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3323A - 배기 라인 밸브 및 대응하는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배기 라인 밸브 및 대응하는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3323A
KR20170113323A KR1020170039173A KR20170039173A KR20170113323A KR 20170113323 A KR20170113323 A KR 20170113323A KR 1020170039173 A KR1020170039173 A KR 1020170039173A KR 20170039173 A KR20170039173 A KR 20170039173A KR 20170113323 A KR20170113323 A KR 20170113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coupling device
driven
valve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9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4241B1 (ko
Inventor
길버트 델프랑크
줄리엥 캄비아
알랭 메르시에
Original Assignee
포르시아 쥐스뗌 데샤피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르시아 쥐스뗌 데샤피망 filed Critical 포르시아 쥐스뗌 데샤피망
Publication of KR20170113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3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F02D9/10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pivotally-mounted flaps
    • F02D9/1065Mechanical control linkage between an actuator and the flap, e.g. including levers, gears, springs, clutches, limit stops of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4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concerning exhaust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F02D9/10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pivotally-mounted flaps
    • F02D9/107Manufacturing or mounting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52Systems for actuating EGR valves
    • F02M26/53Systems for actuating EGR valves using electric actuators, e.g. solenoids
    • F02M26/54Rotary actuators, e.g. step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65Constructional details of EGR valves
    • F02M26/66Lift valves, e.g. poppet valves
    • F02M26/67Pintles; Spindles; Springs; Bearings; Sealings; Connections to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65Constructional details of EGR valves
    • F02M26/70Flap valves; Rotary valves; Sliding valves; Resilien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16K1/221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specially adapted opera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16K27/0218Butterfl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 F16K31/043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means between the motor and the valve, e.g. lost motion means reducing backlash, clutches, brakes or retur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0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 F16D3/06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specially adapted to allow axial dis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밸브(1)는 플랩의 구동 샤프트(7)에 결합된 피동 부재(21), 액추에이터의 출력 샤프트(11)에 결합된 구동 부재(23), 및 탄성 부재(25)를 갖는 커플링 장치(13)를 포함한다.
구동 부재(23)는 탄성 부재(25)가 탄성적으로 로딩(elastically loading)되는 임시 위치에서 탄성 부재(25)를 구동 부재(23)에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부속물(27, 29)을 포함한다.
구동 부재(21)는, 커플링 장치(13)가 중간 상태로 될 때에 부속물(27, 29)에서 탄성 부재(25)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제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해제 부재(31)를 포함하거나, 또는 커플링 장치(13)가 중간 상태에 있을 때에 탄성 부재(25)가 부속물(27, 29)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제될 수 있다.
탄성 부재(25)는 일단 해제되면, 탄성 하중의 완화 작용 하에 최종적인 사용 위치를 점유하고, 이어서 커플링 장치(13)가 그 작동 상태를 취한다.

Description

배기 라인 밸브 및 대응하는 조립 방법{EXHAUST LINE VALVE AND CORRESPONDING ASSEMBLING PROCESS}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배기 라인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제1 양태에 따라,
밸브체;
상기 밸브체 내부에 위치 설정되고 밸브체에 대해 이동 가능한 플랩;
플랩을 구동시키는 샤프트;
액추에이터;
액추에이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출력 샤프트;
구동 샤프트에 결합된 피동 부재, 출력 샤프트에 결합된 구동 부재, 및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커플링 장치
를 포함하고, 커플링 장치는, 상기 구동 부재가 피동 부재를 적어도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축 둘레에서 밸브체에 대해 회전 구동시키도록 배치되는 작동 상태를 가지며, 탄성 부재는, 탄성 부재가 구동 부재와 피동 부재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압축되어 피동 부재를 제1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축 둘레에서 밸브체에 대해 회전하게 압박하는 사용 위치에 있는 유형의 배기 라인 밸브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밸브는 DE 10 2011 107 088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조립 시에, 탄성 부재는 먼저 피동 부재 상에 배치된다. 이 임시 위치에서, 탄성 부재가 로딩되지지 않는다. 탄성 부재는 조립 시에 구동 부재를 피동 부재에 접근시킴으로써 로딩된다.
탄성 부재는 상당한 강성을 가지므로, 탄성 부재를 로딩한다는 점은 조립을 더 어렵게 만든다. 더욱이, 특히 판매 후의 상황에서, 탄성 부재의 불량한 위치 설정, 또는 탄성 부재의 불량한 로딩의 우려가 존재한다.
또한, EP 1 024 270호는 커플링 장치가 레버, 나선형 스프링 및 치형 휠을 구비하는 밸브를 기술하고 있다. 이 서브 세트는 미리 조립된 다음, 플랩을 구동시키는 샤프트 상에 원피스로 조립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발명은 전술한 단점을 갖지 않는 밸브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전술한 유형의 배기 라인 밸브를 다루는 것으로서,
구동 부재는 탄성 부재가 탄성적으로 로딩(elastically loading)되는 임시 위치에서 탄성 부재를 구동 부재에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부속물을 포함하고, 임시 위치는 사용 위치와 상이하며,
커플링 장치는 탄성 부재가 임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중간 상태로 될 수 있으며,
피동 부재는 커플링 장치가 그 중간 상태로 될 때에 부속물에서 탄성 부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제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해제 부재를 포함하거나, 또는 커플링 장치가 중간 상태에 있을 때에 탄성 부재가 부속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제될 수 있고,
탄성 부재는 일단 해제되면, 탄성 하중의 완화 작용 하에 그 사용 위치를 점유하고, 이어서 커플링 장치가 그 작동 상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밸브의 탄성 부재는, 커플링 장치를 조립하기 전에 미리 로딩된다. 이에 따라, 스프링의 불량한 로딩 또는 탄성 부재의 불량한 위치 설정의 우려가 상당히 감소된다. 탄성 부재는 커플링 장치가 해제될 때에 작동 상태로 되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해진다.
피동 부재는 탄성 부재가 일단 해제되면 그 사용 위치까지 탄성 부재를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탄성 부재는 부분적으로 느슨해지면서 그 사용 위치에 자동적으로 위치된다. 탄성 부재는 커플링 장치의 적절한 작동에 요구되는 그 탄성 하중의 일부를 유지한다.
밸브는 또한 개별적으로 또는 모든 기술적으로 가능한 조합에 따라 고려되는, 아래의 특징들 중 1개 또는 여러 개를 가질 수 있다.
피동 부재는, 탄성 부재가 부속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제되면 탄성 부재를 그 사용 위치까지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탄성 부재는 임시 위치에서 출력 샤프트에 평행하게 그리고 출력 샤프트 둘레에서 원주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로 탄성적으로 로딩된다.
탄성 부재는 서로 대향하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갖는 나선형 스프링이고, 부속물은 구동 부재에 대한 제1 단부의 영구적 부속물과, 탄성 부재가 그 사용 위치로 이동되게 하도록 해제되는, 구동 부재에 대한 제2 단부의 착탈형 부속물을 구비한다.
구동 부재는 상저부를 포함하고, 착탈형 부속물은 상저부에 고정되는 후크를 포함하며, 후크는 상저부를 향하고 측방향 받침대에 의해 한쪽이 원주 방향으로 한정되는 지지 영역을 갖고, 임시 위치에서 탄성 부재의 제2 단부는 출력 샤프트에 평행하게 지지 영역에 대해 탄성적으로 압박되고 그리고 출력 샤프트 둘레에서 받침대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압박된다.
피동 부재는 하저부를 포함하고, 해제 부재는 구동 샤프트에 평행하게 하저부에 대해 돌출되며, 해제 부재는, 커플링 장치가 중간 상태로 될 때에, 해제 부재가 제2 단부를 지지 영역 위로 측방향 받침대를 가로지르기에 충분한 높이만큼 들어올리도록 선택된 형상을 갖는다.
