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8805A - 원편광판, 및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원편광판, 및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8805A
KR20170118805A KR1020177026066A KR20177026066A KR20170118805A KR 20170118805 A KR20170118805 A KR 20170118805A KR 1020177026066 A KR1020177026066 A KR 1020177026066A KR 20177026066 A KR20177026066 A KR 20177026066A KR 20170118805 A KR20170118805 A KR 20170118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display device
plate
polarizer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6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2200B1 (ko
Inventor
아키라 마루야마
유타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18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01L27/32
    • H01L51/50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dielectric or reflective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사율 및 반사 색조가 저감된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고, 내굴곡성이 우수한 원편광판, 및 원편광판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원편광판은,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원편광판으로서, 편광자와, 편광자의 한쪽의 측에 배치된 위상차 필름을 구비하고, 위상차 필름이 λ/2판 및 λ/4판을 포함하며, λ/2판 및 λ/4판이 각각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고,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이 표시 장치의 굴곡 방향에 대하여 75~105도의 각도를 규정하도록 조정되어 있다.

Description

원편광판, 및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
본 발명은 원편광판, 및 원편광판을 포함하는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외광 반사에 의한 악영향을 억제하기 위하여, 원편광판이 표시 장치에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EL) 소자로 대표되는 화상 표시 소자의 플렉시블화(굴곡 가능화)에 대한 요망이 강해지고 있다. 또한, 단순한 플렉시블화가 아닌, 매우 작은 곡률 반경으로의 플렉시블화의 실현이 요망되게 되었다.
그러나, 유기 EL 표시 장치를 매우 작은 곡률 반경으로 굴곡시키면, 원편광판 중의 위상차 필름에 큰 힘(일부에는 인장력, 일부에는 압축력)이 가해져, 그 부분의 위상차가 변화한다.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소정의 광학 특성을 나타내는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고,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이 표시 장치의 굴곡 방향에 대하여 20~70도의 각도를 규정하도록 조정되어 있는 원편광판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소정의 광학 특성을 나타내는 위상차 필름으로서, 퓨어 에이스 WR(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필름) 등의 수지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170221호
한편, 최근 표시 장치의 시인성에 관하여 보다 더 향상이 요구되고 있어,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를 굴곡시켰을 때의 굴곡부에 있어서의 반사율 및 반사 색조에 관하여 보다 더 저감이 요구되고 있다.
또,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에 적용되는 원편광판은 표시 장치의 굴곡부에 추종할 필요가 있고, 원편광판이 굴곡했을 때에 크랙이 발생하기 어려운 것, 즉 내굴곡성이 우수한 것도 요구되고 있다. 특히, 곡률 반경이 작은 봉에 원편광판을 감은 경우에 있어서도, 우수한 내굴곡성을 구비하는(크랙이 발생하기 어려운)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들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원편광판의 특성에 대하여 검토를 행한바, 상기 요망을 모두 동시에는 만족하지 못하여, 추가적인 개량이 필요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반사율 및 반사 색조가 저감된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고, 내굴곡성이 우수한 원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원편광판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에 대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을 이용함과 함께,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과 표시 장치의 굴곡 방향을 소정의 각도가 되도록 조정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즉, 이하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1)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원편광판으로서,
편광자와, 편광자의 한쪽의 측에 배치된 위상차 필름을 구비하고,
위상차 필름이 λ/2판 및 λ/4판을 포함하며,
λ/2판 및 λ/4판이 각각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고,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이 표시 장치의 굴곡 방향에 대하여 75~105도의 각도를 규정하도록 조정되어 있는, 원편광판.
(2)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이 표시 장치의 굴곡 방향에 대하여 80~100도의 각도를 규정하도록 조정되어 있는 (1)에 기재된 원편광판.
(3) 위상차 필름이, 파장 550nm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이 -150~-50nm인 포지티브 C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원편광판.
(4) 표시 장치가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표시 장치인,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원편광판.
(5)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원편광판을 포함하는,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
본 발명에 의하면, 반사율 및 반사 색조가 저감된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고, 내굴곡성이 우수한 원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원편광판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편광판의 일 실시양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일 실시양태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굴곡 형태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굴곡 형태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굴곡 형태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굴곡 형태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일 실시양태의 개략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 있어서 제작한 표시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45도 반사율 및 반사 색조의 평가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재하는 구성 요건의 설명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양태에 근거하여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시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를 이용하여 나타나는 수치 범위는 "~"의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하한값 및 상한값으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의미한다.
또, 각도에 대하여 "직교" 및 "평행"이란, 엄밀한 각도 ±10도의 범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하고, 또 각도에 대하여 "동일" 및 "다르다"는, 그 차가 5도 미만인지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는, "가시광"이란, 380~780nm를 말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는, 측정 파장에 대하여 특별히 부기가 없는 경우는, 측정 파장은 550nm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지상축 방향"이란, 면내에 있어서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이라고 하는 경우는, 위상차 필름 전체의 지상축을 의도한다.
"원편광판"이란,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장척의 원편광판, 및 표시 장치에 도입되는 크기로 재단된 원편광판의 양자를 포함하는 의미로 이용하고 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재단"에는 "펀칭" 및 "절단" 등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경사각"(틸트각이라고도 칭함)이란, 경사진 액정 화합물이 층 평면을 이루는 각도를 의미하고, 액정 화합물의 굴절률 타원체에 있어서 최대의 굴절률의 방향이 층 평면을 이루는 각도 중, 최대의 각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정(正)의 광학적 이방성을 갖는 봉상 액정 화합물에서는, 틸트각은 봉상 액정 화합물의 장축 방향 즉 디렉터 방향과 층 평면이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평균 틸트각"이란, 위상차 필름의 상계면(上界面)에서의 틸트각부터 하계면(下界面)까지의 틸트각의 평균값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Re(λ) 및 Rth(λ)는 각각, 파장 λ에 있어서의 면내의 리타데이션 및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을 나타낸다. Re(λ)는 KOBRA 21ADH 또는 WR(상품명, 오지 게이소쿠 기키(주)제)에 있어서 파장 λnm의 광을 필름 법선 방향으로 입사시켜 측정된다.
측정되는 필름이 1축 또는 2축의 굴절률 타원체로 나타나는 것인 경우에는, 이하의 방법에 의하여 Rth(λ)는 산출된다.
Rth(λ)는, Re(λ)를, 면내의 지상축(KOBRA 21ADH 또는 WR에 의하여 판단됨)을 경사축(회전축)으로 하여(지상축이 없는 경우에는 필름 면내의 임의의 방향을 회전축으로 함) 필름 법선 방향에 대하여 법선 방향으로부터 편측 50도까지 10도 스텝으로 각각 그 경사진 방향으로부터 파장 λnm의 광을 입사시켜 전부 6점 측정하고, 그 측정된 리타데이션값과 평균 굴절률의 가정값 및 입력된 막두껫값을 바탕으로 KOBRA 21ADH 또는 WR에 의하여 산출된다.
상기에 있어서, 법선 방향으로부터 면내의 지상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어떤 경사 각도에 리타데이션의 값이 제로가 되는 방향을 갖는 필름의 경우에는, 그 경사 각도보다 큰 경사 각도에서의 리타데이션값은 그 부호를 부(負)로 변경한 후, KOBRA 21ADH 또는 WR에 의하여 산출된다.
또한, 지상축을 경사축(회전축)으로 하여(지상축이 없는 경우에는 필름 면내의 임의의 방향을 회전축으로 함), 임의의 경사진 2방향으로부터 리타데이션값을 측정하고, 그 값과 평균 굴절률의 가정값 및 입력된 막두껫값을 바탕으로, 이하의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 의하여 Rth를 산출할 수도 있다.
[수학식 1]
Figure pct00001
식 중, Re(θ)는 법선 방향으로부터 각도 θ 경사진 방향에 있어서의 리타데이션값을 나타낸다. nx는 면내에 있어서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ny는 면내에 있어서 nx에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내며, nz는 nx 및 ny에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d는 필름의 막두께를 나타낸다.
측정되는 필름이 1축이나 2축의 굴절률 타원체로 표현할 수 없는 것, 이른바 광학축(OPTIC AXIS)이 없는 필름인 경우에는, 이하의 방법에 의하여 Rth(λ)가 산출된다.
