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7357B1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7357B1
KR101897357B1 KR1020160146657A KR20160146657A KR101897357B1 KR 101897357 B1 KR101897357 B1 KR 101897357B1 KR 1020160146657 A KR1020160146657 A KR 1020160146657A KR 20160146657 A KR20160146657 A KR 20160146657A KR 101897357 B1 KR101897357 B1 KR 101897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signal transmission
plate
pressing
transmission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6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4996A (ko
Inventor
진 다테이시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54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4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1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13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by means of interconnecting elements
    • H01R12/616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by means of interconnecting elements having contacts penetrating insulation for making contact with conductors, e.g. needle poi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액츄에이터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면서 판상 신호 전송 매체의 보유성 및 전기적인 접속 신뢰성을 높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해결 수단> 액츄에이터(12)의 회동 조작의 클릭감을 창출하는 압압 앞돌기부(12h)를 액츄에이터(12)의 길이 방향의 일부의 영역에 설치함으로써,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에 대한 압압 앞돌기부(12h)의 압압력을 액츄에이터(12)의 길이 방향의 일부에 부여하는 것으로 하고, 다극 배열 방향으로 액츄에이터(12)가 장대화 한 경우에 있어서도,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에 대한 압압 앞돌기부(12h)의 압압력이 크게 증대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액츄에이터(12)에의 조작력을 저감하는 한편, 매체 압압부(12h)의 압압력을 유지시킴으로써,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의 최종적인 고정 상태를 양호하게 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은 절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액츄에이터(actuator)에, 판상 신호 전송 매체의 표면에 압압(押壓) 접촉하는 매체 압압부가 설치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의 전기 기기 등에 있어서, 플렉서블 프린티드 서킷(FPC)이나,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FFC) 등의 각종의 판상 신호 전송 매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여러 가지의 전기 커넥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하기의 특허 문헌 등과 같이 인쇄 배선 기판 상에 실장되어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상술한 FPC나 FFC 등으로 이루어지는 판상 신호 전송 매체가 절연 하우징(인슐레이터)의 개구부를 통해 내부에 삽입되고, 그 시점에 있어서 「대기 위치(개방 위치)」에 놓여 있어 판상 신호 전송 매체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고 있는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가, 작업자의 조작력에 의해 전기 커넥터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의 「작용 위치(폐색 위치)」를 향해 밀어 넘어뜨려지도록 회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가, 판상 신호 전송 매체를 협지(挾持)하는 「작용 위치(폐색 위치)」까지 회동 조작되면, 당해 액츄에이터에 설치된 매체 압압부(가압부)가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FFC 등)의 표면에 압접되고, 당해 액츄에이터의 매체 압압부(가압부)의 압압력에 의해, 판상 신호 전송 매체의 협지가 행해져 고정 상태로 된다. 한편, 「작용 위치(폐색 위치)」에 있는 액츄에이터가, 원래의 「대기 위치(개방 위치)」를 향해 상방으로 일어서는 방향으로 회동 조작이 행해지면, 액츄에이터의 매체 압압부(가압부)의 압압력이 해제되어 가고, 「대기 위치(개방 위치)」에 도달함으로써 판상 신호 전송 매체의 발거(拔去)가 가능해진다.
또, 상술한 것처럼 액츄에이터가 「작용 위치(폐색 위치)」까지 회동되어 매체 압압부(가압부)가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FFC 등)에 압접되면, 판상 신호 전송 매체에 설치된 도전로가, 절연 하우징의 내부에 다극상으로 배열된 복수체(複數體)의 콘택트 부재에 접촉되고, 이에 의해 신호 회로 또는 접지(ground) 회로가 형성된다.
이 때에, 액츄에이터의 매체 압압부(가압부)가 「작용 위치(폐색 위치)」에 이르기 직전의 순간(timing)에 있어서는, 당해 매체 압압부보다도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FFC 등)에 대한 돌출량이 약간 커지도록 형성된 압압 앞돌기부가 판상 신호 전송 매체의 표면에 잠깐 동안 압접하고, 그 후에 매체 압압부에 의한 압압 작용이 행해짐으로써, 액츄에이터의 회동 조작에 있어서의 클릭(click)감이 창출되는 구성이 자주 채용되고 있다.
그런데, 근년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는, 신호 전송의 극수(極數)가 많아지는 경향이 있고, 극수의 증대에 비례하여 콘택트 부재 및 액츄에이터의 매체 압압부(가압부)의 수도 증대하고 있다. 그러한 다극 구조를 가지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극수의 증대에 수반하여 액츄에이터에 대해서 큰 조작력을 부여하지 않으면 안되게 되어 있고, 신호 전송의 극수가 일정 이상의 수가 되었을 경우에는, 액츄에이터의 조작에 필요한 부가력이 과대하게 되어 액츄에이터의 조작이 어려워지는 경우도 생각된다.
