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4300B1 - 강의 연속 주조 방법 - Google Patents

강의 연속 주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4300B1
KR102324300B1 KR1020197030941A KR20197030941A KR102324300B1 KR 102324300 B1 KR102324300 B1 KR 102324300B1 KR 1020197030941 A KR1020197030941 A KR 1020197030941A KR 20197030941 A KR20197030941 A KR 20197030941A KR 102324300 B1 KR102324300 B1 KR 102324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agnetic field
molten steel
less
alternating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0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7894A (ko
Inventor
아키토시 마츠이
히로카즈 곤도
나오키 기쿠치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27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7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1Treating the molten metal
    • B22D11/114Treating the molten metal by using agitating or vibrating means
    • B22D11/115Treating the molten metal by using agitating or vibrating means by using magnetic f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03Distributing the molten metal, e.g. using runners, floats, distribu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using magnetic f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18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 B22D11/181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responsive to molten metal level or slag level
    • B22D11/18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responsive to molten metal level or slag level by using electric, magnetic, sonic or ultrasonic means

Abstract

교류 자장을 주형 내 용강에 인가하여 주형 내 용강에 선회 교반류를 발생시키는 연속 주조 방법에 있어서, 침지 노즐의 침지 깊이 및 주형 내 용강 탕면으로부터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까지의 거리에 따른 적절한 교류 자속 밀도를 부여하여, 고품질인 주편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강의 연속 주조 방법은, 1 쌍의 주형 장변의 배면에 서로 마주하여 설치된 교류 자장 발생 장치를 통하여 주형 내 용강에 교류 자장을 인가하고, 주형 내 용강에 수평 방향의 선회 교반류를 발생시키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으로서, 서로 마주하는 상기 주형 장변끼리의 간격을 200 ∼ 300 ㎜ 로 하고, 2 개의 토출공을 갖는 침지 노즐의 상기 토출공의 토출 각도를 하향 5°내지 하향 50°의 범위로 하고, 상기 교류 자장의 주파수를 0.5 ㎐ 이상 3.0 ㎐ 이하로 하고, 또한, 상기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에 따라, 상기 침지 노즐의 침지 깊이 및 상기 교류 자장 발생 장치에 의한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의 자속 밀도를, 소정의 범위로 제어한다.

Description

강의 연속 주조 방법
본 발명은, 주형 내의 용강에 교류 자장을 인가하고, 교류 자장에 의해 주형 내의 용강 유동을 제어하면서 용강을 연속 주조하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용 강판, 캔용 강판, 고기능 후강판 (厚鋼板) 등의 고급 강판 제품의 품질 요구가 엄격화되고 있고, 연속 주조로 제조된 슬래브 주편 (鑄片) 의 단계에서 고품질일 것이 요망되고 있다. 슬래브 주편 (이하, 간단히「주편」이라고도 기재한다) 에 요구되는 품질 중 하나로서, 주편의 표층 및 내부에서 산화물계 비금속 개재물 (이하, 간단히「개재물」이라고 기재한다) 이 적은 것을 들 수 있다.
주편의 표층 및 내부에 포착되는 개재물로는, (1) 알루미늄 등에 의한 용강의 탈산 공정에서 생성되어, 용강 중에 현탁되어 있는 탈산 생성물, (2) 턴디시나 침지 노즐에서 용강 내로 취입되는 아르곤 가스의 기포, (3) 주형 내 용강 탕면 상에 산포한 몰드 파우더가 용강 중에 혼입되어 현탁된 것 등이 있다. 이것들은 모두 제품 단계에서 표면 결함이나 내부 결함이 되므로, 주편의 표층 및 내부에 포착되는 개재물을 적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 개재물에 의한 제품 결함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강 중의 탈산 생성물, 몰드 파우더 및 아르곤 기포가 응고 쉘에 포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주형 내에서 용강에 자장을 인가하고, 자장에 의한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용강의 유동을 제어하는 것이 실시되고 있다. 이 기술에 관해서 수많은 제안이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주형 내 용강에 침지시킨 침지 노즐로부터의 토출류에 교류 자장을 인가하고, 주형 내 용강 탕면의 용강 유속이 개재물 부착 임계 유속 이상이고, 또한, 몰드 파우더 혼입 임계 유속 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상기 토출류에 제동력 또는 수평 방향의 회전력을 부여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에는, 교류 자장 발생 장치의 상단을 주형 내 용강 탕면의 20 ∼ 60 ㎜ 하방에 위치시키고, 하향 1 ∼ 30°의 침지 노즐을 사용하여, 침지 노즐로부터의 토출류가 교류 자장 발생 장치의 중심으로부터 하방 450 ㎜ 까지의 범위의 응고 쉘에 충돌하도록 제어하여, 용강을 연속 주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3 에는, 교류 자장 발생 장치에 의해 주형 내 용강에 주형 폭 방향의 선회 교반류를 부여할 때에, 침지 노즐의 토출구에 있어서의 자속 밀도가 교류 자장 발생 장치의 최대 자속 밀도의 50 % 이하가 되는 위치에 상기 토출구를 설치하여, 용강을 연속 주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32044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0260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047201호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는 이하의 문제점이 있다.
즉, 특허문헌 1 은, 주형 내 용강 탕면에 있어서의 용강 유속의 값에 따라, 침지 노즐로부터의 토출류에 제동력 또는 수평 방향의 교반력을 부여하여 유동 제어를 실시하는 방법이고, 따라서, 주형 내 용강 탕면에 있어서의 용강 유속을 측정 또는 모니터링하기 위한 어떠한 설비가 필요해진다. 또, 주형 배면에 설치되는 교류 자장 발생 장치의 설치 위치를 변경한 경우에는, 임계 유속 예측식의 정밀도가 악화된다는 염려가 있어, 주형 배면의 어떠한 위치에 설치한 교류 자장 발생 장치에도 대응한 기술이라고는 하기 어렵다.
