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6746B1 -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 - Google Patents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6746B1
KR102586746B1 KR1020210007077A KR20210007077A KR102586746B1 KR 102586746 B1 KR102586746 B1 KR 102586746B1 KR 1020210007077 A KR1020210007077 A KR 1020210007077A KR 20210007077 A KR20210007077 A KR 20210007077A KR 102586746 B1 KR102586746 B1 KR 102586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late
frame
recessed
fixing clip
exterio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4588A (ko
Inventor
곽인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스틸건설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스틸건설,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스틸건설
Priority to KR1020210007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6746B1/ko
Publication of KR20220104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4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7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7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sealing elements between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2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2201/023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a continuous tongue or groo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은 수평 방향보다 수직 방향으로의 연장 길이가 더 큰 전면 강판과 배면 강판; 상기 전면 강판과 상기 배면 강판 사이에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 제1 측면 프레임; 제2 측면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프레임은 상기 수평 방향의 내측으로 함몰되는 제1 측면 함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측면 프레임은 상기 수평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 측면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측면 프레임의 상기 제1 측면 함몰부의 외측 주변에는 전면 방향으로 개구되어, 상기 전면 강판의 상기 제1 측면 끝단이 삽입되는 수직 삽입홈을 구비하되, 수직 삽입홈 내에는 상기 전면 강판의 제1 측면 끝단이 삽입되는 고정 클립이 적어도 하나 구비되고, 상기 고정 클립은 상기 수직 삽입홈 내에 고정되도록 하는 삽입홈 걸림부 및 상기 고정 클립에 상기 전면 강판이 삽입 고정되는 강판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Exterior panels with fastening clips}
본 발명은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외단열재는 발전소, 공장, 상가, 주택 등의 다방면의 건축물에 사용된다. 대표적인 건축물 외단열재로 사용되는 샌드 위치 패널, 메탈패널, 알루미늄쉬트패널 등은 경량자재이며, 건식공법으로 시공이 가능하여 건축물의 대형화 및 고층화 추세의 변화에도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다른 자재에 비해 경제성, 단열성, 공기단축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에, 샌드위치패널, 메탈패널, 알루미늄 쉬트 패널 등은 자재 특성상 시공시 패널과 패널이 연결되는 연결부(Joint)가 형성되는데, 이 부분은 결로현상 및 누수가 빈번히 발생되는 취약점으로 기술적인 보완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2607호
본 발명은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은 수평 방향보다 수직 방향으로의 연장 길이가 더 큰 전면 강판; 상기 전면 강판의 배면에 두께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수평 방향보다 상기 수직 방향으로의 연장 길이가 더 큰 배면 강판; 상기 전면 강판의 상부와 상기 배면 강판의 상부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 방향으로 제1 길이만큼 연장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전면 강판의 제1 측면과 상기 배면 강판의 제1 측면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1 길이보다 큰 제2 길이만큼 연장되는 제1 측면 프레임; 상기 제1 측면과 반대쪽 측면인 상기 전면 강판의 제2 측면과 상기 배면 강판의 제2 측면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2 길이만큼 연장되는 제2 측면 프레임; 및 상기 전면 강판의 하부와 상기 배면 강판의 하부 사이에 결합되어 수평 방향으로 상기 제1 길이만큼 연장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프레임은 상기 수평 방향의 내측으로 함몰되는 제1 측면 함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측면 프레임은 상기 수평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 측면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측면 프레임의 상기 제1 측면 함몰부의 외측 주변에는 전면 방향으로 개구되어, 상기 전면 강판의 상기 제1 측면 끝단이 삽입되는 수직 삽입홈을 구비하되, 상기 수직 삽입홈 내에는 상기 전면 강판의 제1 측면 끝단이 삽입되는 고정 클립이 적어도 하나 구비되고, 상기 고정 클립은 상기 고정 클립이 상기 수직 삽입홈 내에 고정되도록 하는 삽입홈 걸림부 및 상기 고정 클립에 상기 전면 강판이 삽입 고정되는 강판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측면 프레임은 상기 두께 방향으로 폭을 가지고, 상기 제1 측면 함몰부의 바닥면을 구비하는 함몰 바닥면; 상기 함몰 바닥면의 전면쪽 끝단에서 상기 수평 방향으로 밴딩 및 연장되어 상기 제1 측면 함몰부의 전면쪽 내측 벽면을 형성하는 제1 함몰 측면; 상기 함몰 바닥면의 배면쪽 끝단에서 상기 수평 방향으로 밴딩 및 연장되어 상기 제1 측면 함몰부의 배면쪽 내측 벽면을 형성하는 제2 함몰 측면; 상기 제1 함몰 측면의 끝단에서 상기 전면 방향으로 밴딩 및 연장되고, 상기 전면 강판의 제1 측면 끝단을 지지하는 제1 측면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함몰 측면의 끝단에서 상기 배면 방향으로 밴딩 및 연장되고, 상기 배면 강판의 제1 측면 끝단을 지지하는 제1 측면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제1 지지부에 상기 수직 삽입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 프레임은 상기 함몰 바닥면의 가운데 부분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제1 측면 배수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 삽입홈 내에는 상기 전면 강판의 제1 측면 끝단이 삽입되는 고정 클립이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클립은 상기 고정 클립이 상기 수직 삽입홈 내에 고정되도록 하는 삽입홈 걸림부 및 상기 고정 클립에 상기 전면 강판이 삽입 고정되는 강판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 클립은 상기 수직 삽입홈의 바닥면 및 측벽면에 맞닿는 면을 구비하는 고정 바디부; 상기 고정 바디부 중 상기 수직 삽입홈의 바닥면과 인접한 부분부터 상기 수직 삽입홈의 개구부 방향으로 밴딩되어 연장되는 보조 바디부; 상기 고정 바디부 중 일부로부터 상기 수직 삽입홈의 측벽면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고정 클립이 상기 수직 삽입홈 내에 고정되도록 하는 상기 삽입홈 걸림부; 및 상기 고정 바디부 중 일부로부터 상기 보조 바디부로 돌출된 제1 돌기와 상기 보조 바디부로부터 상기 제1 돌기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 사이로 상기 전면 강판이 삽입 고정되는 상기 강판 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측면 프레임은 상기 제2 측면 돌출부의 돌출된 끝단에서 상기 두께 방향으로 폭을 가지는 면을 구비하는 돌출 끝단면; 상기 돌출 끝단면의 전면쪽 끝단에서 상기 수평 방향으로 밴딩 및 연장되어 상기 제1 측면 돌출부의 전면쪽 측면을 형성하는 제1 돌출 측면; 상기 돌출 끝단면의 배면쪽 끝단에서 상기 수평 방향으로 밴딩 및 연장되어 상기 제1 측면 돌출부의 배면쪽 측면을 형성하는 제2 돌출 측면; 상기 제1 돌출 측면의 끝단에서 상기 전면 방향으로 밴딩 및 연장되고, 상기 전면 강판의 제2 측면 끝단을 지지하는 제2 측면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돌출 측면의 끝단에서 상기 배면 방향으로 밴딩 및 연장되고, 상기 배면 강판의 제2 측면 끝단을 지지하는 제2 측면 제2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측면 프레임은 상기 돌출 끝단면의 가운데 부분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제2 측면 배수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 프레임의 제1, 2 함몰 측면 중 어느 하나의 함몰 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측면 가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면 프레임의 제1, 2 돌출 측면 중 상기 어느 하나의 함몰 측면과 상기 두께 방향을 따라 반대쪽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돌출 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측면 가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2 측면 가스켓 중 어느 하나의 측면 가스켓은 상기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고, 나머지 하나의 측면 가스켓은 상기 배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은 전면쪽에 상기 전면 강판의 상부 끝단이 삽입되는 수평 삽입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두께 방향으로 폭을 가지고 평면으로 형성되는 상부 바디면; 상기 상부 바디면의 가운데 부분에서 내측으로 함몰되는 상부 배수로; 상기 상부 바디면에서 상기 상부 배수로를 기준으로 각각이 전면 및 후면 방향으로 이격되어 고정되고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부 가스켓; 및 상기 상부 바디면의 전면 끝단에 위치하여, 상기 전면 강판의 상부 끝단이 삽입되는 상기 수평 삽입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부 함몰부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부 함몰 바닥면; 상기 하부 함몰 바닥면의 전면 끝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밴딩되어 연장되는 재1 하부 함몰 측면; 상기 재1 하부 함몰 측면의 하부 끝단에서 전면 방향으로 밴딩되어 연장되는 하부 제1 지지부; 상기 하부 함몰 바닥면의 배면 끝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밴딩되어 연장되는 제2 하부 함몰 측면; 및 상기 제2 하부 함몰 측면의 하부 끝단에서 배면 방향으로 밴딩되어 연장되는 