Rth(λ)는, Re(λ)를, 면내의 지상축(KOBRA 21ADH 또는 WR에 의하여 판단됨)을 경사축(회전축)으로 하여 필름 법선 방향에 대하여 -50도부터 +50도까지 10도 스텝으로 각각 그 경사진 방향으로부터 파장 λnm의 광을 입사시켜 11점 측정하고, 그 측정된 리타데이션값과 평균 굴절률의 가정값 및 입력된 막두껫값을 바탕으로 KOBRA 21ADH 또는 WR에 의하여 산출된다.
상기의 측정에 있어서, 평균 굴절률의 가정값은, 폴리머 핸드북(JOHN WILEY&SONS, INC), 각종 광학 필름의 카탈로그의 값을 사용할 수 있다. 평균 굴절률의 값이 이미 알려지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아베 굴절계로 측정할 수 있다. 주된 광학 필름의 평균 굴절률의 값을 이하에 예시한다: 셀룰로스아실레이트(1.48), 사이클로올레핀 폴리머(1.52), 폴리카보네이트(1.59),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1.49), 폴리스타이렌(1.59)이다. 이들 평균 굴절률의 가정값과 막두께를 입력함으로써, KOBRA 21ADH 또는 WR에 있어서 nx, ny, nz가 산출된다. 이 산출된 nx, ny, nz에 의하여 Nz=(nx-nz)/(nx-ny)가 또한 산출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C 플레이트는 이하와 같이 정의한다.
C 플레이트는, 포지티브 C 플레이트(정의 C 플레이트)와 네거티브 C 플레이트(부의 C 플레이트)의 2종이 있고, 포지티브 C 플레이트는 식 (C1)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이며, 네거티브 C 플레이트는 식 (C2)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이다. 또한, 포지티브 C 플레이트는 Rth가 부의 값을 나타내고, 네거티브 C 플레이트는 Rth가 정의 값을 나타낸다.
식 (C1) nz>nx≒ny
식 (C2) nz<nx≒ny
또한, 상기 "≒"이란, 양자가 완전하게 동일한 경우뿐만 아니라, 양자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도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동일"이란, 예를 들면 (nx-ny)×d(단, d는 필름의 두께임)가 0~10nm, 바람직하게는 0~5nm인 경우도 "nx≒ny"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특징점으로서는,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λ/2판 및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λ/4판을 갖는 위상차 필름을 이용하여,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과 표시 장치의 굴곡 방향을 제어하고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필름으로 대표되는 수지 필름이 사용되고 있고,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과 표시 장치의 굴곡 방향은 소정의 각도(20~7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고 기재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이 검토를 행한바, 상기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는,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과 표시 장치의 굴곡 방향의 관계는 상기 특허문헌 1과는 다른 범위에 있어서 보다 우수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 발견되었다. 그 상세한 이유는 불명확하지만, 위상차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의 차이, 또는 위상차 필름의 층 구성의 차이에서 유래하는 것이라고 추측된다.
또한,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을 구비하는 원편광판은, 내굴곡성(굴곡시켰을 때에도 크랙이 발생하기 어려운 성질)도 우수하다.
이하에, 본 발명의 원편광판의 일 실시양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본 발명의 원편광판의 일 실시양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도는 모식도이며, 각 층의 두께의 관계나 위치 관계 등은 반드시 실제의 것과는 일치하지 않는다. 이하의 도면도 마찬가지이다.
원편광판(10)은, 편광자(12)와, 편광자(12)의 한쪽의 면 상에 배치된 위상차 필름(14)을 포함하고, 위상차 필름(14)은, 편광자(12)측으로부터 λ/2판(16) 및 λ/4판(18)을 포함한다. 즉, 원편광판(10)은, 편광자(12)와, λ/2판(16)과, λ/4판(18) 순으로 포함한다. 위상차 필름(14)은, 전체로서, 이른바 λ/4판(각 파장의 광에 대하여, 그 1/4의 위상차값을 발현하는 위상차 필름)의 특성을 갖는다. 또, 원편광판(10)을, 표시 소자 상에 배치할 때에는, 편광자(12)가 시인측이 되도록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먼저, 원편광판에 포함되는 각 부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편광자>
편광자는, 광을 특정 직선 편광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는 부재(직선 편광자)이면 되고, 주로 흡수형 편광자를 이용할 수 있다.
흡수형 편광자로서는, 아이오딘계 편광자, 이색성 염료를 이용한 염료계 편광자, 및 폴리엔계 편광자 등이 이용된다. 아이오딘계 편광자 및 염료계 편광자에는, 도포형 편광자와 연신형 편광자가 있고, 모두 적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바이닐알코올에 아이오딘 또는 이색성 염료를 흡착시키고, 연신하여 제작되는 편광자가 바람직하다.
또, 기재 상에 폴리바이닐알코올층을 형성한 적층 필름의 상태에서 연신 및 염색을 실시함으로써 편광자를 얻는 방법으로서, 일본 특허공보 제5048120호, 일본 특허공보 제5143918호, 일본 특허공보 제5048120호, 일본 특허공보 제4691205호, 일본 특허공보 제4751481호, 및 일본 특허공보 제4751486호를 들 수 있고, 이들 편광자에 관한 공지의 기술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취급성의 점에서, 폴리바이닐알코올계 수지(-CH2-CHOH-를 반복 단위로서 포함하는 폴리머, 특히 폴리바이닐알코올 및 에틸렌-바이닐알코올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바람직함)를 포함하는 편광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자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취급성이 우수함과 함께, 광학 특성도 우수한 점에서, 35μm 이하가 바람직하고, 3~25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라면, 표시 장치의 박형화에 대응 가능해진다.
<λ/2판>
λ/2판은, 위상차 필름 중에 포함되는 층이며, 이후 단락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편광자와 표시 소자의 사이에 위치하는 층이다.
λ/2판은, 특정 파장 λnm에 있어서의 면내 리타데이션 Re(λ)가 Re(λ)=λ/2를 충족시키는 광학 이방성층을 말한다. 이 식은, 가시광역의 어느 한 파장(예를 들면, 550nm)에 있어서 달성되고 있으면 된다. 그 중에서도, 파장 550nm에 있어서의 면내 리타데이션 Re(550)가, 이하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210nm≤Re(550)≤300nm
그 중에서도, 220nm≤Re(550)≤290nm를 충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λ/2판의 지상축과 편광자의 투과축이 이루는 각도는, 15±10도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15±8도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5±5도의 범위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도란, 편광자 표면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시인했을 때의, λ/2판의 지상축과 편광자의 투과축이 이루는 각도를 의도한다.
파장 550nm에서 측정한 λ/2판의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값인 Rth(550)는,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우수한 점에서, -150~150nm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100n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λ/2판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박형화의 점에서, 0.5~10μm가 바람직하고, 0.5~5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두께는 평균 두께를 의도하고, λ/2판의 임의의 5점의 두께를 측정하여, 이들을 산술 평균한 것이다.
λ/2판은 액정 화합물을 포함한다.
액정 화합물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그 형상으로부터, 봉상 타입(봉상 액정 화합물)과 원반상 타입(원반상 액정 화합물, 디스코틱 액정 화합물)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각각 저분자 타입과 고분자 타입이 있다. 고분자란 일반적으로 중합도가 100 이상인 것을 가리킨다(고분자 물리·상전이 다이내믹스, 도이 마사오 저, 2페이지, 이와나미 쇼텐, 1992). 본 발명에서는, 어느 액정 화합물을 이용할 수도 있다. 2종 이상의 봉상 액정 화합물, 2종 이상의 원반상 액정 화합물, 또는 봉상 액정 화합물과 원반상 액정 화합물의 혼합물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봉상 액정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공표특허공보 평11-513019호의 청구항 1, 또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89980호의 단락 [0026]~[0098]에 기재된 것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고, 원반상 액정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08732호의 단락 [0020]~[0067], 또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244038호의 단락 [0013]~[0108]에 기재된 것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λ/2판은, 광학 특성의 온도 변화 및/또는 습도 변화를 작게 할 수 있는 점에서, 중합성기를 갖는 액정 화합물(봉상 액정 화합물 또는 원반상 액정 화합물)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액정 화합물은 2종류 이상의 혼합물이어도 되고, 그 경우 적어도 하나가 2 이상의 중합성기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λ/2판은, 중합성기를 갖는 봉상 액정 화합물 또는 중합성기를 갖는 원반상 액정 화합물이 중합에 의하여 고정되어 형성된 층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층이 된 후에는 더 이상 액정성을 나타낼 필요는 없다.
