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7905A - 외장재의 부착구 및 외장 구조 - Google Patents

외장재의 부착구 및 외장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7905A
KR20170107905A KR1020170030309A KR20170030309A KR20170107905A KR 20170107905 A KR20170107905 A KR 20170107905A KR 1020170030309 A KR1020170030309 A KR 1020170030309A KR 20170030309 A KR20170030309 A KR 20170030309A KR 20170107905 A KR20170107905 A KR 20170107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exterior material
fixing
attachment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4911B1 (ko
Inventor
겐지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6052810A external-priority patent/JP671870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6052821A external-priority patent/JP6629109B2/ja
Application filed by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07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7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engaging side grooves running along the whole length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uperposed elements which overlap each other and of which the flat outer surface includes an acute angle with the surface to cov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21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70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of ceramics or cla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imitating natural stone, brick work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과제] 각 외장재의 하중을 폭 방향에 있어서 균형있게 지지할 수 있는 동시에, 가는 구조 부재에 고정되는 경우에도 양호한 시공성을 발휘할 수 있고, 당접면에 의해 외장재의 이면에 손상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외장재의 부착구 및 건물의 외장 구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부착구(10)는 기준면(15S)을 갖는 고정부(15)와, 고정부(15)에 체결구(10B)를 끼워 관통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멍(15H)과, 고정부(15)로부터 돌출하는 지지편(13)과, 지지편(13)에 위쪽을 향해 설치되는 상 계지편(11L, 11R)과, 지지편(13)에 아래쪽을 향해 설치되는 하 계지편(12)과, 고정부(15)로부터 돌출하고, 제 1, 3 외장재(2A1, 2A3)의 대향하는 단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입설편(19)을 구비한다. 입설편(19)은 고정부(15)의 폭 방향의 중심선(C1) 위에 배치된다. 고정 구멍(15H) 중의 중심선(C1)에 가장 가까운 특정 고정 구멍(15T)은 중심선(C1)에 대해 폭 방향의 한쪽에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고, 고정 구멍(15H)은 중심선(C1)에 비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고정부(15)로부터 팽출한 주 팽출부(30)와, 주 팽출부(30)에 형성되고, 제 1 내지 4 외장재(2A1 내지 2A4)의 각각의 이면(2B)과 당접하는 당접면(31)과, 주 팽출부(30)의 당접면(31)보다도 돌출하는 지지편(13)과, 지지편(13)에 부착되는 상 계지편(11L, 11R) 및 하 계지편(12)과, 고정부(15)로부터 팽출하고, 또한 주 팽출부(30)의 아래쪽에 인접하는 하 팽출부(35)와, 하 팽출부(35)로부터 돌출하는 입설편(19)을 구비한다. 주 팽출부(30)가 기준면(15S)에 대해 팽출하는 제 1 길이(L1)는 하 팽출부(35)가 기준면(15S)에 대해 팽출하는 제 2 길이(L2)보다도 크게 설정된다. 기준면(15S)에 대해 입설편(19)의 선단까지의 제 3 길이(L3)는 제 1 길이(L1)보다도 크게 설정된다.

Description

외장재의 부착구 및 외장 구조{ATTACHMENT OF EXTERIOR MATERIALS AND EXTERIOR STRUCTURE}
본 발명은 외장재의 부착구 및 건물의 외장 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2에 종래의 외장재의 부착구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2의 부착구는 사방 반턱쪽매 이음 구조의 외장재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각 부착구는 구조체에 고정되는 고정부, 고정부로부터 돌출하는 지지편(支承片), 지지편에 위쪽을 향해 설치되는 상 계지편(係止片), 및 지지편에 아래쪽을 향해 설치되는 하 계지편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편은 상측에 위치하는 2장의 외장재를 지지한다. 상 계지편은 상측에 위치하는 2장의 외장재를 계지한다. 하 계지편은 하측에 위치하는 2장의 외장재를 계지한다.
또한, 각 부착구는 고정부에 체결구를 끼워 관통시키기 위한 고정 구멍과, 하측에 위치하는 2장의 외장재의 대향하는 단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입설편(立設片)을 구비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부착구에서는 체결구로서의 나사를 끼워 관통시키기 위한 고정부의 윗부분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 구멍을 갖고 있다. 입설편은 고정부의 아래 부분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부착구에서는 고정부의 양측에 한 쌍의 스페이서부가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스페이서부는 절곡 가공에 의해 부착구의 겉쪽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당접면은 한 쌍의 스페이서부의 선단측에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재(延在)되어 있다. 당접면은 상하 좌우로 인접하는 4장의 외장재의 각각의 이면을 지지한다. 상 계지편은 상측에 위치하는 2장의 외장재를 계지한다. 하 계지편은 하측에 위치하는 2장의 외장재를 계지한다. 고정부의 하부에는 입설편이 형성되어 있다. 입설편은 하측에 위치하는 2장의 외장재의 대향하는 단부들 사이에 배치되고, 그들의 외장재의 수평 어긋남을 방지한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부착구는 시일 금구와 고정 금구가 조합되어 이루어진다. 시일 금구는 고정부의 윗부분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 구멍을 갖고, 고정 금구도 시일 금구와 대응하도록 단부와 고정판부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 구멍을 갖고 있다. 입설편은 시일 금구의 고정부의 아래 부분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 개시된 부착구에서는 팽출부(膨出部)가 설치되어 있다. 팽출부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당접면은 팽출부에서의 개구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는 부분과, 개구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는 부분에 돌출 설치된 2개의 리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 계지편 및 하 계지편은 팽출부에서의 개구 주위에서 잘라서 세워져서 형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 개시된 부착구에서도 팽출부가 설치되어 있다. 팽출부에는 폭 방향의 한쪽과 다른 쪽에서 추가로 팽출하는 한 쌍의 재팽출부와,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당접면은 한 쌍의 재팽출부의 선단측에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재되어 있다. 상 계지편 및 하 계지편은 팽출부에서의 개구 주위에서 잘라서 세워져서 형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220910호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81186호 특허문헌 3: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220882호 특허문헌 4: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262777호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부착구에서는 고정부의 폭 방향의 중심선에 가장 가까운 관통 구멍이 중심선 위에 배치되어 있는 한편, 입설편이 중심선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각 외장재의 하중을 지지편, 상 계지편 및 하 계지편이 지지할 때, 폭 방향의 한쪽에 위치하는 2장의 외장재를 지지하는 길이와 폭 방향의 다른 쪽에 위치하는 2장의 외장재를 지지하는 길이가 동등해지지 않고, 그들의 하중 균형이 폭 방향의 한쪽과 다른 쪽에서 균등해지기 어렵다.
이 점,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부착구에서는 고정부의 폭 방향의 중심선에 가장 가까운 관통 구멍이 중심선 위에 배치되고, 입설편도 중심선 위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각 외장재의 하중을 지지편, 상 계지편 및 하 계지편이 지지할 때, 폭 방향의 한쪽에 위치하는 2장의 외장재를 지지하는 길이와 폭 방향의 다른 쪽에 위치하는 2장의 외장재를 지지하는 길이가 동등해지고, 그들의 하중 균형을 폭 방향의 한쪽과 다른 쪽에서 균등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부착구에서는 가는 구조 부재에 부착구를 고정하는 경우에 있어서, 하측의 2장의 외장재의 표면끼리의 맞대기 라인(butt line)이 구조 부재의 중앙 부근에 위치하도록 부착구를 구조 부재에 고정하려고 하면, 고정부의 폭 방향의 중심선 위에 배치된 입설편이 구조 부재의 측면 근방에 배치되기 쉬워진다. 이에 따라, 중심선 위에 배치된 관통 구멍도 그 구조 부재의 측면의 근방에 배치되기 쉬워진다. 그러면, 중심선 위에 배치된 관통 구멍에 끼워 관통시키는 못이나 나사 등의 체결구가 구조 부재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거나, 구조 부재의 측면이 깨져버리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즉, 상기 종래의 부착구에서는 각 외장재의 하중을 폭 방향에 있어서 균형있게 지지하는 것과, 가는 구조 부재에 고정될 때 양호한 시공성을 발휘하는 것을 모두 실현하는 것이 어렵다.
특허문헌 1, 3, 4에 개시된 부착구에서는 당접면의 면적을 확보하여 외장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당접면의 범위가 상하 방향에 있어서 길어지기 쉽다. 그러면, 풍압 등에 의해 외장재에 회전력이 작용할 경우, 외장재 각각의 이면에 당접면의 각이 닿기 쉬워진다. 그 결과, 특허문헌 1, 3, 4에 개시된 부착구에서는 외장재의 이면에 손상이 생길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각 외장재의 하중을 폭 방향에 있어서 균형있게 지지할 수 있는 동시에, 가는 구조 부재에 고정되는 경우에도 양호한 시공성을 발휘할 수 있는 외장재의 부착구 및 건물의 외장 구조, 및 당접면의 면적을 확보하여 외장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당접면에 의해 외장재의 이면에 손상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외장재의 부착구 및 건물의 외장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해야 할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로서 외장재의 부착구는 제 1 외장재와, 상기 제 1 외장재에 대해 위쪽으로부터 인접하는 제 2 외장재와, 상기 제 1 외장재에 대해 수평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인접하는 제 3 외장재와, 상기 제 3 외장재에 대해 위쪽으로부터 인접하고, 또한 상기 제 2 외장재에 대해 수평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인접하는 제 4 외장재를, 건물을 구성하는 구조체에 대해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로서, 기준면을 갖고, 상기 기준면을 통해 상기 구조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체결구를 끼워 관통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멍과, 상기 고정부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제 2 외장재 및 상기 제 4 외장재를 지지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위쪽을 향해 설치되고, 상기 제 2 외장재 및 상기 제 4 외장재를 계지하는 상 계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아래쪽을 향해 설치되고, 상기 제 1 외장재 및 상기 제 3 외장재를 계지하는 하 계지편과, 상기 고정부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제 1 외장재 및 상기 제 3 외장재의 대향하는 단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입설편을 구비하고, 상기 입설편은 상기 고정부의 폭 방향의 중심선 위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구멍 중의 상기 중심선에 가장 가까운 특정 고정 구멍은 상기 중심선에 대해 상기 폭 방향의 한쪽에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구멍은 상기 중심선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로서 외장재의 부착구에서는 입설편이 고정부의 폭 방향의 중심선 위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편, 상 계지편 및 하 계지편이 제 1 내지 4 외장재의 하중을 지지할 때, 폭 방향의 한쪽에 위치하는 제 1, 2 외장재를 지지하는 길이와 폭 방향의 다른 쪽에 위치하는 제 3, 4 외장재를 지지하는 길이가 동등해지고, 이들의 하중 균형을 폭 방향의 한쪽과 다른 쪽에서 균등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부착구에 있어서, 고정 구멍 중의 중심선에 가장 가까운 특정 고정 구멍은 중심선에 대해 폭 방향의 한쪽으로 어긋나 있다. 따라서, 가는 구조 부재에 부착구를 고정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 1, 3 외장재의 표면끼리의 맞대기 라인이 구조 부재의 중앙 부근에 위치하도록 부착구를 구조 부재에 고정해도, 특정 고정 구멍이 그 구조 부재의 측면의 근방에 배치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특정 고정 구멍에 끼워 관통시키는 체결구가 구조 부재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거나, 구조 부재의 측면이 깨져버리거나 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특정 고정 구멍 이외의 고정 구멍에 대해서도, 특정 고정 구멍과 마찬가지로 폭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그들의 고정 구멍이 구조 부재의 측면의 근방에 배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의 고정 구멍에 끼워 관통시키는 체결구가 구조 부재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거나, 구조 부재의 측면이 깨져버리거나 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형태로서 외장재의 부착구에서는 각 외장재의 하중을 폭 방향에 있어서 균형있게 지지할 수 있는 동시에, 가는 구조 부재에 고정되는 경우에도 양호한 시공성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로서, 각 외장재에서의 수평 방향의 일단부는 외장재의 표면으로부터 이면을 향해 오목하고, 수직 방향으로 연재하는 안쪽 좌우 접합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외장재에서의 수평 방향의 다른 단부는 외장재의 이면으로부터 표면을 향해 오목하고, 수직 방향으로 연재하는 겉쪽 좌우 접합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외장재의 안쪽 좌우 접합부와 제 3 외장재의 겉쪽 좌우 접합부는 중심선에 대해 폭 방향의 한쪽으로 어긋난 위치에서 겹쳐진다. 