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6574A - 강의 연속 주조 방법 - Google Patents

강의 연속 주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6574A
KR20170086574A KR1020177016340A KR20177016340A KR20170086574A KR 20170086574 A KR20170086574 A KR 20170086574A KR 1020177016340 A KR1020177016340 A KR 1020177016340A KR 20177016340 A KR20177016340 A KR 20177016340A KR 20170086574 A KR20170086574 A KR 20170086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olten steel
electromagnetic brake
long side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6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히토 하나오
히로아키 우치야마
고헤이 후지모토
마사토시 미야하라
Original Assignee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86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65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22D11/041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for vertical ca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1Treating the molten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1Treating the molten metal
    • B22D11/114Treating the molten metal by using agitating or vibrating means
    • B22D11/115Treating the molten metal by using agitating or vibrating means by using magnetic f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18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브레이크에 의해 내부 결함을 억제하면서, 이 전자 브레이크에 기인하는 표면 결함의 발생을 회피하며, 종래 기술에 비해, 주편의 청정도를 높일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침지 노즐의 토출 구멍으로부터 토출되는 토출류에 전자 브레이크를 걸면서, 주형 내로 용강을 공급하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으로서, 전자 브레이크의 자속 밀도(B)를, 하기 (식 1)의 범위로 한다.
Figure pct00006

Description

강의 연속 주조 방법{CONTINUOUS CASTING METHOD FOR STEEL}
본 발명은, 강의 연속 주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강의 연속 주조는, 턴 디쉬 내의 용강을, 침지 노즐을 통하여 연속 주조 설비의 주형 내에 공급하면서 행해진다. 용강은, 침지 노즐의 하단부에 형성된 토출 구멍으로부터 주형 내에 토출되고, 주형 내에서 냉각되어, 브레이크 아웃하지 않을 정도의 응고 쉘 두께가 확보된 상태로 주형 출구로부터 뽑아 내어진다. 응고 쉘은, 뽑아 내어지는 과정에서 스프레이에 의해 2차 냉각되어 완전하게 응고된 후, 절단되어 주편이 된다.
주편의 청정도를 향상시키는 기술로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주형의 장변측 메니스커스 근방에 전자 교반 장치를 대향 설치함으로써, 주형 내의 용강의 표면에 선회류를 발생시키고, 이 선회류의 세정 효과에 의해, 주편 결함의 요인이 되는, 개재물이나 기포가 주형의 표면에 부착되는 현상을, 억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 문헌 2에는, 침지 노즐의 토출 구멍으로부터 토출되는 토출류에 전자 브레이크를 작용시킴으로써, 용강의 하강 속도를 억제하여, 용강 중의 개재물이 부상하는 시간을 확보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의 기술에서는, 침지 노즐의 토출 구멍으로부터 토출된 토출류에 전자 브레이크가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토출류의 하강 속도가 억제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용강 중에 잔존하는 알루미나 등의 개재물이나 기포가 충분히 부상 제거되지 않은 채로, 주편의 심부에 침입하여 내부 결함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는, 상기 특허 문헌 2와 같이, 토출류에 전자 브레이크를 작용시킴으로써 회피할 수 있다.
