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2819A - 운전실의 바닥구조 - Google Patents

운전실의 바닥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2819A
KR20040042819A KR1020030075539A KR20030075539A KR20040042819A KR 20040042819 A KR20040042819 A KR 20040042819A KR 1020030075539 A KR1020030075539 A KR 1020030075539A KR 20030075539 A KR20030075539 A KR 20030075539A KR 20040042819 A KR20040042819 A KR 20040042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
bottom panel
tunnel
harnesses
ca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5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6859B1 (ko
Inventor
나루세마사미
하가세이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40042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2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8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운전실과 작업기계 본체 사이에 연결설치되는 호스, 하니스(harness)류의 보호를 도모함과 아울러, 운전실을 지지하는 가대(架臺)(deck부) 내에 효용 공간(utility space)을 보다 넓게 확보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해결수단은 다음과 같다.
운전실(5)의 바닥부분을 구성하는 바닥패널(panel)(8)에 터널(tunnel)부(10)를 만들고, 이 터널부(10)에, 운전실(5)과 상부 선회체(3) 사이에 연결설치되는 하니스(31, 32)를 삽입통과시킨다. 또한 바닥패널(8)의 전부(前部)에, 전방을 향하여 상승구배의 경사면부(15a)를 형성하고, 이 경사면부(15a)를 주행조종기기(20)의 부착면부로 한다.

Description

운전실의 바닥구조{CABIN STRUCTURE}
본 발명은, 유압셔블등의 건설기계나, 산업차량, 농업기계등의 작업기계에 있어서, 그 작업기계 본체의 가대 위에 설치되는 운전실의 바닥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예를 들면, 주구동원이 엔진식의 유압셔블에 있어서, 운전실을 지지하는 가대(deck부)내의 공간이 공구류를 수납하는 스페이스로서 이용되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동(同) 셔블형의 건설기계에서, 구동원이 엔진 및 전동기를 조합한 구성의 것(소위 하이브리드식 건설기계)에 있어서, 동 가대내의 공간이 복수개(26개)의 배터리(DC12V/개)를 수납하는 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는 것도 알려져 있다(예컨대 일본국특허공개공보 2001-11889호 참조).
그러나, 일반적으로 운전실의 바닥부분을 구성하는 바닥패널의 하면(下面)에는 조종기기등과 관련된 호스, 하니스류가 클립등에 의하여 노출상태로 고정되어 있기때문에, 공구류를 꺼내고 넣고함에 따라 이들 호스, 하니스류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들 호스, 하니스류, 및 하부를 그 바닥패널의 하면으로부터 돌출시킨 상태에서 그 바닥패널에 부착되어 있는 주행조종기기가, 가대내에 효용 공간을 넓게 확보하는 데에 있어서 장애가 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일본국특허공개공보 2001-11889호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26개나 되는 배터리를 수납하는 스페이스를 가대내에 확보하는 것은, 특히 중소형 기종에서는 대단히 어렵다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일본국특허공개공보 2001-11889호에는, 가대내에 그와 같은 효용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은 명기되어 있지않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과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운전실과 작업기 본체 사이에 연결설치된 호스, 하니스류의 보호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가대내에 효용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운전실의 바닥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유압셔블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운전실의 바닥구조를 나타낸 요부(要部) 종단면도(縱斷面圖).
도 3은, 바닥패널의 전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Z-Z선 단면도.
도 5는, 다른 형태의 터널부를 구비한 각 바닥패널의 요부횡단면도(要部橫斷面圖).
도 6은, 본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하니스가 터널부에 삽통(揷通)된 상태의 바닥패널의 횡단면도.
