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9726A - 케이블 접속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 접속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9726A
KR20170129726A KR1020177025174A KR20177025174A KR20170129726A KR 20170129726 A KR20170129726 A KR 20170129726A KR 1020177025174 A KR1020177025174 A KR 1020177025174A KR 20177025174 A KR20177025174 A KR 20177025174A KR 20170129726 A KR20170129726 A KR 20170129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flat cable
bus
mounting groov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5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5363B1 (ko
Inventor
히로후미 우쯔노미야
Original Assignee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9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9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ons to contact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01R35/025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having a flexible conductor wound around a rotation ax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02Cable lay-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between relatively movable parts of the vehicle, e.g. between steering wheel and colum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3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another shape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3/0214Resistance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bases or cases for contac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단순한 구성으로 버스바와 절연부를 접속 가능한 케이블 접속 구조를 제공한다. 케이블 접속 구조는, 복수의 버스바(60)와,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14)과, 절연부(40)를 구비한다.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14)은, 버스바(60)에 접속된다. 절연부(40)에는, 버스바(60)를 개별적으로 배치하기 위한 홈인 버스바 장착홈(41)이 형성됨과 함께, 버스바(60)를 덮는 것으로 버스바(60)를 고정하는 버스바 고정부(45)가 형성된다. 버스바(60)에는,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14)이 장착되는 측에 돌출되는 삼각 형상 돌출부(62)가 형성되어 있다.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14)은, 버스바(60)의 삼각 형상 돌출부(62)에 접속된다.

Description

케이블 접속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주로, 회전 커넥터 장치에 마련되는 접속구(接續具)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를 들면 자동차의 스티어링측과 차체측과 같이, 회전측과 고정측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회전 커넥터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스티어링은, 긴급시에 확실한 동작이 요구되는 에어백 등의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신뢰성이 낮은 슬라이딩 전극 등은 이용하지 않고, 느슨하게 감겨진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등에 의해서 스티어링측과 차체측을 접속하는 구성의 회전 커넥터가 채용되고 있다.
그런데,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은 복수의 얇은 도체부를 수지 등으로 피복한 것이다.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과 외부의 전기 부품은, 특허문헌 1 내지 3에서 나타내는 접속구를 통하여 접속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허문헌 1 및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구는, 금속제의 복수의 버스바(busbar)(핀 단자)와, 버스바를 덮도록 배치되는 수지제의 절연부(지지 부재)를 구비한다. 특허문헌 1 및 2에서는, 절연부의 측면에 삽입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 구멍에 버스바를 삽입하는 것으로 상기 버스바가 고정된다.
또한, 특허문헌 3에서는, 처음에, 피복 전선에 버스바(핀 단자)를 코킹하여 접속한다. 그리고, 이 코킹한 버스바를 수지제의 절연부(지지 부재)에 삽입하는 것으로 상기 버스바가 고정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82072호 일본 실용신안등록공보 제318393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187150호
그러나, 특허문헌 1 내지 3과 같이 버스바를 삽입 구멍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구성의 접속구는, 절연부에 삽입 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절연부의 구성이 복잡하게 된다. 따라서, 절연부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이 복잡하게 되고, 절연부에 드는 비용이 증대된다. 또한, 버스바를 삽입 구멍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구성의 접속구는, 절연부의 삽입 구멍에 치수 정밀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이 점에 있어서도 비용이 증대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주요한 목적은, 단순한 구성으로 버스바와 절연부를 접속 가능한 케이블 접속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 하려고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으며, 다음에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과 그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의 관점에 의하면, 이하의 구성의 케이블 접속 구조가 제공된다. 즉, 이 케이블 접속 구조는, 복수의 버스바와, 플랫 케이블과, 절연부를 구비한다. 상기 플랫 케이블은, 상기 버스바에 접속된다. 상기 절연부에는, 상기 버스바를 개별적으로 배치하기 위한 홈인 버스바 장착홈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버스바를 덮는 것으로 상기 버스바를 고정하는 버스바 고정부가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에는, 상기 버스바 장착홈의 깊이 방향의 일측이며 상기 플랫 케이블이 장착되는 측에 돌출되는 돌출부가 적어도 1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랫 케이블은, 상기 버스바의 상기 돌출부에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절연부에 버스바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구멍이 아니라 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절연부의 형상을 단순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절연부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도 단순하게 할 수 있으므로, 절연부에 걸리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삽입 구멍이 아니라 홈에서 버스바를 장착한 경우, 버스바의 위치가 정해지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버스바와 플랫 케이블의 접속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 점에서, 상기와 같이 버스바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버스바와 플랫 케이블을 확실히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접속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케이블 접속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절연부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의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위치이며, 상기 돌출부의 돌출 방향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버스바를 노출시키는 버스바 노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플랫 케이블과의 접속 개소에 있어서, 절연부로부터 버스바를 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플랫 케이블과 버스바를, 예를 들면 저항 용접으로 접속할 수 있다.
