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4101A - 차량용 커튼 에어백 - Google Patents

차량용 커튼 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4101A
KR20170104101A KR1020160026650A KR20160026650A KR20170104101A KR 20170104101 A KR20170104101 A KR 20170104101A KR 1020160026650 A KR1020160026650 A KR 1020160026650A KR 20160026650 A KR20160026650 A KR 20160026650A KR 20170104101 A KR20170104101 A KR 20170104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d portion
curtain airbag
panel tether
airbag cushion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6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6601B1 (ko
Inventor
최재호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6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601B1/ko
Priority to US15/223,211 priority patent/US10023148B2/en
Priority to CN201610685282.2A priority patent/CN107150651B/zh
Priority to DE102016115507.1A priority patent/DE102016115507A1/de
Publication of KR20170104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4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roof frame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9Oblique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48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021/1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additional means for controlling deployment traject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6External te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7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connections between panels
    • B60R2021/23576Se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Abstract

커튼 에어백 쿠션; 커튼 에어백의 쿠션의 전방 끝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제1접힘부; 제1접힘부에서 후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형성된 제2접힘부; 제1접힘부와 제2접힘부 사이의 커튼 에어백 쿠션의 창문측 면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 패널테더;를 포함하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커튼 에어백 {CURTAIN AIRBAG FOR VEHICLE}
본 발명은 커튼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차량의 경사 충돌상황에서 운전자가 차량의 A필러 부위와 하드 컨택 하는 것을 방지하는 커튼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기능성 및 편의성과 더불어 탑승객의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사고 발생시 탑승객을 보호할 수 있는 안전과 관련된 장치들의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탑승객 보호를 위한 안전장치 중에서, 특히 에어백 시스템은 차량의 충돌상황에서 탑승객의 충격을 분산시키는 가장 기본이 되는 보호장치이다.
에어백은 운전석과 조수석 정면뿐만이 아니라 측면충돌에 대비하여 측면의 창문을 따라 길게 펼쳐지게 되는 사이드에어백 혹은 커튼 에어백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특히 차량의 측면충돌과 관련된 에어백 시스템은 통상 탑승객의 머리부 보호를 위한 커튼 에어백(Curtain Air-Bag)과, 탑승객의 측면 흉부를 보호하기 위한 사이드 에어백(Side Air-Bag)으로 구분되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커튼 에어백 쿠션은 자동차의 루프패널의 측면을 따라 자동차의 전후로 길게 설치되어, 인플레이터를 통해 가스가 유입되면 도어글래스와 승객과의 사이로 전개되어서, 앞좌석 및 뒷좌석에 앉은 승객의 머리부를 보호하는 장치이다.
다만, 종래의 2차원 평면형 커튼 에어백만으로는 차량의 경사충돌 상황에서 운전자를 충분히 보호하지 못하고, 차량의 A필러 부분과 하드컨택을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4-0079246 A
본 발명은 차량의 경사 충돌 상황에서 운전자의 머리가 커튼 에어백과 운전자 에어백 사이의 공간으로 빠져나가 하드컨택이 발생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커튼 에어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튼 에어백은 커튼 에어백 쿠션; 커튼 에어백의 쿠션의 전방 끝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형성되며, 커튼 에어백 쿠션의 실내측 면과 창문측 면이 맞닿아 형성된 제1접힘부; 제1접힘부에서 후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커튼 에어백 쿠션의 실내측 면과 창문측 면이 맞닿아 형성된 제2접힘부; 커튼 에어백 쿠션의 창문측 면에서 제1접힘부와 제2접힘부를 상호 연결하되, 제1접힘부와 제2접힘부 사이의 커튼 에어백 쿠션의 창문측 면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 패널테더; 및 패널테더의 장력에 의해 커튼 에어백 쿠션의 제1접힘부와 제2접힘부 사이 지점이 실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한다.
제1접힘부 및 제2접힘부는 상단이 후방에 치우치도록 기울어진 형상일 수 있다.
제2접힘부는 제1접힘부보다 후방으로 더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접힘부는 상단이 전방에 치우치도록 기울어진 형상이고, 제2접힘부는 상단이 후방에 치우치도록 기울어진 형상일 수 있다.