도 7은, 데크(deck)부에 서랍을 설치한 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유압셔블, 2-하부주행체, 3-상부선회체, 5-운전실, 6-가대(deck부),
8, 8'-바닥패널(panel), 10, 10A, 10B, 10C, 10'- 터널(tunnel)부,
11, 11'-공간, 20-주행조종기기, 31, 32-하니스(harnes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운전실의 바닥구조는,
작업기계 본체의 가대 위에 설치되는 운전실의 바닥구조로서, 운전실의 바닥부분을 구성하는 바닥패널에 터널부를 만들고, 이 터널부에, 운전실과 작업기계 본체 사이에 연결설치되는 호스, 하니스류를 삽입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제1발명).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실의 바닥부분을 구성하는 바닥패널에 터널부가 만들어지고, 이 터널부에, 운전실과 작업기계 본체 사이에 연결설치되는 호스, 하니스류가 삽입통과되므로, 이들 호스, 하니스류가 그 터널부에 의하여 보호되게 되어, 예컨대 가대내의 공간을 공구류의 수납공간으로서 이용한다해도, 공구류를 꺼내고 넣고 함에 따라 이들 호스, 하니스류가 손상되는 일은 없다. 또한 터널부를 구성하는 벽부에 의하여 바닥패널의 강성(剛性)이 커지므로, 판두께의 강등에 의한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터널부는, 상기 바닥패널의 하면이 평탄면 또는 거의 평탄면이 되도록 그 바닥패널의 상면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2발명). 이렇게 하면 바닥패널의 아래쪽 가대내에 효용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가있다.
또한, 엔진을 주구동원으로 하는 엔진식 작업기계에 본 발명이 적용된 경우에는, 본 발명에 의하여 얻어진 효용 공간에, 예컨대 공구류가 수납된다. 이 경우에 종래에 비하여 대량의 공구류를 수납할 수가 있어서 편의성이 증대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엔진 대신에 전동기를 주구동원으로 하는 전기식 작업기계나 구동원으로서 엔진 및 전동기를 조합한 구성의 소위 하이브리드식 작업기계에 본 발명이 적용된 경우에는, 본 발명에 의하여 얻어진 효용 공간에, 예컨대 축전장치[배터리, 콘덴서(커패시터)등]나 인버터 등의 전장품(電裝品)이 수납된다. 이 경우, 배관설계의 자유도 향상이나, 가동시간의 연장화, 보수점검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바닥패널의 전부(前部)에는 전방을 향해 상승구배의 경사면이 형성되고, 이 경사면이 상기 운전실내에 배치되는 주행조종기기의 부착면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3발명). 이렇게 하면, 바닥패널하면으로부터의 주행조종기기의 돌출량을 삭감할 수가 있어서 효용 공간을 더욱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운전실의 바닥구조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며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건설기계의 일종인 유압셔블에 본 발명이 적용된 예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관한 유압셔블의 외관사시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유압셔블(1)은, 장궤식(裝軌式, clawler type)의 하부주행체(2)와, 그 하부주행체(2)에 선회장치(도시생략)를 통해 부착되는 상부선회체(3)를 갖추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좌우의 방향은, 운전자의 운전자세에 의거하여 정해져 있다.
상기 하부주행체(2)는, 트랙 프레임과 그 트랙 프레임에 장착되는 주행장치를 갖고 있고, 이 주행장치는, 트랙 프레임의 양측부에 있어서 종동륜(從動輪)과 구동륜(驅動輪) 사이에 감겨장착된 크롤러 밸트가, 각 구동륜에 동력을 부여하는 각 주행용 유압모터의 작동으로 회전운동하고, 이 회전운동에 의하여 해당 유압셔블(1)을 전후좌우방향으로 주행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선회체(본 발명의 '작업기계 본체'에 상당)(3)에 있어서, 그 전방 중앙부에는 작업기(4)가, 그 왼쪽 전부(前部)에는 운전실(5)이, 그 후부(後部)에는 구동용 엔진, 유압유닛, 평형추(counterweight), 기타 기기들이 각각 배설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작업기(4)는, 붐실린더(boom cylinder), 암실린더(arm cylinder) 및 버킷실린더(bucket cylinder)의 신축동작에 의하여 각각 회동조작되는 붐, 암 및 버킷을 갖춰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유압유닛은, 작동유탱크와, 엔진에 의하여 구동되는 유압펌프와, 이 유압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각 유압액추에이터(붐실린더, 암실린더, 버킷실린더, 주행용 유압모터, 선회장치구동용 유압모터)에 급배(給排)하는 조작 밸브의 집합체인 메인밸브(main valve)와, 각 조작밸브의 변환동작을 조작하는 전자식 변환밸브를 갖추어 이루어져 있다.
다음으로, 이 유압셔블(1)의 운전실(5)의 바닥구조에 대해서 이하에 자세히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운전실의 바닥구조를 나타낸 요부종단면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도 3에는 바닥패널의 전체사시도가, 도 4에는 도 2의 Z-Z선 단면도가 각각 나타내어져 있다.
