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1373A -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1373A
KR20170081373A KR1020160000323A KR20160000323A KR20170081373A KR 20170081373 A KR20170081373 A KR 20170081373A KR 1020160000323 A KR1020160000323 A KR 1020160000323A KR 20160000323 A KR20160000323 A KR 20160000323A KR 20170081373 A KR20170081373 A KR 20170081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rocessor
information
heating elemen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8698B1 (ko
Inventor
최창근
송순오
안대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0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698B1/ko
Priority to US15/348,052 priority patent/US10310553B2/en
Priority to CN201611223449.XA priority patent/CN106938612B/zh
Priority to EP17150049.9A priority patent/EP3208133B1/en
Publication of KR20170081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K35/6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display or indicating devices, e.g. voice si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B60K35/405
    • B60K35/8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17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digital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G06F1/206Cooling means comprising thermal manage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3Industrial applications
    • H05B1/0236Industrial applications for vehic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B60K2350/1004
    • B60K2350/352
    • B60K2360/55
    • B60K2360/566
    • B60K2360/57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열을 제공하는 발열체; 및 차량의 실내 온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발열체가 발열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차량{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탑승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대표적으로 자동차를 예를 들 수 있다.
차량에는 하나 이상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클러스터, 내비게이션, A/V장치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 수 있다. 최근에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 주행 관련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HMI(Human Machine Interface)로 동작되기도 한다.
차량은 실외에 주차 된다. 따라서, 차량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 외부 온도, 즉, 기온에 영향을 받는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겨울에 또는 기온이 낮은 지역에서, 특히,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는 경우, 동작이 느려지거나, 제대로 동작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차량 주행 관련 동작 입력 장치로 동작되는 경우, 기온에 따라 동작되지 않는 경우, 사고를 유발할 수도 있다.
따라서, 기온이 낮아지는 경우에도, 제대로 동작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온이 낮아지는 경우에도 제대로 동작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발명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열을 제공하는 발열체; 및 차량의 실내 온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발열체가 발열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겨울에 외부에 주차된 후, 사용자가 탑승하는 경우에도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오작동되거나, 응답속도가 저하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둘째, 겨울에 탑승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바로 동작될 수 있어,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동작을 위해 별도의 공회전을 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별도의 공회전이 필요 없어, 연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넷째, 각종 이벤트에 따라, 발열체를 제어하여, 사용자 상황에 적절하게 디스플레이를 가열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오작동 등을 방지하여, 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벤트 정보 획득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원격 시동 이벤트 정보에 기초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접근 이벤트 정보에 기초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어 개방 이벤트 정보에 기초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예약 시간 입력에 기초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지속 시간 입력에 기초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와의 통신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자동차, 오토바이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에 대해 자동차를 위주로 기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동력원으로서 엔진을 구비하는 내연기관 차량, 동력원으로서 엔진과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동력원으로서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자율 주행 차량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차량의 좌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좌측을 의미하고, 차량의 우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우측을 의미한다.
전방은 차량의 직진 주행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은 차량의 후진 주행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한 LHD 차량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차량(700)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103FR,103FL,103RL,..), 차량(700)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향 입력 장치 및 차량(700) 내부에 구비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전장(overall length)은 차량(700)의 앞부분에서 뒷부분까지의 길이, 전폭(width)은 차량(700)의 너비, 전고(height)는 바퀴 하부에서 루프까지의 길이를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장 방향(L)은 차량(700)의 전장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 전폭 방향(W)은 차량(700)의 전폭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 전고 방향(H)은 차량(700)의 전고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을 확인할 수 있도록, 칵핏 모듈의 일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a)는, 센터페시아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b)는, 스티어링 휠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투명 디스플레이 또는 HUD를 포함하여 윈드 쉴드에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온도 센서(126), 인터페이스부(130), 메모리(140), 출력부(150), 발열체(160), 프로세서(170),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과 이동 단말기(600) 사이,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과 외부 서버(601) 사이 또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과 타차량(601)과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하나 이상의 망(network)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 통신 모듈(112), 근거리 통신 모듈(113), 위치 정보 모듈(114), V2X 통신 모듈(115), 무선 인터넷 모듈(116) 및 스마트 키 통신 모듈(117)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방송은 라디오 방송 또는 TV 방송을 포함한다.
이동 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형성하여, 차량(700)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60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예를 들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를 수신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차량(700)에 탑승한 경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600)와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서로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114)은, 차량(7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이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은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V2X 통신 모듈(116)은, 서버(601) 또는 타차량(602)과의 무선 통신 수행을 위한 모듈이다. V2X 모듈(116)은 차량간 통신(V2V) 또는 차량과 인프라간 통신(V2I)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모듈을 포함한다. 차량(700)은 V2X 통신 모듈(116)을 통해, 외부 서버(601) 및 타 차량(602)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6)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차량(7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6)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6)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예를 들면, 무선 인터넷 모듈(116)은 외부 서버(601)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6)은 외부 서버(601)로부터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예를 들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스마트 키 통신 모듈(117)은,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 키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 키 통신 모듈(117)은,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 키와 저주파 대역(LF : Low frequency) 통신을 통해,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스마트 키 통신 모듈(117)은, 스마트 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차량(700)과 사용자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 키 통신 모듈(117)은, RSSI(Recived Signal Strenth Indication)에 기초하여, 차량(700)과 사용자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 입력부 및 음향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프로세서(17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는 터치식 입력수단 또는 기계식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입력부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데이터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음향 입력부은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전기적인 데이터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인 데이터는 프로세서(170)에 전달될 수 있다.
