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5648A - 도어핸들 및 안테나 유닛 - Google Patents

도어핸들 및 안테나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5648A
KR20170135648A KR1020160178887A KR20160178887A KR20170135648A KR 20170135648 A KR20170135648 A KR 20170135648A KR 1020160178887 A KR1020160178887 A KR 1020160178887A KR 20160178887 A KR20160178887 A KR 20160178887A KR 20170135648 A KR20170135648 A KR 20170135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oor handle
conductive member
electrostatic capacitance
antenn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8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9077B1 (ko
Inventor
호즈미 우에다
Original Assignee
스미다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다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다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35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E05B81/78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as part of a hands-free locking or unlocking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E05B81/77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comprising 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the hand of a us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4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05B85/18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a longitudinal grip part being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grip par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26Measuring inductance or capacitance; Measuring quality factor, e.g. by using the resonance method; Measuring loss factor; Measuring dielectric constants ; Measuring impedance or related variables
    • G01R27/2605Measuring capacit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08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 H01Q1/3233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particular used as part of a sensor or in a security system, e.g. for automotive radar, navigation systems
    • H01Q1/3241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particular used as part of a sensor or in a security system, e.g. for automotive radar, navigation systems particular used in keyless entry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 H01Q1/3283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side-mounted antennas, e.g. bumper-mounted, door-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0Radiating elements coated with or embedded in prote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45Proximity switches
    • H03K17/955Proximity switches using a capacitive detect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정전용량센서의 감도를 낮게 설정하면서도, 유저의 손이 도어핸들에 근접한 것을 검출할 때까지의 반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구조의 도어핸들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도어핸들(200)은, 차량의 도어(80)에 대하여 스윙 가능하게 부착되는 하우징(210)과, 하우징(210)에 수용되어 있는 안테나부와, 하우징(210)에 수용되어 있는 정전용량 검출전극을 포함하는 정전용량센서와, 정전용량 검출전극에 대하여 항상 절연된 상태에서 정전용량 검출전극과 하우징(210)의 내면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도전부재(50)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도어핸들 및 안테나 유닛{DOOR HANDLE AND ANTENNA UNIT}
본 발명은, 도어핸들(door handle) 및 안테나 유닛(antenna uint)에 관한 것이다.
유저(user)가 휴대하는 전자키(電子key)와 통신을 함으로써, 차량이 구비하는 도어록 장치(doorlock 裝置)의 제어를 자동적으로 하는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keyless entry system)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은, 예를 들면 도어핸들에 유저의 손이 근접하는 것을 계기로 하여 전자키와 통신을 하기 위한 안테나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안테나 유닛은, 도어핸들에 유저의 손이 근접할 때의 정전용량(靜電容量)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정전용량 검출전극(靜電容量 檢出電極)을 포함하는 정전용량센서(靜電容量sensor)를 구비하고 있다.
특허문헌1에는, 센서본체와 센서본체에 설치된 정전용량 검출전극(동(同) 문헌의 검출전극)을 구비하는 정전용량센서에 있어서, 접속용 도전체(接續用 導電體)와, 접속용 도전체와 도통하고 있는 도전면(導電面)을 구비하는 정전용량센서가 기재되어 있다. 이 정전용량센서는 플랩형(flap型)의 핸들에 설치되어 있다. 접속용 도체는 정전용량 검출전극과 도통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6-242882호 공보
그런데 최근에는, 도어핸들의 디자인이 다양화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도어핸들의 형상에 따라서는, 정전용량 검출전극과 유저의 손이 충분하게 근접할 수 있는 범위가 매우 한정적으로 되는 문제가 상정(想定)된다. 한편 그러한 조건하에서도 유저의 손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정전용량센서의 감도를 높게 설정하여 버리면, 티끌이나 빗방울 등의 이물질이 정전용량 검출전극에 근접할 때마다 빈번하게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의 오동작이 발생하여 버릴 가능성이 있다.
또한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유저의 손이 도어핸들에 근접하고나서 도어록이 해제될 때까지의 응답시간을 최대한 짧게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들의 이유로부터, 정전용량센서의 감도는 낮게 설정하면서도, 유저의 손이 도어핸들에 근접한 것을 검출할 때까지의 반응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본 발명자의 검토에 의하면, 특허문헌1의 기술은 상기의 요구를 반드시 충분하게 충족시키나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정전용량센서의 감도는 낮게 설정하면서도, 유저의 손이 도어핸들에 근접한 것을 검출할 때까지의 반응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의 도어핸들 및 안테나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도어에 대하여 스윙(swing) 가능하게 부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어 있는 안테나부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어 있는 정전용량 검출전극을 포함하는 정전용량센서와, 상기 정전용량 검출전극에 대하여 항상 절연된 상태로 상기 정전용량 검출전극과 상기 하우징의 내면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도전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도어핸들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안테나와, 정전용량 검출전극을 포함하는 정전용량센서와, 상기 안테나 및 상기 정전용량 검출전극을 피복하고 있는 절연성의 피복부재와, 상기 피복부재의 외면에 고정된 도전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안테나 유닛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전용량센서의 감도는 낮게 설정하면서도, 유저의 손이 도어핸들에 근접한 것을 검출할 때까지의 반응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1은, 제1실시형태에 관한 도어핸들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2는, 제1실시형태에 관한 안테나 유닛의 모식도이다.
도3은, 제1실시형태에 관한 안테나 유닛을 포함하는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4는, 제1실시형태에 관한 도어핸들의 설명도이다.
도5는, 제2실시형태에 관한 도어핸들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6은, 제2실시형태에 관한 안테나 유닛의 모식도이다.
도7에 있어서, 도7(a) 및 도7(b)는 제3실시형태에 관한 안테나 유닛의 모식도이며, 이 중에서 도7(a)는 측면도이고 도7(b)는 평면도이다.
