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1619A -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가이드 레일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가이드 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1619A
KR20170131619A KR1020177030853A KR20177030853A KR20170131619A KR 20170131619 A KR20170131619 A KR 20170131619A KR 1020177030853 A KR1020177030853 A KR 1020177030853A KR 20177030853 A KR20177030853 A KR 20177030853A KR 20170131619 A KR20170131619 A KR 20170131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rail elements
guide
elements
adja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0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하엘 키르쉬
발터 호프만
토마스 쿠체라
필리쁘 갱쉬
미케 오베르트
마르칸 로프릭
마르틴 마데라
마르틴 클리크
Original Assignee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티센크룹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티센크룹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Publication of KR20170131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16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3Mounting means therefor
    • B66B7/026Inter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07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an electrical linear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3Moun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3Mounting means therefor
    • B66B7/024Lateral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 방향으로 기능성 러닝 트랙 (31a, 31b, 31c) 을 갖는 하나의 가이드 레일 부분을 함께 형성하는 적어도 2 개의 레일 요소들 (11a, 11b) 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가이드 레일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레일 요소들 (11a, 11b) 의 각각은 샤프트 벽에 연결된다. 또한, 인접한 레일 요소들 (11a, 11b) 은 레일 요소들 (11a, 11b) 이 주행 방향으로 자유롭게 열팽창할 수 있도록 상호 간격을 갖는다. 그리고, 기능성 러닝 트랙 (31a, 31b, 31c) 의 영역에서 인접한 레일 요소들 (11a, 11b) 중의 적어도 2 개의 레일 요소들은, 기능성 러닝 트랙 (31a, 31b, 31c) 의 영역에서 주행 방향에 수직한 가이드 레일 부분의 임의의 단면이 2 개의 인접한 레일 요소들 (11a, 11b)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연장되도록 상보적인 프로파일을 갖는 상호 대향 경계부들을 갖는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가이드 레일{GUIDE RAIL FOR AN ELEVATOR SYSTEM}
엘리베이터 샤프트를 따라 엘리베이터 카를 안내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가이드 레일이 사용된다. 여기서 엘리베이터 샤프트는 전통적으로 건물에서 수직으로 연장된다. 그렇지만, 몇몇 경우에 수평 샤프트가 이미 제안되어 있다. 큰 길이의 샤프트 덕분에, 끼워맞춤 중에 가이드 레일은 전형적으로 개별 레일 요소들로부터 조립된다.
수직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레일 요소의 끼워맞춤에 있어서, 레일 요소들이 적층되고 상기 레일 요소들이 단지 수평 방향으로 샤프트 벽에 고정되는 것이 관행으로 받아들여졌다. 이는 레일 요소들이 수직 주행 방향을 따라 서로 맞닿아서 동시에 온도 변화의 경우에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의 팽창을 가능하게 한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이 조립된 가이드 레일은 연속 가이드 레일처럼 거동한다.
예컨대 WO 2012/045606 에 기재된 것과 같은 신규 타입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에서 엘리베이터 카를 구동하기 위해 리니어 모터를 사용한다. 여기서 리니어 모터의 1차 부분은 레일 요소들에 부착되고, 리니어 모터의 2차 부분은 이동되는 엘리베이터 카에 부착된다. 이러한 타입의 구동은 동일한 샤프트에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가 동시에 그리고 상호 독립적인 방식으로 변위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상기로부터 유도된 가이드 라인과 관련된 중요한 기술적 문제가 존재한다. 한편으로, 가이드 레일은 리니어 모터의 1차 부분을 구비하여야 한다. 이러한 추가적인 중량은 가이드 레일에 의해 수용되어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 이 타입의 엘리베이터의 경우에는 케이블이 부존재하므로, 카에 작용하는 모든 수직력들 (카의 중량, 카의 구동력, 제동력) 이 가이드 레일에 의해 수용되어야 한다. 또한, 동일한 샤프트에서 다수의 카가 작동하므로, 상기 수직력들의 비율도 또한 배가 된다.
이러한 증가된 응력 때문에, 최하측 레일 요소가 더 이상 그 위에 놓인 레일 요소들의 부하를 흡수할 수 없으므로, 적층된 레일 요소들의 개념은 더 이상 실제로 실현 가능하지 않다. 결과적으로, 레일 요소들은 샤프트 벽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그러나, 리니어 모터의 구동 개념은 또 다른 문제를 초래한다. 또한 다른 전기 모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특히 1차 부분은 작동 중에 가열된다. 1차 부분이 레일 요소들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열은 레일 요소들로 방산되며, 이 때문에 상당히 높은 열팽창이 발생한다. 후자를 고려하기 위해, 인접한 레일 요소들은 상호 간격 (이른바 팽창 조인트) 을 가져야 한다.
또한, 새로 건설된 건물의 경우에서도 침강 (subsidence) 이 발생한다. 따라서, 벽에 부착된 레일 요소들은 상기 침강을 보상하는 상호 간격을 가져야 한다. 인접한 레일 요소들 사이의 갭 폭은 침강에 의해 감소된다.
그러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작동시 카의 개별 구성요소들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는 전형적으로 가이드 레일의 러닝 트랙을 따라 구르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를 갖는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의 하나 또는 복수의 브레이크 슈가 가이드 레일에 작용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제동하는 슈 브레이크가 제공될 수 있다. 이 타입의 구성요소들이 인접한 두 레일 요소들 사이에서 전환하자마자, 간격에 의해 진동과 소음이 생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타입의 진동과 소음을 줄이는 것이다.
이 목적은 주행 방향으로 기능성 러닝 트랙을 갖는 하나의 가이드 레일 부분을 함께 형성하는 적어도 2 개의 레일 요소들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가이드 레일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레일 요소들의 각각은 샤프트 벽에 연결되고, 인접한 레일 요소들은 레일 요소들이 주행 방향으로 자유롭게 열팽창할 수 있도록 상호 간격을 갖는다. 또한, 기능성 러닝 트랙의 영역에서 인접한 레일 요소들 중의 적어도 2 개의 레일 요소들은, 기능성 트랙의 영역에서 주행 방향에 수직한 가이드 레일 부분의 임의의 단면이 2 개의 인접한 레일 요소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연장되도록 상보적인 프로파일을 갖는 상호 대향 경계부들을 갖는다.
이는 구성요소들의 균일하며 변함없는 전이 또는 슬라이딩이 보장되도록 기능성 러닝 트랙의 영역에서 인접한 레일 요소들이 서로에 맞게 조정된다는 이점이 있다.
본원의 내용에서 기능성 러닝 트랙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작동 중에 개별 구성요소들이 슬라이딩하거나, 긁거나 구르는 가이드 레일의 영역인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변형예의 경우, 기능성 러닝 트랙은 엘리베이터 카의 가이드 롤러를 위한 롤링 트랙이다. 가이드 롤러의 경우, 본 발명은 특히 가이드 롤러들이 가이드 레일과의 영구 접촉을 유지하는 것을 보장한다. 진동이나 소음을 야기할 수도 있는 레일 요소의 전이 지점에서의 점핑이 존재하지 않는다.
여기서 롤링 트랙의 영역에서 주행 방향에 수직한 임의의 단면은 바람직하게는 주행 방향에 수직한 방식으로 롤링 트랙의 팽창의 적어도 20 % 에 해당하는 팽창을 갖는다. 이는 가이드 롤러와 가이드 레일 사이에 충분히 강한 접촉이 존재한다는 이점이 있다. 구르는 가이드 롤러가 주행 방향에 수직한 단면에 대응하는 선을 따라 가이드 레일과 접촉한다. 따라서, 롤링 트랙의 팽창의 20 % 초과의 단면이, 가이드 롤러의 잠재적인 접촉면의 적어도 20 % 가 가이드 레일과 접촉하는 것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개선예의 경우에, 롤링 트랙의 영역에서 2 개의 인접한 레일 요소들은 서로 맞물리는 빗형상 몰딩들을 갖는다. 한편, 이러한 설계의 실시형태는, 열팽창의 경우에 2 개의 인접한 레일 요소의 빗형상 몰딩들이 서로의 안으로 슬라이딩한다는 점에서 인접한 레일 요소들의 열팽창을 가능하게 한다. 다른 한편으로, 가이드 롤러와의 포지티브 접촉이 보장된다. 따라서, 가이드 롤러는 구르는 때에 적어도 하나의 레일 요소의 모든 빗살형 몰딩들과 항상 접촉한다. 따라서, 가이드 롤러와 엘리베이터 레일 사이의 접촉 영역은 항상 가이드 롤러의 전체 폭에 걸쳐 분포된다. 가이드 롤러는 단지 좌측이나 우측에서만이 아니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지탱된다. 이는 가이드 롤러가 특히 균일한 방식으로 구르게 한다.