상기의 케이블 접속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버스바 고정부는, 상기 절연부의 일부가 찌그러지도록 변형된 부분이며, 상기 찌그러진 부분으로 상기 버스바의 일부를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절연부를 찌그러뜨려서 버스바를 고정하는 것으로, 버스바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가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부품 수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의 케이블 접속 구조에 있어서는, 이하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버스바의 적어도 일단부에는, 상기 버스바의 배열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굴곡되어 있는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연부에는, 상기 굴곡부에 접촉하는 것으로 상기 버스바의 이동을 규제하는 버스바 규제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버스바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으므로, 버스바의 돌출부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버스바와 플랫 케이블을 확실히 접속할 수 있다.
상기의 케이블 접속 구조에 있어서는, 이하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버스바 장착홈은, 상기 버스바를 통하여 상기 플랫 케이블에 접속되는 피복 전선을 장착하기 위한 피복 전선 장착홈을 겸하고 있다. 상기 피복 전선이 장착되는 부분과, 상기 플랫 케이블이 장착되는 부분의 사이에, 상기 버스바 고정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버스바와 플랫 케이블의 접속, 및, 버스바와 피복 전선의 접속의 양쪽 모두를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버스바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의 케이블 접속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피복 전선 장착홈에는, 심선 수용부와 피복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심선 수용부와 피복 수용부를 나누는 것으로, 피복 전선의 장착 위치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상기의 케이블 접속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심선 수용부에는, 심선을 개별적으로 배치하기 위한 복수의 벽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벽부의 사이에는, 상기 심선을 노출시키는 심선 노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절연부의 일면 및 타면에 대해서, 심선과 버스바를 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심선과 버스바를 저항 용접으로 접속할 수 있다.
상기의 케이블 접속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피복 수용부에는, 상기 피복 전선을 끼워넣는 것으로 고정 가능한 피복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피복 전선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의 케이블 접속 구조에 있어서는, 이하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버스바에는, 상기 버스바의 길이 방향으로 나열되어 복수의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연부에는, 복수의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버스바 끼워맞춤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버스바 끼워맞춤부는, 상기 돌출부에 각각 끼워진다.
이것에 의해, 버스바에 의해서 플랫 케이블과의 용접 위치가 다른 경우라도, 동일한 종류의 버스바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버스바와 절연부가 복수 개소에서 끼워지기 때문에, 버스바의 위치 어긋남을 보다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관점에 의하면, 적어도 버스바 및 플랫 케이블을 절연부에 장착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이하의 공정을 더 포함하는, 케이블 접속 구조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즉, 이 케이블 접속 구조의 제조 방법은, 버스바 배치 공정과 버스바 고정 공정과 플랫 케이블 접속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버스바 배치 공정에서는, 상기 버스바를 개별적으로 배치하기 위한 홈인 버스바 장착홈에, 상기 버스바를 배치한다. 상기 버스바 고정 공정에서는, 상기 절연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버스바 고정부를 녹이는 것으로 상기 버스바 장착홈에 배치된 상기 버스바를 고정한다. 상기 플랫 케이블 접속 공정에서는, 상기 버스바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버스바 장착홈의 깊이 방향의 일측이며 상기 플랫 케이블이 장착되는 측에 돌출되는 돌출부에 대해서 상기 플랫 케이블을 접속한다.
이것에 의해, 절연부에 삽입 구멍이 아니라 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절연부의 형상을 단순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절연부를 성형하는 금형도 단순하게 할 수 있으므로, 절연부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삽입 구멍이 아니라 홈으로 버스바를 장착한 경우, 버스바의 위치가 정해지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버스바와 플랫 케이블의 접속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 점, 상기와 같이 버스바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버스바와 플랫 케이블을 확실히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접속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케이블 접속 구조를 포함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수용 공간에 수용된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과 리테이너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케이블 접속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케이블 접속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버스바 장착홈의 바닥면의 형상과 버스바의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절연부에 형성되는 버스바 노출 구멍 및 심선 노출 구멍을 나타내는 바닥면도이다.
도 7은 제1 변형예에 관한 케이블 접속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제1 변형예에 관한 버스바 장착홈의 바닥면의 형상과 버스바의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제2 변형예로부터 제4 변형예에 관한 버스바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처음에,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회전 커넥터 장치(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회전 커넥터 장치(1)는, 스테이터(11)와 로테이터(12)로 구성된다.
