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1256A - 젖은 운동복 탈의용 보조 도구 - Google Patents

젖은 운동복 탈의용 보조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1256A
KR20170081256A KR1020177015722A KR20177015722A KR20170081256A KR 20170081256 A KR20170081256 A KR 20170081256A KR 1020177015722 A KR1020177015722 A KR 1020177015722A KR 20177015722 A KR20177015722 A KR 20177015722A KR 20170081256 A KR20170081256 A KR 20170081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portswear
mesh
strip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5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쉘 포코
Original Assignee
미쉘 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쉘 포코 filed Critical 미쉘 포코
Publication of KR20170081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2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5Sports garments other than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088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4Donning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70Remov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90Devices for domestic use for assisting in putting-on or pulling-off clothing, e.g. stockings or tro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 Cosmet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운동복(10)의 뒷부분에 위치하고 스트립 가이드(20), 망사 가이드 및 턱인 가이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동일한 가이드;를 구비하는 젖은 운동복(10) 탈의용 보조 도구가 개시된다. 가이드에는 대응하는 드로잉 수단(drawing means)이 구비되고; 드로잉 수단은 스트립(30), 망사 또는 뒤쪽 슬라이딩부로부터 선택된다. 모든 드로잉 수단은 일 측이 접합 영역(12) 내에서 끝 단(11)에 부착되고 반대하는 타 측은 그리핑 수단(gripping means)에 직접 부착되거나 또는 중간의 연결부에 부착된다. 가이드들은 운동복(10)의 어떠한 면에도 부착된다. 그리핑 수단은 착용자의 목 부분 내에서 운동복의 가장 위 부분 가까이에 위치하여 착용자의 피부(90)와의 마찰에도 불구하고 손으로 쉽게 잡거나 끌어당겨 운동복의 뒷부분이 들어 올려지게 한다. 본 발명은 운동복의 탈의시, 특히, 운동복이 젖었을 때 운동복의 보호에 유용하다. 본 발명은 노인 또는 장애인이 티셔츠와 같은 상의를 탈의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젖은 운동복 탈의용 보조 도구{WET SPORTSWEAR TAKEOFF HELPING MEANS}
본 발명은 젖은 운동복을 입은 사람의 탈의를 도와주는 운동복 탈의용 보조 도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의 탈의용 보조 도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보조 도구는 특수한 기술적 기능이 추가된 의류에 관한 기술 분야에 속한다.
본 발명이 해결해야 할 기술적인 문제점은 땀에 젖어 몸에 딱 달라붙는 운동복을 벗는데 도움이 되는 새로운 탈의용 보조 도구를 제작하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잘 알려진 해결책은 탈의 과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한 개의 단을 따라 운동복의 지퍼를 내리거나 벗을 수 있도록 지퍼 또는 물리적/자석 스냅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책은 착용자가 몸에 딱 달라붙는 운동복을 입는 데 있어 일부 바뀌어야 함은 물론이고 이러한 지퍼나 스냅은 혼자서는 다루기 어렵다.
본 발명은, 위에 인용된 종래 기술의 해결책과는 다르게 운동복 뒤편의 단 끝을 들어올림으로써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한다. 여기서, 들어올리는 도구나 탈의 도구 또는 적어도 이러한 도구를 부분적으로 갖춘 의류가 포함된 부분이 있는 종래기술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의류의 한 부분을 들어올리는 초기의 기술적 해결책들 중 하나는 미국 특허 US 560,683 (발명자: E. Bruckner)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는 무릎까지 끌어올릴 수 있고 짧아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자전거 사용자를 위한 바지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현 시스템에는 졸라맬 수 있는 끈과 잠금장치를 갖춘 적절한 가이드들이 포함된다.
미국 특허 US 724,758 (발명자: H. M. Todd) 에는 치마 또는 옷자락을 들어올리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의 목적은 여성의 치마 뒷부분이나 옆 폭을 손을 사용할 필요 없이 들어올리거나 내려뜨릴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 발명에는 치마 뒤에 부착되는 와이어 구조가 주로 포함되고, 테이프나 끈을 통과시킬 수 있는 적절한 고리가 제공되어 다 같이 묶거나 또는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서 고정시킨다.
미국 특허 US 2,127,763 (발명자: G. B. Bentz) 에는 오버코트, 톱코트, 레인코트, 케이프 등의 개선안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상기 의류들이 바닥에 떨어지거나 의자 같은 곳에 두었을 때 밟히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의류들은 의류 내의 서로 다른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끈, 테이프, 작은 체인 또는 유사한 도구를 이용해 잡아 당겨질 수 있고 이에 따라 효과적으로 단 끝을 들어올릴 수 있다.
미국 특허 US 5,299,323 (발명자: A. Schaefer 등) 에는 의류에 반복적으로 조절되는 단을 형성하는 의류 조절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 발명은 한쪽 끝이 옷의 단 안쪽에 부착되고 다른 한쪽 끝은 옷의 솔기 안쪽에 고정되는 홀딩 포켓 또는 통로를 통과하는 끈을 포함하는 조절 원리를 제공한다. 이 발명의 장점은 재단 기술을 사용하지 않고도 옷을 잘 맞게 입을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 특허 US 5,367,709 (발명자: N. A. Teasley) 는 아이의 성장에 맞추어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조절 가능한 영유아 의류를 개시한다. 옆 솔기 안쪽에 위치한 끈을 이용해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 끈은 매듭에 의해 고정된다.
마지막으로 미국 특허 US 2010/0281597 (발명자: J. A. Lang)는 중요한 물건을 찾기 위해 빠르고 원활하게 허리/벨트 라인에 닿을 수 있도록 옷의 상의에 부착되어 옷을 부분적으로 들어올리거나 빠르게 닿을 수 있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 방법은 옷을 입은 사람이 가슴 부분의 주머니에 있는 간편한 끈을 잡아당겨 허리/벨트 라인에 있는 물건을 빠르게 볼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옷의 아랫단에서 커튼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며 활동 중에 옷의 단을 들어올리지 않고 옷을 입은 사람이 빠르게 물건까지 손을 닿을 수 있게 한다.
