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8755A - 감쇠 밸브 및 완충기 - Google Patents

감쇠 밸브 및 완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8755A
KR20170078755A KR1020177014549A KR20177014549A KR20170078755A KR 20170078755 A KR20170078755 A KR 20170078755A KR 1020177014549 A KR1020177014549 A KR 1020177014549A KR 20177014549 A KR20177014549 A KR 20177014549A KR 20170078755 A KR20170078755 A KR 20170078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ion
valve
chamber
extension
elong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4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츠시 사쿠타
야스히로 이나가키
Original Assignee
케이와이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237846A external-priority patent/JP651449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237842A external-priority patent/JP6442248B2/ja
Application filed by 케이와이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케이와이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78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7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 F16F9/516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resulting in the damping effects during contraction being different from the damping effects during extension, i.e. responsiv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6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 F16F9/464Control of valve bias or pre-stress, e.g. electromagnet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6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both gas and liquid
    • F16F9/066Units characterised by the partition, baffle or like element
    • F16F9/067Partitions of the piston type, e.g. sliding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6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4/00Shape
    • F16F2234/02Shape cylind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감쇠 밸브는, 통로(3, 4)와 통로(3, 4)의 출구 단부를 둘러싸는 밸브 시트(2d, 2c)를 구비한 밸브 디스크(2)와, 밸브 시트(2d, 2c)에 이격 착좌하여 통로를 개폐하는 리프 밸브(Ve, Vp)와, 리프 밸브(Ve, Vp)에 밸브 디스크(2)측을 향해 가변 가압력을 작용시키는 가압 수단을 구비하고, 리프 밸브(Ve, Vp)와 밸브 시트(2d, 2c)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감쇠 밸브 및 완충기 {DAMPING VALVE AND SHOCK ABSORBER}
본 발명은, 감쇠 밸브 및 완충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서스펜션에 사용되는 완충기에는, 감쇠력을 가변으로 할 수 있는 감쇠 밸브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있다. 이러한 완충기는, 실린더와, 실린더 내를 신장측실과 압축측실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일단부가 피스톤에 연결되어 실린더 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스톤 로드와, 감쇠 밸브를 구비한다. 다른 쪽의 감쇠 밸브는, 피스톤에 설치된 통로와, 피스톤에 설치된 상기 통로의 출구 단부를 둘러싸는 환상의 밸브 시트에 이격 착좌하는 디스크 밸브와, 디스크 밸브의 배면에 신장측실 혹은 압축측실로부터 유도되는 압력을 작용시키는 배압실과, 배압실 내의 압력을 제어하는 전자 압력 제어 밸브를 구비한다. 피스톤의 통로는, 신장측실과 압축측실을 연통한다. 디스크 밸브는, 밸브 시트에 대해 이격 착좌함으로써 당해 통로를 개폐한다. 전자 압력 제어 밸브에는 솔레노이드가 이용되고 있다(예를 들어, JP2001-12530A 참조).
이러한 완충기에서는, 전자 압력 제어 밸브를 사용하여 배압실 내의 압력을 제어함으로써, 신장 시와 수축 시의 감쇠력이 제어된다. 디스크 밸브가 밸브 시트에 착좌하는 밸브 폐쇄 상태에서는, 실린더 내의 액체는, 디스크 밸브에 형성된 고정 오리피스를 통과하여 신장측실과 압축측실을 오간다. 피스톤이 저속으로 이동하는 경우, 완충기는, 주로 고정 오리피스에서 감쇠력을 발휘한다.
차량용 완충기에는, 차량에 있어서의 승차감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피스톤 속도가 저속 영역에 있을 때의 감쇠력을 저감시키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종래의 완충기는, 디스크 밸브가 밸브 시트로부터 이격되는 밸브 개방 상태로 될 때까지는, 고정 오리피스에서 감쇠력을 발휘한다. 감쇠력을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고정 오리피스의 개구 면적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고정 오리피스의 개구 면적을 크게 하면 확실하게 감쇠력을 저감시킬 수 있지만, 감쇠력의 최댓값이 고정 오리피스에 의해 정해져 버린다. 그로 인해, 감쇠력 조정 폭이 현저하게 저감되어 버린다.
오리피스를 디스크 밸브에 형성하지 않는 경우, 감쇠력 조정 폭은 커진다. 그러나, 완충기의 감쇠력 특성을 풀 소프트로 설정해도, 감쇠력이 지나치게 커져 차량에 있어서의 승차감을 악화시켜 버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스톤 속도가 저속 영역에 있을 때의 감쇠력의 저감과 감쇠력 조정 폭의 확대가 가능한 감쇠 밸브 및 완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감쇠 밸브는, 통로와 통로의 출구 단부를 둘러싸는 밸브 시트를 구비한 밸브 디스크와, 밸브 시트에 이격 착좌하여 통로를 개폐하는 리프 밸브와, 리프 밸브에 밸브 디스크측을 향해 가변 가압력을 작용시키는 가압 수단을 구비하고, 리프 밸브부와 밸브 시트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를 적용한 완충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를 적용한 완충기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를 적용한 완충기의 감쇠력 특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를 적용한 완충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를 적용한 완충기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를 적용한 완충기의 감쇠력 특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완충기(D1)의 신장측 감쇠 밸브 및 압축측 감쇠 밸브의 양방에 적용되어 있다. 감쇠 밸브는, 밸브 디스크로서의 피스톤(2)과, 환상의 신장측 리프 밸브(Ve)와, 환상의 압축측 리프 밸브(Vp)와, 신장측 리프 밸브에 피스톤(2)측을 향해 가변 가압력을 작용시킴과 함께 압축측 리프 밸브에 피스톤(2)측을 향해 가변 가압력을 작용시키는 가압 수단을 구비한다. 피스톤(2)은, 통로로서의 신장측 통로(3) 및 압축측 통로(4)와, 당해 신장측 통로(3) 및 압축측 통로(4)의 출구 단부를 각각 둘러싸는 환상의 신장측 밸브 시트(2d) 및 압축측 밸브 시트(2c)를 구비한다. 신장측 리프 밸브(Ve)는, 신장측 밸브 시트(2d)에 이격 착좌하여 신장측 통로(3)를 개폐한다. 압축측 리프 밸브(Vp)는, 압축측 밸브 시트(2c)에 이격 착좌하여 압축측 통로(4)를 개폐한다. 신장측 리프 밸브(Ve) 및 압축측 리프 밸브(Vp)는, 피스톤(2)에 적층되어 있다. 가압 수단은, 신장측 리프 밸브(Ve)에 피스톤(2)측을 향해 가변 가압력을 작용시킴과 함께 압축측 리프 밸브(Vp)에 피스톤(2)측을 향해 가변 가압력을 작용시킨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감쇠 밸브는, 완충기(D1)의 신장측 감쇠 밸브에만, 혹은 압축측 감쇠 밸브에만 구현화되어도 되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완충기(D1)는, 작동유 등의 액체로 채워진 실린더(1)와, 실린더(1) 내에 수용되는 상기한 감쇠 밸브와, 감쇠 밸브를 구성하는 밸브 디스크로서의 피스톤(2)에 의해 실린더(1) 내에 구획된 신장측실(R1)과 압축측실(R2)과, 실린더(1) 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피스톤(2)에 연결되는 피스톤 로드(7)를 구비한다. 피스톤(2)은,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실린더(1) 내에 삽입된다. 실린더(1)에 대해 피스톤(2)이 축 방향(도 1 중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완충기(D1)는, 신장측 통로(3)를 통과하는 액체의 흐름에 대해서는 신장측 리프 밸브(Ve)에서 저항을 부여하고, 압축측 통로(4)를 통과하는 액체의 흐름에 대해서는 압축측 리프 밸브(Vp)에서 저항을 부여하여, 그것에 의해 감쇠력을 발휘한다.
또한, 실린더(1)의 도 1 중 하방에는, 도시는 하지 않지만, 실린더(1) 내를 미끄럼 이동하는 프리 피스톤이 설치되어 있다. 이 프리 피스톤에 의해 실린더(1) 내에 기체실이 형성된다. 또한, 피스톤(2)은, 실린더(1) 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된 피스톤 로드(7)의 일단부에 연결된다. 피스톤 로드(7)는, 실린더(1)의 상단부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환상의 로드 가이드의 내주를 관통하여 실린더(1)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 로드(7)와 실린더(1)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시일이 설치되어 있고, 이 시일에 의해 실린더(1) 내가 액밀 상태로 되어 있다. 도시한 부분에서는, 완충기(D1)가 이른바 편로드형으로 설정되어 있다. 완충기(D1)의 신축에 수반하여 실린더(1) 내에 드나드는 피스톤 로드(7)의 체적은, 상기한 기체실 내의 기체의 체적이 팽창 혹은 수축하여 상기 프리 피스톤이 실린더(1) 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보상된다. 이와 같이, 완충기(D1)는, 단통형으로 설정되어 있지만, 프리 피스톤 및 기체실의 설치 대신에, 실린더(1)의 외주나 외부에 리저버를 설치하여 당해 리저버에 의해 상기 피스톤 로드(7)의 체적 보상을 행해도 된다.
또한, 감쇠 밸브에 있어서의 가압 수단은, 이 예에서는, 신장측 리프 밸브(Ve)를 가압하는 신장측 스풀(Se)과, 내부 압력으로 신장측 스풀(Se)을 압박하는 신장측 배압실(Ce)과, 압축측 리프 밸브(Vp)를 가압하는 압축측 스풀(Sp)과, 내부 압력으로 압축측 스풀(Sp)을 압박하는 압축측 배압실(Cp)과, 신장측 저항 요소로서의 신장측 파일럿 오리피스(Pe)를 통해 압축측 배압실(Cp)에 연통됨과 함께, 압축측 저항 요소로서의 압축측 파일럿 오리피스(Pp)를 통해 신장측 배압실(Ce)에 연통되는 연통로(24)와, 신장측실(R1)로부터 압축측 배압실(Cp)로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신장측 압력 도입 통로(Ie)와, 압축측실(R2)로부터 신장측 배압실(Ce)로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압축측 압력 도입 통로(Ip)와, 연통로(24)에 접속되는 조정 통로(Pc)와, 조정 통로(Pc)의 하류를 신장측실(R1)에 연통함과 함께 조정 통로(Pc)로부터 신장측실(R1)로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압축측 배출 통로(Ep)와, 조정 통로(Pc)의 하류를 압축측실(R2)에 연통함과 함께 조정 통로(Pc)로부터 압축측실(R2)로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신장측 배출 통로(Ee)와, 조정 통로(Pc)에 설치된 전자 압력 제어 밸브(6)를 구비한다. 신장측 파일럿 오리피스(Pe)는, 신장측 파일럿 오리피스(Pe)를 통과하는 액체의 흐름에 저항을 부여한다. 압축측 파일럿 오리피스(Pp)는, 압축측 파일럿 오리피스(Pp)를 통과하는 액체의 흐름에 저항을 부여한다. 전자 압력 제어 밸브(6)는, 조정 통로(Pc)의 상류 압력을 제어한다.
이하, 감쇠 밸브 및 완충기(D1)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피스톤 로드(7)는, 피스톤(2)을 보유 지지하는 피스톤 보유 지지 부재(8)와, 일단부가 피스톤 보유 지지 부재(8)에 연결된 전자 밸브 수용 통(9)과, 일단부가 전자 밸브 수용 통(9)에 연결됨과 함께 타단부가 실린더(1)의 상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로드 부재(10)로 형성되어 있다. 전자 밸브 수용 통(9)은, 전자 압력 제어 밸브(6)를 수용하는 중공의 수용부(L)를 피스톤 보유 지지 부재(8)와 함께 형성한다.
피스톤 보유 지지 부재(8)는, 외주에 환상의 피스톤(2)이 장착되는 보유 지지축(8a)과, 보유 지지축(8a)의 도 1 중 상단 외주에 형성된 플랜지(8b)와, 플랜지(8b)의 도 1 중 상단 외주에 설치된 통 형상의 소켓(8c)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피스톤 보유 지지 부재(8)는, 보유 지지축(8a)의 선단으로부터 개구되어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구멍(8d)과, 플랜지(8b)의 도 1 중 하단부에 상기 보유 지지축(8a)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환상 홈(8e)과, 환상 홈(8e)을 소켓(8c) 내에 연통하는 포트(8f)와, 환상 홈(8e)을 세로 구멍(8d) 내에 연통시키는 가로 구멍(8g)과, 신장측 저항 요소로서의 신장측 파일럿 오리피스(Pe)와, 압축측 저항 요소로서의 압축측 파일럿 오리피스(Pp)와, 보유 지지축(8a)의 도 1 중 하단부 외주에 설치된 나사부(8i)와, 플랜지(8b)의 상단부에 형성된 홈(8j)을 구비한다. 세로 구멍(8d)은, 상기 소켓(8c) 내에 통해 있다. 신장측 파일럿 오리피스(Pe)와 압축측 파일럿 오리피스(Pp)는, 보유 지지축(8a)의 외주로부터 개구되어 세로 구멍(8d)에 통해 있다. 홈(8j)은, 세로 구멍(8d)에 통해 있다.
보유 지지축(8a)에 형성된 세로 구멍(8d) 내에는, 통 형상의 세퍼레이터(23)가 삽입되어 있다. 세퍼레이터(23)의 외주에는 환상 홈(23a)이 형성되어 있다. 세퍼레이터(23)는, 세로 구멍(8d) 내에 신장측 파일럿 오리피스(Pe)와 압축측 파일럿 오리피스(Pp)를 연통시키는 연통로(24)를 환상 홈(23a)으로 형성한다. 이 세퍼레이터(23)의 도 1 중 하단부에는, 당해 하단부의 개구를 둘러싸는 환상 밸브 시트(23b)가 설치되어 있다. 세로 구멍(8d)은, 세퍼레이터(23) 내를 통해 압축측실(R2)을 소켓(8c) 내로 연통시키는 한편, 세퍼레이터(23)는 신장측 파일럿 오리피스(Pe)와 압축측 파일럿 오리피스(Pp)가 세로 구멍(8d) 내를 통해서는 압축측실(R2) 및 소켓(8c) 내로 통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로 구멍(8g)도 연통로(24)에 통해 있다. 세퍼레이터(23)는, 이 가로 구멍(8g)이 세로 구멍(8d) 내를 통해서는 압축측실(R2) 및 소켓(8c) 내로 통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신장측 저항 요소 및 압축측 저항 요소는, 통과하는 액체의 흐름에 대해 저항을 부여하면 되므로, 오리피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신장측 저항 요소 및 압축측 저항 요소는, 초크 통로와 같은 다른 스로틀로 되어도 되고, 리프 밸브나 포핏 밸브 등의 저항을 부여하는 밸브로 되어도 된다.
소켓(8c)의 도 1 중 상단 외주에는, 환상의 오목부(8k)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소켓(8c)에는, 오목부(8k)로부터 소켓(8c) 내로 통하는 관통 구멍(8m)이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8k)에는, 환상 판(22a)이 장착되어 있다. 이 환상 판(22a)이 도 1 중 상방으로부터 스프링 부재(22b)에 의해 가압되어, 관통 구멍(8m)을 폐색하고 있다.
전자 밸브 수용 통(9)은, 정상부가 있는 통 형상의 수용 통부(9a)와, 당해 수용 통부(9a)의 정상부로부터 도 1 중 상방으로 신장되는 통 형상의 연결부(9b)와, 수용 통부(9a)의 측방으로부터 개구되어 내부로 통하는 투과 구멍(9c)을 구비한다. 연결부(9b)의 외경은, 수용 통부(9a)의 외경보다 작다. 전자 밸브 수용 통(9)의 수용 통부(9a)의 내주에 피스톤 보유 지지 부재(8)의 소켓(8c)을 나사 장착함으로써, 전자 밸브 수용 통(9)에 피스톤 보유 지지 부재(8)가 일체화된다. 또한 이 나사 장착에 의해, 전자 압력 제어 밸브(6)를 수용하는 수용부(L)가 전자 밸브 수용 통(9)과 피스톤 보유 지지 부재(8)에 의해 수용 통부(9a) 내에 형성된다. 수용부(L) 내에는,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조정 통로(Pc)의 일부가 설치된다. 또한, 수용부(L)는, 상기한 포트(8f), 환상 홈(8e) 및 가로 구멍(8g)에 의해 연통로(24)에 연통되어 있다. 이들 포트(8f), 환상 홈(8e) 및 가로 구멍(8g)에 의해 조정 통로(Pc)의 일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용부(L)는, 연통로(24)에 연통되어 있으면 되므로, 포트(8f), 환상 홈(8e) 및 가로 구멍(8g)을 채용하는 일 없이, 수용부(L)와 직접적으로 연통로(24)에 연통하는 통로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포트(8f), 환상 홈(8e) 및 가로 구멍(8g)을 채용함으로써 수용부(L)와 연통로(24)를 연통하는 통로의 가공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전자 밸브 수용 통(9)에 피스톤 보유 지지 부재(8)가 일체화되면, 투과 구멍(9c)은 오목부(8k)에 대향한다. 그리고, 투과 구멍(9c)은, 관통 구멍(8m)과 협동하여, 수용부(L)를 신장측실(R1)에 연통시킨다. 환상 판(22a)과 스프링 부재(22b)에 의해, 수용부(L) 내로부터 신장측실(R1)로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역지 밸브(22)가 형성되어 있다. 즉, 압축측 배출 통로(Ep)는, 투과 구멍(9c), 오목부(8k), 관통 구멍(8m) 및 당해 역지 밸브(22)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 보유 지지 부재(8)에 있어서의 세로 구멍(8d) 내에는, 세퍼레이터(23)의 도 1 중 하단부에 설치된 환상 밸브 시트(23b)에 이격 착좌하는 역지 밸브(25)가 설치되어 있다. 역지 밸브(25)는, 압축측실(R2)측으로부터 수용부(L)로 향하는 액체의 흐름을 저지함과 함께, 수용부(L)로부터 압축측실(R2)로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한다. 즉, 신장측 배출 통로(Ee)는, 세퍼레이터(23)에 의해, 세로 구멍(8d) 내에 형성되어 있다.
로드 부재(10)는 통 형상을 갖는다. 로드 부재(10)의 도 1 중 하단부의 내주는 직경 확장되어 있어, 전자 밸브 수용 통(9)의 연결부(9b)의 삽입을 허용한다. 로드 부재(10)는, 이 연결부(9b)의 나사 장착을 가능하게 하는 나사부(부호로 나타내지 않음)를 내주에 구비하고 있다. 로드 부재(10), 전자 밸브 수용 통(9) 및 피스톤 보유 지지 부재(8)를 일체화함으로써 피스톤 로드(7)가 형성된다.
또한, 로드 부재(10) 내, 및 전자 밸브 수용 통(9)에 있어서의 연결부(9b) 내에는, 후술하는 솔레노이드로 전력을 공급하는 하니스(H)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하니스(H)의 상단부는, 도시는 하지 않지만 로드 부재(10)의 상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신장되어 있고, 전원에 접속된다.
피스톤 보유 지지 부재(8)에 설치된 보유 지지축(8a)의 외주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상의 피스톤(2)이 조립 장착된다. 보유 지지축(8a)의 외주, 또한 피스톤(2)의 도 3 중 상방에는, 환상 스페이서로서의 압축측 환상 스페이서(60), 압축측 리프 밸브(Vp), 스페이서로서의 압축측 스페이서(61), 환상 플레이트로서의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62), 압축측 플레이트 스토퍼(63), 압축측 스풀(Sp) 및 압축측 챔버(11)가 조립 장착된다. 압축측 챔버(11)는, 압축측 배압실(Cp)을 형성한다. 보유 지지축(8a)의 외주, 또한 피스톤(2)의 도 3 중 하방에는, 환상 스페이서로서의 신장측 환상 스페이서(64), 신장측 리프 밸브(Ve), 스페이서로서의 신장측 스페이서(65), 환상 플레이트로서의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66), 신장측 플레이트 스토퍼(67), 신장측 스풀(Se) 및 신장측 챔버(12)가 조립 장착된다. 신장측 챔버(12)는, 신장측 배압실(Ce)을 형성한다.
피스톤(2)은, 상하 2분할된 디스크(2a, 2b)를 겹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2)에는, 각각이 신장측실(R1)과 압축측실(R2)을 연통하는 신장측 통로(3)와 압축측 통로(4)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피스톤(2)을 상하로 분할된 디스크(2a, 2b)로 형성함으로써, 복잡한 형상의 신장측 통로(3) 및 압축측 통로(4)를 펀칭 가공에 의존하지 않고 형성할 수 있고, 저렴하고 또한 용이하게 피스톤(2)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있어서 상방측의 디스크(2a)는, 그 상단부에 형성된 환상 창(2e)과, 환상 창(2e)의 외주측에 설치된 환상의 압축측 밸브 시트(2c)와, 환상 창(2e)의 내주에 설치된 내주 시트부(2f)를 갖는다. 환상 창(2e)은, 압축측 통로(4)에 연통된다. 압축측 밸브 시트(2c)는, 압축측 통로(4)를 둘러싼다. 한편, 하방측의 디스크(2b)는, 그 하단부에 형성된 환상 창(2g)과, 환상 창(2g)의 외주측에 설치된 환상의 신장측 밸브 시트(2d)와, 환상 창(2g)의 내주에 설치된 내주 시트부(2h)를 갖는다. 환상 창(2g)은, 신장측 통로(3)에 연통된다. 신장측 밸브 시트(2d)는, 신장측 통로(3)를 둘러싼다.
신장측 리프 밸브(Ve)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스톤 보유 지지 부재(8)의 보유 지지축(8a)의 삽입 관통을 허용하기 위해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신장측 리프 밸브(Ve)는, 2매의 환상 판(71, 72)을 겹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신장측 리프 밸브(Ve)의 내주는 피스톤(2)과 신장측 챔버(12)에 의해 끼움 지지되어 있고, 이 끼움 지지에 의해 신장측 리프 밸브(Ve)는 피스톤 보유 지지 부재(8)의 보유 지지축(8a)에 고정되어 있다. 신장측 리프 밸브(Ve)의 외주의 휨은 허용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신장측 리프 밸브(Ve)와 신장측 챔버(12) 사이에는, 신장측 스페이서(65)가 개재 장착되어 있다. 신장측 리프 밸브(Ve)의 도 3 중 하방측으로의 휨은, 신장측 스페이서(65)에 의해 지지되는 부위보다 외주측에 있어서 허용된다. 신장측 리프 밸브(Ve)의 도 3 중 상방측으로의 휨은, 신장측 환상 스페이서(64)에 의해 지지되는 부위보다 외주측에 있어서 허용된다. 또한, 피스톤(2)측에 배치되는 환상 판(71)의 외주에는, 신장측 밸브 시트(2d)에 착좌되었을 때에 오리피스로서 기능하는 절결(71a)이 마련되어 있다.
신장측 리프 밸브(Ve)는, 피스톤(2)의 내주 시트부(2h)에 적층되는 신장측 환상 스페이서(64)를 통해 피스톤(2)의 도 3 중 하방에 적층된다. 신장측 리프 밸브(Ve)에 부하가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신장측 리프 밸브(Ve)와 신장측 밸브 시트(2d)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도 3 중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이 간극의 길이는, 두께가 상이한 신장측 환상 스페이서(64)로 교환함으로써, 또는 신장측 환상 스페이서(64)의 적층 매수를 변경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신장측 리프 밸브(Ve)와 신장측 밸브 시트(2d) 사이의 간극은, 내주 시트부(2h)의 높이를 신장측 밸브 시트(2d)의 높이보다 높게 하고 신장측 리프 밸브(Ve)를 직접 내주 시트부(2h)에 적층함으로써, 신장측 환상 스페이서(64)를 사용하지 않고 형성할 수 있다. 단, 신장측 환상 스페이서(64)를 내주 시트부(2h)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간극의 길이의 조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신장측 리프 밸브(Ve)는, 배면측(피스톤(2)과는 반대측)으로부터 가압 수단에 의해 가압력이 부하되면 휜다. 이 가압력이 커지면 신장측 리프 밸브(Ve)는 신장측 밸브 시트(2d)에 착좌하여 신장측 통로(3)를 폐색한다. 이 상태에서는 절결(71a)에 의해서만 신장측 통로(3)가 압축측실(R2)에 연통된다.
