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8850A - 롤러 밀, 흡인 조립체, 및 롤러 밀의 개장 방법 - Google Patents

롤러 밀, 흡인 조립체, 및 롤러 밀의 개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8850A
KR20170118850A KR1020177026396A KR20177026396A KR20170118850A KR 20170118850 A KR20170118850 A KR 20170118850A KR 1020177026396 A KR1020177026396 A KR 1020177026396A KR 20177026396 A KR20177026396 A KR 20177026396A KR 20170118850 A KR20170118850 A KR 20170118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grinding
space
roller mill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6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2967B1 (ko
Inventor
다니엘 피셔
다니엘 리켄바흐
다니엘 마르크
Original Assignee
뷔흘러 에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뷔흘러 에이지 filed Critical 뷔흘러 에이지
Publication of KR20170118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B02C4/06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specially adapted for milling g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1/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mills
    • B02C11/08Cooling, heating, ventilating, conditioning with respect to temperature or water cont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286Fee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엇보다도, 그라인딩(grinding)될 재료를 그라인딩하기 위한 롤러 밀(10)에 관한 것이다. 상기 롤러 밀(10)은, 적어도 하나의 그라인딩 공간(11, 11')으로서, 그라인딩될 재료가 내부에서 그라인딩될 수 있는 것인 적어도 하나의 그라인딩 공간; 적어도 하나의 격벽(17)으로서, 그라인딩 공간(11; 11')을 흡인 공간(21, 21')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격벽; 적어도 하나의 흡인 개구(13)로서, 상기 격벽(17)에 형성되며 상기 흡인 개구를 통해, 흡인 공간(21; 21')과 그라인딩 공간(11; 11')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흡인 공간(21; 21')으로부터 그라인딩 공간(11; 11') 내로 흡인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것인 흡인 개구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 밀(10)은, 흡인 개구(13)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폐쇄 요소(14)를 구비하며, 상기 폐쇄 요소(14)는, 상기 압력차가 문턱값을 초과할 때 흡인 개구(13)를 개방시키는 개방 위치(O)에 있거나 또는 개방 위치(O)로 이동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그리고 상기 압력차가 문턱값을 하회할 때, 흡인 개구(13)를 폐쇄시키는 폐쇄 위치(S)에 있거나, 또는 상기 폐쇄 위치(S)로 이동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성 및 배치되며, 및/또는 제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흡인 조립체(23; 23') 그리고 기존의 롤러 밀을 개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롤러 밀, 흡인 조립체, 및 롤러 밀의 개장 방법
본 발명은 그라인딩 재료(grinding material)를 그라인딩하기 위한 롤러 밀(roller mill), 구체적으로 곡물을 그라인딩하기 위한 시리얼 롤러 밀(cereal roller mill) 및 흡인 조립체에 관한 것이며, 또한 기존의 롤러 밀을 개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라인딩 재료를 그라인딩하기 위한 롤러 밀은 적어도 하나의 그라인딩 공간을 포함하며, 이 그라인딩 공간에서 그라인딩 재료, 예컨대 곡물이 그라인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상기 그라인딩 공간은 적어도 한 쌍의 그라인딩 롤러를 갖는다.
통상적으로, 그라인딩 공간에서는 롤러 밀 주위에 존재하는 주위 공기 압력에 비해 또는 달리 흡인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 압력에 비해 낮은 압력이 조성되는데, 공기는 흡인 공간으로부터 롤러 밀 내로 유동한다. 예로서, 이러한 낮은 압력은 환기장치 시스템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환기장치 시스템은 그라인딩 롤러 아래에 존재하고, 롤러 밀로부터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것이고 및/또는 롤러 밀 호퍼의 배출부 영역에 배치되는 공압 운반 시스템에 의한 것이다. 문헌 GB 1909 No. 221에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미세한 먼지 등[“스티브(stive)”]이 상위 그라인딩 공간에 수집되지 않도록 하면서 또한 하방으로 유인되도록 하기 위해, 그라인딩 롤러 위의 그라인딩 공간(“흡인 개구”라 불리는 것)과 흡인 공간 사이에 공기 입구 개구를 배치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최근에, 이러한 롤러 밀은 대체로 점검 개구를 가지며, 이 점검 개구를 통해 그라인딩 롤러 아래의 그라인딩 공간에 액세스(access) 가능하고, 예컨대 그라인딩된 그라인딩 재료의 샘플이 제거되도록 되어 있다.
통상의 작동 상태에 있어서, 즉 상기 점검 개구가 폐쇄되어 있을 때, 이러한 유형의 롤러 밀은 점검 개구가 없는 롤러 밀과 마찬가지로 기능한다. 공기의 유입을 허용하기 위해 흡인 개구(들)를 통해 흡인 공기가 공급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유형의 흡인 개구는, 예컨대 문헌 GB 1909 No. 221로부터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점검 개구의 개방은 롤러 밀에서의 공기 압력 상태 및 공기 유동 상태를 변화시킨다. 이러한 사실은 문제가 되는데, 왜냐하면, 롤러 밀에 있어서, 먼지의 바람직하지 않은 탈출 없이, 가능한 범위까지 엄밀하게는 그라인딩 자체에 대한 변경 없이, 기계의 작동 중에 일상적인 점검을 방해받지 않고 수행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양호하고 신뢰성 있는 부분적인 해법은 이 문헌 DE 2 403 351에 설명되어 있으며, 여기서 그라인딩 롤러의 둘레방향 영역으로부터의 흡인 공기는 롤러 밀 호퍼(roller mill hopper)로부터 호퍼 출구까지 또는 공압식 운반 라인 입구까지 분리된 흡입 장치를 통해 진행한다. DE 2 403 351에서의 바람직한 해법은, 호퍼의 후방 벽을 따라 이러한 흡입 장치를 안내하는 것이다. 실제에 있어서, 이러한 유형의 흡입 장치는 흡인 플레이트에 의해 호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다수의 알려진 장치에 있어서, 그라인딩 자체에 대한 변화 없이 검사가 행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흡인 공기를 안내하도록 흡인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예로서, 점검 개구 자체로부터의, 비교적 조대한 그라인딩 더스트(grinding dust)의 탈출은, 또한, 롤러 밀에 존재하는 전술한 흡인 플레이트 및 관련 공기 유동에 의해 방지된다. 구체적으로, 그라인딩된 그라인딩 재료는 보통 공압식 운반 디바이스에 의해, 롤러 밀 호퍼의 배출부로부터 멀리 운반된다. 이러한 운반 디바이스는, 그라인딩 공간에 낮은 압력이 존재하는 것을 보장하며, 이는, 점검 개구가 개방되어 있을 때 발생하는 에어 드래프트(air draft) 때문에 그라인딩 더스트가 점검 개구로부터 환경으로 탈출할 수 없도록 보장한다.
