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8021A - 동축 케이블 및 의료용 케이블 - Google Patents

동축 케이블 및 의료용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8021A
KR20170108021A KR1020177020918A KR20177020918A KR20170108021A KR 20170108021 A KR20170108021 A KR 20170108021A KR 1020177020918 A KR1020177020918 A KR 1020177020918A KR 20177020918 A KR20177020918 A KR 20177020918A KR 20170108021 A KR20170108021 A KR 20170108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coaxial cable
cable
conductor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0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1012B1 (ko
Inventor
다카노부 와타나베
데티안 후앙
기미카 구도
하루유키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히타치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08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8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18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 H01B11/1834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th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18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18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 H01B11/1808Construction of th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18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 H01B11/1808Construction of the conductors
    • H01B11/183Co-axial cables with at least one helicoidally wound tape-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18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 H01B11/1834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the conductors
    • H01B11/1847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the conductors of helical wrapp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18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 H01B11/1834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the conductors
    • H01B11/1856Discontinuous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01B7/0208Cables with several layers of insulating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포절연층을 구비하지 않고, 당해 발포절연층과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신규의 절연층을 구비한 동축 케이블 및 당해 동축 케이블을 사용한 의료용 케이블을 제공한다.
동축 케이블(10)은, 절연성의 실(2a)을 복수 개 꼬은 절연성 연선(2) 또는 절연사를 복수 개, 중심도체(1)의 외주에 감고, 절연성 연선(2) 또는 절연사의 위에, 절연성 연선(2) 또는 절연사와의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기 위한 피복층(3)을 형성하고, 피복층(3)의 외주에 외부도체(4) 및 재킷(5)을 형성한 구성을 갖는다.

Description

동축 케이블 및 의료용 케이블{COAXIAL CABLE AND MEDICAL CABLE}
본 발명은, 동축 케이블(同軸 cable) 및 의료용 케이블(醫療用 cable)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케이블에는, 프로브 케이블(probe cable), 카테테르 케이블(catheter cable), 내시경 케이블(內視鏡 cable) 등이 있지만, 각각 신호선(信號線)으로서 동축 케이블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의료용 케이블에 내장되는 동축 케이블로서, 중심도체(中心導體)의 외주에 발포압출피복(發泡壓出被覆)에 의하여 형성된 발포절연층(發泡絶緣層)을 구비한 동축 케이블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2를 참조). 발포에 의한 기포(氣泡)를 갖음으로써 절연층의 정전용량(靜電容量)을 내릴 수 있다.
의료용 케이블에서는, 의료기기의 소형화에 따라 세경화(細徑化)가 요구되고 있고, 그에 부수하여 동축 케이블도 세경화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특허문헌3에는, 의료용은 아니지만 선모양의 내부도체의 주위를 절연성 부재로 포위하고, 당해 절연성 부재의 주위를 외부도체로 포위하여 이루어지는 동축 케이블로서, 상기 절연성 부재는 상기 내부도체를 중심으로 하여 꼬여진 절연성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동축 케이블이 개시되어 있다.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4-63369호 공보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0-212185호 공보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0-90753호 공보
동축 케이블이 세경화하여 가면, 발포를 위한 압력에 견디지 못하여 도체가 끊어져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동축 케이블의 세경화에 의하여, 발포절연층의 두께가 발포에 의한 기포지름 25∼30㎛ 정도에 가깝게 가면, 기포형성부분에 있어서 압출 중의 수지(樹脂)가 도중에서 끊어져서 도체 위에 발포절연층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 형성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포절연층을 구비하지 않고, 당해 발포절연층과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신규의 절연층을 구비한 동축 케이블 및 당해 동축 케이블을 사용한 의료용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의 동축 케이블 및 의료용 케이블을 제공한다.
[1]절연성의 실을 복수 개 꼬은 절연성 연선 또는 절연사를 복수 개, 중심도체의 외주에 감고, 상기 절연성 연선 또는 상기 절연사의 위에, 상기 절연성 연선 또는 상기 절연사와의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기 위한 피복층을 형성하고, 상기 피복층의 외주에 외부도체 및 재킷을 형성한 동축 케이블.
[2]복수 개의 상기 절연성 연선 또는 상기 절연사는, 상기 중심도체의 바로 위에 감겨 있는 상기 [1]에 기재되어 있는 동축 케이블.
