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7015A - 양 베어링 릴 - Google Patents

양 베어링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7015A
KR20170087015A KR1020160165850A KR20160165850A KR20170087015A KR 20170087015 A KR20170087015 A KR 20170087015A KR 1020160165850 A KR1020160165850 A KR 1020160165850A KR 20160165850 A KR20160165850 A KR 20160165850A KR 20170087015 A KR20170087015 A KR 20170087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operating
reel
cam
oper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5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1459B1 (ko
Inventor
아키라 니이츠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70087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7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7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7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motor-driven
    • A01K89/0171Spring motors
    • A01K89/0173Spring motors with independent manual driv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Abstract

[과제]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스풀 동작 기구를 가지는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양 베어링 릴의 크기에 관계없이 일(一) 종류의 회로 기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양 베어링 릴(10)은, 릴 본체(12)와, 줄 감기용의 스풀(16)과, 회로 기판(18)과, 이동 부재(20)와, 스풀 제동부(22)와, 조작 부재(24)와, 연동 기구(26)와, 스풀 제어부(28)를 구비한다. 회로 기판(18)은, 제1축(X1) 둘레의 회동(回動) 위치를 검출 가능한 회전 검출부(19)를 가진다. 이동 부재(20)는, 회전 검출부(19)에 의하여 회동 위치가 검출된다. 스풀 제동부(22)는, 스풀(16)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동작하고, 이동 부재(20)에 의하여 제동 상태를 조정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조작 부재(24)는, 릴 본체(1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풀 제동부(22)의 제동 상태를 조정 조작한다. 연동 기구(26)는, 조작 부재(24)의 이동에 따라 이동 부재(20)를 회전시킨다. 스풀 제어부(28)는, 이동 부재(20)의 회동 위치에 따라 스풀 제동부(22)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양 베어링 릴{DUAL-BEARING REEL}
본 발명은, 낚시용 릴, 특히, 낚싯줄을 전방(前方)으로 방출하는 양 베어링 릴에 관한 것이다.
양 베어링 릴에는, 줄 감기용의 스풀이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양 베어링 릴에는, 스풀에 대하여 동작하는 스풀 동작 기구를 가지는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에는, 스풀 동작 기구로서, 캐스팅 시에 스풀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제동하는 스풀 제동부를 가지는 양 베어링 릴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의 양 베어링 릴에는 회로 기판이 설치된다. 회로 기판에는, 제어용의 마이크로 컴퓨터 및 조작 부재의 이동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부가 설치된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357601호
스풀 제동부 등의 스풀 동작 기구의 크기는, 릴의 크기에 의하여 변화하는 경우가 있다. 종래의 양 베어링 릴에서는, 릴의 크기에 따라 조작 부재의 위치 및 크기가 변화하고, 회로 기판의 검출부의 위치가 변화한다. 이 때문에, 릴의 크기에 따른 복수의 회로 기판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스풀 동작 기구를 가지는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양 베어링 릴의 크기에 관계없이 일(一) 종류의 회로 기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은, 낚싯줄을 전방으로 방출한다. 양 베어링 릴은, 릴 본체와, 줄 감기용의 스풀과, 회로 기판과, 적어도 하나의 이동 부재와, 스풀 동작 기구와, 적어도 하나의 조작 부재와, 연동 기구와, 스풀 제어부를 구비한다. 줄 감기용의 스풀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로 기판은, 제1축 둘레의 회동(回動) 위치를 검출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회전 검출부를 가진다. 적어도 하나의 이동 부재는, 회전 검출부에 의하여 회동 위치가 검출된다. 스풀 동작 기구는, 스풀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동작하고, 이동 부재에 의하여 동작 상태를 조정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조작 부재는, 릴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풀 동작 기구의 동작 상태를 조정 조작하도록 구성된다. 연동 기구는, 조작 부재의 이동에 따라 이동 부재를 회전시킨다. 스풀 제어부는, 이동 부재의 회동 위치에 따라 스풀 동작 기구를 제어한다.
이 양 베어링 릴에서는, 조작 부재를 조작하여 이동시키면, 연동 기구에 의하여 이동 부재는 조작 부재와 연동하여 제1축 둘레에 회전한다. 이동 부재가 회전하면 회전 검출부가 이동 부재의 회동 위치를 검출하고, 스풀 제어부가 스풀 동작 기구를 이동 부재의 회동 위치에 따라 제어한다. 여기에서는, 회전 검출부가 검출하는 이동 부재를, 조작 부재에 직접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연동 기구를 통하여 조작 부재에 연결하였기 때문에, 이동 부재, 회전 검출부 및 회로 기판을, 다른 크기의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공통화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양 베어링 릴의 크기에 관계없이 일 종류의 회로 기판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조작 부재는, 릴 본체에 제1축과 평행으로 설치된 제2축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작 부재도 회동하기 때문에, 연동 기구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연동 기구는, 조작 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 부재를 회동시키는 캠 기구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캠과 캠 팔로어(follower)를 가지는 캠 기구에 의하여 연동 기구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연동 기구의 구성을 한층 더 간소화할 수 있다.
이동 부재는, 조작 부재와 경(徑)방향으로 중복하여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이동 부재와 조작 부재를 경방향으로 중복하여 배치하기 때문에, 양 베어링 릴의 경방향의 크기를 콤팩트(compact)하게 구성할 수 있다.