하나의 특별한 설계의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2 개의 인접한 레일 요소들 중의 제 1 레일 요소가 제 1 볼트를 갖고, 이 제 1 볼트에, 제 1 레일 요소의 빗형상 몰딩들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 1 플레이트들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또한, 적어도 2 개의 인접한 레일 요소들 중의 제 2 레일 요소가 제 2 볼트를 갖고, 이 제 2 볼트에, 제 2 레일 요소의 빗형상 몰딩들을 형성하는 제 2 의 복수의 제 2 플레이트들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예컨대 제 1 및 제 2 플레이트들과 같은 개별 구성요소들이 비용-효과적인 방식으로 개별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레일 요소 자체가 비교적 간단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더 복잡한 빗형상 몰딩이 개별적으로 생산되고 개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볼트는 전형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정렬된다.
하나의 개선된 변형예의 경우에, 제 1 의 복수의 플레이트들은 제 2 볼트가 관통하는 세장형 보어 (elongate bore) 를 각각 갖고, 제 2 의 복수의 플레이트들은 제 1 볼트가 관통하는 세장형 보어를 각각 갖는다. 따라서, 빗형상 몰딩들이 서로 맞물릴 뿐만 아니라, 레일 요소들 사이의 형태-끼워맞춤이 또한 수립된다. 이를 위해, 제 1 레일 요소는 제 1 볼트를 통해 제 1 플레이트들 및 제 2 플레이트들에 연결된다. 또한, 제 1 플레이트들 및 제 2 플레이트들은 제 2 볼트를 통해 제 2 레일 요소에 부가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여기서 제 1 플레이트들 및 제 2 플레이트들은 2 개의 볼트의 각각에 교호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이는 가이드 롤러와 엘리베이터 레일 사이의 접촉 영역들이 각 단면에서 가이드 롤러의 전체 폭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되게 한다.
특히, 제 1 플레이트들은 또한 제 1 볼트 및 제 2 볼트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제 2 플레이트들은 제 1 볼트 및 제 2 볼트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그 때문에, 레일 요소의 끼워맞춤 부정확성이 보상될 수 있다. 끼워맞춤 중에, 이접한 레일 요소들은 최대로 서로 정렬되지 않고 최소 상호 오프셋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예컨대 제 2 레일 요소 상의 롤링 트랙보다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다소 더 큰 간격을 갖는 제 1 레일 요소 상의 롤링 트랙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롤링 트랙을 따라 계단타입 오프셋이 존재하여, 가이드 롤러가 구르는 때에 바람직하지 않은 소음을 초래할 것이다. 이는 볼트들에의 플레이트들의 회전 가능한 배치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끼워맞춤관련 오프셋이 존재한다면, 제 1 및 제 2 플레이트들로부터 형성되는 적층체는 자동적으로 비스듬하게 놓이고, 따라서 롤링 트랙을 따라 오프셋을 동등화한다. 따라서, 조용한 구름을 용이하게 하는 일관된 러닝 트랙이 획득된다.
특별한 설계의 실시형태의 경우에, 제 1 및 제 2 플레이트들은 제 1 및 제 2 플레이트들의 좁은 측면들이 가이드 레일 부분의 기능성 러닝 트랙의 일부를 함께 형성하도록 배향 및 배치된다. 이는 특히 간단하며 콤팩트한 구성 모드를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각 단면에서 가이드 롤러의 전체 폭에 걸쳐 가이드 롤러와 엘리베이터 레일 사이의 접촉 영역들의 특히 균일한 분포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설계의 실시형태의 경우에, 상호 대향 경계부들은 계단형상 프로파일을 갖거나 또는 상호 대향 경계부들은 주행 방향에 관하여 70°미만의 각도로 연장된다. 이는 유사하게, 가이드 레일의 레일 요소들 중의 하나와 가이드 롤러 사이에 충분히 강한 접촉이 존재한다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설계의 실시형태들은 2 개의 레일 요소들이 서로에 관하여 선회될 수 있다는 부가적인 이점을 또한 갖는다. 레일 요소들의 상호 선회는 엘리베이터 카의 주행 방향이 수직 주행으로부터 수평 주행으로 변화되어야 하는 때에 유용하다. 이러한 타입의 방향 변화를 시행하는 특정 변형예들의 경우, 이는 레일 요소들을 선회시킴으로써 가능하게 될 수 있다. 그의 일례를 JPH0648672 에서 볼 수 있다.
하나의 개선된 변형예의 경우에, 기능성 러닝 트랙의 영역에서 상호 대향 경계부들은 챔퍼부 (chamfer) 또는 곡률부 (curvature) 를 갖는다. 그 때문에, 기능성 러닝 트랙을 따른 깔때기형상 프로파일이 형성된다. 이는 선회 절차에 후속하는 레일 요소들의 이상적이 아닌 설정의 경우에 맞닿는 에지들이 감소된다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인접한 레일 요소들 사이의 특정 오프셋 또는 인접한 레일 요소들 사이의 경사가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대안적인 설계의 실시형태의 경우에, 기능성 러닝 트랙은 엘리베이터 카의 슈 브레이크를 위한 제동 트랙이다. 제동 트랙은 엘리베이터 카와 가이드 레일 사이에 작용하는 슈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슈가 제동 과정 중에 긁는 가이드 레일의 영역인 것으로 이해된다.
이 변형예의 경우에, 적어도 2 개의 인접한 레일 요소들 중의 하나의 레일 요소는 적어도 2 개의 인접한 레일 요소들 중의 다른 레일 요소의 할당된 블라인드 보어에 결합하는 핀을 가질 수 있다. 말하자면 2 개의 레일 요소들은 제동 트랙의 영역에서 연결된다.
제동 절차의 경우에, 제동 트랙의 영역에서 슈 브레이크가 가이드 레일에 작용한다. 이로 인해, 이 영역에서 가이드 레일의 특정 변형이 초래된다. 엘리베이터 카의 제동 거리는 많은 경우에 복수의 연속적인 레일 요소들에 걸쳐 연장된다. 따라서, 슈 브레이크가 단지 하나의 레일 요소에만 작용하고 인접한 레일 요소에 작용하지 않는다면, 인접한 레일 요소의 변형이 아니라 먼저 언급한 레일 요소의 변형이 핀 없이 일어날 것이다. 결과적으로, 제동 작용 때문에 제동 트랙의 영역에서 레일 요소들의 오프셋이 생성되므로, 균일한 제동 절차가 보장될 수 없다. 슈 브레이크가 인접한 레일 요소에 직접 작용하지 않는 때에도, 블라인드 보어에 결합하는 핀들이 변형이 인접한 레일 요소로 전달되게 한다. 따라서, 제동 트랙의 균일하며 일관된 프로파일이 보장된다.
상기한 것을 더욱 증폭시키기 위해, 제동 트랙에 인접한 방식으로, 제동 트랙의 영역에서 2 개의 레일 요소들의 강성이 감소되도록 인접한 레일 요소들에 컷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동 트랙의 영역에서 레일 요소들 사이의 훨씬 더 균일한 전이가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대안적인 설계의 실시형태의 경우에, 가이드 레일은 주행 방향으로 기능성 러닝 트랙을 갖는 하나의 가이드 레일 부분을 함께 형성하는 적어도 2 개의 레일 요소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레일 요소들의 각각은 샤프트 벽에 연결되고, 인접한 레일 요소들은 레일 요소들이 주행 방향으로 자유롭게 열팽창할 수 있도록 상호 간격을 갖는다. 또한, 주행 방향에 수직한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가 2 개의 인접한 레일 요소들 사이에 배치된다.
이는 구르거나 슬라이딩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해 항상 균일하며 일관된 전이가 초래된다는 이점이 있다. 2 개의 레일 요소들의 상호 간격이 감소되도록 인접한 레일 요소들이 열팽창하자마자,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가 쐐기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퇴출되게 하는 힘이 쐐기 형상 전이 피이스에 가해진다.
본원의 내용에서,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의 뾰족한 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쐐기 방향이라 칭하고, 상기 방향은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의 쐐기 각도의 이등분선을 따라 연장된다.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를 퇴출시킴으로써, 2 개의 인접한 레일 요소들이 주행 방향으로 열팽창할 수 있는 것이 보장된다. 동시에, 주행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 3 개의 요소 (레일 요소, 전이 피이스, 레일 요소) 는 항상 맞닿아 있어서, 갭 없는 일관된 전이가 획득된다.
