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0096A - 컨테이너 보관 영역 안에 컨테이너를 배치시키거나 컨테이너 보관 영역으로부터 컨테이너를 제거하기 위한 컨테이너 운반 설비 및 방법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보관 영역 안에 컨테이너를 배치시키거나 컨테이너 보관 영역으로부터 컨테이너를 제거하기 위한 컨테이너 운반 설비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10096A KR20170110096A KR1020177023011A KR20177023011A KR20170110096A KR 20170110096 A KR20170110096 A KR 20170110096A KR 1020177023011 A KR1020177023011 A KR 1020177023011A KR 20177023011 A KR20177023011 A KR 20177023011A KR 20170110096 A KR20170110096 A KR 2017011009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level
- storage facility
- containers
- carri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with essentially-horizontal transit by bridges equipped with conveyors
- B65G63/04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with essentially-horizontal transit by bridges equipped with conveyors for articles
- B65G63/045—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with essentially-horizontal transit by bridges equipped with conveyor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 B65G63/0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with essentially-horizontal transit by bridges equipped with convey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2—Container cr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형 완전 자동화 컨테이너 운송 시스템을 가지고 있는 컨테이너 운반 설비(2, 102) 내부에 있는 해항이나 내륙항의 하이 베이 또는 블록 보관 시설(3, 15) 안에 컨테이너를 배치시키거나 그로부터 컨테이너를 제거하거나 그 안에서 컨테이너(1)를 운반하기 위한 컨테이너 운반 설비(2, 102)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수한 전체 처리능력을 가지는 가속되는 처리는, 적어도 상위 및 하위 수용 및 반송 레벨(Ⅰ, Ⅱ)을 가지면서 컨테이너 보관 영역(3, 15)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될 수 있는 운반 카트(8; 8a, 8b) 상에 제공되어 있는 횡단방향 반송 카트(18)나 팔레트(19) 위쪽으로 적어도 하나의 적재용 갠트리(6)에 의해 개별 컨테이너(1)들이 연속적으로 놓이게 된다는 점, 그리고 그리고 컨테이너(1)가 적재되어 있는 팔레트(19)가 팔레트 횡단방향 반송 수단(25)을 이용하여 위로 안내된다는 점, 또는 운반 카트로부터 최종 분배자 차량(9; 9a, 9b) 위쪽으로 운반 카트(8; 8a, 8b)의 횡단방향 반송 카트(18)를 이용하여 컨테이너(1)가 위에서 안내된다는 점에서 달성되는데, 최종 분배 차량은 컨테이너 보관 영역(3, 15)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될 수 있으면서 운반 카트(8; 8a, 8b) 앞에 일렬로 위치결정되어 있으며 상위 레벨 및 하위 레벨(Ⅰ, Ⅱ)을 가지면서 최종 분배 차량으로부터 컨테이너 보관 영역(3, 15)의 고정형 운반 스테이션(10) 위쪽으로 횡단방향 반송 수단(20; 25)을 이용하여 위에서 안내되는데, 그 운반 스테이션은 마찬가지로 상위 레벨 및 하위 레벨(Ⅰ, Ⅱ)을 가지고, 그리고 그 운반 스테이션에서 보관 영역 크래인(12)은 컨테이너를 컨테이너 보관 영역(3, 15)에 배치시키기 위하여 컨테이너(1)를 들어올린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통합형 완전 자동화 컨테이너 운송 시스템이 있는 컨테이너 운반 설비 내부에 있는 해항이나 내륙항의 하이 베이(high-bay) 보관 시설이나 블록 시설 안으로의 컨테이너의 보관과 회수 또는 재배치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통합형 완전 자동화 컨테이너 운반 시스템은 선박으로부터 육지로의 컨테이너의 운반이나 그 반대로 육지로부터 선박으로의 컨테이너의 운반을 위하여 보관 시설에 컨테이너를 보관하고 회수하거나 재배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관 시설 크래인과 적어도 하나의 갠트리 크래인을 구비하고, 여기에서 몇몇 레벨들은 갠트리 크래인과 보관 시설 크래인 사이의 운반 절차에서 컨테이너를 위하여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컨테이너 운반 설비에 관한 것이다.
블록 보관 시설의 형태로 개별 라인 유사 보관 모듈들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부두를 따라 제공되어 있되 컨테이너 보관 시설이 있는, 특히 20 TEU나 40 FEU 컨테이너와 같은 표준 컨테이너를 위한 해항 및 내륙항의 운반 설비, 및 부두에 정박된 선박으로부터의 적재물 운반 또는 부두에 정박된 선박으로의 적재물 운반을 위하여 보관 모듈과 함께 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적재용 설비는 EP 1 272 414 B1을 통해 공지되어 있다. 적재물 재배치를 위한 보관 설비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가능한 포트 모바일 크래인(port mobile crane)이 설비되어 있고, 그 피벗가능한 적재 지브(pivotable load jib)는 적어도 하나의 운반 위치로 된 구역 안에 도달하는데, 이 구역은 모듈 폭에 좌우되는 다수의 컨테이너 열이 있는 다수의 보관 모듈로 이루어져 있는 컨테이너 보관 시설 내부에 제공되어 있고, 컨테이너 보관 시설의 보관 모듈과 포트 모바일 크래인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형성한다.
포트 모바일 크래인의 피벗가능한 지브에 의해 운반 위치 상에 놓여있는 컨테이너는 컨테이너의 운송과 적층을 인수인계하는 보관 시설 크래인에 의해 거기에서 직접 픽업된다. 보관 시설 크래인은 이동식 크래브(travelling crab)가 있는 고가 갠트리 크래인(elevated gantry crane)과 같이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경우에는, 예컨대 9개의 광폭 컨테이너가 있는 보관 모듈에 걸쳐있으며, 컨테이너 보관 시설의 3개 내지 4개의 높이 있는 컨테이너는 부두쪽으로 횡단방향으로 뻗어있다. 보관 모듈들은 적어도 2개의 횡단방향 운송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는데, 이 운송수단들은 상이한 수평면들에서 각각의 보관 모듈들 쪽으로 횡단방향으로 뻗어있는 레일 트랙들 상에서 이동가능하고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한다. 컨테이너들은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 위에 적층되어 있는데, 이 경우 적층 높이는 개별 컨테이너들의 하중 지지 능력에 의해 제한되고, 결과적으로 보통 많아야 6개의 컨테어너는 블록 보관 시설에서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 위에 있도록 적층되어 있다.
하이 베이 보관 시설의 베이들에서 개별적으로 임의의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 위나 다른 하나 옆에 있도록 컨테이너들을 보관하거나 회수하는 것은 DE 10 2008 007 860 A1에 공지되어 있다. 이 경우, 컨테이너들은 각각의 경우에 2개의 인접한 보관 시설 모듈들 사이에서 레인에 걸쳐있는 갠트리 크래인을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접근가능하고, 약간 간격을 두고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 위에 있도록 다층(multi-storey) 베이들 안으로 도입되어 있는데, 다층 베이들은 그 단부들에 의해 베이 안으로 도입되어 있는 컨테이너들의 폭과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들이 베이 깊이 방향으로 설비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양쪽 길이방향 측면들에 설비되어 있다. 레인들 위에서 이동가능한 갠트리 크래인은 컨테이너 수용기(receiver)를 이송하는데, 컨테이너 수용기는 케이블을 이용하여 상승가능하거나 하강가능하며 가이드 레일이 설비되어 있는 운반 브리지 상에 배열되어 있고, 그 단부들에서 컨테이너 파지기(gripper)들을 가지고 있며, 이 파지기들은 모터 드라이브를 이용하거나 유압식으로 높이가 조정가능하고 코너들에서 컨테이너들의 현수 지점(suspension point)들로 잠금가능하다. 컨테이너들의 상이한 길이들에 적합하도록, 컨테이너 수용기는 컨테이너 파지기가 제공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길이가 조정가능한 지지 빔을 가진다.
