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2244A - 도금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도금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2244A
KR20170122244A KR1020177027435A KR20177027435A KR20170122244A KR 20170122244 A KR20170122244 A KR 20170122244A KR 1020177027435 A KR1020177027435 A KR 1020177027435A KR 20177027435 A KR20177027435 A KR 20177027435A KR 20170122244 A KR20170122244 A KR 20170122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ing layer
plating
alloy
layer
stee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7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8583B1 (ko
Inventor
아키노부 고바야시
야스토 고토
다카시 후타바
겐이치로 마츠무라
Original Assignee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2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48After-treatment of electroplated surfaces
    • C25D5/50After-treatment of electroplated surfaces by heat-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32B15/01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one layer being formed of an iron alloy or steel, another layer being formed of a metal other than iron or alumi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32B15/01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one layer being formed of an iron alloy or steel, another layer being formed of a metal other than iron or aluminium
    • B32B15/01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one layer being formed of an iron alloy or steel, another layer being formed of a metal other than iron or aluminium the said other metal being copper or nickel or an alloy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9/00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 C22C19/03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 C22C19/05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9/00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 C22C19/03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 C22C19/05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 C22C19/058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without Mo and W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7/00Alloys based on rhenium or a refractory metal not mentioned in groups C22C14/00 or C22C16/00
    • C22C27/06Alloys based on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0/00Alloys containing less than 50% by weight of each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0/00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metal elements or silicon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 C23C10/28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metal elements or silicon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using solids, e.g. powders,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8/00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 C23C28/02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only coatings only including layers of metallic material
    • C23C28/021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only coatings only including layers of metallic material including at least one metal alloy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8/00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 C23C28/02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only coatings only including layers of metallic material
    • C23C28/023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only coatings only including layers of metallic material only coatings of metal element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8/00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 C23C28/02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only coatings only including layers of metallic material
    • C23C28/028Including graded layers in composition or in physical properties, e.g. density, porosity, grain size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04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1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nickel or cobalt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10Electroplating with more than one layer of the same or of different metals
    • C25D5/12Electroplating with more than one layer of the same or of different metals at least one layer being of nickel or chromium
    • C25D5/14Electroplating with more than one layer of the same or of different metals at least one layer being of nickel or chromium two or more layers being of nickel or chromium, e.g. duplex or triplex lay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Other Surface Treatments For Metallic Materials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olid-Phase Diffusion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AREA)

Abstract

내열성과 생산성이 우수한 도금 강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하면, 강판과, 강판의 표면에 형성된 합금 도금층을 갖고, 합금 도금층은, 질량%로, Cr을 5∼91%, Fe를 0.5∼10% 함유하고, 잔부가 Ni 및 불가피 불순물이고, 합금 도금층 중의 Ni 농도가 합금 도금층의 최표면으로부터 강판측을 향해 점감하고, 합금 도금층의 최표면으로부터 300㎚ 이상의 영역에 있어서 Ni 농도와 Cr 농도의 비가 Ni/Cr>1이고, 합금 도금층 중의 Fe 농도가 강판측으로부터 합금 도금층의 최표면을 향해 점감하고, 합금 도금층의 최표면에 있어서의 Fe 농도가 0.5% 이하이고, 합금 도금층 중에 형성되고, Cr 및 Fe를 포함하는 합금층의 총 두께가 500∼2000㎚로 되고, 합금 도금층의 강판에의 총 부착량이 4.5∼55.5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 강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도금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도금 강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내열 용도로서, 스테인리스 강판이 폭넓은 범위에서 사용되어 왔다. 예를 들어, 고온 부식 환경하에서의 내식 성능이 요구되는 자동차의 배기계에 있어서 스테인리스가 사용되고 있다. 스테인리스가 고가라는 점에서, 더 저렴하고 내열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도금으로의 치환이 도모되고 있기는 하지만, 머플러 등의 NOX, SOX에 노출되는 환경에 있어서의 내식성이 알루미늄 도금에서는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그 대부분이 여전히 스테인리스인 채이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저렴하고 고온 내식성, NOX, SOX 환경에서의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로부터의 치환 가능한 재료의 제공을 목적으로, 질산이나 황산에 대해 용해되지 않는 Ni나 Cr을 사용한 내열성 Ni-Cr 합금 도금의 개발에 몰두하였다.
Ni-Cr 합금 도금의 제조 방법으로서, Cr과 Ni의 2층 도금을 열 확산 처리하는 기술이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강판 상에 먼저 Cr 도금, 그 위에 Ni 도금을 한 후에, 600℃∼910℃의 비산화성 분위기하에서 60초∼20시간 강판을 열처리함으로써 18-8 스테인리스와 유사하게 한 성분을 얻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강판 상에 Cr 도금과 Ni 도금을 실시한 후에, 750∼900℃의 용융염욕 중에서 1∼4시간 강판을 열처리함으로써, 18-8 스테인리스와 유사하게 한 성분을 얻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서는 강판 상에 먼저 Cr 도금, 그 위에 Ni 도금을 한 후에, 강판을 열처리함으로써 Ni-Cr 합금 및 Cr-Fe-Ni 합금층을 갖는 도금으로 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7-31016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61-4176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4-72091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2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에서는 목적의 조성을 얻기 위해서는, 장시간의 열처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낮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열 확산을 장시간 행함으로써, Fe가 도금의 표면까지 확산되기 때문에, 그 후 고온 산화 분위기에 노출되었을 때에 표면에 확산된 Fe를 기점으로 산화가 일어나 버린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처음에 Cr을 도금 두께로 4∼15㎛ 전기 도금법에 의해 피복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Cr 도금은 음극 전류 효율이 낮은 것에 기인하여, 이러한 두께의 도금을 전기 도금법으로 행하기 위해서는 높은 처리 전류 밀도나 긴 전해조를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설비비가 높고 생산성이 낮다고 하는 결점도 갖는다.
한편,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방법에서의 Cr 도금 부착량은 0.01∼0.2g/㎡로 적어, 설비비나 생산성의 문제는 없다. 그러나 Cr량이 적어, 강판 상에 균일하게 전석되지 않기 때문에, 도금 계면에 Cr-Fe 이외에 Fe-Ni가 생성되어, 고온 산화 분위기에 있어서 이 Fe-Ni 도금부가 박리되어 버리거나, 또는 Fe가 도금 표면에 확산되어, 그곳을 기점으로 산화가 진행된다고 하는 결점을 갖고 있다.
