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284B1 - 폴더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폴더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284B1
KR102604284B1 KR1020180102510A KR20180102510A KR102604284B1 KR 102604284 B1 KR102604284 B1 KR 102604284B1 KR 1020180102510 A KR1020180102510 A KR 1020180102510A KR 20180102510 A KR20180102510 A KR 20180102510A KR 102604284 B1 KR102604284 B1 KR 102604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rder
display device
layer
adhesive member
polar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6370A (ko
Inventor
오민주
이희영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2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284B1/ko
Priority to US16/539,567 priority patent/US11296305B2/en
Priority to EP19194251.5A priority patent/EP3618121B1/en
Priority to CN201910806671.XA priority patent/CN110874985B/zh
Priority to JP2019157021A priority patent/JP7379022B2/ja
Priority to TW108131416A priority patent/TWI833792B/zh
Publication of KR20200026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6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7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sets of wires, e.g. crossed wir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3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8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폴더블 표시장치는 표시모듈, 표시모듈 상에 배치된 반사방지유닛, 상부 리타더, 윈도우유닛, 및 이들을 결합하는 접착부재를 포함한다. 반사방지유닛은 편광자 및 상기 입력감지유닛과 상기 편광자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하부 리타더를 포함한다. 상부 리타더는 4Gpa 내지 100GPa의 영스 모듈러스를 갖는다. 표시모듈의 상면부터 상기 윈도우유닛의 상면까지의 두께는 80 ㎛ 내지 580 ㎛이다.

Description

폴더블 표시장치{FOLDA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폴더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불량이 감소된 폴더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휴대 전화, 태블릿 컴퓨터, 네비게이션, 게임기 등과 같은 멀티 미디어 장치에 사용되는 다양한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멀티미디어 장치들의 용도에 부합하게 표시장치들의 형태가 변화되고 있다.
최근 다양한 형태의 플렉서블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롤러블, 폴더블, 스트레쳐블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표시장치들의 형태에 따라 예견치 못한 불량들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글라스 착용 시에도 전 각도에서 이미지를 인지할 수 있는 폴더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폴딩부 변색, 레인보우 무라 현상이 방지된 폴더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리타더의 박리가 방지될 수 있는 폴더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는 표시모듈, 표시모듈 상에 배치된 반사방지유닛, 상부 리타더, 윈도우유닛, 및 이들을 결합하는 접착부재를 포함한다. 반사방지유닛은 편광자 및 상기 입력감지유닛과 상기 편광자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하부 리타더를 포함한다. 상부 리타더는 4Gpa 내지 100GPa의 영스 모듈러스를 갖는다. 표시모듈의 상면부터 상기 윈도우유닛의 상면까지의 두께는 130 ㎛ 내지 540 ㎛이다.
상기 상부 리타더의 두께는 1㎛ 내지 80 ㎛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착부재의 두께는 5 ㎛ 내지 100 ㎛ 일 수 있다.
상기 윈도우유닛의 두께는 30 ㎛ 내지 130 ㎛ 일 수 있다.
상기 편광자의 편광축은 상기 폴더블 표시장치의 폴딩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거나, 실질적으로 직교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리타더는 정분산형 λ/2 리타더 및 정분산형 λ/4 리타더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축 및 상기 폴딩축에 직교하는 기준축이 정의하는 사분면 내에서 상기 정분산형 λ/2 리타더의 느린축과 상기 정분산형 λ/4 리타더의 느린축(slow axis)은 동일한 사분면에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리타더의 느린축과 상기 편광자의 상기 편광축의 사이각은 10도 내지 75도 일 수 있다.
상기 하부 리타더는 역분산형 λ/4 리타더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리타더의 느린축은 상기 편광자의 상기 편광축과 45도의 사이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윈도우유닛은 550nm 파장에서 0nm 내지 500nm의 위상차를 갖는 베이스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의 편광축은 상기 폴더블 표시장치의 폴딩축과 45도의 사이각을 이루고, 상기 하부 리타더는 역분산형 λ/4 리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유닛은 베이스층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층은 550nm 파장에서 위상차를 갖고, 상기 위상차는 500nm 이하 일 수 있다.
상기 상부 리타더는 550nm 파장에서 5000nm 내지 11000nm 이하의 위상차를 갖는다.
상기 상부 리타더 및 상기 하부 리타더는 베이스층 및 상기 베이스층의 일면 상에 배향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은 발광소자들 및 상기 발광소자들을 커버하는 복수 개의 제1 박막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감지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박막들 상에 배치된 도전패턴들 및 상기 도전패턴들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박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패턴들 중 적어도 일부는 메쉬 형상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직접 배치된 입력감지유닛을 포함하는 표시모듈, 상기 표시모듈에 결합된 제1 접착부재, 상기 제1 접착부재에 결합된 반사방지유닛, 상기 반사방지유닛에 결합된 제2 접착부재, 상기 제2 접착부재에 결합되고, 4Gpa 내지 100GPa의 영스 모듈러스를 갖는 상부 리타더, 상기 상부 리타더에 결합된 제3 접착부재 및 상기 제3 접착부재에 결합되고, 550nm 파장에서 0nm 내지 500nm의 위상차를 갖는 윈도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방지유닛은 상기 제2 접착부재의 하측에 배치된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하측에 배치된 정분산형 λ/2 리타더, 정분산형 λ/4 리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부재의 하면부터 상기 윈도우유닛의 상면까지의 두께는 130 ㎛ 내지 540 ㎛일 수 있다.
상기 편광자의 편광축은 상기 폴더블 표시장치의 폴딩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거나, 실질적으로 직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직접 배치된 입력감지유닛을 포함하는 표시모듈, 상기 표시모듈에 결합된 제1 접착부재, 상기 제1 접착부재에 결합된 반사방지유닛, 상기 반사방지유닛에 결합된 제2 접착부재, 상기 제2 접착부재에 결합되고, 4Gpa 내지 100GPa의 영스 모듈러스를 갖는 상부 리타더, 상기 상부 리타더에 결합된 제3 접착부재 및 상기 제3 접착부재에 결합되고, 550nm 파장에서 0nm 내지 500nm 이하의 위상차를 갖는 윈도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방지유닛는 상기 제2 접착부재의 하측에 배치된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하측에 배치된 역분산형 λ/4 리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부재의 하면부터 상기 윈도우유닛의 상면까지의 두께는 130 ㎛ 내지 540 ㎛일 수 있다.
상기 편광자의 편광축은 상기 폴더블 표시장치의 폴딩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거나, 실질적으로 직교하거나, 실질적으로 45도의 사이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윈도우유닛은 베이스층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층은 550nm 파장에서 위상차를 갖고, 상기 위상차는 500nm 이하일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상부 리타더를 더 포함함으로써 외부광의 반사율을 감소되고, 선글라스 착용 시에도 전 각도에서 이미지를 인지할 수 있다.
리타더들의 광학축들을 소정의 조건으로 배치시켜 폴딩부의 변색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소정의 영스 모듈러스를 갖는 상부 리타더는 표시장치의 반복되는 폴딩에도 박리가 방지될 수 있다. 폴더블 표시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a 내지 1c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방지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광학축들의 관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광의 편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d는 선글라스 착용시 블랙 아웃 불량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 4e는 레인보우 무라 불량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 4f는 폴딩부 변색 불량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타더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축들의 관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확대된 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층의 평면도이다.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층의 평면도이다.