온도 센서(126)는, 열팽창식, 열기전력식, 전기저항식, 반도체식, 자기식, 탄성식, 방사형, 열선형, 광전형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126)는 NTC 서미스터를 포함하고, 온도의 변화에 따라 저항이 변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온도 센서(126)는, 차량(700)의 내부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도 센서(126)는, 차량(700)의 내부 온도 중, 디스플레이(151) 주변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도 센서(126)는, 액정 패널(도 7의 311)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인터페이스부(130)는 데이터, 정보, 신호를 수신하거나, 프로세서(170)에서 처리 또는 생성된 데이터, 정보, 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차량 내부의 제어부(770), 센싱부(760), 차량 구동부(750), 카메라(200) 등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130)는, 제어부(770) 또는 센싱부(760)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정보는,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속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외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차량 외부 조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정보는,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차량 속도 센서, 차체 경사 감지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외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조도 센서 등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한편, 포지션 모듈은, GPS 정보 수신을 위한 GPS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센서 정보 중, 차량 주행과 관련한,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등을 차량 주행 정보라 명명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카메라(2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획득되는 영상을 기초로 차선 검출(Lane Detection, LD), 주변 차량 검출(Vehicle Detection, VD), 보행자 검출(Pedestrian Detection, PD), 불빛 검출(Brightspot Detection, BD), 교통 신호 검출(Traffic Sign Recognition, TSR), 도로면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통신부(710), 센싱부(760) 또는 카메라(200)로부터 주변 환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주변 환경 정보는, 오브젝트 정보, 날씨 정보, 주행 도로 정보, 주행 시간 정보, 조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오브젝트 정보는, 오브젝트의 존재 유무 정보,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오브젝트의 상대 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원격 시동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 키로부터 원격 시동 신호가 차량(700)에 수신되는 경우, 차량(700)의 제어부(770)는, 차량(700)에 시동을 걸 수 있다. 이경우, 인터페이스부(130)는, 제어부(770)로부터 시동 온(on)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사용자 접근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차량(700)의 오브젝트 감지 센서(761) 또는 카메라(200)는, 사용자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오브젝트 감지 센서(761) 또는 카메라(200)로부터 사용자 접근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 또는 사용자 접근 속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차량(700)의 오브젝트 감지 센서(761) 또는 카메라(200)는, 사용자와의 거리 및 사용자의 접근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오브젝트 감지 센서(761) 또는 카메라(200)로부터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 또는 사용자 접근 속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도어 개방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차량(700)의 제어부(770)로부터 도어 개방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130)는 유닛에 대한 기본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내비게이션 기능 구현을 위한 맵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맵 데이터는, 차량 출고시 디폴트로 저장될 수 있다. 또는, 맵 데이터는, 통신부(110) 또는 인터페이스부(18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70)와 일체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출력부(150)는, 프로세서(170)에서 처리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151) 및 음향 출력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프로세서(17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51)는 차량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관련 정보는, 차량에 대한 직접적인 제어를 위한 차량 제어 정보, 또는 차량 운전자에게 운전 가이드를 위한 차량 운전 보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관련 정보는, 현재 차량의 상태를 알려주는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의 운행과 관련되는 차량 운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경우, 디스플레이(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경우, 디스플레이(151)는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프로세서(17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51)는 윈드 쉴드의 일 영역에 화면이 표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경우, 투명 디스플레이는 윈드 쉴드에 부착될 수 있다. 이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소정의 투명도를 가지면서, 소정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도를 가지기 위해,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 TFEL(Thin Film Elecroluminescent), 투명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투명 LCD(Liquid Crystal Display), 투과형 투명디스플레이, 투명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명도는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투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윈드 쉴드에 투사되는 이미지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투사 모듈은 윈드 쉴드 또는 차량내 구비된 스크린을 향해 빔(beam)을 투사한다. 투사 모듈은, 광원 및 투사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투사 모듈은 프로세서(170)에서 처리되는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즉, 투사 모듈은 광원에서 발생한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구현하고, 구현된 영상을 윈드 쉴드에 투사할 수 있다. 이때, 광원은 LED, 레이저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향 출력부(152)는 프로세서(17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음향 출력부(152)는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사용자 입력부 동작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발열체(160)는, 디스플레이(151)에 열을 제공할 수 있다.
발열체(160)는,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경우, 발열체(160)는, 발열 필름으로 명명될 수 있다.
발열체(160)는,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프로세서(170)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각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또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수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출력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정보 또는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출력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수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직접 출력하거나, 가공하여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151)를 통해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음향출력부(152)를 통해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수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기초로, 새로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생성된 정보 또는 생성된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51)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차량(700)의 실내 온도 정보 또는 차량(700)의 실외 온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실내 온도 정보 또는 실외 온도 정보를 기초로 발열체(160)가 발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경우, 발열체(160)는, 디스플레이에 열을 제공하여, 기온이 낮은 환경에서도 디스플레이(151)가 정상적으로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온도 센서(126)에서 감지된 디스플레이(151) 주변 온도를 기초로 발열체(160)가 발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온도 센서(126)에서 감지된 액정 패널(도 7의 311)의 온도 정보를 기초로 발열체(160)가 발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실외 온도 정보는,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서버(601)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위치 정보 모듈(114)을 통해 획득한 차량(7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700)의 위치에 해당되는 기온 정보를 날씨 정보 제공 서버(60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 정보는, 발열체(160) 제어를 위한 이벤트 정보일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이벤트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발열체(160)가 발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벤트 정보는, 통신부(110)에서 수신될 수 있다.
이벤트 정보는, 차량(700)의 카메라(200) 또는 센싱부(76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원격 시동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 키로부터 원격 시동 신호가 차량(700)에 수신되는 경우, 차량(700)의 제어부(770)는, 차량(700)에 시동을 걸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제어부(770)로부터 시동 온(on)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70)를 통해, 원격 시동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스마트 키 통신 모듈(117)을 통해, 원격 시동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원격 시동 이벤트 정보에 따라 발열체(160)가 발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격 시동 이벤트 정보에 따라 발열체(160)의 발열을 제어함으로써, 추운 환경에서도, 사용자가 차량(700)에 탑승하기 이전에, 디스플레이(151)가 정상 동작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사용자 접근 이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센싱부(760) 또는 카메라(2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 사용자의 접근 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사용자와의 거리가 거 설정 거리 범위 내인 경우, 사용자 접근으로 판단하고, 사용자 접근 이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70)를 통해, 사용자 접근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스마트 키 통신 모듈(117)을 통해, 사용자 접근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사용자 접근 이벤트 정보에 따라 발열체(160)가 발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발열체의 발열을 제어함으로써, 추운 환경에서도, 사용자가 차량(700)에 탑승하기 이전에, 디스플레이(151)가 정상 동작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프로세서(170)는, 사용자 접근 속도에 대응하여, 발열체(160)의 발열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발열 정도는, 발열되는 속도 또는 발열량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사용자 접근 속도에 비례하여, 발열체(160)의 발열되는 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발열량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접근 속도 정보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수신되거나, 통신부(110)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접근 속도에 대응하여, 발열체의 발열 정도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차량에 빠르게 접근하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가 정상동작 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차량(700)의 도어 개방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도어 개방 이벤트 정보에 따라 발열체가 발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도어 개방 이벤트 수신시, 발열체(160)가 최대로 발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도어 개방 이벤트 수신시, 발열체(160)가 최대 속도로 발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도어 개방 이벤트 수신시, 발열체(160)가 최대 발열량을 가지면서 발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도어 개방 이벤트 정보 수신시, 디스플레이(151)에 온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차량(700)에 포함되는 공조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차량(700)의 공조 구동부(755)에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700)의 공조 구동부(755)는, 공조 장치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151)에 온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경우, 최대 출력, 최대 온도값으로 온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도어 개방에 대응하여, 발열체(160)가 최대로 발열하도록 제어하고, 디스플레이(151)에 온기가 공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디스플레이(151)의 온도를 높여, 디스플레이가 정상동작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프로세서(170)는, 예약 시간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151)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해, 예약 시간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예약 시간에 발열체(160)가 발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발열 지속 시간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151)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해, 발열 지속 시간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발열 지속 시간 동안 발열체(160)가 발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발열 지속 시간 경과 후, 발열체(160)의 발열이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예약 시간에 따라 발열체(160)가 발열하는 상태에서, 기 설정 시간이 경과 후에, 차량(700)에 시동이 걸리지 않는 경우, 발열체(160)의 발열이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입력에 따라 발열체(160)의 발열 여부, 발열 지속 시간, 