도8에 있어서, 도8(a)는 제4실시형태에 관한 안테나 유닛의 모식도이며, 도8(b)는 제5실시형태에 관한 안테나 유닛의 모식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제1실시형태]
도1은 제1실시형태에 관한 도어핸들(door handle)(200)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2는 제1실시형태에 관한 안테나 유닛(antenna unit)(100)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평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도어핸들(200)은, 유저(user)가 휴대하는 전자키(電子key)(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와 통신을 함으로써 도어(80)의 잠금(lock) 및 잠금풀림(unlock)의 제어를 자동적으로 하는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keyless entry system)을 채용하는 차량의 도어(door)(80)에 조립해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안테나 유닛(100)은,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을 채용하는 차량의 도어핸들(200)에 조립해서 사용되는 것이다.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도어핸들(200)은, 차량의 도어(80)에 대하여 스윙(swing) 가능하게 부착되는 하우징(housing)(210)과, 하우징(210)에 수용되어 있는 안테나부(antenna部)와, 하우징(210)에 수용되어 있는 정전용량 검출전극(靜電容量 檢出電極)(41)(도2)을 포함하는 정전용량센서(靜電容量 sensor)와, 정전용량 검출전극(41)에 대하여 항상 절연된 상태로 정전용량 검출전극(41)과 하우징(210)의 내면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도전부재(導電部材)(50)를 구비하고 있다.
안테나부는, 후술하는 안테나 유닛(100)으로부터 정전용량센서와 도전부재(50)를 제외한 구성이다.
또한 정전용량센서는, 정전용량 검출전극(41)과 후술하는 제어회로(40)(도3)로 구성되어 있다. 정전용량센서의 구성 중에서 적어도 정전용량 검출전극(41)은 하우징(210)에 수용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제어회로(40)도 하우징(210)에 수용되어 있고, 따라서 정전용량센서의 전체가 하우징(210)에 수용되어 있다.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에 있어서는, 차량의 도어(80)의 외면패널(81)을 부분적으로 나타내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외면패널(81)에 도어핸들(200)이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1에 있어서는, 외면패널(81)과 도어핸들(200)에 대해서 모식적인 평단면 구조(平斷面 構造)를 나타내고 있다. 도어핸들(200)의 일단측(一端側)에 인접하는 위치에는, 커버부(82)가 외면패널(81)에 부착되어 있다. 이 커버부(82)에 대해서는 평면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1에 있어서, 외면패널(81)보다 상측의 영역은 차량의 외부측의 영역이며, 외면패널(81)보다 하측의 영역은 차량의 내부측의 영역이다. 도1에 있어서, 좌측방향이 차량의 앞쪽이며 우측방향이 차량의 뒷쪽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도어핸들(200)은, 하우징(210)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一端部)가 도어(80)에 대하여 축지(軸支)되는 레버식이다. 도어핸들(200)의 스윙축(swing軸)은 대체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어핸들(200)은 대체로 차량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최근, 도어핸들(200)은, 상기 도어핸들(200)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가 차량의 외부측을 향하여 원호모양으로 돌출된 만곡형상(彎曲形狀)으로 형성되는 것이 시도되고 있어, 본 실시형태에 관한 도어핸들(200)도 그러한 만곡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도어핸들(200)의 하우징(210)은, 도어핸들(200)이 도어(80)에 부착된 상태에서, 하우징(210)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가 차량의 외부측을 향하여 원호모양으로 돌출되는 만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210)은,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원호모양으로(아치(arch)모양으로) 만곡되어 있다.
또 외면패널(81)에 있어서 도어핸들(200)과 대향하고 있는 부분은, 예를 들면 차량의 내측을 향하여 오목곡면 모양으로 우묵하게 들어가고 있어, 도어핸들(200)과 외면패널(81)의 사이에 손을 끼우기 쉽게 되어 있다.
후술하는 도어록 장치(60)(도3)가 도어(80)를 잠금풀림으로 한 상태에 있어서는, 유저가 손으로 도어핸들(200)을 파지(把持)하여, 상기 도어핸들(200)을 차량의 외부측(도1에 있어서 상측)으로 잡아당김으로써 도어핸들(200)이 도어(80)에 대하여 스윙함과 동시에 도어(80)를 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210)은, 그 일단부(예를 들면 전단부(前端部))가 도어(80)의 내부에 있어서의 축부(83)에 의하여 축지되어, 도어(80)에 대하여 스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하우징(210)은,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210)에 있어서 도어(80)에 가까운 측에 배치되는 내측부재(211)와, 내측부재(211)보다 도어(80)로부터 먼 측에 배치되는 외측부재(212)와, 외측부재(212)의 외면측에 장착되는 외측커버(21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내측부재(211) 및 외측부재(212)가 서로 조립되고, 또한 외측부재(212)의 외면측에 외측커버(213)가 장착됨으로써, 하우징(210)이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안테나 유닛(100)을 수용하는 수용공간(210a)이 형성되어 있다.
또 수용공간(210a)의 형상도, 하우징(210)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 차량의 외부측을 향하여 원호모양으로 돌출된 만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내측부재(211)의 내면은, 하우징(210)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 차량의 외부측을 향하여 원호모양으로 돌출된 만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측부재(212)의 내면은, 하우징(210)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 차량의 외부측을 향하여 원호모양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만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트레이트 형상의 안테나 유닛(100)이, 수용공간(210a)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안테나 유닛(100)의 길이방향이 하우징(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내측부재(211)의 내면과 안테나 유닛(100)의 간극은, 안테나 유닛(100)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는 좁아지고 있고, 안테나 유닛(100)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서서히 넓어지고 있다.
하우징(210)의 내면에는, 복수의 리브(rib)(216)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210)의 충분한 강도가 확보되어 있다.
이들 리브(216)에는, 안테나 유닛(100)을 지지하는 복수의 리브(216)가 포함되어 있다. 수용공간(210a) 내에 배치된 안테나 유닛(100)은, 복수의 리브(216)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210a) 내에 있어서의 이동이 제한되어 있다.