이러한 액츄에이터의 조작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부터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FFC 등)에 대한 매체 압압부나 압압 앞돌기부의 돌출량(압압값)을 줄이는 대책도 행해지고 있지만, 그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판상 신호 전송 매체에 대한 보유성이나 전기적인 접속 신뢰성이 저하하고, 또한 회동 조작의 클릭감도 저감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1997-134763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2-289283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액츄에이터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면서 판상 신호 전송 매체에 대한 보유성 및 전기적인 접속 신뢰성을 높일 수가 있도록 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판상 신호 전송 매체가 삽입되는 절연 하우징과, 상기 절연 하우징의 내부에 다극상으로 배열된 복수체의 콘택트 부재와, 상기 절연 하우징에, 미리 정해진 회동 중심의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대기 위치로부터 작용 위치를 향해 회동 조작되는 구성으로 된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액츄에이터에는, 당해 액츄에이터가 상기 대기 위치로부터 작용 위치까지 회동 조작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판상 신호 전송 매체의 표면에 대해서 압압 접촉되는 배치 관계로 된 매체 압압부가 설치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에는, 상기 매체 압압부에 대해서 상기 회동 조작 방향의 하류측의 근방 부분에, 상기 회동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상기 매체 압압부보다도 큰 위치까지 돌출하여 상기 회동 조작의 클릭감을 창출하는 압압 앞돌기부가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압압 앞돌기부는, 상기 콘택트 부재의 다극 배열 방향인 상기 액츄에이터의 길이 방향의 일부의 영역에 설치된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판상 신호 전송 매체에 대한 압압 앞돌기부의 압압력이, 액츄에이터의 길이 방향의 일부에 있어서만 부여되기 때문에, 신호 전송의 극수의 증대에 수반하여 콘택트 부재의 다극 배열 방향으로 액츄에이터가 장대화(長大化) 한 경우에 있어서도, 판상 신호 전송 매체에 대한 압압 앞돌기부의 압압력이 크게 증대되지 않게 되고, 판상 신호 전송 매체가 최종적으로 고정되기 전의 단계에 있어서의 액츄에이터에의 조작력이 저감되는 한편, 매체 압압부의 압압력은 줄어드는 일 없이 유지되기 때문에, 판상 신호 전송 매체의 최종적인 고정 상태가 양호하게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의 영역에 상기 압압 앞돌기부가 배치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길이 방향의 중앙 영역에는 상기 압압 앞돌기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압압 앞돌기부가 상기 액츄에이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어 점재(點在)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콘택트 부재가 상기 판상 신호 전송 매체에 압접하는 접점부를 구비한 것으로서, 상기 압압 앞돌기부에는, 상기 콘택트 부재의 접점부가 상기 판상 신호 전송 매체에 압접한 상태에 있어서의 당해 판상 신호 전송 매체의 탄성 변형 부분을 수용하는 공간으로 형성된 변형 허용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액츄에이터의 매체 압압부에 의해 압압됨으로써 생기는 판상 신호 전송 매체의 탄성 변형 부분이, 변형 허용부에 수용되게 되고, 이에 의해 판상 신호 전송 매체가 계지(係止) 상태로 되기 때문에, 당해 판상 신호 전송 매체의 보유성이 향상된다.
이상 기술한 것처럼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는, 판상 신호 전송 매체의 표면에 압압 접촉하도록 액츄에이터에 설치한 매체 압압부보다도, 당해 액츄에이터의 회동 반경의 외방측으로 돌출하여 회동 조작의 클릭감을 창출하는 압압 앞돌기부를 콘택트 부재의 다극 배열 방향인 액츄에이터의 길이 방향의 일부의 영역에 설치함으로써, 판상 신호 전송 매체에 대한 압압 앞돌기부의 압압력을 액츄에이터의 길이 방향의 일부에 부여하여 콘택트 부재의 다극 배열 방향으로 액츄에이터가 장대화 한 경우에 있어서도, 판상 신호 전송 매체에 대한 압압 앞돌기부의 압압력이 크게 증대되는 것을 방지하고, 판상 신호 전송 매체가 최종적으로 고정되기 전의 단계에 있어서의 액츄에이터에의 조작력을 저감하는 한편, 매체 압압부의 압압력을 마찬가지로 유지시킴으로써 판상 신호 전송 매체의 최종적인 고정 상태를 양호하게 하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액츄에이터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면서 판상 신호 전송 매체의 보유성 및 전기적인 접속 신뢰성을 높일 수가 있어 전기 커넥터의 품질 및 신뢰성을 저렴하고 또한 큰 폭으로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를 나타낸 것으로서, 판상 신호 전송 매체가 미삽입의 상태에서 액츄에이터가 작용 위치(폐색 위치)로 넘어뜨려진 때의 전체 구성을 전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폐색 상태에 있는 전기 커넥터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폐색 상태에 있는 전기 커넥터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도 3에 도시된 폐색 상태에 있는 전기 커넥터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2 중의 V - V 선을 따른 횡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2 중의 VI - VI 선을 따른 횡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1~도 6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액츄에이터가 대기 위치(개방 위치)로 튀어 오른 상태의 전체 구성을 전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액츄에이터 개방 상태에 있어서의 전기 커넥터를 나타낸 정면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7~도 8에 도시된 액츄에이터 개방 상태에 있어서의 전기 커넥터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7~도 9에 도시된 액츄에이터 개방 상태에 있어서의 전기 커넥터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8 중의 XI - XI 선을 따른 횡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8 중의 XII - XII 선을 따른 횡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1~도 12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에 이용되고 있는 액츄에이터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액츄에이터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14 중의 XV - XV 선을 따른 횡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6은 도 14 중의 XVI - XVI 선을 따른 횡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7은 판상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이 삽입된 후에 액츄에이터가 폐색 회동 조작되는 도중에 