토출류에 전자 브레이크를 작용시킨 경우, 도 3(주형의 정면 단면도) 및 도 4(주형의 측면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침지 노즐(2)을 따른 상승류가 발생하고, 이 상승류는 용강의 표면 부근에서 반전되어 하강류가 된다. 여기서, 특히, 두께가 얇은 주편을 제조하기 위한 주형에서는, 주형의 장변면 간의 거리(D0)가 가까워진다. 그 때문에, 상기 하강류에 운반되는 개재물이나 기포가, 주형의 장변을 구성하는 장변벽(3a, 3b) 상에 형성되는 응고 쉘(8)과 접촉하고, 여기서 포착되기 쉬워져, 표면 결함의 요인이 된다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한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8-183597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5245800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전자 브레이크에 의해 내부 결함을 억제하면서, 이 전자 브레이크에 기인하는 표면 결함의 발생을 회피하며, 종래 기술에 비해, 주편의 청정도를 높일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에서는, 침지 노즐의 토출 구멍으로부터 토출되는 토출류에 전자 브레이크를 걸면서, 주형 내로 용강을 공급하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에 있어서, 전자 브레이크의 자속 밀도(B)를, 하기 (식 1)의 범위로 한다. 여기서, 전자 브레이크의 자속 밀도(B)란, 전자 브레이크 코일 중심에 있어서의 자속 밀도를 의미한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D0=수평 단면 형상으로 단변과 장변을 가지는 주형의, 장변 양단에 있어서, 주형 내에서 대향하는 장변 간의 거리로서 계측되는 주형 두께(m),
Dmax=수평 단면 형상으로 단변과 장변을 가지는 주형의, 장변 중앙에 있어서, 주형 내에서 대향하는 장변 간의 거리로서 계측되는 주형 두께의 최대치(m),
H0=용강 표면으로부터 전자 브레이크 코일 중심까지의 연직 방향 거리(m),
HSEN=침지 노즐 저면으로부터 전자 브레이크 코일 중심까지의 연직 방향 거리(m),
v=침지 노즐로부터 토출된 용강의 유속(m/s),
θ=상향을 양으로 하여, 수평선과 이루는 각도로서 구한, 용강의 토출 각도(°).
또,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주형으로서, 수평 단면 형상으로 단변과 장변을 가지는 직사각형 주형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주형으로서 직사각형 주형을 이용하는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강의 유속 v가 0.685m/s~0.799m/s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상승류가 전체에 걸쳐 완만하게 형성되어, 응고 계면을 따른 하강류의 형성을 억제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주형으로서, 수평 단면 형상으로 단변과 장변을 가지며, 또한, 주형 내에서 대향하는 장변 간의 거리를, 장변 중앙에서 장변 양단보다 확장된 퍼넬 주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주형으로서 퍼넬 주형을 이용하는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Dmax/D0가 1.16~1.24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하강류에 의해 개재물이 운반된 경우에도, 그 개재물이 응고 계면에 공급되는 빈도를 저하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 주형으로서 퍼넬 주형을 이용하는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HSEN/H0가 0.161~0.327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상승류가 전체에 걸쳐 완만하게 형성되어, 응고 계면을 따른 하강류의 형성을 억제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 주형으로서 퍼넬 주형을 이용하는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강의 유속 v가 0.441m/s~1.256m/s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주형 내의 용강 유동을 안정시켜, 용강 표면의 변동을 억제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강의 토출 각도 θ가 -45°~-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주형 내의 용강 유동을 안정시켜, 용강 표면의 변동을 억제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침지 노즐의 토출 구멍으로부터 토출되는 토출류에 전자 브레이크를 걸면서, 용강을 주형 내로 공급하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에 있어서, 전자 브레이크의 자속 밀도(B)를, 상기(식 1)의 범위로 하는 구성을 채용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용강의 하강 속도를 억제하여, 강편의 내부 결함을 저감시킨다는, 전자 브레이크의 효과를 향수하면서, 두께가 얇은 주편을 제조하기 위한 주형을 이용하는 경우여도, 전자 브레이크에 기인하는 표면 결함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식 1)에 따라서 전자 브레이크를 적정한 강도로 한다는 매우 간편한 수법으로, 주형의 내부 결함 및 표면 결함의 쌍방을 확실히 저감시켜, 주편의 청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속 주조 장치의 주형 근방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기 위한 평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속 주조 장치의 주형 근방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은 전자 브레이크를 작용시켰을 때의 주형 내의 용강의 유동 상태를 설명하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4는 전자 브레이크를 작용시켰을 때의 주형 내의 용강의 유동 상태를 설명하는 측면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 단면 형상이 대략 사각형인 주형(1)의, 장변 및 단변의 대략 중앙 부근에 침지 노즐(2)을 배치하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형(1)의 장변을 구성하는 장변벽(3)의 외측에는, 침지 노즐(2)의 하단보다 하방되는 높이 위치에, 전자 브레이크 장치(4)를, 주형(1)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 단면 형상으로 단변과 장변을 가지며, 또한, 주형 내에서 대향하는 장변 간 거리를, 장변 중앙(Dmax)에서 장변 양단(D0)보다 확장된 퍼넬 주형을 이용하고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에서는, Dmax=D0인 직사각형 주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Dmax>D0로 함으로써, 용강 표면 부근의 수평 방향의 선회류를 안정시킬 수 있는 것 외에, 용강 표면 부근에서 반전되어 발생하는 하강류로부터 응고 쉘을 멀리함으로써, 개재물 및 기포의 포착 기회를 저감할 수 있다.
