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1104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01104A KR20170101104A KR1020160181070A KR20160181070A KR20170101104A KR 20170101104 A KR20170101104 A KR 20170101104A KR 1020160181070 A KR1020160181070 A KR 1020160181070A KR 20160181070 A KR20160181070 A KR 20160181070A KR 20170101104 A KR20170101104 A KR 2017010110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dium
- contact
- signal transmission
- actuator
- transmission mediu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5—Printed circuits including an angle between each other
- H01R12/737—Printed circuits be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each oth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8—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unter-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판상 신호 전송 매체의 삽입이 행해질 때에 있어서의 쓸데없는 도통이나 손상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해결 수단> 절연 하우징(11)의 매체 가이드면(11b)을 따라 매체 삽입 통로(11a)의 내부에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를 삽입하는데 즈음하여, 당해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의 협지가 행해지기 전의 단계에서 콘택트 부재(13)의 접점부(13c4)를 콘택트 수용부(11c)의 내부에 위치시키도록 콘택트 부재(13)의 매체 맞닿음부(13c)와 연결 빔부(13b)의 강성 관계를 구성함으로써,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의 삽입시에, 콘택트 부재(13)의 접점부(13c4)를 매체 가이드면(11b)의 하방에 숨겨진 상태로 유지하여, 당해 콘택트 부재(13)의 접점부(13c4)를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에 접촉시키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다.
<해결 수단> 절연 하우징(11)의 매체 가이드면(11b)을 따라 매체 삽입 통로(11a)의 내부에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를 삽입하는데 즈음하여, 당해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의 협지가 행해지기 전의 단계에서 콘택트 부재(13)의 접점부(13c4)를 콘택트 수용부(11c)의 내부에 위치시키도록 콘택트 부재(13)의 매체 맞닿음부(13c)와 연결 빔부(13b)의 강성 관계를 구성함으로써,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의 삽입시에, 콘택트 부재(13)의 접점부(13c4)를 매체 가이드면(11b)의 하방에 숨겨진 상태로 유지하여, 당해 콘택트 부재(13)의 접점부(13c4)를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에 접촉시키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액츄에이터 캠(actuator cam)의 회동에 의해 콘택트 부재를 탄성 변위시킴으로써, 매체 삽입 통로의 내부에 삽입된 판상 신호 전송 매체에 콘택트 부재의 접점부를 맞닿게 하는 구성으로 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의 전기 기기 등에 있어서, 플렉서블 프린티드 서킷(FPC)이나,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FFC) 등의 각종의 판상 신호 전송 매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여러 가지의 전기 커넥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하기의 특허 문헌 등과 같이 인쇄 배선 기판 상에 실장되어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상술한 FPC나 FFC 등으로 이루어지는 판상 신호 전송 매체가 절연 하우징(인슐레이터)의 개구부를 통해 매체 삽입 통로의 내부에 삽입되고, 그 시점에 「대기 위치(개방 위치)」에서 판상 신호 전송 매체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고 있는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가 작업자의 조작력에 의해 전기 커넥터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의 「작용 위치(폐색 위치)」를 향해 밀어 넘어뜨려지도록 회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가 판상 신호 전송 매체를 협지(挾持)하는 「작용 위치(폐색 위치)」까지 회동 조작되면, 그 액츄에이터에 설치된 매체 압압(押壓)부(가압부)가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FFC 등)의 표면에 압접되고, 당해 액츄에이터의 매체 압압부(가압부)의 압압력에 의해 콘택트 부재와의 사이에서 판상 신호 전송 매체의 협지가 행해져 고정 상태가 된다. 한편, 「작용 위치(폐색 위치)」에 있는 액츄에이터가 원래의 「대기 위치(개방 위치)」를 향해 상방으로 일어서는 방향으로 회동 조작이 행해지면, 액츄에이터의 매체 압압부(가압부)의 압압력이 해제되어 가고, 「대기 위치(개방 위치)」에 이름으로써, 판상 신호 전송 매체의 발거(拔去)가 가능해진다.
한편, 절연 하우징(인슐레이터)의 내부에는, 복수체(複數體)의 도전성(예를 들면, 금속제 등)의 콘택트 부재가 다극상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지만, 일반적으로, 이들 각 콘택트 부재는,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FFC 등)가 매체 삽입 통로의 내부에 삽입될 때, 즉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가 「대기 위치(개방 위치)」에 있는 시점으로부터, 이미, 판상 신호 전송 매체에 대해서 가벼운 접촉 상태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고, 이러한 가벼운 접촉 상태에 있는 콘택트 부재의 맞닿음력에 의해, 내부에 삽입된 판상 신호 전송 매체의 임시 보유가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것처럼 액츄에이터가 「작용 위치(폐색 위치)」까지 회동되어 매체 압압부(가압부)가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FFC 등)에 압접 상태로 되면, 당해 판상 신호 전송 매체에 설치된 도전로(전극 패턴)가 각 콘택트 부재의 접점부에 대해서 맞닿는 상태가 되고, 이에 의해 신호 회로 또는 접지(ground) 회로가 형성된다.
그런데, 상술한 것처럼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가 「대기 위치(개방 위치)」에 있을 때부터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FFC 등)에 대해서 콘택트 부재가 맞닿은 임시 보유 상태가 되면, 판상 신호 전송 매체가 삽입된 직후부터 전기적으로는 도통(導通) 상태가 되게 된다. 따라서, 실수로 액츄에이터를 「작용 위치(폐색 위치)」로 회동 조작시키지 않은 채의 상태에서, 예를 들면, 도통 검사가 행했졌다 해도 합격 상태가 되어 그대로 출하(出荷)로 돌려 버릴 가능성이 있다. 또,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가 「대기 위치(개방 위치)」의 상태에서 절연 하우징(인슐레이터)의 매체 삽입 통로 내에 판상 신호 전송 매체를 삽입하는데 즈음하여, 판상 신호 전송 매체의 삽입 선단 부분이 콘택트 부재에 충돌할 우려가 있고, 도전로(전극 패턴)가 벗겨지거나, 뜯겨짐이 생기는 일도 생각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판상 신호 전송 매체의 삽입이 행해질 때에 있어서의 쓸데없는 도통이나 판상 신호 전송 매체의 손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도록 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배선 기판 상에 실장한 상태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판상 신호 전송 매체가 삽입되는 매체 삽입 통로를 가지는 절연 하우징과, 상기 매체 삽입 통로를 형성하고 있는 상기 절연 하우징의 표면의 일부로서, 상기 매체 삽입 통로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판상 신호 전송 매체를 안내하는 매체 가이드면과, 상기 매체 가이드면으로부터 홈 형상으로 움푹 들어간 상태로 오목하게 설치된 콘택트 수용부와, 상기 콘택트 수용부의 내부에 일부가 배치된 도전성의 콘택트 부재와, 상기 절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미리 정해진 회동축의 주위로 회동 조작됨으로써 대기 위치와 작용 위치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는 구성으로 된 액츄에이터 캠을 구비하고, 상기 대기 위치로부터 상기 작용 위치로 회동 조작된 액츄에이터 캠에 의해 상기 콘택트 부재가 탄성 변위함으로써, 당해 콘택트 부재의 접점부가 상기 매체 가이드면을 따라 상기 매체 삽입 통로 내에 삽입된 상기 판상 신호 전송 매체에 맞닿는 구성으로 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부재는, 상기 액츄에이터 캠에 의해 변위되는 제1 및 제2의 주빔(main beam)을 가지는 매체 맞닿음부와, 상기 배선 기판에 접속되는 고정 기(基)부와, 상기 매체 맞닿음부와 상기 고정 기부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탄성 변위 가능한 연결 빔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빔부가 탄성 변위하는데 즈음해서의 당해 연결 빔부의 강성 F1은, 상기 판상 신호 전송 매체에 대해서 상기 매체 맞닿음부가 맞닿는 방향으로 변위하는데 즈음해서의 당해 매체 맞닿음부의 강성 F2와 