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8715A - 승화형 열전사 시트 - Google Patents

승화형 열전사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8715A
KR20170118715A KR1020177022127A KR20177022127A KR20170118715A KR 20170118715 A KR20170118715 A KR 20170118715A KR 1020177022127 A KR1020177022127 A KR 1020177022127A KR 20177022127 A KR20177022127 A KR 20177022127A KR 20170118715 A KR20170118715 A KR 20170118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e layer
dye
layer
resin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2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8352B1 (ko
Inventor
신야 요다
에미 마츠바
준페이 오오무라
겐조 하야시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18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8228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wo or more ink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1/00Ink ribbons; Renovating or testing ink rib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85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transferable dyes or pig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92Additives, other than colour forming substances, dyes or pigments, e.g. sensitisers, transfer promo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92Additives, other than colour forming substances, dyes or pigments, e.g. sensitisers, transfer promoting agents
    • B41M5/395Macromolecular additives, e.g. b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02Dye diffusion thermal transfer printing (D2T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30Thermal donors, e.g. thermal rib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36Backcoats; Back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4Multicolour thermography
    • B41M5/345Multicolour thermography by thermal transfer of dyes or pig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층과의 밀착성이 양호한 화상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화상 형성시에 있어서 염료층의 이형성이 양호한 승화형 열전사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는, 기재(1)의 한쪽 면에, 제1 염료층(3Y), 제2 염료층(3M), 제3 염료층(3C)이 이 순으로 면순차로 형성되고, 기재(1)의 다른쪽 면에 배면층(5)이 형성된 승화형 열전사 시트(10)로서, 제1 염료층(3Y), 제2 염료층(3M), 제3 염료층(3C)은, 각각 승화성 염료 및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고 있고, 실리콘 오일, 실리콘 변성 수지, 인산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이형제의 군을 제1 군으로 했을 때에, 제1 염료층 및 제2 염료층의 어느 한쪽의 염료층은, 제1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고, 다른 한쪽의 염료층은, 제1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및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함유하고, 제3 염료층은, (1) 상기 제1 군의 이형제를 함유하지 않거나, (2) 상기 제1 군의 이형제를 함유하고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그 총질량이, 상기 제3 염료층의 고형분 총질량에 대하여 0.3 질량% 이하로 되어 있는 것인 승화형 열전사 시트(10)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승화형 열전사 시트
본 발명은 승화형 열전사 시트에 관한 것이다.
간편한 인쇄 방법으로서, 여러가지 열전사 기록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각 열전사 기록 방법에 있어서, 컬러 화상을 얻는 경우에는, 연속된 기재 시트 위에, 예컨대 옐로우, 마젠타 및 시안(필요에 따라서 블랙)의 색재층을 면순차로 반복하여 다수 형성한 열전사 시트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열전사 기록 방법은, 가열에 의해 용융 연화된 색재층을, 열전사 수상(受像) 시트 위로 이행시켜 화상을 형성하는 열용융형 전사 방식과, 가열에 의해 색재층 중의 승화성 염료를 피전사체 위로 이행시켜 화상을 형성하는 승화형 열전사 방식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그 중에서도, 승화형 열전사 방식은, 열전사 시트에 인가하는 에너지량에 따라 염료의 이행량을 제어할 수 있어 농도 계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화상이 매우 선명하고, 또한 투명성, 중간조의 색재현성, 계조성이 우수하여 풀 컬러 사진 화상에 필적하는 고품질의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런데, 승화형 전사 방식은, 계조성 화상의 형성이 우수하지만, 화상의 형성에 이용되는 승화성 염료는 비교적 저분자량인 것이 많고, 또한 비히클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결점을 갖는다. 따라서, 최근, 승화형 전사 방식에 의해 형성된 화상 위에 보호층을 전사함으로써 화상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널리 시도되고 있다.
상기 승화형 열전사 방식을 이용한 화상 형성시에 있어서, 열전사 시트의 염료층과 열전사 수상 시트의 수용층의 이형성이 낮은 경우에는, 열전사 시트의 염료층이 열전사 수상 시트의 수용층에 접착하여, 화상 형성후에 염료층을 수용층으로부터 박리할 때, 박리음의 발생, 주행 불량, 박리선의 발생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 외에도, 수용층에 염료층이 접착하여 염료층이 층으로서 전사되어 버리는 이상 전사의 문제도 생길 수 있다.
또한, 화상에 내구성을 부여하기 위해, 승화형 열전사 방식에 의해 형성된 화상 위에 보호층을 전사하는 경우에 있어서, 형성된 화상과 보호층의 밀착성이 낮은 경우에는, 화상 위에 전사된 보호층의 일부 또는 전부가 박리되어 버리는 등의 문제도 생길 수 있다.
염료층과 수용층의 이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열전사 시트의 염료층 또는 열전사 수상 시트의 수용층에 각종 이형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되어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옐로우 염료층, 마젠타 염료층, 시안 염료층의 적어도 하나의 층에 이형제로서의 실리콘 수지를 함유시킨 열전사 시트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동문헌에는, 각 염료에 함유시키는 이형제의 각종 양태가 제안되어 있고, 각 염료층에 따라 이형제의 함유량을 바꾸는 양태나, 나중에 인화되는 염료층일수록 이형제의 함유량을 늘리는 양태, 즉, 이형제의 함유량이, 옐로우 염료층 < 마젠타 염료층 < 시안 염료층이 되도록 각 염료층에 이형제를 함유시키는 양태에 관해 제안되어 있다. 또한, 동문헌에는, 실리콘 수지 이외에, 염료층에 함유시킬 수 있는 이형제의 일례로서, 스테아르산아연, 스테아르산아미드, 실리콘 오일, 실리콘 수지, 실리콘 변성 수지 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제안되어 있는 바와 같은 열전사 시트를 이용하여, 옐로우 화상, 마젠타 화상, 시안 화상을 중첩한 중첩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모든 염료층에 상기에 제안되어 있는 이형제 등을 함유시킨 열전사 시트를 이용한 경우에는, 마지막에 중첩하여 형성되는 화상 중에(예컨대, 시안 염료층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시안 화상 중에) 이형제가 포함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형성이 우수한 이형제는, 화상 위에 보호층을 전사할 때의 밀착성을 저해시키기 쉽고, 단순히 이형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각 염료층에 이형제를 함유시킨 경우에는, 이형성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한편, 형성된 화상 위에 보호층을 전사했을 때의 화상과 보호층의 밀착성은 낮은 것이 된다. 즉, 염료층에 있어서, 수용층과의 이형성을 향상시키는 것과, 그 염료층을 이용하여 형성된 화상과 보호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트레이드오프의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특허문헌 1에 바람직한 양태로서 제안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나중에 인화되는 염료층일수록 이형제의 함유량을 늘리는 양태로 한 경우에는, 각 염료층의 승화성 염료를 이행시켜 중첩 화상을 형성했을 때에, 마지막에 중첩된 화상 중에는 이형제가 많이 포함되게 되어, 화상과 보호층의 밀착성을 충분히 만족시키는 것은 더욱 어려워진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46777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화상 형성시의 이형성이 양호하고, 또한 보호층과의 밀착성도 양호한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승화형 열전사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재의 한쪽 면에, 제1 염료층, 제2 염료층, 제3 염료층이 이 순으로 면순차로 형성되고, 상기 기재의 다른쪽 면에 배면층이 형성된 승화형 열전사 시트로서, 상기 제1 염료층, 상기 제2 염료층, 상기 제3 염료층은, 각각 승화성 염료 및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고 있고, 실리콘 오일, 실리콘 변성 수지, 인산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이형제의 군을 제1 군으로 했을 때에, 상기 제1 염료층 및 상기 제2 염료층의 어느 한쪽의 염료층은, 상기 제1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고, 다른 한쪽의 염료층은, 상기 제1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및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함유하고, 상기 제3 염료층은, (1) 상기 제1 군의 이형제를 함유하지 않거나, (2) 상기 제1 군의 이형제를 함유하고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그 총질량이, 상기 제3 염료층의 고형분 총질량에 대하여 0.3 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 염료층이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이 셀룰로오스계 수지가 알킬셀룰로오스 수지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제1 염료층 및 상기 제2 염료층의 양쪽의 염료층이, 상기 제1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제1 염료층 및 상기 제2 염료층의 어느 한쪽의 염료층이, 상기 제1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고 있고, 다른 한쪽의 염료층이,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제1 염료층이 옐로우 염료층이고, 상기 제2 염료층이 마젠타 염료층이며, 상기 제3 염료층이 시안 염료층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승화형 열전사 시트에 의하면, 화상 형성시의 이형성이 양호하고, 또한 보호층과의 밀착성도 양호한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승화형 열전사 시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승화형 열전사 시트(10)(이하, 일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라고 함)에 관해 도면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는, 기재(1)의 한쪽 면에, 제1 염료층(3Y), 제2 염료층(3M), 제3 염료층(3C)이 이 순으로 면순차로 형성되고, 기재(1)의 다른쪽 면에 배면층(5)이 형성된 구성을 채택한다. 제1 염료층(3Y), 제2 염료층(3M), 제3 염료층(3C)은, 각각 승화성 염료 및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고 있고, 염료층에 포함되는 승화성 염료는 염료층마다 색감이 상이하다.