침지 노즐(2) 중, 주형(1)의 단변벽(7a, 7b)에 면한 부분에는, 주형(1) 내로 비스듬하게 하향으로 용강을 토출하는 토출 구멍(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침지 노즐(2) 내에는, Ar가스가 취입(吹入)되어 있기 때문에, 토출 구멍(5)으로부터 토출된 토출류(6)에는, Ar가스의 기포나, 알루미나나 슬러그계의 개재물이 포함된다.
이러한 Ar가스의 기포나, 알루미나나 슬러그계의 개재물이, 주형(1) 내에서 충분히 부상 제거되지 않은 채로, 강편의 심부에 침입하여 내부 결함이 되는 현상을 회피하기 위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침지 노즐(2)의 하단부보다 하방되는 높이 위치에, 전자 브레이크 장치(4)를, 주형(1)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하고 있다.
전자 브레이크 장치(4)는, 전자석 등에 의해 구성되어, 침지 노즐(2)의 토출 구멍(5)으로부터 토출된 직후의 토출류(6)에 대해, 주형(1)의 장변벽(3a, 3b)을 따른 주형 폭방향(도 1의 X방향)에 걸쳐 거의 일정한 자속 밀도 분포를 가지는 직류 자계를, 주형(1)의 단변벽(7a, 7b)을 따른 주형 두께 방향(도 1의 Y방향)으로 부여할 수 있다. 이 직류 자계와 토출류에 의해, 도 1의 X방향으로 유도 전류가 발생하고, 이 유도 전류와 상기의 직류 자계에 의해, 토출류(6)의 근방에, 토출류(6)와 역방향의 대향류가 형성되어, 용강의 하강 속도가 억제된다. 이것에 의해, 용강 중에 잔존하는 알루미나 등의 개재물이나 기포가 충분히 부상 제거되지 않은 채로 강편의 심부에 침입하는 현상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 토출류에 전자 브레이크를 작용시킨 경우,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침지 노즐(2)을 따른 상승류가 발생하고, 이 상승류는 용강의 표면 부근에서 반전되어 하강류가 된다. 특히, D0가 400mm 이하 정도의 주형에서는, 이 하강류에 의해 운반되는 개재물이나 기포가, 장변벽(3a, 3b) 상의 응고 쉘(8)과 접촉하여 포착되기 쉬워져, 표면 결함의 요인이 되기 쉬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식 1)에 따라서 전자 브레이크의 자속 밀도를 적정한 강도로 함으로써, 하강류에 의해 운반되는 개재물이나 기포가, 장변벽(3a, 3b) 상의 응고 쉘(8)에 포착되는 현상을 억제 가능하게 했다.
상기 (식 1)은, 발명자의 각종 검토에 의해 유도된 것이며, 상기 (식 1)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의 조합에 의해, 비로소,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서, Bmin은, 전자 브레이크의 자속 밀도의 적정한 강도 범위의 하한치이며, 자속 밀도가 이 하한치를 밑돌면, 개재물이나 기포가 토출류를 타고 하방으로 침입하는 것을 막지 못한다. 또, Bmax는, 전자 브레이크의 자속 밀도의 적정한 강도 범위의 상한치이며, 자속 밀도가 이 상한치를 웃돌면, 침지 노즐(2)을 따른 상승류가 너무 강해지기 때문에, 이것에 따라 반전하는 하강류도 강해져, 이 하강류에 의해 운반되는 개재물이나 기포의 응고 쉘(8)과의 접촉 빈도가 높아진다. 그 결과, 표면 결함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 Bmin 및 Bmax는, 주형 내의 유동에 영향을 주는 제인자의 조합에 의해 정의된다.