[3]상기 피복층은, 튜브모양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되어 있는 동축 케이블.
[4]상기 피복층은, 불소수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를 압출성형함으로써 형성된 것인 상기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되어 있는 동축 케이블.
[5]상기 피복층은, 핫멜트 접착층 부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테이프,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테이프 또는 폴리이미드(PI) 테이프를 감음으로써 형성된 것인 상기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되어 있는 동축 케이블.
[6]상기 중심도체는, 3개 또는 7개의 소선의 연선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되어 있는 동축 케이블.
[7]상기 중심도체는 42∼50AWG인 상기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되어 있는 동축 케이블.
[8]상기 절연성 연선은, 2개 또는 3개의 상기 실을 꼬은 것인 상기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되어 있는 동축 케이블.
[9]상기 절연성 연선을 구성하는 상기 실은, 불소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라멘트인 상기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되어 있는 동축 케이블.
[10]상기 절연사는, 단면이 비진원형인 상기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되어 있는 동축 케이블.
[11]상기 비진원형은 다각형 또는 타원형인 상기 [10]에 기재되어 있는 동축 케이블.
[12]상기 절연성 연선 또는 상기 절연사는, 상기 중심도체의 외주에 3∼8개 감겨 있는 상기 [1]∼[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되어 있는 동축 케이블.
[13]상기 중심도체는 연선이고, 상기 절연성 연선은, 상기 중심도체의 꼬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상기 중심도체에 감겨 있는 상기 [1]∼[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되어 있는 동축 케이블.
[14]상기 중심도체는 연선이고, 상기 절연사는, 상기 중심도체의 꼬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상기 중심도체에 감겨 있는 상기 [1]∼[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되어 있는 동축 케이블.
[15]상기 피복층은 테이프를 감음으로써 형성된 것이며, 상기 테이프는, 상기 절연성 연선 또는 상기 절연사의 감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감겨 있는 상기 [1]∼[3],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되어 있는 동축 케이블.
[16]상기 [1]∼[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되어 있는 동축 케이블을 1개 이상 구비한 케이블 코어를 구비하는 의료용 케이블.
본 발명에 의하면, 발포절연층을 구비하지 않고, 당해 발포절연층과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신규의 절연층을 구비한 동축 케이블 및 당해 동축 케이블을 사용한 의료용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동축 케이블의 구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동축 케이블의 구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동축 케이블의 구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4a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절연사의 형상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절연사의 형상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4c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절연사의 형상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4d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절연사의 형상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동축 케이블의 구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의료용 케이블의 구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동축 케이블(同軸 cable)〕
(제1실시형태)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동축 케이블의 구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동축 케이블(10)은, 절연성의 실(絲)(2a)을 복수 개 꼬은 절연성 연선(絶緣性 撚線)(2)을 중심도체(中心導體)(1)의 외주에 복수 개 감은 구성을 갖는다.
동축 케이블(10)은, 중심도체(1)의 외주에 감긴 복수 개의 절연성 연선(2)의 위에 절연성을 갖는 피복층(被覆層)(3)을 갖고, 피복층(3)의 외주에 외부도체(外部導體)(4)로 이루어지는 층이 형성되고, 또한 그 외주에 재킷(jacket)(5)이 피복되어 있다. 피복층(3)은, 절연성 연선(2)과의 사이에 공극(空隙)을 형성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층이다.
중심도체(1)는 단선(單線)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더라도 좋지만, 절연성 연선(2)과의 사이의 공극률(空隙率)을 높이는 관점에서 복수 개의 소선(素線)(1a)을 꼬은 연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꼬인 소선(1a)의 개수는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절연성 연선(2)과의 사이의 공극률을 높이는 관점에서 3개 또는 7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1에서는 7개의 소선(1a)을 꼬고 있다.
중심도체(1)는, 예를 들면 동합금(銅合金)으로 이루어진다. 은도금 등의 도금이 실시되어 있더라도 좋다. 중심도체(1)는 가는 직경인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42∼50AWG(American Wire Gauge)인 것이 바람직하고, 46∼50AWG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48∼50AWG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가는 직경일 수록 종래방식인 압출에 의한 발포절연피복층의 성형이 곤란하게 되기 때문에, 가는 직경일 수록 본원발명의 가치가 높아지게 된다.
