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6980B1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6980B1
KR101766980B1 KR1020150180707A KR20150180707A KR101766980B1 KR 101766980 B1 KR101766980 B1 KR 101766980B1 KR 1020150180707 A KR1020150180707 A KR 1020150180707A KR 20150180707 A KR20150180707 A KR 20150180707A KR 101766980 B1 KR101766980 B1 KR 101766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contact
signal transmission
medium
transmission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0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6262A (ko
Inventor
도모히로 오기노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86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6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6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6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7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3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nected with pivoting of printed circuits or like after inse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신호 전송 매체와 콘택트 부재의 접촉 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해결 수단] 다극 배열된 콘택트 부재(13)의 접점부(13f)와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도록 이동 조작되는 액츄에이터(12)의 매체 압압부(12c)를, 다극 배열 방향에 있어서 콘택트 부재(13)의 접점부(13f)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하고, 액츄에이터(12)가 작용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 당해 액츄에이터(12)의 매체 압압부(12c)가 콘택트 부재(13)의 접점부(13f)와 직접 대향하는 위치에서 신호 전송 매체를 압압하는 구성으로 하고, 액츄에이터(12)의 매체 압압부(12c)로부터 신호 전송 매체 F로 부여되는 접압을 분산시키는 일 없이 콘택트 부재(13)의 접점부(13f)에 확실하게 부가시키는 것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액츄에이터를 이동 조작함으로써, 콘택트 부재와 신호 전송 매체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의 전기 기기 등에 있어서, 플렉서블 프린티드 서킷(FPC:Flexible Printed Circuit)이나,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FFC:Flexible Flat Cable) 등의 각종 신호 전송 매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여러 가지의 전기 커넥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하기의 특허 문헌 등과 같이 인쇄 배선 기판상에 실장되어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상술한 FPC나 FFC 등으로 이루어지는 신호 전송 매체가 절연 하우징(인슐레이터)의 개구부를 통해 내부에 삽입되고, 그 시점에서는 신호 전송 매체를 개방 상태로 하는 「대기 위치(개방 위치)」에 있는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가, 작업자의 조작력에 의해 전기 커넥터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의 「작용 위치(폐색 위치)」를 향해 밀어 넘어뜨려지도록 회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가 신호 전송 매체를 협지(挾持)하는 「작용 위치(폐색 위치)」까지 이동(회동) 조작되면, 당해 액츄에이터에 설치된 매체 압압부(가압부)가 신호 전송 매체(FPC, FFC 등)의 표면에 압접되고, 그 액츄에이터의 매체 압압부(가압부)의 압압력에 의해, 신호 전송 매체에 설치된 도전로가 콘택트 부재의 접점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신호 전송 매체가 고정 상태로 된다. 한편, 「작용 위치(폐색 위치)」에 있는 액츄에이터가, 원래의「대기 위치(개방 위치)」를 향해 상방으로 일어서는 방향으로 이동(회동) 조작이 행해지면, 액츄에이터의 매체 압압부(가압부)의 압압력이 해제되어 가고, 「대기 위치(개방 위치)」에 이르면 당해 신호 전송 매체의 발거(拔去)가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종래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액츄에이터가 「작용 위치(폐색 위치)」까지 이동되었을 때에, 당해 액츄에이터로부터 부여되는 압압력이 콘택트 부재의 다극 배열 방향으로 분산한 상태로 콘택트 부재에 부여되는 경향으로 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가압 부재(15)에 구비된 가압부(15A)로 플랫 케이블 C를 접촉부(12)에 강하게 눌러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접촉부(12) 및 플랫 케이블 C에 설치된 도전로에 대해, 이들을 누르는 가압부(15A)는 다극 배열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 관계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신호 전송 매체에 설치된 도전로와 콘택트 부재의 접점부의 접촉 상태가 불안정하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신호 전송 매체(FPC, FFC 등)에 대해서 예정 외의 외력이 부가된 경우에 있어서는, 당해 신호 전송 매체가 콘택트 부재로부터 이간하는 것도 생각된다. 특히, 전기 커넥터의 소형화·박형화가 도모되고 있는 근년에 있어서는, 상술한 양쪽 부재끼리의 접촉 상태가 보다 확실하게 유지되는 것이 요청되고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5-251760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1995-142130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와 콘택트 부재의 접촉 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되고, 신호 전송 매체에 예정 외의 외력이 부가된 경우에 있어서도 양쪽 부재끼리의 접촉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시킬 수가 있도록 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다극상을 이루도록 배열된 복수체(複數體)의 콘택트 부재의 접점부에 대해서 신호 전송 매체의 일방의 표면을 대면 배치시킨 상태에서, 액츄에이터를 작용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당해 액츄에이터에 설치된 매체 압압부를 상기 신호 전송 매체의 타방의 표면에 압접시키고, 상기 콘택트 부재의 접점부와 상기 신호 전송 매체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매체 압압부가 상기 다극 배열의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이루어 복수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각 