바람직하게는, 기능성 러닝 트랙의 영역에서 인접한 레일 요소들 중의 적어도 2 개는,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의 쐐기 각도에 해당하는 각도를 둘러싸며 직선형인 상호 대향 경계부들을 갖는다.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가 인접한 레일 요소들 사이의 중간 공간에 정확히 끼워맞춰지므로, 이러한 방식으로 인접한 레일 요소들과 전이 피이스 사이의 매끄러운 전이가 획득된다.
기능성 러닝 트랙은 바람직하게는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에 걸쳐 연장된다.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가 삽입되는지 또는 퇴출되는지에 상관없이, 기능성 러닝 트랙은 특히 전체 폭을 통해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에 지탱된다.
하나의 개선된 변형예에서, 쐐기 방향은 주행 방향에 관하여 70°내지 110°의 각도로 연장된다. 주행 방향에 관하여 각도는 특히 90°이다. 쐐기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50°내지 70°이다.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는 인접한 레일 요소들에 인접하는 양측이 주행 방향에 관하여 동일한, 특히 예각의 각도를 갖도록 대칭 방식으로 배향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는 비대칭 방식으로 또한 배향될 수 있다. 예컨대, 두 면 중 한 면이 주행 방향에 관하여 90°의 각도로 연장될 수 있고, 다른 한 면이 주행 방향에 관하여 각도를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단지 주행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식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 중요하다. 각진 영역들은 쐐기 방향에 반대되는 축출이 달성되도록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가 인접한 레일 요소들의 팽창 시에 충분한 힘으로 영향을 받는다는 이점이 있다.
하나의 특별한 실시형태에서,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는 쐐기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프리텐션되도록 장착된다. 이는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가 열수축 시에 프리텐션에 의해 자동적으로 삽입된다는 이점이 있다. 인접한 레일 요소들 사이의 갭은 열수축 시에,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가 더 많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확대된다. 프리텐션은 이 삽입이 자동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보장한다.
가이드 레일은 바람직하게는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의 둔각 단부와 유지 설비 사이에 연장되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한다. 압축 스프링은 간단한 방식으로 쐐기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의 상기한 프리텐션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압축 스프링은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에 스프링력을 가한다. 여기서, 이 스프링력은 쐐기 방향으로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힘 성분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쐐기 방향에 반대되는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의 프리텐션이 획득된다.
하나의 개선된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2 개의 레일 요소들 중의 적어도 하나와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 사이에 가이드가 제공된다.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는 이 가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가이드는 레일 요소들의 열적 길이 변화의 경우에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가 잘 규정된 병진 운동을 수행하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가이드는 적어도 2 개의 레일 요소들 중의 적어도 하나와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 사이에 오프셋이 생성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따라서, 적어도 2 개의 레일 요소들 중의 적어도 하나와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 사이의 전이 영역에서 균일하며 일관된 기능성 러닝 트랙이 또한 존재한다. 특히, 각 경우에, 2 개의 인접한 레일 요소들과 그 사이에 배치된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 사이에 하나의 가이드가 제공된다. 그 때문에, 상기한 이점들은 레일 요소와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 사이의 쌍방의 전이부에서 획득된다.
하나의 특정 개선예의 경우에, 가이드는 제혀 이음 (tongue-and-groove connection) 으로서 구현된다. 제혀 이음은 생산이 간단하며, 믿을 수 있는 안내 거동을 가능하게 한다. 대안적으로, 예컨대 더브테일 (dovetail) 가이드 또는 T자형 단면을 갖는 가이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가이드는 압축력뿐만 아니라 인장력도 전이 피이스로 전달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두 레일 요소들의 상호 간격이 확대되도록 인접한 레일 요소들이 다시 열수축하자마자, 더브테일 가이드를 통해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에 인장력이 가해지고, 이로 인해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가 쐐기 방향으로 퇴출된다. 따라서, 이 변형예의 경우에 쐐기 방향에 반대되는 프리텐션이 생략될 수 있다. 특별히 설계된 가이드는 자동 축출 및 삽입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 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일부의 개략도이다.
도 2 는 레일 요소의 3차원 도면 및 2 개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2 개의 인접한 레일 요소들을 보여준다.
도 4 는 2 개의 다른 상태에 있는 2 개의 인접한 레일 요소들의 상세도이다.
도 5 는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 있는 전이 요소 (39) 의 상세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2 개의 추가 양태의 개략도이다.
도 7 은 도 6 의 좌측 영역에 따른 실시형태의 개선예를 보여준다.
도 8 은 추가 실시형태의 3차원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 은 도 8 의 중앙 영역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 은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샤프트 벽들에 의해 한정되는 샤프트 (3) 를 포함하는데, 명료성을 위해 도 1 에는 단 하나의 샤프트 벽 (5) 이 도시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카 (7) 가 샤프트 (3) 내에서 주행 방향 (2) 으로 가이드 레일 (9) 을 따라 변위 가능하다. 엘리베이터 카 (7) 는 주행 중에 가이드 레일 (9) 상에서 구르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롤러 (24) 를 구비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 (7) 와 가이드 레일 (9) 사이에 슈 브레이크 (26) 가 배치된다. 상기 슈 브레이크 (26) 는 하나 또는 다수의 브레이크 슈가 가이드 레일 (9) 에 작용한다는 점에서 엘리베이터 카 (7) 를 제동한다.
엘리베이터 카는 현재 수직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방향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장치 (arrangement) 는 또한 수평으로 또는 비스듬히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 레일 (9) 을 따라 변위 가능한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 (7) 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다수의 엘리베이터 카가 동일한 샤프트 내에서 상호 독립적인 방식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 (9) 은 레일 요소들 (11a, 11b, 11c, 11d, 11e) 로부터 조립된다. 여기서 2 개의 인접한 레일 요소들 (11a, 11b, 11c, 11d, 11e) 은 하나의 가이드 레일 부분 (13a, 13b, 13c) 을 함께 형성한다. 레일 요소들 (11a, 11b, 11c, 11d, 11e) 은 샤프트 벽 (5) 에 각각 고정된다. 이를 위해, 각 레일 요소 (11a, 11b, 11c, 11d, 11e) 는 하나의 고정 베어링 (15) 및 하나의 루스 (loose) 베어링 (17) 을 갖는다. 레일 요소들 (11a, 11b, 11c, 11d, 11e) 은 고정 베어링 (15) 을 통해 적어도 주행 방향 (2) 에서 샤프트 벽 (5) 에 고정식으로 연결되는 반면, 루스 베어링 (17) 은 주행 방향 (2) 에서 레일 요소들 (11a, 11b, 11c, 11d, 11e) 의 이동을 허용한다. 레일 요소들 (11a, 11b, 11c, 11d, 11e) 은 샤프트 벽 (5) 에의 장착 때문에 어떠한 비틀림의 발생 없이 주행 방향 (2) 으로 자유롭게 열팽창할 수 있다. 또한, 2 개의 인접한 레일 요소들 (11a, 11b, 11c, 11d, 11e) 은 각각 간격을 가지므로, 레일 요소들은 주행 방향 (2) 에서 자유롭게 열팽창할 수 있다. 고정 베어링 (15) 및 루스 베어링 (17) 의 세부가 도 2 에 도시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카 (7) 는 리니어 모터의 도움으로 구동된다. 여기서 리니어 모터 (19) 는 레일 요소들 (11a, 11b, 11c, 11d, 11e) 상에 배치된 1차 부분들 (21) 및 엘리베이터 케이지에 연결된 2차 부분 (23) 을 포함한다. 따라서, 레일 요소들 (11a, 11b, 11c, 11d, 11e) 은 동시에 구동 모듈들을 형성한다.
도 2 는 하나의 고정 베어링 (15) 및 하나의 루스 베어링 (17) 을 갖는 레일 요소 (11) 를 도시한다. 고정 베어링 (15) 의 영역 (하부 도면) 및 루스 베어링 (17) 의 영역 (상부 도면) 에서의 레일 요소 (11) 의 단면이 각각 도 2 의 우측 영역에 도시되어 있다. 고정 베어링 (15) 은, 한편으로는 레일 요소 (11) 에 고정식으로 연결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샤프트 벽 (5) 에 고정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예컨대, 나사-끼워맞춤 가능한) 제 1 홀더 (25) 를 포함한다. 루스 베어링 (17) 은 레일 요소 (11) 에 고정식으로 연결된 제 2 홀더 (27) 를 포함한다. 제 2 홀더 (27) 는 제 2 홀더 (27) 가 단 하나의 방향 (도면 평면에 수직한 방향) 에서 이동 가능한 마운트 (29) 에 의해 형태-끼워맞춤 방식으로 수용된다. 끼워맞춤 후에 이 방향은 레일 요소 (11) 가 자유롭게 열팽창할 수 있는 방향에 해당한다. 그리고, 마운트 (29) 는 샤프트 벽 (5) 에 고정식으로 연결 가능하다.
