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2812A - 입석식 포크리프트 - Google Patents

입석식 포크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2812A
KR20170072812A KR1020160171509A KR20160171509A KR20170072812A KR 20170072812 A KR20170072812 A KR 20170072812A KR 1020160171509 A KR1020160171509 A KR 1020160171509A KR 20160171509 A KR20160171509 A KR 20160171509A KR 20170072812 A KR20170072812 A KR 20170072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plates
hydraulic
lower partition
hydraulic device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1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2986B1 (ko
Inventor
카즈시 가미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170072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13Details concerning the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13Details concerning the chassis
    • B66F9/07531Battery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2Hydraulic device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15B2211/205Systems with pumps
    • F15B2211/20507Type of prime mover
    • F15B2211/20515Electric motor

Abstract

(과제) 오일 탱크, 오일 펌프, 오일 펌프 구동용의 전동 모터, 컨트롤 밸브 등, 하역용의 유압의 발생과 컨트롤을 행하는 유압 기기를, 보다 효율 좋게 차체에 조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갖는 입석식 포크리프트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오일 탱크(41), 오일 펌프(43), 펌프용 전동 모터(43) 및, 각 유압 경로로의 작동유의 공급과 정지를 전환하는 컨트롤 밸브(42)를 포함하는 유압 기기와, 전동 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45)와, 전동 모터와 컨트롤러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48B)를 갖는 입석식 포크리프트로서, 차체 프레임(2)에, 유압 기기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제어 기기를 배치하는 제어 기기 에어리어(A1)와, 배터리를 배치하는 배터리 에어리어(A2)를 상하로 구분하는 상하 구분판(51)으로서 차체 프레임(2)과는 별체로서 구성된 상하 구분판(51)이 부착되어 있다.

Description

입석식 포크리프트{STANDING TYPE FORKLIFT}
본 발명은, 입석식(立席式) 포크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입석식 포크리프트는, 주행용 전동 모터를 이용하여 주행하고, 펌프용 전동 모터와 오일 펌프로 압송된 작동유를 이용하여 하역용의 포크(fork)나 마스트(mast) 등을 동작시키고 있다. 그리고 입석식 포크리프트에서는, 작동유를 비축하고 있는 오일 탱크, 작동유를 컨트롤 밸브로 압송하는 오일 펌프, 오일 펌프를 구동하는 펌프용 전동 모터, 포크나 마스트 등으로의 작동유의 공급과 정지를 제어하는 컨트롤 밸브 등을 포함하는 유압 기기가, 간결하게 통합되어 차체의 소정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차체 프레임의 일부로서 상하 방향으로 오목부와 볼록부를 갖는 전후 구분벽의 전면(前面)의 볼록부에, 좌우로 연장되어 Z형상으로 절곡된 판 형상의 부착 브래킷의 일부가 부착된 작업 차량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연직면인 전후 구분벽의 볼록부의 전면에는, 부착 브래킷의 일부의 연직면이 고정되고, 부착 브래킷의 좌우의 단부(端部)는, 측면벽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부착 브래킷에 있어서의 전후 구분벽의 볼록부의 전면이 되는 연직면에는 오일 탱크, 컨트롤 밸브 본체가 고정되어 있고, 부착 브래킷에 있어서의 전후 구분벽의 오목부의 후면이 되는 연직면에는 오일 펌프를 포함하는 하역용 전동 모터, 컨트롤 밸브용 조작 레버가 고정되어 있다. 즉, 부착 브래킷의 전면측의 연직면에는 오일 탱크, 컨트롤 밸브 본체가 고정되고, 당해 부착 브래킷의 후면측의 연직면에는 하역용 전동 모터, 컨트롤 밸브용 조작 레버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서는, 루프부와 좌우의 2개의 지주(支柱)부를 갖는 헤드 가드에 있어서의 좌우의 지주부의 하단(下端)부에, 우선 부착 브래킷을 부착하고, 그 후, 부착 브래킷에, 오일 탱크, 컨트롤 밸브 본체, 하역용 전동 모터, 컨트롤 밸브용 조작 레버 등을 부착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의 부착이 완료된 헤드 가드 유닛을 차체 프레임에 부착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9-83986호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작업 차량에서는, 중량물인 하역용 전동 모터나 오일 컨트롤 밸브 등을, 이들의 중량물을 아래로부터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형성하는 일 없이, 부착 브래킷의 연직면에 부착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좋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연직면에 중량물을 능숙하게 부착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오일 탱크, 오일 펌프, 오일 펌프 구동용의 전동 모터, 컨트롤 밸브 등, 하역용의 유압의 발생과 컨트롤을 행하는 유압 기기를, 보다 효율 좋게 차체에 조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갖는 입석식 포크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입석식 포크리프트는 다음의 수단을 취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제1 발명은, 오일 탱크, 상기 오일 탱크로부터의 작동유를 압송하는 오일 펌프, 상기 오일 펌프를 구동하는 전동 모터 및, 각 유압 경로로의 작동유의 공급과 정지를 전환하는 컨트롤 