스테이터(11)는, 차체측의 적절한 부재, 예를 들면 콤비네이션 스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스테이터(11)는 도시가 생략된 스테어링 휠에 대해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스테이터(11)에는, 외측 통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로테이터(12)에는 내측 통부(32)가 형성되어 있고, 이 내측 통부(32)에, 스테어링 휠이 삽입된다. 로테이터(12)는, 삽입된 스테어링 휠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또한, 스테이터(11)와 상대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테이터(11) 및 로테이터(12)에는, 고정 핀(18)을 장착하기 위한 오목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스테이터(11) 및 로테이터(12)의 오목부에 고정 핀(18)을 장착하는 것으로, 스테이터(11)에 대해서 로테이터(12)가 회전하지 않도록 록(lock) 할 수 있다. 고정 핀(18)은, 회전 커넥터 장치(1)를 차체에 장착할 때에, 로테이터(12)의 위치가 중립 위치로부터 어긋나지 않도록 일시적으로 장착된다. 회전 커넥터 장치(1)를 적절히 차체에 장착한 후는, 상기 고정 핀(18)을 중도부(中途部)에서 꺾어서 고정하는 것으로, 스테이터(11)에 대해서 로테이터(12)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테이터(11)에는 제1 커넥터(35)가 장착되고, 로테이터(12)에는 제2 커넥터(36)가 장착된다. 제2 커넥터(36)는, 로테이터(12)의 회전에 수반하여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제1 커넥터(35) 및 제2 커넥터(36)는, 외부의 전기 회로(예를 들면, 혼(horn) 스위치, 에어백 모듈, 전원, ECU 등)로부터 인출된, 도시가 생략된 케이블을 각각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스테이터(11)와 로테이터(12)의 사이에는, 환 형상의 공간인 케이블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 수용 공간은, 구체적으로는, 내측 통부(32)의 외벽부 및 외측 통부(31)의 내벽부로 둘러싸인 공간이다. 이 케이블 수용 공간의 내부에는, 리테이너(25)와 2개의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플랫 케이블)(14, 15)이 수용되어 있다. 리테이너(25)는, 베이스 링(26)과, 복수의 회전 롤러(27)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 링(26)은 환 형상으로 형성된 판 형상의 부재이다. 이 베이스 링(26)은, 로테이터(12)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회전 롤러(27)는 베이스 링(26)의 일면측에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14, 15)은, 이 베이스 링(26) 위에 감겨지도록 하여, 케이블 수용 공간에 수용되어 있다. 2개의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14, 15)의 제1 단부(14a, 15a)는, 제1 커넥터(35)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커넥터(35)로부터 케이블 수용 공간에 인출된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14, 15)은, 그 일부가 리테이너(25)의 외측에서 스테이터(11)의 외측 통부(31)의 내주면을 따르도록 감겨진다. 그리고,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14, 15)은 도중에서, 복수의 상기 회전 롤러(27) 중 1개에 감겨지도록 하여 방향을 반전한다(반전부(16), 반전부(17)). 그 후는,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14, 15)은 리테이너(25)의 내측에서 로테이터(12)의 내측 통부(32)의 외주면을 따르도록 감겨지고, 최종적으로는 케이블 수용 공간으로부터 인출되고 있다. 케이블 수용 공간으로부터 인출된 2개의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14, 15)의 제2 단부(14b, 15b)는, 제2 커넥터(36)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상기 케이블 수용 공간의 내부에 있어서,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14, 15)은 적절한 길이로 늘어져 감겨져 있고, 이 늘어진 길이는, 로테이터(12)가 스테이터(11)에 대해서 회전하는 것으로써 변화된다. 이 늘어진 길이의 변화에 추종하도록 리테이너(25)가 적절히 회전하는 것으로써,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14, 15)을 케이블 수용 공간 내에서 항상 정렬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스테어링 휠측(회전측)의 에어백 모듈 등과 차체측(고정측)의 전원 등을,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14, 15)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으로부터 도 6을 참조하여, 제1 커넥터(35) 또는 제2 커넥터(36)의 내부에 배치되는 케이블 접속 구조(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 접속 구조(100)는, 절연부(40)와, 버스바(60)와, 피복 전선(70)과,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14)을 구비한다. 또한,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14) 대신,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15)에 본 실시형태의 구성을 적용해도 좋다.
버스바(60)는, 금속 등의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로 구성된 가늘고 긴 형상의 부재이다. 케이블 접속 구조(100)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6개)의 버스바(6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6개의 버스바(60) 중, 4개가 피복 전선(70)에 접속되고, 나머지 2개가 도시되지 않은 단자에 접속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스바(60)에는, 피복 전선 접속부(61)와, 삼각 형상 돌출부(돌출부)(62)와 굴곡부(63)가 형성되어 있다.
피복 전선 접속부(61)는, 버스바(60)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보다 일측(피복 전선(70)측)의 부분이다. 피복 전선 접속부(61)는, 요철이 없고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버스바(60)는, 피복 전선 접속부(61)에 의해서 피복 전선(70)과 전기적이며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삼각 형상 돌출부(62)는, 각각의 버스바(60)에 1개씩 형성되어 있다. 삼각 형상 돌출부(62)는, 삼각형의 꼭대기점의 2개가 버스바(60) 상에 위치하도록, 또한 나머지의 1개의 꼭대기점이 버스바(60)의 상측(버스바(6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일측, 버스바(60)의 배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일측, 버스바 장착홈(41)의 깊이 방향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버스바(60)는, 삼각 형상 돌출부(62)에 의해서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14)과 전기적이며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굴곡부(63)는, 버스바(60)의 길이 방향의 타측(피복 전선(70)의 반대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굴곡부(63)는, 버스바(60)의 길이 방향과 수직으로(상세하게는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14)의 반대측으로) 접어 구부러진 부분이다.