절연성 연선(2)은, 복수 개의 절연성의 실(2a)을 꼬은 것이다. 후술하는 1개의 절연사(絶緣絲)를 사용하는 경우(제2실시형태)에 비하여, 중심도체(1)와의 사이나, 피복층(3)과의 사이의 공극률을 더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쪽이 바람직하다. 꼬인 절연성의 실(2a)의 개수는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중심도체(1)와의 사이나, 피복층(3)과의 사이의 공극률을 높이는 관점에서 2개 또는 3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1에서는, 3개의 절연성의 실(2a)을 꼬고 있다. 절연성 연선(2)의 지름은 30∼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성 연선(2)을 구성하는 절연성의 실(2a)은, 예를 들면 불소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라멘트(filament)이다. 불소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예를 들면 군제(GUNZE LTD) 제품의 상품명 FFY)가 바람직하다. 모노 필라멘트이더라도 멀티 필라멘트이더라도 좋지만, 연선(2)의 형상을 유지하여 층간(層間)의 공극을 유지하는 관점에서 모노 필라멘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성의 실(2a)의 횡단면형상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절연성 연선(2)은,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도체(1)의 바로 위에 감겨 있는 것이, 중심도체(1)의 바로 위의 공극률을 높이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절연성 연선(2)은, 중심도체(1)와의 사이나, 피복층(3)과의 사이의 공극률을 높이는 관점에서 중심도체(1)의 외주에 3∼8개 감겨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에서는, 8개의 절연성 연선(2)이 감겨 있다.
절연성 연선(2)을 감은 후에, 다시 그 외주에 절연성 연선(2)을 역방향으로 감아도 좋다.
중심도체(1)가 연선인 경우에, 절연성 연선(2)은, 중심도체(1)의 소선(1a)의 꼬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중심도체(1)에 감겨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꼬는 방향 또는 감는 방향이 교대로 역방향이 되도록 하고, 동일한 방향의 꼬는 방향 또는 감는 방향이 계속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연성의 실(2a)의 꼬는 방향은 어느 방향이더라도 좋지만, 중심도체(1)의 소선(1a)의 꼬는 방향과는 역방향인 쪽이 공극률을 높이는 점에서 더 바람직하다.
피복층(3)은 튜브모양으로서, 예를 들면 불소수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를 압출성형함으로써 형성된 것이다. 불소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E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가 바람직하다. 압출피복에 의한 피복층(3)의 두께는 8∼30㎛인 것이 바람직하다.
피복층(3)은, 핫멜트 접착층(hot melt 接着層) 부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테이프,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테이프 또는 폴리이미드(PI) 테이프를 감음으로써 형성된 것이더라도 좋다. 핫멜트 접착층이라는 것은, 가열압착에 의한 접착이 가능한 핫멜트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층이다. 테이프는, 랩 부분이 있도록 감아가는 것이 바람직하고, 바로 아래의 절연성 연선(2)의 감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감는 것이 바람직하다. 핫멜트 접착층의 두께는 예를 들면 0.5∼2㎛이며, 각 기재(基材)로 이루어지는 테이프의 두께는 예를 들면 2∼6㎛이다.
피복층(3)의 재료는, 피복층(3)이 내측으로 들어가서 절연성 연선(2)과의 사이의 공극을 찌그러뜨리지 않도록 딱딱한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피복층(3)보다 중심도체(1)측에 존재하는 공극(주로, 절연성 연선(2)과, 중심도체(1)나 피복층(3) 사이의 공극)에 의거하는 케이블 횡단면적에 있어서의 공극률이 30∼60%인 것이 바람직하고, 40∼55%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공극률은, 예를 들면 하기의 방법에 의하여 측정할 수 있다.
<공극률의 측정방법>
중심도체와 절연성 연선과 피복층으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반제품(cable 半製品)을,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 중에 배치하여 단단하게 하고, 그 후에 횡단면을 지립(砥粒) 등으로 연마한다. 연마된 횡단면의 화상(畵像)에 의하여, 중심도체, 절연성 연선 및 피복층의 면적을 계측한다. 이 합계면적과 피복층 외경(케이블 반제품의 외경)을 지름으로 하는 원의 면적과의 차이가 공극의 면적이다. 피복층 외경을 지름으로 하는 원의 면적에 대하여, 공극의 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을 계산함으로써 공극률이 구해진다.