또한, 신장측 스페이서(65)의 외주에는,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66)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축 방향에 있어서의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66)의 길이는, 축 방향에 있어서의 신장측 스페이서(65)의 길이보다 짧다. 따라서,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66)는 신장측 스페이서(65)의 외주에 미끄럼 접촉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신장측 스페이서(65)의 도 3 중 하방에는, 환상의 신장측 플레이트 스토퍼(67)가 설치되어 있다. 신장측 플레이트 스토퍼(67)의 외경은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66)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 신장측 플레이트 스토퍼(67)의 하방에 신장측 챔버(12)가 적층된다. 또한,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66)의 내경은, 피스톤(2)에 설치된 내주 시트부(2h)의 외경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66)의 외경은, 신장측 밸브 시트(2d)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66)는, 신장측 환상 스페이서(64)와 신장측 플레이트 스토퍼(67) 사이에서 축 방향(도 3 중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66)는, 신장측 리프 밸브(Ve)를 구성하는 환상 판(71, 72)보다 휨 강성이 높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축 방향에 있어서의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66)의 길이(두께)를 축 방향에 있어서의 신장측 리프 밸브(Ve)의 환상 판(71, 72)의 길이(두께)보다 길게 함으로써,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66)의 강성을 신장측 리프 밸브(Ve)의 강성보다 높게 하고 있다. 두께에 의해 강성을 강하게 할 뿐만 아니라, 신장측 리프 밸브(Ve)보다 고강성의 재료로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66)를 형성함으로써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66)의 강성을 높여도 된다.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66)가 배면측으로부터 신장측 배압실(Ce) 내의 압력과 신장측 스풀(Se)에 의해 압박되면,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66)가 신장측 리프 밸브(Ve)를 밀어올려 휘게 한다. 신장측 리프 밸브(Ve)가 신장측 밸브 시트(2d)에 착좌할 때까지 휘면,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66)가 내주 시트부(2h)와 신장측 밸브 시트(2d)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신장측 배압실(Ce) 내의 압력과 신장측 스풀(Se)에 의한 가압력을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66)가 받아낸다. 따라서, 신장측 리프 밸브(Ve)의 그 이상의 변형이 억제되어, 신장측 리프 밸브(Ve)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66)는, 신장측 스페이서(65)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로 인해, 신장측 리프 밸브(Ve)가 신장측 밸브 시트(2d)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휠 때에는,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66)는, 신장측 스페이서(65)에 대해 도 3 중 하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신장측 리프 밸브(Ve)의 피스톤(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휨 동작은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66)에 의해 방해되지 않는다.
신장측 챔버(12)는, 피스톤 보유 지지 부재(8)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축(8a)의 외주에 끼워 맞추어지는 통 형상의 장착부(12a)와, 장착부(12a)의 도 3 중 하단부 외주에 형성된 플랜지부(12b)와, 플랜지부(12b)의 외주로부터 피스톤(2)측을 향해 신장되는 미끄럼 접촉 통(12c)과, 장착부(12a)의 내주에 형성된 환상 홈(12d)과, 장착부(12a)의 외주로부터 환상 홈(12d)으로 통하는 절결(12e)을 구비한다. 신장측 챔버(12)가 보유 지지축(8a)에 조립 장착된 상태에서는, 환상 홈(12d)은, 보유 지지축(8a)에 형성된 압축측 파일럿 오리피스(Pp)에 대향한다. 신장측 챔버(12)에 있어서의 장착부(12a)와 신장측 스페이서(65)의 사이에는, 신장측 플레이트 스토퍼(67)가 개재 장착되어 있다. 신장측 플레이트 스토퍼(67)를 폐지하고 장착부(12a)에 의해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66)의 이동 하한을 규제해도 된다. 신장측 챔버(12)를 피스톤 보유 지지 부재(8)의 보유 지지축(8a)에 조립 장착할 때, 압축측 파일럿 오리피스(Pp)와 환상 홈(12d)을 대향시키도록 신장측 챔버(12)의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신장측 플레이트 스토퍼(67)를 장착부(12a)와 신장측 스페이서(65)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장측 플레이트 스토퍼(67)에 의해, 신장측 챔버(12)의 피스톤 보유 지지 부재(8)에 대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 미끄럼 접촉 통(12c) 내에는, 신장측 스풀(Se)이 수용되어 있다. 신장측 스풀(Se)의 외주는 미끄럼 접촉 통(12c)의 내주에 미끄럼 접촉하고 있고, 신장측 스풀(Se)은 당해 미끄럼 접촉 통(12c) 내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신장측 스풀(Se)은, 환상의 스풀 본체(13)와, 스풀 본체(13)의 도 3 중 상단 내주로부터 상승하는 환상 돌기(14)를 구비하고 있다. 이 환상 돌기(14)의 내경은,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66)의 외경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고, 환상 돌기(14)는,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66)의 배면(도 3 중 하면)에 맞닿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신장측 챔버(12)에 신장측 스풀(Se)을 조립 장착하여 당해 신장측 챔버(12)를 보유 지지축(8a)에 조립 장착하면, 신장측 리프 밸브(Ve)의 배면측(도 3 중 하방측)에 신장측 배압실(Ce)이 형성된다. 또한, 스풀 본체(13)의 내경은, 장착부(12a)의 외경보다 크다. 스풀 본체(13)의 내주가 장착부(12a)의 외주에 미끄럼 접촉하도록 스풀 본체(13)의 내경을 설정하여 신장측 배압실(Ce)을 신장측 스풀(Se)에 의해 막는 것도 가능하다.
신장측 챔버(12)의 장착부(12a)의 내주에는, 환상 홈(12d)이 형성된다. 장착부(12a)는, 장착부(12a)의 외주로부터 당해 환상 홈(12d)으로 통하는 절결(12e)을 구비하고 있다. 신장측 챔버(12)를 보유 지지축(8a)에 조립 장착한 상태에서는, 환상 홈(12d)은 보유 지지축(8a)에 형성된 압축측 파일럿 오리피스(Pp)에 대향하여, 신장측 배압실(Ce)이 압축측 파일럿 오리피스(Pp)로 통한다.
또한, 신장측 챔버(12)에는, 플랜지부(12b)의 외주로부터 개구되는 압축측 압력 도입 통로(Ip)가 설치되어 있다. 압축측실(R2)은 압축측 압력 도입 통로(Ip)를 통해 신장측 배압실(Ce) 내로 통하고 있다. 신장측 챔버(12)의 플랜지부(12b)의 도 3 중 상단부에는, 환상 판(15)이 적층되어 있다. 이 환상 판(15)과 신장측 스풀(Se)에 있어서의 스풀 본체(13) 사이에는 스프링 부재(16)가 개재 장착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16)에 의해 당해 환상 판(15)이 플랜지부(12b)에 압박되어, 압축측 압력 도입 통로(Ip)가 폐색된다. 또한, 압축측 압력 도입 통로(Ip)는, 통과 액체의 흐름에 대해 저항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배려되어 있다.
이 환상 판(15)은, 완충기(D1)가 수축 작동하여 압축측실(R2)이 압축되어 압력이 높아지면, 당해 압력에 의해 압박되어 플랜지부(12b)로부터 이격되어 압축측 압력 도입 통로(Ip)를 개방한다. 신장측 배압실(Ce) 내의 압력이 압축측실(R2)보다 높아지는 완충기(D1)의 신장 작동 시에는, 환상 판(15)은, 플랜지부(12b)에 압박되어 압축측 압력 도입 통로(Ip)를 폐색한다. 즉, 환상 판(15)은 압축측실(R2)로부터의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압축측 역지 밸브(Tp)의 밸브체로서 기능하고 있다. 이 압축측 역지 밸브(Tp)에 의해, 압축측 압력 도입 통로(Ip)는, 압축측실(R2)로부터 신장측 배압실(Ce)로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일방통행의 통로로 설정된다.
스프링 부재(16)는, 환상 판(15)을 플랜지부(12b)에 압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스프링 부재(16)는, 역지 밸브의 밸브체(환상 판(15))와 함께 압축측 역지 밸브(Tp)를 구성한다. 또한, 스프링 부재(16)는, 신장측 스풀(Se)을 신장측 리프 밸브(Ve)를 향해 가압하는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신장측 리프 밸브(Ve)가 휘어 신장측 스풀(Se)이 피스톤(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도 3 중 하방)으로 압박되고, 그 후 신장측 리프 밸브(Ve)의 휨이 해소되었을 때에도, 신장측 스풀(Se)이 스프링 부재(16)에 의해 가압되어 있으므로, 신장측 스풀(Se)은, 신장측 리프 밸브(Ve)에 추종하여 신속하게 원래의 위치(도 3에 도시하는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다. 신장측 스풀(Se)을 스프링 부재(16)와는 다른 스프링 부재로 가압하는 것도 가능하다. 압축측 역지 밸브(Tp)를 구성하는 스프링 부재와 신장측 스풀(Se)을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를 공용함으로써,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음과 함께 구조가 간단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신장측 스풀(Se)의 외경은, 환상 돌기(14)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되고, 환상 돌기(14)가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66)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신장측 스풀(Se)은 신장측 배압실(Ce)의 압력에 의해 상시 신장측 리프 밸브(Ve)를 향해 가압된다.
피스톤(2)의 상방에 적층되는 압축측 리프 밸브(Vp)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장측 리프 밸브(Ve)와 마찬가지로, 피스톤 보유 지지 부재(8)의 보유 지지축(8a)의 삽입 관통을 허용하기 위해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압축측 리프 밸브(Vp)는, 2매의 환상 판(81, 82)을 겹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압축측 리프 밸브(Vp)의 내주는 피스톤(2)과 압축측 챔버(11)에 의해 끼움 지지되어 있고, 이 끼움 지지에 의해, 압축측 리프 밸브(Vp)는 피스톤 보유 지지 부재(8)의 보유 지지축(8a)에 고정되어 있다. 압축측 리프 밸브(Vp)의 외주의 휨은 허용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압축측 리프 밸브(Vp)와 압축측 챔버(11) 사이에는, 압축측 스페이서(61)가 개재 장착되어 있다. 압축측 리프 밸브(Vp)의 도 3 중 상방측으로의 휨은, 압축측 스페이서(61)에 의해 지지되는 부위보다 외주측에 있어서 허용된다. 압축측 리프 밸브(Vp)의 도 3 중 하방측으로의 휨은, 압축측 환상 스페이서(60)에 의해 지지되는 부위보다 외주측에 있어서 허용된다. 또한, 피스톤(2)측에 배치되는 환상 판(81)의 외주에는, 압축측 밸브 시트(2c)에 착좌되었을 때, 오리피스로서 기능하는 절결(81a)이 형성되어 있다.
압축측 리프 밸브(Vp)는, 피스톤(2)의 내주 시트부(2f)에 적층되는 압축측 환상 스페이서(60)를 통해 피스톤(2)의 도 3 중 상방에 적층된다. 압축측 리프 밸브(Vp)에 부하가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압축측 리프 밸브(Vp)와 압축측 밸브 시트(2c)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도 3 중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이 간극의 길이는, 두께가 상이한 압축측 환상 스페이서(60)로 교환함으로써, 또는 압축측 환상 스페이서(60)의 적층 매수를 변경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압축측 리프 밸브(Vp)와 압축측 밸브 시트(2c) 사이의 간극은, 내주 시트부(2f)의 높이를 압축측 밸브 시트(2c)의 높이보다 높게 하고 압축측 리프 밸브(Vp)를 직접 내주 시트부(2f)에 적층함으로써, 압축측 환상 스페이서(60)를 사용하는 일 없이 형성할 수 있다. 단, 압축측 환상 스페이서(60)를 내주 시트부(2f)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간극의 길이의 조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압축측 리프 밸브(Vp)는, 배면측(피스톤(2)과는 반대측)으로부터 가압 수단에 의해 가압력이 부하되면 휜다. 이 가압력이 커지면 압축측 리프 밸브(Vp)는 압축측 밸브 시트(2c)에 착좌되어 압축측 통로(4)를 폐색한다. 이 상태에서는 절결(81a)에 의해서만 압축측 통로(4)가 신장측실(R1)에 연통된다.
또한, 압축측 스페이서(61)의 외주에는,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62)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축 방향에 있어서의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62)의 길이는, 축 방향에 있어서의 압축측 스페이서(61)의 길이보다 짧다. 따라서,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62)는, 압축측 스페이서(61)의 외주에 미끄럼 접촉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압축측 스페이서(61)의 도 3 중 상방에는, 환상의 압축측 플레이트 스토퍼(63)가 설치되어 있다. 압축측 플레이트 스토퍼(63)의 외경은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62)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 압축측 플레이트 스토퍼(63)의 상방에 압축측 챔버(11)가 적층된다. 또한,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62)의 내경은, 피스톤(2)에 설치된 내주 시트부(2f)의 외경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62)의 외경은, 압축측 밸브 시트(2c)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62)는 압축측 환상 스페이서(60)와 압축측 플레이트 스토퍼(63) 사이에서 축 방향(도 3 중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62)는, 압축측 리프 밸브(Vp)를 구성하는 환상 판(81, 82)보다 휨 강성이 높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축 방향에 있어서의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62)의 길이(두께)를 축 방향에 있어서의 압축측 리프 밸브(Vp)의 환상 판(81, 82)의 길이(두께)보다 길게 함으로써,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62)의 강성을 압축측 리프 밸브(Vp)의 강성보다 높게 하고 있다. 두께에 의해 강성을 강하게 할 뿐만 아니라, 압축측 리프 밸브(Vp)보다 고강성의 재료로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62)를 형성함으로써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62)의 강성을 높여도 된다.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62)가 배면측으로부터 압축측 배압실(Cp) 내의 압력과 압축측 스풀(Sp)에 의해 압박되면,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62)가 압축측 리프 밸브(Vp)를 밀어내려 휘게 한다. 압축측 리프 밸브(Vp)가 압축측 밸브 시트(2c)에 착좌할 때까지 휘면,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62)가 내주 시트부(2f)와 압축측 밸브 시트(2c)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압축측 배압실(Cp) 내의 압력과 압축측 스풀(Sp)에 의한 가압력을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62)가 받아낸다. 따라서, 압축측 리프 밸브(Vp)의 그 이상의 변형이 억제되어, 압축측 리프 밸브(Vp)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62)는, 압축측 스페이서(61)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로 인해, 압축측 리프 밸브(Vp)가 압축측 밸브 시트(2c)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휠 때에는,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62)는 압축측 스페이서(61)에 대해 도 3 중 상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압축측 리프 밸브(Vp)의 휨 동작은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62)에 의해 방해되지 않는다.
압축측 챔버(11)는, 피스톤 보유 지지 부재(8)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축(8a)의 외주에 끼워 맞추어지는 통 형상의 장착부(11a)와, 장착부(11a)의 도 3 중 상단 외주에 형성된 플랜지부(11b)와, 플랜지부(11b)의 외주로부터 피스톤(2)측을 향해 신장되는 미끄럼 접촉 통(11c)과, 장착부(11a)의 내주에 형성된 환상 홈(11d)과, 장착부(11a)의 외주로부터 환상 홈(11d)으로 통하는 절결(11e)을 구비한다. 압축측 챔버(11)가 보유 지지축(8a)에 조립 장착된 상태에서는, 환상 홈(11d)은, 보유 지지축(8a)에 형성된 신장측 파일럿 오리피스(Pe)에 대향한다. 압축측 챔버(11)에 있어서의 장착부(11a)와 압축측 스페이서(61) 사이에는, 압축측 플레이트 스토퍼(63)가 개재 장착되어 있다. 압축측 플레이트 스토퍼(63)를 폐지하고 장착부(11a)에 의해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62)의 이동 상한을 규제해도 된다. 압축측 챔버(11)를 피스톤 보유 지지 부재(8)의 보유 지지축(8a)에 조립 장착할 때, 신장측 파일럿 오리피스(Pe)와 환상 홈(11d)을 대향시키도록 압축측 챔버(11)의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압축측 플레이트 스토퍼(63)를 장착부(11a)와 압축측 스페이서(61)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측 플레이트 스토퍼(63)에 의해, 압축측 챔버(11)의 피스톤 보유 지지 부재(8)에 대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 미끄럼 접촉 통(11c) 내에는, 압축측 스풀(Sp)이 수용되어 있다. 압축측 스풀(Sp)의 외주는 미끄럼 접촉 통(11c)의 내주에 미끄럼 접촉하고 있고, 압축측 스풀(Sp)은 당해 미끄럼 접촉 통(11c) 내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압축측 스풀(Sp)은, 환상의 스풀 본체(17)와, 스풀 본체(17)의 도 3 중 하단 내주로부터 상승하는 환상 돌기(18)를 구비하고 있다. 이 환상 돌기(18)의 내경은,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62)의 외경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고, 환상 돌기(18)는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62)의 배면(도 3 중 상면)에 맞닿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압축측 챔버(11)에 압축측 스풀(Sp)을 조립 장착하여 당해 압축측 챔버(11)를 보유 지지축(8a)에 조립 장착하면, 압축측 리프 밸브(Vp)의 배면측(도 3 중 상방측)에 압축측 배압실(Cp)이 형성된다. 또한, 스풀 본체(17)의 내경은, 장착부(11a)의 외경보다 크다. 스풀 본체(17)의 내주가 장착부(11a)의 외주에 미끄럼 접촉하도록 스풀 본체(17)의 내경을 설정하여 압축측 배압실(Cp)을 압축측 스풀(Sp)에 의해 막는 것도 가능하다.
압축측 챔버(11)의 장착부(11a)의 내주에는, 환상 홈(11d)이 형성된다. 장착부(11a)는, 장착부(11a)의 외주로부터 당해 환상 홈(11d)으로 통하는 절결(11e)을 구비하고 있다. 압축측 챔버(11)를 보유 지지축(8a)에 조립 장착한 상태에서는, 환상 홈(11d)은 보유 지지축(8a)에 형성된 신장측 파일럿 오리피스(Pe)에 대향하여, 압축측 배압실(Cp)이 신장측 파일럿 오리피스(Pe)로 통한다. 압축측 배압실(Cp)은, 신장측 파일럿 오리피스(Pe)로 통함으로써, 보유 지지축(8a)의 세로 구멍(8d) 내에 형성된 연통로(24) 및 압축측 파일럿 오리피스(Pp)를 통해 신장측 배압실(Ce)에도 연통된다.
또한, 압축측 챔버(11)에는, 플랜지부(11b)의 외주로부터 개구되는 신장측 압력 도입 통로(Ie)가 설치되어 있다. 신장측실(R1)은 신장측 압력 도입 통로(Ie)를 통해 압축측 배압실(Cp) 내로 통하고 있다. 압축측 챔버(11)의 플랜지부(11b)의 도 3 중 하단부에는, 환상 판(19)이 적층되어 있다. 이 환상 판(19)과 압축측 스풀(Sp)에 있어서의 스풀 본체(17) 사이에는 스프링 부재(20)가 개재 장착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20)에 의해 당해 환상 판(19)이 플랜지부(11b)에 압박되어, 신장측 압력 도입 통로(Ie)가 폐색된다. 또한, 신장측 압력 도입 통로(Ie)는, 통과 액체의 흐름에 대해 저항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배려되어 있다.
이 환상 판(19)은, 완충기(D1)가 신장 작동하여 신장측실(R1)이 압축되어 압력이 높아지면, 당해 압력에 의해 압박되어 플랜지부(11b)로부터 이격되어 신장측 압력 도입 통로(Ie)를 개방한다. 압축측 배압실(Cp) 내의 압력이 신장측실(R1)보다 높아지는 완충기(D1)의 수축 작동 시에는, 환상 판(19)은, 플랜지부(11b)에 압박되어 신장측 압력 도입 통로(Ie)를 폐색한다. 즉, 환상 판(19)은 신장측실(R1)로부터의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신장측 역지 밸브(Te)의 밸브체로서 기능하고 있다. 이 신장측 역지 밸브(Te)에 의해, 신장측 압력 도입 통로(Ie)는, 신장측실(R1)로부터 압축측 배압실(Cp)로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일방통행의 통로로 설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통로(24)는, 피스톤 보유 지지 부재(8)에 형성된 환상 홈(8e), 포트(8f) 및 가로 구멍(8g)을 통해 수용부(L) 내에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신장측 배압실(Ce) 및 압축측 배압실(Cp)은, 신장측 파일럿 오리피스(Pe), 압축측 파일럿 오리피스(Pp) 및 연통로(24)를 통해 서로 연통될 뿐만 아니라, 신장측 압력 도입 통로(Ie)를 통해 신장측실(R1)에 연통되고, 압축측 압력 도입 통로(Ip)를 통해 압축측실(R2)에 연통되고, 또한, 포트(8f) 및 가로 구멍(8g)에 의해 수용부(L)에도 연통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20)는, 환상 판(19)을 플랜지부(11b)에 압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스프링 부재(20)는, 밸브체인 환상 판(19)과 함께 신장측 역지 밸브(Te)를 구성한다. 또한, 스프링 부재(20)는, 압축측 스풀(Sp)을 압축측 리프 밸브(Vp)를 향해 가압하는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압축측 리프 밸브(Vp)가 휘어 압축측 스풀(Sp)이 피스톤(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도 3 중 상방)으로 밀어올려지고, 그 후 압축측 리프 밸브(Vp)의 휨이 해소되었을 때에도, 압축측 스풀(Sp)이 스프링 부재(20)에 의해 가압되어 있으므로, 압축측 스풀(Sp)은 압축측 리프 밸브(Vp)에 추종하여 신속하게 원래의 위치(도 3에 도시하는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다. 압축측 스풀(Sp)을 스프링 부재(20)와는 다른 스프링 부재로 가압하는 것도 가능하다. 신장측 역지 밸브(Te)를 구성하는 스프링 부재와 압축측 스풀(Sp)을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를 공용함으로써,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음과 함께 구조가 간단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압축측 스풀(Sp)의 외경은, 환상 돌기(18)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되고, 환상 돌기(18)가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62)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압축측 스풀(Sp)은 압축측 배압실(Cp)의 압력에 의해 상시 압축측 리프 밸브(Vp)를 향해 가압된다. 그로 인해, 압축측 스풀(Sp)만을 가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스프링 부재를 완충기(D1)에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신장측 스풀(Se)은, 신장측 배압실(Ce)의 압력을 받아,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66)를 통해 신장측 리프 밸브(Ve)를 피스톤(2)을 향해 가압한다. 신장측 스풀(Se)의 신장측 배압실(Ce)의 압력을 받는 수압 면적은, 신장측 스풀(Se)의 외경을 직경으로 하는 원의 면적으로부터 환상 돌기(14)의 내경을 직경으로 하는 원의 면적의 차분이 된다. 마찬가지로, 압축측 스풀(Sp)은, 압축측 배압실(Cp)의 압력을 받아,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62)를 통해 압축측 리프 밸브(Vp)를 피스톤(2)을 향해 가압한다. 압축측 스풀(Sp)의 압축측 배압실(Cp)의 압력을 받는 수압 면적은, 압축측 스풀(Sp)의 외경을 직경으로 하는 원의 면적으로부터 환상 돌기(18)의 내경을 직경으로 하는 원의 면적의 차분이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액압 완충기(D1)에서는, 신장측 스풀(Se)의 수압 면적은, 압축측 스풀(Sp)의 수압 면적보다 크다.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66)의 배면에는 신장측 스풀(Se)의 환상 돌기(14)가 맞닿고,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66)가 신장측 스페이서(65)의 외주에 장착되어 있다.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66)에 신장측 배압실(Ce)의 압력이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수압 면적은, 환상 돌기(14)의 내경을 직경으로 하는 원의 면적으로부터 신장측 스페이서(65)의 외경을 직경으로 하는 원의 면적을 제외함으로써 얻어진다. 따라서, 신장측 하중의 크기는, 신장측 스풀(Se)의 외경을 직경으로 하는 원의 면적으로부터 신장측 스페이서(65)의 외경을 직경으로 하는 원의 면적을 제외함으로써 얻어지는 면적에, 신장측 배압실(Ce)의 압력을 곱함으로써 얻어진다. 이 신장측 하중에 의해 신장측 리프 밸브(Ve)가 피스톤(2)을 향해 가압된다. 또한,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66)를 폐지하고 신장측 리프 밸브(Ve)의 배면에 환상 돌기(14)를 직접 맞닿게 해도 된다.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62)의 배면에는 압축측 스풀(Sp)의 환상 돌기(18)가 맞닿고,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62)가 압축측 스페이서(61)의 외주에 장착되어 있다.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62)에 압축측 배압실(Cp)의 압력이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수압 면적은, 환상 돌기(18)의 내경을 직경으로 하는 원의 면적으로부터 압축측 스페이서(61)의 외경을 직경으로 하는 원의 면적을 제외함으로써 얻어진다. 따라서, 압축측 하중의 크기는, 압축측 스풀(Sp)의 외경을 직경으로 하는 원의 면적으로부터 압축측 스페이서(61)의 외경을 직경으로 하는 원의 면적을 제외함으로써 얻어지는 면적에, 압축측 배압실(Cp)의 압력을 곱함으로써 얻어진다. 이 압축측 하중에 의해 압축측 리프 밸브(Vp)가 피스톤(2)을 향해 가압된다. 또한,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62)를 폐지하고 압축측 리프 밸브(Vp)의 배면에 환상 돌기(18)를 직접 맞닿게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신장측 배압실(Ce)의 압력과 압축측 배압실(Cp)의 압력이 동등한 경우에 신장측 리프 밸브(Ve)가 신장측 배압실(Ce)로부터 받는 하중(신장측 하중)이 압축측 리프 밸브(Vp)가 압축측 배압실(Cp)로부터 받는 하중(압축측 하중)보다 커지도록, 완충기(D1)는 설정되어 있다.