롤러 밀의 작동 중에 그라인딩 롤러로부터 마찰 열이 발생한다. 상기 마찰 열은 그라인딩 공간 내의 공기를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가열한다. 동시에, 배출 호퍼에 조성되는 낮은 압력은, 공기가 흡인 개구를 통해 취입되며 알려진 흡인 플레이트를 넘어 배출 호퍼 내로 유동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공기는, 알려진 흡인 플레이트의 전방에 있는 공기와 다른 상태를 갖는다. 예로서, 흡인 개구를 통해 취입된 공기는 흔히, 알려진 흡인 플레이트의 전방에서의 공기보다 저온이다. 특정한 상황에 있어서, 이는 호퍼 내에 존재하는 알려진 흡인 플레이트 상에서의 바람직하지 않은 응축물 형성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추가적인 세정 비용으로 귀결된다.
또한, 점검 개구가 개방되어 있을 때, 특정한 상황에서, 먼지는 여전히 그라인딩 롤러 위의 흡인 개구로부터 환경으로 바람직하지 않게 탈출할 수 있다. 이는 롤러 밀의 환경의 오염을 유발한다. 이는 단지 사용자에게 불쾌한 것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세정 조치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그라인딩 더스트의 탈출에 관한 문제는 단지 부분적으로 해소되며, 종래 기술에 있어서 이 문제는 완전히 해소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단점이 극복되는 경우의 롤러 밀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점검 개구가 개방되어 있을 때, 롤러 밀로부터 환경으로 훨씬 적은 양의 그라인딩 더스트가 탈출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그리고 응축물 형성과 관련하여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능한 멀리에 흡인 플레이트를 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개발되는 롤러 밀에 관한 것이다.
본 목적은 주요 청구항에 따라 그라인딩 재료를 그라인딩하기 위한 롤러 밀, 구체적으로 곡물을 그라인딩하기 위한 시리얼 롤러 밀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밀은,
- 적어도 하나의 그라인딩 공간으로서, 내부에서 그라인딩 재료, 구체적으로 곡물이 그라인딩될 수 있는 그라인딩 공간;
- 적어도 하나의 격벽으로서, 그라인딩 공간을 흡인 공간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격벽;
- 적어도 하나의 흡인 개구로서, 상기 격벽에 형성되며, 흡인 공간과 그라인딩 공간 사이에 조성된 압력차 때문에 상기 흡인 개구를 통해 흡인 공기가 흡인 공간으로부터 그라인딩 공간 내로 유입될 수 있는 것인 흡인 개구
를 포함한다.
그라인딩 공간은 보통 적어도 한 쌍의 그라인딩 롤러를 포함하며, 이 그라인딩 롤러를 이용하여 곡물이 그라인딩될 수 있다.
또한, 롤러 밀은 보통 그라인딩될 그라인딩 재료를 그라인딩 공간 내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 영역(feed-in region)을 포함한다. 이러한 유형의 공급 영역은, 그라인딩될 그라인딩 재료가 준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공급 공간을 포함하며, 계량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고, 이 계량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공급 공간으로부터 그라인딩 공간으로의 그라인딩 재료가 계량될 수 있다. 공급 영역 그리고 구체적으로 공급 영역의 공급 공간에는, 이 공급 공간에 그리고 이 공급 공간 아래에 그라인딩 공간이 할당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이에 따라 흡인 공간과 공급 공간 사이에 상기 격벽 및 그 흡인 개구가 형성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인 공간은 폐쇄 가능한 격벽에 의해 그라인딩 공간으로부터 분리되며, 즉 흡인 공간은 자체로 그라인딩 공간의 일부를 형성하지 않는다. 흡인 공간은 롤러 밀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또한, 롤러 밀의 환경에 의해 흡인 공간이 형성되는 것도 착안할 수 있다. 격벽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흡인 개구와는 별도로, 상기 격벽은 흡인 공기에 대해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이고, 이에 따라 흡인 공기는 기껏해야 흡인 개구를 통과하여 격벽을 통해 침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롤러 밀은 흡인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폐쇄 요소를 갖는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폐쇄 요소는,
- 상기 압력차가 문턱값을 초과할 때 흡인 개구를 개방시키는 개방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그리고
- 상기 압력차가 문턱값을 하회할 때 흡인 개구를 폐쇄시키는 폐쇄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성 및 배치되며 및/또는 제어 가능하다.