해제 부재는 하저부로부터 융기된 제1 융기 에지이고, 피동 부재는 제1 융기 에지에 대해 제2 회전 방향으로 변위되는, 하저부로부터 융기된 제2 융기 에지를 가지며, 제2 융기 에지는 제1 노치만큼 제1 융기 에지로부터 떨어져 있고, 사용 위치에서 제2 단부가 제1 노치 내부에 수용된다.
피동 부재는 밸브체를 향해 오목한 중앙 영역을 갖는 하저부를 포함하고, 밸브체는 오목한 중앙 영역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구동 샤프트의 안내 베어링을 지지한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의 배기 라인 밸브를 조립하는 방법을 다루는 것으로서, 상기 밸브는,
밸브체;
밸브체 내부에 위치 설정되고 밸브체에 대해 이동 가능한 플랩;
플랩을 구동시키는 샤프트;
액추에이터;
액추에이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출력 샤프트; 및
구동 샤프트에 결합된 피동 부재, 출력 샤프트에 결합된 구동 부재, 및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커플링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탄성 부재가 탄성적으로 로딩되는 임시 위치에서 부속물을 사용하여 탄성 부재를 구동 부재에 연결하는 단계;
커플링 장치를 중간 상태로 되게 하는 단계; 및
탄성 부재를 부속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탄성 부재는 탄성 하중의 완화 작용 하에 임시 위치로부터 사용 위치로 이동하며, 이러한 이동은 커플링 장치가 작동 상태로 되게 하며, 작동 상태에서, 구동 부재는 피동 부재를 적어도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축 둘레에서 밸브체에 대해 회전 구동시키도록 배치되고, 사용 위치에서의 탄성 부재는, 구동 부재와 피동 부재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압축되어 피동 부재를 제1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축 둘레에서 밸브체에 대해 회전하게 압박한다.
방법은 특히 위의 특징들을 갖는 밸브를 조립하도록 된 것이다.
역으로, 밸브는 위의 방법을 이용하여 조립되기에 특히 적합하다.
방법은 아래의 특징을 또한 가질 수 있다.
탄성 부재는, 커플링 장치가 그 중간 상태로 될 때에, 부속물로부터 자동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제된다.
제3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위의 특징들을 갖는 밸브를 포함하는 배기 라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결코 제한이 아니라 표지로서 아래에 제공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사시도.
도 2는, 커플링 장치를 구성하는 여러 요소들을 보여주기 위해 커플링 장치가 분해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는 도 1의 밸브의 부분 도면.
도 3은 작동 상태인 도 1 및 도 2의 커플링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작동 상태인 커플링 장치를 보여주는, 도 1의 밸브의 일부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탄성 부재가 임시 위치에 있는, 도 3의 커플링 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도 3의 커플링 장치의 구동 부재와 피동 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대안을 위한 커플링 장치의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도 1 내지 도 6의 커플링 장치와 제1 실시예의 제2 대안 간의 차이를 입증하는 개략도.
도 10은 도 5와 유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도 1에 예시된 밸브(1)는 차량의 배기 라인에 장착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차량은 통상적으로 자동차, 예컨대 승용차 또는 트럭이다.
밸브는, 예컨대 차량의 음향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엔진의 작동 지점에 따라 배기 라인의 특정 도관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개폐하도록 제공된다. 이 경우에, 밸브는 통상적으로 배기 라인의 후방 소음기의 상류에 배치된 튜브에 또는 배기 라인의 후방 소음기의 하류에 배치된 튜브에 장착된다.
대안으로, 밸브는 배기 가스의 재순환 레벨을 엔진의 입구를 향해 조절하게 함으로써, 배기 라인으로부터의 오염물, 특히 질소 산화물 배출물의 배출을 개선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이 목적을 위한 밸브는 배기 라인의 역압을 조정하게 한다. 이 경우, 밸브는 통상적으로 도관에 삽입되어 배기 가스를 엔진의 입구를 향해, 또는 메인 배기 도관과 배기 가스를 엔진의 입구를 향해 재순환시키는 도관 사이의 연결부의 바로 하류를 향해 재순환시킬 가능성을 제공한다.
그러한 밸브는, 예컨대 입구 오리피스와 2개의 출구 오리피스가 마련된 3방향 밸브이며, 구체적으로는 메인 배기 도관과 배기 가스를 엔진의 입구를 향해 재순환시키는 도관 사이의 접합부에 위치한다. 이 3방향 밸브의 기능은 두 회로 사이에서 배기 가스의 분포를 보장하는 것이다.
밸브는 또한 배기 가스를 열 에너지를 회수하기 위한 부재로 또는 이 부재의 우회를 가능하게 하는 우회로로 선택적으로 지향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밸브(1)는 밸브체(3), 밸브체(3) 내부에 위치 설정되어 밸브체(3)에 대해 이동 가능한 플랩(5), 및 플랩을 구동하는 샤프트(7)를 포함한다.
밸브(1)는 또한 액추에이터(9), 액추에이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출력 샤프트(11), 및 커플링 장치(13)를 포함한다.
밸브체(3)는 플랩(5)이 위치 설정되는 배기 가스의 통로(15)를 내부에서 획정한다.
플랩(5)은 밸브체(3)에 대해 복수 개의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통상적으로, 플랩은 내부 통로(15)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위치, 내부 통로(15)의 전체적인 또는 부분적인 밀폐 위치, 및 선택적으로 세척 위치와 밀폐 위치 사이의 1개 또는 여러 개의 중간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플랩(5)은 임의의 적절한 형상을 갖는다. 예시된 예에서, 플랩(5)은 밸브체의 내부 섹션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예시된 예에서, 플랩(5)은 타원형이다.
밸브(1)는, 예컨대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나비형이다. 구동 샤프트(7)는 이 경우에 플랩(5)의 중앙선을 따라 연장되며, 중앙선은 플랩(5)의 작은 축선이다.
대안으로, 밸브는 임의의 다른 유형이다.
예시된 예에서, 플랩(5)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구동축(7)에 직접 결합된다.
액추에이터(9)는 플랩(5)을 이들 상이한 위치들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제공된다. 액추에이터(9)는 통상적으로 감속 기어가 있거나 없는 전기 모터이다.
예시된 예에서, 출력 샤프트(11)는 액추에이터(9)에 의해 직접 회전 구동된다.
도 1에 예시된 예에서, 액추에이터(9)는 나사(19) 등의 착탈형 부착 부재에 의해 밸브체에 용접된 탭(17) 상에 장착된다.
커플링 장치(13)는 액추에이터의 엔진 토크를 출력 샤프트(11)로부터 구동 샤프트(7)로, 그리고 플랩(5)으로 전달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를 위해,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장치(13)는 구동 샤프트(7)에 결합된 피동 부재(21), 출력 샤프트(11)에 결합된 구동 부재(23), 및 탄성 부재(25)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9)는 밸브체(3)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커플링 장치(13) 자체가 또한 분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플링 장치는, 구동 부재(23)가 피동 부재(21)를 도 1에 예시된 적어도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축(X) 둘레에서 밸브체(3)에 대해 회전 구동시키도록 배치된 작동 상태(도 1 및 도 3)를 갖는다.
커플링 장치(13)가 작동 상태에 있을 때에, 탄성 부재(25)는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사용 위치에 있다.
이 사용 위치에서, 탄성 부재(25)는 구동 부재(23)와 피동 부재(21)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압축된다. 더욱이, 탄성 부재는 피동 부재(21)를 제1 회전 방향과 반대인 제2 회전 방향(R2)으로 회전축(X) 둘레에서 밸브체(3)에 대해 회전하게 압박한다(도 3 및 도 4 참조).