위에 언급된 인용 발명들 중 어느 하나도 몸에 딱 달라붙는 운동복의 탈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포함하고 있지 않다. 또한, 끈이나 줄은 바지나 치마 또는 이와 비슷한 의류에서 들어올리는 용도로만 사용되거나 옷의 모양이나 기능을 조절 또는 변경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어떠한 인용발명도 원하는 기술적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스트립, 망사, 슬라이딩 부와 같이 더욱 정교해진 수단을 사용하여 몸에 달라붙거나 땀에 젖은 운동복을 탈의할 수 있는 기구를 포함하지 않는다.
최근 건강한 삶을 추구하는 추세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여러 가지 실내 및 야외 스포츠 활동을 함으로서 특수한 의류가 제작되고 사용되고 있다. 사람들은 몸에 완전히 딱 달라붙는 운동복을 입고 이러한 스포츠 활동을 하게 된다. 스포츠 활동을 하면서 운동복은 운동 중 또는 그 외 환경적 요인에 의해 흘린 땀으로 젖게 된다. 운동복이 젖게 되면 상의를 탈의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주위 사람의 도움이 필요하게 되고 그렇지 않으면 운동복이 손상될 위험이 있다. 이에 땀을 없애 주거나 땀이 옷의 표면에 묻어 증발될 수 있는 고성능의 초미세 합성 섬유, 폴리에스테르 직물로 만들어진 의류가 특히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비가 오거나 심한 운동을 한 경우, 운동복은 완전히 젖게 되고 탈의는 불가능해진다.
이에, 근본적인 기술적 문제점은 착용자의 몸에 딱 달라붙은 젖은 운동복, 특히, 운동복의 상의를 쉽게 벗을 수 있도록 간편하고 튼튼하며 심미적으로도 만족스러운 보조 도구를 제작하는 것이다.
노약자들은 척추, 관절, 팔다리 등 건강 상태에 따라 티셔츠나 옷을 벗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비만인 사람들도 비슷한 문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문제에도 위의 근본적인 기술적 문제의 해결책은 상술한 문제점에도 쉽게 확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만약 착용자가 목에 손이 닿을 수 있다면 본 발명에 의한 탈의 보조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인 문제는 의류의 뒤편 단 끝에 부착되는 대응하는, 즉, 호환가능한 드로잉 수단(drawing means)을 포함한 가이드를 갖춘 기구를 이용하여 목 부분으로 충분히 들어올려 착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게 함으로서 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착용자의 피부에 딱 달라붙은 젖은 운동복을 위한 젖은 운동복 탈의용 보조 도구를 개시한다. 상기 보조 도구는 운동복의 뒷부분에 위치하고 스트립 가이드, 망사 가이드, 또는 턱인 가이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동일한 가이드를 구비한다. 선택된 가이드에는 대응하는 드로잉 수단(drawing means), 즉, 스트립, 망사, 또는 뒤쪽 슬라이딩부가 구비된다. 모든 드로잉 수단의 시작 부분은 접합 영역 내에서 운동복 뒤쪽의 끝 단에 부착되고 드로잉 수단의 타 측은 그리핑 수단(gripping means) 또는 중간의 연결부에서 끝난다. 그리핑 수단은 착용자의 목 부분내 운동복의 가장 위 부분 가까이에 위치하여 쉽게 잡거나 끌어당겨 운동복의 뒷부분이 들어 올려지게 한다. 탈의용 보조 도구는 운동복의 내부 또는 외부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한 개의 가이드는 운동복의 측부 중 하나에 솔기를 통해 꿰매지는 소재로 만들어진 스트립 가이드이고, 스트립 가이드 내에서 스트립을 움직이게 하는 운동복 슬리브를 형성한다. 각각의 스트립 가이드는 끝 단의 가까이에 위치하는 스트립 가이드 시작부로부터 시작된다. 하나의 변형예에서, 각각의 스트립 가이드는 운동복의 목 부분 가까이 위치한 스트립 가이드 말단부에서 끝나고 각각의 스트립은 그리핑 수단에 독립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서, 스트립 가이드는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겹침 영역 내에서 겹쳐지고 대응하는 스트립은 각각 겹침 영역을 독립적으로 통과한다. 본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예에서, 스트립 가이드의 일부분은 겹침 영역에서 끝나고 대응하는 스트립은 운동복의 목 부분 가까이의 겹침 영역을 가로지르는 가이드 내에 위치한 하나의 스트립에 형성된 연결부에서 서로 연결된다.
두 번째 실시예에서, 가이드는 운동복에 솔기를 통해 꿰매지는 소재로 만들어진 망사 가이드이고 망사 가이드 내에서 망사를 움직이게 하는 슬리브를 상기 운동복에 형성한다. 망사 가이드는 끝 단의 가까이에 위치하는 망사 가이드 시작부로부터 시작된다. 본 실시예의 첫 번째 변형예에서, 직사각형 형태의 망사는 대응하는 망사 가이드에 삽입되고, 상기 망사는 그 일단이 운동복의 끝 단의 뒷부분에 전체적으로 연장되는 접합 영역에 부착된다. 망사의 타단은 그리핑 수단으로 선택된 손잡이에 부착된다. 본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예에서, 사다리꼴 형태의 망사는 대응하는 망사 가이드에 삽입된다. 망사는 사다리꼴의 바닥을 통해 끝단의 뒷부분에 전체적으로 이어져 있는 접합 영역에 부착된다. 타단에 형성된 망사 조임부는 망사 가이드 말단부 밖으로 튀어 나와 있다. 망사 조임부는 그리핑 수단으로 이용된다. 망사 조임부에는 잠금 수단이 구비되어 망사 조임부가 운동복에 형성된 잠금 수단에 부착된다.