하우징(210)의 재료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하우징(210)은 예를 들면 절연성의 수지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내측부재(211)의 양단부에는, 차량의 내측(즉 도어(80)의 내부측)을 향하여 굴곡(屈曲)된 형상으로 형성된 굴곡부(214, 21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굴곡부(214, 215)는 각각 도어(8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앞쪽의 굴곡부(214)의 선단부에는 피축지부(彼軸支部)(214a)가 형성되어 있다. 피축지부(214a)는, 도어(80)의 내부에 있어서 축부(83)에 의해 축지되어 있다.
뒷쪽의 굴곡부(215)의 선단부에는 결합부(215a)가 형성되어 있다. 도어(80)의 외면패널(81)에 있어서 결합부(215a)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도어핸들(200)이 잡아당겨져 스윙했을 때에 결합부(215a)가 결합하는 스토퍼부(81a)가 형성되어 있다. 도어핸들(200)을 잡아당겨서 도어(80)를 열 때는, 결합부(215a)가 스토퍼부(81a)에 결합함으로써 도어(80)에 대한 도어핸들(200)의 스윙이 제한되도록 되어 있다.
앞쪽의 굴곡부(214)에는, 외면패널(81)의 내측 공간과 외측 공간을 서로 통하게 하는 배선통로(214b)가 형성되어 있다. 안테나 유닛(100)에 접속된 배선(42)이 배선통로(214b)를 통하여, 외면패널(81)보다 외측(도1에 있어서 상측)의 공간에서부터 내측(도1에 있어서 하측)의 공간에 걸쳐서 가이드(guide)되어 있다.
도전부재(50)는, 예를 들면 유연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전부재(50)는 정전용량 검출전극(41)과 하우징(210)의 내면의 사이에서 압축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도전부재(50)가 유연하다는 것은, 중실구조(中實構造)의 엘라스토머(elastomer)와 동등 이상으로 하중에 대한 변형량이 큰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도전부재(50)는, 하우징(210)의 내면의 형상을 따라 용이하게 변형 가능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피복부재(110)의 외면의 형상을 따라 용이하게 변형 가능하게 된다. 다만 도전부재(50)는, 도전성 스펀지 등과 같이 중실구조의 엘라스토머보다 하중에 대한 변형량이 큰 재료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부재(50)는 도전성 스펀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도전성 스펀지는, 탄소계 도전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내수성(耐水性)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도전부재(50)로서는, 도전성 스펀지 이외에 도전성 실리콘고무 등과 같이 탄성변형이 용이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210)의 내면에는 복수의 리브(21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전부재(50)의 적어도 일부분이, 복수의 리브(216) 상호간의 대향간격에 삽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안테나 유닛(100)은, 안테나(10)와, 정전용량 검출전극(41)을 포함하는 정전용량센서와, 안테나(10) 및 정전용량 검출전극(41)을 피복하고 있는 절연성의 피복부재(110)와, 피복부재(110)의 외면에 고정된 도전부재(50)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도전부재(50)는, 정전용량 검출전극(41)에 대하여 항상 절연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안테나 유닛(100)이 도어핸들(200)의 하우징(210) 내에 수용된 상태(안테나 유닛(100)이 수용공간(210a)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도전부재(50)가 정전용량 검출전극(41)과 하우징(210)의 내면 사이에 배치되게 된다.
도전부재(50)를 피복부재(110)의 외면에 고정하는 방법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양면 접착테이프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도전부재(50)를 피복부재(110)의 외면에 고정할 수 있다. 피복부재(110)는, 몰드 수지(mold 樹脂)로 형성되어도 좋고, 성형수지로 이루어지는 밀봉의 케이스 모양의 것이더라도 좋다.
안테나 유닛(100)은 일방향(一方向)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안테나 유닛(100)의 길이방향은, 도2에 있어서 좌우방향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안테나 유닛(100)의 길이방향이 하우징(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2개의 도전부재(50)가 안테나 유닛(100)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다. 즉 안테나 유닛(100)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진 복수 장소와 대응하는 위치의 각각에 도전부재(5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안테나부(안테나 유닛(100)에서 정전용량센서와 도전부재(50)를 제외한 부분)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진 복수 장소와 대응하는 위치의 각각에 도전부재(50)가 배치되어 있다.
또 개개의 도전부재(50)는, 전체가 일체(一體)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고, 복수의 미소한 도전부재를 서로 인접하게 배치하여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안테나(10)는, 코어(core)(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와, 코어의 주위에 감긴 코일(12)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코어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Ni-Zn계 페라이트(ferrite), Mn-Zn계 페라이트, 금속계 자성체 또는 비결정질(amorphous) 자성체가 사용된다. 코어는 예를 들면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코일은 코어의 길이방향의 축 둘레에 감겨 있다.
안테나 유닛(100)이 구비하는 안테나(10)의 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도2에는 안테나 유닛(100)이 2개인 안테나(10)를 구비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안테나 유닛(100)이 구비하는 안테나(10)의 수는 1개이더라도 좋고, 3개 이상이더라도 좋다.
안테나 유닛(100)은 기판(20)을 구비하고 있다. 기판(20) 위에는 각종 전기부품이 탑재되어 있다. 기판(20) 위에 탑재된 전기부품에는 안테나(10) 및 정전용량 검출전극(41)이 포함되어 있다. 기판(20)은, 기판(20) 위에 탑재되어 있는 각종 전기부품(안테나(10) 및 정전용량 검출전극(41)을 포함한다)과 함께 피복부재(110)에 의하여 피복(밀봉)되어 있다.
여기에서 기판(20)의 일방(一方)의 면측(도2에 있어서 하면측)에 정전용량 검출전극(41) 및 도전부재(50)가 배치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정전용량 검출전극(41)은, 기판(20)의 일방의 면(도2에 있어서 하측의 면) 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전부재(50)는, 피복부재(110)의 외면 중에서 도2에 있어서 하측의 면 위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안테나 유닛(100)은, 안테나(10) 및 정전용량 검출전극(41)이 탑재되어 있음과 아울러 피복부재(110)에 의하여 피복되어 있는 기판(20)을 구비하고, 기판(20)의 일방의 면측에 정전용량 검출전극(41) 및 도전부재(50)가 배치되어 있다. 즉 기판(20)을 기준으로 하여 동일측에, 정전용량 검출전극(41) 및 도전부재(50)가 배치되어 있다.