외부도체(4)는, 예를 들면 주석 도금 동선(銅線), 주석 도금 동합금선(銅合金線), 은도금 동선, 은도금 동합금선이다. 이것이 다수 개(예를 들면 30개∼60개) 소정의 피치로 나선모양으로 피복층(3)의 외주에 감긴다. 피복층(3)이 와인딩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피복층(3)의 감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감는다.
재킷(5)은, PET 테이프를 감거나 또는 ETFE, FEP, PFA 등을 압출피복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제2실시형태)
도2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동축 케이블의 구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2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동축 케이블(20)은, 절연사(22)를 복수 개 중심도체(1)의 외주에 감은 구성을 갖는다. 제2실시형태에 관한 동축 케이블(20)은, 절연성 연선(2)을 대신하여 절연사(22)를 중심도체(1)의 외주에 감는 점에 있어서만 제1실시형태에 관한 동축 케이블(10)과 다르다. 따라서 공통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절연사(22)는 횡단면이 비진원형(非眞圓形)이다. 도2에서 사용하는 절연사(22)는 단면이 4각형이지만, 4각형 이외의 다각형이더라도 좋고, 도3에 나타내는 제2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동축 케이블(30)이 갖는 것과 같은 단면이 타원형인 절연사(32)이더라도 좋다. 타원형의 형상은, 장경(長徑)에 대하여 단경(短徑)이 20% 이상 짧은 타원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장경에 대하여 단경이 30% 이상 짧은 타원형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절연사(22, 32)의 단면형상은, 함몰 부분을 갖는 다각형이나 함몰 부분을 갖는 타원형이더라도 좋다. 또한 절연사(22, 32)의 단면형상은, 도4a∼도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C형(도4a), 십자형(十字形)(도4b), 중공형(中空形)(도4c), 방사상(放射狀)의 3각형상(도4d)이더라도 좋다. 중심도체(1)와의 사이나, 피복층(3)과의 사이의 공극률을 높이는 관점에서 3∼5각형이나 타원형이 바람직하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절연사(22)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절연사(32)나 그 이외의 변형예도 마찬가지이다.
절연사(22)는, 중심도체(1)에 절연사(22)를 감았을 때의 두께가 30∼100㎛가 되도록 두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사(22)는, 상기의 절연성 연선(2)을 구성하는 절연성의 실(2a)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불소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라멘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소수지 및 필라멘트는 상기한 바와 같다.
절연사(22)는,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도체(1)의 바로 위에 감겨 있는 것이, 중심도체(1)의 바로 위의 공극률을 높이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절연사(22)는, 중심도체(1)와의 사이나, 피복층(3)과의 사이의 공극률을 높이는 관점에서 중심도체(1)의 외주에 3∼8개 감겨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에서는 8개의 절연사(22)가 감겨 있다.
또한 횡단면이 비진원형인 절연사(22)는, 꼬지 않고(untwisting) 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중심도체(1)와의 사이나, 피복층(3)과의 사이의 공극률을 높일 수 있다.
절연사(22)를 감은 후에, 그 외주에 절연사(22)를 역방향으로 더 감더라도 좋다. 이에 따라 내측(중심도체(1)측)의 절연사(22)로 이루어지는 층과, 외측(피복층(3)측)의 절연사(22)로 이루어지는 층과의 사이에 공극을 형성할 수 있다.
중심도체(1)가 연선인 경우에, 절연사(22)는, 중심도체(1)의 소선(1a)의 꼬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중심도체(1)에 감겨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꼬는 방향 또는 감는 방향이 교대로 역방향이 되도록 하고, 동일한 방향의 꼬는 방향 또는 감는 방향이 계속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복층(3)이 테이프를 감아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바로 아래의 절연사(22)의 감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테이프를 감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동축 케이블의 구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5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동축 케이블(40)은, 단면이 4각형인 절연사(22)를 대신하여 단면이 원형인 절연사(42)를 사용하고 있는 점에 있어서만 제2실시형태에 관한 동축 케이블(20)과 다르다.
중심도체(1)와의 사이나, 피복층(3)과의 사이의 공극률을 높이는 관점에서 단면이 원형인 절연사(42)보다 상기의 단면이 비진원형인 절연사(22)가 더 바람직하다.