세 번째 실시예에서, 가이드는 운동복의 목 부분에 형성된 턱인 가이드로 선택된다. 가이드는 운동복에 꿰매어지는 소재로 만들어져 조임부에 의해 뒤쪽 슬라이딩부가 턱인 가이드를 지나갈 수 있도록 짧은 슬리브를 형성한다. 조임부는 뒤쪽 슬라이딩부의 맨 위 부분으로부터 연장하고 그리핑 수단으로서 이용된다. 뒤쪽 슬라이딩부는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닿아 끝 단의 뒷부분에 전체적으로 연장하는 접합 영역 내 하부만을 통해 고정된다. 접합 영역을 제외하고 뒤쪽 슬라이딩부는 운동복의 뒷부분을 형성하되 그로부터 분리된다. 바람직하게, 뒤쪽 슬라이딩부는 바닥이 끝 단에 부착된 사다리꼴 형태를 갖고 조임부는 일단에 잠금 수단을 갖는 그리핑 수단으로서 이용된다.
위에 설명된 본 발명은 노인 또는 장애인의 상의 탈의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상의의 탈의 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7은 위에 언급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각 도면은 약간씩의 변형예들을 포함한다. 도 1a, 1b, 1c 및 1d는 하나의 스트립 가이드만을 이용하여 원하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첫 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2b 및 2c 는 세 개의 각기 다른 스트립 가이드를 포함한 첫 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3b 및 3c는 서로 겹쳐지는 두 개의 스트립 가이드를 포함한 첫 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4b 및 4c는 세 개의 스트립 가이드 중 두 개가 중앙의 스트립 가이드에 결합되는 첫 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5b, 5c 및 5d는 직사각형의 망사 가이드를 이용하여 원하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두 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6b 및 6c는 그리핑 수단(gripping means)으로서 사용되는 조임부(constriction)를 갖춘 사다리꼴 형태의 망사 가이드를 포함하는 두 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7b 및 7c는 턱인 가이드를 이용하여 원하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세 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드로잉(drawing) 수단은 운동복 뒷부분에 슬라이딩 형태로 되어 있다.
땀을 없애 주거나 땀이 옷의 표면에 묻어 증발될 수 있는 나이키의 드라이-핏(Nike’s DRI-FIT®)과 같은 고성능의 초미세 합성 섬유, 폴리에스테르 직물로 만들어진 의류가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비가 오거나 심한 운동을 한 경우, 운동복은 완전히 젖게 된다. 운동복 상의의 경우, 옷을 착용한 사람 혼자서 벗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통상적으로 몸에 딱 달라붙은 운동복을 벗는 과정에서 손상을 막기 위해 탈의를 도와줄 수 있는 사람이 한 명 더 필요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서 잘 알려진 해결책으로 탈의 과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지퍼 또는 물리적/자석 스냅을 사용하는 것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해결책은 몸에 딱 달라붙는 운동복을 입었을 때는 도움이 되지 않고 시장조사에 따르면 소비자들이 만족하지 못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에 본 발명은 위에 언급된 기술적 문제를 아래 상세히 설명될 세 개의 실시예를 통해 해결하고자 한다.
첫 번째 실시예는 현재 기술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단순한 방법을 보여주며 도 1a, 1b, 1c 및 1d에 나타나 있다. 도 1a는 운동복(10) 상의의 뒷부분을 보여주고 상기 운동복(10)에 사용된 직물(fabric)의 안쪽 면에 탈의용 보조 도구가 설치된다. 탈의용 보조 도구는 스트립(30)을 포함하고 이 스트립(30)은 바느질 또는 그 외 종래 알려진 적절한 기술을 이용해 접합 영역(12)에서 끝 단(11)과 단단하게 결합된다. 폴리에스테르 스트립(30) 또는 유사한 합성 소재의 경우, 초음파 용접 과정을 통해서 고정이 가능하다. 스트립(30)과 끝 단(11)을 결합하는 방법은 도 1c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운동복(10)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소재의 손상을 막기 위해, 접합 영역(12)에 가해지는 착용자의 힘, 즉, 끝 단(11)의 소재에 가해지는 압력이 분배될 수 있도록 접합 영역(12)은 1센티미터 또는 더 넓은 폭으로 제작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이 간단한 끈(drawstring)이 특히 끝 단에 좁은 부위에서 결합되는 경우 적합하지 않은 첫 번째 이유이다. 스트립(30)은 착용자의 피부를 위해 망사와 같은 소재 또는 통기성이 충분히 있는 어떠한 소재로도 제작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 언급된 끈과 비교하면 납작한 망사 소재로 제작된 스트립(30)은 또 다른 장점이 있다. 이러한 스트립(30)은 쉽게 끌어 당겨지거나 고정 가능하고, 착용자는 스트립 가이드(20) 내의 적어도 한 개의 스트립(30)의 존재를 거의 느끼지 못하며, 운동복은 본래의 특성과 미적 외관을 유지하게 된다. 또 다른 이유는 드라이-핏(DRI-FIT®)과 같은 새로운 소재가 레이어드되고 보디매핑 직물(body-mapping fabrics)을 추가하는 것이 보다 간단하다는 것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 가이드(20)은 끝 단(11)부터 운동복(10)의 목 부분까지 이어진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 가이드(20)뿐 아니라 스트립 가이드 시작부(21) 및 스트립 가이드 말단부(22)는 적절한 솔기(24)를 통해 길이를 따라 운동복 직물에 고정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듯이, 원하는 기술적 효과를 얻기 위해, 측부 솔기(24)가 스트립 가이드(20) 전체를 따라 이어질 필요는 없다. 스트립 가이드 시작부(21)는 접합 영역(12)과 겹쳐질 수 있고 접합 영역(12)의 솔기와 함께 꿰매어 이을 수 있다. 스트립(30)이 따라 움직이는 슬리브(sleeve)를 형성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스트립 가이드(20) 는 통기성 있는 소재로 만들어져 솔기(24) 와 함께 운동복 직물에 꿰매어질 수 있다. 도 1b는 뒤쪽 소재를 제거하여 스트립 가이드(20) 내에 있는 스트립(30)의 상대적인 위치가 드러난 운동복(10)의 내부 구조를 보여준다. 운동복 착용자의 목 가까이에 연장된 스트립(30)의 상부에는 적절한 그리핑 수단(gripping means)이 구비되는데,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손잡이(80)가 선택된다.