또한, 신장측 배압실(Ce)을 신장측 스풀(Se)에 의해 폐쇄하여 신장측 배압실(Ce)의 압력을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66)에 직접 작용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신장측 하중은 신장측 스풀(Se)의 신장측 배압실(Ce)의 압력을 받는 수압 면적에 의해서만 정해진다. 마찬가지로, 압축측 배압실(Cp)을 압축측 스풀(Sp)에 의해 폐쇄하여 압축측 배압실(Cp)의 압력을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62)에 직접 작용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압축측 하중은 압축측 스풀(Sp)의 압축측 배압실(Cp)의 압력을 받는 수압 면적에 의해서만 정해진다. 따라서, 신장측 리프 밸브(Ve)에도 압축측 리프 밸브(Vp)에도 직접 배압실(Ce, Cp)로부터 압력을 작용시키지 않는 형태에 있어서, 신장측 배압실(Ce)의 압력과 압축측 배압실(Cp)의 압력이 동등한 경우에 신장측 리프 밸브(Ve)가 신장측 배압실(Ce)로부터 받는 신장측 하중이 압축측 리프 밸브(Vp)가 압축측 배압실(Cp)로부터 받는 압축측 하중보다 커지도록 완충기(D1)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신장측 스풀(Se)의 수압 면적을 압축측 스풀(Sp)의 수압 면적보다 크게 하면 충분하다.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66) 및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62)를 폐지하는 경우, 신장측 배압실(Ce)의 압력을 신장측 리프 밸브(Ve)에 직접 작용시킬 수 있고, 압축측 배압실(Cp)의 압력을 압축측 리프 밸브(Vp)에 직접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신장측 배압실(Ce)을 신장측 스풀(Se)에 의해 폐쇄하는 구조에서는, 신장측 스풀(Se)을 신장측 리프 밸브(Ve)에 맞닿게 할 수 있고, 압축측 배압실(Cp)을 압축측 스풀(Sp)에 의해 폐쇄하는 구조에서는 압축측 스풀(Sp)을 압축측 리프 밸브(Vp)에 맞닿게 할 수 있다. 신장측 배압실(Ce)과 압축측 배압실(Cp)을 스풀에 의해 폐쇄할지 여부는,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신장측 스풀(Se)과 압축측 스풀(Sp)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신장측 리프 밸브(Ve)에 실질적으로 신장측 배압실(Ce)의 압력을 작용시키는 수압 면적을 신장측 리프 밸브(Ve)만의 수압 면적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압축측 스풀(Sp)과 신장측 스풀(Se)의 수압 면적 차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신장측 하중과 압축측 하중의 차를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신장측 하중과 압축측 하중의 설정 폭에 매우 높은 자유도를 부여할 수 있다.
완충기(D1)의 신장 작동 시에는, 신장측 리프 밸브(Ve)는, 신장측 통로(3)를 통해 신장측실(R1)로부터의 압력을 받음과 함께, 상기 신장측 하중을 배면측으로부터 받는다. 신장측실(R1)의 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힘(밀어내림 방향의 힘)보다 신장측 하중(밀어올림 방향의 힘)의 쪽이 상회하면, 신장측 리프 밸브(Ve)는 휜다. 그리고, 신장측 리프 밸브(Ve)는, 신장측 밸브 시트(2d)에 맞닿을 때까지 휘면, 신장측 통로(3)를 폐색한다. 어느 피스톤 속도에서의 완충기(D1)의 신장 작동 시에 신장측 리프 밸브(Ve)에 작용하는 신장측 하중은, 상기 수압 면적, 신장측 리프 밸브(Ve)의 휨 강성 등에 의해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압 면적, 신장측 리프 밸브(Ve)의 휨 강성 등의 설정에 의해, 어느 피스톤 속도에서의 완충기(D1)의 신장 작동 시에 신장측 리프 밸브(Ve)에 의해 신장측 통로(3)를 폐색할 수 있다.
압축측 리프 밸브(Vp)에 대해서도 신장측 리프 밸브(Ve)와 마찬가지로, 어느 피스톤 속도에서의 완충기(D1)의 수축 작동 시에 압축측 리프 밸브(Vp)에 작용하는 압축측 하중은, 상기 수압 면적, 압축측 리프 밸브(Vp)의 휨 강성 등에 의해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압 면적, 압축측 리프 밸브(Vp)의 휨 강성 등의 설정에 의해, 어느 피스톤 속도에서의 완충기(D1)의 수축 작동 시에 압축측 리프 밸브(Vp)에 의해 압축측 통로(4)를 폐색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장측 배압실(Ce)과 압축측 배압실(Cp)을 상류로 하고, 신장측 배출 통로(Ee) 및 압축측 배출 통로(Ep)를 하류로 하고, 조정 통로(Pc)에 의해 이것들이 연통되어 있다. 전자 압력 제어 밸브(6)는, 상류의 신장측 배압실(Ce) 및 압축측 배압실(Cp)의 압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이 조정 통로(Pc)의 도중에 설치되어 있다. 신장측 하중은 압축측 하중보다 크기 때문에, 전자 압력 제어 밸브(6)에 의해 신장측 배압실(Ce)과 압축측 배압실(Cp) 내의 압력을 제어할 때, 작은 압력으로도 신장측 하중을 크게 할 수 있다. 신장측의 감쇠력을 크게 하는 경우에도, 전자 압력 제어 밸브(6)에서 제어해야 할 최대 압력을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신장측 스풀(Se)의 내주는 신장측 챔버(12)의 장착부(12a)의 외주에 미끄럼 접촉하고 있지 않다. 신장측 배압실(Ce)의 압력은, 신장측 리프 밸브(Ve)의 배면측에 있어서의 환상 돌기(14)의 맞닿음 부위의 내측에도 작용하여 당해 신장측 리프 밸브(Ve)를 가압한다. 신장측 하중의 설정에 있어서, 신장측 배압실(Ce)의 압력으로 신장측 리프 밸브(Ve)를 직접 가압하는 하중을 가미하여 설정하면 된다.
마찬가지로, 압축측 스풀(Sp)의 내주는 압축측 챔버(11)의 장착부(11a)의 외주에 미끄럼 접촉하고 있지 않다. 압축측 배압실(Cp)의 압력은, 압축측 리프 밸브(Vp)의 배면측에 있어서의 환상 돌기(18)의 맞닿음 부위의 내측에도 작용하여 당해 압축측 리프 밸브(Vp)를 가압한다. 압축측 하중의 설정에 있어서, 압축측 배압실(Cp)의 압력으로 압축측 리프 밸브(Vp)를 직접 가압하는 하중을 가미하여 설정하면 된다.
전자 압력 제어 밸브(6)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비통전 시에 조절 통로(Pc)를 폐쇄함과 함께 통전 시에 압력 제어를 행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조정 통로(Pc)의 도중에는, 전자 압력 제어 밸브(6)를 우회하는 페일 밸브(FV)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 압력 제어 밸브(6)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 시트 부재(30)와, 밸브 시트 부재(30)에 이격 착좌하는 밸브체(31)와, 밸브체(31)에 추력을 부여하고 이것을 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솔레노이드(Sol)를 구비한다. 밸브 시트 부재(30)는, 밸브 수용 통(30a)과 밸브 시트(30d)를 구비한다. 밸브체(31)는, 밸브 시트 부재(30)의 밸브 시트(30d)에 이격 착좌한다.
밸브 시트 부재(30)는, 수용부(L) 내에 수용되어 있다.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밸브 시트 부재(30)의 위치는, 플랜지(8b)의 도 2 중 상단부에 적층되는 환상의 밸브 하우징(32)의 내주에 밸브 수용 통(30a)을 삽입함으로써 정해진다. 밸브 하우징(32)은, 피스톤 보유 지지 부재(8)의 소켓(8c) 내에 끼워 맞추어져 있다.
밸브 하우징(32)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 하우징(32)은, 도 2 중 상단부에 형성된 환상 창(32a)과, 환상 창(32a)으로부터 개구되어 도 2 중 하단부로 통하는 포트(32b)와, 도 2 중 상단 내주로부터 개구되어 포트(32b)로 통하는 절결 홈(32c)과, 외주에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32d)과, 페일 밸브(FV)의 밸브 시트(32e)를 구비한다. 밸브 시트(32e)는, 상기 환상 창(32a)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밸브 하우징(32)이 소켓(8c) 내에 삽입되어 플랜지(8b)의 도 2 중 상단부에 적층된 상태에서는, 포트(32b)가 포트(8f)의 플랜지(8b)의 상단면에 형성된 개구에 대향하고, 포트(32b) 및 절결 홈(32c)이 포트(8f)에 연통된다. 또한, 홈(32d)이 플랜지(8b)에 형성된 홈(8j)에 대향하고, 홈(32d)과 홈(8j)이 연통된다.
포트(32b) 및 절결 홈(32c)은, 환상 홈(8e), 포트(8f) 및 가로 구멍(8g)을 통해 연통로(24)에 연통되어 있다. 나아가, 포트(32b) 및 절결 홈(32c)은, 이 연통로(24), 신장측 파일럿 오리피스(Pe) 및 압축측 파일럿 오리피스(Pp)를 통해 신장측 배압실(Ce) 및 압축측 배압실(Cp)에 연통되어 있다. 홈(32d)은, 홈(8j)을 통해 세퍼레이터(23) 내, 역지 밸브(25)에 의해 형성되는 신장측 배출 통로(Ee)를 통해 압축측실(R2)에 연통된다. 게다가, 홈(32d)은, 투과 구멍(9c), 오목부(8k), 관통 구멍(8m) 및 역지 밸브(22)에 의해 형성되는 압축측 배출 통로(Ep)를 통해 신장측실(R1)에 연통되어 있다.
밸브 하우징(32) 내에는, 통 형상의 밸브 시트 부재(30)에 있어서의 밸브 수용 통(30a)이 수용되어 있다. 이 밸브 시트 부재(30)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밸브 수용 통(30a)과, 밸브 수용 통(30a)의 측방으로부터 개구되어 내부로 통하는 투과 구멍(30c)과, 밸브 수용 통(30a)의 도 2 중 상단부에 축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환상의 밸브 시트(30d)를 구비한다. 밸브 수용 통(30a)은, 도 2 중 상단 외주에 플랜지(30b)를 구비한다.
밸브 시트 부재(30)의 밸브 수용 통(30a)의 외주에는, 페일 밸브(FV)의 밸브체(33)가 장착되어 있다. 밸브체(33)는, 환상의 리프 밸브로 이루어진다. 밸브 수용 통(30a)이 밸브 하우징(32)에 삽입되고 밸브 시트 부재(30)가 밸브 하우징(32)에 조립 장착된 상태에서는, 밸브체(33)의 내주가 밸브 시트 부재(30)에 있어서의 플랜지(30b)와 밸브 하우징(32)의 도 2 중 상단 내주에 의해 끼움 지지되어 있고, 이 끼움 지지에 의해, 밸브체(33)는 밸브 시트 부재(30)에 고정된다. 밸브체(33)의 외주측은, 밸브 하우징(32)에 설치된 환상의 밸브 시트(32e)에 초기 휨이 부여된 상태에서 착좌하고, 밸브체(33)는 환상 창(32a)을 폐색한다. 이 밸브체(33)는, 포트(32b)를 통해 환상 창(32a) 내에 작용하는 압력이 밸브 개방압에 도달하면 휜다. 그 결과, 환상 창(32a)이 개방되어 포트(32b)가 신장측 배출 통로(Ee) 및 압축측 배출 통로(Ep)에 연통된다. 이와 같이, 이 밸브체(33)와 밸브 시트(32e)에 의해 페일 밸브(FV)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밸브 수용 통(30a)이 밸브 하우징(32)에 삽입되고 밸브 시트 부재(30)가 밸브 하우징(32)에 조립 장착된 상태에서는, 밸브 하우징(32)에 형성된 절결 홈(32c)이 밸브 수용 통(30a)에 형성된 투과 구멍(30c)과 대향한다. 신장측 배압실(Ce) 및 압축측 배압실(Cp)이 포트(32b)를 통해 밸브 수용 통(30a) 내에 연통된다.
밸브 시트 부재(30)의 도 1 중 상방에는, 환상의 밸브 고정 부재(35)가 적층되어 있다. 밸브 고정 부재(35)는, 플랜지(30b)의 도 1 중 상단부에 맞닿는다. 또한, 밸브 고정 부재(35)의 도 1 중 상방에는, 전자 밸브 수용 통(9) 내에 수용되는 솔레노이드(Sol)가 배치되어 있다. 전자 밸브 수용 통(9)과 피스톤 보유 지지 부재(8)를 나사 장착에 의해 일체화할 때, 밸브 하우징(32), 밸브체(33), 밸브 시트 부재(30), 밸브 고정 부재(35) 및 솔레노이드(Sol)가 전자 밸브 수용 통(9)과 피스톤 보유 지지 부재(8)에 끼움 지지된다. 또한, 밸브 고정 부재(35)에는, 절결 홈(35a)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 고정 부재(35)가 밸브 시트 부재(30)의 플랜지(30b)에 맞닿은 상태에 있어서도, 밸브 고정 부재(35)의 내주측의 공간은, 절결 홈(35a)에 의해 밸브 시트 부재(30)의 외주측의 공간에 연통된다. 밸브 고정 부재(35)의 내주측의 공간과 밸브 시트 부재(30)의 외주측의 공간은, 절결 홈(35a)이 아닌, 포트 등의 구멍에 의해 연통되어도 된다.
솔레노이드(Sol)는, 정상부가 있는 통 형상의 몰드 스테이터(36)와, 몰드 스테이터(36)의 내주에 끼워 맞추어지는 제1 고정 철심(38)과, 몰드 스테이터(36)의 도 1 중 하단부에 적층되는 환상의 제2 고정 철심(39)과, 제1 고정 철심(38)과 제2 고정 철심(39) 사이에 개재 장착되는 필러 링(40)과, 제1 고정 철심(38)과 제2 고정 철심(39)의 내주측에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통 형상의 가동 철심(41)과, 가동 철심(41)의 내주에 고정되는 샤프트(42)를 구비한다. 몰드 스테이터(36)는, 권선(37)과, 권선(37)에 통전하는 하니스(H)를 몰드 수지에 의해 일체화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제1 고정 철심(38)은, 정상부가 있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필러 링(40)은, 자기적인 공극을 형성한다. 권선(37)에 통전함으로써, 가동 철심(41)이 흡인되어 샤프트(42)에 도 1 중 하부 방향의 추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밸브 시트 부재(30) 내에는, 전자 밸브의 밸브체(31)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밸브체(31)는, 상세하게는 밸브 시트 부재(30)에 있어서의 밸브 수용 통(30a)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소직경부(31a)와, 소직경부(31a)의 밸브 시트 부재(30)와는 반대측(도 2 중 상방측)에 형성되는 대직경부(31b)와, 소직경부(31a)와 대직경부(31b) 사이에 마련된 환상의 오목부(31c)와, 대직경부(31b)의 밸브 시트 부재(30)와는 반대측의 단부의 외주에 설치된 플랜지 형상의 스프링 베어링부(31d)와, 밸브체(31)의 선단으로부터 후단부로 관통하는 연결로(31e)와, 연결로(31e)의 도중에 형성된 오리피스(31f)를 구비한다. 대직경부(31b)는, 밸브 수용 통(30a)에는 삽입되어 있지 않다.
또한, 전자 밸브의 밸브체(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오목부(31c)를 경계로 하여 밸브 시트 부재(30)와는 반대측에, 소직경부(31a)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대직경부(31b)를 갖는다. 밸브체(31)는, 이 대직경부(31b)의 도 2 중 하단부에 제어 밸브의 밸브 시트(30d)에 대향하는 착좌부(31g)를 구비한다. 전자 밸브의 밸브체(31)가 밸브 시트 부재(30)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착좌부(31g)가 제어 밸브의 밸브 시트(30d)에 이격 착좌한다. 즉, 전자 압력 제어 밸브(6)는, 밸브체(31)와 밸브 시트 부재(30)를 구비한다. 그리고, 착좌부(31g)가 제어 밸브의 밸브 시트(30d)에 착좌하면 전자 압력 제어 밸브(6)가 밸브 폐쇄된다.
밸브 시트 부재(30)의 플랜지(30b)와 스프링 베어링부(31d) 사이에는, 전자 밸브의 밸브체(31)를 밸브 시트 부재(3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34)이 개재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전자 밸브의 밸브체(31)는, 코일 스프링(34)에 의해 상시 밸브 시트 부재(3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완충기(D1)에는, 이 코일 스프링(34)의 가압력에 대해 대항하는 추력을 발휘하는 솔레노이드(Sol)가 설치되어 있다. 솔레노이드(Sol)로부터의 코일 스프링(34)에 대항하는 추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밸브체(31)는, 밸브 시트 부재(30)로부터 가장 이격되는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또한, 이 경우, 전자 밸브의 밸브체(31)는, 코일 스프링(34)을 이용하여, 밸브 시트 부재(30)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지만, 코일 스프링(34) 이외에도, 가압력을 발휘할 수 있는 탄성체를 사용할 수 있다.
전자 밸브의 밸브체(31)가 밸브 시트 부재(30)에 대해 가장 이격된 상태에서는, 투과 구멍(30c)에 소직경부(31a)가 대향하여 투과 구멍(30c)이 폐색된다. 솔레노이드(Sol)에 통전하여 밸브체(31)가 밸브 시트 부재(30)에 대해 가장 이격되는 위치로부터 밸브 시트 부재측으로 소정량 이동한 상태에서는, 상시, 오목부(31c)가 투과 구멍(30c)에 대향하여 투과 구멍(30c)이 개방된다.
전자 밸브의 밸브체(31)가 투과 구멍(30c)을 개방하고 착좌부(31g)가 제어 밸브의 밸브 시트(30d)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는, 투과 구멍(30c)이 전자 밸브의 밸브체(31)의 오목부(31c)와, 밸브 고정 부재(35)에 형성된 절결 홈(35a)을 통해 신장측 배출 통로(Ee) 및 압축측 배출 통로(Ep)에 연통된다. 솔레노이드(Sol)는, 그 추력을 조절함으로써, 전자 밸브의 밸브체(31)를 밸브 시트 부재(30)측으로 가압하는 힘을 컨트롤할 수 있다. 전자 압력 제어 밸브(6)의 상류의 압력의 작용과 코일 스프링(34)에 의한 전자 밸브의 밸브체(31)를 도 2 중에 있어서 밀어올리는 힘이 솔레노이드(Sol)에 의한 전자 밸브의 밸브체(31)를 밀어내리는 힘을 상회하면, 전자 압력 제어 밸브(6)는 밸브 개방된다. 즉, 전자 압력 제어 밸브(6)의 상류측의 압력을, 솔레노이드(Sol)의 추력에 따라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압력 제어 밸브(6)의 상류는, 조정 통로(Pc)를 통해 신장측 배압실(Ce) 및 압축측 배압실(Cp)로 통하고 있으므로, 이 전자 압력 제어 밸브(6)에 의해 신장측 배압실(Ce) 및 압축측 배압실(Cp)의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압력 제어 밸브(6)의 하류는, 신장측 배출 통로(Ee) 및 압축측 배출 통로(Ep)로 통하고 있다. 액압 완충기(D1)의 신장 작동 시에는, 전자 압력 제어 밸브(6)를 통과한 액체는, 저압측의 압축측실(R2)로 배출된다. 액압 완충기(D1)의 수축 작동 시에는, 전자 압력 제어 밸브(6)를 통과한 액체는, 저압측의 신장측실(R1)로 배출된다. 따라서, 조정 통로(Pc)는, 상기한 환상 홈(8e), 포트(8f), 가로 구멍(8g), 포트(32b), 절결 홈(32c), 수용부(L)의 일부, 홈(32d)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전자 압력 제어 밸브(6)는, 솔레노이드(Sol)로 통전할 수 없는 페일 시에 밸브 시트 부재(30)에 있어서의 투과 구멍(30c)을 전자 밸브의 밸브체(31)에 있어서의 소직경부(31a)에 의해 폐색하는 차단 포지션을 구비한다. 즉, 전자 압력 제어 밸브(6)는, 압력 제어 밸브로서뿐만 아니라, 개폐 밸브로서도 기능한다. 페일 밸브(FV)는, 포트(32b)로 통하는 환상 창(32a)을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페일 밸브(FV)의 밸브 개방압은, 전자 압력 제어 밸브(6)가 제어 가능한 상한압을 초과하는 압력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페일 밸브(FV)는, 전자 압력 제어 밸브(6)를 우회하여 포트(32b)를 신장측 배출 통로(Ee) 및 압축측 배출 통로(Ep)에 연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자 압력 제어 밸브(6)의 상류측의 압력이 제어 상한압을 초과하는 경우, 페일 밸브(FV)는, 밸브 개방되어 신장측 배압실(Ce) 및 압축측 배압실(Cp)의 압력을 페일 밸브(FV)의 밸브 개방압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페일 시에 있어서 전자 압력 제어 밸브(6)가 차단 포지션을 취하고 있는 경우에는, 신장측 배압실(Ce) 및 압축측 배압실(Cp)의 압력은 페일 밸브(FV)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전자 밸브의 밸브체(31)는, 밸브 시트 부재(30)의 밸브 수용 통(30a) 내에 삽입되면, 밸브 수용 통(30a) 내에 있어서의 투과 구멍(30c)보다 선단측에 공간 K를 형성한다. 이 공간 K는, 전자 밸브의 밸브체(31)에 형성된 연결로(31e) 및 오리피스(31f)를 통해 전자 밸브의 밸브체 외부로 연통되어 있다. 그로 인해, 전자 밸브의 밸브체(31)가 밸브 시트 부재(30)에 대해 축 방향(도 2 중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공간 K가 대시포트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전자 밸브의 밸브체(31)의 급준한 변위를 억제함과 함께, 전자 밸브의 밸브체(31)의 진동적인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다.
계속해서, 완충기(D1)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완충기(D1)의 감쇠력의 특성을 소프트로 하는 경우, 즉, 가압 수단에 의한 신장측 리프 밸브(Ve) 및 압축측 리프 밸브(Vp)를 가압하는 가압력을 작게 하여 감쇠 계수를 낮게 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감쇠력 특성을 소프트로 하기 위해서는, 신장측 리프 밸브(Ve) 및 압축측 리프 밸브(Vp)가 대응하는 신장측 밸브 시트(2d) 및 압축측 밸브 시트(2c)에 착좌하지 않도록 가압 수단에 의한 가압력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솔레노이드(Sol)로 통전함으로써, 전자 압력 제어 밸브(6)가 통과 액체에 부여하는 저항을 작게 한다.
이 상태에서는, 신장측 리프 밸브(Ve)가 가압 수단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휘어도 신장측 리프 밸브(Ve)가 신장측 밸브 시트(2d)에 착좌하지 않고 양자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압축측 리프 밸브(Vp)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압축측 리프 밸브(Vp)가 가압 수단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휘어도 압축측 리프 밸브(Vp)가 압축측 밸브 시트(2c)에 착좌하지 않고 양자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완충기(D1)가 신장되어 피스톤(2)이 도 1 중 상방으로 이동하면, 압축되는 신장측실(R1) 내의 액체가 신장측 리프 밸브(Ve)를 밀어 휘게 한다. 그리고, 신장측실(R1) 내의 액체는, 신장측 통로(3)를 통과하여 확대되는 압축측실(R2)로 이동한다. 신장측 리프 밸브(Ve)와 신장측 밸브 시트(2d)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신장측 리프 밸브(Ve)가 신장측 밸브 시트(2d)에 착좌되어 있어 절결(71a)만을 통해 신장측 통로(3)와 압축측실(R2)이 연통되는 상태와 비교하여, 더 큰 유로 면적이 확보된다. 그로 인해, 완충기(D1)는, 도 4에 있어서의 선 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 A로 나타내어지는 종래의 완충기가 발생하는 감쇠력에 대해, 피스톤 속도가 저속 영역에 있을 때의 감쇠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완충기(D1)의 신장에 수반하여 신장측실(R1) 내의 압력이 상승하면, 신장측 리프 밸브(Ve)는 휜다. 그 휨량은, 신장측실(R1)의 압력에 의해 신장측 리프 밸브(Ve)를 신장측 통로(3)측으로부터 휘게 하려고 하는 힘과, 당해 휨량에 따라서 신장측 리프 밸브(Ve) 자체가 갖는 스프링 반력에 의해 신장측 밸브 시트(2d)측으로 복귀하려고 하는 힘 및 상기 가압 수단에 의한 신장측 하중의 합계의 밸런스에 의해 정해진다. 그리고, 신장측 리프 밸브(Ve)는, 휨으로써, 신장측 통로(3)를 개방한다.