바꿔말하면, 특정 고정 구멍은 안쪽 좌우 접합부와 겉쪽 좌우 접합부가 겹쳐지는 범위 내, 또는 그 겹쳐지는 범위의 근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가는 구조 부재에 부착구를 고정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 1, 3 외장재의 표면끼리의 맞대기 라인이 구조 부재의 중앙 부근에 위치하도록 부착구를 구조 부재에 고정해도, 특정 고정 구멍이 그 구조 부재의 측면 근방에 배치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이 부착구에서는 양호한 시공성을 한층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형태로서, 특정 고정 구멍이 중심선에 대해 어긋나는 거리는 안쪽 좌우 접합부 및 겉쪽 좌우 접합부의 겹쳐지는 폭의 1/4 이상, 또한 겹쳐지는 폭의 3/4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특정 고정 구멍이 가는 구조 부재의 측면 근방에 한층 배치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이 부착구에서는 양호한 시공성을 보다 한층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형태로서, 특정 고정 구멍은 수직 방향으로 복수 병렬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수직 방향으로 복수 병렬 구비되는 특정 고정 구멍에 의해, 부착구를 구조 부재에 한층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특히, 부착구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형태로서 건물의 외장 구조는 제 1 외장재와, 상기 제 1 외장재에 대해 위쪽으로부터 인접하는 제 2 외장재와, 상기 제 1 외장재에 대해 수평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인접하는 제 3 외장재와, 상기 제 3 외장재에 대해 위쪽으로부터 인접하고, 또한 상기 제 2 외장재에 대해 수평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인접하는 제 4 외장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외장재와, 건물을 구성하는 구조체와, 상기 각 외장재를 상기 구조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를 구비한 외장 구조로서, 상기 부착구는 기준면을 갖고, 상기 기준면을 통해 상기 구조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체결구를 끼워 관통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멍과, 상기 고정부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제 2 외장재 및 상기 제 4 외장재를 지지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위쪽을 향해 설치되고, 상기 제 2 외장재 및 상기 제 4 외장재를 계지하는 상 계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아래쪽을 향해 설치되고, 상기 제 1 외장재 및 상기 제 3 외장재를 계지하는 하 계지편과, 상기 고정부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제 1 외장재 및 상기 제 3 외장재의 대향하는 단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입설편을 구비하고, 상기 입설편은 상기 고정부의 폭 방향의 중심선 위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구멍 중의 상기 중심선에 가장 가까운 특정 고정 구멍은 상기 중심선에 대해 상기 폭 방향의 한쪽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구멍은 상기 중심선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의 부착구가 발휘하는 작용 효과에 의해, 각 외장재를 적절하게 지지할 수 있는 동시에, 양호한 시공성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형태로서 외장재의 부착구는 건물을 구성하는 구조체에 대해, 제 1 외장재와, 상기 제 1 외장재에 대해 위쪽으로부터 인접하는 제 2 외장재와, 상기 제 1 외장재에 대해 수평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인접하는 제 3 외장재와, 상기 제 3 외장재에 대해 위쪽으로부터 인접하고, 또한 상기 제 2 외장재에 대해 수평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인접하는 제 4 외장재를 부착하기 위한 외장재의 부착구로서, 기준면을 갖고, 상기 기준면을 통해 상기 구조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팽출한 주 팽출부와, 상기 주 팽출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외장재, 상기 제 2 외장재, 상기 제 3 외장재 및 상기 제 4 외장재의 각각의 이면과 당접하는 당접면과, 상기 주 팽출부의 상기 당접면보다도 돌출하고, 또한 상기 주 팽출부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 2 외장재 및 상기 제 4 외장재를 지지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부착되고, 상기 제 2 외장재 및 상기 제 4 외장재를 계지하는 상 계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부착되고, 상기 제 1 외장재 및 상기 제 3 외장재를 계지하는 하 계지편과, 상기 고정부로부터 팽출하고, 또한 상기 주 팽출부의 아래쪽에 인접하는 하 팽출부와, 상기 하 팽출부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제 1 외장재 및 상기 제 3 외장재의 대향하는 단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입설편을 구비하고, 상기 주 팽출부가 상기 기준면에 대해 팽출하는 제 1 길이는 상기 하 팽출부가 상기 기준면에 대해 팽출하는 제 2 길이보다도 크게 설정되고, 상기 기준면에 대해 상기 입설편의 선단까지의 제 3 길이는 상기 제 1 길이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 형태의 외장재의 부착구에서는, 주 팽출부가 기준면에 대해 팽출하는 제 1 길이는 하 팽출부가 기준면에 대해 팽출하는 제 2 길이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하 팽출부에 의해 주 팽출부가 효과적으로 보강되므로, 당접면의 범위를 상하 방향에 있어서 짧게 해도, 당접면의 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 외장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게다가, 하 팽출부는 주 팽출부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풍압 등에 의해 제 1 내지 4 외장재에 회전력이 작용해도, 하 팽출부가 제 1 내지 4 외장재의 이면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6 형태의 외장재의 부착구에서는 당접면의 면적을 확보하여 외장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당접면에 의해 외장재의 이면에 손상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부착구에서는 입설편이 기준면으로부터가 아닌, 하 팽출부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따라서, 이 부착구에서는 입설편의 돌출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입설편의 강도가 향상되고, 입설편이 절곡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이 부착구에서는 제 1, 3 외장재의 수평 어긋남을 한층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형태로서, 당접면은 지지편보다도 위쪽과 아래쪽에 위치하는 한 쌍의 가로로 긴 면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하 팽출부에 의해 주 팽출부가 효과적으로 보강됨으로써, 한 쌍의 가로로 긴 면의 상하 방향의 간격을 좁게 할 수 있으므로, 외장재의 이면에 손상이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8 형태로서, 당접면은 주 팽출부의 폭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세로로 긴 면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하 팽출부에 의해 주 팽출부가 효과적으로 보강됨으로써, 한 쌍의 세로로 긴 면의 상하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외장재의 이면에 손상이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9 형태로서, 당접면은 지지편보다도 위쪽과 아래쪽에 위치하는 한 쌍의 가로로 긴 면과, 주 팽출부의 폭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세로로 긴 면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한 쌍의 가로로 긴 면 및 한 쌍의 세로로 긴 면은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하 팽출부에 의해 주 팽출부가 효과적으로 보강됨으로써, 한 쌍의 가로로 긴 면 및 한 쌍의 세로로 긴 면의 범위를 상하 방향에 있어서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가로로 긴 면 및 한 쌍의 세로로 긴 면이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한 쌍의 가로로 긴 면 및 한 쌍의 세로로 긴 면의 말단부가 없어진다. 그 결과, 이 부착구에서는 외장재의 이면에 손상이 생기는 것을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0 형태로서, 제 2 길이는 제 1 길이의 절반 길이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하 팽출부가 제 1 내지 4 외장재의 이면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하 팽출부에 의해 주 팽출부가 한층 효과적으로 보강된다. 또한, 입설편이 기준면으로부터가 아니라 하 팽출부로부터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돌출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입설편의 강도가 향상되고, 입설편이 절곡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제 11 형태로서, 주 팽출부에는 제 1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 팽출부에는 제 2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주 팽출부에 형성된 제 1 개구와, 하 팽출부에 형성된 제 2 개구는 각각 구조체와 제 1 내지 4 외장재 사이에 확보되는 통기 공간에 면한다. 이에 의해, 통기 공간을 유통하는 공기가 제 1 개구 및 제 2 개구를 입구 및 출구로서, 부착구와 구조체에 둘러싸인 공간 내에 적절하게 유입되고, 부착구와 구조체에 둘러싸인 공간 내에서 적절하게 유출할 수 있다. 그 결과, 부착구와 구조체에 둘러싸인 공간 내와, 부착구와 구조체에 둘러싸인 공간 주변의 외장재 및 구조체를 건조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외장재 및 구조체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지지편, 상 계지편 및 하 계지편을 잘라서 세울 때, 제 1 개구를 형성하고, 입설편을 잘라서 세울 때, 제 2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부착구의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2 형태로서, 부착구는 고정부로부터 팽출하고, 또한 주 팽출부의 위쪽에 인접하는 상 팽출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주 팽출부는 상 팽출부보다도 기준면에 대해 팽출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 팽출부에 의해서도 주 팽출부가 효과적으로 보강된다.
본 발명의 제 13 형태로서, 고정부는 체결구를 끼워 관통시키기 위한 고정 구멍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 팽출부는 고정 구멍의 폭 방향에서 인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고정부에서의 체결구로 고정되는 부분이 넓은 면적으로 구조체에 접촉하므로, 고정부를 구조체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나사나 못 등인 체결구의 정상부(頭部)의 적어도 일부가 체결구의 양측에서 상 팽출부의 표면보다도 후퇴한 위치에 배치되므로, 제 2, 4 외장재를 상 계지편에 계지시킬 때, 제 2, 4 외장재가 체결구의 정상부에 접촉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제 14 형태로서, 상 팽출부는 주 팽출부에 접근함에 따라 기준면에 대해 팽출하는 길이가 커지도록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 2, 4 외장재를 상 계지편에 계지시킬 때, 상 팽출부의 경사에 의해 제 2, 4 외장재의 각 하단부를 적절하게 안내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2, 4 외장재의 각 하단부가 당접면의 각에 걸림에 의한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5 형태로서, 건물의 외장 구조는 제 1 외장재와, 상기 제 1 외장재에 대해 위쪽으로부터 인접하는 제 2 외장재와, 상기 제 1 외장재에 대해 수평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인접하는 제 3 외장재와, 상기 제 3 외장재에 대해 위쪽으로부터 인접하고, 또한 상기 제 2 외장재에 대해 수평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인접하는 제 4 외장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외장재와, 건물을 구성하는 구조체와, 상기 각 외장재를 상기 구조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를 구비한 외장 구조로서, 상기 부착구는 기준면을 갖고, 상기 기준면을 통해 상기 구조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팽출한 주 팽출부와, 상기 주 팽출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외장재, 상기 제 2 외장재, 상기 제 3 외장재 및 상기 제 4 외장재의 각각의 이면과 당접하는 당접면과, 상기 주 팽출부의 상기 당접면보다도 돌출하고, 또한 상기 주 팽출부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 2 외장재 및 상기 제 4 외장재를 지지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부착되고, 상기 제 2 외장재 및 상기 제 4 외장재를 계지하는 상 계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부착되고, 상기 제 1 외장재 및 상기 제 3 외장재를 계지하는 하 계지편과, 상기 고정부로부터 팽출하고, 또한 상기 주 팽출부의 아래쪽에 인접하는 하 팽출부와, 상기 하 팽출부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제 1 외장재 및 상기 제 3 외장재의 대향하는 단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입설편을 구비하고, 상기 주 팽출부가 상기 기준면에 대해 팽출하는 제 1 길이는 상기 하 팽출부가 상기 기준면에 대해 팽출하는 제 2 길이보다도 크게 설정되고, 상기 기준면에 대해 상기 입설편의 선단까지의 제 3 길이는 상기 제 1 길이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5 형태로서, 건물의 외장 구조에서는 제 6 형태의 부착구가 발휘하는 작용 효과에 의해, 당접면의 면적을 확보하여 외장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당접면에 의해 외장재의 이면에 손상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건물의 외장 구조에서는 입설편이 기준면으로부터가 아닌 하 팽출부로부터 돌출하고 있으므로 입설편의 강도가 향상되고, 입설편이 절곡하기 어려워짐으로써, 제 1, 3 외장재의 수평 어긋남을 한층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6 형태로서, 다른 부착구는 건물을 구성하는 구조체에 대해, 제 1 외장재와, 상기 제 1 외장재에 대해 위쪽으로부터 인접하는 제 2 외장재와, 상기 제 1 외장재에 대해 수평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인접하는 제 3 외장재와, 상기 제 3 외장재에 대해 위쪽으로부터 인접하고, 또한 상기 제 2 외장재에 대해 수평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인접하는 제 4 외장재를 부착하기 위한 외장재의 부착구로서, 상기 제 1 외장재, 상기 제 2 외장재, 상기 제 3 외장재 및 상기 제 4 외장재의 각각의 이면과 당접하는 당접면과, 상기 당접면보다도 돌출하고, 상기 제 2 외장재 및 상기 제 4 외장재를 지지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부착되고, 상기 제 2 외장재 및 상기 제 4 외장재를 계지하는 상 계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부착되고, 상기 제 1 외장재 및 상기 제 3 외장재를 계지하는 하 계지편과, 상기 지지편으로부터 위를 향해 돌출하는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지지편의 상기 상 계지편측 및 상기 하 계지편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당접면측으로 이간하고, 또한 상기 당접면으로부터 상기 상 계지편측 및 상기 하 계지편측으로 이간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6 형태의 부착구에서는 돌기부가 제 2, 4 외장재의 단면에 아래쪽으로부터 접촉하고, 지지편과 제 2 외장재 및 제 4 외장재 사이에 틈새를 확보한다. 