구체적으로는, 수평 단면 형상으로 단변과 장변을 가지는 주형의, 장변 양단에 있어서, 주형 내에서 대향하는 장변 간의 거리로서 계측되는 주형 두께(D0)와, 수평 단면 형상으로 단변과 장변을 가지는 주형의, 장변 중앙에 있어서, 주형 내에서 대향하는 장변 간의 거리로서 계측되는 주형 두께의 최대치(Dmax)와, 용강 표면으로부터 전자 브레이크 코일 중심까지의 연직 방향 거리(H0)와, 침지 노즐 저면으로부터 전자 브레이크 코일 중심까지의 연직 방향 거리(HSEN)와, 침지 노즐로부터 토출된 용강의 유속(v)과, 용강의 토출 각도(θ)를, 상기 (식 1)을 만족하도록 조합함으로써, 비로소, 주형의 내부 결함 및 표면 결함의 쌍방을 저감시켜, 주편의 청정도를 높일 수 있다.
HSEN의 값이 작아질수록, 전자 브레이크에 의한 토출류로의 제동력이 커지기 때문에, 토출류의 하강 속도가 억제되어,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상승류의 유속이 커진다. 그 결과, 이 상승류가 용강의 표면 부근에서 반전되어 형성되는 하강류의 유속도 커지기 때문에, 이 하강류에 의해 운반되는 개재물이나 기포가, 주형의 장변벽(3a, 3b) 상의 응고 쉘(8)과 접촉하여 포착되어 표면 결함이 될 확률이 높아진다.
한편, HSEN의 값이 커져, H0에 가까워지면, 전자 브레이크의 효과가 약해지는 것 외에, 용강 표면의 변동이 커진다. 그 결과, 몰드 파우더의 유입을 발생시키기 쉬워진다.
또, θ의 값이 커질 수록, 큰 전자 브레이크에 의한 제동력이 필요해져, 상승류도 커지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식 1)의 각 변수의 증감은, 각각 상이한 작용을 나타내기 때문에, 종래, 이들을 조합하여 구성되는 연속 주조 설비에 있어서, 주형 사이즈나 주조 속도나 침지 노즐 등을 변경할 때마다, 전자 브레이크의 최적의 강도를 결정하는 것은 곤란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식 1)에 따라서 전자 브레이크를 적정한 강도로 한다는 매우 간편한 수법으로, 주형의 내부 결함 및 표면 결함의 쌍방을 확실히 저감시켜, 주편의 청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주형이, Dmax=D0인 직사각형 주형인 경우, 침지 노즐로부터 토출되는 용강의 유속 v은, 0.685m/s~0.799m/s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강 유속 v가 0.685m/s 이상임으로써, 개재물의 응고 계면으로의 포착을 억제하기 위한 용강 유동을 얻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 용강 유속 v가 0.799m/s 이하임으로써, 용강 표면의 변동을 억제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주형이 퍼넬 주형인 경우, Dmax/D0는, 1.16~1.24인 것이 바람직하다. Dmax/D0가 1.16 이상임으로써, 상승류가 전체에 걸쳐 완만하게 형성되어, 응고 계면을 따른 하강류의 형성을 억제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 Dmax/D0가 1.24 이하임으로써, 주형 내로부터 응고각(殼)을 빼낼 때의 저항을 작게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주형이 퍼넬 주형인 경우, 상기의 효과를 현저하게 한다는 관점에서, Dmax/D0는, 1.18~1.2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주형이 퍼넬 주형인 경우, HSEN/H0는, 0.161~0.327인 것이 바람직하다. HSEN/H0가 0.161 이상임으로써, 용강 표면으로의 열공급을 안정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 HSEN/H0가 0.327 이하임으로써, 용강 표면의 변동을 억제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주형이 퍼넬 주형인 경우, 상기의 효과를 현저하게 한다는 관점에서, HSEN/H0는, 0.15~0.3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주형이 퍼넬 주형인 경우, 침지 노즐로부터 토출되는 용강의 유속 v은, 0.441m/s~1.256m/s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강 유속 v가 0.441m/s 이상임으로써, 개재물의 포착을 억제하는 용강 유동이 얻어짐과 함께, 용강 표면으로의 열공급이 용이해진다. 또, 용강 유속 v가 1.256m/s 이하임으로써, 용강 표면의 변동을 억제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주형이 퍼넬 주형인 경우, 상기의 효과를 현저하게 한다는 관점에서, 용강 유속 v은, 0.500m/s~1.100m/s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주형이 퍼넬 주형인 경우, 용강의 토출 각도 θ는, -45°~-5°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강의 토출 각도 θ가 -45° 이상임으로써, 용강 표면으로의 열공급이 용이해진다. 또, 용강의 토출 각도 θ가 -5° 이하임으로써, 용강 표면의 변동의 억제가 용이해진다. 주형이 퍼넬 주형인 경우, 상기의 효과를 현저하게 한다는 관점에서, 용강의 토출 각도 θ는, -45°~-1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실시예]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각 조건의 주조 조건으로 강의 연속 주조를 행하고, 제조된 코일의 품질을 평가했다. 코일의 품질 평가는, 구체적으로는, 각 50개 이상의 코일에 관하여, 육안 검사에 의해 슬리버 흠(疵)을 카운트하고, 그 흠 개수에 따라, ◎(흠 개수≤0.5개/코일), ○(0.5개/코일<흠 개수≤1.0/코일), ×(흠 개수>1.0개/코일)의 각 평가를 부여했다.
