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1019A - 자동 연속 곡물 볶음기 - Google Patents

자동 연속 곡물 볶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1019A
KR20100011019A KR1020080072057A KR20080072057A KR20100011019A KR 20100011019 A KR20100011019 A KR 20100011019A KR 1020080072057 A KR1020080072057 A KR 1020080072057A KR 20080072057 A KR20080072057 A KR 20080072057A KR 20100011019 A KR20100011019 A KR 20100011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
barrel
grain
stir barrel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2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배
Original Assignee
이종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배 filed Critical 이종배
Priority to KR1020080072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1019A/ko
Publication of KR20100011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0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0Rotary roast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2Auxiliary devices for roasting mach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연속 곡물 볶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볶음을 하고자 하는 여러 종류의 곡물이 담겨지는 볶음통 전체에 열이 일정하게 전도될 수 있도록 하고, 열이 전도되는 볶음통에 담겨져 있는 곡물이 골고루 유동될 수 있도록 하여 곡물이 일률적으로 볶아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볶음통내에서 볶아지는 곡물을 골고루 분산시켜 이동될 수 있도록 내벽에 철판형상의 나선형 스크류가 설치되어 있으며, 다단의 볶음통 전체가 회전을 일으켜 연속적으로 곡물을 볶을 수 있도록 한 자동 연속 곡물 볶음기에 관한 것이다.
곡물, 볶음기, 볶음통, 스크류, 히터부, 호퍼

Description

자동 연속 곡물 볶음기{Automatic continuous parching equipment for grain}
본 발명은 자동 연속 곡물 볶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볶음을 하고자 하는 여러 종류의 곡물이 담겨지는 볶음통 전체에 열이 일정하게 전도될 수 있도록 하고, 열이 전도되는 볶음통에 담겨져 있는 곡물이 골고루 유동될 수 있도록 하여 곡물이 일률적으로 볶아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볶음통내에서 볶아지는 곡물을 골고루 분산시켜 이동될 수 있도록 내벽에 철판형상의 나선형 스크류가 설치되어 있으며, 다단의 볶음통 전체가 회전을 일으켜 연속적으로 곡물을 볶을 수 있도록 한 자동 연속 곡물 볶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은 대체적으로 볶음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사람들이 먹거나 다른 내용물 즉, 참기름 또는 미수가루 등과 같은 양념 및 음식물로 만들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곡물을 볶아주기 위해서는 곡물이 담겨지는 용기에 열을 가열시켜 용기내에 담겨진 곡물이 볶아질수 있도록 하게 되는 것이고, 용기내에 담겨진 곡물이 볶아질 때 곡물을 골고루 휘저어주어 곡물이 타지않고 일정하게 볶아질 수 있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곡물은 공장 또는 방앗간 등에서는 참기름 또는 미숫가루 등과 같은 내용물을 만들기 때문에 대량으로 곡물을 볶아주어야 하기 때문에 사람이 일일히 곡물을 휘저어 줄 수 없어 기계적인 장치에 의해 곡물을 볶아주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곡물 볶음기는 곡물이 담겨지는 대형의 용기에 열기를 전도시켜 주는 가열수단이 갖추어지고, 상기의 용기 내부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서 곡물을 골고루 휘저어 줄 수 있도록 하는 회전부로 갖추어져 있는 것이 보편적이다.
이때, 가열수단은 용기의 하부로 부터 높은 온도의 불꽃을 분출시켜 주거나, 용기의 저면에 히터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여 히터의 열기가 용기에 전도되도록 하여 곡물을 볶아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곡물 볶음기에 있어 가열수단 즉, 용기의 하부로 부터 불꽃을 직접적으로 분출시켜 주는 가열수단은 용기의 중앙에 가열버너 등이 위치하므로서, 불꽃이 직접적으로 분출되는 용기 중앙의 가열온도와 중앙으로 부터 전도되는 양측의 가열온도가 다르게 되는 것이고,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용기 또한 히터가 접하고 있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의 가열온도가 다른 상태에서 곡물이 볶아지고 있으므로 인해 불꽂이나 히터의 열기가 직접적으로 접하게 되는 부분에 위치하고 있는 곡물은 빨리 볶아지게 되고, 그러하지 않은 부분에 위치하고 있는 곡물은 상대적으로 늦게 볶아지게 되는 단점이 있어, 곡물이 전체적으로 볶아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곡물의 볶음 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것이고, 이로인해 연료 및 전력을 필요이상으로 낭비하게 되었던 것이다.
또한, 용기내에 담겨진 상태에서 가열수단에 의해 전도되는 열기에 의해 볶아지는 곡물은 용기 내부에 설치된 회전부에 의해 골고루 휘저어 지면서 볶아지게 되는데, 상기의 회전부는 크기가 각기 다른 다수개의 회전날개를 갖추어주어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날개에 의해 곡물이 골고루 휘저어 지면서 가열되는 열기에 의해 곡물이 볶아지게 되는 것으로서, 이때 깨와 같이 크기가 작은 곡물을 볶아주기 위하여 회전날개가 용기의 바닥면에 면접촉된 상태에서 회전을 하여야 하므로서, 회전날개가 회전시 용기 바닥면과의 면마찰에 의해 일정기간 사용하다 보면 면마찰에 의해 용기의 바닥면과 회전날개 사이에 틈새가 생길 경우 크기가 작은 곡물은 상기의 틈새를 통해 빠져나가게 되므로서, 곡물이 회전날개에 의해 골고루 휘저어지지 않고, 가열되는 용기에 그대로 있어 타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의 회전날개가 회전축에 간격조절이 이루어지지 않고 단순히 체결 고정되도록 되어있어 회전날개와 용기 바닥면과의 마찰에 의해 틈새가 생길경우 사용된 회전날개는 버리고 새로운 회전날개로 교체시켜 주어야 하는 경제적인 손실을 가져왔던 것이다.