있어서 액츄에이터의 압압 앞돌기부가 판상 신호 전송 매체에 접촉하기 시작한 상태의 전기 커넥터를 나타낸 정면 설명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한 전기 커넥터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19는 도 17 중의 XIX - XIX 선을 따른 횡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0은 도 17 중의 XX - XX 선을 따른 횡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1은 액츄에이터가 폐색 회동 조작되는 도중에 있어서 액츄에이터의 매체 압압부가 판상 신호 전송 매체에 접촉하기 시작한 상태의 전기 커넥터를 나타낸 정면 설명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한 전기 커넥터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23은 도 21 중의 XXIII - XXIII 선을 따른 횡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4는 도 21 중의 XXIV - XXIV 선을 따른 횡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5는 판상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이 삽입된 후에 액츄에이터가 작용 위치(접속 위치)까지 폐색 회동 조작된 상태의 전기 커넥터를 나타낸 정면 설명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한 전기 커넥터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27은 도 25 중의 XXIII - XXIII 선을 따른 횡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8은 도 25 중의 XXIV - XXIV 선을 따른 횡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하에 있어서, 플렉서블 프린티드 서킷(FPC)이나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FFC) 등으로 이루어지는 판상 신호 전송 매체의 접속을 행하기 위해 인쇄 배선 기판 상에 실장하여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기 커넥터의 전체 구조에 대해서]
즉, 도 1~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10)는, 절연 하우징(11)의 전단연(前端緣) 부분(도 5 및 도 6의 좌단연 부분)에, 접속 조작 수단으로서의 액츄에이터(12)가 장착된, 이른바 프론트 플립형(front flip type) 구조를 가지는 전기 커넥터로서, 상술한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는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단말 부분을 삽입하는 커넥터 전단측(도 5 및 도 6의 좌단측)을 향해 밀어 넘어뜨려지도록 회동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의 절연 하우징(11)은, 세로로 긴 형상으로 뻗어 있는 중공 프레임 형상의 절연성 부재로 형성되어 있지만, 그 절연 하우징(11)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을, 이하에 있어서 「커넥터 길이 방향」이라고 부르고,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단말 부분은, 「커넥터 전방」으로부터 「커넥터 후방」을 향해 삽입되는 것으로 하고, 당해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의 삽입 방향을 「매체 삽입 방향」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또한,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의 단말 부분은, 「커넥터 후방」으로부터 「커넥터 전방」을 향해 발거되는 것으로 하고, 당해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의 발거 방향을 「매체 발거 방향」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10)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좌우 대칭의 구조를 가지는 것이지만, 좌우 대칭의 배치 관계로 된 동일한 구성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절연 하우징(11)의 중공 형상 내부에는, 적당한 형상을 이루는 박판 형상 금속제 부재에 의해 형성된 콘택트 부재로서, 복수체의 도전 콘택트 부재(13, 13,···)가 장착되어 있다. 이들 복수체의 도전 콘택트 부재(13, 13,···)는,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적당한 간격을 이루어 다극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고, 절연 하우징(11)의 내방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바닥부 내벽면에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어 형성된 복수체의 콘택트 장착홈(11a, 11a,···)의 각각에 대해서 도전 콘택트 부재(13)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이들 도전 콘택트 부재(13)의 각각은, 신호 전송용 또는 접지 접속용의 어느 하나로서, 도시를 생략한 인쇄 배선 기판 상에 형성된 도전로에 대해서 땜납 접합에 의해 실장된 상태로 사용된다.
또, 상술한 것처럼 절연 하우징(11)의 전단연 부분(도 5 및 도 6의 좌단연 부분)에는, 접속 조작 수단으로서의 액츄에이터(12)가 장착되어 있지만, 당해 액츄에이터(12)는, 도 7 이후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하여 회동 조작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그와 같이 액츄에이터(12)가 상방으로 회동 조작됨으로써, 절연 하우징(11)의 전단연 부분이 커넥터 길이 방향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개방 상태로 된다(도 7 참조). 그리고, 그 개방 상태로 된 절연 하우징(11)의 전단연 부분으로부터, 플렉서블 프린티드 서킷(FPC)이나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FFC) 등으로 이루어지는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의 단말 부분이 절연 하우징(11)의 중공 형상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다.
또, 상술한 절연 하우징(11)의 후단연 부분(도 5 및 도 6의 우단연 부분)에는, 도전 콘택트 부재(13) 등을 절연 하우징(11)의 내부에 장착하기 위한 복수의 부품 장착구(11b, 11b,···)가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병렬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부품 장착구(11b)는, 상술한 콘택트 장착홈(11a)의 후단 개구부에 각각 상당하고 있고, 당해 부품 장착구(11b)를 통해 절연 하우징(11)의 내부에 삽입되는 도전 콘택트 부재(13)가 콘택트 장착홈(11a)을 따라 미리 결정된 위치까지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하여 삽입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술한 것처럼 도전 콘택트 부재(13)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 다극상을 이루도록 복수체에 걸쳐서 장착되어 있지만, 이들 각 도전 콘택트 부재(13)는, 커넥터 전방측으로부터 절연 하우징(11)의 중공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배선 패턴(도시 생략)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에 형성된 배선 패턴은 신호 전송용 도전로(신호선 패드) 또는 쉴드(shield)용 도전로(쉴드선 패드)를 적당한 피치(pitch) 간격으로 배치한 것이다.