도 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층의 평면도이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사시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는 표시면(DD-IS)을 통해 이미지(IMG)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면(DD-IS)은 제1 방향축(DR1) 및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한다. 표시면(DD-IS)의 법선 방향, 즉 표시장치(DD)의 두께 방향은 제3 방향축(DR3)이 지시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부재들 또는 유닛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은 제3 방향축(DR3)에 의해 구분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제1 내지 제3 방향축들(DR1, DR2, DR3)은 예시에 불과하다. 이하, 제1 내지 제3 방향들은 제1 내지 제3 방향축들(DR1, DR2, DR3) 각각 이 지시하는 방향으로써 정의되고, 동일한 도면 부호를 참조한다.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면(DD-IS)은 이미지(IMG)가 표시되는 표시영역(DD-DA) 및 표시영역(DD-DA)에 인접한 비표시영역(DD-NDA)을 포함한다. 비표시영역(DD-NDA)은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도 1a에는 이미지(IMG)의 일 예로 아이콘 이미지들을 도시하였다.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영역(DD-DA)은 사각형상일 수 있다. 비표시영역(DD-NDA)은 표시영역(DD-DA)을 에워싸을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표시영역(DD-DA)의 형상과 비표시영역(DD-NDA)의 형상은 상대적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는 동작 형태에 따라 정의되는 복수 개의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장치(DD)는 제1 영역(NFA1), 제2 영역(NFA2), 및 제1 영역(NFA1)과 제2 영역(NFA2) 사이에 배치된 제3 영역(FA)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영역(FA)은 폴딩축(FX)에 기초하여(on the basis of the folding axis) 폴딩되는 영역으로 실질적으로 곡률을 형성하는 영역이다. 이하, 제1 영역(NFA1), 제2 영역(NFA2), 및 제3 영역(FA)은 제1 비폴딩영역(NFA1), 제2 비폴딩영역(NFA2) 및 폴딩영역(FA)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는 제1 비폴딩영역(NFA1)의 표시면(DD-IS)과 제2 비폴딩영역(NFA2)의 표시면(DD-IS)이 마주하도록 내측 폴딩(inner-folding)될 수 있다. 도 1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모듈(DM)은 표시면(DD-IS)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외측 폴딩(outer-folding)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시장치(DD)는 복수 개의 폴딩영역(FA)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표시장치(DD)를 조작하는 형태에 대응하게 폴딩영역(FA)이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폴딩영역(FA)은 도 1b 및 도 1c와 달리 제1 방향축(DR1)에 평행하게 정의될 수 있고, 대각선 방향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폴딩영역(FA)의 면적은 고정되지 않고, 곡률반경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시장치(DD)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동작모드만 반복되거나, 도 1a 및 도 1c에 도시된 동작모드만 반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핸드폰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는 표시장치(DD)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메인보드에 실장된 전자모듈들, 카메라 모듈, 전원모듈 등이 표시장치(DD)과 함께 브라켓/케이스 등에 배치됨으로써 핸드폰 단말기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DD)는 텔레비전, 모니터 등과 같은 대형 전자장치를 비롯하여, 테블릿, 자동차 네비게이션, 게임기, 스마트 와치 등과 같은 중소형 전자장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단면도이다. 도 도 2a 및 도 2b는 제2 방향축(DR2)과 제3 방향축(DR3)이 정의하는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2a 및 도 2b는 표시장치(DD)를 구성하는 표시패널과 기능성 유닛들의 적층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단순하게 도시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는 표시패널, 입력감지유닛, 반사방지유닛 및 윈도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DD)는 반사방지유닛과 구별되는 리타더를 더 포함한다. 상기 추가된 리타더는 반사방지유닛과 윈도우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반사방지유닛과 리타더 사이에 접착부재가 배치된다.
표시패널, 입력감지유닛, 반사방지유닛, 및 윈도우유닛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들은 연속공정에 의해 형성되거나, 적어도 일부의 구성들은 접착부재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2a에는 접착부재로써 광학 투명 접착부재(OCA)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접착부재는 통상의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고, 시트 타입, 레진 타입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광학 투명 접착부재(OCA)는 감압접착부재(PSA)일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 있어서, 입력감지유닛, 반사방지유닛, 및 윈도우유닛 중 다른 구성과 연속공정을 통해 형성된 해당 구성은 "층"으로 표현된다. 입력감지유닛, 반사방지유닛, 및 윈도우유닛 중 다른 구성과 접착부재를 통해 결합된 구성은 "패널"로 표현된다. 패널은 베이스면을 제공하는 베이스층, 예컨대 합성수지 필름, 복합재료 필름, 유리 기판 등을 포함하지만, "층"은 상기 베이스층이 생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층"으로 표현되는 상기 유닛들은 다른 유닛이 제공하는 베이스면 상에 배치된다.
입력감지유닛, 반사방지유닛, 윈도우유닛은 베이스층의 유/무에 따라 입력감지패널, 반사방지패널, 윈도우패널 또는 입력감지층, 반사방지층, 윈도우층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는 표시패널(DP), 입력감지층(ISL), 반사방지패널(RPP), 리타더(RTD-U, 이하 상부 리타더) 및 윈도우패널(WP)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감지층(ISL)은 표시패널(DP) 상에 직접 배치된다. 본 명세서에서 "B의 구성이 A의 구성 상에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A의 구성과 B의 구성 사이에 별도의 접착층/접착부재이 배치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B 구성은 A 구성이 형성된 이후에 A구성이 제공하는 베이스면 상에 연속공정을 통해 형성된다.
표시패널(DP) 및 입력감지층(ISL)을 포함하여 표시모듈(DM)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모듈(DM)과 반사방지패널(RPP) 사이, 반사방지패널(RPP)과 상부 리타더(RTD-U) 사이, 상부 리타더(RTD-U)와 윈도우패널(WP) 사이 각각에 광학 투명 접착부재(OCA)가 배치된다.
표시패널(DP)은 이미지를 생성하고, 입력감지층(ISL)은 외부입력(예컨대, 터치 이벤트)의 좌표정보를 획득한다. 입력감지층(ISL)은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감지센서이거나, 사용자 손가락의 지문 정보를 감지하는 지문감지센서일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DM)은 표시패널(DP)의 하면에 배치된 보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부재와 표시패널(DP)은 접착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도 2b의 표시장치들(DD) 역시 보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DP)은 발광형 표시패널일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표시패널(DP)은 유기발광 표시패널 또는 퀀텀닷 발광 표시패널일 수 있다. 유기발광 표시패널의 발광층은 유기발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퀀텀닷 발광 표시패널의 발광층은 퀀텀닷, 및 퀀텀로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표시패널(DP)은 유기발광 표시패널로 설명된다.
반사방지패널(RPP)은 윈도우패널(WP)의 상측으로부터 입사되는 외부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방지패널(RPP)은 적어도 하나의 리타더(retarder, 이하 하부 리타더) 및 편광자(polariz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리타더(RTD-U) 및 적어도 하나의 하부 리타더는 필름타입 또는 액정 코팅타입일 수 있다. 편광자 역시 필름타입 또는 액정 코팅타입일 수 있다. 필름타입은 연신형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하고, 액정 코팅타입은 베이스층 및 베이스층의 일면 상에 배향된 액정층을 포함할 수 있다. 리타더 및 편광자는 지지필름 및/또는 보호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패널(WP)은 베이스층(WP-BS) 및 베젤 패턴(WP-BZ)을 포함한다. 베이스층(WP-BS)는 유리 기판 및/또는 합성수지 필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WP-BS)은 단층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베이스층(WP-BS)은 접착부재로 결합된 2 이상의 필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WP-BS)은 위상차를 갖지 않거나, 저위상차를 갖는다. 유리 기판은 실질적으로 위상차를 갖지 않는다. PET나 PI와 같은 합성필름은 500nm 이하의 저위상차를 갖는다. 결과적으로 베이스층(WP-BS)은 550nm 파장에서 0nm 내지 500nm의 위상차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젤 패턴(WP-BZ)은 베이스층(WP-BS)에 부분적으로 중첩한다. 베젤 패턴(WP-BZ)은 베이스층(WP-BS)의 배면에 배치되어 표시장치(DD)의 베젤영역 즉, 비표시영역(DD-NDA, 도 1a 참조)을 정의할 수 있다.