스풀 동작 기구는, 회로 기판에 장착되는 코일과, 스풀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자석을 가지고, 스풀을 제동하는 스풀 제동부이어도 무방하다. 회전 검출부는, 케이스와, 케이스에 제1축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축부재와,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축부재의 회동 위치를 검출 가능한 센서부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동 부재는, 축부재에 제1축 둘레에 일체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을 제동하는 스풀 제동부에 있어서, 양 베어링 릴의 크기에 관계없이 일 종류의 회로 기판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스풀 동작 기구는, 릴 본체에 고정된 모터를 가지고, 모터에 의하여 스풀을 회전 구동하는 스풀 구동부이어도 무방하다. 조작 부재는, 릴 본체에 제2축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모터에 의하여 스풀을 회전 구동하는 스풀 구동부에 있어서, 양 베어링 릴의 크기에 관계없이 일 종류의 회로 기판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캠 기구는, 이동 부재 및 조작 부재의 일방(一方)에 설치되는 캠과, 이동 부재 및 조작 부재의 타방(他方)에 설치되고, 캠에 계합하는 캠 팔로어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캠 기구에 의하여, 연동 기구를 간소한 구성에 의하여 실현할 수 있다.
캠은, 조작 부재에 경방향을 따라 형성된 캠 홈을 가져도 무방하다. 캠 팔로어는, 이동 부재에 제1축과 이반(離反)한 위치에 제1축과 평행으로 배치되고, 캠 홈의 벽면에 접촉 가능한 돌기부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돌기부를 캠 홈에 계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조작 부재의 제2축 둘레의 회전을, 이동 부재의 제1축 둘레의 회전에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양 베어링 릴은, 조작 부재의 이동 위치를 복수 단계로 위치 결정 가능한 위치 결정 기구를 더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작 부재가 위치 결정되기 때문에, 스풀 동작 기구의 동작 상태를 재현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스풀 동작 기구를 가지는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양 베어링 릴의 크기에 관계없이 일 종류의 회로 기판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양 베어링 릴의 사시도.
도 2는 그 양 베어링 릴의 평면 단면도.
도 3은 스풀 제어부 및 스풀 제동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조작 부재 및 연동 기구의 단면 확대도.
도 5는 회로 기판 및 연동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스풀 측으로부터 본 회로 기판 및 연동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제1 실시예의 조작 부재와 이동 부재의 연동적인 회전을 설명하는 조작 부재의 배면도.
도 8은 제1 실시예의 변형예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변형예의 제1 조작 부재 및 제2 이동 부재의 도 7에 상당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전동형의 양 베어링 릴의 배면 단면도.
도 11은 제2 실시예에 의한 전동의 양 베어링 릴의 측면 단면도.
도 12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스풀 제어부 및 스풀 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제1 실시예>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10)은, 낚싯줄을 전방으로 방출한다. 양 베어링 릴(10)은, 릴 본체(12)와, 핸들(14)과, 줄 감기용의 스풀(16)과, 회전 검출부(19)를 가지는 회로 기판(18)과, 적어도 하나의 이동 부재(20)(도 2 참조)와, 스풀 동작 기구로서의 스풀 제동부(22)와, 적어도 하나의 조작 부재(24)와, 연동 기구(26)와 스풀 제어부(28)(도 3 참조)와, 위치 결정 기구(29)를 구비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12)는, 간격을 두고 대향하여 배치된 제1 측판(30a) 및 제2 측판(30b)을 가지는 프레임(30)과, 제1 측 커버(32)와, 제2 측 커버(34)와, 축지지부(36)를 가진다. 제1 측 커버(32)는, 핸들(14) 측의 제1 측판(30a)의 외측면을 덮는다. 제2 측 커버(34)는, 제2 측판(30b)의 외측을 덮는다. 제2 측 커버(34)는 개폐 가능하다. 축지지부(36)는, 스풀(16)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축지지부(36)는, 편평(扁平) 바닥이 있는 원통상(圓筒狀)으로 형성되고, 제2 측판(30b)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멈춤 고정된다. 축지지부(36)는, 후술하는 스풀축(46)의 일단을 지지하는 베어링(47a)을 수용하는 통상(筒狀)의 베어링 수용부(36a)와, 연동 기구(26)를 장착하는 연동 기구 장착부(36b)를 가진다. 연동 기구 장착부(36b)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동 기구(26)를 장착하는 장착홈(36c)과, 조작 부재(24)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공(36d)과, 위치 결정 기구(29)를 수납하는 수납 구멍(36e)을 가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4)은, 릴 본체(12)의 제1 측판(30a) 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핸들(14)은, 릴 본체(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구동축(35)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핸들(14)은,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이 금지된다. 핸들(14)의 줄 감기 방향의 회전은, 공지의 드래그 기구(38), 회전 전달 기구(40), 및 클러치 기구(42)를 통하여, 스풀(16)에 전달된다. 회전 전달 기구(40)는 구동축(35)을 포함하고, 핸들(14)의 회전을 스풀(16)에 전달한다. 클러치 기구(42)는, 핸들(14)의 회전을 스풀(16)에 전달하는 클러치 온(on) 상태와, 전달 해제하는 클러치 오프(off) 상태로 전환 가능하다. 클러치 기구(42)는, 릴 본체(12)의 후부(後部)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클러치 조작 부재(43)에 의하여, 클러치 온 상태와 클러치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줄 감기용의 스풀(16)은, 릴 본체(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풀(16)은, 줄 감기 몸통부(16a)와, 줄 감기 몸통부(16a)의 제1 측판(30a) 측에 일체 형성된 대경(大徑)의 제1 플랜지부(16b)와, 줄 감기 몸통부(16a)의 제2 측판(30b) 측에 일체 형성된 대경의 제2 플랜지부(16c)를 가진다. 제2 플랜지부(16c)의 외측면에는, 스풀(16)의 회전을 검출하는, 후술하는 스풀 센서(21)에 의하여 검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자(16d)가 장착된다. 검출자(16d)는, 예를 들어 자석이다. 스풀(16)은, 중심을 관통하는 스풀축(46)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스풀축(46)은, 클러치 기구(42)에 의하여, 회전 전달 기구(40)에 대하여 연결 및 차단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18)은, 제1축(X1) 둘레의 회동 위치를 검출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회전 검출부(19)를 가진다. 회로 기판(18)은, 대체로 좌금상(座金狀)으로 형성된 기판부(18a)와, 기판부(18a) 및 후술하는 코일(50)을 덮는 합성 수지 등의 유전체제(誘電體製)의 피복부(18b)를 포함한다. 회로 기판(18)은, 축지지부(36)에 나사 멈춤 고정된다. 회전 검출부(19)는, 예를 들어, 전위차계(potentiometer), 로터리 인코더(encoder) 등의 검출 부분이 밀폐된 것이다. 회전 검출부(19)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19a)와, 케이스(19a)에 제1축(X1)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축부재(19b)와, 케이스(19a) 내에 설치되고, 축부재(19b)의 회동 위치를 검출 가능한 센서부(19c)를 가진다. 센서부(19c)는, 축부재(19b)의 회전에 따라 저항이 변화하는 가변 저항을 가지고, 회동 위치에 따라 출력 전압을 변화시킨다.