이상과 같이, 지금까지 개시된 기술에 있어서는 충분한 내열 성능은 얻어지지 않고, 또한 생산성이 매우 낮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점은, 내열성과 생산성이 우수한 도금 강판과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하면, 강판과, 강판의 표면에 형성된 합금 도금층을 갖고, 합금 도금층은, 질량%로, Cr을 5∼91%, Fe를 0.5∼10% 함유하고, 잔부가 Ni 및 불가피 불순물이고, 합금 도금층 중의 Ni 농도가 합금 도금층의 최표면으로부터 강판측을 향해 점감하고, 합금 도금층의 최표면으로부터 300㎚ 이상의 영역에 있어서 Ni 농도와 Cr 농도의 비가 Ni/Cr>1이고, 합금 도금층 중의 Fe 농도가 강판측으로부터 합금 도금층의 최표면을 향해 점감하고, 합금 도금층의 최표면에 있어서의 Fe 농도가 0.5% 이하이고, 합금 도금층 중에 형성되고, Cr 및 Fe를 포함하는 합금층의 총 두께가 500∼2000㎚로 되고, 합금 도금층의 강판에의 총 부착량이 4.5∼55.5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 강판이 제공된다.
여기서, 합금 도금층 중의 Cr 도금 부착량은 3.5∼28.8g/㎡이고, 합금 도금층 중의 Ni 도금 부착량은 3.0∼26.7g/㎡이고, 합금 도금층 중의 Cr/Ni 도금 부착량 비는, 0.9∼5.0이어도 된다.
또한, 이하의 조건 (a), (b)가 만족되어도 된다.
(a) 상기 Cr 도금층의 Cr 도금 부착량은 3.5g/㎡보다 크고 28.8g/㎡ 이하이다.
(b) Ni 도금층의 Ni 도금 부착량이 5.0∼10.0g/㎡라고 하는 조건, 및 Cr/Ni 도금 부착량 비가 1.2∼3.0이라고 하는 조건 중 적어도 한쪽이 만족된다.
또한, 합금 도금층의 최표면으로부터 깊이 10㎚까지의 영역의 성분이 질량%로, Cr이 0∼35%, Ni가 65∼100%, Fe가 0.5% 이하여도 된다.
또한, 합금 도금층이, Ni-Cr 합금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합금 도금층이 Ni-Cr 합금층의 상층에 Ni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Cr-Fe 함유 합금층의 총 두께가 300㎚ 이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상기한 도금 강판을 제조하는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이며, 강판의 편면 혹은 양면에, 1.5∼28.8g/㎡의 면 밀도로 Cr 도금을 행함으로써, 강판의 편면 혹은 양면에 Cr 도금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Cr 도금층 상에 3∼26.7g/㎡의 면 밀도로 Ni 도금을 함으로써, Cr 도금층 상에 Ni 도금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Cr 도금층 및 Ni 도금층이 형성된 강판을 비산화성 분위기 또는 환원성 분위기 중, 600℃∼900℃의 온도에서 0초보다 크고 60초 이하의 시간 유지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Cr 도금층의 Cr 도금 부착량은 3.5∼28.8g/㎡이고, Ni 도금층의 Ni 도금 부착량은 3.0∼26.7g/㎡이고, Cr/Ni 도금 부착량 비는, 0.9∼5.0이어도 된다.
또한, 이하의 조건 (a), (b)가 충족되어도 된다.
(a) 상기 Cr 도금층의 Cr 도금 부착량은 3.5g/㎡보다 크고 28.8g/㎡ 이하이다.
(b) Ni 도금층의 Ni 도금 부착량이 5.0∼10.0g/㎡라고 하는 조건, 및 Cr/Ni 도금 부착량 비가 1.2∼3.0이라고 하는 조건 중 적어도 한쪽이 만족된다.
본 발명에 관한 도금 강판은 내열성 및 생산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Ni-Cr 도금 강판의 피막 단면의 모식도의 일례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도금 강판의 글로우 방전 발광 분석법에 의한 분석 예이다.
<1. 도금 강판의 전체 구성>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도금 강판은, 강판과, 강판 상에 형성된 합금 도금층을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 가능한 강판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열연 강판, 냉연 강판 등 일반적으로 공지의 강판을 사용할 수 있다. 강종도 Al 킬드강, Ti, Nb 등을 첨가한 극저탄소강, 및 이들에 P, Si, Mn 등의 원소를 첨가한 고장력강이어도 된다. 또한, 강판은 냉연 강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합금 도금층은, 이하에 설명하는 특징 구성을 갖는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도금 강판은, 높은 내열성 및 생산성을 갖는다.
<2. 합금 도금층의 구성>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합금 도금층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합금 도금층은, 질량%로, Cr을 5∼91%, Fe를 10% 이하 함유하고, 잔부가 Ni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특별히 단서가 없는 한, 각 성분의 농도는 질량%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각 성분의 농도는, 특별히 단서가 없는 한, 합금 도금층의 두께 방향의 전역에 존재하는 성분의 농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각 성분의 농도는, 글로우 방전 분석(GDS: Glow Discharge Spectroscopy)에 의해 측정 가능하다. 합금 도금층이 이러한 성분을 가지므로, 합금 도금층 내에는, 내열성이 우수한 Ni-Cr 합금층 및 강판과의 밀착성이 우수한 Cr-Fe 합금층이 형성된다. 합금 도금층은, 이들 합금층을 갖고, 또한 후술하는 조건을 만족시킨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도금 강판은, 우수한 내열성과 내식성을 발현한다. 또한, 도금 강판은, 열처리에 요하는 시간, 즉 유지 시간이 짧기 때문에, 생산성도 우수하다. 열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합금 도금층 중의 Cr 농도가 5% 미만으로 되는 경우, 합금 도금층 중에 Ni-Cr 합금층이 충분히 형성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목적의 내열성을 얻을 수 없다. 또한, Cr 농도가 91%를 초과하면 Ni/Cr>1인 영역을 300㎚ 이상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지므로, 후술하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합금 도금층 중의 Fe 농도가 10%를 초과하는 경우, 합금 도금층 중의 Fe를 기점으로 하여 합금 도금층의 산화가 진행되므로, 도금 강판의 내열성 및 내식성이 저하된다.
합금 도금층 중의 Ni 농도는, 합금 도금층의 최표면(노출면)으로부터 강판측을 향해 점감한다. 또한, 합금 도금층의 최표면으로부터 300㎚ 이상의 영역에 있어서, Ni 농도와 Cr 농도의 비가 Ni/Cr>1로 되어 있다.