특허문헌 2 는, 침지 노즐로부터의 토출류가 충돌하는 위치에 주목한 기술이지만, 교류 자장 발생 장치가 주형 내 용강 탕면의 근방에 설치되는 경우에 한정되어, 교류 자장 발생 장치가 주형 내 용강 탕면보다 비교적 하방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대응할 수 없다.
특허문헌 3 도, 특허문헌 2 와 마찬가지로, 교류 자장 발생 장치가 주형 내 용강 탕면의 근방에 설치되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이다. 또, 최대 자속 밀도의 50 % 이하의 위치에 침지 노즐의 토출구를 설치한다고 하고 있지만, 이 경우, 교류 자장 발생 장치보다 하방에 침지 노즐로부터의 토출류가 향하기 때문에, 개재물 등이 교류 자장 발생 장치의 하방으로 잠입하여, 주편의 내부 결함의 요인이 될 가능성이 염려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주형 장변을 사이에 두고 설치된 교류 자장 발생 장치로부터 교류 자장을 주형 내 용강에 인가하여 주형 내 용강에 선회 교반류를 발생시키는 연속 주조 방법에 있어서, 주형 내 용강 탕면으로부터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까지의 거리 및 침지 노즐의 침지 깊이에 따른 적절한 교류 자속 밀도를 부여하고, 이로써, 고품질인 주편을 제조 가능하게 하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요지는 이하와 같다.
[1] 1 쌍의 주형 장변과 1 쌍의 주형 단변을 갖고, 사각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연속 주조용 주형에 용강을 주입하면서, 상기 용강이 응고되어 생성된 응고 쉘을 상기 주형으로부터 인발하여 주편을 제조하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으로서,
상기 1 쌍의 주형 장변의 배면에, 그 주형 장변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여 설치된 교류 자장 발생 장치를 통하여 주형 내 용강에 교류 자장을 인가하고, 그 교류 자장에 의해 주형 내 용강에 수평 방향의 선회 교반류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하고,
서로 마주하는 상기 주형 장변끼리의 간격을 200 ∼ 300 ㎜ 로 하고,
상기 내부 공간에 용강을 주입하기 위한 2 개의 토출공을 갖는 침지 노즐의 상기 토출공의 토출 각도를 하향 5°내지 하향 50°의 범위로 하고,
상기 교류 자장의 주파수를 0.5 ㎐ 이상 3.0 ㎐ 이하로 하고,
주형 내 용강 탕면으로부터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까지의 거리를 200 ㎜ 이상 300 ㎜ 미만으로 하고,
상기 침지 노즐의 침지 깊이 (주형 내 용강 탕면으로부터 침지 노즐의 토출공의 상단까지의 거리) 를 100 ㎜ 이상 200 ㎜ 미만으로 하고, 또한,
상기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의 자속 밀도를 0.040 T 이상 0.060 T 미만으로 하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
[2] 1 쌍의 주형 장변과 1 쌍의 주형 단변을 갖고, 사각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연속 주조용 주형에 용강을 주입하면서, 상기 용강이 응고되어 생성된 응고 쉘을 상기 주형으로부터 인발하여 주편을 제조하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으로서,
상기 1 쌍의 주형 장변의 배면에, 그 주형 장변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여 설치된 교류 자장 발생 장치를 통하여 주형 내 용강에 교류 자장을 인가하고, 그 교류 자장에 의해 주형 내 용강에 수평 방향의 선회 교반류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하고,
서로 마주하는 상기 주형 장변끼리의 간격을 200 ∼ 300 ㎜ 로 하고,
상기 내부 공간에 용강을 주입하기 위한 2 개의 토출공을 갖는 침지 노즐의 상기 토출공의 토출 각도를 하향 5°내지 하향 50°의 범위로 하고,
상기 교류 자장의 주파수를 0.5 ㎐ 이상 3.0 ㎐ 이하로 하고,
주형 내 용강 탕면으로부터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까지의 거리를 300 ㎜ 이상 400 ㎜ 미만으로 하고,
상기 침지 노즐의 침지 깊이 (주형 내 용강 탕면으로부터 침지 노즐의 토출공의 상단까지의 거리) 를 100 ㎜ 이상 300 ㎜ 미만으로 하고, 또한,
상기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의 자속 밀도를 0.060 T 이상 0.080 T 미만으로 하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
[3] 1 쌍의 주형 장변과 1 쌍의 주형 단변을 갖고, 사각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연속 주조용 주형에 용강을 주입하면서, 상기 용강이 응고되어 생성된 응고 쉘을 상기 주형으로부터 인발하여 주편을 제조하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으로서,
상기 1 쌍의 주형 장변의 배면에, 그 주형 장변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여 설치된 교류 자장 발생 장치를 통하여 주형 내 용강에 교류 자장을 인가하고, 그 교류 자장에 의해 주형 내 용강에 수평 방향의 선회 교반류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하고,
서로 마주하는 상기 주형 장변끼리의 간격을 200 ∼ 300 ㎜ 로 하고,
상기 내부 공간에 용강을 주입하기 위한 2 개의 토출공을 갖는 침지 노즐의 상기 토출공의 토출 각도를 하향 5°내지 하향 50°의 범위로 하고,
상기 교류 자장의 주파수를 0.5 ㎐ 이상 3.0 ㎐ 이하로 하고,
주형 내 용강 탕면으로부터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까지의 거리를 400 ㎜ 이상 500 ㎜ 미만으로 하고,
상기 침지 노즐의 침지 깊이 (주형 내 용강 탕면으로부터 침지 노즐의 토출공의 상단까지의 거리) 를 100 ㎜ 이상 300 ㎜ 미만으로 하고, 또한,
상기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의 자속 밀도를 0.080 T 이상 0.100 T 미만으로 하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
[4] 1 쌍의 주형 장변과 1 쌍의 주형 단변을 갖고, 사각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연속 주조용 주형에 용강을 주입하면서, 상기 용강이 응고되어 생성된 응고 쉘을 상기 주형으로부터 인발하여 주편을 제조하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으로서,