발열 정지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의도에 따라, 적절하게 디스플레이(151)가 정상동작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프로세서(170)는, 온도 센서(126)로부터 디스플레이(151) 주변 온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151)의 주변 온도가 기 설정된 범위에서 유지되도록 발열체(16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액정 패널(도 7의 311)의 온도가 기 설정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발열체(16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 범위는, 디스플레이(151)가 정상 동작할 수 있도록 설정된 온도 범위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151)의 주변 온도가 기 설정 온도값에 도달하는 경우, 발열체(160)의 발열이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주변 온도에 따라 발열체(160)를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동작에 최적 온도를 제공하여, 디스플레이(151)가 정상 동작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프로세서(170)는, 내부 온도 또는 외부 온도가 영하인 경우, 차량(700)의 내부 온도 또는 차량(700)의 외부 온도의 절대값에 비례하여 발열체(160)의 발열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발열 정도는, 발열되는 속도 또는 발열량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상기 절대값에 비례하여, 발열체(160)의 발열 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발열량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위치 정보 모듈(114)을 통해, 차량(7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발열체(160)의 발열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발열 정도는, 발열되는 속도 또는 발열량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위치 정보 모듈(114)을 통해 획득한 차량(7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700)의 위치에 해당되는 기온 정보를 날씨 정보 제공 서버(60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상기 기온 정보에 기초하여, 발열체(160)의 발열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발열체(160)가 제어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151)에 온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차량(700)에 포함되는 공조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가령, 발열체(160) 고장에 따라, 발열체(160)가 제어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170)는, 공조 구동부(755)에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공조 구동부(755)는 제어 신호에 따라 공조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공조 장치는 디스플레이(151)에 온기를 공급하기 위해, 차량 내부에 온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열체(160)가 고장난 경우에도, 공조 장치 제어를 통해, 디스플레이(151)에 온기를 제공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151)가 정상 동작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에 차량(700)의 내부 온도 정보 또는 차량(700)의 외부 온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소지한 이동 단말기(601)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게 차량(700)의 내부 온도 정보 또는 차량(700)의 외부 온도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601)를 통해, 발열체(160)의 발열을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발열체(160)가 발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소지한 이동 단말기(601)일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발열체(16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에 발열체(160)의 발열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소지한 이동 단말기(601)일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47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의해,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 공급부(19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온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10). 여기서, 온도는 차량(700)의 실내 온도 또는 차량(700)의 실외 온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센싱부(760)로부터 차량(700)의 실내 온도 정보 또는 실외 온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온도 센서(126)를 통해, 차량(700)의 실내 온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10)를 통해, 날씨 정보 제공 서버(601)로부터 차량(700)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기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이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20). 여기서, 이벤트 정보는, 발열체(160)가 발열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트리거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원격 시동 이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사용자 접근 이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도어 개방 이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온도 정보 또는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발열체가 발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430).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실내 온도 정보 또는 실외 온도 정보를 기초로 발열체(160)가 발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이벤트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발열체(160)가 발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141)에 온기를 제어하기 위해 공조 장치를 구동하는 공조 구동부(755)에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S440).
S440 단계는 실시예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도어 개방 이벤트 정보 수신시, 디스플레이(151)에 온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차량(700)에 포함되는 공조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차량(700)의 공조 구동부(755)에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700)의 공조 구동부(755)는, 공조 장치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151)에 온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경우, 최대 출력, 최대 온도값으로 온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도어 개방에 대응하여, 발열체(160)가 최대로 발열하도록 제어하고, 디스플레이(151)에 온기가 공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디스플레이(151)의 온도를 높여, 디스플레이가 정상동작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발열체(160)가 제어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151)에 온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차량(700)에 포함되는 공조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가령, 발열체(160) 고장에 따라, 발열체(160)가 제어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170)는, 공조 구동부(755)에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공조 구동부(755)는 제어 신호에 따라 공조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공조 장치는 디스플레이(151)에 온기를 공급하기 위해, 차량 내부에 온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열체(160)가 고장난 경우에도, 공조 장치 제어를 통해, 디스플레이(151)에 온기를 제공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151)가 정상 동작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700)은 통신부(710), 입력부(720), 센싱부(760), 출력부(740), 차량 구동부(750), 메모리(730), 인터페이스부(780), 제어부(770), 전원부(790), 카메라(200) 및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710)는, 차량(700)과 이동 단말기(600) 사이, 차량(700)과 외부 서버(601) 사이 또는 차량(700)과 타차량(602)과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710)는 차량(700)을 하나 이상의 망(network)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710)는, 광통신 모듈(715) 및 V2X 통신 모듈(716)을 포함할 수 있다.
광통신 모듈(715)은, 광발신부 및 광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광수신부는, 광(light)신호를 전기 신호로 전환하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광수신부는 광을 수신하기 위한 포토 다이오드(PD, Photo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포토 다이오드는 빛을 전기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수신부는 전방 차량에 포함된 광원에서 방출되는 광을 통해, 전방 차량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광발신부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기 위한 발광 소자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소자는 LED(Light Emitting Diode)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발신부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여, 외부에 발신한다. 예를 들면, 광 발신부는 소정 주파수에 대응하는 발광소자의 점멸을 통해, 광신호를 외부에 방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복수의 발광 소자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차량(700)에 구비된 램프와 일체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발신부는 전조등, 후미등, 제동등, 방향 지시등 및 차폭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통신 모듈(715)은 광 통신을 통해 타차량(602)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입력부(720)는, 운전 조작 장치(721), 마이크로 폰(723) 및 사용자 입력부(724)를 포함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721)는, 차량(700)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운전 조작 장치(721)는 조향 입력 장치, 쉬프트 입력 장치, 가속 입력 장치, 브레이크 입력 장치을 포함할 수 있다.
조향 입력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차량(700)의 진행 방향 입력을 수신한다. 조향 입력 장치은 회전에 의해 조향 입력이 가능하도록 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조향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쉬프트 입력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차량(700)의 주차(P), 전진(D), 중립(N), 후진(R)의 입력을 수신한다. 쉬프트 입력 장치는 레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쉬프트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속 입력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차량(700)의 가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한다. 브레이크 입력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차량(700)의 감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한다. 가속 입력 장치 및 브레이크 입력 장치는 페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가속 입력 장치 또는 브레이크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 폰(723)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데이터는 차량(700)에서 수행 중인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723)은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전기적인 데이터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인 데이터는 제어부(770)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722) 또는 마이크로폰(723)는 입력부(72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가 아닌, 센싱부(76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724)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 입력부(724)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77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차량(7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724)는 터치식 입력수단 또는 기계식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724)는 스티어링 휠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경우, 운전자는 스티어링 휠을 잡은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사용자 입력부(724)를 조작할 수 있다.
센싱부(760)는, 차량(700)의 주행 등과 관련한 신호를 센싱한다. 이를 위해, 센싱부(760)는, 충돌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속도 센서, 경사 센서, 중량 감지 센서,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외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레인(rain)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센싱부(760)는, 차량 충돌 정보,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외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비가 오는지에 대한 정보, 스티어링 휠 회전 각도 등에 대한 센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센싱부(760)는, 그 외, 가속페달센서, 압력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engine speed sensor), 공기 유량 센서(AFS), 흡기 온도 센서(ATS), 수온 센서(WTS), 스로틀 위치 센서(TPS), TDC 센서, 크랭크각 센서(CAS),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760)는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는 탑승객의 생체 인식 정보를 감지하여 획득한다. 생체 인식 정보는 지문 인식(Fingerprint) 정보, 홍채 인식(Iris-scan) 정보, 망막 인식(Retina-scan) 정보, 손모양(Hand geo-metry) 정보, 안면 인식(Facial recognition) 정보,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는 탑승객의 생체 인식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카메라 및 마이크로 폰(723)이 센서로 동작할 수 있다.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는 내부 카메라를 통해, 손모양 정보, 안면 인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센싱부(760)는 오브젝트 감지 센서(761)를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 감지 센서(761)는, 오브젝트를 감지할 수 있다. 오브젝트 감지 센서(761)는, 레이다(radar), 라이다(Lidar), 초음파 센서, TOF 센서 및 적외선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 감지 센서(761)는, 레이다 또는 라이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다 또는 라이다를 포함하는 경우, 오브젝트 감지 센서(761)는, 오브젝트의 존재 유무, 오브젝트와의 거리,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및 오브젝트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오브젝트 감지 센서(761)에서 생성되는 데이터, 신호 또는 정보는 제어부(770)에 전송된다.
