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8615A - 김 구이장치 - Google Patents

김 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8615A
KR20170098615A KR1020160020750A KR20160020750A KR20170098615A KR 20170098615 A KR20170098615 A KR 20170098615A KR 1020160020750 A KR1020160020750 A KR 1020160020750A KR 20160020750 A KR20160020750 A KR 20160020750A KR 20170098615 A KR20170098615 A KR 20170098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ischarge
conveyor
roasted roasted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0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석
홍영호
Original Assignee
김영석
홍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석, 홍영호 filed Critical 김영석
Priority to KR1020160020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8615A/ko
Publication of KR20170098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6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65G23/08Drums, rollers, or wheels with self-contained driving mechanisms, e.g. motors and associat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2Arrangements or mountings of driving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2Rotary or reciprocating members for direct action on articles or materials, e.g. pushers, rakes, sho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20Auxiliary treatments, e.g. aerating, heating, humidifying, deaerating, cooling, de-watering or drying, during loading or unloading; Loading or unloading in a fluid medium other than ai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Abstract

본 발명은 조미 김을 연속해서 자동으로 굽는 장치이고 또 내부공간을 가지면서 그 상부와 일측부를 개방하여 각각 이송공간부와 배출공간부를 가지게 한 본체와, 본체 내부공간 상측에 일정길이 설치하는 투입컨베이어와, 본체 내부 공간 하측에 일정길이 설치하는 배출컨베이어와, 투입컨베이어와 배출컨베이어를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본체의 이송공간부 선상에 구성하는 구이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미 김의 구이작업에 대한 신속성과 편리함을 제공하게 되고 또 그에 따른 보다 양질의 식감,미감을 가지는 구이 김을 제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장치의 간소화로 제작 및 유지보수 그리고 이용의 편리함을 제공하게 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김 구이장치{Roasted seaweed machine}
본 발명은 조미 또는 무 조미 김을 단시간 내에 고온으로 신속히 굽어 그 맛과 식감이 뛰어난 구이 김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 김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미 김은 생김(날김) 표면으로 맛 기름과 소금 등을 도포하여 일정시간 동안 숙성시킨 것을 말하고 또 구이 김은 위 조미 김을 일정온도에서 구워 만든 김을 말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상기 조미 김 또는 무 조미 김을 구워 구이 김으로 만드는 장치에 있다 할 것이므로, 상기 장치에 대한 선행기술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종래 본체내부의 상,하측에 상부 이송컨베이어와 하부 이송컨베이어를 다단으로 구성한 다음 상,하부 이송컨베이어 상부에 각각 석영관으로 된 히터를 장착하여 김이 상,하부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일정거리 이송되면서 히터에 의해 구이가 되게 한 김 구이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장치는 상,하부 이송컨베이어와 동일 길이로 히터를 각각 장착하여 김이 상,하부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일정거리 이송될 때, 그 이송되는 시간 동안 저온의 히터로 김을 서서히 굽는 방식으로 구운 김의 맛과 식감이 현저히 떨어지고, 또 김 이송시 김 표면에 도포된 소금이 상부 이송컨베이어에서 하부 이송컨베이어 상에 위치한 히터로 다량 낙하되어 김으로 탄내와 탄 맛을 배이게 하는 문제를 가졌다.
다시 말해 김의 이송을 도모하는 이송컨베이어를 상,하 다단으로 배치하고 동시에 이송컨베이어 상부에 각각 히터를 동일 길이로 구성한 종래의 위 장치는 상부 이송컨베이어를 통과하는 김으로부터 소금이 낙하하여 하부 이송컨베이어 상에 위치한 히터에 흡착되는 경우가 빈번한데, 이러한 상태에서 장시간을 작업할 경우 소금이 히터와 접촉하여 타 재를 발생시키게 되고 그 재는 다시 김 표면에 흡착되어 탄내와 탄 맛을 일으키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또 위 소금과 일부 기름이 히터에 고착되어 타버릴 경우, 상,하부 이송컨베이어 상에 위치한 김으로의 화재를 야기할 수 있는데 종래 장치는 히터가 본체 내부에 위치하고 특히 상,하부 이송컨베이어 사이에 위치한 하부 히터로부터 위 문제의 발생우려가 매우 높았는데, 위 장치는 상기 히터가 본체 내부에 고정설치되어 화재에 매우 취약하였던 실정이었다.