DE 4439740 C1에 공지된 컨테이너 터미널의 경우, 예컨대 선박에서의 몇몇 적재용 또는 컨테이너 갠트리의 이용에 의해 보장되어야 하는 것과 같은 빠른 운반 속도는 컨테이너 운반 설비 내부에 통합되어 있는 완전 자동화 컨테이너 운송 시스템에 의해 보관 시설 크래인과 함께 작동하여 달성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적재 및 하역 포지션으로 높이가 오프셋되어 있는 이동 트랙 레벨들은 높이가 오프셋되어 있는 계단 형상의 지지 구조 상에 배열되어 있고, 복수의 지지부에 의해 함께 이어지며. 각각의 레벨은, 선형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그 위에서 이동가능한 복수의 운반 팔레트가 있는 이동 트랙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다. 특히 비접촉식 구동 수단과 같이 선형 모터 드라이브로 구성되어 있는 매우 많은 수의 운반 팔레트가 요구된다는 점과는 별개로, 강철 구조에 관한 상당한 비용은 이동 트랙 네트워크 때문에 불가피한데, 이는 각각의 레벨이 이동 트랙 네트워크 상의 운반 팔레트의 적재 및/또는 하역 포지션 및/또는 접합 포지션으로의 이동을 위한 복수의 서로 이어지는 이동 트랙을 가지기 때문이다. 지지부들에 의해 서로 이어지는 상이하거나 개별적인 레벨들은 높이가 오프셋되어 있는 계단 형상의 지지 구조에 의해 미리 결정된다.
본 발명은 서두에 언급된 종류의 컨테이너 운반 설비와 방법을 만들어 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데, 이는 매우 많은 부품수에도 불구하고 보다 간단한 방식으로 더욱 확실하면서도, 특히 가속되고 신속한 컨테어너 운반을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플랜트에 관한 비용은 기존의 설비류(적재용 또는 컨테이너 브리지, 하이 베이 또는 블록 보관 시설 구조물, 보관 시설 또는 브리지 크래인, 하이 베이 보관 시설의 레인에서 이동가능한 보관 및 회수 장치)의 광범위한 활용도에 의해 줄어들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목적은, 개별 컨테이너가 적어도 하나의 갠트리 크래인으로부터, 컨테이너 보관 시설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가능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상위 수용 레벨과 적어도 하나의 하위 수용 레벨 및 반송 레벨을 가지는 인수인계 캐리지(take-over carriage) 상에 제공되어 있는 횡단방향 반송 캐리지들이나 팔레트들 쪽으로 연속적으로 옮겨지는 방법에 의해 달성되는데, 컨테이너가 실린 팔레트들은 그 인수인계 캐리지로부터 팔레트 반송 수단에 의해 운반되고, 또는 컨테이너들은, 컨테이너 보관 시설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가능하면서 인수인계 캐리지의 앞에 일렬로 위치결정되어 있으며 인수인계 캐리지와 같이 상위 레벨과 하위 레벨을 가지는 최종 분배자 차량 쪽으로 인수인계 캐리지의 횡단방향 반송 캐리지들에 의해 운반되고, 횡단방향 반송 수단에 의해 이 차량으로부터 컨테이너 보관 시설의 고정형 운반 스테이션 쪽으로 운반되는데, 이 고정형 운반 스테이션은 유사하게도 상위 레벨과 하위 레벨을 가지고, 보관 시설 크래인은 컨테이너 보관 시설에서의 보관을 위하여 컨테이너들을 컨테이너 보관 시설로부터 들어올린다.
수반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지속적인 작동 상태에 있는 매우 많은 부품수를 관리할 수 있는 결합해제된 컨테이너 운반은 이로써 달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는, 예컨대 갠트리 크래인 및 이와 함께 작동되는 인수인계 캐리지와 연결되는 것은 갠트리 크래인의 성능 능력에 따라 2개 또는 몇개의 최종 분배자 차량일 수 있다. 제 1 최종 분배자 차량이 컨테이너들을 2개의 레벨들(수용 레벨 및 반송 레벨 대신에 다음에서는 간략히 "레벨(level)"로만 지칭됨)로부터, 또는 하위 레벨 상태에서 팔레트 복귀가 있는 최종 분배자 차량의 선택적인 구조에서는 상위 레벨의 인수인계 캐리지로부터 제거하고 나서 결과적으로는 적재되자 마자, 제 1 최종 분배자 차량은 컨테이너들의 추가 핸들링을 위하여 컨테이너 보관 시설의 몇몇 고정형 운반 스테이션들 중 하나 쪽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제 2 최종 분배자 차량은 다음의 컨테이너들을 공급하기 위하여 위치결정될 수 있다. 복수의 갠트리 크래인과 동시에 작동하는 경우에, 인수인계 캐리지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갠트리 크래인과 연결된다. 오직 하나의 갠트리 크래인에 의한 선박의 한 구간 한 구간 하역 또는 적재를 위하여, 이 최종 분배자 차량은 마치 연결되는 인수인계 캐리지처럼 부두에서 각각의 구간 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수반되는 구성요소들의 레벨들의 폭이 가장 큰 컨테이너 치수에 따라서 설계되는 경우라면, 2개의 20 TEU 컨테이너는 40 FEU 컨테이너를 대신하여 각각의 레벨로 동시에 운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수인계 캐리지와 최종 분배자 차량은 레일 상에서 이동하는데, 레일은 서로에 대한 그 레벨들에 의해 차량들의 정렬된 위치결정을 보조한다.
본 발명은, 컨테이너 보관 시설의 구성이 하이 베이 보관 시설과 같이 되어 있는 경우, 인수인계 캐리지와 최종 분배자 차량이 고가 레일 상에서 이동되고 고정형 운반 스테이션이 하이 베이 보관 시설의 2개의 최상위 바닥에 제공되어 있는 것으로 제안되어 있고, 이 경우 인수인계 캐리지의 2개의 레벨에 대응하는 최종 분배자 차량의 인수인계 레벨들은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는 적재물 수용 수단일 수 있고, 또는 최종 분배자 차량의 수직방향으로 조정가능한 적재물 수용 수단은 이용될 각각의 레벨로 위치결정된다. 이동 트랙의 높이 때문에, 갠트리 크래인은 컨테이너들을 부두 바닥 레벨로 하강시킬 필요가 없다. 가능한 한 수직방향 하강 이동의 생략에 의하여, 에너지의 사용, 및 기능들의 결합해제를 통해 달성되는 가속에 추가하여 사이클 타임도 더욱 줄어들 수 있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본 발명은, 인수인계 캐리지의 팔레트 횡단방향 반송 수단의, 부두측을 향하고 있는 정면 구간, 및 고정형 운반 스테이션의 팔레트 횡단방향 반송 수단의, 컨테이너 보관 시설의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후면 구간이 하위 레벨로부터 상위 레벨로 상승되거나 그 반대로 상위 레벨로부터 하위 레벨로 하강될 수 있는 것으로 제안되어 있고, 여기에서 하강된 단부 포지션과 상승된 단부 포지션 양쪽 모두에 있는 팔레트 횡단방향 반송 수단은 개재된 최종 분배자 차량의 팔레트 횡단방향 반송 수단과 정렬하여 뻗어 있다. 인수인계 캐리지는 정면 구간이 하강되는 경우 하위 레벨에서 하나의 팔레트 또는 상호간에 인접한 2개의 팔레트로 적재되지만, 이 경우 정면 구간의 상승과 컨테이너가 있는 팔레트의 적재 후 컨테이너의 전방 안내가 상위 레벨의 최종 분배자 차량만을 이용하여 일어난다. 고정형 운반 스테이션에서, 상위 레벨의 최종 분배자 차량에 도달하는 컨테이너들은 컨테이너 보관 시설 안으로의 도입을 위하여 하나의 보관 시설 크래인 또는 2개의 보관 시설 크래인에 의해 연속적으로 인수인계된다. 하역된 팔레트들은 이후 하위 레벨로 연속적으로 하강되고, 재사용을 위하여 인수인계 캐리지 쪽으로 횡단방향 컨베이어에 의해 다시 운송된다. 하이 베이 보관 시설의 경우, 보관 시설 크래인은 추가 핸들링을 위하여 컨테이너들을 보관소 쪽으로 옮기고, 보관 시설 레인에서 이동가능한 회수 장치들을 각각의 베이 쪽으로 옮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되어 있는 작동 모드는 빈 팔레트가 하위 레벨로 하강한 후 하위 레벨의 최종 분배자 차량을 이용하여 고정형 운반 스테이션으로부터 하위 레벨의 인수인계 캐리지 쪽으로 다시 반송될 수 있게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폐쇄된 팔레트 회로나 순환은 결과적으로는 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예컨대 사용이 가능한 6개의 팔레트가 요구된다. 