합금 도금층이 상기 구성을 가짐으로써, 도금 강판의 고온하에서 산화가 억제된다. 즉, 내열성이 향상된다. Ni/Cr>1인 영역의 두께가 300㎚ 미만으로 되는 경우, Cr이 합금 도금층의 최표면에 노출되기 쉬워진다. 그리고, 최표면에 노출된 Cr은, 고온하에서 대기 중의 산소 및 질소를 흡수하여, 취화될 수 있다. 즉, 최표면에 노출된 Cr은, 도금 강판의 내열성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다. Ni/Cr>1인 영역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 이상이다. 또한, Ni/Cr>1인 영역의 두께가 5000㎚보다 커지는 경우는, 제조 공정에 있어서 Ni 도금을 대량으로 전석시킬 필요가 있거나, 장시간의 가열을 요하거나 하기 때문에 경제적이지 않다. 이 때문에, 영역의 두께는 5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합금 도금층 중의 Fe 농도(질량%)는, 강판측으로부터 합금 도금층의 최표면을 향해 점감한다. 또한, 합금 도금층의 최표면에 있어서의 Fe 농도는 0.5% 이하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합금 도금층의 최표면으로부터 10㎚의 깊이 범위에 있어서의 Fe 농도는 0.5% 이하로 되어 있다. Fe가 합금 도금층의 최표면에 0.5%를 초과하여 존재하면, 최표면의 Fe를 기점으로 합금 도금층의 산화가 진행되기 때문에, 도금 강판의 내식성 및 내열성을 저하시켜 버릴 우려가 있다. 도금 최표면에 있어서의 Fe 농도는 0.1% 이하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합금 도금층 중에는, Cr 및 Fe를 포함하는 합금층(이하, 「Cr-Fe 함유 합금층」이라고도 칭함)이 형성된다. Cr-Fe 함유 합금층은, 합금 도금층과 강판의 계면의 근방에 형성된다. Cr-Fe 함유 합금층으로서는, 예를 들어 Cr-Fe 합금층 및 Ni-Cr-Fe 합금층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어느 하나가 합금 도금층 중에 형성되는 경우도 있고, 양쪽이 합금 도금층 중에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Cr-Fe 함유 합금층의 총 두께(복수 종류의 Cr-Fe 함유 합금층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이들의 총 두께)는, 500㎚ 이상, 2000㎚ 이하이다. Cr-Fe 함유 합금층은, 강판과 합금 도금층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Cr-Fe 함유 합금층의 두께가 500㎚ 미만으로 되는 경우, 합금 도금층과 강판의 밀착성이 충분하지 않다.
또한, Cr-Fe 함유 합금층이 지나치게 두꺼운 경우, 내열 환경에 있어서, 합금 도금층 중의 Fe가 합금 도금층의 최표면에 확산되기 쉬워진다. 합금 도금층 중의 Cr 농도를 높게 함으로써 Fe의 확산은 완화된다. 그러나, Cr 농도를 높게 하는 것은 경제상, 환경상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안정된 내열 성능의 확보, 경제성 및 환경상의 관점에서, Cr-Fe 함유 합금층의 두께의 합계를 2000㎚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합금 도금층의 강판에의 총 부착량(이하, 「합금 도금 부착량」이라고도 칭함)은 4.5∼55.5g/㎡이다. 합금 도금 부착량이 4.5g/㎡ 미만으로 되는 경우, 충분한 내열성을 확보하는 것은 곤란하다. 도금 강판의 내열성을 높이는 관점에서는, 합금 도금 부착량은 10g/㎡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합금 도금 부착량이 55.5g/㎡를 초과하면 생산성의 저하나 비용이 증가할 뿐이며 성능의 향상이 확인되지 않는다. 또한, 합금 도금층의 최표면으로부터 깊이 10㎚까지의 영역 중에, Cr이 0∼35%, Ni가 65∼100%, Fe가 0.5% 이하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역에 있어서의 Cr 농도가 35% 초과이면, 합금 도금층의 최표면에 많은 Cr이 노출될 가능성이 있다. 이들 Cr은, 고온하에서 대기 중의 산소 및 질소를 흡수하여, 취화될 수 있다. 따라서, 도금 강판의 내열성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 영역에 있어서의 Fe 농도가 0.5%를 초과하면, 합금 도금층의 최표면에 많은 Fe가 노출될 가능성이 있다. 이들 Fe는, 대기 중의 산소에 의해 산화된다. 이 때문에, 도금 강판의 내식성, 내열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내식성 및 내열성의 관점에서, 상기 영역에 있어서의 각 도금 성분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Cr이 0∼15%, Ni가 85∼100%, Fe가 0.1%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Cr이 0∼4%, Ni가 96∼100%, Fe가 0%이다.
Ni, 혹은 Ni-Cr 합금은 고온 분위기에서의 안정성이 우수하지만, Ni 혹은 Ni-Cr 합금만을 강판에 도금한 경우, 도금층은, 고온 산화 분위기에서, 도금층과 강판의 계면에 생성된 스케일과 함께 박리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합금 도금층과 강판의 계면의 근방에 Cr을 많이 함유시킨다. 이에 의해, 합금 도금층과 강판의 고온 환경하에서의 밀착성을 높이고 있다. 이 관점에서, 합금 도금층과 강판과 계면의 근방에는, Cr-Fe 합금층이 300㎚ 이상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금의 구성은 내열 성능이 바람직한 조합의 순으로,
1. 합금 도금층의 최표면으로부터 Ni층, Ni-Cr 합금층, Cr층, Cr-Fe 합금층(도 1 참조)
2. 합금 도금층의 최표면으로부터 Ni층, Ni-Cr 합금층, Cr-Fe 합금층
3. 합금 도금층의 최표면으로부터 Ni층, Ni-Cr 합금층, Ni-Cr-Fe 합금층, Cr-Fe 합금층
4. 합금 도금층의 최표면으로부터 Ni층, Ni-Cr 합금층, Ni-Cr-Fe 합금층
5. 합금 도금층의 최표면으로부터 Ni-Cr 합금층, Cr층, Cr-Fe 합금층,
6. 합금 도금층의 최표면으로부터 Ni-Cr 합금층, Ni-Cr-Fe 합금층, Cr-Fe 합금층,
7. 합금 도금층의 최표면으로부터 Ni-Cr 합금층, Cr-Fe 합금층
8. 합금 도금층의 최표면으로부터 Ni-Cr 합금층, Ni-Cr-Fe 합금층이다.
어느 구성이라도, Ni-Cr 합금층이 포함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Ni-Cr 합금층의 존재가 중요하고, Ni-Cr 합금층에 의해 원하는 내열성 등이 실현된다.
또한, 합금 도금층 중의 각 성분의 농도는, 글로우 방전 분석(GDS: Glow Discharge Spectroscopy)에 의해 측정 가능하다. 이 글로우 방전 분석에 의해, 각 성분의 판 두께 방향의 농도 분포를 특정할 수 있다. 측정 데이터의 일례를 도 2에 나타낸다. 횡축은 합금 도금층의 최표면으로부터의 거리(깊이)(㎛)이고, 종축은 각 성분의 농도(질량%)이다. 도 2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금 강판은, 이하의 공정에 의해 제작된 것이다. 즉, 냉연 강판 상에 7.2g/㎡의 부착량으로 Cr 도금을 행하였다. 이어서, Cr 도금층 상에 부착량 10g/㎡로 Ni 도금을 행하였다. 이어서, Cr 도금층 및 Ni 도금층이 형성된 냉연 강판을 어닐링로에 투입하였다. 이어서, 어닐링로의 내부 온도를 820℃까지 82초에 승온한 냉연 강판을 20초간 유지하였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도금 강판을 얻었다. 또한, 측정 조건은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의 측정 조건으로 각 성분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두께 방향 전역에서의 농도는, 측정 데이터를 깊이 방향으로 적분한 적분값에 기초하여 산출 가능하다.