하부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강판은 상기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넓게 형성된 전면 바디; 상기 전면 바디의 상부 끝단에서 상기 배면 강판이 위치하는 두께 방향으로 밴딩 및 연장되는 상기 전면 상단턱; 상기 전면 상단턱의 끝단에서 상기 상부 방향으로 밴딩 및 연장되는 상기 전면 돌출부; 상기 전면 돌출부의 끝단에서 상기 후면 방향으로 밴딩 및 연장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전면측 상부 외측면 일부를 덮는 전면 상부 덮개; 및 상기 전면 바디의 하부 끝단에서 후면 방향으로 밴딩 및 연장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전면측 하부 외측면 일부를 덮는 전면 하부 프레임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상부 프레임 덮개의 끝단은 상기 수평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전면 강판은 상기 전면 바디의 제2 측면 끝단에서 배면 방향으로 밴딩 및 연장되어, 상기 제2 측면 프레임의 일부를 덮는 전면 제2 측면 덮개; 및 상기 전면 제2 측면 프레임 덮개로부터 상기 수평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측면 프레임의 일부를 추가적으로 더 덮는 전면 추가 연장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은 수평 방향의 길이보다 긴 수직 방향의 길이를 갖는 외장 패널의 외형을 고려하여, 전면 강판의 측면 끝단이 측면 프레임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강한 태풍이나 바람에도 전면 강판이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외장 패널의 구조적 안정성 및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이 조립된 구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복수의 건축용 외장 패널이 조립된 구조의 수평 방향 모습 및 수직 방향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외장 패널이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외장 패널을 제1 측면 및 상부에서 바라본 형상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을 하지 철물(30)에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20)가 결합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의 상부 프레임(100)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상부 프레임(100)의 수평 삽입홈(130)에 전면 강판(500)이 연결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9a 내지 9d는 도 4에 도시된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의 제1 측면 프레임(300)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0은 도 9d에 도시된 고정 클립(350)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1은 도 9d에 도시된 고정 클립(350)에 전면 강판(500)의 제1 측면 끝단이 결합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도 4에 도시된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의 제2 측면 프레임(400)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3은 도 4에 도시된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의 하부 프레임(200)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4는 도 7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복수의 프레임이 서로 결합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5는 도 4에 도시된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의 전면 강판(500)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6은 도 4에 도시된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의 배면 강판(600)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이하에서 어떤 구성 요소의 두께나 폭 또는 길이가 동일하다는 의미는 공정 상의 오차를 고려하여, 어떤 제1 구성 요소의 두께나 폭 또는 길이가 다른 제2 구성 요소의 두께나 폭 또는 길이와 비교하여, 10%의 오차 범위에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전면이라 함은 패널의 전면, 후면이라 함은 패널의 후면, 전면 방향이라 함은 패널 전면 쪽으로의 방향을 의미하고, 후면 방향이라 함은 패널 후면 쪽으로의 방향을 의미하고, 두께 방향이라 함은 패널의 두께와 나란한 방향을 의미하고, 전면 방향과 후면 방향을 모두 포함한다.
상부 방향이라 패널의 중심을 기준으로 위쪽으로의 방향을 의미하고, 하부 방향이라 함은 중심을 기준으로 아래쪽으로의 방향을 의미하고, 수직 방향이라 함은 상부 방향과 하부 방향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측면이라 함은 패널의 수평 방향(x-x’) 양쪽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을 의미하고, 제2 측면이라 함은 패널의 수평 방향(x-x’) 양쪽 측면 중 나머지 한 측면을 의미한다.
제1 측면 방향이라 함은 제1 측면 쪽으로의 방향을 의미하고, 제2 측면 방향이라 함은 제2 측면 쪽으로의 방향을 의미하고, 수평 방향(x-x’)이라 함은 패널이 수평으로 결합되는 방향, 즉 제1, 2 측면 방향을 모두 포함한다.
아울러, 어느 부분의 내측면 또는 내부면은 패널의 안쪽면, 즉 패널의 심재가 위치하는 쪽의 면을 의미하고, 어느 부분의 외측면 또는 외부면은 패널의 바깥쪽면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따라 조립된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이 조립된 구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2의 (a)는 도 1에서 복수의 건축용 외장 패널이 조립된 구조의 수평 방향(x-x’)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2의 (b)는 도 1에서 복수의 건축용 외장 패널이 조립된 구조의 수직 방향(y-y’)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3의 외장 패널이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외장 패널을 제1 측면 및 상부에서 바라본 형상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을 하지 철물(30)에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20)가 결합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복수의 건축용 외장 패널(10a, 10b, 10c, 10d)이 조립된 구조는 복수의 건축용 외장 패널(10a, 10b, 10c, 10d)과 하지 철물(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건축용 외장 패널(10a, 10b, 10c, 10d)은 각각의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10a, 10b, 10c, 10d)이 수직 방향(y-y’) 및 수평 방향(x-x’)으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건축용 외장 패널(10a, 10b, 10c, 10d)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의 각각의 상부면과 하부면이 서로 맞닿아 결합되거나,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x-x’)으로의 양측면 중 어느 한 제1 측면과 반대쪽 제2 측면이 서로 맞닿아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10a)의 제2 측면과 제2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10b)의 제1 측면은 서로 마주보고 결합될 수 있고, 제1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10a)의 하부면과 제3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10c)의 상부면이 서로 마주보고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건축용 외장 패널(10a, 10b, 10c, 10d)은 하지 철물(3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하지 철물(30)의 일측이 건물의 외벽에 수직 방향(y-y’)으로 길게 미리 고정되어 형성된 상태에서, 하지 철물(30)의 타측에 복수의 외장 패널이 별도의 고정 부재(2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도 2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와 같은 고정 부재(20)가 외장 패널 각각을 관통하여, 하지 철물(30)에 고정됨으로써, 외장 패널이 하지 철물(30)에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건축용 외장 패널(10a, 10b, 10c, 10d) 각각은 도 3에 도시된 전면 강판(500), 배면 강판(600) 및 복수의 프레임(100, 200, 300, 400)을 포함하고, 복수의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100), 하부 프레임(200), 제1 측면 프레임(300) 및 제2 측면 프레임(4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은 전면 강판(500), 배면 강판(600) 및 복수의 프레임(100, 200, 300, 400)이 조립 및 결합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전면 강판(500) 및 배면 강판(600)은 서로 두께 방향(z-z’)(z-z’)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배면 강판(600)은 전면 강판(500)의 후면 방향(z’)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전면 강판(500)과 배면 강판(600) 사이의 상하 및 좌우 각각의 끝단에 두께 방향(z-z’)(z-z’)으로 폭을 가지고 복수의 프레임(100, 200, 300, 400)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면 강판(500) 및 배면 강판(600) 각각은 강철 재질을 포함하는 강판의 각 끝단이 밴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외장 패널 전면에서 봤을 때, 전체적인 평면 형상은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장 패널은 전면에서 봤을 때, 수평 방향(x-x’)의 길이보다 수직 방향(y-y’)의 길이가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외장 패널은 수직 방향(y-y’)으로의 길이가 수평 방향(x-x’)으로의 길이보다 1.5배 내지 3.5배 사이로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면 강판(500) 및 배면 강판(600) 각각의 두께는 0.25mm ~ 2.0mm 사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0.35mm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면 강판(500)과 배면 강판(600) 각각의 제1 측면은 전면 강판(500) 및 배면 강판(600) 각각의 왼쪽 측면, 전면 강판(500)과 배면 강판(600) 각각의 제2 측면은 전면 강판(500) 및 배면 강판(600) 각각의 오른쪽 측면일 수 있으나, 이는 일례이고, 반드시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전면 강판(500) 및 배면 강판(6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복수의 프레임에 대한 설명한 이후 후술한다.