피복층(3)보다 중심도체(1)측에 존재하는 공극(주로, 절연사(22)와, 중심도체(1)나 피복층(3) 사이의 공극)에 의거하는 케이블 횡단면적에 있어서의 공극률이 30∼60%인 것이 바람직하고, 40∼55%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공극률은, 예를 들면 상기의 방법에 의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동축 케이블은, 의료용 케이블에 내장되는 동축 케이블로서 바람직하지만, 그 이외의 케이블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의료용 케이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의료용 케이블은, 상기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동축 케이블을 1개 이상 구비한 케이블 코어(cable core)를 갖는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의료용 케이블의 하나인 프로브 케이블(probe cable)의 구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동축 케이블(예를 들면 제1실시형태에 관한 동축 케이블(10))을 복수 개 묶어서(묶어서 꼬아도 좋다) 동축 케이블 유닛(101)으로 하고, 그 동축 케이블 유닛(101)을 복수 개(도6에서는 7개)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으로 이루어지는 바인드 테이프(bind tape)(102)로 묶어서 케이블 코어로 하고, 그 주위에 은도금 동선 등의 금속선을 복수 개 감거나 또는 편조(編組)하여 이루어지는 실드층(shield層)(103)을 형성하고, 그 실드층(103)의 주위에 PFA나 PVC(폴리염화비닐)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스(sheath)(104)를 형성함으로써 프로브 케이블(100)이 얻어진다. 동축 케이블 유닛(101)은, 묶인 복수 개의 동축 케이블의 외주에 피복층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브 케이블 이외의 의료용 케이블, 즉 카테테르 케이블(catheter cable), 내시경 케이블(內視鏡 cable)에 대해서도, 동축 케이블의 개수가 다른 점을 제외하면 기본적으로 프로브 케이블과 동일한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카테테르 케이블에 있어서는, 동축 케이블이 1개만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전원선이나 그 이외의 신호선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효과〕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중심도체와의 사이나 피복층과의 사이에 공극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발포절연층(發泡絶緣層)을 구비하지 않고, 당해 발포절연층과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신규의 절연층을 구비한 동축 케이블 및 당해 동축 케이블을 사용한 의료용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2)케이블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공극이 편차없이 형성된 동축 케이블 및 당해 동축 케이블을 사용한 의료용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동축 케이블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3 및 도5의 구조의 동축 케이블을 하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여 정전용량을 측정하였다.
(실시예1)
표1에 나타내는 구성재료를 사용하여 동축 케이블을 제조하였다. 즉 소선지름이 0.013mm인 은도금 동합금 소선 7개를 꼬아서 내부도체로 하고, 당해 내부도체의 외주에 절연사로서 PFA로 이루어지고 횡단면이 원형인 모노 필라멘트(40㎛ 지름) 6개를 감기 피치 1.2mm로 감고, 당해 절연사의 외주에 피복층으로서 두께가 0.005mm인 핫멜트 접착층 부착 PET 테이프를 감고, 당해 피복층의 외주에 외부도체로서 소선지름이 0.017mm인 은도금 동합금 소선 26개를 나선모양으로 감고, 당해 외부도체의 외주에 핫멜트 접착층 부착 PET 테이프와 PET 테이프를 순차적으로 감아서, 외경이 0.193mm인 동축 케이블을 제조하였다.
(실시예2∼3)
실시예2에서는, 절연사로서 55㎛의 지름의 원형 모노 필라멘트를 5개 사용한 점과 그에 따라 외부도체의 소선 개수를 변경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하여, 외경이 0.213mm인 동축 케이블을 제조하였다. 또한 실시예3에서는, 절연사로서 횡단면이 장경 50㎛, 단경 40㎛인 타원형의 모노 필라멘트를 5개 사용한 점과 그에 따라 외부도체의 소선 개수를 변경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하여, 외경이 0.223mm인 동축 케이블을 제조하였다.
실시예1∼3에서의 동축 케이블의 정전용량을 측정한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표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동축 케이블로 함으로써, 발포압출과 동등한 정전용량 60∼72pF/m를 달성할 수 있었다.