[콘택트 부재에 대해서]
여기서, 상술한 각 도전 콘택트 부재(13)는, 절연 하우징(11)의 부품 장착구(11b)를 형성하고 있는 상하의 벽부의 내벽면에 끼워지도록 하여 고정된 후단 기(基)부(13a)를 가지고 있다. 그 후단 기부(13a)의 하단부에는, 커넥터 후방측의 외방측을 향해 단차 형상을 이루도록 뻗어 나오는 기판 접속부(13b)가 연설(連設)되어 있다. 그 기판 접속부(13b)는, 인쇄 배선 기판 상의 도전로(도시 생략)에 대해서 땜납 접합에 의해 접속되고, 그 땜납 접합에 의해 전기 커넥터(1)의 실장이 행해진다.
또한, 상술한 각 도전 콘택트 부재(13)를 구성하고 있는 후단 기부(13a)의 상단 부분으로부터는, 커넥터 전방측을 향해 지지 빔(beam)(13c)이 대략 수평으로 뻗어 나와 있다. 이 지지 빔(13c)은, 절연 하우징(11)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상벽부의 내면에 맞닿은 상태로, 커넥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 부분까지 뻗어 나와 있고, 당해 지지 빔(13c)의 뻗어 나온 단(端)부분이 절연 하우징(11)에 설치된 중앙 개구부(11c)를 통해 상방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즉, 상술한 절연 하우징(11)의 중앙 개구부(11c)는, 당해 절연 하우징(11)의 상벽부 중, 커넥터 전후 방향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전방측의 부분을 절결(切缺)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고,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설치된 측벽부(11d, 11d)를 제외한 전체 길이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중앙 개구부(11c)의 전방측 영역에는, 전술한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가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당해 중앙 개구부(11c)의 후방측 영역에는, 상술한 것처럼 도전 콘택트 부재(13)를 구성하고 있는 지지 빔(13c)의 전단측 부분이 상방으로 노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절연 하우징(11)의 측벽부(11d, 11d)의 전단 부분에는, 오목 형상의 피계지부(11f)가 형성되어 있고, 그 피계지부(11f)에 대해서, 후술하는 액츄에이터(12)의 일부가 계지됨으로써, 액츄에이터(12)가 도 1~도 6 및 도 25~도 28과 같이 수평으로 밀어 넘어뜨려진 상태로 유지되게 되어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후단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지지 빔(13c)에 있어서의 전단부에는, 하방을 향해 개구하도록 하여 축받이부(13d)가 오목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지지 빔(13c)에 설치된 축받이부(13d)에 대해서는,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에 설치된 축부로서의 회동축(12a)이, 하방측으로부터 미끄러지는 움직임이 자유롭게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그 회동축(축부)(12a)을 중심으로 하여 액츄에이터(12)가 회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액츄에이터(12)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단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각 도전 콘택트 부재(13)의 후단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후단 기부(13a)의 상단 부분과 지지 빔(13c)의 근본 부분의 일체 연결 부위에는, 탄성 빔(13e)이 분기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탄성 빔(13e)은, 상술한 지지 빔(13c)의 근본 부분에 있어서의 하단연으로부터, 커넥터 전방측의 비스듬한 하방을 향해 편지(片持) 형상을 이루어 뻗어 나오는 띠판 형상의 가요(可撓)성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절연 하우징(11)의 하벽부의 내벽면 근방까지 비스듬하게 하방으로 뻗어 나온 후에, 약간 상향으로 절곡되도록 하여 커넥터 전방측을 향해 대략 직선 형상으로 뻗어 나와 있다. 그리고, 그 탄성 빔(13e)의 뻗어 나오는 측의 전단 부분에, 상향의 돌출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접점부(13f)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도전 콘택트 부재(13)의 일부를 이루는 탄성 빔(13e)에 설치된 접점부(13f)는, 절연 하우징(11)의 내부에 삽입된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배선 패턴(도시 생략)에 대해서 하방측으로부터 대면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그리고, 회동 조작된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에 의해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가 하방을 향해 압압됨으로써, 당해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의 배선 패턴이 도전 콘택트 부재(13)의 접점부(13f)에 대해서 상방측으로부터 눌리도록 되어 있다.
[액츄에이터에 대해서]
여기서, 전술한 것처럼 회동축(축부)(12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조작되는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는,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는 판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조작 본체부(12b)를 가지고 있다. 이 조작 본체부(12b)를 구성하고 있는 판상 부재는,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대략 평행하게 뻗어 있는 한 쌍의 단연부를 구비하고 있지만, 그 중의 일방측의 단연부를 따르도록 하여, 상술한 회동축(12a)이 뻗어 있다.