같거나 작게 설정되어 있는(F1≤F2) 한편, 상기 콘택트 부재를 구성하고 있는 상기 제1 또는 제2의 주빔의 접점부는, 상기 액츄에이터 캠이 상기 대기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콘택트 수용부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매체 삽입 통로로부터 상기 매체 가이드면의 하방으로 숨겨진 상태로 유지됨과 아울러, 상기 액츄에이터 캠이 상기 작용 위치를 향해 회동 조작되었을 때의 상기 제1 또는 제2의 주빔의 접점부는, 상기 콘택트 수용부의 내부로부터 상기 매체 가이드면을 향해 변위하여 상기 매체 삽입 통로 내에 배치된 상기 판상 신호 전송 매체와 맞닿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액츄에이터 캠이 대기 위치에서 판상 신호 전송 매체와의 맞닿음이 행해지기 전의 단계에 있어서는, 콘택트 부재의 접점부가 콘택트 수용부의 내부에 위치하여 매체 가이드면의 하방에 숨겨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콘택트 부재의 매체 맞닿음부와 연결 빔부의 강성 관계가 설정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매체 삽입 통로의 내부에 삽입된 판상 신호 전송 매체가, 콘택트 부재의 접점부에 접촉하는 일이 없게 되고, 판상 신호 전송 매체의 쓸데없는 도통이나 손상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액츄에이터 캠이 상기 콘택트 부재에 설치된 회동축 받이면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것으로서, 상기 콘택트 부재의 접점부가 상기 액츄에이터 캠에 대향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콘택트 부재의 접점부는 상기 작용 위치로 회동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액츄에이터 캠의 단면과 상기 회동축 받이면의 사이 부분에 대향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콘택트 부재의 접점부가 판상 신호 전송 매체에 대해서 안정적으로 접촉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콘택트 부재의 상기 연결 빔부가 상기 배선 기판의 뻗어 있는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 빔부의 스팬(span) 길이가, 작은 공간(space) 내에서 충분히 확보되어 판상 신호 전송 매체의 협지가 안정적으로 행해진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콘택트 부재의 상기 연결 빔부가 상기 제1 또는 제2의 주빔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연결 빔부에 발생하는 응력이 제1 또는 제2의 주빔을 향해 분산되게 되고, 응력 집중에 의한 콘택트 부재의 소성 변형이나 파손이 방지된다.
이상 기술한 것처럼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는, 절연 하우징의 매체 가이드면을 따라 매체 삽입 통로의 내부에 판상 신호 전송 매체를 삽입하는데 즈음하여, 당해 판상 신호 전송 매체와의 맞닿음이 행해지기 전의 단계에서, 콘택트 부재의 접점부를 콘택트 수용부의 내부에 위치시키도록 콘택트 부재의 매체 맞닿음부와 연결 빔부의 강성 관계를 구성함으로써, 판상 신호 전송 매체의 삽입시에, 콘택트 부재의 접점부를 매체 가이드면의 하방에 숨겨진 상태로 유지하고, 당해 콘택트 부재의 접점부를 판상 신호 전송 매체에 접촉시키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판상 신호 전송 매체의 삽입이 행해질 때에 있어서의 쓸데없는 도통이나 판상 신호 전송 매체의 손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를 나타낸 것으로서, 판상 신호 전송 매체가 미삽입의 상태에서 액츄에이터가 작용 위치(폐색 위치)로 넘어뜨려졌을 때의 전체 구성을 전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폐색 상태에 있는 전기 커넥터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2 내의 III-III 선을 따른 횡단면을 확대해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도 3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액츄에이터가 대기 위치(개방 위치)로 튀어 오른 상태의 전체 구성을 전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대기 위치(개방 위치)에 있는 전기 커넥터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5 내의 VI-VI 선을 따른 횡단면을 확대해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1~도 6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에 이용되고 있는 도전 콘택트 부재의 단체(單體)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도전 콘택트 부재의 단체를 나타낸 측면 설명도이다.
도 9는 액츄에이터가 대기 위치(개방 위치)로 튀어 오른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 판상 신호 전송 매체를 대향 배치한 상태를 전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상태에 있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의 도 3 상당의 횡단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판상 신호 전송 매체를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에 삽입한 상태를 전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상태에 있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의 도 3 상당의 횡단 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액츄에이터를 「작용 위치」까지 회동한 상태를 전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상태에 있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의 도 3 상당의 횡단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를 나타낸 도 6 상당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판상 신호 전송 매체를 삽입한 후에 액츄에이터를 「작용 위치」까지 회동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폐색 상태에 있는 전기 커넥터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2 내의 III-III 선을 따른 횡단면을 확대해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도 3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액츄에이터가 대기 위치(개방 위치)로 튀어 오른 상태의 전체 구성을 전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대기 위치(개방 위치)에 있는 전기 커넥터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5 내의 VI-VI 선을 따른 횡단면을 확대해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1~도 6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에 이용되고 있는 도전 콘택트 부재의 단체(單體)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도전 콘택트 부재의 단체를 나타낸 측면 설명도이다.
도 9는 액츄에이터가 대기 위치(개방 위치)로 튀어 오른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 판상 신호 전송 매체를 대향 배치한 상태를 전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상태에 있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의 도 3 상당의 횡단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판상 신호 전송 매체를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에 삽입한 상태를 전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상태에 있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의 도 3 상당의 횡단 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액츄에이터를 「작용 위치」까지 회동한 상태를 전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상태에 있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의 도 3 상당의 횡단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를 나타낸 도 6 상당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판상 신호 전송 매체를 삽입한 후에 액츄에이터를 「작용 위치」까지 회동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 설명도이다.
이하에 있어서, 플렉서블 프린티드 서킷(FPC)이나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FFC) 등으로 이루어지는 판상 신호 전송 매체의 접속을 행하기 위해, 인쇄 배선 기판 상에 실장하여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기 커넥터의 전체 구조에 대해서]
즉, 도 1~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10)는, 절연 하우징(11)의 전방 근처의 부분(도 3 및 도 6의 좌방 근처의 부분)에 접속 조작 수단으로서의 액츄에이터(12)가 장착된 이른바 프론트 플립형(front flip type) 구조를 가지는 전기 커넥터로서, 상술한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는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단말 부분을 삽입하는 커넥터 전단측(도 3 및 도 6의 좌단측)을 향해 밀어 넘어뜨려지도록 회동된 상태로 되어 있다.