적어도 하나의 이동 부재(20)는, 회전 검출부(19)에 의하여 회동 위치가 검출된다. 이동 부재(20)는, 제1 실시예에서는 하나이다. 이동 부재(20)는, 회전 검출부(19)의 축부재(19b)의 선단(先端)에 제1축(X1) 둘레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동 부재(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판상의 부재이며, 연동 기구(26)의 캠 팔로어(68)를 구성하는 돌기부(68a)를 표면에 가진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 제동부(22)는, 스풀(16)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제동 동작하고, 이동 부재(20)를 통하여 조작 부재(24)에 의하여, 동작 상태의 일례인 제동력을 조정 가능하다. 스풀 제동부(22)는, 스풀(16)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동 자석(48), 직렬 접속된 복수의 코일(50), 및 스위치 소자(52)(도 3 참조)를 가진다. 제동 자석(48)은, 스풀축(46)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동 자석(48)은, 접착에 의하여 스풀축(46)에 고정된다. 제동 자석(48)은, 극이방성(極異方性) 착자(着磁)된 복수의 자극을 가지는 원통형의 자석이다. 복수의 코일(50)은, 제동 자석(48)의 외주(外周) 측에 소정의 간극(間隙)을 두고 통상으로 배치되고, 도시하지 않는 코일 취부(取付) 부재를 통하여 회로 기판(18)에 취부된다. 코일(50)은, 코깅(cogging)을 방지하여 스풀(16)의 회전을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코어리스(coreless) 타입의 것이 채용되어 있다. 나아가 요크도 설치되어 있지 않다. 코일(50)은, 권회(卷回)된 심선(芯線)이 제동 자석(48)에 대향하여 제동 자석(48)의 자장(磁場) 내에 배치되도록 대략 구형으로 권회되어 있다. 직렬 접속된 복수의 코일(50)의 양단은, 회로 기판(18)에 탑재된 스위치 소자(5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1 실시예에서는, 코일(50)은 4개 설치된다. 각 코일(50)은 각각 원호상(圓弧狀)으로 만곡하여 형성되고, 복수의 코일(50)은, 전체적으로 대체로 통상으로 형성된다. 스위치 소자(52)는, 예를 들어 전계(電界) 효과 트랜지스터(transistor)에 의하여 구성된다.
스풀 제동부(22)는, 제동 자석(48)과 코일(50)과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류를, 스위치 소자(52)에 의하여 온 오프하는 것에 의하여, 듀티비(比)를 변경하여 스풀(16)을 제동한다. 스풀 제동부(22)에서 발생하는 제동력은 스위치 소자(52)의 온 시간이 길수록(듀티비가 클수록) 강해진다. 스위치 소자(52)는, 정류 회로(54)를 통하여 축전 소자(56)에 접속된다. 축전 소자(56)에는, 캐스팅 시에 코일(50)으로부터 발생한 전력이 모인다. 축전 소자(56)는, 스풀 제어부(28) 및 스풀 제어부(28)에 접속되는 상기 부품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으로서 기능한다. 축전 소자(56)는, 예를 들어, 전해(電解) 콘덴서에 의하여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조작 부재(24)는, 릴 본체(1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풀 제동부(22)의 제동 상태를 조정 조작하도록 구성된다. 조작 부재(24)는, 제1축(X1)과 평행으로 설치된 제2축(X2)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조작 부재(24)는, 이동 부재(20)와 경방향으로 중첩하여 배치된다. 제1 실시예에서는, 조작 부재(24)는, 제동력의 크기를 복수 단계로 조정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24)는, 도시하지 않는 규제 구조에 의하여, 대체로 140도의 범위에서 회동한다.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24)는, 조작부 본체(58)와, 조작부 본체(58)와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환상(環狀) 부재(60)를 가진다. 조작부 본체(58)는, 제2축(X2)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부(36)에 지지된다.
조작부 본체(58)는, 환상 부재(60)와 함께, 나사 부재(62)에 의하여 축지지부(36)에 회동 가능하게 빠짐 방지된다. 조작부 본체(58)는, 원판상의 본체부(58a)와, 조작 돌기(58b)와, 축부(58c)와, 나사 구멍(58d)과,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부(58e)를 가진다. 조작 돌기(58b)는, 본체부(58a)의 외측면에 경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한다. 축부(58c)는, 본체부(58a)의 내측면에 통상으로 형성되고, 지지공(36d)에 제2축(X2)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나사 구멍(58d)은, 축부(58c)의 선단에 형성된다. 나사 구멍(58d)에는, 나사 부재(62)가 나합(螺合)한다. 나사 부재(62)의 머리부는, 지지공(36d)보다도 대경이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부(58e)는, 본체부(58a)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환상 부재(60)를 조작부 본체(58)의 제2축(X2) 둘레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2축(X2) 둘레에 회전시키기 위하여 설치된다.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연결부(58e)는, 복수(예를 들어, 2개) 설치된다. 제1 연결부(58e)는 볼록부 및 오목부의 일방에 의하여 구성된다.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연결부(58e)는 오목부에 의하여 구성된다.