도 3 은 본 발명의 2 개의 상이한 양태를 갖는, 가이드 레일의 설계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가이드 레일 부분 (13) 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 부분 (13) 을 함께 형성하는 2 개의 레일 요소들 (11a, 11b) 이 도시되어 있다. 레일 요소들 (11a, 11b) 은 상호 간격을 가지므로, 레일 요소들 (11a, 11b) 이 주행 방향 (2) 으로 자유롭게 열팽창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 부분 (13) 은 복수의 기능성 러닝 트랙들 (31a, 31b, 31c) 을 갖는다. 기능성 러닝 트랙들 (31a, 31b) 은 각 경우에 엘리베이터 카 (7) 의 가이드 롤러용 롤링 트랙 (31a, 31b) 이다. 기능성 러닝 트랙 (31c) 은 엘리베이터 카 (7) 의 슈 브레이크용 제동 트랙 (31c) 이다. 선형 구동을 갖는 엘리베이터 카의 경우, 브레이크가 엘리베이터 카 (7) 와 가이드 레일 (9) 사이에 배치되고, 슈 브레이크가 가이드 레일 (9) 에 엘리베이터 카 (7) 로부터 작용하여 제동력이 생성되는 것이 전형적이다.
인접한 레일 요소들 (11a, 11b) 사이의 간격은 통상적으로 기능성 러닝 트랙들 (31a, 31b, 31c) 에서의 중단으로 이어진다. 상기 중단이 보상되도록, 기능성 러닝 트랙들 (31a, 31b, 31c) 의 영역에서 레일 요소들 (11a, 11b) 은 적절한 방식으로 설계된다. 따라서, 기능성 러닝 트랙들 (31a, 31b, 31c) 의 영역에서 레일 요소들 (11a, 11b) 은, 주행 방향 (2) 에 수직한 기능성 러닝 트랙의 영역에서의 가이드 레일 부분의 임의의 단면이 2 개의 인접한 레일 요소들 (11a, 11b)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연장되도록 상보적인 프로파일을 갖는 상호 대향 경계부들을 갖는다.
제동 트랙 (31c) 의 영역 내의 양태의 경우에, 레일 요소 (11a) 는 레일 요소 (11b) 의 할당된 블라인드 보어 (35) 에 맞물리는 2 개의 핀 (33) 을 갖는다. 따라서, 2 개의 레일 요소들 (11a, 11b) 의 경계부들은 상보적인 프로파일을 갖는다. 인접한 요소 (11b) 를 향한 방향으로의 레일 요소 (11a) 의 열팽창에서, 핀 (33) 은 블라인드 보어 (35) 내로 더 깊게 미끄러진다. 기능성 러닝 트랙 (31c) 의 영역에서 주행 방향 (2) 에 수직한 가이드 레일 부분의 임의의 단면이 핀 (33) 을 또한 포함하는 레일 요소 (11a) 를 통해 또는 레일 요소 (11b) 를 통해 연장된다. 2 개의 레일 요소들 (11a, 11b) 은 말하자면 제동 트랙 (31c) 의 영역에서 연결된다. 엘리베이터 카 (7) 의 제동 과정의 경우, 슈 브레이크가 제동 트랙 (31c) 의 영역에서 가이드 레일 (9) 에 작용한다. 이는 이 영역에서 가이드 레일 (9) 의 특정 변형을 초래한다. 많은 경우에, 엘리베이터 카 (7) 의 제동 거리는 복수의 레일 요소들 (11a, 11b) 에 걸쳐 연장된다. 예를 들어, 하향 주행하는 엘리베이터 카 (7) 의 제동 거리는 레일 요소 (11b) 의 영역에서 시작하여 레일 요소 (11a) 의 영역에서 끝날 수 있다. 그러므로, 슈 브레이크가 레일 요소 (11b) 에만 작용하고 레일 요소 (11a) 에 작용하지 않는 한, 레일 요소 (11a) 가 아닌 레일 요소 (11b) 의 변형이 핀 (33) 없이 일어날 것이다. 결과적으로, 제동 트랙 (31) 의 영역에서 레일 요소들 (11a, 11b) 의 오프셋이 제동 작용에 의해 생성되므로, 균일 제동 절차가 보장되지 않을 것이다. 블라인드 보어 (35) 에 맞물리는 핀 (33) 은, 슈 브레이크가 레일 요소 (11b) 에만 작용함에도 불구하고, 변형이 또한 레일 요소 (11a) 에 전달되게 한다. 따라서, 제동 트랙의 균일하고 일관된 프로파일이 보장된다. 이를 더욱 증폭시키기 위해서, 제동 트랙 (31c) 에 인접한 방식으로, 제동 트랙 (31c) 의 영역에서의 2 개의 레일 요소들 (11a, 11b) 의 강성이 감소되도록 인접한 레일 요소들 (11a, 11b) 에 컷 (37) 이 제공된다. 따라서, 제동 트랙 (31c) 의 영역에서 레일 요소들 (11a, 11b) 사이의 보다 균일한 전이가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가 도 3 에 유사하게 도시되어 있다. 롤링 트랙 (31a) 의 영역뿐만 아니라 롤링 트랙 (31b) 의 영역에 전이 요소 (39) 가 배치된다. 전이 요소 (39) 는 인접한 레일 요소 (11b) 를 향한 방향으로 레일 요소 (11a) 를 동시에 열팽창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롤링 트랙들 (31a, 31b) 을 따라 엘리베이터 카 (7) 의 가이드 롤러들의 문제없는 구름을 가능하게 한다. 전이 요소 (39) 의 정확한 구조가 도 4 및 도 5 에 의해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도 4 는 설치된 상태의 전이 요소의 상세도이다. 제 1 레일 요소 (11a) 와 제 2 레일 요소 (11b) 사이에 여전히 상당한 간격이 있는 구성이 도 4 의 좌측 영역에 도시되어 있다. 대조적으로, 도 4 의 우측 영역에서는 인접한 제 2 레일 요소 (11b) 를 향한 방향으로 제 1 레일 요소 (11a) 의 열팽창이 이미 발생하였다. 레일 요소들 (11a, 11b) 사이의 간격은 감소되었다. 롤링 트랙 (31a) 의 영역 내의 제 1 레일 요소 (11a) 및 제 2 레일 요소 (11b) 는 상호 보완적인 프로파일을 갖는 상호 대향 경계부들을 갖는다. 롤링 트랙 (31a) 의 영역 내의 제 1 레일 요소 (11a) 는 빗형상 몰딩 (41a) 을 갖는다. 이에 대향하도록, 제 2 레일 요소 (11b) 는 마찬가지로 빗형상 몰딩 (41b) 을 갖는다. 2 개의 빗형상 몰딩 (41a, 41b) 은 상호 오프셋되고 서로 맞물려서, 경계부들의 상보적인 프로파일이 얻어진다. 열팽창에서, 빗형상 몰딩 (41a, 41b) 은 도 4 의 우측 영역에 도시된 구성이 될 때까지 서로 슬라이딩한다.
레일 요소들 (11a, 11b) 이 도 4 의 좌측 부분 또는 도 4 의 우측 부분에 따른 구성에 있거나 또는 중간 상태에 있는지에 관계없이, 롤링 트랙 (31a) 의 영역에서 주행 방향 (2) 에 수직한 가이드 레일 부분의 임의의 단면이 2 개의 인접한 레일 요소들 (11a, 11b)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연장된다. 2 개의 레일 요소들 (11a, 11b) 은 롤링 트랙 (31a) 의 영역에서, 말하자면 구르는 가이드 롤러가 레일 요소들 (11a, 11b) 과의 접촉을 잃을 수 있는 갭 없이 연결된다. 경계부는 특히 롤링 트랙 (31a) 의 영역에서 주행 방향 (2) 에 수직한 임의의 단면이 주행 방향 (2) 에 수직한 방식으로 롤링 트랙 (31a) 의 팽창의 적어도 20 % 에 해당하는 팽창을 갖도록 성형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경우, 팽창은 각 단면의 경우에 거의 50 % 이다. 예를 들어, 선 (43) 을 따른 단면은 빗형상 몰딩 (41a) 의 영역에서 제 1 레일 요소 (11a) 와 교차한다. 이 단면에서의 빗살형 몰딩은 집합적으로 롤링 트랙의 폭의 약 50 % 에 해당하는 팽창을 갖는다. 빗살형 몰딩 (41a, 41b) 사이의 요구된 갭 치수 덕분에, 값은 실제로 약간 50 % 미만이다. 구르는 가이드 롤러는 주행 방향 (2) 에 수직한 단면에 해당하는 선을 따라 가이드 레일과 접촉한다. 결과적으로, 임의의 주어진 시간에 가이드 롤러는 가이드 롤러 (따라서, 롤링 트랙 (31a)) 의 폭의 약 50 % 에 해당하는 영역을 따라 가이드 레일과 접촉한다.