이러한 간단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위에 언급된 보디매핑 직물의 사용으로 인해 큰 마찰이 발생함에도, 운동복 착용자는 목 가까이에 위치하는 손잡이(80)를 머리 쪽으로 잡아당겨 착용자의 몸을 따라 뒤쪽의 끝 단(11)이 들어 올려지도록 한다. 하지만, 이러한 간단한 실시예의 기술적 결과는 때로 만족스럽지 못할 수 있다. 즉, 특히 본래의 보디매핑 직물의 초기 텐션(tension)이 사용자가 탈의하는 힘보다 큰 경우, 강한 마찰력으로 인해 탈의용 보조 도구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면, 끝 단이 뒤틀어지는 결과가 생기게 된다. 이를 막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 몇 가지 변형예를 제시하고 이는 도 2a 내지 4c에 도시된다.
도 2a에 나타난 변형예에서, 운동복(10)의 뒷면 내측에 복수의 스트립 가이드(20)가 위치한다. 이 예에서, 세 개의 스트립 가이드(20)가 사용되었고, 착용자의 견인력(pulling force)을 균등하게 분배하기 위해 양 측의 두 개의 스트립 가이드(20)는 중앙의 스트립 가이드(20)를 향해 약간 기울어져 있다. 위에 명시된 방식으로, 각각의 스트립 가이드(20)는 끝 단(11)에 고정되어 있는 적절한 스트립(30)을 구비한다. 각각의 스트립(30)은 그리핑 수단, 즉,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80)에 독립적으로 고정된다. 실제로 사용되는 모습은 도 2c에 도시되어 있는데, 가해진 힘에 의해 끝 단(11)이 균일하게 올라가는 것을 확실하게 나타낸다. 운동복(10)의 사이즈, 보디매핑 직물의 텐션, 그리고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효과에 따라 사용되는 스트립 가이드(20)의 개수를 임의로 결정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도 3a에 나타낸 본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예에서, 두 개의 스트립 가이드(20)가 운동복(10)의 뒷면 내측에 위치한다. 이 예에서 두 개의 서로 겹쳐지는 스트립 가이드(20)가 사용된다. 끝 단(11)으로부터 시작되는 각각의 스트립 가이드(20)는 X자 형태로 겹침 영역(23)에서 다른 스트립 가이드(20)와 서로 겹치고 운동복(10)의 목 부분까지 이어진다. 여기에서도, 착용자의 견인력은 끝 단(11)을 따라 균등하게 분배된다. 각각의 스트립 가이드(20)는 끝 단(11)에 고정되어 있는 적절한 스트립(30)을 구비하고 겹침 영역(23)에서 서로 교차한다. 또한, 각각의 스트립(30)은 그리핑 수단, 즉,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80)에 독립적으로 다시 고정된다. 실제로 사용되는 모습은 도 3c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 1d의 간단한 실시예에 비해 끝 단(11)이 균일하게 올라가는 것이 확실하게 나타난다.
또한, 도 4a에 나타낸 본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예에서, 세 개의 스트립 가이드(20)가 운동복(10)의 뒷면 내측에 위치한다. 이 예에서, 양 측의 두 개의 스트립 가이드(20)가 중앙의 스트립 가이드를 향해 기울어져 있고, 그것들은 끝 단(11) 으로부터 시작되어 겹침 영역(23) 내에서 끝난다. 중앙에 위치한 스트립 가이드(20)는 끝 단(11)부터 시작되어 겹침 영역(23)을 지나 운동복(10)의 목 부분까지 이어진다. 도 4b는 적절한 스트립(30)의 분배를 나타내는데, 양 측의 두 개의 스트립(30)은 꿰매어 지거나 다른 방식으로 중앙의 스트립(30)에 단단하게 연결되는 연결부(31)에서 끝이 난다. 또한, 하나의 스트립(30)만이 그리핑 수단, 즉, 도 4b에 도시된 비와 같이, 손잡이(80)에 연결됨에도 착용자의 견인력은 끝 단을 따라 균등하게 분배된다. 실제로 사용되는 모습은 도 4c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 2c의 간단한 실시예와 흡사하게 끝 단(11)이 균일하게 올라가는 것이 나타난다. 여기에서도, 운동복(10)의 사이즈, 보디매핑 직물의 텐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효과에 따라 사용되는 스트립 가이드(20)의 개수를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첫 번째 실시예에서 택한 기술적 해결책은 심미적인 이유로 탈의용 도구가 전적으로 운동복(10)의 안쪽 표면/직물에 위치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전체 탈의용 보조 도구가 운동복(10) 바깥쪽 면에 동등하게 설치될 수 있고 이 경우 그리핑 수단은 항상 겉으로 보이게 된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위의 기술적 효과를 분석해 보면, 더 많은 수의 병행하는 스트립을 사용하는 것이 끝 단(11)에 가해지는 견인력을 균일하게 하는데 더 좋다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두 번째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에 사용될 것이다.
도 5a, 5b, 5c 및 5d는 두 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실시예는 대응하는 스트립 가이드뿐 아니라 스트립의 폭이 매우 크게 도 1a, 1b, 1c 및 1d에 도시된 첫 번째 실시예와 원칙적으로 동일하다. 도 5a는 운동복(10) 상의의 뒷부분을 도시하고 탈의용 보조 도구는 상기 운동복(10)에 사용된 직물의 안쪽 면에 설치된다. 탈의용 보조 도구는 망사(50)로 형성되고 바느질 또는 그 외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종래 알려진 적합한 기술을 통해 접합 영역(12)에서 끝 단(11)과 단단하게 결합된다. 폴리에스테르 망사(50) 또는 유사한 합성 소재의 경우, 첫 번째 실시예와 같이 초음파 용접 과정을 통해서 고정이 가능하다. 망사(50) 와 끝 단(11)을 결합하는 방법은 도 5c에 도시되어 있다. 접합 영역(12)의 폭을 고려해볼 때, 본 실시예에서는 접합 영역(12)에 가해지는 착용자의 힘이 끝 단(11)의 뒷부분을 따라 분배되고, 따라서 압력 즉, 그 부분에 가해지는 힘은 첫 번째 실시예보다 현저히 작다.