상기 운전실(5)은, 상부 선회체(3)의 골조를 구성하는 선회프레임으로 형성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자구조의 가대(이하 「데크부」라 함)(6)위에 복수개(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지지체(viscous mount)(7)를 통해 지지되어 있으며, 이들 지지체(7)에 지지되어 해당 운전실(5)의 바닥부분을 구성하는 도 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은 판상(板狀)구조체의 바닥패널(8)과, 이 바닥패널(8)의 상면에 고정되는 주지 구조의 캐브(cab)(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 바닥 패널(8)은, 용접 또는 소성가공 또는 양자를 조합시킨 제조수법에 의해 제작된다.
상기 바닥패널(8)에는, 좌우방향의 중앙위치에 있어서 전후방향으로 뻗은 터널부(10)가 후술할 주행조종기기 부착부(15)의 내측공간과 운전실(5)의 외부를 캐브(9) 배면측(背面側)에 형성된 삽통공(揷通孔)(도시생략)을 통해 연통(連通)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터널부(1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소요 공간(11)을 내측에 형성하도록 해당 바닥패널(8)의 평면부(12)에 대하여 위쪽으로 튀어나오게 설치되는 상방벽부(上方壁部)(13)와, 이 상방벽부(13)의 아래쪽의 개방부를 막도록 설치되는 하방벽부(下方壁部)(14)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하방벽부(14)는, 상기 평면부(12)의 하면에 평판상(平板狀) 부재의 양측부를 볼트체결에 의하여 고정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바닥패널(8)의 전부(前部)에는, 상기 주행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주행조종기기(20)를 부착하기위한 주행조종기기 부착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주행조종기기 부착부(15)는, 전방을 향하여 상승구배의 경사면부(15a)가 앞측에 배치되도록 측면에서 봤을 때 산 형상으로 굴곡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경사면부(15a)에는 주행조종기기(20)의 하부가 끼워넣어지는 장착용 구멍(15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부(15a)에 주행조종기기(20)의 부착면부를 볼트체결에 의하여 고정함으로써, 주행조종기기(20)를 비스듬하게하여 들어올린 상태로 설치하여 주행조종기기(20)가 바닥패널(8)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되어있다.
여기에서, 상기 주행조종기기(20)는, 그 주행조종기기(20)를 조작하는 주행레버(21) 및 주행폐달(22)의 어느 한쪽의 경동(傾動, tiling)조작에 의하여 그 경동변위에 따른 전기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있고, 상기 터널부(10)내의 공간(11)에 삽통(揷通)되는 하니스(31)에 의하여 운전실(5)내의 오른쪽 후방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컨트롤러(controller)(23)를 경유시켜 주행장치의 조작과 관련된 전자식 변환밸브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리하여 주행레버(21) 또는 주행폐달(22)의 경동조작으로 주행장치에 의한 해당 유압셔블(1)의 주행동작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부호 24로 표시된 것은 주행조종기기(20)의 커버이다.