환상 부재(60)는, 조작부 본체(58)를 연동 기구(26)에 연결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환상 부재(60)는, 제1 연결부(58e)에 계합하는 제2 연결부(60a)를 가진다. 환상 부재(60)와 조작부 본체(58)는,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나누는 것에 의하여, 조립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환상 부재(60)는, 축부(58c)에 감합(嵌合)하는 관통공(60b)을 가진다.
연동 기구(26)는, 조작 부재(24)의 이동에 따라 이동 부재(20)를 회동시킨다. 연동 기구(26)는, 조작 부재(24)의 제2축(X2) 둘레의 회동에 연동하여 이동 부재(20)를 제1축(X1) 둘레에 회동시키는 캠 기구(64)를 가진다.
캠 기구(64)는, 이동 부재(20) 및 조작 부재(24)의 일방에 설치되는 캠(66)과, 이동 부재(20) 및 조작 부재(24)의 타방에 설치되고, 캠(66)에 계합하는 캠 팔로어(68)를 가진다. 제1 실시예에서는, 캠(66)은, 조작 부재(24)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캠(66)은, 환상 부재(60)의 내측면에 형성된 캠 홈(66a)을 가진다. 캠 홈(66a)은, 환상 부재(60)의 관통공(60b)의 내주면(內周面)으로부터 경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캠 홈(66a)의 외주 측의 단부는 닫혀 있다. 캠 팔로어(68)인 돌기부(68a)는, 이동 부재(20)에 제1축(X1)과 이반한 위치에 제1축(X1)과 평행으로 배치된다. 돌기부(68a)는 캠 홈(66a)의 벽면에 접촉 가능하고, 캠 홈(66a)에 계합한다.
스풀 제어부(28)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ROM, RAM, CPU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되는 제어부(28a)와, EEP ROM, 플래시 메모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의하여 구성되는 기억부(28b)를 가진다. 스풀 제어부(28)에는, 스풀 센서(21)와, 회전 검출부(19)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스풀 센서(21)는 회로 기판(18)에 탑재된다.
스풀 제어부(28)는,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 F를 산출하고, 산출된 장력과, 조작 부재(24)에 의하여 선택된 제동 상태에 따라, 스풀 제동부(22)를 제어한다.
위치 결정 기구(29)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24)의 이동 위치(회동 위치)를 복수 단계(예를 들어, 4-10단계, 제1 실시예에서는 10단계)로 위치 결정 가능하다. 위치 결정 기구(29)는, 위치 결정 핀(70)과, 위치 결정 핀(70)이 위치 결정되는 복수의 위치 결정 오목부(72)와, 위치 결정 핀(70)을 위치 결정 오목부(72)를 향하여 압박하는 압박 부재(74)를 가진다. 위치 결정 핀(70) 및 압박 부재(74)는, 축지지부(36)의 수납 구멍(36e)에 장착된다. 복수의 위치 결정 오목부(72)는, 환상 부재(60)의 내측면의 캠 홈(66a)과 반대측에서 외주 측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예를 들어, 10개 배치된다. 이것에 의하여, 조작 부재(24)를 10단계로 위치 결정 할 수 있다. 위치 결정 오목부(72)는, 예를 들어, 원주상(圓柱狀) 또는 구상(球狀)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1 실시예에서는, 위치 결정 오목부(72)는, 구상으로 오목하게 배치된다. 위치 결정 핀(70)은, 선단부가 구상으로 둥글게 된다. 위치 결정 핀(70)은, 위치 결정 오목부(72)에 대항하여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연동 기구(26) 및 위치 결정 기구(29)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24)가 도 7에 도시하는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조작 부재(24)를 제2축(X2)의 반시계 방향의 제1 조작 방향(OD1)으로 조작하면, 연동 기구(26)의 캠(66)(캠 홈(66a))이 캠 팔로어(68)(돌기부(68a))를 압압(押壓)하고, 이동 부재(20)가 제1축(X1) 둘레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조작 부재(24)는, 10개의 둘레 방향 위치에서 위치 결정된다. 이것에 의하여, 회전 검출부(19)의 출력 전압이 변화하고, 이동 부재(20)의 회동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스풀 제어부(28)에서는, 검출된 회전 위치에 의하여, 스풀 제동부(22)의 제동력을 조정한다.
여기에서는, 제1축(X1) 둘레에 회동하는 이동 부재(20)와, 제2축(X2) 둘레에 회동하는 조작 부재(24)와의 사이에 연동 기구(26)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조작 부재(24)의 배치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이 때문에,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스풀 제동부(22)를 가지는 양 베어링 릴(10)에 있어서, 양 베어링 릴(10)의 크기에 관계없이 일 종류의 회로 기판(18)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제1 실시예의 변형예>
덧붙여, 이후의 설명에서는, 제1 실시예와 같은 구성의 부재에는 같은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구성은 다르지만 작용이 같은 부재는 마지막 두 자릿수가 제1 실시예와 같은 세 자릿수의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조작 부재(24)는 하나였지만, 도 8에 도시하는 변형예의 양 베어링 릴(110)에서는, 제1 조작 부재(124a)와 제2 조작 부재(124b)가 설치된다. 제1 조작 부재(124a)는, 제1 조작부 본체(158a)와 제1 환상 부재(160a)를 가진다. 제2 조작 부재(124b)는, 제2 조작부 본체(158b)와 제2 환상 부재(160b)를 가진다. 여기에서, 제1 조작 부재(124a)는, 제동력의 시간 변화가 다른 복수(예를 들어 4개)의 제동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낚싯줄의 종류(예를 들어, 나일론 라인, 플루오로카본(fluorocarbon) 라인(폴리플루오르화비닐리덴(Polyvinylidene fluoride)제(製)의 줄), PE라인(폴리에틸렌 섬유를 꼬아 합친 줄))에 따른 3개의 제동 모드 및 오토 제동 모드의 4개의 제동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조작 부재(124b)는, 세기가 다른 복수의 제동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제동력의 세기를 8단계로 조정 가능하다.