일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를 이용한 화상 형성시에 있어서는, 제1 염료층(3Y), 제2 염료층(3M), 제3 염료층(3C)의 순으로 인화가 행해지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일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는, 승화형 열전사 방식에 이용되는 승화형 열전사 시트이며, 승화형 열전사 방식이란, 승화형 열전사 시트의 염료층에 포함되는 승화성 염료를 열전사 수상 시트의 수용층 위로 이행시킴으로써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방식이다.
그리고, 일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는, 실리콘 오일, 실리콘 변성 수지, 인산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이형제의 군을 제1 군으로 했을 때에, 제1 염료층(3Y) 및 제2 염료층(3M)은, 이형제로서 제1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및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함유하고 있고, 제3 염료층은, (1) 제1 군의 이형제를 함유하지 않거나, (2) 제1 군의 이형제를 함유하고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그 총질량이, 제3 염료층의 고형분 총질량에 대하여 0.3 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3 염료층(3C)은, 제1 군의 이형제를, 제3 염료층의 고형분 총질량에 대하여 0 질량% 이상 0.3 질량% 이하의 범위 내에서 함유하고 있다.
상기 특징을 갖는 일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에 의하면, 그 열전사 시트와 열전사 수상 시트를 조합하여, 열전사 수상 시트의 수용층 위에, 제1 염료층에 포함되는 승화성 염료를 이행시켜 「1차색의 화상」을 형성하는 1차색의 화상 형성 단계, 「1차색의 화상」 위에, 제2 염료층에 포함되는 승화성 염료를 이행시켜 「2차색의 화상」을 형성하는 2차색의 화상 형성 단계, 「2차색의 화상」 위에, 제3 염료층에 포함되는 승화성 염료를 이행시켜 「3차색의 화상」을 형성하는 3차색의 화상 형성 단계의 모든 화상 형성 단계에 있어서도, 수용층, 또는 먼저 형성된 화상과 염료층의 이형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 보호층이나 열용융성 잉크, 또는 피전사물(이하, 보호층을 중심으로 설명함)과의 밀착성이 양호한 「3차색의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일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는, 실리콘 오일, 실리콘 변성 수지 및 인산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이형제(이하, 실리콘 오일, 실리콘 변성 수지 및 인산에스테르를 총칭하여 「제1 군의 이형제」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의 군을 제1 군으로 했을 때에, 제1 염료층(3Y) 및 제2 염료층(3M)의 어느 한쪽의 염료층이 제1 군의 이형제를 함유하고, 다른 한쪽의 염료층이, 제1 군의 이형제 및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필수적인 조건으로 하고 있다. 즉, 일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는, 크게 이하의 3개의 형태로 나뉘어진다.
제1 형태 : 제1 염료층(3Y), 제2 염료층(3M)의 양쪽의 염료층이, 제1 군의 이형제를 함유하고 있는 형태.
제2 형태 : 제1 염료층(3Y)이 제1 군의 이형제를 함유하고 있고, 제2 염료층(3M)이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하고 있는 형태.
제3 형태 : 제1 염료층(3Y)이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하고, 제2 염료층(3M)이 제1 군의 이형제를 함유하고 있는 형태.
또한, 이들 각종 형태를 조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염료층(3Y) 및/또는 제2 염료층(3M)이, 제1 군의 이형제와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쌍방을 함유하고 있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일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는, 제1 염료층(3Y), 제2 염료층(3M)의 적어도 한쪽의 염료층이 제1 군의 이형제를 함유하고 있고, 다른 한쪽의 염료층이, 제1 군의 이형제 및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1차색의 화상」 및 「2차색의 화상」을 형성할 때의 염료층의 이형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 「2차색의 화상」 중에 제1 군의 이형제를 포함시키는 것에 의해, 「3차색의 화상」을 형성할 때의 염료층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군의 이형제인 실리콘 오일, 실리콘 변성 수지 및 인산에스테르는, 염료층에 매우 양호한 이형성을 부여할 수 있음과 함께, 이들 이형제는, 그 제1 군의 이형제를 포함하는 염료층을 이용하여 화상 형성을 행했을 때에, 승화성 염료와 함께, 상대방으로 이행되기 쉬운 성질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1 염료층(3Y)이, 제1 군의 이형제를 함유하고 있는 제1 형태, 제2 형태의 열전사 시트(10)에 의하면, 「1차색의 화상」을 형성했을 때에, 형성된 「1차색의 화상」 중에 제1 군의 이형제를 포함시킬 수 있다. 먼저 형성된 「1차색의 화상」 중에 포함되어 있는 제1 군의 이형제는, 「2차색의 화상」을 형성할 때의 이형성을 보완하는 보조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제2 염료층(3M)에 함유되어 있는 이형제와 맞물려, 「2차색의 화상」을 형성할 때의 「1차색의 화상」과 제2 염료층(3M)의 이형성을 보다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1차색의 화상」 중에 제1 군의 이형제를 포함시켜 놓음으로써, 「2차색의 화상」 중에도 이 제1 군의 이형제를 잔존시킬 수 있다. 「2차색의 화상」 중에 잔존하고 있는 이형제는, 「3차색의 화상」을 형성할 때의 이형성을 보완하는 보조적인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2차색의 화상」 중에 제1 군의 이형제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3차색의 화상」을 형성할 때의 「2차색의 화상」과 제3 염료층(3C)의 이형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특히, 제1 염료층(3Y), 제2 염료층(3M)의 쌍방이, 제1 군의 이형제를 함유하고 있는 제1 형태의 열전사 시트(10)에 의하면, 「1차색의 화상」 중에 제1 군의 이형제를 포함시킬 수 있고, 또한 「2차색의 화상」 중에는, 「1차색의 화상」 중에 포함되는 제1 군의 이형제와 함께, 제2 염료층(3M)에 함유되어 있는 제1 군의 이형제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 형태에 의하면, 「2차색의 화상」을 형성할 때의 「1차색의 화상」과 제2 염료층(3M)의 이형성을 더욱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형태의 열전사 시트(10)는, 제2 염료층(3M)도 제1 군의 이형제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2차색의 화상」을 형성했을 때에, 그 화상의 표면에 제1 군의 이형제를 많이 위치시킬 수 있다. 화상 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형제는, 화상의 표면에 위치하는 양이 많을수록, 다음 화상을 형성할 때의 이형성을 보완하는 보조적인 효과를 높일 수 있고, 따라서, 제1 형태의 열전사 시트에 의하면, 「3차색의 화상」을 형성할 때의 「2차색의 화상」과 제3 염료층(3C)의 이형성을 보다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형태의 열전사 시트는, 제1 염료층(3Y)이 제1 군의 이형제를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1차색의 화상」 중에 제1 군의 이형제를 포함시킬 수는 없지만, 제3 형태의 열전사 시트는, 「2차색의 화상」을 형성할 때에 이용되는 제2 염료층(3M)에, 이형성이 우수한 제1 군의 이형제가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염료층(3M)에 함유되어 있는 제1 군의 이형제의 작용에 의해, 「2차색의 화상」을 형성할 때의 「1차색의 화상」과 제2 염료층(3M)의 이형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2 염료층(3M)에 포함되는 제1 군의 이형제는, 형성된 「2차색의 화상」의 표면에 위치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따라서, 제3 형태에서의 제2 염료층(3M)과, 제2 형태에서의 제1 염료층(3Y)에 포함되는 제1 군의 이형제의 양이 동일하다고 가정한 경우에는, 제3 형태의 열전사 시트를 이용하여 형성된 「2차색의 화상」쪽이, 제2 형태의 열전사 시트를 이용하여 형성된 「2차색의 화상」보다, 그 표면에 위치하는 제1 군의 이형제의 양은 많아지는 경향이 있다. 「2차색의 화상」의 표면에 위치하는 제1 군의 이형제의 양이 많아짐에 따라서, 「3차색의 화상」을 형성할 때의 이형성은 향상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 점에서, 제3 형태의 열전사 시트는 바람직한 형태의 열전사 시트라고 할 수 있다.