통상의 작동 상태에 있어서, 즉 점검 개구가 폐쇄되어 있을 때, 그라인딩 공간에서는 낮은 압력이 조성되며, 예컨대 롤러 밀의 배출부 영역에 배치되는 공압식 운반 시스템을 통해 상기 낮은 압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라인딩 공간에서의 이러한 압력이 문턱값을 초과하는 만큼 흡인 공간에서의 압력과 상이하면, 폐쇄 요소는 흡인 개구가 개방되는 개방 위치에 위치하게 되거나, 또는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롤러 밀의 이러한 통상의 작동 상태에 있어서, 흡인 공기가 흡인 공간으로부터 그라이딩 공간 내로 유입되며, 이에 따라 배출부로부터의 공기의 탈출을 보상하도록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점검 개구가 개방되어 있다면, 공기는 점검 개구를 통해 그라인딩 공간 내로 유동하며, 그 결과로서 그라인딩 공간에 조성되는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그라인딩 공간과 흡인 공간 사이의 압력차는 문턱값을 하회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폐쇄 요소는 흡인 개구가 폐쇄되는 폐쇄 위치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흡인 공기가 더 이상 흡인 공간으로부터 그라인딩 공간으로 유입될 수 없고, 이에 따라 또한 반대로 그라인딩 더스트(grinding dust)는 흡인 개구를 통해 롤러 밀의 환경으로 탈출할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밀의 경우에 있어서, 놀랍게도, 롤러 밀 호퍼에서 이전에 필요하였던 흡인 플레이트를 없애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특히 호퍼의 후방 벽을 따라 DE 2 403 351에 따른 흡입 장치로 귀결되었던 흡인 플레이트를 없애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가능한 변형에 있어서, 폐쇄 요소는, 상기 압력차에 기초하여, 폐쇄 요소가 개방 위치에 또는 폐쇄 위치에 위치하게 하는 방식으로 또는 폐쇄 요소가 이들 위치 중 하나로 이동하게 하는 방식으로 제어 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그라인딩 공간에서의 압력 및 흡인 공간에서의 압력은, 그라인딩 공간에서 그리고 제각기 흡인 공간에서 각각의 압력 측정 디바이스에 의해 직접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압력차는 이후 연산 유닛을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이렇게 계산된 압력차에 따라, 폐쇄 요소는, 폐쇄 요소가 개방 위치에 또는 폐쇄 위치에 위치하게 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직접 압력 측정 센서 시스템에 대한 대안으로서, 간접적인 해법도 또한 착안 가능하며, 본 발명에 의해 포함되고, 이때 예컨대 점검 개구 문짝 센서 시스템은 점검 문짝이 개방되어 있는지 또는 폐쇄되어 있는지를 결정하며, 점검 개구 문짝이 개방되어 있을 때 폐쇄 요소가 폐쇄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그리고 점검 개구 문짝이 폐쇄되어 있을 때 폐쇄 요소가 개방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폐쇄 요소가 간접적인 결론 하에서 조절 또는 제어되고, 이에 따라 그라인딩 공간과 흡인 공간 사이의 압력 조건은 전술한 바와 같아지게 된다. 폐쇄 요소는, 예컨대 공압식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폐쇄 요소가 수동 폐쇄 요소로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동 폐쇄 요소는,
- 문턱값을 초과하면, 폐쇄 요소가 개방 위치에 위치하거나, 또는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하게 하는 방식으로, 그리고
- 문턱값을 하회하면, 폐쇄 요소가 폐쇄 위치에 위치하거나, 또는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하게 하는 방식으로,
구성 및 배치된다.
따라서, 바람직한 변형에 있어서, 폐쇄 요소는, 문턱값을 초과하는가 또는 문턱값을 하회하는가에 따라, 개방 위치 혹은 폐쇄 위치에 위치하거나 또는 개방 위치 혹은 폐쇄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여기서는, 앞서 설명한 압력 측정 디바이스, 연산 유닛, 및 제어 시스템을 없앨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흡인 개구를 갖는 격벽이 바람직하게는 공급 영역 부근에 배치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공급 영역의 계량 디바이스 부근에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공급 영역 부근에서 또는 바람직하게는 공급 영역의 계량 디바이스 부근에서 그라인딩 공간 내로 흡인 공기가 침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그라인딩 공간의 상위 영역에, 즉 역시 그라인딩 공간에 배치되는 그라인딩 롤러 위에, 적어도 하나의 흡인 개구를 갖춘 격벽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른 결과로서, 그라인딩 공간의 상위 영역에서 그리고 또한 이에 따라 그라인딩 롤러 위에서 그라인딩 공간 내로 흡인 공기가 침투할 수 있다.
폐쇄 요소는 유리하게는, 문턱값을 하회할 때 폐쇄 요소가 폐쇄 위치에 위치하거나 또는 폐쇄 요소의 사중량(dead weight) 때문에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하게 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성 및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구조 면에서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기껏해야 단지 적은 수준의 유지보수만을 필요로 한다. 반대로, 폐쇄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문턱값을 초과할 때 폐쇄 요소가 개방 위치에 위치하거나 또는 압력차 때문에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하게 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성 및 배치된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폐쇄 요소가 개방 위치의 방향으로 또는 폐쇄 위치의 방향으로 예응력을 받는 것도 역시 착안 가능하며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이러한 예응력은,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폐쇄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피봇 가능한 폐쇄용 플랩(closure flap)으로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폐쇄용 플랩은,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피봇 축선을 중심으로 피봇 가능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실질적으로 수평인 프로파일이란, 상기 피봇 축선과 수평면 사이의 각도가 15 도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도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5 도 미만인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피봇 축선은 바람직하게는 그라인딩 공간에 존재하는 그라인딩 롤러의 회전 축선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유사하게, 여기서 또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란, 상기 피봇 축선과 그라인딩 롤러의 회전 축선 사이의 각도가 15 도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도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5 도 미만인 것을 의미한다.
다수의 실시예에 있어서, 폐쇄용 플랩이 폐쇄 위치(S)에서의 수직에 대해 소정 각도로 틸팅(tilting)되어 있으면 유리하다. 이는, 흡인 개구가 폐쇄 위치에서 견고하게 폐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각도는 최대 45 도의 범위에, 바람직하게는 최대 10 도의 범위에, 특히 바람직하게는 2 도 내지 3 도의 범위에 속할 수 있다.
상기 격벽이 단지 단일 흡인 개구만을 갖는 것을 착안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그러나, 이는, 적절한 공기 공급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단일 흡인 개구가 비교적 대형이어야만 하는 경우, 곤란함을 초래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경우 폐쇄 요소가 대응하는 크기로 치수 설정되어야만 하며 특정 상황 하에서는 이로 인해 폐쇄 상태에서 흡인 개구의 부적절한 밀봉이 초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복수 개의 흡인 개구가 격벽에 마련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러한 흡인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롤러 밀의 그라인딩 롤러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를 따라 배치된다. 100 cm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cm 내지 20 cm의 흡인 개구 길이가 적절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각각의 개별적인 폐쇄 요소는 각각의 흡인 개구에 대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단지 관련된 상기 흡입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해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이는 폐쇄 위치에서의 흡인 개구의 보다 양호한 밀봉에 마찬가지로 기여한다.
그러나, 또 다른 변형에 있어서, 복수 개의 흡인 개구를 동시에 개방 및 폐쇄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폐쇄 요소가 구성되는 것을 마찬가지로 착안 가능하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요구되는 폐쇄 요소의 개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구조적 경비가 절감된다.