그리고, 현재 곡물의 볶음이 완료되면 작업자가 직접 용기내에 담겨져 있는 곡물을 꺼내야 하는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고, 곡물을 볶아주는 도중 외부로 부터 이물질이 유입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뚜껑을 덮어주게 되는데, 곡물에 따라 볶음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작업자가 수시로 곡물이 볶아진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용기에 덮여진 뚜껑을 열어 볶아지고 있는 곡물의 볶음 상태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한 다음 열려진 뚜껑을 닫아주어야 하는 등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용기내에 담겨져 수용된 곡물만이 볶음과정을 거쳐 완료됨으로서, 많은 양의 곡물을 볶아내기 위해서는 상기 서술한 볶음과정을 수회에 거쳐 작업을 해야만 많은 양의 곡물을 볶아내는 것으로서 연속작업이 불가능하며, 수회에 거친 작업을 거쳐야 함으로 연료(전력)낭비 및 작업수의 증가로 인한 가격상승이 불가피한 종래의 곡물 볶음기의 단점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종래 로타리식의 곡물 볶음기에 있어 길이가 11~13m 정도로 설치하는 장소가 많이 차지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스크류에 있어서도 볶음통 내벽에 밀착 결속시켜 사용함에 따라 볶는 과정에서 타거나 늘어붙어서 품질의 저하 및 청소를 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가져왔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볶음을 하고자 하는 곡물이 담겨지는 볶음통에 간접적인 열의 전도에 의해 볶음통 전체에 일정한 온도가 전달되도록 함과 동시에 볶음통 내벽에 철판형상의 나선형 스크류가 5~15mm의 공간을 띄우고 장착되어 볶음통 전체가 회전을 일으켜 곡물을 이동과 동시에 볶아질 수 있는 볶음통을 가지고 있으므로서, 부분적으로 곡물이 볶아지거나 타는 일이 없이 일정 시간내에 골고루 볶음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일정길이의 원통형 볶음통이 다단으로 설치되어 곡물의 종류에 의해 볶음통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곡물을 볶아주는 것으로 곡물의 투입에서 볶아진 곡물의 배출에 이르기까지 완전 자동으로 곡물을 볶을 수 있는 곡물 볶음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다량의 곡물을 대량으로 일정하게 연속적으로 볶아질 수 있도록 가능하여 균일한 볶음과정과 대량의 곡물볶음생산성이 향상되면서 인력 소모 및 경비 절감을 추구하는 자동 연속 곡물 볶음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모터에 의해 연동되는 스크류 공급기가 구비되며 상기 스크류 공급기 일단 상부에 구비된 곡물호퍼로부터 공급되는 곡물을 서로 균일하게 볶아주는 곡물 볶음기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공급기 타단 하부와 연결되어 곡물을 이동시키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 끝단이 일측 내부에 내속되고, 양측이 개방되어 길이방향으로 내벽 전 면에 철판형상을 가진 나선형 스크류가 장착되고, 일측 단부 원주에 댐퍼가 형성된 수평의 원통형상을 가진 제1볶음통과,
상기 제1볶음통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볶음통 내부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제1볶음통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댐퍼의 위치와 반대의 일측 위치에 댐퍼가 형성되며, 타측 단부에 볶아진 곡물이 배출되도록 배출부가 형성된 제2볶음통과,
상기 제1볶음통 타측 단부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볶음통 일측 내부에 내속되도록 곡물을 이동시키는 중간호퍼와,
상기 제2볶음통 하부 양측에 길이방향의 샤프트 양끝단에 전/후방롤러가 연결되며, 상기 전방롤러는 제2볶음통 일측에 형성된 댐퍼에 구속되며, 상기 후방롤러는 제2볶음통 타측 끝단 외면에 면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양측 전방롤러 일측에 체인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제2볶음통 일측 하부 중앙에 설치된 모터의 구동기어와 상기 전방롤러에 형성된 체인기어가 체인밸트로 연결되어 회전을 일으키는 하부회전부와,
상기 제1볶음통과 제2볶음통 사이의 양측에 독립적으로 설치된 전/후방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전방롤러는 제2볶음기의 댐퍼에 구속되며 상기 후방롤러는 제1볶음기 일측에 형성된 댐퍼에 구속되어 회전을 일으키는 상부회전부와,
상기 제1볶음통과 제2볶음통 사이의 일측부 공간부에 제1, 2볶음통을 가열시키는 다수개의 히터부와,
상기 제1, 2볶음통 외부 전면을 커버하며 보온커버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자동 연속 곡물 볶음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부회전부의 전/후방롤러에 있어, 회전을 지지하는 중심축이 구비되며, 상기 중심축 외주면에 회전을 일으키는 베어링부가 구비되며, 상기 베어링부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전면 외주를 감싸도록 단차지게 단턱이 형성된 롤러부가 구비되고, 상기 베어링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중심축 후면에 결속볼트에 결착되는 베어링 커버가 구비되는 전/후방롤러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 전단부를 내속시켜 결속되는 제1결속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결속구 일측부에 상기 하우징 판넬에 형성된 제3결속구와 결속핀에 의해 결속되도록 제2결속구가 형성된 타원형상을 가진 롤러고정판이 구비되는 것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중간호퍼를 수용하도록 다면체형상을 가지며, 일측면에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과 연결되며 관내(管內) 환풍기를 내속시켜 상부로 설치된 배출관이 형성되는 환풍기 흡입 하우징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연속 