Figure pct00001
또한, 본 발명자는, 도금 강판의 장시간에서의 내열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합금 도금층의 조성에 대해 예의 검토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합금 도금층의 내열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합금 도금층 중에 Ni-Cr층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합금 도금층 중에 어느 정도 Cr-Ni층이 형성될지는, 합금 도금층 중의 Cr 도금 부착량(g/㎡), Ni 도금 부착량(g/㎡) 및 Cr/Ni 도금 부착량 비에 의존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자는, 합금 도금층 중의 Cr 도금 부착량(g/㎡), Ni 도금 부착량(g/㎡) 및 Cr/Ni 도금 부착량 비가 중요한 것을 알아냈다. 여기서, Cr 도금 부착량은, 합금 도금층의 단위 면적, 또한 두께 방향의 전역에 포함되는 Cr의 질량을 의미하고, Ni 도금 부착량은, 합금 도금층의 단위 면적, 또한 두께 방향의 전역에 포함되는 Ni의 질량을 의미한다. 또한, Cr/Ni 도금 부착량 비는, Cr 도금 부착량을 Ni 도금 부착량으로 제산한 값이다. Cr 도금 부착량 및 Ni 도금 부착량은, 합금 도금층 중의 Cr 농도 및 Ni 농도에 기초하여 산출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합금 도금층 중의 Cr 도금 부착량은 3.5∼28.8g/㎡이고, 합금 도금층 중의 Ni 도금 부착량은 3.0∼26.7g/㎡이고, 합금 도금층 중의 Cr/Ni 도금 부착량 비는, 0.9∼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장시간에서의 내열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Cr/Ni 도금 부착량 비가 5.0을 초과하는 경우, 도금 강판을 고온하에 장시간 폭로하였을 때, Cr이 질소 및 산소를 흡수하여 취화되어 버린다. 또한, Cr/Ni 도금 부착량 비가 0.9 미만으로 되는 경우, 대량의 Ni가 Fe와 합금화되어 버린다. Ni-Fe 합금은, 산화되었을 때에 강판으로부터 박리되기 쉽다. 따라서, 합금 도금층의 내열성이 저하된다.
여기서, Cr 도금 부착량은 3.5g/㎡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Ni 도금 부착량은, 3.0∼15.0g/㎡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5.0∼10.0g/㎡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Cr/Ni 도금 부착량 비는, 1.2∼3.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 경우, 장시간에서의 내열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Cr 도금 부착량(g/㎡), Ni 도금 부착량(g/㎡) 및 Cr/Ni 도금 부착량 비는, 이하의 조건 (a), (b)를 만족시키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 경우, 장시간에서의 내열성이 더욱 향상된다.
(a) Cr 도금 부착량은 3.5g/㎡보다 크고 28.8g/㎡ 이하이다.
(b) Ni 도금 부착량이 5.0∼10.0g/㎡라고 하는 조건, 및 Cr/Ni 도금 부착량 비가 1.2∼3.0이라고 하는 조건 중 적어도 한쪽이 만족된다.
여기서, 조건 (b)에 대해서는, Ni 도금 부착량이 5.0∼10.0g/㎡라고 하는 조건, 및 Cr/Ni 도금 부착량 비가 1.2∼3.0이라고 하는 조건의 양쪽이 만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은 개략 이하와 같다. 먼저, 강판의 편면 혹은 양면에, 1.5∼28.8g/㎡의 부착량으로 Cr 도금을 행함으로써, 강판의 편면 혹은 양면에 Cr 도금층을 형성한다. 이어서, Cr 도금층 상에 3∼26.7g/㎡의 부착량으로 Ni 도금을 함으로써, Cr 도금층 상에 Ni 도금층을 형성한다. 이어서, Cr 도금층 및 Ni 도금층이 형성된 강판을 비산화성 분위기 또는 환원성 분위기 중, 600℃∼900℃의 온도에서 0초보다 크고 60초 이하의 시간 유지한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도금 강판을 제작한다. 제조 방법의 상세는 이하와 같다.
먼저, 강판을 탈지 및 산세 처리한다. 계속해서, 강판의 편면 혹은 양면에 1.5∼28.8g/㎡의 부착량으로 Cr 도금을 행한다. 이에 의해, 강판 상에 Cr 도금층을 형성한다. Cr 도금의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전해법이어도 된다. Cr 도금을 전해법으로 행하는 경우, 도금욕 조건 등의 제조 조건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Cr 도금 부착량이 1.5g/㎡ 미만으로 되는 경우, 고온 환경하에서의 합금 도금층의 밀착성에 효과가 있는 Cr-Fe 함유 합금층을 충분히 형성할 수 없다. 이 때문에, Cr-Fe 함유 합금층의 총 두께를 300㎚ 이상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한 Cr 도금 부착량이 28.8g/㎡보다 많은 경우, 도금 처리의 장시간화 등을 위해 Cr 도금 처리에 요하는 경비가 증대된다. 이 때문에, 경제적이지 않다. 또한, 굽힘 등의 가공성도 저하된다. Cr 도금 부착량은, 2.0∼15.0g/㎡인 것이 바람직하고, 3.5∼6g/㎡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도금 강판의 장시간에서의 내열성을 향상시킨다고 하는 관점에서는, Cr 도금 부착량은 3.5g/㎡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Cr 도금층 상에 Ni 도금을 행함으로써, Cr 도금층 상에 Ni 도금층을 형성한다. Ni 도금의 방법은 특별히 묻지 않지만, Cr 도금층 상에 Ni 도금층을 형성하는 경우, pH가 낮은 Ni 스트라이크욕 등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Ni 스트라이크욕의 조건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Ni 도금 부착량이 3.0g/㎡ 미만으로 되는 경우, 하지의 Cr을 Ni 도금층으로 충분히 피복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열처리 후의 Ni-Cr 합금층은 얇고, 불균일해진다. 또한, Ni/Cr>1로 되는 영역의 두께를 300㎚ 이상으로 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이 때문에, 내열성이 있는 합금 도금층이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이 경우, 소성을 행해도 Cr 도금층의 순도는 높은 상태이다. 또한, Cr 도금층은 Ni 도금층에 의한 피복이 불충분하다. 그리고, 순도가 높은 Cr 도금층은, 실온하에서 취화되기 쉬울 뿐만 아니라, 고온하에서는 산소 및 질소를 흡수하여 더욱 취화되기 쉽다. 이 점에서도 내열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한편, Ni 도금 부착량이 26.7g/㎡보다 많은 경우, Ni 도금 처리 경비의 증대, 도금 처리의 장시간화 등을 위해 Ni 도금 처리에 요하는 경비가 증대된다. 이 때문에, 경제적이지 않다. 또한, Ni 도금층과 Cr 도금층의 밀착성도 저하된다. 이 때문에, 굽힘 가공 등에 의해 이들 층의 계면(구체적으로는, Ni>Cr로 되는 층과 Ni<Cr로 되는 층의 계면)에서 합금 도금층의 일부가 박리되기 쉬워진다. 상기한 관점에서, Ni 도금 부착량은, 3.0∼15.0g/㎡인 것이 바람직하고, 5.0∼10.0g/㎡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Cr 도금 부착량 및 Ni 부착량은, 합금 도금층 중의 Cr 농도가 5∼91%로 되도록 조정된다. 그 후, 이하의 열처리가 행해짐으로써, 상술한 요건이 만족되는 합금 도금층이 강판 상에 형성된다.