회로 기판(118)은, 제1 회전 검출부(119a)와 제2 회전 검출부(119b)를 가진다. 제1 회전 검출부(119a)에는, 제1 이동 부재(120a)가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회전 검출부(119b)에는, 제2 이동 부재(120b)가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축지지부(136)는, 제1 연동 기구(126a)를 장착하기 위한 제1 연동 기구 장착부(136b1)와, 제2 연동 기구(126b)를 장착하기 위한 제2 연동 기구 장착부(136b2)를 가진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연동 기구(126a)는, 제1 캠 기구(164a)를 가진다. 제1 캠 기구(164a)는, 제1 이동 부재(120a)에 설치되는 제1 캠 팔로어(168a)와, 제1 환상 부재(160a)에 설치되는 제1캠(166a)을 가진다. 제1캠(166a)은, 제1 환상 부재(160a)의 내측면에, 경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캠 홈(166a1)을 가진다. 제1 캠 팔로어(168a)는, 제1 이동 부재(120a)에 설치되는 제1 돌기부(168a1)를 가진다. 덧붙여, 도 9에서는, 위치 결정수(數)가 많은 제2 연동 기구(126b)를 도시하고 있다.
제2 연동 기구(126b)는, 제2 캠 기구(164b)를 가진다. 제2 캠 기구(164b)는, 제2 이동 부재(120b)에 설치되는 제2 캠 팔로어(168b)와, 제2 환상 부재(160b)에 설치되는 제2캠(166b)을 가진다. 제2캠(166b)은, 제2 환상 부재(160b)의 내측면에, 경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캠 홈(166a2)을 가진다. 제2 캠 팔로어(168b)는, 제2 이동 부재(120b)에 설치되는 제2 돌기부(168a2)를 가진다.
양 베어링 릴(110)은, 제1 조작 부재(124a)를, 예를 들어 4개의 둘레 방향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제1 위치 결정 기구(129a)와, 제2 조작 부재(124b)를, 예를 들어 8개의 둘레 방향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제2 위치 결정 기구(129b)가 더 설치된다. 그 외의 양 베어링 릴(110)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양 베어링 릴(110)에서는, 제1 조작 부재(124a)와 제2 조작 부재(124b)가 설치되기 때문에, 제동력을 한층 더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서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 동작 기구로서의 스풀 구동부(222)를 가지는 양 베어링 릴(210)에 관하여 설명한다.
양 베어링 릴(210)은, 릴 본체(212)와, 핸들(214)과, 줄 감기용의 스풀(216)과, 회전 검출부(19)를 가지는 회로 기판(218)과, 적어도 하나의 이동 부재(20)(도 10 참조)와, 모터(222a)를 포함하는 스풀 구동부(222)(도 12 참조)와, 조작 부재(224)와, 연동 기구(26)와, 스풀 제어부(228)(도 12 참조)와, 위치 결정 기구(29)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2 실시예의 양 베어링 릴(210)에서는,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같은 구성의, 회전 검출부(19), 이동 부재(20), 연동 기구(26), 및 위치 결정 기구(29)를 가진다. 조작 부재(224)는, 모터(222a)의 회전 상태를 조정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조작 부재(224)는, 외측면에서 조작하는 것이 아니라 외주면에서 조작하는 점이 제1 실시예와 다르다. 조작 부재(224)는, 스풀(216)의 회전 속도를 복수 단계로 조정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릴 본체(212)는, 간격을 두고 대향하여 배치된 제1 측판(230a) 및 제2 측판(230b)을 가지는 프레임(230)과, 제1 측 커버(232)와, 제2 측 커버(234)와, 카운터 케이스(236)를 가진다. 제1 측 커버(232)는, 핸들(214) 측의 제1 측판(230a)의 외측면을 덮는다. 제2 측 커버(234)는, 제2 측판(230b)의 외측을 덮는다. 카운터 케이스(236)는, 프레임(230)의 상부(上部)에 배치된다. 카운터 케이스(236)는, 낚싯줄의 선단에 취부되는 채비의 수심을 표시하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지는 표시기(223)를 가진다. 카운터 케이스(236)에는, 회로 기판(218)이 수납된다. 회로 기판(218)은, 표시기(223) 및 스풀 제어부(228)가 탑재되는 제1 회로 기판(218a)과, 회전 검출부(19)를 가지고, 제1 회로 기판(218a)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회로 기판(218b)을 가진다. 제2 회로 기판(218b)은, 카운터 케이스(236)의 핸들(214) 측의 후부에 설치된다. 프레임(230)은, 스풀(216)보다도 전방으로 제1 측판(230a)과 제2 측판(230b)을 연결하는 통상의 모터 수납부(230c)를 가진다.
모터 수납부(230c)에 모터(222a)가 수납되어 고정된다. 모터(222a)는, 핸들(214) 측에서 도시하지 않는 회전 전달 기구를 경유하여 스풀(216)을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
스풀 구동부(222)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 수납부(230c)에 수납된 모터(222a)와, 모터(222a)를 펄스 폭 변조(變調) 구동하는 모터 드라이버(222b)를 가진다. 모터 드라이버(222b)는, 카운터 케이스(236)에 수용된 복수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 의하여 구성된다.
스풀 제어부(228)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ROM, RAM, CPU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되는 제어부(228a)와, EEP ROM, 플래시 메모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의하여 구성되는 기억부(228b)를 가진다. 스풀 제어부(228)에는, 스풀 센서(221)와, 회전 검출부(19)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스풀 센서(221)는, 스풀(216)의 회전 속도, 스풀(216)의 총 회전수 등의 검출에 이용된다. 회전 검출부(19)는, 이동 부재(20)의 회동 위치를 검출한다.