베젤 패턴(WP-BZ)은 유색의 유기막으로써 예컨대, 코팅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젤 패턴(WP-BZ)은 다층의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유기막에는 소정의 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윈도우패널(WP)은 베이스층(WP-BS)의 전면에 배치된 기능성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능성 코팅층은 지문 방지층, 반사 방지층, 및 하드 코팅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는 표시패널(DP), 입력감지층(ISL), 반사방지층(RPL), 상부 리타더(RTD-U) 및 윈도우패널(WP)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반사방지층(RPL)은 액정 코팅타입으로, 입력감지층(ISL)의 상면에 직접 배향된 액정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방지층(RPL)은 다층의 액정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윈도우패널(WP)은 상부 리타더(RTD-U)에 코팅된 윈도우층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방지유닛(RPP)의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패널 타입의 반사방지유닛(RPP)을 도시하였다.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반사방지패널(RPP)은 연신형 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연신형 편광자는 요오드 또는 2색성 염료를 함유하는 PVA 필름(100, Poly Vinyl Alcohol film)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방지패널(RPP)은 보호필름(200)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필름(200)은 TAC 필름(Tri-Acetyl Cellulose film)일 수 있다. 보호필름(200)이 PVA 필름(100)의 일면에만 배치된 반사방지패널(RPP)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액정 코팅형 편광자는 2색성물질과 액정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정성 조성물을 일정 방향으로 배향시킨 O형 편광층 및 리오트로픽(lyotropic) 액정을 일정 방향으로 배향시킨 E형 편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필름(200)에 편광층을 배향할 수 있다. 이때 보호필름(200)이 베이스층에 해당한다.
반사방지패널(RPP)은 하부 리타더(RTD-L)로써 λ/2 리타더와 λ/4 리타더를 포함할 수 있다. PVA 필름(100)은 접착부재(OCA)를 통해 λ/2 리타더와 결합될 수 있다. λ/2 리타더의 하측에 λ/4 리타더가 배치된다. 베이스층에 배향막을 형성한 후 배향막 상에 λ/2 리타더를 구현하는 액정층을 형성한다. 액정층을 경화시킨 후 베이스층을 제거하고, 배향막과 액정층을 접착부재(OCA)에 결합할 수 있다.
베이스층에 배향막을 형성한 후 배향막 상에 λ/4 리타더를 구현하는 액정층을 형성한다. 액정층을 경화시킨 후 베이스층을 제거하고, 배향막과 액정층을 λ/2 리타더에 결합할 수 있다. λ/2 리타더와 λ/4 리타더 사이에 미도시된 접착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λ/2 리타더와 λ/4 리타더의 액정층은 반응성 액정 단량체(예컨대, 네마틱(nematic) 액정상을 발현하는 막대형(calamitic) 메조겐)를 포함할 수 있고, 배향막은 폴리이미드(polymide)나 폴리아미드(polyamide)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λ/2 리타더와 λ/4 리타더의 액정층은 굴절률 이방성을 갖는 광반응성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배향막은 생략될 수 있다.
액정 코팅타입의 λ/2 리타더와 λ/4 리타더를 도시하였으나, 필름타입의 λ/2 리타더와 λ/4 리타더 사이에는 접착부재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λ/2 리타더와 λ/4 리타더는 파장이 증가될수록 위상차가 감소되는 정분산형 리타더일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반사방지패널(RPP)은 하부 리타더(RTD-L)로써 정분산형 λ/2 리타더 및 λ/4 리타더를 대체하는 역분산형 λ/4 리타더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역분산형 λ/4 리타더 역시 필름타입 또는 액정 코팅타입일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광학축들의 관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광의 편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d는 선글라스 착용시 블랙 아웃 불량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 4e는 레인보우 무라 불량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 4f는 폴딩부 변색 불량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 4a는 도 3a에 도시된 반사방지패널(RPP)을 포함하는 표시장치(DD)의 광학축들을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폴딩축(FX)은 표시장치(DD)의 단축인 제2 방향축(DR2)에 평행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기준축(RX)은 폴딩축(FX)에 수직이며, 기준축(RX)과 폴딩축(FX)은 사분면(quadrant)을 정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편광자의 편광축(TX)은 폴딩축(FX)에 평행할 수 있다. 편광축(TX)은 투과축이나 흡수축일 수 있고, 이하 투과축으로 설명된다.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편광되지 않은 외부광이 표시장치(DD)에 입사된다. 외부광은 윈도우 패널(WP) 및 상부 리타더(RTD-U)를 통과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리타더(RTD-U)는 λ/4 리타더일 수 있다. λ/4 리타더는 역분산형 또는 정분산형 리타더일 수 있다.
외부광은 편광자(POL)를 통과하면서 선편광된다. 선편광은 하부 리타더(RTD-L)를 통과하면서 좌원편광된다. 하부 리타더(RTD-L)는 제1 하부 리타더(RTD-L1) 및 제2 하부 리타더(RTD-L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리타더(RTD-L1) 및 제2 하부 리타더(RTD-L2)는 각각 정분산형 λ/4 리타더 및 정분산형 λ/2 리타더일 수 있다.
좌원편광은 표시모듈(DM)에서 반사된 후 우원편광된다. 본실시예에서 좌원편광과 우원편광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좌원편광이 원편광(circular polarization)일 때 우원편광은 역원판광(reverse circular polarization)일 수 있다.
