트(PE폼시트)(100)를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하나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매트심재를 이에 국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PE폼시트(100)는, 첨부한 도2(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저발포된 경질의 독립기포(independent foam, if) 구조로 되어 있어 외부충격에 대한 반발력 즉 탄성력은 좋으나 신축성이 떨어져 일정한 힘 이상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기포구조가 파괴되어 복원력이 약해지는 단점이 있다.
여기서 독립기포란, 수지(樹指) 등을 발포하여 만든 보온재에서 재료 중의 기포가 서로 완전히 독립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즉, 상기 PE폼시트(100)는, 가볍고, 저렴하나 쿠션력,복원력이 떨어지고 특히 바닥과의 밀착력이 나빠 외부 힘이 가해졌을 때에는 바닥면으로부터 미끄러질 우려가 있어 안전사고를 유발할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PE폼시트(100)는, 주로 매트의 외부 충격으로부터의 반발력 즉 탄성력을 발휘하기 위한 매트 심재로써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PE폼시트(100)는, 매트 중앙부의 매트심재인 쿠션부를 형성하기 위해 롤(ROLL)형태로 제공되게 된다.
2. PVC폼시트 형성단계(S2)
상기 PVC폼시트 형성단계(S2)는, PVC수지를 발포하여 소정 폭, 소정 두께 및 소정 길이의 PVC폼시트(20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매트심재 형성단계(S1)에서 형성되는 상기 PE폼시트(100)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상기 PE폼시트(100)의 외부 상,하면에 고발포 된 PVC폼시트(200)가 열융착 접합된다.
물론 고주파 접합도 가능하다.
상기 PVC폼시트(200)는, 상기 PE폼시트(100) 보다 얇은 두께로 고발포 성형되며, 상기 PE폼시트(100)의 외부에 열융착 접합 된다.
상기 PVC폼시트(200)는, 도2(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독립기포와 연속기포의 혼합된 구조로 되어 있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복원력이 좋고 쿠션력이 좋아 충격 흡수가 잘되고 비교적 중량이어서 바닥 밀착력이 좋아 외부 충격시 바닥면에서 미끄러지지 않아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반면에 상대적으로 고가이어서 생산 비용이 높아 가격경쟁력이 뒤떨어지게 되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여기서 독립기포란, 수지(樹指) 등을 발포하여 만든 보온재에서 재료 중의 기포가 서로 완전히 독립되어 있는 것을 말하고, 연속 기포 (連續氣泡, open-cell, oc)란, 기포 막에 의하여 완전히 덮여 있지 않고 다른 기포나 외부와 연결되는 기포를 말한다.
따라서 상기 PVC폼시트(200)는, 매트의 외부 충격으로부터의 복원력과 충격흡수 및 바닥 밀착력을 발휘하기 위하여 주로 매트의 외장재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PVC폼시트(200)는, 매트원단(300)의 상부시트(210)와 하부시트(220)를 형성하기 위해 롤(ROLL)형태로 제공되게 된다.
3. 상부시트 형성단계(S3)
상기 상부시트 형성단계(S3)는, 도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PVC폼시트(200)의 상면에 상기 PVC폼시트(200)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디자인필름(211)이 열융착 되고, 또한 상기 디자인필름(211)의 상면에 상기 디자인필름(211)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보호필름(212)이 열융착 되어 일체로써의 상부시트(21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상부시트(210) 상면의 디자인필름(211)에 의해 매트의 상면에 여러가지의 아름다운 무늬를 연출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디자인필름(211)의 상면에 코팅된 보호필름(212)에 의해 매트의 상면에 액상의 이물질이 떨어졌을 때 이물질이 매트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매트 상면의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시트 형성단계(S3)에서의 상기 상부시트(210)는, 좌,우측변에 형성된 소정폭의 연장부(201)의 폭만큼 매트심재인 상기 PE폼시트(100)의 좌우폭보다 넓게 형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상부시트(210)는, 매트원단(300)을 형성하기 위해 롤(ROLL)형태로 제공되게 된다.