추가로, 최종 분배자 차량은 이 경우 운반 스테이션으로부터 인수인계 캐리지 쪽으로으로의 결합 요소로서 이용된다.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컨테이너 운반 설비는, 컨테이너 보관 시설에 대해 평행하게 뻗어 있는 각각의 트랙 상에서 컨테이너 보관 시설을 향하여 갠트리 크래인과 연결되는 것이 우선 인수인계 캐리지이고, 컨테이너 보관 시설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최종 분배자 차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여기에서 최종 분배자 차량은 인수인계 캐리지와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고, 적어도 컨테이너 보관 시설의 송출측에 형성되어 있으면서 보관 시설 크래인의 작동 범위 내에 배열되어 있는 고정형 운반 스테이션과 정렬되어 위치결정가능하고, 여기에서 인수인계 캐리지, 최종 분배자 차량 및 고정형 운반 스테이션은 적어도 상위 수용 레벨과 하위 수용 레벨 및 반송 레벨과 컨테이너 및/또는 여기에 제공되어 있는 팔레트 횡단방향 반송 수단으로 각각 구성되어 있다. 상이한 컨테이너 핸들링 구성요소들의 결합해제 기능들은 가변적이면서 신속한 운반을 가능하게 하고, 여기에서 최종 분배자 차량만이 인수인계 캐리지 앞에 정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형 운반 스테이션 앞에 정렬되어 있는 그 레벨들과 교대로 위치결정되어 있다. 운반 속도는 몇몇 인수인계 캐리지들 및 특히 최종 분배자 차량들의 사용에 의해 어떠한 물류 요건에라도 즉시 적합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수인계 캐리지와 최종 분배자 차량은 트랙 구속 방식(track-bound manner)으로 이동가능하고, 즉 컨테이너 보관 시설의 구성이 하이 베이 보관 시설과 같이 되어 있는 경우 고가 레일 상에서 이동가능하다. 이로써 줄어드는 에너지의 사용 및 줄어드는 사이클 타임은 이미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수인계 캐리지의 레벨들이 서로 고정된 간격으로 제공되어 있고, 연결되는 최종 분배자 차량이 인수인계 캐리지의 상위 레벨과 하위 레벨로부터 컨테이너들의 연속적인 제거를 위하여 수직방향으로 조정가능한 적재물 수용 수단이나 상위 및 하위 적재물 수용 수단이 있는 보관 및 회수 장치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제공되어 있다. 프레임 유사 보관 및 회수 장치의 횡단방향 반송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텔레스코픽 포크 또는 아암인데, 이는 적재 수단에 제공되어 있고, 코너 캐치 포인트(corner catch point)에 매달려 있는 컨테이너들을 인수인계 캐리지로부터 제거하고, 또는 팔레트가 없는 이러한 구조에서는 2개의 레벨로 왕복운동식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그 횡단방향 반송 캐리지로부터 제거하며, 컨테이너들을 운반 스테이션 쪽으로 전방으로 향하게 한다.
이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르면, 연결되는 고정형 운반 스테이션은 컨테이너 보관 시설의 방향으로 상위 레벨에 대해 돌출되어 있는 횡단방향 컨베이어 구간을 하위 레벨에서 가진다. 컨테이너들은 결과적으로는 서로에 대하여 오프셋되어 위치결정될 수 있으므로, 적어도 하나의 보관 시설 크래인을 위하여 양쪽 모든 레벨에서 자유롭게 접근가능하다.
컨테이너들이 팔레트들 상에서 횡단방향으로 반송되는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인수인계 캐리지가 2개로 분할되는 상위 레벨로 구성되어 있고 상위 레벨로부터 하위 레벨로 하강가능하거나 그 반대로 하위 레벨로부터 상위 레벨로 상승가능한 정면 부분 레벨 구간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제공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연결되는 최종 분배자 캐리지는 인수인계 캐리지로부터 송출되는 컨테이너들을 수용하는 지속적인 상위 레벨로 구성되어 있고, 그리고 고정형 운반 스테이션의 돌출되어 있는 횡단방향 컨베이어 구간은 상위 레벨로부터 하위 레벨로 하강가능하거나 그 반대로 하위 레벨로부터 상위 레벨로 상승가능한 승강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모드의 구조에도 불구하고, 최종 분배자 차량이 그 상위 레벨에서만 컨테이너들이 실린 팔레트를 추가로 반송하는 반면, 한편으로는 고정형 운반 스테이션의 하위 레벨과 함께 작동하고 있으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최종 분배자 캐리지의 이동 후에 인수인계 캐리지의 하위 레벨과 정렬되어 있는 하위 레벨은 빈 팔레트들을 폐쇄 회로에서 사용되게 한다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수인계 캐리지의 정면 부분 레벨 구간과, 고정형 운반 스테이션의 돌출되어 있는 횡단방향 반송 구간은 가위형 승강 테이블로 구성되어 있다. 가위형 승강 테이블은 레벨들의 간격에 걸쳐 가교가 되는 스트로크로 설계된다.
팔레트들 상에 놓여있는 컨테이너들을 운송하는 횡단방향 반송 수단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제안에 따라 롤러 컨베이어 또는 롤러 트랙과 같이 구성될 수 있고, 또는 팔레트가 없는 컨테이너들의 운송의 경우에는 횡단방향 반송 캐리지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횡단방향 반송 수단은 플랜트 구성요소들의 통합형 요소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과 세부사항은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다음에 오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로부터 자명하다.
도 1은 하역을 위하여 부두에 정박된 선박, 갠트리 크래인, 인수인계 캐리지, 최종 분배자 캐리지, 및 송출측에 보관 시설 크래인과 운반 스테이션이 있는 블록 보관 시설과 같은 컨테이너 보관 시설이 나타나 있는 컨테이너 운반 설비의 평면 사시도이고, 여기에서 인수인계 캐리지, 최종 분배자 캐리지 및 운반 스테이션은 상위 레벨에서 팔레트들 상에 놓여있는 컨테이너들을 연속적으로 횡단방향으로 반송하는 반면, 빈 팔레트들은 하위 레벨의 이들 구성요소들에서 다시 운송된다.
도 2는 도 1의 컨테이너 운반 위치가 나타나 있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컨테이너 운반 위치의 일부가 나타나 있는 평면 사시도로서, 상위 레벨과 하위 레벨 양쪽 모두에서 변위가능한 횡단방향 컨베이어 캐리지들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들의 횡단방향 반송을 위한 상이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엘리베이터 트랙들 상에 정렬되어 있는 최종 분배자 차량과 인수인계 캐리지, 및 컨테이너 보관 시설과 같은 하이 베이 보관 시설이 나타나 있다.
도 4는 컨테이너 운반 설비의 일부가 나타나 있는 정면 사시도로서, 보관 및 회수 장치로 구성된 최종 분배자 차량 및 상이한 포지션들에 있는 인수인계 캐리지는 있지만 갠트리 크래인은 없는 도 3의 하이 베이 보관 시설이 나타나 있다.
도 5에는 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이 베이 보관 시설의 송출측 앞에서 평행한 레일 트랙들 상에서 위치결정가능하고 이동가능한 차량들과 하이 베이 보관 시설이 있는 컨테이너 운반 설비가 부분 사시도로 나타나 있고, 여기에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드의 구조로 하이 베이 보관 시설에 바로 인접하여 배열되어 있는 최종 분배자 캐리지의 일 실시예가 있다.