우원편광은 하부 리타더(RTD-L)를 통과하면서 선편광된다. 이때 선편광은 편광자(POL)의 투과축과 직교하는 선편광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외부광이 반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발광형 표시모듈(DM)에서 생성된 광(또는 이미지(IMG, 도 1a 참고))은 편광되지 않은 상태이다. 발광형 표시모듈(DM)에서 생성된 광은 하부 리타더(RTD-L)를 통과한다. 발광형 표시모듈(DM)에서 생성된 광은 편광자(POL)를 통과하면서 선편광된다. 선편광은 상부 리타더(RTD-U)를 통과하면서 좌원편광될 수 있다. 좌원편광은 윈도우 패널(WP)을 통과하여 사용자에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장치(DD)가 상부 리타더(RTD-U)를 포함함으로써 외부광 반사율이 낮아질 뿐아니라 사용자가 선글라스를 착용하더라도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상부 리타더(RTD-U)가 없었더라면, 사용자는 도 4d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의 수평 상태 또는 수직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없다. 선편광된 이미지는 상기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선글라스를 투과할 수 없기 때문이다.(선편광된 이미지의 편광축과 선글라스의 편광축이 수직인 상태 발생) 본 실시예에 따르면 원편광된 이미지가 선글라스에 도달하므로 사용자는 수평 상태 및 수직 상태 모두에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도 4c에 있어서, 윈도우 패널(WP)이 저위상차를 갖는 경우 도 4e에 레인보우 무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윈도우 패널(WP)이 좌원편광을 변형시켰기 때문이다. 윈도우 패널(WP)이 갖는 위상차로 인해 좌원편광이 타원형 좌원편광(left handed elliptically polarized light)으로 변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리타더(RTD-U)는 고위상차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고위상차 필름의 상부 리타더(RTD-U)는 도 4e에 도시된 레인보우 무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타원형 좌원편광이 선글라스의 편광판을 지나게되면 다시 선편광되는데 이때 파장에 따른 투과율 차이로 인해 레이보우 무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렇지만 고위상차 필름은 가시광선 전 파장대에서 투과율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레인보우 무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고위상차 필름은 550nm 파장에서 5000nm 이상의 위상차를 갖는다. 통상적으로 고위상차 필름은 550nm 파장에서 5000nm 이상 11000nm 이하의 위상차를 갖는다
상부 리타더(RTD-U)에 고위상차 필름이 적용되면, 도 4c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달리 상부 리타더(RTD-U)를 통과하더라도 선편광이 좌원편광 형태로 변화되지는 않지만, 고위상차 필름을 통과하면서 선편광 특성이 실질적으로 소멸하여 사용자가 선글라스를 착용하더라도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도 4f는 폴딩영역(FA)에서 발생하는 변색현상을 나타낸다. 이러한 변색 현상은 표시장치(DD)가 반복적으로 폴딩됨에 있어서 정분산형 λ/4 리타더(RTD-L1)의 느린축(QX-L, 도 4a 참고)과 정분산형 λ/2 리타더(RTD-L2, 도 4a 참고)의 느린축(HX)의 사이각이 변경되었기 때문이다. 인장력에 의해 느린축(QX-L)과 느린축(HX)의 사이각이 증가하거나, 압축력에 의해 느린축(QX-L)과 느린축(HX)의 사이각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이는 정분산형λ/4 리타더(RTD-L1)의 느린축(QX-L)과 정분산형 λ/2 리타더(RTD-L2)의 느린축(HX)이 서로 다른 사분면 상에 정의되는 것을 전제로한다.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정분산형 λ/4 리타더(RTD-L1)의 느린축(QX-L)과 정분산형 λ/2 리타더(RTD-L2)의 느린축(HX)은 기준축(RX)과 폴딩축(FX)이 정의하는 사분면에서 동일한 사분면에 정의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정분산형 λ/4 리타더(RTD-L1)의 느린축(QX-L)과 정분산형 λ/2 리타더(RTD-L2)의 느린축(HX)은 동일한 사분면에 정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의되는 경우, 표시장치(DD)가 반복적으로 폴딩되더라도 정분산형 λ/4 리타더(RTD-L1)의 느린축(QX-L)과 정분산형 λ/2 리타더(RTD-L2)의 느린축(HX)의 사이각이 실질적으로 변화되지 않을 수 있다.
편광자(POL)의 편광축(TX)과 λ/4 리타더(RTD-L1)의 느린축(QX-L)의 사이각(θ1)은 7.5도 내지 17.5도를 가질수 있다. λ/4 리타더(RTD-L1)의 느린축(QX-L)과 정분산형 λ/2 리타더(RTD-L2)의 느린축(HX)의 사이각(θ2)은 편광자(POL)의 편광축(TX)과 λ/4 리타더(RTD-L1)의 느린축(QX-L)의 사이각(θ1) 보다 클 수 있다.
이때, 상부 리타더의 느린축(QX-U)은 편광자(POL)의 편광축(TX)과 소정의 사이각을 가질 수 있다. 상부 리타더의 느린축(QX-U)과 편광자(POL)의 편광축(TX)의 사이각(θ3)은 10도 내지 75도를 가질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하부 리타더(RTD-L)가 도 3b에 도시된 역분산형 λ/4 리타더를 포함하는 경우도 도 4a 내지 도 4f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하부 리타더(RTD-L)의 느린축은 편광자(POL)의 편광축(TX)과 45도의 사이각을 이룰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리타더(RTD-U)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a 내지 도 2b에 도시된 폴더블 표시장치(DD)의 단면을 간략히 도시하였다. 폴더블 표시장치(DD)는 반복적으로 폴딩 동작이 수행됨에 따라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고, 굴곡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후술하는 조건을 만족한다.
표시모듈(DM)의 상면 또는 표시모듈(DM)에 접촉하는 접착부재(OCA)의 하면으로부터 윈도우 유닛의, 본 실시예에서 윈도우 패널(WP)의, 상면까지의 두께는 130 ㎛ 내지 54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윈도우 패널(WP)이 기능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경우, 윈도우 패널(WP)의 상면은 기능성 코팅층의 상면에 해당한다. 이때, 윈도우 패널(WP)의 두께는 30 ㎛ 내지 13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윈도우 패널(WP)의 두께가 130 ㎛보다 크면 굴곡성 평가시 크랙이 발생하였고, 30 ㎛보다 작으면 내충격성 평가시 찍힘 불량이 발생하였다. 내충격성 평가는 금속볼 드롭 평가로 진행되었다.
굴곡성 평가는 도 5에 도시된 구조의 표시장치(DD)에 있어서 [표 1]와 같은 조건에서 수행되었다.
구조 1 2 3
WP(㎛) 130 90 60
RTD-U(㎛) 50 50 50
PSA1 내지 PSA3(㎛) 50 50 50
RPP(㎛) 30 30 30
신뢰성 NG(크랙 발생) OK OK
접착부재(OCA) 각각의 두께는 5 ㎛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부재(OCA)의 두께가 100 ㎛보다 크면 굴곡성 평가시 박리가 발생하였고, 5 ㎛보다 작으면 내충격성 평가시 찍힘 불량이 발생하였다.
굴곡성 평가는 도 5에 도시된 구조의 표시장치(DD)에 있어서, 50 ㎛의 상부 리타더(RTD-U), 60 ㎛의 윈도우 패널(WP), 30 ㎛의 반사방지패널(RPP)의 조건에서 수행되었다. 접착부재(OCA)는 감압접착부재가 적용되었다. 3개의 감압접착부재(PSA1, PSA2, PSA3) 중 표시모듈(DM)에 접촉하는 감압접착부재가 제1 감압접착부재(PSA1)이다. 그 결과는 아래의 표 2 내지 표 4와 같다.
구조 1 2 3 4 5 6 7 8 9
PSA1(㎛) 150 125 150 135 150 125 135 150 100
PSA2(㎛) 100 75 75 75 75 50 50 50 25
PSA3(㎛) 25 25 25 25 25 25 25 25 25
신뢰성 NG(박리 발생) NG NG NG NG NG NG NG OK
(박리
미발생)
구조 10 11 12 13 14 15 16 17 18
PSA1(㎛) 100 50 25 100 75 50 100 25 100
PSA2(㎛) 25 50 75 50 50 50 75 75 50
PSA3(㎛) 25 50 25 25 25 25 25 25 25
신뢰성 OK OK OK OK OK OK OK OK OK
구조 19 20 21 22 23 24 25 26 27
PSA1(㎛) 100 75 50 50 25 50 50 50 50
PSA2(㎛) 75 75 100 75 100 100 125 130 150
PSA3(㎛) 25 25 25 25 25 50 50 50 50
신뢰성 OK OK OK OK OK OK NG NG NG
상부 리타더(RTD-U)의 두께는 1 ㎛ 내지 8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리타더(RTD-U)의 두께가 80 ㎛보다 크면 굴곡성 평가시 박리가 발생하였다. 상부 리타더(RTD-U)를 액정 코팅방식으로 제조한다고 하더라도 1 ㎛보다 얇게는 실질적으로 제조가 어려운 상황이다.
굴곡성 평가는 도 5에 도시된 구조의 표시장치(DD)에 있어서 [표 5]와 같은 조건에서 수행되었다.