즉, 제1 형태, 제2 형태 및 제3 형태의 열전사 시트에 의하면, 제1 군의 이형제를 포함하는 「1차색의 화상」을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제1 군의 이형제를 포함하지 않는 「1차색의 화상」을 형성한 경우라 하더라도, 「2차색의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제2 염료층(3M) 중에 제1 군의 이형제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2차색의 화상」을 형성할 때의 「1차색의 화상」과 제2 염료층(3M)의 이형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 형태, 제2 형태, 제3 형태의 열전사 시트에 의하면, 「2차색의 화상」 중에도 제1 군의 이형제가 포함되기 때문에, 이 제1 군의 이형제의 존재에 의해, 「2차색의 화상」 중에 제1 군의 이형제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3차색의 화상」을 형성할 때의 「2차색의 화상」과 제3 염료층(3C)의 이형성을 보다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 염료층(3Y)에는, 이형성이 양호한 제1 군의 이형제(상기 제1 형태, 제2 형태), 또는 염료층에 이형성을 부여할 수 있는 셀룰로오스계 수지(상기 제3 형태)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1차색의 화상」을 형성할 때의 수용층과 제1 염료층(3Y)의 이형성도 만족시킬 수 있다.
또, 상세한 메커니즘은 명확하지 않지만, 예컨대, 제2 형태의 열전사 시트의 제2 염료층(3M), 제3 형태의 열전사 시트의 제1 염료층(3Y)에 있어서,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시키지 않고, 다른 수지, 예컨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나 폴리비닐부티랄 수지를 함유시킨 경우에는, 「2차색의 화상」이나 「3차색의 화상」을 형성할 때의 이형성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는 없다.
제1 군의 이형제의 하나인 실리콘 오일은, 분자 구조 내에 실록산 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제1 군의 이형제의 하나인 실리콘 변성 수지는, 그 분자의 일부에 폴리실록산기를 갖는 수지이며, 예컨대 폴리실록산기 함유 비닐 모노머와 다른 종류의 비닐 모노머의 공중합, 열가소성 수지와 반응성 실리콘의 반응 등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실리콘 변성 수지로는, 열가소성 수지와 폴리실록산기 함유 비닐 모노머를 블록 공중합시키는 방법, 열가소성 수지와 폴리실록산기 함유 비닐 모노머를 그라프트 공중합시키는 방법, 또는 열가소성 수지에 반응성 실리콘을 반응시키는 방법에 의해 조제한 것을 들 수 있다. 실리콘 변성 수지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는, 예컨대 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등이 바람직하다.
반응성 실리콘이란, 주쇄에 폴리실록산 구조를 가지며, 한쪽 말단 또는 양쪽 말단에 열가소성 수지의 작용기와 반응하는 반응성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이다. 상기 반응성 작용기로는, 아미노기, 수산기, 에폭시기, 비닐기, 카르복실기 등을 들 수 있다.
제1 군의 이형제의 하나인 인산에스테르는, 유기 인화합물 중, 인산과 알콜이 탈수 축합한 에스테르를 의미한다. 인산에스테르로는, 예컨대 (1) 탄소수 6∼20의 포화 또는 불포화 고급 알콜의 인산모노에스테르 또는 디에스테르, (2)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 또는 폴리옥시알킬렌알킬알릴에테르의 인산모노에스테르 또는 디에스테르, (3) 상기 포화 또는 불포화 고급 알콜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평균 부가 몰수 1∼8)의 인산모노에스테르 또는 디에스테르, (4) 탄소수 8∼12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페놀 또는 알킬나프톨의 인산모노에스테르 또는 디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1) 및 (3)에서의 포화 또는 불포화 고급 알콜로는, 예컨대 세틸알콜, 스테아릴알콜, 올레일알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3)에서의 알킬페놀로는, 노닐페놀, 도데실페놀, 디페닐페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도공액은, 1종의 인산에스테르만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고, 2종 이상의 인산에스테르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일례로는, 이하의 화학식(i)로 표시되는 인산디에스테르나, 화학식(ii)로 표시되는 인산모노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Figure pct00001
(화학식(i) 중의 R은, 탄소수가 1~6인 알킬기이며, n은 1~6이다.)
Figure pct00002
(화학식(ii) 중의 R은, 탄소수가 1~6인 알킬기이며, n은 1~12이다.)
셀룰로오스계 수지로는, 예컨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수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수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수지, 아세트산셀룰로오스 수지, 니트로셀룰로오스 수지, 알킬셀룰로오스 수지, 히드록시셀룰로오스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알킬셀룰로오스 수지, 특히 에틸셀룰로오스 수지는, 그 외의 셀룰로오스계 수지와 비교하여, 염료층에 높은 이형성을 부여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한 셀룰로오스계 수지라고 할 수 있다.
형성되는 화상을 중첩하여 「3차색의 화상」을 형성할 때의 이형성에 관해 착안하면, 「1차색의 화상」을 형성할 때의 염료층의 이형성보다, 「2차색의 화상」, 「3차색의 화상」을 형성할 때가, 화상 형성시의 염료층의 이형성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최초의 화상 형성시, 즉 「1차색의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에 있어서는, 열전사 시트의 수용층이 가소화하지 않아, 제1 염료층에 이형제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라 하더라도, 제1 염료층과 수용층의 이형성을 어느 정도 만족시킬 수 있는 것에 의한 것으로 추찰된다. 한편, 수용층측으로 이행한 승화성 염료, 즉 먼저 형성된 화상과, 열전사 시트의 염료층은, 이형성의 상성이 나빠, 각 염료층에 관해 이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아무런 대책도 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2차색의 화상」을 형성할 때의 「1차색의 화상」과 제2 염료층(3M)의 이형성을 만족시킬 수는 없다. 마찬가지로, 「3차색의 화상」을 형성할 때의 「2차색의 화상」과 제3 염료층(3C)의 이형성을 만족시킬 수는 없다.
상기 제2 형태의 열전사 시트의 제1 염료층(3Y), 제3 형태의 열전사 시트의 제2 염료층(3M)에서의 제1 군의 이형제의 함유량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2차색의 화상」에 포함시키는 제1 군의 이형제의 이행량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형성이나, 보호층과의 밀착성을 한층 더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제1 군의 이형제를 함유하고 있는 염료층의 고형분 총질량에 대한 제1 군의 이형제의 총질량은, 0.5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범위의 함유량으로 함으로써, 「2차색의 화상」 중에 충분한 양의 제1 군의 이형제를 포함시킬 수 있고, 「3차색의 화상」을 형성할 때의 이형성을 보다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3차색의 화상」과 보호층의 밀착성을 보다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염료층(3Y) 및 제2 염료층(3M)의 어느 한쪽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1차색의 화상」과, 보호층의 밀착성도 보다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제2 형태의 열전사 시트의 제2 염료층(3M), 제3 형태의 열전사 시트의 제1 염료층(3Y)에서의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함유량에 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하는 염료층의 고형분 총질량에 대한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함유량은, 2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2 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하는 염료층의 이형성이 저하되어 가는 경향이 있고, 한편, 50 질량%를 넘으면, 다른 임의의 성분의 함유량에 따라서는, 승화성 염료의 함유량이 적어져, 형성되는 화상의 농도가 저하되어 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염료의 석출도 발생하기 쉬워져, 미인화 영역에 대한 염료 부착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특히 바람직한 함유량은, 제2 형태의 열전사 시트의 제2 염료층(3M), 제3 형태의 열전사 시트의 제1 염료층(3Y)의 고형분 총질량에 대하여 30 질량% 이하이고, 나아가 10 질량% 이하이다.
한편, 상기 제1 형태의 열전사 시트(10)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제1 염료층(3Y) 및 제2 염료층(3M)에 포함되는 제1 군의 이형제의 양은, 제1 염료층(3Y)으로부터 이행하여 최종적으로 「2차색의 화상」에 포함되는 제1 군의 이형제의 양 및 제2 염료층(3Y)으로부터 이행하여 「2차색의 화상」에 포함되는 제1 군의 이형제의 양의 합계량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형성이나, 보호층과의 밀착성을 한층 더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양쪽의 염료층에 함유되어 있는 제1 군의 이형제의 합계의 질량은, 제1 염료층(3Y)과 제2 염료층(3M)의 합계의 고형분 총질량에 대하여 0.5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는, 제1 염료층(3Y)의 고형분 총질량에 대한 제1 군의 이형제의 함유량이, 0.5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의 범위 내이고, 제2 염료층(3M)의 고형분 총질량에 대한 제1 군의 이형제의 함유량이, 0.5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제1 형태의 열전사 시트에 의하면, 「3차색의 화상」을 형성할 때의 이형성을 보다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3차색의 화상」과 보호층의 밀착성을 보다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 「1차색의 화상」 및 「2차색의 화상」을 형성할 때의 이형성이나, 「1차색의 화상」, 「2차색의 화상」과 보호층의 밀착성도 보다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제2 형태의 열전사 시트의 제2 염료층(3M), 제3 형태의 열전사 시트의 제1 염료층(3Y)은, 바인더 수지로서,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다른 바인더 수지와 병용할 수도 있다. 다른 바인더 수지를 병용하는 경우에는, 제2 형태의 열전사 시트의 제2 염료층(3M)이나, 제3 형태의 열전사 시트의 제1 염료층(3Y)의 면질을 양호한 것으로 하기 위해, 예컨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 명세서에서의 폴리비닐부티랄 수지란, 폴리비닐알콜 수지에 부틸알데히드를 반응시켜 아세탈화한 것이며, 아세탈화된 구조 단위에 있어서 부티랄기인 비율이 높고, 전체 아세탈화도에 대한 부티랄화도의 비율(부티랄화/전체 아세탈화)이, 바꾸어 말하면, 아세탈화된 구조 단위의 전체 몰수에 대하여 부틸알데히드가 이용되어 부티랄화된 구조 단위의 몰수의 비율이, 50% 이상 100%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폴리비닐부티랄 수지는 부티랄화도가 60% 이상이다.