아울러, 전면 강판(500) 및 배면 강판(600)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의 프레임(100, 200, 300, 4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00), 하부 프레임(200), 제1 측면 프레임(300) 및 제2 측면 프레임(40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프레임(100, 200, 300, 400) 각각은 알루미늄이 포함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프레임(100, 200, 300, 400) 각각은 불연성 소재에 열전도성이 낮은 비금속 재질 또는 절연성 재질이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례로, 복수의 프레임(100, 200, 300, 400)이 열경화성 플라스틱 재질 또는 탄소 재질이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 프레임(100)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강판(500) 및 배면 강판(600) 각각의 상부 끝단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되고, 두께 방향(z-z’)(z-z’)으로 폭을 가지며, 수평 방향(x-x’)으로 제1 길이(L1)만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00)의 제1 측면 끝단 내측면에는 제1 측면 프레임(300)의 상부 끝단 단면이 직각 방향으로 맞닿아 결합되고, 상부 프레임(100)의 제2 측면 끝단 내측면에는 제2 측면 프레임(400)의 상부 끝단 단면이 직각 방향으로 맞닿아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프레임(100)에 전면 강판(500), 배면 강판(600), 제1 측면 프레임(300) 및 제2 측면 프레임(400)이 결합되어, 외장 패널의 상부에는 도 4 및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부 돌출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 프레임(1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도 7 및 도 8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부 프레임(2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강판(500) 및 배면 강판(600) 각각의 하부 끝단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되고, 두께 방향(z-z’)(z-z’)으로 폭을 가지며, 수평 방향(x-x’)으로 제1 길이(L1)만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200)의 제1 측면 끝단의 내측면에는 제1 측면 프레임(300)의 하부 끝단 단면이 직각 방향으로 맞닿아 결합되고, 하부 프레임(200)의 제2 측면 끝단의 내측면에는 제2 측면 프레임(400)의 하부 끝단 단면이 직각 방향으로 맞닿아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부 프레임(200)에 전면 강판(500), 배면 강판(600), 제1 측면 프레임(300) 및 제2 측면 프레임(400)이 결합되어, 외장 패널의 하부에는 도 4 및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함몰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함몰부(13)의 함몰 바닥면은 하부 프레임(200)에 의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부 프레임(2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도 13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측면 프레임(300)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강판(500)과 배면 강판(600) 각각의 수평 방향(x-x’) 양쪽 끝단 중 하나인 제1 측면의 끝단에 배치되어 결합되고, 두께 방향(z-z’)(z-z’)으로 폭을 가지며, 수직 방향(y-y’)으로 제2 길이(L2)만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길이(L2)는 제1 길이(L1)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면 프레임(300)의 상부 끝단 단면은 상부 프레임(100)의 제1 측면 끝단의 내측면에 직각 방향으로 맞닿아 결합되고, 제1 측면 프레임(300)의 하부 끝단 단면은 하부 프레임(200)의 제1 측면 끝단의 내측면에 직각 방향으로 맞닿아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측면 프레임(300)에 전면 강판(500), 배면 강판(600), 상부 프레임(100) 및 하부 프레임(200)이 결합되어, 외장 패널의 제1 측면에는 도 4 및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면 함몰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측면 프레임(3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도 9 내지 도 11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2 측면 프레임(400)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강판(500)과 배면 강판(600) 각각의 수평 방향(x-x’) 양쪽 끝단 중 나머지 하나인 제2 측면의 끝단에 결합되고, 두께 방향(z-z’)(z-z’)으로 폭을 가지며, 수직 방향(y-y’)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측면 프레임(400)의 상부 끝단의 단면은 상부 프레임(100)의 제2 측면 끝단의 내측면에 직각 방향으로 맞닿아 결합되고, 제2 측면 프레임(400)의 하부 끝단 단면은 하부 프레임(200)의 제2 측면 끝단의 내측면에 직각 방향으로 맞닿아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측면 프레임(400)에 전면 강판(500), 배면 강판(600), 상부 프레임(100) 및 하부 프레임(200)이 결합되어, 외장 패널의 제2 측면에는 도 4 및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측면 돌출부(17)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측면 프레임(4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도 12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외장 패널은 전면 강판(500), 배면 강판(600), 상부 프레임(100), 하부 프레임(200), 제1 측면 프레임(300) 및 제2 측면 프레임(400)이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외장 패널의 상부에는 상부 돌출부(11), 하부에는 하부 함몰부(13), 제1 측면에는 제1 측면 함몰부(15), 제2 측면에는 제2 측면 돌출부(17)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외장 패널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 패널의 상부 돌출부(11) 및 제2 측면 돌출부(17)를 관통하는 고정 부재(20)를 이용하여, 외장 패널을 하지 철물(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외장 패널은 수평 방향(x-x’)으로의 길이보다 수직 방향(y-y’)으로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구비되므로, 제2 측면 돌출부(17)에 상대적으로 많은 개수의 고정 부재(20)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외장 패널은 건축물의 외벽 형성하거나 외벽 상에 시공될 때, 복수의 외장 패널을 상하 또는 좌우로 끼움 결합하여 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느 한 외장 패널의 상부에 구비된 상부 돌출부(11)는 다른 외장 패널의 하부에 구비된 하부 함몰부(13)에 삽입되어, 외장 패널이 수직 방향(y-y’)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어느 한 외장 패널의 제1 측면에 구비된 제1 측면 함몰부(15)에는 다른 외장 패널의 제2 측면에 구비된 제2 측면 돌출부(17)가 삽입되어, 외장 패널이 수평 방향(x-x’)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외장 패널은 시공된 복수의 외장 패널 중 원하는 외장 패널을 교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시공된 복수의 외장 패널 중 임의의 외장 패널을 교체 또는 탈거하려고 하는 경우, 해당 외장 패널의 상하, 좌우에 위치하는 외장 패널을 미세하게 수평 방향(x-x’) 또는 수직 방향(y-y’)으로 이동하여 해당 외장 패널만 교체 또는 탈거할 수 있다.