밸브를 포함하는 유압 기기와, 상기 전동 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전동 모터와 상기 컨트롤러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갖는 입석식 포크리프트로서, 차체 프레임에, 상기 유압 기기와 상기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제어 기기를 배치하는 제어 기기 에어리어와, 상기 배터리를 배치하는 배터리 에어리어를 상하로 구분하는 상하 구분판으로서 상기 차체 프레임과는 별체(別體)로서 구성된 상기 상하 구분판이 부착되어 있는, 입석식 포크리프트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발명은, 상기 제1 발명에 따른 입석식 포크리프트로서, 상기 상하 구분판의 상면에 있어서의 전방측의 가장자리부로부터 후방측의 가장자리부까지의 사이 중 어느 위치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구분판이 세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유압 기기는, 상기 상하 구분판 상 또한 상기 전후 구분판의 전방, 또는 상기 상하 구분판 상 또한 상기 전후 구분판의 후방 중 어느 한쪽에 배치되어 있는, 입석식 포크리프트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발명은, 상기 제1 발명 또는 제2 발명에 따른 입석식 포크리프트로서,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상기 상하 구분판이 부착되는 개소에는, 상기 상하 구분판을 지지하는 프레임측 브래킷이 설치되어 있는, 입석식 포크리프트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발명은, 상기 제3 발명에 따른 입석식 포크리프트로서, 상기 유압 기기는, 상기 상하 구분판과 함께 유압 기기 모듈로서 일체화되어 있고, 상기 유압 기기 모듈은, 체결 부재로 상기 프레임측 브래킷에 체결되어 있는, 입석식 포크리프트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5 발명은, 오일 탱크, 상기 오일 탱크로부터의 작동유를 압송하는 오일 펌프, 상기 오일 펌프를 구동하는 전동 모터 및, 각 유압 경로로의 작동유의 공급과 정지를 전환하는 컨트롤 밸브를 포함하는 유압 기기와, 상기 전동 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전동 모터와 상기 컨트롤러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갖는 입석식 포크리프트로서, 차체 프레임에는, 상기 유압 기기를 배치하기 위한 에어리어인 유압 기기 에어리어를 자신의 전방에 형성하는 구분판이, 상기 차체 프레임의 일부로서 용접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분판의 후방의 측에는, 상기 컨트롤러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구분판의 전방의 측에는, 상기 유압 기기 에어리어와, 상기 배터리를 배치하는 배터리 에어리어를 상하로 구분하는 상하 구분판으로서 상기 차체 프레임과는 별체로서 구성된 상기 상하 구분판이, 구분판 체결 부재로 부착되어 있고, 상기 유압 기기는, 상기 상하 구분판과 함께 유압 기기 모듈로서 일체화되어 있는, 입석식 포크리프트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6 발명은, 상기 제5 발명에 따른 입석식 포크리프트로서, 상기 상하 구분판의 상면에는, 모듈 부착 브래킷이 세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유압 기기 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모듈 체결 부재로 상기 모듈 부착 브래킷에 체결되어 있는, 입석식 포크리프트이다.
제1 발명에 의하면, 제어 기기 에어리어와 배터리 에어리어를 상하로 구분하는 구분판이, 차체 프레임과는 별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이 상하 구분판의 위에 유압 기기를 부착한 후에, 차체 프레임에 부착하는 작업 공정으로 하면, 오일 탱크, 오일 펌프, 오일 펌프 구동용의 전동 모터, 컨트롤 밸브 등의 유압 기기를, 보다 효율 좋게 차체에 조립 가능한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중량이 큰 유압 기기를, 연직면에 부착하는 것이 아니라, 상하 구분판의 위에 부착하면 좋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유압 기기를 부착 가능한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의하면, 상하 구분판의 상면에 전후 구분판을 설치하고, 상하 구분판 상 또한 전후 구분판의 전방, 또는 상하 구분판 상 또한 전후 구분판의 후방 중 어느 한쪽에, 유압 기기를 배치함으로써, 유압 기기를 간결하게 통합할 수 있다. 또한, 전후 구분판을 유압 기기의 부착에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
제3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면, 유압 기기를 부착한 상하 구분판을, 프레임측 브래킷의 위에 부착하는 것만으로, 차체 프레임에, 상하 구분판과 유압 기기를 통합하여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성이 좋은 구조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미리 여러 가지의 부재가 부착된 큼직한 차체 프레임에 유압 기기의 부착을 소망한 경우, 작업자는, 자유로운 위치에서 자유로운 방향으로부터 유압 기기를 부착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제4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는, 차체 프레임과는 별체의 단순한 판 형상 부재인 상하 구분판의 위에, 자유로운 위치에서, 자유로운 방향으로부터 유압 기기를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유압 기기의 부착의 작업성이 향상되는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유압 기기를 부착한 유압 기기 모듈을, 프레임측 브래킷의 위에 얹고 체결 부재로 체결하는 것만으로 좋기 때문에, 차체 프레임에의 유압 기기의 부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제5 발명에 의하면, 전후 구분판에 상당하는 구분판이 미리 차체 프레임에 용접되어 있는 경우라도, 작업자는, 차체 프레임과는 별체의 단순한 판 형상 부재인 상하 구분판의 위에, 자유로운 위치에서, 자유로운 방향으로부터 유압 기기를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유압 기기의 부착의 작업성이 향상되는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유압 기기를 부착한 유압 기기 모듈을, 체결 부재로 차체 프레임에 체결하는 것만으로 좋기 때문에, 차체 프레임에의 유압 기기의 부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제6 발명에 의하면, 상하 구분판에 유압 기기를 조립할 때, 유압 기기의 적어도 1개를, 상하 구분판에 세워 설치된 모듈 부착 브래킷에 부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작 레버를 복수 갖는 컨트롤 밸브 등을 모듈 부착 브래킷에 부착하면, 편리하다. 