상기 1 쌍의 주형 장변의 배면에, 그 주형 장변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여 설치된 교류 자장 발생 장치를 통하여 주형 내 용강에 교류 자장을 인가하고, 그 교류 자장에 의해 주형 내 용강에 수평 방향의 선회 교반류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하고,
서로 마주하는 상기 주형 장변끼리의 간격을 200 ∼ 300 ㎜ 로 하고,
상기 내부 공간에 용강을 주입하기 위한 2 개의 토출공을 갖는 침지 노즐의 상기 토출공의 토출 각도를 하향 5°내지 하향 50°의 범위로 하고,
상기 교류 자장의 주파수를 0.5 ㎐ 이상 3.0 ㎐ 이하로 하고,
상기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에 따라, 상기 침지 노즐의 침지 깊이 (주형 내 용강 탕면으로부터 침지 노즐의 토출공의 상단까지의 거리) 및 상기 교류 자장 발생 장치에 의한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의 자속 밀도를, 하기의 조건 (A), 조건 (B), 조건 (C) 의 3 종 중 어느 하나를 만족시키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
조건 (A) ; 주형 내 용강 탕면으로부터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까지의 거리가 200 ㎜ 이상 300 ㎜ 미만일 때에는, 상기 침지 노즐의 침지 깊이를 100 ㎜ 이상 200 ㎜ 미만으로 하고, 또한,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의 자속 밀도를 0.040 T 이상 0.060 T 미만으로 한다.
조건 (B) ; 주형 내 용강 탕면으로부터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까지의 거리가 300 ㎜ 이상 400 ㎜ 미만일 때에는, 상기 침지 노즐의 침지 깊이를 100 ㎜ 이상 300 ㎜ 미만으로 하고, 또한,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의 자속 밀도를 0.060 T 이상 0.080 T 미만으로 한다.
조건 (C) ; 주형 내 용강 탕면으로부터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까지의 거리가 400 ㎜ 이상 500 ㎜ 미만일 때에는, 상기 침지 노즐의 침지 깊이를 100 ㎜ 이상 300 ㎜ 미만으로 하고, 또한,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의 자속 밀도를 0.080 T 이상 0.100 T 미만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형 내 용강 탕면으로부터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까지의 거리 및 침지 노즐의 침지 깊이에 따른 적절한 자속 밀도의 교류 자장을 인가하여 주형 내 용강에 선회 교반류를 부여하기 때문에, 탈산 생성물, 아르곤 가스 기포, 몰드 파우더의 응고 쉘에 대한 포착이 억제되고, 용이하게 고품질의 주편을 제조하는 것이 실현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슬래브 연속 주조기의 주형 부위의 개략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침지 노즐의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주형 내의 용강에 교류 자장을 인가하고, 교류 자장에 의해 주형 내의 용강에 수평 방향의 선회 교반류를 발생시키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에 있어서의 주형 내의 용강 유동 상황에 대해, 저융점 합금 장치를 사용하여 시험 및 조사를 실시하였다. 시험에서는, 1 쌍의 주형 장변과 1 쌍의 주형 단변을 갖고, 사각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주형을 사용하여, 내부 공간의 중심부에, 2 개의 토출공을 갖는 침지 노즐 (이하,「2 공식 (孔式) 침지 노즐」이라고도 기재한다) 을 설치하고, 각각의 토출공으로부터 주형 단변을 향하여 용강의 토출류를 토출시킨 상태를 모의하고, 특히,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 및 침지 노즐의 침지 깊이를 변화시킨 경우의 주형 내의 용강 유동 상황에 대해 시험하였다.
여기서,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란, 주형의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주형 내벽면에 있어서의 교류 자장의 자속 밀도 중에서, 내벽면에 직교하는 성분의, 시간 주기당 제곱 평균 제곱근치 최대치가 내벽면을 따라 최대가 되는 위치이다. 또, 침지 노즐의 침지 깊이는, 주형 내 용강 탕면 (「메니스커스」라고도 한다) 으로부터 침지 노즐의 토출공의 상단까지의 거리로 정의한다.
시험에서는, 주형 장변 배면에 서로 마주하여 설치한 교류 자장 발생 장치의 설치 위치 및 침지 노즐의 설치 위치 요컨대 침지 깊이를 변경하고, 그 때의 저융점 합금의 주형 내의 유동 상황 및 주형 내의 유속 분포 등을 수치 계산 및 실기 1/4 사이즈의 저융점 합금 장치를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저융점 합금으로는, Bi-Pb-Sn-Cd 합금 (융점 ; 70 ℃) 을 사용하였다.
조사의 결과,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 및 침지 노즐의 침지 깊이에 따라, 교류 자장의 자속 밀도의 적절한 인가 범위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 및 침지 노즐의 침지 깊이에 의해, 교류 자장의 인가 조건은, 조건 (A) ∼ (C) 의 3 종류의 패턴으로 크게 나눌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조사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는, 주형 내 용강 탕면으로부터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까지의 거리로 정의한다.
Figure 112019107008527-pct00001
1 ; 조건 (A)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가 주형 내 용강 탕면으로부터 200 ㎜ 이상 300 ㎜ 미만인 경우에는, 2 공식 침지 노즐의 침지 깊이를 100 ㎜ 이상 200 ㎜ 미만으로 한 후,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에 있어서의 자속 밀도를 0.040 T 이상 0.060 T 미만으로 한다.