봉상 액정 화합물 또는 원반상 액정 화합물에 포함되는 중합성기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부가 중합 반응이 가능한 관능기가 바람직하며, 중합성 에틸렌성 불포화기 또는 환중합성기가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트)아크릴로일기, 바이닐기, 스타이릴기, 및 알릴기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고, (메트)아크릴로일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메트)아크릴로일기란, 메타아크릴로일기 및 아크릴로일기의 양자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λ/2판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의 기판(가기판을 포함함)에, 중합성기를 갖는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학 이방성층 형성용 조성물(이후, 간단히 "조성물"이라고도 칭함)을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얻어진 도막에 대하여 경화 처리(자외선의 조사(광조사 처리) 또는 가열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λ/2판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후술하는 배향층을 이용해도 된다.
상기 조성물의 도포로서는, 공지의 방법(예를 들면, 와이어 바 코팅법, 압출 코팅법, 다이렉트 그라비어 코팅법, 리버스 그라비어 코팅법, 및 다이 코팅법)에 의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는, 상술한 액정 화합물 이외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조성물에는 중합 개시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사용되는 중합 개시제는, 중합 반응의 형식에 따라 선택되고, 예를 들면 열중합 개시제 및 광중합 개시제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α-카보닐 화합물, 아실로인에터, α-탄화 수소 치환 방향족 아실로인 화합물, 다핵 퀴논 화합물, 및 트라이아릴이미다졸 다이머와 p-아미노페닐케톤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조성물의 전체 고형분에 대하여, 0.01~2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5~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조성물에는, 도공막의 균일성 및 막의 강도의 점에서, 중합성 모노머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라디칼 중합성 또는 양이온 중합성의 화합물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다관능성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이다. 또한,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상기의 중합성기 함유의 액정 화합물과 공중합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96423호 중의 단락 [0018]~[0020]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중합성 모노머의 사용량은, 액정 화합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1~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2~3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조성물에는, 도공막의 균일성 및 막의 강도의 점에서, 계면활성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종래 공지의 화합물을 들 수 있지만, 특히 불소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330725호 중의 단락 [0028]~[0056]에 기재된 화합물, 및 일본 특허출원 2003-295212호 중의 단락 [0069]~[0126]에 기재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 조성물에는 용매가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유기 용매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유기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아마이드(예,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설폭사이드(예, 다이메틸설폭사이드), 헤테로환 화합물(예, 피리딘), 탄화 수소(예, 벤젠, 헥세인), 알킬할라이드(예, 클로로폼, 다이클로로메테인), 에스터(예, 아세트산 메틸,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뷰틸), 케톤(예,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에터(예,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2-다이메톡시에테인)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알킬할라이드 및 케톤이 바람직하다. 2종류 이상의 유기 용매를 병용해도 된다.
또, 조성물에는, 편광자 계면측 수직 배향제 및 공기 계면측 수직 배향제 등 수직 배향 촉진제와, 편광자 계면측 수평 배향제 및 공기 계면측 수평 배향제 등 수평 배향 촉진제 등의 각종 배향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이외에, 밀착 개량제, 가소제, 또는 폴리머 등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λ/4판(λ/4 파장판)>
λ/4판은 위상차 필름 중에 포함되는 층이며, 편광자와 표시 소자의 사이에 위치하는 층이다.
λ/4판(λ/4 기능을 갖는 판)이란, 어느 특정 파장의 직선 편광을 원편광으로(또는 원편광을 직선 편광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는 판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파장 λnm에 있어서의 면내 리타데이션값이 Re(λ)=λ/4(또는, 이 홀수 배)를 나타내는 판이다. 이 식은, 가시광역의 어느 한 파장(예를 들면, 550nm)에 있어서 달성되어 있으면 되지만, 파장 550nm에 있어서의 면내 리타데이션 Re(550)가, 이하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100nm≤Re(550)≤160nm
그 중에서도, 110nm≤Re(550)≤150nm를 충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λ/4판의 지상축과 λ/2판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 θ는, 60±10도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60±8도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60±5도의 범위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도란, 편광자 표면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시인했을 때의, λ/4판의 지상축과 λ/2판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를 의도한다.
파장 550nm에서 측정한 λ/4판의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값인 Rth(550)는,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우수한 점에서, -120~120nm인 것이 바람직하고, -80~80n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λ/4판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박형화의 점에서, 0.5~10μm가 바람직하고, 0.5~5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두께는 평균 두께를 의도하고, λ/4판의 임의의 5점의 두께를 측정하여, 이들을 산술 평균한 것이다.
λ/4판은 액정 화합물을 포함한다. 액정 화합물의 정의는 상술한 바와 같다. 그 중에서도, λ/4판은 중합성기를 갖는 액정 화합물(봉상 액정 화합물 또는 원반상 액정 화합물)이 중합 등에 의하여 고정되어 형성된 층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층이 된 후에는 더 이상 액정성을 나타낼 필요는 없다.
<그 외의 층>
상기 원편광판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편광자 및 위상차 필름 이외의 다른 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 위상차 필름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λ/2판 및 λ/4판 이외의 다른 층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이하에 임의의 층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포지티브 C 플레이트(광학 이방성층 C라고도 칭함))
위상차 필름(또는, 원편광판)은, 파장 550nm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Rth(550))이 -150~-50nm인 포지티브 C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포지티브 C 플레이트를 포함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반사율 및 반사 색조를 보다 억제할 수 있다.
포지티브 C 플레이트의 파장 550nm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Rth(550))은 -150~-50nm이며, -130~-70nm가 바람직하고, -120~-80nm가 보다 바람직하다.
포지티브 C 플레이트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박형화의 점에서, 0.5~10μm가 바람직하고, 0.5~5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두께는 평균 두께를 의도하고, 포지티브 C 플레이트의 임의의 5점의 두께를 측정하여, 이들을 산술 평균한 것이다.
포지티브 C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 화합물의 정의는 상술한 바와 같다. 그 중에서도, 포지티브 C 플레이트는, 중합성기를 갖는 액정 화합물(봉상 액정 화합물 또는 원반상 액정 화합물)이 중합 등에 의하여 고정되어 형성된 층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층이 된 후에는 더 이상 액정성을 나타낼 필요는 없다.
(배향층)
위상차 필름에는, 액정 화합물의 배향 방향을 규정하는 기능을 갖는 배향막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배향막은 일반적으로는 폴리머를 주성분으로 한다. 배향막용 폴리머 재료로서는, 다수의 문헌에 기재가 있고, 다수의 시판품을 입수할 수 있다. 이용되는 폴리머 재료는, 폴리바이닐알코올 또는 폴리이미드, 및 그 유도체가 바람직하다. 특히, 변성 또는 미변성의 폴리바이닐알코올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배향막에 대해서는, WO01/88574A1호의 43페이지 24행~49페이지 8행, 및 일본 특허공보 제3907735호의 단락 [0071]~[0095]에 기재된 변성 폴리바이닐알코올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배향막에는, 통상 공지의 러빙 처리가 실시된다. 즉, 배향막은, 통상 러빙 처리된 러빙 배향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배향막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20μm 이하인 경우가 많고, 그 중에서도, 0.01~10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5μ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1~1μm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편광자 보호 필름)
편광자의 표면 상에는, 편광자 보호 필름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편광자 보호 필름은, 편광자의 편면 상(위상차 필름측과는 반대측의 표면 상)에만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편광자의 양면 상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편광자 보호 필름의 구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이른바 투명 지지체 또는 하드 코트층이어도 되며, 투명 지지체와 하드 코트층의 적층체여도 된다.
하드 코트층으로서는, 공지의 층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다관능 모노머를 중합 경화하여 얻어지는 층이어도 된다.
또, 투명 지지체로서는, 공지의 투명 지지체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투명 지지체를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트라이아세틸셀룰로스로 대표되는 셀룰로스계 폴리머(이하, 셀룰로스아실레이트라고 함), 열가소성 노보넨계 수지(닛폰 제온(주)제의 제오넥스, 제오노아, JSR(주)제의 아톤 등), 아크릴계 수지, 및 폴리에스터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편광자 보호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편광판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등의 이유에서 40μm 이하가 바람직하고, 25μ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각 층 사이의 밀착성 담보를 위하여, 각 층 사이에 점착층 또는 접착층을 배치해도 된다. 또한, 각 층 사이에 투명 지지체를 배치해도 된다.