도 6은 도 3과 도 4에 따르는 모드의 구조로 되어 있는 하이 베이 보관 시설이 있는 컨테이너 운반 설비의 세부사항으로서, 갠트리 크래인, 인수인계 캐리지, 보관 및 회수 장치와 같은 모드의 구조로 되어 있는 최종 분배자 캐리지, 고정형 운반 스테이션 및 보관 시설 크래인이 함께 작동하는 상태가 측면도로 나타나 있다.
도 7은 도 1과 도 2 또는 도 5의 컨테이너 운반 설비의 세부사항으로서, 인수인계 캐리지, 모듈 구조의 최종 분배자 캐리지 및 고정형 운반 스테이션이 함께 작동하는 상태가 평면 사시도로 나타나 있다.
도 1은 하역을 위하여 부두에 정박된 선박, 갠트리 크래인, 인수인계 캐리지, 최종 분배자 캐리지, 및 송출측에 보관 시설 크래인과 운반 스테이션이 있는 블록 보관 시설과 같은 컨테이너 보관 시설이 나타나 있는 컨테이너 운반 설비의 평면 사시도이고, 여기에서 인수인계 캐리지, 최종 분배자 캐리지 및 운반 스테이션은 상위 레벨에서 팔레트들 상에 놓여있는 컨테이너들을 연속적으로 횡단방향으로 반송하는 반면, 빈 팔레트들은 하위 레벨의 이들 구성요소들에서 다시 운송된다.
도 2는 도 1의 컨테이너 운반 위치가 나타나 있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컨테이너 운반 위치의 일부가 나타나 있는 평면 사시도로서, 상위 레벨과 하위 레벨 양쪽 모두에서 변위가능한 횡단방향 컨베이어 캐리지들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들의 횡단방향 반송을 위한 상이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엘리베이터 트랙들 상에 정렬되어 있는 최종 분배자 차량과 인수인계 캐리지, 및 컨테이너 보관 시설과 같은 하이 베이 보관 시설이 나타나 있다.
도 4는 컨테이너 운반 설비의 일부가 나타나 있는 정면 사시도로서, 보관 및 회수 장치로 구성된 최종 분배자 차량 및 상이한 포지션들에 있는 인수인계 캐리지는 있지만 갠트리 크래인은 없는 도 3의 하이 베이 보관 시설이 나타나 있다.
도 5에는 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이 베이 보관 시설의 송출측 앞에서 평행한 레일 트랙들 상에서 위치결정가능하고 이동가능한 차량들과 하이 베이 보관 시설이 있는 컨테이너 운반 설비가 부분 사시도로 나타나 있고, 여기에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드의 구조로 하이 베이 보관 시설에 바로 인접하여 배열되어 있는 최종 분배자 캐리지의 일 실시예가 있다.
도 6은 도 3과 도 4에 따르는 모드의 구조로 되어 있는 하이 베이 보관 시설이 있는 컨테이너 운반 설비의 세부사항으로서, 갠트리 크래인, 인수인계 캐리지, 보관 및 회수 장치와 같은 모드의 구조로 되어 있는 최종 분배자 캐리지, 고정형 운반 스테이션 및 보관 시설 크래인이 함께 작동하는 상태가 측면도로 나타나 있다.
도 7은 도 1과 도 2 또는 도 5의 컨테이너 운반 설비의 세부사항으로서, 인수인계 캐리지, 모듈 구조의 최종 분배자 캐리지 및 고정형 운반 스테이션이 함께 작동하는 상태가 평면 사시도로 나타나 있다.
선박으로부터 육지 쪽으로의, 또는 그 반대로 육지로부터 선박 쪽으로의 컨테이너(1)들의 운반을 위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몇몇 적재용 장치들 중 하나만이 나타나 있는, 블록 보관 시설(3)이 있는 컨테이너 운반 설비(2)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컨테이너(1)는 선박의 앞에서 부두 바닥(5)에 있는 레일 트랙(4) 상에 위치결정가능한 갠트리 크래인(6)에 의해 제거되고, 갠트리 크래인의 적재물 수용 수단(7)에 의하여 인수인계 캐리지(8) 상에 놓이게 되고, 인수인계 캐리지로부터 도 1, 도 2 뿐만 아니라 도 5와 도 7에 따르는 실시예에서는 모듈 구조의 편평한 차량(9a)으로 구성되어 있는 최종 분배자 차량(9) 쪽으로 운반되고, 블록 보관 시설(3)의 고정형 운반 스테이션(10) 쪽으로 운송되고, 고정형 운반 스테이션(10)으로 운반되고 나서, 블록 보관 시설(3)의 보관 장치에 걸쳐있는 보관 시설 크래인(12)의 승강 수단(11)에 의해 거기에서 제거되고, 보관되는데, 이를 위하여 보관 시설 크래인(12)은 블록 보관 시설이나 보관 장치의 길이 치수의 방향으로, 결과적으로는 블록 보관 시설(3)에 대해 횡단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선박 적재는 역순으로 일어난다. 인수인계 캐리지(8)는 블록 또는 컨테이너 보관 시설에 대해 평행하게 블록 보관 시설의 송출측에서 뻗어 있는 레일 트랙(13, 14) 상에 마치 최종 분배자 차량(9)처럼 배열되고, 여기에서 최종 분배자 차량(9, 9a)의 레일 트랙(14)은 고정형 운반 스테이션(10)에 바로 인접하여 뻗어있는데, 레일 트랙 중 몇몇은 일정한 간격으로 분배되도록 서로에 대해 인접하여 제공되어 있다.
도 3, 도 4 및 도 5의 컨테이너 운반 설비(102)는 컨테이너 보관 시설과 같이 하이 베이 보관 시설(15)로 구성되어 있고, 도 3과 도 4에 따르는 실시예에서 보관 및 회수 장치(9b)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도 6 또한 참조) 최종 분배자 차량(9)과 인수인계 캐리지(8)를 위한 레일 트랙(13, 14)은 고가에 있도록 배열되어 있다. 고정형 운반 스테이션(10)은 하이 베이 보관 시설(15)의 2개의 최상위 바닥 상에 강철 구조물로 통합되어 있다. 보관 시설 또는 보관 시설 크래인(12)은 지붕 상부구조(16)에 의해 구획되어 있고, 도면의 평면에서 후면을 향하여 연속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떨어져 있도록 배열되어 있는 모든 다중 바닥 베이 설비들 위에 맞닿도록 보관 시설 레인을 커버한다. 하이 베이 보관 시설(15)이 있는 컨테이너 운반 설비(102)의 경우에는 바닥에 구속되는 운송이 없다. 운반 절차들은 이와 달리 대응되는데, 이는 컨테이너(1)들이 갠트리 크래인(6)을 이용하여 선박으로부터 인수인계 캐리지(8) 쪽으로 가져오게 되고, 거기에서 가변적인 왕복운동식으로 이동가능한 최종 분배자 차량들(9; 9a, 9b) 쪽으로 운반되고, 이 차량들에 의해 자유 고정형 운반 스테이션(10) 앞에 있을 때까지 이동되고, 그리고 운반 스테이션 쪽으로 운반되는데, 운반 스테이션으로부터 컨테이너(1)는 보관 시설 크래인(12)에 의해 인수인계되고, 또는 블록 보관 시설(3)에 보관되거나 보관 시설 레인의 레일 상에서 이동가능한 보관 및 회수 장치 쪽으로 하이 베이 보관 시설(15)의 보관 시설 크래인(12)에 의해 옮겨지고, 이 장치는 이후 보관 시설측에서 베이에서의 컨테이너들의 분배를 인수인계한다.