또한, 자속 밀도는, 주형 구리판 중, 그 배후에 교류 자장 발생 장치가 배치 형성되어 있는 주형 구리판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평면으로부터, 당해 평면의 법선 방향을 따라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평면으로부터 15 ㎜ 떨어진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법선 방향의 자속 밀도 중, 주편 인발 방향을 따른 상기 자속 밀도의 피크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자속 밀도의 실효치 (제곱 평균 제곱근치 ; Root Mean Square) 를, 주형 폭 방향으로 임의의 피치로 측정한 값의 산술 평균치로 정의한다. 주형 폭 방향의 측정 피치는, 자속 밀도의 공간 프로파일의 대표성을 충분히 표현할 수 있는 정도의 것이면 된다고 생각된다.
자속 밀도가 0.040 T 미만인 경우에는, 선회 교반력이 약하기 때문에, 아르곤 가스 기포나 탈산 생성물의 응고 쉘로부터의 세정 효과를 발휘하기 어렵다. 한편, 자속 밀도가 0.060 T 이상인 경우에는, 선회 교반력이 지나치게 강하기 때문에, 몰드 파우더의 혼입을 조장한다.
침지 노즐의 침지 깊이가 100 ㎜ 미만인 경우에는, 주형 내 용강 탕면과 토출류의 거리가 지나치게 가깝기 때문에, 주형 내에서 탕면 변동을 조장하기 쉽다. 침지 깊이가 200 ㎜ 이상인 경우에는, 침지 노즐 본체 바디부가 길어지기 때문에 내화물 비용이 증대되는 것이나, 내열성·내하중성의 관점에서도 침지 노즐이 손상되기 쉬워져, 오히려 조업 비용이 증대될 것이 염려된다.
2 ; 조건 (B)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가 주형 내 용강 탕면으로부터 300 ㎜ 이상 400 ㎜ 미만인 경우에는, 2 공식 침지 노즐의 침지 깊이를 100 ㎜ 이상 300 ㎜ 미만으로 한 후,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에 있어서의 자속 밀도를 0.060 T 이상 0.080 T 미만으로 한다.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가, 조건 (A) 와 비교하여, 주형 내 용강 탕면으로부터 깊은 위치가 되므로, 조건 (A) 보다 강한 자속 밀도가 필요해진다. 요컨대, 자속 밀도가 0.060 T 미만인 경우에는, 선회 교반력이 약하기 때문에, 아르곤 가스 기포나 탈산 생성물의 응고 쉘로부터의 세정 효과를 발휘하기 어렵다. 한편, 자속 밀도가 0.080 T 이상인 경우에는, 선회 교반력이 지나치게 강하기 때문에, 몰드 파우더의 혼입을 조장한다.
침지 노즐의 침지 깊이가 100 ㎜ 미만인 경우에는, 주형 내 용강 탕면과 토출류의 거리가 지나치게 가깝기 때문에, 주형 내에서 탕면 변동을 조장하기 쉽다. 침지 깊이가 300 ㎜ 이상인 경우에는, 침지 노즐 본체 바디부가 길어지기 때문에 내화물 비용이 증대되는 것이나, 내열성·내하중성의 관점에서도 침지 노즐이 손상되기 쉬워져, 오히려 조업 비용이 증대될 것이 염려된다.
3 ; 조건 (C)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가 주형 내 용강 탕면으로부터 400 ㎜ 이상 500 ㎜ 미만인 경우에는, 2 공식 침지 노즐의 침지 깊이를 100 ㎜ 이상 300 ㎜ 미만으로 한 후,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에 있어서의 자속 밀도를 0.080 T 이상 0.100 T 미만으로 한다.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가, 조건 (A) 및 조건 (B) 보다 더욱 주형 내 용강 탕면으로부터 깊은 위치가 되므로, 한층 더 강한 자속 밀도가 필요해진다. 요컨대, 자속 밀도가 0.080 T 미만인 경우에는, 선회 교반력이 약하기 때문에, 아르곤 가스 기포나 탈산 생성물의 응고 쉘에 대한 세정 효과를 발휘하기 어렵다. 한편, 자속 밀도가 0.100 T 이상인 경우에는, 선회 교반력이 지나치게 강하기 때문에, 몰드 파우더의 혼입을 조장한다.
침지 노즐의 침지 깊이가 100 ㎜ 미만인 경우에는, 주형 내 용강 탕면과 토출류의 거리가 지나치게 가깝기 때문에, 주형 내에서 탕면 변동을 조장하기 쉽다. 침지 깊이가 300 ㎜ 이상인 경우에는, 침지 노즐 본체 바디부가 길어지기 때문에 내화물 비용이 증대되는 것이나, 내열성·내하중성의 관점에서도 침지 노즐이 손상되기 쉬워져, 오히려 조업 비용이 증대될 것이 염려된다.
조건 (A) ∼ (C) 에 있어서, 사용하는 침지 노즐의 토출 각도는, 하향 5°내지 하향 50°의 범위로 한다. 토출 각도가 하향 5°보다 작은 경우에는, 교류 자장을 토출류에 충분히 작용시킬 수 없다. 한편, 토출 각도가 하향 50°보다 큰 경우에는, 토출류의 하향 흐름이 지나치게 강해지기 때문에, 탈산 생성물이나 가스 기포가 주조 방향의 깊은 위치로 잠입하고, 내부 결함이 되어 강판의 성형 가공시에 균열의 기점이 될 염려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는, 주형 내 용강 탕면으로부터 200 ㎜ 이상 500 ㎜ 미만으로 한다.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를 주형 내 용강 탕면으로부터 200 ㎜ 미만으로 한 경우에는, 침지 노즐로부터의 토출류에 교류 자장을 작용시키기 위해서는, 침지 노즐의 침지 깊이를 교류 자장 피크 위치보다 얕은 위치로 해야 하여, 조업상의 제약이 발생하고, 교류 자장의 효율적인 인가를 할 수 없다. 또,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를 주형 내 용강 탕면으로부터 500 ㎜ 이상 떨어진 위치로 한 경우에는, 응고 쉘이 성장한 영역에서 선회 교반류를 부여하게 되어, 탈산 생성물이나 아르곤 가스 기포의 응고 쉘에 대한 세정 효과가 부족해진다.