따라서, 유압 기기의 부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입석식 포크리프트의 외관의 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차체 프레임과, 상하 구분판 및 전후 구분판이 일체화된 별체 구분판의 외관의 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유압 기기 모듈을 조립하는 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차체 프레임에, 유압 기기 모듈(컨트롤러를 포함함)을 조립한 별체 구분판과, 배터리 모듈을 조립하는 모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차체 프레임에, 유압 기기 모듈(컨트롤러를 포함함)을 조립한 별체 구분판과, 배터리 모듈을 조립한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전후)구분판이 용접되어 있는 제2 실시 형태의 차체 프레임과, 상하 구분판의 외관의 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상하 구분판 상에, 유압 기기 모듈을 조립하는 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의 차체 프레임에, 유압 기기 모듈을 조립한 별체 구분판과, 컨트롤러와, 배터리 모듈을 조립하는 모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X축과 Y축과 Z축은 서로 직교하고 있고, Z축 방향은 상(上) 방향을 나타내고, Z축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은 하(下)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X축 방향은 수평 방향 또한 입석식 포크리프트의 전(前) 방향을 나타내고, X축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은 입석식 포크리프트의 후(後)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Y축 방향은 수평 방향 또한 입석식 포크리프트의 좌 방향을 나타내고, Y축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은 입석식 포크리프트의 우 방향을 나타낸다.
[입석식 포크리프트(1)의 외관(도 1)]
입석식 포크리프트(1)에는, 조종자(W)가 앉는 시트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조종자(W)는, 운전석에 선 상태로 승차하여 조종한다. 그리고 입석식 포크리프트(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크(60), 마스트(70), 하 프레임부(10), 좌 패널(20L)을 포함하는 중 프레임부(20), 상 프레임부(30), 우 전륜(80R), 좌 전륜(80L), 구동륜(80D) 등을 갖고 있다.
포크(6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마스트(70)에 부착되어, 배관(42H)으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에 의한 유압을 이용하여 상하로 승강 가능하다. 또한 마스트(70)는, 우 마스트(70R), 좌 마스트(70L)를 갖고 있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 프레임부(10)를 따라, 배관(42H)으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에 의한 유압을 이용하여 전후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마스트(70)는, 배관(42H)으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에 의한 유압을 이용하여 전후로 경사 가능하다.
하 프레임부(1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우 레그(10R)와 좌 레그(10L)와, 조종자의 입석부를 지지하는 플로어(10C)(도 2 참조)를 갖고, 전단(前端)에는, 종동륜인 우 전륜(80R), 좌 전륜(80L)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우 레그(10R)와 좌 레그(10L)가 서로 대향하는 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레일부가 형성되어 있고, 당해 안내 레일부를 따라 마스트(70)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플로어(10C)에는, 구동륜(80D)이 부착되어 있다. 구동륜(80D)은 도시 생략한 주행용 전동 모터와 변속기에 의해 구동되고, 도시 생략한 조타 수단에 의해 방향이 변경된다.
중 프레임부(2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10[㎜] 정도의 매우 두꺼운 금속판으로 형성된 우 패널(20R), 좌 패널(20L), 중 패널(20C)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프런트 하 패널(20FL), 프런트 상 패널(20FU)은, 차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으로 되어 있다.
상 프레임부(30)는, 헤드 가드(32), 우 지주(31R), 좌 지주(31L)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차체 프레임(2)과 상하 구분판(51)(별체 구분판(50))의 구조(도 2∼도 5)]
도 2에, 입석식 포크리프트(1)(도 1 참조)에 있어서의, 제1 실시 형태의 차체 프레임(2)과, 별체 구분판(50)(상하 구분판(51) 및 전후 구분판(52))의 외관의 예를 나타낸다. 차체 프레임(2)은, 하 프레임부(10)와, 중 프레임부(20)와, 상 프레임부(30)를 갖고 있다.
하 프레임부(10)의 우 레그(10R), 좌 레그(10L)의 각각은, 용접 등으로 플로어(10C)에 강하게 고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중 프레임부(20)의 우 패널(20R)과, 좌 패널(20L)의 각각은, 용접 등으로 중 패널(20C)에 강하게 고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 프레임부(30)의 우 지주(31R)와, 좌 지주(31L)의 각각은, 용접 등으로 헤드 가드(32)에 강하게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하 프레임부(10)는, 용접 등으로 중 프레임부(20)에 강하게 고정되고, 상 프레임부(30)는, 용접 등으로 중 프레임부(20)에 강하게 고정되어 있다.
