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7022A - 와이핑 시트 - Google Patents

와이핑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7022A
KR20170117022A KR1020177016975A KR20177016975A KR20170117022A KR 20170117022 A KR20170117022 A KR 20170117022A KR 1020177016975 A KR1020177016975 A KR 1020177016975A KR 20177016975 A KR20177016975 A KR 20177016975A KR 20170117022 A KR20170117022 A KR 20170117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s
layer
wiping sheet
wiping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6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9531B1 (ko
Inventor
히로코 이케다
요시노리 다나카
다케시 반도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17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7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5Cellulose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7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using different kinds of webs, e.g. by layering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entanglement of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9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5/00Non woven fabrics formed of mixtures of relatively short fibres and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5/08Non woven fabrics formed of mixtures of relatively short fibres and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or ya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Cosmetics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측의 감촉이 양호하며, 표리면측에 있어서 와이핑성을 발휘할 수 있는 와이핑 시트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평균 섬유 직경이 10 ㎛ 이하인 흡습성을 갖는 장섬유(4)로 주로 구성된 표면층(2)과, 평균 섬유 직경이 10 ㎛ 초과인 단섬유(5)로 주로 구성된 이면층(3)을 갖는 와이핑 시트(1)로서, 표면층(2)에 있어서 장섬유(4)가 불규칙하게 호를 그리며 메쉬형으로 균일하게 넓어져 있고, 이면층(3)에는 제1 방향(X)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개방 구멍(80)이 형성되며, 장섬유(4)가 개방 구멍(80) 중 적어도 일부를 걸치고 있다.

Description

와이핑 시트{WIPING SHEET}
본 개시는 와이핑 시트, 특히, 건조 상태 및 습윤 상태에서 와이핑 가능한 와이핑 시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평균 섬유 직경이 10 ㎛ 이하인 극세 섬유(마이크로 파이버)를 이용한 와이핑 시트는 공지이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분할형 복합 섬유의 분할에 의해 형성된 극세 섬유를 포함하는 표면층과, 극세 섬유보다 평균 섬유 직경이 큰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이면층을 갖는 와이핑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3944526호 공보
전술한 와이핑 시트는, 그것을 건조 또는 습윤의 상태로 안면의 피지나 화장 오물을 닦아내기 위한 시트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극세 섬유로 형성된 표면층이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닿음으로써 극세 섬유가 모공에 들어가 피지나 화장 오물을 긁어낼 수 있기 때문에 와이핑성이 우수하며, 피부에 대한 자극이 낮아 감촉이 우수하다고 하는 것이다.
그러나, 표면층의 분할형 복합 섬유는, 직경 방향의 단면을 보면, 섬유의 표면이 매끄러운 곡선을 그리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민감한 피부에 닿았을 때에 피부에 자극을 줄 우려가 있다. 또한, 친수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이면층으로 형성된 이면은 평활하기 때문에, 와이핑면으로서 기능하기 어렵다. 따라서, 사용자가 와이핑 시트의 이면을 와이핑면으로서 선택한 경우에는, 안면에 부착된 화장 파우더나 분진을 충분히 포착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의 감촉이 양호하며, 표리 양면에 있어서 와이핑성을 발휘할 수 있는 와이핑 시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 방향 및 그것에 교차하는 제2 방향과, 평균 섬유 직경이 10 ㎛ 이하인 흡습성을 갖는 장섬유로 주로 구성된 표면층과, 평균 섬유 직경이 10 ㎛ 초과인 단섬유로 주로 구성된 이면층을 갖는 와이핑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핑 시트는, 상기 표면층에 있어서, 상기 장섬유가 불규칙하게 호를 그리며 메쉬형으로 균일하게 넓어져 있고, 상기 이면층에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개방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장섬유가 상기 개방 구멍 중 적어도 일부를 걸치고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와이핑 시트에 의하면, 표면층은, 평균 섬유 직경이 10 ㎛ 이하인 장섬유가 불규칙하게 호를 그리며 메쉬형으로 균일하게 넓어져 있음으로써, 감촉이 양호하고 브러싱 효과가 우수하며, 화장액 등 액체가 공급되었을 때에 균일한 액막이 형성되어 피부를 균일하게 적실 수 있다. 또한, 이면층은,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개방 구멍이 형성됨으로써, 피부를 문지를 때에 화장 파우더나 미소한 분진을 보충할 수 있다.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핑 시트의 특정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발명의 불가결한 구성뿐만 아니라, 선택적 및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핑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표면층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일점 쇄선(IV)으로 둘러싼 영역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5는 와이핑 시트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주요한 부분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핑 시트가 사용되고 있는 화장 패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8의 (a)는 습윤 시트의 리필용 용기의 사시도이고, (b)는 용기 내의 습윤 시트 적층체의 일부 확대 측면도이다.
하기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도 1∼8에 나타내는 와이핑 시트(1)에 관한 것으로, 발명의 불가결한 구성뿐만 아니라, 선택적 및 바람직한 구성을 포함한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핑 시트(1)는, 제1 방향(X)과 그것에 교차하는 제2 방향(Y)을 갖고, 표면(1a) 및 이면(1b)과, 서로 적층된 표면층(2)과 이면층(3)을 포함한다. 표면층(2)은, 평균 섬유 직경이 10 ㎛ 이하인 흡습성의 장섬유(4)인 멜트 블로운 섬유를 주체로 한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장섬유(4)로서는, 예컨대, 나일론 6, 나일론 66 등의 폴리아미드 섬유, 아크릴 섬유, 또는 친수화 처리한 소수성 섬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표면층(2)에 있어서의 장섬유(4)의 함유량은, 약 6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95 질량% 이상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100 질량%이다.
이면층(3)은, 예컨대, 레이온 스테이플 등의 흡습성을 갖는 재생 섬유나 펄프 섬유 등의 흡수성을 갖는 천연 섬유 등의 셀룰로오스계 단섬유나 열가소성 합성 섬유의 단섬유 등의 단섬유(5)를 포함한다. 이면층(3)에 있어서의 단섬유의 함유율은, 셀룰로오스계 단섬유가 약 50∼100% 질량%, 열가소성 합성 섬유의 단섬유가 약 0∼50 질량%이다. 열가소성 합성 섬유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합성 섬유나 합성 섬유의 혼합물, 또는 이들 합성 수지를 2종류 이상을 이용한 복합 섬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복합 섬유로서는, 융점이 상이한 2개의 합성 섬유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쉬스 코어형, 편심형을 이용할 수 있고, 이것을 이용함으로써 단섬유(5)에 권축을 발현시켜 신축성이나 부피성이 있는 이면층(3)을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말하는 장섬유(4)의 섬유 길이는 30∼200 ㎜의 범위이며, 여기서 말하는 단섬유(5)의 섬유 길이는 그보다 작다. 장섬유(4)의 평균 섬유 직경(단섬유의 직경)은, 이면층(3)의 단섬유(5)의 평균 섬유 직경보다 작고, 구체적으로는, 장섬유(4)의 평균 섬유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 ㎛ 이하이고, 단섬유(5)의 평균 섬유 직경은, 약 1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0 ㎛이다. 또한, 장섬유(4)는 단섬유(5)보다 흡습성이 낮아, 본 명세서에 있어서, 장섬유(4)를 극세 섬유 및/또는 저흡습성 섬유, 단섬유(5)를 고흡습성 섬유 또는 흡수성 섬유라고도 한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와이핑 시트(1)의 두께 치수(t1)는, 약 0.2∼0.3 ㎜인 것이 바람직하고, 와이핑 시트(1)의 단위 면적당 질량은, 약 25∼40 g/㎡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와이핑 시트(1)의 비용적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약 145 ㎥/㎏이다. 표면층(2)의 두께 치수(t2)는 이면층(3)의 두께 치수(t3)보다 작고, 표면층(2)의 두께 치수(t2)가 이면층(3)의 두께 치수(t3)의 20%∼60%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표면층(2)의 두께 치수(t2)는 약 0.02∼0.15 ㎜이고, 이면층(3)의 두께 치수(t3)는 약 0.1∼0.25 ㎜이다. 표면층(2)의 두께 치수(t2)가 0.02 ㎜ 미만인 경우에는, 와이핑 시트(1)의 와이핑 부분이 지나치게 얇아져 와이핑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고, 한편, 두께 치수(t2)가 0.15 ㎜ 초과인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이면층(3)의 두께 치수(t3)가 작아지기 때문에, 와이핑 시트(1)의 굽힘 강성이 낮아져 와이핑 시트(1)는, 탄성이 약해져 사용 중의 구김이 생길 우려가 있다.