도 5 는 설치되지 않은 상태의 전이 요소 (39) 의 상세도이다. 전이 요소 (39) 는 복수의 제 1 플레이트 (47) 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 1 볼트 (45) 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제 1 플레이트 (47) 는 제 1 볼트 (45) 가 관통하는 보어 (49) 를 갖는다. 여기서 제 1 플레이트 (47) 는 제 1 보어 (45)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다. 설치된 상태에서, 제 1 볼트 (45) 및 제 1 플레이트 (47) 는 제 1 레일 요소 (11a) 의 구성 부품이다 (도 4 참조). 여기서 제 1 플레이트 (47) 는 제 1 레일 요소 (11a) 의 빗살형 몰딩 (41a) 을 형성한다. 전이 요소 (39) 는 복수의 제 2 플레이트 (53) 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 2 볼트 (51) 를 더 포함한다. 이를 위해, 제 2 플레이트 (53) 는 제 2 볼트 (51) 가 관통하는 보어 (55) 를 갖는다. 여기서 제 2 플레이트 (51) 는 제 2 볼트 (51)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다. 설치된 상태에서, 제 2 볼트 (51) 및 제 2 플레이트 (53) 는 제 2 레일 요소 (11b) 의 구성 부품이다 (도 4 참조). 여기서 제 2 플레이트 (53) 는 제 2 레일 요소 (11b) 의 빗살형 몰딩 (41b) 을 형성한다.
보어 (49) 에 대향하도록, 제 1 플레이트 (47) 는 제 2 볼트 (51) 가 관통하는 세장형 (elongate) 보어 (57) 를 갖는다. 따라서, 보어 (55) 에 대향하도록, 제 2 플레이트 (53) 는 제 1 볼트 (45) 가 관통하는 세장형 보어 (59) 를 갖는다. 따라서, 제 1 플레이트 (47) 및 제 2 플레이트 (53) 는 각각 볼트 (45, 51) 상에 교호식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각각 하나의 보어 (49, 55) 와 하나의 세장형 보어 (57, 59) 가 서로 교호한다. 이러한 구조는 제 1 볼트 (45) 및 제 2 볼트 (51) 의 간격이 변화될 수 있게 한다. 도시된 예의 경우, 2 개의 볼트 (45, 51) 가 그의 최소 간격에 있다. 2 개의 볼트 (45, 51) 의 간격이 확대되면, 제 1 볼트 (45) 는 세장형 보어 (59) 내에서 변위되는 한편, 제 2 볼트 (51) 는 세장형 보어 (57) 내에서 변위된다. 따라서, 2 개의 볼트 (45, 51) 의 간격은 2 개의 볼트 (45, 51) 가 그들의 개별 세장형 보어 (57, 59) 의 단부에 위치될 때까지 확대될 수 있다.
도 4 에 의해 보여진 바와 같이, 설치된 상태의 제 1 플레이트 (47) 및 제 2 플레이트 (53) 는 제 1 플레이트 (47) 의 좁은 측면 (61) 및 제 2 플레이트 (53) 의 좁은 측면 (63) 이 기능성 러닝 트랙 (31) 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향 및 배치되어, 기능성 러닝 트랙 (31a) 의 일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좁은 측면 (61, 63) 은 나머지 기능성 러닝 트랙 (31a) 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 (7) 의 가이드 롤러를 위한 평평한 러닝 표면이 획득된다.
그러나, 레일 요소들 (11a, 11b) 의 끼워맞춤 중에 부정확성이 또한 발생할 수 있고, 그 결과 레일 요소들 (11a, 11b) 이 최대로 상호 정렬되지 않고 최소 상호 오프셋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제 1 레일 요소상의 롤링 트랙 (31a) 이 제 2 레일 요소상의 롤링 트랙 (31a) 보다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다소 더 큰 간격을 갖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롤링 트랙 (31a) 을 따라 계단형 오프셋이 존재할 것이고, 이는 가이드 롤러가 구름에 따라 바람직하지 않은 소음을 초래할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 1 플레이트 (47) 는 제 1 볼트 (45) 및 제 2 볼트 (51) 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제 2 플레이트 (53) 는 제 1 볼트 (45) 및 제 2 볼트 (51) 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전술한 끼워맞춤에 관련된 오프셋이 존재하면, 전이 요소 (39) 는 자동으로 비스듬하게 놓여서, 롤링 트랙 (31a) 을 따른 오프셋을 동등하게 한다. 따라서, 조용한 구름을 용이하게 하는 일관된 롤링 트랙 (31a) 이 획득된다.
더 간단한 끼워맞춤을 위해, 전이 요소 (39) 에는 둘러싸는 보강 요소 (65) 가 제공된다.
도 6 은 본 발명의 2 개의 추가 양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주행 방향 (2) 으로 기능성 러닝 트랙 (31a) 을 갖는 2 개의 레일 요소 (11a, 11b) 가 각각 도 6 의 좌측 및 우측 영역에 도시되어 있다. 2 개의 인접한 레일 요소 (11a, 11b)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여, 레일 요소 (11a, 11b) 는 주행 방향 (2) 으로 자유롭게 팽창할 수 있다. 기능성 러닝 트랙 (31) 의 영역에서 인접한 레일 요소들 (11a, 11b) 은 기능성 러닝 트랙의 영역에서 주행 방향 (2) 에 수직한 가이드 레일 부분의 임의의 단면이 2 개의 인접한 레일 요소들 (11a, 11b)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연장되도록 상보적인 프로파일을 갖는 상호 대향 경계부들을 갖는다. 기능성 러닝 트랙의 영역에서 2 개의 레일 요소들 (11a, 11b) 은 말하자면 주행 방향 (2) 에 수직한 연속적인 갭이 발생하지 않도록 성형된다. 롤링 트랙이 기능성 러닝 트랙 (31) 인 경우, 가이드 롤러는 갭 덕분에 레일 요소들 (11a, 11b) 과의 접촉을 잃지 않을 수 있다. 경계부는 특히, 러닝 트랙의 영역에서 주행 방향 (2) 에 수직한 임의의 단면이 주행 방향 (2) 에 수직한 방식으로 기능성 러닝 트랙의 팽창의 적어도 20 % 에 해당하는 팽창을 갖도록 성형된다.
좌측 도면의 경우에 상호 대향 경계부들은 계단형상 프로파일을 가지는 반면, 우측 도면에는 주행 방향에 관하여 각도 (67) 를 갖는 직선형 프로파일이 존재한다.
좌측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경우, 각 단면의 경우에 팽창은 거의 75 % 이다. 예를 들어, 선 (43) 을 따른 단면은, 기능성 러닝 트랙 (31) 의 폭의 대략 절반이 제 1 레일 요소에 의해 형성되고 기능성 러닝 트랙의 대략 4 분의 1 이 제 2 레일 요소에 의해 형성되도록 제 1 레일 요소 (11a) 및 제 2 레일 요소 (11b) 를 가로지른다. 전체적으로, 기능성 러닝 트랙의 전체 폭의 약 75 % 의 팽창이 얻어진다.
우측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경우, 70°미만인 각도 (67) 는 기능성 러닝 트랙 (31) 의 영역에서 주행 방향 (2) 에 수직한 임의의 단면이 주행 방향 (2) 에 수직한 방식으로 기능성 러닝 트랙 (31) 의 팽창의 적어도 20 % 에 해당하는 팽창을 갖는 것을 보장한다.
도시된 실시형태의 두 변형예는 2 개의 레일 요소들 (11a, 11b) 이 서로에 대해 선회될 수 있다는 추가적인 이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 2 레일 요소 (11b) 에 대한 제 1 레일 요소 (11a) 는 방향 (71) 으로 회전 축선 (69) 주위에서 선회될 수 있다. 레일 요소들의 상호 선회는 엘리베이터 카의 주행 방향이 예를 들어 수직 주행으로부터 수평 주행으로 변화되어야 하는 때에 유용하다. 이러한 유형의 방향 변화를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특정 변형예의 경우, 이는 레일 요소들을 선회시킴으로써 가능하게 될 수 있다. 그것의 일례가 JPH0648672 에 기재되어 있다.