또한, 롤러 밀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를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고정 요소는, 폐쇄 요소가 그라인딩 공간 내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성 및 배치된다. 따라서, 폐쇄 요소가 의도치않게 탈락되는 경우, 폐쇄 요소가 그라인딩 공간 내로 떨어지고 특히 심지어 그라인딩 롤러들 사이에 형성되는 그라인딩 간격 내로 떨어지는 상황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고정 요소는 고정 브라켓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롤러 밀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점검 개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점검 개구를 통해 그라인딩 공간에 액세스 가능하고, 예컨대 그라인딩 재료의 샘플의 제거를 위한 액세스가 가능하다. 또한, 롤러 밀은 적어도 하나의 그라인딩 공간 문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그라인딩 공간 문짝을 이용하여 점검 개구가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점검 개구, 그라인딩 공간 문짝, 및 폐쇄 요소는, 그라인딩 공간 문짝이 폐쇄되어 있을 때 압력차가 문턱값을 초과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그리고 그라인딩 공간 문짝이 개방되어 있을 때 압력차가 문턱값을 하회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배치 및 구성되며, 서로에 대해 매칭된다. 따라서, 그라인딩 공간 문짝의 개구는, 흡인 개구가 폐쇄되는 폐쇄 위치에 폐쇄 요소가 위치하거나 이 폐쇄 위치로 폐쇄 요소가 이동하여, 어떠한 그라인딩 더스트도 상기 흡인 개구를 통해 롤러 밀의 환경으로 탈출하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적어도 일시적으로 그라인딩 공간에서의 낮은 압력을 발생시키도록(즉, 흡인하도록), 롤러 밀은 또한 저압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고, 이러한 저압 수단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거나 연결 가능할 수 있다. 예로서, 이러한 저압 수단은, 롤러 밀의 배출부 영역에 배치되는 공압식 운반 시스템으로서, 이 공압식 운반 시스템에 의해, 그라인딩된 그라인딩 재료가 배출부로부터 멀리 운반될 수 있는 것인 공압식 운반 시스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롤러 밀은 유리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및 이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흡인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흡인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 이 격벽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흡인 개구, 및 적어도 하나의 폐쇄 요소를 적어도 포함한다. 상기 흡인 조립체는 바람직하게는 가늘고 긴 스트립(strip)으로서 구성되는데, 이 스트립은 롤러 밀의 그라인딩 롤러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를 따라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흡인 조립체는 실질적으로 강성의 마운트(mount)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마운트에는 적어도 하나의 흡인 개구가 형성되고 이 마운트 상에는 폐쇄 요소가 배치된다. 또한, 흡인 조립체는 고정 요소(앞서 언급한 바와 같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고정 요소는 상기 마운트에 연결 가능하고, 특히 탈착 가능하게 연결 가능하다. 또한, 흡인 조립체는 흡인 조립체를 롤러 밀의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체결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흡인 조립체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시일(seal)을 포함하며, 이 시일을 이용하여 흡인 조립체는 그라인딩 공간의 경계벽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시일은, 흡인 조립체가 상기 경계벽에 대해 밀접하게 지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에 따라 바람직하지 않은 위치에서의 흡인 공기의 통과를 방지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일과 함께 흡인 조립체의 격벽을 형성한다.
흡인 개구의 격벽, 및 폐쇄 요소 그리고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흡인 조립체에 있는 고정 요소의 조합은, 상기 흡인 조립체가 기존의 롤러 밀 내로 삽입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예컨대, 세척, 유지보수 또는 수리 목적을 위해) 롤러 밀의 프레임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는 이러한 흡인 조립체 자체이다. 따라서, 이는 롤러 밀의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흡인 조립체를 수반하며, 상기 롤러 밀은, 내부에서 그라인딩 재료가 그라인딩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라인딩 공간을 포함한다. 상기 흡인 조립체는,
- 적어도 하나의 격벽으로서, 그라인딩 공간을 흡인 공간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격벽;
- 적어도 하나의 흡인 개구로서, 상기 격벽에 형성되며 상기 흡인 개구를 통해, 흡인 공간과 그라인딩 공간 사이에 조성되는 압력차에 의해 흡인 공간으로부터 그라인딩 공간 내로 흡인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것인 흡인 개구;
- 흡인 개구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폐쇄 요소
를 포함하며, 상기 폐쇄 요소는,
- 상기 압력차가 문턱값을 초과할 때 흡인 개구를 개방시키는 개방 위치에 있거나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그리고
- 상기 압력차가 문턱값을 하회할 때, 흡인 개구를 폐쇄시키는 폐쇄 위치에 있거나, 또는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성 및 배치되며, 및/또는 제어 가능하다.
서로에 대해 독립적인, 적어도 하나의 격벽, 적어도 하나의 흡인 개구, 및 적어도 하나의 폐쇄 요소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밀과 함께 앞서 설명한 특징들 중 하나의 특징, 복수 개의 특징, 또는 모든 특징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장점을 제공한다.
게다가, 흡인 조립체는, 앞서 이미 언급한 구성요소들, 즉
- 실질적으로 강성인 마운트로서, 그 위에 폐쇄 요소가 배치되는 것인 마운트;
- 상기 마운트에 연결 가능한, 특히 탈착 가능하게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
- 흡인 조립체를 롤러 밀의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체결 수단;
-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시일(seal)로서, 이 시일을 이용하여 흡인 조립체는 그라인딩 공간의 경계벽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인 시일
중 하나의 구성요소, 복수 개의 구성요소, 또는 모든 구성요소를 구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또한 그라인딩 재료를 그라인딩하기 위한 기존의 롤러 밀, 특히 곡물을 그라인딩하기 위한 기존의 시리얼 롤러 밀을 개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롤러 밀은 적어도 하나의 그라인딩 공간을 포함하며, 이 그라인딩 공간에서 그라인딩 재료가 그라인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밀을 얻도록 다음의 구성요소가 개장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 적어도 하나의 격벽으로서, 그라인딩 공간을 흡인 공간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격벽.
- 적어도 하나의 흡인 개구로서, 상기 격벽에 형성되며 상기 흡인 개구를 통해, 흡인 공간과 그라인딩 공간 사이에 조성되는 압력차에 의해 흡인 공간으로부터 그라인딩 공간 내로 흡인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것인 흡인 개구.
- 흡인 개구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폐쇄 요소로서, 상기 폐쇄 요소는,
- 상기 압력차가 문턱값을 하회할 때 흡인 개구를 개방시키는 개방 위치에 있거나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그리고
- 상기 압력차가 문턱값을 초과할 때, 흡인 개구를 폐쇄시키는 폐쇄 위치에 있거나, 또는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성 및 배치되며, 및/또는 제어 가능한 것인 폐쇄 요소.