또한, 신장측실(R1) 내의 액체는, 신장측 역지 밸브(Te)를 밀어 개방한다. 그리고, 신장측실(R1) 내의 액체는, 신장측 압력 도입 통로(Ie)를 통과하여, 조정 통로(Pc)로 흐른다. 조정 통로(Pc)를 통과한 액체는, 역지 밸브(25)를 밀어 개방하여, 신장측 배출 통로(Ee)를 통해 저압측의 압축측실(R2)로 배출된다. 또한, 신장측 파일럿 오리피스(Pe)는, 액체의 통과 시에 저항을 부여하여 압력 손실을 초래한다. 액체가 흐르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조정 통로(Pc)의 하류의 압력은 신장측실(R1)의 압력보다 낮아지므로, 압축측 배출 통로(Ep)에 설치된 역지 밸브(22)는 개방되지 않고 폐색된 상태 그대로이다.
신장측 압력 도입 통로(Ie)는, 압축측 배압실(Cp)에 통할 뿐만 아니라, 연통로(24)를 통해 신장측 배압실(Ce)에 통하고 있다. 압축측 압력 도입 통로(Ip)가 압축측 역지 밸브(Tp)에 의해 폐색되므로, 완충기(D1)의 신장 작동 시에 있어서 신장측 배압실(Ce) 내의 압력을 압축측실(R2)보다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압축측 배압실(Cp)의 압력은, 저압측의 압축측실(R2)의 압력보다 높아진다. 압축측 리프 밸브(Vp)가 신장측실(R1)의 압력 및 압축측 배압실(Cp)의 압력에 의해 휘어 압축측 리프 밸브(Vp)가 압축측 밸브 시트(2c)에 착좌될 때까지는, 압축측 리프 밸브(Vp)와 압축측 밸브 시트(2c) 사이의 간극이 오리피스로서 작용한다. 완충기(D1)의 신장 작동 시에 있어서, 압축측 통로(4)를 액체가 흐르지 않아도 되므로, 압축측 리프 밸브(Vp)가 신장측실(R1)의 압력 및 압축측 배압실(Cp)의 압력에 의해 휘어 압축측 밸브 시트(2c)에 착좌되어 압축측 통로(4)가 폐색되어도 문제는 없다.
조정 통로(Pc)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 압력 제어 밸브(6)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 압력 제어 밸브(6)의 솔레노이드(Sol)에 통전하여, 조정 통로(Pc)의 상류측의 압력을 제어하면, 신장측 배압실(Ce) 내의 압력을 조정하여 신장측 하중을 원하는 하중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전자 압력 제어 밸브(6)에 의해 신장측 리프 밸브(Ve)의 개방도를 제어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완충기(D1)의 신장 작동을 행할 때의 신장측 감쇠력을 제어할 수 있다.
완충기(D1)가 수축하여 피스톤(2)이 도 1 중 하방으로 이동하면, 압축되는 압축측실(R2) 내의 액체가 압축측 리프 밸브(Vp)를 밀어 휘게 한다. 그리고, 압축측실(R2) 내의 액체는, 압축측 통로(4)를 통과하여 확대되는 신장측실(R1)로 이동한다. 압축측 리프 밸브(Vp)와 압축측 밸브 시트(2c)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압축측 리프 밸브(Vp)가 압축측 밸브 시트(2c)에 착좌하고 있고 절결(81a)만을 통해 압축측 통로(4)와 신장측실(R1)이 연통하는 상태와 비교하여, 더 큰 유로 면적이 확보된다. 그로 인해, 완충기(D1)는, 도 4에 있어서의 선 D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 C로 나타내어지는 종래의 완충기가 발생하는 감쇠력에 대해, 피스톤 속도가 저속 영역에 있을 때의 감쇠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완충기(D1)의 수축에 수반하여 압축측실(R2) 내의 압력이 상승하면, 압축측 리프 밸브(Vp)는 휜다. 그 휨량은, 압축측실(R2)의 압력에 의해 압축측 리프 밸브(Vp)를 압축측 통로(4)측으로부터 휘게 하려고 하는 힘과, 당해 휨량에 따라서 압축측 리프 밸브(Vp) 자체가 갖는 스프링 반력에 의해 압축측 밸브 시트(2c)측으로 복귀하려고 하는 힘 및 상기 가압 수단에 의한 압축측 하중의 합계의 밸런스에 의해 정해진다. 그리고, 압축측 리프 밸브(Vp)는, 휨으로써, 압축측 통로(4)를 개방한다.
또한, 압축측실(R2) 내의 액체는, 압축측 역지 밸브(Tp)를 밀어 개방한다. 그리고, 압축측실(R2) 내의 액체는, 압축측 압력 도입 통로(Ip)를 통과하여, 조정 통로(Pc)로 흐른다. 조정 통로(Pc)를 통과한 액체는, 역지 밸브(22)를 밀어 개방하여, 압축측 배출 통로(Ep)를 통해 저압측의 신장측실(R1)로 배출된다. 또한, 압축측 파일럿 오리피스(Pp)는, 액체의 통과 시에 저항을 부여하여 압력 손실을 초래한다. 액체가 흐르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조정 통로(Pc)의 하류의 압력은, 압축측실(R2)의 압력보다 낮아지므로, 신장측 배출 통로(Ee)에 설치된 역지 밸브(25)는 개방되지 않고 폐색된 상태 그대로이다.
압축측 압력 도입 통로(Ip)는, 신장측 배압실(Ce)에 통할 뿐만 아니라, 연통로(24)를 통해 압축측 배압실(Cp)에 통하고 있다. 신장측 압력 도입 통로(Ie)가 신장측 역지 밸브(Te)에 의해 폐색되므로, 완충기(D1)의 수축 작동 시에 있어서 압축측 배압실(Cp) 내의 압력을 신장측실(R1)보다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신장측 배압실(Ce)의 압력은, 저압측의 신장측실(R1)보다 높아진다. 신장측 리프 밸브(Ve)가 압축측실(R2)의 압력 및 신장측 배압실(Ce)의 압력에 의해 휘어 신장측 리프 밸브(Ve)가 신장측 밸브 시트(2d)에 착좌될 때까지는, 신장측 리프 밸브(Ve)와 신장측 밸브 시트(2d) 사이의 간극이 오리피스로서 작용한다. 완충기(D1)의 수축 작동 시에 있어서, 신장측 통로(3)를 액체가 흐르지 않아도 되므로, 신장측 리프 밸브(Ve)가 압축측실(R2)의 압력 및 신장측 배압실(Ce)의 압력에 의해 휘어 신장측 밸브 시트(2d)에 착좌되어 신장측 통로(3)가 폐색되어도 문제는 없다.
조정 통로(Pc)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 압력 제어 밸브(6)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 압력 제어 밸브(6)의 솔레노이드(Sol)에 통전하여, 조정 통로(Pc)의 상류측의 압력을 제어하면, 압축측 배압실(Cp) 내의 압력을 조정하여 압축측 하중을 원하는 하중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전자 압력 제어 밸브(6)에 의해 압축측 리프 밸브(Vp)의 개방도를 제어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완충기(D1)의 수축 작동을 행할 때의 압축측 감쇠력을 제어할 수 있다.
계속해서, 완충기(D1)의 감쇠력의 특성을 하드로 하는 경우, 즉, 가압 수단에 의한 신장측 리프 밸브(Ve) 및 압축측 리프 밸브(Vp)를 가압하는 가압력을 크게 하여 감쇠 계수를 높게 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감쇠력 특성을 하드로 하기 위해서는, 신장측 리프 밸브(Ve) 및 압축측 리프 밸브(Vp)가 대응하는 신장측 밸브 시트(2d) 및 압축측 밸브 시트(2c)에 착좌하도록 가압 수단에 의한 가압력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솔레노이드(Sol)로 통전하여 전자 압력 제어 밸브(6)가 통과 액체에 부여하는 저항을 크게 한다.
이 상태에서는, 신장측 리프 밸브(Ve)가 가압 수단에 의해 휘어 신장측 밸브 시트(2d)에 착좌하여, 양자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지 않는다. 압축측 리프 밸브(Vp)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압축측 리프 밸브(Vp)가 가압 수단에 의해 휘어 압축측 리프 밸브(Vp)가 압축측 밸브 시트(2c)에 착좌하여, 양자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지 않는다.
피스톤(2)이 낮은 피스톤 속도로 도 1 중 상방으로 이동하여 완충기(D1)가 신장되는 경우에는, 신장측 리프 밸브(Ve)는, 신장측 통로(3)를 통해 신장측실(R1)의 압력을 받아도 신장측 밸브 시트(2d)로부터 이격되지 않는다. 따라서, 신장측 리프 밸브(Ve)는, 조정 통로(Pc)를 제외하고는, 절결(71a)에 의해 신장측실(R1)을 압축측실(R2)에 연통한다. 이 상태에서는, 완충기(D1)는, 신장측 통로(3)를 통과하는 액체의 흐름에 대해 오리피스로서 기능하는 절결(71a)에서 주로 저항을 부여한다. 따라서, 완충기(D1)는, 신장측 리프 밸브(Ve)와 신장측 밸브 시트(2d)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상태에서 발생하는 감쇠력과 비교하여 큰 감쇠력을 발휘할 수 있다.
한편, 피스톤 속도가 높으면, 신장측 리프 밸브(Ve)에 신장측 통로(3)를 통해 작용하는 신장측실(R1)의 압력이 상승한다. 이 신장측실(R1)의 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신장측 리프 밸브(Ve)를 신장측 밸브 시트(2d)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의 힘이 가압 수단의 가압력을 상회하면, 신장측 리프 밸브(Ve)는 휘어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66) 및 신장측 스풀(Se)을 도 3 중 하방으로 밀어내려 신장측 밸브 시트(2d)로부터 이격된다. 감쇠력 특성을 소프트로 하고 있는 상태와 비교하여, 가압 수단에 의한 가압력이 크기 때문에, 신장측 리프 밸브(Ve)의 휨량이 작다. 완충기(D1)는, 도 4 중 선 E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 속도가 동일해도, 하드 시에는 소프트 시와 비교하여 높은 감쇠력을 발휘한다.
신장측실(R1) 내의 액체는, 감쇠력 특성을 소프트로 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신장측 역지 밸브(Te)를 밀어 개방하여 신장측 압력 도입 통로(Ie)를 통과하여, 조정 통로(Pc)로도 흐른다. 조정 통로(Pc)에 설치된 전자 압력 제어 밸브(6)에 의해 조정 통로(Pc)의 상류측의 압력을 제어함으로써, 소프트 시와 마찬가지로, 신장측 배압실(Ce) 내의 압력을 조정하여 신장측 하중을 원하는 하중으로 제어할 수 있어, 신장측 리프 밸브(Ve)의 개방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감쇠력 특성이 하드로 설정된 완충기(D1)가 신장 작동을 행할 때의 감쇠력(신장측 감쇠력)을 제어할 수 있다.
피스톤(2)이 낮은 피스톤 속도로 도 1 중 하방으로 이동하여 완충기(D1)가 수축하는 경우에는, 압축측 리프 밸브(Vp)는, 압축측 통로(4)를 통해 압축측실(R2)의 압력을 받아도 압축측 밸브 시트(2c)로부터 이격되지 않는다. 따라서, 압축측 리프 밸브(Vp)는, 조정 통로(Pc)를 제외하고는, 절결(81a)에 의해 압축측실(R2)을 신장측실(R1)에 연통한다. 이 상태에서는, 완충기(D1)는, 압축측 통로(4)를 통과하는 액체의 흐름에 대해 오리피스로서 기능하는 절결(81a)에서 주로 저항을 부여한다. 따라서, 완충기(D1)는, 압축측 리프 밸브(Vp)와 압축측 밸브 시트(2c)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상태에서 발생하는 감쇠력과 비교하여 큰 감쇠력을 발휘할 수 있다.
한편, 피스톤 속도가 높으면, 압축측 리프 밸브(Vp)에 압축측 통로(4)를 통해 작용하는 압축측실(R2)의 압력이 상승한다. 이 압축측실(R2)의 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압축측 리프 밸브(Vp)를 압축측 밸브 시트(2c)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의 힘이 가압 수단의 가압력을 상회하면, 압축측 리프 밸브(Vp)는 휘어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62) 및 압축측 스풀(Sp)을 도 3 중 상방으로 밀어올려 압축측 밸브 시트(2c)로부터 이격된다. 감쇠력 특성을 소프트로 하고 있는 상황과 비교하여, 가압 수단에 의한 가압력이 크기 때문에, 압축측 리프 밸브(Vp)의 휨량이 작다. 완충기(D1)는, 도 4 중 선 F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 속도가 동일해도, 하드 시에는 소프트 시와 비교하여 높은 감쇠력을 발휘한다.
압축측실(R2) 내의 액체는, 감쇠력 특성을 소프트로 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압축측 역지 밸브(Tp)를 밀어 개방하여 압축측 압력 도입 통로(Ip)를 통과하여, 조정 통로(Pc)로도 흐른다. 조정 통로(Pc)에 설치된 전자 압력 제어 밸브(6)에 의해 조정 통로(Pc)의 상류측의 압력을 제어함으로써, 소프트 시와 마찬가지로, 압축측 배압실(Cp) 내의 압력을 조정하여 신장측 하중을 원하는 하중으로 제어할 수 있어, 압축측 리프 밸브(Vp)의 개방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감쇠력 특성이 하드로 설정된 완충기(D1)가 수축 작동을 행할 때의 감쇠력(압축측 감쇠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감쇠 밸브 및 완충기(D1)에서는, 리프 밸브(Ve, Vp)와 각 밸브 시트(2c, 2d)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가압 수단에 의한 가압력을 작게 하여 감쇠력 특성을 소프트로 할 때, 고정 오리피스를 사용한 종래의 감쇠 밸브 및 완충기와 비교하여 유로 면적을 크게 취할 수 있어, 피스톤 속도가 저속 영역에 있는 경우의 감쇠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감쇠 밸브 및 완충기(D1)에서는, 하드 시에는 리프 밸브(Ve, Vp)를 각 밸브 시트(2c, 2d)에 착좌시킬 수 있으므로, 감쇠력 가변 폭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감쇠 밸브 및 완충기에 따르면, 피스톤 속도가 저속 영역에 있을 때의 감쇠력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감쇠력 조정 폭을 확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완충기(D1)의 감쇠력 특성을 신장 작동 시에 소프트로부터 하드로 전환한 경우, 신장측 배압실(Ce) 내의 압력 상승에 의해 신장측 리프 밸브(Ve)와 신장측 밸브 시트(2d) 사이의 간극이 서서히 작아져 신장측 리프 밸브(Ve)가 신장측 밸브 시트(2d)에 착좌한다. 완충기(D1)의 감쇠력 특성을 수축 작동 시에 소프트로부터 하드로 전환한 경우, 압축측 배압실(Cp) 내의 압력 상승에 의해 압축측 리프 밸브(Vp)와 압축측 밸브 시트(2c) 사이의 간극이 서서히 작아져 압축측 리프 밸브(Vp)가 압축측 밸브 시트(2c)에 착좌한다. 반대로, 본 실시 형태의 완충기(D1)의 감쇠력 특성을 신장 작동 시에 하드로부터 소프트로 전환한 경우, 신장측 배압실(Ce) 내의 압력 감소에 의해 신장측 리프 밸브(Ve)와 신장측 밸브 시트(2d) 사이의 간극이 서서히 커진다. 본 실시 형태의 완충기(D1)의 감쇠력 특성을 수축 작동 시에 하드로부터 소프트로 전환한 경우, 압축측 배압실(Cp) 내의 압력 감소에 의해 압축측 리프 밸브(Vp)와 압축측 밸브 시트(2c) 사이의 간극이 서서히 커진다. 그로 인해, 완충기(D1)의 감쇠력 특성을 소프트로부터 하드로, 혹은 하드로부터 소프트로 전환할 때, 완충기(D1)의 감쇠력 특성의 급변이 완화된다. 이 완충기(D1)가 적용된 차량에서는, 감쇠력 특성의 급변이 완화되므로, 감쇠력 특성의 전환 시의 쇼크가 탑승자에게 지각되는 일이 없어, 차량에 있어서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신장측 리프 밸브(Ve)의 배면에는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66)가 적층되고,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66)는 신장측 스페이서(65)의 외주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압축측 리프 밸브(Vp)의 배면에는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62)가 적층되고,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62)는 압축측 스페이서(61)의 외주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로 인해, 신장측 리프 밸브(Ve)의 강성보다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66)의 강성을 높게 하고, 압축측 리프 밸브(Vp)의 강성보다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62)의 강성을 높게 함으로써, 가압 수단에 의한 가압력을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66) 및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62)에서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신장측 리프 밸브(Ve) 및 압축측 리프 밸브(Vp)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어, 신장측 리프 밸브(Ve) 및 압축측 리프 밸브(Vp)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66)는, 신장측 리프 밸브(Ve)의 배면에 적층되는 신장측 스페이서(65)의 외주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62)는 압축측 리프 밸브(Vp)의 배면에 적층되는 압축측 스페이서(61)의 외주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66)의 내경은 피스톤(2)의 내주 시트부(2h)의 외경보다 작고,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66)의 외경은 신장측 밸브 시트(2d)의 내경보다 크다. 또한,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62)의 내경은 피스톤(2)의 내주 시트부(2f)의 외경보다 작고,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62)의 외경은 압축측 밸브 시트(2c)의 내경보다 크다. 그로 인해, 신장측 리프 밸브(Ve) 및 압축측 리프 밸브(Vp)의 배면측의 압력을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66) 및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62)에서 받아낼 수 있다. 따라서,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66) 및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62)를 완충기(D1)에 설치함으로써, 신장측 리프 밸브(Ve) 및 압축측 리프 밸브(Vp)에 과부하가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신장측 리프 밸브(Ve) 및 압축측 리프 밸브(Vp)의 강성을 한층 더 낮추는 것이 가능해져, 더 휨 강성이 낮은 리프 밸브를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완충기(D1)에 의해 낮은 감쇠력을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가압 수단은, 완충기(D1) 내의 신장측실(R1)과 압축측실(R2) 중 한쪽 또는 양쪽의 압력을 이용하여 리프 밸브(Ve, Vp)를 가압한다. 그로 인해, 가압력의 발생원을 사용하지 않아도 리프 밸브(Ve, Vp)를 가압할 수 있어, 압력의 제어에 의해 가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용 완충기에서는, 신장 작동 시의 신장측 감쇠력을 수축 작동 시의 압축측 감쇠력과 비교하여 크게 할 필요가 있다. 편로드형으로 설정되는 완충기(D1)에서는 신장측실(R1)의 압력을 받는 수압 면적은, 피스톤(2)의 단면적으로부터 로드 부재(10)의 단면적을 제외한 면적이 된다. 그로 인해, 신장 작동 시에 있어서의 신장측실(R1)의 압력을, 수축 작동 시에 있어서의 압축측실(R2)의 압력과 비교하여 매우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의 완충기(D1)에서는, 신장측 배압실(Ce)과 압축측 배압실(Cp)이 등압인 경우에, 신장측 리프 밸브(Ve)를 가압하는 신장측 하중이 압축측 리프 밸브(Vp)를 가압하는 압축측 하중보다 크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신장측 스풀(Se)이 사용되어 있다. 신장측 스풀(Se)을 사용하지 않고 신장측 리프 밸브(Ve)의 배면측에 신장측 배압실(Ce)의 압력을 작용시킬 뿐인 구조와 비교하여, 신장측 스풀(Se)의 신장측 배압실(Ce)의 압력을 받는 수압 면적을 신장측 리프 밸브(Ve)의 배면 면적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신장측 리프 밸브(Ve)에 대해 큰 신장측 하중을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신장측 스풀(Se)과 압축측 스풀(Sp)을 사용함으로써 신장측 하중과 압축측 하중의 설계 자유도도 향상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완충기(D1)에서는, 신장 작동 시의 신장측 감쇠력을 조정하기 위해 신장측 하중을 매우 크게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신장측 배압실(Ce)의 압력이 작아도 큰 신장측 하중을 출력시키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대형의 솔레노이드(Sol)를 사용하지 않아도 신장측 감쇠력의 제어 폭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신장측 배압실(Ce)과 압축측 배압실(Cp)의 압력 제어를 각각 독립된 밸브체를 구동하여 행하는 것이 아니라, 압축측 하중과 비교하여 신장측 하중을 크게 함으로써 신장측 배압실(Ce)과 압축측 배압실(Cp)의 압력을 연통하여 제어해도 신장측 감쇠력의 제어 폭을 확보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전자 압력 제어 밸브(6)에는 하나의 전자 밸브의 밸브체(31)를 설치하면 충분하다. 따라서, 그 구조는 매우 간단해지고, 비용도 저감된다.
이상으로부터, 전자 압력 제어 밸브(6)에 있어서의 솔레노이드(Sol)를 소형화할 수 있는 데다가, 전자 압력 제어 밸브(6)의 구조도 간단해져, 완충기(D1)의 피스톤부에 전자 압력 제어 밸브(6)를 적용해도 완충기(D1)가 대형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완충기(D1)에 따르면, 완충기(D1)의 구조가 간단해져 소형화할 수 있고, 차량에의 탑재성의 악화를 초래하는 일도 없다. 또한, 솔레노이드(Sol)가 큰 추력을 발휘하지 않아도 신장측 감쇠력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감쇠력을 크게 하는 경우의 소비 전력을 작게 하여 전력 절약화할 수 있다.
신장측 스풀(Se)의 신장측 배압실(Ce)의 압력을 받는 수압 면적을 압축측 스풀(Sp)의 압축측 배압실(Cp)의 압력을 받는 수압 면적보다 크게 하였으므로, 용이하게 신장측 하중을 압축측 하중과 비교하여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신장측 배압실(Ce)과 압축측 배압실(Cp)은, 각각 압축측 저항 요소 및 신장측 저항 요소를 통해 연통로(24)에 의해 연통된다. 압축측 압력 도입 통로(Ip)는 거의 저항 없이 신장측 배압실(Ce)에 압축측실(R2)로부터 액체를 도입한다. 그로 인해, 완충기(D1)가 신장 작동으로부터 수축 작동으로 전환될 때, 신장측 배압실(Ce) 내로 압축측실(R2) 내의 압력이 빠르게 도입된다. 따라서, 신장측 스풀(Se)은, 신장측 배압실(Ce) 내의 압력과 스프링 부재(16)의 가압에 의해 신장측 리프 밸브(Ve)를 압박하여 당해 신장측 리프 밸브(Ve)를 신장측 밸브 시트(2d)에 빠르게 착좌시켜 신장측 통로(3)를 폐쇄할 수 있다. 신장측 압력 도입 통로(Ie)도 거의 저항 없이 압축측 배압실(Cp)에 신장측실(R1)로부터 액체를 도입한다. 그로 인해, 완충기(D1)가 수축 작동으로부터 신장 작동으로 전환될 때, 압축측 배압실(Cp) 내에 신장측실(R1) 내의 압력이 빠르게 도입된다. 따라서, 압축측 스풀(Sp)은, 압축측 배압실(Cp) 내의 압력과 스프링 부재(20)의 가압에 의해 압축측 리프 밸브(Vp)를 압박하여 당해 압축측 리프 밸브(Vp)를 압축측 밸브 시트(2c)에 빠르게 착좌시켜 압축측 통로(4)를 폐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완충기(D1)에 있어서는, 신축 속도가 빨라, 신축 작동의 전환이 순식간에 행해지는 상황이라도, 신장측 리프 밸브(Ve) 및 압축측 리프 밸브(Vp)의 폐쇄 지연이 발생하는 일이 없어, 신축 방향의 전환 초기부터 원하는 감쇠력을 발휘할 수 있다.