단, 근래 들어 위 장치를 이용한 김의 구이작업시, 히터의 온도를 최저온도로 설정하여 김이 상,하부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일정거리를 이송하는 동안 서서히 굽어 제조하고 있는데, 이 경우 위 화재 예방에 대한 해결책은 될 수 있었으나 김의 맛과 식감을 떨어트리는 다른 문제를 야기하였다.
참고로 구이 김은 맛 기름과 소금이 도포된 생김을 높은 온도에서 단시간 내에 신속하게 구워야 맛이 뛰어나고 또 김 표면으로 도톰하게 돋아 오르는 엠보싱 형상이 발생하여 매우 바싹바싹한 식감을 가지게 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므로 위와 같이 일정시간 동안 김을 서서히 굽는 종래 방식의 김은 그 맛이 떨어지고 특히 표면으로 엠보싱 형상이 발생하지 않아 식감이 현저히 떨어지는 등의 문제를 가졌으므로 구이 김의 품질이 저급하였던 실정이었다.
상기 설명한 종래의 문제점을 다시 한번 요약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장치는 김의 구이시간이 길어 그 맛과 식감은 물론 구이작업의 효율성과 신속성이 떨어졌고, 또 상기 구이시간을 길게 하기 위하여 필요조건으로 히터를 상,하 이중으로 설치구성함에 따라 화재 우려 및 탄내와 탄맛을 발생시켰던 문제가 있었으며 또 구성의 복잡성으로 인한 장치 유지보수관리 및 사용이 불편하였던 문제 들을 다수 가지고 있었던 실정이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1999-0028832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문제를 일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미김 또는 무 조미김을 단시간 내에 고온에서 신속하게 구워 그 맛과 식감을 극대화하면서 만약에 일어날 수 있는 기계 내부에서의 김 화재시 신속히 구이수단을 개폐하여 화재진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치의 부피와 구성의 간소화를 꾀하여 원가절감 및 구이 김의 생산성과 그 효율성 그리고 편의성을 극대화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제시되는 본 발명의 김 구이 장치는 내부공간을 가지면서 그 상부와 일측부를 개방하여 각각 이송공간부와 배출공간부를 가지게 한 본체와, 본체 내부공간 상측에 일정길이 설치하는 투입컨베이어와, 본체 내부 공간 하측에 일정길이 설치하는 배출컨베이어와, 투입컨베이어와 배출컨베이어를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본체의 이송공간부 선상에 구성하는 구이수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구이수단 상부에 김 보관함을 더 구성하고, 또 본체 양측부에는 다수의 기자재보관함을 더 구성하고 또 본체 배출공간부에 배출도모수단과 적재함을 더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본체로 다수의 환기공을 형성하면서 그 환기공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기 팬을 더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김을 단시간 내에 고온에서 신속하게 구워 그 맛과 식감을 극대화하여 주는 효과와, 만약에 일어날 수 있는 본체 내부에서의 김 화재시 신속히 구이수단을 개폐하여 화재진화 및 그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와, 구이하고자 하는 조미 김과 그에 필요한 기자재 및 구이 김의 보관이 용이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단으로 장치의 부피와 구성을 최대한 간소화시켜 그 제작 편의는 물론 제조비용의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고 나아가 조미 김의 공급과 구이 그리고 배출작업이 연속해서 신속히 이루어지는 기술을 가짐에 따라 단시간에 대량 작업(조미 김 구이)이 가능한 여러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예시도,
도 2는 가 - 가' 선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배출도모수단의 일 예시도,
도 4는 가 - 가'선과 교차되는 방향으로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이수단 확대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이수단 작용예시도,
도 7,8,9,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전체 예시도,
전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을 뒷받침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다.