망사(50)는 한 칸의 망사 크기가 적어도 1 센티미터인 낮은 밀도의 실제 망사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드라이-핏(DRI-FIT®) 또는 이와 유사한 소재처럼 착용자의 피부를 위해 통기성이 충분히 있고 밀도가 더 높은 섬유 소재로도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여기서 “망사”는 글자 그대로의 의미의 망사이기보다 착용자의 피부를 위한 통기성 있는 소재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망사 가이드(40)은 도 5a에 보이는 것과 같이 끝 단(11)부터 운동복(10)의 목 부분까지 연장한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사 가이드(40)뿐 아니라 망사 가이드 시작부(41) 및 망사 가이드 말단부(42)는 적절한 솔기(44)를 통해 길이를 따라 운동복 직물에 고정된다. 원하는 기술적 효과를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듯이, 측부 솔기(44)가 망사 가이드(40) 전체를 따라 연결될 필요는 없다. 망사 가이드 시작부(41)는 접합 영역(12)에 겹쳐질 수 있고 접합 영역(12)에 사용된 동일한 솔기와 함께 꿰매어질 수 있다. 망사(40)가 따라 움직이는 슬리브를 형성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망사 가이드(40)는 통기성 있는 소재로 만들어져 솔기(44)와 함께 운동복 직물에 꿰매어질 수 있다. 도 5b는 뒷면 소재를 제거하고 망사 가이드(40) 내에 있는 망사(50)의 상대적인 위치를 드러낸 운동복(10)의 내부 구조를 보여준다. 운동복 착용자의 목 가까이 연장된 망사(50)의 상부에는 그리핑 수단, 즉,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8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는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효과를 거의 완벽하게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 변형예는 운동복 착용자의 등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일부 경우에는 주변과의 열 및 수분 교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또 다른 변형예가 제안될 수 있다.
두 번째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예가 도 6a, 6b 및 6c에 도시된다. 주변과의 열 및 수분 교환을 향상시키기 위해, 망사(50)은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대응하는 망사 가이드(40)는 망사(50)의 모양을 따라 형성된다; 도 6a을 참조하면, 망사 가이드 시작부(41)는 끝 단(11) 가까이에 위치하고 망사 가이드 말단부(42)가 위치해 있는 목 부분을 향해 기울어져 있다. 특히, 도 6b에는 사다리꼴 망사 가이드(40) 내에 위치한 사다리꼴 형태의 망사(50)가 드러나 있다. 사다리꼴 망사(50)는 운동복(10) 밖으로 튀어나와 접히고 잠금 수단(51)을 통해 운동복(10)에 형성된 대응하는 잠금 수단(14)에 고정되는 망사 조임부(81)까지 연장된다. 망사 조임부(81)는 그리핑 수단 및 견인 수단(pulling means)으로서 동시에 사용될 수 있고 잠금 수단(51 및 14)을 이용해 운동복에 쉽게 고정된다. 잠금 수단은 일반적인 스냅, 벨크로® 걸이 및 고리가 구비된 영역, 또는 그 외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사용되는 다른 잠금 수단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상 언급된 변형예의 실제로 사용되는 모습이 도 6c에 도시되어 있다.
도 7a, 7b 및 7c에 도시된 세 번째 실시예가 본 발명의 기술적 문제에 대한 가장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가이드는 운동복 착용자의 어깨 사이에 위치한 턱인(tuck-in) 가이드(60)이고 두 번째 실시예로부터의 망사(50)가 뒤쪽 슬라이딩부(70)로 변경된다. 턱인 가이드(60)는 운동복에 꿰매어지는 소재로 만들어지고 목 부분에 짧은 슬리브가 형성된다. 도 7c를 참조하면, 턱인 가이드(60)은 뒤쪽 슬라이딩부(70)에 형성된 조임부(82)가 가로질러 지나가도록 한다. 뒤쪽 슬라이딩부(70)는 그로부터 연장된 조임부(82)와 함께 사다리꼴 형태로 제작된다. 뒤쪽 슬라이딩부(70)는 임의의 소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임의의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운동복(10)의 나머지 부분을 제작하는데 이용되는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도 7a는 뒤에서 바라본 운동복(10)을 나타낸다; 뒤쪽 슬라이딩부(70)는 부분적으로만 보이고 다른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접합 영역(12)에서 끝 단(11)에 꿰매어 진다. 운동복의 뒷부분은 아래의 접합 영역(12)과, 사다리꼴의 양 측을 구성하는 솔기(17)와, 맨 위의 턱인 가이드(60) 시작부에 의해 정해진다.