<두께 치수의 측정 방법>
와이핑 시트(1)의 두께 치수(t1)는, 와이핑 시트(1)에 3.0 gf/㎠ 하중을 가한 상태로, 두께 측정기((주)다이에카가쿠세이키세이사쿠쇼 제조, UF-60)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표면층(2)과 이면층(3)의 두께 치수(t2, t3)는, 현미경((주)기엔스 제조, 리얼 서페이스 뷰 현미경 VE-7800)을 이용하여 와이핑 시트(1)의 단면을 관찰하여 측정한다. 와이핑 시트(1), 표면층(2) 및 이면층(3)의 각각의 밀도는, 밀도(g/㎤)=단위 면적당 질량(g/㎡)/두께 치수(㎜)×10-3에 기초하여 산출하고, 와이핑 시트(1)의 비용적(㎥/㎏)은, 밀도(g/㎤)×103의 역수로서 산출한다.
표면층(2)의 단위 면적당 질량은, 5∼30 g/㎡의 범위로서, 5∼15 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표면층(2)의 밀도는 약 0.05∼0.2 g/㎤인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약 0.11 g/㎤이다. 표면층(2)의 단위 면적당 질량이 약 10 g/㎡ 이하인 경우, 이면층(3)의 단위 면적당 질량은 약 25 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면층(3)의 단위 면적당 질량은, 약 10∼35 g/㎡이고, 약 15∼30 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면층(3)의 밀도는, 약 0.08∼0.2 g/㎤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와이핑 시트(1)는, 건조, 습윤 중 어느 상태에 있어서도 사용 가능하고, 피부에 부착된 피지나 화장 등의 오물을 닦아내기 위한 와이핑용의 시트나 화장 패드의 안솜을 피복하는 피복 시트, 클렌징제를 함침시킨 습윤 시트(습윤 티슈)로서 적합하게 사용된다. 와이핑 시트(1)를 습윤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물, 에틸렌글리콜 등의 습윤제, 알코올류나 항균제 등의 약제, 향료 및 그 외의 성분을 공지의 방법에 따라 함침시킬 수 있다. 또한, 와이핑 시트(1)는, 본 실시형태와 같이 대인용 및 항균제 등의 약제를 함침한 대물용(드라이를 포함함)의 와이프스로서 사용하는 것 이외에, 표리면의 브러싱성을 이용하여, 생리용 냅킨의 표면 시트나 일회용 기저귀의 신체측 라이너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와이핑 시트(1)를 이러한 제품에 사용한 경우에는, 다른 와이핑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통기성이 양호하고, 체액 확산성이 우수하다.
와이핑 시트(1)를 구성하는 표면층(2)과 이면층(3)은, 접착제 등의 바인더에 의해 서로 접합하거나, 니들 펀치 교락법 등의 기계 교락법이나 유체 교락법(수류 교락법, 에어 교락법) 등의 각종 공지의 방법에 따라 일체적으로 적층하거나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수류 교락법에 따라 일체화되어 있다. 후기하는 본 발명의 효과를 가져오는 한에서, 양층(2, 3)을 접착제(바인더)로 접착함으로써 와이핑 시트(1)를 바인더 부직포의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양층(2, 3)을 형성하는 섬유(4, 5)끼리를 수류 교락법에 따라 서로 교락 일체화하면, 바인더의 사용에 의해 와이핑 시트가 딱딱한 것이 되는 것을 해소하면서, 적층한 섬유 웹끼리의 전체를 보다 치밀하고 또한 균일하게 얽을 수 있으며, 유연성이 우수하고, 또한, 감촉이 양호한 와이핑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와이핑 시트(1)를 유체 교락법에 의해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면층(3)을 요철형으로 부형하기 위해, 가압 가열 처리할 수도 있다.
<와이핑 시트의 제조 방법>
도 5는 와이핑 시트(1)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주요한 부분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주요 부분에 대해서 설명하면, 먼저, 표면층(2)을 형성시키기 위한 제1 웹(71)(상층)과 이면층(3)을 형성시키기 위한 제2 웹(하층)(72)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웹(73)을 고압 수류의 분사 작용 하에서 기계 방향(MD)으로 반송한다. 복합 웹(73)은, 옵션으로서 탱크(74)로부터 수막을 공급하여 형태를 안정시킨 후에, 개방 구멍 지지체로서의 엔들리스·벨트형의 메쉬 스크린(75)에 유도한다. 메쉬 스크린(75)의 하방으로부터 석션(76)을 작용시켜 배수하며, 그 위로부터는 소정의 직경·피치를 갖는 복수의 오리피스가 마련된 노즐(77)로부터 고압 수류를 분사한다. 노즐(77)은, 기계 방향(MD)에 대한 교차 방향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다.
메쉬 스크린(75)은, 서로 교차하는 스테인레스 스틸제의 복수의 선재, 예컨대, 서로 직교하는 날실의 선재(75a)와 씨실의 선재(75b)를 평직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개구와, 선재(75a, 75b)끼리 교차하는 복수의 너클부(78)를 갖는다. 본 제조 공정에 있어서는, 제1 웹(71)의 측에 고압 수류를 분사함으로써, 제1 웹(71)에 있어서의 피부 접촉면측의 평활성이 향상하여 표면층(2)은 감촉이 양호해지지만, 후기의 본 발명의 효과를 가져오는 한에서, 제2 웹(72)의 측에 고압 수류를 분사하여도 좋고, 제1 웹(71)측과 제2 웹(72)측의 양측으로부터 고압 수류를 분사하여도 좋다. 또한, 예비적 교락 처리로서, 복합 웹(73)에 니들 펀치 처리를 실시한 후에, 고압 수류 처리를 편면 또는 양면에 실시하여도 좋다. 너클부(78)에서는, 날실의 선재(75a)와 씨실의 선재(75b)가 서로 중합됨으로써 복합 웹(73)을 향하여 볼록해져 있다.