이어서, Cr 도금층 및 Ni 도금층이 형성된 강판을 열처리한다. 구체적으로는, 당해 강판을 비산화성 분위기 또는 환원성 분위기 중, 600℃∼900℃의 온도에서 0초보다 크고 60초 이하의 시간 유지한다. 이와 같이, Cr 도금층 및 Ni 도금층이 형성된 강판의 열처리는, Cr 도금층의 단부면 또는 Ni 도금층 중의 핀 홀로부터의 Cr 도금층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비산화성 분위기 또는 환원성 분위기에서 행해진다. 여기서, 비산화성 분위기 또는 환원성 분위기로서는, 예를 들어 N2 가스, Ar 가스, H2 가스, 혹은 이들의 혼합 가스 분위기 등을 들 수 있다. 가열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로 가열, 통전 가열, 유도 가열 등을 불문한다. 당해 열처리에 의해, 강판, Ni 도금층 및 Cr 도금층 내의 각 성분이 확산된다. 예를 들어, Cr 도금층 내의 Cr이 Ni 도금층 내에 확산되고, Ni 도금층 중의 Ni가 Cr 도금층 내에 확산된다. 또한, 강판 중의 Fe가 Cr 도금층 및 Ni 도금층 내에 확산된다. 또한, 열처리를 행하지 않는 경우, 상술한 합금 도금층이 얻어지지 않을뿐만 아니라, Ni 도금층과 Cr 도금층의 밀착성이 불충분해진다. 특히, 와트욕 등을 사용하여 Ni 도금층을 두껍게 형성한 경우, 밀착성이 특히 불충분해진다.
승온 속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종래의 도금 강판의 제조 라인에서 행해지는 가열 처리와 동일 정도의 승온 속도이면 된다. 단, 목표 도달 온도까지 120초보다 긴 시간 경과해 버리면, 열 확산 시간이 길어져 경제적이지 않은 동시에, Fe가 표면까지 확산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목표 도달 온도까지의 소요 시간은 120초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 성분의 확산 속도는 확산 계수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Fe에 관해서는, 온도가 높은 γFe의 확산 계수가, 온도가 낮은 αFe의 확산 계수보다 작다. 또한 γFe가 확산되면, 냉각에 수반되는 Fe의 상 변태에 의해 강판의 변형이 발생하기 쉽다. 특히, 강판이 얇은 경우, 강판의 변형이 현저하게 나타난다. 그 한편, αFe는, 입계에서 빠르게 확산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열처리 온도는 900℃ 이하인 것, 즉, Fe를 αFe의 상태에서 확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열처리 온도가 600℃ 미만으로 되는 경우, αFe라도 확산 속도가 느려진다. 이 때문에, 확산에 장시간을 요하여 생산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열처리 온도, 즉, 유지 온도는 600∼900℃가 된다.
또한, 승온 후의 유지 시간은, 0초보다 크고 60초 이하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1∼30초로 한다. 유지 시간이 60초보다 긴 경우, 합금 도금층의 최표면의 Ni 및 Cr의 농도비가 Ni/Cr<1로 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Ni 도금 부착량이 작을수록, 이 가능성이 커진다. 또한, Cr-Fe층의 두께가 2000㎚보다 두껍게 되어 버려, Fe가 합금 도금층의 최표면까지 확산되어 버리기 때문에, 내열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또한, 유지 온도 및 유지 시간은, Cr 도금 부착량 및 Ni 도금 부착량에 따라서 상기 범위 내에서 조정된다. 즉, 상술한 요건이 만족되는 합금 도금층이 강판 상에 형성되도록, 유지 온도 및 유지 시간이 조정된다.
열처리 후, 도금 강판을 냉각한다. 여기서, 냉각 속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종래의 도금 강판의 제조 라인에서 행해지는 냉각 처리와 동일 정도의 냉각 속도이면 된다.
또한, 본 발명자는, 도금 강판의 내열성(특히, 장시간에서의 내열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열처리 조건에 대해 예의 검토하였다. 열처리 중에 Ni가 합금 도금층 중에 지나치게 열 확산되어 버리면, 고온 산화 분위기에 있어서 Ni-Fe층이 강판으로부터 박리되어 버린다. Ni가 합금 도금층 중에 어느 정도 확산될지는, 유지 온도 및 유지 시간뿐만 아니라, Cr 도금 부착량에도 의존한다. 이 결과, 본 발명자는, Cr 도금 부착량과 유지 온도 및 유지 시간 사이에 강한 상관이 있는 것을 알아냈다. 구체적인 열처리 조건은 이하와 같다. 또한, 열처리 조건이 이하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도금 강판의 굽힘 가공성도 향상된다.
Cr 도금 부착량이 1.5∼3.5g/㎡로 되는 경우, 유지 온도는 600℃이고, 유지 시간은 가능한 한 짧은(예를 들어, 1초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Cr 도금 부착량이 3.5g/㎡보다 크고 6.0g/㎡ 이하로 되는 경우, 유지 온도는 600∼800℃이고, 유지 시간의 상한값은 이하의 수식 (1), (2)로 구해지는 기준 시간의 5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 시간의 하한값은 10초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여기서, 수식 (1), (2) 중, T는 기준 온도이고, T0은 Cr 도금 부착량이 6g/㎡로 될 때의 기준 시간이다. k는 보정 계수이며, 소성 대상의 Cr 도금층의 Cr 도금 부착량(g/㎡)을 6g/㎡(즉, 최대 부착량)로 제산한 값이다. H는 유지 온도이다.
Cr 도금 부착량이 6.0g/㎡보다 크고 15.0g/㎡ 이하로 되는 경우, 유지 온도는 650∼800℃이고, 유지 시간의 상한값은 이하의 수식 (3), (4)로 구해지는 기준 시간의 5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 시간의 하한값은 10초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여기서, 수식 (3), (4) 중, T는 기준 온도이고, T0은 Cr 도금 부착량이 15.0g/㎡로 될 때의 기준 시간이다. k는 보정 계수이며, 소성 대상의 Cr 도금층의 Cr 도금 부착량(g/㎡)을 15.0g/㎡(즉, 최대 부착량)로 제산한 값이다. H는 유지 온도이다.