또한, 상기 각종 형태의 열전사 시트의 제1 염료층(3Y), 제2 염료층(3M)은, 제1 군의 이형제 및/또는 셀룰로오스계 수지와 함께, 다른 이형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다른 이형제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왁스, 아미드 왁스, 테플론(등록상표) 파우더 등의 고형 왁스, 불소계의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그런데, 제1 군의 이형제는, 염료층 중에 함유시키는 것에 의해, 수용층 또는 형성된 화상과의 이형성을 매우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 한편, 화상 위에 보호층을 전사했을 때에 화상과 보호층의 밀착성을 저해한다는 결점을 갖는다. 일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에 있어서는, 「3차색의 화상」의 표면에, 제3 염료층(3C)을 이용하여 형성된 화상이 위치하기 때문에, 제3 염료층(3C)에 제1 군의 이형제를 많이 함유시킨 경우에는, 「3차색의 화상」의 표면에 많은 제1 군의 이형제가 위치하게 되어, 「3차색의 화상」 위에 보호층을 전사했을 때에, 그 「3차색의 화상」과 보호층의 밀착성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없다.
따라서, 일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는, 제3 염료층(3C)이, (1) 제1 군의 이형제를 함유하지 않거나, (2) 제1 군의 이형제를 함유하고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그 총질량이 제3 염료층의 고형분 총질량에 대하여 0.3 질량% 이하인 것을 조건으로 하고 있다. 이 조건 (1), (2) 중의 어느 것을 만족시키는 제3 염료층(3C)에 의하면, 「3차색의 화상」을 형성했을 때에, 그 「3차색의 화상」의 표면에 제1 군의 이형제를 존재시키지 않거나, 또는 존재하고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그 양을 매우 작게 할 수 있다. 즉, 일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에 의하면, 보호층과의 밀착성이 양호한 「3차색의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조건(2)에서는, 제1 군의 이형제의 함유량이, 제3 염료층(3C)의 고형분 총질량에 대하여 0.3 질량% 이하인 것을 조건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은, 제3 염료층(3C)에서의 제1 군의 이형제의 함유량이 0.3 질량%를 넘은 경우에는, 「3차색의 화상」 위에 보호층을 전사했을 때에 「3차색의 화상」과 보호층의 밀착성이 낮아지는 것에 의한다.
보다 바람직한 형태의 열전사 시트(10)는, 조건(1) 또는 (2)를 만족시키는 제3 염료층(3C)이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하고 있다. 셀룰로오스계 수지는, 그 자체가 염료층에 이형성을 부여할 수 있는 수지로서 작용함과 함께, 그 셀룰로오스계 수지는, 「3차색의 화상」 형성시에 있어서 그 「3차색의 화상」측, 즉 수용층측으로 이행하지 않기 때문에, 「3차색의 화상」 위에 보호층을 전사한 경우에 있어서 「3차색의 화상」과 보호층의 밀착성을 방해하지도 않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동일한 이유에 의해, 셀룰로오스계 수지로는, 알킬셀룰로오스 수지, 특히 에틸셀룰로오스 수지가 바람직하다.
제3 염료층(3C)에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시키는 경우에 있어서의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함유량은, 제3 염료층(3C)의 고형분 총질량에 대하여 2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2 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하는 염료층의 이형성이 저하되어 가는 경향이 있는 한편, 50 질량%를 넘으면, 그 만큼 바인더 수지나 승화성 염료의 함유량이 적어져, 형성되는 화상의 농도가 저하되어 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염료의 석출도 발생하기 쉬워져, 미인화 영역에 대한 염료 부착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특히 바람직한 함유량은, 제3 염료층(3C)의 고형분 총질량에 대하여 30 질량% 이하이고, 나아가 10 질량% 이하이다.
셀룰로오스계 수지는, 제3 염료층(3C)에서의 바인더 수지로서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다른 바인더 수지와 병용할 수도 있다. 특히, 바인더 수지의 총질량에 대한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함유량을 많게 함으로써, 제3 염료층(3C)의 이형성을 보다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바인더 수지의 총질량에 대하여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함유량은 5 질량% 이상이다.
또한, 제3 염료층(3C)이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제3 염료층(3C)의 면질을 양호한 것으로 하기 위해, 셀룰로오스계 수지와 함께, 예컨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 염료층(3C)에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시키는 것에 더하여, 또는 제3 염료층(3C)에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시키는 것에 더하여, 제1 군의 이형제와는 상이한 이형제를 함유함으로써, 「2차색의 화상」과 제3 염료층(3C)의 이형성을 한층 더 향상시키는 것을 도모할 수도 있다. 제1 군의 이형제와는 상이한 이형제로는, 상기에서 설명한 「다른 이형제」 등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왁스계의 이형제 등은, 제3 염료층(3C)을 이용한 「3차색의 화상」 형성시에 있어서, 그 「3차색의 화상」측, 즉 수용층측으로 이행하지 않기 때문에, 「3차색의 화상」 위에 보호층을 전사한 경우에 있어서, 「3차색의 화상」과 보호층의 밀착성을 방해하지도 않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제3 염료층(3C)에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시키는 것 대신에, 제1 군의 이형제와는 상이한 이형제를 함유시키는 경우에 있어서의 제1 군의 이형제와는 상이한 이형제의 바람직한 함유량은, 제3 염료층의 고형분 총질량에 대하여 2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의 범위 내이다.
이상을 정리하면, 제1 형태, 제2 형태, 제3 형태의 열전사 시트(10)는, 먼저 형성된 「1차색의 화상」에 포함되는 제1 군의 이형제, 또는, 제2 염료층(3M)에 포함되는 제1 군의 이형제에 의해, 「2차색의 화상」을 형성할 때의 「1차색의 화상」과 제2 염료층(3M)의 이형성을 양호한 것으로 하고, 또한, 상기 조건 (1), (2)로 함으로써 제3 염료층(3C) 자체가 갖는 이형성의 부족분을, 「2차색의 화상」에 포함시킨 제1 군의 이형제에 의해 보완하여, 「3차색의 화상」을 형성할 때의 「2차색의 화상」과 제3 염료층(3C)의 이형성을 양호한 것으로 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제3 형태의 열전사 시트(10)는, 「1차색의 화상」, 「2차색의 화상」, 「3차색의 화상」을 형성할 때의 이형성, 및 「3차색의 화상」과 보호층의 밀착성이 특히 양호해지는 점에서, 보다 바람직한 형태의 열전사 시트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일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를 구성하는 각 염료층에 관해 일례를 들어 설명한다. 일반적인 승화형 열전사 시트는, 기재의 동일면 위에 옐로우 염료층, 마젠타 염료층, 시안 염료층이 이 순으로 면순차로 형성되고 있고,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순으로 인화가 행해진다.
이하, 각 염료층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염료층(3Y)이 옐로우의 승화성 염료를 포함하는 옐로우 염료층이고, 제2 염료층(3M)이 마젠타의 승화성 염료를 포함하는 마젠타 염료층이며, 제3 염료층(3C)이 시안의 승화성 염료를 포함하는 시안 염료층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 일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에서의 염료층의 배치는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 임의의 배치로 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염료층(3Y)을 마젠타 염료층 또는 시안 염료층으로 해도 좋고, 제2 염료층(3M)을 옐로우 염료층 또는 시안 염료층으로 해도 좋고, 제3 염료층(3C)을 옐로우 염료층 또는 마젠타 염료층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옐로우 염료층, 마젠타 염료층, 시안 염료층의 전부 또는 일부의 염료층을, 임의의 색상의 염료층으로 치환할 수도 있다.