매체 압압부가 상기 다극 배열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부재의 접점부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작용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 상기 매체 압압부와 상기 콘택트 부재의 접점부가 직접적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액츄에이터가 작용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 당해 액츄에이터의 매체 압압부가 콘택트 부재의 접점부와 직접 대향하는 위치에서 신호 전송 매체를 압압하는 것으로 되고, 액츄에이터의 매체 압압부로부터 신호 전송 매체로 부여되는 접압(接壓)이 분산하는 일 없이 콘택트 부재의 접점부에 확실하게 부가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다극 배열의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기 매체 압압부끼리의 사이 부분에 홈(groove)부가 오목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홈부는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작용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 매체의 표면에 대해서 비접촉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신호 전송 매체의 일방의 표면에 대해서, 액츄에이터의 매체 압압부만이 압접하는 것으로 되고, 당해 액츄에이터의 매체 압압부에 대향하는 콘택트 부재의 접점부의 접압이 신호 전송 매체에 대해서 보다 확실하게 부여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액츄에이터의 상기 매체 압압부에는, 상기 콘택트 부재의 접점부가 상기 신호 전송 매체에 압접했을 때에 있어서의 당해 신호 전송 매체의 탄성 변형 부분을 수용하는 변형 허용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액츄에이터의 매체 압압부에 의해 압압됨으로써 생기는 신호 전송 매체의 탄성 변형 부분이, 변형 허용부에 수용됨으로써 신호 전송 매체가 계지(係止) 상태로 되어 당해 신호 전송 매체의 보유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액츄에이터에, 상기 다극 배열의 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축부가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콘택트 부재에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축부를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축받이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액츄에이터에, 상기 콘택트 부재의 축받이부를 수용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축받이 수용부가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매체 압압부가 상기 다극 배열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축받이 수용부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콘택트 부재의 축받이부를 포함하는 일부분이 액츄에이터의 축받이 수용부 내에 수용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 커넥터 전체의 소형화가 도모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기 축받이 수용부는 상기 변형 허용부와 연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액츄에이터를 생산하는 금형을 형성하는데 즈음하여, 축받이 수용부, 및 축부를 성형하는 금형의 구조가, 변형 허용부에 상당하는 부위를 통해 용이하게 형(型) 빼기가 되는 것으로 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이상 기술한 것처럼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는, 다극상을 이루도록 배열한 복수의 콘택트 부재의 접점부와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도록 이동 조작되는 액츄에이터의 매체 압압부를, 다극 배열의 방향에 있어서 콘택트 부재의 접점부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액츄에이터가 작용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 당해 액츄에이터의 매체 압압부가 콘택트 부재의 접점부와 직접 대향하는 위치에서 신호 전송 매체를 압압하는 구성으로 하고, 액츄에이터의 매체 압압부로부터 신호 전송 매체로 부여되는 접압을 분산시키는 일 없이 콘택트 부재의 접점부에 확실하게 부가시키는 것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신호 전송 매체와 콘택트 부재의 접촉 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되고, 신호 전송 매체에 예정 외의 외력이 부가되었을 경우에 있어서도 양쪽 부재끼리의 접촉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시킬 수가 있어 전기 커넥터의 품질 및 신뢰성을 저렴하고 또한 큰 폭으로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를 나타낸 것으로서, 신호 전송 매체가 미삽입의 상태에서 액츄에이터가 작용 위치(폐색 위치)로 넘어뜨려졌을 때의 전체 구성을 전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폐색 상태에 있는 전기 커넥터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폐색 상태에 있는 전기 커넥터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도 3에 도시된 폐색 상태에 있는 전기 커넥터의 배면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도 4에 도시된 폐색 상태에 있는 전기 커넥터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2 내의 VI-VI 선을 따른 횡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1~도 6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액츄에이터가 대기 위치(개방 위치)로 튀어오른 상태의 전체 구성을 전방측으로부터 나타내고, 일부 단면을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개방 상태에 있는 전기 커넥터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개방 상태에 있는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을 삽입 개시 위치까지 근접시킨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위치 관계에 있는 전기 커넥터 및 신호 전송 매체를 나타낸 도 6 상당의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을 전기 커넥터의 내부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위치 관계에 있는 전기 커넥터 및 신호 전송 매체를 나타낸 도 6 상당의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액츄에이터를 작용 위치(폐색 위치)까지 밀어 넘어뜨린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위치 관계에 있는 전기 커넥터 및 신호 전송 매체를 나타낸 도 6 상당의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위치 관계에 있는 전기 커넥터 및 신호 전송 매체를 나타낸 정면 설명도이다.