교류 자장의 주파수는, 0.5 ∼ 3.0 ㎐ 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1.0 ∼ 2.0 ㎐ 로 한다. 주파수가 0.5 ㎐ 미만에서는, 교류 자장에 의한 전자기력의 부여가 지나치게 간헐적이 되어, 탈산 생성물이나 아르곤 가스 기포의 응고 쉘에 대한 세정 효과가 안정되지 않는다. 한편, 주파수가 3.0 ㎐ 를 초과하면, 주형이나 응고 쉘에 의한 자속 밀도의 감쇠가 커져, 주형 내 용강에 효율적으로 교류 자장을 인가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방법을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슬래브 연속 주조기의 주형 부위의 개략도이고,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침지 노즐의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있어서, 부호 1 은 용강, 2 는 응고 쉘, 3 은 주형 내 용강 탕면, 4 는 토출류, 5 는 주편, 6 은 주형, 7 은 수랭식의 주형 장변, 8 은 수랭식의 주형 단변, 9 는 침지 노즐, 10 은 토출공, 11 은 교류 자장 발생 장치, 12 는 몰드 파우더, θ 는 침지 노즐의 토출 각도이다.
주형 (6) 은, 서로 마주하는 1 쌍의 주형 장변 (7) 과, 이 주형 장변 (7) 에 협지된, 서로 마주하는 1 쌍의 주형 단변 (8) 을 갖고, 1 쌍의 주형 장변 (7) 과 1 쌍의 주형 단변 (8) 으로, 사각형의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주형 장변 (7) 의 배면에는, 주형 장변 (7) 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여 배치된, 1 쌍의 교류 자장 발생 장치 (11) 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서로 마주하는 주형 장변끼리의 간격은 200 ∼ 300 ㎜ 이고, 침지 노즐 (9) 은 2 개의 토출공 (10) 을 갖고, 토출공 (10) 의 토출 각도 (θ) 는 하향 5°내지 하향 50°의 범위이다.
주형 (6) 의 사각형의 내부 공간의 중심부에 침지 노즐 (9) 을 설치하고, 2 개의 토출공 (10) 으로부터, 각각의 토출공 (10) 이 서로 마주하는 주형 단변 (8) 을 향하여 용강 (1) 의 토출류 (4) 를 토출시키고, 주형 (6) 의 내부 공간에 용강 (1) 을 주입한다. 주형 (6) 의 내부 공간에 주입된 용강 (1) 은, 주형 장변 (7) 및 주형 단변 (8) 에 의해 냉각되어, 응고 쉘 (2) 을 형성한다. 그리고, 주형 (6) 의 내부 공간에 소정량의 용강 (1) 이 주입되었다면, 토출공 (10) 을 주형 내의 용강 (1) 에 침지시킨 상태에서 핀치 롤 (도시 생략) 을 구동시켜, 외각 (外殼) 을 응고 쉘 (2) 로 하여 내부에 미응고의 용강 (1) 을 갖는 주편 (5) 의 인발을 개시한다. 인발 개시 후에는 주형 내 용강 탕면 (3) 의 위치를 거의 일정 위치로 제어하면서, 주편 인발 속도를 증속하여 소정의 주편 인발 속도로 한다. 도 1 에서는, 침지 노즐 (9) 의 침지 깊이를「L1」로 표시하고, 또, 주형 내 용강 탕면 (3) 으로부터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까지의 거리를「L2」로 표시하고 있다.
주형 내 용강 탕면 (3) 위에는 몰드 파우더 (12) 를 첨가한다. 몰드 파우더 (12) 는 용융되어, 용강 (1) 의 산화 방지나 응고 쉘 (2) 과 주형 (6) 사이에 흘러들어 윤활제로서의 효과를 발휘한다. 또, 침지 노즐 (9) 을 유하하는 용강 (1) 에는, 용강 중에 현탁하는 탈산 생성물의 침지 노즐 내벽에 대한 부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르곤 가스, 질소 가스 또는 아르곤 가스와 질소 가스의 혼합 가스를 취입한다.
이와 같이 하여 용강 (1) 을 연속 주조할 때에, 교류 자장 발생 장치 (11) 로부터 주형 내의 용강 (1) 에 교류 자장을 인가하고, 주형 내의 용강 (1) 에 수평 방향의 선회 교반류를 발생시킨다. 교류 자장의 주파수는 0.5 ㎐ 이상 3.0 ㎐ 이하로 한다.
교류 자장을 인가하는 경우에, 주형 내 용강 탕면 (3) 으로부터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까지의 거리 (L2) 가 200 ㎜ 이상 300 ㎜ 미만인 경우 (조건 (A)) 에는, 침지 노즐 (9) 의 침지 깊이 (L1) 를 100 ㎜ 이상 200 ㎜ 미만으로 하고, 또한,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의 자속 밀도를 0.040 T 이상 0.060 T 미만으로 한다.