Figure pct00001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 : 중심도체
1a : 소선
2 : 절연성 연선
2a : 절연성의 실
3 : 피복층
4 : 외부도체
5 : 재킷
10, 20, 30, 40 : 동축 케이블
22, 32, 42 : 절연사
100 : 프로브 케이블
101 : 동축 케이블 유닛
102 : 바인드 테이프
103 : 실드층
104 : 시스

Claims (16)

  1. 절연성의 실을 복수 개 꼬은 절연성 연선(絶緣性 撚線) 또는 절연사(絶緣絲)를 복수 개, 중심도체(中心導體)의 외주(外周)에 감고, 상기 절연성 연선 또는 상기 절연사의 위에, 상기 절연성 연선 또는 상기 절연사와의 사이에 공극(空隙)을 형성하기 위한 피복층(被覆層)을 형성하고, 상기 피복층의 외주에 외부도체 및 재킷(jacket)을 형성한 동축 케이블(同軸 cable).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절연성 연선 또는 상기 절연사는 상기 중심도체의 바로 위에 감겨 있는 동축 케이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은 튜브모양인 동축 케이블.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은, 불소수지(弗素樹脂),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를 압출성형(壓出成形)함으로써 형성된 것인 동축 케이블.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은, 핫멜트 접착층(hot melt 接着層) 부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테이프,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테이프 또는 폴리이미드(PI) 테이프를 감음으로써 형성된 것인 동축 케이블.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도체는, 3개 또는 7개의 소선(素線)의 연선(撚線)으로 이루어지는 동축 케이블.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도체는 42∼50AWG인 동축 케이블.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연선은, 2개 또는 3개의 상기 실을 꼬은 것인 동축 케이블.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연선을 구성하는 상기 실은, 불소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라멘트(filament)인 동축 케이블.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사는 단면이 비진원형(非眞圓形)인 동축 케이블.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진원형은, 다각형(多角形) 또는 타원형(楕圓形)인 동축 케이블.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연선 또는 상기 절연사는, 상기 중심도체의 외주에 3∼8개 감겨 있는 동축 케이블.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도체는 연선이고, 상기 절연성 연선은, 상기 중심도체의 꼬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상기 중심도체에 감겨 있는 동축 케이블.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도체는 연선이고, 상기 절연사는, 상기 중심도체의 꼬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상기 중심도체에 감겨 있는 동축 케이블.
  15. 제1항 내지 제3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은 테이프를 감음으로써 형성된 것이고, 상기 테이프는, 상기 절연성 연선 또는 상기 절연사의 감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감겨 있는 동축 케이블.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동축 케이블을 1개 이상 구비한 케이블 코어(cable core)를 갖는 의료용 케이블(醫療用 cable).
KR1020177020918A 2015-01-27 2015-01-27 동축 케이블 및 의료용 케이블 KR1022910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52196 WO2016121000A1 (ja) 2015-01-27 2015-01-27 同軸ケーブル及び医療用ケーブ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8021A true KR20170108021A (ko) 2017-09-26
KR102291012B1 KR102291012B1 (ko) 2021-08-17

Family

ID=56542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0918A KR102291012B1 (ko) 2015-01-27 2015-01-27 동축 케이블 및 의료용 케이블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614931B2 (ko)
JP (1) JP6237936B2 (ko)
KR (1) KR102291012B1 (ko)
CN (1) CN107210096B (ko)
WO (1) WO20161210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93753A (zh) * 2017-12-29 2018-05-04 东莞金信诺电子有限公司 一种低损耗小外径高速线缆
CN108831593A (zh) * 2018-06-20 2018-11-16 苏州晟信普联接技术有限公司 一种骨科手术专用线缆
CN216353555U (zh) * 2021-01-04 2022-04-1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0753A (ja) 1998-09-09 2000-03-31 Yoshinoka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同軸ケーブル
JP2001508588A (ja) * 1997-01-14 2001-06-26 レイケム・コーポレイション 絶縁電気導体
JP2004063369A (ja) 2002-07-31 2004-02-26 Hitachi Cable Ltd 発泡フッ素樹脂同軸ケーブル