4. 하부시트 형성단계(S4)
상기 하부시트 형성단계(S4)는, 도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PVC폼시트(200) 하면에 상기 PVC폼시트(200)의 크기와 동일 크기의 실리콘 또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된 논슬립필름(221)이 열융착 되어 일체로써의 하부시트(22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와 같이 PVC폼시트(200)의 하면에 실리콘 또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논슬립필름(221)이 융착되어 일체로서 형성됨으로써 매트의 외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졌을 때에도 매트가 바닥면에 밀착되어 바닥면에서 미끄러지지 않는 안전한 쿠션매트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시트 형성단계(S4)에서의 상기 하부시트(220)는, 좌,우측변에 형성된 소정폭의 연장부(201)의 폭만큼 상기 PE폼시트(100)의 좌우폭보다 넓게 형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하부시트(220)는, 매트원단(300)을 형성하기 위해 롤(ROLL)형태로 제공되게 된다.
5. 단위매트 형성단계(S5)
매트의 사용 목적은 아이들이나 애완 동물이 실내의 소파, 침대 등 높은 데에서 낮은 데로 뛰어 내렸을 때 소음을 방지하고 무릎관절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PE폼시트(100)는, 외부 충격에 반발하는 힘 즉 탄성력이 좋은 편이다.
또한, 상기 PVC폼시트(200)는, 충격을 완화하여 충격흡수효과 즉 완충력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일반 바닥면보다는 PE폼시트(100)가 충격흡수효과가 높고 상기 PE폼시트(100)보다는 PVC폼시트(200)가 충격흡수효과가 더 높으므로 사람이 매트 위에 오래 서있기 위해서는 PVC폼시트(200)가 PE폼시트(100)보다 더 효과적이다.
그러나, 상기 PVC폼시트(200)는 상대적으로 무겁고 고가이어서 단독으로 쿠션매트(1)를 형성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매트 구조는 PVC폼시트(200)의 두께보다 충격흡수효과가 더 높은 PE폼시트(100)의 두께가 더 두꺼운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위매트 형성단계(S5)는, 도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PE폼시트(100)의 상,하면에 상부시트(210)와 하부시트(220)를 각각 열융착 접합하여 매트원단(300)을 형성한 후 상기 매트원단(300)을 절단칼(500')로 일정 길이로 절단함으로써 소정 길이의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단위매트(40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PE폼시트(100)의 상,하면에 상부시트(210)와 하부시트(220)가 각각 열융착 접합됨과 동시에 상기 PE폼시트(10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 PVC폼시트(200)인 상부시트(210)와 하부시트(220)의 좌,우측변 연장부(201)가 각각 서로 열융착 접합됨으로써 매트원단(300)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장부(201)를, 첨부한 도5의 확대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하부프레스(610)(620)에 의해 압착 접합함으로써 매트원단(300)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상부시트(210)와 하부시트(220)의 좌,우측변의 연장부(201)가 각각 열융착 접합 또는 상,하부프레스(610)(620)에 의해 압착 접합되어 매트원단(300)이 형성되므로, 매트의 좌,우측변이 날카롭지 않아 사람의 피부에 스쳤을 때에도 인체에 상처를 줄 염려가 없고, 좌,우측변이 상면과 턱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매트 윗면에 액상의 이물질이 떨어졌을 때에도 매트 밖으로 액상의 이물질을 쓸어내리기가 매우 용이해 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매트원단(300)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PE폼시트(100)의 상,하면에 상부시트(210)와 하부시트(220)가 각각 열융착 접합됨과 동시에 상기 PE폼시트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 PVC폼시트(200)인 상부시트(210)와 하부시트(220)의 좌,우측변의 연장부(201)가 각각 서로 열융착 접합 또는 상,하부프레스(610)(620)에 의해 압착 접합되어 형성되므로, 유기용제에 의한 유해성이 발생하지 않고, 상면에는 여러 가지 종류의 무늬를 형성하여 고품질의 매트원단(300)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소정의 매트원단(300)을 철재의 절단칼(500')로 일정 길이로 절단함으로써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단위매트(400)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절단칼(500')은, 매트원단(300)의 좌우변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절단된 단위매트(400)는 단위매트 상,하변 마감처리단계(S6)로 이송되게 된다.