<원편광판>
본 발명의 원편광판은, 상술한 편광자 및 위상차 필름을 갖는다.
원편광판의 두께(전체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박형화의 점에서는 200μm 이하가 바람직하고, 150μ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120μm가 더 바람직하다.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20μm 이상인 경우가 많다.
원편광판의 두께는, 접촉식 막두께 측정계(안리쓰제)를 이용하여 측정을 행하고, 두께를 등간격으로 5점 측정한 값의 평균값을 이용했다.
원편광판 중의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은, 이후 단락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의 굴곡 방향과 소정의 각도 관계를 충족시킨다.
또한,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이란, 위상차 필름 전체의 지상축을 의도하고, 예를 들면 위상차 필름이 λ/2판 및 λ/4판의 2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이 층의 적층체의 지상축을 의도한다.
위상차 필름에 λ/2판 및 λ/4판 이외의 다른 층(예를 들면, 포지티브 C 플레이트, 배향막) 등이 포함되는 경우는, 이들을 포함한 위상차 필름 전체의 지상축을 의도한다.
<표시 장치>
본 발명의 원편광판은,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에 이용된다.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의 구체예로서는, 유기 EL 표시 장치, 원편광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대표적으로는 VA(Virtical Alignment)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 및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디스플레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원편광판이 특히 적합하게 이용되는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는, 유기 EL 표시 장치이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적합 양태의 하나로서는, 유기 EL 표시 장치를 들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일 실시양태의 단면도이며, 구체적으로는, 유기 EL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유기 EL 표시 장치(100)는, 유기 EL 소자(20)와, 유기 EL 소자(20)의 시인측에 배치된 원편광판(10)을 구비한다. 원편광판은,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원편광판이다. 원편광판은, 위상차 필름(14)이 유기 EL 소자측이 되도록(편광자(12)가 시인측이 되도록) 적층되어 있다.
이 양태의 경우, 외광은 편광자에 의하여 직선 편광이 되고, 다음으로 위상차 필름을 통과함으로써, 원편광이 된다. 이것이 유기 EL 소자의 금속 전극 등에서 반사되었을 때에 원편광 상태가 반전하고, 다시 위상차 필름을 통과했을 때에, 입사 시로부터 90도 경사진 직선 편광이 되어, 편광자에 도달하여 흡수된다. 결과적으로, 외광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원편광판의 제조 시에는, 예를 들면 편광자와 위상차 필름이, 각각 장척의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적층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척의 원편광판은, 이용되는 화상 표시 장치의 화면의 크기에 맞추어 재단된다.
또, 굴곡 가능한 유기 EL 표시 장치의 상세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보 제4601463호 또는 일본 특허공보 제4707996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기재는, 참고로서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유기 EL 소자를 사용한 양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그 양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표시 소자(예를 들면, 유기 EL 소자, 액정 표시 소자)와, 표시 소자의 시인측에 배치된 원편광판을 구비하는 양태이면 된다. 또, 이후 단락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표시 장치(표시 소자)의 굴곡 방향에 대하여, 원편광판 중의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은 소정의 각도의 관계를 충족시킨다.
또, 후술하는 도 3a~도 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표시 장치로서는, 굴곡된 상태의 표시 장치(굴곡이 고정된 표시 장치)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한쪽 방향으로)굴곡된 표시 소자(예를 들면, 유기 EL 소자, 액정 표시 소자)와 표시 소자의 시인측에 배치된 원편광판을 구비하고, 표시 장치(표시 소자)의 굴곡 방향에 대하여, 원편광판 중의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이 후술하는 소정의 관계를 충족시키고 있으면 된다.
표시 장치의 적어도 일부는, 곡률 반경(굴곡 반경)이 바람직하게는 10mm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mm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4mm 이하로 굴곡된다. 이와 같은 매우 작은 곡률 반경으로 굴곡된 상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반사율 및 반사 색조를 저감시키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장치는 임의의 적절한 부분에서 굴곡된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는, 접이식의 표시 장치와 같이 중앙부에서 굴곡되어 있어도 되고(예를 들면, 도 3a 및 도 3b), 디자인성과 표시 화면을 최대한으로 확보하는 관점에서 단부에서 굴곡되어 있어도 된다(예를 들면, 도 3c 및 도 3d). 또한 도 3a~도 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굴곡되어 있어도 되고, 그 측면 방향을 따라 굴곡되어 있어도 된다. 용도에 따라 표시 장치의 특정 부분이(예를 들면, 네 모서리의 일부 또는 전부가 경사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으면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굴곡 방향은, 도 3a~도 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가 굴곡되어 있는 방향을 나타낸다. 굴곡 방향에 관하여, 도 4를 이용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200)는, 평면부(22)와, 평면부(22)와 직선형의 굴곡 개시선(L)(경계선)을 통하여(사이에 두고) 이어지는 굴곡부(24)를 적어도 갖는다. 도 4에 있어서는 굴곡 방향이란, 표시 장치(200)를 평면부(22)의 법선 방향(도 4 중의 z 방향)으로부터 관찰했을 때에, 직선형의 굴곡 개시선(L)과 직교하는 방향(도 4 중의 y 방향)에 해당한다고도 할 수 있다. 즉, 평면부와 직선형의 굴곡 개시선(경계선)을 통하여(사이에 두고) 이어지는 굴곡부를 적어도 갖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굴곡 개시선과 직교하는 방향이 굴곡 방향에 해당한다.
또한, 직선형의 굴곡 개시선(L)은, 평면부(22)의 단부에 위치하고, 굴곡이 시작되는 위치를 나타낸다.
도 3a~도 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은, 표시 장치의 굴곡 방향에 대하여 각도(α)를 규정하도록 조정되어 있다. 따라서, 표시 소자의 굴곡 방향에 대하여 원편광판 중의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이 상기 각도(α)가 되도록, 표시 장치 중에 있어서 원편광판은 표시 소자 상에 배치된다.
각도(α)는 75~105도이며, 바람직하게는 80~100도이다. 각도(α)가 이와 같은 범위가 되도록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을 조정함으로써, 굴곡에 의한 색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각도(α)는, 표시 장치를 편광자측으로부터 위상차 필름측을 향하여 관찰할 때에, 굴곡 방향을 기준(0도)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을 정의 각도로 나타낸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와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의 특징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 나타내는 재료, 사용량, 비율, 처리 내용, 처리 순서 등은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에 나타내는 구체예에 의하여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1) 광학 이방성층 A의 제작
(셀룰로스에스터 용액 A-1의 조제)
하기의 조성물을 믹싱 탱크에 투입하고, 가열하면서 조성물을 교반하여, 각 성분을 용해시켜, 셀룰로스에스터 용액 A-1을 조제했다.
셀룰로스에스터 용액 A-1의 조성
-----------------------------------------------------------------------
·셀룰로스아세테이트(아세틸화도 2.86) 100질량부
·메틸렌클로라이드(제1 용매) 320질량부
·메탄올(제2 용매) 83질량부
·1-뷰탄올(제3 용매) 3질량부
·트라이페닐포스페이트 7.6질량부
·바이페닐다이페닐포스페이트 3.8질량부
-----------------------------------------------------------------------
(매트제 분산액 B-1의 조제)
하기의 조성물을 분산기에 투입하고, 교반하여 각 성분을 용해시켜, 매트제 분산액 B-1을 조제했다.
매트제 분산액 B-1의 조성
-----------------------------------------------------------------------
·실리카 입자 분산액(평균 입경 16nm)
"AEROSIL R972", 닛폰 에어로질(주)제 10.0질량부
·메틸렌클로라이드 72.8질량부
·메탄올 3.9질량부
·뷰탄올 0.5질량부
·셀룰로스에스터 용액 A-1 10.3질량부
-----------------------------------------------------------------------
(자외선 흡수제 용액 C-1의 조제)
하기의 조성물을 다른 믹싱 탱크에 투입하고, 가열하면서 조성물을 교반하여, 각 성분을 용해시켜, 자외선 흡수제 용액 C-1을 조제했다.