신장측 역지 밸브(Te)에 있어서의 밸브체(환상 판(19)) 및 압축측 역지 밸브(Tp)에 있어서의 밸브체(환상 판(15))의 경년 열화에 기인하여 환상 판(19)과 압축측 챔버(11) 사이, 및 환상 판(15)과 신장측 챔버(12)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여, 신장측 압력 도입 통로(Ie) 및 압축측 압력 도입 통로(Ip)를 통과하는 유량이 변화될 우려가 있다. 신장측 압력 도입 통로(Ie)와 압축측 배압실(Cp)의 하류측 및 압축측 압력 도입 통로(Ip)와 신장측 배압실(Ce)의 하류측에 신장측 저항 요소 및 압축측 저항 요소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유량의 변화는, 감쇠력 제어 및 신축 전환 시의 밸브 폐쇄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피스톤 로드(7)의 외주측에, 피스톤(2)과, 신장측 리프 밸브(Ve)와, 압축측 리프 밸브(Vp)와, 통 형상의 신장측 챔버(12)와, 통 형상의 압축측 챔버(11)가 장착된다. 피스톤(2)은 신장측 통로(3)와 압축측 통로(4)를 구비하고, 신장측 리프 밸브(Ve) 및 압축측 리프 밸브(Vp)는 피스톤(2)에 적층되어 있다. 신장측 챔버(12)는 신장측 배압실(Ce)을 형성하고, 신장측 챔버(12)의 내주에 신장측 스풀(Se)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압축측 챔버(11)는 압축측 배압실(Cp)을 형성하고, 압축측 챔버(11)의 내주에 압축측 스풀(Sp)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신장측 챔버(12)에 압축측 압력 도입 통로(Ip)가 설치되고, 압축측 챔버(11)에 신장측 압력 도입 통로(Ie)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완충기(D1)의 피스톤부에 감쇠력 조정에 필요로 하는 각 부재를 집중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신장측 스풀(Se)의 신장측 리프 밸브(Ve)와, 압축측 압력 도입 통로(Ip)를 개폐하는 압축측 역지 밸브(Tp)에 있어서의 밸브체(환상 판(15))는, 하나의 스프링 부재(16)에 의해 가압된다. 압축측 스풀(Sp)의 압축측 리프 밸브(Vp)와, 신장측 압력 도입 통로(Ie)를 개폐하는 신장측 역지 밸브(Te)에 있어서의 밸브체(환상 판(19))는, 하나의 스프링 부재(20)에 의해 가압된다. 하나의 스프링 부재(16, 20)에 의해, 역지 밸브(Te, Tp)와 스풀(Se, Sp)을 복귀측으로 복원시킬 수 있어,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완충기(D1)에서는, 피스톤 로드(7)에, 보유 지지축(8a)과, 세로 구멍(8d)과, 신장측 저항 요소로서의 신장측 파일럿 오리피스(Pe)와, 압축측 저항 요소로서의 압축측 파일럿 오리피스(Pp)와, 수용부(L)와, 조정 통로(Pc)와, 압축측 배출 통로(Ep)가 설치되어 있다. 보유 지지축(8a)은 피스톤 로드(7)의 선단에 설치되고, 보유 지지축(8a)의 외주에는, 피스톤(2), 신장측 리프 밸브(Ve), 압축측 리프 밸브(Vp), 신장측 챔버(12) 및 압축측 챔버(11)가 장착된다. 세로 구멍(8d)은 보유 지지축(8a)의 선단으로부터 개구된다. 신장측 파일럿 오리피스(Pe) 및 압축측 파일럿 오리피스(Pp)는, 보유 지지축(8a)에 형성되어 있고, 세로 구멍(8d) 내에 설치된 연통로(24)로 통한다. 수용부(L)는, 세로 구멍(8d)으로 통하도록 피스톤 로드(7)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전자 압력 제어 밸브(6)가 수용부(L)에 수용된다. 조정 통로(Pc)는 연통로(24)를 수용부(L)에 연통한다. 압축측 배출 통로(Ep)는 수용부(L)를 신장측실(R1)에 연통한다. 그리고, 완충기(D1)는, 세로 구멍(8d) 내에 삽입된 세퍼레이터(23)를 구비한다. 세퍼레이터(23)는, 외주에 형성된 환상 홈(23a)으로 세로 구멍(8d) 내에 신장측 배압실(Ce)과 압축측 배압실(Cp)을 연통하는 연통로(24)를 형성한다. 또한, 세퍼레이터(23)는, 내주에 신장측 배출 통로(Ee)를 형성한다. 그로 인해, 무리 없이, 피스톤 로드(7)에 전자 압력 제어 밸브(6)를 수용함과 함께, 전자 압력 제어 밸브(6)와는 축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여 피스톤 로드(7)의 외주에 신장측 배압실(Ce)과 압축측 배압실(Cp)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압력 제어 밸브(6)는, 비통전 시에 조정 통로(Pc)를 폐쇄함과 함께 통전 시에 압력 제어를 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완충기(D1)는, 조정 통로(Pc)의 도중에 설치된 페일 밸브(FV)를 구비한다. 페일 밸브(FV)는 전자 압력 제어 밸브(6)를 우회한다. 페일 밸브(FV)의 밸브 개방압은 전자 압력 제어 밸브(6)에 의한 최대 제어 압력보다 크다. 그로 인해, 페일 시에는, 신장측 하중과 압축측 하중이 최대가 되어, 완충기(D1)는, 가장 큰 감쇠력을 발휘한다. 따라서, 페일 시에 있어서도 차체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 압력 제어 밸브(6)가 차단 포지션을 취할 때, 전자 밸브의 밸브체(31)의 소직경부(31a)는 투과 구멍(30c)에 대향하여 투과 구멍(30c)을 폐색하고, 전자 압력 제어 밸브(6)는 폐쇄된다. 완전히 투과 구멍(30c)을 폐색하지 않고, 차단 포지션에서 오목부(31c)를 투과 구멍(30c)의 일부에 대향시키거나 하여, 전자 압력 제어 밸브(6)를 스로틀 밸브로서 기능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페일 시의 완충기(D1)의 감쇠 특성에, 특히 피스톤 속도가 낮은 영역에서의 감쇠 특성에, 차단 포지션을 취하는 전자 압력 제어 밸브(6)에 의한 스로틀 밸브의 특성을 부가할 수 있다. 따라서, 페일 시에 있어서도 차량에 있어서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 압력 제어 밸브(6)는, 통 형상의 밸브 시트 부재(30)와, 소직경부(31a)와, 대직경부(31b)와, 당해 소직경부(31a)와 당해 대직경부(31b)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부(31c)와, 전자 밸브의 밸브체(31)를 구비한다. 밸브 시트 부재(30)는 조정 통로(Pc)의 일부를 형성하는 밸브 수용 통(30a)과, 밸브 수용 통(30a)의 단부에 설치된 환상의 밸브 시트(30d)를 구비한다. 밸브 수용 통(30a)은, 내외를 연통하는 투과 구멍(30c)을 갖는다. 소직경부(31a)는 밸브 수용 통(30a)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오목부(31c)는, 투과 구멍(30c)에 대향 가능하다. 전자 밸브의 밸브체(31)는, 대직경부(31b)의 단부를 제어 밸브의 밸브 시트(30d)에 이격 착좌시킨다. 전자 압력 제어 밸브는, 투과 구멍(30c)에 소직경부(31a)를 대향시킴으로써 조정 통로(Pc)를 차단한다. 따라서, 전자 밸브의 밸브체(31)가 밸브 시트 부재(30)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으로의 압력이 작용하는 수압 면적은, 제어 밸브의 밸브 시트(30d)의 내경을 직경으로 하는 원의 면적으로부터 소직경부(31a)의 외경을 직경으로 하는 원의 면적을 뺀 면적이 된다. 따라서, 수압 면적을 매우 작게 할 수 있음과 함께, 밸브 개방 시의 유로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그로 인해, 필요한 솔레노이드의 추력이 작아도 되고, 전자 밸브의 밸브체(31)의 이동량도 작아도 되므로, 전자 밸브의 밸브체(31)의 움직임이 안정된다. 또한, 차단 포지션에서는, 소직경부(31a)의 외주가 투과 구멍(30c)에 대향하여 투과 구멍(30c)이 폐색되므로, 상류측으로부터 압력을 받아도 전자 압력 제어 밸브(6)는 밸브 폐쇄된 상태 그대로이다. 따라서, 페일 밸브(FV)만을 유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 수단의 구성은 일례이며, 가압 수단의 구성은 본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한 부분에서는, 신장측의 감쇠 밸브와 압축측의 감쇠 밸브의 양방에 본 실시 형태를 구현화한 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 형태는, 완충기의 신장측의 감쇠 밸브와 압축측의 감쇠 밸브 중 어느 한쪽에만 적용할 수도 있다. 도시는 하지 않지만, 완충기의 피스톤부에 설치된 감쇠 밸브가 아닌 베이스 밸브에 설치된 감쇠 밸브에 본 실시 형태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완충기(D2)의 신장측 감쇠 밸브 및 압축측 감쇠 밸브의 양방에 적용되어 있다. 감쇠 밸브는, 밸브 디스크로서의 피스톤(2)과, 환상의 제1 리프 밸브로서의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와, 환상의 제1 리프 밸브로서의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와, 환상의 제2 리프 밸브로서의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와, 환상의 제2 리프 밸브로서의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와,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에 피스톤(2)측을 향해 가변 가압력을 작용시킴과 함께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에 피스톤(2)측을 향해 가변 가압력을 작용시키는 가압 수단을 구비한다. 피스톤(2)은, 통로로서의 신장측 통로(3) 및 압축측 통로(4)와, 당해 신장측 통로(3) 및 압축측 통로(4)의 출구 단부를 각각 둘러싸는 환상의 신장측 밸브 시트(2d) 및 압축측 밸브 시트(2c)를 구비한다.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 및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는, 피스톤(2)에 적층되어 있다.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와 신장측 밸브 시트(2d) 사이에는 제1 간극으로서의 신장측 제1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와 압축측 밸브 시트(2c) 사이에는 제1 간극으로서의 압축측 제1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는,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의 밸브 디스크 반대측(피스톤(2) 반대측)에 적층되어 있다.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와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 사이에는 제2 간극으로서의 신장측 제2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는,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의 밸브 디스크 반대측(피스톤(2) 반대측)에 적층되어 있다.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와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 사이에는 제2 간극으로서의 압축측 제2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감쇠 밸브는, 완충기(D2)의 신장측 감쇠 밸브에만, 혹은 압축측 감쇠 밸브에만 구현화되어도 되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완충기(D2)는, 실린더(1)와, 상기한 감쇠 밸브와, 피스톤(2)에 의해 실린더(1) 내에 구획된 신장측실(R1)과 압축측실(R2)과, 피스톤 로드(7)를 구비한다. 실린더(1)에 대해 피스톤(2)이 축 방향(도 5 중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완충기(D2)는, 신장측 통로(3)를 통과하는 액체의 흐름에 대해서는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에서 저항을 부여하고, 압축측 통로(4)를 통과하는 액체의 흐름에 대해서는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에서 저항을 부여하여, 그것에 의해 감쇠력을 발휘한다.
또한, 실린더(1)의 도 5 중 하방에는, 도시는 하지 않지만,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프리 피스톤이 설치되어 있다. 이 프리 피스톤에 의해 실린더(1) 내에 기체실이 형성된다. 또한, 피스톤 로드(7)와 실린더(1)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시일이 설치되어 있고, 이 시일에 의해 실린더(1) 내가 액밀 상태로 되어 있다. 도시한 부분에서는, 완충기(D2)가 이른바 편로드형으로 설정되어 있다. 완충기(D2)의 신축에 수반하여 실린더(1) 내에 드나드는 피스톤 로드(7)의 체적은, 상기한 기체실 내의 기체의 체적이 팽창 혹은 수축하여 상기 프리 피스톤이 실린더(1) 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보상된다. 이와 같이 완충기(D2)는, 단통형으로 설정되어 있지만, 프리 피스톤 및 기체실의 설치 대신에, 실린더(1)의 외주나 외부에 리저버를 설치하여 당해 리저버에 의해 상기 피스톤 로드(7)의 체적 보상을 행해도 된다.
또한, 감쇠 밸브에 있어서의 가압 수단은, 이 예에서는,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를 가압하는 신장측 스풀(Se)과, 내부 압력으로 신장측 스풀(Se)을 압박하는 신장측 배압실(Ce)과,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를 가압하는 압축측 스풀(Sp)과, 내부 압력으로 압축측 스풀(Sp)을 압박하는 압축측 배압실(Cp)과, 압축측 저항 요소로서의 압축측 파일럿 오리피스(Pp)를 통해 신장측 배압실(Ce)에 연통됨과 함께 신장측 저항 요소로서의 신장측 파일럿 오리피스(Pe)를 통해 압축측 배압실(Cp)에 연통되는 연통로(24)와, 신장측실(R1)로부터 압축측 배압실(Cp)로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신장측 압력 도입 통로(Ie)와, 압축측실(R2)로부터 신장측 배압실(Ce)로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압축측 압력 도입 통로(Ip)와, 연통로(24)에 접속되는 조정 통로(Pc)와, 조정 통로(Pc)의 하류를 신장측실(R1)에 연통함과 함께 조정 통로(Pc)로부터 신장측실(R1)로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압축측 배출 통로(Ep)와, 조정 통로(Pc)의 하류를 압축측실(R2)에 연통함과 함께 조정 통로(Pc)로부터 압축측실(R2)로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신장측 배출 통로(Ee)와, 조정 통로(Pc)에 설치된 전자 압력 제어 밸브(6)를 구비한다. 압축측 파일럿 오리피스(Pp)는, 압축측 파일럿 오리피스(Pp)를 통과하는 액체의 흐름에 저항을 부여한다. 신장측 파일럿 오리피스(Pe)는, 신장측 파일럿 오리피스(Pe)를 통과하는 액체의 흐름에 저항을 부여한다. 전자 압력 제어 밸브(6)는, 조정 통로(Pc)의 상류 압력을 제어한다.
이하, 감쇠 밸브 및 완충기(D2)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피스톤 보유 지지 부재(8)에 설치된 보유 지지축(8a)의 외주에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상의 피스톤(2)이 조립 장착된다. 보유 지지 부재(8a)의 외주 또한 피스톤(2)의 도 7 중 상방에는, 제1 환상 스페이서로서의 압축측 제1 환상 스페이서(260),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 제2 환상 스페이서로서의 압축측 제2 환상 스페이서(261),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 스페이서로서의 압축측 스페이서(262), 환상 플레이트로서의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263), 압축측 플레이트 스토퍼(264), 압축측 스풀(Sp) 및 압축측 챔버(11)가 조립 장착된다. 압축측 챔버(11)는 압축측 배압실(Cp)을 형성한다. 보유 지지 부재(8a)의 외주 또한 피스톤(2)의 도 7 중 하방에는, 제1 환상 스페이서로서의 신장측 제1 환상 스페이서(265),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 제2 환상 스페이서로서의 신장측 제2 환상 스페이서(266),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 스페이서로서의 신장측 스페이서(267), 환상 플레이트로서의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268), 신장측 플레이트 스토퍼(269), 신장측 스풀(Se) 및 신장측 챔버(12)가 조립 장착된다. 신장측 챔버(12)는, 신장측 배압실(Ce)을 형성한다.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스톤 보유 지지 부재(8)의 보유 지지축(8a)의 삽입 관통을 허용하기 위해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의 내주는 피스톤(2)과 신장측 챔버(12)에 의해 끼움 지지되어 있고, 이 끼움 지지에 의해,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는 피스톤 보유 지지 부재(8)의 보유 지지축(8a)에 고정되어 있다.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의 외주의 휨은 허용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의 배면측에는,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신장측 제2 환상 스페이서(266)가 개재 장착되어 있다.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의 도 7 중 하방측으로의 휨은, 신장측 제2 환상 스페이서(266)에 의해 지지되는 부위보다 외주측에 있어서 허용된다.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의 도 7 중 상방측으로의 휨은, 신장측 제1 환상 스페이서(265)에 의해 지지되는 부위보다 외주측에 있어서 허용된다.
신장측 제2 환상 스페이서(266)의 밸브 디스크와는 반대측(도 7 중 하방측)에는,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가 적층되어 있다.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와 마찬가지로, 이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의 내주는 피스톤(2)과 신장측 챔버(12)에 의해 끼움 지지되어 있고, 이 끼움 지지에 의해,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는 피스톤 보유 지지 부재(8)의 보유 지지축(8a)에 고정되어 있다.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의 외주의 휨은 허용되어 있다. 이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는, 직접적으로는, 외경이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의 외경보다 작은 신장측 제2 환상 스페이서(266)와 신장측 스페이서(267) 사이에 끼워져 있다. 이것들에 의해 지지되는 부위보다 외주측에 있어서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의 휨이 허용되어 있다.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는, 피스톤(2)의 내주 시트부(2h)에 적층되는 신장측 제1 환상 스페이서(265)를 통해 피스톤(2)의 도 7 중 하방에 적층된다.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에 부하가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와 신장측 밸브 시트(2d) 사이에 신장측 제1 간극이 형성된다. 도 7 중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이 신장측 제1 간극의 길이는, 두께가 상이한 신장측 제1 환상 스페이서(265)로 교환함으로써, 또는 신장측 제1 환상 스페이서(265)의 적층 매수를 변경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와 신장측 밸브 시트(2d) 사이의 신장측 제1 간극은, 내주 시트부(2h)의 높이를 신장측 밸브 시트(2d)의 높이보다 높게 하고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를 직접 내주 시트부(2h)에 적층함으로써, 신장측 제1 환상 스페이서(265)를 사용하는 일 없이 형성할 수 있다. 단, 신장측 제1 환상 스페이서(265)를 내주 시트부(2h)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신장측 제1 간극의 길이의 조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는, 신장측 제2 환상 스페이서(266)를 통해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의 도 7 중 하방에 적층된다.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에 부하가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와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 사이에 신장측 제2 간극이 형성된다. 도 7 중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이 신장측 제2 간극의 길이는, 두께가 상이한 신장측 제2 환상 스페이서(266)로 교환함으로써, 또는 신장측 제2 환상 스페이서(266)의 적층 매수를 변경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신장측 제2 환상 스페이서(266)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신장측 제2 간극의 길이의 조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신장측 스페이서(267)의 외주에는,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268)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축 방향에 있어서의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268)의 길이는, 축 방향에 있어서의 신장측 스페이서(267)의 길이보다 짧다. 따라서,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268)는, 신장측 스페이서(267)의 외주에 미끄럼 접촉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신장측 스페이서(267)의 도 7 중 하방에는, 환상의 신장측 플레이트 스토퍼(269)가 설치되어 있다. 신장측 플레이트 스토퍼(269)의 외경은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268)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 신장측 플레이트 스토퍼(269)의 하방에 신장측 챔버(12)가 적층된다. 또한,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268)의 내경은, 피스톤(2)에 설치된 내주 시트부(2h)의 외경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268)의 외경은, 신장측 밸브 시트(2d)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268)는, 신장측 제2 환상 스페이서(266)와 신장측 플레이트 스토퍼(269) 사이에서 축 방향(도 7 중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268)는,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보다 휨 강성이 높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축 방향에 있어서의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268)의 길이(두께)를 축 방향에 있어서의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의 길이(두께)보다 길게 함으로써,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268)의 강성을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의 강성보다 높게 하고 있다. 두께에 의해 강성을 강하게 할 뿐만 아니라,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보다 고강성의 재료로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268)를 형성함으로써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268)의 강성을 높여도 된다.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268)가 배면측(피스톤(2)과는 반대측)으로부터 가압 수단에 의해, 구체적으로는, 신장측 배압실(Ce) 내의 압력과 신장측 스풀(Se)에 의해 압박되면,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268)가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를 밀어올려,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와 함께 휜다.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는, 배면측으로부터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268)를 통해 가압 수단에 의한 가압력이 부하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휜다. 이 가압력이 커져 외주가 신장측 제2 간극 이상 변위되면,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는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에 맞닿는다. 그리고,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가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를 압박하면,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가 휜다. 이 휨에 의한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의 외주의 변위가 신장측 제1 간극 이상이 되면,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가 신장측 밸브 시트(2d)에 착좌하여, 신장측 통로(3)를 폐색한다.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가 신장측 밸브 시트(2d)에 착좌할 때까지 휘면,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268)가 내주 시트부(2h)와 신장측 밸브 시트(2d)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신장측 배압실(Ce) 내의 압력과 신장측 스풀(Se)에 의한 가압력을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268)가 받아낸다. 따라서,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 및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의 그 이상의 변형이 억제되어,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 및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268)는, 신장측 스페이서(267)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로 인해,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 및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가 신장측 밸브 시트(2d)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휠 때에는,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268)는 신장측 스페이서(267)에 대해 도 7 중 하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 및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의 피스톤(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휨 동작은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66)에 의해 방해되지 않는다.
신장측 챔버(12)는, 피스톤 보유 지지 부재(8)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축(8a)의 외주에 끼워 맞추어지는 통 형상의 장착부(12a)와, 장착부(12a)의 도 7 중 하단부 외주에 형성된 플랜지부(12b)와, 플랜지부(12b)의 외주로부터 피스톤(2)측을 향해 신장되는 미끄럼 접촉 통(12c)과, 장착부(12a)의 내주에 형성된 환상 홈(12d)과, 장착부(12a)의 외주로부터 환상 홈(12d)으로 통하는 절결(12e)을 구비한다. 신장측 챔버(12)가 보유 지지축(8a)에 조립 장착된 상태에서는, 환상 홈(12d)은, 보유 지지축(8a)에 형성된 압축측 파일럿 오리피스(Pp)에 대향한다. 신장측 챔버(12)에 있어서의 장착부(12a)와 신장측 스페이서(267) 사이에는, 신장측 플레이트 스토퍼(269)가 개재 장착되어 있다. 신장측 플레이트 스토퍼(269)를 폐지하고 장착부(12a)에 의해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268)의 이동 하한을 규제해도 된다. 신장측 챔버(12)를 피스톤 보유 지지 부재(8)의 보유 지지축(8a)에 조립 장착할 때, 압축측 파일럿 오리피스(Pp)와 환상 홈(12d)을 대향시키도록 신장측 챔버(12)의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신장측 플레이트 스토퍼(269)를 장착부(12a)와 신장측 스페이서(267)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장측 플레이트 스토퍼(269)에 의해, 신장측 챔버(12)의 피스톤 보유 지지 부재(8)에 대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 미끄럼 접촉 통(12c) 내에는, 신장측 스풀(Se)이 수용되어 있다. 신장측 스풀(Se)의 외주는 미끄럼 접촉 통(12c)의 내주에 미끄럼 접촉하고 있고, 신장측 스풀(Se)은 당해 미끄럼 접촉 통(12c) 내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신장측 스풀(Se)은, 환상의 스풀 본체(13)와, 스풀 본체(13)의 도 7 중 상단 내주로부터 상승하는 환상 돌기(14)를 구비하고 있다. 이 환상 돌기(14)의 내경은,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268)의 외경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고, 환상 돌기(14)는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268)의 배면(도 7 중 하면)에 맞닿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신장측 챔버(12)에 신장측 스풀(Se)을 조립 장착하여 당해 신장측 챔버(12)를 보유 지지축(8a)에 조립 장착하면,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의 배면측(도 7 중 하방측)에 신장측 배압실(Ce)이 형성된다. 또한, 스풀 본체(13)의 내경은, 장착부(12a)의 외경보다 크다. 스풀 본체(13)의 내주가 장착부(12a)의 외주에 미끄럼 접촉하도록 스풀 본체(13)의 내경을 설정하고 신장측 배압실(Ce)을 신장측 스풀(Se)로 막는 것도 가능하다.
신장측 챔버(12)의 장착부(12a)의 내주에는, 환상 홈(12d)이 형성된다. 장착부(12a)는, 장착부(12a)의 외주로부터 당해 환상 홈(12d)으로 통하는 절결(12e)을 구비하고 있다. 신장측 챔버(12)를 보유 지지축(8a)에 조립 장착한 상태에서는, 환상 홈(12d)은 보유 지지축(8a)에 형성된 압축측 파일럿 오리피스(Pp)에 대향하여, 신장측 배압실(Ce)이 압축측 파일럿 오리피스(Pp)로 통한다.
또한, 신장측 챔버(12)에는, 플랜지부(12b)의 외주로부터 개구되는 압축측 압력 도입 통로(Ip)가 설치되어 있다. 압축측실(R2)은 압축측 압력 도입 통로(Ip)를 통해 신장측 배압실(Ce) 내로 통하고 있다. 신장측 챔버(12)의 플랜지부(12b)의 도 7 중 상단부에는, 환상 판(15)이 적층되어 있다. 이 환상 판(15)과 신장측 스풀(Se)에 있어서의 스풀 본체(13) 사이에는 스프링 부재(16)가 개재 장착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16)에 의해 당해 환상 판(15)이 플랜지부(12b)에 압박되어, 압축측 압력 도입 통로(Ip)가 폐색된다. 또한, 압축측 압력 도입 통로(Ip)는, 통과 액체의 흐름에 대해 저항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배려되어 있다.