패널테더는 제1패널테더와 제2패널테더로 구성되고, 제1패널테더는 커튼 에어백 쿠션의 창문측 면에서 제1접힘부와 제2접힘부의 상단부를 상호 연결시키며, 제2패널테더는 커튼 에어백 쿠션의 창문측 면에서 제1접힘부와 제2접힘부의 하단부를 상호 연결시킬 수 있다.
제2패널테더는 제1패널테더보다 길이가 짧을 수 있다.
패널테더는 제1패널테더와 제2패널테더로 구성되고, 제1패널테더와 제2패널테더는, 제1접힘부와 제2접힘부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상호 교차하며 연결시킬 수 있다.
돌출부는 커튼 에어백 만개시 전방 에어백보다 후방에 위치되며 전방 에어백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지지력을 얻을 수 있다.
돌출부는 커튼 에어백 만개시 돌출부의 실내측 단부가 전방 에어백의 도어측 단부와 맞닿아 커튼에어백과 전방 에어백 사이의 공간을 메울 수 있다.
제1접힘부와 제2접힘부 사이에는 제3접힘부가 마련되고, 돌출부는 커튼에어백 전개시 제3접힘부를 중심으로 절곡되어 실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에는 상하방향으로 복수개의 봉제선이 형성되되, 제1접힘부에서 제2접힘부로 가까워 질수록 상단이 후방으로 더울 기울어지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에는 상하방향으로 복수개의 봉제선이 형성되되,제1접힘부와 제3접힘부 사이에 형성된 봉제선의 개수와 제2접힘부와 제3접힘부 사이에 형성된 봉제선의 개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커튼 에어백에 따르면, 차량의 경사 충돌 상황에서도 운전자의 머리가 차량의 프레임과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자의 상해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튼 에어백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튼 에어백의 개념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튼에어백의 접힘부 도면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튼에어백의 패널테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튼에어백의 돌출부가 만개 되었을 때의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힘부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튼 에어백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튼 에어백의 개념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튼에어백의 접힘부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튼에어백의 패널테더(201)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튼에어백의 돌출부(107)가 만개되었을 때의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힘부 도면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튼 에어백은 커튼 에어백 쿠션; 커튼 에어백의 쿠션의 전방 끝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형성되며, 커튼 에어백 쿠션(100)의 실내측 면과 창문측 면이 맞닿아 형성된 제1접힘부(101); 제1접힘부(101)에서 후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커튼 에어백 쿠션(100)의 실내측 면과 창문측 면이 맞닿아 형성된 제2접힘부(103); 커튼 에어백 쿠션(100)의 창문측 면에서 제1접힘부(101)와 제2접힘부(103)를 상호 연결하되, 제1접힘부(101)와 제2접힘부(103) 사이의 커튼 에어백 쿠션(100)의 창문측 면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 패널테더(201); 및 패널테더(201)의 장력에 의해 커튼 에어백 쿠션(100)의 제1접힘부(101)와 제2접힘부(103) 사이 지점이 실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107);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커튼 에어백은 자동차의 루프패널의 측면을 따라 자동차의 전후로 길게 설치되어, 인플레이터를 통해 도어글래스와 승객과의 사이로 전개되어 앞좌석 및 뒷좌석에 앉은 승객의 머리를 보호하고, 충돌 상황에서 운전자가 도어글래스를 넘어 차량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에 차량의 정면충돌이나 측면 충돌 상황에서는 기존의 커튼 에어백과 탑승자 전방 에어백(300)을 통해서 운전자의 보호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다만, 정면충돌이 아닌 경사충돌 상황에서는 예상치 못한 운전자의 거동에 의하여 운전자 보호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구체적으로 경사충돌 상황에서 운전자의 머리(H)가 탑승자 전방 에어백(300)과 커튼 에어백 사이로 빠져나가 차량의 A 필러 부분과 충돌하는 상황이 발생하거나, 전방 에어백(300)의 도어측 단부에 로딩되는 과정에서 전방 에어백(300)의 전개압력에 의해 머리(H)가 회전하여 목 또는 뇌에 손상을 가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 전방 에어백(300)과 커튼 에어백 사이로 운전자의 머리(H)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커튼 에어백에서 실내공간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07)를 마련하여 전방 에어백(300)과 커튼 에어백 사이의 공간을 메우면서, 운전자의 머리(H)를 받아내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돌출부(107)가 실내측으로 돌출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커튼 에어백 쿠션(100)에 전방 끝단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제1접힘부(101)를 형성하고, 제1접힘부(101)로부터 다시 후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제2접힘부(103)를 형성한 뒤, 제1접힘부(101)와 제2접힘부(103)를 제1접힘부(101)와 제2접힘부(103) 사이의 커튼 에어백 쿠션(100)의 창문측 면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의 패널테더(201)로 연결한다. 이때 인플레이터에 의하여 가스가 커튼 에어백 쿠션(100) 내부로 공급되면 커튼 에어백 쿠션(100)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패널테더(201)에 의하여 창문측면의 제1접힘부(101)와 제2접힘부(103) 사이에 장력이 작용하고 이를 통해 장력이 작용하지 않는 실내측면으로 돌출부(107)가 돌출되는 것이다.