절연 하우징(11)은, 가늘고 긴 형상으로 뻗어 있는 중공 프레임 형상의 절연성 부재로 형성되어 있지만, 그 절연 하우징(11)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을, 이하에 있어서 「커넥터 길이 방향」이라고 부르고,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단말 부분은, 「커넥터 전방」으로부터 「커넥터 후방」을 향해 삽입되는 것으로 하고, 당해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의 삽입 방향을 「매체 삽입 방향」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또한,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의 단말 부분은, 「커넥터 후방」으로부터 「커넥터 전방」을 향해 발거되는 것으로 하고, 당해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의 발거 방향을 「매체 발거 방향」이라고 부른다. 또,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10)는, 도시를 생략한 인쇄 배선 기판의 표면 상에 실장되어 사용되는 것이지만, 당해 인쇄 배선 기판에 있어서의 실장 표면의 뻗어 있는 방향을 「수평 방향」이라고 함과 아울러, 인쇄 배선 기판의 실장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상 방향」이라고 함과 아울러, 배선 기판의 실장 표면을 향해 가까워지는 방향을 「하 방향」이라고 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10)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좌우 대칭의 구조를 가지는 것이지만, 좌우 대칭의 배치 관계로 된 동일한 구성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한쪽의 구성 부재에 대한 설명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상술한 절연 하우징(11)의 내부에는, 도 3 등에 도시하듯이,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가 삽입되는 가늘고 긴 중공 형상의 매체 삽입 통로(11a)가 형성되어 있고, 그 매체 삽입 통로(11a)의 하측 벽면(바닥 벽면)을 형성하고 있는 절연 하우징(11)의 표면이,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에 접촉하여 당해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를 미끄러지는 움직임이 가능하게 안내하는 매체 가이드면(11b)으로 되어 있다.
그 매체 가이드면(11b)에는,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체의 콘택트 수용부(11c, 11c,···)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병렬한 상태로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콘택트 수용부(11c)는, 매체 가이드면(11b)으로부터 홈 형상으로 움푹 들어간 상태로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고, 「커넥터 전후 방향」으로 뻗어 있다. 그리고, 이들 각 콘택트 수용부(11c)의 내부에는, 적당한 형상을 이루는 박판 형상 금속제 부재에 의해 형성된 콘택트 부재로서의 도전 콘택트 부재(13)의 일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제1의 주빔(하빔)(13c1)이 장착되어 있다.
상술한 각 도전 콘택트 부재(13)는,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적당한 간격을 이루어 다극상을 이루도록 복수체 배열되어 있고, 이들 각 도전 콘택트 부재(13)의 각각이, 신호 전송용 또는 접지 접속용의 어느 하나로서, 도시를 생략한 인쇄 배선 기판 상에 형성된 도전로(전극 패턴)에 대해서 땜납 접합에 의해 실장된 상태로 사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각 도전 콘택트 부재(13)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후단에 있어서 설명한다.
또, 상술한 것처럼 절연 하우징(11)의 「커넥터 전방」 근처의 부분(도 3 및 도 6의 좌방 근처의 부분)에는, 접속 조작 수단으로서의 액츄에이터(12)가 장착되어 있지만, 당해 액츄에이터(12)는, 도 4 이후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하여 회동 조작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그와 같이 액츄에이터(12)가 상방을 향해 회동 조작됨으로써, 절연 하우징(11)의 전단측의 부분(도 3 및 도 6의 좌방측의 부분)이, 「커넥터 길이 방향」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개방 상태가 되도록 되어 있다(도 4 및 도 9 참조).
그리고, 그와 같이 개방 상태로 된 절연 하우징(11)의 전방측 부분으로부터, 플렉서블 프린티드 서킷(FPC)이나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FFC) 등으로 이루어지는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의 단말 부분이, 상술한 절연 하우징(11)의 매체 삽입 통로(11a)의 내부에 삽입되게 되지만, 그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삽입에 즈음해서는, 매체 삽입 통로(11a)의 하측 벽면(바닥 벽면)을 형성하고 있는 매체 가이드면(11b)을 따라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가, 「커넥터 후방」측으로 미끄러져 움직임으로써 이동이 행해진다. 마찬가지로,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의 발거에 즈음해서는, 당해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가, 매체 가이드면(11b)을 따라 「커넥터 전방」측으로 미끄러져 움직이는 상태로 이동이 행해진다.
또, 상술한 절연 하우징(11)의 후단연(後端緣) 부분(도 3 및 도 6의 우단연 부분)에는, 도전 콘택트 부재(13) 등을 절연 하우징(11)의 내부에 장착하기 위한 복수의 부품 장착구(11d, 11d,···)가,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병렬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부품 장착구(11d)는, 상술한 콘택트 수용부(11c)의 후단측의 개구부에 각각 상당하고, 당해 부품 장착구(11d)를 통해 절연 하우징(11)의 내부에 삽입되는 도전 콘택트 부재(13)가, 콘택트 수용부(11c)를 포함한 매체 삽입 통로(11a)를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하여 삽입되고,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고정 상태가 된다.
한편, 전술한 것처럼 도전 콘택트 부재(13)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 다극 배열 형상을 이루도록 복수체에 걸쳐서 장착되어 있지만, 이들 각 도전 콘택트 부재(13)는, 매체 삽입 통로(11a)의 내부에 삽입된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도전로(전극 패턴)에 대응한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에 형성된 도전로(전극 패턴)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신호 전송용 도전로(신호선 패드) 또는 쉴드(shield)용 도전로(쉴드선 패드)를 적당한 피치(pitch) 간격으로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콘택트 부재에 대해서]
다음에, 각 도전 콘택트 부재(13)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당해 도전 콘택트 부재(13)의 후단 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고정 기(基)부(13a)는, 상술한 절연 하우징(11)의 부품 장착구(11d)를 형성하고 있는 상하의 벽부의 내벽면에 끼워지도록 하여 고정 상태로 되어 있다. 그 고정 기부(13a)의 하단 부분에는, 「커넥터 후방」측의 외방측을 향해 단차 형상을 이루도록 뻗어 나오는 기판 접속부(13a1)가 연설(連說)되어 있다. 그 기판 접속부(13a1)는, 도시를 생략한 인쇄 배선 기판 상의 도전로(전극 패턴)에 대해서 땜납 접합에 의해 접속되고, 당해 땜납 접합에 의해 전기 커넥터(1)의 실장이 행해진다.
또한, 상술한 각 도전 콘택트 부재(13)의 고정 기부(13a)에 있어서의 전방측(도 3 및 도 6의 좌방측)의 단연(端緣)부로부터는, 탄성 변위 가능한 가늘고 긴 띠 형상의 연결 빔부(13b)가, 인쇄 배선 기판(도시 생략)의 뻗어 있는 방향인 「수평 방향」을 따라 「커넥터 전방」측으로 뻗어 나와 있다. 또한, 그 연결 빔부(13b)의 뻗어 나온 측단(도 3 및 도 6의 좌측단)에는, 비교적 강성을 가지는 측면 대략 'コ'자 형상의 매체 맞닿음부(13c)가 일체적으로 연설되어 있고, 당해 매체 맞닿음부(13c)와 상기 고정 기부(13a)가 상술한 연결 빔부(13b)를 개재하여 일체적으로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연결 빔부(13b)가,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위하는데 수반하여, 후술하듯이 비교적 강성을 가지는 매체 맞닿음부(13c)의 전체가 상하 방향으로 요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매체 맞닿음부(13c)는, 당해 매체 맞닿음부(13c)의 하방 부분에 대략 수평으로 뻗어 있도록 배치된 제1의 주빔(하빔)(13c1)과, 상방 부분에 대략 수평으로 뻗어 있도록 배치된 제2의 주빔(상빔)(13c2)을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이들 상하의 제1 및 제2의 주빔(13c1, 13c2)의 단(端)부끼리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세로 서브빔(sub-beam)(13c3)을 가지고 있다. 즉, 그 세로 서브빔(13c3)의 하단부로부터, 제1의 주빔(하빔)(13c1)이 대략 수평 방향으로 편지(片持) 형상으로 뻗어 나와 있음과 아울러, 상기 세로 서브빔(13c3)의 상단부로부터, 제2의 주빔(13c2)이 대략 수평 방향으로 편지 형상으로 뻗어 나오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들 세로 서브빔(13c3)과 제1 및 제2의 주빔(13c1, 13c2)으로 구성된 측면 대략 'コ'자 형상의 공간 내에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단말 부분이 삽입되게 되어 있다.