재차, 도 3∼5를 참조하면, 이러한 고압 수류 처리에 의해, 제1 웹(71)의 섬유와 제2 웹(72)의 섬유가 교락하며, 메쉬 스크린(75) 상에 있어서 제2 웹(72)을 구성하고 있는 섬유(단섬유) 중 너클부(78) 상에 위치하는 섬유가 고압 수류의 분사의 작용에 의해 이동함으로써 너클부(78)에 있어서 재배열되며 섬유가 존재하지 않는 개방 구멍(80)이 형성된다. 또한, 제2 웹(72)에는, 교차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노즐(77)로부터 분사되는 고압 수류에 의해 교차 방향으로 배열되어 기계 방향(MD)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고랑부(82)가 형성되며, 고랑부(82) 사이에 위치하는 이랑부(81)가 형성된다. 복수의 이랑부(81)와 고랑부(82)는, 제2 방향(Y)에 있어서 교대로 배열되어어 위치하고, 개방 구멍(80)은 고랑부(82)에 있어서 제1 방향(X)(교차 방향)으로 소정 치수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고, 개방 구멍열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고압 수류가 직접 분사되는 제1 웹(71)은, 비교적으로 섬유 간극이 작아, 나일론 등의 극세 섬유로 이루어지는 장섬유(4)가 랜덤으로 배열되어 섬유끼리 이동할 수 있는 상태에 있어서 분사 처리되기 때문에, 제2 웹(72)과 같이 요철로 부형되어 복수의 개방 구멍(80)이 형성되는 일없이, 장섬유(4)가 불규칙하게 호를 그리며 메쉬형으로 균일하게 넓어져 있는데, 말하자면, 네트워크 구조를 갖는다. 장섬유(4)는, 주로 서로 교락하여 시트형을 이루고 있지만, 일부가 융착하고 있어도 좋다.
수류 교락법에 있어서는, 비교적으로 낮은 수압으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구멍 직경 0.1∼0.5 ㎜의 오리피스가 0.2∼2.0 ㎜ 간격으로 배치된 노즐(77)로부터 수압 1∼8 ㎫의 기둥형 수류를 복합 웹(73)에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교적으로 낮은 수압으로 처리함으로써, 제1 웹(71)에 있어서는 장섬유(4)의 교락이 풀어지는 일없이 메쉬형을 유지하는 한편, 제2 웹(72)에 있어서는 제2 방향(Y)에 있어서 교대로 배열되는 이랑부(81)와 고랑부(82)에 의한 요철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웹(71)에 있어서의 장섬유(4)는, 그 제조 방법(예컨대, 멜트 블로운법)에 따라서는, 기계 방향(MD)으로 배향하는 경우도 있지만, 랜덤으로 분포시키면서 서로 교락시키면, 장섬유(4)가 불규칙하게 호를 그리며 메쉬형으로 균일하게 넓어져 있는 네트워크 구조를 보다 형성하기 쉬워진다. 장섬유(4)와 단섬유(5)는, 이면층(3)의 이랑부(81)에 있어서 서로 교락하고 있어, 이면층(3)의 고랑부(82)에 있어서는 장섬유(4) 중 적어도 일부의 것이 다수의 개방 구멍(80) 중 일부의 것을 걸치고 있다.
이러한 적층 구조를 갖는 와이핑 시트(1)는, 건조 상태 및 습윤 상태에 있어서, 표면(1a)을 제1 와이핑면으로 하여, 피부에 부착된 피지나 세라믹 등의 화장 파우더 입자 등을 닦아내기 위한 시트, 예컨대, 습윤 티슈나 화장 와이핑용 시트, 화장 패드의 피복 시트로서 사용할 수 있다. 표면층(2)으로부터 형성된 표면(1a)에서는, 극세의 장섬유(4)가 메쉬형으로 균일하게 넓어져 있기 때문에, 그것을 얼굴에 문지르도록 갖다 대었을 때에, 메쉬의 둘레 가장자리인 메쉬의 엣지를 형성하고 있는 장섬유(4)가 그 엣지 효과에 의해 모공에 들어가 화장분이나 피지 등을 긁어내어 그것을 메쉬의 내측에 흡수할 수 있어, 표면층(2)은 브러싱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브러싱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 예컨대, 표면층(2)을 구성하는 섬유로서 분할 복합 섬유를 분섬하여 이루어지는 극세 섬유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그 경우에는, 분섬되어 생긴 극세 섬유의 표면이 피부를 문지를 때에 피부에 자극을 부여할 우려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와이핑 시트(1)와 같이, 표면층(2)에 나일론 등에 의한 비분할형의 극세 섬유로 이루어지는 장섬유(4)를 이용함으로써, 이러한 피부에의 자극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장섬유(4)는, 와이핑 시트(1)의 제조 과정에서 절단되는 일이 없는 한, 표면(1a)에 섬유단을 갖는 일이 없기 때문에, 섬유단이 피부에 닿는 것에 따른 자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면(1b)을 형성하는 이면층(3)은,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이랑부(81)와 고랑부(82)가 제2 방향(Y)에 있어서 교대로 배치되어 있고, 고랑부(82)에는 복수의 개방 구멍(80)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이면(1b)도 제2 와이핑면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즉, 이면(1b)이 개방 구멍 및 요철이 없는 평탄형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이면(1b)을 와이핑면으로 하여 피부에 사용하였을 때에, 화장 파우더나 분진 등의 오물이 포착되지 않아, 충분히 오물을 닦아낼 수 없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와이핑 시트(1)는, 이면층(3)에 복수의 개방 구멍(8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면(1b)은 평탄하지 않아, 이면(1b)으로 피부를 문지를 때에 개방 구멍(80)에 있어서 화장 파우더나 분진 등의 오물을 포착할 수 있어, 충분한 와이핑성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이핑 시트(1)를 사용자는 표면(1a)과 이면(1b) 중 어느 하나를 와이핑면으로서 자유롭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이핑 시트(1)의 표리 양면이 와이핑면으로서 기능하는 한에 있어서, 이면(1b)측이 평탄하지 않으면 좋고, 이면층(3)은 반드시 복수의 이랑부(81)와 고랑부(82)에 의한 요철 형상을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와이핑 시트를 건조 상태로 사용한 경우>
도 6은 흡수성 섬유로 형성된 쿠션층(안솜)(20)과, 쿠션층(20)을 덮어씌우는, 와이핑 시트(1)를 기재로 한 피복 시트(21)를 포함하는 화장 패드(10)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VII-V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피복 시트(21)는, 피부 접촉면과 비피부 접촉면과, 피부 접촉면측에 위치하고 있어, 와이핑 시트(1)의 표면층(2)에 대응하고 있는 외층(24)과, 이면층(3)에 대응하고 있는 내층(23)을 갖는다.