또, 주형 내 용강 탕면 (3) 으로부터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까지의 거리 (L2) 가 300 ㎜ 이상 400 ㎜ 미만인 경우 (조건 (B)) 에는, 침지 노즐 (9) 의 침지 깊이 (L1) 를 100 ㎜ 이상 300 ㎜ 미만으로 하고, 또한,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의 자속 밀도를 0.060 T 이상 0.080 T 미만으로 한다.
또한, 주형 내 용강 탕면 (3) 으로부터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까지의 거리 (L2) 가 400 ㎜ 이상 500 ㎜ 미만인 경우 (조건 (C)) 에는, 침지 노즐 (9) 의 침지 깊이 (L1) 를 100 ㎜ 이상 300 ㎜ 미만으로 하고, 또한,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의 자속 밀도를 0.080 T 이상 0.100 T 미만으로 한다.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에 있어서의 자속 밀도의 조정은, 이하와 같이 하여 실시한다. 즉, 미리, 교류 자장 발생 장치 (11) 에 공급하는 전력과, 주형 (6) 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의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에서의 주형 구리판 표면으로부터 15 ㎜ 떨어진 위치에 있어서의 자속 밀도와의 관계를 측정해 두고,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에 있어서의 자속 밀도가 원하는 자속 밀도가 되도록, 교류 자장 발생 장치 (11) 에 공급하는 전력을 조정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주형 내 용강 탕면 (3) 으로부터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까지의 거리 (L2) 및 침지 노즐의 침지 깊이 (L1) 에 따른 적절한 자속 밀도의 교류 자장을 인가하여 주형 내 용강에 선회 교반류를 부여하기 때문에, 탈산 생성물, 아르곤 가스 기포, 몰드 파우더 (12) 의 응고 쉘 (2) 에 대한 포착이 억제되어, 용이하게 고품질의 슬래브 주편을 제조하는 것이 실현된다.
실시예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주형을 갖는 슬래브 연속 주조기를 사용하여, 침지 노즐의 침지 깊이 (L1) 및 주형 내 용강 탕면으로부터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까지의 거리 (L2) 를 여러 가지 변경하여, 약 300 톤의 알루미늄 킬드 용강을 연속 주조하는 시험을 실시하였다. 슬래브 주편의 두께는 250 ㎜, 폭은 1000 ∼ 2200 ㎜ 이고, 정상 주조역의 용강 주입 유량을 2.0 ∼ 6.5 톤/min (주편 인발 속도로 1.0 ∼ 3.0 m/min) 로 하였다. 또, 교류 자장의 주파수는 1.0 ㎐ 로 하였다.
사용한 침지 노즐은, 토출 각도 (θ) 가 하향 25°의 2 공식 침지 노즐로서, 침지 노즐을 유하하는 용강에 상측 노즐을 통하여 아르곤 가스를 취입하였다. 주조된 슬래브 주편에 대해, 열간 압연, 냉간 압연,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처리를 순차 실시하였다. 이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강판에 있어서의 표면 결함을 온라인 표면 결함 계측 장치로 연속적으로 측정하였다. 측정한 결함의 개관 관찰, SEM 분석 및 ICP 분석을 실시하고, 측정한 결함 중에서 제강성 결함 (탈산 생성물성 결함, 아르곤 가스 기포성 결함, 몰드 파우더성 결함) 을 판별하여,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의 길이 100 m 당 제강성 결함 개수 (제품 결함 지수) 로 평가하였다.
본 발명예에 상당하는 시험 결과를 표 2 에 나타내고, 또, 비교예에 상당하는 시험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9107008527-pct00002
Figure 112019107008527-pct00003
본 발명예 1 ∼ 12 는, 표 1 의 조건 (A) 에 해당하고, 본 발명예 13 ∼ 24 는, 표 1 의 조건 (B) 에 해당하고, 본 발명예 25 ∼ 36 은, 표 1 의 조건 (C) 에 해당한다. 본 발명예 1 ∼ 36 은 모두 제품 결함 지수가 0.21 ∼ 0.34 개/100 m 의 범위로 양호한 결과였다.
한편, 비교예 1 ∼ 24 는,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에 있어서의 자속 밀도가 본 발명의 범위 외의 시험이고, 제품 결함 지수는 0.46 ∼ 0.55 개/100 m 로 열위 (劣位) 였다.
또, 비교예 25 ∼ 32 는, 침지 노즐의 침지 깊이 (L1) 가 본 발명의 범위 외의 시험이고, 이들도 제품 결함 지수는 0.47 ∼ 0.55 개/100 m 로 열위였다. 비교예 25 ∼ 32 는, 주형 내 용강 탕면으로부터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까지의 거리 (L2) 가 표 1 의 조건 (A) 에 해당하는 케이스뿐이지만, 조건 (B) 및 조건 (C) 의 경우에 있어서도, 침지 노즐의 침지 깊이 (L1) 가 본 발명의 범위 외의 조건에서는 제품 결함 지수가 악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재하지 않았지만, 주편의 두께가 200 ∼ 300 ㎜ 인 범위에 있어서는, 본 실시예에서 기재한 것과 동등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 침지 노즐의 형상에 대해서도, 본 실시예에서 기재한 조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토출 각도 (θ) 가 하향 5°내지 하향 50°의 범위이면, 동등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연속 주조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우수한 품질의 슬래브 주편을 주조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1 : 용강
2 : 응고 쉘
3 : 주형 내 용강 탕면
4 : 토출류
5 : 주편
6 : 주형
7 : 주형 장변
8 : 주형 단변
9 : 침지 노즐
10 : 토출공
11 : 교류 자장 발생 장치
12 : 몰드 파우더

Claims (4)

1 쌍의 주형 장변과 1 쌍의 주형 단변을 갖고, 사각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연속 주조용 주형에 용강을 주입하면서, 상기 용강이 응고되어 생성된 응고 쉘을 상기 주형으로부터 인발하여 주편을 제조하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으로서,
상기 1 쌍의 주형 장변의 배면에, 그 주형 장변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여 설치된 교류 자장 발생 장치를 통하여 주형 내 용강에 교류 자장을 인가하고, 그 교류 자장에 의해 주형 내 용강에 수평 방향의 선회 교반류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하고,
서로 마주하는 상기 주형 장변끼리의 간격을 200 ∼ 300 ㎜ 로 하고,
상기 내부 공간에 용강을 주입하기 위한 2 개의 토출공을 갖는 침지 노즐의 상기 토출공의 토출 각도를 하향 5°내지 하향 50°의 범위로 하고,
상기 교류 자장의 주파수를 0.5 ㎐ 이상 3.0 ㎐ 이하로 하고,
상기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에 따라, 상기 침지 노즐의 침지 깊이 (주형 내 용강 탕면으로부터 침지 노즐의 토출공의 상단까지의 거리) 및 상기 교류 자장 발생 장치에 의한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의 자속 밀도를, 하기의 조건 (A), 조건 (B), 조건 (C) 의 3 종 중 어느 하나를 만족시키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
조건 (A) ; 주형 내 용강 탕면으로부터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까지의 거리가 200 ㎜ 이상 300 ㎜ 미만일 때에는, 상기 침지 노즐의 침지 깊이를 100 ㎜ 이상 200 ㎜ 미만으로 하고, 또한,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의 자속 밀도를 0.040 T 이상 0.060 T 미만으로 한다.