아울러,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면 강판(500), 배면 강판(600)과 복수의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외장 패널의 내부 공간에는 심재가 충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심재는 (1) 유리원석을 용융시켜 인공으로 섬유화하고, SiO2계 화학조성물로 형성되는 그라스울(Glass Wool), (2) 현무암 등 화성암을 약 1,500℃이상의 고열도 녹여 인공 섬유화하고, SiO2-Al2O3-CaO계 화학 조성물로 형성되는 미네랄 울(Mineal Wool) 또는 우레탄 폼 등이 이용되거나, (3) 비드법 단열재(EPS, Expanded Polystyre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심재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열 기능이 있으면, 재질에 상관없이 사용 가능하고, 하나의 외장 패널 내에 한 종류의 심재만 사용되거나, 여러 종류의 심재가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외장 패널은 제1 측면 함몰부(15) 및 제2 측면 돌출부(17)에 두께 방향(z-z’)으로 돌출되는 가스켓(310, 410)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측면 함몰부(15) 및 제2 측면 돌출부(17)에 구비되는 가스켓(310, 410)은 시공시 가스켓 사이의 간섭을 없애기 위해, 외장 패널의 두께 방향(z-z’)을 따라 서로 반대쪽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면 함몰부(15)에 구비되는 제1 측면 가스켓(310)은 제1 측면 함몰부(15)에서 배면 강판(600) 쪽에 위치하는 제1 측면 함몰부(15)의 내측 벽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측면 돌출부(17)에 구비되는 제2 측면 가스켓(410)은 제2 측면 돌출부(17)에서 전면 강판(500) 쪽에 위치하는 제2 측면 돌출부(17)의 돌출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외장 패널로 건물의 외벽을 시공할 때, 복수의 외장 패널이 수평 방향(x-x’)으로 보다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1 측면 함몰부(15)의 함몰 입구는 수평 방향(x-x’)에 경사진 단면(15a)을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측면 돌출부(17)의 끝단 단면은 수평 방향(x-x’)에 경사진 단면(17a)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외장 패널을 수평 방향(x-x’)으로 결합할 때, 외장 패널을 보다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의 각 구성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의 상부 프레임(100)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상부 프레임(100)의 수평 삽입홈(130)에 전면 강판(500)이 연결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7에서 (a)는 상부 프레임(100)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b)는 상부 프레임(100)의 외측면에 대한 사시도, (c)는 상부 프레임(100)의 내측면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에서, 상부 프레임(100)은 상부 바디면(101), 상부 배수로(120), 상부 가스켓 홈(111), 상부 가스켓(110), 수평 삽입홈(130), 상부 제1 지지부(140), 상부 제2 지지부(150) 및 제1 내부 돌출부(1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 프레임(100)에서 상부 가스켓(11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압출 성형(Extrusion molding)과 같은 방식 등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바디면(101)은 두께 방향(z-z’)으로 폭을 가지고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부 바디면(101)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배수로(120) 및 상부 가스켓 홈(111)이 상부 프레임(100)의 내측면으로 함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부 배수로(120)는 상부 바디면(101)의 가운데 부분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 배수로(120)는 복수의 패널이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복수의 외장 패널 사이의 틈으로 물이 유입되는 경우, 유입된 물이 외장 패널의 배면쪽으로 누수되는 것을 차단하여, 외장 패널의 수밀 기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부 가스켓(110)은 상부 바디면(101)에서 상부 배수로(120)를 기준으로 각각이 전면 방향(z) 및 배면 방향(z’)으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부 프레임(100)에 고정되어 상부 방향(y)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부 가스켓(110)은 상부 배수로(120)의 전면 방향(z)에 위치한 제1 상부 가스켓(110a)과 상부 배수로(120)의 배면 방향(z’)에 위치한 제2 상부 가스켓(110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 가스켓(110)은 상부 바디면(101)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된 상부 가스켓 홈(11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부 가스켓 홈(111)은 홈 내부 공간의 폭이 홈 입구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가스켓(110)은 몸통부와 머리부를 구비하고, 몸통부는 상부 가스켓 홈(111)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고, 머리부가 상부 프레임(10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 가스켓(110)은 외장 패널이 수직 방향(y-y’)으로 적층되어 시공되는 경우, 상부 외장 패널과 하부 외장 패널 사이의 틈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거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장 패널의 수밀 및 기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수평 삽입홈(130)은 상부 프레임(100)의 전면쪽에 위치하여 전면 강판(500)의 상부 끝단이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평 삽입홈(130)은 상부 바디면(101)의 전면 끝단에 위치하여, 전면을 향하여 오픈된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강판(500)의 상부 끝단이 수평 삽입홈(13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프레임(100)에 수평 삽입홈(130)이 구비됨으로써, 태풍이나 강풍 등으로 인하여 전면 강판(500)이 상부 프레임(100)으로부터 이탈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외장 패널의 구조적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부 제1 지지부(140)는 상부 바디면(101)의 전면 끝단에 위치한 수평 삽입홈(130)의 하부에서 하부 방향(y’)으로 밴딩되어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 제1 지지부(140)는 전면 강판(500)의 상부 끝단의 내측면에 맞닿아 전면 강판(500)을 지지할 수 있다.
상부 제2 지지부(150)는 상부 바디면(101)의 배면 끝단에서 적어도 1회 이상 수직 및 수평 방향(x-x’)으로 밴딩되고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부 제2 지지부(150)의 끝단이 배면 강판(600)의 상부 끝단 내측과 맞닿아 배면 강판(600)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내부 돌출부(160)는 상부 프레임(100)의 내측면에 위치하여,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일례로, 제1 내부 돌출부(160)가 상부 배수로(120)의 뒤쪽면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하였다. 이와 같은 제1 내부 돌출부(160)는 상부 프레임(100)을 제1 측면 프레임(300) 및 제2 측면 프레임(400)과 결합시킬 때, 제1 측면 프레임(300) 및 제2 측면 프레임(400)에 구비된 내부 함몰부에 직각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내부 돌출부(160)는 상부 프레임(100)을 제1, 2 측면 프레임(300, 400)에 결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어,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의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9a 내지 9d는 도 4에 도시된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의 제1 측면 프레임(3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로서, 도 9a는 제1 측면 프레임(300)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9b는 제1 측면 프레임(300)의 외측면에 대한 사시도, 도 9c는 제1 측면 프레임(300)의 내측면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9d는 (b)에서 제1 측면 프레임(300)의 수직 삽입홈(330) 중에서 K350 부분 내에 삽입되는 고정 클립(350)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0은 도 9d에 도시된 고정 클립(350)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11은 도 9d에 도시된 고정 클립(350)에 전면 강판(500)의 제1 측면 끝단이 결합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에서 제1 측면 프레임(300)의 일례는 함몰 바닥면(301), 제1 측면 배수로(320), 제1 함몰 측면(302a), 제2 함몰 측면(302b), 제1 측면 가스켓(310), 제1 측면 가스켓 홈(311), 제1 측면 제1 지지부(303a), 제1 측면 제2 지지부(303b), 수직 삽입홈(330), 제1 내부 함몰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측면 프레임(300)에서 제1 측면 가스켓(310) 및 고정 클립(35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압출 성형(Extrusion molding)과 같은 방식 등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된 제1 측면 프레임(300)은 형상 자체로 외장 패널의 제1 측면 함몰부(15)의 내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함몰 바닥면(301)은 두께 방향(z-z’)으로 폭을 가지고, 제1 측면 함몰부(15)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함몰 바닥면(301)의 가운데 부분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제1 측면 배수로(3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측면 배수로(320)는 제1 측면 프레임(300)이 상부 프레임(100)에 직각 방향으로 결합되었을 때, 상부 배수로(1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배수로(120)로 유입된 물은 제1 측면 배수로(320)를 통하여 하부 방향(y’)으로 흘러내려갈 수 있다.
제1 측면 배수로(320)의 반대쪽 면에는 제1 내부 함몰부(32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내부 함몰부(321)는 제1 측면 프레임(300)이 상부 프레임(100)의 제1 측면 끝단에 결합될 때, 상부 프레임(100)에 구비된 제1 내부 돌출부(160)의 끝단에 삽입되어, 제1 측면 프레임(300)이 상부 프레임(100)에 보다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함몰 측면(302a)은 함몰 바닥면(301)의 전면쪽 끝단에서 수평 방향(x-x’)으로 밴딩 및 연장되어 제1 측면 함몰부(15)의 전면쪽 내측 벽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함몰 측면(302b)은 함몰 바닥면(301)의 배면쪽 끝단에서 수평 방향(x-x’)으로 밴딩 및 연장되어 제1 측면 함몰부(15)의 배면쪽 내측 벽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측면 프레임(300)의 함몰 바닥면(301), 제1 함몰 측면(302a) 및 제2 함몰 측면(302b)은 제1 측면 함몰부(15)의 바닥면 및 내부 벽면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측면 가스켓(310)은 제1 측면 프레임(300)의 제1, 2 함몰 측면(302a, 302b) 중 어느 하나의 함몰 측면에 고정되어 두께 방향(z-z’)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측면 가스켓(310)은 제2 함몰 측면(302b)의 끝단에 구비된 제1 측면 가스켓 홈(31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d에서는 일례로 제1 측면 가스켓(310)이 제2 함몰 측면(302b)에 고정되어 전면 방향(z)으로 돌출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측면 가스켓(310)이 제1 함몰 측면(302a)에 고정되어 배면 방향(z’)으로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측면 제1 지지부(303a)는 제1 함몰 측면(302a)의 끝단에서 전면 방향(z)으로 밴딩 및 연장되고, 전면 강판(500)의 제1 측면 끝단과 맞닿아, 전면 강판(50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측면 제1 지지부(303a)의 끝단에는 전면을 향하여 개구되어, 전면 강판(500)의 제1 측면이 삽입되는 수직 삽입홈(330)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측면 제1 지지부(303a)에 구비된 수직 삽입홈(330)에는 내측 끝단에서 두께 방향(z-z’)으로 연장된 이후 수평 방향(x-x’)으로 밴딩 및 연장되는 제1 측면 추가 지지부(304a)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제1 측면 제1 지지부(303a) 및 제1 측면 추가 지지부(304a)에 전면 강판(500)의 제1 측면 끝단이 맞닿아, 전면 강판(500)이 지지될 수 있다.