도 16은 도 15 내의 XVI-XVI 선을 따른 횡단면 설명도이다.
이하에 있어서, 플렉서블 프린티드 서킷(FPC)이나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FFC) 등으로 이루어지는 신호 전송 매체의 접속을 행하기 위해서, 인쇄 배선 기판상에 실장되어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기 커넥터의 전체 구조에 대해서]
즉, 도 1~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10)는, 절연 하우징(11)의 전단연(前端緣) 부분(도 6의 우단연 부분)에, 접속 조작 수단으로서의 액츄에이터(12)가 장착된, 이른바 프론트 플립형 구조를 가지는 전기 커넥터로서, 상술한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는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단말 부분을 삽입하는 커넥터 전단측(도 6의 우단측)을 향해 밀어 넘어뜨려지도록 회동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의 절연 하우징(11)은, 세로로 긴 형상으로 뻗어 있는 중공 프레임 형상의 절연성 부재로 형성되어 있지만, 그 절연 하우징(11)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을, 이하에 있어서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부르고,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단말 부분은, 「커넥터 전방」으로부터 「커넥터 후방」을 향해 삽입되는 것으로 하고, 당해 신호 전송 매체 F의 삽입 방향을 「매체 삽입 방향」으로 부르는 것으로 한다. 또한, 신호 전송 매체 F의 단말 부분은 「커넥터 후방」으로부터 「커넥터 전방」을 향해 발거(拔去)되는 것으로 하고, 당해 신호 전송 매체 F의 발거 방향을 「매체 발거 방향」으로 부르는 것으로 한다.
절연 하우징(11)의 내방(內方) 부분에는, 적당한 형상을 이루는 박판 형상 금속제 부재에 의해 형성된 콘택트 부재로서, 복수체(複數體)의 도전 콘택트(13)가 장착되어 있다. 이들 복수체의 도전 콘택트(13)는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적당한 간격을 이루어 다극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고, 당해 도전 콘택트(13)의 각각은, 신호 전송용 또는 그라운드(ground) 접속용의 어느 하나로서, 인쇄 배선 기판 B(도 10, 도 12 및 도 14 참조)상에 형성된 도전로(도시 생략)에 대해서 땜납 접합에 의해 실장된 상태로 사용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술한 것처럼 절연 하우징(11)의 전단연 부분(도 6의 우단연 부분)에는, 접속 조작 수단으로서의 액츄에이터(12)가 장착되어 있지만, 당해 액츄에이터이터(12)는, 도 7 이후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방으로 들어 올리도록 하여 회동 조작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와 같이 액츄에이터(12)가 상방으로 회동 조작됨으로써, 절연 하우징(11)의 전단연 부분이 커넥터 길이 방향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개방 상태로 된다. 그리고, 그 개방 상태로 된 절연 하우징(11)의 전단연 부분으로부터, 플렉서블 프린티드 서킷(FPC)이나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FFC) 등으로 이루어지는 신호 전송 매체 F의 단말 부분이 절연 하우징(11)의 내부에 삽입된다.
또한, 절연 하우징(11)의 후단연 부분(도 6의 좌단연 부분)에는, 상술한 도전 콘택트(콘택트 부재)(13) 등을 장착하기 위한 복수의 부품 장착구(11a)가,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병렬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들 부품 장착구(11a)로부터 절연 하우징(11)의 내부로 삽입되는 도전 콘택트(콘택트 부재)(13)는, 절연 하우징(11)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상하의 내벽면(內壁面)에 오목하게 설치된 콘택트 장착홈(11b)을 따라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하여 삽입됨으로써 고정된다.
상술한 도전 콘택트(콘택트 부재)(13)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 다극상을 이루도록 복수체의 것이 장착되어 있지만, 이들 각 도전 콘택트(13)는 커넥터 전방측으로부터 절연 하우징(11)의 내부로 삽입된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배선 패턴(도시 생략)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 신호 전송 매체 F에 형성된 배선 패턴은, 신호 전송용 도전로(신호선 패드) 또는 쉴드용 도전로(쉴드선 패드)를 적당한 피치 간격으로 배치한 것이다.
[콘택트 부재에 대해서]
여기서, 상술한 각 도전 콘택트(콘택트 부재)(13)는 절연 하우징(11)의 부품 장착구(11a)를 형성하고 있는 상하의 벽(壁)부의 내벽면에 끼워지도록 하여 고정된 후단 기(基)부(13a)를 가지고 있다. 그 후단 기부(13a)의 하단부에는, 커넥터 후방측의 외방측을 향해 단차 형상을 이루도록 뻗어 나오는 기판 접속부(13b)가 설치되어 있다. 그 기판 접속부(13b)는 인쇄 배선 기판 B(도 10, 도 12 및 도 14 참조)상의 도전로(도시 생략)에 대해서 땜납 접합에 의해 접속되고, 그 땜납 접합에 의해 전기 커넥터(1)의 실장이 행해진다.