(옐로우 염료층, 마젠타 염료층, 시안 염료층)
제1 염료층(3Y)으로서의 옐로우 염료층은, 옐로우의 승화성 염료, 바인더 수지 및 이형제로서의 제1 군의 이형제 또는 이형제로서의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하고 있다. 또한, 제2 염료층(3M)으로서의 마젠타 염료층은, 마젠타의 승화성 염료, 바인더 수지 및 이형제로서의 제1 군의 이형제 또는 이형제로서의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하고 있다. 또한, 제3 염료층(3C)으로서의 시안 염료층은, 시안의 승화성 염료,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옐로우 염료층, 마젠타 염료층의 어느 하나의 염료층은, 제1 군의 이형제를 함유하고 있고, 다른 하나의 염료층은, 제1 군의 이형제 및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시안 염료층은, (1) 제1 군의 이형제를 함유하지 않거나, (2) 제1 군의 이형제를 함유하고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그 함유량이, 시안 염료층의 고형분 총질량에 대하여 0.3 질량% 이하로 되어 있다.
각 염료층이 함유하고 있는 승화성 염료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충분한 착색 농도를 가지며, 광, 열, 온도 등에 의해 변색, 퇴색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승화성 염료로는, 예컨대 디아릴메탄계 염료, 트리아릴메탄계 염료, 티아졸계 염료, 메로시아닌 염료, 피라졸론 염료, 메틴계 염료, 인도아닐린계 염료, 아세토페논아조메틴, 피라졸로아조메틴, 이미다졸아조메틴, 이미다조아조메틴, 피리돈아조메틴 등의 아조메틴계 염료, 크산텐계 염료, 옥사진계 염료, 디시아노스티렌, 트리시아노스티렌 등의 시아노스티렌계 염료, 티아진계 염료, 아진계 염료, 아크리딘계 염료, 벤젠아조계 염료, 피리돈아조, 티오펜아조, 이소티아졸아조, 피롤아조, 피라졸아조, 이미다졸아조, 티아디아졸아조, 트리아졸아조, 디스아조 등의 아조계 염료, 스피로피란계 염료, 인돌리노스피로피란계 염료, 플루오란계 염료, 로다민락탐계 염료, 나프토퀴논계 염료, 안트라퀴논계 염료, 퀴노프탈론계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MSRed G(미쯔이도아츠화학사 제조), Macrolex Red Violet R(바이엘사 제조), CeresRed 7B(바이엘사 제조), Samaron Red F3BS(미쯔비시화학사 제조) 등의 적색 염료, 포론 브릴리언트 옐로우 6GL(클라리언트사 제조), PTY-52(미쯔비시화성사 제조), 마크로렉스 옐로우 6G(바이엘사 제조) 등의 황색 염료, 카야셋트 블루 714(니혼화약사 제조), 왁솔린 블루 AP-FW(ICI사 제조), 포론 브릴리언트 블루 S-R(샌드사 제조), MS 블루 100(미쯔이도아츠화학사 제조), C.I. 솔벤트 블루 22 등의 청색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또, 일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의 각 염료층에 포함되는 승화성 염료는, 상기에서 예시한 것에 의해 어떠한 한정도 되는 것이 아니며, 그 외의 어떠한 승화성 염료도 사용 가능하다.
제1 군의 이형제를 함유하는 염료층, 구체적으로는, 제1 형태의 열전사 시트에서의 제1 염료층(3Y), 제2 염료층(3M), 제2 형태의 열전사 시트에서의 제1 염료층(3Y), 제3 형태의 열전사 시트에서의 제2 염료층(3M)이 함유하고 있는 바인더 수지에 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느 정도의 내열성을 가지며, 승화성 염료와 적당한 친화성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바인더 수지로는, 예컨대 에틸셀룰로오스 수지,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수지, 에틸히드록시셀룰로오스 수지, 메틸셀룰로오스 수지, 아세트산셀룰로오스 수지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비닐알콜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 수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비닐계 수지,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예컨대, 제1 군의 이형제와,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하는 염료층으로 할 수도 있다.
염료층에 함유되어 있는 승화성 염료의 함유량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인화 농도나 보존성 등을 고려하여, 사용되는 승화성 염료나 바인더 수지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하면 된다. 예컨대, 각 염료층에서의 승화성 염료의 함유량은, 각 염료층에 함유되어 있는 바인더 수지의 고형분 총질량에 대하여 15 질량% 이상 30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염료층은, 원한다면 무기 미립자, 유기 미립자 등의 각종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무기 미립자로는, 카본 블랙, 알루미늄, 이황화몰리브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각 염료층은, 이소시아네이트, 에폭시 수지, 카르보디이미드 등의 각종 경화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즉, 바인더 수지를 경화제에 의해 경화시킨 경화형의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각 염료층의 두께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각각 0.2 ㎛∼2.0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염료층(3Y), 제2 염료층(3M), 제3 염료층(3C)의 형성 방법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승화성 염료, 바인더 수지, 기타 필요에 따라서 첨가되는 임의의 성분을 적당한 용매에 분산 또는 용해시킨 각 도공액을, 그라비아 인쇄법, 그라비아판을 이용한 리버스 롤 코팅법, 롤 코터, 바 코터 등의 종래의 공지된 도공 수단에 의해, 기재(1) 위에 도공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제1 염료층 및 제2 염료층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염료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공액에는 상기 제1 군의 이형제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제3 염료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공액에 셀룰로오스계 수지가 포함되어 있다.
(열전사 시트의 기재)
기재(1)는, 어느 정도의 내열성과 강도를 갖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종래의 공지된 재료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재(1)로서, 예컨대 0.5 ㎛∼50 ㎛, 바람직하게는 1 ㎛∼10 ㎛ 정도의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1,4-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 폴리페니렌술피드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술폰 필름, 아라미드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비닐알콜 필름, 셀로판, 아세트산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나일론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아이오노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재료는 각각 단독으로도 사용할 수 있지만, 다른 재료와 조합한 적층체로서 사용해도 좋다.
또한, 기재(1)는, 제1 염료층(3Y), 제2 염료층(3M), 제3 염료층(3C)이 형성되는 측의 면에 접착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접착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기재(1)와 각 염료층, 또는 기재(1)와 각 염료층 사이에 형성되는 임의의 층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접착 처리로는, 예컨대 코로나 방전 처리, 화염 처리, 오존 처리, 자외선 처리, 방사선 처리, 조면화 처리, 화학 약품 처리, 플라즈마 처리, 저온 플라즈마 처리, 프라이머 처리, 그라프트화 처리 등 공지된 수지 표면 개질 기술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처리를 2종 이상 병용할 수도 있다.
(염료 프라이머층)
도 1에 나타내는 형태의 열전사 시트는, 기재(1)의 한쪽 면과, 제1 염료층(3Y), 제2 염료층(3M), 제3 염료층(3C)이 직접적으로 접하는 형태로 되어 있지만, 기재(1)와 이들 염료층(3Y, 3M, 3C) 사이에 염료 프라이머층(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 염료 프라이머층은, 일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에서의 임의의 구성이다. 염료 프라이머층을 형성함으로써 기재(1)와 각 염료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염료 염착성이 낮은 재료를 염료 프라이머층으로서 사용함으로써, 염료 프라이머층이 없을 때와 비교해서 인화 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염료 프라이머층을 구성하는 수지로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지, 폴리비닐알콜 수지,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스티렌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아크릴아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이나 폴리비닐부티랄 등의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염료 프라이머층을 콜로이드형 무기 안료 초미립자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화상 형성시에 있어서, 각 염료층으로부터 염료 프라이머층측으로 승화성 염료가 이행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전사 수상 시트의 수용층측으로의 염료 확산을 유효하게 행할 수 있어, 인화 농도가 높은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콜로이드형 무기 안료 초미립자로서, 종래의 공지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실리카(콜로이드성 실리카), 알루미나 또는 알루미나 수화물(알루미나졸, 콜로이드성 알루미나, 양이온성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그 수화물, 유사 보에마이트 등),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산화티탄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콜로이드성 실리카, 알루미나졸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들 콜로이드형 무기 안료 초미립자의 크기는, 일차 평균 입경으로 100 nm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nm 이하에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료 프라이머층은, 상기에서 예시한 수지나 콜로이드형 무기 안료 초미립자를 적당한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한 염료 프라이머층용 도공액을, 그라비아 코팅법, 롤 코트법, 스크린 인쇄법, 그라비아판을 이용한 리버스 롤 코팅법 등의 종래부터 공지된 형성 수단에 의해 도공ㆍ건조시켜 형성할 수 있다. 염료 프라이머층용 도공액의 도공량은 0.02 g/㎡ 이상 1.0 g/㎡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배면층)
기재(1)의 다른쪽 면 위에는 배면층(5)이 형성되어 있다. 배면층(5)을 구성하는 바인더 수지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의 공지된 열가소성 수지 등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로는, 예컨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 스티렌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아크릴아미드 수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등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 이들의 실리콘 변성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배면층(5)은, 서멀 헤드와의 슬라이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활제가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활제는 배면층(5)에서의 임의의 구성이다. 활제로는, 예컨대, 알킬인산에스테르의 다가 금속염, 인산에스테르, 지방산에스테르, 금속 비누, 왁스, 그래파이트 파우더, 불소 변성 그라프트 폴리머, 불소 변성 블록 폴리머, 실리콘 오일, 실리콘 변성 그라프트 폴리머, 실리콘 변성 블록 폴리머 등의 실리콘 중합체 등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활제 성분 중에서도, 본 발명에서는, 인산에스테르, 지방산에스테르, 금속 비누, 왁스를 특히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금속 비누로는, 예컨대 지방산의 다가 금속염, 알킬카르복실산의 금속염 등을 들 수 있고, 플라스틱용 첨가제로서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스테아르산아연 및/또는 스테아릴인산아연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인산에스테르로는, 상기 1군의 이형제의 하나로서 설명한 인산에스테르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배면층(5)의 형성 방법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바인더 수지, 필요에 따라서 첨가되는 활제 등을 적당한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한 도공액을, 그라비아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그라비아판을 이용한 리버스 롤 코팅법 등의 공지된 도공 수단을 이용하여 기재(1) 위에 도공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도공액의 조제에 이용되는 용매로는, 예컨대, 물, 톨루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디메틸포름아미드,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에틸렌글리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등을 들 수 있다.