또한, 구동 부재(23)는 탄성 부재(25)를 임시 위치에서 구동 부재(23)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부속물(27, 29)을 포함한다. 도 5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임시 위치에서 탄성 부재(25)는 탄성적으로 로딩된다. 임시 위치는 사용 위치와 상이하다.
임시 위치에서 탄성 부재(25)는 통상적으로 출력 샤프트(11)에 평행하게 그리고 출력 샤프트(11) 둘레에서 원주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로 탄성적으로 로딩된다.
커플링 장치(13)는 탄성 부재(25)가 그 임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중간 상태로 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에 예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피동 부재(21)는 커플링 장치(13)가 그 중간 상태를 향해 갈 때에 부속물(27, 29)에서 탄성 부재(25)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제시키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제 부재(31)를 포함한다.
도 10에 예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부재(25)는, 커플링 장치(13)가 중간 상태에 있을 때에, 부속물(27, 29)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제될 수 있다.
양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25)는, 일단 부속물(27, 29)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제되면, 탄성 하중의 완화 작용 하에 그 사용 위치를 점유하고, 이어서 커플링 장치(13)가 그 작동 상태를 취한다.
도 5는 중간 상태에 가까운 상태에서 커플링 장치를 나타낸다. 도 5의 상태로부터 중간 상태에 도달하기 위하여, 구동 부재(23)와 피동 부재(21)는 실질적으로 회전축(X)을 따라 서로 더 가깝게 된다.
탄성 부재(25)의 해제는 탄성 부재가 그 로딩된 상태로부터 부분적으로 느슨해질 수 있기 때문에 탄성 부재가 사용 위치까지 이동되게 하고, 피동 부재(21)는 탄성 부재를 그 사용 위치까지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이들 상이한 지점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출력 샤프트(11)와 구동 샤프트(7)는 회전축(X)을 따라 서로 정렬된다.
출력 샤프트와 구동 샤프트는 도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서로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출력 샤프트의 하단부(33)는 빈 공간(37)만큼 구동 샤프트의 상단부(35)로부터 떨어져 있다. 따라서, 출력 샤프트와 구동 샤프트는 직접 접촉하지 않고 서로 열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구동 부재(23)는 출력 샤프트의 하단부(33)에 부착된다. 피동 부재(21)는 구동 샤프트의 상단부(35)에 부착된다.
탄성 부재(25)는, 예시된 예에서, 서로 대향하는 제1 단부(39)와 제2 단부(41)를 갖는 나선형 스프링이다. 대안으로, 탄성 부재(25)는 나선형 스프링 또는 이 목적에 적절한 임의의 다른 유형이다.
커플링 장치의 작동 상태에서, 탄성 부재(25)는 회전축(X)과 동축이다.
부속물은 구동 부재(23)에 대한 제1 단부(39)의 영구적 부속물(27)과, 구동 부재(23)에 대한 제2 단부(41)의 착탈형 부속물(29)을 포함한다.
도 6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구동 부재(23)는 통상적으로 딥 드로잉된 금속 부분의 일부이다. 구동 부재는 일반적인 컵 형상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동 부재(23)는 상저부(43; upper bottom)를 갖는다. 상저부(43)는 여기서 실질적으로 평탄하다.
예시된 예에서, 상저부(43)는 오리피스(45)를 구비하고, 출력 샤프트에 대한 구동 부재(23)의 부착 부재(46)가 오리피스 내에 맞물린다(도 4).
영구적 부속물(27)은, 예컨대 탄성 부재의 제1 단부(39) 둘레에 롤링된 후크이다. 후크는 제1 단부(39)를 구동 부재에 고정시키도록 변형된다.
착탈형 부속물(29)은, 예컨대 상저부(43)에 고정된 후크(47)를 포함하고, 상저부(43)를 향하는 지지 영역(49)을 갖는다. 지지 영역(49)은 측방향 받침대(51; abutment)에 의해 한쪽이 원주 방향으로 한정된다. 받침대(51)의 반대쪽에서, 지지 영역(49)은 상저부(43)와 결합하는 레그(53)에 의해 한정된다. 통로(55)가 받침대(51)의 상단과 상저부(43) 사이에 존재한다.
따라서, 후크(47)는 대략적인 L 형상을 갖는다. 후크는 출력 샤프트의 방향에 평행하게 상저부(43)에 대해 돌출된다.
영구적 부속물(27)은 출력 샤프트(11)의 방향을 따라 지지 영역(49)보다 상저부(43)에 가깝게 배치된다.
도 5에 예시된 임시 위치에서, 탄성 부재(25)의 제2 단부(41)는 출력 샤프트(11)에 평행하게 지지 영역(49)에 대해 탄성적으로 압박된다. 탄성 부재의 제2 단부는 또한 출력 샤프트(11) 둘레에서 원주 방향으로 측방향 받침대(51)에 대해 탄성적으로 압박된다. 따라서, 제2 단부(41)는 지지 영역(49)과 측방향 받침대(51) 사이의 결합부에서 지지 영역 상에 놓인다.
도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임시 위치에서, 제1 단부(39)로 종결되는 탄성 부재의 상부 턴(57)은 바람직하게는 상저부(43)에 대해 지지된다.
영구적 부속물(27)과 착탈형 부속물(29)은 출력 샤프트(11) 둘레에서 약 150°만큼 서로에 대해 각도적으로 변위된다. 따라서, 임시 위치에서, 탄성 부재의 제1 단부(39) 및 제2 단부(41)는 반경 방향을 따라 배향되고, 예시된 예에서 약 150°만큼 변위된다.
이와 달리, 도 2에 예시된 휴지 위치에서, 제1 단부(39)와 제2 단부(41)는 통상적으로 120°미만의 각도를 서로 형성한다.
구동 부재(23)는 또한 탄성 부재(25)를 상저부(43)에 대해 제위치에 유지할 가능성을 제공하도록 상저부(43) 둘레에 폴딩된 에지(59)를 포함한다. 특히, 폴딩된 에지(59)는 상저부(43)에 대한 상부 턴(57)의 변위를 제한한다.
폴딩된 에지(59)는 영구적 부속물(27) 및 착탈형 부속물(29)과 동일한 상저부(43)의 면에서 폴딩된다.
도 6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구동 부재(23)는 구동 탭(61)을 더 포함하는데, 그 기능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한다. 구동 탭(61)은 상저부(43)에 고정되고 에지(59) 및 부속물(27, 29)과 동일한 상저부의 면에서 폴딩된다.
피동 부재(21)는, 예시된 예에서, 또한 딥 드로잉된 금속 부분이다. 피동 부재는 일반적인 컵 형상을 갖는다.
피동 부재(21)는 하저부(63; lower bottom)를 포함하고, 하저부는 통상적으로 구동 샤프트의 상단부(35)가 맞물리는 오리피스(65)를 그 중앙에 구비한다.
도 1 내지 도 6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해제 부재(31)는 구동 샤프트(7)에 평행하게 하저부(63)에 대해 돌출된다. 해제 부재는, 커플링 장치(13)가 중간 상태로 될 때에, 해제 부재(31)가 탄성 부재의 제2 단부(41)를 지지 영역(49) 위로 측방향 받침대(51)를 가로지르기에 충분한 높이만큼 들어올리도록 선택된 형상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해제 부재(31)는 하저부(63)로부터 융기된 에지이다. 이 에지는 커플링 장치(13)의 작동 상태에서 구동 부재(23)를 향하는 하저부(63)의 일면에서 폴딩된다.