이 환상 판(15)은, 완충기(D2)가 수축 작동하여 압축측실(R2)이 압축되어 압력이 높아지면, 당해 압력에 의해 압박되어 플랜지부(12b)로부터 이격되어 압축측 압력 도입 통로(Ip)를 개방한다. 신장측 배압실(Ce) 내의 압력이 압축측실(R2)보다 높아지는 완충기(D2)의 신장 작동 시에는, 플랜지부(12b)에 압박되어 압축측 압력 도입 통로(Ip)를 폐색한다. 즉, 환상 판(15)은, 압축측실(R2)로부터의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압축측 역지 밸브(Tp)의 밸브체로서 기능하고 있다. 이 압축측 역지 밸브(Tp)에 의해, 압축측 압력 도입 통로(Ip)는, 압축측실(R2)로부터 신장측 배압실(Ce)로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일방통행의 통로로 설정된다.
스프링 부재(16)는, 환상 판(15)을 플랜지부(12b)에 압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스프링 부재(16)는, 역지 밸브의 밸브체(환상 판(15))와 함께 압축측 역지 밸브(Tp)를 구성한다. 또한 스프링 부재(16)는, 신장측 스풀(Se)을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측을 향해 가압하는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가 휘어 신장측 스풀(Se)이 피스톤(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도 7 중 하방)으로 밀어 내려지고, 그 후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의 휨이 해소되었을 때에도, 신장측 스풀(Se)이 스프링 부재(16)에 의해 가압되어 있으므로, 신장측 스풀(Se)은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에 추종하여 빠르게 원래의 위치(도 7에 나타내는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다. 신장측 스풀(Se)을 스프링 부재(16)와는 다른 스프링 부재에 의해 가압하는 것도 가능하다. 압축측 역지 밸브(Tp)를 구성하는 스프링 부재와 신장측 스풀(Se)을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를 공용함으로써,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음과 함께 구조가 간단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신장측 스풀(Se)의 외경은, 환상 돌기(14)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되고, 환상 돌기(14)가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268)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신장측 스풀(Se)은 신장측 배압실(Ce)의 압력에 의해 상시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를 향해 가압된다.
피스톤(2)의 상방에 적층되는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와 마찬가지로, 피스톤 보유 지지 부재(8)의 보유 지지축(8a)의 삽입 관통을 허용하기 위해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의 내주는 피스톤(2)과 압축측 챔버(11)에 의해 끼움 지지되어 있고, 이 끼움 지지에 의해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가 피스톤 보유 지지 부재(8)의 보유 지지축(8a)에 고정되어 있다.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의 외주의 휨은 허용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의 배면측은,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압축측 제2 환상 스페이서(261)가 개재 장착되어 있다.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의 도 7 중 상방측으로의 휨은, 압축측 제2 환상 스페이서(261)에 의해 지지되는 부위보다 외주측에 있어서 허용된다.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의 도 7 중 하방측으로의 휨은, 압축측 제1 환상 스페이서(260)에 의해 지지되는 부위보다 외주측에 있어서 허용된다.
압축측 제2 환상 스페이서(261)의 밸브 디스크와는 반대측(도 7 중 상방측)에는,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가 적층되어 있다.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와 마찬가지로, 이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의 내주가 피스톤(2)과 압축측 챔버(11)에 의해 끼움 지지되어 있고, 이 끼움 지지에 의해,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는 피스톤 보유 지지 부재(8)의 보유 지지축(8a)에 고정되어 있다.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의 외주의 휨은 허용되어 있다. 이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는, 직접적으로는, 압축측 제2 환상 스페이서(261)와 압축측 스페이서(262) 사이에 끼워져 있다. 압축측 제2 환상 스페이서(261)와 압축측 스페이서(262)는,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다.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의 휨은, 이들에 의해 지지되는 부위보다 외주측에 있어서 허용되어 있다.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는, 피스톤(2)의 내주 시트부(2f)에 적층되는 압축측 제1 환상 스페이서(260)를 통해 피스톤(2)의 도 7 중 상방에 적층된다.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에 부하가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와 압축측 밸브 시트(2c) 사이에 압축측 제1 간극이 형성된다. 도 7 중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이 압축측 제1 간극의 길이는, 두께가 상이한 압축측 제1 환상 스페이서(260)로 교환함으로써, 또는 압축측 제1 환상 스페이서(260)의 적층 매수를 변경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와 압축측 밸브 시트(2c) 사이의 압축측 제1 간극은, 내주 시트부(2f)의 높이를 압축측 밸브 시트(2c)의 높이보다 높게 하고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를 직접 내주 시트부(2f)에 적층함으로써, 압축측 제1 환상 스페이서(260)를 사용하는 일 없이 형성할 수 있다. 단, 압축측 제1 환상 스페이서(260)를 내주 시트부(2f)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압축측 제1 간극의 길이의 조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는, 압축측 제2 환상 스페이서(261)를 통해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의 도 7 중 상방에 적층된다.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에 부하가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와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 사이에 압축측 제2 간극이 형성된다. 도 7 중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이 압축측 제2 간극의 길이는, 두께가 상이한 압축측 제2 환상 스페이서(261)로 교환함으로써, 또는 압축측 제2 환상 스페이서(261)의 적층 매수를 변경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압축측 제2 환상 스페이서(261)에 의해, 상기 압축측 제2 간극의 길이의 조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압축측 스페이서(262)의 외주에는,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263)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축 방향에 있어서의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263)의 길이는, 축 방향에 있어서의 압축측 스페이서(262)의 길이보다 짧다. 따라서,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263)는, 압축측 스페이서(262)의 외주에 미끄럼 접촉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압축측 스페이서(262)의 도 7 중 상방으로는, 환상의 압축측 플레이트 스토퍼(264)가 설치되어 있다. 압축측 플레이트 스토퍼(264)의 외경은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263)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 압축측 플레이트 스토퍼(264)의 상방에 압축측 챔버(11)가 적층된다. 또한,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263)의 내경은, 피스톤(2)에 설치된 내주 시트부(2f)의 외경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263)의 외경은, 압축측 밸브 시트(2c)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263)는 압축측 제2 환상 스페이서(261)와 압축측 플레이트 스토퍼(264) 사이에서 축 방향(도 7 중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263)는,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보다 휨 강성이 높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축 방향에 있어서의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263)의 길이(두께)를 축 방향에 있어서의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의 길이(두께)보다 길게 함으로써,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263)의 강성을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의 강성보다 높게 하고 있다. 두께에 의해 강성을 강하게 할 뿐만 아니라,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보다 고강성의 재료로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263)를 형성함으로써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263)의 강성을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의 강성보다 높여도 된다.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263)가 배면측(피스톤(2)과는 반대측)으로부터 가압 수단에 의해, 구체적으로는, 압축측 배압실(Cp) 내의 압력과 압축측 스풀(Sp)에 의해 압박되면,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263)가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를 밀어내려,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와 함께 휜다.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는, 배면측으로부터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263)를 통해 가압 수단에 의한 가압력이 부하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휜다. 이 가압력이 커져 외주가 압축측 제2 간극 이상 변위되면,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는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에 맞닿는다. 그리고,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가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를 압박하면,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가 휜다. 이 휨에 의한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의 외주의 변위가 압축측 제1 간극 이상이 되면,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가 압축측 밸브 시트(2c)에 착좌하여, 압축측 통로(4)를 폐색한다.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가 압축측 밸브 시트(2c)에 착좌할 때까지 휘면,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263)가 내주 시트부(2f)와 압축측 밸브 시트(2c)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압축측 배압실(Cp) 내의 압력과 압축측 스풀(Sp)에 의한 가압력을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263)가 받아낸다. 따라서,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 및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의 그 이상의 변형이 억제되어,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 및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263)는, 압축측 스페이서(262)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로 인해,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 및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가 압축측 밸브 시트(2c)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휠 때에는,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263)는 압축측 스페이서(262)에 대해 도 7 중 상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 및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의 피스톤(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휨 동작은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263)에 의해 방해되지 않는다.
압축측 챔버(11)는, 피스톤 보유 지지 부재(8)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축(8a)의 외주에 끼워 맞추어지는 통 형상의 장착부(11a)와, 장착부(11a)의 도 7 중 상단 외주에 형성된 플랜지부(11b)와, 플랜지부(11b)의 외주로부터 피스톤(2)측을 향해 신장되는 미끄럼 접촉 통(11c)과, 장착부(11a)의 내주에 형성된 환상 홈(11d)과, 장착부(11a)의 외주로부터 환상 홈(11d)으로 통하는 절결(11e)을 구비한다. 압축측 챔버(11)가 보유 지지축(8a)에 조립 장착된 상태에서는, 환상 홈(11d)은, 보유 지지축(8a)에 형성된 신장측 파일럿 오리피스(Pe)에 대향한다. 압축측 챔버(11)에 있어서의 장착부(11a)와 압축측 스페이서(262) 사이에는, 압축측 플레이트 스토퍼(264)가 개재 장착되어 있다. 압축측 플레이트 스토퍼(264)를 폐지하고 장착부(11a)에 의해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263)의 이동 상한을 규제해도 된다. 압축측 챔버(11)를 피스톤 보유 지지 부재(8)의 보유 지지축(8a)에 조립 장착할 때, 신장측 파일럿 오리피스(Pe)와 환상 홈(11d)을 대향시키도록 압축측 챔버(11)의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압축측 플레이트 스토퍼(264)를 장착부(11a)와 압축측 스페이서(262)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측 플레이트 스토퍼(264)에 의해, 압축측 챔버(11)의 피스톤 보유 지지 부재(8)에 대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 미끄럼 접촉 통(11c) 내에는, 압축측 스풀(Sp)이 수용되어 있다. 압축측 스풀(Sp)의 외주는 미끄럼 접촉 통(11c)의 내주에 미끄럼 접촉하고 있고, 압축측 스풀(Sp)은 당해 미끄럼 접촉 통(11c) 내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압축측 스풀(Sp)은, 환상의 스풀 본체(17)와, 스풀 본체(17)의 도 7 중 하단부 외주로부터 상승하는 환상 돌기(18)를 구비하고 있다. 이 환상 돌기(18)의 내경은,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263)의 외경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고, 환상 돌기(18)는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263)의 배면(도 7 중 상면)에 맞닿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압축측 챔버(11)에 압축측 스풀(Sp)을 조립 장착하여 당해 압축측 챔버(11)를 보유 지지축(8a)에 조립 장착하면,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의 배면측(도 7 중 상방측)에 압축측 배압실(Cp)이 형성된다. 또한, 스풀 본체(17)의 내경은, 장착부(11a)의 외경보다 크다. 스풀 본체(17)의 내주가 장착부(11a)의 외주에 미끄럼 접촉하도록 스풀 본체(17)의 내경으로 설정하여 압축측 배압실(Cp)을 압축측 스풀(Sp)로 막는 것도 가능하다.
압축측 챔버(11)의 장착부(11a)의 내주에는, 환상 홈(11d)이 형성된다. 장착부(11a)는, 장착부(11a)의 외주로부터 당해 환상 홈(11d)으로 통하는 절결(11e)을 구비하고 있다. 압축측 챔버(11)를 보유 지지축(8a)에 조립 장착한 상태에서는, 환상 홈(11d)은 보유 지지축(8a)에 형성된 신장측 파일럿 오리피스(Pe)에 대향하여, 압축측 배압실(Cp)이 신장측 파일럿 오리피스(Pe)로 통한다. 압축측 배압실(Cp)은, 신장측 파일럿 오리피스(Pe)로 통함으로써, 보유 지지축(8a)의 세로 구멍(8d) 내에 형성된 연통로(24) 및 압축측 파일럿 오리피스(Pp)를 통해 신장측 배압실(Ce)에도 연통된다.
또한, 압축측 챔버(11)에는, 플랜지부(11b)의 외주로부터 개구되는 신장측 압력 도입 통로(Ie)가 설치되어 있다. 신장측실(R1)은 신장측 압력 도입 통로(Ie)를 통해 압축측 배압실(Cp) 내로 통하고 있다. 압축측 챔버(11)의 플랜지부(11b)의 도 7 중 하단부에는, 환상 판(19)이 적층되어 있다. 이 환상 판(19)과 압축측 스풀(Sp)에 있어서의 스풀 본체(17) 사이에는 스프링 부재(20)가 개재 장착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20)에 의해 당해 환상 판(19)이 플랜지부(11b)에 압박되어, 신장측 압력 도입 통로(Ie)가 폐색된다. 또한, 신장측 압력 도입 통로(Ie)는, 통과 액체의 흐름에 대해 저항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배려되어 있다.
이 환상 판(19)은, 완충기(D2)가 신장 작동하여 신장측실(R1)이 압축되어 압력이 높아지면, 당해 압력에 의해 압박되어 플랜지부(11b)로부터 이격되어 신장측 압력 도입 통로(Ie)를 개방한다. 압축측 배압실(Cp) 내의 압력이 신장측실(R1)보다 높아지는 완충기(D2)의 수축 작동 시에는, 환상 판(19)은 플랜지부(11b)에 압박되어 신장측 압력 도입 통로(Ie)를 폐색한다. 즉, 환상 판(19)은, 신장측실(R1)로부터의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신장측 역지 밸브(Te)의 밸브체로서 기능하고 있다. 이 신장측 역지 밸브(Te)에 의해, 신장측 압력 도입 통로(Ie)는, 신장측실(R1)로부터 압축측 배압실(Cp)로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일방통행의 통로로 설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통로(24)는, 피스톤 보유 지지 부재(8)에 형성된 환상 홈(8e), 포트(8f) 및 가로 구멍(8g)을 통해 수용부(L) 내에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신장측 배압실(Ce) 및 압축측 배압실(Cp)은, 신장측 파일럿 오리피스(Pe), 압축측 파일럿 오리피스(Pp) 및 연통로(24)를 통해 서로 연통될 뿐만 아니라, 신장측 압력 도입 통로(Ie)를 통해 신장측실(R1)에 연통되고, 압축측 압력 도입 통로(Ip)를 통해 압축측실(R2)에 연통되고, 게다가, 포트(8f) 및 가로 구멍(8g)에 의해 수용부(L)에도 연통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20)는, 환상 판(19)을 플랜지부(11b)에 압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스프링 부재(20)는, 역지 밸브의 밸브체(환상 판(19))와 함께 신장측 역지 밸브(Te)를 구성한다. 또한, 스프링 부재(20)는, 압축측 스풀(Sp)을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를 향해 가압하는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가 휘어 압축측 스풀(Sp)이 피스톤(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도 7 중 상방)으로 밀어올려지고, 그 후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의 휨이 해소되었을 때에도, 압축측 스풀(Sp)이 스프링 부재(20)에 의해 가압되어 있으므로, 압축측 스풀(Sp)은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에 추종하여 신속하게 원래의 위치(도 7에 나타내는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다. 압축측 스풀(Sp)을 스프링 부재(20)와는 다른 스프링 부재로 가압하는 것도 가능하다. 신장측 역지 밸브(Te)를 구성하는 스프링 부재와 압축측 스풀(Sp)을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를 공용함으로써,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음과 함께 구조가 간단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압축측 스풀(Sp)의 외경은, 환상 돌기(18)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되고, 환상 돌기(18)가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263)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압축측 스풀(Sp)은 압축측 배압실(Cp)의 압력에 의해 상시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를 향해 가압된다. 그로 인해, 압축측 스풀(Sp)만을 가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스프링 부재를 완충기(D2)에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신장측 스풀(Se)은, 신장측 배압실(Ce)의 압력을 받아,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268)를 통해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를 피스톤(2)을 향해 가압한다.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가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에 맞닿은 상태에서는, 신장측 스풀(Se)은,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도 피스톤(2)을 향해 가압한다. 이 신장측 스풀(Se)의 신장측 배압실(Ce)의 압력을 받는 수압 면적은, 신장측 스풀(Se)의 외경을 직경으로 하는 원의 면적으로부터 환상 돌기(14)의 내경을 직경으로 하는 원의 면적의 차분이 된다.
마찬가지로, 압축측 스풀(Sp)은, 압축측 배압실(Cp)의 압력을 받아,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263)를 통해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를 피스톤(2)을 향해 가압한다.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가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에 맞닿은 상태에서는, 압축측 스풀(Sp)은,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도 피스톤(2)을 향해 가압한다. 이 압축측 스풀(Sp)의 압축측 배압실(Cp)의 압력을 받는 수압 면적은, 압축측 스풀(Sp)의 외경을 직경으로 하는 원의 면적으로부터 환상 돌기(18)의 내경을 직경으로 하는 원의 면적의 차분이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액압 완충기(D2)에서는, 신장측 스풀(Se)의 수압 면적은, 압축측 스풀(Sp)의 수압 면적보다 크다.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268)의 배면에는 신장측 스풀(Se)의 환상 돌기(14)가 맞닿고,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268)가 신장측 스페이서(267)의 외주에 장착되어 있다.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268)에 신장측 배압실(Ce)의 압력이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수압 면적은, 환상 돌기(14)의 내경을 직경으로 하는 원의 면적으로부터 신장측 스페이서(267)의 외경을 직경으로 하는 원의 면적을 제외함으로써 얻어진다. 따라서, 신장측 하중의 크기는, 신장측 스풀(Se)의 외경을 직경으로 하는 원의 면적으로부터 신장측 스페이서(267)의 외경을 직경으로 하는 원의 면적을 제외함으로써 얻어지는 면적에, 신장측 배압실(Ce)의 압력을 곱함으로써 얻어진다. 이 신장측 하중에 의해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 및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가 피스톤(2)을 향해 가압된다. 또한,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268)를 폐지하고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의 배면에 환상 돌기(14)를 직접 맞닿게 해도 된다.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263)의 배면에는 압축측 스풀(Sp)의 환상 돌기(18)가 맞닿고,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263)가 압축측 스페이서(262)의 외주에 장착되어 있다.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263)에 압축측 배압실(Cp)의 압력이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수압 면적은, 환상 돌기(18)의 내경을 직경으로 하는 원의 면적으로부터 압축측 스페이서(262)의 외경을 직경으로 하는 원의 면적을 제외함으로써 얻어진다. 따라서, 압축측 하중의 크기는, 압축측 스풀(Sp)의 외경을 직경으로 하는 원의 면적으로부터 압축측 스페이서(262)의 외경을 직경으로 하는 원의 면적을 제외함으로써 얻어지는 면적에, 압축측 배압실(Cp)의 압력을 곱함으로써 얻어진다. 이 압축측 하중에 의해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 및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가 피스톤(2)을 향해 가압된다. 또한,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263)를 폐지하고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의 배면에 환상 돌기(18)를 직접 맞닿게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신장측 배압실(Ce)의 압력과 압축측 배압실(Cp)의 압력이 동등한 경우에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가 신장측 배압실(Ce)로부터 받는 하중(신장측 하중)이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가 압축측 배압실(Cp)로부터 받는 하중(압축측 하중)보다 커지도록, 완충기(D2)는 설정되어 있다. 또한, 신장측 배압실(Ce)의 압력과 압축측 배압실(Cp)의 압력이 동등하게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가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에 맞닿고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가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에 맞닿은 상태에서는,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 및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가 신장측 배압실(Ce)로부터 받는 하중(신장측 하중)이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 및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가 압축측 배압실(Cp)로부터 받는 하중(압축측 하중)보다 커지도록, 완충기(D2)는 설정되어 있다.
또한, 신장측 배압실(Ce)을 신장측 스풀(Se)로 폐쇄하여 신장측 배압실(Ce)의 압력을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268)에 직접 작용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신장측 하중은 신장측 스풀(Se)의 신장측 배압실(Ce)의 압력을 받는 수압 면적에 의해서만 정해진다. 마찬가지로, 압축측 배압실(Cp)을 압축측 스풀(Sp)로 폐쇄하여 압축측 배압실(Cp)의 압력을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263)에 직접 작용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압축측 하중은 압축측 스풀(Sp)의 압축측 배압실(Cp)의 압력을 받는 수압 면적에 의해서만 정해진다. 따라서,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268)에도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263)에도 직접 배압실(Ce, Cp)로부터 압력을 작용시키지 않는 형태에 있어서, 신장측 배압실(Ce)의 압력과 압축측 배압실(Cp)의 압력이 동등한 경우에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 혹은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 및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가 신장측 배압실(Ce)로부터 받는 신장측 하중이,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 혹은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 및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가 압축측 배압실(Cp)로부터 받는 압축측 하중보다 커지도록 완충기(D2)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신장측 스풀(Se)의 수압 면적을 압축측 스풀(Sp)의 수압 면적보다 크게 하면 충분하다.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268) 및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263)를 폐지하는 경우, 신장측 배압실(Ce)의 압력을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에 직접 작용시킬 수 있고, 압축측 배압실(Cp)의 압력을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에 직접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신장측 배압실(Ce)을 신장측 스풀(Se)로 폐쇄하는 구조에서는, 신장측 스풀(Se)을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에 맞닿게 할 수 있고, 압축측 배압실(Cp)을 압축측 스풀(Sp)로 폐쇄하는 구조에서는 압축측 스풀(Sp)을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에 맞닿게 할 수 있다. 신장측 배압실(Ce)과 압축측 배압실(Cp)을 스풀로 폐쇄하는지 여부는,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신장측 스풀(Se)과 압축측 스풀(Sp)이 사용되어 있으므로,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에 실질적으로 신장측 배압실(Ce)의 압력을 작용시키는 수압 면적을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만의 수압 면적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압축측 스풀(Sp)과 신장측 스풀(Se)의 수압 면적의 차를 크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신장측 하중과 압축측 하중의 차를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신장측 하중과 압축측 하중의 설정 폭에 매우 높은 자유도를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신장측 하중에 의해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를 휘게 하여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에 맞닿게 하고,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를 신장측 밸브 시트(2d)에 맞닿을 때까지 휘게 하면,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가 신장측 통로(3)를 폐색한다. 어느 피스톤 속도에 있어서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에 작용하는 신장측 하중은, 상기 수압 면적, 신장측 제1 및 제2 리프 밸브(Ve1, Ve2)의 휨 강성 등에 의해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압 면적, 신장측 제1 및 제2 리프 밸브(Ve1, Ve2)의 휨 강성 등의 설정에 의해, 어느 피스톤 속도에 있어서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에 의해 신장측 통로(3)를 폐색할 수 있다.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와 마찬가지로,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는, 압축측 하중에 의해 휘어 압축측 밸브 시트(2c)에 맞닿아 압축측 통로(4)를 폐색한다. 어느 피스톤 속도에 있어서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에 작용하는 압축측 하중은, 상기 수압 면적, 압축측 제1 및 제2 리프 밸브(Vp1, Vp2)의 휨 강성 등에 의해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압 면적, 압축측 제1 및 제2 리프 밸브(Vp1, Vp2)의 휨 강성 등의 설정에 의해, 어느 피스톤 속도에 있어서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에 의해 압축측 통로(4)를 폐색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장측 배압실(Ce)과 압축측 배압실(Cp)을 상류로 하고, 신장측 배출 통로(Ee) 및 압축측 배출 통로(Ep)를 하류로 하여, 조정 통로(Pc)에 의해 이것들이 연통되어 있다. 전자 압력 제어 밸브(6)는, 상류의 신장측 배압실(Ce) 및 압축측 배압실(Cp)의 압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이 조정 통로(Pc)의 도중에 설치되어 있다. 신장측 하중은 압축측 하중보다 크기 때문에, 전자 압력 제어 밸브(6)에 의해 신장측 배압실(Ce)과 압축측 배압실(Cp) 내의 압력을 제어할 때, 작은 압력으로도 신장측 하중을 크게 할 수 있다. 신장측의 감쇠력을 크게 하는 경우에도, 전자 압력 제어 밸브(6)에 의해 제어해야 하는 최대 압력을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신장측 스풀(Se)의 내주는 신장측 챔버(12)의 장착부(12a)의 외주에 미끄럼 접촉하고 있지 않다. 신장측 배압실(Ce)의 압력은,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268)의 배면측에 있어서의 환상 돌기(14)의 맞닿음 부위의 내측에도 작용하여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를 가압한다. 신장측 하중의 설정에 있어서, 신장측 배압실(Ce)의 압력으로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를 직접 가압하는 하중을 가미하여 설정하면 된다.
마찬가지로, 압축측 스풀(Sp)의 내주는 압축측 챔버(11)의 장착부(11a)의 외주에 미끄럼 접촉하고 있지 않다. 압축측 배압실(Cp)의 압력은,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263)의 배면측에 있어서의 환상 돌기(18)의 맞닿음 부위의 내측에도 작용하여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를 가압한다. 압축측 하중의 설정에 있어서, 압축측 배압실(Cp)의 압력으로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를 직접 가압하는 하중을 가미하여 설정하면 된다.