(배면 프라이머층)
또한, 기재(1)와 배면층(5) 사이에 배면 프라이머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배면 프라이머층은, 기재(1)와 배면층(5)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층이며, 임의의 층이다. 배면 프라이머층으로서,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폴리비닐알콜 수지,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열전사 시트(10)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취지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형 양태를 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나타내는 구성에 있어서, 기재(1)의 동일면 위에 각 염료층과, 도시하지 않는 전사성 보호층을 면순차로 형성한 일체형의 열전사 시트로 해도 좋다. 또한, 기재(1)와 전사성 보호층 사이에 이형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3차색의 화상」 위에 보호층을 전사할 때의, 화상과 보호층의 밀착성을 중심으로 설명했지만, 일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에 의하면, 보호층 이외의 피대상물이나, 화상과의 밀착성이 양호한 「3차색의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블랙의 용융 착색층을 용융 전사함으로써 형성되는 블랙 화상과의 밀착성이 양호한 「3차색의 화상」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중간 전사 매체의 수용층 위에 「3차색의 화상」을 형성한 경우에는, 그 「3차색의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을 카드 기재 등의 피전사물에 전사할 때의 수용층과 카드 기재 등과의 밀착성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열전사 수상 시트의 수용층 위에 각 색의 화상을 형성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했지만, 각 색의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피전사물에 관해서는 전혀 한정되지 않고, 열전사 수상 시트 대신에, 전사 가능한 수용층을 구비하는 중간 전사 매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일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를 이용한 중간 전사 매체의 수용층에 대한 화상의 형성은, 피전사물 위에 중간 전사 매체의 수용층을 전사하고, 전사된 수용층 위에 화상을 형성해도 좋고, 중간 전사 매체의 수용층 위에 화상을 형성한 후에, 그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을 피전사물 위에 전사할 수도 있다. 중간 전사 매체의 수용층이 전사되는 피전사물로는, 보통지, 상질지, 트레이싱 페이퍼, 플라스틱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열전사 수상 시트로는, 다른 기재의 한쪽 면에 수용층이 형성된 구성을 채택하는 종래의 공지된 열전사 수상 시트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열전사 시트의 각 염료층측에, 화상 형성시의 이형성을 양호한 것으로 하는 대책이 취해졌기 때문에, 피전사물, 예컨대 수용층의 재료에 상관없이 수용층 위에 이형성 좋게 화상 형성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기재 위에, 제1 염료층, 제2 염료층, 제3 염료층이 이 순으로 면순차로 형성된 승화형 열전사 시트에 관해 설명했지만, 복수의 염료층, 예컨대 기재 위에, 제1 염료층, 제2 염료층, 제3 염료층ㆍㆍㆍ제(n-1) 염료층, 제n 염료층이 이 순으로 면순차로 형성된 승화형 열전사 시트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n 염료층이 상기에서 설명한 제3 염료층의 조건을 만족시키고, 또한 그 외의 염료층이 상기 제1 염료층, 제2 염료층의 조건을 만족시키면 된다. 즉, 마지막의 화상 형성에 이용되는 염료층이 제3 염료층의 조건을 만족시키고, 그 외의 화상 형성에 이용되는 염료층이 상기 제1 염료층, 제2 염료층의 조건을 만족시키면 된다. 이 형태의 승화형 열전사 시트에 의해서도, 보호층 등과의 밀착성이 양호한 화상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화상 형성시의 염료층의 이형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서는,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부」 및 「%」는 질량 기준이다. 또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부」 및 「%」는 고형분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Mn은, JIS K7252-1 : 2008에 준거하여, GPC에 의해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한 수평균 분자량을 의미하고, Tg는, JIS K7121 : 2012에 준거하여, DSC(시차 주사 열량 측정)에 의한 열량 변화의 측정(DSC법)에 기초하여 구해지는 유리 전이 온도를 의미한다.
<옐로우 염료층용 도공액 1>
ㆍ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옐로우 염료 6.0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4.0부
(KS-5 세키스이 화학공업(주))
ㆍ실리콘 오일 0.1부
(X-22-3939 신에츠 화학(주))
ㆍ톨루엔 45부
ㆍ메틸에틸케톤 45부
Figure pct00003
<옐로우 염료층용 도공액 2>
ㆍ상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옐로우 염료 6.0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4.0부
(KS-5 세키스이 화학공업(주))
ㆍ실리콘 오일 0.15부
(X-22-3939 신에츠 화학(주))
ㆍ톨루엔 45부
ㆍ메틸에틸케톤 45부
<옐로우 염료층용 도공액 3>
ㆍ상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옐로우 염료 6.0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4.0부
(KS-5 세키스이 화학공업(주))
ㆍ인산에스테르 0.06부
(플라이서프 A208N 다이이치 공업제약(주))
ㆍ톨루엔 45부
ㆍ메틸에틸케톤 45부
<옐로우 염료층용 도공액 4>
ㆍ상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옐로우 염료 6.0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4.0부
(KS-5 세키스이 화학공업(주))
ㆍ실리콘 오일 0.5부
(X-22-3939 신에츠 화학(주))
ㆍ인산에스테르 0.04부
(플라이서프 A208N 다이이치 공업제약(주))
ㆍ톨루엔 45부
ㆍ메틸에틸케톤 45부
<옐로우 염료층용 도공액 5>
ㆍ상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옐로우 염료 6.0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3.6부
(KS-5 세키스이 화학공업(주))
ㆍ에틸셀룰로오스 수지(에톡실기 함유율 : 45%) 0.4부
(에토셀 STD45 닛신 화성(주))
ㆍ톨루엔 45부
ㆍ메틸에틸케톤 45부
<옐로우 염료층용 도공액 6>
ㆍ상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옐로우 염료 6.0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4.0부
(KS-5 세키스이 화학공업(주))
ㆍ톨루엔 45부
ㆍ메틸에틸케톤 45부
<옐로우 염료층용 도공액 7>
ㆍ상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옐로우 염료 6.0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4.0부
(KS-5 세키스이 화학공업(주))
ㆍ실리콘 변성 아크릴 수지(고형분 15%) 5.0부
(FS-720 니찌유(주))
ㆍ톨루엔 45부
ㆍ메틸에틸케톤 45부
<마젠타 염료층용 도공액 1>
ㆍ하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마젠타 염료 7.0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7.0부
(KS-5 세키스이 화학공업(주))
ㆍ실리콘 오일 1.4부
(X-22-3939 신에츠 화학(주))
ㆍ톨루엔 45부
ㆍ메틸에틸케톤 45부
Figure pct00004
<마젠타 염료층용 도공액 2>
ㆍ상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마젠타 염료 7.0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7.0부
(KS-5 세키스이 화학공업(주))
ㆍ실리콘 오일 1.0부
(X-22-3939 신에츠 화학(주))
ㆍ톨루엔 45부
ㆍ메틸에틸케톤 45부
<마젠타 염료층용 도공액 3>