해제 부재(31)는 피동 부재(21)의 주연부의 일부에 걸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해제 부재는 구동 샤프트(7)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에서 연장되는 부분(66)을 포함하는 상부 에지에 의해 구동 부재(23)를 향해 한정된다.
또한, 피동 부재(21)는 하저부(63)로부터 돌출하고 제1 융기 에지에 대해 제2 회전 방향(R2)으로 변위된 제2 융기 에지(67)를 포함한다. 제2 융기 에지(67)는 제1 융기 에지로부터 제1 노치(69)만큼 떨어져 있다. 일단 착탈형 부속물(29)로부터 해제되면, 이완 시에 탄성 부재(25)의 제2 단부(41)는 사용 위치에서 제1 노치(69) 내에 수용되게 된다. 이 상황은 도 3에 예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 위치에서, 제2 단부(41)는 제2 융기 에지의 단부(71)에 대해 편평하게 된다. 단부(71)는 제1 노치(69)에 접한다.
제2 융기 에지(67)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동 탭(61)과 협동하도록 된, 단부(71)에 대향하는 단부(73)를 더 구비한다.
피동 부재(21)는 하저부(63)에 대해 돌출되는 제3 융기 에지(75)를 더 포함한다. 제3 융기 에지(75)는 제2 융기 에지(67)에 대해 제2 회전 방향(R2)으로 변위되고, 이 제2 융기 에지로부터 제2 노치(77)만큼 떨어져 있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구동 부재(23)의 구동 탭(61)은 커플링 장치(13)의 작동 상태에서 제2 노치(77)에 맞밀린다.
도 6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제2 노치(77)에 인접하는 제2 융기 에지의 단부(73)는 구동 샤프트(7)에 대해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인 평면으로 폴딩된다. 또한, 제3 융기 에지(75)는 구동 샤프트(7)에 대해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인 평면으로 폴딩되는, 제2 노치(77)에 인접한 단부(79)를 갖는다.
따라서, 커플링 장치의 작동 상태에서, 구동 부재(23)는 피동 부재(21)를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축(X) 둘레에서 밸브체(3)에 대해 회전 구동시키도록 제2 융기 에지(67)와 직접 접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동 탭(61)은 단부(73)에 대해 직접 지지한다. 탄성 부재(25)는 제2 융기 에지(67)를 구동 탭(61)을 향해 원주 방향으로 압박하여 단부(73)를 구동 탭(61)에 대해 편평한 상태로 유지한다.
탄성 부재가 고장난 경우에, 구동 탭(61)은 제3 융기 에지(75)와 협동하여 피동 부재(21)를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동 탭(61)은 피동 부재를 회전 구동시키도록 제3 융기 에지의 단부(79)에 접촉하여 단부에 대해 직접 지지할 수 있다.
도면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하저부(63)는 유리하게는 밸브체(3)를 향해 오목한 중앙 영역(81)을 포함한다. 중앙 영역(81)은 하저부(63)의 주변 영역에 관하여 구동 부재(23)를 향하여 돌출된 돔을 형성한다.
중앙 영역(81)은 탄성 부재(25) 내측에 맞물린다. 제2 단부(41)로 종결되는 탄성 부재의 말단 턴(83)은 중앙 영역(81) 둘레에 위치 설정되어 하저부(63)와 접촉한다. 융기 에지(31, 67, 75)는 말단 턴(83)을 피동 부재에 대해 제위치에 유지한다. 융기 에지들은 말단 턴(83)의 움직임을 하저부에 대해 제한한다.
또한,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밸브체(3)는 구동 샤프트(7)를 안내하는 베어링(85)을 지지한다. 이들 베어링(85)은 구동 샤프트의 상단부(35) 둘레에 위치 설정되어 밸브체(3)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도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베어링(85)은 오목한 중앙 영역(81) 내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물리고, 이에 따라 물, 먼지, 자갈 등과 같은 이물의 침입으로부터 보호된다.
더욱이, 도 4에서, 베어링(85)이 시일 링(87)을 지지한다는 것이 확인된다. 추가 시일 링(89)은 오리피스(65) 둘레에서 오목한 중앙 영역(81)의 내측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시일 링은 구동 샤프트(7) 둘레에 밀봉되는 방식으로 추가된다.
링(87, 89)은 구동 샤프트(7)를 따라 배기 가스가 누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 시일을 생성하도록 서로 협동하는 각각의 표면을 갖는다. 사용 위치에서, 탄성 부재(25)는 구동 부재(23)와 피동 부재(21)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압축되기 때문에, 시일 링(87, 89)은 탄성 부재(25)에 의해 서로 압박된다.
커플링 장치의 작동 상태에서, 구동 부재(23)와 피동 부재(21)는 서로 대향하게 위치 설정된다. 후크(47), 구동 탭(61) 및 에지(59)는 상저부(43)로부터 피동 부재를 향한다.
반대로, 제1, 제2 및 제3 융기 에지(31, 67, 75)는 하저부(63)로부터 구동 부재(25)를 향한다.
탄성 부재(25)는 구동 부재(23)와 피동 부재(21) 사이,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저부(63)와 상저부(43) 사이에서 회전축(X)에 평행하게 압축된다.
탄성 부재(25)의 제1 단부(39)는 영구적 부속물(27)을 통해 구동 부재에 부착된다. 제2 단부(41)는 제1 노치(69) 내에 맞물리고, 제2 융기 에지(67)의 제1 단부(71)에 대해 지지되게 된다. 제2 단부는 원주 방향으로 제1 단부(71)를 구동 탭(61)에 대해 압박한다.
구동 탭(61)은 제2 노치(77) 내에 삽입된다.
커플링 장치(13)의 중간 상태는 피동 부재(21)와 구동 부재(23)가 작동 상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있는 상태에 대응한다. 다른 한편으로, 탄성 부재(25)는 사용 위치가 아니라 임시 위치에 있다.
도 1 내지 도 6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중간 상태에서, 피동 부재와 구동 부재는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다. 후크(47), 구동 탭(61) 및 에지(59)는 상저부(43)로부터 피동 부재를 향한다.
반대로, 제1, 제2 및 제3 융기 에지(31, 67, 75)는 하저부(63)로부터 구동 부재(25)를 향한다.
구동 탭(61)은 제2 노치(77) 내에 삽입된다.
다른 한편으로, 탄성 부재(25)는 제2 융기 에지를 구동 탭(61)에 대해 압박하지 않는다.
제1 실시예에서, 커플링 장치(13)는 그 중간 상태에 도달하지 않는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탄성 부재(25)는, 구동 부재(23)가 피동 부재(21)에 가깝게 되는 동안에, 커플링 장치가 그 중간 상태에 도달하기 전에, 또는 커플링 장치가 중간 상태에 막 도달한 시기에 해제된다.
이제, 밸브의 작동을 설명한다.
플랩(5)을 회전축(X) 둘레에서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 변위시키기 위해, 액추에이터(9)는 출력 샤프트(11)를 제1 회전 방향(R1)으로 구동시킨다. 예컨대, 제1 회전 방향(R1)은 통로(15)를 폐색하기 위한 위치까지 플랩(5)을 변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폐쇄 이동에 대응한다.
구동 탭(61)은 일반적으로 제2 폴딩된 에지의 단부(73)에 대해 직접 지지된다. 따라서, 구동 부재(23)는 피동 부재(21)를 구동 탭(61)과 제2 융기 에지(67) 간에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압박한다.
피동 부재(21)는 다시 구동 샤프트(7)를 구동시키고, 구동 샤프트는 플랩(5)을 구동시킨다.