그 회동축(축부)(12a)의 길이 방향 양측의 축단 부분은, 조작 본체부(12b)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단면으로부터 외방을 향해 돌출한 축단 지지부(12a1)에 형성되어 있고, 이들 양쪽 축단 지지부(12a1, 12a1)가, 절연 하우징(11)의 측벽부(11d, 11d)의 내면측을 따라 배치된 보유 금구(金具)(14)의 상연(上緣)부에 의해 하방측으로부터 미끄러지는 움직임이 자유롭게 받쳐짐으로써, 도전 콘택트 부재(13)의 축받이부(13d)로부터 회동축(12a)이 하방으로 탈락하지 않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회동축(축부)(12a)을 중심으로 한 회동 반경의 외방측 부분에 대해서, 작업자의 회동 조작력이 부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보유 금구(14)의 하단연 부분은, 도시를 생략한 인쇄 배선 기판 상에 재치(載置)되어 땜납 접합에 의해 실장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가 수평으로 밀어 넘어뜨려진 상태에 있어서의 조작 본체부(12b)의 전단 부분에는, 커넥터 길이 방향의 외방을 향해 볼록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계지부(12g)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액츄에이터(12)가 수평으로 밀어 넘어뜨려지도록 회동된 때에, 당해 액츄에이터(12)에 설치된 계지부(12g)가, 절연 하우징(11)측의 피계지부(11f)에 감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들 양쪽 부재(12g, 11f)끼리가 감합됨으로써, 액츄에이터(12)가 수평으로 밀어 넘어뜨려진 상태로 유지된다(도 1~도 6 및 도 25~도 28 참조).
즉, 그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는, 수평으로 넘어뜨려진 상태에 있어서, 전술한 절연 하우징(11)의 중앙 개구부(11c)의 전방측의 영역을 폐색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러한 액츄에이터(12)의 폐색 회동 조작에 의해 수평으로 밀어 넘어뜨려진 「작용 위치(폐색 위치)」로부터, 도 7~도 12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 「대기 위치(개방 위치)」까지, 액츄에이터(12)의 개방 회동 조작이 행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대기 위치(개방 위치)」까지 개방 회동 조작된 액츄에이터(12)는, 직립한 상태로부터 약간 후방측으로 넘어뜨려진 상태로 절연 하우징(11)의 일부에 맞닿아 회동이 정지된다.
이와 같이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가 「대기 위치(개방 위치)」까지 들어 올려지도록 하여 개방 회동 조작이 행해지면(도 17~도 12 참조), 절연 하우징(11)의 전단측 영역이, 상방으로 개방된 상태로 되고, 그 개방 상태로 된 절연 하우징(11)의 전단측 영역에 대해서,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단말 부분이 상방측으로부터 재치되게 되어 있다.
이 절연 하우징(11)의 전단측 영역에 재치된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단말 부분은, 커넥터 전방측(도 17~도 28의 우방측)을 향해 삽입되어 가고, 절연 하우징(11)의 벽부에 맞닿은 상태로 정지된다. 이 때에,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의 단말 부분의 양측 연(緣)부에는, 도시를 생략한 위치 결정 계지판이 양측 외방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들 양측의 위치 결정 계지판이, 절연 하우징(11)의 길이 방향 양측 부분에 대향 배치된 잠금판(11e, 11e)에 맞닿음으로써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의 뻗어 있는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을 규제하고, 이에 의해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의 위치 결정이 행해진다.
다음에, 「대기 위치(개방 위치)」에 있던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가, 커넥터 전방측으로 밀어 넘어뜨려지도록 하여 폐색 회동 조작이 행해지고, 도 25~도 28에 도시되어 있듯이, 「작용 위치(폐색 위치)」까지 이동(회동)되면, 전술한 것처럼 조작 본체부(12b)에 볼록 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된 계지부(12g)가, 절연 하우징(11)의 피계지부(11f)에 계지되어 「작용 위치(폐색 위치)」에 보유된다.
이 「작용 위치(폐색 위치)」까지 이동(회동)된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의 하면에 상당하는 표면에는, 후술하듯이 매체 압압부(12c)가 형성되어 있고, 그 매체 압압부(12c)가,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상면(일방의 면)을 하방측을 향해 압압하고, 당해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에 설치된 배선 패턴을, 도전 콘택트 부재(13)의 접점부(13f)에 대해서 누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후단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특히 도 13~도 16에 도시되어 있듯이,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의 조작 본체부(12b)에는, 상술한 도전 콘택트 부재(13)의 일부인 지지 빔(13c)의 축받이부(13d)를 수용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축받이 수용부(12d)가, 빗살 형상을 이루도록 복수체에 걸쳐서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축받이 수용부(12d)는, 커넥터 길이 방향(다극 배열의 방향)에 있어서 상술한 도전 콘택트 부재(13)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당해 액츄에이터(12)의 축받이 수용부(12d)의 내부에 지지 빔(13c)의 축받이부(13d)가 삽입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지지 빔(13c)의 축받이부(13d)에 대해서는, 전술한 것처럼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의 회동축(12a)이 하방측으로부터 눌리도록 접촉 배치되어 있고, 이에 의해 액츄에이터(12)가 회동이 자유롭게 보유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것처럼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의 조작 본체부(12b)에는,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상면(일방의 면)을 압압하는 매체 압압부(12c)가, 도전 콘택트 부재(13)에 대응한 위치에 복수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복수체의 매체 압압부(12c)는, 「작용 위치(폐색 위치)」까지 이동(회동)된 액츄에이터(12)의 하면에 상당하는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도전 콘택트 부재(13)의 다극 배열 방향인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피치 간격을 이루어 배치된 돌출 줄부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 매체 압압부(12c)를 형성하고 있는 돌출 줄부는, 액츄에이터(12)의 회동 반경 방향을 따라 세로로 긴 형상으로 뻗어 있고, 다극 배열의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른 횡단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다극 배열의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매체 압압부(12c, 12c)끼리의 사이 부분에는, 마찬가지로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의 회동 반경 방향을 따라 세로로 긴 형상으로 뻗어 있는 