제1 측면 제2 지지부(303b)는 제2 함몰 측면(302b)의 끝단에서 배면 방향(z’)으로 밴딩 및 연장되고, 배면 강판(600)의 제1 측면 끝단과 맞닿아, 배면 강판(600)을 지지할 수 있다.
수직 삽입홈(330)에는 도 9d와 같이 고정 클립(350)이 별도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 클립(350)은 수직 방향(y-y’)으로 연장되는 수직 삽입홈(330)의 전체 부분 중에서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분(K350)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 클립(350)은 외장 패널을 조립할 때,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삽입홈(330) 내에 적어도 하나가 삽입 및 고정된 상태에서, 전면 강판(500)의 제1 측면 끝단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 클립(350)은 삽입홈 걸림부(353) 및 강판 고정부(354)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홈 걸림부(353)는 고정 클립(350)이 수직 삽입홈(330) 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강판 고정부(354)는 고정 클립(350)에 전면 강판(500)이 삽입되었을 때, 전면 강판(500)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바디부(351), 보조 바디부(352), 삽입홈 걸림부(353) 및 강판 고정부(354)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바디부(351)는 수직 삽입홈(330)의 바닥면 및 측벽면에 맞닿는 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 바디부(351)는 수직 삽입홈(330)의 바닥면(330a)에 맞닿는 고정 바디부 제1 부분(351a), 수직 삽입홈(330)의 내측 벽면 중 외장 패널의 외측에 위치하는 벽면(330b)에 고정 바디부 제2 부분(351b) 및 수직 삽입홈(330)의 내측 벽면 중 외장 패널의 내측에 위치하는 벽면(330c)에 고정 바디부 제3 부분(351c)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바디부(352)는 고정 바디부(351) 중 수직 삽입홈(330)의 바닥면과 인접한 부분부터 수직 삽입홈(330)의 개구부쪽 방향으로 밴딩되어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 바디부(351)와 보조 바디부(352)로부터 삽입홈 걸림부(353)와 강판 고정부(354)가 절단되어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홈 걸림부(353)는 고정 바디부(351) 중 일부로부터 수직 삽입홈(330)의 측벽면을 향하여 돌출되어, 고정 클립(350)이 수직 삽입홈(330) 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홈 걸림부(353a, 353b)는 고정 바디부 제2 부분(351b) 및 고정 바디부 제3 부분(351c) 각각으로부터 수직 삽입홈(330)의 측벽면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삽입홈 걸림부(353)가 돌출되는 방향은 수직 삽입홈(330)의 바닥면 쪽에서 측벽면쪽으로 돌출되되, 돌출된 방향이 수직 삽입홈(330)의 개구부 방향쪽으로 사선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 삽입홈(330) 내에 한번 삽입된 고정 클립(350)은 삽입홈 걸림부(353)에 의해 수직 삽입홈(330) 내에 고정될 수 있다.
강판 고정부(354)는 고정 바디부(351) 중 일부로부터 수직 삽입홈(330)의 바닥면(330a)과 보조 바디부(352) 쪽을 향해 사선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기(354a)와 보조 바디부(352)로부터 제1 돌기(354a)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기(354b)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기(354a)와 제2 돌기(354b) 사이로 전면 강판(500)이 한번 삽입되면, 전면 강판(500)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도 4에 도시된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의 제2 측면 프레임(400)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2a는 제2 측면 프레임(400)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12b는 제2 측면 프레임(400)의 외측면에 대한 사시도, 도 12c는 제2 측면 프레임(400)의 내측면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a 내지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측면 프레임(400)은 형상 자체로 외장 패널의 제2 측면 돌출부(17)의 외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측면 프레임(400)은 돌출 끝단면(401), 제2 측면 배수로(420), 제2 내부 함몰부(421), 제2 돌출 측면(402a), 제2 돌출 측면(402b), 제2 측면 가스켓(410), 제2 측면 가스켓 홈(411), 제2 측면 제1 지지부(403a) 및 제2 측면 제2 지지부(403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측면 프레임(400)에서 제2 측면 가스켓(41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압출 성형(Extrusion molding)과 같은 방식 등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 끝단면(401)은 제2 측면 돌출부(17)의 돌출된 끝단에서 두께 방향(z-z’)으로 폭을 가지는 면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측면 배수로(420)는 돌출 끝단면(401)의 가운데 부분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측면 배수로(420)는 상부 배수로(120)와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측면 배수로(420)의 뒤쪽면에는 내측을 향하여 함몰된 제2 내부 함몰부(42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내부 함몰부(421)는 제2 측면 프레임(400)이 상부 프레임(100)의 제2 측면 끝단에 직각 방향으로 결합되었을 때, 상부 프레임(100)의 제1 내부 돌출부(160)의 끝단에 삽입되어, 제2 측면 프레임(400)이 상부 프레임(100)에 보다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돌출 측면(402a)은 돌출 끝단면(401)의 전면쪽 끝단에서 수평 방향(x-x’)으로 밴딩 및 연장되어 제2 측면 돌출부(17)의 전면쪽 측면을 형성할 수 있고, 제2 돌출 측면(402b)은 돌출 끝단면(401)의 배면쪽 끝단에서 수평 방향(x-x’)으로 밴딩 및 연장되어 제2 측면 돌출부(17)의 배면쪽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측면 가스켓(410)은 제1 측면 가스켓(310)과 반대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측면 가스켓(310)이 제1 측면 프레임(300)의 배면쪽에 위치하는 경우, 제2 측면 가스켓(410)은 제2 측면 프레임(400)의 전면쪽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측면 가스켓(310)이 제1 측면 프레임(300)의 전면쪽에 위치하는 경우, 제2 측면 가스켓(410)은 제2 측면 프레임(400)의 배면쪽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일례로, 제1 측면 가스켓(310)이 도 9a 내지 도 9d에서 제1 측면 프레임(300)의 배면쪽에 위치하는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였므로, 제2 측면 가스켓(410)은 제2 측면 프레임(400)의 전면쪽인 제2 돌출 측면(402a)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돌출 측면(402a)에서 돌출 끝단면(401)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측면 가스켓(410)은 제2 돌출 측면(402a)에 고정되어 전면 방향(z)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측면 제1 지지부(403a)는 제2 돌출 측면(402a)의 끝단에서 전면 방향(z)으로 밴딩 및 연장되고, 전면 강판(500)의 제2 측면 끝단을 지지할 수 있다. 더불어 제2 측면 제1 지지부(403a)의 끝단에는 제1 측면쪽의 수평 방향(x-x’)으로 밴딩되어 연장되는 제2 측면 제1 추가 지지부(404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측면 제1 지지부(403a) 및 제2 측면 제1 추가 지지부(404a)에 전면 강판(500)의 제2 측면 끝단이 맞닿아, 전면 강판(500)이 지지될 수 있다.