이 때에, 후술하듯이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가 회동 조작됨으로써, 주로, 비교적 강성이 작은 연결 빔부(13b)가 탄성 변위하고, 이에 따라, 비교적 강성이 큰 매체 맞닿음부(13c)의 특히 제1의 주빔(13c1)이 변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액츄에이터(12)의 회동 조작과, 연결 빔부(13b) 및 매체 맞닿음부(13c)의 탄성 변위의 관계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이므로, 후단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상술한 제1의 주빔(13c1)의 전단 부분에 있어서의 상연(上緣)에는,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도전로(전극 패턴)에 대응하여, 접점부(13c4)가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 접점부(13c4)는, 매체 맞닿음부(13c)를 구성하고 있는 제1의 주빔(13c1)이 변위함으로써,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의 하면에 맞닿고, 당해 매체 맞닿음부(13c)와 액츄에이터(12)의 사이에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가 협지됨과 아울러, 전기적인 접속이 행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점에 대해서도 후단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는, 도 4~도 6에 도시한 「대기 위치(개방 위치)」와, 도 1~도 3에 도시한 「작용 위치(폐색 위치)」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 조작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액츄에이터(12)의 회동 조작에 기초하여, 후술하듯이 연결 빔부(13b)가 탄성 변형하여 매체 맞닿음부(13c)가 변위하게 되지만, 액츄에이터(12)가 「대기 위치(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상술한 연결 빔부(13b)의 탄성 변형은 행해지지 않는다(도 10 및 도 12 참조). 그 결과, 매체 맞닿음부(13c)도, 초기의 변위 전의 상태로 유지되게 되고, 당해 매체 맞닿음부(13c)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제1의 주빔(하빔)(13c1)이, 절연 하우징(11)의 콘택트 수용부(11c)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로 유지되고, 당해 제1의 주빔(13c1)의 접점부(13c4)도, 콘택트 수용부(11c)의 내부에 위치하여 매체 삽입 통로(11a)로부터 하방으로 숨겨진「대기 상태」로 유지되게 되어 있다.
한편, 특히 도 14에 도시되어 있듯이,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가 매체 삽입 통로(11a)의 내부에 삽입된 후에,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가 「작용 위치(개방 위치)」로 회동되면, 후술하듯이 액츄에이터(12)의 일부가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에 맞닿음으로써, 주로, 연결 빔부(13b)가 위로 휘어지는 상태가 되도록 탄성 변위하고, 그 연결 빔부(13b)의 탄성 변위에 기초하여, 매체 맞닿음부(13c)의 전체가 상방으로 변위한다. 그 결과, 당해 매체 맞닿음부(13c)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제1의 주빔(하빔)(13c1)의 접점부(13c4)가, 콘택트 수용부(11c)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변위하여 매체 삽입 통로(11a)의 내부측을 향해 이동한 상태로 배치된 「작용 상태」가 된다. 또한, 이 제1의 주빔(하빔)(13c1)의 접점부(13c4)가, 콘택트 수용부(11c)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다고 하면,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에 맞닿게 되기 때문에, 실제로는, 콘택트 수용부(11c)의 내부에 머무는 것이 된다.
즉, 상술한 것처럼 「작용 위치(폐색 위치)」까지 회동 조작된 액츄에이터(12)에 의해, 도전 콘택트 부재(13)의 일부를 이루는 매체 맞닿음부(13c)의 전체가 상방으로 변위하면, 제1의 주빔(13c1)의 접점부(13c4)는, 콘택트 수용부(11c)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려고 하지만, 그 때의 접점부(13c4)는, 절연 하우징(11)의 내부에 삽입된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도전로(전극 패턴)에 대해서 하방측으로부터 대면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고,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의 도전로(전극 패턴)에 대해서 하방측으로부터 누르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액츄에이터(12)의 구성 및 그 액츄에이터(12)의 회동에 수반하는 연결 빔부(13b)의 탄성 변위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요부로서 후단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액츄에이터에 대해서]
여기서, 전술한 것처럼 제2의 주빔(상빔)(13c2)은, 세로 서브빔(13c3)의 상단 부분으로부터 커넥터 전방측을 향해 대략 수평으로 뻗어 나와 있지만, 당해 제 2의 주빔(13c2)은, 절연 하우징(11)의 상벽부에 근접한 상태로, 커넥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 부분까지 뻗어 나와 있고, 그 제2의 주빔(13c2)의 뻗어 나온 끝부분이 절연 하우징(11)에 설치된 중앙 개구부(11e)를 통해 상방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즉, 상술한 절연 하우징(11)의 중앙 개구부(11e)는, 당해 절연 하우징(11)의 상벽면부 중, 커넥터 전후 방향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전방측의 부분을 절결(切缺)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고,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설치된 측벽부(11f, 11f)를 제외한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중앙 개구부(11e)에는, 전술한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가 개폐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당해 중앙 개구부(11e)로부터 후방측에 걸친 영역에는, 상술한 것처럼 도전 콘택트 부재(13)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제2의 주빔(13c2)이 배치되어 있고, 당해 제2의 주빔(13c2)의 전단측 부분이 중앙 개구부(11e)를 통해 상방으로 노출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또, 절연 하우징(11)의 측벽부(11f, 11f)의 전단 부분에는,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하듯이, 오목 형상의 피계지부(11g)가 형성되어 있고, 그 피계지부(11g)에 대해서, 후술하는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의 일부가 계지(係止)됨으로써, 액츄에이터(12)가, 도 1~도 3 및 도 13, 도 14와 같이 수평으로 밀어 넘어뜨려진 상태로 유지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전술한 도전 콘택트 부재(13)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제2의 주빔(상빔)(13c2)의 전단 부분(도 3 및 도 6의 좌단 부분)에는, 하방을 향해 개구하도록 하여 축받이부(13c5)가 오목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제2의 주빔(13c2)에 설치된 축받이부(13c5)에 대해서는,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에 설치된 축부로서의 회동축(12a)이, 하방측으로부터 미끄러지는 움직임이 자유롭게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그 회동축(축부)(12a)을 중심으로 하여 액츄에이터(12)가 회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동축(축부)(12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조작되는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는,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는 판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조작 본체부(12b)를 가지고 있다. 이 조작 본체부(12b)를 구성하고 있는 판상 부재는,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대략 평행하게 뻗어 있는 한 쌍의 단연부(도 3의 액츄에이터(12)의 좌우의 단연부)를 구비하고 있지만, 그 중의 일방측의 단연부를 따르도록 하여 상술한 회동축(12a)이 뻗어 있다.