또한, 상술한 각 도전 콘택트(콘택트 부재)(13)를 구성하고 있는 후단 기부(13a)의 상단 부분으로부터는, 커넥터 전방측을 향해 지지빔(13c)이 대략 수평으로 뻗어 나와 있다. 이 지지빔(13c)은 절연 하우징(11)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상벽부의 내면에 맞닿은 상태에서, 커넥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 부분까지 뻗어 나와 있고, 당해 지지빔(13c)의 뻗어 나온 단(端)부분이, 절연 하우징(11)에 설치된 중앙 개구부(11c)를 통해 상방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즉, 상술한 절연 하우징(11)의 중앙 개구부(11c)는, 당해 절연 하우징(11)의 상벽부 중, 커넥터 전후 방향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전방측의 부분을 절결(切缺)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고,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설치된 측벽부(11d, 11d)를 제외한 전체 길이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당해 중앙 개구부(11c)의 전방측 영역에는, 전술한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가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당해 중앙 개구부(11c)의 후방측 영역에는, 상술한 것처럼 도전 콘택트(13)를 구성하고 있는 지지빔(13c)의 전단측 부분이 상방으로 노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절연 하우징(11)의 측벽부(11d, 11d)의 전단 부분에는, 오목 형상의 피(被)계지부(11f)가 형성되어 있고, 그 피계지부(11f)에 대해서, 후술하는 액츄에이터(12)의 일부가 계지됨으로써, 액츄에이터(12)가 도 1~도 6과 같이 수평으로 밀어 넘어뜨려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후단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지지빔(13c)에 있어서의 전단부에는, 하방을 향해 개구하도록 하여 축받이부(13d)가 오목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지지빔(13c)에 설치된 축받이부(13d)에 대해서는,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에 설치된 축부로서의 회동축(12a)이, 하방측으로부터 미끄러지는 움직임이 자유롭게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그 회동축(축부)(12a)을 중심으로 하여 액츄에이터(12)가 회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액츄에이터(12)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단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각 도전 콘택트(콘택트 부재)(13)의 후단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후단 기부(13a)의 상단 부분과 지지빔(13c)의 근본 부분의 일체 연결 부위에는, 탄성빔(13e)이 분기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탄성빔(13e)은 상술한 지지빔(13c)의 근본 부분에 있어서의 하단연으로부터, 커넥터 전방측의 비스듬한 하방을 향해 편지(片持) 형상을 이루어 뻗어 나오는 띠판 형상의 가요성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절연 하우징(11)의 하벽부의 내벽면 근방까지 비스듬하게 하방으로 뻗어 나온 후에, 약간 상향으로 절곡하도록 하여 커넥터 전방측을 향해 대략 직선 향상으로 뻗어 나와 있다. 그리고, 그 탄성빔(13e)의 뻗어 나온 측의 전단 부분에, 상향의 돌출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접점부(13f)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도전 콘택트(콘택트 부재)(13)의 일부를 이루는 탄성빔(13e)에 설치된 접점부(13f)는, 절연 하우징(11)의 내부에 삽입된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배선 패턴(도시 생략)에 대해서 하방측으로부터 대면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그리고, 회동 조작된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에 의해 신호 전송 매체 F가 압압됨으로써, 당해 신호 전송 매체 F의 배선 패턴이 도전 콘택트(13)의 접점부(13f)에 대해서 상방측으로부터 눌려지도록 되어 있다.
[액츄에이터에 대해서]
여기서, 전술한 것처럼 자신의 회동축(12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조작되는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는,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는 판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조작 본체부(12b)를 가지고 있다. 즉, 이 조작 본체부(12b)는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는 한 쌍의 양쪽 단연부를 구비하고 있지만, 그 중의 일방측의 단연부를 따르도록 하여, 상술한 축부로서의 회동축(12a)이 뻗어 있고, 당해 회동축(축부)(12a)을 중심으로 한 회동 반경의 외방측 부분에 대해서, 작업자의 회동 조작력이 부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에, 상술한 회동축(12a)의 양단 부분은 조작 본체부(12b)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단면으로부터 외방을 향해 돌출한 상태(도 7의 A부에 숨은 상태로 도에는 나타나지 않는다)로 형성되어 있고, 절연 하우징(11)의 측벽부(11d, 11d)의 내면측을 따라 배치된 보유 금구(14)의 상연(上緣)부에, 당해 회동축(12a)의 양단 부분이 받쳐짐으로써, 도전 콘택트(13)의 축받이부(13d)로부터 회동축(12a)이 탈락하지 않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보유 금구(14)의 하단 부분은 도시를 생략한 인쇄 배선 기판상에 재치(載置)되고, 땜납 접합에 의해 실장된다.