여기서, 돌기부와 제 2, 4 외장재의 단면이 접촉하는 면적은 지지편과 제 2, 4 외장재의 단면이 돌기부없이 직접 접촉하는 경우의 면적보다도 작아진다. 따라서, 제 2, 4 외장재의 각각의 이면이나 제 2, 4 외장재의 접합부로부터 삼입(渗入)하고, 지지편 위에 모인 빗물이나, 지지편 위의 쓰레기나 먼지 등이 빨아들인 빗물이 장시간에 걸쳐 제 2, 4 외장재의 단면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외장재의 단면에 빗물 등이 스며들어서 외장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편 위에 쓰레기나 먼지 등의 이물을 알아차리지 못하고, 제 1 내지 4 외장재를 시공한 경우에도, 돌기부에 의해 그 이물을 끼워넣지 않고, 지지편과 제 2 외장재 및 제 4 외장재 사이에 틈새를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이 부착구에서는 지지편과 제 2 외장재의 틈새와, 지지편과 제 4 외장재의 틈새를 상하의 어긋남없이 정확히, 또한 빗물이 정체하지 않는 크기로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외장재의 부착구에서는 제 2 외장재 및 제 4 외장재를 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제 2 외장재 및 제 4 외장재에 상하의 어긋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7 형태로서, 돌기부는 지지편에서의 폭 방향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지지편에서의 폭 방향의 중앙에 배치된 돌기부에 의해, 지지편과 제 2, 4 외장재 사이에 빗물이 체류하기 어려운 정도로 넓은 틈새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8 형태로서, 다른 부착구는 적어도 지지편에 배치되고, 지지편의 폭 방향의 중앙보다도 한쪽으로 어긋난 위치와, 지지편의 상기 폭 방향의 중앙보다도 다른 쪽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 탄성체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 2 외장재와 지지편 사이, 및 제 4 외장재와 지지편 사이가 탄성체에 의해 시일되므로, 빗물이 지지편을 타고 폭 방향으로 퍼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2 외장재 및 제 4 외장재는 탄성체를 짓누르듯이 배치된다. 이때 짓눌린 탄성체의 두께만큼 지지편에 단차가 생기고, 제 2 외장재 및 제 4 외장재에 상하의 어긋남이 생기는 경우가 있지만, 지지편에 돌기부를 설치함으로써 제 2 외장재 및 제 4 외장재의 상하의 단차가 없어지고, 안정적인 지지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9 형태로서, 하 계지편은 당접면의 폭 방향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지지편 위의 빗물이 하 계지편을 타고 부착구의 중앙에서 아래쪽으로 흐르므로, 그 빗물이 지지편을 타고 폭 방향으로 퍼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2, 4 외장재의 양호한 상태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0 형태로서, 돌기부는 지지편에서의 폭 방향의 중앙보다도 한쪽으로 어긋난 위치와 폭 방향의 중앙보다도 다른 쪽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 2 외장재와 제 4 외장재를 각각 다른 돌기부에 의해 적절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지지편과 제 2, 4 외장재 사이에 빗물이 체류하기 어려운 정도로 넓은 틈새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1 형태로서, 지지편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지지편 위의 빗물이 관통 구멍을 타고 아래쪽으로 흐르므로, 그 빗물이 지지편을 타고 폭 방향으로 퍼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2 형태로서, 돌기부는 점 형상 또는 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돌기부의 형상에 의해, 지지편과 제 2, 4 외장재 사이에 빗물이 체류하기 어려운 정도로 넓은 틈새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3 형태로서, 다른 건물의 외장 구조는 제 1 외장재와, 상기 제 1 외장재에 대해 위쪽으로부터 인접하는 제 2 외장재와, 상기 제 1 외장재에 대해 수평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인접하는 제 3 외장재와, 상기 제 3 외장재에 대해 위쪽으로부터 인접하고, 또한 상기 제 2 외장재에 대해 수평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인접하는 제 4 외장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외장재와, 건물을 구성하는 구조체와, 상기 각 외장재를 상기 구조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를 구비한 외장 구조로서, 상기 부착구는 상기 제 1 외장재, 상기 제 2 외장재, 상기 제 3 외장재 및 상기 제 4 외장재의 각각의 이면과 당접하는 당접면과, 상기 당접면보다도 돌출하고, 상기 제 2 외장재 및 상기 제 4 외장재를 지지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부착되고, 상기 제 2 외장재 및 상기 제 4 외장재를 계지하는 상 계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부착되고, 상기 제 1 외장재 및 상기 제 3 외장재를 계지하는 하 계지편과, 상기 지지편으로부터 위를 향해 돌출하는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지지편의 상기 상 계지편측 및 상기 하 계지편측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당접면측으로 이간하고, 또한 상기 당접면으로부터 상기 상 계지편측 및 하 계지편측으로 이간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3 형태의 다른 건물의 외장 구조는 제 16 형태의 다른 부착구가 발휘하는 작용 효과에 의해, 지지편에 모인 빗물이나, 지지편 위의 쓰레기나 먼지 등이 빨아들인 빗물이 제 2 외장재 및 제 4 외장재의 단면에 접촉하지 않고 제 2 외장재 및 제 4 외장재를 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쓰레기나 먼지 등의 이물을 끼워넣음으로써, 제 2 외장재 및 제 4 외장재의 상하의 어긋남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부터 5의 형태의 외장재의 부착구 및 외장 구조에서는 각 외장재의 하중을 폭 방향에 있어서 균형있게 지지할 수 있는 동시에, 가는 구조 부재에 고정되는 경우에도 양호한 시공성을 발휘할 수 있다.
제 6부터 23의 형태의 외장재의 부착구 및 외장 구조에서는 당접면의 면적을 확보하여 외장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당접면에 의해 외장재의 이면에 손상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외장재의 부착구 및 외장 구조에서는 돌기부에 의해 지지편 위에 모인 빗물이나, 지지편 위의 쓰레기나 먼지 등이 빨아들인 빗물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 2 외장재 및 제 4 외장재를 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제 2 외장재 및 제 4 외장재에 상하의 어긋남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의 외장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의 외벽판(제 1 내지 4 외벽판)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 단면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IV 단면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에 관한 것이고, 인접하는 제 1 내지 4 외벽판끼리의 조립 구성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 1에 관한 것이고, 제 1 내지 4 외벽판과 부착구의 상대 위치 관계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 1에 관한 것이고, 부착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 1에 관한 것이고, 부착구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 1에 관한 것이고, 부착구의 상면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1에 관한 것이고, 부착구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XI-XI 단면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XII-XII 단면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9의 XIII-XIII 단면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 1에 관한 것이고, 부착구와 제 1, 3 외벽판의 위치 맞춤 방법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5는 실시형태 1에 관한 것이고, 부착구를 사용한 제 1, 3 외벽판의 부착 구성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6은 실시형태 1에 관한 것이고, 부착구를 사용한 제 1 내지 3 외벽판의 부착 구성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XVII-XVII 단면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XVIII-XVIII 단면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7과 동일한 단면으로서, 부착구가 가는 구조 부재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0은 비교형태에 관한 것이고, 부착구의 정면도이다.
도 21은 비교형태에 관한 것이고, 도 19와 동일한 단면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2는 실시형태 2의 부착구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실시형태 3의 부착구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실시형태 4의 부착구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실시형태 5의 부착구의 부분 상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수직 위 방향을 상이라고 표시하고, 수직 아래 방향을 하라고 표시한다. 또한, 도 1의 옥외로부터 옥내로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수평 왼쪽 방향을 좌라고 표시하고, 수평 오른쪽 방향을 우라고 표시한다. 그리고, 도 2 이후의 각 도면에 도시한 각 방향은 도 1에 대응시켜서 표시한다.
(실시형태 1)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 1의 외장 구조는 본 발명의 외장 구조의 구체적 형태의 일례이다. 이 외장 구조는 주택, 시설, 창고 등의 건물을 구성하는 목조의 구조체(8)에 대해, 도 2 내지 도 5 등에 도시한 복수의 외벽판(2)을 부착한 것이다. 외벽판(2)은 「외장재」의 일례이다. 외벽판(2)은 그 자체가 높은 강도나 강성을 갖고 건물의 외벽을 구성하는 판재이다. 또한, 외장재는 외벽판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표면에 의장성이 높은 화장면을 갖는 화장판 등이어도 좋다. 화장판은 외벽을 갖는 강고한 뼈대에 부착되는 경우가 많고, 일반적으로 외벽판과 비교하여 강도나 강성이 낮은 판재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1에서는 구조체(8)는 목조 축조 구법에 의해 건축된 것이다. 구조체(8)는 복수의 구조 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구조 부재에는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고 늘어선 복수의 기둥재(9) 등 외에, 나중에 도 19를 도시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가는 구조 부재(99)가 포함된다. 가는 구조 부재(99)는 예를 들어, 가는 기둥재(9)나 가는 샛기둥(間柱) 등의 보조 부재이다. 각 기둥재(9)의 옥외 방향을 향하는 외면에는 동연(胴緣)이라고 불리는 지지 부재(7)가 도시하지 않은 고정 나사나 못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지지 부재(7)도 구조 부재에 포함된다. 각 기둥재(9)와 지지 부재(7) 사이에는 방수 시트(6)가 부설되어 있다. 또한, 구조체(8)는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목조 프레임벽 구법 등에 의해 건축되어도 좋다. 또한, 외장 구조에 외장되는 구조체는, 예를 들어, 철골 구조, 철근 콘크리트 구조, 벽돌 구조 등의 뼈대라도 좋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구(10)는 구조 부재로서의 각 기둥재(9)에 고정되고, 구조체(8)에 대해, 복수의 외벽판(2)을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부착하기 위한 것이다. 부착구(10)는 각 기둥재(9)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복수 병렬 설치되어 있다. 또한 부착구(10)는 나중에 도 19를 도시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가는 구조 부재(99)에 대해서도 수직 방향으로 복수 병렬 설치된다. 도 7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구(10)는 철이나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금속판이 펀칭 가공, 프레스 가공 및 절곡 가공됨으로써 제조된다. 또한, 부착구(10)의 재질이나 제조 방법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재료나, 제조 방법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부착구(10)는, 도 15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기둥재(9)에 체결구로서의 나사(10B)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는 구조 부재(99)에 나사(10B)에 의해 고정되어 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부착구(10)는 예를 들어, 기둥재(9) 등에 못 등의 다른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어도 좋고, 도 1에 도시한 지지 부재(7) 등을 통해 기둥재(9) 등에 간접적으로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여기서, 부착구(10)의 자세에 대해, 도 6 및 도 16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구(10)의 고정부(15)가 구조체(8)를 구성하는 기둥재(9)에 고정된 고정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부착구(10)의 겉쪽은 옥외 방향을 향하고, 부착구(10)의 안쪽은 옥내 방향을 향한다. 부착구(10)의 폭 방향은 좌우 방향이 된다.