인수인계 캐리지(8), 최종 분배자 차량(9)(여기에서는 보관 및 회수 장치(9b)의 형태로 되어 있음), 및 이들 구성요소들의 직접 결합의 가능성이 있는 고정형 운반 스테이션(10)의 기능들을 결합해제함으로써 달성가능한 컨테이너(1)의 유연한 핸들링은 도 4에서 볼 수 있고, 여기서 인수인계 캐리지(8, 8a)와 연결되는 갠트리 크래인은 나타나 있지 않다. 컨테이너가 없는 인수인계 캐리지(8; 8a)가 재적재를 위하여 준비되는 동안, 다른 인수인계 캐리지는 컨테이너를 최종 분배자 차량(9; 9b) 쪽으로 옮기거나 실린 최종 분배자 차량은 컨테이너를 고정형 운반 스테이션(10) 쪽으로 운반할 수 있다. 이로써 이미 충분히 가속된 컨테이너 운반은, 인수인계 캐리지(8; 8a), 최종 분배자 차량(9; 9a) 및 고정형 운반 스테이션(10; 10a, 10b)이 양쪽 모든 레벨들(Ⅰ, Ⅱ)(도 6 참조)에서나 상위 레벨(Ⅰ)에서 컨테이너의 수용을 위하여 상위 레벨(Ⅰ)과 하위 레벨(Ⅱ)로 각각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더욱 더 증가된 전체적인 처리 성능을 제공하는데, 이 경우 하위 레벨(Ⅱ)은 빈 팔레트의 복귀 운송을 위하여 이용된다(도 7 참조).
도 6에 따르는 인수인계 캐리지(8)는 2개의 레벨들(Ⅰ, Ⅱ)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2개의 레벨 차량(8a)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최종 분배자 차량(9)과 같은 보관 및 회수 장치(9b), 및 인수인계 캐리지(8, 8a)의 레벨들(Ⅰ, Ⅱ)로부터 매달려 있는 컨테이너(1)들의 인수인계를 위하여 그 수직방향 포지션에서 컨테이너 횡단방향 반송 수단과 같이 거기에 구성되어 있는 텔레스코픽 포크(20)들에 의해 적합하게 되어 있는 적재물 수용 수단(17a, 17b)에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된다. 마지막으로, 운반된 컨테이너(1)들을 수용하기 위한 고정형 운반 스테이션(10)은 또한 상위 레벨(Ⅰ)과 하위 레벨(Ⅱ)을 가지고, 여기에서 하위 레벨(Ⅱ)은 횡단방향 반송 수단(18)을 위하여 컨테이너 보관 시설(3; 15)의 방향으로 뻗어있는 구간(10a)을 가진다.
갠트리 크래인(6)들의 적재물 수용 수단(7)에 의해 송출되는 컨테이너(1)들은 횡단방향 반송 수단(18)과 같은 횡단방향 반송 캐리지들 상에 인수인계 캐리지(8; 8a)의 양쪽 모든 레벨(Ⅰ, Ⅱ)로 놓여있고, 텔레스코픽 포크(20)들(2개의 보관 및 회수 장치(9b)의 오른쪽 바깥쪽에 있음; 도 4 참조)을 이용하여 매달려 있는 컨테이너들이 2개의 레벨들(Ⅰ, Ⅱ)로부터 인수인계되는 인수인계 캐리지(8; 8a)의 앞에 정렬되어 위치결정되어 있는 최종 분배자 차량(9; 9b)에서의 운반 지점까지 변위되어 있다. 횡단방향 운반 캐리지(18)들은 보관 및 회수 장치(9b)나 최종 분배자 차량(9)에 의한 컨테이너(1)들의 인수인계 후 도 6에서 쌍방향 화살표로 지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컨테이너(1)들의 재적재를 위하여 그 시작 포지션으로 다시 이동된다. 컨테이너(1)들의 운반 직후, 최종 분배자 차량(9)이나 보관 및 회수 장치(9b)는 고정형 운반 스테이션(10)들 중 하나의 레벨들(Ⅰ, Ⅱ)로 정렬된 포지션으로 이동되어서 거기에 위치결정될 수 있다. 텔레스코픽 포크(20)들의 반대 방향에 걸쳐서, 컨테이너(1)들은 하위 레벨(Ⅱ)의 고정형 운반 스테이션(10)의 횡단방향 반송 캐리지(18) 상에서 상위 레벨(Ⅰ)에 놓여있다. 횡단방향 반송 캐리지(18)는 상위 레벨(Ⅰ)에 놓여 있는 컨테이너에 대하여 오프셋되어 있는 돌출되어 있는 구간(10a) 상에서 이동되어서, 보관 시설 크래인(12)은 그 승강 수단(11)에 의해 양쪽 모든 레벨(Ⅰ, Ⅱ)의 컨테이너(1)들에 대해 자유롭게 접근한다. 도 6에서 일방향 화살표(21)로 지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보관 시설 크래인(12)은 레인들 위에서 뻗어있는 하이 베이 보관 시설(15)에서 이동가능하고, 컨테이너(1)들을 베이들에서의 보관을 위하여 하이 베이 보관 시설(102)의 레인에서 이동가능한 보관 및 회수 장치(22) 쪽으로, 즉 일방향 화살표(21)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옮긴다.
도 7에는 상위 및 하위 수용 및 반송 레벨들(Ⅰ, Ⅱ)로 구성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로 된 다른 모드의 구조가 나타나 있다. 인수인계 캐리지(8)는 부분 레벨로 하강하는 차량(8b)과 같이 구성되어 있고, 가위형 승강 테이블(23a)의 형태로 상위 레벨(Ⅰ)로부터 하위 레벨(Ⅱ)로 하강가능하거나 그 반대로 하위 레벨(Ⅱ)로부터 상위 레벨(Ⅰ)로 상승가능한 부분 레벨 구간을 가진다. 고정형 운반 스테이션(10)의 돌출되어 있는 횡단방향 반송 구간(10a)은 또한 상위 레벨(Ⅰ)로부터 하위 레벨(Ⅱ)로 하강가능하거나 그 반대로 하위 레벨(Ⅱ)로부터 상위 레벨(Ⅰ)로 상승가능한 가위형 승강 테이블(23b)로 구성되어 있다.
최종 분배자 차량(9)은 모듈 구조(9a)로 되어 있고, 2개의 레벨들(Ⅰ, Ⅱ)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컨테이너(1)들의 횡단방향 반송을 위하여, 수평방향의 일방향 화살표(24)로 지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양쪽 모든 방향으로의 반송을 가능하게 하는 롤러 트랙들이나 롤러들은 모든 구성요소들을 보완하기 위해서 양쪽 모든 레벨(Ⅰ, Ⅱ)들로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모드의 구조에서, 하역된 팔레트(19)는 상위 레벨(Ⅰ)로부터 하위 레벨(Ⅱ) 쪽으로 고정형 운반 스테이션(10)의 돌출되어 있는 횡단방향 반송 구간(10a)에서 하강될 수 있고, 거기로부터 최종 분배자 차량(9 또는 9a)의 하위 레벨(Ⅱ)로 다시 향하게 될 수 있다. 최종 분배자 차량(9, 9a)이 이후 부분 레벨로 하강하는 차량(8b)이나 인수인계 캐리지(8) 앞에 위치결정되자 마자, 맨앞 팔레트는 팔레트(1)의 새로운 적재를 위하여 상위 레벨(Ⅰ)의 하강불가능한 부분 구간 상에 준비되어 있는 가위형 승강 테이블(23a)의 상승을 통해 하위 레벨(Ⅱ)에 놓여 있는 가위형 승강 테이블(23a) 위쪽으로 가져오게 될 수 있다. 가위형 승강 테이블(23a)은 이후 하위 레벨(Ⅱ)로 다시 하강되어서, 다음 팔레트는 인수인계되고 상위 레벨(Ⅰ)로 들어올려진 후 순차적인 적재가 가능하다. 모듈 구조(9a)에서, 최종 분배자 차량(9)은 결과적으로는 컨테이너 분배에 추가하여, 특히 한편으로는 고정형 운반 스테이션(10)과 함께 작동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인수인계 캐리지(8 또는 8b)와 함께 작동하여 폐쇄된 팔레트 회로를 위한 결합 요소로도 이용되고, 여기에서 팔레트 복귀는 수직방향 하강 후 상위 레벨의 구성요소들에서나 그 안에서만 팔레트 상에 놓여 있는 컨테이너의 수평방향 횡단방향 운송시 오로지 하위 레벨(Ⅱ)에서 일어난다.