Figure pct00004
실시예 1, 2, 4, 5, 6, 7, 8, 9, 11, 13, 14, 15, 18, 20, 21, 23, 24는, 전자 브레이크 자속 밀도가 적정 범위 내이며, 또한, 퍼넬 주형을 이용한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브레이크 자속 밀도가 적정 범위 내이며, 또한 퍼넬 주형을 이용한 경우에는, 그 외의 주조 조건(주조 속도, 주조 폭, 퍼넬부의 팽창 두께 및 침지 노즐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모두, 매우 양호 ◎한 코일 품질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 26은, 모두, 전자 브레이크 자속 밀도가 적정 범위 내이지만, 퍼넬부가 없는 직사각형 주형을 사용한 것이다. 이 조건 하에 있어서의 코일 품질은 양호 ○였다.
실시예 10, 17, 19, 27은, 모두, 퍼넬 주형을 사용하며, 또한, 전자 브레이크 자속 밀도를 적정 범위 내로 하면서, 주조 속도를 낮게 한 예이다. 이 조건 하에 있어서의 코일 품질은 모두 양호 ○였다.
실시예 22는, 퍼넬 주형을 사용하며, 또한, 전자 브레이크 자속 밀도를 적정 범위 내로 하면서, 주조 속도를 빠르게 한 예이다. 이 조건 하에 있어서의 코일 품질은 양호 ○였다.
실시예 25는, 퍼넬 주형을 사용하며, 또한, 전자 브레이크 자속 밀도를 적정 범위 내로 하면서, 토출 각도를 얕게(-5°) 한 예이다. 이 조건 하에 있어서의 코일 품질은 양호 ○였다.
비교예 1~10은, 모두 전자 브레이크 자속 밀도가 적정 범위 내에 없는 것이다. 이 조건 하에 있어서의 코일 품질은 모두 불량 ×이었다.
비교예 7, 8과, 실시예 12~16은, 전자 브레이크 자속 밀도 이외의 다른 조건을 통일시키고, 상기 (식 1)에 의한 전자 브레이크 자속 밀도의 적정 범위가 657~4795(Gauss)인 예이다.
실시예 13~15는, 전자 브레이크 자속 밀도가, 적정 범위이며, 상한치 및 하한치 중 어느 쪽으로부터도 멀어진 것이며, 모두, 매우 양호 ◎한 코일 품질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7은, 전자 브레이크 자속 밀도가 적정 하한치보다 24% 작고, 비교예 8은, 전자 브레이크 자속 밀도가 적정 상한치보다 4% 컸다. 이들은, 모두 코일 품질이 불량 ×이었다.
퍼넬 주형을 사용한 실시예 12는, 전자 브레이크 자속 밀도를, 적정 범위 내이지만, 실시예 13~15에 있어서의 전자 브레이크 자속 밀도와 비교하면, 하한치 가까이로 한 예이다. 이 조건 하에 있어서의 코일 품질은 양호 ○였다.