화장 패드(10)의 피부 접촉면에는, 외층(24)에 있어서 저흡습성의 장섬유(4)가 불규칙한 호를 그리며 메쉬형으로 넓어져 있음으로써, 피부 접촉면으로부터 함침시킨 화장액 등의 액체가 화장 패드(10)의 피부 접촉면에 있어서 균일하게 넓어지는 대략 균일한 액막이 형성된다. 따라서, 화장 패드(10)에 액형의 클렌징제를 함침시켜 피부의 오물을 닦아낼 때에는, 액형의 클렌징제를 고르게 피부에 침투시켜 피부 전체의 오물을 닦아낼 수 있다. 또한, 비교적으로 다량의 화장액을 함침시킨 화장 패드(10)를 화장팩 시트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화장액이 피부 접촉면 전체에 구석구석까지 침투하기 때문에, 양호한 피부에의 밀착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표면층(2)에 있어서 극세의 장섬유(4)가 메쉬형으로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비교적으로 작은 섬유 간극이 복수 형성되기 때문에, 섬유 간극이 형성되지 않을 정도로 치밀하게 섬유가 집합하는 경우에 비해서 브러싱 기능이 우수하며, 비교적으로 섬유 간극이 큰 경우나 이면층(3)과 같이 복수의 개방 구멍(80)이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서, 표면층(2)에 있어서의 화장액 등의 액체의 액 유지성(액 잔여성)이 양호하다. 즉, 장섬유(4)는 흡수성이 비교적으로 낮은, 흡습성 섬유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액체가 섬유에 흡수되지 않고 섬유 간극에 들어가, 표면 장력에 의해 일정 시간 표면층(2)에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비교적으로 적은 양의 화장액을 피복 시트(21)에 함침시킨 경우라도, 순식간에 내층(23)이나 쿠션층(20)에 화장액이 흡수되는 일은 없어, 외층(24)이 일정 시간 습윤 상태에 있기 때문에, 표면층(2)은, 화장액을 함침시켜 안면에 대기 까지의 동안에 화장액이 내부에 침투하여, 피부 접촉면이 건조 상태가 되는 일은 없다. 또한, 표면층(2)에 있어서 장섬유(4)가 불규칙한 호를 그리며 메쉬형으로 넓어져 있음으로써 이면층(3)의 개방 구멍(80)을 걸치고 있어, 개방 구멍(80)의 상방에도 메쉬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표면층(2)에 함침시킨 화장액이 개방 구멍(80)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쿠션층(20)으로 이동하는 일없이,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은 양호한 액 잔여성을 발휘할 수 있다.
와이핑 시트(1)를 극세의 장섬유(4)만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와이핑성이 우수한 한편, 탄성이 약하여 시트 강도도 낮아질 우려가 있지만, 표면층(2)이, 장섬유(4)보다 평균 섬유 직경이 큰 단섬유(5)로 형성된 이면층(3)과 일체화되어 있음으로써, 와이핑 시트(1)는 적절한 탄성의 강도와 시트 강도를 갖는다. 따라서, 와이핑 시트(1)는, 건조 상태 및 습윤 상태에 있어서 크게 형태 붕괴되거나 표면층(2)이 구겨지거나 하는 것이 억제되어, 안정적인 와이핑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이면층(3)이 복수의 이랑부(81)와 고랑부(82)로 형성된 요철형을 갖기 때문에, 그것이 평탄형인 경우에 비해서 와이핑 시트(1)의 시트 강도에 있어서의 굽힘 강성이 향상하여, 함침시킨 액체를 조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와이핑 시트(1)를 화장 패드(10)의 피복 시트(21)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피부 접촉면에 있어서 장섬유(4)가 메쉬형으로 넓어짐으로써, 모공에 들어간 오물 등을 긁어낼 수 있으며, 피부 접촉면측으로부터 화장액을 함침시켰을 때에 균일하게 넓어지는 액막이 형성되어, 피부를 고르게 닦아낼 수 있다. 또한, 내층(23)이 복수의 이랑부(81)와 고랑부(82)에 의해 요철 구조를 가짐으로써, 적절한 탄성의 강도가 부여되어 와이핑 조작이 안정적으로 행해지며, 내층(23)으로 이행한 화장액 등이 고랑부(82)를 따라 시트 전체로 확산되고, 또한, 복수의 개방 구멍(80)을 통과하여 쿠션층(20)에 조속하게 흡수될 수 있다.
<습윤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
도 8의 (a)는 와이핑 시트(1)를 기재로 하는 습윤 시트(습윤 티슈)(90)의 리필용 용기(91)의 사시도이고, 도 8의 (b)는 용기(91)에 수납된 복수의 습윤 시트(90)가 적층 상태에 있는 적층체의 모식적인 부분 측면도이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용기(91)는, 개폐 가능한 취출구(93)를 가지며, Z자형과 역 Z자형으로 절첩된 습윤 시트(90)가 교대로 중합되는 상태에 있는 적층체로서 수용되어 있고, 습윤 시트(90) 중에 적층체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습윤 시트(90a)의 일부분이 취출구(93)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습윤 시트(90a)는, 돌출한 부분이 인상되면, 중합되어 있던 습윤 시트(90b)로부터 분리하여 용기(91)의 밖으로 인출되며, 습윤 시트(92b)의 일부분이 취출구(93)로부터 돌출하게 된다.
이러한 양태에 의해 수용된 습윤 시트(90)에 있어서는, 화장 패드(10)와 마찬가지로, 표면층(2)에 있어서의 장섬유(4)의 네트워크 구조에 의해 와이핑성이 우수하며, 이면층(3)에 의한 적절한 탄성의 강도와 형태 유지성도 있어, 와이핑 조작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습윤 시트(90)는, 이면층(3)이 주로 레이온 등의 흡수성의 단섬유(5)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미리 물이나 알코올 등의 습윤 성분의 일정량을 유지한 상태로 용기(91)에 수용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방 구멍(80)을 가짐으로써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통기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습윤 상태로 중합되는 습윤 시트(90)끼리의 사이에 공기 고임이 생기는 일이 없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적층체에 있어서는, Z자형과 역 Z자형으로 절첩된 중합되는 습윤 시트(90)에서는, 인출하고자 하는 습윤 시트(90a)의 이면층(3)과 다음에 인출되어야 하는 습윤 시트(90b)의 이면층(3)이 서로 대향하여 접촉하고 있다. 이면층(3)[이면(1b)]이 평탄한 경우에는, 습윤 시트(90)를 인출할 때에, 이면층(3)이 서로 접촉하는 부분에 있어서, 인출하고자 하는 습윤 시트(90a)의 이면층(3)과 다음에 인출하고자 하는 습윤 시트(90b)의 이면층(3)이 미끄러짐으로써, 취출구(93)로부터 습윤 시트(90b)의 일부분을 파지하기 쉬운 정도까지 돌출시킬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와이핑 시트(1)로 만들어진 습윤 시트(90)에 의하면, 이면층(3)에 복수의 개방 구멍(80)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이면(1b)이 평활하지 않기 때문에, 인출하고자 하는 습윤 시트(90a)에 대하여, 그 다음에 인출되어야 하는 습윤 시트(90b)가 걸려, 확실하게 습윤 시트(90b)의 일부분을 취출구(93)로부터 돌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이핑 시트(1)에 있어서의 표면층(2) 및/또는 이면층(3)은, 단층이 아니라 복수층으로 형성하여도 좋고, 특히, 습윤 상태에서의 사용을 예정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시트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다층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예컨대, 표면층(2)과 이면층(3)을 각각 2층 구조로 하는 것 외에, 도시예에 있어서 표면층(2)으로서 사용하고 있던 섬유 웹끼리의 사이에 이면층(3)으로서 사용하고 있던 섬유 웹을 개재시키거나, 2층 구조를 갖는 표면층(2)/이면층(3)에 단층의 이면층(3) 또는 표면층(2)을 적층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표면층(2)은 극세 섬유로 이루어지는 장섬유(4)의 함유량이 약 60∼100 질량%이기 때문에, 그 함유량이 약 60% 미만인 경우에 비해서, 와이핑 시트(1)는, 그것을 사용하는 대상물과의 접촉점 수가 많아져, 감촉감 및 밀착성이 우수하다. 장섬유(4)는, 단섬유의 상태로 분산되어 있지만 그 외에, 복수개의 단섬유가 다발형으로 응집하여 섬유 집합체(토우)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어도 좋다. 장섬유(4)가 다발형으로 응집하고 있는 경우에는, 다발에 의해 큰 오물을 보충할 수 있으며, 다발을 형성하는 극세의 장섬유(4)가 모공에 들어가 작은 오물을 긁어내어 다발의 내부에 포집할 수 있기 때문에, 와이핑성이 향상된다.