도 7 은 도 6 의 좌측 영역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개선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 기능성 러닝 트랙의 영역만이 3 차원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2 개의 인접한 레일 요소들 (11a, 11b)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여, 레일 요소들 (11a, 11b) 이 주행 방향 (2) 으로 자유롭게 팽창할 수 있다. 또한, 상호 대향 경계부들은 계단형상 프로파일을 갖는다. 또한, 기능성 러닝 트랙의 영역에서 상호 대향 경계부들은 챔퍼부 (73) 를 갖는다. 챔퍼부에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대응하는 곡률부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기능성 러닝 트랙을 따라 깔때기형상 프로파일이 형성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선회 절차에 후속하는 레일 요소들의 이상적이 아닌 설정의 경우에 맞닿는 에지들이 감소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인접한 레일 요소들 사이의 특정 오프셋 또는 인접한 레일 요소들 사이의 경사가 발생할 수도 있다.
도 8, 도 9 및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레일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8 은 가이드 레일 부분 (13) 의 3 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가이드 레일 부분 (13) 을 함께 형성하는 2 개의 레일 요소들 (11a, 11b) 이 도시되어 있다. 레일 요소들 (11a, 11b) 은 상호 간격을 가지므로, 레일 요소들 (11a, 11b) 이 주행 방향 (2) 으로 자유롭게 열팽창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 부분 (13) 은 기능성 러닝 트랙 (31a) 을 갖는다. 기능성 러닝 트랙 (31a) 은 엘리베이터 카 (7) 의 가이드 롤러를 위한 롤링 트랙이다. 동일한 러닝 트랙은 현재 제동 트랙으로서 또한 사용된다.
가이드 레일은 현재 T자형 단면을 갖는다.
개별 조치가 없는 경우, 인접한 레일 요소들 (11a, 11b) 사이의 간격은 기능성 러닝 트랙 (31a) 에서 중단을 초래한다. 이를 보상하기 위해, 2 개의 인접한 레일 요소들 (11a, 11b) 사이에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 (75) 가 배치된다.
도 9 및 도 10 은 각각 2 개의 상이한 상태의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 (75) 를 갖는 영역의 확대도이다. 이 영역의 3 차원 도면은 각각의 경우에 도 9 및 도 10 의 우측 부분에 도시되어 있고, 측방향 정면도는 도 9 및 도 10 의 좌측 영역에 도시되어 있다.
도 9 는 제 1 온도에서의 제 1 상태의 가이드 레일 부분 (13) 을 도시한다. 도 10 은 예를 들어 온도 상승 후에 제 2 상태의 동일한 가이드 레일 부분 (13) 을 도시한다. 대안적으로, 이 상태는 또한 인접한 레일 요소들이 서로를 향해 이동하기 때문에 건물의 침강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의 기능은 도 8, 도 9 및 도 10 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기능성 러닝 트랙 (35) 의 영역에서 2 개의 인접한 레일 요소들 (11a, 11b) 은, 직선형이며 서로에 대해 각도를 둘러싸는 상호 대향 경계부들을 갖는다. 이 각도는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 (75) 의 쐐기 각도 (79) 에 대응한다. 따라서, 기능성 러닝 트랙 (31) 의 영역에서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 (75) 는 인접한 레일 요소들 (11a, 11b) 사이의 중간 공간에 정확히 끼워맞춰진다. 따라서, 어떠한 갭도 없는 연속적이며 일관된 면이 기능성 러닝 트랙 (31a, 31b) 을 따라 형성된다. 기능성 러닝 트랙 (31a) 은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 (75) 에 걸쳐 연장된다.
도 9 는 저온 상태의 가이드 레일 부분 (13) 을 도시하는 한편, 도 10 의 동일한 가이드 레일 부분 (13) 은 가열 후에 (또는 각각 건물의 침강 전과 침강 후) 도시되어 있다. 2 개의 인접한 레일 요소들 (11a, 11b) 은 각각 2 개의 레일 요소들 (11a, 11b) 사이의 간격이 감소되도록 주행 방향으로 열팽창된다 (도 9 로부터 도 10 으로 전이). 열팽창에서 쌍방의 레일 요소들 (11a, 11b) 은 각각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 (75) 에 주행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힘을 가하였다. 이 힘은 가열된 상태의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 (75) (도 10) 가 쐐기 방향 (77) 의 반대 방향으로 퇴출되게 하였다.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 (75) 의 뾰족한 단부를 향하는 방향은 쐐기 방향 (77) 이라 지칭되고, 상기 방향은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 (75) 의 쐐기 각도 (79) 의 이등분선을 따라 연장된다.
도 10 에 의해, 갭이 없는 연속적이며 일관된 면이 또한 가열된 상태의 기능성 러닝 트랙 (31a) 을 따라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 (75) 의 정확한 치수는,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가 삽입되었는지 (도 9) 또는 퇴출되었는지 (도 10) 여부에 관계없이, 기능성 러닝 트랙이 그의 전체 폭을 통해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 (75) 상에 놓이도록 선택된다. 쐐기 각도 (79) 는 현재 60°이다. 추가의 쐐기 각도가 또한 고려될 수 있고 가능하다. 또한,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 (75) 는 쐐기 방향 (77) 이 주행 방향에 관하여 90°의 각도로 연장되도록 배향된다.
인접한 레일 요소 (11a, 11b) 의 냉각시, 레일 요소는 각각 다시 주행 방향으로 열수축하여, 두 레일 요소들 (11a, 11b) 사이의 간격이 다시 확대된다 (도 10 으로부터 9 로 전이). 이러한 냉각시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 (75) 가 뒤로 이동하기 위해,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 (75) 는 쐐기 방향 (77) 의 반대 방향으로 프리텐션되도록 장착된다.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 (75) 는 2 개의 압축 스프링 (81a, 81b) 의 도움으로 쐐기 방향 (77) 의 반대 방향으로 프리텐션된다.
압축 스프링 (81a, 81b) 은 각각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 (75) 의 둔각 단부와 유지 설비 (83) 사이에 연장된다. 열팽창 (도 9 로부터 도 10 으로 전이) 에서,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 (75) 는 압축 스프링 (81a, 81b) 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퇴출된다. 그러고 나서, 열수축 (도 10 으로부터 도 9 로 전이) 에서, 전이 피이스 (75) 는 압축 스프링 (81a, 81b) 의 스프링력의 도움으로 다시 삽입된다. 압축 스프링 (81a, 81b) 은 현재 스프링력이 쐐기 방향 (77) 에 평행하게 되도록 설계 및 배향되어 있다.
전이 피이스 (77) 와 레일 요소 (11a) 사이에는 가이드 (85a) 가 제공된다. 가이드 (85a) 는 레일 요소 (11a) 상에 홈 (87a) 을 포함하고, 상기 홈 (87a) 에 스프링 (89a) 이 결합한다. 여기서 스프링 (89a) 은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 (75)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전이 피이스 (77a) 와 레일 요소 (11b) 사이에 가이드 (85b) 가 제공된다. 가이드 (85b) 는 레일 요소 (11b) 상의 홈 (87b) 을 포함하고, 상기 홈 (87b) 에 스프링 (89b) 이 결합한다. 여기서 스프링 (89b) 은 전이 피이스 (77) 상에 배치된다.
2 개의 가이드들 (85a, 85b) 은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 (75) 가 잘 규정된 병진 운동을 수행하는 것을 보장한다. 따라서,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 (75) 의 모든 위치에서 균일하며 일관된 기능성 러닝 트랙 (31a) 이 보장된다. 이는 특히 레일 요소 (11a, 11b) 와 쐐기형상 전이 요소 (75) 사이의 전이 영역에도 또한 적용된다.