제1접힘부(101) 및 제2접힘부(103)는 상단이 후방에 치우치도록 기울어진 형상일 수 있다. 제2접힘부(103)는 제1접힘부(101)보다 후방으로 더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접힘부(101)는 상단이 전방에 치우치도록 기울어진 형상이고, 제2접힘부(103)는 상단이 후방에 치우치도록 기울어진 형상일 수 있다.
제1접힘부(101) 및 제2접힘부(103)의 기울기의 조절을 통하여 돌출부(107)의 형상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돌출부(107)의 상단의 경우 경사충돌 상황에서 탑승자의 머리(H)를 받아내는데 가장 많은 역할을 수행하는 부위로써 충분한 지지력이 확보되어야 A 필러와 탑승자 머리(H)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접힘부(101)와 제2접힘부(103)의 위치 및 기울기 변경을 통하여 조절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1접힘부(101)의 상단이 후방으로 치우치도록 형성하고 제2접힘부(103)를 제1접힘부(101)보다 상단이 후방으로 더 치우치도록 형성함으로써, 돌출부(107)는 전체적으로 후방을 향하여 기울어지고 상단부가 하단부보다 넓고 더 많이 실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하고있다.
또한, 상단이 돌출량을 더욱 증가시키려는 경우 제1접힘부(101)는 상단이 전방을 향하여 기울어지게 마련하고, 제2접힘부(103)는 상단이 후방을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함으로써 돌출부(107) 상단의 돌출량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돌출부(107)는 커튼 에어백 만개시 전방 에어백(300)보다 후방에 위치되며 전방 에어백(300)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지지력을 얻을 수 있다.
돌출부(107)는 커튼 에어백 만개시 돌출부(107)의 실내측 단부가 전방 에어백(300)의 도어측 단부와 맞닿아 커튼에어백과 전방 에어백(300) 사이의 공간을 메울 수 있다.
소형차의 경우 커튼 에어백과 전방 에어백(300)의 거리가 짧아 돌출량이 많지 않더라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에어백(300)으로부터 지지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대형차량의 경우 커튼 에어백과 전방 에어백(300)의 거리가 길어 전방 에어백(300)으로 부터 지지력을 얻기 위해서는 많은 돌출량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돌출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커튼 에어백 쿠션(100)의 부피 증가 필연적이고, 이에 따른 인플레이터 용량의 증가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돌출부(107) 상단의 돌출량을 증가하여 돌출부(107)에 의해 전방 에어백(300)과 커튼 에어백 사이의 공간이 메워지도록 하고 있다.
패널테더(201)는 제1패널테더(203)와 제2패널테더(205)로 구성되고, 제1패널테더(203)는 커튼 에어백 쿠션(100)의 창문측 면에서 제1접힘부(101)와 제2접힘부(103)의 상단부를 상호 연결시키며, 제2패널테더(205)는 커튼 에어백 쿠션(100)의 창문측 면에서 제1접힘부(101)와 제2접힘부(103)의 하단부를 상호 연결시킬 수 있다.