흡인 공간은 롤러 밀의 내부로 격벽을 개장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격벽의 삽입에 의해, 기존의 롤러 밀의 넓은 원래 그라인딩 공간은 보다 작은 그라인딩 공간 및 흡인 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격벽, 적어도 하나의 흡인 개구, 및 적어도 하나의 폐쇄 요소는, 기존의 롤러 밀 내로 별도의 구성요소로서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적어도 하나의 격벽, 이 격벽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흡인 개구, 및 적어도 하나의 폐쇄 요소가 공통 흡인 조립체의 일부이면, 특히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흡인 조립체의 일부이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구성요소는 이후 기존의 롤러 밀 내로 함께 삽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 및 복수 개의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밀을 측방향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롤러 밀을 측방향 확대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롤러 밀의 흡인 조립체를 더욱 확대한 상세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폐쇄용 플랩이 개방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롤러 밀의 흡인 조립체를 더욱 확대한 상세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폐쇄용 플랩이 폐쇄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고정 브라켓이 없는 상태의 흡인 조립체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고정 브라켓을 갖춘 상태의 흡인 조립체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곡물을 그라인딩하기 위한 시리얼 롤러 밀(10)을 도시한 것이다. 롤러 밀(10)은 분배 요소(31)를 포함하며, 이때 분배 요소 위에는 입구 저장소(32)가 배치되어 있다. 분배 요소(31)에 의해, 입구 저장소(32)를 통해 유입되는 곡물은 각각의 공급 영역(12, 12')의 2개의 공급 공간(33, 33')으로 분할된다. 상기 곡물은, 공급 영역(12, 12')의 각각의 계량 디바이스(34, 34')에 의해 그라인딩 공간(11, 11') 내로 계량된다. 상기 그라인딩 공간에 있어서, 상기 곡물은 각각의 쌍의 그라인딩 롤러(35, 35')에 의해 그라인딩된다. 흡인 조립체(23, 23')는 계량 디바이스(34, 34')의 부근에 배치되며, 그라인딩 공간(11, 11')의 상위 영역에 배치되고, 즉 구체적으로 그라인딩 롤러(16, 16') 위에 배치되며, 각각의 그라인딩 공간(11, 11')을 각각의 흡인 공간(21, 21')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점검 개구(19, 19')가 그라인딩 롤러(35, 35') 아래에 위치하게 되며, 본원에 도시된 상태에 있어서, 각각의 그라인딩 공간 문짝(20, 20')에 의해 폐쇄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곡물은 공압식 운반 시스템(본원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해 각각의 배출부(16, 16')를 통해 멀리 운반된다.
도 2는, 공급 공간(33) 및 계량 디바이스(34)를 갖춘 공급 영역(12) 그리고 또한 흡인 조립체(23)를 확대도로 한 번 더 도시한 것이며, 흡인 조립체는 그라인딩 공간(11)의 상위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그라인딩 공간(11)을 흡인 공간(21)과 분리시킨다.
흡인 조립체(23)는 도 3에 상세하게 한 번 더 도시되어 있다. 흡인 조립체는, 예컨대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는, 강성 마운트(36)를 포함하며, 이때 제1 수평 부분(37), 수직 부분(38), 및 제2 수평 부분(39)을 갖는다. 제1 단부에 있어서, 제1 수평 부분(37)은 제1 시일(40)에 의해 롤러 밀(10)의 제1 경계벽(24)에 대해 지탱한다. 제1 수평 부분(37)의 대향 단부는 수직 부분(38)의 상위 단부에 이웃하게 된다. 수직 부분(38)의 하위 단부는 제2 수평 부분(39) 내로 병합되며, 제2 수평 부분의 대향 단부는 제2 시일(41)을 이용하여 롤러 밀(10)의 제2 경계벽(25)에 대해 지탱한다. 따라서, 마운트(36)는, 제1 시일(40) 및 제2 시일(41)과 함께, 격벽(17)을 형성하며, 이 격벽은 그라인딩 공간(11)을 흡인 공간(21)으로부터 분리시킨다.
홈과 같은 리세스(43)를 갖춘 제1 돌출부(42)가 마운트(36)의 수직 부분(38)으로부터 측방향으로 그리고 제1 수평 부분(37)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폐쇄용 플랩(14)으로서 구성되는 폐쇄 요소는 상기 리세스(43) 내로 후크(hook)된다(이와 관련하여 또한 도 5 참고). 이러한 방식으로, 폐쇄용 플랩(14)은 피봇 가능한 방식으로 현수되며, 엄밀하게는 그라인딩 롤러(35)의 회전 축선에 대해 평행하게(즉, 도면의 평면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피봇 축선을 중심으로 피봇 가능한 방식으로 현수된다. 본원에서는 하나만 볼 수 있는, 복수 개의 흡인 개구(13)가 마운트(36)의 수직 부분(38)에 존재한다.
제2 돌출부(44)는 제1 수평 부분(37)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제3 돌출부(45)는 제2 수평 부분(39)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또한, 제1 수평 부분(37)과 수직 부분(38) 사이의 천이 영역(46)에는 노치(47; notch)가 마련된다. 고정 브라켓(18)으로서 구성되는 고정 요소는 제2 돌출부(44), 제3 돌출부(45), 및 노치(47)에 의해 마운트(36) 상에 고정되게 클램핑되며, 폐쇄용 플랩(14)이 그라인딩 공간(11) 내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상태에 있어서, 그라인딩 공간 문짝(20)은 점검 개구(19)를 폐쇄시키며, 배출부(16)에 이웃한 공압식 운반 시스템은 그라인딩 공간(11)에서의 낮은 압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낮은 압력은 단지 그라인딩 공간(11) 내에서만 발생하고 또한 흡인 공간(21) 내에서는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흡인 공간(21)과 그라인딩 공간(11) 사이에는 압력차가 형성된다. 이러한 압력차는, 폐쇄용 플랩(14)이 그 사중량에 의해 피봇하게 되고 이에 따라 흡인 개구(13)를 개방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상의 결과로서, 흡인 공기가 흡인 공간(21)으로부터 그라인딩 공간(11) 내로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되는 흡인 공기는, 공압식 운반 시스템에 의해 배출부(16)에서 회수되는 공기 스트림을 보상한다. 이에 따라, 폐쇄용 플랩(14)의 개방 위치(O)가 도 3에 제시된다.