홈부(12e)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들 홈부(12e)는, 다극 배열의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른 횡단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액츄에이터(12)가 「작용 위치(폐색 위치)」까지 회동된 상태에 있어서도,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상면(일방의 면)에 대해서 비접촉 상태가 되어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에 대한 압압 작용을 행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에 설치된 매체 압압부(12c)는, 도전 콘택트 부재(13)의 다극 배열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 도전 콘택트 부재(13)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방으로 튀어 오르도록 하여 「대기 위치(개방 위치)」에 배치된 액츄에이터(12)가, 커넥터 전방측을 향해 대략 수평으로 밀어 넘어뜨려지도록 회동 조작되어 「작용 위치(폐색 위치)」까지 회동된 때에, 당해 액츄에이터(12)의 매체 압압부(12c)는, 도전 콘택트 부재(13)에 대해서 바로 위에서 대면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즉, 절연 하우징(11)의 내부에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단말 부분이 삽입된 상태(도 17~도 28 참조)로,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가 「작용 위치(폐색 위치)」까지 폐색 회동 조작을 하면(도 25~도 28 참조), 상술한 것처럼 세로로 긴 형상의 돌출 줄부로 형성된 액츄에이터(12)의 매체 압압부(12c)가,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의 상측 표면(일방의 표면)을 하방측을 향해 압압하게 된다. 그 결과, 당해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의 하면(타방의 표면)측에 설치된 배선 패턴이 도전 콘택트 부재(13)의 접점부(13f)에 대해서 압접 상태가 되어 눌리게 된다.
한편, 다극 배열의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매체 압압부(12c, 12c)끼리의 사이 부분에 설치된 홈부(12e)는,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가 「작용 위치(폐색 위치)」까지 회동된 상태에 있어서도,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표면에 대해서 비접촉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홈부(12e)를 가짐으로써,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의 탄성 변형 부분이, 홈부(12e)의 공간에 수용되고,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에 대한 다극 배열의 방향의 보유력을 향상한다.
또한,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에 설치된 매체 압압부(12c)의 일부에는, 당해 매체 압압부(12c)의 외표면으로부터 전술한 축받이 수용부(12d)까지 연통하도록 하여 변형 허용부(12f)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변형 허용부(12f)는,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가 「작용 위치(폐색 위치)」까지 회동된 상태에 있어서, 도전 콘택트 부재(13)의 접점부(13f)의 바로 위의 위치로부터 약간 후방측의 위치에 형성된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전술한 것처럼 액츄에이터(12)의 매체 압압부(12c)가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를 압압한 때에 있어서의 당해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의 탄성 변형 부분이, 상술한 변형 허용부(12f)의 내방측의 공간에 수용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전술한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의 조작 본체부(12b)에는,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가 최종적으로 고정되기 직전에 회동 조작의 클릭(click)감을 창출하는 압압 앞돌기부(12h)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압압 앞돌기부(12h)는, 액츄에이터(12)가 「대기 위치(개방 위치)」로 세워 올려진 상태(도 7~도 12 참조)에 있어서, 상술한 매체 압압부(돌출 줄부)(12c) 및 홈부(12e)의 하단연부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회동축(12a)의 전방측 부분에 있어서 당해 회동축(12a)보다도, 약간 하방측을 향해 돌출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상술한 것처럼 압압 앞돌기부(12h)는, 회동 반경 방향의 내방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지만, 특히 도 13에 도시되어 있듯이,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의 길이 방향 양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길이 방향의 중앙 영역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그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영역에 있어서는, 매체 압압부(돌출 줄부)(12c) 및 홈부(12e)의 회동 반경 내방측의 단연 부분이, 대략 평탄면 형상을 이루어 뻗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압압 앞돌기부(12h)는, 「대기 위치(개방 위치)」에 있던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가 「작용 위치(폐색 위치)」를 향해 밀어 넘어뜨려지는 폐색 회동 조작의 원주 궤적의 방향에 있어서 매체 압압부(12c)의 전방측(하류측)에 배치되어 있고, 액츄에이터(12)의 회동 중심인 회동축(12a)으로부터의 거리(반경)가, 마찬가지로 회동축(12a)으로부터 매체 압압부(12c)에 이를 때까지의 거리(반경)보다도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가 폐색 회동 조작됨으로써, 매체 압압부(12c)가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표면에 눌리기 직전의 순간에 있어서, 압압 앞돌기부(12h)의 정(頂)부가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의 표면에 압접되고, 그 직후에 압압 앞돌기부(12h)가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의 표면으로부터 이탈하고, 또한 매체 압압부(12c)가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의 표면에 압접되기 때문에, 당해 폐색 회동 조작에 있어서의, 이른바 클릭감 및 클릭음이 얻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의 폐색 회동 조작 방향에 있어서 매체 압압부(12c)의 하류측 근방 부분에 설치된 압압 앞돌기부(12h)는, 도전 콘택트 부재(13)의 다극 배열 방향인 커넥터 길이 방향의 일부의 영역에 설치되어 있지만,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액츄에이터(1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영역에만 압압 앞돌기부(12h)를 배치하는 구성 뿐만 아니라, 당해 압압 앞돌기부(12h)가,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어 액츄에이터(12)의 길이 방향으로 점재하는 배치 구성 등, 여러 가지의 배치 관계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기술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10)에 