조건 (B) ; 주형 내 용강 탕면으로부터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까지의 거리가 300 ㎜ 이상 400 ㎜ 미만일 때에는, 상기 침지 노즐의 침지 깊이를 100 ㎜ 이상 300 ㎜ 미만으로 하고, 또한,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의 자속 밀도를 0.060 T 이상 0.080 T 미만으로 한다.
조건 (C) ; 주형 내 용강 탕면으로부터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까지의 거리가 400 ㎜ 이상 500 ㎜ 미만일 때에는, 상기 침지 노즐의 침지 깊이를 100 ㎜ 이상 300 ㎜ 미만으로 하고, 또한,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의 자속 밀도를 0.080 T 이상 0.100 T 미만으로 한다.
1 쌍의 주형 장변과 1 쌍의 주형 단변을 갖고, 사각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연속 주조용 주형에 용강을 주입하면서, 상기 용강이 응고되어 생성된 응고 쉘을 상기 주형으로부터 인발하여 주편을 제조하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으로서,
상기 1 쌍의 주형 장변의 배면에, 그 주형 장변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여 설치된 교류 자장 발생 장치를 통하여 주형 내 용강에 교류 자장을 인가하고, 그 교류 자장에 의해 주형 내 용강에 수평 방향의 선회 교반류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하고,
서로 마주하는 상기 주형 장변끼리의 간격을 200 ∼ 300 ㎜ 로 하고,
상기 내부 공간에 용강을 주입하기 위한 2 개의 토출공을 갖는 침지 노즐의 상기 토출공의 토출 각도를 하향 5°내지 하향 50°의 범위로 하고,
상기 교류 자장의 주파수를 0.5 ㎐ 이상 3.0 ㎐ 이하로 하고,
주형 내 용강 탕면으로부터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까지의 거리를 200 ㎜ 이상 300 ㎜ 미만으로 하고,
상기 침지 노즐의 침지 깊이 (주형 내 용강 탕면으로부터 침지 노즐의 토출공의 상단까지의 거리) 를 100 ㎜ 이상 200 ㎜ 미만으로 하고, 또한,
상기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의 자속 밀도를 0.040 T 이상 0.060 T 미만으로 하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
1 쌍의 주형 장변과 1 쌍의 주형 단변을 갖고, 사각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연속 주조용 주형에 용강을 주입하면서, 상기 용강이 응고되어 생성된 응고 쉘을 상기 주형으로부터 인발하여 주편을 제조하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으로서,
상기 1 쌍의 주형 장변의 배면에, 그 주형 장변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여 설치된 교류 자장 발생 장치를 통하여 주형 내 용강에 교류 자장을 인가하고, 그 교류 자장에 의해 주형 내 용강에 수평 방향의 선회 교반류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하고,
서로 마주하는 상기 주형 장변끼리의 간격을 200 ∼ 300 ㎜ 로 하고,
상기 내부 공간에 용강을 주입하기 위한 2 개의 토출공을 갖는 침지 노즐의 상기 토출공의 토출 각도를 하향 5°내지 하향 50°의 범위로 하고,
상기 교류 자장의 주파수를 0.5 ㎐ 이상 3.0 ㎐ 이하로 하고,
주형 내 용강 탕면으로부터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까지의 거리를 300 ㎜ 이상 400 ㎜ 미만으로 하고,
상기 침지 노즐의 침지 깊이 (주형 내 용강 탕면으로부터 침지 노즐의 토출공의 상단까지의 거리) 를 100 ㎜ 이상 300 ㎜ 미만으로 하고, 또한,
상기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의 자속 밀도를 0.060 T 이상 0.080 T 미만으로 하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
1 쌍의 주형 장변과 1 쌍의 주형 단변을 갖고, 사각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연속 주조용 주형에 용강을 주입하면서, 상기 용강이 응고되어 생성된 응고 쉘을 상기 주형으로부터 인발하여 주편을 제조하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으로서,
상기 1 쌍의 주형 장변의 배면에, 그 주형 장변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여 설치된 교류 자장 발생 장치를 통하여 주형 내 용강에 교류 자장을 인가하고, 그 교류 자장에 의해 주형 내 용강에 수평 방향의 선회 교반류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하고,
서로 마주하는 상기 주형 장변끼리의 간격을 200 ∼ 300 ㎜ 로 하고,
상기 내부 공간에 용강을 주입하기 위한 2 개의 토출공을 갖는 침지 노즐의 상기 토출공의 토출 각도를 하향 5°내지 하향 50°의 범위로 하고,
상기 교류 자장의 주파수를 0.5 ㎐ 이상 3.0 ㎐ 이하로 하고,
주형 내 용강 탕면으로부터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까지의 거리를 400 ㎜ 이상 500 ㎜ 미만으로 하고,
상기 침지 노즐의 침지 깊이 (주형 내 용강 탕면으로부터 침지 노즐의 토출공의 상단까지의 거리) 를 100 ㎜ 이상 300 ㎜ 미만으로 하고, 또한,
상기 교류 자장의 피크 위치의 자속 밀도를 0.080 T 이상 0.100 T 미만으로 하는, 강의 연속 주조 방법.