자외선 흡수제 용액 C-1의 조성
-----------------------------------------------------------------------
·자외선 흡수제(하기 UV-1) 10.0질량부
·자외선 흡수제(하기 UV-2) 10.0질량부
·메틸렌클로라이드 55.7질량부
·메탄올 10질량부
·뷰탄올 1.3질량부
·셀룰로스에스터 용액 A-1 12.9질량부
-----------------------------------------------------------------------
[화학식 1]
Figure pct00002
(셀룰로스에스터 필름의 제작)
셀룰로스에스터 용액 A-1을 94.6질량부, 및 매트제 분산액 B-1을 1.3질량부 혼합하여 얻어지는 혼합물에, 셀룰로스아실레이트 100질량부당, 자외선 흡수제(UV-1) 및 자외선 흡수제(UV-2)가 각각 1.0질량부가 되도록, 자외선 흡수제 용액 C-1을 첨가했다. 그 후, 가열하면서 충분히 혼합물을 교반하여, 각 성분을 용해시켜, 도프를 조제했다. 얻어진 도프를 30℃로 가온하고, 유연 다이를 통과시켜, 직경 3m의 드럼인 경면(鏡面) 스테인리스 지지체 상에 가열된 도프를 유연했다. 경면 스테인리스 지지체의 표면 온도는 -5℃로 설정하고, 도포 폭은 1470mm로 했다. 도프의 유연에 의하여 형성된 필름(도프막)을 드럼 상에서 34℃의 건조풍을 150m3/분으로 분사함으로써 건조시키고, 필름 중의 잔류 용제가 150%인 상태에서, 필름을 드럼으로부터 박리시켰다. 필름의 박리 시에, 필름의 반송 방향(길이 방향)을 따라, 필름의 15%의 연신을 행했다. 그 후, 필름의 폭 방향(유연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양 단을 핀 텐터(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1009호의 도 3에 기재된 핀 텐터)로 파지하면서 반송하고, 필름의 폭 방향으로는 연신 처리를 행하지 않았다. 또한, 얻어진 필름을 열처리 장치의 롤 사이에 반송함으로써 더 건조시켜,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 (T1)을 제조했다. 제작한 장척형의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 (T1)의 잔류 용제량은 0.2%이고, 두께는 40μm이며, 550nm에 있어서의 Re와 Rth는 각각 0.8nm, 40nm였다.
(알칼리 비누화 처리)
상술한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 (T1)을, 온도 60℃의 유전식(誘電式) 가열 롤을 통과시켜,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 표면 온도를 40℃로 승온시켰다. 그 후,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의 밴드면에 하기에 나타내는 조성의 알칼리 용액을, 바 코터를 이용하여 도포량 14ml/m2로 도포했다. 다음으로, 110℃로 가열한 (주)노리타케 컴퍼니 리미티드제의 스팀식 원적외 히터 아래에, 알칼리 용액을 도포한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을 10초간 반송했다. 계속해서, 동일한 바 코터를 이용하여, 얻어진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 상에 순수를 3ml/m2로 도포했다. 이어서, 얻어진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에 대하여, 파운틴 코터에 의한 수세와 에어 나이프에 의한 탈수를 3회 반복했다. 그 후에, 얻어진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을 70℃의 건조 존에 10초간 반송하여 건조시켜, 알칼리 비누화 처리한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을 제작했다.
알칼리 용액 조성
-----------------------------------------------------------------------
·수산화 칼륨 4.7질량부
·물 15.8질량부
·아이소프로판올 63.7질량부
·계면활성제 SF-1: C14H29O(CH2CH2O)20H 1.0질량부
·프로필렌글라이콜 14.8질량부
-----------------------------------------------------------------------
(배향막의 형성)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 (T1)의 알칼리 비누화 처리를 행한 면에, 하기 조성의 배향막 도포액 (A)을 #14의 와이어 바로 연속적으로 도포했다. 그 후, 배향막 도포액 (A)가 도포된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을 60℃의 온풍으로 60초, 추가로 100℃의 온풍으로 120초 건조시켜, 배향막을 형성했다.
배향막 도포액 (A)의 조성
-----------------------------------------------------------------------
·하기의 변성 폴리바이닐알코올 10질량부
·물 308질량부
·메탄올 70질량부
·아이소프로판올 29질량부
·광중합 개시제(이르가큐어 2959, 치바·재팬제) 0.8질량부
-----------------------------------------------------------------------
[화학식 2]
Figure pct00003
(광학 이방성층 A의 형성)
상기에서 제작한 배향막에 연속적으로 러빙 처리를 실시했다. 이때, 장척형의 필름의 길이 방향과 반송 방향은 평행이며, 필름 길이 방향(반송 방향)과 러빙 롤러의 회전축이 이루는 각도를 75도로 했다(필름 길이 방향(반송 방향)을 90도로 하고, 배향막측으로부터 관찰하여 필름 폭 방향을 기준(0도)으로 반시계 방향을 정의 값으로 나타내면, 러빙 롤러의 회전축은 -15도에 있다. 바꾸어 말하면, 러빙 롤러의 회전축의 위치는, 필름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75도 회전시킨 위치이다.).
하기의 조성의 디스코틱 액정(DLC)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학 이방성층 도포액 (A)를, 상기 러빙 처리가 실시된 배향막 상에 #5.0의 와이어 바로 연속적으로 도포했다. 필름의 반송 속도(V)는 26m/min으로 했다. 도포액의 용매의 건조 및 디스코틱 액정 화합물의 배향 숙성을 위하여, 광학 이방성층 도포액 (A)가 도포된 필름을 115℃의 온풍으로 90초간, 계속해서, 80℃의 온풍으로 60초간 가열했다. 그 후, 얻어진 필름에 80℃에서 UV(자외선) 조사(노광량: 70mJ/cm2)를 행하여, 액정 화합물의 배향을 고정화했다. 광학 이방성층 A의 두께는 2.0μm였다. DLC 화합물의 원반면의 필름면에 대한 평균 경사각은 90도이며, DLC 화합물이 필름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향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또, 지상축의 각도는 러빙 롤러의 회전축과 평행이고, 필름 길이 방향을 90도(필름 폭 방향을 0도로 하고, 배향막측으로부터 관찰하여 필름 폭 방향을 기준(0도)으로 반시계 방향을 정의 값으로 나타냄)로 하면, -15도였다. 얻어진 광학 이방성층 A는 λ/2판에 해당하며, Re(550)는 235nm였다.
광학 이방성층 도포액 (A)의 조성
-----------------------------------------------------------------------
·하기의 디스코틱 액정 화합물 (A) 80질량부
·하기의 디스코틱 액정 화합물 (B) 20질량부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트라이아크릴레이트(V#360, 오사카 유키 가가쿠(주)제) 5질량부
·광중합 개시제(이르가큐어 907, 치바·재팬사제) 4질량부
·하기의 피리디늄염 (A) 2질량부
·하기의 폴리머 (A) 0.2질량부
·하기의 폴리머 (B) 0.1질량부
·하기의 폴리머 (C) 0.1질량부
·메틸에틸케톤 211질량부
-----------------------------------------------------------------------
[화학식 3]
Figure pct00004
(폴리머 A)
[화학식 4]
Figure pct00005
(폴리머 B)
[화학식 5]
Figure pct00006
상기 a는 90, b는 10을 나타낸다.
(폴리머 C)
Figure pct00007
(2) 광학 이방성층 B의 제작
(광학 이방성층 B의 형성)
상기(광학 이방성층 A의 제작)와 동일한 순서에 따라,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 (T1) 상에 배향막을 형성하여, 배향막에 연속적으로 러빙 처리를 실시했다. 이때, 장척형의 필름의 길이 방향과 반송 방향은 평행이며, 필름 길이 방향(반송 방향)과 러빙 롤러의 회전축이 이루는 각도를 105도로 했다(필름 길이 방향(반송 방향)을 90도로 하고, 배향막측으로부터 관찰하여 필름 폭 방향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을 정의 값으로 나타내면, 러빙 롤러의 회전축은 15도, 바꾸어 말하면, 러빙 롤러의 회전축의 위치는, 필름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105도 회전시킨 위치이다.).
하기의 조성의 디스코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학 이방성층 도포액 (B)를, 러빙 처리 후의 배향막 상에 #2.8의 와이어 바로 연속적으로 도포했다. 필름의 반송 속도(V)는 26m/min으로 했다. 도포액의 용매의 건조 및 디스코틱 액정 화합물의 배향 숙성을 위하여, 광학 이방성층 도포액 (B)가 도포된 필름을 60℃의 온풍으로 60초간 가열했다. 그 후, 얻어진 필름에 60℃에서 UV 조사를 행하여, 디스코틱 액정 화합물의 배향을 고정화했다. 광학 이방성층 B의 두께는 0.8μm였다. 디스코틱 액정 화합물의 장축의 필름면에 대한 평균 경사각은 90도이며, 디스코틱 액정 화합물이 필름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향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또, 지상축의 각도는 러빙 롤러의 회전축과 직교이고, 필름 길이 방향을 90도(필름 폭 방향을 0도로 하고, 배향막측으로부터 관찰하여 필름 폭 방향을 기준(0도)으로 반시계 방향을 정의 값으로 나타냄)로 하면, -75도였다. 얻어진 광학 이방성층 B는 λ/4판에 해당하며, Re(550)는 117.5nm였다.