차체 프레임(2)에 있어서의 상하 구분판(51)이 부착되는 개소에는, 상하 구분판(51)을 아래로부터 지지하는 프레임측 브래킷(21R, 21L)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차체 프레임(2)에 있어서의 전후 구분판(52)이 부착되는 개소에는, 전후 구분판(52)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지지하는 프레임측 브래킷(22R, 22L)이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측 브래킷(21R)은, 상하 구분판(51)을 부착하는 수평면을 갖고 있고, 중 패널(20C)과 우 패널(20R)에, 용접 등으로 강하게 고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프레임측 브래킷(21L)은, 상하 구분판(51)을 부착하는 수평면을 갖고 있고, 중 패널(20C)과 좌 패널(20L)에, 용접 등으로 강하게 고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프레임측 브래킷(22R)은, 전후 구분판(52)을 부착하는 연직면을 갖고 있고, 우 패널(20R)에, 용접 등으로 강하게 고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프레임측 브래킷(22L)은, 전후 구분판(52)을 부착하는 연직면을 갖고 있고, 좌 패널(20L)에, 용접 등으로 강하게 고정되어 있다.
별체 구분판(50)은, 상하 구분판(51)과, 상하 구분판(51)에 세워 설치된 전후 구분판(5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하 구분판(51)은, 예를 들면 10[㎜] 정도의 두께의 금속의 판 형상 부재이며, 차체 프레임(2)과는 별체로 되어 있다. 상하 구분판(51)은, 차체 프레임(2)에 부착된 경우, 수평면을 갖도록 부착되고, 후술하는 유압 기기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제어 기기를 배치하는 제어 기기 에어리어(A1)(도 2, 도 4 참조)와, 후술하는 배터리를 배치하는 배터리 에어리어(A2)(도 2, 도 4 참조)를 상하로 구분한다. 또한, 도 3,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컨트롤러(45)가 상하 구분판(51)보다도 후방으로 돌출된 위치에 부착되어 있지만, 이 컨트롤러(45)가 부착되어 있는 위치도, 상하 구분판(51)으로부터 보아 상방이기 때문에, 제어 기기 에어리어(A1)로 간주한다.
전후 구분판(52)은, 예를 들면 10[㎜] 정도의 두께의 금속의 판 형상 부재이며, 차체 프레임(2)과는 별체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전후 구분판(52)은, 상하 구분판(51)의 상면에 있어서의 전방측의 가장자리부(X축 방향의 측의 가장자리부)로부터 후방측의 가장자리부(X축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의 측의 가장자리부)까지의 사이인 범위(51S) 사이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세워 설치되어 있다. 전후 구분판(52)은, 차체 프레임(2)에 부착된 경우, 연직면을 갖도록 부착된다.
도 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전후 구분판(52)은, 상하 구분판(51)에 있어서의 후방측이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전후 구분판(52)은, 상하 구분판(51)에 있어서의 후방측의 가장자리부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세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후 구분판(52)을 상하 구분판(51)과 별체로 구성하여, 상하 구분판(51)에 있어서의 범위(51S) 내에 용접 등으로 전후 구분판(52)을 고정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하 구분판(51)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길이와, 전후 구분판(52)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길이는, 동일하지 않아도 좋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구분판(51)에 있어서의 프레임측 브래킷(21R, 21L)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체결구멍(51H)이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측 브래킷(21R, 21L)에 있어서의 상하 구분판(51)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체결구멍(21H)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전후 구분판(52)에 있어서의 프레임측 브래킷(22R, 22L)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체결구멍(52H)이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측 브래킷(22R, 22L)에 있어서의 전후 구분판(52)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체결구멍(22H)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을 유효하게 이용한 조립 작업 순서의 예를 설명한다. 상하 구분판(51)과 전후 구분판(52)으로 구성된 별체 구분판(50)을 차체 프레임(2)에 부착하는 경우, 별체 구분판(50)에, 후술하는 유압 기기를 부착한 후, 차체 프레임(2)에 부착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이용하여, 유압 기기, 컨트롤러 등에 대해서 설명한다. 유압 기기는, 오일 탱크(41), 펌프 유닛(43)(오일 펌프(43B)와 펌프용 전동 모터(43A)), 컨트롤 밸브(42) 등을 포함한다. 오일 탱크(41)는, 작동유가 비축되어 있는 탱크이다. 펌프 유닛(43)은, 오일 펌프(43B)와 펌프용 전동 모터(43A)를 갖고 있다. 오일 펌프(43B)는, 배관(44A)을 통하여 오일 탱크(41)로부터 공급된 작동유를, 배관(44B)을 통하여 컨트롤 밸브(42)로 압송한다. 