의하면,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에 대한 압압 앞돌기부(12h)의 압압력이, 액츄에이터(12)의 길이 방향의 일부에 있어서만 부여되기 때문에, 신호 전송 극수의 증대에 수반하여 도전 콘택트 부재(13)의 다극 배열 방향으로 액츄에이터(12)가 장대화 한 경우에 있어서도,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에 대한 압압 앞돌기부(12h)의 압압력이 크게 증대되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가 최종적으로 고정되기 전의 단계에 있어서의 액츄에이터(12)에의 조작력이 저감되는 한편, 매체 압압부(12c)의 압압력은 줄어드는 일 없이 유지되기 때문에,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의 최종적인 고정 상태가 양호하게 얻어진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가 「작용 위치(폐색 위치)」에 회동된 때에, 당해 액츄에이터(12)의 매체 압압부(12c)가, 도전 콘택트 부재(13)의 접점부(13f)와 직접 대향하는 위치에서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를 압압하기 때문에, 액츄에이터(12)의 매체 압압부(12c)로부터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에 부여되는 접압(接壓)이, 분산하는 일 없이 도전 콘택트 부재(13)의 접점부(13f)에 확실하게 부가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의 매체 압압부(12c)끼리의 사이 부분에 홈부(12e)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상면(일방의 표면)에 대해서, 액츄에이터(12)의 매체 압압부(12c)만이 압접하게 되고, 당해 액츄에이터(12)의 매체 압압부(12c)에 대향하는 도전 콘택트 부재(13)의 접점부(13f)의 접압이,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에 대해서, 보다 확실하게 부여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의 매체 압압부(12c)에 의해 압압됨으로써 생기는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탄성 변형 부분이, 액츄에이터(12)에 설치된 변형 허용부(12f)에 수용됨으로써,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가 계지 상태가 되기 때문에, 당해 판상 신호 전송 매체 F의 보유성이 향상된다.
이에 더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축받이부(13d)를 포함한 도전 콘택트 부재(13)의 일부분이,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에 설치된 축받이 수용부(12e)내에 수용된 구조로 되기 때문에, 전기 커넥터 전체의 소형화가 도모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에 설치된 축받이 수용부(12d)는, 변형 허용부(12f)와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액츄에이터(12)를 금형 형성하는데 즈음하여, 축받이 수용부(12d), 및 회동축(12a)을 성형하는 금형 구조가, 변형 허용부(12f)에 상당하는 부위를 통해 용이하게 형발(型拔)되게 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하다라고 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커넥터에 고정되는 판상 신호 전송 매체로서 플렉서블 프린티드 서킷(FPC), 및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FFC)을 채용하고 있지만, 그 외의 신호 전송용 매체 등을 이용한 경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가 있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액츄에이터는, 커넥터 전방측을 향해 회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커넥터 후방측을 향해 회동되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에는, 동일 형상을 가지는 도전 콘택트 부재를 다극상으로 배열된 구성을 채용하고 있지만, 다른 형상의 도전 콘택트 부재를 이용한 것에 있어서도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각종 전기 기기에 사용하는 다종 다양한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 널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 전기 커넥터 11 : 절연 하우징
11a : 콘택트 장착홈 11b : 부품 장착구
11c : 중앙 개구부 11d : 측벽부
11e : 잠금판 11f : 피계지부
12 :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
12a : 회동축(축부) 12a1 : 축단 지지부
12b : 조작 본체부
12c : 매체 압압부(돌출 줄부)
12d : 축받이 수용부 12e : 홈부
12f : 변형 허용부 12g : 계지부
12h : 압압 앞돌기부
13 : 도전 콘택트 부재
13a : 후단 기부 13b : 기판 접속부
13c : 지지 빔 13d : 축받이부
13e : 탄성 빔 13f : 접점부
14 ; 보유 금구
F : 판상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Claims (4)

  1. 판상 신호 전송 매체가 삽입되는 절연 하우징과,
    상기 절연 하우징의 내부에 다극상으로 배열된 복수체의 콘택트 부재와,
    미리 정해진 회동 중심을 가지는 회동축의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대기 위치로부터 작용 위치를 향해 회동 조작되는 구성으로 된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액츄에이터에는, 당해 액츄에이터가 상기 대기 위치로부터 작용 위치까지 회동 조작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판상 신호 전송 매체의 표면에 대해서 압압 접촉되는 매체 압압부가 설치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부재에 상기 액츄에이터의 회동축을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축받이부가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매체 압압부가 상기 콘택트 부재의 배열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어 복수 배치되고, 또한 상기 콘택트 부재의 배열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상기 매체 압압부끼리의 사이 부분에 홈부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매체 압압부가, 상기 콘택트 부재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부재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액츄에이터가 작용 위치까지 회동된 때에, 당해 매체 압압부가 상기 콘택트 부재에 대해서 바로 위에서 대면하고,
    상기 액츄에이터에는, 상기 회동 조작 방향에 있어서 상기 매체 압압부의 전방측 부분에, 상기 회동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상기 매체 압압부에 이를 때까지의 거리보다도 큰 위치까지 돌출하여 상기 회동 조작의 클릭감을 창출하는 압압 앞돌기부가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압압 앞돌기부는, 상기 콘택트 부재의 다극 배열 방향인 상기 액츄에이터의 길이 방향의 일부의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의 영역에 상기 압압 앞돌기부가 배치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길이 방향의 중앙 영역에는 상기 압압 앞돌기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 앞돌기부가 상기 액츄에이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어 점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부재가 상기 판상 신호 전송 매체에 압접하는 접점부를 구비한 것으로서,