또 안테나(10)는, 기판(20)의 타방의 면(도2에 있어서 상측의 면) 위에 탑재되어 있다. 또한 안테나(10)는 케이스 모양의 피복부재(110)의 바닥면에 부착되어도 좋다.
정전용량 검출전극(41)은 평탄한 시트모양 또는 평판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정전용량 검출전극(41)은, 예를 들면 도전성 금속판의 프레스 성형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전용량 검출전극(41)의 재료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베릴륨 구리(beryllium copper)나 인청동(Cu-Sn-P합금) 등의 구리합금이 바람직하다.
기판(20)에 대한 정전용량 검출전극(41)의 고정방법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접착, 피팅(fitting), 압입, 록킹(locking) 등의 임의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피복부재(110)의 일방의 면은, 기판(20)의 일방의 면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피복부재(110)의 일방의 면에 설치된 도전부재(50)는, 기판(20)의 일방의 면에 설치된 정전용량 검출전극(41)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정전용량 검출전극(41)과 마주 보는 면의 수직방향(垂直方向)(도2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에서 볼 때에, 도전부재(50)는, 정전용량 검출전극(41)과 겹치는 오버랩부(overlap部)(51)와, 정전용량 검출전극(41)과 겹치지 않는 익스텐션부(extension部)(52)를 포함하고 있다.
도3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안테나 유닛(100)을 포함하는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1000)의 모식도이며,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1000)의 회로구성과 블록구성을 혼재(混在)시켜서 나타내고 있다.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1000)은,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1000)의 동작제어를 하는 제어회로(40)와, 도어(80)의 상태를 록(lock) 상태 또는 언록(unlock) 상태로 절환하는 도어록 장치(60)와,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1000)의 각 부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70)을 구비하고 있다. 전원(70)은 예를 들면 차량의 배터리이다.
제어회로(40)는, 정전용량 검출전극(41)에 있어서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하는 검출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이 검출회로에는 정전용량 검출전극(41)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안테나 유닛(100)은, 정전용량 검출전극(41)과 검출회로로 구성된 정전용량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어회로(40)는, 유저가 휴대하는 전자키의 인증처리를 하는 인증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각 안테나(10)는 제어회로(40)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각 안테나(10)의 동작은 제어회로(40)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제어회로(40)는, 예를 들면 기판(20) 위에 탑재된 1개 또는 복수의 전기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안테나(10)의 각각에 대하여 개별의 콘덴서(31)가 접속되어 있어, 안테나(10)가 각각 LC공진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예를 들면 각 안테나(10)에 대하여 콘덴서(31)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회로(40)는, 정전용량 검출전극(41)에 있어서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도어핸들(200)에 있어서의 정전용량 검출전극(41)의 근방의 부분에 유저의 손이 접촉 또는 근접한 것을 인식하여, 유저가 휴대하는 전자키(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의 인증을 위한 리퀘스트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10)로부터 송신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회로(40)는,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수신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어, 안테나(10)로부터 리퀘스트 신호의 송신이 시작되고나서 소정의 기간 사이에, 전자키로부터 송신되는 ID 신호가 수신 안테나에 의하여 수신된 것인지 아닌지를 감시한다.
제어회로(40)가 미리 기억하고 있는 ID 코드와 대응하는 ID 신호가 수신 안테나에 의하여 수신되었을 경우에, 제어회로(40)는, 도어록 장치(60)를 제어하여 도어(80)의 자물쇠를 잠금풀림으로 한다(언록 상태로 한다).
한편 제어회로(40)가 미리 기억하고 있는 ID 코드와 대응하는 ID 신호가 수신 안테나에 의하여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제어회로(40)는 도어(80)의 자물쇠를 잠금 상태로 유지시킨다.
따라서 전자키를 휴대한 유저가 도어(80)를 열기 위해서 도어핸들(200)에 있어서의 정전용량 검출전극(41)의 근방의 부분을 접촉하면, 그것을 정전용량센서가 검출하여, 안테나 유닛(100)으로부터 전자키를 향하여 리퀘스트 신호가 송신된다. 이렇게 하면 리퀘스트 신호를 수신한 전자키는 제어회로(40)에 대하여 자기의 ID 신호를 송신하고, 그 ID 신호를 수신한 제어회로(40)는, 수신한 ID 신호에 포함되는 ID 코드가 미리 기억되어 있는 ID 코드와 일치하는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ID 코드가 일치하는 경우(인증이 되었을 경우)에는, 제어회로(40)가 도어록 장치(60)의 액추에이터를 구동해서 도어(80)의 자물쇠를 잠금풀림 상태로 하여 도어(80)를 개방 가능하게 한다.
한편 ID 코드가 일치하지 않았을 경우(인증이 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제어회로(40)는 도어(80)의 자물쇠를 잠금 상태로 유지시킨다.
도4는 제1실시형태에 관한 도어핸들(200)의 설명도이다. 즉 도4는, 도1에 나타내는 도어핸들(200)에 있어서, 도전부재(50)와 유저의 손의 사이에 형성되는 콘덴서(C1)와, 정전용량 검출전극(41)과 도전부재(50)의 사이에 형성되는 콘덴서(C2)를 포함하는 등가회로(等價回路)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콘덴서(C1)의 용량을 A, 콘덴서(C2)의 용량을 B라고 하면, 콘덴서(C1) 및 콘덴서(C2)의 합성용량은, (AxB)/(A+B)가 된다. 여기에서 도전부재(50)가 정전용량 검출전극(41)에 근접하고 있기 때문에, B를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저의 손이 도어핸들(200)에 접근함으로써 A가 변화되었을 때의 합성용량의 변화량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정전용량센서의 감도를 낮게 설정하더라도, 정전용량센서의 반응을 빠르게 할 수 있다.