이때 그라인딩 공간 문짝(20)이 개방되어 있으면, 공기는, 그라인딩 공간(11)에 조성되는 낮은 압력에 의해, 그라인딩 공간 문짝(20)을 통해 그라인딩 공간(11) 내로 유동한다. 흡인 공간(21)에 조성되는 압력은 전술한 프로세스에서 변하지 않기 때문에, 흡인 공간(21)과 그라인딩 공간(11) 사이의 압력차는 문턱값 미만으로 떨어지고, 이에 따라 폐쇄용 플랩(14)은 그 사중량으로 인해 도 3에 도시된 개방 위치(O)로부터 도 4에 도시된 폐쇄 위치(S)로 이동한다. 이러한 폐쇄 위치(S)에 있어서, 폐쇄용 플랩(14)은 흡인 개구(13)를 폐쇄시킨다. 따라서, 흡인 공기가 흡인 공간(21)으로부터 그라인딩 공간(11) 내로 더 이상 유입될 수 없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어떠한 그라인딩 더스트도 그라인딩 공간(11)으로부터 빠져나와 흡인 개구(13)로부터 환경 내로 탈출하지 못한다. 따라서, 이러한 유리한 효과로 귀결되는 폐쇄용 플랩(14)의 폐쇄는, 그라인딩 공간(20)이 개방되어 있을 때 있는 그대로 자동적으로 행해지며, 또한 이에 따라 작동 단계가 요구되지 않는다.
폐쇄용 플랩(14)이 폐쇄 위치(S)에서 흡인 개구(13)를 고정되게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리세스(43)의 위치, 폐쇄용 플랩(14)의 형상, 및 흡인 개구(13)를 둘러싸는 마운트(36)의 수직 부분(38)의 형상은, 폐쇄용 플랩(14)이 수평 부분(38)에 대해 지탱하는 폐쇄 위치(S)에서의 수직방향(V)에 대해 작은 각도(α=2.87 도)만큼 틸팅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매칭(matching)된다.
이때 그라인딩 공간 문짝(20)이 다시 폐쇄되면, 공압식 운반 시스템은 다시 한 번 배출부(16)로부터 공기를 유도한다. 그러나, 이때, 추가적인 공기는 더 이상 점검 개구(19)를 통해 그라인딩 공간(11) 내로 유동할 수 없기 때문에, 폐쇄용 플랩(14)은, 흡인 공간(21)과 그라인딩 공간(11) 사이에 조성되는 압력차에 의해 역시 도 3에 도시된 개방 위치(O)로 다시 이동한다. 따라서, 이상 설명한 바는 역시 오로지 그라인딩 공간 문짝(20)을 작동시킴으로써 행해진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흡인 조립체(23)를 별도로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지만, 여기서는 우선 고정 브라켓(18)이 없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고정 브라켓은 오직 도 6에만 도시되어 있음).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흡인 조립체(23)는,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는 가늘고 긴 스트립(strip)으로서 구성된다. 흡인 조립체(23)가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이러한 길이 방향(L)은 수평 방향으로 그리고 그라인딩 롤러(11)의 회전 축선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마운트(36)의 수직 부분(38) 및 제2 수평 부분(39), 그리고 또한 2개의 시일(40, 41)은 프로파일링된 형상(profiled shape)로 구성되며, 다시 말하면, 이들은 각각 길이 방향(L)을 따라 일정한 단면을 갖는다. 흡인 개구(13)을 제외하면, 제1 수평 부분(37)도 또한 프로파일링된 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수직 부분(38)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돌출부(42) 및 제1 수평 부분(38)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돌출부(44)는 프로파일링된 형상으로 구성되지 않고, 대신 단지 개별적인 이산적 위치에 존재한다. 각각의 폐쇄용 플랩(14)이 2개의 각각 이웃한 2개의 제1 돌출부(42) 사이에 배치된다. 상위 단부에 있어서, 각각의 폐쇄용 플랩(14)은 2개의 측방향 연장부를 가지며, 이들 연장부는 이웃한 2개의 전술한 제1 돌출부(42)의 리세스(43) 내로 후크된다. 따라서, 폐쇄용 플랩(14)은 리세스(43)를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다.
도 6은 고정 브라켓(18)과 함께 흡인 조립체(23)를 도시한 것이며, 상기 고정 브라켓은 마운트(36) 상에 고정되게 클램핑된다. 하위 영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다수의 스트럿(48; strut)을 가지며, 이러한 다수의 스트럿들 사이에 슬롯(49)이 형성된다. 이러한 슬롯(49)은, 흡인 개구(13)를 통해 유입되는 흡인 공기가 상기 슬롯(49)을 통과할 수는 있지만, 의도치않게 탈락된 폐쇄용 플랩(14)은 상기 슬롯을 통해 그라인딩 공간(11) 내로 떨어질 수 없도록 하는 방식으로 치수가 설정된다.

Claims (15)

  1. 그라인딩 재료(grinding material)를 그라인딩하기 위한 롤러 밀(10)로서, 특히 곡물을 그라인딩하기 위한 시리얼 롤러 밀(10; cereal roller mill)로서,
    - 적어도 하나의 그라인딩 공간(11, 11')으로서, 그라인딩 공간 내부에서 그라인딩 재료가 그라인딩될 수 있는 것인 적어도 하나의 그라인딩 공간;
    - 적어도 하나의 격벽(17)으로서, 그라인딩 공간(11; 11')을 흡인 공간(21, 21')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격벽;
    - 적어도 하나의 흡인 개구(13)로서, 상기 격벽(17)에 형성되며 상기 흡인 개구를 통해 흡인 공간(21; 21')과 그라인딩 공간(11; 11') 사이에 조성된 압력차에 의해 흡인 공간(21; 21')으로부터 그라인딩 공간(11; 11') 내로 흡인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것인 흡인 개구
    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 밀(10)은, 흡인 개구(13)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폐쇄 요소(14)를 구비하고, 상기 폐쇄 요소는,
    - 상기 압력차가 문턱값을 초과할 때 흡인 개구(13)를 개방시키는 개방 위치(O)에 있거나 또는 개방 위치(O)로 이동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그리고
    - 상기 압력차가 문턱값을 하회할 때, 흡인 개구(13)를 폐쇄시키는 폐쇄 위치(S)에 있거나, 또는 상기 폐쇄 위치(S)로 이동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성 및 배치되며, 및/또는 제어 가능한 것인 롤러 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요소(14)는 수동 폐쇄 요소(14)로서 구성되며, 상기 수동 폐쇄 요소는,
    - 문턱값을 초과하면, 폐쇄 요소가 개방 위치(O)에 위치하거나, 또는 폐쇄 위치(S)로부터 개방 위치(O)로 이동하게 하는 방식으로, 그리고
    - 문턱값을 하회하면, 폐쇄 요소가 폐쇄 위치(S)에 위치하거나, 또는 개방 위치(O)로부터 폐쇄 위치(S)로 이동하게 하는 방식으로,
    구성 및 배치되는 것인 롤러 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요소(14)는,
    문턱값을 하회할 때 폐쇄 요소가 폐쇄 위치(S)에 위치하거나 또는 폐쇄 요소의 사중량(dead weight) 때문에 개방 위치(O)로부터 폐쇄 위치(S)로 이동하게 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성 및 배치되는 것인 롤러 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요소(14)는 피봇 가능한 폐쇄용 플랩(14)으로서 구성되는 것인 롤러 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17)에는 복수 개의 흡인 개구(13)가 마련되며, 상기 흡인 개구를 통해, 흡인 공간(21; 21')과 그라인딩 공간(11; 11') 사이에 조성된 압력차에 의해 흡인 공간(21; 21')으로부터 그라인딩 공간(11; 11') 내로 흡인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것인 롤러 밀.