펌프용 전동 모터(43A)는, 컨트롤러(45)를 통하여 배터리(48B)(도 4 참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오일 펌프(43B)를 구동한다. 컨트롤러(45)는, 배터리(48B)(도 4 참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펌프용 전동 모터(43A)를 제어한다. 컨트롤 밸브(42)는, 조종자로부터 조작 레버(42A∼42E)가 조작됨으로써, 토출구(42V∼42Z)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의 공급과 정지를 전환한다(각 유압 경로로의 작동유의 공급과 정지를 전환함). 예를 들면 토출구(42V)는 도 1에 나타내는 포크(60)의 승강을 제어하는 유압 장치에 접속되고, 토출구(42W)는 도 1에 나타내는 마스트(70)의 전후 슬라이드를 제어하는 유압 장치에 접속되고, 토출구(42X)는 도 1에 나타내는 마스트(70)의 전후 경사를 제어하는 유압 장치에 접속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작업자는, 차체 프레임(2)과는 별체로 구성된 별체 구분판(50)에, 유압 기기 및 컨트롤러를 미리 조립할 수 있다. 작업자는, 상하 구분판(51)에 대하여 자유로운 위치에서, 상하 구분판(51)에 대하여 자유로운 방향으로부터, 상하 구분판(51) 상에, 오일 탱크(41), 펌프 유닛(43)(오일 펌프(43B)와 펌프용 전동 모터(43A)), 컨트롤 밸브(42)를 조립하고, 배관(44A, 44B)을 조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하 구분판(51)과 유압 기기가 일체화된 유압 기기 모듈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의 유압 기기 모듈에 있어서의 전후 구분판(52)의 후방에, 컨트롤러(45)를 조립한 상태의 것을 유압 기기 모듈(40M)로 해도 좋다. 컨트롤러(45)까지를 포함하는 유압 기기 모듈(40M)은, 차체 프레임(2)에 부착하기 전에, 단체(單體)로 동작 테스트 등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
또한, 유압 기기는, 상하 구분판(51) 상(上) 또한 전후 구분판(52)의 전방, 또는 상하 구분판(51) 상 또한 전후 구분판(52)의 후방 중 어느 한쪽으로 통합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에서는, 상하 구분판(51) 상 또한 전후 구분판(52)의 전방으로, 유압 기기를 통합하여 배치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작업 차량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직면을 갖는 부착 브래킷을, 우선, 상 프레임부(30)의 우 지주(31R)의 하단과 좌 지주(31L)의 하단에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부착 브래킷의 전방측의 연직면에 오일 탱크(41)와 컨트롤 밸브 본체를 부착하고, 부착 브래킷의 후방측의 연직면에 오일 펌프(43B)와 펌프 구동용 모터(43A)와 컨트롤 밸브용 조작 레버를 부착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이 부착된 상 프레임부 모듈을, 중 프레임부에 부착하고 있다. 이 작업에서는, 비교적 중량이 큰 컨트롤 밸브 본체, 오일 펌프, 펌프 구동용 모터, 컨트롤 밸브용 조작 레버 등을, 아래로부터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갖는 일 없이 부착 브래킷의 연직면에 부착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좋지 않다. 또한, 상 프레임부와 일체로 된 부착 브래킷에 각 기기를 부착할 때, 우 지주나 좌 지주가, 작업자의 방해가 되어, 작업자가, 부착 브래킷에 대한 자유로운 위치에서, 부착 브래킷에 대한 자유로운 방향으로부터의 작업을 저해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하 구분판(51) 상에, 오일 탱크(41), 컨트롤 밸브(42), 오일 펌프(43B), 펌프용 전동 모터(43A)를 포함하는 유압 기기를 조립하고, 전후 구분판(52)의 후방의 측의 컨트롤러(45)를 조립하여 유압 기기 모듈(40M)을 조립하면 좋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2)에의 조립 작업에서는, 작업자는, 배터리(48B)와 배터리 트레이(48T)가 조립된 배터리 모듈(48)을, 차체 프레임(2)에 있어서의 배터리 에어리어(A2)에 조립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미리 조립한 유압 기기 모듈(40M)을, 차체 프레임(2)에 있어서의 제어 기기 에어리어(A1)에 조립한다. 차체 프레임(2)에의 조립시, 작업자는, 유압 기기 모듈(40M)을 프레임측 브래킷(21R, 21L) 상에 얹는다. 그리고 작업자는, 상하 구분판(51)의 체결구멍(51H)과 프레임측 브래킷(21R, 21L)의 체결구멍(21H)에 볼트 등의 체결 부재를 삽입 통과하여 체결하고, 전후 구분판(52)의 체결구멍(52H)과 프레임측 브래킷(22R, 22L)의 체결구멍(22H)에 볼트 등의 체결 부재를 삽입 통과하여 체결한다. 또한 도 5에, 차체 프레임(2)에, 유압 기기 모듈(40M)(상하 구분판(51)과 전후 구분판(52) 등을 포함함)과, 배터리 모듈(48)이 조립된 상태의 차체 프레임의 예를 나타낸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조를 갖고, 당해 구조를 이용한 조립 순서로 함으로써,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유압 기기 모듈(40M)을 조립할 때, 작업자는, 상하 구분판(51)에 대한 자유로운 위치에서, 자유로운 방향으로부터, 조립 작업을 행할 수 있기(액세스성이 좋은 위치로부터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매우 좋고, 조립시에 있어서의 작업자의 보행량도 저감한다. 또한 도시 생략한 주행용 전동 모터나 변속기 등을 차체 프레임에 조립할 때, 유압 기기 모듈(40M)보다도 먼저 차체 프레임에 조립함으로써, 상하 구분판 및 전후 구분판이 방해가 되지 않아, 주행용 전동 모터나 변속기 등의 조립이 용이해진다. 또한, 유압 기기 모듈(40M)보다도 먼저 배터리 모듈을 차체 프레임에 조립함으로써, 상하 구분판 및 전후 구분판이 방해가 되지 않아, 배터리 모듈의 조립이 용이해진다. 또한 유압 기기를, 상하 구분판 상 또한 전후 구분판의 전방, 또는 상하 구분판 상 또한 전후 구분판의 후방 중 어느 한쪽으로 통합하여 배치함으로써, 배관 길이를 보다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압손이 저감되고,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포크리프트의 가동 시간을 보다 길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전후 구분판(52)을 갖고, 컨트롤러(45)를 전후 구분판(52)의 후방의 측에 부착한 예를 설명했지만, 유압 기기 모듈의 전후 방향을 반대로 해도 좋고, 전후 구분판(52)을 생략하여, 상하 구분판(51)에 컨트롤러(45)를 부착하도록 해도 좋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차체 프레임(2A)과 상하 구분판(51)(별체 구분판(50A))의 구조(도 6∼도 8)]