광학 이방성층 도포액 (B)의 조성
-----------------------------------------------------------------------
·상기 디스코틱 액정 화합물 (A) 80질량부
·상기 디스코틱 액정 화합물 (B) 20질량부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트라이아크릴레이트(V#360, 오사카 유키 가가쿠(주)제) 10질량부
·광중합 개시제(이르가큐어 907, 치바·재팬사제) 5질량부
·하기의 피리디늄염 (A) 1질량부
·상기의 폴리머 (A) 0.2질량부
·상기의 폴리머 (B) 0.1질량부
·상기의 폴리머 (C) 0.1질량부
·메틸에틸케톤 348질량부
----------------------------------------------------------------------
(3) 포지티브 C 플레이트(광학 이방성층 C)의 제작
(박리성 지지체의 제작)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에 알칼리 비누화 처리하지 않고 이하와 같이 배향막을 제작하여, 박리성 지지체를 제작했다.
(배향막의 형성)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에, 하기 조성의 배향막 도포액 (B)를 #14의 와이어 바로 연속적으로 도포했다. 그 후, 배향막 도포액 (B)가 도포된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을 60℃의 온풍으로 60초, 추가로 100℃의 온풍으로 120초 건조시켜, 배향막을 형성했다.
배향막 도포액 (B)의 조성
-----------------------------------------------------------------------
하기 변성 폴리바이닐알코올-2 10질량부
물 371질량부
메탄올 119질량부
글루탈알데하이드(가교제) 0.5질량부
시트르산 에스터(산쿄 가가쿠(주)제 AS3) 0.175질량부
광중합 개시제(이르가큐어 2959, 치바·재팬제) 2.0질량부
-----------------------------------------------------------------------
[변성 폴리바이닐알코올-2]
[화학식 6]
Figure pct00008
하기의 조성의 봉상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학 이방성층 도포액 (C)를, 상기 제작한 배향막 상에 #5.0의 와이어 바로 연속적으로 도포했다. 필름의 반송 속도(V)는 26m/min으로 했다. 도포액의 용매의 건조 및 봉상 액정 화합물의 배향 숙성을 위하여, 광학 이방성층 도포액 (C)가 도포된 필름을 60℃의 온풍으로 60초간 가열했다. 그 후, 얻어진 필름을 60℃에서 UV 조사를 행하여, 봉상 액정 화합물의 배향을 고정화하여, 포지티브 C 플레이트를 제작했다.
또한, 포지티브 C 플레이트의 제작 시에는, 포지티브 C 플레이트의 두께를 변경하여, 3종의 포지티브 C 플레이트를 제작했다.
먼저, 제1 포지티브 C 플레이트의 두께는 0.5μm이며, Rth(550)는 -50nm였다.
제2 포지티브 C 플레이트의 두께는 1.0μm이며, Rth(550)는 -100nm였다.
제3 포지티브 C 플레이트의 두께는 2.0μm이며, Rth(550)는 -150nm였다.
광학 이방성층 도포액 (C)의 조성
-----------------------------------------------------------------------
봉상 액정 화합물-1 80질량부
봉상 액정 화합물-2 20질량부
광중합 개시제(이르가큐어 907, 치바·재팬사제) 3질량부
증감제(카야큐어 DETX, 닛폰 가야쿠(주)제) 1질량부
함불소 화합물 (FP-2) 0.3질량부
배향막 계면 배향제-1 0.55질량부
메틸에틸케톤 193질량부
-----------------------------------------------------------------------
[봉상 액정 화합물-1]
[화학식 7]
Figure pct00009
[봉상 액정 화합물-2]
[화학식 8]
Figure pct00010
[함불소 화합물 (FP-2)]
[화학식 9]
Figure pct00011
(4) 편광자의 제작
두께 80μm의 폴리바이닐알코올(PVA) 필름을, 아이오딘 농도 0.05질량%의 아이오딘 수용액 중에 30℃에서 60초 침지시켜 염색했다. 이어서, 염색한 PVA 필름을 붕산 농도 4질량% 농도의 붕산 수용액 중에 60초 침지하고 있는 동안에 원래 길이의 5배로 세로 연신한 후, 얻어진 필름을 50℃에서 4분간 건조시켜, 두께 20μm의 편광자를 얻었다.
시판 중인 셀룰로스아실레이트계 필름 "TD40UC"(후지필름사제)를 준비하고, 1.5몰/리터, 55℃의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중에 셀룰로스아실레이트계 필름을 침지시키고, 그 후, 셀룰로스아실레이트계 필름 상의 수산화 나트륨을 물로 충분히 씻어 냈다. 그 후, 얻어진 셀룰로스아실레이트계 필름을 0.005몰/리터, 35℃의 희황산 수용액에 1분간 침지시킨 후, 물에 침지시켜 희황산 수용액을 충분히 씻어 냈다. 그 후, 얻어진 셀룰로스아실레이트계 필름을 120℃에서 충분히 건조시켜, 편광자 보호 필름을 제작했다.
상기에서 제작한 편광자의 양면에, 상기에서 제작한 편광자 보호 필름을 폴리바이닐알코올계 접착제로 첩합하여, 편광자와, 편광자의 양면에 배치된 편광자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작했다.
<실시예 1>
상기 제작한 편광판 중의 편광자 보호 필름 상에, 점착제(SK-2057, 소켄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를 도포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했다. 다음으로, 점착제층이 배치된 편광판과, 상기 제작한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 배향막 및 광학 이방성층 A를 갖는 필름을, 점착제층과 광학 이방성층 A가 밀착하도록 첩합했다. 그 후, 얻어진 첩합물로부터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 및 배향막을 박리시켜, 적층체를 얻었다.
또한, 얻어진 적층체 중의 광학 이방성층 A 상에, 점착제(SK-2057, 소켄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를 도포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했다. 다음으로, 점착제층이 배치된 적층체와, 상기 제작한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 배향막 및 광학 이방성층 B를 갖는 필름을, 점착제층과 광학 이방성층 B가 밀착하도록 첩합했다. 그 후, 얻어진 첩합물로부터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 및 배향막을 박리시켰다.
상기 순서에 의하여, 편광자, 광학 이방성층 A(λ/2판), 및 광학 이방성층 B(λ/4판)가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는 원편광판 X를 제작했다. 또한, 편광자측으로부터 관찰하여, 편광자의 투과축을 기준(0도)으로 반시계 방향을 정의 값으로 나타내면, λ/2판의 지상축의 각도는 -15도이며, λ/4판의 지상축의 각도는 -75도였다.
즉, 광학 이방성층 A(λ/2판)의 지상축과 편광자의 투과축이 이루는 각도는 15도이며, 광학 이방성층 A(λ/2판)의 지상축과 광학 이방성층 B(λ/4판)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은 60도였다.
상기 제작한 원편광판을,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률 반경 d=7mm의 유기 EL 소자(20) 상에, 원편광판(10) 중의 편광자가 시인측, 광학 이방성층 B가 유기 EL 소자(20)측이 되도록 SK2057(소켄 가가쿠사제)을 통하여 첩합을 행하여, 표시 장치(300)를 제작했다.
또한, 상기에서 제작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이, 표시 장치의 굴곡 방향에 대하여 90도였다. 또한,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이란, 광학 이방성층 A 및 광학 이방성층 B를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 전체에서의 지상축을 의도한다.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은 KOBRA 21ADH로 측정했다.
<평가>
(45도 반사율 및 반사 색조의 평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에서 제작한 표시 장치(300)의 굴곡부(24)에 대하여, 45도 기울여 SR-3(톱콘제)(32)을 고정하여, 형광등(30) 하에서의 반사율, 및 색조(a*/b*)를 측정했다. 얻어진 색조(a*/b*)로부터 하기 식 (1)에 의하여 반사 색조(RC)를 정의했다.