6. 단위매트 상,하변 마감처리단계(S6)
상기 단위매트 상,하변 마감처리단계(S6)는, 상기 단위매트 형성단계(S5)에서 절단 형성된 상기 단위매트(400)의 상,하변을 마감처리하는 단계이다.
도6 및 도7은, 단위매트의 상,하변을 각각 열칼로 절개하여 용융시킨후 상,하변을 프레스로 압착하여 본 발명의 기능성 쿠션매트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첨부한 도6 및 도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단위매트 상,하변 마감처리단계(S6)에서의 상기 단위매트(400)의 상변과 하변은, 단면 가로 중앙선상(도6의 점선)에 횡방향의 일자(一字) 형상으로 형성된 단면 바소꼴 형상의 철재 열칼(500)을 소정깊이 삽입하여, 200℃ 이상 600℃미만의 열을 가해 1초 이상 10초 미만의 시간 동안 용융시킨 후 상기 열칼(500)을 제거하고 상변과 하변을 접착하여 형성되거나, 상부프레스(610)와 하부프레스(620)로 가압 접착하여 형성되게 된다.
이때, 가열시간이 1초 미만이거나 가열온도가 200℃ 미만인 경우에는 단위매트(400)의 상변과 하변의 절개부가 충분히 용융되지 않아 융착 접합 또는 상부프레스(610)와 하부프레스(620)로 압착 접합되기 어렵고, 가열시간이 10초 이상이거나 가열온도가 600℃ 이상인 경우에는 단위매트(400)의 상변과 하변의 절개부가 지나치게 용융되어 융착 또는 상부프레스(610)와 하부프레스(620)로 압착 접합시 단위매트(400)의 상변과 하변의 절개부가 변형을 초래하여 바람직 하지 못하였다.
또한, 상기 단위매트 상,하변 마감처리단계에서의 상기 단위매트(400)의 상변과 하변은, 도6(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먼저 상기 단위매트(400) 상,하변의 양 모서리부(401)를 라운드하게 절단한후 상,하변의 단면 가로 중앙선상(도6의 점선)에, 횡방향의 일자(一字) 형상으로 형성된 단면 바소꼴 형상의 철재 열칼(500)을 소정깊이 삽입하여, 200℃ 이상 600℃미만의 열을 가해 1초 이상 10초 미만의 시간 동안 용융시킨 후 상기 열칼(500)을 제거하고 상변과 하변을 접착하여 형성하거나, 상부프레스(610)와 하부프레스(620)로 가압 접착하여 형성하는 것도 미관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상기 열칼(500)은 횡방향의 일자(一字) 형상으로 형성된 단면 바소꼴 형상의 소정 길이 철재로 형성되게 된다.
상기 단위매트(400)가 소정 폭 소정길이의 장방형 또는 정방형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기능성 쿠션매트(2) 또한 이에 대응하여 소정 폭 소정길이의 장방형 또는 정방형으로 제조되므로 실내 공간의 크기에 맞춰 전후좌우에 여러장을 연결하여 넓은 면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능성 쿠션매트 제조방법에 의해, 쿠션력과 복원력이 우수하고 바닥 밀착력이 탁월하여 외부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바닥면에 미끌리지 않으면서, 사람이 오래 딛고 서있어도 무릎관절에 가해지는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매트의 좌우측변 마감과 상하변의 효율적인 마감처리에 의해 매트 상하좌우변에 사람의 피부가 스치더라도 인체에 해를 입히지 않으며, 생산속도가 증대되어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고, 매트 상면에 투하된 이물질을 매트의 외부로 쉽게 제거할 수 있는 기능성 쿠션매트(2)가 제공되게 된다.