퍼넬 주형을 사용한 실시예 16은, 전자 브레이크 자속 밀도를, 적정 범위 내이지만, 실시예 13~15에 있어서의 전자 브레이크 자속 밀도와 비교하면, 상한치 가까이로 한 예이다. 이 조건 하에 있어서의 코일 품질은 양호 ○였다.
1 주형 2 침지 노즐
3, 3a, 3b 장변벽 4 전자 브레이크 장치
5 토출 구멍 6 토출류
7a, 7b 단변벽 8 응고 쉘
9 전자 브레이크 코일 중심

Claims (8)

  1. 침지 노즐의 토출 구멍으로부터 토출되는 토출류에 전자 브레이크를 걸면서, 주형 내로 용강을 공급하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으로서,
    전자 브레이크의 자속 밀도(B)를, 하기 (식 1)의 범위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
    Figure pct00005

    D0=수평 단면 형상으로 단변과 장변을 가지는 주형의, 장변 양단에 있어서, 주형 내에서 대향하는 장변 간의 거리로서 계측되는 주형 두께(m),
    Dmax=수평 단면 형상으로 단변과 장변을 가지는 주형의, 장변 중앙에 있어서, 주형 내에서 대향하는 장변 간의 거리로서 계측되는 주형 두께의 최대치(m),
    H0=용강 표면으로부터 전자 브레이크 코일 중심까지의 연직 방향 거리(m),
    HSEN=침지 노즐 저면으로부터 전자 브레이크 코일 중심까지의 연직 방향 거리(m),
    v=침지 노즐로부터 토출된 용강의 유속(m/s),
    θ=용강의 토출 각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형으로서, 수평 단면 형상으로 단변과 장변을 가지는 직사각형 주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용강의 유속 v가 0.685m/s~0.799m/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형으로서, 수평 단면 형상으로 단변과 장변을 가지며, 또한, 주형 내에서 대향하는 장변 간의 거리를, 장변 중앙에서 장변 양단보다 확장한 퍼넬 주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Dmax/D0가 1.16~1.2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HSEN/H0가 0.161~0.32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
  7.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강의 유속 v가 0.441m/s~1.256m/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
  8.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강의 토출 각도 θ가 -4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
KR1020177016340A 2015-03-31 2016-03-31 강의 연속 주조 방법 KR201700865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72279 2015-03-31
JP2015072279 2015-03-31
PCT/JP2016/060769 WO2016159284A1 (ja) 2015-03-31 2016-03-31 鋼の連続鋳造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3844A Division KR20190016613A (ko) 2015-03-31 2016-03-31 강의 연속 주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6574A true KR20170086574A (ko) 2017-07-26

Family

ID=5700439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3844A KR20190016613A (ko) 2015-03-31 2016-03-31 강의 연속 주조 방법
KR1020177016340A KR20170086574A (ko) 2015-03-31 2016-03-31 강의 연속 주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3844A KR20190016613A (ko) 2015-03-31 2016-03-31 강의 연속 주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10259037B2 (ko)
EP (1) EP3278906B1 (ko)
JP (1) JP6428923B2 (ko)
KR (2) KR20190016613A (ko)
CN (1) CN107107175B (ko)
BR (1) BR112017013367A2 (ko)
CA (1) CA2971130C (ko)
TW (1) TWI590892B (ko)
WO (1) WO20161592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6613A (ko) 2015-03-31 2019-02-18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강의 연속 주조 방법
WO2018159821A1 (ja) * 2017-03-03 2018-09-07 日新製鋼株式会社 連続鋳造方法および連続鋳造装置
KR102324300B1 (ko) * 2017-04-25 2021-11-09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강의 연속 주조 방법
TW202000340A (zh) * 2018-06-07 2020-01-01 日商日本製鐵股份有限公司 薄平板鑄造中的鑄模內流動控制裝置及鑄模內流動控制方法
CN112643007B (zh) * 2020-11-23 2022-05-20 首钢集团有限公司 一种减少含铝钢铸坯表层大尺寸夹杂物的连铸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5800A (en) 1975-10-07 1977-04-11 Hitachi Koki Kk Fastening tool