제2패널테더(205)는 제1패널테더(203)보다 길이가 짧을 수 있다.
패널테더(201)는 제1패널테더(203)와 제2패널테더(205)로 구성되고, 제1패널테더(203)와 제2패널테더(205)는, 제1접힘부(101)와 제2접힘부(103)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상호 교차하며 연결시킬 수 있다.
패널테더(201)는 기본적으로 커튼에어백 쿠션의 창문측 면에 부탁되어 제1접힘부(101)와 제2접힘부(103) 사이에 장력을 제공한다. 제1접힘부(101)와 제2접힘부(103)의 기울어진 각도에 따라 제1접힘부(101)와 제2접힘부(103)의 상하단의 거리는 달라지게 된다. 이를 하나의 패널태더를 통해 중앙를 상호 연결하여 실내 돌출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돌출부(107) 형상을 조절하는데 한계가 발생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테더(201)를 제1패널테더(203)와 제2패널테더(205)로 구성하고 제2패널테더(205)를 제1패널테더(203)보다 짧게 형성하여 돌출부(107)의 상하단에 장력을 제공함으로써 돌출부(107)의 형상을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힘부(101)와 제2접힘부(103)의 상하단을 상호 교차하여 연결하게 되면 제1패널테더(203)와 제2패널테더(205)를 동일한 길이로 제작하여도 돌출부(107) 상단과 하단의 돌출량이 달라지도록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1접힘부(101)와 제2접힘부(103) 사이에는 제3접힘부(105)가 마련되고, 돌출부(107)는 커튼에어백 전개시 제3접힘부(105)를 중심으로 절곡되어 실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3접힘부(105)가 없더라도 돌출부(107)를 실내측으로 돌출시키는데는 지장이 없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접힘부(105)를 마련함으로써 돌출시 실내측으로 가장 많이 돌출되는 끝단부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게 되어 전방 에어백(300)과 돌출부(107)의 위치관계를 조절하기 쉽게 된다.
돌출부(107)에는 상하방향으로 복수개의 봉제선(109)이 형성되되, 제1접힘부(101)에서 제2접힘부(103)로 가까워 질수록 상단이 후방으로 더울 기울어지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07)에는 상하방향으로 복수개의 봉제선(109)이 형성되되, 제1접힘부(101)와 제3접힘부(105) 사이에 형성된 봉제선(109)의 개수와 제2접힘부(103)와 제3접힘부(105) 사이에 형성된 봉제선(109)의 개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07)에 복수개의 봉제선(109)을 마련해 둠으로써 돌출부(107)의 부피는 감소키시되 가스의 충진속도는 높아지고 봉제선(109)에 의해 형성되는 각 챔버의 충진압력은 높아저서 돌출부(107)의 지지력이 상승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제3접힘부(105)를 중심으로 전방과 후방에 형성되는 봉제선(109)의 개수를 조절하여 봉제선(109)에 의해 형성되는 각 챔버의 충진압력을 다르게 조절함으로써 돌출부(107)의 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커튼 에어백 쿠션 101 : 제1접힘부
103 : 제2접힘부 105 : 제3접힘부
107 : 돌출부 109 : 봉제선
201 : 패널테더 203 : 제1패널테더
205 : 제2패널테더 300 : 전방 에어백
H : 머리

Claims (12)

  1. 커튼 에어백 쿠션;
    커튼 에어백의 쿠션의 전방 끝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형성되며, 커튼 에어백 쿠션의 실내측 면과 창문측 면이 맞닿아 형성된 제1접힘부;
    제1접힘부에서 후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커튼 에어백 쿠션의 실내측 면과 창문측 면이 맞닿아 형성된 제2접힘부;
    커튼 에어백 쿠션의 창문측 면에서 제1접힘부와 제2접힘부를 상호 연결하되, 제1접힘부와 제2접힘부 사이의 커튼 에어백 쿠션의 창문측 면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 패널테더; 및
    패널테더의 장력에 의해 커튼 에어백 쿠션의 제1접힘부와 제2접힘부 사이 지점이 실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접힘부 및 제2접힘부는 상단이 후방에 치우치도록 기울어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접힘부는 제1접힘부보다 후방으로 더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접힘부는 상단이 전방에 치우치도록 기울어진 형상이고, 제2접힘부는 상단이 후방에 치우치도록 기울어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5. 청구항 1에 있어서,
    패널테더는 제1패널테더와 제2패널테더로 구성되고,
    제1패널테더는 커튼 에어백 쿠션의 창문측 면에서 제1접힘부와 제2접힘부의 상단부를 상호 연결시키며,
    제2패널테더는 커튼 에어백 쿠션의 창문측 면에서 제1접힘부와 제2접힘부의 하단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6. 청구항 5에 있어서,
    제2패널테더는 제1패널테더보다 길이가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7. 청구항 1에 있어서.