도 7b를 참조하면, 뒤쪽 슬라이딩부(70)는 상당히 넓고, 끝 단(11)에 부착되어 있는 접합 영역(12), 운동복(10) 밑의 측부 단(72), 그리고 턱인 가이드(60)를 가로지르는데 적합한 조임부(82)와 함께 끝나는 가장 위 부분으로 정해진다. 이러한 조임부(82)는 그리핑 수단 및 견인 수단으로서 사용되고 잠금 수단(71 및 14)을 통해 운동복에 쉽게 고정된다. 잠금 수단은 일반적인 스냅, 벨크로® 걸이 및 고리가 구비된 영역, 또는 그 외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사용되는 다른 잠금 수단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도 7c에는 위에 언급된 변형예의 실제로 사용되는 모습이 도시된다. 조임부(82)를 잡아당김으로써, 뒤쪽 슬라이딩부(70)가 끝 단(11)에 균일하게 작용하여 끝 단이 들어 올려지도록 한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뒤쪽 슬라이딩부(70)와 운동복(10)의 나머지 부분이 단(17)을 따라 완전히 분리되고 운동복(10)에 형성된 단(72)은 탈의용 보조 도구가 제 기능을 할 수 있게 한다. 뒤쪽 슬라이딩부(70)는 항상 착용자의 피부(90)에 닿아 있다. 등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탈의용 보조 도구를 갖춘 운동복(10)을 입은 착용자가 어느 정도 낮아진 보디매핑 직물의 텐션을 손으로 기술적으로 경험할 것임이 명백하다. 완벽한 보디매핑 특성이 필수적이지 않은 운동의 경우, 이러한 해결책으로 원하는 기술적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젖은 운동복, 특히, 몸에 딱 달라붙게 디자인된 운동복 상의를 착용자의 머리 위로 쉽게 벗을 수 있도록 하는, 간편하고 튼튼하며 심미적으로도 만족스러운 보조 도구로서 적합하다. 그러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명백하다.
노인들이 그들의 건강 상태에 따라 티셔츠나 유사한 의류를 머리 위로 벗는데 어려움을 느끼는 것을 고려하면, 위에 언급된 탈의용 보조 도구의 활용 가능성은 처음 생각했던 것 보다 더욱 크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운동복
11 끝 단
12 접합 영역
14 잠금 수단
17 단
20 스트립 가이드
21 스트립 가이드 시작부
22 스트립 가이드 말단부
23 겹침 영역
24 솔기
30 스트립
31 연결부
40 망사 가이드
41 망사 가이드 시작부
42 망사 가이드 말단부
44 솔기
50 망사
51 잠금 수단
60 턱인 가이드
70 뒤쪽 슬라이딩부
71 잠금 수단
72 단
80 손잡이
81 망사 조임부
82 조임부
90 피부

Claims (13)

  1. 착용자의 피부(90)에 딱 달라붙고 운동, 환경적 요인으로부터 기인하는 땀으로 젖은 운동복(10)의 상의 탈의용 보조 도구에 있어서,
    상기 탈의용 보조 도구는 상기 운동복(10)의 뒷부분에 위치하고,
    스트립 가이드(20), 망사 가이드(40), 또는 턱인(tuck-in) 가이드(60)로부터 선택된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에는 선택된 가이드를 위해 대응하는 드로잉 수단(drawing means)이 구비되고; 상기 드로잉 수단은 스트립(30), 망사(50) 또는 뒤쪽 슬라이딩부(70)로부터 선택되고; 모든 상기 드로잉 수단의 시작 부분은 접합 영역(12) 내에서 운동복(10)의 끝 단(11)에 부착되고 상기 드로잉 수단의 타 측은 그리핑 수단(gripping means) 또는 중간의 연결부(31)에서 끝나며,
    상기 그리핑 수단은 착용자의 목 부분 내에서 운동복(10)의 가장 위 부분 가까이에 위치하여 쉽게 잡거나 끌어당겨 운동복의 뒷부분이 들어 올려지게 하고,
    상기 탈의용 보조 도구는 상기 운동복(10)의 내부 또는 외부 표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은 운동복(10) 탈의용 보조 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개의 가이드는 운동복(10)의 양면 중 하나에 솔기(24)를 통해 꿰매지는 소재로 만들어진 스트립 가이드(20)이고, 상기 스트립 가이드(20) 내에서 스트립(30)을 움직이게 하는 운동복(10) 슬리브를 형성하고 각각의 상기 스트립 가이드(20)는 끝 단(11) 가까이에 위치하는 스트립 가이드 시작부(21)로부터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은 운동복(10) 탈의용 보조 도구.
  3.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스트립 가이드(20)는 운동복(10)의 목 부분 가까이 위치하는 스트립 가이드 말단부(22)에서 끝나고 각각의 스트립(30)은 그리핑 수단으로서 선택된 손잡이(80)에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은 운동복(10) 탈의용 보조 도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가이드(20)는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겹침 영역(23) 내에서 겹쳐지고 대응하는 스트립(30)은 각각 겹침 영역(23)을 독립적으로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은 운동복(10) 탈의용 보조 도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가이드(20)의 일부분은 겹침 영역(23)에서 끝나고 대응하는 스트립(30)은 운동복(10)의 목 부분 가까이의 겹침 영역(23)을 가로지르는 가이드(20) 내에 위치한 스트립(30)에 형성된 연결부(31)에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은 운동복(10) 탈의용 보조 도구.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가이드(20)는 착용자의 피부(90)를 향하는 운동복(10)의 내부 표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은 운동복(10) 탈의용 보조 도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운동복(10)에 솔기(44)를 통해 꿰매지는 소재로 만들어진 망사 가이드(40)이고 상기 망사 가이드(40) 내에서 망사(50)를 움직이도록 하는 슬리브를 운동복(10)에 형성하며 상기 망사 가이드(40)는 상기 끝 단(11)의 가까이에 위치하는 망사 가이드 시작부(41)로부터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은 운동복(10) 탈의용 보조 도구.
  8. 제7항에 있어서,
    직사각형 형태의 망사(50)는 대응하는 망사 가이드(40)에 삽입되고, 상기 망사(50)의 일단은 상기 끝 단(11)의 뒷부분에 전체적으로 연장되는 접합 영역(12)에 부착되고 상기 망사(50)의 타단은 그리핑 수단으로 선택된 손잡이(90)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은 운동복(10) 탈의용 보조 도구.