상기 바닥패널(8)의 후부 위쪽에는 좌석부착대(25)를 통해 운전석(26)이 설치됨과 함께, 이 운전석(26)에 운전자가 앉은 상태에서 조작가능한 위치에 작업기 조종기기(27)가 좌우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도2에서는 우측의 것만 도시). 이들 작업기 조종기기(27)는, 그 작업기 조종기기(27)에 경동가능하게 세워 설치되는 조작레버(28)의 경동변위에 따른 전기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터널부(10)내의 공간(11)에 삽통되는 하니스(32)에 의하여 컨트롤러(23)를 경유시켜 작업기(4) 및 선회장치의 조작과 관련된 전자식 변환밸브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있다. 이리하여, 각 조작레버(28)의 소정 경동조작에 의해 상기 각 유압실린더에 의한 작업기(4)의 굴곡기복동작과 선회장치에 의한 상부선회체(3)의 선회동작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면표시에 의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나, 상술한 조종기기(20, 27) 이외의 조종기기나 계기류(計器類), 스위치류와 관련된 하니스도 상기 터널부(10)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 하면측이 바닥패널(8) 상면의 요철(凹凸)형상에 합치되는 형상으로 되고, 상면측이 대략 평탄한(flat) 형상으로 된 바닥매트(floor mat)가 바닥패널(8)위에 부설(敷設)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운전실(5)의 바닥구조에 의하면, 운전실(5) 내에 설치되는 주행조종기기(20)나 작업기 조종기기(27)와, 운전실(5) 외부의 상부 선회체(3) 위에 설치되는 그들 조종기기(20, 27)의 조작대상인 전자식 변환밸브의 사이에 연결설치되는 하니스(31, 32) 및 기타 하니스는, 바닥패널(8)에 설치되는 터널부(10)에 의하여 그 바닥패널(8)의 하면의 상방위치에 형성되는 공간(11)내에 삽통(揷通)되므로, 바닥패널(8)의 하면측에 이들 하니스가 돌출되지않는다. 따라서 바닥패널(8)의 아래쪽 데크부(6)내에 효용 공간(30)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예컨대 그 효용 공간(30)에 공구류를 수납할 경우, 종래에 비하여 대량의 공구류를 수납할 수가 있어 편의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들 하니스는터널부(10)에 의하여 보호되므로, 공구류를 꺼내고 다시 넣고 함에 따라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터널부(10)를 구성하는 상방벽부(13)에 의하여 바닥패널(8)의 강성이 커지므로, 판두께의 강등에 의해 비용절감도 도모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바닥패널(8) 대신, 도5(a) (b) (c)의 각각에 도시한 바와 같은 터널부구조를 갖춘 각 바닥패널(8A, 8B, 8C)로 하여도 좋다. 도5(a)에 나타내어진 바닥패널(8A)은, 상기 바닥패널(8)과 기본구성은 동일하지만(따라서, 기능상 동일한 것에는 도면에 동일부호가 붙여져 있다. 이하, 바닥패널(8B),(8C)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그 하면이 완전히 평탄화(flat)된 것이다. 이 바닥패널(8A)에 있어서는, 하방벽부(14A)의 양측부가 끼워넣어지는 턱붙임(joggling)부(34),(34)가 예컨대 밀링절삭등의 가공수단에 의하여 평면부(12A)에 형성됨과 함께, 도시 생략된 납작머리작은나사 또는 용접접합에 의해 그 하방벽부(14A)가 평면부(12A)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5(b)에 나타내어진 바닥패널(8B)에 있어서는, 상기 바닥패널(8)에 있어서의 하방벽부(14)가 삭제됨과 아울러, 하니스(31, 32)가 공간(11)내에 배치되도록, 상방벽부(13)의 소요개소에 고착되는 클립(35), (35)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도5(c)에 나타내어진 바닥패널(8C)에 있어서는, 상기 바닥패널(8B)과 마찬가지로 상기 바닥패널(8)에 있어서의 하방벽부(14)가 삭제됨과 함께, 상방벽부(13)의 소요개소에 고착(固着)되어 그로밋(grommet)모양 부재(37), (37)가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로프형체지지(索狀體支持)브래킷(36)에, 하니스(31, 32)가 공간(11)내에 배치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 바닥패널(8B), (8C)에 있어서, 하니스(31,32)를 공간(11) 내에 팽팽하게 배치가능하다면, 상기 클립(35, 35) 및 로프형체지지브래킷(36)을 각기 설치하지 않는 구조의 터널부도 생각할 수 있다.
도 6에는, 본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하니스가 터널부에 삽통된 상태의 바닥패널의 횡단면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동일 또는 기능상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도면에 동일부호가 붙어 있다.