전자 압력 제어 밸브(6)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비통전 시에 조절 통로(Pc)를 폐쇄함과 함께 통전 시에 압력 제어를 행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조정 통로(Pc)의 도중에는, 전자 압력 제어 밸브(6)를 우회하는 페일 밸브(FV)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 압력 제어 밸브(6)의 구조 및 페일 밸브(FV)의 구조는, 제1 실시 형태의 구조와 대략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계속해서, 완충기(D2)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완충기(D2)의 감쇠력의 특성을 소프트로 하는 경우, 즉, 가압 수단에 의한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 및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를 가압하는 가압력을 작게 하여 감쇠 계수를 낮게 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감쇠력 특성을 소프트로 하기 위해서는, 가압 수단에 의해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 및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에 부여되는 가압력을 작게 한다. 구체적으로는, 솔레노이드(Sol)로 통전함으로써, 전자 압력 제어 밸브(6)가 통과 액체에 부여하는 저항을 작게 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가압 수단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가 휘어도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가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에 맞닿지 않거나, 혹은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가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에 맞닿아도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가 신장측 밸브 시트(2d)에 착좌하지 않도록, 상기 가압력을 제어하여,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와 신장측 밸브 시트(2d) 사이에 신장측 제1 간극을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가압 수단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가 휘어도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가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에 맞닿지 않거나, 혹은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가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에 맞닿아도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가 압축측 밸브 시트(2c)에 착좌하지 않도록, 상기 가압력을 제어하여,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와 압축측 밸브 시트(2c) 사이에 압축측 제1 간극을 형성한다.
이 상태에서 완충기(D2)가 신장되어 피스톤(2)이 도 5 중 상방으로 이동하면, 압축되는 신장측실(R1) 내의 액체가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를 밀어 휘게 한다. 그리고, 신장측실(R1) 내의 액체는, 신장측 통로(3)를 통과하여 확대되는 압축측실(R2)로 이동한다.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와 신장측 밸브 시트(2d) 사이에는 신장측 제1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체는 이 신장측 제1 간극을 통과한다. 종래의 완충기에 있어서의 리프 밸브를 밸브 시트에 착좌시킨 상태에서의 유로 면적(예를 들어, 리프 밸브에 형성된 절결 또는 타각에 의해 밸브 시트에 형성된 오리피스의 유로 면적)과 비교하여, 신장측 제1 간극의 유로 면적의 쪽이 크다. 그로 인해, 완충기(D2)는, 도 8에 있어서의 선 B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 A2로 나타내어지는 종래의 완충기가 발생하는 감쇠력에 대해, 피스톤 속도가 저속 영역에 있을 때의 감쇠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완충기(D2)의 신장에 수반하여 신장측실(R1) 내의 압력이 상승하면,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는 휜다. 그 휨량은, 신장측실(R1)의 압력에 의해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를 신장측 통로(3)측으로부터 휘게 하려고 하는 힘과, 당해 휨량에 따라서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 자체가 갖는 스프링 반력에 의해 신장측 밸브 시트(2d)측으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힘의 밸런스에 의해 정해진다. 그리고,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는, 휨으로써, 신장측 통로(3)를 개방한다.
높은 피스톤 속도로 완충기(D2)가 신장되면, 신장측실(R1) 내의 압력이 높아져,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가 크게 휜다.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의 외주가 신장측 제2 간극 이상 변위되면,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에 맞닿아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의 휨이 억제된다. 그로 인해, 완충기(D2)의 감쇠력 특성의 기울기는, 도 8에 있어서의 선 B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 속도의 상승과 함께 서서히 커진다.
더욱 높은 피스톤 속도로 완충기(D2)가 신장되면, 신장측실(R1) 내의 압력이 더 상승하여,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를 휘게 하는 힘이 커진다.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를 휘게 하는 힘이 신장측 배압실(Ce)에 의한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를 밀어내리는 힘을 상회하면,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가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와 함께 피스톤(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휜다. 그 결과, 신장측 밸브 시트(2d)와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 사이의 신장측 제1 간극이 커진다. 완충기(D2)의 감쇠력 특성의 기울기는, 도 8에 있어서의 선 B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중부터 작아진다.
신장측실(R1) 내의 액체는, 신장측 역지 밸브(Te)를 밀어 개방하여 신장측 압력 도입 통로(Ie)를 통과하여, 조정 통로(Pc)로 흐른다. 조정 통로(Pc)를 통과한 액체는, 역지 밸브(25)를 밀어 개방하여, 신장측 배출 통로(Ee)를 통해 저압측의 압축측실(R2)로 배출된다. 또한, 신장측 파일럿 오리피스(Pe)는, 액체의 통과 시에 저항을 부여하여 압력 손실을 초래한다. 액체가 흐르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조정 통로(Pc)의 하류의 압력은 신장측실(R1)의 압력보다 낮아지므로, 압축측 배출 통로(Ep)에 설치된 역지 밸브(22)는 개방되지 않고 폐색된 상태 그대로이다.
신장측 압력 도입 통로(Ie)는, 압축측 배압실(Cp)로 통할 뿐만 아니라, 연통로(24)를 통해 신장측 배압실(Ce)로 통하고 있다. 압축측 압력 도입 통로(Ip)가 압축측 역지 밸브(Tp)에 의해 폐색되므로, 완충기(D2)의 신장 작동 시에 있어서 신장측 배압실(Ce) 내의 압력을 압축측실(R2)보다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압축측 배압실(Cp)의 압력은, 저압측의 압축측실(R2)의 압력보다 높아져, 압축측 통로(4)를 폐색하는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를 가압한다. 압축측 통로(4)에는 액체의 흐름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가 압축측 통로(4)를 폐색해도 문제는 없다.
조정 통로(Pc)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 압력 제어 밸브(6)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 압력 제어 밸브(6)의 솔레노이드(Sol)에 통전하여, 조정 통로(Pc)의 상류측의 압력을 제어하면, 신장측 배압실(Ce) 내의 압력을 조정하여 신장측 하중을 원하는 하중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전자 압력 제어 밸브(6)에 의해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를 압박하는 신장측 하중을 제어할 수 있다. 신장측 하중의 제어에 의해,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가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에 맞닿은 상태에서의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와 신장측 밸브 시트(2d) 사이의 신장측 제1 간극의 간극량(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의 개방도)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완충기(D2)의 신장 작동을 행할 때의 신장측 감쇠력을 제어할 수 있다.
완충기(D2)가 수축되어 피스톤(2)이 도 5 중 하방으로 이동하면, 압축되는 압축측실(R2) 내의 액체가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를 밀어 휘게 한다. 그리고, 압축측실(R2) 내의 액체는, 압축측 통로(4)를 통과하여 확대되는 신장측실(R1)로 이동한다.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와 압축측 밸브 시트(2c) 사이에는 압축측 제1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체는 이 압축측 제1 간극을 통과한다. 종래의 완충기에 있어서의 리프 밸브를 밸브 시트에 착좌시킨 상태에서의 유로 면적(예를 들어, 리프 밸브에 형성된 절결 또는 타각에 의해 밸브 시트에 형성된 오리피스의 유로 면적)과 비교하여, 압축측 제1 간극의 유로 면적의 쪽이 크다. 그로 인해, 완충기(D2)는, 도 8에 있어서의 선 D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 C2로 나타내어지는 종래의 완충기가 발생하는 감쇠력에 대해 피스톤 속도가 저속 영역에 있을 때의 감쇠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완충기(D2)의 수축에 수반하여 압축측실(R2) 내의 압력이 상승하면,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는 휜다. 그 휨량은, 압축측실(R2)의 압력에 의해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를 압축측 통로(4)측으로부터 휘게 하려고 하는 힘과, 당해 휨량에 따라서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 자체가 갖는 스프링 반력에 의해 압축측 밸브 시트(2c)측으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힘의 밸런스에 의해 정해진다. 그리고,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는, 휨으로써, 압축측 통로(4)를 개방한다.
높은 피스톤 속도로 완충기(D2)가 수축하면, 압축측실(R2) 내의 압력이 높아져,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가 크게 휜다.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의 외주가 압축측 제2 간극 이상 변위되면,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에 맞닿아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의 휨이 억제되고, 그로 인해, 완충기(D2)의 감쇠력 특성의 기울기는, 도 8에 있어서의 선 D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 속도의 상승과 함께 서서히 커진다.
더욱 높은 피스톤 속도로 완충기(D2)가 신장되면, 압축측실(R2) 내의 압력이 더 상승하여,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를 휘게 하는 힘이 커진다.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를 휘게 하는 힘이 압축측 배압실(Cp)에 의한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를 밀어내리는 힘을 상회하면,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가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와 함께 피스톤(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휜다. 그 결과, 압축측 밸브 시트(2c)와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 사이의 압축측 제1 간극의 간극량이 커진다. 완충기(D2)의 감쇠력 특성의 기울기는, 도 8에 있어서의 선 D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중부터 작아진다.
압축측실(R2) 내의 액체는, 압축측 역지 밸브(Tp)를 밀어 개방하여 압축측 압력 도입 통로(Ip)를 통과하여, 조정 통로(Pc)로 흐른다. 조정 통로(Pc)를 통과한 액체는, 역지 밸브(22)를 밀어 개방하여, 압축측 배출 통로(Ep)를 통해 저압측의 신장측실(R1)로 배출된다. 또한, 압축측 파일럿 오리피스(Pp)는, 액체의 통과 시에 저항을 부여하여 압력 손실을 초래한다. 액체가 흐르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조정 통로(Pc)의 하류의 압력은 압축측실(R2)의 압력보다 낮아지므로, 신장측 배출 통로(Ee)에 설치한 역지 밸브(25)는 개방되지 않고 폐색된 상태 그대로이다.
압축측 압력 도입 통로(Ip)는, 신장측 배압실(Ce)로 통할 뿐만 아니라, 연통로(24)를 통해 압축측 배압실(Cp)로 통하고 있다. 신장측 압력 도입 통로(Ie)가 신장측 역지 밸브(Te)에 의해 폐색되므로, 완충기(D2)의 수축 작동 시에 있어서 압축측 배압실(Cp) 내의 압력을 신장측실(R1)보다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신장측 배압실(Ce)의 압력은, 저압측의 신장측실(R1)보다 높아져, 신장측 통로(3)를 폐색하는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를 가압한다. 신장측 통로(3)에는 액체의 흐름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가 신장측 통로(3)를 폐색해도 문제는 없다.
조정 통로(Pc)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 압력 제어 밸브(6)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 압력 제어 밸브(6)의 솔레노이드(Sol)에 통전하여, 조정 통로(Pc)의 상류측의 압력을 제어하면, 압축측 배압실(Cp) 내의 압력을 조정하여 압축측 하중을 원하는 하중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전자 압력 제어 밸브(6)에 의해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를 압박하는 압축측 하중을 제어할 수 있다. 압축측 하중의 제어에 의해,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가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에 맞닿은 상태에서의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와 압축측 밸브 시트(2c) 사이의 압축측 제1 간극의 간극량(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의 개방도)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완충기(D2)의 수축 작동을 행할 때의 압축측 감쇠력을 제어할 수 있다.
계속해서, 완충기(D2)의 감쇠력의 특성을 하드로 하는 경우, 즉, 가압 수단에 의한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 및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를 가압하는 가압력을 크게 하여 감쇠 계수를 높게 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감쇠력 특성을 하드로 하기 위해서는,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 및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가 휘어 대응하는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 및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에 맞닿고, 또한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 및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가 휘어 대응하는 신장측 밸브 시트(2d) 및 압축측 밸브 시트(2c)에 착좌하도록 가압 수단에 의한 가압력을 제어한다. 솔레노이드(Sol)로 통전하여 전자 압력 제어 밸브(6)가 통과 액체에 부여하는 저항을 크게 한다.
이 상태에서는,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가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에 맞닿음과 함께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가 신장측 밸브 시트(2d)에 착좌하여, 신장측 제2 간극 및 신장측 제1 간극이 형성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가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에 맞닿음과 함께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가 압축측 밸브 시트(2c)에 착좌하여, 압축측 제2 간극 및 압축측 제1 간극이 형성되지 않는다.
피스톤(2)이 낮은 피스톤 속도로 도 5 중 상방으로 이동하여 완충기(D2)가 신장되는 경우에는,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가 신장측 통로(3)를 통해 신장측실(R1)의 압력을 받아 휘어도 신장측 밸브 시트(2d)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신장측 제1 간극의 간극량은 근소하다. 신장측 통로(3)를 통과하는 액체는 간극량이 적은 신장측 제1 간극을 통과하므로, 완충기(D2)는, 감쇠력 특성을 소프트로 한 경우와 비교하여, 큰 감쇠력을 발휘할 수 있다.
한편, 피스톤 속도가 높으면,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에 신장측 통로(3)를 통해 작용하는 신장측실(R1)의 압력이 상승한다. 이 신장측실(R1)의 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를 신장측 밸브 시트(2d)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의 힘이 커지면,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 및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가 크게 휘어,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268) 및 신장측 스풀(Se)을 도 7 중 하방으로 밀어 내린다. 그 결과,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와 신장측 밸브 시트(2d) 사이의 신장측 제1 간극의 간극량이 커진다. 감쇠력 특성을 소프트로 하고 있는 상태와 비교하여, 가압 수단에 의한 가압력이 크기 때문에,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의 휨량은 작다. 신장측 제1 간극의 간극량도 마찬가지로 작으므로, 완충기(D2)는, 도 8중 선 E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 속도가 동일해도, 하드 시에는 소프트 시와 비교하여 높은 감쇠력을 발휘한다.
신장측실(R1) 내의 액체는, 감쇠력 특성과 소프트하게 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신장측 역지 밸브(Te)를 밀어 개방하여 신장측 압력 도입 통로(Ie)를 통과하여, 조정 통로(Pc)로도 흐른다. 조정 통로(Pc)에 설치된 전자 압력 제어 밸브(6)에 의해 조정 통로(Pc)의 상류측의 압력을 제어함으로써, 소프트 시와 마찬가지로, 신장측 배압실(Ce) 내의 압력을 조정하여 신장측 하중을 원하는 하중으로 제어할 수 있어,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의 개방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감쇠력 특성이 하드로 설정된 완충기(D2)가 신장 작동을 행할 때의 감쇠력(신장측 감쇠력)을 제어할 수 있다.
피스톤(2)이 낮은 피스톤 속도로 도 5 중 하방으로 이동하여 완충기(D2)가 수축하는 경우에는,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가 압축측 통로(4)로부터 압축측실(R2)의 압력을 받아 휘어도 압축측 밸브 시트(2c)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압축측 제1 간극의 간극량은 근소하다. 압축측 통로(4)를 통과하는 액체는, 간극량이 적은 압축측 제1 간극을 통과하므로, 완충기(D2)는, 감쇠력 특성을 소프트로 한 경우와 비교하여, 큰 감쇠력을 발휘할 수 있다.
한편, 피스톤 속도가 높으면,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에 압축측 통로(4)를 통해 작용하는 압축측실(R2)의 압력이 상승한다. 이 압축측실(R2)의 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를 압축측 밸브 시트(2c)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의 힘이 커지면,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 및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가 크게 휘어,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263) 및 압축측 스풀(Sp)을 도 7 중 상방으로 밀어올린다. 그 결과,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와 압축측 밸브 시트(2c) 사이의 압축측 제1 간극의 간극량이 커진다. 감쇠력 특성을 소프트로 하고 있는 상황과 비교하여, 가압 수단에 의한 가압력이 크기 때문에,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의 휨량은 작다. 압축측 제1 간극의 간극량도 마찬가지로 작으므로, 완충기(D2)는, 도 8중 선 F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 속도가 동일해도, 하드 시에는 소프트 시와 비교하여 높은 감쇠력을 발휘한다.
압축측실(R2) 내의 액체는, 감쇠력 특성을 소프트로 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압축측 역지 밸브(Tp)를 밀어 개방하여 압축측 압력 도입 통로(Ip)를 통과하여, 조정 통로(Pc)로도 흐른다. 조정 통로(Pc)에 설치된 전자 압력 제어 밸브(6)에 의해 조정 통로(Pc)의 상류측의 압력을 제어함으로써, 소프트 시와 마찬가지로, 압축측 배압실(Cp) 내의 압력을 조정하여 압축측 하중을 원하는 하중으로 제어할 수 있어,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의 개방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감쇠력 특성이 하드로 설정된 완충기(D2)가 수축 작동을 행할 때의 감쇠력(압축측 감쇠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감쇠 밸브 및 완충기(D2)에서는, 신장측 및 압축측의 제1 리프 밸브(Ve1, Vp1)와, 대응하는 신장측 및 압축측의 밸브 시트(2d, 2c) 사이에 신장측 및 압축측의 제1 간극이 형성된다. 또한, 신장측 및 압축측의 제1 리프 밸브(Ve1, Vp1)와, 대응하는 신장측 및 압축측의 제2 리프 밸브(Ve2, Vp2) 사이에 신장측 및 압축측의 제2 간극이 형성된다. 그로 인해, 감쇠력 특성을 소프트로 할 때, 고정 오리피스를 사용한 종래의 감쇠 밸브 및 완충기와 비교하여 유로 면적을 크게 취할 수 있어, 피스톤 속도가 저속 영역에 있는 경우의 감쇠력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신장측 및 압축측의 제1 리프 밸브(Ve1, Vp1)와, 대응하는 신장측 및 압축측의 제2 리프 밸브(Ve2, Vp2) 사이에 신장측 및 압축측의 제2 간극이 형성된다. 그로 인해, 신장측 및 압축측의 제1 리프 밸브(Ve1, Vp1)의 휨 강성이 낮아도, 신장측 및 압축측의 제1 리프 밸브(Ve1, Vp1)가 휘어 대응하는 신장측 및 압축측의 제2 리프 밸브(Ve2, Vp2)에 맞닿은 상태에서는 신장측 및 압축측의 제1 리프 밸브(Ve1, Vp1)와 대응하는 신장측 및 압축측의 제2 리프 밸브(Ve2, Vp2)의 전체의 휨 강성은 높아진다. 따라서, 피스톤 속도가 고속 시에는 감쇠력을 높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신장측 및 압축측의 제1 리프 밸브(Ve1, Vp1)의 휨 강성을 낮게 함으로써 피스톤 속도가 저속 시에 있어서의 감쇠력을 한층 더 낮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감쇠 밸브 및 완충기에 따르면, 피스톤 속도가 저속 영역에 있을 때의 감쇠력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감쇠력 조정 폭을 확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의 강성을 낮게 할 수 있으므로,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는, 완충기(D2)의 신장 작동으로부터 수축 작동으로의 전환에 있어서 압축측실(R2)의 압력을 받아 신장측 밸브 시트(2d)에 신속하게 착좌할 수 있다.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의 강성을 낮게 할 수 있으므로,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는, 완충기(D2)의 수축 작동으로부터 신장 작동으로의 전환에 있어서 신장측실(R1) 내의 압력을 받아 압축측 밸브 시트(2c)에 신속하게 착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와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가 체크 밸브로서 신속하게 기능하여 폐쇄 지연이 없어지므로, 감쇠력 발생 응답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완충기(D2)의 감쇠력 특성을 신장 작동 시에 소프트로부터 하드로 전환한 경우, 신장측 배압실(Ce) 내의 압력 상승에 의해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와 신장측 밸브 시트(2d) 사이의 신장측 제1 간극이 서서히 작아져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가 신장측 밸브 시트(2d)에 착좌한다. 완충기(D2)의 감쇠력 특성을 수축 작동 시에 소프트로부터 하드로 전환한 경우, 압축측 배압실(Cp) 내의 압력 상승에 의해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와 압축측 밸브 시트(2c) 사이의 압축측 제1 간극이 서서히 작아져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가 압축측 밸브 시트(2c)에 착좌한다. 반대로, 본 실시 형태의 완충기(D2)의 감쇠력 특성을 신장 작동 시에 하드로부터 소프트로 전환한 경우, 신장측 배압실(Ce) 내의 압력 감소에 의해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와 신장측 밸브 시트(2d) 사이의 신장측 제1 간극이 서서히 커진다. 완충기(D2)의 감쇠력 특성을 수축 작동 시에 하드로부터 소프트로 전환한 경우, 압축측 배압실(Cp) 내의 압력 감소에 의해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와 압축측 밸브 시트(2c) 사이의 압축측 제1 간극이 서서히 커진다. 그로 인해, 완충기(D2)의 감쇠력 특성을 소프트로부터 하드로, 혹은 하드로부터 소프트로 전환할 때, 완충기(D2)의 감쇠력 특성의 급변이 완화된다. 이 완충기(D2)가 적용된 차량에서는, 감쇠력 특성의 급변이 완화되므로, 감쇠력 특성의 전환 시의 쇼크가 탑승자에게 지각되는 일이 없어, 차량에 있어서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소프트로부터 하드로의 감쇠력 특성의 전환 등에 의해 조정 통로(Pc)에 설치된 전자 압력 제어 밸브(6)가 폐쇄되었을 때, 신장측 배압실(Ce) 및 압축측 배압실(Cp)의 압력이 순간적으로 상승하는 이른바 서지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관련되는 감쇠 밸브에서는, 리프 밸브를 가압하는 배압실의 압력 변동이 발생하면, 디스크 밸브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급격하게 변화되므로 감쇠력이 급변해 버려 차량에 있어서의 승차감을 악화시켜 버릴 우려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신장측 및 압축측의 제1 리프 밸브(Ve1, Vp1)와, 대응하는 신장측 및 압축측의 제2 리프 밸브(Ve2, Vp2) 사이에 각각 신장측 및 압축측의 제2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신장측 및 압축측의 제2 리프 밸브(Ve2, Vp2)가 대응하는 신장측 및 압축측의 제1 리프 밸브(Ve1, Vp1)에 갑자기 맞닿는 일이 없다. 그로 인해, 신장측 및 압축측의 제1 리프 밸브(Ve1, Vp1)가 대응하는 신장측 밸브 시트(2d) 및 압축측 밸브 시트(2c)에 급격하게는 압박되지 않아, 신장측 통로(3) 및 압축측 통로(4)가 급격하게 폐색되지 않는다. 따라서, 감쇠력의 급변에 기인하는 스파이크가 감쇠력 파형에 발생하지 않아, 차량에 있어서의 승차감은 악화되지 않는다.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의 배면에는,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268)가 적층되고,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268)는 신장측 스페이서(267)의 외주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의 배면에는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263)가 적층되고,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263)는 압축측 스페이서(262)의 외주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로 인해,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의 강성보다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268)의 강성을 높게 하고,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의 강성보다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263)의 강성을 높게 함으로써, 가압 수단에 의한 가압력을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268) 및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263)에서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신장측 제1 및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1, Ve2), 압축측 제1 및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1, Vp2)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어, 상기 각 리프 밸브(Ve1, Ve2, Vp1, Vp2)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268)는,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의 배면에 적층되는 신장측 스페이서(267)의 외주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263)는,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의 배면에 적층되는 압축측 스페이서(262)의 외주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268)의 내경은 피스톤(2)의 내주 시트부(2h)의 외경보다 작고,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268)의 외경은 신장측 밸브 시트(2d)의 내경보다 크다. 또한,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263)의 내경은 피스톤(2)의 내주 시트부(2f)의 외경보다 작고,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263)의 외경은 압축측 밸브 시트(2c)의 내경보다 크다. 그로 인해,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 및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의 배면측의 압력을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268) 및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263)에서 받아낼 수 있다. 따라서, 신장측 환상 플레이트(268) 및 압축측 환상 플레이트(263)를 완충기(D2)에 설치함으로써, 신장측 제1 및 제2 리프 밸브(Ve1, Ve2)와 압축측 제1 및 제2 리프 밸브(Vp1, Vp2)에 과부하가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 및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의 강성을 한층 더 낮추는 것이 가능해져, 더 휨 강성이 낮은 리프 밸브를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완충기(D2)에 의해 낮은 감쇠력을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가압 수단은, 완충기(D2) 내의 신장측실(R1)과 압축측실(R2) 중 한쪽 또는 양쪽의 압력을 이용하여 신장측 제2 및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e2, Vp2)를 가압한다. 그로 인해, 가압력의 발생원을 사용하지 않아도 신장측 제2 및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e2, Vp2)를 가압할 수 있어, 압력의 제어에 의해 가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완충기에서는, 차체의 상하 방향의 진동을 억제하기 위해, 신장 작동 시의 신장측 감쇠력을 수축 작동 시의 압축측 감쇠력과 비교하여 크게 할 필요가 있다. 편로드형으로 설정되는 완충기(D2)에서는 신장측실(R1)의 압력을 받는 수압 면적은, 피스톤(2)의 단면적으로부터 로드 부재(10)의 단면적을 제외한 면적이 된다. 그로 인해, 신장 작동 시에 있어서의 신장측실(R1)의 압력을, 수축 작동 시에 있어서의 압축측실(R2)의 압력과 비교하여 매우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의 완충기(D2)에서는, 신장측 배압실(Ce)과 압축측 배압실(Cp)이 등압인 경우에,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1)를 가압하는 신장측 하중이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를 가압하는 압축측 하중보다 크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신장측 스풀(Se)이 사용되고 있다. 신장측 스풀(Se)을 사용하지 않고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의 배면측에 신장측 배압실(Ce)의 압력을 작용시킬 뿐인 구조와 비교하여, 신장측 스풀(Se)의 신장측 배압실(Ce)의 압력을 받는 수압 면적을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의 배면 면적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에 대해 큰 신장측 하중을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신장측 스풀(Se)과 압축측 스풀(Sp)을 사용함으로써, 신장측 하중과 압축측 하중의 설계 자유도도 향상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완충기(D2)에서는, 신장 작동 시에 있어서 신장측 감쇠력을 조정하기 위해 신장측 하중을 매우 크게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신장측 배압실(Ce)의 압력이 작아도 큰 신장측 하중을 출력시키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대형의 솔레노이드(Sol)를 사용하지 않아도 신장측 감쇠력의 제어 폭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신장측 배압실(Ce)과 압축측 배압실(Cp)의 압력 제어를 각각 독립된 밸브체를 구동하여 행하는 것이 아니라, 압축측 하중과 비교하여 신장측 하중을 크게 함으로써 신장측 배압실(Ce)과 압축측 배압실(Cp)의 압력을 연통하여 제어해도 신장측 감쇠력의 제어 폭을 확보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전자 압력 제어 밸브(6)에는 하나의 전자 밸브의 밸브체(31)를 설치하면 충분하다. 따라서, 그 구조는 매우 간단해지고, 비용도 저감된다.