즉 정전용량센서의 감도는 낮게 설정하면서도, 유저의 손이 도어핸들(200)에 근접한 것을 검출할 때까지의 반응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한편 특허문헌1의 기술에서는, 접속용 도체와 정전용량 검출전극이 도통하고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용량은 도전면과 손의 사이에 형성되는 1개의 콘덴서의 용량으로 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정전용량센서의 반응속도가 늦게 된다고 생각된다.
이상과 같은 제1실시형태에 의하면 도어핸들(200)은, 정전용량 검출전극(41)에 대하여 항상 절연된 상태로, 정전용량 검출전극(41)과 하우징(210)의 내면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도전부재(50)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전용량 검출전극(41)과 하우징(210)의 내면과의 간극을 도전부재(50)에 의하여 메울 수 있기 때문에, 정전용량센서에 의한 양호한 검출이 가능한 범위를 충분하게 확대할 수 있다.
또한 도4를 사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정전용량 검출전극(41)에 대하여 손의 접근에 의한 정전용량의 변화량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정전용량의 변화의 검출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전용량센서의 감도가 낮더라도, 유저의 손이 도어핸들(200)에 근접한 것을 더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반응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유연한 재료로 구성된 도전부재(50)가, 정전용량 검출전극(41)과 하우징(210)의 내면 사이에 있어서 압축상태로 배치됨으로써, 도전부재(50)가 하우징(210)의 내면을 따라 변형되어 상기 내면에 대하여 양호하게 밀착된다. 따라서 도전부재(50)와 하우징(210)의 내면의 간극을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최근, 도어핸들(200)의 디자인이 다양화되는 경향이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정전용량 검출전극(41)과 하우징(210)의 내면의 간극을, 용이하게 변형 가능할 정도로 유연한 도전부재(50)로 메울 수 있다. 따라서 공통의 형상의 안테나 유닛(100)을 다양한 디자인의 도어핸들(200) 내에 배치한 경우의 각각에 있어서, 정전용량센서에 의한 양호한 검출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안테나 유닛(100)을 다양한 디자인의 도어핸들(200)에 대하여 공용할 수 있다.
또한 도전부재(50)가 완충재로서의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도어핸들(200)의 부착할 경우에 잘못해서 도어핸들(200)을 낙하시켰을 때에, 도어핸들(200)이 구비하는 안테나(10) 등의 기기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도어핸들(200)에 응력이 작용하였을 경우에는, 도어핸들(200)이 구비하는 안테나(10) 등의 기기에 작용하는 응력을 완화할 수도 있다.
또한 도전부재(50)의 적어도 일부분이, 하우징(210)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리브(216) 상호 간의 대향간격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도전부재(50)와 하우징(210)의 내면의 간극을 더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10)은, 상기 하우징(210)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가 차량의 외부측을 향하여 원호모양으로 돌출되는 만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안테나부의 길이방향이 하우징(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안테나부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진 복수 장소와 대응하는 위치의 각각에 도전부재(50)가 배치되어 있다. 즉 안테나 유닛(100)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진 복수 장소와 대응하는 위치의 각각에 도전부재(50)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210)의 내면과 안테나부의 간극이 커지기 쉬운 부분(하우징(210)의 내면과 안테나 유닛(100)의 간극이 커지기 쉬운 부분)에 도전부재(50)를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전용량센서에 의한 양호한 검출이 가능한 범위를 더 적합하게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정전용량 검출전극(41)과 마주 보는 면의 수직방향에서 볼 때에, 도전부재(50)는, 정전용량 검출전극(41)과 겹치는 오버랩부(51)와, 정전용량 검출전극(41)과 겹치지 않는 익스텐션부(52)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단순히 오버랩부(51)에 의하여 정전용량 검출전극(41)과 하우징(210)의 내면과의 간극을 메울 수 있을 뿐 아니라, 익스텐션부(52)의 존재에 의하여 정전용량센서에 의한 양호한 검출이 가능한 범위를 더 확대할 수 있다.
[제2실시형태]
도5는 제2실시형태에 관한 도어핸들(200)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6은 제2실시형태에 관한 안테나 유닛(100)의 모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도어핸들(200) 및 안테나 유닛(100)은, 제2도전부재(55) 및 제2정전용량 검출전극(45)을 구비하고 있다는 점에서 상기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도어핸들(200) 및 안테나 유닛(100)과 다르고, 그 이외의 점에서는, 상기한 제1실시형태에 관한 도어핸들(200) 및 안테나 유닛(100)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도, 기판(20)의 일방의 면측에 정전용량 검출전극(41) 및 도전부재(50)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기판(20)의 타방의 면측에 제2정전용량 검출전극(45)이 설치되어 있다. 또 제2정전용량 검출전극(45)은, 기판(20)을 관통해서 설치되어 있더라도 좋다. 다만 제2정전용량 검출전극(45)은, 기판(20)의 일방의 면측으로의 돌출량보다 타방의 면측으로의 돌출량이 크게 되어 있다.
그리고 피복부재(110)의 외면에 있어서, 제2정전용량 검출전극(45)과 대응하는 부위에 제2도전부재(55)가 고정되어 있다. 제2도전부재(55)는 도전부재(50)와 같은 것이다. 즉 제2도전부재(55)는 예를 들면 도전성 스펀지이다.
더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피복부재(110)에 있어서 제2정전용량 검출전극(45)을 덮는 부분은, 기판(20)의 타방의 면측을 향하여 돌출된 돌기부(111)로 되어 있고, 돌기부(111)에 제2도전부재(55)가 설치되어 있다.
또 안테나 유닛(100)에 있어서, 피축지부(214a)로부터 먼 측의 부분(결합부(215a)에 가까운 측의 부분)에 제2정전용량 검출전극(45) 및 제2도전부재(55)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안테나 유닛(100)은, 제2정전용량 검출전극(45)과 제어회로(40)로 구성된 제2정전용량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즉 제어회로(40)는, 제2정전용량 검출전극(45)에 있어서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하는 제2검출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이 제2검출회로에는, 제2정전용량 검출전극(45)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회로(40)는, 제2정전용량 검출전극(45)에 있어서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도어핸들(200)에 있어서의 제2정전용량 검출전극(45)의 근방의 부분에 유저의 손이 접촉 또는 근접한 것을 인식하여, 유저가 휴대하는 전자키(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의 인증을 위한 리퀘스트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10)로부터 송신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회로(40)는,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수신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어, 안테나(10)로부터 리퀘스트 신호의 송신이 시작되고나서 소정의 기간의 사이에, 전자키로부터 송신되는 ID 신호가 수신 안테나에 의하여 수신된 것인지 아닌지를 감시한다.