제2 측면 제2 지지부(403b)는 제2 돌출 측면(402b)의 끝단에서 배면 방향(z’)으로 밴딩 및 연장될 수 있고, 제2 측면 제2 지지부(403b)의 끝단에는 제1 측면쪽의 수평 방향(x-x’)으로 밴딩되어 연장되는 제2 측면 제2 추가 지지부(404b)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측면 제2 지지부(403b) 및 제2 측면 제2 추가 지지부(404b)에 배면 강판(600)의 제2 측면 끝단이 맞닿아 지지될 수 있다.
도 13은 도 4에 도시된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의 하부 프레임(200)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3에서, (a)는 하부 프레임(200)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b)는 하부 프레임(200)의 외측면에 대한 사시도, (c)는 하부 프레임(200)의 내측면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200)은 하부 함몰 바닥면(201), 제1 하부 함몰 측면(202a), 제2 하부 함몰 측면(202b), 하부 제1 지지부(203a), 하부 제1 추가 지지부(204), 하부 제2 지지부(203b) 및 제2 내부 돌출부(220)를 포함하고, 하부 프레임(200)의 하부 함몰 바닥면(201), 제1 하부 함몰 측면(202a), 제2 하부 함몰 측면(202b)은 형상 자체로 하부 함몰부(13)의 내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부 프레임(200)은 압출 성형(Extrusion molding)과 같은 방식 등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함몰 바닥면(201)은 두께 방향(z-z’)으로 폭을 가지고 수평 방향(x-x’)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하부 함몰부(13)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하부 함몰 바닥면(201)의 가운데 부분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2 내부 돌출부(2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내부 돌출부(220)는 하부 프레임(200)의 제1 측면 끝단이 제1 측면 프레임(300)과 직각 방향으로 결합될 때, 제1 내부 함몰부(321)에 삽입되고, 하부 프레임(200)의 제2 측면 끝단이 제2 측면 프레임(400)과 직각 방향으로 결합될 때, 제2 내부 함몰부(421)에 삽입되어, 하부 프레임(200)과 제1 측면 프레임(300) 사이 및 하부 프레임(200)과 제2 측면 프레임(400) 사이의 결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1 하부 함몰 측면(202a)은 하부 함몰 바닥면(201)의 전면 끝단에서 하부 방향(y’)으로 밴딩 및 연장되어, 하부 함몰부(13)의 전면쪽 내부 측벽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하부 함몰 측면(202b)은 하부 함몰 바닥면(201)의 배면 끝단에서 하부 방향(y’)으로 밴딩 및 연장되어, 하부 함몰부(13)의 배면쪽 내부 측벽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하부 제1 지지부(203a)는 제1 하부 함몰 측면(202a)의 끝단에서 전면 방향(z)으로 밴딩 및 연장되고, 하부 제1 추가 지지부(204)는 하부 제1 지지부(203a)의 전면 끝단에서 상부 방향(y)으로 밴딩 및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하부 함몰 측면(202a), 하부 제1 지지부(203a) 및 하부 제1 추가 지지부(204)는 전면 강판(500)의 하부 끝단과 맞닿아 전면 강판(500)을 지지할 수 있다.
하부 제2 지지부(203b)는 제2 하부 함몰 측면(202b)의 끝단에서 배면 방향(z’)으로 밴딩 및 연장되어, 배면 강판(600)의 하부 끝단과 맞닿아, 배면 강판(600)을 지지할 수 있다.
아울러, 하부 프레임(200)의 함몰 내부에는 수평 방향(x-x’)으로 길게 연장되는 영역에서 양쪽 끝단 부분의 에지 영역에 수밀 패드(2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밀 패드(210)는 하부 프레임(200)의 가운데 영역에는 구비되지 않고, 양쪽 끝단 부분에 구비될 수 잇다.
이와 같은 수밀 패드(210)는 외장 패널의 수밀 효과 및 기밀 효과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수밀 패드(210a)는 상부 프레임(100)에서 제1 측면과 인접한 제1 에지 영역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수밀 패드(210b)는 하부 프레임(200)에서 제2 측면과 인접한 제2 에지 영역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1, 2 수밀 패드(210a, 210b)는 서로 수평 방향(x-x’)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2 수밀 패드(210a, 210b)는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의 수밀 및 기밀 효과를 더욱 향상시켜,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의 전면으로부터 차가운 공기나 습기가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의 배면으로 유입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건물의 외벽과 복수의 건축용 외장 패널 사이의 공간이나 건물 외벽의 내측에 결로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2 수밀 패드(210a, 210b)는 연질의 합성 수지 재질을 포함하고, 일례로, 폼테이프 재질, 실리콘 발포 재질 또는 고무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제1, 2 수밀 패드(210a, 210b) 각각이 외장 패널과 접하는 부분에 접착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은 수밀 패드(210)를 하부 프레임(200)의 제1, 2 에지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함으로써,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들이 수직 방향(y-y’)으로 결합될 때, 상부에 위치하는 제1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10a)과 하부에 위치하는 제2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10b) 사이에 비어있는 틈이나 공간을 제1, 2 측면에서 채울 수 있다.
아울러, 수밀 패드(210)는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들이 수평 방향(x-x’)으로 결합될 때, 외장 패널의 측면에 위치하는 가스켓이 채우지 못하는 비어있는 틈이나 공간을 채울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축용 외장의 기밀 및 수밀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는 도 7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복수의 프레임이 서로 결합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00), 제1 측면 프레임(300), 제2 측면 프레임(400) 및 하부 프레임(200)을 포함하는 복수의 프레임은 각 프레임의 끝단이 직각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프레임(100)의 제1, 2 측면 끝단의 내측면에 제1 측면 프레임(300)의 상부 끝단 단면과 제2 측면 프레임(400)의 상부 끝단 단면이 맞닿아 결합될 수 있으며, 하부 프레임(200)의 제1, 2 측면 끝단의 내측면에 제1 측면 프레임(300)의 하부 끝단 단면과 제2 측면 프레임(400)의 하부 끝단 단면이 맞닿아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부 프레임(100)의 제1 내부 돌출부(160) 및 하부 프레임(200)의 제2 내부 돌출부(220) 각각의 끝단은 제1 측면 프레임(300)의 제1 내부 함몰부(321) 및 제2 측면 프레임(400)의 제2 내부 함몰부(421) 각각의 끝단에 수직 방향(y-y’)으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 프레임(100) 및 하부 프레임(200)에 내부 돌출부, 제1 측면 프레임(300) 및 제2 측면 프레임(400)에 내부 함몰부가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상부 프레임(100) 및 하부 프레임(200)에 내부 함몰부, 제1 측면 프레임(300) 및 제2 측면 프레임(400)에 내부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외장 패널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프레임[일례로,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 각각의 내부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 돌출부는 서로 마주보는 나머지 한 쌍의 프레임[일례로, 제1 측면 프레임(300)과 제2 측면 프레임(400)] 각각의 내부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 함몰부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외장 패널을 제조할 때에, 외장 패널의 제조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구체적으로, 외장 패널을 조립할 때에, 배면 강판(600)의 외부면이 지면을 향하고, 내부면이 지면 위로 향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복수의 프레임 각각이 배면 강판(600)의 상하부 끝단의 내부면 및 제1, 2 측면의 끝단의 내부면에 배치되어 세워질 수 있다.
이때, 어느 한 쌍의 프레임 각각의 내부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 돌출부는 나머지 한 쌍의 프레임 각각의 내부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 함몰부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어느 한 쌍의 프레임과 나머지 한 쌍의 프레임이 서로 지지하도록 하여, 각 프레임이 넘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프레임에 구비된 내부 돌출부 및 내부 함몰부는 외장 패널의 제조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외장 패널은 고정 부재(20)가 관통되는 부분에서 외장 패널의 내부에는 외장 패널의 외형을 유지시키는 스페이서(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페이서는(40)는 비금속 재질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비금속 재질 중 플라스틱 재질, 스티로폼 또는 합성 수지 재질일 수 있다.