곡물 볶음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일측부에 유입부가 설치된 제1볶음통의 타측부에 다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부로 연통이 직설되게 형성된 수증기 배출 하우징이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연속 곡물 볶음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증기 배출 하우징에 형성된 연통 내부에 상기 연통의 길이보다 짧게 상기 환풍기 흡입 하우징에 형성된 배출관이 내속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연속 곡물 볶음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곡물이 담겨진 볶음통을 가열시켜 줄때 가열되는 열기가 볶음통에 직접적으로 가열시켜 주지 않고, 볶음통 자체가 회전을 하면서 가열하기 때문에 볶음통 전면에 균일한 열전도가 일어나며, 볶음통 내벽에 장착된 나선형 스크류가 곡물을 골고루 분산시켜 곡물이 전체적으로 골고루 볶아지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다단으로 볶음통을 설치하여 협소한 장소에서도 설치 가능하게 제작되어 장소에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하나의 모터에 의해 다단으로 적층된 볶음통까지 자동으로 회전을 일으키도록 회전부를 구성하여 절약형 곡물 볶음기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대량의 곡물을 대량으로 일정하게 연속적으로 볶음이 가능하여 인력 소모 및 경비 절감을 추구하는 효과가 있으며, 그리고, 하부 볶음통의 일측에 개방된 배출부를 갖추어 줌으로서 곡물의 볶음이 완료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볶음통으로 부터 일측으로 밀리는 곡물이 배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어 작업자가 곡물을 꺼내어 주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없는 상태에서 꺼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모터(112)에 의해 연동되는 스크류 공급기(111)가 구비되며 상기 스크류 공급기(111) 일단 상부에 구비된 곡물호퍼(110)로부터 공급되는 곡물을 서로 균일 하게 볶아주는 곡물 볶음기(100)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공급기(111) 타단 하부와 연결되어 곡물을 이동시키는 유입부(120)와,
상기 유입부(120) 끝단이 일측 내부에 내속되고, 양측이 개방되어 길이방향으로 내벽 전면에 철판형상을 가진 나선형 스크류(210a)가 장착되고, 일측 단부 원주에 댐퍼(220a)가 형성된 수평의 원통형상을 가진 제1볶음통(200a)과,
상기 제1볶음통(200a)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볶음통(200a) 내부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제1볶음통(200a)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댐퍼(220a)의 위치와 반대의 일측 위치에 댐퍼(220b)가 형성되며, 타측 단부에 볶아진 곡물이 배출되도록 배출부(230)가 형성된 제2볶음통(200b)과,
상기 제1볶음통(200a) 타측 단부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볶음통(200b) 일측 내부에 내속되도록 곡물을 이동시키는 중간호퍼(240)와,
상기 제2볶음통(200b) 하부 양측에 길이방향의 샤프트(330a) 양끝단에 전/후방롤러(310a, 320a)가 연결되며, 상기 전방롤러(310a)는 제2볶음통(200b) 일측에 형성된 댐퍼(220b)에 구속되며, 상기 후방롤러(320a)는 제2볶음통(200b) 타측 끝단 외면에 면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양측 전방롤러(310a) 일측에 체인기어(340)가 형성되며, 상기 제2볶음통(200b) 일측 하부 중앙에 설치된 모터(400)의 구동기어(410)와 상기 전방롤러(310a)에 형성된 체인기어(340)가 체인밸트(420)로 연결되어 회전을 일으키는 하부회전부(300a)와,
상기 제1볶음통(200a)과 제2볶음통(200b) 사이의 양측에 전/후방롤러(310b, 320b)가 연결되며, 상기 전방롤러(310b)는 제2볶음통(200b)의 댐퍼(220b)에 구속되며 상 기 후방롤러(320b)는 제1볶음통(200a) 일측에 형성된 댐퍼(220a)에 구속되어 회전을 일으키는 상부회전부(300b)와,
상기 제1볶음통(200a)과 제2볶음통(200b) 사이의 일측부 공간부에 제1, 2볶음통(200a, 200b)을 가열시키는 다수개의 히터부(500)와,
상기 제1, 2볶음통(200a, 200b) 둘레 전면을 커버하며 전/후방측면으로 하우징 판넬(620)이 형성되는 보온커버(600)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자동 연속 곡물 볶음기(이하, ‘곡물 볶음기’라 칭함.)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물을 투입하는 장치로서, 모터(112)에 의해 연동되는 스크류 공급기(111)가 구비되며 상기 스크류 공급기(111) 일단 상부에 구비된 곡물호퍼(110)에 있어 상기 곡물호퍼(110)를 통해 곡물을 투입하면 상기 곡물호퍼(110) 하부에 구비된 스크류 공급기(111)를 통해 자동으로 정량의 곡물이 투입되는 것을 제공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크류 공급기(111)를 통해 이동되는 곡물은 상기 스크류 공급기(111) 타단 하부와 연계된 유입부(120)를 통해 곡물이 이동되어 상기 유입부(120) 하단부는 제1볶음통(200a) 일측 내부에 내속되어 제1볶음통(200a) 내벽에 간섭없이 설치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볶음통(200a) 내벽에는 길이방향으로 무주축인 철판형상의 나선형 스크류(210a)가 장착되어 있어 상기 유입부(120)로부터 투입된 곡물이 상기 나선형 스크류(210a)를 통해 제1볶음통(200a) 타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상기 제1볶음통(200a)의 회전과 곡물의 이동은 하기에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의 단면도와 도 10에 도시된 곡물 흐름 공정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볶음통(200a) 타단으로 이동된 곡물은 중간호퍼(240)를 통해 이동되어 상기 중간호퍼(240) 하단부는 제2볶음통(200b) 일측 내부에 내속되어 간섭없이 설치되어 있다.