RC={(a*)2+(b*)2}0.5…(식 1)
RC는 색좌표 공간에 있어서의 원점으로부터의 거리를 나타내고 있고, RC의 값이 작을수록, 반사광의 색조가 적어, 흑색 재현성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실용상, 반사율은 6.0% 이하가 바람직하고, 반사 색조는 9 이하가 바람직하다.
(내굴곡성의 평가)
JIS-K5600-5-1에 기재되어 있는 원통형 맨드릴 시험 Type2(금속제 원기둥에 샘플을 감는 시험)에 준하여, 원기둥 봉에 상기에서 제작한 원편광판 X를 감아, 크랙이 발생하지 않았던 원기둥 봉의 최소 직경(mm)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표시 장치의 굴곡 방향에 대한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을 90도에서 75도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에 따라, 표시 장치를 제작하여, 각종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표시 장치의 굴곡 방향에 대한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을 90도에서 85도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에 따라, 표시 장치를 제작하여, 각종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표시 장치의 굴곡 방향에 대한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을 90도에서 95도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에 따라, 표시 장치를 제작하여, 각종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표시 장치의 굴곡 방향에 대한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을 90도에서 105도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에 따라, 표시 장치를 제작하여, 각종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원편광판 X 대신에, 이하의 순서에 따라 제작한 원편광판 Y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에 따라, 표시 장치를 제작하여, 각종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원편광판 Y의 제작)
광학 이방성층 A의 지상축 방향을 -15도에서 15도가 되도록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로, 광학 이방성층 A1을 제작했다.
다음으로, 상기 제작한 편광판 중의 편광자 보호 필름 상에, 점착제(SK-2057, 소켄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를 도포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했다. 다음으로, 점착제층이 배치된 편광판과, 상기 제작한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 배향막 및 광학 이방성층 A1을 갖는 필름을, 점착제층과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이 밀착하도록 첩합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또한, 적층체 중의 광학 이방성층 A1 상에, 점착제(SK-2057, 소켄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를 도포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했다. 다음으로, 점착제층이 배치된 적층체와, 상기 제작한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 배향막 및 광학 이방성층 B를 갖는 필름을, 점착제층과 광학 이방성층 B가 밀착하도록 첩합했다. 그 후, 얻어진 첩합물로부터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 및 배향막을 박리시켰다.
상기 순서에 의하여, 편광자, 광학 이방성층 A1(λ/2판), 및 광학 이방성층 B(λ/4판)가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는 원편광판 Y를 제작했다. 또한, 원편광판 Y에는 편광자와 광학 이방성층 A1의 사이에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이 포함되어 있다. 또, 원편광판 Y에 있어서의, 편광자의 투과축과, 광학 이방성층 A1의 지상축과, 광학 이방성층 B의 지상축의 관계는, 원편광판 X와 동일했다.
<실시예 7>
원편광판 X 대신에, 이하의 순서에 따라 제작한 원편광판 Z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에 따라, 표시 장치를 제작하여, 각종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원편광판 Z의 제작)
광학 이방성층 A의 지상축 방향을 -15도에서 15도가 되도록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로, 광학 이방성층 A1을 제작했다.
또, 광학 이방성층 B의 지상축 방향을 -75도에서 75도가 되도록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로, 광학 이방성층 B1을 제작했다.
다음으로, 상기 제작한 편광판 중의 편광자 보호 필름 상에, 점착제(SK-2057, 소켄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를 도포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했다. 다음으로, 점착제층이 배치된 편광판과, 상기 제작한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 배향막 및 광학 이방성층 A1을 갖는 필름을, 점착제층과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이 밀착하도록 첩합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또한, 적층체 중의 광학 이방성층 A1 상에, 점착제(SK-2057, 소켄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를 도포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했다. 다음으로, 점착제층이 배치된 적층체와, 상기 제작한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 배향막 및 광학 이방성층 B1을 갖는 필름을, 점착제층과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이 밀착하도록 첩합했다.
상기 순서에 의하여, 편광자, 광학 이방성층 A1(λ/2판), 및 광학 이방성층 B1(λ/4판)가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는 원편광판 Z를 제작했다. 또한, 원편광판 Z에는, 편광자와 광학 이방성층 A1의 사이, 및 광학 이방성층 A1과 광학 이방성층 B1의 사이에,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이 포함되어 있다. 또, 원편광판 Z에 있어서의, 편광자의 투과축과, 광학 이방성층 A1의 지상축과, 광학 이방성층 B1의 지상축의 관계는, 원편광판 X와 동일했다.
<실시예 8>
원편광판 X 대신에, 이하의 순서에 따라 제작한 원편광판 V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에 따라, 표시 장치를 제작하여, 각종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원편광판 V의 제작)
원편광판 X 중의 광학 이방성층 B 상에, 점착제(SK-2057, 소켄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를 도포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했다. 다음으로, 점착제층이 배치된 편광판과, 상기 제작한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 및 제1 포지티브 C 플레이트를 갖는 필름을, 점착제층과 제1 포지티브 C 플레이트가 밀착하도록 첩합했다. 그 후, 얻어진 첩합물로부터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을 박리시켜, 원편광판 V를 제작했다.
<실시예 9>
원편광판 X 대신에, 이하의 순서에 따라 제작한 원편광판 W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에 따라, 표시 장치를 제작하여, 각종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원편광판 W의 제작)
원편광판 X 중의 광학 이방성층 B 상에, 점착제(SK-2057, 소켄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를 도포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했다. 다음으로, 점착제층이 배치된 편광판과, 상기 제작한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 및 제2 포지티브 C 플레이트를 갖는 필름을, 점착제층과 제2 포지티브 C 플레이트가 밀착하도록 첩합했다. 그 후, 얻어진 첩합물로부터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을 박리시켜, 원편광판 W를 제작했다.
<실시예 10>
원편광판 X 대신에, 이하의 순서에 따라 제작한 원편광판 P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에 따라, 표시 장치를 제작하여, 각종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원편광판 P의 제작)
원편광판 X 중의 광학 이방성층 B 상에, 점착제(SK-2057, 소켄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를 도포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했다. 다음으로, 점착제층이 배치된 편광판과, 상기 제작한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 및 제3 포지티브 C 플레이트를 갖는 필름을, 점착제층과 제3 포지티브 C 플레이트가 밀착하도록 첩합했다. 그 후, 얻어진 첩합물로부터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을 박리시켜, 원편광판 P를 제작했다.
<비교예 1>
표시 장치의 굴곡 방향에 대한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을 90도에서 0도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에 따라, 표시 장치를 제작하여, 각종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표시 장치의 굴곡 방향에 대한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을 90도에서 150도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에 따라, 표시 장치를 제작하여, 각종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원편광판 X 대신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170221호의 실시예 2에 기재된 원편광판을 사용하여, 표시 장치의 굴곡 방향에 대한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을 90도에서 0도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에 따라, 표시 장치를 제작하여, 각종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표 1 중, "변성 PC"는 "변성 폴리카보네이트"를 의도한다.
<비교예 4>
원편광판 X 대신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170221호의 실시예 2에 기재된 원편광판을 사용하여, 표시 장치의 굴곡 방향에 대한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을 90도에서 45도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에 따라, 표시 장치를 제작하여, 각종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이하의 표 1 중, "광학 이방성층 A(또는 A1)"란의 "지지체"란에서는, 편광자와 광학 이방성층 A(또는 A1)의 사이에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이 있는 경우를 "있음", 없는 경우를 "없음"으로 나타낸다.
표 1 중, "광학 이방성층 B(또는 B1)"란의 "지지체"란에서는, 광학 이방성층 A(또는 A1)와 광학 이방성층 B(또는 B1)의 사이에 셀룰로스아실레이트 필름이 있는 경우를 "있음", 없는 경우를 "없음"으로 나타낸다.
표 1 중, "원편광판 첩합 각도"는, 표시 장치의 굴곡 방향에 대한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의 각도를 나타낸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 6 및 7에서는 광학 이방성층 A1이 사용되고, 실시예 7에서는 광학 이방성층 B1이 사용되고 있다.
[표 1]
Figure pct00012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편광판은 원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그 중에서도, 실시예 1~5의 비교로부터,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이 표시 장치의 굴곡 방향에 대하여 80~100도의 각도인 경우, 보다 우수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실시예 1과 실시예 8~10의 비교로부터, 소정의 포지티브 C 플레이트가 포함되는 경우, 반사율이 보다 저감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과 표시 장치의 굴곡 방향이 소정의 관계를 충족시키지 않은 비교예 1 및 2, 및 특허문헌 1에서 사용되고 있는 위상차 필름을 이용한 비교예 3 및 4에 있어서는 소정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았다.