스풀 제어부(228)는,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회전 검출부(19)가 검출한 이동 부재(20)의 이동 위치에 따라 모터 드라이버(222b)를 통하여 모터(222a)를 펄스 폭 변조 제어한다. 또한, 스풀 제어부(228)는, 카운터 케이스(236)에 설치되는 표시기(223)의 표시 제어도 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동의 양 베어링 릴(210)에서는, 조작 부재(224)를 제2축(X2) 둘레의 반시계 방향의 제1 조작 방향(OD1)으로 조작하면, 연동 기구(26)의 캠(66)(캠 홈(66a))이 캠 팔로어(68)(돌기부(68a))를 압압하고, 이동 부재(20)가 제1축(X1) 둘레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조작 부재(24)는, 복수 개(예를 들어 10개)의 둘레 방향 위치에서 위치 결정된다. 이것에 의하여, 회전 검출부(19)의 출력 전압이 변화하고, 이동 부재(20)의 회동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특징>
상기 실시예는, 하기와 같이 표현 가능하다.
(A) 양 베어링 릴(10)은, 낚싯줄을 전방으로 방출한다. 양 베어링 릴(10)은, 릴 본체(12)와, 줄 감기용의 스풀(16)과, 회로 기판(18)과, 적어도 하나의 이동 부재(20)와, 스풀 제동부(22)와, 적어도 하나의 조작 부재(24)와, 연동 기구(26)와, 스풀 제어부(28)를 구비한다. 줄 감기용의 스풀(16)은, 릴 본체(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로 기판(18)은, 제1축(X1) 둘레의 회동 위치를 검출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회전 검출부(19)를 가진다. 적어도 하나의 이동 부재(20)는, 회전 검출부(19)에 의하여 회동 위치가 검출된다. 스풀 제동부(22)는, 스풀(16)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동작하고, 이동 부재(20)에 의하여 동작 상태를 조정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조작 부재(24)는, 릴 본체(1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풀 제동부(22)의 동작 상태를 조정 조작하도록 구성된다. 연동 기구(26)는, 조작 부재(24)의 이동에 따라 이동 부재(20)를 회전시킨다. 스풀 제어부(28)는, 이동 부재(20)의 회동 위치에 따라 스풀 제동부(22)를 제어한다.
이 양 베어링 릴(10)에서는, 조작 부재(24)를 조작하여 이동시키면, 연동 기구(26)에 의하여 이동 부재(20)는 조작 부재(24)와 연동하여 제1축(X1) 둘레에 회전한다. 이동 부재(20)가 회전하면 회전 검출부(19)가 이동 부재(20)의 회동 위치를 검출하고, 스풀 제어부(28)가 스풀 제동부(22)를 이동 부재(20)의 회동 위치에 따라 제어한다. 여기에서는, 회전 검출부(19)가 검출하는 이동 부재(20)를, 조작 부재(24)에 직접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연동 기구(26)를 통하여 조작 부재(24)에 연결하였기 때문에, 이동 부재(20), 회전 검출부(19) 및 회로 기판(18)을, 다른 크기의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공통화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양 베어링 릴(10)의 크기에 관계없이 일 종류의 회로 기판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B) 조작 부재(24)는, 릴 본체(12)에 제1축(X1)과 평행으로 설치된 제2축(X2)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작 부재(24)도 회동하기 때문에, 연동 기구(26)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C) 연동 기구(26)는, 조작 부재(24)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 부재(20)를 회동시키는 캠 기구(64)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캠(66)과 캠 팔로어(68)를 가지는 캠 기구(64)에 의하여 연동 기구(26)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연동 기구(26)의 구성을 한층 더 간소화할 수 있다.
(D) 이동 부재(20)는, 조작 부재(24)와 경방향으로 중복하여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이동 부재(20)와 조작 부재(24)를 경방향으로 중복하여 배치하기 때문에, 양 베어링 릴(10)의 경방향의 크기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E) 스풀 제동부(22)는, 회로 기판(18)에 장착되는 코일(50)과, 스풀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동 자석(48)를 가지고, 스풀(16)을 제동한다. 이동 부재(20)는, 회로 기판(18)에 제1축(X1)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조작 부재(24)는, 릴 본체(12)에 제2축(X2)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코일(50)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16)을 제동하는 스풀 제동부(22)에 있어서, 양 베어링 릴(10)의 크기에 관계없이 일 종류의 회로 기판(18)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F) 스풀 구동부(222)는, 릴 본체(212)에 고정된 모터(222a)를 가지고, 모터(222a)에 의하여 스풀(216)을 회전 구동한다. 조작 부재(224)는, 릴 본체(212)에 제2축(X2)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모터(222a)에 의하여 스풀(216)을 회전 구동하는 스풀 구동부(222)에 있어서, 양 베어링 릴(210)의 크기에 관계없이 일 종류의 회로 기판(218)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G) 캠 기구(64)는, 이동 부재(20) 및 조작 부재(24)의 일방에 설치되는 캠(66)과, 이동 부재(20) 및 조작 부재(24)의 타방에 설치되고, 캠(66)에 계합하는 캠 팔로어(68)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캠 기구(64)에 의하여, 연동 기구(26)를 간소한 구성에 의하여 실현할 수 있다.