또한,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가 수평으로 밀어 넘어뜨려진 상태에 있어서의 조작 본체부(12b)의 전단 부분에는, 커넥터 길이 방향의 외방을 향해 볼록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계지부(12g)(도 8 및 도 9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가 수평으로 밀어 넘어뜨려지도록 회동되었을 때에, 당해 액츄에이터(12)에 설치된 계지부(12g)가 절연 하우징(11)측의 피계지부(11f)에 감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당해 양쪽 부재(12g, 11f)가 감합됨으로써 액츄에이터(12)가 수평으로 밀어 넘어뜨려진 상태로 유지된다(도 1~도 6 참조).
즉,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는, 수평으로 넘어뜨려진 상태에 있어서, 전술한 절연 하우징(11)의 중앙 개구부(11c)의 전방측의 영역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이 수평으로 밀어 넘어뜨려진 「작용 위치(폐색 위치)」로부터,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대기 위치(개방 위치)」까지 회동 조작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대기 위치(개방 위치)」까지 회동 조작된 액츄에이터(12)는, 직립한 상태로부터 약간 후방측으로 넘어뜨려진 상태로 절연 하우징(11)의 일부에 맞닿아 회동이 정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가 「대기 위치(개방 위치)」까지 들어 올려지도록 회동 조작되면, 절연 하우징(11)의 전단측 영역이 상방으로 개방된 상태로 되고, 그 개방 상태로 된 절연 하우징(11)의 전단측 영역에 대해서,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단말 부분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어 있듯이 근접 배치되어 상방측으로부터 재치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것처럼 하여 절연 하우징(11)의 전단측 영역에 재치된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단말 부분은, 커넥터 전방측(도 10의 좌방측)을 향해 삽입되어 가고,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되어 있듯이, 절연 하우징(11)의 벽부에 맞닿은 상태에서 정지된다. 이 때에, 특히 도 9, 도 11 및 도 16에 도시되어 있듯이, 신호 전송 매체 F의 단말 부분의 양쪽 측연부에는, 위치 결정 계지판(F1, F1)이 양측 외방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들 위치 결정 계지판(F1, F1)이 절연 하우징(11)의 길이 방향 양측 부분에 대향 배치된 잠금판(11e, 11e)에 의해 신호 전송 매체 F의 뻗어 있는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을 규제함으로써, 신호 전송 매체 F의 위치 결정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그 다음에, 「대기 위치(개방 위치)」에 있던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가, 커넥터 전방측으로 밀어 넘어뜨려지도록 회동 조작됨으로써,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되어 있듯이 「작용 위치(폐색 위치)」까지 이동되고, 전술한 것처럼 조작 본체부(12b)에 볼록 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된 계지부(12g)가, 절연 하우징(11)의 피계지부(11f)에 계지되어 「작용 위치(폐색 위치)」에 보유된다.
이 「작용 위치(폐색 위치)」까지 이동(회동)된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의 하면에 상당하는 표면에는, 후술하듯이 매체 압압부(12c)가 형성되어 있고, 그 매체 압압부(12c)가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상면(일방의 면)을 하방측을 향해 압압하고, 당해 신호 전송 매체 F에 설치된 배선 패턴을, 도전 콘택트(콘택트 부재)(13)의 접점부(13f)에 대해서 누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후단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의 조작 본체부(12b)에는, 상술한 도전 콘택트(콘택트 부재)(13)의 일부인 지지빔(13c)의 축받이부(13d)를 수용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축받이 수용부(12d)가, 빗살 형상을 이루도록 복수체에 걸쳐서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축받이 수용부(12d)는 커넥터 길이 방향(다극 배열의 방향)에 있어서 상술한 도전 콘택트(13)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당해 액츄에이터(12)의 축받이 수용부(12d)의 내부에 지지빔(13c)의 축받이부(13d)가 삽입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지지빔(13c)의 축받이부(13d)에 대해서는, 전술한 것처럼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의 회동축(12a)이 하방측으로부터 눌려지도록 접촉 배치되어 있고, 이에 의해 액츄에이터(12)가 회동이 자유롭게 보유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것처럼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의 조작 본체부(12b)에는,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상면(일방의 면)을 압압하는 매체 압압부(12c)가, 복수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복수체의 매체 압압부(12c)는 「작용 위치(폐색 위치)」까지 이동(회동)된 액츄에이터(12)의 하면에 상당하는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도전 콘택트(콘택트 부재)(13)의 다극 배열 방향인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피치 간격을 이루어 배치된 돌출 줄부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 매체 압압부(12c)를 형성하고 있는 돌출 줄부는, 액츄에이터(12)의 회동 반경 방향을 따라 세로로 긴 형상으로 뻗어 있고, 다극 배열의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른 횡단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것처럼 다극 배열의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매체 압압부(12c, 12c)끼리의 사이 부분에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듯이, 마찬가지로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의 회동 반경 방향을 따라 세로로 긴 형상으로 뻗어 있는 홈부(12e)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들 홈부(12e)는 다극 배열의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른 횡단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액츄에이터(12)가 