10 원편광판
12 편광자
14 위상차 필름
16 λ/2판
18 λ/4판
20 유기 EL 소자
22 평면부
24 굴곡부
30 형광등
32 SR-3(톱콘제)
100, 200, 300 표시 장치
L 경계선

Claims (5)

  1.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원편광판으로서,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의 한쪽의 측에 배치된 위상차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위상차 필름이 λ/2판 및 λ/4판을 포함하며,
    상기 λ/2판 및 상기 λ/4판이 각각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이 상기 표시 장치의 굴곡 방향에 대하여 75~105도의 각도를 규정하도록 조정되어 있는, 원편광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이 상기 표시 장치의 굴곡 방향에 대하여 80~100도의 각도를 규정하도록 조정되어 있는, 원편광판.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필름이, 파장 550nm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이 -150~-50nm인 포지티브 C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원편광판.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가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표시 장치인, 원편광판.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원편광판을 포함하는,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
KR1020177026066A 2015-03-31 2016-03-10 원편광판, 및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 KR1020822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74056 2015-03-31
JP2015074056 2015-03-31
PCT/JP2016/057635 WO2016158300A1 (ja) 2015-03-31 2016-03-10 円偏光板、および、屈曲可能な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805A true KR20170118805A (ko) 2017-10-25
KR102082200B1 KR102082200B1 (ko) 2020-02-27

Family

ID=57007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6066A KR102082200B1 (ko) 2015-03-31 2016-03-10 원편광판, 및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03857B2 (ko)
JP (1) JP6554536B2 (ko)
KR (1) KR102082200B1 (ko)
CN (1) CN107430238B (ko)
WO (1) WO201615830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35792A1 (ko) * 2018-06-05 2019-1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200007455A (ko) * 2018-07-13 2020-01-22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더블 편광판 및 이의 용도
JP2020024364A (ja) * 2018-06-11 2020-02-13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
KR20200086666A (ko) * 2017-11-10 2020-07-17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원편광판 및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48742B (zh) * 2015-11-20 2023-04-28 日东电工株式会社 光学层叠体及使用了该光学层叠体的有机电致发光显示装置
JP2017102443A (ja) 2015-11-20 2017-06-08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および該光学積層体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表示装置
JP6929586B2 (ja) * 2016-10-24 2021-09-01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反射防止用光学フィルタ及び有機発光装置
JP2018072663A (ja) * 2016-11-01 2018-05-10 東洋紡株式会社 折りたたみ型ディスプレイ及び携帯端末機器
KR102480968B1 (ko) * 2017-04-17 2022-12-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102207644B1 (ko) * 2017-07-26 2021-01-25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표시 장치
JP2019091023A (ja) * 2017-11-10 2019-06-13 住友化学株式会社 円偏光板
WO2019093501A1 (ja) * 2017-11-10 2019-05-16 住友化学株式会社 円偏光板及び表示装置
WO2019093476A1 (ja) * 2017-11-10 2019-05-16 住友化学株式会社 円偏光板及び表示装置
JP6605682B2 (ja) * 2017-11-10 2019-11-13 住友化学株式会社 円偏光板
WO2019093474A1 (ja) * 2017-11-10 2019-05-16 住友化学株式会社 円偏光板及び表示装置
JP7238325B2 (ja) * 2018-01-11 2023-03-14 東洋紡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
KR20200133786A (ko) * 2018-03-23 2020-11-30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일렉트로루미네선스 표시 장치
CN109065570A (zh) * 2018-07-18 2018-12-21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604284B1 (ko) * 2018-08-30 2023-1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JP2020052365A (ja) * 2018-09-28 2020-04-02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複合体、及び画像表示装置
JP2020076938A (ja) * 2018-10-15 2020-05-21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20091316A (ja) * 2018-12-03 2020-06-11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WO2021130673A1 (en) 2019-12-26 2021-07-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lm stacks for thin circular polarizers
KR20220148805A (ko) 2020-03-10 2022-11-07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적층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CN115280200A (zh) 2020-03-16 2022-11-01 住友化学株式会社 层叠片及其制造方法
JP2021179599A (ja) * 2020-05-11 2021-11-18 住友化学株式会社 円偏光板
CN114203931A (zh) * 2021-12-10 2022-03-1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8268A (ja) * 2001-02-28 2002-09-11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2003322857A (ja) * 2002-02-26 2003-11-14 Sony Corp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091825A (ja) * 2004-09-27 2006-04-06 Far Eastern Textile Ltd 棒状液晶分子の配向方法及び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光学デバイス
JP2006163343A (ja) * 2004-11-15 2006-06-22 Nitto Denko Corp 楕円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20100099091A (ko) * 2002-11-18 2010-09-10 소니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WO2014123038A1 (ja) * 2013-02-07 2014-08-14 日東電工株式会社 円偏光板および屈曲可能な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6248B2 (ja) * 2005-08-09 2011-10-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トレージシステムの構成管理装置及び構成管理方法
JP5213407B2 (ja) * 2007-10-10 2013-06-1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液晶表示装置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US8730435B2 (en) * 2009-07-17 2014-05-20 Jnc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retardation film formed of liquid crystalline polyimide having photoreactive group
WO2012077663A1 (ja) * 2010-12-06 2012-06-14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表示パネル装置
US9443085B2 (en) * 2011-07-19 2016-09-13 Elwha Llc Intrusion detection using taint accumulation
JPWO2014049954A1 (ja) * 2012-09-26 2016-08-2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該位相差フィルムを用いて作製した長尺円偏光板および有機elディスプレイ
JP6231804B2 (ja) * 2013-07-30 2017-11-1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2571446B1 (ko) * 2014-09-17 2023-08-25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원편광판, 광대역 λ/4 판, 및,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8268A (ja) * 2001-02-28 2002-09-11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2003322857A (ja) * 2002-02-26 2003-11-14 Sony Corp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99091A (ko) * 2002-11-18 2010-09-10 소니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06091825A (ja) * 2004-09-27 2006-04-06 Far Eastern Textile Ltd 棒状液晶分子の配向方法及び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光学デバイス
JP2006163343A (ja) * 2004-11-15 2006-06-22 Nitto Denko Corp 楕円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WO2014123038A1 (ja) * 2013-02-07 2014-08-14 日東電工株式会社 円偏光板および屈曲可能な表示装置
JP2014170221A (ja) 2013-02-07 2014-09-18 Nitto Denko Corp 円偏光板および屈曲可能な表示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6666A (ko) * 2017-11-10 2020-07-17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원편광판 및 표시 장치
WO2019235792A1 (ko) * 2018-06-05 2019-1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US11275266B2 (en) 2018-06-05 2022-03-15 Lg Chem, Ltd. Lamin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JP2020024364A (ja) * 2018-06-11 2020-02-13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
KR20200007455A (ko) * 2018-07-13 2020-01-22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더블 편광판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2200B1 (ko) 2020-02-27
US20180006275A1 (en) 2018-01-04
JPWO2016158300A1 (ja) 2017-12-28
CN107430238B (zh) 2020-03-03
WO2016158300A1 (ja) 2016-10-06
CN107430238A (zh) 2017-12-01
US10403857B2 (en) 2019-09-03
JP6554536B2 (ja) 201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18805A (ko) 원편광판, 및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
US10026929B2 (en) Organic el display device
JP6640847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JP6259925B2 (ja) 円偏光板、表示装置
JP6770649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JP5518628B2 (ja) 長尺状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長尺状円偏光板の製造方法
US10564339B2 (en) Phase difference film, circularly polarizing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160026780A (ko) 위상차 필름,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 적층체, 조성물,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WO2016035636A1 (ja) 円偏光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2140552B1 (ko) 광학 소자, 광학 소자의 제조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
WO2020209354A1 (ja) 積層型波長板、偏光板、円偏光板、および表示装置
JP7334047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該画像表示装置に用いられる円偏光板
US10571613B2 (en) Circularly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KR101699652B1 (ko) 광학 필름 재료, 광학 필름,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편광판
JP6783698B2 (ja) 積層体、表示装置
KR20230127901A (ko) 위상차판, 가지지체 부착 위상차판, 원편광판, 표시 장치
US20230108014A1 (en) Transfer film, method for producing transfer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