이 경우에 제어회로(40)가 미리 기억하고 있는 ID 코드와 대응하는 ID 신호가 수신 안테나에 의하여 수신되었을 경우, 제어회로(40)는, 도어록 장치(60)를 제어하여 도어(80)의 자물쇠의 상태를 반전시킨다. 즉 잠금풀림 상태이었던 경우에는 자물쇠를 잠금 상태로 하고, 잠금 상태이었던 경우에는 자물쇠를 잠금풀림 상태로 한다.
한편 제어회로(40)가 미리 기억하고 있는 ID 코드와 대응하는 ID 신호가 수신 안테나에 의하여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제어회로(40)는 도어(80)의 자물쇠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킨다.
따라서 전자키를 휴대한 유저가 도어(80)를 닫기 위해서 도어핸들(200)에 있어서의 제2정전용량 검출전극(45)의 근방의 부분을 접촉하면, 그것을 제2정전용량센서가 검출하여, 안테나 유닛(100)으로부터 전자키를 향하여 리퀘스트 신호가 송신된다. 이렇게 하면 리퀘스트 신호를 수신한 전자키는, 제어회로(40)에 대하여 자기의 ID 신호를 송신하고, 그 ID 신호를 수신한 제어회로(40)는, 수신한 ID 신호에 포함되는 ID 코드가 미리 기억되어 있는 ID 코드와 일치하는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ID 코드가 일치하는 경우(인증이 되었을 경우)에는, 제어회로(40)가 도어록 장치(60)의 액추에이터를 구동해서 도어(80)의 자물쇠의 상태를 반전시킨다.
한편 ID 코드가 일치하지 않았을 경우(인증이 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제어회로(40)는 도어(80)의 자물쇠의 상태를 유지시킨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제2정전용량 검출전극(45)과 하우징(210)의 내면 사이에 제2도전부재(55)가 압축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2정전용량 검출전극(45)과 하우징(210)의 내면과의 간극을 제2도전부재(55)에 의하여 메울 수 있기 때문에 제2정전용량센서에 의한 양호한 검출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2정전용량 검출전극(45)에 대하여 손의 접근에 의한 정전용량의 변화량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정전용량의 변화의 검출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정전용량센서의 감도가 낮더라도, 유저의 손이 도어핸들(200)에 근접한 것을 더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응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제3실시형태]
도7(a) 및 도7(b)는 제3실시형태에 관한 안테나 유닛(100)의 모식도이며, 이 중에서 도7(a)는 측면도, 도7(b)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안테나 유닛(100)은, 이하에 설명하는 점에서 상기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안테나 유닛(100)과 다르고, 그 이외의 점에서는, 제2실시형태에 관한 안테나 유닛(100)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복수의 제2도전부재(55)가 돌기부(111)의 주위(즉 제2정전용량 검출전극(45)(도6을 참조)의 주위)이며, 안테나 유닛(100)의 축 둘레에 있어서의 복수 장소에, 각각 제2도전부재(55)가 배치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돌기부(111)의 앞쪽, 윗쪽 및 아래쪽의 3군데에, 각각 제2도전부재(55)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안테나 유닛(100)의 축 둘레의 복수 장소에 있어서, 제2정전용량 검출전극(45)과 하우징(210)의 내면과의 간극을 제2도전부재(55)에 의하여 메울 수 있다. 이 때문에 제2정전용량센서에 의해 더 양호한 검출이 가능하게 된다.
[제4실시형태]
도8(a)는 제4실시형태에 관한 안테나 유닛(100)의 모식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도전부재(50)는, 두께가 일정한(균일한) 평탄부(57)와, 부위에 따라 두께가 변화되고 있는 경사부(5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도전부재(50)는, 2개의 경사부(58)와, 이들 경사부(58) 사이에 배치된 평탄부(57)를 포함하고 있으며, 안테나 유닛(100)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일방의 경사부(58)와, 평탄부(57)와, 타방의 경사부(58)가 이 순서로 배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경사부(58)는, 평탄부(57)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서서히 두께가 증대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경사부(58)에 있어서 가장 두께가 얇은 부분의 두께는, 평탄부(57)의 두께와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안테나 유닛(100)의 길이방향(안테나부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도전부재(50)의 양단부의 두께가 도전부재(50)의 중앙부의 두께보다 두껍게 되어 있다.
하우징(210)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가 차량의 외부측을 향하여 원호모양으로 돌출되는 만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안테나부의 길이방향(안테나 유닛(100)의 길이방향)이 하우징(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본 실시형태의 구조에 의하여, 하우징(210)의 내면과 안테나 유닛(100)과의 간극이 커지기 쉬운 부분(하우징(210)의 내면과 안테나부의 간극이 커지기 쉬운 부분)을 도전부재(50)에 의하여 적절하게 메울 수 있다.
[제5실시형태]
도8(b)는 제5실시형태에 관한 안테나 유닛(100)의 모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안테나 유닛(100)은, 각 도전부재(50)의 두께가 계단모양으로 변화되고 있는 점에서 상기의 제1실시형태와 다르고, 그 이외의 점에서는, 제1실시형태에 관한 안테나 유닛(100)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각 도전부재(50)는, 안테나 유닛(100)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서 멀어짐에 따라 두께가 계단모양으로 커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하우징(210)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가 차량의 외부측을 향하여 원호모양으로 돌출되는 만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안테나부의 길이방향(안테나 유닛(100)의 길이방향)이 하우징(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하우징(210)의 내면과 안테나 유닛(100)의 간극이 커지기 쉬운 부분(하우징(210)의 내면과 안테나부와의 간극이 커지기 쉬운 부분)을 도전부재(50)에 의하여 적절하게 메울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해서 각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예시이며 상기 이외의 여러 가지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전부재(50)는 안테나 유닛(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연장되는 스트레이트 형상(제1실시형태(도2를 참조))에 한정되지 않고, 도전부재(50)의 두께방향으로 지그재그의 형상으로 되어 있더라도 좋다. 즉 도전부재(50)는, 예를 들면 도2의 좌우방향에 있어서, 상방(피복부재(110)측) 및 하방(피복부재(110)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교대로 변위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조합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이하의 기술사상을 포함한다.