    상기 매체 압압부에는, 상기 콘택트 부재의 접점부가 상기 판상 신호 전송 매체에 압접한 상태에 있어서의 당해 판상 신호 전송 매체의 탄성 변형 부분을 수용하는 공간으로 형성된 변형 허용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160146657A 2015-11-10 2016-11-04 전기 커넥터 KR1018973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20695A JP6308197B2 (ja) 2015-11-10 2015-11-10 電気コネクタ
JPJP-P-2015-220695 2015-1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996A KR20170054996A (ko) 2017-05-18
KR101897357B1 true KR101897357B1 (ko) 2018-09-11

Family

ID=57256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6657A KR101897357B1 (ko) 2015-11-10 2016-11-04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93629B2 (ko)
EP (1) EP3168937A1 (ko)
JP (1) JP6308197B2 (ko)
KR (1) KR101897357B1 (ko)
CN (1) CN106684599B (ko)
TW (1) TWI6231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40674B2 (ja) * 2016-12-09 2019-07-10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552659B1 (ja) * 2018-02-26 2019-07-31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
JP6841290B2 (ja) 2019-02-20 2021-03-10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947195B2 (ja) 2019-02-20 2021-10-13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996521B2 (ja) * 2019-02-20 2022-01-17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TWI824285B (zh) * 2021-08-27 2023-12-01 唐虞企業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2378A (ja) * 2005-08-02 2007-02-15 Kyocera Elco Corp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11233487A (ja) * 2010-04-30 2011-11-17 Hirose Electric Co Ltd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6790A (en) * 1989-04-28 1990-06-26 Apple Computer, Inc. Low insertion force connector
JP3098944B2 (ja) 1995-11-09 2000-10-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3741619B2 (ja) 2001-03-23 2006-02-0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CN2618316Y (zh) * 2003-03-26 2004-05-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4098290B2 (ja) 2004-08-31 2008-06-11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Ffc用コネクタ
JP4317811B2 (ja) * 2004-11-16 2009-08-19 ホシデン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CN2777780Y (zh) * 2005-03-31 2006-05-03 瀚荃股份有限公司 电连接器
JP2006338955A (ja) 2005-05-31 2006-12-14 Tyco Electronics Amp Kk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7261589B2 (en) * 2005-11-04 2007-08-2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JP2008053123A (ja) 2006-08-25 2008-03-06 Jst Mfg Co Ltd Fpc用コネクタ
CN201130767Y (zh) * 2007-10-12 2008-10-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4992707B2 (ja) * 2007-12-28 2012-08-08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1355730Y (zh) * 2008-11-11 2009-12-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4798277B2 (ja) 2009-09-16 2011-10-19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2221752A (ja) * 2011-04-08 2012-11-12 Hosiden Corp コネクタ
US8636531B2 (en) * 2011-07-22 2014-01-28 Hosiden Corporation Connector for connection with flat connecting objects
WO2013018193A1 (ja) * 2011-08-02 2013-02-07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090341B2 (ja) * 2015-01-09 2017-03-08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2378A (ja) * 2005-08-02 2007-02-15 Kyocera Elco Corp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11233487A (ja) * 2010-04-30 2011-11-17 Hirose Electric Co Ltd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93629B2 (en) 2017-10-17
JP2017091814A (ja) 2017-05-25
EP3168937A1 (en) 2017-05-17
CN106684599B (zh) 2018-12-25
TW201724669A (zh) 2017-07-01
KR20170054996A (ko) 2017-05-18
US20170133774A1 (en) 2017-05-11
CN106684599A (zh) 2017-05-17
JP6308197B2 (ja) 2018-04-11
TWI623161B (zh) 2018-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7357B1 (ko) 전기 커넥터
KR101766980B1 (ko) 전기 커넥터
US8641439B2 (en) Electrical connector
US705230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actuator
JP2006173051A (ja) コネクタ
TWI687002B (zh) 電連接器
KR101001738B1 (ko) 커넥터
KR101451532B1 (ko) 전기 커넥터
JP5333034B2 (ja) 電気コネクタ
JP2009206097A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5482388B2 (ja) 電気コネクタ
US20070278085A1 (en) Connector with improved electrical contacts
JP2006120429A (ja) コネクタ
KR101821900B1 (ko) 전기 커넥터
KR20080031769A (ko)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JP2007265911A (ja) コネクタ
WO2008089456A2 (en) Terminal assemblies, connectors and manufacturing thereof
JP2010244809A (ja) 電気コネクタ
JP2017103143A (ja) 電気コネクタ
JP5811842B2 (ja) 電気コネクタ
JP2010287352A (ja) 電気コネクタ
JP2007173255A (ja) コネクタ
JP2017091600A (ja) 電気コネクタ
JP2006196356A (ja) コネクタ
KR20170069126A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