1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주행 방향
3 샤프트
5 샤프트 벽
7 엘리베이터 카
9 가이드 레일
11a, 11b, 11c, 11d, 11e 레일 요소
13a, 13b, 13c 가이드 레일 부분
15 고정 베어링
17 루스 베어링
19 리니어 모터
21 1차 부분
23 2차 부분
24 가이드 롤러
25 제 1 홀더
26 슈 브레이크
27 제 2 홀더
29 마운트
31a, 31b, 31c 기능성 러닝 트랙
33 핀
35 블라인드 보어
37 컷
39 전이 요소
41 빗형상 몰딩
43 선
45 제 1 볼트
47 제 1 플레이트
49 보어 (제 1 플레이트)
51 제 2 볼트
53 제 2 플레이트
55 보어 (제 2 플레이트)
57 세장형 보어 (제 1 플레이트)
59 세장형 보어 (제 2 플레이트)
61 좁은 측면 (제 1 플레이트)
63 좁은 측면 (제 2 플레이트)
65 보강 요소
67 각도
69 회전 축선
71 방향
73 챔퍼부
75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
77 쐐기 방향
79 쐐기 각도
81a, 81b 압축 스프링
83 유지 설비
85a, 85b 가이드
87a, 87b 홈
89a, 89b 스프링

Claims (23)

  1. 주행 방향으로 기능성 러닝 트랙 (31a, 31b, 31c) 을 갖는 하나의 가이드 레일 부분 (13a, 13b, 13c) 을 함께 형성하는 적어도 2 개의 레일 요소들 (11a, 11b, 11c, 11d, 11e) 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용의 가이드 레일 (9) 로서,
    상기 레일 요소들 (11a, 11b, 11c, 11d, 11e) 의 각각은 샤프트 벽 (5) 에 연결되고,
    인접한 레일 요소들 (11a, 11b, 11c, 11d, 11e) 은 상기 레일 요소들 (11a, 11b, 11c, 11d, 11e) 이 상기 주행 방향으로 자유롭게 열팽창할 수 있도록 상호 간격을 갖고,
    상기 기능성 러닝 트랙 (31a, 31b, 31c) 의 영역에서 상기 인접한 레일 요소들 (11a, 11b, 11c, 11d, 11e) 중의 적어도 2 개의 인접한 레일 요소들은, 상기 기능성 러닝 트랙 (31a, 31b, 31c) 의 영역에서 상기 주행 방향에 수직한 상기 가이드 레일 부분 (13a, 13b, 13c) 의 임의의 단면이 상기 2 개의 인접한 레일 요소들 (11a, 11b, 11c, 11d, 11e)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연장되도록 상보적인 프로파일을 갖는 상호 대향 경계부들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용의 가이드 레일 (9).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 개의 인접한 레일 요소들 (11a, 11b, 11c, 11d, 11e) 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 베어링 (15) 및 적어도 하나의 루스 베어링 (17) 에 의해 상기 샤프트 벽 (5) 에 각각 연결되어서, 상기 적어도 2 개의 인접한 레일 요소들 (11a, 11b, 11c, 11d, 11e) 은 상기 주행 방향으로 열팽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용의 가이드 레일 (9).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러닝 트랙 (31a, 31b, 31c) 은 엘리베이터 카 (7) 의 가이드 롤러 (24) 를 위한 롤링 트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용의 가이드 레일 (9).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트랙의 영역에서 상기 주행 방향에 수직한 상기 임의의 단면이 상기 주행 방향에 수직한 방식으로 상기 롤링 트랙의 팽창의 적어도 20 % 에 해당하는 팽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용의 가이드 레일 (9).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트랙의 영역에서 상기 2 개의 인접한 레일 요소들 (11a, 11b, 11c, 11d, 11e) 은 서로 맞물리는 빗형상 몰딩들 (41)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용의 가이드 레일 (9).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 개의 인접한 레일 요소들 (11a, 11b, 11c, 11d, 11e) 중의 제 1 레일 요소가 제 1 볼트 (45) 를 갖고, 상기 제 1 볼트에, 상기 제 1 레일 요소 (11a, 11b, 11c, 11d, 11e) 의 빗형상 몰딩들 (41) 을 형성하는 제 1 의 복수의 제 1 플레이트들 (47) 이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2 개의 인접한 레일 요소들 (11a, 11b, 11c, 11d, 11e) 중의 제 2 레일 요소 (11a, 11b, 11c, 11d, 11e) 가 제 2 볼트 (51) 를 갖고, 상기 제 2 볼트에, 상기 제 2 레일 요소 (11a, 11b, 11c, 11d, 11e) 의 빗형상 몰딩들을 형성하는 제 2 의 복수의 제 2 플레이트들 (53) 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용의 가이드 레일 (9).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의 복수의 제 1 플레이트들 (47) 은 상기 제 2 볼트 (51) 가 관통하는 세장형 보어 (elongate bore; 57) 를 각각 갖고,
    상기 제 2 의 복수의 제 2 플레이트들 (53) 은 상기 제 1 볼트 (45) 가 관통하는 세장형 보어 (59) 를 각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용의 가이드 레일 (9).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들 (47) 및 제 2 플레이트들 (51) 은 2 개의 볼트 (45, 51) 의 각각에 교호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용의 가이드 레일 (9).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들 (47) 은 상기 제 1 볼트 (45) 및 상기 제 2 볼트 (51) 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플레이트들 (53) 은 상기 제 1 볼트 (45) 및 상기 제 2 볼트 (51) 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용의 가이드 레일 (9).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플레이트들 (47, 53) 은 상기 제 1 및 제 2 플레이트들 (47, 53) 의 좁은 측면들 (61, 63) 이 상기 가이드 레일 부분의 기능성 러닝 트랙 (31a, 31b, 31c) 의 일부를 함께 형성하도록 배향 및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용의 가이드 레일 (9).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대향 경계부들은 계단형상 프로파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용의 가이드 레일 (9).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대향 경계부들은 상기 주행 방향에 관하여 70°미만의 각도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용의 가이드 레일 (9).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러닝 트랙 (31a, 31b, 31c) 의 영역에서 상기 상호 대향 경계부들은 챔퍼부 (73) 및/또는 곡률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용의 가이드 레일 (9).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러닝 트랙 (31a, 31b, 31c) 은 엘리베이터 카의 슈 브레이크를 위한 제동 트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용의 가이드 레일 (9).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 개의 인접한 레일 요소들 (11a, 11b, 11c, 11d, 11e) 중의 하나의 레일 요소는 상기 적어도 2 개의 인접한 레일 요소들 (11a, 11b, 11c, 11d, 11e) 중의 다른 레일 요소 (11a, 11b, 11c, 11d, 11e) 의 할당된 블라인드 보어 (35) 에 결합하는 핀 (33)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용의 가이드 레일 (9).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트랙에 인접한 방식으로, 상기 기능성 러닝 트랙 (31a, 31b, 31c) 의 영역에서 상기 적어도 2 개의 레일 요소들 (11a, 11b, 11c, 11d, 11e) 의 강성이 감소되도록 상기 인접한 레일 요소들 (11a, 11b, 11c, 11d, 11e) 에 컷 (37) 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용의 가이드 레일 (9).
  17. 주행 방향으로 기능성 러닝 트랙 (31a, 31b, 31c) 을 갖는 하나의 가이드 레일 부분 (13a, 13b, 13c) 을 함께 형성하는 적어도 2 개의 레일 요소들 (11a, 11b, 11c, 11d, 11e) 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용의 가이드 레일 (9) 로서,
    상기 레일 요소들 (11a, 11b, 11c, 11d, 11e) 의 각각은 샤프트 벽 (5) 에 연결되고,
    인접한 레일 요소들 (11a, 11b, 11c, 11d, 11e) 은 상기 레일 요소들 (11a, 11b, 11c, 11d, 11e) 이 상기 주행 방향으로 자유롭게 열팽창할 수 있도록 상호 간격을 갖고,
    상기 주행 방향 (2) 에 수직한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 (75) 가 2 개의 인접한 레일 요소들 (11a, 11b, 11c, 11d, 11e) 사이에 배치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용의 가이드 레일 (9).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러닝 트랙 (31a, 31b, 31c) 의 영역에서 인접한 레일 요소들 (11a, 11b, 11c, 11d, 11e) 중의 적어도 2 개는, 상기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 (75) 의 쐐기 각도 (79) 에 해당하는 각도를 둘러싸며 직선형인 상호 대향 경계부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용의 가이드 레일 (9).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러닝 트랙 (31a) 은 상기 전이 피이스 (75) 에 걸쳐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용의 가이드 레일 (9).
  20. 제 17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 (75) 는 쐐기 방향 (77a, 77b) 의 반대 방향으로 프리텐션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용의 가이드 레일 (9).
  21. 제 17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쐐기형상 전이 피이스 (75) 의 둔각 단부와 유지 설비 (83) 사이에 연장되는 압축 스프링 (81a, 81b)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용의 가이드 레일 (9).
  22. 제 17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2 개의 인접한 레일 요소들 (11a, 11b, 11c, 11d, 11e) 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 베어링 (15) 및 적어도 하나의 루스 베어링 (17) 에 의해 상기 샤프트 벽 (5) 에 각각 연결되어서, 상기 적어도 2 개의 인접한 레일 요소들 (11a, 11b, 11c, 11d, 11e) 은 상기 주행 방향으로 열팽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용의 가이드 레일 (9).
  23. 제 17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러닝 트랙 (31a, 31b, 31c) 은 엘리베이터 카 (7) 의 가이드 롤러 (24) 를 위한 롤링 트랙 또는 엘리베이터 카 (7) 의 슈 브레이크를 위한 제동 트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용의 가이드 레일 (9).