    패널테더는 제1패널테더와 제2패널테더로 구성되고,
    제1패널테더와 제2패널테더는, 제1접힘부와 제2접힘부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상호 교차하며 연결시키는 것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8. 청구항 1에 있어서,
    돌출부는 커튼 에어백 만개시 전방 에어백보다 후방에 위치되며 전방 에어백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지지력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9. 청구항 1항에 있어서
    돌출부는 커튼 에어백 만개시 돌출부의 실내측 단부가 전방 에어백의 도어측 단부와 맞닿아 커튼에어백과 전방 에어백 사이의 공간을 메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접힘부와 제2접힘부 사이에는 제3접힘부가 마련되고,
    돌출부는 커튼에어백 전개시 제3접힘부를 중심으로 절곡되어 실내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11. 청구항 3에 있어서,
    돌출부에는 상하방향으로 복수개의 봉제선이 형성되되,
    제1접힘부에서 제2접힘부로 가까워질수록 상단이 후방으로 더울 기울어지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돌출부에는 상하방향으로 복수개의 봉제선이 형성되되,
    제1접힘부와 제3접힘부 사이에 형성된 봉제선의 개수와 제2접힘부와 제3접힘부 사이에 형성된 봉제선의 개수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KR1020160026650A 2016-03-04 2016-03-04 차량용 커튼 에어백 KR101836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650A KR101836601B1 (ko) 2016-03-04 2016-03-04 차량용 커튼 에어백
US15/223,211 US10023148B2 (en) 2016-03-04 2016-07-29 Curtain airbag for vehicle
CN201610685282.2A CN107150651B (zh) 2016-03-04 2016-08-18 用于车辆的安全气帘
DE102016115507.1A DE102016115507A1 (de) 2016-03-04 2016-08-22 Vorhangairbag für ein Fahrzeu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650A KR101836601B1 (ko) 2016-03-04 2016-03-04 차량용 커튼 에어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101A true KR20170104101A (ko) 2017-09-14
KR101836601B1 KR101836601B1 (ko) 2018-03-09

Family

ID=59650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6650A KR101836601B1 (ko) 2016-03-04 2016-03-04 차량용 커튼 에어백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23148B2 (ko)
KR (1) KR101836601B1 (ko)
CN (1) CN107150651B (ko)
DE (1) DE1020161155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217B1 (ko) * 2015-10-29 2017-03-08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102571842B1 (ko) * 2016-09-09 2023-08-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커튼 에어백 장치
WO2018061373A1 (ja) * 2016-09-30 2018-04-05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
US10220808B2 (en) * 2016-10-24 2019-03-05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of a button bridge installed with a curtain side airbag
DE102017101092A1 (de) * 2017-01-20 2018-07-26 Trw Automotive Gmbh Verfahren zum Zusammenlegen eines Gassacks
KR102293580B1 (ko) * 2017-06-08 2021-08-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커튼 에어백 장치
US10266144B2 (en) * 2017-06-09 2019-04-23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airbag system
KR102064843B1 (ko) * 2018-04-23 2020-01-10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US11192512B2 (en) 2018-08-31 2021-12-07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Airbag arrangement
US10836339B2 (en) * 2018-09-25 2020-11-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bag including reinforcements
US10730472B2 (en) 2018-10-23 2020-08-04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bag and method for protecting an occupant of a vehicle
CN110329203A (zh) * 2019-07-24 2019-10-15 上海东方久乐汽车安全气囊有限公司 一种帘式安全气囊
DE102020102866A1 (de) * 2020-02-05 2021-08-05 Zf Automotive Germany Gmbh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mit Frontgassack und Seitengassack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814961U1 (de) * 1997-10-15 1999-01-07 Trw Repa Gmbh Gassack
KR100538509B1 (ko) 2003-03-07 2005-12-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분리형 커튼에어백
KR100538621B1 (ko) 2004-01-19 2005-12-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커튼 에어백모듈