그 회동축(축부)(12a)의 길이 방향 양측의 축단 부분은, 조작 본체부(12b)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쪽 단면으로부터 외방을 향해 돌출한 축단 지지부(도시 생략)에 형성되어 있고, 이들 양쪽 축단 지지부가, 절연 하우징(11)의 측벽부(11f, 11f)의 내면측을 따라 배치된 보유 금구(14)의 상연부에 의해 하방측으로부터 미끄러지는 움직임이 자유롭게 받쳐짐으로써, 도전 콘택트 부재(13)의 축받이부(13c)로부터 회동축(12a)이 하방으로 탈락하지 않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회동축(축부)(12a)을 중심으로 한 회동 반경의 외방측 부분에 대해서, 작업자의 회동 조작력이 부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보유 금구(14)의 하단연 부분은, 도시를 생략한 인쇄 배선 기판 상에 재치되고, 땜납 접합에 의해 실장(고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의 조작 본체부(12b)에 있어서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측 측벽면에는, 「커넥터 길이 방향」의 외방을 향해 볼록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계지부(12g)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도 4 참조). 그리고, 액츄에이터(12)가 수평으로 밀어 넘어뜨려지도록 회동되었을 때에, 당해 액츄에이터(12)에 설치된 계지부(12g)가, 절연 하우징(11)측의 피계지부(11g)에 감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들 양쪽 부재(12g, 11g)끼리가 감합됨으로써, 액츄에이터(12)가 수평으로 밀어 넘어뜨려진 상태로 유지된다(도 1~도 3 및 도 13, 도 14 참조).
즉, 당해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는, 수평으로 넘어뜨려진 상태(도 1~도 3 및 도 13, 도 14 참조)에 있어서, 전술한 절연 하우징(11)의 중앙 개구부(11e)를 폐색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러한 액츄에이터(12)의 폐색 회동 조작에 의해 수평으로 밀어 넘어뜨려진 「작용 위치(폐색 위치)」로부터, 도 4~도 6, 도 9~12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 「대기 위치(개방 위치)」까지, 액츄에이터(12)의 개방 회동 조작이 행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대기 위치(개방 위치)」까지 개방 회동 조작된 액츄에이터(12)는, 직립한 상태 또는 약간 후방측으로 넘어뜨려진 상태로 절연 하우징(11)의 일부에 맞닿아 회동이 정지된다.
이와 같이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가, 「대기 위치(개방 위치)」까지 들어 올려지도록 하여 개방 회동 조작이 행해지면(도 4~도 6, 도 9~도 12 참조), 절연 하우징(11)의 중앙 개구부(11e)가, 상방으로 개방된 상태가 되고, 그 개방 상태가 된 절연 하우징(11)의 중앙 개구부(11e)를 통해서,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단말 부분이 상방측으로부터 매체 가이드면(11b) 상에 재치되게 되어 있다.
이 절연 하우징(11)의 중앙 개구부(11e)로부터 재치된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단말 부분은, 커넥터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삽입되어 가고, 절연 하우징(11)의 벽부에 맞닿은 상태에서 정지된다. 이 때에, 도전 콘택트 부재(13)의 접점부(13c4)는, 콘택트 수용부(11c)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고, 매체 가이드면(11b)의 하방에 숨겨진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 있어서의 도전 콘택트 부재(13)의 접점부(13c4)는,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에 접촉하는 일이 없고, 쓸데없는 도통이나 손상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채용하고 있지 않지만,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의 단말 부분의 양측 연(緣)부에, 위치 결정 계지판을 양측 외방으로 돌출하도록 설치하고, 절연 하우징(11)의 길이 방향 양측 부분에 대향 배치된 잠금판(11h, 11h)에 맞닿게 하면,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의 뻗어 있는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을 규제하고, 이에 의해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대기 위치(개방 위치)」에 있던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가, 커넥터 전방측으로 밀어 넘어뜨려지도록 하여 폐색 회동 조작이 행해지고,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되어 있듯이 「작용 위치(폐색 위치)」까지 이동(회동)되면, 전술한 것처럼 조작 본체부(12b)에 볼록 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된 계지부(12g)가, 절연 하우징(11)의 피계지부(11g)에 계지되어 「작용 위치(폐색 위치)」에 보유된다.
「작용 위치(폐색 위치)」까지 이동(회동)된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의 하면에 상당하는 표면에는, 후술하듯이 매체 압압부(12c)가 형성되어 있고, 그 매체 압압부(12c)가,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상면(일방의 면)을 하방측을 향해 압압하면서, 전술한 도전 콘택트 부재(13)의 연결 빔부(13b)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매체 맞닿음부(13c)의 전체가 상방으로 변위된다. 그 결과, 매체 맞닿음부(13c)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제1의 주빔(하빔)(13c1)의 접점부(13c4)가 상방으로 변위하고, 매체 가이드면(11b)에 재치된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의 도전로(전극 패턴)에 대해서 하방측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누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의 조작 본체부(12b)에는,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하듯이, 상술한 도전 콘택트 부재(13)의 일부인 제2의 주빔(상빔)(13c2)의 축받이 부분을 수용하는 축받이 수용부(12d)가, 빗살 형상을 이루도록 복수체에 걸쳐서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축받이 수용부(12d)는, 커넥터 길이 방향(다극 배열의 방향)에 있어서 상술한 도전 콘택트 부재(13)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당해 액츄에이터(12)의 축받이 수용부(12d)의 내부에 제2의 주빔(13c2)의 축받이부(13c5)가 삽입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제2의 주빔(13c2)의 축받이부(13c5)에 대해서는, 전술한 것처럼 액츄에이터(12)의 회동축(12a)이, 하방측으로부터 누르도록 접촉 배치되어 있고, 그 축받이부(13c5)의 내주면에 만곡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회동축 받이면에 대해서, 액츄에이터(12)의 회동축(12a)이 미끄러지는 접촉 상태로 배치됨으로써 회동이 자유롭게 보유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전술한 것처럼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의 조작 본체부(12b)에는,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상면(일방의 면)을 압압하는 매체 압압부(12c)가, 도전 콘택트 부재(13)에 대응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매체 압압부(12c)는, 「작용 위치(폐색 위치)」까지 이동(회동)된 액츄에이터(12)의 하면에 상당하는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도전 콘택트 부재(13)의 다극 배열 방향인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피치 간격을 이루어 배치된 돌출 줄부로 형성되어 있다. 매체 압압부(12c)를 형성하고 있는 각 돌출 줄부는, 액츄에이터(12)의 회동 반경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형상으로 뻗어 있고, 다극 배열의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른 횡단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다극 배열의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매체 압압부(12c, 12c)끼리의 사이 부분에는, 마찬가지로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의 회동 반경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형상으로 뻗어 있는 홈부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들 홈부는, 다극 배열의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른 횡단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액츄에이터(12)가 「작용 위치(폐색 위치)」까지 회동된 상태에 있어서도,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상면(일방의 면)에 대해서 비접촉 상태가 되어,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에 대한 압압 작용을 행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에 설치된 매체 압압부(12c)는, 도전 콘택트 부재(13)의 다극 배열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 도전 콘택트 부재(13)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방으로 튀어 오르도록 하여 「대기 위치(개방 위치)」에 배치된 액츄에이터(12)가, 커넥터 전방측을 향해 대략 수평으로 밀어 넘어뜨려지도록 회동 조작되어 「작용 위치(폐색 위치)」까지 회동되었을 때에, 당해 액츄에이터(12)의 매체 압압부(12c)는, 도전 콘택트 부재(13)에 대해서 바로 위로부터 대면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즉, 절연 하우징(11)의 내부에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단말 부분이 삽입된 상태(도 11 및 도 12 참조)에서,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가 「작용 위치(폐색 위치)」까지 폐색 회동 조작이 행해지면(도 13 및 도 14 참조), 상술한 것처럼 가늘고 긴 형상의 돌출 줄부로 형성된 액츄에이터(12)의 매체 압압부(12c)가,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의 상측 표면(일방의 표면)을 하방측을 향해 압압하게 된다. 그 결과, 당해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의 하면(타방의 표면)측에 설치된 도전로(전극 패턴)가, 도전 콘택트 부재(13)의 접점부(13c4)에 대해서 압접 상태가 되어 누르게 된다.