ㆍ상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마젠타 염료 7.0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7.0부
(KS-5 세키스이 화학공업(주))
ㆍ인산에스테르 0.11부
(플라이서프 A208N 다이이치 공업제약(주))
ㆍ톨루엔 45부
ㆍ메틸에틸케톤 45부
<마젠타 염료층용 도공액 4>
ㆍ상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마젠타 염료 7.0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7.0부
(KS-5 세키스이 화학공업(주))
ㆍ실리콘 오일 1.0부
(X-22-3939 신에츠 화학(주))
ㆍ인산에스테르 0.05부
(플라이서프 A208N 다이이치 공업제약(주))
ㆍ톨루엔 45부
ㆍ메틸에틸케톤 45부
<마젠타 염료층용 도공액 5>
ㆍ상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마젠타 염료 7.0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6.3부
(KS-5 세키스이 화학공업(주))
ㆍ에틸셀룰로오스 수지(에톡실기 함유율 : 45%) 0.7부
(에토셀 STD45 닛신 화성(주))
ㆍ톨루엔 45부
ㆍ메틸에틸케톤 45부
<마젠타 염료층용 도공액 6>
ㆍ상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마젠타 염료 7.0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4.2부
(KS-5 세키스이 화학공업(주))
ㆍ폴리비닐부티랄 수지(Mn : 약 66000, Tg : 64℃) 2.1부
(에스렉 BH-S 세키스이 화학공업(주))
ㆍ에틸셀룰로오스 수지(에톡실기 함유율 : 45%) 0.7부
(에토셀 STD45 닛신 화성(주))
ㆍ톨루엔 45부
ㆍ메틸에틸케톤 45부
<마젠타 염료층용 도공액 7>
ㆍ상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마젠타 염료 7.0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4.2부
(KS-5 세키스이 화학공업(주))
ㆍ폴리비닐부티랄 수지(Mn : 약 66000, Tg : 64℃) 2.8부
(에스렉 BH-S 세키스이 화학공업(주))
ㆍ톨루엔 45부
ㆍ메틸에틸케톤 45부
<마젠타 염료층용 도공액 8>
ㆍ상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마젠타 염료 7.0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7.0부
(KS-5 세키스이 화학공업(주))
ㆍ톨루엔 45부
ㆍ메틸에틸케톤 45부
<마젠타 염료층용 도공액 9>
ㆍ상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마젠타 염료 7.0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7.0부
(KS-5 세키스이 화학공업(주))
ㆍ실리콘 변성 아크릴 수지(고형분 15%) 8.75부
(FS-720 니찌유(주))
ㆍ톨루엔 45부
ㆍ메틸에틸케톤 45부
<시안 염료층용 도공액 1>
ㆍ하기 화학식(3)으로 표시되는 시안 염료 5.0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5.0부
(KS-5 세키스이 화학공업(주))
ㆍ실리콘 오일 0.1부
(X-22-3939 신에츠 화학(주))
ㆍ톨루엔 45부
ㆍ메틸에틸케톤 45부
Figure pct00005
<시안 염료층용 도공액 2>
ㆍ상기 화학식(3)으로 표시되는 시안 염료 5.0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5.0부
(KS-5 세키스이 화학공업(주))
ㆍ실리콘 오일 0.15부
(X-22-3939 신에츠 화학(주))
ㆍ톨루엔 45부
ㆍ메틸에틸케톤 45부
<시안 염료층용 도공액 3>
ㆍ상기 화학식(3)으로 표시되는 시안 염료 5.0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5.0부
(KS-5 세키스이 화학공업(주))
ㆍ인산에스테르 0.06부
(플라이서프 A208N 다이이치 공업제약(주))
ㆍ톨루엔 45부
ㆍ메틸에틸케톤 45부
<시안 염료층용 도공액 4>
ㆍ상기 화학식(3)으로 표시되는 시안 염료 5.0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2.5부
(KS-5 세키스이 화학공업(주))
ㆍ폴리비닐부티랄 수지(Mn : 약 66000, Tg : 64℃) 2.5부
(에스렉 BH-S 세키스이 화학공업(주))
ㆍ실리콘 오일 0.02부
(X-22-3939 신에츠 화학(주))
ㆍ톨루엔 45부
ㆍ메틸에틸케톤 45부
<시안 염료층용 도공액 5>
ㆍ상기 화학식(3)으로 표시되는 시안 염료 5.0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4.5부
(KS-5 세키스이 화학공업(주))
ㆍ에틸셀룰로오스 수지(에톡실기 함유율 : 45%) 0.5부
(에토셀 STD45 닛신 화성(주))
ㆍ톨루엔 45부
ㆍ메틸에틸케톤 45부
<시안 염료층용 도공액 6>
ㆍ상기 화학식(3)으로 표시되는 시안 염료 5.0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3.0부
(KS-5 세키스이 화학공업(주))
ㆍ폴리비닐부티랄 수지(Mn : 약 66000, Tg : 64℃) 1.5부
(에스렉 BH-S 세키스이 화학공업(주))
ㆍ에틸셀룰로오스 수지(에톡실기 함유율 : 45%) 0.5부
(에토셀 STD45 닛신 화성(주))
ㆍ톨루엔 45부
ㆍ메틸에틸케톤 45부
<시안 염료층용 도공액 7>
ㆍ상기 화학식(3)으로 표시되는 시안 염료 5.0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3.0부
(KS-5 세키스이 화학공업(주))
ㆍ폴리비닐부티랄 수지(Mn : 약 66000, Tg : 64℃) 2.0부
(에스렉 BH-S 세키스이 화학공업(주))
ㆍ톨루엔 45부
ㆍ메틸에틸케톤 45부
<시안 염료층용 도공액 8>
ㆍ상기 화학식(3)으로 표시되는 시안 염료 5.0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5.0부
(KS-5 세키스이 화학공업(주))
ㆍ톨루엔 45부
ㆍ메틸에틸케톤 45부
<시안 염료층용 도공액 9>
ㆍ상기 화학식(3)으로 표시되는 시안 염료 5.0부
ㆍ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수지 5.0부
(CAP482-20 이스트만 케미컬 재팬(주))
ㆍ톨루엔 45부
ㆍ메틸에틸케톤 45부
(실시예 1)
기재로서 두께 4.5 ㎛의 이접착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이용하고, 그 위에, 하기 조성의 배면층용 도공액을 건조시 0.8 g/㎡가 되도록 도공하여 배면층을 형성했다. 이어서, 기재의 다른쪽 면에, 상기 조성의 옐로우 염료층용 도공액 1, 상기 조성의 마젠타 염료층용 도공액 6, 상기 조성의 시안 염료층용 도공액 6을 각각, 건조시 도공량이 0.6 g/㎡가 되도록 면순차로 도공하여, 옐로우 염료층, 마젠타 염료층, 시안 염료층을 형성함으로써 실시예 1의 열전사 시트 1을 작성했다.
<배면층용 도공액>
ㆍ폴리비닐부티랄 수지 2.0부
(에스렉 BX-1 세키스이 화학공업(주))
ㆍ폴리이소시아네이트 9.2부
(바녹 D750 다이니폰 잉크 화학공업(주))
ㆍ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 1.3부
(플라이서프 A208N 다이이치 공업제약(주))
ㆍ탈크 0.3부
(미크로에이스 P-3 일본 탈크 공업(주))
ㆍ톨루엔 43.6부
ㆍ메틸에틸케톤 43.6부
(실시예 2∼16, 비교예 1∼6)
옐로우 염료층용 도공액 1, 마젠타 염료층용 도공액 6, 시안 염료층용 도공액 6을,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도공액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16, 비교예 1∼6의 열전사 시트를 작성했다.
[표 1]
Figure pct00006
(이형성 평가)
상기에서 작성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열전사 시트를 이용하여, 이하에서 작성한 백색 염화비닐 카드 위에, 1차색 화상, 2차색 화상, 3차색 화상을 형성할 때의 이형성의 평가를 이하의 평가 기준에 따라 행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 1차색 화상은, 옐로우 염료층을 이용하여, 열전사 수상 시트 위에 형성되는 화상(옐로우 화상)이며, 1차색 화상 형성시의 이형성이란, 열전사 수상 시트의 수용층과 옐로우 염료층의 이형성이다. 2차색 화상은, 마젠타 염료층을 이용하여, 1차색 화상 위에 마젠타 화상을 중첩시킴으로써 형성되는 화상(레드 화상)이며, 2차색 화상 형성시의 이형성이란, 1차색의 화상과 마젠타 염료층의 이형성이다. 3차색 화상은, 시안 염료층을 이용하여, 2차색 화상 위에 시안 화상을 중첩시킴으로써 형성되는 화상(블랙 화상)이며, 3차색 화상 형성시의 이형성이란, 2차색 화상과 시안 염료층의 이형성이다. 각 화상의 형성은, 이하의 테스트 프린터를 이용하여, 0/255 계조 화상(전면 블랙)의 조건으로 행했다.
(카드 기재의 재료 조성)
ㆍ폴리염화비닐 컴파운드(중합도 800) 100부
(안정화제 등의 첨가제를 약 10% 함유)
ㆍ백색 안료(산화티탄) 10부
ㆍ가소제(DOP) 0.5부
(테스트 프린터)
서멀 헤드 ; KEE-57-12GAN2-STA(교세라(주) 제조)
발열체 평균 저항치 ; 3303(Ω)
주주사 방향 인자 밀도 ; 300 dpi
부주사 방향 인자 밀도 ; 300 dpi
인화 전압 ; 18(V)
1라인 주기 ; 1.5(msec.)