부착구(10)는 금속판이 프레스 가공된 부분과, 그 프레스 가공된 부분을 둘러싸면서 평탄한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부(15)의 주연부(15E)를 포함하고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15)의 주연부(15E)는 고정부(15)에서의 폭 방향의 중앙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C1)을 대칭축으로 하는 대략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둥재(9) 등과 접촉하는 부착구(10)의 안쪽을 향하는 면은 고정부(15)의 기준면(15S)으로 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한, 고정부(15)의 주연부(15E)의 윗변으로부터 고정 구멍(15H)을 따라 아래를 향해 연재하는 3개의 U자형 고정부(15B)도 고정부(15)의 일부로 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U자형 고정부(15B)는 폭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갖고 배치되어 있다. 중앙의 U자형 고정부(15B)는 중심선(C1)보다도 왼쪽으로 어긋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왼쪽의 U자형 고정부(15B)는 중앙의 U자형 고정부(15B)보다도 왼쪽으로 어긋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오른쪽의 U자형 고정부(15B)는 중심선(C1)보다도 오른쪽으로 어긋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각 U자형 고정부(15B)에는 2개의 고정 구멍(15H)이 상하로 병렬 설치되어 있다. 고정 구멍(15H)은 나사(10B)가 끼워 관통되어서 부착구(10)를 기둥재(9) 등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중앙의 U자형 고정부(15B)에 관설된 2개의 고정 구멍(15H)은 복수의 고정 구멍(15H) 중 중심선(C1)에 가장 가까운 특정 고정 구멍(15T)이다. 각 특정 고정 구멍(15T)은 중심선(C1)에 대해 왼쪽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각 특정 고정 구멍(15T)이 중심선(C1)에 대해 어긋나는 거리를 LG1이라고 한다. 왼쪽의 U자형 고정부(15B)에 관설된 2개의 고정 구멍(15H)과 각 특정 고정 구멍(15T)이 폭 방향에 있어서 이간하는 거리를 LG2라고 한다. 오른쪽의 U자형 고정부(15B)에 관설된 2개의 고정 구멍(15H)과 각 특정 고정 구멍(15T)이 폭 방향에 있어서 이간하는 거리를 LG3이라고 한다. 거리 LG2와 거리 LG3은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 왼쪽의 U자형 고정부(15B)에 관설된 2개의 고정 구멍(15H)이 중심선(C1)에 대해 왼쪽으로 어긋나는 거리는 LG1+LG2이다. 오른쪽의 U자형 고정부(15B)에 관설된 2개의 고정 구멍(15H)이 중심선(C1)에 대해 오른쪽으로 어긋나는 거리는 LG3-LG1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고정 구멍(15H)은 중심선(C1)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구(10)에서의 프레스 가공된 부분은 주 팽출부(30), 하 팽출부(35) 및 상 팽출부(38)로 되어 있다.
주 팽출부(30)는 부착구(10)의 상하 방향의 중간부에 위치하고, 고정부(15)로부터 부착구(10)의 겉쪽으로 팽출하고 있다. 주 팽출부(30)는 하 팽출부(35) 및 상 팽출부(38)보다도 겉쪽으로 팽출하고 있다. 주 팽출부(30)는 고정부(15)와 평행하게 연재하는 선단면을 갖고, 이 주 팽출부(30)의 선단면이 당접면(31)으로 되어 있다.
하 팽출부(35)는 고정부(15)로부터 겉쪽으로 팽출하고, 또한 주 팽출부(30)의 아래쪽에 인접하고 있다. 하 팽출부(35)는 고정부(15)와 대략 평행하게 연재하는 선단면을 갖고, 이 하 팽출부(35)의 선단면이 입설면(36)으로 되어 있다. 입설면(36)의 상단 가장자리는 주 팽출부(30)의 하면에 접속하고 있다.
상 팽출부(38)는 고정부(15)로부터 겉쪽에 팽출하고, 또한 주 팽출부(30)의 위쪽에 인접하고 있다. 상 팽출부(38)는 경사면(39)을 갖고 있고, 상 팽출부(38)의 상면은 주연부(15E)의 윗부분과 각 U자형 고정부(15B)를 따라 꺾여지는 굴곡면이다. 경사면(39)은 각 U자형 고정부(15B)를 덮지 않도록 프레스 가공되어 있고, 이에 의해, 상 팽출부(38)는 각 고정 구멍(15H)에 폭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고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면(39)의 하단 가장자리는 주 팽출부(30)의 상면에 접속하고 있고, 그 접속 부분(39J)이 완만하게 만곡하고 있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팽출부(30), 하 팽출부(35) 및 상 팽출부(38)의 각각의 좌면 및 우면은 서로 대략 한 면에 접속하여 평활한 연속면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주 팽출부(30), 하 팽출부(35) 및 상 팽출부(38)의 각각의 좌면 및 우면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단상(段狀)으로 접속하고 있어도 좋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팽출부(30)의 선단이 기준면(15S)에 대해 팽출하는 제 1 길이(L1)는 당접면(31)이 기준면(15S)으로부터 부착구(10)의 겉쪽으로 이간하는 거리이다. 하 팽출부(35)의 선단이 기준면(15S)에 대해 팽출하는 제 2 길이(L2)는 입설면(36)이 기준면(15S)으로부터 부착구(10)의 겉쪽으로 이간하는 거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길이(L1)는 제 2 길이(L2)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 2 길이(L2)는 제 1 길이(L1)의 절반 길이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상 팽출부(38)는 주 팽출부(30)에 접근함에 따라 기준면(15S)에 대해 겉쪽에 팽출하는 길이(L4)가 커지도록 경사져있다.
도 7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팽출부(30)에는 제 1 개구(30H)와, 제 1 개구(30H)의 주위에서 잘라서 세워진 지지편(13)과, 지지편(13)의 선단에 접속된 위를 향한 상 계지편(11L, 11R)과, 지지편(13)의 선단에 접속된 아래를 향한 하 계지편(12)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주 팽출부(30)의 당접면(31)의 중앙에 대략 U자형 홈이 형성되고, 그 대략 U자형 홈의 내측의 판상편(板狀片)이 부착구(10)의 겉쪽을 향해 잘라서 세워짐으로써, 대략 직사각형의 제 1 개구(30H)가 당접면(31)의 중앙에 개구한다. 잘라서 세워져 당접면(31)보다도 겉쪽으로 돌출하는 부분 중, 당접면(31)에 가까운 측에서 대략 수평으로 연재하는 부분이 지지편(13)이 된다. 상 계지편(11L, 11R)은 지지편(13)의 선단 가장자리의 왼쪽 부분 및 오른쪽 부분에 접속하여 위를 향해 굴곡한다. 하 계지편(12)은 지지편(13)의 선단 가장자리에서의 폭 방향의 중앙에서 아래를 향해 굴곡한다.
당접면(31)은 한 쌍의 가로로 긴 면(31U, 31D)과, 한 쌍의 세로로 긴 면(31L, 31R)을 포함하고 있다. 위쪽의 가로로 긴 면(31U)은 상 계지편(11L, 11R) 및 하 계지편(12)보다도 위쪽에 위치하여, 좌우 방향으로 연재하고 있다. 아래쪽의 가로로 긴 면(31U)은 상 계지편(11L, 11R) 및 하 계지편(12)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여, 좌우 방향으로 연재하고 있다. 왼쪽의 세로로 긴 면(31L)은 상 계지편(11L) 및 하 계지편(12)보다도 왼쪽에 위치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재하고, 한 쌍의 가로로 긴 면(31U, 31D)의 좌단에 접속하고 있다. 오른쪽의 세로로 긴 면(31R)은 상 계지편(11R) 및 하 계지편(12)보다도 오른쪽에 위치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재하고, 한 쌍의 가로로 긴 면(31U, 31D)의 우단에 접속하고 있다. 즉, 한 쌍의 가로로 긴 면(31U, 31D) 및 한 쌍의 세로로 긴 면(31L, 31R)은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7, 도 8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 팽출부(35)에는 제 2 개구(35H)와, 제 2 개구(35H) 주위에서 잘라서 세워진 입설편(19)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 팽출부(35)의 입설면(36)의 중앙보다도 약간 좌편향 위치에 대략 C자 형상 홈이 형성되고, 그 대략 C자 형상 홈의 내측의 판상편이 부착구(10)의 겉쪽을 향해 잘라서 세워짐으로써, 대략 직사각형의 제 2 개구(35H)가 입설면(36)에 개구한다. 잘라서 세워져 입설면(36)보다도 겉쪽으로 돌출하는 부분이 입설편(19)이 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설편(19)은 고정부(15)의 폭 방향의 중심선(C1) 위에 배치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면(15S)에 대해 입설편(19)의 선단까지의 제 3 길이(L3)는 제 1 길이(L1)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부(17C, 17L, 17R)는 지지편(13)으로부터 위를 향해 돌출되어 있고, 돌기부(17C, 17L, 17R)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부(17C, 17L, 17R)의 단면 형상은 위를 향해 부풀어 오르는 대략 반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에서는 돌기부(17L)의 단면 형상이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돌기부(17L)의 단면 형상은 돌기부(17C, 17R)와 동일하다. 또한, 돌기부(17C, 17L, 17R)의 단면 형상은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사다리꼴 등이어도 좋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의 돌기부(17C)는 지지편(13)에서의 폭 방향의 중앙, 즉, 중심선(C1) 위에 배치되어 있다. 왼쪽의 돌기부(17L)는 지지편(13)에서의 폭 방향의 중앙보다도 왼쪽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오른쪽의 돌기부(17R)는 지지편(13)에서의 폭 방향의 중앙보다도 다른 쪽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부(17C, 17L, 17R)는 지지편(13)의 상 계지편(11L, 11R)측 및 하 계지편(12)측의 선단으로부터 당접면(31)측으로 이간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돌기부(17C, 17L, 17R)는 당접면(31)으로부터 상 계지편(11L, 11R)측 및 하 계지편(12)측으로 이간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돌기부(17C, 17L, 17R)는 고정 상태에서, 제 2 외벽판(2A2) 및 제 4 외벽판(2A4)의 각각의 이면(2B)으로부터 겉쪽으로 이간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 7 내지 도 9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편(13)에는 유지편(18L, 18R)이 설치되어 있다. 왼쪽의 유지편(18L)은 상 계지편(11L)과 하 계지편(12) 사이에서 위를 향해 굴곡하는 소편(小片)이다. 오른쪽의 유지편(18R)은 상 계지편(11R)과 하 계지편(12) 사이에서 위를 향해 굴곡하는 소편이다.
탄성체(18)는 양면 테이프 등에 의해, 유지편(18L, 18R)에 부착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4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체(18)는 유지편(18L)을 부착구(10)의 겉쪽에서 덮고 있다. 또한, 도 13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체(18)는 중앙의 돌기부(17C)와 왼쪽의 돌기부(17L) 사이와, 중앙의 돌기부(17C)와 오른쪽의 돌기부(17R) 사이에 배치되고, 유지편(18L, 18R)의 각각과 지지편(13)의 위를 향하는 면의 일부를 덮고, 당접면(31)에 당접하고 있다.
도 1, 도 2 및 도 6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외벽판(2)은 4변 형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좌우 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형의 판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벽판(2)은 시멘트를 포함하는 요업계 재료로 구성된다. 또한, 외벽판(2)의 재질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금속계재, 목질계재, 수지계재 등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도 1, 도 6 및 도 16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외벽판(2)은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태에서, 방수 시트(6) 및 지지 부재(7)보다도 구조체(8)의 외측에 배치되고, 구조체(8)의 외면(8F)을 덮는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벽판(2)의 표면(2F)은 예를 들어 벽돌 무늬 등의 외장면으로 되어 있다. 외벽판(2)에서의 좌단부(2L)에는 겉쪽 좌우 접합부(21)가 형성되어 있다. 각 외벽판(2)에서의 우단부(2R)에는 안쪽 좌우 접합부(22)가 형성되어 있다. 각 외벽판(2)에서의 하단부(2D)에는 겉쪽 상하 접합부(23)가 형성되어 있다. 각 외벽판(2)에서의 상단부(2U)에는 안쪽 상하 접합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겉쪽 좌우 접합부(21)는 외벽판(2)의 이면(2B)으로부터 표면(2F)을 향해 단상으로 오목하고, 수직 방향, 즉, 좌단부(2L)를 따라 연재하고 있다.
안쪽 좌우 접합부(22)는 외벽판(2)의 표면(2F)으로부터 이면(2B)을 향해 단상(段狀)으로 오목하고, 수직 방향, 즉, 우단부(2R)를 따라 연재하고 있다. 안쪽 좌우 접합부(22)에서의 옥외 방향을 향하는 평탄면에는 코킹(22S)이 설치되어 있다. 코킹(22S)은 안쪽 좌우 접합부(22)를 따라 직선상으로 배설되어 있다. 또한, 코킹은 필수가 아니고, 본 실시형태의 코킹(22S)을 생략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겉쪽 상하 접합부(23)는 외벽판(2)의 이면(2B)으로부터 표면(2F)을 향해 단상으로 오목하고, 좌우 방향, 즉, 하단부(2D)를 따라 연재하고 있다. 겉쪽 상하 접합부(23)에는 위를 향해 대략 테이퍼 형상으로 오목한 계합 오목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안쪽 상하 접합부(24)는 외벽판(2)의 표면(2F)으로부터 이면(2B)을 향해 단상으로 오목하고, 좌우 방향, 즉, 상단부(2U)를 따라 연재하고 있다. 안쪽 상하 접합부(24)에서의 옥외 방향을 향하는 평탄면에는 코킹(24S)이 설치되어 있다. 코킹(24S)은 안쪽 상하 접합부(24)를 따라 직선상으로 배설되어 있다. 또한, 코킹은 필수가 아니고, 본 실시형태의 코킹(24S)을 생략할 수도 있다. 안쪽 상하 접합부(24)에는 코킹(24S)보다도 위쪽에서 위를 향해 대략 테이퍼 형상으로 돌출하는 계합 볼록부(24A)가 형성되어 있다.