「작용 위치(폐색 위치)」까지 이동(회동)된 상태 있어서도,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상면(일방의 면)에 대해서 비접촉 상태로 되고, 신호 전송 매체 F에 대한 압압 작용을 행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에 설치된 매체 압압부(12c)는, 도전 콘택트(콘택트 부재)(13)의 다극 배열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 도전 콘택트(13)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방으로 튀어오르도록 하여 「대기 위치(개방 위치)」에 배치된 액츄에이터(12)가, 커넥터 전방측을 향해 대략 수평으로 밀어 넘어뜨려지도록 회동 조작되어 「작용 위치(폐색 위치)」까지 이동(회동)되었을 때에, 당해 액츄에이터(12)의 매체 압압부(12c)는 도전 콘택트(13)에 대해서 바로 위로부터 대면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즉, 절연 하우징(11)의 내부에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단말 부분이 삽입된 상태(도 11 및 도 12 참조)에서,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가 「작용 위치(폐색 위치)」까지 회동되면(도 13~도 15 참조), 상술한 것처럼 세로로 긴 형상의 돌출 줄부로 형성된 액츄에이터(12)의 매체 압압부(12c)가, 신호 전송 매체 F의 상측 표면(일방의 표면)을 하방측을 향해 압압하는 것으로 된다. 그 결과, 당해 신호 전송 매체 F의 하면(타방의 표면)측에 설치된 배선 패턴이, 도전 콘택트(콘택트 부재)(13)의 접점부(13f)에 대해서 눌려지는 것으로 된다.
한편, 전술한 것처럼 다극 배열의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매체 압압부(12c, 12c)끼리의 사이 부분에 설치된 홈부(12e)는,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가 「작용 위치(폐색 위치)」까지 회동된 상태에 있어서도,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표면에 대해서 비접촉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홈부(12e)를 가짐으로써, 신호 전송 매체 F의 탄성 변형 부분이 홈부(12e)의 공간에 수용되어 신호 전송 매체 F에 대한 다극 배열의 방향의 보유력이 향상한다.
또한, 도 6 및 도 14에 도시되어 있듯이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에 설치된 매체 압압부(12c)의 일부에는, 당해 매체 압압부(12c)의 외표면으로부터 전술한 축받이 수용부(12d)까지 연통하도록 하여 변형 허용부(12f)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변형 허용부(12f)는,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가 「작용 위치(폐색 위치)」까지 회동된 상태에 있어서, 도전 콘택트(콘택트 부재)(13)의 접점부(13f)의 바로 위의 위치로부터 약간 후방측의 위치에 형성된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전술한 것처럼 액츄에이터(12)의 매체 압압부(12c)가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를 압압했을 때에 있어서의 당해 신호 전송 매체 F의 탄성 변형 부분이, 상술한 변형 허용부(12f)의 내방측의 공간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 기술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10)에 의하면,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가 「작용 위치(폐색 위치)」로 이동(회동)되었을 때에, 당해 액츄에이터(12)의 매체 압압부(12c)가 도전 콘택트(콘택트 부재)(13)의 접점부(13f)와 직접 대향하는 위치에서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등 ) F를 압압 하는 것으로 되고, 액츄에이터(12)의 매체 압압부(12c)로부터 신호 전송 매체 F로 부여되는 접압이 분산하는 일 없이 도전 콘택트(13)의 접점부(13f)에 확실하게 부가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의 매체 압압부(12c)끼리의 사이 부분에 홈부(12e)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상면(일방의 표면)에 대해서, 액츄에이터(12)의 매체 압압부(12c)만이 압접하는 것으로 되고, 당해 액츄에이터(12)의 매체 압압부(12c)에 대향하는 도전 콘택트(콘택트 부재)(13)의 접점부(13f)의 접압이, 신호 전송 매체 F에 대해서, 보다 확실하게 부여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의 매체 압압부(12c)에 의해 압압됨으로써 생기는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탄성변형 부분이, 액츄에이터(12)에 설치된 변형 허용부(12f)에 수용됨으로써, 신호 전송 매체 F가 계지 상태로 되기 때문에, 당해 신호 전송 매체 F의 보유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축받이부(13d)를 포함하는 도전 콘택트(콘택트 부재)(13)의 일부분이,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에 설치된 축받이 수용부(12d) 내에 수용된 구조로 되기 때문에, 전기 커넥터 전체의 소형화가 도모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에 설치된 축받이 수용부(12d)는 변형 허용부(12f)와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액츄에이터(12)를 금형으로 형성하는데 즈음하여, 축받이 수용부(12d), 및 회동축(12a)을 성형하는 금형의 구조가, 변형 허용부(12f)에 상당하는 부위를 통해 용이하게 형(型) 빼기가 되는 것으로 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하다고 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커넥터에 고정되는 신호 전송 매체로서, 플렉서블 프린티드 서킷(FPC), 및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FFC)을 채용하고 있지만, 그 외의 신호 전송용 매체 등을 이용했을 경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가 있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련는 액츄에이터는, 커넥터 전방측을 향해 회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커넥터 후방측을 향해 회동되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에는, 동일 형상을 가지는 도전 콘택트를 다극상으로 배열된 구성을 채용하고 있지만, 다른 형상의 도전 콘택트를 이용한 것으로서도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각종 전기 기기에 사용하는 다종 다양한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 널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 전기 커넥터  11 : 절연 하우징
11a : 부품 장착구  11b : 콘택트 장착홈
11c : 중앙 개구부  11d : 측벽부
11e : 잠금판  11f : 피계지부
12 :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
12a : 회동축(축부)