JPS5659565A (en) * 1979-10-22 1981-05-23 Nippon Kokan Kk <Nkk> Mold for continuous casting
JPH06142865A (ja) * 1992-11-10 1994-05-24 Nippon Steel Corp 直流磁場による鋳型内流動の制御方法
JPH06262314A (ja) * 1993-03-16 1994-09-20 Nisshin Steel Co Ltd 連鋳鋳型内溶鋼の流動制御方法
DE4403050C1 (de) * 1994-01-28 1995-09-28 Mannesmann Ag Stranggießkokille zum Führen von Strängen
JP3316108B2 (ja) * 1994-07-14 2002-08-19 川崎製鉄株式会社 鋼の連続鋳造方法
JPH0852544A (ja) * 1994-08-10 1996-02-27 Nippon Steel Corp 無欠陥鋳片の製造方法
JPH09277001A (ja) * 1996-04-19 1997-10-28 Nippon Steel Corp ステンレス鋼鋳片の連続鋳造方法
WO2001066282A1 (fr) * 2000-03-09 2001-09-13 Kawasaki Steel Corporation Procede de production pour le coulage continu de billette fondue
JP4543562B2 (ja) 2001-02-20 2010-09-1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溶鋼の連続鋳造方法
JP4746398B2 (ja) * 2005-10-11 2011-08-10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鋼の連続鋳造方法
JP4724606B2 (ja) * 2006-06-05 2011-07-13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溶鋼の連続鋳造方法
JP2008183597A (ja) 2007-01-31 2008-08-14 Jfe Steel Kk 鋼の連続鋳造方法及び鋼板の製造方法
JP5014934B2 (ja) * 2007-09-13 2012-08-29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鋼の連続鋳造方法
JP5245800B2 (ja) 2008-06-30 2013-07-2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連続鋳造用鋳型及び鋼の連続鋳造方法
CA2844450C (en) 2011-11-09 2017-08-15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Continuous casting apparatus for steel
KR20190016613A (ko) 2015-03-31 2019-02-18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강의 연속 주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613A (ko) 2019-02-18
TW201641186A (zh) 2016-12-01
CA2971130A1 (en) 2016-10-06
EP3278906B1 (en) 2020-04-29
US20180009026A1 (en) 2018-01-11
EP3278906A1 (en) 2018-02-07
WO2016159284A1 (ja) 2016-10-06
US20190151937A1 (en) 2019-05-23
EP3278906A4 (en) 2018-12-05
CN107107175B (zh) 2020-03-24
BR112017013367A2 (pt) 2018-01-09
CA2971130C (en) 2019-08-13
JP6428923B2 (ja) 2018-11-28
JPWO2016159284A1 (ja) 2017-09-14
US10259037B2 (en) 2019-04-16
US10512970B2 (en) 2019-12-24
CN107107175A (zh) 2017-08-29
TWI590892B (zh) 2017-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86574A (ko) 강의 연속 주조 방법
EP2361703B1 (en) Device for continuously casting steel
CN106536087A (zh) 用于薄扁坯连铸的方法和设备
TWI693978B (zh) 鑄模設備
TW202003134A (zh) 用於鋼之薄板鑄造的連續鑄造用設備及連續鑄造方法
JP3593328B2 (ja) 溶鋼の鋳型内流動制御方法並びにそのための電磁場形成装置
JP3566904B2 (ja) 鋼の連続鋳造方法
JPH0810917A (ja) 溶融金属の連続鋳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7211197B2 (ja) 連続鋳造方法
JP5825215B2 (ja) 鋼の連続鋳造方法
JP2010240686A (ja) 溶鋼の鋳型内流動制御方法
JP6904132B2 (ja) 連続鋳造用タンディッシュ
JP6287901B2 (ja) 鋼の連続鋳造方法
JP2022165468A (ja) 炭素鋼鋳片の連続鋳造方法
JP3186649B2 (ja) 溶融金属の連続鋳造方法
JP2002336943A (ja) 連続鋳造方法
JP5359653B2 (ja) 鋼の連続鋳造方法
JPH11320054A (ja) 連続鋳造機および連続鋳造方法
JP2004202584A (ja) 高品質鋳片の連続鋳造方法
JPH0596350A (ja) 静磁場通電法を用いた鋼の連続鋳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046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208

Effective date: 20200525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