도 6, 7을 참조하여, 와이핑 시트(1)가 사용되고 있는 화장 패드(10)의 구성에 대해서 더욱 설명하면, 화장 패드(10)는, 서로 교차하는 제1 방향(S)과 제2 방향(R)과, 제1 면(11) 및 그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면(12)과, 제1 방향(S)으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13, 14)와, 제2 방향(R)으로 연장되는 양단 가장자리(15, 16)와, 제1 방향(S)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는 제1 단부(17) 및 제2 단부(18)와, 제1 및 제2 단부(17, 18)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19)를 갖는다. 중간부(19)에서는, 제2 방향(R)의 폭이 일정하며, 제1 및 제2 단부(17, 18)에서는, 각각, 제2 방향(R)의 치수가 양단 가장자리(15, 16)를 향하여 작아지도록 양측 가장자리(13, 14)가 경사하고 있다. 피복 시트(21)는, 쿠션층(20)을 감싸도록 중첩하여 중합되어 있고, 이러한 적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양측 가장자리를 따르는 양접합부(45, 46)에 있어서 적층된 부분끼리 서로 접합되어 있다. 피복 시트(21)가 이러한 적층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양접합부(45, 46) 사이에는, 제2 방향(R)으로 연장되는 개구 가장자리부(51)를 갖는 개폐 가능한 포켓(50)이 형성된다. 화장 패드(10)의 제1 방향(S)에 있어서의 치수(L1)는 약 45∼65 ㎜, 제2 방향(R)에 있어서의 치수는 약 65∼85 ㎜이고, 중간부(19)의 제1 방향(S)에 있어서의 치수는, 제1 및 제2 단부(17, 18)의 제1 방향(S)에 있어서의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다.
화장 패드(10)에 있어서 쿠션층(20)의 질량은, 약 0.2∼0.4 g인 것이 바람직하다. 쿠션층(20)은, 중간부(19)에 있어서의 단위 면적당 질량이, 제1 및 제2 단부(17, 18)에 있어서의 그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쿠션층(20)의 제1 및 제2 단부(17, 18)에 있어서의 서로의 단위 면적당 질량은, 거의 동일 또는 상이하도록 할 수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및 제2 단부(17, 18)의 단위 면적당 질량이 거의 같다. 또한, 예컨대, 쿠션층(20)의 제1 단부(17)에 있어서의 단위 면적당 질량을 제2 단부(18)의 것보다 크게 함으로써, 포켓(50)에 그 개구 가장자리부(51)로부터 손가락을 삽입하여 화장 패드(10)를 사용할 때에, 손가락을 삽입하는 측에 있어서의 단부[제1 단부(17)]의 유연성을 향상시켜, 부드러운 감촉으로 할 수 있다.
쿠션층(20)은, 친수성 섬유를 주로 하는 섬유 집합체이며, 이 섬유 집합체에는, 쿠션층(20)의 소요의 흡수성을 저해하지 않는 한, 소수성 섬유가 혼합되어 있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친수성 섬유를 약 80 질량% 이상 포함한다. 친수성 섬유로서는, 예컨대, 레이온 섬유, 코튼 섬유, 아크릴 섬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소수성 섬유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로 형성된 합성 섬유, 또는 이들의 합성 수지로 형성된 합성 섬유 복합 섬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쿠션층(20)은, 레이온 섬유를 주로 하는 섬유 집합체에 의해 형성된다. 친수성 섬유로서 레이온 섬유를 이용한 경우, 코튼 섬유를 이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화장수를 함침시켜 사용할 때의 이수성(離水性)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외층(24)을 형성하는 섬유는 장섬유(4)로서, 섬유 길이가 비교적으로 큰 경우, 예컨대, 화장 패드(10)의 제1 방향(S) 및/또는 제2 방향(R)에 있어서의 치수보다 큰 경우에는, 제1 및 제2 면(11, 12)에 섬유의 말단부가 존재하는 일은 없다. 외층(24)이, 제1 및 제2 면(11, 12)에 섬유의 말단부가 존재하는 단섬유(5)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화장 패드(10)를 사용할 때에, 이 말단부가 피부에 닿아 자극을 줄 우려가 있지만, 말단부가 화장 패드(10)의 외주 가장자리부를 제외하고 존재하지 않도록, 제1 및 제2 면(11, 12) 상에서 연속하고 있는 장섬유(4)를 사용함으로써, 단섬유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감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장 패드(10)에서는, 피복 시트(21)의 절단선인 화장 패드(10)의 양측 가장자리(13, 14) 각각의 내측에 접합부(4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 면(12)에 있어서 접합부(44)의 각각과 양단 가장자리(15, 16)에 의해 획정되는 화장액 도포 영역에는, 장섬유(4)의 말단부가 존재하지 않아, 양호한 감촉을 얻을 수 있다.
내층(23)이 소수성의 열가소성 섬유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내층(23)의 흡습성/흡수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외층(24)에 유지된 화장액 등을 인입하는 작용이 억제되어, 피부 접촉면측의 액 잔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접합부(45, 46) 각각에 있어서 적층된 피복 시트(21)가 열 또는 초음파에 의한 엠보스/디보스 가공에 의해 접합할 때에, 바람직하게는 융착을 하면서 접합할 때에, 서로 대향하는 내층(23)과 외층(24) 중 내층(23)이 비용융성인 레이온 섬유이면, 접합 강도가 낮아질 우려가 있다. 내층(23)이 열가소성 섬유를 포함함으로써, 내층(23)과 외층(24)의 융착이 용이해져, 접합부(44)에 있어서의 접합 강도가 향상하여, 사용 중에 해당 부분이 박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래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와이핑 시트: 두께 0.25 ㎜, 단위 면적당 질량 30 g/㎡
표면층: 두께 0.09 ㎜, 단위 면적당 질량 10 g/㎡,
멜트 블로운 부직포(나일론 6: 100 질량%),
장섬유의 평균 섬유 직경 4 ㎛
이면층: 두께 0.16 ㎜, 단위 면적당 질량 20 g/㎡,
스펀 레이스 부직포(단섬유: 레이온; 80 질량%,
열 융착성 섬유; 20 질량%),
단섬유(레이온 및 열 융착성 섬유)의 평균 섬유 직경 16 ㎛
[실시예 2]
와이핑 시트: 두께 0.25 ㎜, 단위 면적당 질량 30 g/㎡
표면층: 두께 0.09 ㎜, 단위 면적당 질량 10 g/㎡,
멜트 블로운 부직포(나일론 6: 100 질량%),
장섬유의 평균 섬유 직경 4 ㎛
이면층: 두께 0.16 ㎜, 단위 면적당 질량 20 g/㎡,
레이온 섬유(레이온: 100 질량%),
단섬유(레이온)의 평균 섬유 직경 15 ㎛
[비교예 1]
와이핑 시트(단층): 두께 0.27 ㎜, 단위 면적당 질량 30 g/㎡,
멜트 블로운 부직포(나일론 6: 100 질량%),
장섬유의 평균 섬유 직경 4 ㎛
[비교예 2]
와이핑 시트(단층): 두께 0.25 ㎜, 단위 면적당 질량 30 g/㎡,
스펀 레이스 부직포(코튼: 100 질량%),
평균 섬유 직경 15 ㎛
[비교예 3]
와이핑 시트(단층): 두께 0.25 ㎜, 단위 면적당 질량 30 g/㎡,
스펀 레이스 부직포(레이온: 100 질량%),
평균 섬유 직경 15 ㎛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서, 표면 특성으로서 평균 표면 마찰 계수(MIU), 표면 마찰 계수의 평균 편차(MMD), 표면 거칠기의 평균 편차(SMD)를 측정한 것 외에, 와이핑 시험 및 관능 시험을 실시하였다. 측정의 결과 및 시험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본 측정은, 부직포의 감촉을 나타내는 특성값으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카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KES로의 특성값(참고 문헌: 감촉 평가의 표준화와 해석(제2판), 저자 가와바타 히데오 발행 1980년 7월 10일)에 대해서 측정한 것이다.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낸 측정 항목 각각의 측정 방법, 시험 항목 각각에 있어서의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또한, 각 시험의 결과는, A(우수함), B(좋음), C(보통), D(나쁨)로 평가하였다.