(H) 캠(66)은, 경방향을 따라 형성된 캠 홈(66a)을 가져도 무방하다. 캠 팔로어(68)는, 제1축(X1)과 이반한 위치에 제1축(X1)과 평행으로 배치되고, 캠 홈(66a)의 벽면에 접촉 가능한 돌기부(68a)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돌기부(68a)를 캠 홈(66a)에 계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조작 부재(24)의 제2축(X2) 둘레의 회전을, 이동 부재(20)의 제1축(X1) 둘레의 회전에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I) 양 베어링 릴(10)은, 조작 부재(24)의 이동 위치를 복수 단계로 위치 결정 가능한 위치 결정 기구(29)를 더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작 부재(24)가 위치 결정되기 때문에, 스풀 제동부(22)의 동작 상태를 재현하기 쉬워진다.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특히, 본 명세서에 쓰여진 복수의 실시예 및 변형예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편성 가능하다.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위차계로서, 센서부(19c)가 가변 저항에 의하여 구성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부를 홀 소자와 자석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제동 자석(48)에 의한 자계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케이스(19a)를 자속(磁束) 차폐(遮蔽) 부재에 의하여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디지털 전위차계 또는 로터리 인코더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b) 제2 실시예에서는, 스풀 동작 기구로서, 스풀(216)을 모터(222a)에 의하여 구동하는 스풀 구동부(222)를 개시하였지만, 스풀 동작 기구로서 모터를 이용한 드래그 기구이어도 무방하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연동 기구(26)를 캠 기구(64)에 의하여 구성하였지만, 연동 기구(26)는 캠 기구(64)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동 부재와 조작 부재를 링크 기구에 의하여 연결하여도 무방하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연동 기구(26)(또는 126)의 캠 기구(64)에 있어서, 캠(66)을 조작 부재(24)에 설치하고, 캠 팔로어(68)를 이동 부재에 설치하였지만 반대여도 무방하다.
(e) 상기 실시예에서는 조작 부재(24)를 회동 가능하게 구성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조작 부재는, 요동 및 슬라이드 등의 이동이어도 무방하다.
10, 110, 210: 양 베어링 릴
12, 212: 릴 본체
16, 216: 스풀
18, 118, 218: 회로 기판
19, 219: 회전 검출부
19a: 케이스
19b: 축부재
19c: 센서부
20, 220: 이동 부재
22: 스풀 제동부
24, 224: 조작 부재
26: 연동 기구
28, 228: 스풀 제어부
29: 위치 결정 기구
48: 제동 자석
50: 코일
64: 캠 기구
66: 캠
66a: 캠 홈
68: 캠 팔로어
68a: 돌기부
119a: 제1 회전 검출부
119b: 제2 회전 검출부
120a: 제1 이동 부재
120b: 제2 이동 부재
124a: 제1 조작 부재
124b: 제2 조작 부재
126a: 제1 연동 기구
126b: 제2 연동 기구
129a: 제1 위치 결정 기구
129b: 제2 위치 결정 기구
164a: 제1 캠 기구
164b: 제2 캠 기구
166a: 제1캠
166a1: 제1 캠 홈
166a2: 제2 캠 홈
166b: 제2캠
168a: 제1 캠 팔로어
168a1: 제1 돌기부
168a2: 제2 돌기부
168b: 제2 캠 팔로어
218: 회로 기판
221: 스풀 센서
222: 스풀 구동부
222a: 모터
228: 스풀 제어부
X1: 제1축
X2: 제2축

Claims (9)

  1. 낚싯줄을 전방(前方)으로 방출하는 양 베어링 릴이고,
    릴 본체와,
    상기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줄 감기용의 스풀과,
    제1축 둘레의 회동(回動) 위치를 검출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회전 검출부를 가지는 회로 기판과,
    상기 회전 검출부에 의하여 회동 위치가 검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부재와,
    상기 스풀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동작하고, 상기 이동 부재에 의하여 동작 상태를 조정 가능한 스풀 동작 기구와,
    상기 릴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풀 동작 기구의 상기 동작 상태를 조정 조작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작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이동 부재를 회전시키는 연동 기구와,
    상기 이동 부재의 회동 위치에 따라 상기 스풀 동작 기구를 제어하는 스풀 제어부
    를 구비하는 양 베어링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릴 본체에 상기 제1축과 평행으로 설치된 제2축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양 베어링 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기구는, 상기 조작 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이동 부재를 회동시키는 캠 기구를 가지는, 양 베어링 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조작 부재와 경(徑)방향으로 중복하여 배치되는, 양 베어링 릴.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동작 기구는, 상기 회로 기판에 장착되는 코일과, 상기 스풀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자석을 가지고, 상기 스풀을 제동하는 스풀 제동부이고,
    상기 회전 검출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상기 제1축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축부재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축부재의 회동 위치를 검출 가능한 센서부를 가지고,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축부재에 상기 제1축 둘레에 일체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양 베어링 릴.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동작 기구는, 상기 릴 본체에 고정된 모터를 가지고, 상기 모터에 의하여 상기 스풀을 회전 구동하는 스풀 구동부이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릴 본체에 상기 제2축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양 베어링 릴.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캠 기구는,
    상기 이동 부재 및 상기 조작 부재의 일방(一方)에 설치되는 캠과,
    상기 이동 부재 및 상기 조작 부재의 타방(他方)에 설치되고, 상기 캠에 계합하는 캠 팔로어(follower)
    를 가지는, 양 베어링 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상기 조작 부재에 경방향을 따라 형성된 캠 홈을 가지고,
    상기 캠 팔로어는, 상기 이동 부재에 상기 제1축과 이반(離反)한 위치에 상기 제1축과 평행으로 배치되고, 상기 캠 홈의 벽면에 접촉 가능한 돌기부를 가지는, 양 베어링 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의 이동 위치를 복수 단계로 위치 결정 가능한 위치 결정 기구를 더 구비하는, 양 베어링 릴.