  6.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개별적인 폐쇄 요소(14)가 각각의 흡인 개구(13)에 대해 마련되며, 단지 관련된 상기 흡인 개구(13)만을 개방 및 폐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인 롤러 밀.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요소(14)가 그라인딩 공간(11; 11') 내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성 및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18)
    를 특징으로 하는 것인 롤러 밀.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점검 개구(19; 19')
    를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점검 개구를 통해 그라인딩 개구(11; 11')에 액세스 가능하고,
    또한 점검 개구(19; 19')가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라인딩 공간 문짝(20; 20')
    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점검 개구(19; 19'), 상기 그라인딩 공간 문짝(20; 20'), 및 상기 폐쇄 요소(14)는, 그라인딩 공간 문짝(20; 20')이 폐쇄되어 있을 때 상기 압력차가 문턱값을 초과하게 되는 방식으로 그리고 그라인딩 공간 문짝(20; 20')이 개방되어 있을 때 상기 압력차가 문턱값을 하회하게 되는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배치, 구성 및 매칭(matching)되는 것인 롤러 밀.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밀(10)은 그라인딩 공간(11; 11')에서의 낮은 압력을 적어도 일시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한 저압 수단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러한 저압 수단에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연결 가능한 것인 롤러 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 수단은, 롤러 밀(10)의 배출부(16; 16')의 영역에 배치되는 공압식 운반 시스템에 의해 형성되며, 이 공압식 운반 시스템에 의해, 그라인딩된 그라인딩 재료가 배출부(16; 16')로부터 멀리 운반될 수 있는 것인 롤러 밀.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밀(10)은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22) 및 흡인 조립체(23; 23')를 포함하고, 상기 흡인 조립체는 프레임(22)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격벽(17), 이 격벽(17)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흡인 개구(13), 및 적어도 하나의 폐쇄 요소(14)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인 롤러 밀.
  12. 롤러 밀(10)의 프레임(22)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흡인 조립체(23; 23')로서, 상기 롤러 밀은, 그라인딩 재료가 내부에서 그라인딩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라인딩 공간(11; 11')을 포함하며, 상기 흡인 조립체(23; 23')는,
    - 적어도 하나의 격벽(17)으로서, 그라인딩 공간(11; 11')을 흡인 공간(21, 21')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격벽;
    - 적어도 하나의 흡인 개구(13)로서, 상기 격벽(17)에 형성되며 상기 흡인 개구를 통해, 흡인 공간(21; 21')과 그라인딩 공간(11; 11') 사이에 조성된 압력차에 의해 흡인 공간(21; 21')으로부터 그라인딩 공간(11; 11') 내로 흡인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것인 흡인 개구;
    - 흡인 개구(13)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폐쇄 요소(14)로서, 상기 폐쇄 요소(14)는,
    - 상기 압력차가 문턱값을 초과할 때 흡인 개구(13)를 개방시키는 개방 위치(O)에 있거나 상기 개방 위치(O)로 이동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그리고
    - 상기 압력차가 문턱값을 하회할 때, 흡인 개구(13)를 폐쇄시키는 폐쇄 위치(S)에 있거나, 또는 상기 폐쇄 위치(S)로 이동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성 및 배치되며, 및/또는 제어 가능한 것인 폐쇄 요소
    를 포함하는 것인 흡인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시일(40, 41)
    을 포함하며, 이 시일을 이용하여 상기 흡인 조립체(23; 23')는 그라인딩 공간(11)의 경계벽(24, 24)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인 흡인 조립체.
  14. 그라인딩 재료를 그라인딩하기 위한 기존의 롤러 밀, 특히 곡물을 그라인딩하기 위한 기존의 시리얼 롤러 밀을 개장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기존의 롤러 밀은 적어도 하나의 그라인딩 공간(11; 11')을 포함하며, 이 그라인딩 공간 내에서 그라인딩 재료가 그라인딩될 수 있고, 상기 방법은,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롤러 밀(10)이 획득되도록 다음의 구성요소, 즉
    - 적어도 하나의 격벽(17)으로서, 그라인딩 공간(11; 11')을 흡인 공간(21, 21')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격벽;
    - 적어도 하나의 흡인 개구(13)로서, 상기 격벽(17)에 형성되며 상기 흡인 개구를 통해, 흡인 공간(21; 21')과 그라인딩 공간(11; 11') 사이에 조성된 압력차에 의해 흡인 공간(21; 21')으로부터 그라인딩 공간(11; 11') 내로 흡인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것인 흡인 개구;
    - 흡인 개구(13)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폐쇄 요소(14)로서,
    - 상기 압력차가 문턱값을 초과할 때 흡인 개구(13)를 개방시키는 개방 위치(O)에 있거나 상기 개방 위치(O)로 이동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그리고
    - 상기 압력차가 문턱값을 하회할 때, 흡인 개구(13)를 폐쇄시키는 폐쇄 위치(S)에 있거나, 또는 상기 폐쇄 위치(S)로 이동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성 및 배치되며, 및/또는 제어 가능한 것인 폐쇄 요소
    가 개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격벽(17), 이 격벽(17)에 형성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인 개구(13),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폐쇄 요소(14)는, 흡인 조립체(23; 23')의 일부이며, 특히 제12항 또는 제13항에 따른 흡인 조립체(23; 23')의 일부인 것인 방법.