<표면 특성의 측정 방법>
표면 특성의 측정은, 카토테크(주) 제조 KES-FB4를 이용하여, 각 샘플의 화장료 도포 영역에 있어서의 1.0 ㎝×1.0 ㎝의 범위를 시료로 하고, 그 시료로 한 부분을 표면이 금속제인 시험대에 얹어 측정하였다. 표면 거칠기의 측정은, 시료의 표면 상에, 10 gf의 하중을 가하고, 또한, 접촉 단자로서는, 0.5 ㎜ 직경의 피아노선이 코일형으로 감긴 폭 0.5 ㎝의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표면 마찰의 측정에서는, 0.5 ㎜ 직경의 피아노선을 10개 배열한 접촉자에 다림추에 의해 50 gf의 힘을 가하여 접촉자의 접촉면을 시료에 압착시켰다. 표면 마찰 및 표면 거칠기의 측정에서는, 시료를 0.1 ㎝/sec의 속도로 수평으로 2 ㎝ 이동시키고, 시료에는 20 gf/㎝의 일축 장력을 부여하였다. 각 시료의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의 각각에 대해서 특성값을 측정하고, 그 평균을 구하였다.
≪평가 기준≫
1. 평균 표면 마찰 계수(MIU)의 값
A: 0.25 이상
B: 0.20 이상, 0.25 미만
C: 0.15 이상, 0.20 미만
D: 그 이외
2. 표면 마찰 계수의 평균 편차(MMD)
A: 0.0080 이하
B: 0.0080 초과, 0.0090 이하
C: 0.0090 초과, 0.0100 이하
D: 0.0100 초과
3. 표면 거칠기의 평균 편차(SMD)의 값[㎛]
A: 4.0 이하
B: 4.0 초과, 4.5 이하
C: 4.5 초과, 5.0 이하
D: 5.0 초과
<와이핑 시험>
본 발명의 와이핑 시트(1)와 비교예의 와이핑 시트를 이용하여, 화장품(파운데이션)의 와이핑 시험을 행하였다. 시험 장치는, 가부시키가이샤 트리니티라보 제조의 마찰 마모 측정 장치 TL201Ts를 사용하였다. 또한, 시료인 비교예의 와이핑 시트와 와이핑 시트(1)는 화장액 등의 액체를 도포하지 않은 상태로 시험을 행하였다. 먼저, 폭 26 ㎜, 길이 90 ㎜의 직사각형의 슬라이드 글라스의 표면에, 길이 방향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20 ㎜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0.02 g의 화장품을 직경 13 ㎜의 원형상으로 도포하여 시험편으로 하였다. 다음에, 시료인 와이핑 시트(1)를 표면(1a)이 노출면이 되도록 하여 시험 장치의 패드 전용 지그(깊이 20 ㎜, 폭 70 ㎜)에 끼워, 화장품의 도포 후, 40분을 경과한 시험편에 대하여, 전용 지그에 일정한 하중[시험편과 접촉하고 있는 와이핑 시트(1)의 면적 5.2 ㎠에 대하여, 100 g의 하중]을 가하면서 이동 속도 2.5 ㎜/s로 시험편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60 ㎜ 이동시키는 동안에 화장품을 닦아내었다. 또한, 본 측정에 있어서 화장품으로서, 일반적으로 널리 유통되고 있는 파운데이션(예컨대, 방부제, 계면 활성제, 자외선 흡수제, 타르계 색소 및 인공 향료 등을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였다.
다음에, 화장품을 닦아낸 후의 시험편의 표면을 스캐너(세이코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GT-X750)로 판독하고, 그 후, 화상 소프트(Adobe Photoshop Elements 3.0)를 이용하여 화상을 읽어들여, Histogram Analysis 소프트를 이용하여 히스토그램 처리를 하여, 2진화 처리를 행하였다. 화장품을 닦아내기 전의 시험편의 2진화 처리의 값을 100으로 하고, 닦아낸 후의 시험편의 2진화 처리의 값을 비율로 나타내어, 와이핑률로 하였다. 각 예에 있어서의 샘플 수는 각각 N=3으로 하고, 그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평가 방법>
A: 와이핑률 90% 이상
B: 와이핑률 80% 이상, 90% 미만
C: 와이핑률 70% 이상, 80% 미만
D: 와이핑률 70% 미만
<관능 평가>
12 ㎝×12 ㎝ 크기의 각 와이핑 시트에, 시트에 대하여 3질량배의 증류수를 침투시켜 습윤 시트를 조제하고, 여성 패널리스트 10명이, 각 습윤 시트로 안면에 도포된 파운데이션을 닦아냈을 때의 습윤 시트의 「부드러움」, 「매끄러운 감」, 「와이핑감」에 대해서, 4단계로 평가하였다.
1. 부드러움
A: 부드러움
B: 약간 부드러움
C: 어느 쪽이라고도 할 수 없음
D: 부드럽지 않음
2. 매끄러운 감
A: 매끄러운 감이 있음
B: 약간 매끄러운 감이 있음
C: 어느 쪽이라고도 할 수 없음
D: 매끄러운 감이 없음
3. 와이핑감
A: 와이핑감이 있음
B: 약간 와이핑감이 있음
C: 어느 쪽이라고도 할 수 없음
D: 와이핑감이 없음
<측정 결과>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의 와이핑 시트(1)의 표면(1a)측에 있어서, 평균 표면 마찰 계수(MIU)는, 0.25 이상이며, 표면 마찰 계수의 평균 편차(MMD)의 값은, 0.008 이하, 표면 거칠기의 평균 편차(SMD)[단위: ㎛]는 4.0 이하였다. 한편, 비교예 1의 와이핑 시트는, MIU가 0.25 이하, MMD가 0.008 이하, SMD가 5.0 이하이고, 비교예 2의 와이핑 시트는, MIU가 0.20 미만, MMD가 0.008 이하, SMD가 4.0 이하이고, 비교예 3의 와이핑 시트는, MIU가 0.20 미만, MMD가 0.100 초과, SMD가 5.0 이하였다. 또한, 와이핑 시험에 있어서, 실시예 1 및 2의 와이핑 시트(1)와 비교예 1의 와이핑 시트는, 와이핑률이 각각, 90% 이상으로, 화장액을 도포하지 않은 상태로 90%를 넘는 높은 와이핑률을 나타내었다. 한편, 비교예 2 및 3의 와이핑 시트에서는, 와이핑률이 80% 미만이었다.