도 9 내지 도 10에 나타낸 상기 제2볶음통(200b)으로 이동된 곡물은 상기 제1볶음통(200a)의 내부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제2볶음통(200a) 내벽에 형성된 나선형 스크류(210a)에 의해 상기 제2볶음통(200b) 타측에 형성된 배출부(230)로 이동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볶음통(200a))과 제2볶음통(200b) 내벽에 설치된 나선형 스크류(210a, 210b)가 상기 내벽과 5~15mm의 공간을 띄우도록 리프트(211)를 등간격으로 설치함에 있어 상기 5~15mm의 공간을 띄우도록 리프트(211)를 등간격으로 설치하여 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곡물이 나선형 스크류(210a, 210b)상에 끼이거나 달라붙어 탈 염려가 없어진다.
다음은 제1볶음통(200a) 및 제2볶음통(200b)의 회전에 따른 구동원리를 도 7에 나타낸 화살표(붉은색)의 표식과 같이 하기와 같이 서술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볶음통(200b) 일측 하부 중앙부에 구동되는 메인 모터(40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볶음통(200b) 하부 양측으로 길이방향의 샤프트(330a) 양끝단에 전/후방롤러(310a, 320a)가 연결되며, 상기 전방롤러(310a)는 제2볶음통(200b) 일측에 형성된 댐퍼(220b)에 구속되며, 상기 후방롤러(320a)는 제2볶음통(200b) 타측 끝단 외면에 면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양측 전방롤러(310a) 일측에 체인기어(340)가 형성되며, 상기 제2볶음통(200b) 일측 하부 중앙에 설치된 모터(400)의 구동기어(410)와 상기 전방롤러(310a)에 형성된 체인기어(340)가 삼각형상을 가지도록 체인밸트(420)로 연결되어 회전을 일으키는 하부회전부(300a)에 있어서, 상기 구동되는 모터(400)의 동력이 체인밸트(420)에 의해 전달되어 상기 전달된 동력은 전방롤러(310a)의 체인기어(340)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어 동시에 전방롤러(310a)에 동력이 전달됨으로서 샤프트(330a)를 통해 후방롤러(320a)에도 동시에 동력이 전달되어 회전을 일으키게 된다.
이때 전방롤러(310a)의 회전을 구속하는 동시에 제2볶음통(200b)의 회전에 따른 이탈을 방지하며 고정된 위치에서 상기 제2볶음통(200b)의 회전이 일어나도록 하는 상기 제2볶음통(200b) 일측 외주 끝단부에 형성된 댐퍼(220b)를 형성하여 제공한다.
또한, 후방롤러(320a)는 상기 제2볶음통(200b) 타측 외주 외면과 직접 면접하도록 하여 상기 제2볶음통(200b)의 회전을 돕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전방롤러(310a)와 후방롤러(320a)의 크기는 같은 것으로 사용되며, 이는 상기 전방롤러(310a)의 구속되는 댐퍼(220b)의 구속깊이와 후방롤러(320a)의 직면하는 제2볶음통(200b)의 외면과의 높이가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방롤러(320a)가 상기 제2볶음통(200b) 타측 외주 외면과 직접 면접함으로서, 상기 히터부(500)의 가열로 인한 상기 제2볶음통(200b)의 미세한 팽창이 있어도 상기 후방롤러(320a)에 제2볶음통(200b)이 밀착되어도 상기 후방롤러(320b)의 회전에는 아무런 제약을 받지 않고 회전을 일으키게 된다. 이는 제2볶음통(200b)의 팽창에 있어 상기 후방롤러(320a)의 자유로운 회전을 주기 위해 후발롤러(320a)상에 스프링 또는 텐션기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후방롤러(320a) 자체가 자유로운 회전을 일으킬 수 있는 기구적 구실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의 화살표(붉은색) 표식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모터(400)의 구동에 의해 동력이 하부회전부(300a)로 전달되어 상기 제2볶음통(200b)의 회전이 발생하며, 이때 상기 제2볶음통(200b)의 회전방향이 상기 하부회전부(300a)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이 되고, 상기 제2볶음통(200b)의 회전에 따라 상기 상부회전부(300b)가 회전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제2볶음통(200b)의 회전방향과 상부회전부(300b)의 회전방향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상부회전부(300b)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볶음통(200a)이 회전을 일으키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상부회전부(300b)의 회전방향과 상기 제1볶음통(200a)의 회전방향이 반대방향을 가진다.