KR1020177026396A 2015-02-23 2016-02-17 롤러 밀, 흡인 조립체, 및 롤러 밀의 개장 방법 KR1020629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56142.0 2015-02-23
EP15156142 2015-02-23
PCT/EP2016/053377 WO2016135025A1 (de) 2015-02-23 2016-02-17 Walzenstuhl, aspirationsbaugruppe und verfahren zum nachrüsten eines walzenstuh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850A true KR20170118850A (ko) 2017-10-25
KR102062967B1 KR102062967B1 (ko) 2020-01-06

Family

ID=52544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6396A KR102062967B1 (ko) 2015-02-23 2016-02-17 롤러 밀, 흡인 조립체, 및 롤러 밀의 개장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946385B2 (ko)
EP (1) EP3261765B1 (ko)
JP (2) JP2018506428A (ko)
KR (1) KR102062967B1 (ko)
CN (1) CN107787250B (ko)
BR (1) BR112017017833B1 (ko)
ES (1) ES2732043T3 (ko)
RU (1) RU2667739C1 (ko)
WO (1) WO20161350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49976A (zh) * 2017-05-31 2017-09-12 石林民翊农产品开发有限公司 一种自动化干果研磨粉碎设备
US10807098B1 (en) 2017-07-26 2020-10-20 Pearson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tep grinding
EP3605034B1 (de) * 2018-07-31 2021-09-22 Bühler AG Einlaufanordnung für einen walzenstuhl, walzenstuhl mit einer solchen einlaufanordnung, verfahren zur mahlgutfüllstandermittlung eines vorratsbehälters eines walzenstuhls
US10757860B1 (en) 2019-10-31 2020-09-01 Hemp Processing Solutions, LLC Stripper apparatus crop harvesting system
US10933424B1 (en) 2019-12-11 2021-03-02 Pearson Incorporated Grinding roll improvements
CN112403581B (zh) * 2020-10-27 2022-07-15 重庆市涪陵区金莹粮油有限公司 一种可防止结块的高效谷物研磨装置
CN114534841B (zh) * 2022-02-09 2023-03-31 无锡锡麦粮油装备工程有限公司 通过直驱电机进行驱动的磨粉机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0900221A (en) * 1909-01-05 1909-10-14 Simon Ltd Henry Improvements in and connected with Flour Milling.
GB191500221A (en) 1915-01-06 1915-12-02 Hilda Beatrice Hewlett New or Improved Method of and Means for Star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DE1036019B (de) * 1955-12-13 1958-08-07 Vinzenz Gropper Jun Vorrichtung zum Ausmahlen, Aufloesen und Sichten von vorzerkleinerten Getreideprodukten
GB1036019A (en) * 1962-12-31 1966-07-13 Radiant Mfg Corp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rojection screens
IT1007568B (it) * 1973-01-24 1976-10-30 Buehler Ag Geb Telaio per rulli con un dispositivo di alimentazione e con un condotto di immissione pneumatico
ZA792523B (en) 1978-06-27 1981-04-29 Gen Electric Curable compositions and process
JPS6119442U (ja) * 1984-07-10 1986-02-04 明治機械株式会社 製粉装置
DE3506775A1 (de) * 1985-02-26 1986-08-28 Palyi, Maria, Toronto, Ontario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getreide und dergleichen
ES2012555A6 (es) * 1987-10-06 1990-04-01 Buehler Ag Geb Procedimiento, molino de cilindros e instalacion para la fabricacion de productos de molienda de cereales.
DE4010405A1 (de) 1990-03-31 1991-10-02 Buehler Ag Speisevorrichtung fuer ein mahlwalzwerk
JP2001009313A (ja) * 1999-06-30 2001-01-16 Inax Corp 生ごみの粉砕装置
JP2001232226A (ja) * 2000-02-22 2001-08-2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竪型ミル及び回転式分級機
JP4552170B2 (ja) * 2000-12-15 2010-09-29 株式会社サタケ 製粉用ロール機
CN2548699Y (zh) * 2002-05-14 2003-05-07 李德臣 带有提芯罗的双提粉磨粉机
JP2007209929A (ja) * 2006-02-10 2007-08-23 Max Co Ltd 厨芥物処理装置
RU2371262C1 (ru) * 2008-01-28 2009-10-27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чреждение Зональ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сельского хозяйства Северо-Востока им. Н.В. Рудницкого Способ для фракционирования и последующего плющения зерн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667739C1 (ru) 2018-09-24
CN107787250A (zh) 2018-03-09
BR112017017833A2 (pt) 2018-04-10
BR112017017833B1 (pt) 2021-07-06
CN107787250B (zh) 2021-01-26
US10946385B2 (en) 2021-03-16
EP3261765B1 (de) 2019-05-08
US20180021786A1 (en) 2018-01-25
EP3261765A1 (de) 2018-01-03
JP2018506428A (ja) 2018-03-08
WO2016135025A1 (de) 2016-09-01
JP2020040067A (ja) 2020-03-19
KR102062967B1 (ko) 2020-01-06
JP6938600B2 (ja) 2021-09-22
ES2732043T3 (es) 2019-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18850A (ko) 롤러 밀, 흡인 조립체, 및 롤러 밀의 개장 방법
US10343188B2 (en) Method for separating a granular mixture in a flowing medium and device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EP3388745B1 (en) Ash discharge system
KR101319770B1 (ko) 빌트인형 공기조화장치
US11103820B2 (en) Dry filter with enhanced separation output and convenient dimensions
US3866842A (en) Grinding mill
KR20230133828A (ko) 콤바인
US20170119000A1 (en) Device for Stunning Poultry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Stunning Device
CA22744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tention of a refrigeration fluid in a refrigeration enclosure
KR101731608B1 (ko) 현미 및 왕겨 선별장치
KR20160148175A (ko) 농산물 선별기
RU2643727C1 (ru) Зерноочистительная машина
US2129451A (en) Feeder
US1699849A (en) Pulverizing device and method
FI126414B (fi) Kaavinventilaattoripalkki kuiturainakoneen kuivatusosan kaavinta varten ja asennussarja kaavinventilaattorin muodostamiseksi kuiturainakoneen kuivatusosan kaavinpalkista
US2240779A (en) Grain separator
JP2001154677A (ja) たばこ加工産業における流動するプロセス空気の作用を受ける製造機械の騒音レベルを低下させるための装置
US2862306A (en) Screen for textile dryers
JP6791049B2 (ja) 車両用空調装置
US20220047974A1 (en) Apparatus for reducing pressure fluctuation
CN106975608B (zh) 粮食自动处理机
CN1590249B (zh) 分配器装置中用于筛分产品流的筛选器
SU97810A1 (ru) Машина дл рассортировки крупок мукомольно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US264023A (en) Derhoof
JP7433272B2 (ja) 送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