EP1577172B1 (en) * 2004-03-17 2012-11-14 Takata AG Airbag device
US7762578B2 (en) * 2006-09-29 2010-07-27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Tether guided inflatable sail panel
KR20100032205A (ko) 2008-09-17 2010-03-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커튼에어백장치
DE102008062266A1 (de) * 2008-12-15 2010-06-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Kopfairbagmodul
JP5455732B2 (ja) * 2010-03-24 2014-03-26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8596673B2 (en) * 2011-01-31 2013-12-03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nti-ejection inflatable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KR101326887B1 (ko) 2011-09-06 2013-1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탄성이 구비된 커튼에어백
US8480125B1 (en) * 2012-02-07 2013-07-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urtain air bag system
US8789846B2 (en) * 2012-03-07 2014-07-29 Tk Holdings Inc. Airbag device
JP5817933B2 (ja) * 2012-08-27 2015-11-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9114776B2 (en) * 2013-05-09 2015-08-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and an airbag assembly for the vehicle
US9487180B2 (en) * 2013-05-23 2016-11-08 Autoliv Development Ab Vehicular curtain air-bag device, and mounting structure for same
WO2014210475A1 (en) * 2013-06-27 2014-12-31 Key Safety Systems Inc. Curtain airbag with offset countermeasure
JP6299426B2 (ja) 2013-09-26 2018-03-28 豊田合成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EP2942242B1 (de) * 2014-05-08 2016-11-23 Automotive Safety Technologies GmbH Kopfairbagsystem für ein Fahrzeug und Fahrzeug mit einem Kopfairbagsystem
JP6405943B2 (ja) * 2014-07-23 2018-10-17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乗員拘束装置
JP6398430B2 (ja) * 2014-07-30 2018-10-03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カーテンエアバッグ及び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KR102203274B1 (ko) * 2014-08-27 2021-01-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커튼 에어백
JP6149888B2 (ja) * 2015-04-09 2017-06-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KR101724962B1 (ko) * 2015-12-09 2017-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커튼 에어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150651B (zh) 2021-12-31
DE102016115507A1 (de) 2017-09-07
CN107150651A (zh) 2017-09-12
US10023148B2 (en) 2018-07-17
US20170253211A1 (en) 2017-09-07
KR101836601B1 (ko) 2018-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6601B1 (ko) 차량용 커튼 에어백
CN105818777B (zh) 车辆斜向碰撞吸收系统
KR101724962B1 (ko) 차량용 커튼 에어백
US10632956B2 (en) Inflatable safety restraint system for protecting a rear seat occupant
CN106965766B (zh) 车辆斜向碰撞吸收系统
US10293777B2 (en) Multi-cushion airbag assemblies for reducing rotational velocity of an occupant's head
KR101776506B1 (ko) 차량용 커튼에어백
KR101708217B1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101708200B1 (ko) 차량용 커튼 에어백
KR101755952B1 (ko) 차량용 커튼 에어백
EP3758984B1 (en) Vehicle seat with an adjustable headrest and integrated rear seat airbag
EP4019345A1 (en) Airbag device
CN108349456B (zh) 侧气囊装置
US20090200774A1 (en) Low risk deployment side airbag system
JPWO2018061373A1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170067962A (ko) 차량의 측면지지 에어백
KR20210065628A (ko) 차량의 시트 에어백
US10293778B2 (en) Frontal airbag, frontal airbag module and motor vehicle
KR20190070174A (ko)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KR101627120B1 (ko) 차량용 에어백
KR102626944B1 (ko)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및 그의 폴딩 방법
KR102483570B1 (ko) 차량용 커튼 에어백 장치
KR20200092527A (ko) 차량용 트림에어백
KR20130048911A (ko) 차량용 커튼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