다음으로 도 6에, 입석식 포크리프트(1)(도 1 참조)에 있어서의, 제2 실시 형태의 차체 프레임(2A)과, 별체 구분판(50A)(상하 구분판(51) 및 모듈 부착 브래킷(53))의 외관의 예를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내는 제1 실시 형태의 차체 프레임(2)에 대하여, 도 6에 나타내는 제2 실시 형태의 차체 프레임(2A)에서는, 중 프레임부(20)에 구분판(20D)이 추가되어 있는 점이 상이하다. 구분판(20D)은, 제1 실시 형태의 전후 구분판(52)에 상당하고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제1 실시 형태의 별체 구분판(50)에 대하여, 도 6에 나타내는 제2 실시 형태의 별체 구분판(50A)에서는, 전후 구분판(52)이 생략되고, 전후 구분판보다도 좌우 방향의 길이가 짧은 모듈 부착 브래킷(53)이 추가되어 있는 점이 상이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차이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한다.
중 프레임부(20)는, 우 패널(20R), 좌 패널(20L), 중 패널(20C), 구분판(20D) 등을 갖고 있다. 그리고 우 패널(20R), 좌 패널(20L)은, 용접 등으로 중 패널(20C)에 강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중 프레임부(20)에는, 자신의 전방에 유압 기기를 배치하기 위한 유압 기기 에어리어(A1a)를 형성하는 구분판(20D)이, 용접 등으로 중 패널(20C), 우 패널(20R), 좌 패널(20L)에 강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중 패널(20C)과 구분판(20D)을 통합하여 1개의 중 패널(20C)로 해도 좋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전후 구분판(52) 대신에 구분판(20D)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 2에 나타내는 프레임측 브래킷(22R, 22L)은 생략되어 있지만, 프레임측 브래킷(21R, 21L)은 도 2에 나타내는 차체 프레임(2)과 동일하게 설치되어 있다.
별체 구분판(50A)은, 상하 구분판(51)과, 상하 구분판(51)에 세워 설치된 모듈 부착 브래킷(5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하 구분판(51)은, 차체 프레임(2A)과는 별체로 구성되고, 차체 프레임(2A)에 부착되었을 때, 유압 기기 에어리어(A1a)와, 배터리 에어리어(A2)를 상하로 구분한다. 모듈 부착 브래킷(53)은, 예를 들면 10[㎜] 정도의 두께의 금속의 판 형상 부재로서, 상하 구분판(51)의 일부가 절곡되거나, 혹은 상하 구분판(51)과는 별체로 구성되어 상하 구분판(51)에 용접 등 되고, 세워 설치되어 연직면을 갖고 있다. 또한 모듈 부착 브래킷(53)에는, 유압 기기의 적어도 1개를 조립하기 위한 체결구멍(53H)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을 유효하게 이용한 조립 작업 순서의 예를 설명한다. 상하 구분판(51)과 모듈 부착 브래킷(53)으로 구성된 별체 구분판(50A)을 차체 프레임(2A)에 부착하는 경우, 별체 구분판(50A)에, 유압 기기를 부착한 후, 차체 프레임(2A)에 부착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에,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압 기기 모듈(42M)의 예를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내는 유압 기기 모듈(42M)은, 도 3에 나타내는 유압 기기 모듈(40M)에 대하여, 전후 구분판(52) 대신에 모듈 부착 브래킷(53)이 설치되어 있는 점과, 컨트롤러(45)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점이 상이하다. 모듈 부착 브래킷(53)의 체결구멍(53H)에는, 유압 기기의 적어도 1개(도 7의 예에서는 컨트롤 밸브(42))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컨트롤러(45)가 부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유압 기기 모듈(42M)의 동작 테스트 등을 행하는 경우는, 컨트롤러(45)를 가(假)접속하여 실시한다. 그 외의 점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립 작업에서는, 작업자는, 배터리 모듈(48)을, 차체 프레임(2A)에 있어서의 배터리 에어리어(A2)에 조립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미리 조립한 유압 기기 모듈(42M)을, 차체 프레임(2A)에 있어서의 유압 기기 에어리어(A1a)에 조립하고, 컨트롤러(45)를 구분판(20D)의 후방의 측에 조립한다. 차체 프레임(2A)에의 조립시, 작업자는, 유압 기기 모듈(42M)을 프레임측 브래킷(21R, 21L)의 위에 얹는다. 그리고 작업자는, 상하 구분판(51)의 체결구멍(51H)과 프레임측 브래킷(21R, 21L)의 체결구멍(21H)에 볼트 등의 체결 부재를 삽입 통과하여 체결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조를 갖고, 당해 구조를 이용한 조립 순서로 함으로써,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모듈 부착 브래킷(53)을 갖는 예를 설명했지만, 모듈 부착 브래킷(53)을 생략해도 좋다.