  9. 제7항에 있어서,
    사다리꼴 형태의 망사(50)는 대응하는 망사 가이드(40)에 삽입되고, 상기 망사(50)의 일단은 상기 끝 단(11)의 뒷부분에 전체적으로 연장하는 접합 영역(12)에 부착되고 타단은 망사 가이드 말단부(42) 밖으로 튀어나와 있는 망사 조임부(81)에 부착되며, 상기 망사 조임부(81)는 그리핑 수단의 역할을 하고 잠금 수단(51)을 구비하여 상기 망사 조임부(81)가 잠금 수단(14)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은 운동복(10) 탈의용 보조 도구.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망사 가이드(40)는 착용자의 피부(90)를 향하는 운동복(10)의 내부 표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은 운동복(10) 탈의용 보조 도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운동복(10)의 목 부분에 형성되어 운동복(10)에 꿰매어지는 소재로 만들어진 턱인 가이드(60)이고 상기 뒤쪽 슬라이딩부(70)의 맨 위 부분으로부터 연장하고 그리핑 수단으로서 이용되는 조임부(82)에 의해 상기 뒤쪽 슬라이딩부(70)가 턱인 가이드(60)를 지나갈 수 있도록 하는 짧은 슬리브를 형성하며; 상기 뒤쪽 슬라이딩부(70)는 착용자의 피부(90)에 직접 닿고 상기 끝 단(11)의 뒷부분에 전체적으로 연장하는 접합 영역(12) 내의 하부만을 통해 고정되고, 상기 접합 영역(12)을 제외하고 상기 뒤쪽 슬라이딩부(70)는 운동복(10)의 뒷부분을 형성하고 그로부터 분리되며, 단(72)은, 끝 단(11)으로부터 턱인 가이드(60)까지 연장하는 단(17)으로 가장자리가 감쳐진(hemmed) 운동복의 뒷부분 밑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은 운동복(10) 탈의용 보조 도구.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뒤쪽 슬라이딩부(70)는 바닥이 상기 끝 단(11)에 부착된 사다리꼴 형태를 갖고 상기 조임부(82)는 일단에 턱인 가이드(60) 가까이에 위치하는 잠금 수단(14)과 대응하는 잠금 수단(71)을 갖는 그리핑 수단으로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은 운동복(10) 탈의용 보조 도구.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탈의용 보조 도구는 노인 또는 장애인의 상의 탈의를 돕기 위한 탈의 도구로서 일반적인 상의를 탈의하는 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은 운동복(10) 탈의용 보조 도구.
KR1020177015722A 2014-11-11 2014-11-11 젖은 운동복 탈의용 보조 도구 KR201700812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HR2014/000040 WO2016075500A1 (en) 2014-11-11 2014-11-11 Wet sportswear takeoff helping mea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256A true KR20170081256A (ko) 2017-07-11

Family

ID=52102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5722A KR20170081256A (ko) 2014-11-11 2014-11-11 젖은 운동복 탈의용 보조 도구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0349688B2 (ko)
EP (1) EP3217820B1 (ko)
JP (1) JP6739426B2 (ko)
KR (1) KR20170081256A (ko)
CN (1) CN106998830B (ko)
CA (1) CA2967178A1 (ko)
DK (1) DK3217820T3 (ko)
EA (1) EA033324B1 (ko)
ES (1) ES2718600T3 (ko)
HR (1) HRP20190615T1 (ko)
PL (1) PL3217820T3 (ko)
PT (1) PT3217820T (ko)
SI (1) SI3217820T1 (ko)
WO (1) WO20160755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3948A (ko) 2020-09-10 2022-03-17 김성훈 바지 탈의용 보조도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14341B2 (en) * 2015-01-23 2017-11-14 Lori Ann Kobyluck Device and method of removing a sports bra
FR3070238B1 (fr) * 2017-08-31 2020-06-26 Florin Iakob Dispositif pour faciliter le retrait d'un maillot, notamment un maillot de sport
JP6877321B2 (ja) * 2017-11-21 2021-05-26 ミドリ安全株式会社 衣服
US11219249B2 (en) * 2019-08-30 2022-01-11 Jewel Brandy Adjustable strap for a garment
ES2839374A1 (es) * 2020-01-03 2021-07-05 Olivera Jorge Rehberger Vestido regulable en alturas
US20220287380A1 (en) * 2020-11-17 2022-09-15 Matthew W. Nicholson Stretchable baby garment
US20230011567A1 (en) * 2021-07-06 2023-01-12 Patrick Burns Shoulder puller wetsuits, shoulder pullers and methods for making wetsuits having shoulder pullers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683A (en) 1896-05-26 Edmund bruckner
US550683A (en) 1895-12-03 Trolley-wire crossing
US724758A (en) 1903-01-02 1903-04-07 Helen M Todd Skirt or train lifter.
US823534A (en) * 1905-10-25 1906-06-19 Charles W Hutchinson Sleeve-adjuster.