구조 1 2 3 4
WP(㎛) 60 60 60 60
RTD-U(㎛) 80 60 55 30
PSA1 내지 PSA3(㎛) 50 50 50 50
RPP(㎛) 30 30 30 30
신뢰성 NG(박리 발생) OK OK OK
반사방지유닛의, 본 실시예에서 반사방지패널(RPP)의, 두께는 1㎛ 내지 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방지패널(RPP)의 두께가 50 ㎛보다 크면 굴곡성 평가시 박리가 발생하였다. 반사방지유닛을 액정 코팅방식으로 제조한다고 하더라도 1 ㎛보다 얇게는 실질적으로 제조가 어려운 상황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리타더(RTD-U)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필름타입의 연신형 λ/4 리타더(RTD-U)을 도시하였고, 도 6b는 액정 코팅타입의 λ/4 리타더(RTD-U)을 도시하였다. 액정 코팅타입의 λ/4 리타더(RTD-U)는 베이스필름(BF)과 액정 위상차층(LL)을 포함한다.
상부 리타더(RTD-U)의 굴곡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부 리타더(RTD-U)는 4Gpa 내지 100GPa의 영스 모듈러스를 갖는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4Gpa 내지 15GPa의 영스 모듈러스를 갖는다. 영스 모듈러스는 25℃에서 측정된 값이다. 액정 코팅타입의 리타더(RTD-U)는 베이스필름(BF)이 상술한 범위의 영스 모듈러스를 갖는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고위상차 필름으로 이루어진 상부 리타더(RTD-U) 역시 굴곡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술한 범위의 영스 모듈러스를 갖는다
굴곡성 평가는 도 5에 도시된 구조의 표시장치(DD)에 있어서, 50 ㎛의 윈도우 패널(WP), 50 ㎛의 상부 리타더(RTD-U), 31 ㎛의 반사방지패널(RPP), 및 접착부재(OCA)로써 50 ㎛의 감압접착부재(PSA)의 조건에서 수행되었다. 그 결과는 [표 6]과 같다.
상부 리타더(RTD-U)의 영스 모듈러스 환경 조건 1 환경 조건 2 환경 조건3
6Gpa OK(박리 미발생) OK OK
4Gpa OK OK OK
3.7Gpa OK OK 1/2 NG
3.3Gpa OK OK 2/2 NG
3Gpa 1/4 NG(박리 발생) 3/4 NG 2/2 NG
환경조건 1은 폴딩 상태의 표시장치를 60℃의 온도, 93%의 습도의 환경에 240 시간 노출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환경조건 2는 폴딩 상태의 표시장치를 60℃의 환경과 -10℃의 환경에 교번하게 노출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환경조건 3은 폴딩 상태의 표시장치를 70℃의 환경에 72시간 노출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3.7Gpa의 영스 모듈러스를 갖는 상부 리타더는 환경 조건 3에서 2개의 샘플 중 1개에 불량이 발생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광학축들의 관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편광자의 편광축(TX)이 폴딩축(FX)와 사이각을 이룬다. 예컨대, 사이각은 약 45도일 수 있다. 본 실시예 따르면 사용자가 선글라스를 착용하더라도 도 4d에 도시된 것과 같은 블랙 아웃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수직 상태 또는 수평 상태에서 폴딩축(FX)과 선글라스의 투과축이 수직을 이루지 않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리타더(RTD-L)로써 역분산형 λ/4 리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역분산형 λ/4 리타더의 느린축(QX-L)은 편광자의 편광축(TX)과 약 45도의 사이각을 이룰 수 있다. 하부 리타더(RTD-L)가 1개 리타더를 포함하여 폴딩영역의 변색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윈도우유닛이 저위상차를 갖는 경우, 상부 리타더(RTD-U)는 고위상차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레인보우 무라가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약 45도"는 45도를 목적으로 제조한 공정상 오차를 포함한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DP)의 단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DP)의 평면도이다.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DP)의 확대된 단면도이다.
도 8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패널(DP)은 베이스층(BL), 베이스층(BL) 상에 배치된 회로 소자층(DP-CL), 회로 소자층(DP-CL) 상에 배치된 표시 소자층(DP-OLED), 및 표시 소자층(DP-OLED) 상에 배치된 절연층(TFL, 이하 상부 절연층으로 정의됨)을 포함한다.
베이스층(BL)은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DP)의 제조시에 이용되는 작업기판 상에 합성수지층을 형성한다. 이후 합성수지층 상에 도전층 및 절연층 등을 형성한다. 작업기판이 제거되면 합성수지층은 베이스층(BL)에 대응한다. 합성수지층은 폴리이미드계 수지층일 수 있고, 그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밖에 베이스층(BL)은 유리 기판, 금속 기판, 또는 유/무기 복합재료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소자층(DP-CL)은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과 회로 소자를 포함한다. 이하, 회로 소자층(DP-CL)에 포함된 절연층은 중간 절연층으로 지칭된다. 중간 절연층은 적어도 하나의 중간 무기막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유기막을 포함한다. 회로 소자는 신호라인, 화소의 구동회로 등을 포함한다. 코팅, 증착 등에 의한 절연층, 반도체층 및 도전층 형성공정과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한 절연층, 반도체층 및 도전층층의 패터닝 공정을 통해 회로 소자층(DP-CL)이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소자층(DP-OLED)은 발광소자를 포함한다. 표시 소자층(DP-OLED)은 발광소자로써 유기발광 다이오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소자층(DP-OLED)은 화소 정의막을, 예컨대 유기물질을 포함, 포함한다.
상부 절연층(TFL)은 후술하는 것과 같이 회로 소자층(DP-CL)을 밀봉하는 박막 봉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절연층(TFL)은 캡핑층, 반사방지층, 굴절률 조절층 등과 같은 기능성층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패널(DP)은 평면상에서 표시영역(DP-DA)과 비표시영역(DP-NDA)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비표시영역(DP-NDA)은 표시영역(DP-DA)의 테두리를 따라 정의될 수 있다. 표시패널(DP)의 표시영역(DP-DA) 및 비표시영역(DP-NDA)은 도 1a 내지 2b에 도시된 표시장치(DD)의 표시영역(DD-DA) 및 비표시영역(DD-NDA)에 각각 대응한다.
표시패널(DP)은 구동회로(GDC), 복수 개의 신호라인들(SGL, 이하 신호라인들) 및 복수 개의 화소들(PX, 이하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들(PX)은 표시영역(DP-DA)에 배치된다. 화소들(PX) 각각은 발광소자와 그에 연결된 화소 구동회로를 포함한다. 구동회로(GDC), 신호라인들(SGL), 및 화소 구동회로는 도 3a에 도시된 회로 소자층(DP-CL)에 포함될 수 있다.
구동회로(GDC)는 주사 구동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주사 구동회로는 복수 개의 주사 신호들(이하, 주사 신호들)을 생성하고, 주사 신호들을 후술하는 복수 개의 주사 라인들(GL, 이하 주사 라인들)에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주사 구동회로는 화소들(PX)의 구동회로에 또 다른 제어 신호를 더 출력할 수 있다.
주사 구동회로는 화소들(PX)의 구동회로와 동일한 공정, 예컨대 LTPS(Low Temperature Polycrystaline Silicon) 공정 또는 LTPO(Low Temperature Polycrystalline Oxide) 공정을 통해 형성된 복수 개의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라인들(SGL)은 주사 라인들(GL), 데이터 라인들(DL), 전원 라인(PL), 및 제어신호 라인(CSL)을 포함한다. 주사 라인들(GL)은 화소들(PX) 중 대응하는 화소(PX)에 각각 연결되고, 데이터 라인들(DL)은 화소들(PX) 중 대응하는 화소(PX)에 각각 연결된다. 전원 라인(PL)은 화소들(PX)에 연결된다. 제어신호 라인(CSL)은 주사 구동회로에 제어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신호라인들(SGL)은 미도시된 회로기판과 연결될 수 있다. 회로기판에 실장된 집적 칩 형태의 타이밍 제어회로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집적 칩은 비표시영역(DP-NDA)에 배치되어 신호라인들(SGL)과 연결될 수도 있다.