Cr 도금 부착량이 15.0g/㎡보다 크고 28.8g/㎡ 이하로 되는 경우, 유지 온도는 700∼900℃이고, 유지 시간의 상한값은 이하의 수식 (5), (6)으로 구해지는 기준 시간의 5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 시간의 하한값은 10초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여기서, 수식 (5), (6) 중, T는 기준 온도이고, T0은 Cr 도금 부착량이 28.8g/㎡로 될 때의 기준 시간이다. k는 보정 계수이며, 소성 대상의 Cr 도금층의 Cr 도금 부착량(g/㎡)을 28.8g/㎡(즉, 최대 부착량)로 제산한 값이다. H는 유지 온도이다.
열처리 조건이 상술한 요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적어도 단시간에서의 내열성이 향상된다. 이 열처리 조건이 만족되는 것 외에도, Cr 도금 부착량, Ni 도금 부착량 및 Cr/Ni 도금 부착량 비가 상술한 요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단시간에서의 내열성 뿐만 아니라, 장시간에서의 내열성이 향상된다.
이상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도금 강판은, 내열성뿐만 아니라, 내식성 및 밀착성이 우수하다. 또한,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유지 시간이 짧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도금 강판을 높은 생산성으로 제작할 수 있다.
실시예
<실험예 1>
실험예 1에서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도금 강판이 높은 내열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이하의 실험을 행하였다. 먼저, 강판으로서, 냉연 강판(두께: 0.8㎜)을 준비하였다. 이어서, 냉연 강판에 알칼리 탈지 및 황산 산세를 실시함으로써, 냉연 강판의 습윤성을 충분히 확보하였다. 이어서, 냉연 강판에 Cr 도금을 행함으로써, 냉연 강판 상에 Cr 도금층을 형성하였다. Cr 도금은, 전해법에 의해 행하였다. 도금 조건은 하기 (A)에 나타낸다. 또한, Cr 도금 부착량을 표 2에 나타낸다. 이어서, Cr 도금층 상에 Ni 도금을 실시함으로써, Cr 도금층 상에 Ni 도금층을 형성하였다. Ni 도금도 전해법에 의해 행하고, 도금욕으로서 스트라이크욕을 사용하였다. 도금 조건을 하기 (B)에 나타낸다. 또한, Ni 도금 부착량을 표 2에 나타낸다.
(A) 전해 Cr 도금
(1) 도금의 욕 성분-서젠트욕
크롬산-250g/ℓ
황산-3g/ℓ
(2) 전해 조건
온도-50℃
전류 밀도-30A/dm2
(B) 전해 Ni 도금
·스트라이크욕
(1) 도금욕 성분
염화니켈-240g/ℓ
염산 125㎖/ℓ
(2) 전해 조건
pH-1.0∼1.5
온도-실온(25℃)
전류 밀도-4A/dm2
·와트욕
(1) 도금욕 성분
황산 니켈-240g/ℓ
염화니켈-45g/ℓ
붕산-30g/ℓ
(2) 전해 조건
pH-3.5∼4.5
온도-50℃
전류 밀도-5A/dm2
이어서, Cr 도금층 및 Ni 도금층이 형성된 냉연 강판을 어닐링로에 투입하였다. 어닐링로 내는 2체적% H2-98체적% N2 분위기로 하였다. 이어서, 어닐링로의 내부 온도를 표 2에 나타내는 유지 온도까지 10℃/sec로 승온하였다. 이어서, 유지 온도를 표 2에 나타내는 유지 시간만큼 유지하였다. 계속해서, N2 가스를 사용하여 도금 강판을 200℃도까지 급랭하였다. 이때의 냉각 속도는 70℃/sec로 하였다. 그 후, 도금 강판을 방랭하였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도금 강판의 시료를 제작하였다. 본 실험예 1에서는, Cr 도금 부착량, Ni 도금 부착량 및 열처리 조건을 다양하게 변경함으로써, 복수 종류의 시료(수준)를 제작하였다. 각 시료의 조성을 표 2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합금 도금층 중의 각 성분의 농도는, 글로우 방전 분석(GDS: Glow Discharge Spectroscopy)에 의해 측정하였다. 측정 조건은 표 1에 나타내어진다. 또한, 표 2에는, 각 성분의 바람직한 범위도 병기하였다. 바람직한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수치에 밑줄을 붙였다. 또한, 표 2에 나타내어지는 「도금층 구조」는, 합금 도금층의 층 구조의 구분을 나타낸다. 각 구분과 층 구조의 대응 관계를 표 3에 나타낸다.
<내열성의 평가>
제작한 시료(도금 강판)의 내열성을 평가하기 위해, 시료를 600℃의 대기 분위기 중에 120시간 폭로하였다. 그 후, 시료를 대기 중에서 방랭하여 그 표면의 산화 상태를 조사하였다.
시험 후, 시료에 Fe 유래의 적녹이 발생되어 있거나, 대기 방랭 중에 도금이 박리되거나 한 경우는, 내열성을 B(Bad)라고 평가하고, 시료 표면이 산화되어 거침이 많은 경우에는, 내열성을 G(Good)라고 평가하고, 거침이 적은 경우에는, 내열성을 VG(Very Good)라고 평가하였다. VG의 시료에 관해서는, 다시 내열 시험을 행하였다. 그리고, 합계 250시간의 단계에서 거침이 적은 경우에는, 내열성을 E(Excellent)라고 평가하고, 거침이 많은 경우에는, 평가를 VG 그대로 두었다. 또한, 거침에 관해서는 이하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즉, 시험 전후의 합금 도금층의 표면을 눈으로 보고 대비함으로써, 시험 후의 합금 도금층 표면에 요철(즉, 거침)이 형성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였다. 또한, 거침이 형성된 영역의 크기가 합금 도금층의 전체 표면에 대해 50% 미만으로 되는 경우, 거침이 적다고 판정하고, 거침이 형성된 영역의 크기가 합금 도금층의 전체 표면에 대해 50% 이상으로 되는 경우, 거침이 많다고 판정하였다. 또한, 거침이 많아도 실용상 문제없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밀착성의 평가(굽힘 시험)>
제작 시료의 가공성을 평가하기 위해, JISH8504 도금의 밀착성 시험법 중, (j) 굽힘 시험법을 행하였다. 단, JIS에 기재된 펴기는 행하지 않고, 굽힌 상태 그대로, 그 후 또한 (g) 박리 시험 방법 중 (1) 테이프 시험 방법을 JISZ1522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행하여, 시료의 도금 밀착성을 평가하였다.