JP2010212185A (ja) 2009-03-12 2010-09-24 Junkosha Co Ltd 同軸ケーブル
JP2011060573A (ja) * 2009-09-10 2011-03-24 Hitachi Cable Ltd 絶縁電線、及びケーブル
JP2012507128A (ja) * 2008-10-30 2012-03-22 フーバー + スーナー アーゲー 同軸ケーブル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017Y2 (ja) * 1990-06-26 1995-05-17 タツタ電線株式会社 感圧線条体
JPH0474812A (ja) * 1990-07-17 1992-03-10 Kawasaki Steel Corp ベル式高炉におけるコークス炉芯装入装置
JPH0474812U (ko) * 1990-11-08 1992-06-30
JPH0636624A (ja) 1992-07-15 1994-02-10 Fujikura Ltd ワイヤー遮蔽層を備えた固体絶縁ケーブル
JPH10125145A (ja) * 1996-10-22 1998-05-15 Olympus Optical Co Ltd 信号伝送ケーブル
US6812401B2 (en) * 1998-10-05 2004-11-02 Temp-Flex Cable, Inc. Ultra-small high-speed coaxial cable with dual filament insulator
US6849799B2 (en) * 2002-10-22 2005-02-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igh propagation speed coaxial and twinaxial cable
JP4143086B2 (ja) * 2005-12-20 2008-09-03 日立電線株式会社 極細銅合金線、極細銅合金撚線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5831034B2 (ja) * 2011-08-17 2015-12-09 日立金属株式会社 溶融はんだめっき撚線の製造方法
JP5825270B2 (ja) * 2012-01-25 2015-12-0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多芯ケーブル
TW201401300A (zh) * 2012-06-26 2014-01-01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多芯纜線
CN104183313B (zh) * 2013-05-22 2018-06-08 日立金属株式会社 可动部布线用电缆及可动部布线用扁平电缆
JP2016058251A (ja) 2014-09-10 2016-04-21 株式会社東芝 絶縁電線および絶縁電線アセンブリ
US9922751B2 (en) * 2016-04-01 2018-03-20 Intel Corporation Helically insulated twinax cable system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8588A (ja) * 1997-01-14 2001-06-26 レイケム・コーポレイション 絶縁電気導体
JP2000090753A (ja) 1998-09-09 2000-03-31 Yoshinoka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同軸ケーブル
JP2004063369A (ja) 2002-07-31 2004-02-26 Hitachi Cable Ltd 発泡フッ素樹脂同軸ケーブル
JP2012507128A (ja) * 2008-10-30 2012-03-22 フーバー + スーナー アーゲー 同軸ケーブル
JP2010212185A (ja) 2009-03-12 2010-09-24 Junkosha Co Ltd 同軸ケーブル
JP2011060573A (ja) * 2009-09-10 2011-03-24 Hitachi Cable Ltd 絶縁電線、及びケーブ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30416B2 (en) 2021-02-23
US10614931B2 (en) 2020-04-07
CN107210096A (zh) 2017-09-26
CN107210096B (zh) 2019-11-05
WO2016121000A1 (ja) 2016-08-04
JP6237936B2 (ja) 2017-11-29
US20200211738A1 (en) 2020-07-02
US20180342336A1 (en) 2018-11-29
KR102291012B1 (ko) 2021-08-17
JPWO2016121000A1 (ja) 2017-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9412B2 (en) Composite cable
KR101978699B1 (ko) 편조실드 부착 케이블
US10930416B2 (en) Coaxial cable and medical cable
JP6750325B2 (ja) 発泡同軸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多芯ケーブル
JP3900864B2 (ja) 2心平行極細同軸ケーブル
JP2011124117A (ja) 可動部用ケーブル
JP5821892B2 (ja) 多芯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EP3282454A1 (en) Power cable having flexible sectoral conductors
JP2011071095A (ja) 同軸ケーブルおよび多心同軸ケーブル
JP2011228298A (ja) 多心ケーブル
JP6607297B2 (ja) 同軸ケーブル及び医療用ケーブル
JP2019067549A (ja) 高周波通信用ケーブル
JP6414764B2 (ja) 同軸ケーブル及び医療用ケーブル
JP7340384B2 (ja) 屈曲性に優れる細径同軸ケーブル
JP6774462B2 (ja) 多芯通信ケーブル
JP5987962B2 (ja) 多芯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6759437B2 (ja) Lan対応カールコードおよびプラグ付きlan対応カールコード
JP7412162B2 (ja) 多芯通信ケーブル
JP7474590B2 (ja) 多芯通信ケーブル
WO2017013765A1 (ja) 同軸ケーブル及び医療用ケーブル
JP6939324B2 (ja) 同軸電線および多心ケーブル
JP7010249B2 (ja) 導体および電源ケーブル
KR20160016044A (ko) 다심 케이블 및 그 제조 방법
JP2023141617A (ja) 同軸ケーブル
JP5817781B2 (ja) 平型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