도 6 및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겉쪽 좌우 접합부(21)와 안쪽 좌우 접합부(22)가 겹쳐짐으로써,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는 외벽판(2)끼리의 사이에 좌우 접합부(26)가 형성된다. 도 6, 도 16 및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겉쪽 상하 접합부(23)와 안쪽 상하 접합부(24)가 겹쳐짐으로써, 수직 방향으로 인접하는 외벽판(2)끼리의 사이에 상하 접합부(25)가 형성된다. 즉, 각 외벽판(2)은 겉쪽 좌우 접합부(21), 안쪽 좌우 접합부(22), 겉쪽 상하 접합부(23) 및 안쪽 상하 접합부(24)를 구비하는, 이른바 「사방 반턱쪽매 이음 구조」인 판재이고, 겉쪽 좌우 접합부(21), 안쪽 좌우 접합부(22), 겉쪽 상하 접합부(23) 및 안쪽 상하 접합부(24)가 겹쳐져서 좌우 접합부(26) 및 상하 접합부(25)가 형성된다.
도 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쪽 좌우 접합부(22) 및 겉쪽 좌우 접합부(21)의 겹쳐지는 폭을 WL1이라고 한다. 도 8에 도시한 거리(LG1)는 겹쳐지는 폭(WL1)의 1/4 이상, 또한 겹쳐지는 폭(WL1)의 3/4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도 17에 안쪽 좌우 접합부(22) 및 겉쪽 좌우 접합부(21)의 겹쳐지는 폭(WL1)의 1/4 이상, 또한 겹쳐지는 폭(WL1)의 3/4 이하의 범위를 E1로 나타낸다.
여기서, 도 5, 도 6 및 도 14 내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외벽판(2) 중 임의의 1장의 외벽판(2)을 제 1 외벽판(2A1)으로 하고, 제 1 외벽판(2A1)에 대해 이하의 관계에 있는 3장의 외벽판(2)을 제 2 외벽판(2A2), 제 3 외벽판(2A3) 및 제 4 외벽판(2A4)으로 한다. 제 2 외벽판(2A2)은 제 1 외벽판(2A1)에 대해 위쪽으로부터 인접하고 있다. 제 3 외벽판(2A3)은 제 1 외벽판(2A1)에 대해 오른쪽으로부터 인접하고 있다. 제 4 외벽판(2A4)은 제 3 외벽판(2A3)에 대해 위쪽으로부터 인접하고, 또한 제 2 외벽판(2A2)에 대해 오른쪽으로부터 인접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인 각 외벽판(2)은 이하와 같이 하여 각 부착구(10)에 지지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음에 구조체(8)의 외면(8F)의 가장 아래쪽의 위치에 복수의 외벽판(2)을 좌우 방향으로 인접시킨 상태로 부착한다. 이때, 이들의 외벽판(2)에서의 하단부(2D)는 구조체(8)의 외면(8F)의 최하부에 배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단 지지 부재(55)에 계지된다.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외벽판(2)을 제 1 외벽판(2A1) 및 제 3 외벽판(2A3)으로 한다.
이어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구(10)의 기준면(15S)을 기둥재(9)에 당접시키면서 부착구(10)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고, 제 1, 3 외벽판(2A1, 2A3)의 좌우 접합부(26)에 부착구(10)의 입설편(19)을 위쪽으로부터 삽입한다. 그리고, 도 15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10B)를 U자형 고정부(15B)의 고정 구멍(15H)에 끼워 관통시키고, 기둥재(9)에 박음으로써, 부착구(10)는 기둥재(9)에 고정된 고정 상태가 된다. 나사(10B)의 정상부는 상 팽출부(38)에 의해 부착구(10)의 겉쪽에 돌출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제 1, 3 외벽판(2A1, 2A3)의 안쪽 상하 접합부(24)의 계합 볼록부(24A)는 부착구(10)의 하 계지편(12)에 의해 계지된다. 또한, 제 1, 3 외벽판(2A1, 2A3)의 각각의 이면(2B)은 부착구(10)의 당접면(31)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는, 아래쪽의 가로로 긴 면(31D) 및 좌우의 세로로 긴 면(31L, 31R)의 아래 부분에 의해 지지된다. 이에 의해, 제 1, 3 외벽판(2A1, 2A3)은 옥외 방향을 향해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규제된다. 그 결과,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조체(8)와 제 1, 3 외벽판(2A1, 2A3)의 이면(2B) 사이에 통기 공간(S1)이 확보된다.
이렇게 부착구(10)는 고정 상태에 있어서 제 1, 3 외벽판(2A1, 2A3)의 상단부(2U)를 지지한다. 또한, 부착구(10)의 입설편(19)은 고정 상태에 있어서, 제 1, 3 외벽판(2A1, 2A3)의 수평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단부들 사이에 배치되고, 제 1, 3 외벽판(2A1, 2A3)의 수평 어긋남을 방지한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외벽판(2A1)의 안쪽 좌우 접합부(22)와 제 3 외벽판(2A3)의 겉쪽 좌우 접합부(21)는 고정부(15)의 중심선(C1) 위에 배치된 입설편(19)에 대해 왼쪽으로 어긋난 위치에서 겹친다.
이어서, 도 16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3 외벽판(2A1, 2A3)의 위쪽에 제 2, 4 외벽판(2A2, 2A4)을 좌우 방향으로 인접시킨 상태로 부착한다.
이에 의해, 제 2, 4 외벽판(2A2, 2A4)의 겉쪽 상하 접합부(23)의 계합 오목부(23A)는 부착구(10)의 상 계지편(11L, 11R)에 의해 계지된다.
이때, 도 11, 도 12, 도 16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부(17C, 17L, 17R)는 제 2, 4 외벽판(2A2, 2A4)의 단면에 아래쪽으로부터 접촉하고, 지지편(13)과 제 2, 4 외벽판(2A2, 2A4) 사이에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틈새(W1)를 확보한다. 여기서, 돌기부(17C, 17L, 17R)와 제 2, 4 외벽판(2A2, 2A4)의 단면이 접촉하는 면적은 지지편(13)과 제 2, 4 외벽판(2A2, 2A4)의 단면이 임시로 돌기부(17C, 17L, 17R)없이 직접 접촉하는 경우의 면적보다도 작아진다. 따라서, 지지편(13) 위에 모인 빗물이나, 지지편(13) 위의 쓰레기나 먼지 등이 빨아들인 빗물이 장시간에 걸쳐서 제 2, 4 외벽판(2A2, 2A4)의 단면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나아가서 빗물 등이 스며들어서 제 2, 4 외벽판(2A2, 2A4)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 계지편(11L)에 인접하는 탄성체(18)는 제 2 외벽판(2A2)의 하단에 당접하여 압축 변형된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상 계지편(11R)에 인접하는 탄성체(18)도 마찬가지로, 제 4 외벽판(2A4)의 하단에 당접하여 압축 변형된다. 이러한 좌우의 탄성체(18)에 의해, 제 2 외벽판(2A2)과 지지편(13) 사이, 및 제 4 외벽판(2A4)과 지지편(13) 사이가 시일된다.
또한, 제 2, 4 외벽판(2A2, 2A4)의 각각의 이면(2B)은 부착구(10)의 당접면(31)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는, 위쪽의 가로로 긴 면(31U) 및 좌우의 세로로 긴 면(31L, 31R)의 윗부분에 의해 지지된다. 이에 의해, 제 2, 4 외벽판(2A2, 2A4)은 옥내 방향을 향해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규제된다. 그 결과, 구조체(8)와 제 2, 4 외벽판(2A2, 2A4)의 이면(2B) 사이에 통기 공간(S1)이 확보된다.
도 15 내지 도 18에서는 각 특정 고정 구멍(15T)에 나사(10B)를 삽입하고, 기둥재(9)에 박음으로써, 부착구(10)를 기둥재(9)에 고정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기둥재(9)의 가로 폭이 부착구(10)의 가로 폭보다도 크기 때문에, 다른 고정 구멍(15H)에 나사(10B)를 삽입하여, 부착구(10)를 기둥재(9)에 고정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구(10)를 가는 구조 부재(99)에 고정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가는 구조 부재(99)의 가로 폭(W99)이 도 8에 도시한 거리 LG2+LG3에 가까운 길이이거나, 또는 거리 LG2+LG3 이하의 길이이면, 각 특정 고정 구멍(15T) 이외의 고정 구멍(15H)이 가는 구조 부재(99)로부터 밀려나오기 쉽다. 따라서, 부착구(10)를 가는 구조 부재(99)에 고정하기 위해, 각 특정 고정 구멍(15T)만을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공 품질상, 제 1, 3 외벽판(2A1, 2A3)의 표면(2F)끼리의 맞대기 라인(J1)을 가는 구조 부재(99)의 중앙 부근에 위치시키도록, 부착구(10)를 가는 구조 부재(99)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고정 구멍(15T)이 중심선(C1)에 대해 왼쪽으로 거리(LG1)(WL1×1/4≤LG1≤WL1×3/4)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고, 입설편(19)이 중심선(C1) 위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의 시공 작업을 행하여, 부착구(10)가 가는 구조 부재(99)에 고정되면, 특정 고정 구멍(15T)이 가는 구조 부재(99)의 중앙 부근에 배치되고, 가는 구조 부재(99)의 측면(99A)의 근방에 배치되기 어려워진다.
이렇게 부착구(10)는 고정 상태에서 제 2, 4 외벽판(2A2, 2A4)을 지지한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제 2, 4 외벽판(2A2, 2A4)의 상단부(2U)는 다른 부착구(10)에 의해, 상술한 순서로 기둥재(9) 등에 지지된다. 이러한 작업을 다른 외벽판(2)에 대해서도 실시함으로써, 각 외벽판(2)은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상태에서 각 기둥재(9) 등에 지지되고, 구조체(8)의 외면(8F)을 덮는다.
또한, 도 6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늘어선 임의의 2개의 부착구(10) 사이에 추가적으로 다른 부착구를 배치하고, 수직 방향에 인접한 외벽판(2)끼리의 상하 접합부(25)(제 1, 2 외벽판(2A1, 2A2)의 상하 접합부(25), 및 제 3, 4 외벽판(2A3, 2A4)의 상하 접합부(25))를 보다 강고하게 지지시켜도 좋다.