따라서, 도 7과 같이 상기 제1볶음통(200a)의 회전방향과 제2볶음통(200b)의 회전 방향이 달라 곡물의 이동이 제1볶음통(200a)에서 제2볶음통(200b)으로 이동방향을 가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도 1과 도 4 또는 도 9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볶음통(200b)의 회전에 의해 동시에 상기 제1볶음통(200a)이 회전하도록 상기 제1볶음통(200a)과 제2볶음통(200b) 사이의 양측에 독립적으로 설치된 전/후방롤러(310b, 320b)가 설치되며, 상기 전방롤러(310b)는 제2볶음통(200b)의 댐퍼(220b)에 구속되며 상기 후방롤러(320b)는 제1볶음통(200a) 일측에 형성된 댐퍼(220a)에 구속되어 회전을 일으키는 상부회전부(300b)에 있어서, 상기 상부회전부(300b)의 전방롤러(310b)는 제2볶음통(200b) 일측 외주 끝단부에 형성된 댐퍼(220b)에 구속되어 회전을 일으키면서 동시에 상기 제1볶음통(200a) 일측 끝단 외면에 직접 면접하도록 하여 제1, 2볶음통(200a, 200b)이 동시에 회전을 일으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부회전부(300b)의 후방롤러(320b)는 상기 제1볶음통(200a) 타측 끝단 외주에 형성된 댐퍼(220a)에 구속되어 회전되며, 동시에 상기 제2볶음통(200b) 타측 끝단 외면에 직접 면접하도록 하여 동시에 회전을 일으키도록 제공된다.
상기 제1볶음통(200a) 타측 외주 끝단에 형성된 댐퍼(220a)의 원리는 상기 서술한 제2볶음통(200b)의 댐퍼(220b)와 같은 원리로 작용하게 된다.
도 13 내지 도 1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상기 제2볶음통(200b)의 회전에 의해 동시에 상기 제1볶음통(200a)이 회전하도록 상기 제1볶음통(200a)과 제2볶 음통(200b) 사이의 양측에 독립적으로 설치된 전/후방롤러(310b, 320b)가 형성됨에 있어, 상기 전/후방롤러(310b, 320b)가 서로 연결없이 즉, 상기 제2볶음통(200b)을 회전시키는 하부회전부(300a)의 전/후방롤러(310a, 320a)를 구동시키는 샤프트(330a)와 같이 서로 연결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회전을 하기 위해 도 15의 도 13에 대한 "A"부위의 확대도 및 도 15의 좌측도면의 B-B`의 단면을 나타낸 우측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을 지지하는 중심축(311)이 구비되며, 상기 중심축(311) 외주면에 회전을 일으키는 베어링부(312)가 구비되며, 상기 베어링부(312)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전면 외주를 감싸도록 단차지게 단턱(314)이 형성된 롤러부(313)가 구비되고, 상기 베어링부(312)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중심축(311) 후면에 결속볼트(316)에 결착되는 베어링 커버(315)가 구비되는 전방롤러(310b)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311) 전단부를 내속시켜 결속되는 제1결속구(351)가 형성되며, 상기 제1결속구(351) 일측부에 상기 하우징 판넬(620)에 형성된 제3결속구(621)와 결속핀(353)에 의해 결속되도록 제2결속구(352)가 형성된 타원형상을 가진 롤러고정판(350)이 구비되는 것을 제공한다.
또한, 도 15의 우측도면에서 점선부를 확대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롤러고정판(350)의 제2결속구(352) 내주면과 면접되는 상기 결속핀(353) 외주면 사이에 0.1~0.5mm 공차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제공함으로서, 상기 제1볶음통(200a)의 가열에 따른 팽창으로 또는 제2볶음통(200b)의 가열에 따른 팽창으로 상기 전방롤러(310b)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밀착되어도 상기 전방롤러(310b)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공차공간을 형성함으로 상기 전방롤러(310b)의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도 록 하였다.
즉, 상기 제1, 2볶음통(200a, 200b)의 가열에 따른 팽창으로 전방롤러(310b) 상/하면을 강하게 밀착되어 상기 전방롤러(310b)의 중심부에 상/하향 압력이 강하게 발생하여 전방롤러(310b)의 회전을 방해함에 따라 이러한 회전방해를 없애고자 상기 롤러고정판(350)의 제2결속구(352) 내주면과 면접되는 상기 결속핀(353) 외주면 사이에 0.1~0.5mm 공차공간을 형성함에 따라 전방롤러(310b)의 회전을 자유롭게 한다.
또한, 상기 롤러고정판(350)이 후방롤러(320b)의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적용됨은 자명할 것이다.
도 1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볶음통(200a)과 제2볶음통(200b) 사이의 일측부 공간부에 제1, 2볶음통(200a, 200b)을 가열시키는 다수개의 히터부(500)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500)는 제1,2볶음통(200a, 200b) 사이의 공간부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히터부(500)는 제1볶음통(200a)과 제2볶음통(200b)을 동시에 가열하도록 제1볶음통(200a)과 제2볶음통(200b) 사이의 중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터부(500)는 가스 또는 연료유에 의해 착화되어 연소를 하게 되는데 이때 제1볶음통(200a)과 제2볶음통(200b) 사이의 중간 즉, 제1볶음통(200a)의 하부 일부면과 제2볶음통(200b)의 상부 일부면을 가열하게 되는 것으로 히터부의 연소에 의해 열대류현상으로 열전달이 제1볶음통(200a)에 먼저 높은 온도로 도달되어 상기 제1볶음통(200a)에 이동된 곡물을 적정한 높은 온도로 가열하여 볶아주기 때문에 상기 제1볶음통(200a)에 이동된 수분을 함유한 곡물의 1차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하게 된다.