단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기술에 대하여 생략 또는 간략 설명토록 하고 또 동일 명칭에 대하여서는 하나의 부호로 통일 기재,설명토록 한다.
또 아래 설명에 있어 본 발명에 의한 구이 전과 구이 후의 김 설명을 구분할 수 있도록 구이 전의 조미 또는 무 조미 김을 "조미 김"으로 통칭하고 구이 후의 김을 "구이 김"으로 통칭하여 설명토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상세 구성을 가 - 가'선 부분단면도로 표현한 도면 도 1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김 구이 장치는 내부공간을 가지면서 그 상부와 일측부를 개방하여 각각 이송공간부(1)와 배출공간부(2)를 가지게 한 본체(a)와;, 본체(a) 내부공간 상측에 일정길이 설치하는 투입컨베이어(3)와;, 본체(a) 내부 공간 하측에 일정길이 설치하는 배출컨베이어(4)와;, 상기 투입컨베이어(3)와 배출컨베이어(4) 타측으로 하향경사지게 설치구성하는 이송안내판(31)과;, 투입컨베이어(3)와 배출컨베이어(4)를 구동하는 구동모터(5)와;, 본체(a)의 이송공간부(1) 선상에 구성하는 구이수단(6)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본체(a)는 내부공간이 서로 연통되는 여러 개의 벽체(a1)(a2)(a3)(a4)(a5)를 이용하여 박스형태로 구성하고, 또 그 상부와 일측부를 개방하여 각각 이송공간부(1)와 배출공간부(2)를 가지게 하며, 본체(1)의 내부공간 바닥면에는 배출서랍(a6)을 수납하여 구성한다.
참고로 이송공간부와 배출공간부는 도2를 보는 시점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본체 상부에 이송공간부가 구성되고, 본체 우측부에 배출공간부가 구성된다.
한편, 상기 벽체(a1)(a2)(a3)(a4)(a5)는 각각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는 샌드위치 판넬 형태 또는 내부에 불연성 재질의 단열재(aa)를 가지는 샌드위치 판넬 형태로 구성하여 단열효과를 가지도록 한다.
또 여러 개의 벽체 중 벽체(a1)(a2)(a4)(a5)에 여러 개의 환기공(aa')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벽체(a1)(a2)(a4)(a5) 내부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기팬(aa")을 구성하여 본체(a) 내부공간의 환기가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투입컨베이어(3)는 본체(a) 내부공간 상측에 수평상태로 구성하되, 본체(a)를 이루는 여러 개의 벽체 중 벽체(a4)와 벽체(a5) 사이에 일정거리를 두고 체인스프로킷(31)을 가지는 회전축(32)(32')을 베어링으로 설치 구성한 다음 양측 회전축(32)(32')의 체인스프로킷(31)을 상호 체인컨베이어벨트(33)로 연결하여 구성한다.