<제 1 작용 효과>
실시형태 1의 부착구(10)에서는 도 8 및 도 17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설편(19)이 고정부(15)의 폭 방향의 중심선(C1) 위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편(13), 상 계지편(11L, 11R) 및 하 계지편(12)이 제 1 내지 4 외벽판(2A1 내지 2A4)의 하중을 지지할 때, 폭 방향의 한쪽에 위치하는 제 1, 2 외벽판(2A1, 2A2)을 지지하는 길이와 폭 방향의 다른 쪽에 위치하는 제 3, 4 외벽판(2A3, 2A4)을 지지하는 길이가 동등해지고, 이들의 하중 균형을 폭 방향의 한쪽과 다른 쪽에서 균등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부착구(10)에 있어서, 도 8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고정 구멍(15H) 중 중심선(C1)에 가장 가까운 2개의 특정 고정 구멍(15T)은 고정부(15)의 중심선(C1) 위에 배치된 입설편(19)에 대해 왼쪽으로 어긋나 있다. 따라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3 외벽판(2A1, 2A3)의 표면(2F)끼리의 맞대기 라인(J1)이 가는 구조 부재(99)의 중앙 부근에 위치하도록 부착구(10)를 가는 구조 부재(99)에 고정해도, 각 특정 고정 구멍(15T)이 가는 구조 부재(99)의 측면(99A)의 근방에 배치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각 특정 고정 구멍(15T)에 끼워 관통시키는 나사(10B)가 가는 구조 부재(99)의 측면(99A)으로부터 돌출하거나, 가는 구조 부재(99)의 측면(99A)이 깨져버리거나 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특정 고정 구멍(15T) 이외의 고정 구멍(15H)에 대해서도, 각 특정 고정 구멍(15T)과 마찬가지로, 중심선(C1)에 대해 폭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3 외벽판(2A1, 2A3)의 표면(2F)끼리의 맞대기 라인(J1)이 기둥재(9)의 중앙 부근에 위치하도록 부착구(10)를 기둥재(9)에 고정해도, 이들의 고정 구멍(15H)이 기둥재(9)의 측면(9A)의 근방에 배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의 고정 구멍(15H)에 끼워 관통시키는 나사(10B)가 기둥재(9) 및 가는 구조 부재(99)의 측면(9A, 99A)으로부터 돌출하거나, 기둥재(9) 및 가는 구조 부재(99)의 측면(9A, 99A)이 깨져버리거나 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0 및 도 21에 비교형태의 부착구를 도시한다. 비교형태의 부착구에서는, 중앙의 U자형 고정부(15B)는 중심선(C1) 위에 설치되어 있다. 왼쪽의 U자형 고정부(15B)는 중심선(C1)보다도 왼쪽으로 어긋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오른쪽의 U자형 고정부(15B)는 중심선(C1)보다도 오른쪽으로 어긋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중앙의 U자형 고정부(15B)에 관설된 2개의 고정 구멍(15H)은 중심선(C1) 위에 배치되어 있다. 왼쪽의 U자형 고정부(15B)에 관설된 2개의 고정 구멍(15H)이 중심선(C1)에 대해 왼쪽으로 어긋나는 거리는 LG2이다. 오른쪽의 U자형 고정부(15B)에 관설된 2개의 고정 구멍(15H)이 중심선(C1)에 대해 오른쪽으로 어긋나는 거리는 LG3(=LG2)이다. 즉, 비교형태에서는 실시형태 1에 관한 특정 고정 구멍(15T)이 없고, 각 고정 구멍(15H)이 중심선(C1)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비교형태의 그 외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따라서,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는 구조 부재(99)에 비교형태의 부착구를 고정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 1, 3 외벽판(2A1, 2A3)의 표면(2F)끼리의 맞대기 라인(J1)이 가는 구조 부재(99)의 중앙 부근에 위치하도록 부착구(110)를 가는 구조 부재(99)에 고정하면, 중앙의 2개의 고정 구멍(15H)이 가는 구조 부재(99)의 측면(99A)의 근방에 배치되어 버린다. 그 결과, 중앙의 2개의 고정 구멍(15H)에 끼워 관통시키는 나사(10B)가 가는 구조 부재(99)의 측면(99A)으로부터 돌출하거나, 가는 구조 부재(99)의 측면(99A)이 깨져버리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실시형태의 부착구(10)에서는 각 외벽판(2)의 하중을 폭 방향에 있어서 균형있게 지지할 수 있는 동시에, 가는 구조 부재(99)에 고정되는 경우에도 양호한 시공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이 부착구(10)에서는 도 17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외벽판(2A1)의 안쪽 좌우 접합부(22)와 제 3 외벽판(2A3)의 겉쪽 좌우 접합부(21)는 고정부(15)의 중심선(C1) 위에 배치된 입설편(19)에 대해 왼쪽으로 어긋난 위치에 겹쳐진다. 바꿔말하면, 중심선(C1)에 대해 왼쪽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 특정 고정 구멍(15T)은 안쪽 좌우 접합부(22)와 겉쪽 좌우 접합부(21)가 겹쳐지는 범위 내, 또는 그 겹쳐지는 범위의 근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는 구조 부재(99)에 부착구(10)를 고정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 1, 3 외벽판(2A1, 2A3)의 표면(2F)끼리의 맞대기 라인(J1)이 가는 구조 부재(99)의 중앙 부근에 위치하도록 부착구(10)를 가는 구조 부재(99)에 고정해도, 특정 고정 구멍(15T)이 가는 구조 부재(99)의 측면(99A)의 근방에 배치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이 부착구(10)는 양호한 시공성을 한층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이 부착구(10)에서는, 도 8에 도시한 특정 고정 구멍(15T)이 중심선(C1)에 대해 어긋나는 거리(LG1)는 도 17 및 도 19에 도시한 안쪽 좌우 접합부(22) 및 겉쪽 좌우 접합부(21)의 겹쳐지는 폭(WL1)의 1/4 이상, 또는 겹쳐지는 폭(WL1)의 3/4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 부착구(10)에서는 특정 고정 구멍(15T)이 도 17 및 도 19에 도시한 범위(E1) 내에 위치한다. 그 결과, 특정 고정 구멍(15T)이 가는 구조 부재(99)의 측면(99A)의 근방에 한층 배치되기 어려워지고, 양호한 시공성을 보다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도 21에 도시한 비교형태에서는 중앙의 2개의 고정 구멍(15H)이 범위(E1)의 외에 위치하므로, 가는 구조 부재(99)의 측면(99A)의 근방에 배치되기 쉽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제 1, 3 외벽판(2A1, 2A3)의 이면(2B)끼리가 맞대어지는 입설편(19)이 가는 구조 부재(99)의 중앙 부근에 위치하도록 부착구(10)를 가는 구조 부재(99)에 고정하는 경우에도, 「WL1×1/4≤LG1≤WL1×3/4」이라는 설정에 의해, 각 특정 고정 구멍(15T)이 가는 구조 부재(99)의 반대측의 측면(99A)의 근방에 배치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이 부착구(10)에서는, 도 8 및 도 19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복수 늘어선 특정 고정 구멍(15T)에 대해 복수의 나사(10B)로 고정함으로써, 부착구(10)를 가는 구조 부재(99)에 한층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특히 부착구(1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작용 효과>
실시형태 1의 부착구(10)에서는, 도 7 내지 도 10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팽출부(30)와 주 팽출부(30)의 아래쪽에 인접하는 하 팽출부(35)는 고정부(15)로부터 겉쪽에 팽출하고 있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팽출부(30)가 기준면(15S)에 대해 겉쪽에 팽출하는 제 1 길이(L1)는 하 팽출부(35)가 기준면(15S)에 대해 겉쪽에 팽출하는 제 2 길이(L2)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하 팽출부(35)에 의해 주 팽출부(30)가 효과적으로 보강되므로, 당접면(31)의 범위를 상하 방향에 있어서 짧게 해도, 보다 상세하게는, 도 18에 도시한 상하 방향의 당접면(L31)을 짧게 해도, 당접면(31)의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풍압 등에 의해 제 1 내지 4 외벽판(2A1 내지 2A4)에 도 18에 도시한 회전력(R1, R2)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당접면(31)의 각이 제 1 내지 4 외벽판(2A1 내지 2A4)의 각각의 이면(2B)에 닿기 어렵다.
따라서, 실시형태 1의 부착구(10) 및 외장 구조에서는 당접면(31)의 면적을 확보하여 외벽판(2)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당접면(31)에 의해 제 1 내지 4 외벽판(2A1 내지 2A4)의 이면(2B)에 손상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부착구(10)에서는 도 7 및 도 10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설편(19)이 기준면(15S)으로부터가 아니고, 하 팽출부(35)의 입설면(36)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따라서, 이 부착구(10)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입설편(19)의 돌출 길이(L19)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입설편(19)이 절곡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이 부착구(10)에서는 제 1, 3 외벽판(2A1, 2A3)의 어긋남을 한층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부착구(10)에서는, 도 7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접면(31)은 한 쌍의 가로로 긴 면(31U, 31D)과 한 쌍의 세로로 긴 면(31L, 31R)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하 팽출부(35)에 의해 주 팽출부(30)가 효과적으로 보강됨으로써, 한 쌍의 가로로 긴 면(31U, 31D) 및 한 쌍의 세로로 긴 면(31L, 31R)의 범위를 상하 방향에서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가로로 긴 면(31U, 31D) 및 한 쌍의 세로로 긴 면(31L, 31R)이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한 쌍의 가로로 긴 면(31U, 31D) 및 한 쌍의 세로로 긴 면(31L, 31R)의 말단부가 없어진다. 그 결과, 이 부착구(10)에서는 제 1 내지 4 외벽판(2A1 내지 2A4)의 이면(2B)에 손상이 생기는 것을 한층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부착구(10)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길이(L2)가 제 1 길이(L1)의 절반 길이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그 결과, 하 팽출부(35)에 의해 주 팽출부(30)가 한층 효과적으로 보강된다.
또한, 이 부착구(10)에서는, 도 7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팽출부(30)에 제 1 개구(30H)와, 제 1 개구(30H) 주위에서 잘라서 세워진 지지편(13), 상 계지편(11L, 11R) 및 하 계지편(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 팽출부(35)에 제 2 개구(35H)와 제 2 개구(35H) 주위에서 잘라서 세워진 입설편(19)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지지편(13), 상 계지편(11L, 11R) 및 하 계지편(12)이 잘라서 세워질 때 제 1 개구(30H)가 형성되고, 입설편(19)이 잘라서 세워질 때 제 2 개구(35H)가 형성된다. 그 결과, 부착구(10)의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이 부착구(10)에서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팽출부(30)에 형성된 제 1 개구(30H)와 하 팽출부(35)에 형성된 제 2 개구(35H)는 각각 고정 상태로, 구조체(8)와 제 1 내지 4 외벽판(2A1 내지 2A4) 사이에 확보되는 통기 공간(S1)에 면한다. 이에 의해, 도 18에 파선 화살표(Y1)로 표시한 바와 같이, 통기 공간(S1)을 유통하는 공기가 제 1 개구(30H) 및 제 2 개구(35H)를 입구 및 출구로서, 부착구(10)와 기둥재(9)에 둘러싸인 공간(S2) 내에 적절하게 유입하고, 부착구(10)와 기둥재(9)에 둘러싸인 공간(S2) 내에서 적절하게 유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통기 공간(S1) 내의 압력 차에 의해 공기는 아래에서 위로 흐른다. 따라서, 제 2 개구(35H)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공간(S2) 내를 지나, 제 1 개구(30H)로부터 외벽판(2)의 이면(2B)측에서 안쪽 좌우 접합부(22) 및 안쪽 상하 접합부(24)의 틈새를 통해서 위쪽으로 공기가 유출한다. 그 결과, 부착구(10)와 기둥재(9)에 둘러싸인 공간(S2) 내와, 부착구(10)와 기둥재(9)에 둘러싸인 공간(S2) 주변의 제 1 내지 4 외벽판(2A1 내지 2A4) 및 기둥재(9) 등을 건조 상태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외벽판(2) 및 구조체(8)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부착구(10)에서는, 도 7 내지 도 10 등에 표시한 바와 같이, 주 팽출부(30)의 위쪽에 인접하는 상 팽출부(38)에 의해서도 주 팽출부(30)가 효과적으로 보강된다.