본 변형예는, 터널부(10', 10')가 바닥패널(8')의 좌우양측부분에 설치된 예이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운전실(5')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판상(板狀)부재의 양측부분이 위쪽을 향해 비스듬하게 굴곡형성되어 터널부(10', 10')의 상방벽부(13', 13')로 되고, 이 상방벽부(13', 13')의 아래쪽에 소요공간(11', 11')이 형성되도록 앵글형태의 부재로 구성되는 하방벽부(14', 14')가 볼트체결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 의해서도, 바닥패널(8')의 하면의 브래킷화가 이루어지므로, 본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서는, 엔진을 주구동원으로 하는 건설기계에 본 발명이 적용되어, 얻어진 효용 공간(30)에 공구류가 수납되는 예를 제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적용대상이 전동기를 주구동원으로 하는 전기식 건설기계나 구동원으로 엔진 및 전동기를 조합한 구성의 소위 하이브리드식 건설기계인 경우에, 얻어진 효용 공간(30)에 예컨대 축전장치 [배터리, 콘덴서(커패시터)등]나 인버터등의 전장품을 수납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배치설계의 자유도향상, 가동시간의 연장화, 보수점검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서는, 주행조종기기(20) 및 작업기조종기기(27)가 전기방식의 것인 예를 나타냈으나, 이들 조종기기(20, 27)가 감압밸브를 이용한 파일럿압 제어방식의 것이어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 경우, 조금전의 하니스(31, 32) 대신에, 파일럿압유 수송용 호스가 상기 터널부(10)(10',10')내에 삽통(揷通)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상기 효용 공간(30)에 서랍(41)을 텔레스코프형(telescopic) 가이드레일(42)에 의해 측면으로 끼웠다 뺐다 할 수 있게 장착하고, 그 서랍(41)에 공구류나 축전장치[배터리, 콘덴서(커패시터)등], 인버터등의 전장품을 수납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렇게 하면 더욱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는, 캐브(9), (9')에 의하여 밀폐형의 운전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운전실(5), (5')로서 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않고, 예컨대 캐너피(canopy)에 의하여 개방형의 운전공간을 형성하는 것도 운전실의 개념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운전실(5)의 바닥부분을 구성하는 바닥패널(panel)(8)에 터널(tunnel)부(10)를 만들고, 이 터널부(10)에, 운전실(5)과 상부 선회체(3) 사이에 연결설치되는 하니스(31, 32)를 삽입통과시킨다. 또한 바닥패널(8)의 전부(前部)에, 전방을 향하여 상승구배의 경사면부(15a)를 형성하고, 이 경사면부(15a)를 주행조종기기(20)의 부착면부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효과는 아래와 같다.
청구범위 제 1항에 의하면, 운전실의 바닥부분을 구성하는 바닥패널에 터널부가 만들어지고, 이 터널부에, 운전실과 작업기계 본체 사이에 연결설치되는 호스, 하니스류가 삽입통과되므로, 이들 호스, 하니스류가 그 터널부에 의하여 보호되게 되어, 예컨대 가대내의 공간을 공구류의 수납공간으로서 이용한다해도, 공구류를 꺼내고 넣고 함에 따라 이들 호스, 하니스류가 손상되는 일은 없다. 또한 터널부를 구성하는 벽부에 의하여 바닥패널의 강성(剛性)이 커지므로, 판두께의 강등에 의한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 2항에 의하면, 바닥패널의 아래쪽 가대내에 효용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가 있다.
또한, 엔진을 주구동원으로 하는 엔진식 작업기계에 본 발명이 적용된 경우에는, 본 발명에 의하여 얻어진 효용 공간에, 예컨대 공구류가 수납된다. 이 경우에 종래에 비하여 대량의 공구류를 수납할 수가 있어서 편의성이 증대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엔진 대신에 전동기를 주구동원으로 하는 전기식 작업기계나 구동원으로서 엔진 및 전동기를 조합한 구성의 소위 하이브리드식 작업기계에 본 발명이 적용된 경우에는, 본 발명에 의하여 얻어진 효용 공간에, 예컨대 축전장치[배터리, 콘덴서(커패시터)등]나 인버터 등의 전장품(電裝品)이 수납된다. 이 경우, 배관설계의 자유도 향상이나, 가동시간의 연장화, 보수점검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청구범위 제 3항에 의하면, 바닥패널하면으로부터의 주행조종기기의 돌출량을 삭감할 수가 있어서 효용 공간을 더욱 넓게 확보할 수 있다.

Claims (3)

  1. 작업기계 본체의 가대 위에 설치되는 운전실의 바닥구조로서, 운전실의 바닥부분을 구성하는 바닥패널에 터널부를 만들고, 이 터널부에, 운전실과 작업기계 본체사이에 연결설치되는 호스, 하니스(harness)류를 삽입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실의 바닥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부는, 상기 바닥패널의 하면이 평탄한 면이 되도록 그 바닥패널의 상면측에 배치되는 운전실의 바닥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패널의 전부(前部)에는 전방을 향하여 상승구배의 경사면이 형성되고, 그 경사면이 상기 운전실내에 배치되는 주행조종기기의 부착면이 되는 운전실의 바닥구조.