플랩(5)을 회전축(X) 둘레에서 제2 회전 방향(R2)으로 변위시키기 위해, 액추에이터(9)는 회전축(X) 둘레에서 상기 제2 회전 방향에 따라 출력 샤프트(11)를 구동시킨다. 통상적으로, 제2 회전 방향(R2)은 플랩(5)을 그 폐색 위치로부터 통로(15)를 세척하기 위한 부분 또는 전체 위치를 향해 변위시키는 것에 대응한다.
따라서, 구동 부재(23)는 회전축(X) 둘레에서 회전 구동된다. 이 운동은 탄성 부재(25)를 통해 피동 부재(21)에 전달되며, 피동 부재(21)를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게 영구적으로 압박한다. 탄성 부재(25)는 제2 융기 에지(67)가 구동 탭(61)과의 접촉을 따르고 그 접촉을 유지하게 한다.
탄성 부재(25)가 손상, 예컨대 파손되는 경우, 회전축(X) 둘레에서 제2 회전 방향을 따른 회전 운동은 제3 융기 에지(75)의 단부(79)에 대해 직접 지지되는 구동 탭(61)을 통해 피동 부재(21)에 전달된다.
이제, 전술한 바와 같은 밸브를 장착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방법은 상기한 밸브에 특히 적합하다.
방법은 탄성 부재(25)가 임시 위치에서 부속물(27, 29)을 통해 구동 부재(23)와 연결되는 제1 단계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는 탄성적으로 로딩된다.
탄성 부재는 구동 부재(23)와만 연결된다. 탄성 부재는 피동 부재(21)와 연결되지 않는다.
구동 부재(23)는, 예컨대 출력 샤프트(11)에 이미 부착되어 있으며, 출력 샤프트는 이미 액추에이터(3)에 조립되어 있다.
피동 부재(21)에 대해서 말하면, 예컨대 구동 샤프트(7)에 이미 장착되어 있다. 통상, 추가 시일 링(89) 자체는 또한 구동 샤프트(7) 및 피동 부재(21)에 이미 부착되어 있다.
방법은 유리하게는, 플랩(5)이 밸브체(3)의 내측에 도입되고, 구동 샤프트(7)가 베어링(85) 내에 장착된 다음 플랩(5)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에, 피동 부재(21)는 도 4에 예시된 위치에서 밸브체 외측의 제위치에 있다.
방법은 커플링 장치(13)가 그 중간 상태로 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동작은 통상적으로 구동 부재(23)와 피동 부재(21)를 회전축(X)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서로 접근시킴으로써 수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출력 샤프트(11)와 구동 샤프트(7)는 서로 정렬되고, 구동 부재(23)와 피동 부재(21)는 서로 가깝게 된다.
방법은 탄성 부재(25)가 부속물(27, 29)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 다음, 탄성 부재(25)는 탄성 하중의 완화 작용 하에 임시 위치로부터 사용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커플 링 장치(13)는 중간 상태로부터 작동 상태로 이동한다. 작동 상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플링 장치(13)가 중간 위치로 될 때에, 구동 부재(23)와 피동 부재(21)는 서로를 향해 변위된다. 해제 부재(31)의 상부 에지의 부분(66)은 후크(47)를 지나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탄성 부재의 단부(41)의 부분에 대해 지지되게 된다. 따라서, 해제 부재(31)는 제2 단부(41)를 지지 영역(49) 위로 측방향 받침대(51)를 가로지르기에 충분한 높이만큼 들어올린다.
임시 위치에서의 탄성 부재(25)는 출력 샤프트(11)에 평행하게 그리고 출력 샤프트(11) 둘레에서 제2 회전 방향(R2)으로 원주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로 탄성적으로 로딩되기 때문에, 제2 단부(41)는 일단 측방향 받침대(51) 위로 들어올려지면 해제 부재(31)의 상부 에지를 따라 제2 회전 방향(R2)으로 이동한다. 제2 단부가 제1 노치(69)에 인접한 해제 부재(31)의 원주 방향 단부에 도달하면, 제2 단부는 탄성 부재(25)의 축방향 로딩의 영향 하에 제1 노치(69) 내로 낙하한다. 제2 단부(41)는 스프링(25)의 원주 방향 하중의 작용 하에 제2 폴딩된 에지의 단부(71)를 따라 늘어서게 된다.
중앙 영역(81)은 조립 중에 탄성 부재(25)의 턴을 사용 위치를 향해, 특히 탄성 부재를 해제하기 전에 안내하는 데에 기여한다. 실제로, 커플링 장치가 중간 상태로 될 때에, 탄성 부재의 턴은 출력 샤프트와 완전히 동축이 아닐 수도 있다. 볼록한 중앙 영역(81)이 존재하는 경우, 제1 턴(83)은 중심에서 벗어나면 영역(81)과 접촉하게 되고, 영역(81) 상에서 슬라이딩함으로써 다시 센터링되게 된다. 따라서, 탄성 부재는 구동 샤프트에 대해 보다 동축인 위치에서 발견되는데, 이는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스프링의 해제 시에 스프링이 비정상적으로 위치 설정되는 것을 방지한다.
유리하게는, 액추에이터(9)는 볼트(19)에 의해 탭(17)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전술한 밸브는 다수의 이점을 갖는다.
구동 부재와 피동 부재가 서로 일정하게 접촉하기 때문에, 플랩(5)은 특정한 방식으로 위치 설정된다. 구동 부재와 피동 부재 사이에 원주 방향 유극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접촉은 선 접촉이고, 이는 피동 부재로부터 구동 부재로의 열 전달을 감소시킨다.
커플링 장치의 구조는 기하학적 변형, 특히 구동 샤프트와 출력 샤프트 사이의 정렬에 있어서의 결함을 처리할 가능성을 제공한다.
구동 샤프트에 대한 출력 샤프트의 열적 분리가 우수하다.
장착이 초기 조립 중에 그리고 판매 후에 모두 상당히 용이해진다. 탄성 부재는 구동 부재 상에 사전에 미리 로딩되며, 밸브 상의 장착은 최종 사용 위치를 제공하기에 충분하다. 장착은 임의의 특별한 공구없이 그리고 작업자에게 집중적인 교육을 제공할 필요없이 수행될 수 있다. 열악한 장착의 우려가 매우 제한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밸브는 다수의 변형예를 가질 수 있다.
제1 변형예가 도 7에 예시되어 있다. 이 제1 변형예가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와 상이한 점만을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동일한 요소들 또는 동일한 기능을 보장하는 것은 동일한 참조 번호로 지정된다.
도 7의 변형예에서, 구동 부재는 출력 샤프트(11)의 부분이다.
영구적 부속물(27)은 구동 샤프트(11)를 직경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오리피스(91)이다. 착탈형 부속물(29)은 출력 샤프트의 하단부(33)에 배치된 후크이다.
탄성 부재(25)의 제1 단부(39)는 오리피스로부터 돌출되어 피동 부재(21)와 협동하여 피동 부재를 회전축(X) 둘레에서 회전 구동시킨다. 제1 단부는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의 구동 탭(61)을 대체한다.
제1 단부(39)는 제2 융기 에지(67)에 형성된 노치(93) 내에 맞물린다. 이 노치는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의 제2 노치(77)를 대체한다. 제2 융기 에지(67)는 제1 융기 에지보다 훨씬 높다.
착탈형 부속물(29)은 탄성 부재의 제2 단부(41)의 노치 형상부(95)와 협동한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구동 탭(61)은 착탈형 부속물의 후크(47)를 형성한다.
영구적 부속물(27)은 여러 가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변형예에 따르면, 영구적 부속물은 탄성 부재(25)의 제1 단부(39)가 맞물리는 슬라이딩 피봇을 형성한다.
제2 변형예에 따르면, 구동 부재(23)는 탄성 부재(25)의 제1 단부(39) 둘레에 변형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반대로 제1 단부(39)가 구동 부재(23)의 일부 둘레에서 변형된다.