또한, 이 부착구(10)에서는, 도 7 등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각 U자형 고정부(15B)는 나사(10B) 등을 끼워 관통시켜, 고정부(15)를 기둥재(9)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구멍(15H)을 갖고 있다. 그리고, 경사면(39)이 각 U자형 고정부(15B)를 덮지 않도록 하는 형상으로 프레스 가공되어 있음으로써, 상 팽출부(38)가 고정 구멍(15H)에 폭 방향에서 인접하고 있다. 이에 의해,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15)에서의 나사(10B)로 고정되는 부분의 U자형 고정부(15B)가 넓은 면적으로 기둥재(9)에 접촉하므로, 고정부(15)를 기둥재(9)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나사(10B)의 정상부는 상 팽출부(38)에 의해 부착구(10)의 겉쪽에 돌출하지 않으므로, 제 2, 4 외벽판(2A2, 2A4)을 상 계지편(11L, 11R)에 계지시킬 때, 제 2, 4 외벽판(2A2, 2A4)이 나사(10B)의 정상부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부착구(10)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 팽출부(38)의 경사면(39)은 주 팽출부(30)에 접근함에 따라 기준면(15S)에 대해 겉쪽에 팽출하는 길이(L4)가 커지도록 경사져있다. 그리고, 경사면(39)의 하단 가장자리는 주 팽출부(30)의 상면에 접속하고 있고, 그 접속 부분(39J)이 완만하게 만곡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 2, 4 외벽판(2A2, 2A4)을 상 계지편(11L, 11R)에 계지시킬 때, 상 팽출부(38)의 경사에 의해 제 2, 4 외벽판(2A2, 2A4)의 각 하단부(2D)를 적합하게 안내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2, 4 외벽판(2A2, 2A4)의 각 하단부(2D)의 걸림에 의한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제 3 작용 효과>
실시형태 1의 부착구(10)에서는, 도 11, 도 12, 도 16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상태에서, 지지편(13)으로부터 위를 향해 돌출하는 돌기부(17C, 17L, 17R)가 제 2, 4 외벽판(2A2, 2A4)의 단면에 아래쪽으로부터 접촉하고, 지지편(13)과 제 2, 4 외벽판(2A2, 2A4) 사이에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틈새(W1)를 확보한다. 여기서, 돌기부(17C, 17L, 17R)와 제 2, 4 외벽판(2A2, 2A4)의 단면이 접촉하는 면적은 지지편(13)과 제 2, 4 외벽판(2A2, 2A4)의 단면이 임시로 돌기부(17C, 17L, 17R)없이 직접 접촉하는 경우의 면적보다도 작아진다. 따라서, 제 2, 4 외벽판(2A2, 2A4)의 각각의 이면(2B)이나 제 2, 4 외벽판(2A2, 2A4)의 좌우 접합부(26)로부터 삼입하고, 지지편(13) 위에 모인 빗물이나, 지지편(13) 위의 쓰레기나 먼지 등이 빨아들인 빗물이 장시간에 걸쳐 제 2, 4 외벽판(2A2, 2A4)의 단면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4 외벽판(2A2, 2A4)의 단면에 빗물이 스며들어서 제 2, 4 외벽판(2A2, 2A4)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편(13) 위에 쓰레기나 먼지 등의 이물을 알아차리지 못하고, 제 1 내지 4 외벽판(2A1 내지 2A4)을 시공한 경우에도, 돌기부(17C, 17L, 17R)에 의해 그 이물을 끼워넣지 않고, 지지편(13)과 제 2, 4 외벽판(2A2, 2A4) 사이에 틈새(W1)를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이 부착구(10)에서는 지지편(13)과 제 2 외벽판(2A2)의 틈새(W1)와, 지지편(13)과 제 4 외벽판(2A4)의 틈새(W1)를 상하의 어긋남없이 정확히, 또한 빗물 또는 정체하지 않는 크기로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형태 1의 부착구(10) 및 외장 구조에서는 제 2, 4 외벽판(2A2, 2A4)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제 2, 4 외벽판(2A2, 2A4)에 상하의 어긋남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부착구(10)에서는, 도 7, 도 13 및 도 17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의 돌기부(17C)와 왼쪽의 돌기부(17L) 사이 및 중앙의 돌기부(17C)와 오른쪽 돌기부(17R) 사이에 각각 배치된 탄성체(18)에 의해, 제 2 외벽판(2A2)과 지지편(13) 사이 및 제 4 외벽판(2A4)과 지지편(13) 사이가 시일되므로, 빗물이 지지편(13)을 타고 폭 방향으로 퍼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2 외벽판(2A2) 및 제 4 외벽판(2A4)은 탄성체(18)가 짓눌리도록 배치된다. 이때 지지편(13) 위에는 짓눌린 탄성체(18)의 두께만큼 단차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지지편(13)에 돌기부(17C, 17L, 17R)를 설치함으로써, 상하의 어긋남이 없고 항상 일정한 위치에 제 2 외벽판(2A2), 제 4 외벽판(2A4)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이 부착구(10)에서는, 도 7 및 도 12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 계지편(12)은 폭 방향의 중앙에서 지지편(13)과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편(13) 위에 빗물이 하 계지편(12)을 타고 아래쪽으로 흐르므로, 그 빗물이 지지편(13)을 타고 폭 방향으로 퍼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2, 4 외벽판(2A2, 2A4)의 양호한 상태를 적합하게 유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 2의 부착구(210)는 실시형태 1의 부착구(10)에 대해 복수의 개구(201, 202, 203, 204)가 추가된 것이다. 또한, 실시형태 2의 부착구(210)에서는 실시형태 1의 부착구(10)에 관한 아래쪽의 가로로 긴 면(31D)에 대해 그 폭 방향의 왼쪽 부분과 오른쪽 부분을 절취하고 있다. 실시형태 2의 그 외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따라서,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개구(201)는 주 팽출부(30)의 우면에 관설되어 있다. 개구(202)는 주 팽출부(30)의 당접면(31)에 관설되어 있다. 개구(203)는 하 팽출부(35)의 우면에 관설되어 있다. 개구(204)는 상 팽출부(38)의 상면 중 U자형 고정부(15B)의 아래쪽이 되는 위치에 3개 관설되어 있다.
실시형태 2의 부착구(210)도 실시형태 1의 부착구(10)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개구(201, 202, 203, 204)에 의해, 도 18에 도시한 부착구(10)와 기둥재(9)에 둘러싸인 공간(S2) 내와, 공간(S2) 주변의 제 1 내지 4 외벽판(2A1 내지 2A4) 및 기둥재(9) 등을 한층 적합하게 건조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외벽판(2) 및 구조체(8)의 열화를 한층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 3의 부착구(310)는, 실시형태 1의 부착구(10)에 따른 상 계지편(11L, 11R) 및 하 계지편(12) 대신에, 상 계지편(311) 및 하 계지편(312L, 312R)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실시형태 3의 부착구(310)에서는 실시형태 1의 부착구(10)에 따른 아래쪽의 가로로 긴 면(31D)에 대해 그 폭 방향의 중앙 부분을 절취하고 있다. 실시형태 3의 그 외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따라서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상 계지편(311)은 지지편(13)의 선단 가장자리에서의 폭 방향의 중앙에 접속하여 위를 향해 굴곡한다. 하 계지편(312L, 312R)은 지지편(13)의 선단 가장자리의 좌우 부분에 접속하여 아래를 향해 굴곡한다.
실시형태 3의 부착구(310)도 실시형태 1의 부착구(10)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실시형태 4)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 4의 부착구(410)는 실시형태 1의 부착구(10)에 따른 상 계지편(11L, 11R) 및 하 계지편(12) 대신에, 상 계지편(411) 및 하 계지편(412)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실시형태 4의 부착구(410)에서는 실시형태 1의 부착구(10)에 따른 제 1 개구(30H) 대신에, 지지편(13)보다 위에서 개구하는 제 1 개구(430H)를 설치하고 있다. 실시형태 4의 그 외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따라서,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상 계지편(411)은 지지편(13)의 선단 가장자리의 전체 폭에 걸쳐 위를 향해 굴곡하고 있다. 하 계지편(412)은 지지편(13)의 선단 가장자리의 전체 폭에 걸쳐 아래쪽으로 굴곡하고 있다.
실시형태 4의 부착구(410)도 실시형태 1의 부착구(10)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 계지편(411)과 하 계지편(412)의 폭을 넓게 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외벽판(2)을 부착할 수 있다.
(실시형태 5)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 5의 부착구(510)는 실시형태 1의 부착구(10)에 따른 돌기부(17C, 17L, 17R) 대신에, 돌기부(517P)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지지편(13)에 관통 구멍(513H)이 형성되어 있다. 실시형태 5의 그 외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따라서,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돌기부(517P)는 지지편(13)에서의 폭 방향의 중앙에 복수 배치되어 있다. 돌기부(517P)는 폭 방향으로 늘어서는 반구형 볼록부의 집합체이다. 돌기부(517P)는 하 계지편(12)의 좌단(左端)의 근방부터 우단(右端)의 근방까지의 범위에 배치되어 있다.
돌기부(517P)는 지지편(13)의 상 계지편(11L, 11R)측 및 하 계지편(12)측의 선단으로부터 당접면(31)측으로 이간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돌기부(517P)는 당접면(31)으로부터 상 계지편(11L, 11R)측 및 하 계지편(12)측으로 이간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돌기부(517P)는 지지편(13)과 제 2, 4 외벽판(2A2, 2A4) 사이에 틈새(W1)를 확보할 수 있고, 지지편(13)과 제 2 외벽판(2A2)의 틈새(W1)와, 지지편(13)과 제 4 외벽판(2A4)의 틈새(W1)를 상하의 어긋남이 생기지 않고 정확히 설치할 수 있고, 또한 빗물의 정체를 방지할 수 있다.
관통 구멍(513H)은 돌기부(517P)와 당접면(31) 사이에서 폭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뻗어있다. 또한, 관통 구멍(513H)의 형상이나 수는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형태 5의 부착구(510)도 실시형태 1의 부착구(10)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이 부착구(510)에서는 복수의 점 형상으로 형성된 돌기부(517P)에 의해, 지지편(13)과 제 2, 4 외벽판(2A2, 2A4) 사이에 빗물이 체류하기 어려운 정도로 넓은 틈새를 확실성 높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 부착구(510)에서는 지지편(13) 위의 빗물이 관통 구멍(513H)을 타고 아래쪽으로 흐르므로, 그 빗물이 지지편(13)을 타고 폭 방향으로 퍼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6)
이상 언급한 실시형태 1 내지 5에서는 지지편(13)이 일체로 되어 형성되어 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지지편(13)은 상 계지편(11L)이 접속하는 부분과, 상 계지편(11R)이 접속하는 부분과, 하 계지편(12)이 접속하는 부분이 분리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지지편(13) 위의 빗물이 상 계지편(11L, 11R), 하 계지편(12)마다 분리되어 있는 지지편(13)의 틈새를 타고 아래쪽으로 흐르므로, 그 빗물이 지지편(13)을 타고 폭 방향으로 퍼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형태를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형태는 상기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실시형태 1에서는 지지편(13)에 돌기부(17C, 17L, 17R)가 설치되어 있지만,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지지편(13)으로부터 돌기부(17C, 17L, 17R)를 없애고, 제 2, 4 외벽판(2A2, 2A4)의 단면이 지지편(13)의 상면에 직접 당접하도록 해도 좋다.
8…구조체
9…기둥재
99…가는 구조 부재
2…외장재(외벽판)
2A1…제 1 외장재(제 1 외벽판)
2A2…제 2 외장재(제 2 외벽판)
2A3…제 3 외장재(제 3 외벽판)
2A4…제 4 외장재(제 4 외벽판)
10, 210, 310, 410, 510…부착구
10B…체결구(나사)
11L, 11R, 311, 411…상 계지편
12, 312L, 312R, 412…하 계지편
13…지지편
15…고정부
15E…주연부
15B…U자형 고정부
15S…기준면
15H…고정 구멍
15T…특정 고정 구멍
18…탄성체
513H…관통 구멍
19…입설편
L1…제 1 길이
L2…제 2 길이
L3…제 3 길이
L4…상 팽출부가 기준면에 대해 팽출하는 길이
17C, 17L, 17R…선 형상의 돌기부
517P…점 형상의 돌기부
C1…고정부의 폭 방향의 중심선
2L…외장재에서의 수평 방향의 다른 단부(외벽판의 좌단부)
2R…외장재에서의 수평 방향의 일단부(외벽판의 우단부)
2F…외장재(제 1 내지 4 외장재)의 표면(외벽판의 표면)
2B…외장재(제 1 내지 4 외장재)의 이면(외벽판의 이면)
2U…외장재의 상단부(제 1 내지 4 외벽판의 상단부)
2D…외장재의 하단부(제 1 내지 4 외벽판의 하단부)
21…겉쪽 좌우 접합부
22…안쪽 좌우 접합부
30…주 팽출부
31…당접면
31U, 31D…한 쌍의 가로로 긴 면
31L, 31R…한 쌍의 세로로 긴 면
30H, 430H…제 1 개구
35…하 팽출부
35H…제 2 개구
38…상 팽출부
LG1…특정 고정 구멍이 중심선에 대해 어긋나는 거리
W1…지지편과 제 2 외장재 및 제 4 외장재의 틈새
WL1…안쪽 좌우 접합부 및 겉쪽 좌우 접합부의 겹쳐지는 폭

Claims (8)

  1. 제 1 외장재와, 상기 제 1 외장재에 대해 위쪽으로부터 인접하는 제 2 외장재와, 상기 제 1 외장재에 대해 수평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인접하는 제 3 외장재와, 상기 제 3 외장재에 대해 위쪽으로부터 인접하고, 또한 상기 제 2 외장재에 대해 수평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인접하는 제 4 외장재를, 건물을 구성하는 구조체에 대해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로서,
    기준면을 갖고, 상기 기준면을 통해 상기 구조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체결구를 끼워 관통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멍과,
    상기 고정부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제 2 외장재 및 상기 제 4 외장재를 지지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위쪽을 향해 설치되고, 상기 제 2 외장재 및 상기 제 4 외장재를 계지하는 상 계지편(係止片)과,
    상기 지지편에 아래쪽을 향해 설치되고, 상기 제 1 외장재 및 상기 제 3 외장재를 계지하는 하 계지편과,
    상기 고정부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제 1 외장재 및 상기 제 3 외장재의 대향하는 단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입설편(立設片)을 구비하고,
    상기 입설편은 상기 고정부의 폭 방향의 중심선 위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구멍 중의 상기 중심선에 가장 가까운 특정 고정 구멍은 상기 중심선에 대해 상기 폭 방향의 한쪽에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구멍은 상기 중심선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재의 부착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외장재에서의 수평 방향의 일단부는 상기 외장재의 표면으로부터 이면을 향해 오목하고, 수직 방향으로 연재(延在)하는 안쪽 좌우 접합부를 갖고,
    상기 각 외장재에서의 수평 방향의 다른 단부는 상기 외장재의 상기 이면으로부터 상기 표면을 향해 오목하고, 수직 방향으로 연재하는 겉쪽 좌우 접합부를 갖고 있는, 외장재의 부착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고정 구멍이 상기 중심선에 대해 어긋나는 거리는 상기 안쪽 좌우 접합부 및 상기 겉쪽 좌우 접합부의 겹쳐지는 폭의 1/4 이상, 또한 상기 겹쳐지는 폭의 3/4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외장재의 부착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고정 구멍은 수직 방향으로 복수 병렬 설치되어 있는, 외장재의 부착구.