한편, 다극 배열의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매체 압압부(12c, 12c)끼리의 사이 부분에 설치된 홈부는,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가 「작용 위치(폐색 위치)」까지 회동된 상태에서도,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표면에 대해서 비접촉 상태가 유지된다. 이러한 홈부를 가짐으로써,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의 탄성 변형 부분이, 홈부의 공간에 수용되고,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에 설치된 도전로(전극 패턴)를 제1의 주빔(13c1)의 접점부(13c4)에 확실히 접촉시킴과 아울러,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에 대한 보유력도 향상한다.
또한,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에 설치된 매체 압압부(12c)의 일부에는,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하듯이, 당해 매체 압압부(12c)의 외표면으로부터 전술한 축받이 수용부(12d)까지 연통하도록 하여 변형 허용부(12f)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변형 허용부(12f)는,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가 「작용 위치(폐색 위치)」까지 회동된 상태에 있어서, 도전 콘택트 부재(13)의 접점부(13c4)의 바로 위의 위치로부터 약간 후방측의 위치에 형성된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전술한 것처럼 액츄에이터(12)의 매체 압압부(12c)가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를 압압했을 때에 있어서의 당해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의 탄성 변형 부분이, 상술한 변형 허용부(12f)의 내방측의 공간에 수용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전술한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의 조작 본체부(12b)에는,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가 최종적으로 고정될 때까지 도전 콘택트 부재(13)를 탄성적으로 변위시키고, 또한 회동 조작의 클릭(click)감을 창출하는 액츄에이터 캠(12h)이 설치되어 있다. 이 액츄에이터 캠(12h)은, 액츄에이터(12)가 「대기 위치(개방 위치)」로 올려 세워진 상태(도 4~도 6, 도 9~도 12 참조)에 있어서, 상술한 매체 압압부(돌출 줄부)(12c)에 있어서의 변형 허용부(12f)의 상하 방향으로 뻗는 단연부를 이루는 캠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액츄에이터 캠(12h)의 캠면이, 상술한 회동축(12a)보다도 커넥터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당해 캠면의 선단부(도 6에 있어서의 하단부)는 회동축(12a)보다도 약간 하방측을 향해 돌출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상술한 것처럼 액츄에이터 캠(12h)의 캠면은, 회동축(12a)을 중심으로 한 회동 반경 방향의 외방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지만, 당해 액츄에이터 캠(12h)에 대해서, 전술한 도전 콘택트 부재(13)의 제1의 주빔(하빔)(13c1)에 설치된 접점부(13c4)가 하방으로부터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 내의 부호 A로 도시되어 있듯이, 제1의 주빔(13c1)의 접점부(13c4)는, 「작용 위치(폐색 위치)」로 회동된 상태에 있어서의 액츄에이터 캠(12h)의 단면(도 3의 우측 단면)과, 상술한 제2의 주빔(13c2)에 설치된 축받이부(13c5)의 회동축 받이면(도 3 내의 축받이부(13c5)의 좌단면)의 사이 부분에 대향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해놓으면, 도전 콘택트 부재(13)의 접점부(13c4)가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에 대해서 안정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여기서, 상술한 액츄에이터 캠(12h)의 캠면은, 「대기 위치(개방 위치)」에 있던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가 「작용 위치(폐색 위치)」를 향해 밀어 넘어뜨려지는 폐색 회동 조작의 원주 궤적의 방향에 있어서, 매체 압압부(12c)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당해 액츄에이터(12)의 회동 중심인 회동축(12a)으로부터 캠면에 이르는 데까지의 거리(반경)가, 마찬가지로 회동축(12a)으로부터 매체 압압부(12c)에 이르는 데까지의 거리(반경)보다도 약간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고, 그 액츄에이터 캠(12h)의 회동시에 있어서의 반경 길이의 차이에 기초하는 「캠 작용」이 행해지게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가 매체 삽입 통로(11a)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가 폐색 방향으로 회동 조작되면, 상술한 매체 압압부(12c)가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의 표면을 누르기 직전의 순간에, 액츄에이터 캠(12h)의 캠면의 정(頂)부가,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의 표면에 압접된다. 그리고, 그 매체 압압부(12c)가 압접되었을 때의 반작용에 의해, 도전 콘택트 부재(13)의 전방측 부분이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변위하게 된다. 그와 같이 도전 콘택트 부재(13)의 전방측 부분이 상방으로 변위되는데 즈음해서는, 당해 도전 콘택트 부재(13)의 매체 맞닿음부(13c)와 그 매체 맞닿음부(13c)를 고정 기부(13a)에 연결하고 있는 연결 빔부(13b)에 대해서 위로 휘어지는 방향의 굽힘 응력이 발생하게 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들 매체 맞닿음부(13c)와 연결 빔부(13b)와의 강성 관계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고 있다.
즉, 상술한 것처럼 도전 콘택트 부재(13)가 상방으로 탄성 변위되는데 즈음해서는, 우선 인쇄 배선 기판(도시 생략) 상에 땜납 접합된 고정 기부(13a)는 고정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변위를 일으키는 일이 없는 것으로, 매체 맞닿음부(13c) 및 연결 빔부(13b)의 변위의 관계를 생각하면 좋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연결 빔부(13b)의 강성 F1이 비교적 작게 설정되고, 또한 매체 맞닿음부(13c)의 강성 F2가 비교적 크게 설정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에 대해서 매체 맞닿음부(13c)가 맞닿는 방향으로 변위하는데 즈음해서의 당해 매체 맞닿음부(13c)의 강성 F2에 대해서, 연결 빔부(13b)가 탄성 변위하는데 즈음해서의 당해 연결 빔부(13b)의 강성 F1이, 같거나 작게 설정되어 있다(F1≤F2).
따라서, 전술한 액츄에이터 캠(12h)의 회동에 기초하는 「캠 작용」에 의해, 도전 콘택트 부재(13)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탄성 변위가 행해지는데 즈음해서는, 비교적 고강성의 매체 맞닿음부(13c)가, 거의 원래의 형상을 유지하는 한편, 비교적 저강성의 연결 빔부(13b)는, 위로 휘어지는 상태로 탄성 변위하게 되고, 이에 의해 연결 빔부(13b)의 근원(根元) 부분, 또는 그 근방을 중심으로 하여 매체 맞닿음부(13c)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변위한다. 즉, 매체 맞닿음부(13c)를 구성하고 있는 제1의 주빔(13c1)의 접점부(13c4)는,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가 「대기 위치(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콘택트 수용부(11c)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고, 매체 삽입 통로(11a)로부터 하방으로 숨겨져 있다.
한편,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가 「작용 위치(폐색 위치)」까지 회동 조작되었을 때에는, 제1의 주빔(13c1)의 접점부(13c4)가, 콘택트 수용부(11c)의 내부로부터 매체 가이드면(11b)의 외방(상방)으로 돌출하고, 매체 삽입 통로(11a)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로 변위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매체 삽입 통로(11a)의 내부에 배치된 제1의 주빔(13c1)의 접점부(13c4)는,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의 도전로(전극 패턴)에 대해서 하방측으로부터 누르게 된다.