절연부(40)는, 수지제이며, 금형을 이용하여 일체적으로 성형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부(40)에는, 버스바 장착홈(41)과, 버스바 노출 구멍(4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는, 버스바(60)의 배열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버스바 장착홈(41)은, 복수의 버스바(60)를 장착하기 위한 홈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6개의 버스바(60)가 배치되기 때문에, 버스바 장착홈(41)도 6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버스바 장착홈(41)은, 상방(버스바(6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 버스바(60)의 배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이 개방되어 있다. 종래에는, 절연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버스바를 삽입하는(즉 버스바를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버스바가 장착된다. 이 점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스바(60)를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버스바 장착홈(41)의 깊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버스바(60)를 절연부(40) (상세하게는 버스바 장착홈(41))에 넣는다.
이 구성에 의해, 버스바(60)를 배치하는 작업이 간단하게 된다. 또한, 절연부(40)의 형상을 단순하게 할 수 있으므로, 금형을 단순하게 하여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버스바 장착홈(41)의 깊이 방향은, 절연부(40)의 표면으로부터 버스바 장착홈(41)의 바닥면을 향하는 방향과 그 반대 방향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버스바 장착홈(41)의 깊이 방향은, 버스바(60)의 삽입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스바 장착홈(41)에는, 버스바 노출 구멍(42)과, 버스바 규제부(43)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버스바 장착홈(41)에는, 각각 1개의 버스바 노출 구멍(4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버스바 장착홈(41)의 단부에는 버스바 규제부(43)가 형성되어 있다.
버스바 노출 구멍(42)은, 관통 형상의 둥근 구멍이다. 버스바 노출 구멍(42)의 직경은, 버스바 장착홈(41)의 폭보다 크다. 버스바 노출 구멍(42)이 버스바(60)를 노출시키는 것으로, 저항 용접(상세한 사항은 후술)으로,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14)과 버스바(60)를 용접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스바(60)와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14)은 교차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용접된다. 따라서, 버스바 노출 구멍(42)이 형성되는 위치는, 버스바 장착홈(41)마다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버스바 노출 구멍(42)은, 삼각 형상 돌출부(62)(및 후술의 창부(83))가 형성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버스바 규제부(43)는, 버스바 장착홈(41)의 단부 근방에 형성된 오목부이다. 버스바 규제부(43)는, 버스바(60)의 굴곡부(63)가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버스바 규제부(43)는, 굴곡부(63)에 접촉하는 것으로, 버스바(60)가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지 않도록 규제한다. 또한, 버스바 규제부(43)는, 버스바(60)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부(40)의 중앙 근방에는, 버스바 고정부(45)가 형성되어 있다. 버스바 고정부(45)는, 절연부(40)의 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 부분이며, 버스바 장착홈(41)의 사이드에 형성되어 있다. 작업자는, 버스바(60)를 버스바 장착홈(41)에 장착한 후에, 고온의 가공구(加工具)를 버스바 고정부(45)에 접촉시켜서, 하측으로 더 누른다. 이것에 의해, 버스바 고정부(45)의 높이가 낮아지도록(찌그러지도록) 상기 버스바 고정부(45)를 변형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버스바 장착홈(41)의 개방 부분 및 버스바(60)를 버스바 고정부(45)가 덮기 때문에, 버스바(60)를 절연부(40)에 고정할 수 있다(도 3 참조).
버스바 장착홈(41)은, 피복 전선(70)을 장착하기 위한 피복 전선 장착홈(41a)을 겸하고 있다(포함하고 있다). 피복 전선 장착홈(41a)에는, 피복 전선(70)의 피복(71)을 수용하기 위한 피복 수용부(51)와, 피복 전선(70)의 심선(72)을 수용하기 위한 심선 수용부(55)가 형성되어 있다.
피복 수용부(51)의 벽부(52)에는, 피복 고정부(53)가 형성되어 있다. 피복 고정부(53)는, 벽부(52)로부터 내측으로(대향하는 심선 노출 구멍(57)에 가까워지도록) 돌출되는 요철 형상을 하고 있다. 피복(71)은 수지제이기 때문에, 작업자가 피복(71)을 피복 고정부(53)에 누르는 것으로, 피복(71)을 절연부(40)에 고정할 수 있다.
심선 수용부(55)의 벽부(56)의 사이에는, 도 4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심선 노출 구멍(57)이 형성되어 있다. 심선 노출 구멍(57)은, 상하 방향(버스바(60)의 삽입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버스바(60) 및 피복 전선(70)을 절연부(40)에 장착한 후에, 버스바(60)와 심선(72)을 저항 용접으로 용접할 수 있다.