1
컨테이너
2, 102 컨테이너 운반 설비
3 블록 보관 시설 / 컨테이너 보관 시설
4 레일 트랙 / 레일
5 부두 바닥
6 갠트리 크래인
7 적재물 수용 수단
8 인수인계 캐리지
8a 2개의 레벨 차량
8b 부분 레벨로 하강하는 차량
9 최종 분배자 차량
9a 모듈 구조 차량
9b 보관 및 회수 장치
10 정면 구간 / 돌출되어 있는 횡단방향 반송 구간
11 승강 수단
12 보관 시설 크래인
13 레일 트랙 / 레일
14 레일 트랙 / 레일
15 하이 베이 보관 시설 / 컨테이너 보관 시설
16 지붕 상부구조
17a, 17b (보관 및 회수 장치(9b)의) 적재물 인수인계 수단
18 횡단방향 반송 캐리지
19 팔레트
20 텔레스코픽 아암 또는 포크 / 컨테이너 횡단방향 반송 수단
21 일방향 화살표
22 보관 및 회수 장치
23a, 23b 가위형 승강 테이블 / 승강 수단
2, 102 컨테이너 운반 설비
3 블록 보관 시설 / 컨테이너 보관 시설
4 레일 트랙 / 레일
5 부두 바닥
6 갠트리 크래인
7 적재물 수용 수단
8 인수인계 캐리지
8a 2개의 레벨 차량
8b 부분 레벨로 하강하는 차량
9 최종 분배자 차량
9a 모듈 구조 차량
9b 보관 및 회수 장치
10 정면 구간 / 돌출되어 있는 횡단방향 반송 구간
11 승강 수단
12 보관 시설 크래인
13 레일 트랙 / 레일
14 레일 트랙 / 레일
15 하이 베이 보관 시설 / 컨테이너 보관 시설
16 지붕 상부구조
17a, 17b (보관 및 회수 장치(9b)의) 적재물 인수인계 수단
18 횡단방향 반송 캐리지
19 팔레트
20 텔레스코픽 아암 또는 포크 / 컨테이너 횡단방향 반송 수단
21 일방향 화살표
22 보관 및 회수 장치
23a, 23b 가위형 승강 테이블 / 승강 수단
Claims (12)
- 통합형 완전 자동화 컨테이너 운송 시스템이 있는 컨테이너 운반 설비(1, 102) 내부에 있는 해항이나 내륙항의 하이 베이 또는 블록 보관 시설(3, 15) 안으로의 컨테이너(1)의 보관과 회수 또는 재배치를 위한 방법으로서,
통합형 완전 자동화 컨테이너 운반 시스템은 선박으로부터 육지로의 컨테이너(1)의 운반이나 그 반대로 육지로부터 선박으로의 컨테이너(1)의 운반을 위하여 보관 시설(3, 15)에 컨테이너(1)를 보관하고 회수하거나 재배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관 시설 크래인(12)과 적어도 하나의 갠트리 크래인(6)을 구비하고,
복수의 레벨들은 컨테이너(1)를 위하여 보관 시설 크래인(12)과 갠트리 크래인(6) 사이의 운반 절차에 제공되는 방법에 있어서,
개별 컨테이너(1)는 적어도 하나의 갠트리 크래인(6)에 의해, 컨테이너 보관 시설(3, 15)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가능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상위 수용 레벨(Ⅰ)과 적어도 하나의 하위 반송 레벨(Ⅱ)을 가지는 인수인계 캐리지(8; 8a, 8b) 상에 제공되어 있는 횡단방향 반송 캐리지(18)들이나 팔레트(19)들 쪽으로 연속적으로 옮겨지고,
컨테이너(1)가 실린 팔레트(19)들은 그 인수인계 캐리지로부터 팔레트 반송 수단(25)에 의해 운반되고, 또는 컨테이너(1)들은, 컨테이너 보관 시설(3, 15)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가능하면서 인수인계 캐리지(8; 8a, 8b)의 앞에 일렬로 위치결정되어 있으며 인수인계 캐리지(8; 8a, 8b)와 같이 상위 레벨(Ⅰ)과 하위 레벨(Ⅱ)을 가지는 최종 분배자 차량(9; 9a, 9b) 쪽으로 인수인계 캐리지(8; 8a, 8b)의 횡단방향 반송 캐리지(18)들에 의해 운반되고, 횡단방향 반송 수단(20; 25)에 의해 이 차량으로부터 컨테이너 보관 시설(3, 15)의 고정형 운반 스테이션(10) 쪽으로 운반되는데, 이 고정형 운반 스테이션은 유사하게도 상위 레벨(Ⅰ)과 하위 레벨(Ⅱ)을 가지고, 이 스테이션에서 보관 시설 크래인(12)은 컨테이너 보관 시설(3, 15)에서의 보관을 위하여 컨테이너(1)들을 들어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인수인계 캐리지(8; 8a, 8b)와 최종 분배자 차량(9; 9a, 9b)은 레일 상에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컨테이너 보관 시설이 하이 베이 보관 시설(15)과 같이 구성되어 있는 경우, 인수인계 캐리지(8; 8a, 8b)와 최종 분배자 차량(9; 9a, 9b)은 고가 레일(13, 14) 상에서 이동되고, 고정형 운반 스테이션(10)은 하이 베이 보관 시설(15)의 2개의 최상위 바닥에 제공되어 있고,
인수인계 캐리지(8; 8a, 8b)의 2개의 레벨(Ⅰ, Ⅱ)에 대응하는 최종 분배자 차량(9; 9a, 9b)의 인수인계 레벨들(Ⅰ, Ⅱ)은 고정된 포지션으로 설치되어 있는 적재물 수용 수단(17a, 17b)일 수 있고, 또는 최종 분배자 차량(9b)의 수직방향으로 조정가능한 적재물 수용 수단은 이용될 각각의 레벨(Ⅰ, Ⅱ)로 위치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수인계 캐리지(8; 8b)의 팔레트 횡단방향 반송 수단(25)의, 부두측을 향하고 있는 정면 구간, 및 고정형 운반 스테이션(10)의 팔레트 횡단방향 반송 수단(25)의, 컨테이너 보관 시설(3, 15)의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후면 구간은 하위 레벨(Ⅱ)로부터 상위 레벨(Ⅰ)로 상승되거나 그 반대로 상위 레벨(Ⅰ)로부터 하위 레벨(Ⅱ)로 하강될 수 있고,
하강된 단부 포지션과 상승된 단부 포지션 양쪽 모두에 있는 팔레트 횡단방향 반송 수단(25)은 개재된 최종 분배자 차량(9; 9a)의 팔레트 횡단방향 반송 수단(25)과 정렬하여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빈 팔레트(19)는 고정형 운반 스테이션(10)으로부터 하위 레벨(Ⅱ)로 하강한 후 하위 레벨(Ⅱ)의 최종 분배자 차량(9; 9a)을 이용하여 하위 레벨(Ⅱ)의 인수인계 캐리지(8; 8b) 쪽으로 다시 반송될 수 있고, 상위 레벨(Ⅰ) 쪽으로 상승된 후에는 빈 팔레트에 컨테이너(1)가 재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해항이나 내륙항의 하이 베이 또는 블록 보관 시설(3, 15) 안으로의 컨테이너(1)의 보관과 회수 또는 재배치를 위한 통합형 완전 자동화 컨테이너 운송 시스템이 있는 컨테이너 운반 설비(2, 102)로서,
선박으로부터 육지로의 컨테이너(1)의 운반이나 그 반대로 육지로부터 선박으로의 컨테이너(1)의 운반을 위하여 보관 시설(3, 15)에 컨테이너(1)를 보관하고 회수하거나 재배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관 시설 크래인(12)과 적어도 하나의 갠트리 크래인(6)을 구비하고,
복수의 레벨들은 컨테이너(1)를 위하여 보관 시설 크래인(12)과 갠트리 크래인(6) 사이의 운반 절차에 제공되는, 컨테이너 운반 설비에 있어서,
컨테이너 보관 시설(3, 15)에 대해 평행하게 뻗어 있는 각각의 트랙(4; 13, 14) 상에서 컨테이너 보관 시설(3, 15)을 향하여 갠트리 크래인(6)과 연결되는 것은 우선 인수인계 캐리지(8; 8a, 8b)이고, 컨테이너 보관 시설(3, 15)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최종 분배자 차량(9; 9a, 9b)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최종 분배자 차량은 인수인계 캐리지와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고, 적어도 컨테이너 보관 시설(3, 15)의 송출측에 형성되어 있으면서 보관 시설 크래인(12)의 작동 범위 내에 배열되어 있는 고정형 운반 스테이션(10)과 정렬되어 위치결정가능하고,
인수인계 캐리지(8; 8a, 8b), 최종 분배자 차량(9; 9a, 9b) 및 고정형 운반 스테이션(10)은 적어도 하나의 상위 수용 레벨(Ⅰ)과 하위 반송 레벨(Ⅱ)과 컨테이너 및/또는 여기에 제공되어 있는 팔레트 횡단방향 반송 수단(18; 20, 25)으로 각각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운반 설비. - 제 6 항에 있어서,
인수인계 캐리지(8; 8a, 8b)와 최종 분배자 차량(9; 9a, 9b)은, 컨테이너 보관 시설이 하이 베이 보관 시설(15)과 같이 구성되어 있는 경우 고가 레일(13, 14)인 레일 상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운반 설비. -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인수인계 캐리지(8; 8a)의 레벨들(Ⅰ, Ⅱ)이 서로 고정된 간격으로 제공되어 있고, 연결되는 최종 분배자 차량(9)은 인수인계 캐리지의 상위 레벨(Ⅰ)과 하위 레벨(Ⅱ)로부터 컨테이너(1)들의 연속적인 제거와 횡단방향 반송을 위하여 수직방향으로 조정가능한 적재물 수용 수단이나 횡단방향 반송 수단(20)을 가지는 상위 및 하위 적재물 수용 수단(17a, 17b)이 있는 보관 및 회수 장치(9b)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운반 설비. - 제 8 항에 있어서,