투입컨베이어(3)의 회전축(32)(32')을 고정하는 상기 베어링은 벽체(a4)(a5) 내부공간 또는 벽체(a4)(a5) 외측면에 각각 설치구성하여 회전축(32)(32') 양단을 고정케 하고 또 양측 회전축(32)(32') 중 일측 회전축(32)에는 장력조절장치(32")를 설치하여 체인컨베이어벨트(33)의 장력조절이 이루어지게 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컨베이어(4)는 본체(a) 내부공간 하측 즉, 투입컨베이어(3) 하부 선상에 수평상태로 구성하되, 상기 투입컨베이어(3)와 동일한 구조로 구성한다.(투입컨베이어와 동일 구성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생략함)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5)는 투입컨베이어(3)와 배출컨베이어(4)를 동시 구동되게 구성하되, 필요에 따라 본체 내,외부에 설치하여 투입컨베이어(3)와 배출컨베이어(4)의 각 일측 회전축(32)(32')과 체인으로 연결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구이수단(6)은 발열코일(61)과 발열코일(61)을 고정하는 발열체보빈(62)과, 발열체보빈(62)을 내설하여 본체(a)로부터 개폐가 이루어지게 하는 개폐커버(63)로 구성하되, 상기 개폐커버(63)는 그 하부면 양측을 본체(a)를 이루는 벽체(a4)(a5) 상부면에 받침시키면서 개폐커버(63) 일측을 본체(a)의 상부 벽체(a2)일단과 경첩(64)으로 연결구성하여 개폐커버(63) 내에 발열코일(61)이 투입컨베이어(3)와 일정간격 두고 위치되게 하고 또 필요에 따라 경첩(64)을 통해 본체(a)로부터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개폐커버(63)는 외주면과 상부면으로 여러 개의 환기공(aa')을 형성하여 개폐커버(63) 내부에 잔존할 수 있는 냄새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김 구이 장치를 완성하기 위한 상세구성을 살펴보았고, 하기부터는 상기 구성에 의한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토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수단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조미 김을 연속자동으로 구이 할 수 있도록 한 장치로서 준비단계와 실시단계를 가진다.
먼저, 준비단계는 구이수단(6)의 발열코일(61)로 김 구이에 적합한 고온을 설정하고 동시에 투입컨베이어(3)와 배출컨베이어(4)를 구동모터(5)로 동일 속도 구동한다.
다음으로, 실시 단계는 위 준비단계를 통해 조미 김의 구이에 필요한 적정 온도 및 그 온도에 적합한 투입컨베이어(3)와 배출컨베이어(4)의 김 이송 속도가 설정완료되면, 작업자가 본체(a) 상부의 이송공간부(1)을 통해 투입컨베이어(3) 상에 조미 김을 펼쳐 연속해서 투입한다.
그러면 상기 투입컨베이어(3)가 구이수단(6)의 발열코일(61) 하부 공간으로 조미 김을 연속적으로 경유시켜 고온에서 구이가 이루어지게 하고 동시에 하부컨베이어(4) 상으로 낙하시켜 하부컨베이어(4) 일측 즉, 본체(a) 일측을 개방하여 구성한 배출공간부(2)로 구이 김이 배출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조미 김의 투입,이송,구이,배출을 실시하는 본체(a)는 여러 개의 벽체(a1)(a2)(a3)(a4)(a5)로 구성됨에 따라 그 벽체(a1)(a2)(a3)(a4)(a5)의 내부공간에 의한 단열효과로 본체 내부의 열손실이 최소화된다.
이는 발열코일의 적정온도 설정 및 그 유지 그리고 본체 내부 온도의 손실을 최소화시켜 양질의 구이 김이 생산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또 다른 구성으로 상기 벽체(a1)(a2)(a3)(a4)(a5) 내부공간에 단열재(aa)를 내장하여 더욱 우수한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를 다시 말하면, 본체 내부의 열손실이 많으면 준비단계와 실시단계에서 발열코일의 적정온도 설정 및 그 유지에 요구되는 에너지 사용량이 증가하여 비용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고 또 고온에서 구이 된 김이 본체 내부의 낮은 온도에서 단시간에 식어버릴 수 있어, 바싹바싹한 식감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위 문제를 해결하고자 그 조건의 필요성을 제공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있어 투입컨베이어(3)에 의해 이송되는 조미 김이 판판하게 펼쳐진 상태가 아닌 구겨진 상태(굴곡지거나 일부 접혀져 상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발열코일(61)과 접촉하거나 또는 발열코일(61) 직 하부에서 조미 김이 정체 또는 걸림 되어 발열코일(61)과 접촉할 경우 종래와 동일한 화재발생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화재 발생시, 본체(a)와 경첩(64)으로 연결구성된 구이수단(6)의 개폐커버(63)를 상 방향 회전개방하여 화재가 난 구이 김을 신속히 배출 및 그 화재를 진화토록 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구이수단의 개폐커버(63)를 상 방향 회전개방되게 할 경우 구이수단(6)의 발열코일(61)과 본체(a) 내부 및 배출컨베이어(4) 주변 청소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상기 본체(a)를 이루는 벽체(a1)(a2)(a3)(a4)(a5)로 여러 개의 환기공(aa')을 형성하거나 또는 벽체(a1)(a2)(a3)(a4)(a5)로 여러 개의 환기공(aa')을 형성한 다음 그 내부 공간으로 전기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환기팬(aa")을 하나 이상 설치하여 상기와 같이 본체 내부에서 화재가 있었거나 또는 장치의 사용을 중단하였을 때, 본체 내부에 잔존하는 탄 냄새와 여러 기름 냄새 등을 신속히 외부 배출되도록 한다.