제3 변형예에 따르면, 탄성 부재(25)는 구동 부재(23) 상에 용접된다.
제4 변형예에 따르면, 영구적 부속물은, 탄성 부재(25)가 탄성적으로 로딩될 때에 제1 단부(39)가 압박되는 지지면을 갖는, 임시 위치 및 사용 위치에서 탄성 부재(25)의 제1 단부(39)가 맞물리는 후크이다.
영구적 부속물 및 착탈형 부속물은 임의의 다른 적절한 유형으로 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구동 탭(61)은 회전축에 대해 경사진 평면에서 연장된다. 도 1 내지 도 6에서, 구동 탭(61)은 회전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에서 연장된다.
도 8 및 도 9에서 설명되는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임시 위치에서의 탄성 부재(25)는 오직 출력 샤프트(11) 둘레에서 원주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로딩된다.
도 1 내지 도 6의 변형예에서, 탄성 부재(25)는 그 임시 위치에서 출력 샤프트에 평행하게(도 8의 화살표 F1) 그리고 출력 샤프트(11) 둘레에서 원주 방향으로(도 8의 화살표 F2) 압축된 상태로 탄성적으로 로딩된다. 해제 부재(31)는 탄성 부재의 제2 단부(41)를 받침대(51) 위로 들어올리고, 제2 단부(41)는 제1 노치(69) 내로 낙하하도록 제2 회전 방향(R2)으로 그리고 출력 샤프트(11)에 평행하게 이동한다.
도 9의 변형예에서, 임시 위치에서의 탄성 부재(25)는 압축된 상태로 탄성적으로 로딩되지 않는다. 해제 부재(31)는 탄성 부재의 제2 단부(41)를 받침대(51) 위로 들어올리고, 제2 단부는 원주 방향의 탄성 하중(도 9의 화살표 F3) 때문에 제2 회전 방향(R2)으로만 이동한다. 피동 부재(21)는 어떠한 노치도 포함하지 않거나,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에서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노치를 포함한다. 사용 위치에서 탄성 부재(25)의 축방향 압축은, 해제 부재(31)에 의해 수행되는 들어올림 때문에 제2 단부를 해제할 때에 이 탄성 부재에 제공된다.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임시 위치에서 탄성 부재(25)의 제2 단부(41)는 탭 상이 아니라 구동 부재의 임의의 다른 부분 상에 지지되고, 제2 단부(41)는 이 목적을 갖는 적절한 형상으로 폴딩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도 10에 예시되어 있다. 이 제2 실시예가 제1 실시예와 상이한 점만을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동일한 요소들 또는 동일한 기능을 보장하는 것은 동일한 참조 번호로 지정된다.
제2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25)는, 커플링 장치(13)가 중간 상태에 있을 때에, 부속물(27, 29)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동으로 해제된다.
피동 부재(21)는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해제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다.
도 10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작업자는 탄성 부재(25)의 제2 단부(41)를 측방향 받침대(51)를 가로지르기에 충분한 높이만큼 수동으로 들어올린다. 탄성 부재(25)는, 일단 해제되면, 탄성 하중의 완화 작용 하에 그 사용 위치를 취한다.
대안으로, 작업자는 제2 단부(41)가 후크(47) 상에서 더 이상 지지되지 않을 때까지 제2 단부(41)를 회전축(X)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압박한다.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착탈형 부속물(29)은 탄성 부재(25)의 제2 단부(41)를 제위치에서 봉쇄하여 탄성 부재(25)를 임시 위치에 유지시키는 분할 또는 변형 가능한 재밍 부분(jamming part)을 포함한다. 탄성 부재(25)는 봉쇄 부분(24)을 변형시킴으로써, 절단함으로써 또는 후퇴시킴으로써 착탈형 부속물(29)로부터 해제된다.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탄성 부재(25)의 제2 단부(41)는 분할 또는 변형 가능하다. 탄성 부재(25)는 제2 단부를 변형시킴으로써 또는 절단함으로써 착탈형 부속물(29)로부터 해제된다.
출력 샤프트는 반드시 액추에이터에 의해 직접 회전 구동될 필요는 없고, 토크 전달 장치를 통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플랩은 반드시 구동 샤프트 상에 직접 장착될 필요는 없다. 플랩은 구동 샤프트에 의해 자체가 회전 구동되는 다른 샤프트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커플링 장치는 구동 부재와 피동 부재를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가깝게 되게 하는 것이 아니라, 구동 부재와 피동 부재를 상이한 방향을 따라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이동에 따라 서로 가깝게 되게 함으로써 임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Claims (10)

  1. 차량의 배기 라인 밸브(1)로서,
    밸브체(3);
    상기 밸브체(3) 내부에 위치 설정되고 밸브체(3)에 대해 이동 가능한 플랩(5);
    상기 플랩(5)을 구동시키는 샤프트(7);
    액추에이터(9);
    상기 액추에이터(9)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출력 샤프트(11);
    상기 구동 샤프트(7)에 결합된 피동 부재(21), 상기 출력 샤프트(11)에 결합된 구동 부재(23), 및 탄성 부재(25)를 포함하는 커플링 장치(13)
    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 장치(13)는, 상기 구동 부재(23)가 피동 부재(21)를 적어도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축(X) 둘레에서 밸브체(3)에 대해 회전 구동시키도록 배치되는 작동 상태를 가지며, 상기 탄성 부재(25)는, 탄성 부재(25)가 구동 부재(23)와 피동 부재(21)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압축되어 피동 부재(21)를 상기 제1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회전 방향(R2)으로 회전축(X) 둘레에서 밸브체(3)에 대해 회전하게 압박하는 사용 위치에 있는 것인 차량의 배기 라인 밸브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23)는, 상기 탄성 부재(25)가 탄성적으로 로딩(elastically loading)되는 임시 위치에서 상기 탄성 부재(25)를 구동 부재(23)에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부속물(27, 29)을 포함하고, 상기 임시 위치는 사용 위치와 상이하며,
    상기 커플링 장치(13)는 상기 탄성 부재(25)가 그 임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중간 상태로 될 수 있으며,
    상기 피동 부재(21)는, 커플링 장치(13)가 그 중간 상태로 될 때에 상기 부속물(27, 29)에서 탄성 부재(25)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제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해제 부재(31)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커플링 장치(13)가 중간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탄성 부재(25)가 상기 부속물(27, 29)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제될 수 있고,
    상기 탄성 부재(25)는 일단 해제되면, 탄성 하중의 완화 작용 하에 그 사용 위치를 점유하고, 이어서 커플링 장치(13)가 그 작동 상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기 라인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 부재(21)는, 탄성 부재(25)가 상기 부속물(27, 29)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제되면 상기 탄성 부재(25)를 그 사용 위치까지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기 라인 밸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25)는 임시 위치에서 출력 샤프트(11)에 평행하게 그리고 출력 샤프트(11) 둘레에서 원주 방향으로 압축되도록 탄성적으로 로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기 라인 밸브.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25)는 서로 대향하는 제1 단부(39)와 제2 단부(41)를 갖는 나선형 스프링이고, 상기 부속물은 상기 구동 부재(23)에 대한 상기 제1 단부(39)의 영구적 부속물(27)과, 상기 탄성 부재(25)가 그 사용 위치로 이동되게 하도록 해제되는, 구동 부재(23)에 대한 제2 단부(41)의 착탈형 부속물(29)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기 라인 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23)는 상저부(43; upper bottom)를 포함하고, 착탈형 부속물은 상기 상저부(43)에 고정되는 후크(47)를 포함하며, 후크(47)는 상저부(43)를 향하고 측방향 받침대(51)에 의해 한쪽이 원주 방향으로 한정되는 지지 영역(49)을 갖고, 임시 위치에서 탄성 부재(25)의 제2 단부(41)는 출력 샤프트(11)에 평행하게 지지 영역(49)에 대해 그리고 출력 샤프트(11) 둘레에서 받침대(51)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압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기 라인 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 부재(21)는 하저부(63)를 포함하고, 해제 부재(31)는 구동 샤프트(7)에 평행하게 하저부(63; lower bottom)에 대해 돌출되며, 해제 부재는, 커플링 장치(13)가 중간 상태로 될 때에, 해제 부재(31)가 제2 단부(41)를 지지 영역(49) 위로 측방향 받침대(51)를 가로지르기에 충분한 높이만큼 들어올리도록 선택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기 라인 밸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부재(31)는 하저부(63)로부터 융기된 제1 에지이고, 상기 피동 부재(21)는 제1 융기 에지(31)에 대해 제2 회전 방향(R2)으로 변위되는, 하저부(63)로부터 융기된 제2 융기 에지(67)를 가지며, 제2 융기 에지(67)는 제1 노치(69)만큼 제1 융기 에지(31)로부터 떨어져 있고, 사용 위치에서 제2 단부(41)가 제1 노치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기 라인 밸브.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 부재(21)는 밸브체(3)를 향해 오목한 중앙 영역(81)을 갖는 하저부(63)를 포함하고, 밸브체(3)는 오목한 중앙 영역(81)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구동 샤프트(7)의 안내 베어링(85)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기 라인 밸브.