이상 비록 상기에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인 기능성 쿠션매트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쿠션매트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가하는 것은 항상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하는 것임은 극히 자명한 것이다.
S1 매트심재 형성단계 S2 PVC폼시트 형성단계 S3 상부시트 형성단계 S4 하부시트 형성단계 S5 단위매트 형성단계 S6 단위매트 상,하변 마감처리단계
1 기능성 쿠션매트 제조방법 2 기능성 쿠션매트
100 폴리에틸렌폼시트(PE폼시트) 110 쿠션부
200 PVC폼시트 201 연장부 210 상부시트 211 디자인필름 212 보호필름
220 하부시트 221 논슬립필름 230 히팅롤러
300 매트원단 301 이송롤러
400 단위매트 401 모서리부
500 열칼 500' 절단칼
600 프레스 610 상부프레스 620 하부프레스

Claims (6)

  1. 기능성 쿠션매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수지를 발포하여 소정 폭, 소정 두께 및 소정 길이의 폴리에틸렌폼시트(PE폼시트)(100)를 성형하는 매트심재 형성단계(S1)와; PVC수지를 발포하여 소정 폭, 소정 두께 및 소정 길이의 PVC폼시트(200)를 형성하는 PVC폼시트 형성단계(S2)와; 상기 PVC폼시트(200)의 상면에 상기 PVC폼시트(200)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디자인필름(211)이 열융착 되고, 또한 상기 디자인필름(211)의 상면에 상기 디자인필름(211)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보호필름(212)이 열융착 되어 일체로써의 상부시트(210)를 형성하는 상부시트 형성단계(S3)와; 상기 PVC폼시트(200) 하면에 상기 PVC폼시트(200)의 크기와 동일 크기의 실리콘 또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된 논슬립필름(221)이 열융착 되어 일체로써의 하부시트(220)를 형성하는 하부시트 형성단계(S4)와; 상기 PE폼시트(100)의 상,하면에 상부시트(210)와 하부시트(220)를 각각 열융착 접합하여 매트원단(300)을 형성한 후, 상기 매트원단(300)을 절단칼(500')로 일정 길이로 절단함으로써 소정 길이의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단위매트(400)를 형성하는 단위매트 형성단계(S5)와; 상기 단위매트 형성단계(S5)에서 절단 형성된 상기 단위매트(400)의 상,하변을 마감처리하여 본 발명의 기능성 쿠션매트(2)의 형성을 완성하는 단위매트 상,하변 마감처리단계(S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쿠션매트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심재 형성단계(S1)에서의 상기 매트심재는, 수지(樹指)를 발포하여 소정 폭, 소정 두께 및 소정 길이로 성형되는 PE폼시트(100), PU폼시트, PS폼시트, PP폼시트, EVA폼시트 및 PET폼시트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쿠션매트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시트 형성단계(S3)에서의 상기 상부시트(210)는, 좌,우측변에 형성된 소정폭의 연장부(201)의 폭만큼 매트심재인 상기 PE폼시트(100)의 좌우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쿠션매트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시트 형성단계(S4)에서의 상기 하부시트(220)는, 좌,우측변에 형성된 소정폭의 연장부(201)의 폭만큼 매트심재인 상기 PE폼시트(100)의 좌우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쿠션매트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매트 상,하변 마감처리단계(S6)에서의 상기 단위매트(400)의 상변과 하변은, 단면 가로 중앙선상(도6의 점선)에 횡방향의 일자(一字) 형상으로 형성된 단면 바소꼴 형상의 철재 열칼(500)을 소정깊이 삽입하여, 200℃ 이상 600℃미만의 열을 가해 1초 이상 10초 미만의 시간 동안 용융시킨 후 상기 열칼(500)을 제거하고 상변과 하변을 접착하여 형성되거나, 상부프레스(610)와 하부프레스(620)로 가압 접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쿠션매트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쿠션매트.