이는 본체 내부로 탄 냄새와 그 외 기름 등의 냄새가 잔존하여 장시간 경과 할 경우 차후 조미 김의 구이 시 그 잔존냄새가 조미 김에 흡수되어 구이 김의 질을 저해하는 문제를 야기하므로 이를 예방하고자 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구이수단의 개폐커버(63)에도 위와 같은 여러 개의 환기공(aa')을 형성하여 구이수단 내부에 잔존할 수 있는 탄 냄새와, 기름냄새 등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있어 구이 김이 투입컨베이어(3)에서 배출컨베이어(4)로 이송될 때, 투입컨베이어(3)와 배출컨베이어(4) 타측에 위치되면서 그 하단이 배출컨베이어(4) 상에 경사 위치되는 이송안내판(31)으로 상부 투입컨베이어(3)에서 이송된 구이 김을 안전하고 정확하게 하부 배출컨베이어(4) 상으로 안내이송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있어 본체(a)의 배출공간부(2) 하측으로 배출도모수단(7)을 더 구성하여 배출컨베이어(4)를 통해 이송되는 구이 김이 본체(a) 외부로 신속 정확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배출도모수단(7)은 본체(a) 일측을 개방시켜 구성한 배출공간부(2) 하측에 여러 개의 회전롤러(71)를 가지는 배출회전축(72)을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으로, 상세하게는 본체(a)의 벽체(a4)(a5) 일측부로 상기 배출회전축(72) 양단을 설치하여 배출컨베이어(4)와 동일 선상 위치구성 되도록 한다. 또 상기 여러 개의 회전롤러(71)를 가지는 배출회전축(72)을 배출컨베이어(4)의 일측 회전축(32)과 체인 연결하여 회전되게 하고 또 그 회전력으로 배출컨베이어(4)를 따라 이송되는 구이 김을 배출컨베이어(4) 일측에 정체시키지 않고 신속하고 정확하게 본체 외부로 배출되도록 도모한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상기 배출도모수단(7)을 본체(a) 일측을 개방시켜 구성한 배출공간부(2) 하측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면서 하향 경사진 형태의 배출가이드판(8)으로 구성한다.
상기 배출가이드판(8)은 배출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된 구이 김을 하향경사각으로 미끌림 배출시키는 역할과, 그 경사진 길이로 본체 외부의 특정 위치로의 배출안내하는 역할과, 배출되는 구이 김의 낙하속도를 줄여 낙하충돌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부서짐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있어 본체(a)의 내부공간 바닥으로 배출서랍(a6)을 수납하여 본체(a) 배출공간부(2)을 통해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더 구성한다. 상기 배출서랍(a6)은 본체 내부에서 조미 김의 구이 시 김에서 이탈 및 발생 될 수 있는 소금, 기름, 김 부스러기 등을 집중시켜 그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있어 본체(a)의 양측 벽체(a4)(a5) 외주면으로 여러 개의 기자재보관함(101)을 탈부착 가능케 구성하고 또 본체(a)의 배출공간부(2) 하단에 구이 김 적재함(102)을 탈부착가능케 구성하고 또 구이수단(6)의 개폐커버(62) 상부면으로 조미 김 보관함(103)을 더 구성한다.