본 발명의 입석식 포크리프트(1),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성, 구조, 외관, 형상 등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 추가, 삭제가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설명에 이용한 수치는 일 예이며, 이 수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 입석식 포크리프트
2, 2A : 차체 프레임
10 : 하 프레임부
10C : 플로어
10L : 좌 레그
10R : 우 레그
20 : 중 프레임부
20C : 중 패널
20D : 구분판
20DH : 체결구멍
20L : 좌 패널
20R : 우 패널
21H, 22H : 체결구멍
21R, 21L : 프레임측 브래킷
22R, 22L : 프레임측 브래킷
30 : 상 프레임부
31L : 좌 지주
31R : 우 지주
32 : 헤드 가드
41 : 오일 탱크
42 : 컨트롤 밸브
42A∼42E : 조작 레버
42H : 배관
42V∼42Z : 토출구
43 : 펌프 유닛
43A : 펌프용 전동 모터(전동 모터)
43B : 오일 펌프
45 : 컨트롤러
48 : 배터리 모듈
48B : 배터리
48T : 배터리 트레이
50, 50A : 별체 구분판
51 : 상하 구분판
51H, 52H, 53H : 체결구멍
52 : 전후 구분판
53 : 모듈 부착 브래킷
60 : 포크
70 : 마스트
A1 : 제어 기기 에어리어
A1a : 유압 기기 에어리어
A2 : 배터리 에어리어

Claims (6)

  1. 오일 탱크, 상기 오일 탱크로부터의 작동유를 압송하는 오일 펌프, 상기 오일 펌프를 구동하는 전동 모터 및, 각 유압 경로로의 작동유의 공급과 정지를 전환하는 컨트롤 밸브를 포함하는 유압 기기와,
    상기 전동 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전동 모터와 상기 컨트롤러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갖는 입석식 포크리프트로서,
    차체 프레임에, 상기 유압 기기와 상기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제어 기기를 배치하는 제어 기기 에어리어와, 상기 배터리를 배치하는 배터리 에어리어를 상하로 구분하는 상하 구분판으로서 상기 차체 프레임과는 별체(別體)로서 구성된 상기 상하 구분판이 부착되어 있는, 입석식 포크리프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구분판의 상면에 있어서의 전방측의 가장자리부로부터 후방측의 가장자리부까지의 사이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구분판이 세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유압 기기는, 상기 상하 구분판 상(上) 또한 상기 전후 구분판의 전방, 또는 상기 상하 구분판 상 또한 상기 전후 구분판의 후방 중 어느 한쪽에 배치되어 있는, 입석식 포크리프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상기 상하 구분판이 부착되는 개소에는, 상기 상하 구분판을 지지하는 프레임측 브래킷이 설치되어 있는, 입석식 포크리프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기기는, 상기 상하 구분판과 함께 유압 기기 모듈로서 일체화되어 있고,
    상기 유압 기기 모듈은, 체결 부재로 상기 프레임측 브래킷에 체결되어 있는, 입석식 포크리프트.