도 8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회로 소자층(DP-CL)은 무기막인 버퍼막(BFL), 제1 중간 무기막(10) 및 제2 중간 무기막(20)을 포함하고, 유기막인 중간 유기막(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c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T1) 및 구동 트랜지스터(T2)를 구성하는 제1 반도체 패턴(OSP1), 제2 반도체 패턴(OSP2), 제1 제어전극(GE1), 제2 제어전극(GE2), 제1 입력전극(DE1), 제1 출력전극(SE1), 제2 입력전극(DE2), 제2 출력전극(SE2)의 배치관계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제1 내지 제4 관통홀(CH1 내지 CH4) 역시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표시 소자층(DP-OLED)은 발광소자를 포함한다. 표시 소자층(DP-OLED)은 발광소자로써 유기발광 다이오드들(OLED)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소자층(DP-OLED)은 화소 정의막을 포함한다. 예컨대, 화소 정의막은 유기층일 수 있다
중간 유기막(30) 상에 제1 전극(AE)이 배치된다. 제1 전극(AE)은 중간 유기막(30)을 관통하는 제5 관통홀(CH5)을 통해 제2 출력전극(SE2)에 연결된다. 화소 정의막(PDL)에는 개구부(OP)가 정의된다. 화소 정의막(PDL)의 개구부(OP)는 제1 전극(AE)의 적어도 일부분을 노출시킨다. 화소 정의막(PDL)의 개구부(OP)는 다른 개구부들과 구분하기 위해 발광 개구부로 명명된다.
표시패널(DP)은 발광영역(PXA)과 발광영역(PXA)에 인접한 비발광영역(NPXA)을 포함할 수 있다. 비발광영역(NPXA)은 발광영역(PXA)을 에워싸을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영역(PXA)은 발광 개구부(OP)에 의해 노출된 제1 전극(AE)의 일부영역에 대응하게 정의되었다.
정공 제어층(HCL)은 발광영역(PXA)과 비발광영역(NPXA)에 공통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정공 제어층(HCL)은 정공 수송층을 포함하고, 정공 주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공 제어층(HCL) 상에 발광층(EML)이 배치된다. 발광층(EML)은 발광 개구부(OP)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발광층(EML)은 화소들 각각에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발광층(EML)은 유기물질 및/또는 무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EML)은 소정의 유색 컬러광을 생성할 수 있다.
발광층(EML) 상에 전자 제어층(ECL)이 배치된다. 전자 제어층(ECL)은 전자 수송층을 포함하고, 전자 주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공 제어층(HCL)과 전자 제어층(ECL)은 오픈 마스크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화소들에 공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자 제어층(ECL) 상에 제2 전극(CE)이 배치된다. 제2 전극(CE)은 복수 개의 화소들에 공통적으로 배치된다.
제2 전극(CE) 상에 상부 절연층(TFL)이 배치된다. 상부 절연층(TFL)은 복수 개의 박막들(이하, 제1 박막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복수 개의 박막들을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박막 봉지층(TFE)과 캡핑층(CPL)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은 무기층/유기층/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CE)와 박막 봉지층(TFE) 사이에는 굴절률 조절층이 더 배치될 수 있고, 굴절률 조절층은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의 유기물질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단면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층(ISL)의 평면도이다.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층(ISL)의 평면도이다. 도 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층(ISL)의 평면도이다.
도 9a는 입력감지층(ISL)의 적층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표시패널(DP) 및 반사방지층(RPL)이 단순하게 도시되었다. 입력감지층(ISL)은 적어도 감지전극을 포함한다. 입력감지층(ISL)은 감지전극에 연결된 신호라인 및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또는 제2 박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감지층(ISL)은 예컨대, 정전용량 방식으로 외부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입력감지층(ISL)의 동작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입력감지층(ISL)은 전자기 유도방식 또는 압력 감지방식으로 외부입력을 감지할 수도 있다.
도 9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층(ISL)은 제1 도전층(IS-CL1), 제1 절연층(IS-IL1), 제2 도전층(IS-CL2), 및 제2 절연층(IS-IL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층(IS-CL1) 및 제2 도전층(IS-CL2) 각각은 단층구조를 갖거나, 제3 방향(DR3)을 따라 적층된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단층구조의 도전층은 금속층 또는 투명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층은 몰리브덴, 은, 티타늄, 구리, 알루미늄, 및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도전층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등과 같은 투명한 전도성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밖에 투명 도전층은 PEDOT과 같은 전도성 고분자, 금속 나노 와이어, 그라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층구조의 도전층은 다층의 금속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층의 금속층들은 예컨대 티타늄/알루미늄/티타늄의 3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층구조의 도전층은 적어도 하나의 금속층 및 적어도 하나의 투명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층(IS-CL1) 및 제2 도전층(IS-CL2) 각각은 복수 개의 패턴들을 포함한다. 이하, 제1 도전층(IS-CL1)은 제1 도전패턴들을 포함하고, 제2 도전층(IS-CL2)은 제2 도전패턴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제1 도전패턴들과 제2 도전패턴들 각각은 감지전극들 및 신호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층을 포함하는 감지전극들은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후술하는 것과 같이, 메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부 절연층(TFL)의 두께는 표시 소자층(DP-OLED)의 구성들에 의해 발생한 노이즈가 입력감지층(ISL)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조절될 수 있다. 제1 절연층(IS-IL1) 및 제2 절연층(IS-IL2) 각각은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절연층(IS-IL1) 및 제2 절연층(IS-IL2) 각각은 무기물 또는 유기물 또는 복합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IS-IL1) 및 제2 절연층(IS-IL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막은 알루미늄 옥사이드, 티타늄 옥사이드, 실리콘 옥사이드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지르코늄옥사이드, 및 하프늄 옥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IS-IL1) 및 제2 절연층(IS-IL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막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실록산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입력감지층(ISL)은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에 연결된 제1 신호라인들(SL1-1 내지 SL1-5),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 및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에 연결된 제2 신호라인들(SL2-1 내지 SL2-4)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입력감지층(ISL)은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과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 사이의 경계영역에 배치된 광학적 더미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과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은 서로 교차한다.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은 제1 방향(DR1)으로 나열되며, 각각이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형상이다. 뮤추얼 캡 방식 및/또는 셀프 캡 방식으로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구간 동안에 뮤추얼 캡 방식 외부 입력의 좌표를 산출한 후 제2 구간 동안에 셀프 캡 방식으로 외부 입력의 좌표를 재 산출할 수도 있다.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 각각은 제1 센서부들(SP1) 및 제1 연결부들(CP1)을 포함한다.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 각각은 제2 센서부들(SP2) 및 제2 연결부들(CP2)을 포함한다. 제1 센서부들(SP1) 중 제1 전극의 양단에 배치된 2개 제1 센서부들은 중앙에 배치된 제1 센서부 대비 작은 크기, 예컨대 1/2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2 센서부들(SP2) 중 제2 전극의 양단에 배치된 2개 제2 센서부들은 중앙에 배치된 제2 센서부 대비 작은 크기, 예컨대 1/2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9b에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과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을 도시하였으나, 그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과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은 센서부와 연결부의 구분이 없는 형상(예컨대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마름모 형상의 제1 센서부들(SP1)과 제2 센서부들(SP2)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1 센서부들(SP1)과 제2 센서부들(SP2)또 다른 다각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제1 감지전극 내에서 제1 센서부들(SP1)은 제2 방향(DR2)을 따라 나열되고, 하나의 제2 감지전극 내에서 제2 센서부들(SP2)은 제1 방향(DR1)을 따라 나열된다. 제1 연결부들(CP1) 각각은 인접한 제1 센서부들(SP1)을 연결하고, 제2 연결부들(CP2) 각각은 인접한 제2 센서부들(SP2)을 연결한다.