이러한 측정 평가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및 2의 와이핑 시트(1)는, 표면(1a)측에 있어서 장섬유(4)가 불규칙한 호를 그리며 메쉬형으로 넓어져 있음으로써, 표면(1a)측이 비교적으로 평활하여, 화장액 등의 액체가 표면(1a)측에 공급된 경우에는, 액체가 표면(1a) 전체에 균일하게 넓어져 균일한 액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및 2의 와이핑 시트(1)는, 극세 섬유로 이루어지는 장섬유(4)를 포함함으로써 표면(1a)측에 작은 복수의 엣지 부분이 형성되어, 비교적으로 높은 마찰 저항을 갖기 때문에, 핸들링성이 우수하여, 모공에 들어간 미소한 오물을 긁어내도록 닦아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 1 및 2의 와이핑 시트(1)는, 그 표면(1a)이 극세 섬유로 이루어지는 장섬유(4)로 형성되어 있고, 비교적으로 평활하고, 또한, 비교적으로 마찰 저항이 높기 때문에, 관능 평가에 있어서도, 「부드러움」, 「매끄러운 감」, 「와이핑감」의 평가는 「A」이고, 이러한 와이핑 시트(1)의 시트 특성이 사용감으로서 실제로 확인되었다. 한편, 비교예 1∼3의 와이핑 시트는, 비교적으로 표면이 요철이고, 비교적으로 마찰 저항이 낮기 때문에, 실시예 1 및 2과 같이 균일한 액막이 형성되거나, 충분한 브러싱 기능을 발휘하지 않아, 관능 평가의 모든 항목에 있어서 평가가 「A」가 되는 일은 없었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핑 시트(1)를 구성하는 재료에는,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재료 이외에, 이 종류의 물품에 있어서 통상 이용되고 있는 각종 공지의 재료를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있어서, 「제1」, 「제2」 및 「제3」의 용어는, 동일한 요소, 위치 등을 단순히 구별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상에 기재한 본 발명에 관한 개시는, 적어도 하기의 사항으로 정리할 수 있다.
제1 방향 및 그것에 교차하는 제2 방향과, 평균 섬유 직경이 10 ㎛ 이하인 흡습성을 갖는 장섬유로 주로 구성된 표면층과, 평균 섬유 직경이 10 ㎛ 초과인 단섬유로 주로 구성된 이면층을 갖는 와이핑 시트로서, 상기 표면층에 있어서, 상기 장섬유가 불규칙하게 호를 그리며 메쉬형으로 균일하게 넓어져 있고, 상기 이면층에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개방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장섬유가 상기 개방 구멍 중 적어도 일부를 걸치고 있다.
상기 단락 0063에 개시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기의 실시양태를 포함할 수 있다.
(1) 상기 이면층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고랑부와 복수의 이랑부를 더 갖고, 상기 고랑부와 상기 이랑부는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교대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개방 구멍이 상기 고랑부에 형성되어 있다.
(2) 상기 표면층의 밀도는 0.05∼0.2 g/㎤이고, 상기 표면층의 두께 치수가 상기 이면층의 두께 치수의 약 20∼60% 크기이다.
(3) 건조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표면층의 와이핑률이 80% 이상이다.
(4) 표면의 평균 표면 마찰 계수(MIU)가 0.25 이상이고, 표면 거칠기의 평균 편차(SMD)가 4.0 ㎛ 이하이다.
(5) 상기 장섬유는 나일론이다.
(6) 상기 단섬유는 상기 장섬유보다 흡습성이 높은 섬유이다.
(7) 상기 단섬유는 레이온, 코튼을 포함하는 셀룰로오스계 섬유 중 하나 이상이다.
(8) 상기 표면층과 상기 이면층이 수류 교락법에 따라 일체화된 스펀 레이스 부직포이다.
1: 와이핑 시트
2: 표면층
3: 이면층
4: 장섬유
5: 단섬유
80: 개방 구멍
81: 이랑부
82: 고랑부
t2: 표면층의 두께 치수
t3: 이면층의 두께 치수
X: 제1 방향
Y: 제2 방향

Claims (9)

  1. 제1 방향 및 그것에 교차하는 제2 방향과, 평균 섬유 직경이 10 ㎛ 이하인 흡습성을 갖는 장섬유로 주로 구성된 표면층과, 평균 섬유 직경이 10 ㎛ 초과인 단섬유로 주로 구성된 이면층을 갖는 와이핑 시트로서,
    상기 표면층에 있어서, 상기 장섬유가 불규칙하게 호를 그리며 메쉬형으로 균일하게 넓어져 있고, 상기 이면층에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개방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장섬유가 상기 개방 구멍 중 적어도 일부를 걸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핑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층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고랑부와 복수의 이랑부를 더 갖고, 상기 고랑부와 상기 이랑부는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교대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개방 구멍이 상기 고랑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 와이핑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의 밀도가 0.05∼0.2 g/㎤이고, 상기 표면층의 두께 치수가 상기 이면층의 두께 치수의 약 20%∼60% 크기인 와이핑 시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건조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표면층의 와이핑률이 80% 이상인 와이핑 시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표면의 평균 표면 마찰 계수(MIU)가 0.25 이상이고, 표면 거칠기의 평균 편차(SMD)가 4.0 ㎛ 이하인 와이핑 시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섬유는 나일론인 와이핑 시트.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섬유는 상기 장섬유보다 흡습성이 높은 섬유인 와이핑 시트.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섬유는 레이온, 코튼을 포함하는 셀룰로오스계 섬유 중 하나 이상인 와이핑 시트.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과 상기 이면층이 수류 교락법에 의해 일체화된 스펀 레이스 부직포인 와이핑 시트.