오브젝트 감지 센서(761)는, 차량(700) 주변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는 사용자일 수 있다. 오브젝트 감지 센서(761)는, 오브젝트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오브젝트 감지 센서(761)는, 거리 정보르를 기초로 오브젝트의 접근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출력부(740)는, 제어부(770)에서 처리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741), 음향 출력부(742) 및 햅틱 출력부(74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1)는 제어부(77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741)는 차량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관련 정보는, 차량에 대한 직접적인 제어를 위한 차량 제어 정보, 또는 차량 운전자에게 운전 가이드를 위한 차량 운전 보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관련 정보는, 현재 차량의 상태를 알려주는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의 운행과 관련되는 차량 운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차량(7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724)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차량(7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경우, 디스플레이부(74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74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74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77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741)는 운전자가 운전을 함과 동시에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 운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클러스터(cluster)를 포함할 수 있다. 클러스터는 대시보드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경우, 운전자는, 시선을 차량 전방에 유지한채로 클러스터에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741)는 HUD(Head Up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1)가 HUD로 구현되는 경우, 윈드 쉴드에 구비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741)는 투사 모듈을 구비하여 윈드 쉴드에 투사되는 이미지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742)는 제어부(77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음향 출력부(742)는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742)는, 사용자 입력부(724) 동작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햅틱 출력부(743)는 촉각적인 출력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햅틱 출력부(743)는, 스티어링 휠, 안전 벨트, 시트를 진동시켜, 사용자가 출력을 인지할 수 있게 동작할 수 있다.
차량 구동부(750)는, 차량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차량 구동부(750)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차량 구동부(750)는, 상기 제어 신호를 기초로, 각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차량 구동부(750)는 동력원 구동부(751), 조향 구동부(752), 브레이크 구동부(753), 램프 구동부(754), 공조 구동부(755), 윈도우 구동부(756), 에어백 구동부(757), 썬루프 구동부(758) 및 서스펜션 구동부(759)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751)는, 차량(700) 내의 동력원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석 연료 기반의 엔진이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751)는, 엔진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엔진의 출력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751)가 엔진인 경우, 제어부(770)의 제어에 따라, 엔진 출력 토크를 제한하여 차량의 속도를 제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기 기반의 모터가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751)는, 모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모터의 회전 속도,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751)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가속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751)는 수신된 가속 제어 신호에 따라 동력원을 제어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752)는, 차량(700) 내의 조향 장치(steerin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752)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스티어링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752)는 수신된 스티어링 제어 신호에 따라 조향되도록 조향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부(753)는, 차량(700) 내의 브레이크 장치(brake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700)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에 각각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달리하여, 차량(700)의 진행 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조정할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부(753)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감속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부(759)는 수신된 감속 제어 신호에 따라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램프 구동부(754)는, 차량 내, 외부에 배치되는 램프의 턴 온/턴 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램프의 빛의 세기,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향 지시 램프, 브레이크 램프 등의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공조 구동부(755)는, 차량(700) 내의 공조 장치(air cinditioner)(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내부의 온도가 높은 경우, 공조 장치가 동작하여, 냉기가 차량 내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윈도우 구동부(756)는, 차량(700) 내의 윈도우 장치(window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측면의 좌,우 윈도우들에 대한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에어백 구동부(757)는, 차량(700) 내의 에어백 장치(airba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험시, 에어백이 터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썬루프 구동부(758)는, 차량(700) 내의 썬루프 장치(sunroof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썬루프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서스펜션 구동부(759)는, 차량(700) 내의 서스펜션 장치(suspension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로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 서스펜션 장치를 제어하여, 차량(700)의 진동이 저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서스펜션 구동부(759)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서스펜션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서스펜션 구동부(759)는 수신된 서스펜션 제어 신호에 따라 서스펜션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730)는, 제어부(7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730)는 유닛에 대한 기본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73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메모리(730)는 제어부(7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7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780)는, 차량(7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780)는 이동 단말기(600)와 연결 가능한 포트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포트를 통해, 이동 단말기(600)와 연결할 수 있다. 이경우, 인터페이스부(780)는 이동 단말기(60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780)는 연결된 이동 단말기(600)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가 인터페이스부(7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770)의 제어에 따라, 인터페이스부(780)는 전원부(790)에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동 단말기(600)에 제공한다.
제어부(770)는, 차량(7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70)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로 명명될 수 있다.
제어부(770)는, 하드웨어적으로,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원부(790)는, 제어부(77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부(77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미도시)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카메라(200)는, 차량 주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CD 또는 CMOS), 이미지 처리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차량 주변 영상에서,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는 사용자일 수 있다.
카메라(200)는, 오브젝트 검출시, 차선 검출(Lane Detection, LD), 주변 차량 검출(Vehicle Detection, VD), 보행자 검출(Pedestrian Detection,PD), 불빛 검출(Brightspot Detection, BD), 교통 신호 검출(Traffic Sign Recognition, TSR), 도로면 검출, 구조물 검출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검출된 오브젝트를 확인할 수 있다(verify). 카메라(200)는,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를 이용한 식별법, SVM(Support Vector Machine) 기법, Haar-like 특징을 이용한 AdaBoost에 의해 식별하는 기법, 또는 HOG(Histograms of Oriented Gradients) 기법 등을 사용하여, 검출된 오브젝트를 확인할 수 있다. 이경우, 카메라(200)는, 차량 주변 영상에서 검출된 오브젝트와 메모리(140)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확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확인된 오브젝트를 트래킹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확인된 오브젝트의 움직임 또는 움직임 벡터를 연산하며, 연산된 움직임 또는 움직임 벡터에 기초하여, 해당 오브젝트의 이동 등을 트래킹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차량 주변 영상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디스패러티(disparity) 정보를 기초로 차량(700)과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200)는, 스테레오 이미지를 기초로 디스패러티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디스패러티 정보를 기초로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스테레오 이미지는 스테레오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이미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200)는, 복수의 모노 이미지를 기초로 디스패러티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디스패러티 정보를 기초로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모노 이미지는,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기 설정된 시간 차이를 두고 획득되는 복수의 모노 이미지일 수 있다. 모노 이미지는, 모노 카메라 또는 어라운드 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일 수 있다.
카메라(200)는, 오브젝트를 트래킹하여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가 획득된 상태에서, 시간에 따른 오브젝트와의 거리 변화를 기초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모노 카메라, 스테레오 카메라, 어라운드 뷰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모노 카메라는, 하나의 렌즈 및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모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스테레오 카메라는, 두개의 렌즈 및 두개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스테레오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어라운드 뷰 카메라는, 네개의 렌즈 및 네개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어라운드 뷰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어라운드 뷰 카메라는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AVM : Around View Monitoring)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카메라일 수 있다.