인자 개시 온도 ; 35(℃)
펄스 Duty비 ; 85%
「평가 기준」
◎ : 염료층 및 형성된 화상에 박리 흔적이 없어, 형성된 화상에 문제는 없다.
○ : 염료층 및 형성된 화상에 약간 박리 흔적이 있지만, 화상에 문제는 없다.
△ : 염료층 및 형성된 화상에 박리 흔적이 있지만, 사용상 문제가 없는 화상이 되었다.
×: 염료층 및 형성된 화상에 박리 흔적이 많이 있어, 사용상 문제가 있는 화상이 되었다.
(보호층 밀착성 평가)
상기 이형성 평가에 있어서 백색 염화비닐 카드 위에 형성된 3차색 화상 위에, 이하의 방법으로 형성한 보호층 전사 시트의 보호층을 전사했다. 이어서, 3차색의 화상 위에 보호층이 전사된 백색 염화비닐 카드를 에탄올에 24시간 침지시킨 후, Scotch Tape로 테이프 박리 시험을 실시하고, 이하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보호층 밀착성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함께 나타낸다. 또, 보호층의 전사는, 상기 이형성 평가에서의 화상 형성에서 사용한 테스트 프린터에 의해, 30/255 계조 화상(짙은 회색)의 조건으로 행했다.
(보호층 전사 시트의 작성)
기재로서 두께 4.5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이용하고, 그 위에, 하기 조성의 보호층용 도공액을 건조시 도포량이 1.0 g/㎡가 되도록 도포하여 보호층을 형성했다. 이어서, 보호층 위에 하기 조성의 접착층용 도공액을 건조시 도포량이 1.0 g/㎡가 되도록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함으로써 보호층 전사 시트를 얻었다.
<보호층용 도공액>
ㆍ아크릴 수지 19.5부
(BR-833 미쯔비시 레이온(주))
ㆍ폴리에스테르 수지 0.5부
(바일론 200 도요보(주))
ㆍ톨루엔 40부
ㆍ메틸에틸케톤 40부
<접착층용 도공액>
ㆍ폴리에스테르 수지 20부
(바일론 200 도요보(주))
ㆍ톨루엔 40부
ㆍ메틸에틸케톤 40부
「평가 기준」
◎ : 전혀 박리되지 않는다.
○ : 약간 도트 레벨로 박리된다.
△ : 부분적으로 박리된다(도트 레벨 이상).
×: 전부 박리된다.
[표 2]
Figure pct00007
1 : 기재
3Y : 제1 염료층
3M : 제2 염료층
3C : 제3 염료층
5 : 배면층
10 : 열전사 시트

Claims (6)

  1. 기재의 한쪽 면에, 제1 염료층, 제2 염료층, 제3 염료층이 이 순으로 면순차로 형성되고, 상기 기재의 다른쪽 면에 배면층이 형성된 승화형 열전사 시트로서,
    상기 제1 염료층, 상기 제2 염료층, 상기 제3 염료층은, 각각 승화성 염료 및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고 있고,
    실리콘 오일, 실리콘 변성 수지, 인산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이형제의 군을 제1 군으로 했을 때에,
    상기 제1 염료층 및 상기 제2 염료층의 어느 한쪽의 염료층은, 상기 제1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고, 다른 한쪽의 염료층은, 상기 제1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및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함유하고,
    상기 제3 염료층은, (1) 상기 제1 군의 이형제를 함유하지 않거나, (2) 상기 제1 군의 이형제를 함유하고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그 총질량이, 상기 제3 염료층의 고형분 총질량에 대하여 0.3 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화형 열전사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염료층이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화형 열전사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가 알킬셀룰로오스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화형 열전사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염료층 및 상기 제2 염료층의 양쪽의 염료층이, 상기 제1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화형 열전사 시트.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염료층 및 상기 제2 염료층의 어느 한쪽의 염료층이, 상기 제1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고 있고, 다른 한쪽의 염료층이,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화형 열전사 시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염료층이 옐로우 염료층이고, 상기 제2 염료층이 마젠타 염료층이며, 상기 제3 염료층이 시안 염료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화형 열전사 시트.
KR1020177022127A 2015-02-26 2016-02-26 승화형 열전사 시트 KR1024783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36777 2015-02-26
JPJP-P-2015-036777 2015-02-26
PCT/JP2016/055911 WO2016136977A1 (ja) 2015-02-26 2016-02-26 昇華型熱転写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715A true KR20170118715A (ko) 2017-10-25
KR102478352B1 KR102478352B1 (ko) 2022-12-15

Family

ID=56788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2127A KR102478352B1 (ko) 2015-02-26 2016-02-26 승화형 열전사 시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28733B2 (ko)
EP (1) EP3263352B1 (ko)
JP (1) JP6716955B2 (ko)
KR (1) KR102478352B1 (ko)
WO (1) WO20161369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52076A (ja) * 2016-09-30 2018-04-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と被転写体の組合せ
JP2018052077A (ja) * 2016-09-30 2018-04-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と被転写体の組合せ
CN110774792B (zh) * 2019-09-29 2021-10-01 浙江天浩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热转印智能打码混合基碳带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6777A (ja) 2007-03-29 2008-10-16 Fujifilm Corp 熱転写方式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
JP2009083279A (ja) * 2007-09-28 2009-04-23 Fujifilm Corp 感熱転写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23164B2 (ja) * 1990-11-05 1997-06-25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熱転写色素供与材料
JPH05162473A (ja) * 1991-12-17 1993-06-29 Fuji Photo Film Co Ltd 熱転写受像材料
JPH06320878A (ja) 1993-05-11 1994-11-22 Fuji Photo Film Co Ltd 熱転写受像材料
JPH07214924A (ja) * 1994-02-08 1995-08-15 Fuji Photo Film Co Ltd レーザー記録用熱転写材料
US7666815B2 (en) * 2004-12-20 2010-02-23 Eastman Kodak Company Thermal donor for high-speed printing
JP4575892B2 (ja) * 2006-03-09 2010-11-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感熱転写受像シート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5084533B2 (ja) 2008-01-30 2012-11-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感熱転写画像形成方法
JP5043737B2 (ja) * 2008-03-31 2012-10-1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及び熱転写記録材料
JP2013082212A (ja) 2011-09-30 2013-05-09 Dainippon Printing Co Ltd 画像形成方法、熱転写シートと熱転写受像シートとの組合せ
JP2015030123A (ja) * 2013-07-31 2015-02-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6777A (ja) 2007-03-29 2008-10-16 Fujifilm Corp 熱転写方式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
JP2009083279A (ja) * 2007-09-28 2009-04-23 Fujifilm Corp 感熱転写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16955B2 (ja) 2020-07-01
WO2016136977A1 (ja) 2016-09-01
EP3263352A1 (en) 2018-01-03
US20180186159A1 (en) 2018-07-05
EP3263352A4 (en) 2018-11-21
JP2016163993A (ja) 2016-09-08
EP3263352B1 (en) 2023-08-23
KR102478352B1 (ko) 2022-12-15
US10328733B2 (en) 201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79394B1 (en) Thermal transfer sheet
US10336115B2 (en) Transfer sheet
JP4888173B2 (ja) 熱転写シート
JP5516806B2 (ja) 保護層転写シート
KR20180119658A (ko) 중간 전사 매체, 중간 전사 매체와 열전사 시트의 조합 및 인화물의 형성 방법
US10328733B2 (en) Sublimation type thermal transfer sheet
EP2033803B1 (en) Protective layer transfer sheet
JP4429928B2 (ja) 熱転写シート
JP2009061679A (ja) 熱転写シート
JP5288174B2 (ja) 熱転写シート
JP6677919B2 (ja) 転写シート
JP2009241556A (ja) 熱転写シート
CN111683819B (zh) 热转印片、中间转印介质与热转印片的组合、印相物的制造方法以及装饰物
JPH05194328A (ja) 熱染料昇華転写により使用するための染料像受容材料
JP5962400B2 (ja) 保護層転写シート
JP2018058225A (ja) 熱転写受像シート、熱転写シート、受容層用塗工液、熱転写受像シートの形成方法、及び印画物の形成方法
JP2017052241A (ja) 転写シート
JP6248546B2 (ja) 昇華型熱転写シート
JP2006263987A (ja) 熱転写記録材料
JP2018171840A (ja) 熱転写受像シート、熱転写シート、受容層用塗工液、熱転写受像シートの形成方法、及び印画物の形成方法
JPH08175037A (ja) 熱転写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熱転写記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