제1 신호라인들(SL1-1 내지 SL1-5)은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의 일단에 각각 연결된다. 제2 신호라인들(SL2-1 내지 SL2-4)은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의 양단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신호라인들(SL1-1 내지 SL1-5) 역시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의 양단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신호라인들(SL2-1 내지 SL2-4)은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의 일단에만 각각 연결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의 일단에만 각각 연결된 제2 신호라인들(SL2-1 내지 SL2-4)을 포함하는 입력감지층(ISL)에 대비하여 센싱 감도가 향상될 수 있다.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은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 대비 길이가 크기 때문에 검출신호(또는 송신신호)의 전압강하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센싱 감도가 저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의 양단에 연결된 제2 신호라인들(SL2-1 내지 SL2-4)을 통해 검출신호(또는 전송신호)를 제공하므로, 검출신호(또는 송신신호)의 전압 강하을 방지하여 센싱 감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제1 신호라인들(SL1-1 내지 SL1-5) 및 제2 신호라인들(SL2-1 내지 SL2-4)은 라인부(SL-L)와 패드부(SL-P)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드부(SL-P)는 패드영역(NDA-PD)에 정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신호라인들(SL1-1 내지 SL1-5) 및 제2 신호라인들(SL2-1 내지 SL2-4)은 별도로 제조되어 결합되는 회로기판 등에 의해 대체될 수도 있다.
도 9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도전층(IS-CL1)은 제1 연결부들(CP1)을 포함한다. 제2 도전층(IS-CL2)은 제1 센서부들(SP1) 및 제2 연결부들(CP2)을 포함한다. 제2 도전층(IS-CL2)은 미도시된 제2 센서부들(SP2)을 더 포함한다.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 각각은 일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센서부들(SP1)은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과 이격된다.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된 도전패턴들은 동일한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고, 동일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동일한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입력감지층(ISL)의 구성들의 적층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부 절연층(TFL) 상에 제1 센서부들(SP1) 및 제2 연결부(CP2)이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절연층(TFL) 상에 제1 센서부들(SP1) 및 제2 연결부(CP2)을 커버하는 제1 절연층(IS-IL1)이 배치된다. 제1 절연층(IS-IL1) 상에 배치된 제1 연결부(CP1)는 제1 연결 컨택홀들(CNT-I)을 통해 제1 센서부들(SP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9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 및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은 메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 및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이 메쉬 형상을 가짐으로써 제2 전극(CE, 도 8c 참조)과의 기생 커패시턴스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 및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은 발광영역(PXA)에 비중첩하므로 표시장치(DD)의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는다.
메쉬 형상의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 및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은 저온 공정이 가능한 은, 알루미늄, 구리, 크롬, 니켈, 티타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연속공정으로 입력감지층(ISL)을 형성하더라도 유기발광 다이오드 (OLED, 도 8c 참조)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 및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의 메쉬선들은 발광영역(PXA)에 대응하는 개구부들을 정의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d의 입력감지층(ISL)은 제1 도전층(IS-CL1) 및 제2 도전층(IS-CL2)를 포함하는 2층 도전층 구조의 정전용량 방식 터치센서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입력감지층(ISL)은 1층 도전층 구조를 포함하는 정전용량 방식 터치센서일 수도 있다.
1층 도전층 구조의 터치센서는 복수 개의 감지전극들(IE, 이하 감지전극들) 및 복수 개의 신호라인들(SL, 이하 신호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전극들은 고유의 좌표정보를 갖는다. 예컨대, 감지전극들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고, 신호라인들에 각각 연결된다. 감지전극들은 메쉬형상을 가질 수 있고, 셀프캡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WP: 윈도우패널 RPL: 반사방지층
ISL: 입력감지층 DP: 표시패널
OLED: 유기발광 다이오드 SGL: 신호라인
TFE: 박막 봉지층 RTD-U: 상부 리타더

Claims (20)

  1.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상에 직접 배치된 입력감지유닛;
    상기 입력감지유닛 상에 배치되고 편광자 및 상기 입력감지유닛과 상기 편광자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하부 리타더를 포함하는 반사방지유닛;
    상기 반사방지유닛 상에 배치되고, 4Gpa 내지 100GPa의 영스 모듈러스를 갖는 상부 리타더;
    상기 상부 리타더 상에 배치되고 550nm 파장에서 0nm 내지 500nm의 위상차를 갖는 베이스층을 포함하는 윈도우유닛; 및
    상기 입력감지유닛과 상기 윈도우유닛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접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감지유닛의 상면부터 상기 윈도우유닛의 상면까지의 두께는 130 ㎛ 내지 540 ㎛인 폴더블 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리타더의 두께는 1㎛ 내지 80 ㎛인 폴더블 표시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착부재의 두께는 5 ㎛ 내지 100 ㎛인 폴더블 표시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유닛의 두께는 30 ㎛ 내지 130 ㎛인 폴더블 표시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편광축은 상기 폴더블 표시장치의 폴딩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거나,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리타더는 정분산형 λ/2 리타더 및 정분산형 λ/4 리타더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축 및 상기 폴딩축에 직교하는 기준축이 정의하는 사분면 내에서 상기 정분산형 λ/2 리타더의 느린축과 상기 정분산형 λ/4 리타더의 느린축(slow axis)은 동일한 사분면에 정의된 폴더블 표시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리타더의 느린축과 상기 편광자의 상기 편광축의 사이각은 10도 내지 75도인 폴더블 표시장치.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리타더는 역분산형 λ/4 리타더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리타더의 느린축은 상기 편광자의 상기 편광축과 45도의 사이각을 이루는 폴더블 표시장치.
  9. 삭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편광축은 상기 폴더블 표시장치의 폴딩축과 45도의 사이각을 이루고,
    상기 하부 리타더는 역분산형 λ/4 리타더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11. 삭제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리타더는 550nm 파장에서 5000nm 내지 11000nm 이하의 위상차를 갖는 폴더블 표시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리타더 및 상기 하부 리타더 각각은 베이스층 및 상기 베이스층의 일면 상에 배향된 액정층을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발광소자들 및 상기 발광소자들을 커버하는 복수 개의 제1 박막들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감지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박막들 상에 배치된 도전패턴들 및 상기 도전패턴들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박막을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패턴들 중 적어도 일부는 메쉬 형상인 폴더블 표시장치.