절연부(40)에 버스바(60)와 피복 전선(70)을 장착하여 용접을 행한 후에, 작업자는,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14)을 절연부(40)의 위에 장착한다. 여기서,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14)은, 피복부(81)와, 배열되어 배치되는 도체부(82)를 구비하고 있다. 피복부(81)의 표면에는, 도체부(82)를 노출시키기 위한 창부(8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창부(83)와 버스바 노출 구멍(42)은, 위치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작업자는,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14)을 장착한 후에,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14)의 창부(83)측과, 절연부(40)의 버스바 노출 구멍(42)측을 저항 용접용의 공구로 사이에 끼우는 것으로, 버스바(60)와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14)을 전기적이며 기계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버스바(60)의 장착, 피복 전선(70)의 접속,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14)의 접속을 일련의 흐름으로 행할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접속 구조(100)는, 복수의 버스바(60)와,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14)과, 절연부(40)를 구비한다.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14)은, 버스바(60)에 접속된다. 절연부(40)에는, 버스바(60)를 개별적으로 배치하기 위한 홈인 버스바 장착홈(41)이 형성됨과 함께, 버스바(60)를 덮는 것으로 버스바(60)를 고정하는 버스바 고정부(45)가 형성된다. 버스바(60)에는, 버스바 장착홈(41)의 깊이 방향의 일측이며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14)이 장착되는 측에 돌출되는 삼각 형상 돌출부(62)가 형성되어 있다.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14)은, 버스바(60)의 삼각 형상 돌출부(62)에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절연부(40)의 형상을 단순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절연부(40)의 금형을 단순하게 할 수 있으므로, 절연부(40)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버스바(60)에 삼각 형상 돌출부(62)를 형성하는 것으로, 버스바(60)와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14)을 확실히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접속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접속 구조(100)에서는, 절연부(40)에 있어서, 버스바(60)의 삼각 형상 돌출부(62)에 대응하는 위치이며, 삼각 형상 돌출부(62)의 돌출 방향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버스바(60)를 노출시키는 버스바 노출 구멍(42)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14)과의 접속 개소에 있어서, 절연부(40)로부터 버스바(60)를 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14)과 버스바(60)를 저항 용접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접속 구조(100)에 있어서, 버스바 고정부(45)는, 절연부(40)의 일부가 찌그러지도록 변형된 부분이며, 상기 찌그러진 부분으로 버스바(60)의 일부를 덮는다.
이것에 의해, 절연부(40)을 찌그려서 버스바(60)를 고정하는 것으로, 버스바(60)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가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부품 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접속 구조(100)에 있어서, 버스바(60)의 적어도 일단부에는, 상기 버스바(60)의 배열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굴곡되어 있는 굴곡부(63)가 형성되어 있다. 절연부(40)에는, 굴곡부(63)에 접촉하는 것으로 버스바(60)의 이동을 규제하는 버스바 규제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버스바(60)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으므로, 버스바(60)의 삼각 형상 돌출부(62)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버스바(60)와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14)을 확실히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접속 구조(100)에 있어서, 버스바 장착홈(41)은, 버스바(60)를 통하여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14)에 접속되는 피복 전선(70)을 장착하기 위한 피복 전선 장착홈(41a)을 겸하고 있다. 피복 전선(70)이 장착되는 부분과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14)이 장착되는 부분의 사이에, 버스바 고정부(45)가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버스바(60)와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14)의 접속, 및, 버스바(60)와 피복 전선(70)의 접속의 양쪽 모두를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서 버스바(60)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접속 구조(100)에 있어서, 피복 전선 장착홈(41a)에는, 심선 수용부(55)와 피복 수용부(51)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심선 수용부(55)와 피복 수용부(51)를 나누는 것으로, 피복 전선(70)의 장착 위치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접속 구조(100)에 있어서, 심선 수용부(55)에는, 심선(72)을 개별적으로 배치하기 위한 복수의 벽부(5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벽부(56)의 사이이며 절연부(40)의 바닥면에는, 