12b : 조작 본체부
12c : 매체 압압부(돌출 줄부)
12d : 축받이 수용부
12e : 홈부 12f : 변형 허용부
12g : 계지부
13 : 도전 콘택트(콘택트 부재)
13a : 후단 기부 13b : 기판 접속부
13c : 지지빔 13d : 축받이부
13e : 탄성빔 13f : 접점부
14 : 보유 금구
F :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1 : 위치 결정 계지판
B : 인쇄 배선 기판

Claims (6)

  1. 다극상을 이루도록 배열된 복수체의 콘택트 부재의 접점부에 대해서 평판 형상 신호 전송 매체의 일방의 표면을 대면 배치시킨 상태에서, 액츄에이터를 작용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당해 액츄에이터에 설치된 매체 압압부를 상기 평판 형상 신호 전송 매체의 타방의 표면에 압접시키고, 상기 콘택트 부재의 접점부와 상기 평판 형상 신호 전송 매체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구성을 구비하고,
    상기 액츄에이터에, 상기 다극 배열의 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축부가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콘택트 부재에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축부를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축받이부가 설치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매체 압압부가 상기 다극 배열의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이루어 복수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각 매체 압압부가 상기 다극 배열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부재의 접점부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작용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 상기 매체 압압부와 상기 콘택트 부재의 접점부가 직접적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또한,
    상기 다극 배열의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상기 매체 압압부끼리의 사이 부분에 홈부가 오목하게 설치되고,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작용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홈부가, 상기 평판 형상 신호 전송 매체의 표면에 대해서 비접촉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액츄에이터에는, 상기 콘택트 부재의 축받이부를 수용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축받이 수용부가 설치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매체 압압부가, 상기 다극 배열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축받이부 및 상기 축받이 수용부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기 매체 압압부에는, 상기 콘택트 부재의 접점부가 상기 평판 형상 신호 전송 매체에 압접했을 때에 있어서의 당해 평판 형상 신호 전송 매체의 탄성 변형 부분을 수용하는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변형 허용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기 축받이 수용부는 상기 변형 허용부와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50180707A 2015-01-09 2015-12-17 전기 커넥터 KR1017669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03584A JP6090341B2 (ja) 2015-01-09 2015-01-09 電気コネクタ
JPJP-P-2015-003584 2015-0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6262A KR20160086262A (ko) 2016-07-19
KR101766980B1 true KR101766980B1 (ko) 2017-08-09

Family

ID=56233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0707A KR101766980B1 (ko) 2015-01-09 2015-12-17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647365B2 (ko)
JP (1) JP6090341B2 (ko)
KR (1) KR101766980B1 (ko)
CN (1) CN105789944B (ko)
DE (1) DE102016000261A1 (ko)
FR (1) FR3031631A1 (ko)
NL (1) NL2015905B3 (ko)
TW (1) TWI5968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74711B2 (ja) * 2013-09-10 2017-02-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ケーブル保持部材、電気的接続装置、コネクタ装置
JP5907207B2 (ja) * 2014-04-28 2016-04-26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308197B2 (ja) * 2015-11-10 2018-04-11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EP3338863A1 (de) 2016-12-22 2018-06-27 Feuerschutz Jockel Gmbh & Co. KG Feuerlöscher
JP6881996B2 (ja) 2017-02-09 2021-06-02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
WO2021011486A1 (en) * 2019-07-16 2021-01-21 Cellink Corporation Terminal-free connectors and circuits comprising terminal-free connecto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3702A (ja) 2003-08-27 2007-02-22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回動アクチュエータを備えた平形回路コネクタ
US20070134975A1 (en) * 2003-08-27 2007-06-14 Molex Incorporated Flat circuit connector with improved housing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5829Y2 (ja) * 1983-06-24 1985-08-0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4778403A (en) * 1987-07-15 1988-10-18 Elco Corporation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JP2692055B2 (ja) 1993-11-18 1997-12-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820855B2 (ja) * 1993-04-07 1998-11-05 トーマス アンド ベッツ コーポレーション コネクタ
JPH11329618A (ja) * 1998-05-21 1999-11-30 Kyocera Eruko Kk Fpc/ffc用コネクタ