KR1020177016975A 2015-02-17 2016-01-18 와이핑 시트 KR1024495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29068 2015-02-17
JP2015029068A JP6429664B2 (ja) 2015-02-17 2015-02-17 拭き取りシート
PCT/JP2016/051306 WO2016132790A1 (ja) 2015-02-17 2016-01-18 拭き取り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7022A true KR20170117022A (ko) 2017-10-20
KR102449531B1 KR102449531B1 (ko) 2022-09-29

Family

ID=56689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6975A KR102449531B1 (ko) 2015-02-17 2016-01-18 와이핑 시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JP (1) JP6429664B2 (ko)
KR (1) KR102449531B1 (ko)
CN (1) CN107105869B (ko)
BR (1) BR112017014613B1 (ko)
MY (1) MY180038A (ko)
PH (1) PH12017501163A1 (ko)
TW (1) TWI683046B (ko)
WO (1) WO20161327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31101A1 (ko) * 2018-05-28 2019-12-05 주식회사 휴비스 층상구조의 수류교락 부직포 마스크 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89348A (ja) * 2016-12-05 2018-06-14 花王株式会社 湿式ワイピングシート
MY195844A (en) * 2016-12-05 2023-02-23 Kao Corp Wet Wiping Sheet
CN109532129B (zh) * 2017-09-22 2021-06-15 稳健医疗(嘉鱼)有限公司 一种化妆棉及其制备方法和制备系统
JP2019089736A (ja) * 2017-11-16 2019-06-13 花王株式会社 皮膚洗浄用ウエット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9185161A1 (fr) * 2018-03-29 2019-10-03 L'oreal Article tel qu'une houppette
JP6542458B1 (ja) * 2018-09-28 2019-07-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化粧用シート
US20220219104A1 (en) * 2019-05-13 2022-07-14 Toyobo Co., Ltd. Filter medium for filter and filter
JP7474035B2 (ja) * 2019-08-30 2024-04-24 大王製紙株式会社 拭き取り用シートの製造方法
JP7113863B2 (ja) * 2020-03-27 2022-08-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マスク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5915A (ja) * 1995-04-07 1996-10-22 Japan Vilene Co Ltd ワイピング材
JPH1090669A (ja) * 1996-09-17 1998-04-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310226A2 (de) * 2001-11-08 2003-05-14 W. Pelz GmbH & Co. Kosmetisches Wattepad
JP2004230111A (ja) * 2003-01-30 2004-08-19 Masuo Kato 天然植物繊維カポックを利用した脂吸着化粧用パッド、苗床シートおよびカポック混入食品
JP3944526B2 (ja) 2004-08-11 2007-07-11 大和紡績株式会社 化粧料含浸用皮膚被覆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フェイスマスク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12828B (en) * 1981-11-24 1985-04-17 Kimberly Clark Ltd Perforated thermally bonded microfibre web
EP0418493A1 (en) * 1989-07-28 1991-03-27 Fiberweb North America, Inc. A nonwoven composite fabric combined by hydroentangling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543597B2 (ja) * 1989-08-31 1996-10-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開孔を有する複合不織布の製造方法
JPH03227442A (ja) * 1990-01-30 1991-10-08 Asahi Chem Ind Co Ltd シート状物
JP3905916B2 (ja) * 1998-06-01 2007-04-18 ユニチカ株式会社 極細繊維を含む複合不織布の製造方法
JP2001081657A (ja) * 1999-09-08 2001-03-27 Kuraray Co Ltd 壁紙用表面材料および該壁紙用表面材料を含む壁紙
US20030131457A1 (en) * 2001-12-21 2003-07-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forming composite absorbent members
JP2003342863A (ja) * 2002-03-19 2003-12-03 Toray Ind Inc 不織布、該不織布を用いた簡易衣料およびワイパー
JP4094996B2 (ja) * 2002-08-05 2008-06-04 大和紡績株式会社 ワイパー用不織布および洗浄用ワイパー
JP4804118B2 (ja) * 2004-12-17 2011-11-02 ダイワボウ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積層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095226A (ja) * 2006-10-11 2008-04-24 Toray Ind Inc シート状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9041093A1 (ja) * 2007-09-25 2009-04-02 Tradik Co., Ltd. 繊維積層シートとこれを用いた人工皮革及びこれに用いる合成繊維紙
JP5324403B2 (ja) * 2008-12-05 2013-10-23 ダイワボウ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化粧料含浸用皮膚被覆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フェイスマスク
JP5272130B2 (ja) * 2008-12-05 2013-08-28 ダイワボウ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化粧料含浸用皮膚被覆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フェイスマスク
JP5199953B2 (ja) * 2009-06-03 2013-05-15 ダイワボウ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化粧料含浸用皮膚被覆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フェイスマスク
JP5689616B2 (ja) * 2009-10-16 2015-03-25 花王株式会社 不織布
JP2011162246A (ja) * 2010-02-12 2011-08-25 Asahi Kasei Home Products Kk ドリップ吸収シート
CN103249884B (zh) * 2010-12-02 2015-08-12 大和纺控股株式会社 无纺布及其制造方法以及擦拭材料
TWI521112B (zh) * 2012-05-25 2016-02-11 財團法人紡織產業綜合研究所 不織布及其製造方法與製造設備
JP2013256461A (ja) * 2012-06-12 2013-12-26 Teijin Ltd 人体肌接触用シートおよびコスメテイック製品
US20140127459A1 (en) * 2012-11-06 2014-05-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icle(s) with soft nonwoven web
JP5752775B2 (ja) * 2013-03-04 2015-07-22 株式会社finetrack 長繊維不織布およびその長繊維不織布を有する積層生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5915A (ja) * 1995-04-07 1996-10-22 Japan Vilene Co Ltd ワイピング材
JPH1090669A (ja) * 1996-09-17 1998-04-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310226A2 (de) * 2001-11-08 2003-05-14 W. Pelz GmbH & Co. Kosmetisches Wattepad
JP2004230111A (ja) * 2003-01-30 2004-08-19 Masuo Kato 天然植物繊維カポックを利用した脂吸着化粧用パッド、苗床シートおよびカポック混入食品
JP3944526B2 (ja) 2004-08-11 2007-07-11 大和紡績株式会社 化粧料含浸用皮膚被覆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フェイスマス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31101A1 (ko) * 2018-05-28 2019-12-05 주식회사 휴비스 층상구조의 수류교락 부직포 마스크 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35332A (ko) * 2018-05-28 2019-12-06 주식회사 휴비스 층상구조의 수류교락 부직포 마스크 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51070A (ja) 2016-08-22
JP6429664B2 (ja) 2018-11-28
CN107105869A (zh) 2017-08-29
MY180038A (en) 2020-11-20
CN107105869B (zh) 2021-08-10
WO2016132790A1 (ja) 2016-08-25
KR102449531B1 (ko) 2022-09-29
TW201702447A (zh) 2017-01-16
BR112017014613A2 (pt) 2018-02-06
PH12017501163B1 (en) 2017-12-11
BR112017014613B1 (pt) 2022-07-26
TWI683046B (zh) 2020-01-21
PH12017501163A1 (en) 2017-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9531B1 (ko) 와이핑 시트
CA2611314C (en) Tufted fibrous web
US7682686B2 (en) Tufted fibrous web
JP4286255B2 (ja) タフト付きラミネートウェブ
JP5599544B2 (ja) 少なくとも1つの吸収シートを含む美容用及び/または皮膚科用のパーソナルケア及び/またはクレンジング吸収製品
RU2603611C1 (ru) Подвергнутые струйному скреплению слоистые полотна, имеющие полые выступы, и способ и аппарат для их изготовления
JP3559533B2 (ja) 絡合不織布とこれを用いた清拭シートおよび湿潤性シート
JP4592516B2 (ja) 液体含浸用皮膚被覆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フェイスマスク
RU2723405C1 (ru)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RU2713963C1 (ru) Многослойный нетканый материал,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и потовпитывающий лист
JP2008285433A (ja) 化粧料含浸皮膚被覆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211371A (ja) 積層不織布
JP4949236B2 (ja) 圧縮抵抗不織布
JP5625027B2 (ja) 化粧料含浸皮膚被覆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9170756A (ja) 液体含浸皮膚被覆シート用不織布および液体含浸皮膚被覆シート
JP6952447B2 (ja) 清掃用ウエットシート
JP6246505B2 (ja) ワイパー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105864B (zh) 一次性化妆棉
JP3978423B2 (ja) 化粧用不織布シート
JP6456688B2 (ja) 絡合不織布、これを用いた清拭シートおよび湿潤性シート
JP2023051889A (ja) 積層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液体含浸皮膚被覆シート、ならびにフェイスマスク
JP2021123819A (ja) 対人用拭き取りシート用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対人用拭き取りシート
JP2020014740A (ja) 清掃用シート
JP2022134470A (ja) 積層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