심선(72)을 노출시키는 심선 노출 구멍(57)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절연부(40)의 일면 및 타면에 대해서, 심선과 버스바(60)를 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심선(72)과 버스바(60)를 저항 용접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접속 구조(100)에 있어서, 피복 수용부(51)에는, 피복 전선(70)(상세하게는 피복(71))을 끼워넣는 것으로 고정 가능한 피복 고정부(53)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피복 전선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다음에,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실시형태의 제1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변형예에서는, 버스바 장착홈(41) 및 버스바(60)의 형상이 상기 실시형태와는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스바 장착홈(41)의 바닥부에는, 상기 버스바 장착홈(41)의 길이 방향으로 나열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버스바 노출 구멍(42) 또는 버스바 끼워맞춤부(44)가 형성되어 있다. 버스바 끼워맞춤부(44)는, 버스바 장착홈(41)의 바닥부로부터 버스바(60)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부분이다. 또한, 버스바 노출 구멍(42)은, 1개의 버스바 장착홈(41)에 대해 1개소에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변형예의 버스바(60)에는, 상기 버스바(60)의 길이 방향으로 나열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수직 돌출부(64)가 형성되어 있다. 수직 돌출부(64)는, 상기 버스바(60)를 일측(버스바(60)의 길이 방향 및 배열 방향에 수직인 일측) 및 타측으로 직각으로 접어 구부리는 것으로 형성되는 부분이다. 수직 돌출부(64)는, 상기의 버스바 노출 구멍(42) 또는 버스바 끼워맞춤부(44)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직 돌출부(64)에 의해서 형성되는 버스바 장착홈(41)측(바닥면측)의 오목부의 위치와, 버스바 끼워맞춤부(44)의 위치(돌출되는 부분의 위치)가 대응하게 되어 있고, 서로 끼워맞춤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작업자는, 버스바(60)를 절연부(40)에 넣을 때에, 수직 돌출부(64)의 바닥면측의 오목부가 버스바 끼워맞춤부(44)에 끼워맞춤되도록, 또한, 굴곡부(63)가 버스바 규제부(43)에 들어가도록, 버스바(60)를 버스바 장착홈(41)에 장착한다. 이것에 의해, 버스바(60)를 적절한 위치에 장착할 수 있음과 함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버스바(60)에 복수의 수직 돌출부(64)를 형성하고, 그것에 맞추도록 절연부(40)의 형상을 정하는 것으로, 버스바(60)를 공통화할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스바(60)에 의해서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14)과의 용접 위치가 다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동일한 종류의 버스바(60)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버스바(60)와 절연부(40)가 복수 개소에서 끼워지기 때문에, 버스바(60)의 위치 어긋남을 보다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9를 참조하여, 제2 변형예로부터 제4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a)에는, 제2 변형예에 관한 버스바(60)가 나타나 있다. 제2 변형예에 관한 버스바(60)에는, 상면에 직육면체 형상으로 돌출되는 직육면체 형상 돌출부(돌출부)(6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변형예에 관한 버스바(60)의 하면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도 9(b)에는, 제3 변형예에 관한 버스바(60)가 나타나 있다. 제3 변형예에 관한 버스바(60)에는, 상면에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되는 원기둥 형상 돌출부(돌출부)(6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3 변형예에 관한 버스바(60)의 하면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도 9(c)에는, 제4 변형예에 관한 버스바(60)가 나타나 있다. 제4 변형예에 관한 버스바(60)에는, 상면에 직육면체 형상 돌출부(65)가 형성됨과 함께, 하면에도 직육면체 형상 돌출부(6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면에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 돌출부(65)에 대응하는 버스바 장착홈(41)의 바닥부에는, 상기 직육면체 형상 돌출부(65)와 끼워맞춤 가능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상기의 구성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변경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형태의 삼각 형상 돌출부(62), 제1 변형예의 수직 돌출부(64), 제2 변형예 및 제4 변형예의 직육면체 형상 돌출부(65), 제3 변형예의 원기둥 형상 돌출부(66)가 형성되는 수는 임의이며, 1개라도 좋고, 2개 이상(예를 들면 버스바 노출 구멍(42)과 동일수) 이라도 좋다. 또한, 버스바(60)의 하면의 형상도 임의이다.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피복 전선(70) 및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14)을 버스바(60)에 용접하는 방법으로서 저항 용접을 들었지만, 초음파 용접 또는 레이저 용접 등의 다른 접속 방법을 이용해도 좋다.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버스바(60)의 폭은 일정하지만, 예를 들면 중도부의 폭이 크게 되어 있는 버스바를 이용해도 좋다.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된 수지(버스바 고정부(45))를 녹이는 것으로 버스바(60)를 고정하고 있지만, 다른 부재를 이용하여 버스바(60)를 고정해도 좋다.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버스바(60)에 피복 전선(70) 및 단자가 접속되지만, 피복 전선에만 또는 단자에만 접속되는 구성이라도 좋다.