(1) 차량의 도어에 대하여 스윙 가능하게 부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어 있는 안테나부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어 있는 정전용량 검출전극을 포함하는 정전용량센서와, 상기 정전용량 검출전극에 대하여 항상 절연된 상태에서 상기 정전용량 검출전극과 상기 하우징의 내면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도전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도어핸들.
(2) 상기 도전부재는 유연한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정전용량 검출전극과 상기 하우징의 내면 사이에 있어서 압축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1)에 기재된 도어핸들.
(3)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는 복수의 리브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전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복수의 리브 상호간의 대향간격에 삽입되어 있는 (2)에 기재된 도어핸들.
(4) 상기 도전부재는 도전성 스펀지인 (2) 또는 (3)에 기재된 도어핸들.
(5) 상기 도어핸들은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가 상기 도어에 대하여 축지되는 레버식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도어핸들이 상기 도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가 상기 차량의 외부측을 향하여 원호모양으로 돌출되는 만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테나부의 길이방향이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상기 안테나부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진 복수 장소와 대응하는 위치의 각각에 상기 도전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1) 내지 (4) 중에서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도어핸들.
(6) 상기 정전용량 검출전극과 마주 보는 면의 수직방향에서 볼 때에 상기 도전부재는, 상기 정전용량 검출전극과 겹치는 오버랩부와, 상기 정전용량 검출전극과 겹치지 않는 익스텐션부를 포함하는 (1) 내지 (5) 중에서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도어핸들.
(7) 안테나와, 정전용량 검출전극을 포함하는 정전용량센서와, 상기 안테나 및 상기 정전용량 검출전극을 피복하고 있는 절연성의 피복부재와, 상기 피복부재의 외면에 고정된 도전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안테나 유닛.
(8)상기 안테나 및 상기 정전용량 검출전극이 탑재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피복부재에 의하여 피복되어 있는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기판의 일방의 면측에 상기 정전용량 검출전극 및 상기 도전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7)에 기재된 안테나 유닛.
(9)상기 안테나 유닛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진 복수 장소와 대응하는 위치의 각각에 상기 도전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7) 또는 (8)에 기재된 안테나 유닛.
10 안테나
20 기판
31 콘덴서
40 제어회로
41 정전용량 검출전극
42 배선
45 제2정전용량 검출전극
50 도전부재
51 오버랩부
52 익스텐션부
55 제2도전부재
57 평탄부
58 경사부
60 도어록 장치
70 전원
80 도어
81 외면패널
81a 스토퍼부
82 커버부
83 축부
100 안테나 유닛
110 피복부재
111 돌기부
200 도어핸들
210 하우징
210a 수용공간
211 내측부재
212 외측부재
213 외측커버
214 굴곡부
214a 피축지부
214b 배선통로
215 굴곡부
215a 결합부
1000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C1, C2 콘덴서

Claims (9)

  1. 차량의 도어(door)에 대하여 스윙(swing) 가능하게 부착되는 하우징(housing)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어 있는 안테나부(antenna部)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어 있는 정전용량 검출전극(靜電容量 檢出電極)을 포함하는 정전용량센서(靜電容量sensor)와,
    상기 정전용량 검출전극에 대하여 항상 절연(絶緣)된 상태에서, 상기 정전용량 검출전극과 상기 하우징의 내면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도전부재(導電部材)를
    구비하고 있는 도어핸들(door handle).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재는 유연(柔軟)한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정전용량 검출전극과 상기 하우징의 내면 사이에 있어서 압축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도어핸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는 복수의 리브(ri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전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복수의 리브 상호간의 대향간격(對向間隔)에 삽입되어 있는
    도어핸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재는 도전성 스펀지(導電性 sponge)인 도어핸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핸들은,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一端部)가 상기 도어에 대하여 축지(軸支)되는 레버식(lever式)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도어핸들이 상기 도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가 상기 차량의 외부측을 향하여 원호모양으로 돌출되는 만곡형상(彎曲形狀)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테나부의 길이방향이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상기 안테나부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진 복수 장소와 대응하는 위치의 각각에, 상기 도전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도어핸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 검출전극과 마주 보는 면의 수직방향(垂直方向)으로 볼 때에, 상기 도전부재는, 상기 정전용량 검출전극과 겹치는 오버랩부(overlap部)와, 상기 정전용량 검출전극과 겹치지 않는 익스텐션부(extension部)를 포함하는 도어핸들.
  7. 안테나와,
    정전용량 검출전극을 포함하는 정전용량센서와,
    상기 안테나 및 상기 정전용량 검출전극을 피복(被覆)하고 있는 절연성의 피복부재(被覆部材)와,
    상기 피복부재의 외면(外面)에 고정된 도전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안테나 유닛(antenna unit).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및 상기 정전용량 검출전극이 탑재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피복부재에 의하여 피복되어 있는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기판의 일방의 면(面)측에 상기 정전용량 검출전극 및 상기 도전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안테나 유닛.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유닛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진 복수 장소와 대응하는 위치의 각각에, 상기 도전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안테나 유닛.