또한, 이 제1의 주빔(하빔)(13c1)의 접점부(13c4)는, 콘택트 수용부(11c)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려고 했을 때에,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하면에 맞닿기 때문에, 실제로는, 콘택트 수용부(11c)의 내부에 머무는 것이 된다. 또,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가 매체 삽입 통로(11a)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예를 들면, 잘못된 조작에 의해 액츄에이터(12)가 폐색 방향으로 회동 조작되었을 경우에는, 액츄에이터 캠(12h)이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의 표면에 압접하는 일이 없으므로, 어떠한 탄성 변형이나 변위를 일으키는 일이 없다.
또,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가, 대기 위치로부터 폐색 방향으로 회동 조작되는 과정에서는, 액츄에이터 캠(12h)이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의 표면으로부터 이탈한 후에, 매체 압압부(12c)가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의 표면에 압접되고, 폐색 회동 조작에 있어서의, 이른바 클릭감 및 클릭음이 얻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상 기술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10)에 의하면,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에 있어서의 액츄에이터 캠(12h)이 「대기 위치(개방 위치)」에서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와의 맞닿음이 행해지기 전의 단계에 있어서는, 도전 콘택트 부재(13)의 접점부(13c4)는, 콘택트 수용부(11c)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고, 매체 가이드면(11b)의 하방에 숨겨진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 있어서의 도전 콘택트 부재(13)의 접점부(13c4)는,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에 접촉하는 일이 없고, 쓸데없는 도통이나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의 손상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구성에 의하면,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가 「작용 위치(폐색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 당해 액츄에이터(12)에 있어서의 액츄에이터 캠(12h)이 도전 콘택트 부재(13)의 접점부(13c4)와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를 압압하기 때문에, 액츄에이터 캠(12h)으로부터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에 부여되는 접압이, 분산하는 일 없이 도전 콘택트 부재(13)의 접점부(13c4)에 확실히 부가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각 부재에 대응하는 부재에 대해, 10의 자리를 「2」로 변경하여 나타낸 도 15 및 도 16에 관련되는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전 콘택트 부재(23)의 매체 맞닿음부(23c)를 고정 기부(23a)에 연결하는 연결 빔부(23b)가, 인쇄 배선 기판(도시 생략)의 뻗어 있는 방향(수평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결 빔부(23b)는 고정 기부(23a)로부터 매체 맞닿음부(23c)를 향해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뻗어 나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결 빔부(23b)는, 매체 맞닿음부(23c)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는 제2의 주빔(상빔)(23c2)의 후단 부분에 대해서 연속하도록 뻗어 있고, 당해 연결 빔부(23b)가 제2의 주빔(상빔)(23c2)의 일부를 이루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다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구성도, 상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발휘하지만,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연결 빔부(23b)가 경사지게 뻗어 있기 때문에, 당해 연결 빔부(23c)의 스팬 길이가, 작은 공간 내에서 충분히 확보되고,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의 협지가 안정적으로 행해진다. 또, 연결 빔부(23b)가 제2의 주빔(상빔)(23c2)의 일부를 이루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연결 빔부(23b)에 발생하는 응력이 제2의 주빔(23c2)을 향해 분산되게 되고, 응력 집중에 의한 소성 변형이나 파손이 방지된다. 또한, 연결 빔부(23b)를 제1의 주빔(하빔)(23c1)의 일부를 이루도록 구성해도, 마찬가지의 응력 분산의 작용이 얻어진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하다라고 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커넥터에 고정되는 판상 신호 전송 매체로서 플렉서블 프린티드 서킷(FPC), 및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FFC)을 채용하고 있지만, 그 외의 신호 전송용 매체 등을 이용했을 경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가 있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액츄에이터는, 커넥터 전방측을 향해 회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커넥터 후방측을 향해 회동되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에는, 동일 형상을 가지는 도전 콘택트 부재가 다극상으로 배열된 구성을 채용하고 있지만, 다른 형상의 도전 콘택트 부재를 이용한 것이어도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와 같은 수평 삽입형의 전기 커넥터, 즉 신호 전송용 매체를 배선 기판에 대해서 대략 평행하게 삽입하는 형식의 전기 커넥터 뿐만 아니라, 신호 전송용 매체를 배선 기판에 대해서 대략 수직으로 삽입하는 수직 삽입형의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각종 전기 기기에 사용하는 다종 다양한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 널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 전기 커넥터
11 : 절연 하우징
11a : 매체 삽입 통로 11b : 매체 가이드면
11c : 콘택트 수용부 11d : 부품 장착구
11e : 중앙 개구부 11f : 측벽부
11g : 피계지부 11h : 잠금판
12 :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
12a : 회동축(축부) 12b : 조작 본체부
12c : 매체 압압부(돌출 줄부)
12d : 축받이 수용부 12f : 변형 허용부
12g : 계지부
12h : 액츄에이터 캠(actuator cam)
13 : 도전 콘택트 부재
13a : 고정 기부 13a1 : 기판 접속부
13b : 연결 빔(beam)부 13c : 매체 맞닿음부
13c1 : 제1의 주빔(하빔) 13c2 : 제2의 주빔(상빔)
13c3 : 세로 서브빔(sub-beam)
13c4 : 접점부
13c5 : 축받이부 14 : 보유 금구
F :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11a : 매체 삽입 통로 11b : 매체 가이드면
11c : 콘택트 수용부 11d : 부품 장착구
11e : 중앙 개구부 11f : 측벽부
11g : 피계지부 11h : 잠금판
12 :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
12a : 회동축(축부) 12b : 조작 본체부
12c : 매체 압압부(돌출 줄부)
12d : 축받이 수용부 12f : 변형 허용부
12g : 계지부
12h : 액츄에이터 캠(actuator cam)
13 : 도전 콘택트 부재
13a : 고정 기부 13a1 : 기판 접속부
13b : 연결 빔(beam)부 13c : 매체 맞닿음부
13c1 : 제1의 주빔(하빔) 13c2 : 제2의 주빔(상빔)
13c3 : 세로 서브빔(sub-beam)
13c4 : 접점부
13c5 : 축받이부 14 : 보유 금구
F :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Claims (4)
- 배선 기판 상에 실장한 상태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판상 신호 전송 매체가 삽입되는 매체 삽입 통로를 가지는 절연 하우징과,
상기 매체 삽입 통로를 형성하고 있는 상기 절연 하우징의 표면의 일부로서, 상기 매체 삽입 통로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판상 신호 전송 매체를 안내하는 매체 가이드면과,
상기 매체 가이드면으로부터 홈 형상으로 움푹 들어간 상태로 오목하게 설치된 콘택트 수용부와,
상기 콘택트 수용부의 내부에 일부가 배치된 도전성의 콘택트 부재와,
상기 절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미리 정해진 회동축의 주위로 회동 조작됨으로써 대기 위치와 작용 위치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는 구성으로 된 액츄에이터 캠을 구비하고,
상기 대기 위치로부터 상기 작용 위치로 회동 조작된 액츄에이터 캠에 의해 상기 콘택트 부재가 탄성 변위함으로써, 당해 콘택트 부재의 접점부가 상기 매체 가이드면을 따라 상기 매체 삽입 통로 내에 삽입된 상기 판상 신호 전송 매체에 맞닿는 구성으로 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부재는, 상기 액츄에이터 캠에 의해 변위되는 제1 및 제2의 주빔을 가지는 매체 맞닿음부와, 상기 배선 기판에 접속되는 고정 기부와, 상기 매체 맞닿음부와 상기 고정 기부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탄성 변위 가능한 연결 빔부룰 구비하고,
상기 연결 빔부가 탄성 변위하는데 즈음해서의 당해 연결 빔부의 강성 F1은, 상기 판상 신호 전송 매체에 대해서 상기 매체 맞닿음부가 맞닿는 방향으로 변위하는데 즈음해서의 당해 매체 맞닿음부의 강성 F2와 같거나 작게 설정되어 있는(F1≤F2) 한편,