상기에서 설명한 부품의 형상, 개수, 위치 등은 일례이며, 상기에서 설명한 외에도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1: 회전 커넥터 장치
14, 15: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플랫 케이블)
40: 절연부
41: 버스바 장착홈
42: 버스바 노출 구멍
43: 버스바 규제부
44: 버스바 끼워맞춤부
45: 버스바 고정부
60: 버스바
61: 피복 전선 접속부
62: 삼각 형상 돌출부
63: 굴곡부
70: 피복 전선
100: 케이블 접속 구조

Claims (10)

  1. 복수의 버스바와,
    상기 버스바에 접속되는 플랫 케이블과,
    상기 버스바를 개별적으로 배치하기 위한 홈인 버스바 장착홈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버스바를 덮는 것으로 상기 버스바를 고정하는 버스바 고정부가 형성된 절연부를 구비하고,
    상기 버스바에는, 상기 버스바 장착홈의 깊이 방향의 일측이며 상기 플랫 케이블이 장착되는 측에 돌출되는 돌출부가 적어도 1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랫 케이블은, 상기 버스바의 상기 돌출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의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위치이며, 상기 돌출부의 돌출 방향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버스바를 노출시키는 버스바 노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고정부는, 상기 절연부의 일부가 찌그러지도록 변형된 부분이며, 상기 찌그러진 부분으로 상기 버스바의 일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의 적어도 일단부에는, 상기 버스바의 배열 방향에서 보았을 때 굴곡되어 있는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연부에는, 상기 굴곡부에 접촉하는 것으로 상기 버스바의 이동을 규제하는 버스바 규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장착홈은, 상기 버스바를 통하여 상기 플랫 케이블에 접속되는 피복 전선을 장착하기 위한 피복 전선 장착홈을 겸하고 있고,
    상기 피복 전선이 장착되는 부분과, 상기 플랫 케이블이 장착되는 부분의 사이에, 상기 버스바 고정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 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 전선 장착홈에는, 심선 수용부와 피복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심선 수용부에는, 심선을 개별적으로 배치하기 위한 복수의 벽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벽부의 사이에는, 상기 심선을 노출시키는 심선 노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 구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 수용부에는, 상기 피복 전선을 끼워넣는 것으로 고정 가능한 피복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 구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에는, 상기 버스바의 길이 방향으로 나열되어 복수의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연부에는, 복수의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버스바 끼워맞춤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버스바 끼워맞춤부는, 상기 돌출부에 각각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 구조.
  10. 적어도 버스바 및 플랫 케이블을 절연부에 장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케이블 접속 구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를 개별적으로 배치하기 위한 홈인 버스바 장착홈에, 상기 버스바를 배치하는 버스바 배치 공정과,
    상기 절연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버스바 고정부를 녹이는 것으로 상기 버스바 장착홈에 배치된 상기 버스바를 고정하는 버스바 고정 공정과,
    상기 버스바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버스바 장착홈의 깊이 방향의 일측이며 상기 플랫 케이블이 장착되는 측에 돌출되는 돌출부에 대해서 상기 플랫 케이블을 접속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 구조의 제조 방법.
KR1020177025174A 2015-03-23 2016-03-18 케이블 접속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KR1023353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60041A JP6490465B2 (ja) 2015-03-23 2015-03-23 ケーブル接続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15-060041 2015-03-23
PCT/JP2016/001596 WO2016152134A1 (ja) 2015-03-23 2016-03-18 ケーブル接続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726A true KR20170129726A (ko) 2017-11-27
KR102335363B1 KR102335363B1 (ko) 2021-12-06

Family

ID=56978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5174A KR102335363B1 (ko) 2015-03-23 2016-03-18 케이블 접속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18730B2 (ko)
EP (1) EP3276750B1 (ko)
JP (1) JP6490465B2 (ko)
KR (1) KR102335363B1 (ko)
CN (1) CN107210548B (ko)
WO (1) WO20161521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7202B1 (ko) * 2019-01-31 2019-10-28 주식회사 티엔디 단조 처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버스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89398A (ja) * 2017-11-13 2019-06-13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配索構造及び車両用回路体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542A (ja) * 1997-07-08 1999-02-02 Yazaki Corp 導線接続構造
JP2003086321A (ja) * 2001-09-14 2003-03-20 Sumitomo Wiring Syst Ltd ケーブルリール
JP2011134702A (ja) * 2009-11-26 2011-07-07 Jst Mfg Co Ltd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ハーネス、及びハーネスの製造方法
JP2012182072A (ja) 2011-03-02 2012-09-20 Alps Electric Co Ltd リードブロックおよびそれを用いた回転コネクタ
JP2012209254A (ja) * 2011-03-14 2012-10-25 Alps Electric Co Ltd 回転コネクタ
JP3183930U (ja) 2013-03-26 2013-06-0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リードブロックおよびリードブロックを備えた回転コネクタ
JP2013187150A (ja) 2012-03-09 2013-09-19 Alps Electric Co Ltd 回転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61221A (en) * 1967-11-03 1969-08-12 Thomas & Betts Corp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cable