KR1020160178887A 2016-05-30 2016-12-26 도어핸들 및 안테나 유닛 KR1019390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07858A JP6690409B2 (ja) 2016-05-30 2016-05-30 アンテナユニット及びドアハンドル
JPJP-P-2016-107858 2016-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648A true KR20170135648A (ko) 2017-12-08
KR101939077B1 KR101939077B1 (ko) 2019-01-16

Family

ID=60419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8887A KR101939077B1 (ko) 2016-05-30 2016-12-26 도어핸들 및 안테나 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24835B2 (ko)
JP (1) JP6690409B2 (ko)
KR (1) KR101939077B1 (ko)
CN (1) CN107435471A (ko)
DE (1) DE10201720895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2675A (ko) * 2019-12-26 2021-07-06 위너콤 주식회사 터치센서와 nfc안테나를 구비한 차량용 도어개폐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49866B (zh) * 2015-07-13 2020-09-25 胡夫·许尔斯贝克和福斯特有限及两合公司 用于车辆的门外把手
DE102017008340A1 (de) * 2017-09-05 2019-03-07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Kraftfahrzeugtürgriffanordnung mit eingegossener Elektronik
JP7266290B2 (ja) * 2019-05-21 2023-04-28 東京パーツ工業株式会社 静電容量式近接センサ
JP7415609B2 (ja) * 2020-01-30 2024-01-17 株式会社アイシン 施解錠モジュール及びドアハンドルモジュール
CZ308790B6 (cs) * 2020-03-21 2021-05-19 Brano A.S. Madlo dveří
JP7457564B2 (ja) 2020-04-13 2024-03-28 株式会社ユーシン ドアハンドル装置
JP7008171B1 (ja) * 2020-05-29 2022-01-25 株式会社神菱 車両用ドアハンドル
DE102020216511A1 (de) * 2020-12-22 2022-06-23 Witte Automotive Gmbh Elektronisches Sensormodul, Griffmodul und bewegliches Fahrzeugele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2882A (ja) 2005-03-07 2006-09-14 Omron Corp 静電容量センサ及び静電容量センサ付きフラップ型ハンドル
JP2010010916A (ja) * 2008-06-25 2010-01-14 Sumida Corporation アンテナ装置及びアンテナ装置が収納されるドアハンドル
JP2010209525A (ja) * 2009-03-06 2010-09-24 Sumida Corporation ドアハンドル
JP5109172B2 (ja) * 2008-05-28 2012-12-26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送信アンテナ装置及び送信アンテナ装置が収容されるドアハンドル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6866B2 (ja) * 2003-10-20 2005-09-21 株式会社アルファ ドア開閉装置
JP4513481B2 (ja) * 2004-09-28 2010-07-2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及びドアハンドル装置
US20060170601A1 (en) * 2005-01-28 2006-08-03 Mediatek Inc.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JP2006249672A (ja) * 2005-03-08 2006-09-21 Omron Corp 静電容量センサ付きハンドル
JP4754972B2 (ja) * 2006-01-19 2011-08-24 株式会社ユーシン ドアハンドル装置
JP4600323B2 (ja) * 2006-03-15 2010-12-1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のドアハンドル
JP2009032570A (ja) * 2007-07-27 2009-02-12 Fujikura Ltd 人体接近検出装置
TWI375338B (en) * 2008-11-27 2012-10-21 Epistar Corp Opto-electronic device
IT1392399B1 (it) * 2008-12-22 2012-03-02 Valeo Spa Maniglia per porta di autoveicolo
JP5556620B2 (ja) * 2010-11-26 2014-07-2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ドアハンドル装置
JP5480112B2 (ja) * 2010-11-29 2014-04-23 株式会社ユーシン アンテナ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ドアハンドル装置
JP4824130B1 (ja) * 2011-01-25 2011-11-30 サカエ理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ハンドルの静電センサ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2882A (ja) 2005-03-07 2006-09-14 Omron Corp 静電容量センサ及び静電容量センサ付きフラップ型ハンドル
JP5109172B2 (ja) * 2008-05-28 2012-12-26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送信アンテナ装置及び送信アンテナ装置が収容されるドアハンドル
JP2010010916A (ja) * 2008-06-25 2010-01-14 Sumida Corporation アンテナ装置及びアンテナ装置が収納されるドアハンドル
JP2010209525A (ja) * 2009-03-06 2010-09-24 Sumida Corporation ドアハンド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2675A (ko) * 2019-12-26 2021-07-06 위너콤 주식회사 터치센서와 nfc안테나를 구비한 차량용 도어개폐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7208957A1 (de) 2017-12-14
KR101939077B1 (ko) 2019-01-16
JP6690409B2 (ja) 2020-04-28
JP2017214728A (ja) 2017-12-07
CN107435471A (zh) 2017-12-05
US10424835B2 (en) 2019-09-24
US20170346173A1 (en) 201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9077B1 (ko) 도어핸들 및 안테나 유닛
JP4538222B2 (ja) 自動車用ドアの取手
US7598469B2 (en) Vehicle door handle device
JP4428388B2 (ja) アンテナ装置及びドアハンドル装置
EP2172605B1 (en) Door handle device
US9033379B2 (en) Door handle device for vehicle
US6740834B2 (en) Vehicle door handle system
US8382170B2 (en) Door handle device
EP1471360B1 (en) Capacitance detection electro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745778B1 (en) Keyless entry handle and compressible spacer therefor
JP3696866B2 (ja) ドア開閉装置
JP2012112222A (ja) アンテナ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ドアハンドル装置
KR20070052306A (ko) 도어 개폐 장치와 이를 구비한 키리스 엔트리 장치와 이를탑재한 차량용 도어 또는 건축물용 도어
JP4595547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JP4106524B2 (ja) 車両のキーレスエントリー用アンテナユニット
US20090021112A1 (en) Contact detector and door handle unit including it and smart entry system
JP4079647B2 (ja) 車両用ドア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装置
JP4079646B2 (ja) 車両用ドア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装置
JP4084051B2 (ja) 車両用ドア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装置
JP2008057237A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
WO2019171849A1 (ja) 操作検知装置及びドアハンドル
JP7017387B2 (ja) 近接センサ及びこれを備えたキーレスエントリ装置
JP6662186B2 (ja) アンテナユニット及びドアハンドル
JP2005133413A (ja) ドア開閉装置
CN213752522U (zh) 操作感测装置以及门把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