  5. 오일 탱크, 상기 오일 탱크로부터의 작동유를 압송하는 오일 펌프, 상기 오일 펌프를 구동하는 전동 모터 및, 각 유압 경로로의 작동유의 공급과 정지를 전환하는 컨트롤 밸브를 포함하는 유압 기기와,
    상기 전동 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전동 모터와 상기 컨트롤러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갖는 입석식 포크리프트로서,
    차체 프레임에는, 상기 유압 기기를 배치하기 위한 에어리어인 유압 기기 에어리어를 자신의 전방에 형성하는 구분판이, 상기 차체 프레임의 일부로서 용접되어 있고,
    상기 구분판의 후방의 측에는, 상기 컨트롤러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구분판의 전방의 측에는, 상기 유압 기기 에어리어와, 상기 배터리를 배치하는 배터리 에어리어를 상하로 구분하는 상하 구분판으로서 상기 차체 프레임과는 별체로서 구성된 상기 상하 구분판이, 구분판 체결 부재로 부착되어 있고,
    상기 유압 기기는, 상기 상하 구분판과 함께 유압 기기 모듈로서 일체화되어 있는, 입석식 포크리프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구분판의 상면에는, 모듈 부착 브래킷이 세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유압 기기 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모듈 체결 부재로 상기 모듈 부착 브래킷에 체결되어 있는, 입석식 포크리프트.
KR1020160171509A 2015-12-17 2016-12-15 입석식 포크리프트 KR1018929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46033A JP6304225B2 (ja) 2015-12-17 2015-12-17 立席式フォークリフト
JPJP-P-2015-246033 2015-1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812A true KR20170072812A (ko) 2017-06-27
KR101892986B1 KR101892986B1 (ko) 2018-08-29

Family

ID=59080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1509A KR101892986B1 (ko) 2015-12-17 2016-12-15 입석식 포크리프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04225B2 (ko)
KR (1) KR101892986B1 (ko)
CN (1) CN107010568B (ko)
TW (1) TWI637897B (ko)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9939B2 (ja) * 1993-12-21 1999-06-02 小松フォークリフト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フォークリフトトラックにおけるコントローラ取り付け構造
JP3104591B2 (ja) * 1995-10-31 2000-10-3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車両の搭載機器組み付け方法及びその組み付け構造
KR0139857B1 (ko) * 1995-12-30 1999-04-15 석진철 전동 리치식 지게차의 차체
JP3647679B2 (ja) * 1999-08-25 2005-05-18 日本輸送機株式会社 ハンドリフト
US6913102B2 (en) * 2000-07-14 2005-07-05 Tcm Corporation Working vehicle with traversing system
JP2003054889A (ja) * 2001-08-07 2003-02-26 Nippon Yusoki Co Ltd フォークリフト
JP2005089037A (ja) * 2003-09-12 2005-04-07 Nippon Yusoki Co Ltd バッテリフォークリフト
DE102005009361A1 (de) * 2005-03-01 2006-09-07 Jungheinrich Aktiengesellschaft Flurförderzeug
US7849951B2 (en) * 2007-02-28 2010-12-14 Crown Equipment Corporation Materials handling vehicle having at least one controller coupled to a front wall of a frame
JP4863142B2 (ja) * 2007-09-14 2012-01-2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JP5260930B2 (ja) * 2007-09-28 2013-08-1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JP5080929B2 (ja) * 2007-09-28 2012-11-2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JP2012166873A (ja) * 2011-02-10 2012-09-06 Sumitomonacco Materials Handling Co Ltd リーチ式フォークリフト
JPWO2014083659A1 (ja) * 2012-11-29 2017-01-05 ニチユ三菱フォークリフト株式会社 フォークリフトのヘッドガード構造
CN104609336B (zh) * 2015-01-14 2018-02-16 叶欣 一种倒置液压可移动举升机及其使用方法
CN204778628U (zh) * 2015-07-16 2015-11-18 合肥熙宇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升降牵引叉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10568A (zh) 2017-08-04
KR101892986B1 (ko) 2018-08-29
TWI637897B (zh) 2018-10-11
JP2017109844A (ja) 2017-06-22
TW201726534A (zh) 2017-08-01
JP6304225B2 (ja) 2018-04-04
CN107010568B (zh)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94228B2 (ja) 電動走行駆動装置を備えた作業車
CN102725455B (zh) 工程机械
US9016418B2 (en) Construction machine
JP5090943B2 (ja) 建設機械
CN110435795B (zh) 全地形车及其车架
JP2009190438A (ja) 燃料電池システムの車両搭載構造
EP2840190A2 (en) Construction machine
WO2007029353A1 (ja) トラクタ
JP2007076557A (ja) トラクタの組立工法
JP2007262869A (ja) 作業機械
KR20040042819A (ko) 운전실의 바닥구조
JP2007331634A (ja) 電気自動車のモータルーム内構成部品搭載構造
KR101892986B1 (ko) 입석식 포크리프트
JP6530140B2 (ja) 作業車両のカバー、作業車両のキャブ及び作業車両
KR102426643B1 (ko) 작업기계
EP2679728B1 (en) Control valve attachment structure for construction machine
JP5080929B2 (ja) 作業車両
JP2010195120A (ja) 作業車両
JP2008063113A (ja) カウンタバランス型荷役車両のフレーム構造
JP2007076560A (ja) トラクタのフロント支持体
JP6423336B2 (ja) 四輪駆動作業車
JP4089969B2 (ja) 油圧ショベルにおけるバルブ組付け構造
JP6935378B2 (ja) 建設機械
JP6523944B2 (ja) 四輪駆動作業車
JP5831180B2 (ja) 車両のブレーキユニット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