시료를 굽힌 단계에서 도금이 박리된 경우, 밀착성을 B(Bad)라고 평가하고, 시료의 굽힘부에 테이프를 붙이고, 박리하였을 때에 일부의 도금이 테이프에 부착된 경우에는, 밀착성을 G(Good)라고 평가하고, 테이프에 의해 도금이 박리되지 않은 경우는, 밀착성을 VG라고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실험예 2>
실험예 2에서는, Cr 도금 부착량, Ni 도금 부착량, Cr/Ni 도금 부착량 비 및 열처리 조건이 내열성, 특히 장시간에서의 내열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검토하였다. 먼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Cr 도금 부착량, Ni 도금 부착량, Cr/Ni 도금 부착량 비 및 열처리 조건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시료(도금 강판)를 제작하였다. 각 시료의 도금 부착량 및 열처리 조건을 표 4에 나타낸다. 표 4에는, 도금 부착량 등의 바람직한 범위도 병기하였다. 또한, 실시예에 상당하는 시료에서는, 표 2에 나타내는 파라미터가 본 실시 형태의 요건을 만족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내열성의 평가>
제작한 시료의 내열성을 평가하기 위해, 시료를 600℃의 대기 분위기 중에 120시간 폭로하였다. 이어서, 시료를 대기 중에서 방랭하여 그 표면의 산화 상태를 조사하였다(내열 시험 단). 또한, 이하의 평가 기준에서 G(Good) 이상이 되는 시료를 다시 280시간(즉, 합계 400시간) 폭로하였다(내열 시험 장). 이어서, 시료를 대기 중에서 방랭하여 그 표면의 산화 상태를 조사하였다.
각 내열 시험에서의 표면의 산화 상태는,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Fe 유래의 적녹의 발생 영역이 합금 도금층의 전체 표면에 대해 80% 이상으로 되거나, 또는 대기 방랭 중에 도금이 박리된 경우는, 내열성의 평가를 B(Bad)로 하였다. 또한, 적녹의 발생 영역이 합금 도금층의 전체 표면에 대해 30% 이상 80% 미만으로 되는 경우(적녹의 발생이 실용상 문제없는 레벨에 있는 경우)에는, 내열성의 평가를 G(Good)로 하였다. 또한, 적녹의 발생 영역이 합금 도금층의 전체 표면에 대해 30% 미만으로 되거나, 혹은 거침이 많은 경우에는, 내열성의 평가를 VG(Very Good)로 평가하였다. 또한, 적녹의 발생 영역이 VG와 동일한 정도이고, 또한 표면의 거침이 적은(혹은 거침이 없는) 경우에는, 내열성의 평가를 E(Excellent)로 하였다. 거침의 평가는 실험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행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10
실험예 1, 2에 의하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도금 강판은 높은 내열성을 갖는 것이 명백해졌다. 또한, Cr 도금 부착량, Ni 도금 부착량, Cr/Ni 도금 부착량 비 및 열처리 조건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장시간에서의 내열성도 향상되는 것이 명백해졌다.
또한, 일부의 실시예(예를 들어, 실험예 1의 No.18 등)에서는, 굽힘 시험에서의 결과가 약간 나빠졌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열처리 조건에는, 장시간 내열성을 만족시키기 위한 조건이 존재한다. 그리고, 열처리 조건이 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굽힘 가공성도 향상된다. 따라서, 실험예 1의 No.18 등의 열처리 조건은, 이 조건이 만족되지 않았기 때문에, 굽힘 가공성이 약간 저하되었다고 생각된다. 예를 들어, 실험예 1의 No.18에서는, Cr 도금 부착량이 7.5g/㎡로 되므로, 바람직한 유지 온도는 650∼800℃로 된다. 또한, 유지 시간의 기준 시간은 50초로 된다. 이 때문에, No.18의 유지 온도 및 유지 시간은 모두 바람직한 범위보다 낮은 값으로 된다. 또한, 실험예 2의 No.20, 21, 27에 의하면, 유지 온도 및 유지 시간 중 적어도 한쪽이 바람직한 범위보다 큰 경우, 장시간에서의 내열성이 저하되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이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고,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고 이해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도금 강판은 내열성, 고온 시험 후의 밀착성이 우수하여, 고온 환경하에서의 부재로서 널리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강판과,
    상기 강판의 표면에 형성된 합금 도금층을 갖고,
    상기 합금 도금층은, 질량%로, Cr을 5∼91%, Fe를 0.5∼10% 함유하고, 잔부가 Ni 및 불가피 불순물이고,
    상기 합금 도금층 중의 Ni 농도가 상기 합금 도금층의 최표면으로부터 강판측을 향해 점감하고,
    상기 합금 도금층의 최표면으로부터 300㎚ 이상의 영역에 있어서 Ni 농도와 Cr 농도의 비가 Ni/Cr>1이고,
    상기 합금 도금층 중의 Fe 농도가 강판측으로부터 상기 합금 도금층의 최표면을 향해 점감하고,
    상기 합금 도금층의 최표면에 있어서의 Fe 농도가 0.5% 이하이고,
    상기 합금 도금층 중에 형성되고, Cr 및 Fe를 포함하는 Cr-Fe 함유 합금층의 총 두께가 500∼2000㎚로 되고,
    상기 합금 도금층의 상기 강판에의 총 부착량이 4.5∼55.5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 강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금 도금층 중의 Cr 도금 부착량은 3.5∼28.8g/㎡이고,
    상기 합금 도금층 중의 Ni 도금 부착량은 3.0∼26.7g/㎡이고,
    상기 합금 도금층 중의 Cr/Ni 도금 부착량 비는 0.9∼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 강판.
  3. 제2항에 있어서,
    이하의 조건 (a), (b)가 만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 강판.
    (a) 상기 Cr 도금층의 Cr 도금 부착량은 3.5g/㎡보다 크고 28.8g/㎡ 이하임.
    (b) 상기 합금 도금층 중의 Ni 도금 부착량이 5.0∼10.0g/㎡라고 하는 조건, 및 상기 합금 도금층 중의 Cr/Ni 도금 부착량 비가 1.2∼3.0이라고 하는 조건 중 적어도 한쪽이 만족됨.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금 도금층의 최표면으로부터 깊이 10㎚까지의 영역에 질량%로, Cr이 0∼35%, Ni가 65∼100%, Fe가 0.5% 이하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 강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금 도금층이 Ni-Cr 합금층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 강판.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금 도금층이 Ni-Cr 합금층의 상층에 Ni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 강판.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r-Fe 함유 합금층의 총 두께가 3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 강판.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금 강판을 제조하는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이며,
    강판의 편면 혹은 양면에, 1.5∼28.8g/㎡의 부착량으로 Cr 도금을 행함으로써, 상기 강판의 편면 혹은 양면에 Cr 도금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Cr 도금층 상에 3∼26.7g/㎡의 부착량으로 Ni 도금을 함으로써, 상기 Cr 도금층 상에 Ni 도금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Cr 도금층 및 Ni 도금층이 형성된 상기 강판을 비산화성 분위기 또는 환원성 분위기 중, 600℃∼900℃의 온도에서 0초보다 크고 60초 이하의 시간 유지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r 도금층의 Cr 도금 부착량은 3.5∼28.8g/㎡이고,
    상기 Ni 도금층의 Ni 도금 부착량은 3.0∼26.7g/㎡이고,
    Cr/Ni 도금 부착량 비는, 0.9∼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이하의 조건 (a), (b)가 만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
    (a) 상기 Cr 도금층의 Cr 도금 부착량은 3.5g/㎡보다 크고 28.8g/㎡ 이하임.