카메라(200)는, 사용자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200)는, 사용자 얼굴의 특징점 검출을 통해, 사용자를 검출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사용자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200)는, 상술한 오브젝트와의 거리 검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거리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접근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제어부(77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제어부(770)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400) 또는 별도의 내비게이션 장치(미도시)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여기서, 내비게이션 정보는 설정된 목적지 정보, 상기 목적지에 따른 경로 정보, 차량 주행과 관련한, 맵(map) 정보 또는 차량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발열체(330)는 버스 바(332, 333) 및 버스 바(332, 33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도성 발열 수단(331)을 포함할 수 있다. 버스 바는 제1 버스 바(332) 및 제2 버스 바(333)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발열 수단(331)은 버스 바(332, 33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버스 바(332, 333)에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그 자체가 갖는 저항 및 열전도성에 의하여 발열을 할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한다. 발열 수단(331)으로는 면상 또는 선상으로 이루어진 전도성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발열 수단(331)이 면상인 경우 투명 전도성 재료, 예컨대 ITO, ZnO 등으로 이루어지거나, 불투명 전도성 재료의 박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열 수단(331)이 선상인 경우 투명 또는 불투명한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발열 수단(331)이 선상인 경우, 그 재료가 금속과 같이 불투명한 재료인 경우에도 선폭 및 패턴의 균일도를 조절함으로써,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발열 수단(331)이 면상인 경우 전도성 발열면으로, 선상인 경우 전도성 발열선으로 명명될 수 있다.
발열체를 이용한 발열의 경우, 온도의 상승 폭은 단위면적당 파워(power)에 의하여 결정된다.
한편, 전도성 발열선은 직선일 수도 있으나, 곡선, 물결선, 지그재그선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전도성 발열선은 스트라이프(Stripe), 마름모, 정사각형 격자, 원형, 웨이브(wave) 패턴, 그리드, 2차원 그리드 등의 패턴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일정 광원에서 나오는 빛이 회절과 간섭에 의해서 광학적 성질을 저해하지 않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패턴의 규칙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물결무늬, 사인 곡선(Sine wave) 및 격자 구조의 스페이싱과 선의 두께를 불규칙하게 구성한 패턴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필요한 경우, 전도성 발열선 패턴의 형태는 2 이상의 패턴의 조합일 수 있다.
전도성 발열선의 패턴은 불규칙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규칙 패턴은 상기 전도성 발열선과 교차하는 직선을 그렸을 때, 상기 직선과 상기 전도성 발열선의 인접하는 교점들간의 거리의 평균값에 대한 표준 편차의 비율(거리 분포 비율)이 2% 이상인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발열선과 교차하는 직선은 상기 직선과 전도성 발열선의 인접하는 교점들간의 거리의 표준 편차가 가장 작은 선일 수 있다. 또는, 전도성 발열선과 교차하는 직선은 상기 전도성 발열선의 어느 한 점의 접선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도성 발열선 패턴을 이용함으로써, 광원의 회절과 간섭에 의한 부작용 및 모아레를 방지할 수 있다.
전도성 발열선과 교차하는 직선은 상기 전도성 발열선과의 교점이 80개 이상일 수 있다. 전도성 발열선과 교차하는 직선과 상기 전도성 발열선의 인접하는 교점들간의 거리의 평균값에 대한 표준 편차의 비율(거리 분포 비율)이 2% 이상일 수 있고, 10% 이상일 수 있으며, 20% 이상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발열선 패턴이 구비된 투명기재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다른 형태의 전도성 발열선 패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불규칙 패턴은 분포가 연속적인 폐쇄 도형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폐쇄 도형들의 면적의 평균값에 대한 표준 편차의 비율(면적 분포 비율)이 2% 이상인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도성 발열선 패턴을 이용함으로써, 광원의 회절과 간섭에 의한 부작용 및 모아레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폐쇄도형은 적어도 100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폐쇄 도형들의 면적의 평균값에 대한 표준 편차의 비율(면적 분포 비율)이 2% 이상일 수 있고, 10% 이상일 수 있으며, 2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폐쇄 도형들의 면적의 평균값에 대한 표준 편차의 비율(면적 분포 비율)이 2% 이상인 상기와 같은 발열선 패턴이 구비된 투명기재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다른 형태의 전도성 발열선 패턴에 구비될 수도 있다.
패턴들이 완전하게 불규칙한 경우 선의 분포에 있어서 소한 곳과 밀한 곳의 차이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선의 분포는 선폭이 아무리 얇더라도 눈에 띌 수 있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와 같은 시각적인 인지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발열선을 형성할 때 규칙성과 불규칙성을 적절히 조화시킬 수 있다. 예컨대, 발열선이 눈에 띄거나 국부 발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기본 단위를 정하고, 그 기본 단위 내에서 발열선을 불규칙적인 패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면 선의 분포가 어느 한 지점에 몰리지 않게함으로써 시각성을 보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불규칙 패턴은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이루는 도형들의 경계선 형태의 전도성 발열선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불규칙 패턴은 델로니 패턴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삼각형으로 이루어진 도형들의 경계선 형태의 전도성 발열선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발열체의 균일한 발열 및 시각성을 위하여 전도성 발열선 패턴의 개구율이 단위면적에서 일정할 수 있다. 상기 발열체는 직경 20㎝의 임의의 원에 대한 투과율 편차가 5% 이하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발열체는 국부 발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체는 발열 후 투명기재의 표면 온도의 표준 편차가 20% 이내일 수 있다. 다만, 특정 목적을 위하여, 발열체에서 온도편차가 발생하도록 전도성 발열선을 배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발열체(330)는 투명기재 상에 구비될 수 있다.
투명 기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빛투과율이 50% 이상일 수 있고, 75%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투명기재로는 유리를 사용할 수도 있고, 플라스틱 기판 또는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도성 발열선 패턴을 형성한 후,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유리를 합착할 수 있다. 이 때, 투명기재의 전도성 발열선 패턴이 형성된 면에 유리 또는 플라스틱 기판을 합착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기판 또는 필름으로는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VB(polyvinylbutyral),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ES(polyethersulfon), PC(polycarbonate), 아세틸 셀룰로이드와 같은 가시광 투과율 80% 이상의 필름일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두께는 12.5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고, 50 내지 250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발열선의 재료로는 열전도도가 우수한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성 발열선 재료의 비저항 값은 1 microOhm cm 이상 200 microOhm cm 이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전도성 발열선 재료의 구체적인 예로서, 구리, 은(silver), 탄소나노튜브(CNT)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은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전도성 발열선 재료는 입자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도성 발열선 재료로서 은으로 코팅된 구리 입자도 사용될 수 있다
발열체(330)는 발열을 위하여 전원에 연결될 수 있다. 발열체(330)는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따라, 발열량이 결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예시도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151)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310a)을 포함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다른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310a)은 액정 패널(311)과 백라이트 유닛(312)을 포함한다.
일 예로, 액정 패널(311)은 서로 이격 설치된 제1기판 및 제2기판과, 제1기판과 제2기판 사이에 봉입된 액정층을 포함하고, 제1기판의 외측에 배치된 제1편광판과, 제2기판의 외측에 배치된 제2편광판과, 제1기판과 액정층 사이에 배치된 제1전극과, 제2기판과 액정층 사이에 배치된 제2전극과, 제2기판과 제2전극 사이에 배치된 컬러패널을 더 포함하며, 제1전극과 액정층 사이에 배치된 제1배향막과, 제2전극과 액정층 사이에 배치된 제2배향막을 더 포함한다.
액정 패널(311)의 제1기판과 제2기판은 글라스(Glass)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플렉시블이 가능하다.
액정 패널(311)은 2개의 얇은 기판 사이에 고체와 액체의 중간 성질을 가진 액정(Liquid Crystal)을 주입한 상태에서 외부 전계에 의해 액정 분자의 배열을 변화시킴으로써 명암을 발생시켜 영상을 표시한다.