도 15는 도 4에 도시된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의 전면 강판(5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로서, 도 15의 (a)는 전면 강판(500)의 외측면에 대한 사시도이고, (b)는 전면 강판(500)의 내측면에 대한 사시도이고, (c)는 (a)에서 Y1-Y1 라인에 따른 단면, (d)는 (a)에서 X1-X1 라인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전면 강판(500)은 복수의 프레임의 전면에 위치하여 복수의 프레임에 결합되고, 외장 패널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바디(510), 전면 상단턱(520), 전면 돌출부(530), 전면 상부 덮개(540), 전면 하부 제1 덮개(550), 전면 하부 제2 덮개(560), 전면 제1 측면 덮개(570), 전면 제2 측면 덮개(580) 및 전면 추가 연장 부분(590)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바디(510)는 수직 방향(y-y’) 및 수평 방향(x-x’)으로 넓게 면으로 형성되고, 전면 상단턱(520)은 전면 바디(510)의 상부 끝단에서 배면 방향(z’)으로 밴딩 및 연장되고, 전면 돌출부(530)는 전면 상단턱(520)의 끝단에서 상부 방향(y)으로 밴딩 및 연장될 수 있다.
전면 상부 덮개(540)는 전면 돌출부(530)의 상부 끝단에서 배면 방향(z’)으로 밴딩 및 연장되어 상부 프레임(100)의 전면측 상부 외측면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이때, 일례로 전면 상부 덮개(540)의 끝단은 도 1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00)에 구비된 수평 삽입홈(130)에 삽입될 수 있다.
전면 하부 제1 덮개(550)는 전면 바디(510)의 하부 끝단에서 배면 방향(z’)으로 밴딩 및 연장되고, 전면 하부 제2 덮개(560)는 전면 하부 제1 덮개(550)의 끝단에서 상부 방향(y)으로 밴딩 및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면 하부 제1 덮개(550)와 전면 하부 제2 덮개(560)는 도 1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200)의 전면측 하부 외측면과 하부 함몰부의 내측면 일부와 맞닿아, 결합될 수 있다.
전면 제1 측면 덮개(570)는 전면 바디(510)의 제1 측면 끝단에서 배면 방향(z’)으로 밴딩 및 연장될 수 있으며, 도 1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제1 측면 덮개(570)의 끝단은 제1 측면 프레임(300)의 수직 삽입홈(33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전면 제2 측면 프레임(400) 덮개는 전면 바디(510)의 제2 측면 끝단에서 배면 방향(z’)으로 밴딩 및 연장되어, 제2 측면 프레임(400)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전면 추가 연장 부분(590)은 전면 제2 측면 프레임(400) 덮개의 끝단으로부터 수평 방향(x-x’)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2 측면 프레임(400)의 일부를 추가적으로 더 덮을 수 있다. 이때, 전면 추가 연장 부분(590)은 제2 측면 프레임(400)의 제2 측면 가스켓(410)이 위치한 부분까지 수평 방향(x-x’)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6은 도 4에 도시된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의 배면 강판(6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로서, 도 16의 (a)는 배면 강판(600)의 외측면에 대한 사시도이고, (b)는 배면 강판(600)의 내측면에 대한 사시도이고, (c)는 (a)에서 Y2-Y2 라인에 따른 단면, (d)는 (a)에서 X2-X2 라인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배면 강판(600)은 앞서 설명한 복수의 프레임의 배면에 위치하여 복수의 프레임에 결합되고, 외장 패널의 배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면 강판(600)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 바디(610), 배면 상부 덮개(620), 배면 하부 제1 덮개(630), 배면 하부 제2 덮개(640), 배면 제1 측면 덮개(650) 및 배면 제2 측면 덮개(660)를 포함할 수 있다.
배면 바디(610)는 수직 방향(y-y’) 및 수평 방향(x-x’)으로 넓게 면으로 형성되고, 배면 상부 덮개(620)는 배면 바디(610)의 상부 끝단에서 전면 방향(z)으로 밴딩 및 연장되어, 상부 프레임(100)의 배면 끝단을 덮을 수 있다.
배면 하부 제1 덮개(630)는 배면 바디(610)의 하부 끝단에서 전면 방향(z)으로 밴딩 및 연장되고, 배면 하부 제2 덮개(640)는 배면 하부 제1 덮개(630)의 끝단에서 상부 방향(y)으로 밴딩 및 연장되어, 하부 프레임(200)의 전면쪽 외측면과 하부 함몰부(13)의 내부 벽면 중 전면쪽을 덮을 수 있다.
배면 제1 측면 덮개(650)는 배면 바디(610)의 제1 측면 끝단에서 전면 방향(z)으로 밴딩 및 연장되어, 제1 측면 프레임(300)의 배면 끝단을 두께 방향(z-z’)으로 덮을 수 있으며, 배면 제2 측면 덮개(660)는 배면 바디(610)의 제2 측면 끝단에서 전면 방향(z)으로 밴딩 및 연장되어, 제2 측면 프레임(400)의 배면 끝단을 두께 방향(z-z’)으로 덮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은 수평 방향(x-x’)의 길이보다 긴 수직 방향(y-y’)의 길이를 갖는 외장 패널에 대해, 전면 강판(500)의 상부 끝단 또는 측면 끝단이 상부 프레임(100) 또는 측면 프레임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강한 태풍이나 바람에도 전면 강판(500)이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외장 패널의 구조적 안정성 및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기술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각 기술적 특징이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서로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5)

  1. 수평 방향보다 수직 방향으로의 연장 길이가 더 큰 전면 강판;
    상기 전면 강판의 배면에 두께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수평 방향보다 상기 수직 방향으로의 연장 길이가 더 큰 배면 강판;
    상기 전면 강판의 상부와 상기 배면 강판의 상부 사이에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전면 강판의 제1 측면과 상기 배면 강판의 제1 측면 사이에 결합되는 제1 측면 프레임;
    상기 제1 측면과 반대쪽 측면인 상기 전면 강판의 제2 측면과 상기 배면 강판의 제2 측면 사이에 결합되는 제2 측면 프레임; 및
    상기 전면 강판의 하부와 상기 배면 강판의 하부 사이에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2 측면 프레임의 상기 수직 방향 길이는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기 수평 방향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1 측면 프레임은 상기 수평 방향의 내측으로 함몰되는 제1 측면 함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측면 프레임은 상기 수평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 측면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측면 프레임의 상기 제1 측면 함몰부의 외측 주변에는 전면 방향으로 개구되어, 상기 전면 강판의 상기 제1 측면 끝단이 삽입되는 수직 삽입홈을 구비하되, 상기 수직 삽입홈 내에는 상기 전면 강판의 제1 측면 끝단이 삽입되는 고정 클립이 적어도 하나 구비되고,
    상기 고정 클립은
    상기 수직 삽입홈 내에 상기 고정 클립이 고정되도록 하는 삽입홈 걸림부 및
    상기 고정 클립에 상기 전면 강판이 삽입 고정되는 강판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은 전면쪽에 상기 전면 강판의 상부 끝단이 삽입되는 수평 삽입홈을 구비하는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프레임은
    상기 두께 방향으로 폭을 가지고, 상기 제1 측면 함몰부의 바닥면을 구비하는 함몰 바닥면;
    상기 함몰 바닥면의 전면쪽 끝단에서 상기 수평 방향으로 밴딩 및 연장되어 상기 제1 측면 함몰부의 전면쪽 내측 벽면을 형성하는 제1 함몰 측면;
    상기 함몰 바닥면의 배면쪽 끝단에서 상기 수평 방향으로 밴딩 및 연장되어 상기 제1 측면 함몰부의 배면쪽 내측 벽면을 형성하는 제2 함몰 측면;
    상기 제1 함몰 측면의 끝단에서 상기 전면 방향으로 밴딩 및 연장되고, 상기 전면 강판의 제1 측면 끝단을 지지하는 제1 측면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함몰 측면의 끝단에서 배면 방향으로 밴딩 및 연장되고, 상기 배면 강판의 제1 측면 끝단을 지지하는 제1 측면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제1 지지부에 상기 수직 삽입홈이 구비되는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프레임은
    상기 함몰 바닥면의 가운데 부분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제1 측면 배수로를 더 포함하는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클립은
    상기 수직 삽입홈의 바닥면 및 측벽면에 맞닿는 면을 구비하는 고정 바디부;
    상기 고정 바디부 중 상기 수직 삽입홈의 바닥면과 인접한 부분부터 상기 수직 삽입홈의 개구부 방향으로 밴딩되어 연장되는 보조 바디부;
    상기 고정 바디부 중 일부로부터 상기 수직 삽입홈의 측벽면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고정 클립이 상기 수직 삽입홈 내에 고정되도록 하는 상기 삽입홈 걸림부; 및