연결되는 고정형 운반 스테이션(10)은 컨테이너 보관 시설(3, 15)의 방향으로 상위 수용 레벨(Ⅰ)에 대해 돌출되어 있는 횡단방향 반송 구간(10a)을 하위 수용 레벨(Ⅱ)에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운반 설비. - 제 6 항, 제 7 항 및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수인계 캐리지(8; 8b)는 2개로 분할되는 상위 레벨(Ⅰ)로 구성되어 있고 상위 레벨로부터 하위 레벨(Ⅱ)로 하강가능하거나 그 반대로 하위 레벨(Ⅱ)로부터 상위 레벨로 상승가능한 정면 부분 레벨 구간을 가지고 있고,
연결되는 최종 분배자 캐리지(9; 9a)는 인수인계 캐리지(8, 8b)로부터 송출되는 컨테이너(1)들을 수용하는 지속적인 상위 레벨(Ⅰ)로 구성되어 있고, 그리고 고정형 운반 스테이션(10)의 돌출되어 있는 횡단방향 컨베이어 구간(10a)은 상위 레벨(Ⅰ)로부터 하위 레벨(Ⅱ)로 하강가능하거나 그 반대로 하위 레벨(Ⅱ)로부터 상위 레벨(Ⅰ)로 상승가능한 승강 수단(23a, 23b)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운반 설비. - 제 10 항에 있어서,
인수인계 캐리지(8, 8b)의 정면 부분 레벨 구간과, 고정형 운반 스테이션(10)의 돌출되어 있는 횡단방향 반송 구간(10a)은 가위형 승강 테이블(23a, 23b)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운반 설비. - 제 6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놓여있는 컨테이너(1)를 운송하는 횡단방향 반송 수단은 횡단방향 반송 캐리지(18)와 같이 구성되어 있고, 또는 팔레트(19)들 상에 놓여있는 컨테이너(1)들을 운송하는 횡단방향 반송 수단은 롤러 또는 롤러 트랙(25)과 같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운반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EP2015/058094 WO2016165748A1 (de) | 2015-04-14 | 2015-04-14 | Verfahren und container-umschlaganlage zum ein- und auslagern von containern in containerlager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0096A true KR20170110096A (ko) | 2017-10-10 |
KR102059451B1 KR102059451B1 (ko) | 2020-02-11 |
Family
ID=52824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23011A KR102059451B1 (ko) | 2015-04-14 | 2015-04-14 | 컨테이너 보관 영역 안에 컨테이너를 배치시키거나 컨테이너 보관 영역으로부터 컨테이너를 제거하기 위한 컨테이너 운반 설비 및 방법 |
Country Status (23)
Country | Link |
---|---|
US (1) | US10155633B2 (ko) |
EP (1) | EP3283418B1 (ko) |
JP (1) | JP6615315B2 (ko) |
KR (1) | KR102059451B1 (ko) |
CN (2) | CN107428480B (ko) |
AU (1) | AU2015391350B2 (ko) |
BR (1) | BR112017014929B1 (ko) |
CA (1) | CA2973384C (ko) |
CR (1) | CR20170448A (ko) |
CU (1) | CU24491B1 (ko) |
DK (1) | DK3283418T3 (ko) |
ES (1) | ES2743193T3 (ko) |
IL (1) | IL254868B (ko) |
LT (1) | LT3283418T (ko) |
MX (1) | MX2017009567A (ko) |
MY (1) | MY190583A (ko) |
NZ (1) | NZ733103A (ko) |
PL (1) | PL3283418T3 (ko) |
PT (1) | PT3283418T (ko) |
SA (1) | SA517381870B1 (ko) |
SG (1) | SG11201707835TA (ko) |
TW (1) | TWI601679B (ko) |
WO (1) | WO2016165748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31258A (ko) * | 2019-09-11 | 2021-03-19 | 부산항만공사 | 스마트 컨테이너 셔틀 및 물류 시스템 |
KR20220067669A (ko) * | 2020-11-18 | 2022-05-25 | 부산항만공사 | 스마트 컨테이너 스테이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809381B2 (en) * | 2012-07-23 | 2017-11-07 | Oren Technologies, Llc | Apparatus for the transport and storage of proppant |
CN107428480B (zh) * | 2015-04-14 | 2020-11-27 | 阿莫瓦有限公司 | 用于将货柜仓库的货柜入仓及出仓的方法及货柜转运设施 |
CN106608595A (zh) | 2015-10-26 | 2017-05-03 | 鹰铁路集装箱物流有限责任公司 | 构造成用于输送各种尺寸的对象的运输器 |
CN106956940A (zh) | 2015-10-26 | 2017-07-18 | 鹰铁路集装箱物流有限责任公司 | 高架式运输和路线管理系统 |
CN109153518A (zh) * | 2016-05-16 | 2019-01-04 | 鹰轨集装箱物流有限公司 | 用于运输集装箱的支架和鞍座转移装置及操作方法 |
WO2018231222A1 (en) | 2017-06-14 | 2018-12-20 | Lydle Richard C | Shipping container handling systems and methods |
DE102018108212A1 (de) * | 2018-04-06 | 2019-10-10 | Amova Gmbh | Aufnahme- und Übergabevorrichtung für Container |
DE102019112408A1 (de) * | 2019-05-13 | 2020-11-19 |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 Brückenkran zum Herstellen eines Zugriffs auf eingelagerte Einheiten eines Blocklagers |
DE102019134528A1 (de) * | 2019-12-16 | 2021-06-17 | Amova Gmbh | Verfahren zur dynamischen Verkehrsführung von externen Verkehrsmitteln in einem Hochregallager |
CN113086857B (zh) * | 2021-03-31 | 2022-08-19 | 河北工程大学 | 一种可伸缩的岸桥起重装置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039275A (en) * | 1987-06-05 | 1991-08-13 | Ide Allan R | Method for transferring cargo between vessel and dock |
DE4439740C1 (de) * | 1994-10-28 | 1996-05-09 | Noell Gmbh | Containerterminal mit integriertem, vollautomatischem Containertransportsystem |
US20100239402A1 (en) * | 2009-03-18 | 2010-09-23 | Gorm-Harald Holmedal | System and method for cargo handling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556636A1 (de) * | 1968-02-22 | 1970-10-22 | Krupp Gmbh | Container-Umschlaganlage |
JPH01294121A (ja) * | 1988-05-18 | 1989-11-28 | Mitsubishi Heavy Ind Ltd | コンテナ移載装置 |
NO167505C (no) * | 1989-01-30 | 1991-11-13 | Seatrans Ans | Lastoverfoeringssystem for lasting og lossing av skip. |
JPH0526928U (ja) * | 1991-09-18 | 1993-04-06 | 三井造船株式会社 | 船舶のコンテナ積卸し装置 |
JPH10194463A (ja) * | 1996-12-27 | 1998-07-28 |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 コンテナターミナル |
JP2000025911A (ja) * | 1998-07-10 | 2000-01-25 | Araco Corp | 搬送装置 |
DE19923813A1 (de) * | 1999-05-20 | 2000-12-07 | Mannesmann Ag | Umschlaganlage für Stückgut, insbesondere für ISO-Container |