한편, 상기 기자재보관함(101)과 구이 김 적재함(102)과 조미 김 보관함(103)은 각각 그 일측 상단으로 걸림돌기(201)를 가지는 결합핀(202)을 형성하여 본체(a)의 양측 벽체(a4)(a5)외주면과 본체(a)의 배출공간부(2) 하단과 구이수단(6)의 개폐커버(63) 상부면에 형성되는 끼움공(301)에 각기 끼워 걸림돌기(201)에 의한 걸림 고정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기자재보관함은 조미 김의 구이작업시 이용되는 다양한 자재의 보관을 위한 것이고, 구이 김 적재함은 구이 김이 본체의 배출공간부을 통해 이송배출될 때, 배출공간부 하부위치에서 구이 김의 적재보관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조미 김 보관함은 구이 작업을 위하여 일정량 대기 상태를 가지도록 하여 조미 김의 구이 작업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모한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a : 본체 a1,a2,a3,a4,a5 : 벽체
a6 : 배출서랍 aa : 단열재
aa' : 환기공 aa" : 환기팬
1 : 이송공간부 2 : 배출공간부
3 : 투입컨베이어 31 : 체인스프로킷
32,32' : 회전축 33 : 체인컨베이어벨트
4 : 배출컨베이어 5 : 구동모터
6 : 구이수단 61 : 발열코일
62 : 발열체보빈 63 : 개폐커버
64 : 경첩 7 : 배출도모수단
71 : 회전롤러 72 : 배출회전축
8 : 배출가이드판 101 : 기자재보관함
102 : 구이 김 적재함 103 : 조미 김 보관함
201 : 걸림돌기 202 : 결합편
301 : 기움공

Claims (7)

  1. 조미 김의 공급과 구이 및 배출이 연속해서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김 구이 장치에 있어서,
    내부공간을 가지면서 그 상부와 일측부를 개방하여 각각 이송공간부(1)와 배출공간부(2)를 가지게 한 본체(a)와, 본체(a) 내부공간 상측에 일정길이 설치하는 체인컨베이어벨트(33)로 이루어지는 투입컨베이어(3)와, 본체(a) 내부 공간 하측에 일정길이 설치하는 체인컨베이어벨트(33)로 이루어지는 배출컨베이어(4)와, 투입컨베이어(3)와 배출컨베이어(4) 타측으로 하향경사지게 설치구성하는 이송안내판(31)과, 투입컨베이어(3)와 배출컨베이어(4)를 구동하는 구동모터(5)와, 본체(a)의 이송공간부(1)에 구성하는 구이수단(6)으로 이루짐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본체(aa)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여러 개의 벽체(a1)(a2)(a3)(a4)(a5)를 이용하여 박스형태가 되게 구성한 다음 그 상부와 일측부를 개방하여 각각 이송공간부(1)와 배출공간부(2)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구이수단(6)은 발열코일(61)과 발열코일(61)을 고정하는 발열체보빈(62)과, 발열체보빈(62)을 내장하는 개폐커버(63)로 구성하여 본체(a)를 이루는 벽체 중 상부 위치의 벽체(a2)와 경첩(64)으로 연결하여 이송공간부(1)에서 개폐작동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구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본체(a)를 이루는 벽체(a1)(a2)(a3)(a4)(a5)의 내부공간을 불연성 재질의 단열재(aa)를 내장하여 단열효과의 극대화를 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김 구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본체(a)를 이루는 벽체(a1)(a4)(a5)로 여러 개의 환기공(aa')을 형성한 다음 그 벽체(a1)(a4)(a5)내부 공간에 환기팬(aa")을 설치하여 본체 내부 공기의 환기가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김 구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본체(a)의 배출공간부(2) 하측으로 배출도모수단(7)을 더 구성하여 구이 김이 본체(a) 외부로 신속 정확하게 배출되도록 하되, 상기 배출도모수단(7)은 본체(a) 일측을 개방하여 구성한 배출공간부(2) 하측에 여러 개의 회전롤러(71)를 가지는 배출회전축(72)을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구이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도모수단(7)은 