  9. 차량의 배기 라인 밸브(1)를 장착하는 배기 라인 밸브의 장착 방법으로서, 상기 밸브(1)는,
    밸브체(3);
    상기 밸브체(3) 내부에 위치 설정되고 밸브체(3)에 대해 이동 가능한 플랩(5);
    상기 플랩(5)의 구동 샤프트(7);
    액추에이터(9);
    상기 액추에이터(9)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출력 샤프트(11); 및
    상기 구동 샤프트(7)에 결합된 피동 부재(21), 상기 출력 샤프트(11)에 결합된 구동 부재(23), 및 탄성 부재(25)를 포함하는 커플링 장치(13)
    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 라인 밸브의 장착 방법은,
    탄성 부재(25)가 탄성적으로 로딩되는 임시 위치에서 부속물(27, 29)을 사용하여 탄성 부재(25)를 구동 부재(23)에 연결하는 단계;
    커플링 장치(13)를 중간 상태로 되게 하는 단계; 및
    상기 탄성 부재(25)를 부속물(27, 29)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25)는 탄성 하중의 완화 작용 하에 임시 위치로부터 사용 위치로 이동하며, 이러한 이동은 커플링 장치(13)가 작동 상태로 되게 하며, 상기 작동 상태에서, 상기 구동 부재(23)는 피동 부재(21)를 적어도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축(X) 둘레에서 밸브체(3)에 대해 회전 구동시키도록 배치되고, 상기 사용 위치에서의 탄성 부재(25)는, 구동 부재(23)와 피동 부재(21)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압축되어 피동 부재(21)를 상기 제1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회전 방향(R2)으로 회전축(X) 둘레에서 밸브체(3)에 대해 회전하게 압박하는 것인 배기 라인 밸브의 장착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25)는, 커플링 장치(13)가 그 중간 상태로 될 때에, 부속물(27, 29)로부터 자동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라인 밸브의 장착 방법.
KR1020170039173A 2016-03-30 2017-03-28 배기 라인 밸브 및 대응하는 조립 방법 KR1018742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652748 2016-03-30
FR1652748A FR3049673B1 (fr) 2016-03-30 2016-03-30 Vanne de ligne d'echappement et procede de montage correspond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3323A true KR20170113323A (ko) 2017-10-12
KR101874241B1 KR101874241B1 (ko) 2018-08-02

Family

ID=56119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9173A KR101874241B1 (ko) 2016-03-30 2017-03-28 배기 라인 밸브 및 대응하는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60360B2 (ko)
JP (1) JP6895785B2 (ko)
KR (1) KR101874241B1 (ko)
CN (1) CN107269429B (ko)
DE (1) DE102017105889B4 (ko)
FR (1) FR30496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05148B1 (en) * 2016-12-14 2020-03-31 Michael Freund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vehicle exhaust output
DE112017007420T5 (de) * 2017-04-11 2020-01-09 Faurecia Systemes D'echappement Ventil und Abgasstrecke mit einem derartigen Ventil
FR3074536B1 (fr) 2017-12-06 2020-11-20 Faurecia Systemes Dechappement Vanne de ligne d'echappement a accouplement facilite entre l'actionneur et le volet, et procede d'assemblage d'une telle vanne
JP7107679B2 (ja) * 2017-12-28 2022-07-27 株式会社ミクニ バルブ装置
FR3080426B1 (fr) * 2018-04-24 2020-04-03 Faurecia Systemes D'echappement Procece d'assemblage d'une vanne pour une ligne d'echappement et vanne correspondante
FR3080427B1 (fr) * 2018-04-24 2020-04-03 Faurecia Systemes D'echappement Vanne pour une ligne d'echappement
FR3080429B1 (fr) * 2018-04-24 2020-04-03 Faurecia Systemes D'echappement Vanne pilotee pour ligne d'echappement
FR3084709B1 (fr) * 2018-08-02 2021-09-03 Faurecia Systemes Dechappement Accouplement en rotation
KR102634448B1 (ko) * 2018-08-13 2024-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가변형 배기밸브
EP3627020B1 (en) * 2018-09-21 2023-05-31 Goodrich Corporation Valve actuation mechanism
DE102018123400A1 (de) * 2018-09-24 2020-03-26 Eberspächer Exhaust Technology GmbH & Co. KG Abgasklappe
DE102018123403A1 (de) * 2018-09-24 2020-03-26 Eberspächer Exhaust Technology GmbH & Co. KG Abgasklappe
US11118630B2 (en) * 2019-02-08 2021-09-14 Caterpillar Inc. Adapter for a valve system
DE102019103556A1 (de) * 2019-02-13 2020-08-13 Eberspächer Exhaust Technology GmbH & Co. KG Abgasklappe
US11208934B2 (en) 2019-02-25 2021-12-28 Cummins Emission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ixing exhaust gas and reductant
FR3097290B1 (fr) * 2019-06-17 2021-09-17 Faurecia Systemes Dechappement Vanne d’échappement anti-cliquetis
JP7259637B2 (ja) * 2019-08-19 2023-04-18 株式会社デンソーダイシン 絞り弁装置
DE102019129356A1 (de) * 2019-10-30 2021-05-06 Faurecia Emissions Control Technologies, Germany Gmbh Ventilklappenbaugruppe, Ventilanordnung, Abgasanlage und Fahrzeug
JP7393239B2 (ja) 2020-02-14 2023-12-06 株式会社ミクニ 車両の排気バルブ装置
JP7323486B2 (ja) * 2020-03-26 2023-08-08 日立Astemo株式会社 吸気制御装置
EP4015881A1 (en) * 2020-12-15 2022-06-22 Ningbo Geely Automobile Research & Development Co. Ltd. A valve unit for a vehicle thermal management system, a vehicle thermal management system, and a method for operating a valve unit
DE102021101135A1 (de) 2021-01-20 2022-07-21 Purem GmbH Kopplungsanordnung
DE102021101134A1 (de) * 2021-01-20 2022-07-21 Purem GmbH Kopplungsanordnung
JP7381904B2 (ja) * 2021-06-11 2023-11-16 株式会社デンソーダイシン 絞り弁装置
IT202200004115A1 (it) * 2022-03-04 2023-09-04 Marelli Europe Spa Valvola a farfalla motorizzata e raffreddata per un condotto di scarico
DE102022111038A1 (de) * 2022-05-04 2023-11-09 Friedrich Boysen GmbH & Co KG. Klappeneinrichtung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0399A (ja) * 1998-02-19 1999-08-27 Asmo Co Ltd 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528250A (ja) * 2000-03-21 2003-09-24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スロットルバルブをリセットするための装置
JP2009013960A (ja) * 2007-07-09 2009-01-22 Toyota Motor Corp 排気系バルブ
DE102009013815A1 (de) * 2009-03-18 2010-09-23 Friedrich Boysen Gmbh & Co. Kg Klappeneinrichtung
KR20110088415A (ko) * 2010-01-26 2011-08-03 씨케이디 가부시키 가이샤 유체제어밸브의 액추에이터부의 조립 구조 및 그 구조로 형성된 유체제어밸브