액정 패널(311)은 그 자체가 비발광형(수광소자)이기 때문에 별도의 발광 수단이 없으면 사용이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액정 패널(311)은 화면 전체를 균일한 밝기로 유지시킬 수 있는 면광원 형태의 백라이트 유닛(312)을 필요로 한다.
백라이트 유닛(312)은 광원(LED)을 이용하여 액정 패널(311)을 향해 빛을 방출하는 장치로, 액정 패널의 하면에 복수의 광원을 배열하여 빛을 조사하는 직하형 방식과, 액정 패널의 하면에 도광판을 설치하고 도광판의 적어도 일측에 복수의 광원을 배열하여 빛을 조사하는 에지형 방식이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310a)은 백라이트 유닛(312)에서 방출된 빛의 투과 량을 조절하여 액정 패널(311)을 통해 영상이 보이도록 한다. 여기서 액정층을 통과하는 광의 투과량은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310a)은 구동 방식에 따라 가로축과 세로축의 전극에 각각 전압을 인가해 그 교차점에 있는 액정을 구동시키는 수동형인 패시브 매트릭스형(PM: Passive Matrix)과, 각 화소를 박막 트랜지스터(TFT)로 제어하는 능동형인 액티브 매트릭스(AM: Active Matrix)형으로 구분된다.
수동형인 패시브 매트릭스형(PM: Passive Matrix)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1전극과 제2전극에 전압이 인가되고 이에 따라 두 전극 사이에는 전계가 형성되며 이와 같은 전계에 의해 액정패널 사이의 액정의 배열각이 변화되고, 변화된 배열각에 따라 광투과도가 변경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원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액티브 매트릭스형(AM: Active Matrix)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은 TFT 패널(미도시)을 더 포함하며, 이 TFT 패널은 컬러 패널과 이격 배치되며 다수 개의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및 화소 전극을 포함한다.
발광체(310)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310a) 상측 또는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체(310)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310a) 하측 또는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광체(310)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310b)과 백라이트 유닛(3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발열체(310)는, 디스플레이(151)에 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열체(310)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310a)에 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벤트 정보 획득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제어부(770), 센싱부(760) 또는 카메라(200)로부터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제어부(170)로부터 원격 시동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 키로부터 원격 시동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차량(700)의 제어부(770)는, 차량(700)의 시동을 걸 수 있다. 이경우, 제어부(170)는, 원격 시동 이벤트 정보를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제어부(770)로부터 원격 시동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센싱부(760) 또는 카메라(200)로부터 사용자 접근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센싱부(760)의 오브젝트 감지 센서(761)는, 사용자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오브젝트 감지 센서(761)는, 사용자와의 거리 및 사용자의 접근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200)는, 사용자와의 거리 및 사용자의 접근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오브젝트 감지 센서(761) 또는 카메라(200)로부터 사용자 접근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도어 개방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 제어부(170)는, 도어 개방 이벤트 정보를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도어 개방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10)를 통해, 이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10)를 통해, 원격 시동 이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스마트 키 통신 모듈(117)은,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 키와 통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스마트 키 통신 모듈(117)을 통해, 원격 시동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10)를 통해, 사용자 접근 이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스마트 키 통신 모듈(117)을 통해, 사용자 접근 이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스마트 키 통신 모듈(117)은,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 키와 통신할 때,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에 기초하여, 차량(700)과 사용자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차량(700)과 사용자와의 거리가 가까워져, 기 설정 거리 이내로, 사용자가 진입하는 경우, 사용자 접근 중임을 판단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170)는, 사용자 접근 이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단위 시간당 사용자와의 거리를 계산하여, 사용자 접근 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10)를 통해, 사용자가 소지한 이동 단말기(600)와 통신하여, 사용자 접근 이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이동 통신 모듈(112)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113)을 통해, 이동 단말기(600)와 통신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6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600)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차량(700)과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차량(700)과 사용자와의 거리가 가까워져, 기 설정 거리 이내로, 사용자가 진입하는 경우, 사용자 접근 중임을 판단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170)는, 사용자 접근 이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단위 시간당 사용자와의 거리를 계산하여, 사용자 접근 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원격 시동 이벤트 정보에 기초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차량(700)은, 사용자(1010)가 소지한 스마트 키로부터 원격 시동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원격 시동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770)는, 차량(700)의 시동을 걸 수 있다. 이때, 제어부(770)는, 원격 시동 이벤트 정보를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원격 시동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10)를 통해, 원격 시동 신호를 바로 수신할 수도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170)는, 원격 시동 이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원격 시동 이벤트 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원격 시동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발열체(160)가 발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격 시동 이벤트 정보에 따라 발열체(160)의 발열을 제어함으로써, 추운 환경에서도, 사용자 차량(700) 탑승 이전에, 디스플레이(151)에 열을 제공하여, 사용자(1010) 차량(700) 탑승시, 디스플레이(151)가 정상적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접근 이벤트 정보에 기초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사용자(1110) 접근 이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오브젝트 감지 센서(761)는, 차량(700) 주변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는 사용자(1110)일 수 있다. 오브젝트 감지 센서(761)는, 사용자(1110)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오브젝트 감지 센서(761)는, 거리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1110)의 접근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사용자(1110)를 검출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사용자(1110)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거리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1110)의 접근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오브젝트 감지 센서(761) 또는 카메라(200)로부터 사용자(1110)와의 거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사용자와의 거리가 기 설정 거리 범위(1120) 내인 경우, 사용자 접근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170)는, 사용자(1110) 접근 이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10)를 통해, 사용자 접근 이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접근 이벤트 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사용자 접근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발열체(160)가 발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접근 이벤트 정보에 따라 발열체(160)의 발열을 제어함으로써, 추운 환경에서도, 사용자 차량(700) 탑승 이전에, 디스플레이(151)에 열을 제공하여, 사용자(1110) 차량(700) 탑승시, 디스플레이(151)가 정상적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사용자 접근 속도에 대응하여, 발열체(160)의 발열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발열 정도는, 발열되는 속도 또는 발열량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사용자 접근 속도에 비례하여, 발열체(160)의 발열되는 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발열량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1110) 접근 속도에 대응하여, 발열체의 발열 정도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1110)가 차량에 빠르게 접근하여 탑승하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151)가 정상동작 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어 개방 이벤트 정보에 기초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차량(700)의 도어 개방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 개방을 시도하는 경우, 제어부(770)는, 도어를 개방한다. 이때, 제어부(770)는, 도어 개방 이벤트 정보를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도어 개방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어 개방 이벤트 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도어 개방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발열체(160)가 발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도어 개방 이벤트 수신시, 발열체(160)가 최대로 발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도어 개방 이벤트 수신시, 발열체(160)가 최대 속도로 발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도어 개방 이벤트 수신시, 발열체(160)가 최대 발열량을 가지면서 발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도어 개방 이벤트 정보 수신시, 디스플레이(151)에 온기(1220)를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차량(700)에 포함되는 공조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차량(700)의 공조 구동부(755)에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700)의 공조 구동부(755)는, 공조 장치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151)에 온기(1220)를 공급할 수 있다. 