본체(a) 일측을 개방하여 구성한 배출공간부(2) 하측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면서 하향 경사진 형태의 배출가이드판(8)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구이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본체(a)의 내부공간 바닥으로 배출서랍(a6)을 수납하여 배출공간부(2)로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김 구이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본체(a)의 양측 벽체(a4)(a5) 외주면으로 여러 개의 기자재보관함(101)을 탈부착 가능케 더 구성하고, 본체(a)의 배출공간부(2) 하단에 구이 김 적재함(102)을 탈부착 가능케 더 구성하고, 구이수단(6)의 개폐커버(63) 상부면에 조미 김 보관함(103)을 탈부착 가능케 각각 더 구성하되,
    상기 기자재보관함(101)과 구이 김 적재함(102)과 조미 김 보관함(103)은 각각 그 일측 상단으로 걸림돌기(201)를 가지는 결합핀(202)을 형성하여 본체(a)의 양측 벽체(a4)(a5)와 본체(a)의 배출공간부(2) 하단과 구이수단(6)의 개폐커버(63) 상부면에 형성된 끼움공(301)으로 각각 끼워 걸림돌기(201)에 의한 걸림 고정이 이루어지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김 구이장치.
KR1020160020750A 2016-02-22 2016-02-22 김 구이장치 KR201700986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750A KR20170098615A (ko) 2016-02-22 2016-02-22 김 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750A KR20170098615A (ko) 2016-02-22 2016-02-22 김 구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615A true KR20170098615A (ko) 2017-08-30

Family

ID=59760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0750A KR20170098615A (ko) 2016-02-22 2016-02-22 김 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86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724B1 (ko) * 2018-02-12 2019-04-17 장길환 김 구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724B1 (ko) * 2018-02-12 2019-04-17 장길환 김 구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63955B (zh) 自動油炸機
JPH11264550A (ja) オ―ブン、ト―スタ―及びオ―ブント―スタ―
KR101264987B1 (ko) 회전식 구이기
KR102321891B1 (ko) 육류 직화구이기
KR200223262Y1 (ko) 숯불 바베큐 구이장치
KR200415670Y1 (ko) 김 구이장치
KR100914173B1 (ko) 회전 구이기
AU2008286234A1 (en) A convected-air cabinet
US3425341A (en) Hamburger broiler
KR20170098615A (ko) 김 구이장치
JP6997547B2 (ja) 加熱調理方法、及び加熱調理装置
KR20100011019A (ko) 자동 연속 곡물 볶음기
KR20150080758A (ko) 보온유지가 되어 구이용 음식물이 빠르고 균일하게 익힘이 가능한 숯불구이기
KR100719475B1 (ko) 회전식 숯불 구이장치
KR200388614Y1 (ko) 고기구이기
KR200481685Y1 (ko) 숯을 이용한 김 구이장치
KR20090039917A (ko) 자동 덖음기
KR20140081134A (ko) 바비큐 구이기
KR101366121B1 (ko) 어묵 양면 구이기
KR102224413B1 (ko) 회전식 고기 구이기
US20060283337A1 (en) Roaster for powder and granular material
KR100593951B1 (ko) 고기구이 장치
KR20120016507A (ko) 부침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857443B1 (ko) 구이장치
KR0112742Y1 (ko) 적외선 훈제 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