이렇게 수분이 제거된 곡물이 상기 제2볶음통(200b)으로 이동되어 상기 히터부(500)에 의해 가열된 제2볶음통(200b)의 내부온도는 상기 제1볶음통(200a)의 내부 온도보다 다소 낮은 온도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렇게 제2볶음통(200b)에 이동된 곡물은 상기 곡물자체에 직접 가열되어 볶아주는 것으로 상기 제2볶음통(200b)의 적정한 낮은 온도에서 서서히 곡물이 볶아주어 곡물 자체가 가지고 있는 필수 영양분을 파괴하지 않고 더욱 고소한 맛을 가진 곡물이 볶아지게 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호퍼(240)를 수용하도록 다면체형상을 가지며, 일측면에 통공(701a)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701a)과 연결되며 관내(管內) 환풍기(710)를 내속시켜 상부로 설치된 배출관(720)이 형성되는 환풍기 흡입 하우징(700)과,
도 9 내지 도 12에 나타낸 상기 일측부에 유입부(120)가 설치된 제1볶음통(200a)의 타측부에 다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부로 연통(810)이 직설되게 형성된 수증기 배출 하우징(800)이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연속 곡물 볶음기를 제공한다.
이는 상기 곡물이 제1볶음통(200a)에 유입되어 볶아지는 과정에서 곡물이 함유하고 있는 수분이 볶는 과정에서 수증기가 발생함에 이를 배출코자 상기 수증기 배출 하 우징(800)을 제1볶음통(200a) 타측부에 가설하여 배출토록 상기 구성을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제1볶음통(200a)을 거쳐 제2볶음통(200b)에 유입된 곡물은 수증기는 거의 휘발되고, 곡물의 외피가 가열에 따른 연기가 발생하게 되는 데 이 연기속에 벤조필렌이나 다이옥신 등이 포함되어 있어 이를 필히 배출하고자 상기 중간호퍼(240)를 수용하도록 다면체형상을 가지며, 일측면에 통공(701a)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701a)과 연결되며 관내(管內) 환풍기(710)를 내속시켜 상부로 설치된 배출관(720)이 형성되는 환풍기 흡입 하우징(700)을 제공한다.
상기 중간호퍼(240)의 구성에 있어 상부로 향한 입구(241)와 연결되어 하향 절곡된 출구(242)가 형성된 관로형상을 가진 중간호퍼(240)에 상기 환풍기 흡입 하우징(700)의 상면에 형성된 통공(701b)을 통해 상기 중간호퍼(240)의 입구(241)가 외부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환풍기 흡입 하우징(700) 일측면에 형성된 통공(701c)을 통해 상기 중간호퍼(240)의 출구(242)가 외부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출구(242)가 제2볶음통(200b) 내부로 내속된 형태를 가진다. 이때 상기 중간호퍼(240)의 출구(242)가 돌출형성된 상기 환풍기 흡입 하우징(700)의 일측면 통공(701c)을 통해 상기 제2볶음통(200b) 일측부를 통해 발생되는 연기가 상기 통공(701c)을 통해 흡입되어, 이때 일측면에 형성된 통공(701a)에 구비된 배출관(720) 내부에 내속되어 설치된 환풍기(710)가 작동하면서, 상기 환풍기 흡입 하우징(700) 내부로 유입된 연기는 다시 환풍기(710)를 거쳐 배출관(720)을 통해 외부로 방출하게 된다.
또한, 도 11과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증기 배출 하우징(800)에 형성 된 연통(810) 내부에 상기 연통(810)의 길이보다 짧게 상기 환풍기 흡입 하우징(700)에 형성된 배출관(720)이 내속되어 형성됨으로서, 상기 환풍기(710)의 작동에 따라 연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관(720)에서는 공기의 흐름이 빠르게 곡물 볶음기(100) 외부로 방출됨에 따라 이때 길이가 짧은 배출관(720)이 상기 수증기 배출 하우징(800)의 연통(810)에 내부에 내속되어 상기 연통(710)의 수증기 배출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더욱 빠르게 진행시키는 공기압 차이를 이용한 작용으로 제공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2볶음통(200a, 200b) 외부 전면을 커버하며 보온커버(600)에 있어 상기 보온커버(600)는 내피(602)에 보온재와 같은 단열 및 방열기능을 가진 부직포 형상의 보온재가 형성되며, 상기 내피(602)의 외부 표면에는 방열기능을 가진 금속재로 형성된 외피(60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온커버(600) 상부에 열을 방출하기 위한 환풍구(610)가 구성됨을 제공한다.
다음은 도 9 내지 도 10에 나타낸 투영 사시도 및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0의 화살표(붉은색) 표식에 나타낸 곡물의 볶음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0에 도시된 화살표(붉은색)의 표식에 따라 곡물호퍼(110)에 곡물을 투입하면 스크류 공급기(111)를 통해 이동되어 상기 스크류 공급기(111) 하부에 연계된 유입구(120)로 이동되어 제1볶음통(200a)에 투입되게 되며, 이때 모터(400)에 의해 제2볶음통(200b)이 회전하는 동시에 제1볶음통(200a)이 회전을 일으키게 되어 상기 곡물이 제1볶음통(200a)에 투입되어 회전에 의해 곡물이 골고루 분산되며 히터 부(500)에 의해 가열된 제1볶음통(200a) 내부에 서서히 제1볶음통(200a)의 회전에 따른 곡물이 이동되면서 볶아지게 되며, 상기 제1볶음통(200a) 타측에 도달한 곡물은 중간호퍼(240)를 통해 제2볶음통(200b)에 투입되어 다시 상기 히터부(500)에 의해 가열된 제1볶음통(200a) 내부에서 상기 제2볶음통(200b)의 회전에 따른 서서히 곡물이 이동되면서 볶아지게 되어 상기 제2볶음통(200b) 타측 끝단에 형성된 배출부(230)를 통해 완전히 볶아진 곡물이 배출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서술한 이러한 과정을 통해 많은 양의 곡물을 자동으로 볶아질 수 있는 순차적 및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곡물 볶음기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곡물 볶음기는 다양하게 설계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상시 실시예를 통하여 그 원리를 본 발명의 구성으로 한정하여 제작하되 그 원리를 통한 기구에 있어서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설계변경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힌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볶음기의 투영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볶음기의 수직면 절단사시도.