  16.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직접 배치된 입력감지유닛을 포함하는 표시모듈;
    상기 표시모듈에 결합된 제1 접착부재;
    상기 제1 접착부재에 결합된 반사방지유닛;
    상기 반사방지유닛에 결합된 제2 접착부재;
    상기 제2 접착부재에 결합되고, 4Gpa 내지 100GPa의 영스 모듈러스를 갖는 상부 리타더;
    상기 상부 리타더에 결합된 제3 접착부재; 및
    상기 제3 접착부재에 결합되고, 550nm 파장에서 0nm 내지 500nm의 위상차를 갖는 윈도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방지유닛은 상기 제2 접착부재의 하측에 배치된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하측에 배치된 정분산형 λ/2 리타더, 정분산형 λ/4 리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부재의 하면부터 상기 윈도우유닛의 상면까지의 두께는 130 ㎛ 내지 540 ㎛인 폴더블 표시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편광축은 상기 폴더블 표시장치의 폴딩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거나,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18.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직접 배치된 입력감지유닛을 포함하는 표시모듈;
    상기 표시모듈에 결합된 제1 접착부재;
    상기 제1 접착부재에 결합된 반사방지유닛;
    상기 반사방지유닛에 결합된 제2 접착부재;
    상기 제2 접착부재에 결합되고, 4Gpa 내지 100GPa의 영스 모듈러스를 갖는 상부 리타더;
    상기 상부 리타더에 결합된 제3 접착부재; 및
    상기 제3 접착부재에 결합되고, 550nm 파장에서 0nm 내지 500nm 이하의 위상차를 갖는 윈도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방지유닛는 상기 제2 접착부재의 하측에 배치된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하측에 배치된 역분산형 λ/4 리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부재의 하면부터 상기 윈도우유닛의 상면까지의 두께는 130 ㎛ 내지 540 ㎛인 폴더블 표시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편광축은 상기 폴더블 표시장치의 폴딩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거나, 실질적으로 직교하거나, 실질적으로 45도의 사이각을 이루는 폴더블 표시장치.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유닛은 베이스층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층은 550nm 파장에서 위상차를 갖고, 상기 위상차는 500nm 이하인 폴더블 표시장치.
KR1020180102510A 2018-08-30 2018-08-30 폴더블 표시장치 KR102604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510A KR102604284B1 (ko) 2018-08-30 2018-08-30 폴더블 표시장치
US16/539,567 US11296305B2 (en) 2018-08-30 2019-08-13 Fold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retarder
EP19194251.5A EP3618121B1 (en) 2018-08-30 2019-08-29 Foldable display device
CN201910806671.XA CN110874985B (zh) 2018-08-30 2019-08-29 可折叠显示设备
JP2019157021A JP7379022B2 (ja) 2018-08-30 2019-08-29 フォルダブル表示装置
TW108131416A TWI833792B (zh) 2018-08-30 2019-08-30 可折疊式顯示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510A KR102604284B1 (ko) 2018-08-30 2018-08-30 폴더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370A KR20200026370A (ko) 2020-03-11
KR102604284B1 true KR102604284B1 (ko) 2023-11-21

Family

ID=67809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510A KR102604284B1 (ko) 2018-08-30 2018-08-30 폴더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296305B2 (ko)
EP (1) EP3618121B1 (ko)
JP (1) JP7379022B2 (ko)
KR (1) KR102604284B1 (ko)
CN (1) CN1108749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07716B2 (en) * 2019-03-25 2022-04-19 Young Fast Optoelectronics Co., Ltd. Capacitive touch glass structure
CN111416893B (zh) * 2020-03-13 2021-03-16 西安闻泰电子科技有限公司 可折叠屏幕和终端设备
KR20220014626A (ko) * 2020-07-29 2022-0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WO2022116039A1 (en) * 2020-12-02 2022-06-09 Boe Technology Group Co., Ltd. Cover for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USD977447S1 (en) * 2020-12-22 2023-02-07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with rollable display
KR20220092209A (ko) * 2020-12-24 2022-07-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220096621A (ko) * 2020-12-31 2022-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US11997868B2 (en) * 2021-01-05 2024-05-28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buffer filled indented glass region
CN113655907A (zh) * 2021-08-18 2021-11-16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触控面板、其制备方法及电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07177A (ja) * 2015-11-30 2017-06-15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20180081223A1 (en) * 2016-09-19 2018-03-22 Apple Inc. Optical Films for Electronic Device Displays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2796A (ja) * 2004-02-23 2005-10-06 Fuji Photo Film Co Ltd セルロースアシレートフィルム、光学補償フィルム、偏光板、及びそれら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05290346A (ja) * 2004-03-12 2005-10-20 Fuji Photo Film Co Ltd セルロースアシレートフィルム、偏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US20100188341A1 (en) * 2009-01-23 2010-07-29 Mitac Technology Corp. Display device and touch module thereof
US8952600B2 (en) 2011-09-16 2015-02-10 Konica Minolta, Inc. Circularly polarizing plate and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KR102055004B1 (ko) * 2012-12-21 2019-12-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5990128B2 (ja) 2013-05-01 2016-09-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2313990B1 (ko) * 2014-01-29 2021-10-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1735689B1 (ko) 2014-02-21 2017-05-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원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07545B1 (ko) * 2014-09-25 2021-01-2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판 일체형 터치 감지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그리고 그 제조 방법
WO2016085182A1 (en) * 2014-11-27 2016-06-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CN107430238B (zh) * 2015-03-31 2020-03-03 富士胶片株式会社 圆偏振片以及可弯曲的显示装置
KR20160118436A (ko) * 2015-04-01 2016-10-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42596B1 (ko) 2015-06-26 2021-1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0302828B2 (en) * 2015-07-27 2019-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film and display device
JP6567047B2 (ja) * 2015-09-03 2019-08-28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熱成形多層反射偏光子
KR102069286B1 (ko) * 2015-11-20 2020-01-2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494986B1 (ko) 2016-01-11 2023-0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KR102651055B1 (ko) * 2016-03-24 2024-03-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
WO2018034372A1 (ko) * 2016-08-19 2018-02-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보상 필름, 광학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US20180090720A1 (en) * 2016-09-27 2018-03-29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Flexible OLED Display Module
KR20180061485A (ko) * 2016-11-28 2018-06-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1995977B1 (ko) * 2016-11-28 2019-07-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562288B1 (ko) * 2016-12-02 2023-08-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077953A (ko) * 2016-12-29 2018-07-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표시장치
US10664676B2 (en) * 2017-06-12 2020-05-26 Will Semiconductor (Shanghai)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unwanted reflections in display systems incorporating an under display biometric sensor
JP2019158953A (ja) * 2018-03-08 2019-09-19 シャープ株式会社 円偏光板、表示装置、及び、積層型位相差板
KR20180057586A (ko) 2018-05-11 2018-05-3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07177A (ja) * 2015-11-30 2017-06-15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20180081223A1 (en) * 2016-09-19 2018-03-22 Apple Inc. Optical Films for Electronic Device Display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874985A (zh) 2020-03-10
JP7379022B2 (ja) 2023-11-14
EP3618121A1 (en) 2020-03-04
EP3618121B1 (en) 2024-04-24
CN110874985B (zh) 2023-08-18
JP2020034916A (ja) 2020-03-05
US20200075895A1 (en) 2020-03-05
TW202016621A (zh) 2020-05-01
US11296305B2 (en) 2022-04-05
KR20200026370A (ko) 2020-03-11
US20220052299A9 (en) 202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4284B1 (ko) 폴더블 표시장치
US1126443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80968B1 (ko) 광학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JP7416585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US20230104063A1 (en) Display device
US10890997B2 (en) Display device
US11209874B2 (en) Display device
TWI609309B (zh) 觸控偏光單元、可撓性觸控顯示裝置以及可撓性觸控顯示裝置之製造方法
EP3624196B1 (en) Display device
US20220109028A1 (en) Display device
CN114156315A (zh) 显示装置和用于该显示装置的光学检查方法
US20220057337A1 (en) Optical inspection device for optical performance test of display device and optical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
TWI833792B (zh) 可折疊式顯示裝置
US20230139767A1 (en) Display apparatus
US20230251748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20220336784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etecting defect of the same
TW202024883A (zh) 顯示裝置
KR20220144429A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