이상으로부터, 전자 압력 제어 밸브(6)에 있어서의 솔레노이드(Sol)를 소형화할 수 있는 데다가, 전자 압력 제어 밸브(6)의 구조도 간단해져, 완충기(D2)의 피스톤부에 전자 압력 제어 밸브(6)를 적용해도 완충기(D2)가 대형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완충기(D2)에 따르면, 완충기(D2)의 구조가 간단해져 소형화할 수 있어, 차량에의 탑재성의 악화를 초래하는 일도 없다. 또한, 솔레노이드(Sol)가 큰 추력을 발휘하지 않아도 신장측 감쇠력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감쇠력을 크게 하는 경우의 소비 전력을 작게 하여 전력 절약화할 수 있다.
신장측 스풀(Se)의 신장측 배압실(Ce)의 압력을 받는 수압 면적을 압축측 스풀(Sp)의 압축측 배압실(Cp)의 압력을 받는 수압 면적보다 크게 하였으므로, 용이하게 신장측 하중을 압축측 하중과 비교하여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신장측 배압실(Ce)과 압축측 배압실(Cp)은, 각각 압축측 저항 요소 및 신장측 저항 요소를 통해 연통로(24)에 의해 연통된다. 압축측 압력 도입 통로(Ip)는 거의 저항 없이 신장측 배압실(Ce)에 압축측실(R2)로부터 액체를 도입한다. 그로 인해, 완충기(D2)가 신장 작동으로부터 수축 작동으로 전환될 때, 신장측 배압실(Ce) 내에 압축측실(R2) 내의 압력이 빠르게 도입된다. 따라서, 신장측 스풀(Se)은, 신장측 배압실(Ce) 내의 압력과 스프링 부재(16)의 가압에 의해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를 압박하여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를 신장측 밸브 시트(2d)에 빠르게 착좌시켜 신장측 통로(3)를 폐쇄할 수 있다. 신장측 압력 도입 통로(Ie)도 거의 저항 없이 압축측 배압실(Cp)에 신장측실(R1)로부터 액체를 도입한다. 그로 인해, 완충기(D2)가 수축 작동으로부터 신장 작동으로 전환될 때, 압축측 배압실(Cp) 내에 신장측실(R1) 내의 압력이 빠르게 도입된다. 따라서, 압축측 스풀(Sp)은, 압축측 배압실(Cp) 내의 압력과 스프링 부재(20)의 가압에 의해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를 압박하여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를 압축측 밸브 시트(2c)에 빠르게 착좌시켜 압축측 통로(4)를 폐쇄할 수 있다.
신장측 역지 밸브(Te)에 있어서의 밸브체(환상 판(19)) 및 압축측 역지 밸브(Tp)에 있어서의 밸브체(환상 판(15))의 경년 열화에 기인하여, 환상 판(19)과 압축측 챔버(11) 사이, 및 환상 판(15)과 신장측 챔버(12)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신장측 압력 도입 통로(Ie) 및 압축측 압력 도입 통로(Ip)에 신장측 저항 요소 및 압축측 저항 요소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신장측 압력 도입 통로(Ie) 및 압축측 압력 도입 통로(Ip)를 통과하는 유량은 변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술한 간극은 감쇠력 제어 및 신축 전환 시의 밸브 폐쇄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피스톤 로드(7)의 외주측에, 피스톤(2)과,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와,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와,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와,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와, 통 형상의 신장측 챔버(12)와, 통 형상의 압축측 챔버(11)가 장착된다. 피스톤(2)은 신장측 통로(3)와 압축측 통로(4)를 구비하고,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1)와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와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와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는 피스톤(2)에 적층되어 있다. 신장측 챔버(12)는 신장측 배압실(Ce)을 형성하고, 신장측 챔버(12)의 내주에 신장측 스풀(Se)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압축측 챔버(11)는 압축측 배압실(Cp)을 형성하고, 압축측 챔버(11)의 내주에 압축측 스풀(Sp)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신장측 챔버(12)에 압축측 압력 도입 통로(Ip)가 설치되고, 압축측 챔버(11)에 신장측 압력 도입 통로(Ie)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완충기(D2)의 피스톤부에 감쇠력 조정에 필요로 하는 각 부재를 집중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신장측 스풀(Se)의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와, 압축측 압력 도입 통로(Ip)를 개폐하는 압축측 역지 밸브(Tp)에 있어서의 밸브체(환상 판(15))는, 하나의 스프링 부재(16)에 의해 가압된다. 압축측 스풀(Sp)의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와, 신장측 압력 도입 통로(Ie)를 개폐하는 신장측 역지 밸브(Te)에 있어서의 밸브체(환상 판(19))는, 하나의 스프링 부재(20)에 의해 가압된다. 하나의 스프링 부재(16, 20)에 의해, 역지 밸브(Te, Tp)와 스풀(Se, Sp)을 복귀측으로 복원시킬 수 있어,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완충기(D2)에서는, 피스톤 로드(7)에, 보유 지지축(8a)과, 세로 구멍(8d)과, 신장측 저항 요소로서의 신장측 파일럿 오리피스(Pe)와, 압축측 저항 요소로서의 압축측 파일럿 오리피스(Pp)와, 수용부(L)와, 조정 통로(Pc)와, 압축측 배출 통로(Ep)가 설치되어 있다. 보유 지지축(8a)은, 피스톤 로드(7)의 선단에 설치되고, 보유 지지축(8a)의 외주에는, 피스톤(2), 신장측 제1 리프 밸브(Ve), 신장측 제2 리프 밸브(Ve2), 압축측 제1 리프 밸브(Vp1), 압축측 제2 리프 밸브(Vp2), 신장측 챔버(12) 및 압축측 챔버(11)가 외주에 장착된다. 세로 구멍(8d)은, 보유 지지축(8a)의 선단으로부터 개구된다. 신장측 파일럿 오리피스(Pe) 및 압축측 파일럿 오리피스(Pp)는, 보유 지지축(8a)에 형성되어 있고, 세로 구멍(8d) 내에 설치된 연통로(24)로 통한다. 수용부(L)는, 세로 구멍(8d)으로 통하도록 피스톤 로드(7)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전자 압력 제어 밸브(6)가 수용부(L)에 수용된다. 조정 통로(Pc)는 연통로(24)를 수용부(L)에 연통한다. 압축측 배출 통로(Ep)는 수용부(L)를 신장측실(R1)에 연통한다. 그리고, 완충기(D2)는, 세로 구멍(8d) 내에 삽입된 세퍼레이터(23)를 구비한다. 세퍼레이터(23)는, 외주에 형성된 환상 홈(23a)에 의해 세로 구멍(8d) 내에 신장측 배압실(Ce)과 압축측 배압실(Cp)을 연통하는 연통로(24)를 형성한다. 또한, 세퍼레이터(23)는, 내주에 신장측 배출 통로(Ee)를 형성한다. 그로 인해, 무리 없이, 피스톤 로드(7)에 전자 압력 제어 밸브(6)를 수용함과 함께, 전자 압력 제어 밸브(6)와는 축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여 피스톤 로드(7)의 외주에 신장측 배압실(Ce)과 압축측 배압실(Cp)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완충기(D2)는, 페일 시에 있어도 차체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전자 압력 제어 밸브(6)를 스로틀 밸브로서 기능시킴으로써, 페일 시에 있어도 차량에 있어서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자 압력 제어 밸브(6)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투과 구멍(30c)에 소직경부(31a)를 대향시킴으로써 조정 통로(Pc)를 차단한다. 그로 인해, 전자 밸브의 밸브체(31)를 밸브 시트 부재(30)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으로 압력이 작용하는 수압 면적을, 매우 작게 할 수 있어, 밸브 개방 시의 유로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밸브의 밸브체(31)의 움직임이 안정된다. 또한, 차단 포지션에서는, 상류측으로부터 압력을 받아도 전자 압력 제어 밸브는 밸브 폐쇄된 상태 그대로이며, 페일 밸브(FV)만을 유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가압 수단의 구성은 본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완충기의 신장측의 감쇠 밸브와 압축측의 감쇠 밸브 중 어느 한쪽에만 적용할 수도 있다. 도시는 하지 않지만, 완충기의 피스톤부에 설치된 감쇠 밸브가 아닌 베이스 밸브에 설치된 감쇠 밸브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상기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적용예의 일부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상기 실시 형태의 구체적 구성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본원은 2014년 11월 25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4-237842호, 및 2014년 11월 25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4-237846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Claims (18)

  1. 통로와 상기 통로의 출구 단부를 둘러싸는 밸브 시트를 구비한 밸브 디스크와,
    상기 밸브 시트에 이격 착좌하여 상기 통로를 개폐하는 리프 밸브와,
    상기 리프 밸브에 상기 밸브 디스크측을 향해 가변 가압력을 작용시키는 가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리프 밸브와 상기 밸브 시트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 감쇠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 밸브는, 상기 밸브 디스크에 적층된 환상의 리프 밸브인, 감쇠 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 밸브보다 외경이 작고, 상기 리프 밸브의 밸브 디스크 반대측에 적층되는 스페이서와,
    상기 리프 밸브의 밸브 디스크 반대측에 적층됨과 함께 상기 스페이서의 외주에 축 방향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환상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감쇠 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플레이트의 내경은, 상기 밸브 디스크의 상기 통로보다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리프 밸브의 내주를 지지하는 내주 시트부의 외경보다 작고,
    상기 환상 플레이트의 외경은, 상기 밸브 시트의 내경보다 큰, 감쇠 밸브.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디스크의 상기 통로보다 내측에 설치된 내주 시트부와 상기 리프 밸브 사이에 개재 장착되어 상기 간극의 높이를 조절하는 1매 이상의 환상 스페이서를 더 구비한, 감쇠 밸브.
  6.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수용되는 제2항에 기재된 감쇠 밸브와,
    상기 밸브 디스크에 의해 상기 실린더 내에 구획된 신장측실과 압축측실과,
    상기 실린더 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됨과 함께 상기 밸브 디스크에 연결되는 피스톤 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통로에 의해 상기 신장측실과 상기 압축측실이 연통되는, 완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신장측실과 상기 압축측실 중 한쪽 또는 양쪽의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리프 밸브를 가압하는, 완충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디스크는, 상기 통로로서 상기 신장측실과 상기 압축측실을 연통하는 신장측 통로 및 압축측 통로와, 상기 밸브 시트로서 신장측 통로의 출구 단부를 둘러싸는 신장측 밸브 시트 및 압축측 통로의 출구 단부를 둘러싸는 압축측 밸브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리프 밸브는, 상기 신장측 통로를 개폐하는 신장측 리프 밸브와 상기 압축측 통로를 개폐하는 압축측 리프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신장측 리프 밸브를 가압하는 신장측 스풀과,
    내부 압력으로 상기 신장측 스풀을 압박하는 신장측 배압실과,
    상기 압축측 리프 밸브를 가압하는 압축측 스풀과,
    내부 압력으로 상기 압축측 스풀을 압박하는 압축측 배압실과,
    통과하는 액체의 흐름에 저항을 부여하는 신장측 저항 요소를 통해 상기 압축측 배압실에 연통됨과 함께, 통과하는 액체의 흐름에 저항을 부여하는 압축측 저항 요소를 통해 상기 신장측 배압실에 연통되는 연통로와,
    상기 신장측실로부터 상기 압축측 배압실로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신장측 압력 도입 통로와,
    상기 압축측실로부터 상기 신장측 배압실로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압축측 압력 도입 통로와,
    상기 연통로에 접속되는 조정 통로와,
    상기 조정 통로의 하류를 상기 신장측실에 연통함과 함께 상기 조정 통로로부터 상기 신장측실로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압축측 배출 통로와,
    상기 조정 통로의 하류를 상기 압축측실에 연통함과 함께 상기 조정 통로로부터 상기 압축측실로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신장측 배출 통로와,
    상기 조정 통로에 설치되어 조정 통로의 상류 압력을 제어하는 전자 압력 제어 밸브,
    를 구비하고,
    상기 신장측 배압실과 상기 압축측 배압실 내의 압력이 동등한 경우, 상기 신장측 배압실의 압력에 의해 상기 신장측 리프 밸브를 가압하는 신장측 하중이 상기 압축측 배압실의 압력에 의해 상기 압축측 리프 밸브를 가압하는 압축측 하중보다 큰, 완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측 배압실의 압력을 받는 상기 신장측 스풀의 수압 면적은, 상기 압축측 배압실의 압력을 받는 상기 압축측 스풀의 수압 면적보다 큰, 완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 밸브는, 상기 밸브 시트와의 사이에 제1 간극을 형성하여 밸브 디스크에 적층된 환상의 제1 리프 밸브와, 상기 제1 리프 밸브의 밸브 디스크 반대측에 제2 간극을 통해 적층된 환상의 제2 리프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제2 리프 밸브를 상기 밸브 디스크측을 향하게 하여 가변 가압력을 작용시키는, 감쇠 밸브.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프 밸브보다 외경이 작고, 당해 제2 리프 밸브의 밸브 디스크 반대측에 적층되는 스페이서와,
    상기 제2 리프 밸브의 밸브 디스크 반대측에 적층됨과 함께 상기 스페이서의 외주에 축 방향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환상 플레이트를 더 구비한, 감쇠 밸브.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제2 리프 밸브를 상기 제1 리프 밸브에 맞닿게 하여 압박하고, 상기 제1 리프 밸브를 상기 밸브 시트에 착좌시키는, 감쇠 밸브.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플레이트의 내경은, 상기 밸브 디스크의 상기 통로보다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리프 밸브의 내주를 지지하는 내주 시트부의 외경보다 작고,
    상기 환상 플레이트의 외경은, 상기 밸브 시트의 내경보다 큰, 감쇠 밸브.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디스크의 상기 통로보다 내측에 설치한 내주 시트부와 상기 제1 리프 밸브 사이에 개재 장착되어 상기 제1 간극의 높이를 조절하는 1매 이상의 제1 환상 스페이서와,
    상기 제1 리프 밸브와 상기 제2 리프 밸브 사이에 개재 장착되어 상기 제2 간극의 높이를 조절하는 1매 이상의 제2 환상 스페이서를 더 구비한, 감쇠 밸브.
  15.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수용되는 제10항에 기재된 감쇠 밸브와,
    상기 밸브 디스크에 의해 상기 실린더 내에 구획된 신장측실과 압축측실과,
    상기 실린더 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됨과 함께 상기 밸브 디스크에 연결되는 피스톤 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통로에 의해 상기 신장측실과 상기 압축측실이 연통되는, 완충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신장측실과 상기 압축측실 중 한쪽 또는 양쪽의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리프 밸브를 가압하는, 완충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디스크는, 상기 통로로서 상기 신장측실과 상기 압축측실을 연통하는 신장측 통로와 압축측 통로와, 상기 밸브 시트로서 신장측 통로의 출구 단부를 둘러싸는 신장측 밸브 시트 및 압축측 통로의 출구 단부를 둘러싸는 압축측 밸브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리프 밸브는, 상기 신장측 통로를 개폐하는 신장측 제1 리프 밸브와, 상기 압축측 통로를 개폐하는 압축측 제1 리프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리프 밸브는, 상기 신장측 제1 리프 밸브의 밸브 디스크 반대측에 배치되는 신장측 제2 리프 밸브와, 상기 압축측 제1 리프 밸브의 밸브 디스크 반대측에 배치되는 압축측 제2 리프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신장측 제2 리프 밸브를 가압하는 신장측 스풀과,
    내부 압력으로 상기 신장측 스풀을 압박하는 신장측 배압실과,
    상기 압축측 제2 리프 밸브를 가압하는 압축측 스풀과,
    내부 압력으로 상기 압축측 스풀을 압박하는 압축측 배압실과,
    통과하는 액체의 흐름에 저항을 부여하는 신장측 저항 요소를 통해 상기 압축측 배압실에 연통됨과 함께, 통과하는 액체의 흐름에 저항을 부여하는 압축측 저항 요소를 통해 상기 신장측 배압실에 연통되는 연통로와,
    상기 신장측실로부터 상기 압축측 배압실로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신장측 압력 도입 통로와,
    상기 압축측실로부터 상기 신장측 배압실로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압축측 압력 도입 통로와,
    상기 연통로에 접속되는 조정 통로와,
    상기 조정 통로의 하류를 상기 신장측실에 연통함과 함께 상기 조정 통로로부터 상기 신장측실로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압축측 배출 통로와,
    당해 조정 통로의 하류를 상기 압축측실에 연통함과 함께 상기 조정 통로로부터 상기 압축측실로 향하는 액체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신장측 배출 통로와,
    상기 조정 통로에 설치되어 조정 통로의 상류 압력을 제어하는 전자 압력 제어 밸브,
    를 구비하고,
    상기 신장측 배압실과 상기 압축측 배압실 내의 압력이 동등한 경우, 상기 신장측 배압실의 압력에 의해 상기 신장측 제2 리프 밸브를 가압하는 신장측 하중이 상기 압축측 배압실의 압력에 의해 상기 압축측 제2 리프 밸브를 가압하는 압축측 하중보다 큰, 완충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측 배압실의 압력을 받는 상기 신장측 스풀의 수압 면적은, 상기 압축측 배압실의 압력을 받는 상기 압축측 스풀의 수압 면적보다 큰, 완충기.
KR1020177014549A 2014-11-25 2015-11-24 감쇠 밸브 및 완충기 KR201700787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37846A JP6514492B2 (ja) 2014-11-25 2014-11-25 減衰バルブ及び緩衝器
JP2014237842A JP6442248B2 (ja) 2014-11-25 2014-11-25 減衰バルブ及び緩衝器
JPJP-P-2014-237846 2014-11-25
JPJP-P-2014-237842 2014-11-25
PCT/JP2015/082927 WO2016084797A1 (ja) 2014-11-25 2015-11-24 減衰バルブ及び緩衝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755A true KR20170078755A (ko) 2017-07-07

Family

ID=56074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4549A KR20170078755A (ko) 2014-11-25 2015-11-24 감쇠 밸브 및 완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830305B2 (ko)
EP (1) EP3225874B1 (ko)
KR (1) KR20170078755A (ko)
CN (1) CN107002810B (ko)
WO (1) WO20160847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27760B2 (ja) 2015-06-17 2019-06-05 株式会社ショーワ 減衰力可変式緩衝器
KR20180113596A (ko) * 2016-09-27 2018-10-16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JP6762416B2 (ja) * 2017-03-13 2020-09-30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減衰力調整式緩衝器
DE112018004751B4 (de) * 2017-09-05 2022-07-21 Hitachi Astemo, Ltd. Stossdämpfer
US20210088100A1 (en) * 2019-09-19 2021-03-25 Fox Factory, Inc. Dual live valve shock having main damper and base valve actively controlled
DE102020134820A1 (de) * 2020-12-23 2022-06-23 Ktm Ag Ventilanordnung für einen Schwingungsdämpfer
CN115217883B (zh) * 2022-08-25 2024-02-27 黄震 用于电控减振器的可调控制阀及电控减振器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1626A (en) * 1972-12-14 1974-08-27 Peddinghaus Carl Ullrich Dr Piston for a shock absorber
AT412184B (de) * 2001-03-13 2004-11-25 Blum Gmbh Julius Fluiddämpfer
JPS58122043U (ja) * 1982-02-12 1983-08-19 トキコ株式会社 油圧緩衝器
JP2694465B2 (ja) * 1989-05-19 1997-12-24 トキコ株式会社 油圧緩衝器
JPH03163233A (ja) * 1989-11-20 1991-07-15 Kayaba Ind Co Ltd 油圧緩衝器のバルブ装置
JPH0633968A (ja) * 1992-07-16 1994-02-08 Toyota Motor Corp ショックアブソーバ
JP3321739B2 (ja) * 1994-06-15 2002-09-09 トキコ株式会社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FR2726874B1 (fr) * 1994-11-14 1996-12-20 Jarret Dispositif amortisseur du type a compression hydrostatique d'elastomere et ses applications
JPH10122290A (ja) * 1996-10-18 1998-05-12 Kayaba Ind Co Ltd 減衰バルブ構造
JPH10213172A (ja) * 1997-01-27 1998-08-11 Toyota Motor Corp 減衰力可変ショックアブゾーバ
JP4449022B2 (ja) 1999-04-28 2010-04-1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及び減衰力調整機構
JP4587089B2 (ja) * 2000-05-31 2010-11-2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JP2004150574A (ja) 2002-10-31 2004-05-27 Kayaba Ind Co Ltd 油圧緩衝器の減衰力発生バルブ
DE10326482A1 (de) * 2003-06-10 2005-01-05 Suspa Holding Gmbh Dämpfer
US7290643B2 (en) * 2003-12-17 2007-11-06 Nobuaki Fujita Front fork in two-wheeled motor vehicle or the like
JP4987283B2 (ja) * 2005-11-09 2012-07-25 カヤバ工業株式会社 緩衝器のバルブ構造および緩衝器
JP4967091B2 (ja) * 2007-04-19 2012-07-0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流体圧緩衝器
JP5390866B2 (ja) * 2009-01-20 2014-01-15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バルブ
US9394961B2 (en) 2011-03-22 2016-07-19 Kyb Corporation Damping valve
CN203730640U (zh) * 2014-01-10 2014-07-23 浙江德鹏机械有限公司 一种减震器双向缓冲阀
JP6378618B2 (ja) * 2014-11-25 2018-08-22 Kyb株式会社 減衰バルブ及び緩衝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84797A1 (ja) 2016-06-02
US20170328440A1 (en) 2017-11-16
EP3225874A4 (en) 2018-10-24
US11614140B2 (en) 2023-03-28
EP3225874B1 (en) 2023-08-23
EP3225874A1 (en) 2017-10-04
CN107002810B (zh) 2019-06-07
US20200332855A1 (en) 2020-10-22
CN107002810A (zh) 2017-08-01
US10830305B2 (en) 2020-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4398B1 (ko) 감쇠 밸브 및 완충기
KR101822764B1 (ko) 액압 완충기
KR20170078755A (ko) 감쇠 밸브 및 완충기
JP5952760B2 (ja) 減衰弁
KR20110098616A (ko) 완충기
JP6101179B2 (ja) 減衰弁
KR101754010B1 (ko) 솔레노이드 밸브
JP6093587B2 (ja) ソレノイドバルブ
CN108027077B (zh) 阻尼阀和缓冲器
KR20180030094A (ko) 감쇠 밸브 및 감쇠 밸브를 구비한 완충기
JP6018517B2 (ja) ソレノイドバルブ
JP6442247B2 (ja) バルブ
JP6442248B2 (ja) 減衰バルブ及び緩衝器
WO2018155293A1 (ja) 緩衝器
JP6059548B2 (ja) ソレノイドバルブ
JP6059549B2 (ja) ソレノイドバルブ
JP6514492B2 (ja) 減衰バルブ及び緩衝器
JP6262977B2 (ja) 液圧緩衝器
JP6814644B2 (ja) 減衰力調整式緩衝器
KR20180123533A (ko) 감쇠력 조정 밸브 및 완충기
JP2009108984A (ja) 流体圧緩衝器
KR20230084572A (ko) 완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