  5. 건물을 구성하는 구조체에 대해, 제 1 외장재와, 상기 제 1 외장재에 대해 위쪽으로부터 인접하는 제 2 외장재와, 상기 제 1 외장재에 대해 수평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인접하는 제 3 외장재와, 상기 제 3 외장재에 대해 위쪽으로부터 인접하고, 또한 상기 제 2 외장재에 대해 수평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인접하는 제 4 외장재를 부착하기 위한 외장재의 부착구로서,
    기준면을 갖고, 상기 기준면을 통해 상기 구조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팽출한 주 팽출부(膨出部)와,
    상기 주 팽출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외장재, 상기 제 2 외장재, 상기 제 3 외장재 및 상기 제 4 외장재의 각각의 이면과 당접하는 당접면과,
    상기 주 팽출부의 상기 당접면보다도 돌출하고, 또한 상기 주 팽출부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 2 외장재 및 상기 제 4 외장재를 지지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부착되고, 상기 제 2 외장재 및 상기 제 4 외장재를 계지하는 상 계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부착되고, 상기 제 1 외장재 및 상기 제 3 외장재를 계지하는 하 계지편과,
    상기 고정부로부터 팽출하고, 또한 상기 주 팽출부의 아래쪽에 인접하는 하 팽출부와,
    상기 하 팽출부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제 1 외장재 및 상기 제 3 외장재의 대향하는 단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입설편을 구비하고,
    상기 주 팽출부가 상기 기준면에 대해 팽출하는 제 1 길이는 상기 하 팽출부가 상기 기준면에 대해 팽출하는 제 2 길이보다도 크게 설정되고,
    상기 기준면에 대해 상기 입설편의 선단까지의 제 3 길이는 상기 제 1 길이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재의 부착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당접면은 상기 지지편보다도 위쪽과 아래쪽에 위치하는 한 쌍의 가로로 긴 면과,
    상기 주 팽출부의 상기 폭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세로로 긴 면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가로로 긴 면 및 상기 한 쌍의 세로로 긴 면은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외장재의 부착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의 상기 상 계지편측 및 상기 하 계지편측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당접면측으로 이간하고, 또한 상기 당접면으로부터 상기 상 계지편측 및 상기 하 계지편측으로 이간하는 위치에 배치된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는, 외장재의 부착구.
  8. 제 1 외장재와, 상기 제 1 외장재에 대해 위쪽으로부터 인접하는 제 2 외장재와, 상기 제 1 외장재에 대해 수평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인접하는 제 3 외장재와, 상기 제 3 외장재에 대해 위쪽으로부터 인접하고, 또한 상기 제 2 외장재에 대해 수평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인접하는 제 4 외장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외장재와,
    건물을 구성하는 구조체와,
    상기 각 외장재를 상기 구조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를 구비한 외장 구조로서,
    상기 부착구는 기준면을 갖고, 상기 기준면을 통해 상기 구조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체결구를 끼워 관통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멍과,
    상기 고정부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제 2 외장재 및 상기 제 4 외장재를 지지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위쪽을 향해 설치되고, 상기 제 2 외장재 및 상기 제 4 외장재를 계지하는 상 계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아래쪽을 향해 설치되고, 상기 제 1 외장재 및 상기 제 3 외장재를 계지하는 하 계지편과,
    상기 고정부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제 1 외장재 및 상기 제 3 외장재의 대향하는 단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입설편을 구비하고,
    상기 입설편은 상기 고정부의 폭 방향의 중심선 위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구멍 중 상기 중심선에 가장 가까운 특정 고정 구멍은 상기 중심선에 대해 상기 폭 방향의 한쪽에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구멍은 상기 중심선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외장 구조.
KR1020170030309A 2016-03-16 2017-03-10 외장재의 부착구 및 외장 구조 KR1023149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52810A JP6718709B2 (ja) 2016-03-16 2016-03-16 外装材の取付具及び建物の外装構造
JPJP-P-2016-052810 2016-03-16
JPJP-P-2016-052821 2016-03-16
JP2016052821A JP6629109B2 (ja) 2016-03-16 2016-03-16 外装材の取付具及び外装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905A true KR20170107905A (ko) 2017-09-26
KR102314911B1 KR102314911B1 (ko) 2021-10-21

Family

ID=57965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309A KR102314911B1 (ko) 2016-03-16 2017-03-10 외장재의 부착구 및 외장 구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995044B2 (ko)
EP (1) EP3219868B1 (ko)
KR (1) KR102314911B1 (ko)
CN (1) CN107201817B (ko)
AU (1) AU2017200465B2 (ko)
CA (1) CA2955733C (ko)
RU (1) RU2715002C2 (ko)
TW (1) TWI6811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584602S (ko) * 2017-03-27 2017-08-28
US11060299B2 (en) * 2018-08-08 2021-07-13 Ibacos, Inc. Brick tie
US11111677B2 (en) * 2018-09-19 2021-09-07 Fiber Composites, Llc Siding clip
JP2021055525A (ja) * 2019-09-30 2021-04-08 ニチハ株式会社 取付具及び壁構造
JP1679083S (ko) 2020-07-22 2021-02-15
JP1679082S (ko) 2020-07-22 2021-02-15
AU2020427918A1 (en) * 2020-12-15 2022-06-30 Sekisui House, Ltd. Exterior wall member attachment member, lower end exterior wall member attachment member, and exterior wall member attachment structure
US20230258002A1 (en) * 2022-01-27 2023-08-17 Välinge Innovation AB Floor panel assembly and associated connecting devic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2926A (ja) * 1996-08-30 1998-03-17 Wakai Sangyo Kk 壁装材の掛止金具と接合構造
JP2000045484A (ja) * 1998-05-25 2000-02-15 Yuusu Kitaura:Kk パネル状材の取付金具
JP2001220882A (ja) 2000-02-10 2001-08-17 Mitsui Wood Systems Inc 外壁材の取付金具
JP2002081186A (ja) 2000-09-11 2002-03-22 Nichiha Corp シール金具及び外壁施工構造
JP2002220910A (ja) 2001-01-24 2002-08-09 Nichiha Corp 留め付けシール金具及び外壁施工構造
JP2003064843A (ja) * 2001-08-28 2003-03-05 Nichiha Corp 留め付けシール金具及び外壁施工構造
JP2007262777A (ja) 2006-03-29 2007-10-11 Harada:Kk 外壁材留め金具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110097A5 (ko) * 1970-10-31 1972-05-26 Taddei Silvio
US5086602A (en) * 1991-03-27 1992-02-11 Tech-Crete Processors Ltd. Insulation clip
FR2734589B1 (fr) * 1995-05-23 1997-07-18 Euridep Platine-entretoise de fixation pour la realisation de vetages dans le domaine du batiment, et vetages ainsi obtenus
JP2000291225A (ja) * 1999-04-02 2000-10-17 Nichiha Corp 外壁板の留め付け金具と該金具を使用した外壁板の横張り留め付け工法
JP2001027031A (ja) * 1999-05-12 2001-01-30 Nichiha Corp 留め付け金具
JP3454244B2 (ja) * 2000-10-19 2003-10-06 ニチハ株式会社 留め付け金具及び外壁施工構造
JP4546301B2 (ja) * 2005-03-22 2010-09-15 ニチハ株式会社 留め付け金具及び外壁施工構造
RU2327017C1 (ru) * 2006-11-14 2008-06-20 Азат Хайдарович Гельманов Кляммер скрытого типа для крепления толстостенных облицовочных плит
JP3146012U (ja) * 2008-08-20 2008-10-30 ニチハ株式会社 外装材固定金具
JP5431761B2 (ja) * 2009-03-26 2014-03-05 中央発条工業株式会社 外装材端留め付け金具および外装材端留め付け金具を備えた外装材取付金具
RU2503787C1 (ru) * 2009-09-30 2014-01-10 Кей Эм Ю Ко., Лтд. Зажим для материала для наружной отделки и зажим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материала для наружной отделки
RU96385U1 (ru) * 2010-02-10 2010-07-27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ТЕХНОФАСАД" Кляммер для крепления облицовочных плит фасадов зданий
US8720143B2 (en) * 2011-02-03 2014-05-13 Photios Noutsis Tile spacer
UA66373U (ru) * 2011-09-16 2011-12-26 Михаил Александрович Мотяев Кляммер для крепления облицовочных панелей фасадов зданий
US9169653B2 (en) * 2014-03-28 2015-10-27 Charles Porter Interlocking clips for a wall panel mounting system
JP5946869B2 (ja) * 2014-08-08 2016-07-06 ニチハ株式会社 外壁取付部材及び外壁構造
JP6548427B2 (ja) * 2015-03-31 2019-07-24 ニチハ株式会社 外壁部材の留付補助具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6283335B2 (ja) * 2015-09-15 2018-02-21 ニチハ株式会社 外装構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2926A (ja) * 1996-08-30 1998-03-17 Wakai Sangyo Kk 壁装材の掛止金具と接合構造
JP2000045484A (ja) * 1998-05-25 2000-02-15 Yuusu Kitaura:Kk パネル状材の取付金具
JP2001220882A (ja) 2000-02-10 2001-08-17 Mitsui Wood Systems Inc 外壁材の取付金具
JP2002081186A (ja) 2000-09-11 2002-03-22 Nichiha Corp シール金具及び外壁施工構造
JP2002220910A (ja) 2001-01-24 2002-08-09 Nichiha Corp 留め付けシール金具及び外壁施工構造
JP2003064843A (ja) * 2001-08-28 2003-03-05 Nichiha Corp 留め付けシール金具及び外壁施工構造
JP2007262777A (ja) 2006-03-29 2007-10-11 Harada:Kk 外壁材留め金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55733C (en) 2019-03-05
CA2955733A1 (en) 2017-09-16
AU2017200465A1 (en) 2017-10-05
US20170268237A1 (en) 2017-09-21
KR102314911B1 (ko) 2021-10-21
US9995044B2 (en) 2018-06-12
TW201738447A (zh) 2017-11-01
RU2017102411A (ru) 2018-07-25
EP3219868B1 (en) 2019-04-10
TWI681102B (zh) 2020-01-01
AU2017200465B2 (en) 2018-08-02
CN107201817A (zh) 2017-09-26
EP3219868A1 (en) 2017-09-20
CN107201817B (zh) 2021-03-23
RU2715002C2 (ru) 2020-02-21
RU2017102411A3 (ko) 2020-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7905A (ko) 외장재의 부착구 및 외장 구조
US10508454B2 (en) Exterior-material securing member and building exterior structure
JP6629109B2 (ja) 外装材の取付具及び外装構造
RU2710047C2 (ru) Вспомогательная крепежная опор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и способ ее установки
JP6718709B2 (ja) 外装材の取付具及び建物の外装構造
JP6915998B2 (ja) 壁材の取付具、壁構造、及び取付具の製造方法
JP6457691B1 (ja) 壁パネルの接続構造
KR102586746B1 (ko)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
JP6120566B2 (ja) 金属製建具における竪枠と横枠の接続部の防水構造
JP2018131866A (ja) 雨樋
JP6701037B2 (ja) 分割枠材及び建具
JP4033080B2 (ja) 外装材の接続構造
JPH0119720Y2 (ko)
KR20220104587A (ko) 삽입홈을 구비한 외장 패널
JP4056950B2 (ja) サッシ窓枠の固定金具及び固定方法
JP5098884B2 (ja) 集合建築物
JPS6311212Y2 (ko)
JP5477856B2 (ja) 建物用囲い
JP2019007343A (ja) ガスケット
JPS6080642A (ja) エキスパンシヨンジヨイント
JP2011202425A (ja) 方立、タイト材及び分割方立の連結方法
JPH032454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