DE10002915A1 (de) | 2000-01-19 | 2001-08-02 | Mannesmann Ag | Umschlaganlage in einem See- oder Binnenhafen |
US6602036B2 (en) * | 2001-12-11 | 2003-08-05 | Toru Takehara | Buffer bridge crane for cargo container handling operations |
NL1022696C2 (nl) * | 2003-02-14 | 2004-08-17 | Rotterdam Short Sea Terminals | Overslagstelsel voor containers. |
US7780390B2 (en) * | 2004-03-12 | 2010-08-24 | Mitsui Engineering & Shipbuilding Co., Ltd. | Container inspection/cargo-handling method and container inspection/cargo-handling system |
CN100366525C (zh) * | 2005-12-14 | 2008-02-06 | 上海振华港口机械(集团)股份有限公司 | 岸边起重机和堆场起重机间低架桥式小车转接装卸系统 |
CN100545065C (zh) * | 2006-04-20 | 2009-09-30 | 上海振华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 集装箱码头布置方案及装卸流程 |
US7753637B2 (en) * | 2007-03-01 | 2010-07-13 | Benedict Charles E | Port storage and distribution system for international shipping containers |
CN101229883A (zh) * | 2008-01-24 | 2008-07-30 | 上海振华港口机械(集团)股份有限公司 | 集装箱码头装卸系统 |
DE102008007860A1 (de) | 2008-02-06 | 2009-10-22 | Meier und Söhne GbR (vertretungsberechtigter Gesellschafter: Norbert Meier, 30916 Isernhagen) | Container Transport- und Übergabesystem für die Lagerung von Containern in Hochregalen. |
CN201395420Y (zh) * | 2009-03-20 | 2010-02-03 | 上海海事大学 | 装船机的装船移舱不停机连续装卸系统 |
CN201737488U (zh) * | 2010-07-28 | 2011-02-09 | 上海蔓意船舶技术服务有限公司 | 仓储装运装置 |
IT1401967B1 (it) * | 2010-09-24 | 2013-08-28 | Saipem Spa | Natante cargo per rifornire tubi a un natante di posa di tubazioni subacquee, metodo e kit di trasbordo di tubi da un natante cargo a un natante di posa di tubazioni subacquee. |
TWI644841B (zh) * | 2013-04-05 | 2018-12-21 | 辛波提克有限責任公司 | 自動化存取系統及其控制系統 |
CN107428480B (zh) * | 2015-04-14 | 2020-11-27 | 阿莫瓦有限公司 | 用于将货柜仓库的货柜入仓及出仓的方法及货柜转运设施 |
-
2015
- 2015-04-14 CN CN201580077858.0A patent/CN107428480B/zh active Active
- 2015-04-14 BR BR112017014929-0A patent/BR112017014929B1/pt active IP Right Grant
- 2015-04-14 PT PT15715747T patent/PT3283418T/pt unknown
- 2015-04-14 AU AU2015391350A patent/AU2015391350B2/en active Active
- 2015-04-14 NZ NZ733103A patent/NZ733103A/en unknown
- 2015-04-14 CA CA2973384A patent/CA2973384C/en active Active
- 2015-04-14 LT LTEP15715747.0T patent/LT3283418T/lt unknown
- 2015-04-14 CR CR20170448A patent/CR20170448A/es unknown
- 2015-04-14 US US15/536,217 patent/US10155633B2/en active Active
- 2015-04-14 KR KR1020177023011A patent/KR10205945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04-14 MY MYPI2017702908A patent/MY190583A/en unknown
- 2015-04-14 DK DK15715747.0T patent/DK3283418T3/da active
- 2015-04-14 CU CU2017000129A patent/CU24491B1/es unknown
- 2015-04-14 ES ES15715747T patent/ES2743193T3/es active Active
- 2015-04-14 PL PL15715747T patent/PL3283418T3/pl unknown
- 2015-04-14 JP JP2018505524A patent/JP6615315B2/ja active Active
- 2015-04-14 EP EP15715747.0A patent/EP3283418B1/de active Active
- 2015-04-14 MX MX2017009567A patent/MX2017009567A/es unknown
- 2015-04-14 WO PCT/EP2015/058094 patent/WO2016165748A1/de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04-14 SG SG11201707835TA patent/SG11201707835TA/en unknown
- 2015-11-24 TW TW104138940A patent/TWI601679B/zh active
-
2016
- 2016-01-22 CN CN201620066862.9U patent/CN205346123U/zh active Active
-
2017
- 2017-07-05 SA SA517381870A patent/SA517381870B1/ar unknown
- 2017-10-03 IL IL254868A patent/IL254868B/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039275A (en) * | 1987-06-05 | 1991-08-13 | Ide Allan R | Method for transferring cargo between vessel and dock |
DE4439740C1 (de) * | 1994-10-28 | 1996-05-09 | Noell Gmbh | Containerterminal mit integriertem, vollautomatischem Containertransportsystem |
US20100239402A1 (en) * | 2009-03-18 | 2010-09-23 | Gorm-Harald Holmedal | System and method for cargo handling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31258A (ko) * | 2019-09-11 | 2021-03-19 | 부산항만공사 | 스마트 컨테이너 셔틀 및 물류 시스템 |
KR20220067669A (ko) * | 2020-11-18 | 2022-05-25 | 부산항만공사 | 스마트 컨테이너 스테이션 |
Also Published 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59451B1 (ko) | 컨테이너 보관 영역 안에 컨테이너를 배치시키거나 컨테이너 보관 영역으로부터 컨테이너를 제거하기 위한 컨테이너 운반 설비 및 방법 | |
US11167922B2 (en) | Robotic container handling device and handling method | |
KR102554792B1 (ko) | 로봇 컨테이너 핸들링 디바이스 및 방법 | |
FI3429947T3 (en) | System of a retrieval machine and a transport and handover system for storing and removing or relocating standard container in high-bay warehouses, and storage | |
WO2012133278A1 (ja) | コンテナターミナルとその制御方法 | |
CN108750725B (zh) | 装车系统及方法 | |
JP2017128402A (ja) | 自動倉庫および台車式搬送装置 | |
JPH10194462A (ja) | コンテナ荷役設備 | |
CN115108229B (zh) | 一种复合分拣系统 | |
JP3327573B2 (ja) | コンテナの荷役・保管装置 | |
CN115924373A (zh) | 一种提升机、立体仓储装置和仓储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