KR1020177030853A 2015-04-09 2016-04-08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가이드 레일 KR201701316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206345.3 2015-04-09
DE102015206345.3A DE102015206345A1 (de) 2015-04-09 2015-04-09 Führungsschiene für eine Aufzuganlage
PCT/EP2016/057716 WO2016113434A2 (de) 2015-04-09 2016-04-08 Führungsschiene für eine aufzuganlag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2531A Division KR102229042B1 (ko) 2015-04-09 2016-04-08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가이드 레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619A true KR20170131619A (ko) 2017-11-29

Family

ID=556972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0853A KR20170131619A (ko) 2015-04-09 2016-04-08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가이드 레일
KR1020197032531A KR102229042B1 (ko) 2015-04-09 2016-04-08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가이드 레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2531A KR102229042B1 (ko) 2015-04-09 2016-04-08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가이드 레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723591B2 (ko)
EP (1) EP3280668B1 (ko)
KR (2) KR20170131619A (ko)
CN (1) CN107438576B (ko)
BR (1) BR112017021406B1 (ko)
CA (1) CA2980401C (ko)
DE (1) DE102015206345A1 (ko)
WO (1) WO201611343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06345A1 (de) * 2015-04-09 2016-10-13 Thyssenkrupp Ag Führungsschiene für eine Aufzuganlage
AU2017343736B2 (en) * 2016-10-14 2020-08-27 Inventio Ag A linear drive system for an elevator installation
EP3339230A1 (en) * 2016-12-20 2018-06-27 Otis Elevator Company Foldable guide rail tracks for elevator systems
DE102017202129A1 (de) 2017-02-10 2018-08-16 Thyssenkrupp Ag Aufzuganlage mit Drehsegmenten
DE102017005852A1 (de) * 2017-06-21 2018-12-27 Thyssenkrupp Ag Statorschienensegment für den Linearantrieb einer Aufzuganlage
DE102017005851A1 (de) * 2017-06-21 2018-12-27 Thyssenkrupp Ag Statorschiene mit wenigstens zwei Schienenelementen
DE102018205592A1 (de) 2018-04-12 2019-10-17 Thyssenkrupp Ag Verfahren zur Montage von Schienen in einer Aufzugsanlage
WO2019202634A1 (ja) * 2018-04-16 2019-10-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CN108910656B (zh) * 2018-07-27 2019-05-21 煤炭工业合肥设计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罐道连接装置及其连接方法
JP7434325B2 (ja) * 2018-12-13 2024-02-20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エレベータ構成要素の設置の少なくとも部分的に自動化された計画のための方法
DE102019200019A1 (de) 2019-01-03 2020-07-09 Thyssenkrupp Ag Aufzuganlage mit gleitender Umsetzeinrichtung
EP3766817B1 (en) * 2019-07-16 2023-06-21 KONE Corporation Elevator guide rail
DE102019210741A1 (de) 2019-07-19 2021-01-21 Thyssenkrupp Elevator Innovation And Operations Ag Aufzugsanlage
CN112065865B (zh) * 2020-08-24 2022-04-05 河南科技大学 一种热诱导预紧力自补偿机床主轴轴承分离式隔圈
DE102022119000A1 (de) 2022-07-28 2024-02-08 Nedcon B.V. Warenlager zum Ein- und Auslagern von auf Ladungsträgern angeordneten Waren oder Warengebinden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85352B (de) * 1959-03-07 1965-01-14 Gutehoffnungshuette Sterkrade Schachtfuehrung, insbesondere Stahlschienenfuehrung fuer Bergbau-Foerderschaechte
US4079817A (en) * 1976-11-16 1978-03-21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system with fish plate for correcting an out-of-tolerance between guide dimension
JP2706780B2 (ja) 1988-07-28 1998-01-28 幸雄 魚住 懸垂鉄道の軌道構造における軌条伸縮装置
CN2112648U (zh) * 1990-05-15 1992-08-12 重庆大学 消除铁轨热膨胀间隙的装置
JPH04255455A (ja) * 1991-02-05 1992-09-10 Nippon Otis Elevator Co リニアモータ
JPH04317979A (ja) * 1991-04-17 1992-11-09 Toshiba Corp エレベータ用ガイドレール
JPH0648672A (ja) 1991-10-28 1994-02-22 Toshiba Corp エレベータ
JPH1023747A (ja) 1996-07-02 1998-01-23 Origin Electric Co Ltd 昇圧形電圧変換回路
JPH1029778A (ja) * 1996-07-16 1998-02-03 Mitsubishi Electric Corp リニアモータ駆動エレベータ
JPH10203747A (ja) * 1997-01-23 1998-08-04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ーのガイドレール
ATE245595T1 (de) * 1999-12-23 2003-08-15 De Vera Savera Sa Einbausystem für eine führungsvorrichtung einer aufzugskabine
US20020073875A1 (en) * 2000-09-26 2002-06-20 Liew Chewa War Oblique expansion gap for between consecutive sections of railway tracks
CN101186263A (zh) * 2007-08-31 2008-05-28 中国铝业股份有限公司 一种铝电解多功能天车轨道伸缩缝连接方法
FI20090502A (fi) * 2009-12-22 2011-06-23 Kone Corp Hissi, johdekiinnike ja menetelmä
CN102770363B (zh) * 2010-02-18 2015-06-24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轨道保持装置
FI20100129A (fi) * 2010-03-24 2011-09-25 Kone Corp Hissin johde ja hissi
DE102010042144A1 (de) 2010-10-07 2012-04-12 Thyssenkrupp Transrapid Gmbh Aufzuganlage
ES2400662B1 (es) * 2011-04-18 2014-09-23 S.A. De Vera (Savera) Unión autoalineante, para guías de ascensor
EP2821358B1 (en) * 2013-07-03 2016-11-30 Kone Corporation Guide rail alignment system for elevators
WO2016118722A1 (en) * 2015-01-23 2016-07-2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rails
DE102015206345A1 (de) * 2015-04-09 2016-10-13 Thyssenkrupp Ag Führungsschiene für eine Aufzuganlage
DE102015208288A1 (de) * 2015-05-05 2016-11-24 Thyssenkrupp Ag Lager zum Dämpfen von Schwingungen in Führungsschienen einer Aufzugsanlage
WO2017144932A1 (en) * 2016-02-24 2017-08-31 Otis Elevator Company Variable cross-section elevator guide rail connector
EP3231757B1 (en) * 2016-04-15 2020-04-08 Otis Elevator Company Guide rail support
EP3339230A1 (en) * 2016-12-20 2018-06-27 Otis Elevator Company Foldable guide rail tracks for elevator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80668A2 (de) 2018-02-14
US20180079624A1 (en) 2018-03-22
CA2980401A1 (en) 2016-07-21
WO2016113434A2 (de) 2016-07-21
WO2016113434A3 (de) 2016-09-09
CN107438576B (zh) 2020-04-14
EP3280668B1 (de) 2021-12-15
KR20190126464A (ko) 2019-11-11
DE102015206345A1 (de) 2016-10-13
BR112017021406A2 (pt) 2018-07-03
KR102229042B1 (ko) 2021-03-19
US10723591B2 (en) 2020-07-28
CA2980401C (en) 2021-10-05
CN107438576A (zh) 2017-12-05
BR112017021406B1 (pt)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31619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가이드 레일
CN113242836B (zh) 电梯轨
US9482012B2 (en) Building panels provided with a mechanical locking system
RU2464170C2 (ru) Валковый пресс со смещаемыми головными элементами
CN107849883B (zh) 用于引导和支撑站台屏蔽门的门扇的系统
WO2013141709A8 (en) Guide, bearing means for a guide and method and parts for forming bearing means for a guide.
CN104661950A (zh) 轨道系统
CN103663077B (zh) 乘客传送设备及乘客传送装置
JP6475548B2 (ja) 押出架設工法
CN105380428A (zh) 用于引导抽屉的抽拉引导装置和家具件
CN104061258A (zh) 一种楔块刚性锁定机构
WO2012155892A3 (de) Brems- und/oder klemmvorrichtung mit angetriebenem käfig
CN102677554B (zh) 导轨的扩张装置
EP2584209B1 (en) Linear guideway arrangement
DK2634063T3 (en) Sliding door of a rail vehicle
JP2021092148A (ja) フラットデッキおよびフラットデッキの役物ならびにフラットデッキの敷設構造および敷設方法
WO2013056728A1 (en) Linear guideway arrangement
CN202943074U (zh) 二十辊轧机辊箱轧线调整结构
EP2400100B2 (de) Führungsschiene und Flügelanlage mit einer derartigen Führungsschiene
CN113329825A (zh) 轧机机架的弯曲和移位系统
CA2838305A1 (en) Power rail, mounting and dismounting method and arrangement composed of combined power rails
EP2848571B1 (en) Method for installing an elevator car sling
EP3392428B1 (en) Building panels provided with a mechanical locking system
RU2484194C1 (ru) Анкер рельсового скрепления
IL308610A (en) An assembly that includes at least one bar and a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