상기 콘택트 부재를 구성하고 있는 상기 제1 또는 제2의 주빔의 접점부는, 상기 액츄에이터 캠이 상기 대기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콘택트 수용부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매체 삽입 통로로부터 상기 매체 가이드면의 하방으로 숨겨진 상태로 유지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액츄에이터 캠이 상기 작용 위치를 향해 회동 조작되었을 때의 상기 제 1 또는 제2의 주빔의 접점부는, 상기 콘택트 수용부의 내부로부터 상기 매체 가이드면을 향해 변위하여 상기 매체 삽입 통로 내에 배치된 상기 판상 신호 전송 매체와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캠이 상기 콘택트 부재에 설치된 회동축 받이면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것으로서,
상기 콘택트 부재의 접점부가 상기 액츄에이터 캠에 대향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콘택트 부재의 접점부는 상기 작용 위치로 회동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액츄에이터 캠의 단면과 상기 회동축 받이면의 사이 부분에 대향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부재의 상기 연결 빔부가 상기 배선 기판의 뻗어 있는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부재의 상기 연결 빔부가 상기 제1 또는 제2의 주빔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6036118A JP2017152335A (ja) | 2016-02-26 | 2016-02-26 | 電気コネクタ |
JPJP-P-2016-036118 | 2016-02-2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1104A true KR20170101104A (ko) | 2017-09-05 |
KR101821900B1 KR101821900B1 (ko) | 2018-01-24 |
Family
ID=58158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81070A KR101821900B1 (ko) | 2016-02-26 | 2016-12-28 | 전기 커넥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9780472B2 (ko) |
EP (1) | EP3211721B1 (ko) |
JP (1) | JP2017152335A (ko) |
KR (1) | KR101821900B1 (ko) |
CN (1) | CN107134665A (ko) |
TW (1) | TWI625008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976230B2 (ja) | 2018-07-27 | 2021-12-08 | 京セラ株式会社 | ケーブル用コネクタ |
JP7232070B2 (ja) * | 2019-02-12 | 2023-03-02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組立体、コネクタ組立体のコネクタ対、及び、コネクタ組立体の製造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2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78742B2 (ja) | 1999-09-03 | 2002-04-30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ケーブル用コネクタ |
JP3446136B2 (ja) | 2000-06-05 | 2003-09-16 |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電気コネクタ |
JP3903338B2 (ja) | 2001-11-08 | 2007-04-11 |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Fpc用コネクタ |
JP3853262B2 (ja) * | 2002-07-01 | 2006-12-06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
US7344399B2 (en) * | 2003-10-16 | 2008-03-18 | Molex Incorporated | Flat circuit connector |
JP4014575B2 (ja) * | 2004-03-29 | 2007-11-28 | シャープ株式会社 |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付き回路基板および回路基板とフレキシブル基板との接続構造 |
JP4168986B2 (ja) * | 2004-07-06 | 2008-10-22 |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Fpc用コネクタ |
JP4090059B2 (ja) * | 2004-11-01 | 2008-05-28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2006147491A (ja) * | 2004-11-24 | 2006-06-08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 コネクタ |
JP4938303B2 (ja) * | 2005-12-16 | 2012-05-23 |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4576349B2 (ja) * | 2006-03-24 | 2010-11-04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平型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
US7214081B1 (en) * | 2006-03-24 | 2007-05-08 | Lotes Co., Ltd. | Socket for resilient electrical circuit board |
TW200742204A (en) * | 2006-04-21 | 2007-11-01 | Chief Land Electronic Co Ltd | Insulator with reinforced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JP4303736B2 (ja) | 2006-04-28 | 2009-07-29 | エフシーアイ コネクターズ シンガポール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 電気コネクタ |
JP4717852B2 (ja) * | 2007-03-27 | 2011-07-06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ケーブル用コネクタ |
JP5165630B2 (ja) * | 2009-04-09 | 2013-03-21 |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2011044405A (ja) | 2009-08-24 | 2011-03-03 |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 コネクタ |
JP2011134488A (ja) * | 2009-12-22 | 2011-07-07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 コネクタ |
JP4908606B2 (ja) * | 2010-03-18 | 2012-04-04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5090506B2 (ja) * | 2010-08-18 | 2012-12-05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5621999B2 (ja) * | 2012-03-09 | 2014-11-12 | 第一精工株式会社 | コネクタ装置 |
JP5918634B2 (ja) * | 2012-06-05 | 2016-05-18 |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 フラットケーブルコネクタ |
KR101455336B1 (ko) * | 2013-03-29 | 2014-10-27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
KR20150004043A (ko) * | 2013-07-02 | 2015-01-12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구조가 개선된 컨택트 및 이를 포함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
JP6039511B2 (ja) * | 2013-07-17 | 2016-12-07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
2016
- 2016-02-26 JP JP2016036118A patent/JP2017152335A/ja active Pending
- 2016-12-16 TW TW105141788A patent/TWI625008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6-12-28 KR KR1020160181070A patent/KR10182190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
- 2017-01-20 US US15/411,304 patent/US9780472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7-02-23 EP EP17157533.5A patent/EP3211721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7-02-24 CN CN201710102840.2A patent/CN107134665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211721B1 (en) | 2018-09-26 |
US9780472B2 (en) | 2017-10-03 |
KR101821900B1 (ko) | 2018-01-24 |
EP3211721A1 (en) | 2017-08-30 |
CN107134665A (zh) | 2017-09-05 |
US20170250482A1 (en) | 2017-08-31 |
JP2017152335A (ja) | 2017-08-31 |
TW201731177A (zh) | 2017-09-01 |
TWI625008B (zh) | 2018-05-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97357B1 (ko) | 전기 커넥터 | |
KR101766980B1 (ko) | 전기 커넥터 | |
JP5748335B2 (ja) | コネクタ | |
US20120289093A1 (en) | Connector | |
JP5515352B2 (ja) | 電気コネクタ | |
KR101034167B1 (ko) | 커넥터 | |
TW200402174A (en) |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 |
JP5333034B2 (ja) | 電気コネクタ | |
JP5746953B2 (ja) | コネクタ | |
KR101450736B1 (ko) | 커넥터 | |
JP5227379B2 (ja) |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 |
KR101821900B1 (ko) | 전기 커넥터 | |
JP2013247012A (ja) | 電気コネクタ | |
CN108475866B (zh) | 连接器 | |
JP5482388B2 (ja) | 電気コネクタ | |
US7390213B2 (en) | Connector with improved electrical contacts | |
JP2014086193A (ja) | コネクタ | |
JP2008123802A (ja) | 電気コネクタ | |
JP5551116B2 (ja) | コネクタ装置 | |
JP2017091600A (ja) | 電気コネクタ | |
JP5551115B2 (ja) | コネクタ装置 | |
JP2013004334A (ja) | コネクタ装置 | |
TWI496366B (zh) | 電連接器 | |
JP2010027511A (ja) | 電気コネクタ | |
KR20090010369A (ko) |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