KR1020030075539A 2002-11-14 2003-10-28 운전실의 바닥구조 KR1010368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30295A JP4230199B2 (ja) 2002-11-14 2002-11-14 運転室のフロア構造
JPJP-P-2002-00330295 2002-1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2819A true KR20040042819A (ko) 2004-05-20
KR101036859B1 KR101036859B1 (ko) 2011-05-25

Family

ID=32808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5539A KR101036859B1 (ko) 2002-11-14 2003-10-28 운전실의 바닥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230199B2 (ko)
KR (1) KR1010368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8081A (ja) * 2012-05-17 2013-11-28 Caterpillar Sarl 旋回型作業機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3625A (ja) * 2004-10-27 2006-05-18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キャブフロア構造
JP4654691B2 (ja) * 2005-01-18 2011-03-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の配線構造
JP4543996B2 (ja) * 2005-03-29 2010-09-15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JP2007262856A (ja) * 2006-03-30 2007-10-11 Takeuchi Seisakusho:Kk 作業車
JP4852467B2 (ja) * 2007-04-26 2012-01-11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タンク装置
JP4994120B2 (ja) * 2007-06-06 2012-08-0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キャブのフロア
JP2009056828A (ja) * 2007-08-30 2009-03-19 Caterpillar Japan Ltd ホイ−ルロ−ダにおける電気配線の配設構造
JP5414609B2 (ja) * 2009-04-21 2014-02-1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車両
JP2011131714A (ja) * 2009-12-24 2011-07-07 Fujikura Ltd 車輌のフロアパネル
JP5234855B2 (ja) * 2011-03-10 2013-07-10 住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5668719B2 (ja) * 2012-04-27 2015-02-12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5841505B2 (ja) * 2012-08-06 2016-01-13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JP5983669B2 (ja) * 2014-03-27 2016-09-06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JP6264206B2 (ja) * 2014-06-23 2018-01-24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JP6270662B2 (ja) * 2014-08-11 2018-01-31 株式会社日立建機ティエラ 油圧ショベル
JP6807886B2 (ja) * 2018-03-23 2021-01-06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2021123960A (ja) * 2020-02-06 2021-08-30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バッテリー収納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835A (ja) * 1991-07-18 1993-01-26 Kubota Corp 作業車のフレーム
JP3104954B2 (ja) * 1994-10-27 2000-10-30 日立建機株式会社 ペダル式作動装置のペダルロック構造
JP3955928B2 (ja) * 2000-08-31 2007-08-08 株式会社丸山製作所 運転室の車体への取り付け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8081A (ja) * 2012-05-17 2013-11-28 Caterpillar Sarl 旋回型作業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6859B1 (ko) 2011-05-25
JP4230199B2 (ja) 2009-02-25
JP2004162405A (ja) 2004-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6859B1 (ko) 운전실의 바닥구조
US9156341B2 (en) Electric work vehicle and battery holding structure thereof
US8727055B2 (en) Electric work vehicle and base thereof
JP5580681B2 (ja) 電動作業車両
ES2258965T3 (es) Minicargador con cabina.
WO2003080945A1 (fr) Petite pelle mecanique a balancier
US20150056052A1 (en) Construction machine
KR100585924B1 (ko) 건설 기계
JP2024032825A (ja) 建設機械
JP2005041316A (ja) 建設機械
JP4199173B2 (ja) 旋回式建設機械
JP2008195172A (ja) 作業車両
EP2868810B1 (en) Construction machine
JP3693480B2 (ja) 油圧ショベルの上部旋回体
JP5771749B2 (ja) 建設機械
JP2011052455A (ja) 建設機械
US20240018748A1 (en) Construction machine
JP4003503B2 (ja) 小旋回型ショベル
US20240018747A1 (en) Construction machine
JP4089969B2 (ja) 油圧ショベルにおけるバルブ組付け構造
JP6847759B2 (ja) 作業機
KR20240035320A (ko) 작업 기계
JP2005299132A (ja) 建設機械における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2019167740A (ja) 建設機械
JP2009067562A (ja) 作業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