    상기 고정 바디부 중 일부로부터 상기 보조 바디부로 돌출된 제1 돌기와 상기 보조 바디부로부터 상기 제1 돌기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 사이로 상기 전면 강판이 삽입 고정되는 상기 강판 고정부;를 구비하는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 프레임은
    상기 제2 측면 돌출부의 돌출된 끝단에서 상기 두께 방향으로 폭을 가지는 면을 구비하는 돌출 끝단면;
    상기 돌출 끝단면의 전면쪽 끝단에서 상기 수평 방향으로 밴딩 및 연장되어 상기 제1 측면 돌출부의 전면쪽 측면을 형성하는 제1 돌출 측면;
    상기 돌출 끝단면의 배면쪽 끝단에서 상기 수평 방향으로 밴딩 및 연장되어 상기 제1 측면 돌출부의 배면쪽 측면을 형성하는 제2 돌출 측면;
    상기 제1 돌출 측면의 끝단에서 상기 전면 방향으로 밴딩 및 연장되고, 상기 전면 강판의 제2 측면 끝단을 지지하는 제2 측면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돌출 측면의 끝단에서 배면 방향으로 밴딩 및 연장되고, 상기 배면 강판의 제2 측면 끝단을 지지하는 제2 측면 제2 지지부;를 구비하는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 프레임은
    상기 돌출 끝단면의 가운데 부분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제2 측면 배수로를 더 포함하는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프레임의 제1, 2 함몰 측면 중 어느 하나의 함몰 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측면 가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면 프레임의 제1, 2 돌출 측면 중 상기 어느 하나의 함몰 측면과 상기 두께 방향을 따라 반대쪽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돌출 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측면 가스켓을 포함하는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측면 가스켓 중 어느 하나의 측면 가스켓은 상기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고, 나머지 하나의 측면 가스켓은 배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
  9. 삭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두께 방향으로 폭을 가지고 평면으로 형성되는 상부 바디면;
    상기 상부 바디면의 가운데 부분에서 내측으로 함몰되는 상부 배수로;
    상기 상부 바디면에서 상기 상부 배수로를 기준으로 각각이 전면 및 후면 방향으로 이격되어 고정되고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부 가스켓; 및
    상기 상부 바디면의 전면 끝단에 위치하여, 상기 전면 강판의 상부 끝단이 삽입되는 상기 수평 삽입홈;을 구비하는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부 함몰부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부 함몰 바닥면;
    상기 하부 함몰 바닥면의 전면 끝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밴딩되어 연장되는 재1 하부 함몰 측면;
    상기 재1 하부 함몰 측면의 하부 끝단에서 전면 방향으로 밴딩되어 연장되는 하부 제1 지지부;
    상기 하부 함몰 바닥면의 배면 끝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밴딩되어 연장되는 제2 하부 함몰 측면; 및
    상기 제2 하부 함몰 측면의 하부 끝단에서 배면 방향으로 밴딩되어 연장되는 하부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강판은
    상기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넓게 형성된 전면 바디;
    상기 전면 바디의 상부 끝단에서 상기 배면 강판이 위치하는 두께 방향으로 밴딩 및 연장되는 전면 상단턱;
    상기 전면 상단턱의 끝단에서 상부 방향으로 밴딩 및 연장되는 전면 돌출부;
    상기 전면 돌출부의 끝단에서 후면 방향으로 밴딩 및 연장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전면측 상부 외측면 일부를 덮는 전면 상부 덮개; 및
    상기 전면 바디의 하부 끝단에서 후면 방향으로 밴딩 및 연장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전면측 하부 외측면 일부를 덮는 전면 하부 프레임 덮개를 포함하는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상부 프레임 덮개의 끝단은 수평 삽입홈에 삽입되는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강판은
    상기 전면 바디의 제1 측면 끝단에서 배면 방향으로 밴딩 및 연장되는 전면 제1 측면 덮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 제1 측면 덮개의 끝단은 상기 수직 삽입홈 내에 위치한 상기 고정 클립에 고정되는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강판은
    상기 전면 바디의 제2 측면 끝단에서 배면 방향으로 밴딩 및 연장되어, 상기 제2 측면 프레임의 일부를 덮는 전면 제2 측면 덮개; 및
    상기 전면 제2 측면 프레임 덮개로부터 상기 수평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측면 프레임의 일부를 추가적으로 더 덮는 전면 추가 연장 부분;을 더 포함하는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
KR1020210007077A 2021-01-18 2021-01-18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 KR102586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077A KR102586746B1 (ko) 2021-01-18 2021-01-18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077A KR102586746B1 (ko) 2021-01-18 2021-01-18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588A KR20220104588A (ko) 2022-07-26
KR102586746B1 true KR102586746B1 (ko) 2023-10-06

Family

ID=82609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077A KR102586746B1 (ko) 2021-01-18 2021-01-18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67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46240B (zh) * 2024-03-01 2024-05-24 济南四建(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装配式建筑用节能型轻质复合保温板材及应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607B1 (ko) 2011-04-25 2011-10-11 남정무 패널보강판재 및 이를 이용한 패널
KR101849769B1 (ko) * 2016-02-03 2018-04-18 주식회사 광스틸 조립클립과 이를 구비한 패널 시스템
KR101931161B1 (ko) * 2016-11-29 2018-12-20 주식회사 광스틸 프레임 구조를 이용한 외단열 패널
KR102013454B1 (ko) * 2018-02-07 2019-08-22 주식회사 광스틸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조립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588A (ko) 202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6496B1 (ko) 내진형 시스템패널
KR101982094B1 (ko) 복합 프레임을 구비하는 커튼월
KR20170107905A (ko) 외장재의 부착구 및 외장 구조
KR102586746B1 (ko)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
KR102177263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2013454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조립 구조
US11230845B2 (en) Building exterior panel and assembly structure thereof
KR102281185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조립 구조
KR102082412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조립 구조
KR102273175B1 (ko) 건식 공법을 이용한 외단열 패널 및 그 조립 구조
KR102110820B1 (ko) 복합 커튼월 시스템
JP4272638B2 (ja) ガスケットおよび建具
KR102136420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조립 구조
KR20220104587A (ko) 삽입홈을 구비한 외장 패널
KR102013455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조립 구조
KR102189186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조립 구조
US20200173224A1 (en) Cover assembly for windows
CN106638997B (zh) 型材对接防水结构及阳光房
KR102328728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건축용 외장 패널과 환기구의 연결 구조
KR100328412B1 (ko) 격자식 이중창호용 후레임
JP3640332B2 (ja) パネルユニットの雨仕舞い装置
KR102662445B1 (ko) 윈도우프레임조립체
KR102637550B1 (ko) 곡면이 형성된 프레임을 포함하는 건축용 외장 패널
CN210238857U (zh) 装配式建筑的绿色墙体保温结构
KR200403521Y1 (ko) 샌드위치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