    (b) 상기 Ni 도금층의 Ni 도금 부착량이 5.0∼10.0g/㎡라고 하는 조건, 및 Cr/Ni 도금 부착량 비가 1.2∼3.0이라고 하는 조건 중 적어도 한쪽이 만족됨.
KR1020177027435A 2015-04-14 2016-04-13 도금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0685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82266 2015-04-14
JPJP-P-2015-082266 2015-04-14
PCT/JP2016/061955 WO2016167304A1 (ja) 2015-04-14 2016-04-13 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244A true KR20170122244A (ko) 2017-11-03
KR102068583B1 KR102068583B1 (ko) 2020-02-24

Family

ID=57127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7435A KR102068583B1 (ko) 2015-04-14 2016-04-13 도금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538852B2 (ko)
EP (1) EP3269841A4 (ko)
JP (1) JP6015884B1 (ko)
KR (1) KR102068583B1 (ko)
CN (1) CN107429378B (ko)
BR (1) BR112017018458A2 (ko)
MX (1) MX2017012304A (ko)
TW (1) TWI604087B (ko)
WO (1) WO20161673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3597787T3 (pl) * 2017-03-17 2024-04-08 Nippon Steel Corporation Powlekana blacha stalowa
KR20210049087A (ko) * 2018-08-31 2021-05-04 도요 고한 가부시키가이샤 전지 용기용 금속판 및 이 전지 용기용 금속판의 제조 방법
DE102021118765A1 (de) * 2021-07-20 2023-01-26 Kamax Holding Gmbh & Co. Kg Bauteil mit integrierter Nickeldiffusionsschich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1760A (ja) 1984-07-31 1986-02-28 Usui Internatl Ind Co Ltd 耐熱・耐食性被覆鋼材およびその形成方法
JPH0472091A (ja) 1990-07-11 1992-03-06 Kawasaki Steel Corp 2ピース缶用表面処理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310167A (ja) * 1994-05-11 1995-11-28 Toyo Kohan Co Ltd 加工性および耐食性に優れたCrーNi拡散処理鋼板とその製造法
JPH07310166A (ja) 1994-05-11 1995-11-28 Toyo Kohan Co Ltd 加工性および耐食性に優れたCrーNi拡散処理鋼板と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5865A (ja) 1986-02-13 1987-08-14 Nippon Steel Corp 耐食性にすぐれた溶融アルミメツキ鋼板の製造法
JPH0649925B2 (ja) * 1988-01-29 1994-06-29 東洋鋼鈑株式会社 耐食性の優れた製缶用めっき素地鋼板の製造方法
JP2577246B2 (ja) * 1988-05-12 1997-01-29 東洋鋼板株式会社 加工耐食性の優れた塗装下地用表面処理鋼板の製造方法
JP4961023B2 (ja) 2007-12-21 2012-06-27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用銅箔
JP6091145B2 (ja) 2012-10-10 2017-03-08 日新製鋼株式会社 表面改質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50167131A1 (en) * 2013-12-11 2015-06-18 Arcanum Alloy Design, Inc. Surface alloyed metals and methods for alloying surfaces
JP6259336B2 (ja) * 2014-03-26 2018-01-10 日本冶金工業株式会社 Ni基合金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1760A (ja) 1984-07-31 1986-02-28 Usui Internatl Ind Co Ltd 耐熱・耐食性被覆鋼材およびその形成方法
JPH0472091A (ja) 1990-07-11 1992-03-06 Kawasaki Steel Corp 2ピース缶用表面処理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310167A (ja) * 1994-05-11 1995-11-28 Toyo Kohan Co Ltd 加工性および耐食性に優れたCrーNi拡散処理鋼板とその製造法
JPH07310166A (ja) 1994-05-11 1995-11-28 Toyo Kohan Co Ltd 加工性および耐食性に優れたCrーNi拡散処理鋼板と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8583B1 (ko) 2020-02-24
JPWO2016167304A1 (ja) 2017-04-27
CN107429378A (zh) 2017-12-01
JP6015884B1 (ja) 2016-10-26
EP3269841A1 (en) 2018-01-17
TWI604087B (zh) 2017-11-01
US20180073157A1 (en) 2018-03-15
US10538852B2 (en) 2020-01-21
MX2017012304A (es) 2017-12-14
BR112017018458A2 (pt) 2018-04-17
EP3269841A4 (en) 2018-10-24
TW201702430A (zh) 2017-01-16
CN107429378B (zh) 2019-12-03
WO2016167304A1 (ja) 2016-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38754B2 (ja) 電着塗装用アルミニウムめっき構造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9932659B2 (en)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s and galvannealed steel sheets that have good appearance and adhesion to coating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as amended)
RU2621501C1 (ru) Формованное горячей штамповкой изделие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формованного горячей штамповкой изделия
JP5799996B2 (ja) 外観性とめっき密着性に優れる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KR101699644B1 (ko)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강판과 그 제조 방법
KR101692129B1 (ko)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 및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
MXPA04006178A (es) Lamina de acero con superficie tratada y metodo para la produccion de la misma.
JP3997931B2 (ja) 高張力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US10023933B2 (en) Galvanneal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O2020054384A1 (ja)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Al系めっきステンレス鋼板
ES2727280T3 (es) Lámina de acero recubierta de aluminio que presenta una excelente resistencia a la oxidación y resistencia al calor
KR20170122244A (ko) 도금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CN107148488A (zh) 拉伸强度为1300Mpa以上的超高强度镀覆钢板及其制造方法
KR20140053138A (ko) 표면 처리 강판, 연료 파이프 및 전지캔
JP2011222125A (ja) 耐孔あき性に優れた電池缶用ニッケルめっき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310163A (ja) プレス加工性及びメッキ密着性に優れる高強度溶融亜鉛メッキ鋼板
JPWO2021100212A1 (ja) Niめっき鋼板、及びNi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7277823B2 (ja) ホットスタンプ成形体
KR101978014B1 (ko) 고강도 강판 및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 그리고 그것들의 제조 방법
JP2023505445A (ja) 電気抵抗スポット溶接部の疲労強度に優れた亜鉛めっき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5604784B2 (ja) めっき性の良好な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