도 3은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볶음기의 투영 분리도.
도 4는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볶음기의 제1, 2볶음통-상/하부회전부-메인모터와의 구성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볶음기의 곡물호퍼-유입부 투영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볶음기의 제1볶음통 측면 수직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볶음기의 메인 모터의 구동에 따른 회전 작동 원리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볶음기의 중간호퍼-환풍기 흡입 하우징 투영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볶음기의 정면에서 나타낸 투영 구성도.
도 10은 도 9의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볶음기의 수직면 투영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볶음기의 좌측면을 나타낸 구성도.
도 12는 도 9의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볶음기의 우측면을 나타낸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볶음기의 중간호퍼 등을 제거한 상태의 구성도.
도 14는 도 13의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볶음기의 중간호퍼 등을 제거한 상태의 좌측면도.
도 15는 도 13의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볶음기의 전방롤러 "A"부위 확대도 및 B-B` 단면도.
도 16은 도 15의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볶음기의 전방롤러의 구성분리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곡물 볶음기 100 곡물호퍼 110 스크류 공급기 111 모터 112 유입부 120 제1볶음통 200a 제2볶음통 200b 나선형 스크류 210a, 210b 리프트 211 댐퍼 220a, 220b 배출부 230 중간호퍼 240 입구 241 출구 242 하부회전부 300a 상부회전부 300b 전방롤러 310a, 310b 중심축 311 베어링부 312 롤러부 313 단턱 314 베어링 커버 315 결속볼트 316 후방롤러 320a, 320b 샤프트 330a 체인기어 340 롤러고정판 350 제1결속구 351 제2결속구 352 결속핀 353 모터 400 구동기어 410 체인밸트 420 히터부 500 보온커버 600 외피 601 내피 602 환풍구 610 하우징 판넬 620 제3결속구 621 환풍기 흡입 하우징 700 통공 701a, 701b, 701c 환풍기 710 배출관 720 수증기 배출 하우징 800 연통 810

Claims (3)

  1. 모터(112)에 의해 연동되는 스크류 공급기(111)가 구비되며 상기 스크류 공급기(111) 일단 상부에 구비된 곡물호퍼(110)로부터 공급되는 곡물을 서로 균일하게 볶아주는 곡물 볶음기(100)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공급기(111) 타단 하부와 연결되어 곡물을 이동시키는 유입부(120)와,
    상기 유입부(120) 끝단이 일측 내부에 내속되고, 양측이 개방되어 길이방향으로 내벽 전면에 철판형상을 가진 나선형 스크류(210a)가 장착되고, 일측 단부 원주에 댐퍼(220a)가 형성된 수평의 원통형상을 가진 제1볶음통(200a)과,
    상기 제1볶음통(200a)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볶음통(200a) 내부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제1볶음통(200a)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댐퍼(220a)의 위치와 반대의 일측 위치에 댐퍼(220b)가 형성되며, 타측 단부에 볶아진 곡물이 배출되도록 배출부(230)가 형성된 제2볶음통(200b)과,
    상기 제1볶음통(200a) 타측 단부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볶음통(200b) 일측 내부에 내속되도록 곡물을 이동시키는 중간호퍼(240)와,
    상기 제2볶음통(200b) 하부 양측에 길이방향의 샤프트(330a) 양끝단에 전/후방롤러(310a, 320a)가 연결되며, 상기 전방롤러(310a)는 제2볶음통(200b) 일측에 형성된 댐퍼(220b)에 구속되며, 상기 후방롤러(320a)는 제2볶음통(200b) 타측 끝단 외면에 면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양측 전방롤러(310a) 일측에 체인기어(340)가 형성되며, 상기 제2볶음통(200b) 일측 하부 중앙에 설치된 모터(400)의 구동기 어(410)와 상기 전방롤러(310a)에 형성된 체인기어(340)가 체인밸트(420)로 연결되어 회전을 일으키는 하부회전부(300a)와,
    상기 제1볶음통(200a)과 제2볶음통(200b) 사이의 양측에 독립적으로 설치된 전/후방롤러(310b, 320b)가 설치되며, 상기 전방롤러(310b)는 제2볶음통(200b)의 댐퍼(220b)에 구속되며 상기 후방롤러(320b)는 제1볶음통(200a) 일측에 형성된 댐퍼(220a)에 구속되어 회전을 일으키는 상부회전부(300b)와,
    상기 제1볶음통(200a)과 제2볶음통(200b) 사이의 일측부 공간부에 제1, 2볶음통(200a, 200b)을 가열시키는 다수개의 히터부(500)와,
    상기 제1, 2볶음통(200a, 200b) 둘레 전면을 커버하며 전/후방측면으로 하우징 판넬(620)이 형성되는 보온커버(600)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연속 곡물 볶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회전부(300b)의 독립적으로 회전을 하기 위해 회전을 지지하는 중심축(311)이 구비되며, 상기 중심축(311) 외주면에 회전을 일으키는 베어링부(312)가 구비되며, 상기 베어링부(312)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전면 외주를 감싸도록 단차지게 단턱(314)이 형성된 롤러부(313)가 구비되고, 상기 베어링부(312)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중심축(311) 후면에 결속볼트(316)에 결착되는 베어링 커버(315)가 구성되는 상기 전/후방롤러(310b, 320b)에 있어,
    상기 중심축(311) 전단부를 내속시켜 결속되는 제1결속구(351)가 형성되며, 상기 제1결속구(351) 일측부에 상기 하우징 판넬(620)에 형성된 제3결속구(621)와 결속 핀(353)에 의해 결속되도록 제2결속구(352)가 형성된 타원형상을 가진 롤러고정판(35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연속 곡물 볶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호퍼(240)를 수용하도록 다면체형상을 가지며, 일측면에 통공(701a)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701a)과 연결되며 관내(管內) 환풍기(710)를 내속시켜 상부로 설치된 배출관(720)이 형성되는 환풍기 흡입 하우징(700)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판넬(620) 일측부인 유입부(120)가 설치된 제1볶음통(200a)의 타측부에 다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부로 연통(810)이 직설되게 형성된 수증기 배출 하우징(800)이 구비되고,
    상기 수증기 배출 하우징(800)에 형성된 연통(810) 내부에 상기 연통(810)의 길이보다 짧게 상기 환풍기 흡입 하우징(700)에 형성된 배출관(720)이 내속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연속 곡물 볶음기.