US4256359A (en) * 1979-05-25 1981-03-17 Thomas & Betts Corporation Termination connector
JP2914879B2 (ja) * 1994-12-27 1999-07-05 矢崎総業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の接続構造
US5762507A (en) * 1995-07-31 1998-06-09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for wire and flat cab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H09199196A (ja) * 1996-01-23 1997-07-31 Alps Electric Co Ltd フラットケーブルと端子の接続構造
JP3140683B2 (ja) * 1996-05-27 2001-03-05 矢崎総業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の接続構造
US20030005468A1 (en) * 1998-06-19 2003-01-02 Meade Harry M. Methods and vectors for improving nucleic acid expression
US6232556B1 (en) 2000-02-23 2001-05-15 Delphi Technologies, Inc. Flat wire to round wire connection system
DE10148107B9 (de) * 2000-09-28 2013-08-14 Yazaki Corp. Verfahren zum Einbauen einer Leuchteinheit und Befestigungsanordnung für eine Leuchteinheit
DE20110131U1 (de) * 2001-06-19 2002-10-24 Bosch Gmbh Robert Elektrische Steckverbindung
JP2004063402A (ja) * 2002-07-31 2004-02-26 Sumitomo Wiring Syst Ltd ケーブルリール
JP2006325366A (ja) * 2005-05-20 2006-11-30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電気接続箱
JP4815935B2 (ja) * 2005-08-02 2011-11-16 日立電線株式会社 モールド成形体の製造方法
JP4177391B2 (ja) * 2006-06-01 2008-11-0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JP2008269944A (ja) * 2007-04-19 2008-11-06 Yazaki Corp 接合方法及び接合ユニット
GR1006805B (el) * 2009-02-26 2010-06-16 Dorivale Holdings Limited, Βιοντιζελ που περιεχει μη φαινολικα προσθετα και ως εκ τουτου διαθετει αυξημενη οξειδωτικη σταθεροτητα και χαμηλο αριθμο οξυτητος
WO2011137593A1 (zh) * 2010-05-07 2011-11-10 深圳市电连精密技术有限公司 一种弯式同轴电连接器
JP2013027113A (ja) 2011-07-20 2013-02-04 Yazaki Corp 電線保持構造
CN103515750A (zh) 2012-06-29 2014-01-15 贝尔威勒电子股份有限公司 强化下排端子结合结构的低高度卡缘连接器及其制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542A (ja) * 1997-07-08 1999-02-02 Yazaki Corp 導線接続構造
JP2003086321A (ja) * 2001-09-14 2003-03-20 Sumitomo Wiring Syst Ltd ケーブルリール
JP2011134702A (ja) * 2009-11-26 2011-07-07 Jst Mfg Co Ltd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ハーネス、及びハーネスの製造方法
JP2012182072A (ja) 2011-03-02 2012-09-20 Alps Electric Co Ltd リードブロックおよびそれを用いた回転コネクタ
JP2012209254A (ja) * 2011-03-14 2012-10-25 Alps Electric Co Ltd 回転コネクタ
JP2013187150A (ja) 2012-03-09 2013-09-19 Alps Electric Co Ltd 回転コネクタ
JP3183930U (ja) 2013-03-26 2013-06-0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リードブロックおよびリードブロックを備えた回転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7202B1 (ko) * 2019-01-31 2019-10-28 주식회사 티엔디 단조 처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버스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18730B2 (en) 2019-09-17
EP3276750B1 (en) 2020-06-03
JP2016181356A (ja) 2016-10-13
EP3276750A4 (en) 2018-10-24
WO2016152134A1 (ja) 2016-09-29
EP3276750A1 (en) 2018-01-31
JP6490465B2 (ja) 2019-03-27
KR102335363B1 (ko) 2021-12-06
CN107210548A (zh) 2017-09-26
US20180083376A1 (en) 2018-03-22
CN107210548B (zh) 2019-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13387B2 (ja) 電気接続箱
EP2579404A1 (en) Wire harness and method of assembling thereof
JP5704350B2 (ja) 電気接続箱
EP3093932B1 (en) Rotary conne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200014273A1 (en) Stator, motor,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JP5535567B2 (ja) 電気接続箱の製造方法、電気接続箱、及びこの電気接続箱を備えた電源装置
KR20170129726A (ko) 케이블 접속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EP3675294B1 (en) Rotary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JP6696791B2 (ja) 接続コネクタ、接続コネクタ付き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回転コネクタ装置
US6109942A (en) Rotary connector
JP6946967B2 (ja) 端子ホルダ、ワイヤハーネス、固定構造
JP6878105B2 (ja) 電気接続箱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JP5802154B2 (ja) 回転コネクタ
JP6622034B2 (ja) 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3591698B2 (ja) 電線モジュールの屈曲構造
JP4319931B2 (ja) カバー、電気接続箱及び電気接続箱のカバーの取り付け方法
JP7460347B2 (ja) ジョイントボックス、屋内配線用ユニットケーブル、及び屋内配線用ユニット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2016058354A (ja)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用接続具及びそれを備える回転コネクタ装置
EP2874283B1 (en) Provisional terminal holding structure, and resolver comprising provisional terminal holding structure
JP5566831B2 (ja) 接続具付き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回転コネクタ装置
JP2003022879A (ja) 回転コネクタ
JP4309791B2 (ja) ヒューズホルダ及びヒューズユニット
JP2003086321A (ja) ケーブルリール
JP2012217297A (ja) ワイヤハーネス、ワイヤハーネスの成形用治具、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方法
JP7221645B2 (ja) 電気接続箱、ワイヤハーネス、及び電気接続箱の組み付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