KR1020160165850A 2016-01-19 2016-12-07 양 베어링 릴 KR1026114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08320A JP6653582B2 (ja) 2016-01-19 2016-01-19 両軸受リール
JPJP-P-2016-008320 2016-0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7015A true KR20170087015A (ko) 2017-07-27
KR102611459B1 KR102611459B1 (ko) 2023-12-08

Family

ID=59313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850A KR102611459B1 (ko) 2016-01-19 2016-12-07 양 베어링 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71530B2 (ko)
JP (1) JP6653582B2 (ko)
KR (1) KR102611459B1 (ko)
CN (1) CN106973872B (ko)
MY (1) MY180387A (ko)
TW (1) TWI6844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88592A (ja) * 2017-11-15 2019-06-13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7013810B2 (ja) * 2017-11-15 2022-02-01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7013809B2 (ja) * 2017-11-15 2022-02-01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2019088591A (ja) * 2017-11-15 2019-06-13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7262167B2 (ja) * 2017-11-22 2023-04-2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941560B2 (ja) 2017-12-28 2021-09-29 株式会社シマノ 軸受収容構造および両軸受リール
JP7049940B2 (ja) * 2018-06-21 2022-04-07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7094169B2 (ja) * 2018-07-13 2022-07-0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7166895B2 (ja) * 2018-11-28 2022-11-08 株式会社シマノ リール制動調整装置及びリール制動調整プログラム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5036A (ja) * 1982-03-09 1983-09-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ル
US5397071A (en) * 1993-07-26 1995-03-14 Daiwa Seiko, Inc. Motor-operated fishing reel
JP2004357601A (ja) 2003-06-05 2004-12-24 Shimano Inc 釣り用品の電子回路装置
JP2009159847A (ja) * 2007-12-28 2009-07-23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2013005737A (ja) * 2011-06-23 2013-01-10 Globeride Inc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13005738A (ja) * 2011-06-23 2013-01-10 Globeride Inc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14113142A (ja) * 2012-11-19 2014-06-26 Shimano Inc 電動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5773U (ja) * 1984-07-20 1986-02-15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のスプ−ル回転検出装置
JPH07213203A (ja) * 1994-01-28 1995-08-15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US6045076A (en) * 1995-08-03 2000-04-04 Daniels; John J. Fishing reel with electronic antibacklashing features dependent on a sensed line condition
JPH10178984A (ja) * 1996-12-27 1998-07-07 Ryobi Ltd 魚釣用電動リール
JPH1118641A (ja) * 1997-07-09 1999-01-26 Daiwa Seiko Inc 魚釣用電動リ−ル
JPH11332436A (ja) * 1998-05-13 1999-12-07 Johnson Worldwide Assoc Inc ベイトキャスティング制御魚釣りリ―ル
SG121857A1 (en) * 2003-01-06 2006-05-26 Shimano Kk Braking device for a dual bearing reel
SG125114A1 (en) * 2003-05-13 2006-09-29 Shimano Kk Electronic circuit device for fishing equipment
US7150423B2 (en) * 2003-09-12 2006-12-19 Shimano Inc. Reel unit for a dual bearing reel
JP4362384B2 (ja) * 2004-02-02 2009-11-1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及びそれに用いるスプール制動装置
US7712695B2 (en) * 2008-07-10 2010-05-11 Freescale Semiconductor, Inc. Spool braking device for fishing reel
TWM359203U (en) * 2008-12-02 2009-06-21 Tsung-Liang Chang Winder with multi-directional rotation spool
US8602343B2 (en) * 2009-04-23 2013-12-10 James R. Strohecker Fishing reel with free spool controller
JP5746841B2 (ja) * 2010-09-22 2015-07-0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制御装置
JP5944742B2 (ja) * 2012-05-17 2016-07-0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及び両軸受リール
JP6085447B2 (ja) * 2012-10-19 2017-02-2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KR102099663B1 (ko) * 2012-11-19 2020-05-15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전동 릴
JP6335528B2 (ja) * 2014-01-28 2018-05-3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5036A (ja) * 1982-03-09 1983-09-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ル
US5397071A (en) * 1993-07-26 1995-03-14 Daiwa Seiko, Inc. Motor-operated fishing reel
JP2004357601A (ja) 2003-06-05 2004-12-24 Shimano Inc 釣り用品の電子回路装置
JP2009159847A (ja) * 2007-12-28 2009-07-23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2013005737A (ja) * 2011-06-23 2013-01-10 Globeride Inc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13005738A (ja) * 2011-06-23 2013-01-10 Globeride Inc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14113142A (ja) * 2012-11-19 2014-06-26 Shimano Inc 電動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725978A (zh) 2017-08-01
JP6653582B2 (ja) 2020-02-26
MY180387A (en) 2020-11-28
US20170202192A1 (en) 2017-07-20
US10271530B2 (en) 2019-04-30
CN106973872B (zh) 2021-05-25
TWI684404B (zh) 2020-02-11
CN106973872A (zh) 2017-07-25
KR102611459B1 (ko) 2023-12-08
JP2017127233A (ja) 2017-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87015A (ko) 양 베어링 릴
JP2017127233A5 (ko)
US10039272B2 (en) Spool brake device for dual-bearing reel
US10271529B2 (en) Fishing reel
US7165737B2 (en) Spool braking device for dual-bearing reel
US7699257B2 (en) Dual bearing reel handle shaft structure
KR101007837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제동 장치
US9635843B2 (en) Spool braking device and fishing reel
US20070108330A1 (en) Spool braking device for dual bearing reel
TWI583306B (zh) Double bearing type reel
JP2017127286A5 (ko)
US10159234B2 (en) Fishing reel
TWI595833B (zh) 電動捲線器之控制裝置
US20170208785A1 (en) Spool brake device for dual-bearing reel
KR20170041123A (ko) 양 베어링 릴
JP7098408B2 (ja)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JP6342218B2 (ja)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TWI604790B (zh) 電動捲線器的馬達控制裝置
TWI791548B (zh) 電動捲線器的馬達控制裝置
JP7260507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15002689A5 (ko)
JP6820980B2 (ja) 両軸受リール
JP2004208631A (ja)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KR102228646B1 (ko)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KR20230031789A (ko) 스풀을 제동하는 제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낚시용 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