KR1020210001900A 2021-01-07 2021-01-07 기능성 쿠션매트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쿠션매트 KR102394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900A KR102394883B1 (ko) 2021-01-07 2021-01-07 기능성 쿠션매트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쿠션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900A KR102394883B1 (ko) 2021-01-07 2021-01-07 기능성 쿠션매트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쿠션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4883B1 true KR102394883B1 (ko) 2022-05-06

Family

ID=81584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900A KR102394883B1 (ko) 2021-01-07 2021-01-07 기능성 쿠션매트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쿠션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8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002B1 (ko) * 2011-07-29 2012-11-30 (주)상도산업 폴리에틸렌 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73098A (ko) * 2011-12-23 2013-07-03 주식회사 에프앤알 폴리염화비닐 시트와 폴리에틸렌 시트의 합지 방법 및 그에 의한 인테리어용 패널
KR20170138180A (ko) * 2016-06-07 2017-12-15 진양산업 주식회사 다층 쿳션 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97571A (ko) * 2018-02-12 2019-08-21 이성열 바닥 매트 제조 장치, 제조 방법 및 이들에 의해 제조된 바닥 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002B1 (ko) * 2011-07-29 2012-11-30 (주)상도산업 폴리에틸렌 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73098A (ko) * 2011-12-23 2013-07-03 주식회사 에프앤알 폴리염화비닐 시트와 폴리에틸렌 시트의 합지 방법 및 그에 의한 인테리어용 패널
KR20170138180A (ko) * 2016-06-07 2017-12-15 진양산업 주식회사 다층 쿳션 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97571A (ko) * 2018-02-12 2019-08-21 이성열 바닥 매트 제조 장치, 제조 방법 및 이들에 의해 제조된 바닥 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17973B (zh) 多層發泡結構及其應用產品
KR101608001B1 (ko) 이중 에어캡 구조의 완충 포장재
US7029749B2 (en) Moldable article, method of making and composition for making moldable articles
KR101885259B1 (ko) 다층 쿳션 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394883B1 (ko) 기능성 쿠션매트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쿠션매트
KR101207002B1 (ko) 폴리에틸렌 매트 및 그 제조방법
CN104773232B (zh) 发泡座垫
US9050782B2 (en) Expanded laminate
KR102174441B1 (ko) 페브릭을 중간심재로 활용한 육아용 매트제조방법
KR20080004677U (ko) 실속형 안전 매트
JP3756925B1 (ja) 発熱組成物収容用袋およびそれを用いた温熱用具
KR20240071091A (ko) 쿠션매트
RU2487080C2 (ru) Термопрессованное амортизирующее поддерж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KR102018099B1 (ko) 쿠션 매트의 제조방법
KR20230116338A (ko) 층간소음 차폐형 어린이용 매트의 제조방법
KR20100059114A (ko) 탄성을 갖는 욕조의 제조방법 및 탄성을 갖는 욕조
JP3199520U (ja) 複合成形体
KR20200005252A (ko) 친환경 매트 및 친환경 매트 제조방법
KR20170000926U (ko) 형태 변형이 용이한 접이식 매트
KR20130006607U (ko) 박리 및 주름 방지를 위한 완충매트를 가지는 도약운동용 보드
KR102240596B1 (ko) 층간소음방지 롤매트 제조방법
JP2003310395A (ja) スプリング構造樹脂成形品から成るベッド、その製造方法並びにスプリング構造樹脂成形品からなるベッドクッション
CN203762714U (zh) 一种轻薄且防滑的榻榻米
KR102229023B1 (ko) 주름 및 표피박리 방지구조가 적용된 다층 쿠셔닝 매트 및 그 제조방법
GB2489849A (en) A safety impact cushion for fitment over bath ta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