DE102011107088A1 (de) * 2011-07-11 2013-01-17 Friedrich Boysen Gmbh & Co. Kg Klappeneinrichtung
KR101436039B1 (ko) * 2014-04-23 2014-09-01 고월특수강주식회사 자동차 머플러용 회전식 가변형 배기밸브
KR20150008172A (ko) * 2012-05-08 2015-01-21 포레시아 이미션스 컨트롤 테크놀로지스, 유에스에이, 엘엘씨 적응식 밸브 스프링 리테이너
JP2016504533A (ja) * 2013-01-24 2016-02-12 マーレ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MAHLE International GmbH 内燃エンジン用復元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9452B2 (ja) * 1989-12-19 1998-07-23 株式会社キッツ 電動アクチユエータ
IT1241693B (it) * 1990-09-28 1994-01-31 Weber Srl Dispositivo di alimentazione, in particolare per motori endotermici
JP2810266B2 (ja) * 1991-07-23 1998-10-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内燃機関用スロットルアクチュエータ
JP3161978B2 (ja) * 1996-09-12 2001-04-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ンジンのスロットル装置
US6155533C1 (en) * 1999-01-29 2002-07-30 Visteon Global Tech Inc Default mechanism for electronic throttle control system
JP4307274B2 (ja) * 2004-01-26 2009-08-05 株式会社ミクニ 軸連結部構造
US7374147B2 (en) * 2005-10-14 2008-05-20 Et Us Holdings Llc Valve assembly with overstroke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US7401592B2 (en) * 2006-11-21 2008-07-22 Emcon Technologies Llc Hybrid exhaust valve assembly
JP4767183B2 (ja) * 2007-01-15 2011-09-0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の排気デバイス
US7748404B2 (en) * 2007-03-29 2010-07-06 Emcon Technologies Llc Multi-purpose exhaust valve spring
JP5150319B2 (ja) * 2008-03-17 2013-02-20 株式会社キッツ バルブ用アクチュエータ
DE102008045349B4 (de) 2008-08-28 2010-08-12 Keiper Gmbh & Co. Kg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Fahrzeugsitz sowie Verfahren zur Montage eines Beschlags
DE102008050466B4 (de) * 2008-10-04 2021-01-28 BorgWarner Esslingen GmbH Ventileinrichtung zur Steuerung eines Abgasstromes
DE102013111003B4 (de) 2012-10-31 2022-06-15 Faurecia Emissions Control Technologies, Usa, Llc Hybridventilbaugruppe,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Hybridventilbaugruppe, sowie Ventilbaugruppe
DE102012223466A1 (de) * 2012-12-17 2014-06-1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ntil
FR3010137B1 (fr) * 2013-08-30 2016-08-26 Faurecia Systemes D'echappement Dispositif de purification de gaz d'echappement de moteur a combustion interne
FR3019255B1 (fr) * 2014-04-01 2017-06-16 Valeo Systemes De Controle Moteur Vanne a fixation facilitee d'un ressort de torsion
CN105402035A (zh) * 2015-12-11 2016-03-16 重庆渝辉机械有限公司 一种双缸发动机节气门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0399A (ja) * 1998-02-19 1999-08-27 Asmo Co Ltd 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528250A (ja) * 2000-03-21 2003-09-24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スロットルバルブをリセットするための装置
JP2009013960A (ja) * 2007-07-09 2009-01-22 Toyota Motor Corp 排気系バルブ
DE102009013815A1 (de) * 2009-03-18 2010-09-23 Friedrich Boysen Gmbh & Co. Kg Klappeneinrichtung
KR20110088415A (ko) * 2010-01-26 2011-08-03 씨케이디 가부시키 가이샤 유체제어밸브의 액추에이터부의 조립 구조 및 그 구조로 형성된 유체제어밸브
DE102011107088A1 (de) * 2011-07-11 2013-01-17 Friedrich Boysen Gmbh & Co. Kg Klappeneinrichtung
KR20150008172A (ko) * 2012-05-08 2015-01-21 포레시아 이미션스 컨트롤 테크놀로지스, 유에스에이, 엘엘씨 적응식 밸브 스프링 리테이너
JP2016504533A (ja) * 2013-01-24 2016-02-12 マーレ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MAHLE International GmbH 内燃エンジン用復元ユニット
KR101436039B1 (ko) * 2014-04-23 2014-09-01 고월특수강주식회사 자동차 머플러용 회전식 가변형 배기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269429A (zh) 2017-10-20
JP2017180837A (ja) 2017-10-05
FR3049673B1 (fr) 2018-11-23
DE102017105889A1 (de) 2017-10-05
KR101874241B1 (ko) 2018-08-02
JP6895785B2 (ja) 2021-06-30
US10060360B2 (en) 2018-08-28
US20170284310A1 (en) 2017-10-05
FR3049673A1 (fr) 2017-10-06
CN107269429B (zh) 2021-02-05
DE102017105889B4 (de) 202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4241B1 (ko) 배기 라인 밸브 및 대응하는 조립 방법
KR101952253B1 (ko)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차량용 egr밸브 및 밸브용 실링부재
JPH0819958B2 (ja) 自動車用クラッチスラスト軸受の組立て方法
JP6931103B2 (ja) 排ガスフラップ
JP6495621B2 (ja) 内燃機関エンジンのバルブのためのガスケット
US20110020125A1 (en) Arrangement for axially securing blades in a rotor of a gas turbine
KR20170001237U (ko) 부가적인 정지 부재들을 갖는 밸브를 포함하는 배기 라인의 요소
CN107101003B (zh) 用于车辆排气管线的阀
JP2011047290A (ja) Egrバルブ
US20160348574A1 (en) Actuating device
JP2007162693A (ja) 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用の保守工具及び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
US7204240B2 (en) Integrated valve
CN110114565A (zh)
US10816100B2 (en) Sealing member for a multi-direction changeover valve and a multi-direction changeover valve including the sealing member
KR101604413B1 (ko) Egr 밸브
JP4520707B2 (ja) 孔内にパイプを接続するための密封装置
US10989309B2 (en) Piloted exhaust line valve and corresponding production method
US6293873B1 (en) Universal joint
US20180291800A1 (en) Exhaust-gas turbo charge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ethod for producing an exhaust-gas turbocharger
CN113454329A (zh) 用于可选地释放或阻断用于排气后处理设备的排气再循环流或二次空气流的阀装置
JP6077894B2 (ja) バルブ装置
KR101973480B1 (ko) 역회전이 가능한 토션스프링과 기어하우징의 장착구조
EP3696386B1 (en) Valve assembly for a dual volute turbocharger and dual volute turbocharger including the same
JP6945631B2 (ja)
CN209839175U (zh) 用于排放管线的控制阀以及装配这种阀的排放管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