이경우, 최대 출력, 최대 온도값으로 온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도어 개방에 대응하여, 발열체(160)가 최대로 발열하도록 제어하고, 디스플레이(151)에 온기(1220)가 공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디스플레이(151)의 온도를 높여, 디스플레이가 정상동작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예약 시간 입력에 기초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51)는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151)를 통해 수신되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151)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입력을 통해 예약 시간(1310)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열 예약 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프로세서(170)는, 화면에 표시되는 입력 화면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화면은, 가상 키보드 이미지,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시계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약 시간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예약 시간에 맞춰 발열체(160)가 발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지속 시간 입력에 기초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151)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입력을 통해, 발열 지속 시간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열 예약 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프로세서(170)는, 화면에 표시되는 입력 화면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화면은, 가상 키보드 이미지,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시계 이미지, 복수의 기 설정된 시간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예약 시간에 맞춰 발열체(160)가 발열되는 경우, 발열 지속 시간 동안 발열체(160)가 발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예약 시간에 맞춰 발열체(160)가 발열되고, 발열 지속 시간이 경과한 후, 발열체(160)의 발열이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와의 통신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부(110)를 통해 사용자가 소지한 이동 단말기(600)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동 통신 모듈(112)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113)을 통해, 이동 단말기(600)와 통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10)를 통해, 이동 단말기(600)에 차량(700)의 내부 온도 정보 또는 차량(700)의 외부 온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경우, 이동 단말기(600)는, 수신된 차량(700)의 내부 온도 정보 또는 차량(700)의 외부 온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600)는, 발열체(160)의 발열 동작을 제어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른 발열체(160) 발열 동작 제어 신호를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한다.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10)를 통해, 발열체(160)가 발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발열체(160)가 발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10)를 통해, 이동 단말기(600)에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00)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10)를 통해, 이동 단말기(600)에 발열체(160)의 발열 여부, 발열 정도, 발열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경우,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600)를 통해, 발열 여부, 발열 정도, 발열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프로세서(170) 또는 제어부(77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700 : 차량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열을 제공하는 발열체; 및
    차량의 내부 온도 정보 또는 차량의 외부 온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발열체가 발열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발열체 제어를 위한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벤트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발열체가 발열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원격 시동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원격 시동 이벤트 정보에 따라 상기 발열체가 발열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 접근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접근 이벤트 정보에 따라 상기 발열체가 발열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접근 속도에 대응하여, 상기 발열체의 발열 정도를 제어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차량의 도어 개방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도어 개방 이벤트 정보에 따라 상기 발열체가 발열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도어 개방 이벤트 정보 수신시, 상기 발열체가 최대로 발열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도어 개방 이벤트 정보 수신시, 상기 디스플레이에 온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차량에 포함되는 공조 장치에 제공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예약 시간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예약 시간에 상기 발열체가 발열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발열 지속 시간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발열 지속 시간 경과 후 상기 발열체의 발열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 설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차량에 시동이 걸리지 않는 경우, 상기 발열체의 발열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주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주변 온도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발열체를 제어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주변 온도가 기 설정 온도값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발열체의 발열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내부 온도 또는 상기 외부 온도가 영하인 경우,
    상기 내부 온도 또는 상기 외부 온도의 절대값에 비례하여 상기 발열체의 발열 정도를 제어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정보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발열체의 발열 정도를 제어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발열체가 제어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에 온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차량에 포함되는 공조 장치에 제공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에 상기 내부 온도 정보 또는 상기 외부 온도 정보를 제공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발열체가 발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상기 발열체의 발열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온도 정보 또는 상기 외부 온도 정보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60000323A 2016-01-04 2016-01-04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차량 KR101858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323A KR101858698B1 (ko) 2016-01-04 2016-01-04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차량
US15/348,052 US10310553B2 (en) 2016-01-04 2016-11-10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CN201611223449.XA CN106938612B (zh) 2016-01-04 2016-12-27 车辆用显示装置以及车辆
EP17150049.9A EP3208133B1 (en) 2016-01-04 2017-01-02 Heatable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323A KR101858698B1 (ko) 2016-01-04 2016-01-04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373A true KR20170081373A (ko) 2017-07-12
KR101858698B1 KR101858698B1 (ko) 2018-05-16

Family

ID=57737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323A KR101858698B1 (ko) 2016-01-04 2016-01-04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차량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10553B2 (ko)
EP (1) EP3208133B1 (ko)
KR (1) KR101858698B1 (ko)
CN (1) CN10693861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5246A (ko) * 2020-11-27 2022-06-08 (주)아이테드 부분적 발열기능을 가지는 오토 모빌리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74289B2 (en) * 2016-04-07 2019-11-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Touchscreen panel with heating function
KR101653797B1 (ko) * 2016-04-15 2016-09-09 스튜디오씨드코리아 주식회사 프로토타입 제작 방법 및 그 장치
EP3575182B1 (de) * 2018-05-31 2021-04-07 Volkswagen AG Beheizbarer berührungssensor und lenkrad aufweisend einen derartigen berührungssensor
CN111460013A (zh) * 2019-01-18 2020-07-28 北京宝沃汽车有限公司 车辆标识显示装置及车辆
US11197203B2 (en) * 2019-05-03 2021-12-07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control exclusion configuration
US11702140B2 (en) 2019-11-19 2023-07-18 Robert Bosch Gmbh Vehicle front optical object detection via photoelectric effect of metallic striping
CN112693311B (zh) * 2021-01-11 2022-04-08 安徽天健环保车辆部件有限公司 一种全液晶组合仪表的智能温控系统
WO2024064706A1 (en) * 2022-09-21 2024-03-28 Apple Inc. Environmental preconditioning

Family Cites Families (6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5537A (en) * 1992-08-21 1999-12-21 Hitachi, Ltd. Liquid-crystal display control apparatus
JPH0844546A (ja) * 1994-07-29 1996-02-16 Fujitsu Ltd 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を備えた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US5802479A (en) * 1994-09-23 1998-09-01 Advanced Safety Concepts, Inc. Motor vehicle occupant sensing systems
US5825283A (en) * 1996-07-03 1998-10-20 Camhi; Elie System for the security and auditing of persons and property
US6009355A (en) * 1997-01-28 1999-12-28 American Calcar Inc. Multimedia information and control system for automobiles
JP3593912B2 (ja) * 1999-03-01 2004-1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空燃比センサのヒータ制御装置
JP2000289436A (ja) 1999-04-09 2000-10-17 Mitsubishi Heavy Ind Ltd 車両用空気調和装置
SE520585C2 (sv) 2000-01-21 2003-07-29 Calix Automotive Ab Anordning för fjärrstyrning av fordonsvärmare
US7370983B2 (en) * 2000-03-02 2008-05-13 Donnelly Corporation Interior mirror assembly with display
DE10100672A1 (de) 2000-12-22 2002-07-11 Siemens Ag Beheizbare LCD-Anzeige
JP4049295B2 (ja) 2001-03-07 2008-02-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液晶表示装置
GB0115455D0 (en) 2001-06-25 2001-08-15 Univ Nottingham Method of controlling ground vehicle HVAC system based on using weather and positioning satellite data
JP2004019590A (ja) * 2002-06-18 2004-01-22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ヒーター制御機構
FR2859146B1 (fr) 2003-08-29 2006-02-10 Valeo Climatisation Module de ventilation de sieges de vehicule automobile