US6332801B1 (en) * 1999-09-01 2001-12-25 Hirose Electric Co., Ltd. Insulation replacement electrical connector
US6431897B1 (en) * 1999-10-06 2002-08-13 Japan Aviation Electroncis Industry Limited Connector having a rotary actuator engaged with a contact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sheet-like object connected to the connector
JP4168986B2 (ja) * 2004-07-06 2008-10-22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Fpc用コネクタ
JP2006216242A (ja) * 2005-02-01 2006-08-17 Quasar System Inc 電気コネクタ
US7275955B2 (en) * 2005-04-19 2007-10-0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4093583B2 (ja) 2005-04-20 2008-06-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4542525B2 (ja) * 2005-07-07 2010-09-15 山一電機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4240495B2 (ja) * 2005-09-20 2009-03-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7261589B2 (en) * 2005-11-04 2007-08-2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US7179118B1 (en) * 2006-03-15 2007-02-2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US7987594B1 (en) * 2006-11-08 2011-08-0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terconnected foil contact array
JP4858249B2 (ja) * 2007-03-19 2012-01-18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4956339B2 (ja) * 2007-09-07 2012-06-20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4192203B1 (ja) * 2007-12-26 2008-12-10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7527511B1 (en) * 2008-05-09 2009-05-05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JP5182384B2 (ja) * 2010-02-05 2013-04-17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4993788B2 (ja) * 2010-03-26 2012-08-0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CN103477508A (zh) * 2010-10-22 2013-12-25 Fci连接器新加坡有限公司 高速柔性印刷电路板连接器
JP5344059B2 (ja) * 2011-03-18 2013-11-20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WO2013018193A1 (ja) * 2011-08-02 2013-02-07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799679B2 (ja) * 2011-09-02 2015-10-28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TWM439282U (en) * 2012-03-13 2012-10-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5862387B2 (ja) * 2012-03-15 2016-02-16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4164883A (ja) * 2013-02-22 2014-09-08 Fujitsu Component Ltd コネクタ
JP5571837B1 (ja) * 2013-08-21 2014-08-13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3702A (ja) 2003-08-27 2007-02-22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回動アクチュエータを備えた平形回路コネクタ
US20070134975A1 (en) * 2003-08-27 2007-06-14 Molex Incorporated Flat circuit connector with improved hou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L2015905A (en) 2016-09-23
CN105789944A (zh) 2016-07-20
DE102016000261A1 (de) 2016-07-14
TWI596844B (zh) 2017-08-21
US20160204533A1 (en) 2016-07-14
KR20160086262A (ko) 2016-07-19
US9647365B2 (en) 2017-05-09
JP6090341B2 (ja) 2017-03-08
CN105789944B (zh) 2018-04-10
NL2015905B3 (en) 2018-06-28
FR3031631A1 (fr) 2016-07-15
TW201633628A (zh) 2016-09-16
JP2016129124A (ja) 2016-07-14
NL2015905B1 (en) 2018-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6980B1 (ko) 전기 커넥터
KR101735945B1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
US8641439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897357B1 (ko) 전기 커넥터
US20050287865A1 (en) Flexible printed circuit electrical connector
US20060234542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20070020982A1 (en)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US20060105621A1 (en)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CN104425918A (zh) 电连接器
KR101451532B1 (ko) 전기 커넥터
KR101309915B1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US7390213B2 (en) Connector with improved electrical contacts
JP5482388B2 (ja) 電気コネクタ
JP2008004340A (ja) コネクタ
KR101821900B1 (ko) 전기 커넥터
US9281593B2 (en) Connector which is reduced in possibility of damage due to warping of a connection object without decreasing the insertability of the connection object
JP2014082104A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2018181798A (ja) 電気コネクタ
JP2017212140A (ja) プリント基板用コネクタ
JP2009064679A (ja) ケーブルコネクタ
JP2019003755A (ja) 電気コネクタ
JP2019125999A (ja) アンテナ装置
JP2017199466A (ja) 電気コネクタ
JP2016095953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