KR1020197030941A 2017-04-25 2017-04-25 강의 연속 주조 방법 KR1023243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16326 WO2018198181A1 (ja) 2017-04-25 2017-04-25 鋼の連続鋳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894A KR20190127894A (ko) 2019-11-13
KR102324300B1 true KR102324300B1 (ko) 2021-11-09

Family

ID=61195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0941A KR102324300B1 (ko) 2017-04-25 2017-04-25 강의 연속 주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3597328B1 (ko)
JP (1) JP6278168B1 (ko)
KR (1) KR102324300B1 (ko)
CN (1) CN110573271B (ko)
BR (1) BR112019022263B1 (ko)
TW (1) TWI690377B (ko)
WO (1) WO20181981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6484A1 (ja) * 2019-11-29 2021-06-0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溶鋼の鋳造方法、連続鋳造鋳片の製造方法及び軸受用鋼材の製造方法
WO2024017662A1 (en) 2022-07-18 2024-01-25 Refractory Intellectual Property Gmbh & Co. Kg Stopper rod and method for inducing a rotational flow of a molten meta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6656A (ja) * 2007-08-20 2009-04-02 Jfe Steel Kk 連続鋳造鋳片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8312B2 (ja) * 1991-09-25 1999-05-10 川崎製鉄株式会社 静磁場による鋼スラブの連続鋳造法
JP4203167B2 (ja) 1999-01-11 2008-12-2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溶鋼の連続鋳造方法
JP3583954B2 (ja) 1999-08-12 2004-11-0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連続鋳造方法
JP4380171B2 (ja) 2002-03-01 2009-12-0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鋳型内溶鋼の流動制御方法及び流動制御装置並びに連続鋳造鋳片の製造方法
JP2003326344A (ja) * 2002-03-07 2003-11-18 Jfe Steel Kk ブルーム鋳片の連続鋳造方法
JP4407260B2 (ja) * 2003-11-28 2010-02-0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鋼の連続鋳造方法
JP4746398B2 (ja) * 2005-10-11 2011-08-10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鋼の連続鋳造方法
JP4508209B2 (ja) * 2007-05-10 2010-07-21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複層鋳片の連続鋳造方法及び鋳片
JP4505530B2 (ja) * 2008-11-04 2010-07-21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鋼の連続鋳造用装置
JP4807462B2 (ja) * 2009-11-10 2011-11-0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鋼の連続鋳造方法
CN104942246B (zh) * 2014-03-28 2017-02-22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板坯结晶器电磁搅拌的多维电磁调制装置
WO2016159284A1 (ja) * 2015-03-31 2016-10-06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鋼の連続鋳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6656A (ja) * 2007-08-20 2009-04-02 Jfe Steel Kk 連続鋳造鋳片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78168B1 (ja) 2018-02-14
CN110573271A (zh) 2019-12-13
TWI690377B (zh) 2020-04-11
CN110573271B (zh) 2021-11-02
EP3597328B1 (en) 2021-11-17
EP3597328A1 (en) 2020-01-22
JPWO2018198181A1 (ja) 2019-06-27
KR20190127894A (ko) 2019-11-13
BR112019022263B1 (pt) 2022-08-23
TW201838744A (zh) 2018-11-01
WO2018198181A1 (ja) 2018-11-01
EP3597328A4 (en) 2020-04-22
BR112019022263A2 (pt) 2020-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00500C1 (ru) Способ непрерывной разливки стали
KR100710714B1 (ko) 주형 내 용강의 유동제어방법과 유동제어장치 및 연속주조주편의 제조방법
EP2500120B1 (en) Method of continuous casting of steel
US76281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casting of metals
KR102324300B1 (ko) 강의 연속 주조 방법
JP6164040B2 (ja) 鋼の連続鋳造方法
JP5929872B2 (ja) 鋼の連続鋳造方法
KR101302526B1 (ko) 주형 내 용강의 유동 제어 방법 및 연속 주조 주편의 제조방법
JP5413277B2 (ja) 鋼鋳片の連続鋳造方法
JP5772767B2 (ja) 鋼の連続鋳造方法
JP7200722B2 (ja) 湾曲型連続鋳造装置における鋳型内流動制御方法
JP5874677B2 (ja) 鋼の連続鋳造方法
JP4432263B2 (ja) 鋼の連続鋳造方法
JP5791234B2 (ja) 鋼鋳片の連続鋳造方法
JP2002239691A (ja) 溶融金属の連続鋳造方法
JP6287901B2 (ja) 鋼の連続鋳造方法
KR20230106178A (ko) 강의 연속 주조 방법
JP2011212723A (ja) 鋼鋳片の連続鋳造方法
JP2006122961A (ja) ストランドプール内流動制御方法ならびに装置
JP2018103238A (ja) 鋼の連続鋳造方法及び装置
JPH10193057A (ja) 鋼スラブの連続鋳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