KR1020080072057A 2008-07-24 2008-07-24 자동 연속 곡물 볶음기 KR201000110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057A KR20100011019A (ko) 2008-07-24 2008-07-24 자동 연속 곡물 볶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057A KR20100011019A (ko) 2008-07-24 2008-07-24 자동 연속 곡물 볶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019A true KR20100011019A (ko) 2010-02-03

Family

ID=42085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2057A KR20100011019A (ko) 2008-07-24 2008-07-24 자동 연속 곡물 볶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1019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18178A (zh) * 2017-03-22 2018-10-09 张文放 烘焙滚筒结构
CN109259276A (zh) * 2018-10-10 2019-01-25 太仓市宝马油脂设备有限公司 具有双排气通道的滚筒炒籽机
KR101953675B1 (ko) * 2018-05-29 2019-03-04 박정근 곡물볶음장치
CN109875074A (zh) * 2019-03-26 2019-06-14 宁波恒康食品有限公司 一种可自动分离的坚果类食品炒制机
CN114208995A (zh) * 2021-12-22 2022-03-22 安徽道源食品有限公司 一种芝麻炒制工艺
CN115191626A (zh) * 2022-07-27 2022-10-18 宁波长荣酿造设备有限公司 焙炒机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18178A (zh) * 2017-03-22 2018-10-09 张文放 烘焙滚筒结构
KR101953675B1 (ko) * 2018-05-29 2019-03-04 박정근 곡물볶음장치
CN109259276A (zh) * 2018-10-10 2019-01-25 太仓市宝马油脂设备有限公司 具有双排气通道的滚筒炒籽机
CN109259276B (zh) * 2018-10-10 2023-09-29 太仓市宝马油脂设备有限公司 具有双排气通道的滚筒炒籽机
CN109875074A (zh) * 2019-03-26 2019-06-14 宁波恒康食品有限公司 一种可自动分离的坚果类食品炒制机
CN109875074B (zh) * 2019-03-26 2024-01-26 宁波恒康食品有限公司 一种可自动分离的坚果类食品炒制机
CN114208995A (zh) * 2021-12-22 2022-03-22 安徽道源食品有限公司 一种芝麻炒制工艺
CN114208995B (zh) * 2021-12-22 2024-01-30 安徽道源食品有限公司 一种芝麻炒制工艺
CN115191626A (zh) * 2022-07-27 2022-10-18 宁波长荣酿造设备有限公司 焙炒机
CN115191626B (zh) * 2022-07-27 2024-04-05 宁波长荣酿造设备有限公司 焙炒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1019A (ko) 자동 연속 곡물 볶음기
US5994672A (en) Oil-free fryer, food cooker
US8276504B2 (en) Hot-air popcorn machine especially with a seasoning coater
CN105431058B (zh) 咖啡烘焙器
CN210169803U (zh) 一种加工可靠的空气炸锅
KR20140147632A (ko) 직화 방식의 커피 로스터
CN210697273U (zh) 一种连接稳定的空气炸锅
CN106361177A (zh) 一种能避免锅底漏液的空气炸锅
KR101346628B1 (ko) 고기 구이용 장치
US2639133A (en) Coffee roaster
JP2002112896A (ja) 排熱風導入型の横型回転円筒式連続炒め装置
CN107550225A (zh) 烹调设备
KR20110124049A (ko) 곡물 볶음기
US20180206533A1 (en) Popper and methods for expanding expandable foods
KR101742441B1 (ko) 음식 교반기를 갖는 조리용 솥
KR200427377Y1 (ko) 구이기
KR200476340Y1 (ko) 펠릿난로
US11044929B2 (en) Popcorn machines having process chambers of increasing volume,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KR101826483B1 (ko) 곡물 볶음장치
KR100696248B1 (ko) 튀김장치
US20060283337A1 (en) Roaster for powder and granular material
KR101953675B1 (ko) 곡물볶음장치
US20140102312A1 (en) Popcorn Making Machine with Corn Intake Control
KR102469309B1 (ko) 초벌 구이 장치
KR100725221B1 (ko) 육류 구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