DE10353128B4 (de) 2003-11-14 2005-11-17 Daimlerchrysl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Folgeregelung einer Kraftfahrzeugklimaanlage mit automatischer Korrektur der Gebläsesteuerung
KR20070093516A (ko) 2006-03-14 2007-09-19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원격 시동 시 차량 실내 온도 최적화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EP2082919B2 (de) 2008-01-24 2018-08-15 Eberspächer catem GmbH & Co. KG Elektrische Zusatzheizung für ein Kraftfahrzeug
US8091795B1 (en) * 2008-07-15 2012-01-10 Home Automation, Inc. Intelligent thermostat device with automatic adaptable energy conservation based on real-time energy pricing
US8096482B2 (en) * 2008-09-22 2012-01-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limate control system with remote start operation
DE102008059886A1 (de) * 2008-12-03 2010-06-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Belüftungs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Verfahren zur Klimatisierung eines Kraftfahrzeuges
US8727050B2 (en) 2009-02-25 2014-05-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ally heated catalyst for a hybrid vehicle
KR20110045611A (ko) 2009-10-27 2011-05-0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운행 전 차량 내부온도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GB201008710D0 (en) * 2010-05-25 2010-07-07 Jaguar Cars Vehicle communications
US8979159B2 (en) * 2011-11-16 2015-03-17 Flextronics Ap, Llc Configurable hardware unit for car systems
WO2013014709A1 (ja) 2011-07-27 2013-01-31 三菱電機株式会社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車載用情報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02328592A (zh) 2011-07-28 2012-01-25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组合仪表液晶显示屏低温加热系统
DE102011082015A1 (de) 2011-09-01 2013-03-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ahrzeug-Klimaanlage
CN202250548U (zh) 2011-10-10 2012-05-30 上海通用汽车有限公司 汽车发动机预加热远程控制系统
KR101810022B1 (ko) 2011-12-21 2017-12-1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공조장치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의 원격제어 방법
KR20130080231A (ko) 2012-01-04 2013-07-12 우신전자산업(주) 저온환경에서 구동 안정화기능을 갖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US9082239B2 (en) * 2012-03-14 2015-07-14 Flextronics Ap, Llc Intelligent vehicle for assisting vehicle occupants
US20140309930A1 (en) * 2013-04-15 2014-10-16 Flextronics Ap, Llc Automatic camera image retrieval based on route traffic and conditions
US20140310031A1 (en) * 2013-04-15 2014-10-16 Flextronics Ap, Llc Transfer of user profile data via vehicle agency control
US20140309813A1 (en) * 2013-04-15 2014-10-16 Flextronics Ap, Llc Guest vehicle user reporting
US20160070527A1 (en) * 2012-03-14 2016-03-10 Autoconnect Holdings Llc Network connected vehicle and associated controls
US20140229059A1 (en) * 2013-02-08 2014-08-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tecting presence of a person in a non-running vehicle
US20150327334A1 (en) 2013-02-22 2015-11-12 Lg Chem, Ltd. Heating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04321220B (zh) * 2013-04-15 2017-03-08 自动连接控股有限责任公司 作为模板存储的用户简档的访问和便携性
EP2817176A4 (en) * 2013-04-15 2016-08-10 Autoconnect Holdings Llc USER INTERFACE AND VIRTUAL PERSONALITY PRESENTATION BASED ON USER PROFILES
US9795521B2 (en) * 2013-09-23 2017-10-24 Halcore Group, Inc. Emergency vehicle control application
US9738136B2 (en) * 2013-11-14 2017-08-22 Globalfoundries Inc. System and method to adjust vehicle temperature based on driver location
DE102014101201A1 (de) * 2014-01-31 2015-08-06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Montagemodul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4101206A1 (de) * 2014-01-31 2015-08-06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Montagemodul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4101199A1 (de) * 2014-01-31 2015-08-06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Montagemodul für ein Kraftfahrzeug mit einem optischen Sensorsystem und einer Notbetätigung
DE102014101204A1 (de) * 2014-01-31 2015-08-06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Montagemodul für ein Kraftfahrzeug
KR20150111680A (ko) 2014-03-26 2015-10-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예열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전력공급 시스템
JP6359338B2 (ja) * 2014-05-22 2018-07-18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9418491B2 (en) * 2014-09-22 2016-08-16 Brian K. Phillips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identifying a driver by creating a unique driver profile for a vehicle from driving habits
US9555814B2 (en) * 2014-09-29 2017-01-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Unexpected thermal event assist
US10146317B2 (en) * 2014-12-12 2018-12-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accessory operation based on motion tracking
US20160191584A1 (en) * 2014-12-30 2016-06-30 Myine Electronics, Inc. Synchronized vehicle media content sharing moderation
US10131204B2 (en) * 2015-01-05 2018-11-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mart connected climate control
US20160257198A1 (en) * 2015-03-02 2016-09-08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In-vehicle component user interface
US9544412B2 (en) * 2015-03-09 2017-01-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oice profile-based in-vehicle infotainment identity identification
US9630496B2 (en) * 2015-03-24 2017-04-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ar occupant warning system
US9688194B2 (en) * 2015-03-26 2017-06-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vehicle particulate sensor data analysis
US9715442B2 (en) * 2015-03-26 2017-07-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in-vehicle hardware and software testing
US20160305791A1 (en) * 2015-04-14 2016-10-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energy alert systems and methods
US9783205B2 (en) * 2015-07-01 2017-10-10 Livio, Inc. Secure low energy vehicle information monitor
US9923943B2 (en) * 2015-07-06 2018-03-20 Livio, Inc. Low energy data streaming service
US10351009B2 (en) * 2015-07-31 2019-07-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ic vehicle display systems
US20170028850A1 (en) * 2015-07-31 2017-02-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display systems
US10952054B2 (en) * 2015-10-09 2021-03-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based content sharing
US20170117628A1 (en) * 2015-10-27 2017-04-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phased array antenna pattern generation
US20170171272A1 (en) * 2015-12-11 2017-06-15 Myine Electronics, Inc. Distributed in-vehicle resource downloading and streaming
US10093197B2 (en) * 2015-12-22 2018-10-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Key off energy management system
US9775100B1 (en) * 2016-03-22 2017-09-26 Livio, Inc. Passenger zone detection with signal strength data aided by physical signal barri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5246A (ko) * 2020-11-27 2022-06-08 (주)아이테드 부분적 발열기능을 가지는 오토 모빌리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938612A (zh) 2017-07-11
EP3208133A1 (en) 2017-08-23
EP3208133B1 (en) 2019-11-13
US10310553B2 (en) 2019-06-04
KR101858698B1 (ko) 2018-05-16
CN106938612B (zh) 2019-05-28
US20170192451A1 (en)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8698B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차량
KR102387613B1 (ko) 차량용 인터페이스 시스템
US10684620B2 (en) 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KR102561132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10144290B2 (en) User interface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KR102553434B1 (ko) 차량용 램프
KR101858694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130800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KR101859047B1 (ko) 헤드 램프,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차량
CN107364390B (zh) 设于车辆的控制装置、车辆及其控制方法
US10086762B2 (en) Vehicle display device and vehicle comprising same
KR101830664B1 (ko) 차량에 구비된 제어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EP3428027B1 (en) Driving system for vehicle
KR101969805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KR20190033368A (ko) 주행 시스템 및 차량
KR102102761B1 (ko)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차량
KR20170074740A (ko)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차량
CN109923019A (zh) 车辆上安装的车辆控制装置和车辆的控制方法
KR20180132922A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차량
KR20170128971A (ko) 차량에 구비된 제어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80122205A (ko) 차량용 스마트 키 및 시스템
CN109849906A (zh) 自主行驶车辆及其控制方法
KR102163895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CN109114521A (zh) 车辆的灯及其控制方法
KR20170054849A (ko)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