US2127763A (en) 1937-09-18 1938-08-23 George B Bentz Garment
US2153068A (en) * 1938-04-14 1939-04-04 Ultrad Products Inc Effective length adjusting means for apparel elements
US2280467A (en) * 1941-02-20 1942-04-21 Picardy Mills Inc Glove
US2632177A (en) * 1948-11-23 1953-03-24 Sallie B Bigger Maternity panty
US2687530A (en) * 1951-05-21 1954-08-31 Alice M Farnum Petticoat or the like having built-in hem adjuster
US2723398A (en) * 1952-04-23 1955-11-15 Talon Inc Child's garment
US2714718A (en) * 1952-07-17 1955-08-09 Beatrice F Kramer Adjustable garment
US2692988A (en) * 1953-02-24 1954-11-02 Mary B Rouse Slip for women
US3812539A (en) * 1973-06-29 1974-05-28 J Muehlberg Sleeping garment
CA1258351A (en) * 1985-10-17 1989-08-15 Noreen Kapp Baby robe
US4774726A (en) * 1987-09-30 1988-10-04 Garrett Lynn S Adjustable dress
US4879766A (en) * 1988-03-07 1989-11-14 Hull Harold L Brassiere and/or attachment
SE465148B (sv) * 1989-01-04 1991-08-05 Ese Flectalon Handelsbolag Fukt och vaermeisolerande skyddsdel till ytterklaeder foer oeverkroppen
USD337194S (en) * 1990-07-16 1993-07-13 Anglina Marks Combined convertible trousers and shorts
US5208920A (en) 1992-02-05 1993-05-11 Aaron Schaefer Adjustment system for garments
US5315712A (en) * 1992-06-10 1994-05-31 Lee C. Plaster Adjustable neckline blouse
US5546606A (en) * 1993-02-16 1996-08-20 Luckabaugh; Thelma J. Adjustable bridal train
US5367709A (en) 1993-07-08 1994-11-29 Teasley; Nancy A. Adjustable clothing for infants
US5539932A (en) * 1995-06-20 1996-07-30 Howard; Michael A. Adjustable length garment
US5717999A (en) * 1996-09-17 1998-02-17 Lurry; Clay A. Modular clothing
USD402440S (en) * 1997-07-21 1998-12-15 Anglina Marks Combined convertible adjustable length skirt
USD402439S (en) * 1997-07-21 1998-12-15 Anglina Marks Combined convertible adjustable length dress
JP2000199118A (ja) * 1998-12-28 2000-07-18 Kazuko Asao 衣類着脱用補助具
GB9915820D0 (en) * 1999-07-06 1999-09-08 Blechman Bernard Clothing
JP3645820B2 (ja) * 2001-02-19 2005-05-11 文則 河口 ボディースーツ
JP3855190B2 (ja) * 2001-10-23 2006-12-06 マチモト株式会社 高齢者身体不自由者用衣服
US6859944B2 (en) * 2002-09-10 2005-03-01 Jeanjear Ltd Apparatus for adjusting coverage of a portion of a body of a wearer in an article of clothing
US7171695B2 (en) * 2003-05-30 2007-02-06 Harley-Davidson Motor Company Group, Inc. Ventilated garment with vent opening system
US7168103B2 (en) * 2003-12-31 2007-01-30 Lion Apparel, Inc. Height adjustable protective garment
US7412728B2 (en) * 2004-08-27 2008-08-19 180S, Inc. Garment with a venting structur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060143779A1 (en) * 2004-12-06 2006-07-06 Curtis Lee Athletic jersey
US7841020B2 (en) * 2007-07-20 2010-11-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asy donning garment
US9265292B2 (en) * 2007-07-20 2016-02-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asy donning garment
US20100281597A1 (en) 2008-09-16 2010-11-11 James Anthony Lang Partial Garment Lift/Quick-Access System
US7971272B2 (en) * 2009-05-29 2011-07-05 Teresa Bailey Expandable children garment with an improved adjustable feature
US8914913B2 (en) 2010-05-13 2014-12-23 Gregory C Jones Pull away vest with detachable shoulders
JP2013535288A (ja) * 2010-08-02 2013-09-12 コナックス フロリダ コーポレイション 付属解除機構付きの拘束および引き上げハーネス
US8707465B2 (en) * 2011-03-11 2014-04-29 Andrew Reynolds Yank and draw concealed carry garment
US9226531B2 (en) * 2012-05-31 2016-01-05 Under Armour, Inc. Sportman's garment
JP3182255U (ja) * 2012-12-28 2013-03-14 幸生 太田 脱衣補助具
US8826466B1 (en) * 2013-02-27 2014-09-09 Chad Alan Michaelis Enhanced access garment
US9089174B1 (en) * 2013-02-27 2015-07-28 Chad Alan Michaelis Enhanced access garment
US9743692B2 (en) * 2014-04-10 2017-08-29 Jill Elizabeth Palese Compression bands, garments and related methods
PL3217821T3 (pl) * 2014-11-11 2019-07-31 Michel FORKO Środki pomagające w zdejmowaniu mokrej odzieży sportowej
US9814341B2 (en) * 2015-01-23 2017-11-14 Lori Ann Kobyluck Device and method of removing a sports br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3948A (ko) 2020-09-10 2022-03-17 김성훈 바지 탈의용 보조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17820B1 (en) 2019-01-02
EA033324B1 (ru) 2019-09-30
JP6739426B2 (ja) 2020-08-12
EP3217820A1 (en) 2017-09-20
ES2718600T3 (es) 2019-07-03
JP2017537236A (ja) 2017-12-14
PT3217820T (pt) 2019-04-24
CA2967178A1 (en) 2016-05-19
EA201790821A1 (ru) 2017-09-29
HRP20190615T1 (hr) 2019-08-09
US10349688B2 (en) 2019-07-16
DK3217820T3 (en) 2019-04-15
PL3217820T3 (pl) 2019-08-30
CN106998830B (zh) 2019-04-23
US20170311656A1 (en) 2017-11-02
WO2016075500A1 (en) 2016-05-19
SI3217820T1 (sl) 2019-08-30
CN106998830A (zh) 201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81256A (ko) 젖은 운동복 탈의용 보조 도구
US20120079644A1 (en) Convertible scarf garment
US10212978B2 (en) Hitch for cycling skirt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150305411A1 (en) Lightweight portable changing garment
DK3217821T3 (en) AID ORGAN TO TAKE WET SPORTS CLOTHING
JP3757244B1 (ja) 車椅子利用者用衣類
JP2013002021A (ja) きもの及びきものセット並びにゆかた
JP3223704U (ja) きもの
US20170295858A1 (en) Lightweight Portable Changing Garment
US20120110719A1 (en) Gathering device and a method of gathering
JP3134243U (ja) 着付け用紐セット及び着付けセット
JP3213789U (ja) 二部式着物
JP3223706U (ja) きもの
JP2015218396A (ja) 着物
JP3223705U (ja) きもの
JP2001040510A (ja) 車椅子用雨衣
CN205624518U (zh) 女士塑形衣
JP6606857B2 (ja) ネクタイ
KR101023328B1 (ko) 스커트형 바지
JP2005314846A (ja) 衣服
JP3107843U (ja) 女性用和服下着
JP2003227013A (ja) 雨 衣
KR20120067904A (ko) 탈의장치를 가진 셔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